KR20210022255A - 단거리 통신 기반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 Google Patents

단거리 통신 기반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2255A
KR20210022255A KR1020190101465A KR20190101465A KR20210022255A KR 20210022255 A KR20210022255 A KR 20210022255A KR 1020190101465 A KR1020190101465 A KR 1020190101465A KR 20190101465 A KR20190101465 A KR 20190101465A KR 20210022255 A KR20210022255 A KR 202100222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server
user
user terminal
management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14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천영선
김학훈
Original Assignee
천영선
김학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천영선, 김학훈 filed Critical 천영선
Priority to KR10201901014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22255A/ko
Publication of KR202100222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22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5Vehicular advertisement
    • G06Q30/0266Vehicular advertisement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vehic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42Determining effectiveness of advertisements
    • G06Q30/0246Traffic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3Determination of fees for advert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거리 통신 기반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사업자가 제공한 다양한 콘텐츠를 특정 조건에 부합하는 사용자에게만 전달할 수 있도록 사전에 수집된 사용자의 정보와 대응되는 콘텐츠를 특정 지역 또는 장소 별로 설정하여 콘텐츠를 제공하며, 이를 수신한 사용자에게 소정의 수익금을 제공할 수 있는 콘텐츠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단거리 통신 기반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CONTENTS SERVICE SYSTEM BASED ON SHORT RANGE COMMUNICATION}
본 발명은 단거리 통신 기반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사업자가 제공한 다양한 콘텐츠를 특정 조건에 부합하는 사용자에게만 전달할 수 있도록 사전에 수집된 사용자의 정보와 대응되는 콘텐츠를 특정 지역 또는 장소 별로 설정하여 콘텐츠를 제공하며, 이를 수신한 사용자에게 소정의 수익금을 제공할 수 있는 콘텐츠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을 운행하는 경우, 운행 보조 장치로서 하이패스 단말기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하이패스 단말기는 고속도로 등에서 통행료를 무선 통신으로 지불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을 통해 사용자가 톨게이트에서 정차하지 않고도 용이하게 통행료를 지불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기존의 하이패스 단말기를 통한 요금 지불 방식은 관련된 소수 사업자 독점 형태를 벗어나기 힘들고, 하이패스 단말기 사용자에게는 통행료 지불 수단이 한정되며, 하이패스 단말기 구입 비용 또한 사용자가 부담해야 하는 상황으로, 이러한 시스템의 개선을 통해 사용자의 부담을 해소하고 다른 사업자들도 경쟁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필요성이 있다.
일본공개특허 제2002-032894호
본 발명은 상술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각 사용자에 대한 복수의 정보가 포함된 빅데이터를 관리하는 서버 및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의뢰인의 요구조건에 충족하는 사용자를 선정하는 분석 서버 및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콘텐츠를 관리하는 서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이 통신범위 구간 이내로 진입하는 경우, 선택 되어진 콘텐츠를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로 대량의 데이터를 전달하는 지역별 송출장치 또는 특정장소에 설치되어 단독의 사용자 단말과 데이터를 전달하는 ODU(Out Door Unit)장치, 상기 운영시스템과 사용자 단말로 전달하는 지역별 송출장치 또는 특정장소에 설치된 ODU(Out Door Unit)간의 데이터통신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서버 및 상기 콘텐츠를 사용자가 통신범위 구간 이내로 접근하면 빠른 시간에 콘텐츠를 전달하기 위하여 사용자 별로 전달하여야 할 콘텐츠를 사전 준비하는 단계(Pre-Processing)로 패킷 데이터(Packet Data)로 생성하여 보관하는 콘텐츠 전송서버 및 그리고 사용자 별로 콘텐츠 수신여부를 기간별로 분석 및 통계하여 수익금을 지급하는 결재 서버를 구비함으로써, 사업자는 의뢰인으로부터 의뢰된 광고 및 안내 정보를 포함하는 콘텐츠를 대상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는 데이터 서비스 시스템의 한 비즈니스 형태를 구축할 수 있고, 사용자는 차량에 설치된 단말기를 통하여 의뢰인의 콘텐츠를 시청 또는 청취함으로써 일정 수익금을 획득할 수 있으므로 사업자, 사용자 및 의뢰인 상호간에 이점이 발생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거리 통신 기반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은 사용자 정보가 입력되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빅데이터 및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콘텐츠를 관리하는 서버; 및 상기 사용자 단말과의 거리가 기 설정된 거리 이하가 되는 경우,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에 입력된 사용자 정보와 대응되는 콘텐츠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달하는 ODU(Out Door Unit);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거리 통신 기반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은 사업자의 의뢰인이 광고 또는 홍보 목적으로 제작되어진 각종 콘텐츠를 지역별 또는 사용자 별로 특정하여 콘텐츠를 전달하고자 할 경우 해당 지역 또는 선정된 사용자에만 콘텐츠를 전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거리 통신 기반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은 사업자에게 의뢰된 의뢰인의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로 출력하고, 사용자 단말로부터 출력되는 콘텐츠의 출력 시간 또는 출력 수에 기초한 일정 수익금을 사용자에게 지급함으로써, 사용자에게 경제적 이득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거리 통신 기반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은 사용자가 기존 하이패스 단말기의 결제 카드로 한정되는 통행료 지불 방식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거리 통신 기반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은 각 분야에 걸쳐 다수의 사업자가 서비스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서비스 종류가 다양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거리 통신 기반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거리 통신 기반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100)을 통한 콘텐츠 서비스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단거리 통신 기반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100)을 통한 콘텐츠 서비스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단거리 통신 기반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100)을 통한 특정 사업자에게 특화된 콘텐츠 서비스 플랫폼 구축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거리 통신 기반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a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거리 통신 기반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100)은 운영 서버(110), 네트워크 서버(120), 고객관리 서버(130), 분석 서버(140), 콘텐츠 관리 서버(150), 콘텐츠 전송 서버(160), 결재 서버(170) 및 의뢰자 관리 서버(18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a에 도시된 단거리 통신 기반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100)은 일 실시예에 따른 것이고, 그 구성요소들이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일부 구성요소가 부가, 변경 또는 삭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은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음성 출력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디바이스에 해당할 수 있으며, DSRC(Dedicated short Range Communication) 방식을 통해 다른 통신 가능한 장치와 무선 통신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 단말(10)의 통신 방법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의 무선 통신 대상은 후술되는 ODU(30) 또는 송출 장치(20)의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10)에 입력되어 있는 사용자 정보를 통해 무선 통신 대상은 각 사용자 단말(10)을 식별하여 통신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0)을 ETC(Electronic Toll Collection) 모드 또는 None ETC 모드로 설정하여 사용자 단말(10)를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으며, 설정되는 모드에 따라서 자동 통행료 지불 서비스의 이용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출 장치(20) 또는 ODU(30)는 지역 별로 지정된 장소에 설치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10)과의 거리가 기 설정된 거리 이하가 되는 경우, 상기 서버로부터 사용자 단말(10)에 입력된 사용자 정보와 대응되는 콘텐츠를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10)로 전달할 수 있다.
여기에서, 송출 장치(20) 또는 ODU(30)의 사용자 단말(10)로 콘텐츠를 전달하기 위한 거리는 사업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으며, 복수의 ODU(30)에 대한 콘텐츠 전달 거리는 각기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송출 장치(20) 또는 ODU(3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되는 실시 예를 통해 살펴볼 수 있다.
운영 서버(110)는 네트워크 서버(120), 고객관리 서버(130), 분석 서버(140), 콘텐츠 관리 서버(150), 콘텐츠 전송 서버(160), 결재 서버(170) 및 의뢰자 관리 서버(180)를 포함하는 각 서버의 동작 및 설정을 변경 또는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영 서버(110)는 네트워크 서버(120)를 통해 ODU(30) 또는 송출 장치(20)의 상술된 사용자 단말(10)과의 거리를 변경할 수 있다.
네트워크 서버(120)는 ODU(30) 또는 송출 장치(20)의 요청을 수신하고, 콘텐츠 전송 서버(160)로부터 생성된 콘텐츠를 ODU(30) 또는 송출 장치(2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서버(120)는 운영서버(110)로부터 전달되는 콘텐츠를 지역 송출장치(20) 또는 ODU(30)로 전달함으로써, 사용자 단말(10)이 콘텐츠를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네트워크 서버(120)는 유, 무선 방식으로 VoIP 또는 TCP/IP의 통신 방법을 통해 통신할 수 있으나, 통신 방법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고객관리 서버(130)는 각 사용자 단말(10)에 입력된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빅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객관리 서버(130)는 운영 서버(110)의 제어에 따라 빅데이터에 포함되는 사용자 정보를 변경, 추가 또는 삭제할 수 있다.
분석 서버(140)는 고객관리 서버(130)에서 관리되는 빅데이터를 분석하고, 콘텐츠를 제공할 사용자 단말(10)을 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석 서버(140)는 사업자의 의뢰인으로부터 요청받은 조건에 부합한 대상자를 선정할 수 있다.
콘텐츠 관리 서버(150)는 각 사용자 단말(10)에 제공하기 위한 콘텐츠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 관리 서버(150)는 운영 서버(110)의 제어에 따라 콘텐츠를 변경, 추가 또는 삭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에 제공될 수 있는 콘텐츠는 의뢰인이 사업자에게 의뢰한 콘텐츠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병원, 호텔 및 마트 등의 장소에 대한 예약 및 판매 및 주차 등의 안내 정보, 사용자 단말(10)이 장착된 차량에 대한 주차 요금 또는 입장료 결제 정보, 광고 정보 및 재난 정보를 포함하는 공공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콘텐츠 전송 서버(160)는 콘텐츠 관리 서버(150)에 저장된 콘텐츠를 토대로 분석 서버(140)에 의해 선정된 사용자 단말(10)에 제공될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전송 서버(160)는 사용자 단말(10)이 송출 장치(20) 또는 ODU(30)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통신 범위 구간) 이내로 접근하는 경우, 빠른 시간 내에 콘텐츠를 전달하기 위한 사전 준비(Pre-Processing) 단계로서, 사용자 별로 전달할 콘텐츠를 패킷 데이터(Packet Data)로 생성하여 보관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전송 서버(160)는 사용자 단말(10)로부터 네트워크 서버(120)를 거쳐 전달받은 사용자 정보로 사용자의 가입여부를 확인함으로써, 콘텐츠의 전송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10)로 전송하면 향후 수익금 정산을 위하여 결재 서버(170)에 콘텐츠 전송량을 전달할 수 있다.
결재 서버(170)는 각 사용자 단말(10)에 대한 콘텐츠 제공 결과를 토대로 각 사용자 단말(10)에 대한 수익금을 지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재 서버(170)는 사용자 단말(10) 별 콘텐츠 수신 여부를 기간 별로 분석한 통계 결과를 토대로 사용자에게 수익금을 지급할 수 있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거리 통신 기반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100)을 통한 콘텐츠 서비스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거리 통신 기반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100)의 콘텐츠 서비스 과정를 살펴보면, 그 과정은 사용자 영역과 사업자 영역으로 구분되어 설명될 수 있다.
사용자 영역은 사용자가 사업자로부터 콘텐츠를 전달받는 절차로, 사용자 단말(10)이 통신범위 구간 이내로 진입하면 송출 장치(20) 또는 ODU(30)에서 사용자 단말(10)과 통신하여 사용자의 고유번호를 서비스 시스템(100)의 네트워크 서버(120)와 운영 서버(110)를 경유하여 콘텐츠 전송 서버(160)에서 사용자의 가입 여부를 조회할 수 있다. 가입된 사용자로 판정되면, 콘텐츠 전송 서버(160)에 인텍스(색인표) 구조로 사용자 별로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에서 해당 사용자의 콘텐츠를 네트워크 서버(120)를 경유하여 송출장치(30) 또는 ODU(40)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10)로 전송하고, 결재서버(170)에서 콘텐츠 이용에 따른 수익금 지급을 위하여 해당 사용량을 등록할 수 있다.
또한, 사업자 영역은 사용자 정보 관리 및 빅테이터 구축과 사업자의 의뢰인이 제공한 콘텐츠의 관리 및 유지 그리고 의뢰인이 요구한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는 대상자를 선정하는 부문으로, 고객관리 서버(130)는 사업자에 가입한 사용자의 정보를 관리하는 역할을 하며, 사용자의 정보는 가입 시 작성한 개인정보로 빅데이터를 구축할 수 있도록 다양한 기초 데이터(Raw Data), 일 예로 성별, 나이, 취미, 월 생계비, 수익금 결재 수단, 거주지역, 선호 식생활, 가족 구성원, 자기개발활동, 건강정보, 의료정보, 차량정보, 금융 및 보험 정보 등으로 수집 할 수 있으며, 향후 사업자의 의뢰인의 요구에 따라서 대상자를 선정 시 빅데이터 분석의 핵심 색인자로(Keyword) 사용할 수 있다. 콘텐츠 관리 서버(150)는 의뢰인이 제공한 콘텐츠를 기반으로 구성하며, 콘텐츠는 영상과 음성 또는 음성만으로 생성할 수 있고 다량의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하여 해당 콘텐츠는 압축할 수 있다. 만일 의뢰자 관리 서버(180)를 통해서 요구사양이 정해지면, 분석서버(140)을 통하여 적합한 대상자를 선정하여 의뢰자와 협의를 거쳐서 예상 소요비용을 정할 수 있다. 의뢰자가 승인하면, 분석 서버(140)로 선정한 사용자와 콘텐츠 관리 서버(150)에 저장된 콘텐츠에서 해당 콘텐츠만 추출함으로써, 콘텐츠 전송 서버(160)가 사용자 별 콘텐츠를 생성하여 저장할 수 있다. 결재서버(170)는 사용자가 사업자와 상호 약정한 콘텐츠 당 노출요금 조건에 따라서 정한 금액을 근거로, 기간 동안 사용자가 수신한 콘텐츠 양을 금액으로 산정하여 사용자에게 수익금을 지급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단거리 통신 기반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100)을 통한 콘텐츠 서비스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a 내지 도 2c를 참조하면, 먼저, 콘텐츠(예를 들어, 광고) 의뢰인은 사업자(또는 제공자)에게 콘텐츠(사용자에게 노출되는) 및 콘텐츠 노출 지역을 의뢰할 수 있다. 이 때, 의뢰인에 의해서 콘텐츠에 노출되어야 하는 사용자 그룹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산출된 사용자 정보 또한 의뢰자에게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 그룹에 대한 콘텐츠 노출량(예를 들어, 인원 또는 횟수)을 토대로 소요 비용을 의뢰자는 사업자에게 지불할 수 있다. 운영 서버(110)는 고객관리 서버(130), 분석 서버(140), 콘텐츠 관리 서버(150), 콘텐츠 전송 서버(160), 결재 서버(170) 및 의뢰자 관리 서버(180)의 동작 및 설정을 관리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대한 정보와 의뢰된 콘텐츠를 관리 및 유지하고, 빅데이터를 기반의 사용자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모든 사용자 단말(10)의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빅데이터 및 의뢰된 콘텐츠 관련 정보가 저장될 수 있으며, 분석 서버(140)가 상기 빅데이터를 토대로 분석 과정을 거쳐 콘텐츠에 노출되어야 하는 사용자 정보를 추출함으로써, 콘텐츠 노출 대상이 되는 사용자를 선정할 수 있다. 의뢰된 콘텐츠는 상기 선정된 사용자가 소유한 사용자 단말(10)로 출력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0)에 의해 출력되는 콘텐츠에 노출된 시간 또는 청취한 콘텐츠 수를 토대로 결재 서버(170)를 거쳐 사업자에게 일정 수익금을 분배 받을 수 있다.
여기에서, 각 사용자 단말(10)에는 각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가 입력되어 있으므로, 운영 서버(110)는 이러한 사용자 정보와 대응되는 콘텐츠를 네트워크 서버(120)을 경유하여 후술되는 송출장치(20)에 전달하고, 송출 장치(20)는 사용자 단말(10)에 콘텐츠를 전달함으로써, 사용자가 콘텐츠를 시청 또는 청취할 수 있다.
따라서, 각 사용자는 송출장치(20) 또는 ODU(30) 주위에 진입하는 경우, 가입 시 또는 추후 별도의 신청방법으로 노출을 희망하는 콘텐츠에 대해서만 사용자 단말(10)에 의해 출력되는 콘텐츠를 시청 또는 청취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사전에 원하지 않는 불필요한 스팸성 광고에 노출이 되지 않을 수 있다.
여기에서, 각 지역에 설치되는 송출 장치(20)는 중계 장치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네트워크 서버(120)와 통신하며, 운영서버(110)를 경유하여 콘텐츠 전송 서버(160)에서 사용자 별로 생성된 콘텐츠를 각각의 사용자 단말(10)로 전달할 수 있다. 실 예로, 고속도로 휴계소, 공공 주차장, 주유소 등 다수의 차량이 집결되는 장소에서 1 대 다수의 방식으로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ODU(30)는 송출 장치(20)와 같이 중계 장치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실 예로, 회사 정문, 백화점 및 호텔 및 대형 마트의 출입구 등 개별적으로 진입하는 차량과 1:1 방식으로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설정된 콘텐츠 노출 지역 진입에 의한 사용자 단말(10)의 콘텐츠 출력은 각 지역의 송출 장치(20)가 아닌 ODU(30) 등에 의해 이루어지는 무선 통신을 통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은 사업자에 의해 사용자에게 대여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분배되는 수익금이 소정 금액(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 구입 가능 금액) 이상 발생하는 경우,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0) 구입 금액을 사업자에게 지불하고 사용자 단말(10)을 소유할 수 도 있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단거리 통신 기반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100)을 통한 특정 사업자에게 특화된 콘텐츠 서비스 플랫폼 구축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사업자는 의뢰인(의뢰 기업)과 사용자(소비자 또는 고객)을 연결시킬 수 있는 콘텐츠 서비스 플랫폼을 구축할 수 있다. 상기 도 2a 내지 도 2c에 나타나는 실시예를 통한 콘텐츠 서비스 방법이 의뢰인과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빅데이터를 분석함으로써 선정되는 특정 사용자 간에 이루어지는 콘텐츠 서비스 방법에 대한 것이라면, 도 3a 및 도 3b의 실시예를 통한 콘텐츠 서비스 방법은 의뢰인과 이미 의뢰인의 서비스를 제공받기로 약속(가입)되어 있는 사용자 간에 이루어지는 콘텐츠 서비스 방법에 대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도 2c 및 도 3b는 상술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거리 통신 기반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100) 각각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c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거리 통신 기반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100)은 운영 서버(110), 네트워크 서버(120), 고객관리 서버(130), 분석 서버(140), 콘텐츠 관리 서버(150), 콘텐츠 전송 서버(160), 결재 서버(170) 및 의뢰자 관리 서버(18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송출 장치(20)를 통한 콘텐츠 전달이 이루어 질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거리 통신 기반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100)은 운영 서버(110), 네트워크 서버(120), 고객 관리(빅데이터 관리) 서버(130), 분석 서버(140), 콘텐츠 관리 서버(150), 콘텐츠 전송 서버(160) 및 결재 서버(1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ODU(30)를 통한 콘텐츠 전달이 이루어 질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사용자 단말
20: 송출 장치
30: ODU
100: 단거리 통신 기반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110: 운영 서버
120: 네트워크 서버
130: 고객관리 서버
140: 분석 서버
150: 콘텐츠 관리 서버
160: 콘텐츠 전송 서버
170: 결재 서버
180: 의뢰자 관리 서버

Claims (1)

  1. 사용자 정보가 입력되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각 사용자 단말에 입력된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빅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고객관리 서버;
    각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기 위한 콘텐츠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콘텐츠 관리 서버;
    상기 고객관리 서버에서 관리되는 빅데이터를 분석하고, 상기 콘텐츠 관리 서버에서 관리되는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을 선정하는 분석 서버;
    상기 콘텐츠 관리 서버에 저장된 콘텐츠를 토대로 상기 분석 서버에 의해 선정된 사용자 단말에 제공될 콘텐츠를 생성하는 콘텐츠 전송 서버;
    ODU 또는 송출 장치를 통해 사용자 단말의 콘텐츠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콘텐츠 전송 서버로부터 생성된 콘텐츠를 상기 ODU 또는 송출 장치를 통해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네트워크 서버;
    각 사용자 단말에 대한 콘텐츠 제공 결과를 토대로 각 사용자 단말에 대한 수익금을 지급하는 결재 서버; 및
    상기 네트워크 서버, 고객관리 서버, 분석 서버, 콘텐츠 관리 서버, 콘텐츠 전송 서버 및 결재 서버의 동작 및 설정을 변경 또는 제어하는 운영 서버;를 포함하는,
    단거리 통신 기반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KR1020190101465A 2019-08-20 2019-08-20 단거리 통신 기반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KR202100222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1465A KR20210022255A (ko) 2019-08-20 2019-08-20 단거리 통신 기반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1465A KR20210022255A (ko) 2019-08-20 2019-08-20 단거리 통신 기반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2255A true KR20210022255A (ko) 2021-03-03

Family

ID=75151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1465A KR20210022255A (ko) 2019-08-20 2019-08-20 단거리 통신 기반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22255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32894A (ja) 2000-07-14 2002-01-31 Oki Electric Ind Co Ltd 情報提供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32894A (ja) 2000-07-14 2002-01-31 Oki Electric Ind Co Ltd 情報提供システ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041675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ordinating Transportation Service
US9928745B2 (en) System and method for pairing passengers and in-vehicle equipment
JP2018512680A (ja) 駐車場管理方法、携帯端末及び駐車場管理システム
CN101027671A (zh) 在网络环境中管理终端用户对收费进行批准的系统和方法
US20060242038A1 (en) Method for charging costs of enjoying contents transmitted over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preferably by the internet network, and related system
US7640190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ansaction and information management
US2008006548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coupon program
US20230245242A1 (en) Multicomputer processing of user data with centralized event control
KR20000049752A (ko) 웹캐스팅을 이용한 지하철 실시간 정보 서비스 시스템 및방법
KR20210022255A (ko) 단거리 통신 기반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US20210326941A1 (en) Platform for self-governed and self-organized groups of service providers that are discoverable by geo-location
KR20190046602A (ko) 적립금 사용 중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서버 및 단말
Phillips Texas 9-1-1: Emergency telecommunications and the genesis of surveillance infrastructure
CA2917988A1 (en) Shared video vendor
JP2013152598A (ja) 物件情報マッチングシステム
KR20150059418A (ko) Did를 통해 기부정보를 관리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844183B1 (ko) 다중 광고 영역의 재임대가 가능한 다중 광고 시스템
KR20090073424A (ko) 숙박 업소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079707A (ko) 광고효율을 높이기 위한 효과적인 사용자 리워드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60999A (ko) 교통사고 정보 송수신 장치, 교통사고 정보 관리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WO2022209484A1 (ja) 広告配信システム及び広告配信方法
CN108416942A (zh) 停车电子收费系统及方法
KR20090093428A (ko) 전문정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20095070A (ko) 통합기부시스템
KR20090080930A (ko) 인구동선 분석을 통한 점포실적 예측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