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2097A - 구성 방법 및 기기 - Google Patents

구성 방법 및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2097A
KR20210022097A KR1020217001957A KR20217001957A KR20210022097A KR 20210022097 A KR20210022097 A KR 20210022097A KR 1020217001957 A KR1020217001957 A KR 1020217001957A KR 20217001957 A KR20217001957 A KR 20217001957A KR 20210022097 A KR20210022097 A KR 202100220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device
parameter
power saving
network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19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02230B1 (ko
Inventor
다지에 지앙
펭 순
슈에밍 판
Original Assignee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to KR10202270171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2686B1/ko
Publication of KR202100220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20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22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22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86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95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be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21Feedback content
    • H04B7/0626Channel coefficients, e.g. channel state information [CS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86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91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subgroups of transmit antennas
    • H04B7/0693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subgroups of transmit antennas switching off a diversity branch, e.g. to save pow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04B7/0868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combining
    • H04B7/0874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combining using subgroups of receive antennas
    • H04B7/0877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combining using subgroups of receive antennas switching off a diversity branch, e.g. to save pow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04B7/0868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combining
    • H04B7/088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combining using be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607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04W52/0216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using a pre-established activity schedule, e.g. traffic indication fra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2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 wanted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04W52/0274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switching on or off the equipment or parts thereof
    • H04W52/028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switching on or off the equipment or parts thereof switching on or off only a part of the equipment circuit bloc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7Transitions betwe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st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8Discontinuous transmission [DTX]; Discontinuous reception [DRX]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 H04W8/245Transfer of terminal data from a network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 H04L1/1854Scheduling and prioritis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6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ansmitter end
    • H04L1/1887Scheduling and prioritising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실시예는 구성 방법 및 기기를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네트워크 측 기기로 제1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메시지는 상기 단말 기기의 절전 모드 또는 절전 레벨을 명시 또는 암시적으로 지시함 -;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로부터 상기 제1 메시지의 제1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피드백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단말 기기의 전력 소모와 관련된 하나 또는 복수개의 제1 파라미터의 값을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구성 방법 및 기기
[관련 출원에 대한 참조]
본 출원은 2018년 7월 11일 중국 특허청에 제출한, 출원번호 제 201810757947.5호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전체 내용을 참조로서 본 출원에 원용한다.
[기술분야]
본 개시는 통신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구성 방법 및 기기에 관한 것이다.
엔알(New Radio, NR) 버전 15(release 15, R15) 표준에서 단말 기기(예컨대 사용자 기기(User Equipment, UE))의 절전과 관련한 파라미터를 규정하였다. 절전 관련 파라미터의 값은 단말 기기의 상이한 전력 소모를 초래한다.
관련 기술 중의 파라미터 구성 방식은, 기지국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절전 관련 파라미터를 단말 기기에 구성할 수 있다. 하지만 절전 관련 파라미터가 비교적 많기에, 단시간 내에 이들 파라미터를 전부 구성하는 것은 높은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초래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구성 방법 및 기기를 제공하여, 단말 기기의 절전 관련 파라미터를 구성할 때 오버헤드가 비교적 큰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제1 측면에 있어서, 단말 기기에 응용되는 구성 방법을 제공하고, 상기 방법은,
네트워크 측 기기로 제1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메시지는 상기 단말 기기의 절전 모드 또는 절전 레벨을 명시 또는 암시적으로 지시함 -;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로부터 상기 제1 메시지의 제1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피드백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단말 기기의 전력 소모와 관련된 하나 또는 복수개의 제1 파라미터의 값을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제2 측면에 있어서, 네트워크 측 기기에 응용되는 구성 방법을 제공하고, 상기 방법은,
단말 기기로부터 제1 메시지를 수신 하는 단계 - 상기 제1 메시지는 상기 단말 기기의 절전 모드 또는 절전 레벨을 명시 또는 암시적으로 지시함 -;
상기 단말 기기로 상기 제1 메시지의 제1 피드백 메시지를 송신하여, 단말 기기로 하여금 상기 제1 피드백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단말 기기의 전력 소모와 관련된 하나 또는 복수개의 제1 파라미터의 값을 설정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제3 측면에 있어서, 단말 기기에 응용되는 구성 방법을 제공하고, 상기 방법은,
네트워크 측 기기로부터 상기 단말 기기의 절전 모드 또는 절전 레벨의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구성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단말 기기의 절전 모드 또는 절전 레벨에 대응되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제6 파라미터의 값을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제4 측면에 있어서, 네트워크 측 기기에 응용되는 구성 방법을 제공하고, 상기 방법은,
단말 기기로 상기 단말 기기의 절전 모드 또는 절전 레벨의 구성 정보를 송신하여, 단말 기기로 하여금 상기 구성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단말 기기의 절전 모드 또는 절전 레벨의 하나 또는 복수개의 제6 파라미터의 값을 설정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5 측면에 있어서, 단말 기기에 응용되는 구성 방법을 제공하고, 상기 방법은,
네트워크 측 기기로 제2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제2 메시지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제10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0 파라미터는 상기 단말 기기가 동시에 처리한 CSI 리포트의 수량, 상기 단말 기기가 동시에 처리한 빔 관리 리포트의 수량, 상기 단말 기기가 동시에 수신하거나 또는 처리한 측정 자원의 수량, CSI 리포트 관련의 딜레이 및 빔 관리 리포트 관련의 딜레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로부터 상기 제2 메시지의 제2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피드백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10 파라미터의 값을 설정하거나; 또는 상기 제2 피드백 정보에 근거하여 신호 처리를 진행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제6 측면에 있어서, 네트워크 측 기기에 응용되는 구성 방법을 제공하고, 상기 방법은,
단말 기기로부터 제2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2 메시지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제10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상기 각 제10 파라미터는 상기 단말 기기가 동시에 처리한 CSI 리포트의 수량, 상기 단말 기기가 동시에 처리한 빔 관리 리포트의 수량, 상기 단말 기기가 동시에 수신하거나 또는 처리한 측정 자원의 수량, CSI 리포트 관련의 딜레이 및 빔 관리 리포트 관련의 딜레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 및
상기 단말 기기로 상기 제2 메시지의 제2 피드백 정보를 송신하여, 상기 단말 기기로 하여금 상기 제2 피드백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10 파라미터의 값을 설정하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제2 피드백 정보에 근거하여 신호 처리를 진행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7 측면에 있어서, 단말 기기를 제공하고, 상기 단말 기기는,
네트워크 측 기기로 제1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제1 송신 모듈 - 상기 제1 메시지는 상기 단말 기기의 절전 모드 또는 절전 레벨을 명시 또는 암시적으로 지시함 -;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로부터 상기 제1 메시지의 제1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제1 수신 모듈; 및
상기 제1 피드백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단말 기기의 전력 소모와 관련된 하나 또는 복수개의 제1 파라미터의 값을 설정하기 위한 제1 처리 모듈; 을 포함한다.
제8 측면에 있어서, 네트워크 측 기기를 제공하고,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는,
단말 기기로부터 제1 메시지를 수신 하기 위한 제2 수신 모듈 - 상기 제1 메시지는 상기 단말 기기의 절전 모드 또는 절전 레벨을 명시 또는 암시적으로 지시함 -;
상기 단말 기기로 상기 제1 메시지의 제1 피드백 메시지를 송신하여, 단말 기기로 하여금 상기 제1 피드백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단말 기기의 전력 소모와 관련된 하나 또는 복수개의 제1 파라미터의 값을 설정하도록 하기 위한 제2 송신 모듈; 을 포함한다.
제9 측면에 있어서, 단말 기기를 제공하고, 상기 단말 기기는,
네트워크 측 기기로부터 상기 단말 기기의 절전 모드 또는 절전 레벨의 구성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제3 수신 모듈; 및
상기 구성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단말 기기의 절전 모드 또는 절전 레벨에 대응되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제6 파라미터의 값을 설정하기 위한 제2 처리 모듈; 을 포함한다.
제10 측면에 있어서, 네트워크 측 기기를 제공하고,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는,
단말 기기로 상기 단말 기기의 절전 모드 또는 절전 레벨의 구성 정보를 송신하여, 단말 기기로 하여금 상기 구성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단말 기기의 절전 모드 또는 절전 레벨의 하나 또는 복수개의 제6 파라미터의 값을 설정하도록 하기 위한 제3 송신 모듈을 포함한다.
제11 측면에 있어서, 단말 기기를 제공하고, 상기 단말 기기는,
네트워크 측 기기로 제2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제4 송신 모듈 - 상기 제2 메시지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제10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0 파라미터는 상기 단말 기기가 동시에 처리한 CSI 리포트의 수량, 상기 단말 기기가 동시에 처리한 빔 관리 리포트의 수량, 상기 단말 기기가 동시에 수신하거나 또는 처리한 측정 자원의 수량, CSI 리포트 관련 딜레이 및 빔 관리 리포트 관련 딜레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로부터 상기 제2 메시지의 제2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제4 수신 모듈; 및
상기 제2 피드백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10 파라미터의 값을 설정하거나; 또는 상기 제2 피드백 정보에 근거하여 신호 처리를 진행하기 위한 제3 처리 모듈; 을 포함한다.
제12 측면에 있어서, 네트워크 측 기기를 제공하고,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는,
단말 기기로부터 제2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제5 수신 모듈 - 상기 제2 메시지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제10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상기 각 제10 파라미터는 상기 단말 기기가 동시에 처리한 CSI 리포트의 수량, 상기 단말 기기가 동시에 처리한 빔 관리 리포트의 수량, 상기 단말 기기가 동시에 수신하거나 또는 처리한 측정 자원의 수량, CSI 리포트 관련 딜레이 및 빔 관리 리포트 관련 딜레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 및
상기 단말 기기로 상기 제2 메시지의 제2 피드백 정보를 송신하여, 상기 단말 기기로 하여금 상기 제2 피드백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10 파라미터의 값을 설정하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제2 피드백 정보에 근거하여 신호 처리를 진행하도록 하기 위한 제5 송신 모듈을 포함한다.
제13 측면에 있어서, 단말 기기를 제공하고, 상기 단말 기기는, 프로세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1 측면 또는 제3 측면 또는 제5 측면에 따른 구성 방법에서의 단계를 구현한다.
제14 측면에 있어서, 네트워크 측 기기를 제공하고,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는, 프로세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2 측면 또는 제4 측면 또는 제6 측면에 따른 구성 방법에서의 단계를 구현한다.
제15 측면에 있어서, 네트워크 측 기기를 제공하고,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는,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1 측면 내지 제6 측면에 따른 구성 방법에서의 단계를 구현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측 기기는 단말 기기에 상이한 절전 모드 또는 절전 레벨을 구성한다. 예컨대 단말 기기에 상이한 절전 모드 또는 절전 레벨을 구성하여, 단말 기기가 구성한 절전 모드 또는 절전 레벨에 근거하여 해당 절전 모드 또는 절전 레벨에 대응되는 파라미터(해당 파라미터는 절전 관련 파라미터로도 칭함)와 해당 파라미터의 값을 확정할 있어서, 구성 과정 중의 시그널링 전송 오버헤드를 절약할 수 있고, 처리 딜레이를 낮출 수 있다. 또한, 단말 기기는 해당 단말 기기의 전력 소모 정보에 근거하여 네트워크 측 기기로 절전 모드 또는 절전 레벨을 리포팅할 수 있기에, 단말 기기의 절전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이하 선택가능한 실시형태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당업자는 다양한 장점 및 이점을 알 수 있고, 도면은 단지 선택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개시를 제한하는 것으로 간주하여서는 안 된다. 또한, 전체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품을 표시한다.
도 1은 본 개시 실시예에서 제공한 무선 통신 시스템의 아키텍처도이다.
도 2는 본 개시 실시예에서 제공한 구성 방법의 첫번째 플로우차트이다.
도 3은 본 개시 실시예에서 제공한 구성 방법의 두번째 플로우차트이다.
도 4는 본 개시 실시예에서 제공한 구성 방법의 세번째 플로우차트이다.
도 5는 본 개시 실시예에서 제공한 구성 방법의 네번째 플로우차트이다.
도 6은 본 개시 실시예에서 제공한 구성 방법의 다섯번째 플로우차트이다.
도 7은 본 개시 실시예에서 제공한 구성 방법의 여섯번째 플로우차트이다.
도 8은 본 개시 실시예에서 제공한 단말 기기의 첫번째 구조도이다.
도 9는 본 개시 실시예에서 제공한 네트워크 측 기기의 첫번째 구조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 실시예에서 제공한 단말 기기의 두번째 구조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 실시예에서 제공한 네트워크 측 기기의 두번째 구조도이다.
도 12는 본 개시 실시예에서 제공한 단말 기기의 세번째 구조도이다.
도 13은 본 개시 실시예에서 제공한 네트워크 측 기기의 세번째 구조도이다.
도 14는 본 개시 실시예에서 제공한 단말 기기의 네번째 구조도이다.
도 15는 본 개시 실시예에서 제공한 네트워크 측 기기의 네번째 구조도이다.
이하,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의 도면을 결부시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방안을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일 뿐, 전부의 실시예가 아님은 자명한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토대로,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이 창조적 노동을 하지 않는다는 전제하에 얻어지는 모든 기타 실시예들은 모두 본 개시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포함", 또는 기타 임의의 변체는 비배타적인 포함을 포괄하며, 예컨대, 일련의 단계 또는 유닛을 포함하는 과정, 방법, 시스템, 물품 또는 기기는, 명시적으로 열거한 그런 단계 및 유닛에만 한정될 것이 아니라, 명시적으로 열거되지 않거나 또는 이러한 과정, 방법, 물품 또는 기기에 고유한 기타 단계 또는 유닛을 더 포함하도록 할 것을 의도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및/또는" 은 연결 대상의 적어도 하나임을 나타내며, 예컨대 "A 및/또는 B"는 개별 A, 개별 B , 및 A와 B가 공존하는 세가지 경우를 포함한다.
본 개시 실시예에서, "예컨대" 또는 "예를 들어" 등 용어는 예시 또는 설명을 표시한다. 본 개시 실시예에서 기재한 "예컨대" 또는 "예를 들어"로 설명한 임의의 실시예 또는 실시방안은 기타 실시예 또는 실시방안보다 더 바람직하거나 장점을 더 가진다고 이해하여서는 않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예컨대" 또는 "예를 들어" 등 용어를 사용하는 것은 구체적인 방식으로 관련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 방안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하여, 우선 이하 기술 포인트에 대하여 설명한다.
1. 크로스 슬롯 스케줄링(cross-slot scheduling)에 대하여
NR R15 표준은 크로스 슬롯 스케줄링을 지원한다. 크로스 슬롯 스케줄링의 원리는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과 PDCCH가 스케줄링한 물리 다운링크 공유 채널(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DSCH) 또는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 간에는 N개의 슬롯(slot)을 간격두고 있다. 여기서 PDSCH는 K0개의 슬롯을 구성할 수 있고, PUSCH는 K2개의 슬롯을 구성할 수 있으며, K0과 K2는 기지국에서 구성한 것이고, 다운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를 통해 지시하며, K0은 PDCCH와 PDCCH가 스케줄링한 PDSCH 간의 시간 간격이고, K2는 PDCCH와 PDCCH가 스케줄링한 PUSCH 간의 시간 간격이다.
PDSCH의 크로스 슬롯 스케줄링의 장점은, UE가 PDSCH 데이터를 미리 캐시할 필요가 없고, UE는 PDCCH 디코딩 후에 PDCCH의 지시에 따라 PDSCH 데이터를 수신하며, UE는 선택적으로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RF) 및 베이스밴드(Base Band, BB) 모듈을 각각 온 또는 오프할 수 있기에 절전의 효과를 이룰 수 있다.
2. UE의 PDSCH 처리 딜레이에 대하여
NR은 상이한 PDSCH 처리 딜레이(N1)를 구비한 두가지 UE 능력을 지원하고, 즉 PDSCH 처리 능력 1 및 PDSCH 처리 능력 2이며, 각각 UE processing capability 1 및 UE processing capability 2에 대응된다. PDSCH 처리 능력 1은 기본 UE 능력에 속하고, PDSCH 처리 능력 2의 UE는 PDSCH 처리 딜레이가 더 짧다.
3. UE의 PUSCH 준비 딜레이에 대하여
NR은 상이한 PUSCH 준비 딜레이(N2)를 구비한 두가지 UE 능력을 지원하고, 즉 PUSCH 딜레이 능력 1 및 PUSCH 딜렝 능력 2이며, 각각 UE processing capability 1 및 UE processing capability 2에 대응된다. PUSCH 딜레이 능력 1은 기본 UE 능력에 속하고, PUSCH 딜레이 능력 2의 UE는 PUSCH 준비 딜레이가 더 짧다.
이하 도면을 결부시켜 본 개시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개시 실시예에서 제공한 구성 방법 및 기기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응용될 수 있다. 해당 무선 통신 시스템은 5G 시스템, 또는 이엘티이(Evolved Long Term Evolution, eLTE) 시스템, 또는 후속의 진화된 통신 시스템을 채용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개시 실시예에서 제공한 무선 통신 시스템의 아키텍처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무선 통신 시스템은 네트워크 측 기기(10) 및 단말 기기를 포함하며 예컨대 단말 기기를 UE(11)로 표시할 수 있고, UE(11)는 네트워크 측 기기(10)와 통신(시그널링 전송 또는 데이터 전송)할 수 있다. 실제 응용에서 상기 각 기기 간의 접속은 무선 접속일 수 있고, 각 기기간의 접속 관계를 직관적으로 표시하기 위해 도 1에서는 실선을 사용한다.
선명해야 할 것은, 상기 통신 시스템은 복수개의 UE(11)를 포함할 수 있고, 네트워크 측 기기(10)은 복수개의 UE(11)과 통신할 수 있다.
본 개시 실시예에서 제공한 네트워크 측 기기(10)은 기지국일 수 있고, 해당 기지국은 일반적으로 사용한 기지국일 수 있고, 진화형 기지국(evolved node base station, eNB)일 수도 있으며, 5G 시스템 중의 네트워크 측 기기(예컨대 차세대 기지국(next generation node base station, gNB) 또는 송신 및 수신 포인트(transmission and reception point, TRP)) 등 기기일 수도 있다.
본 개시 실시예에서 제공한 단말 기기는 모바일, 태블랫 컴퓨터, 노트북, 울트라 이동 개인 컴퓨터(Ultra-Mobile Personal Computer, UMPC), 네트워크 컴퓨터 또는 개인 디지털 보조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등일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개시 실시예에서 구성 방법을 제공하였으며, 해당 방법의 주체는 예컨대 UE와 같은 단말 기기이며, 구체적으로 단계 201, 단계 202 및 단계 203을 포함한다.
단계 201: 네트워크 측 기기로 제1 메시지를 송신하며, 상기 제1 메시지는 상기 단말 기기의 절전 모드 또는 절전 레벨을 명시 또는 암시적으로 지시한다.
선택적으로, 단계 201에서, 단말 기기는 해당 단말 기기의 전력 소모 정보에 근거하여 네트워크 측 기기로 제1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으며, 해당 단말 기기의 전력 소모 정보는 해당 단말 기기의 절전 수요를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해당 단말 기기의 전력 소모 정보는 해당 단말 기기의 잔여 전력일 수 있거나, 해당 단말 기기가 너무 뜨거운 것인지 여부, 또는 해당 단말 기기의 센서가 측정한 온도 등 정보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절전 모드(power saving mode)는 절전 모드 1, 절전 모드 2, 절전 모드 3, 절전 모드 4, …… 등을 포함할 수 있고, 각 절전 모드에 대응되는 파라미터와 해당 파라미터의 값은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다. 이해해야 할 것은, 본 개시 실시예에서는 절전 모드에 대응되는 파라미터 및 해당 파라미터의 값에 대하여 구체적인 한정을 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절전 레벨(power saving level)은 절전 레벨 1, 절전 레벨 2, 절전 레벨 3, 절전 레벨 4, …… 등을 포함할 수 있고, 각 절전 레벨에 대응되는 파라미터와 해당 파라미터의 값은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다. 이해해야 할 것은, 본 개시 실시예에서는 절전 레벨에 대응되는 파라미터 및 해당 파라미터의 값에 대하여 구체적인 한정을 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제1 메시지는 단말 기기의 전력 소모 정보, 예컨대 해당 단말 기기의 잔여 전력, 또는 해당 단말 기기가 너무 뜨거운 것인지 여부, 또는 해당 단말 기기의 센서가 측정한 온도 등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202: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로부터 상기 제1 메시지의 제1 피드백 정보를 수신한다.
선택적으로, 제1 피드백 정보는 상기 제1 메시지의 긍정 응답(Acknowledgement, ACK) 또는 부정 응답(Negative Acknowledgment, NACK);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에 구성한 절전 모드 또는 절전 레벨의 식별자; 및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에 구성한 하나 또는 복수개의 제2 파라미터 및 각 제2 파라미터의 값; 중 한 항 또는 복수 항을 포함하고, 해당 제2 파라미터는 단말 기기의 전력 소모와 관련된다.
이해해야 할 것은, 제1 피드백 정보를 통해 피드백한 네트워크 측 기기가 단말 기기에 구성한 절전 모드 또는 절전 레벨은, 제1 메시지에서 명시 또는 암시적으로 지시한 단말 기기의 절전 모드 또느 절전 레벨과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메시지가 명시 또는 암식적으로 지시한 단말 기기의 절전 모드 또는 절전 레벨이 절전 모드 1 또는 절전 레벨 1이고, 제1 피드백 정보를 통해 피드백한 네트워크 측 기기가 단말 기기에 구성한 절전 모드 또는 절전 레벨이 절전 모드 2 또는 절전 레벨 2이며, 절전 모드 2 또는 절전 레벨 2가 단말 기기의 절전 수요에 더 부합되며, 단말 기기의 절전에 유리할 수 있다.
단계 203: 상기 제1 피드백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단말 기기의 전력 소모와 관련된 하나 또는 복수개의 제1 파라미터의 값을 설정한다.
이해해야 할 것은, 제1 파라미터는 단말 기기의 전력 소모를 제어하는데 사용되는 절전 관련 파라미터일 수 있으며, 이에 대하여 한정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본 개시 실시예의 제1 메시지는 이하 임의의 포맷일 수 있다.
1) 제1 메시지는 하나의 제1 필드를 포함하고, 제1 필드의 값은, 하나 또는 복수개의 제3 파라미터의 값에 대응되고, 해당 제3 파라미터는 단말 기기의 전력 소모를 제어하는 관련 파라미터, 즉 제3 파라미터는 단말 기기의 전력 소모와 관련된다. 제3 파라미터에 관한 설명은 제1 파라미터의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 더 이상 기술하지 않는다.
예컨대, 제1 메시지가 2비트(bit)이고, 함의는 표 2와 같다.
Figure pct00001
표 2에서 제3 파라미터는 파라미터 A, 파라미터 B, 파라미터 C 및 파라미터 A의 값, 파라미터 B의 값, 파라미터 C의 값을 포함하고, 여기서 파라미터 A, 파라미터 B, 파라미터 C는 단말 기기의 전력 소모와 관련된다.선택적으로, 제3 파라미터 및 제3 파라미터의 값은 네트워크 측 기기가 구성한 것이거나 또는 프로토콜에서 약정한 것이다.
2) 제1 메시지는 하나의 제2 필드를 포함하고, 제2 필드의 값은, 일종의 절전 모드 또는 절전 레벨의 하나 또는 복수개의 제4 파라미터의 값에 대응된다. 선택적으로, 제4 파라미터 및 제4 파라미터의 값은 네트워크 측 기기가 구성한 것이거나 또는 프로토콜에서 약정한 것이다. 제4 파라미터에 관한 설명은 제1 파라미터의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 더 이상 기술하지 않는다.
예컨대, 제1 메시지가 2비트(bit)이고, 함의는 표 3과 같다.
Figure pct00002
표 3에서 네가지 절전 모드 또는 절전 레벨을 예시하였으며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제4 파라미터는 파라미터 A, 파라미터 B, 파라미터 C 및 파라미터 A의 값, 파라미터 B의 값, 파라미터 C의 값을 포함한다.이해해야 할 것은, 각 절전 모드 또는 절전 레벨에 대응되는 파라미터의 값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예컨대 표 3에서 절전 모드(또는 절전 레벨) 3의 파라미터 A의 값은 절전 모드(또는 절전 레벨) 4의 파라미터 A의 값과 동일하고; 절전 모드(또는 절전 레벨) 2의 파라미터 B의 값은 절전 모드(또는 절전 레벨) 3 및 절전 모드(또는 절전 레벨) 4의 파라미터 B의 값과 동일하다.
3) 제1 메시지는 하나의 제3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3 필드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제1 비트 스트링스를 포함하며, 상기 각 제1 비트 스트링스의 값은, 하나의 제5 파라미터의 값에 대응되고, 상기 제5 파라미터는 상기 단말 기기의 전력 소모와 관련된다. 제5 파라미터에 관한 설명은 제1 파라미터의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 더 이상 기술하지 않는다.
예컨대, 제1 메시지는 이하 필드를 포함할 수 있고, 해당 필드는 총 12 bit(4bit + 5bit + 3bit)이며, 함의는 표 4와 같다.
Figure pct00003
선택적으로, 제5 파라미터 및 제5 파라미터의 값은 네트워크 측 기기가 구성한 것이거나 또는 프로토콜에서 약정한 것이다.이해해야 할 것은, 제1 파라미터, 제2 파라미터, 제3 파라미터, 제4 파라미터 및 제5 파라미터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파라미터, 제2 파라미터, 제3 파라미터, 제4 파라미터 또는 제5 파라미터는,
상기 단말 기기의 송신 안테나 또는 송신 채널의 수량;
상기 단말 기기의 수신 안테나 또는 수신 채널의 수량;
동시에 활성화한 업링크 컴포넌트 캐리어(Component Carrier, CC)의 수량;
동시에 활성화한 다운링크 컴포넌트 캐리어의 수량;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와 상기 PDCCH가 스케줄링한 물리 다운링크 공유 채널(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DSCH) 간의 시간 간격, 예컨대 파라미터 K0;
PDSCH와 대응하는 ACK 또는 NACK 간의 시간 간격, 예컨대 파라미터 K1;
PDCCH와 상기 PDCCH가 스케줄링한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 간의 시간 간격, 예컨대 파라미터 K2;
PDSCH 처리 딜레이, 예컨대 파라미터 N1;
PUSCH 준비 딜레이, 예컨대 파라미터 N2;
다운링크 멀티 입력 멀티 출력(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IMO) 레이어(layer) 수;
업링크 MIMO 레이어 수;
PDCCH 모니터링(monitoring) 주기;
PDCCH 모니터링 오프셋(offset);
PDCCH 모니터링 지속 시간(duration);
비연속 수신(Discontinuous Reception, DRX) 주기; 선택적으로 제1 파라미터, 제2 파라미터, 제3 파라미터, 제4 파라미터 또는 제5 파라미터는 기타 DRX 관련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에컨대 지속 시간 타이머(onDuration Timer) 파라미터, 비활성화 타이머(InactivityTimer) 파라미터, 장주기 관련 파라미터, 단주기 관련 파라미터 및 재전송 관련 파라미터 등일 수 있음;
대역폭 부분(Band Width Part, BWP)의 대역폭;
BWP의 식별자(Identity, ID);
듀어 접속(Dual Connectivity, DC);
비 듀어 접속(non-DC);
최대 업링크 전송 레이트;
최대 다운링크 전송 레이트;
상기 단말 기기가 동시에 처리한 채널 상태 정보(Channel State Information, CSI) 리포트(report)의 수량; 여기서 CSI 리포트는 채널 품질 지시(Channel Quality Indicator, CQI), 프리코딩 매트릭스 지시(precoding matrix indicator, PMI), 채널 상태 정보 기준 신호 자원 지시(CSI-RS(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 resource indicator, CRI), 동기화 신호/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 블록 자원 지시(Synchronization Signal/Physical Broadcast Channel Block Resource Indicator, SSBRI), 레이어 지시(Layer Indicator, LI), 랭크 지시(Rank Indicator, RI) 및/또는 레이어 1 기준 신호 수신 파워(Layer 1 Reference Signal Receiving Power, L1-RSRP) 등을 포함할 수 있음;
상기 단말 기기가 동시에 처리한 빔 관리 리포트(beam management report)의 수량; 여기서 빔 관리 리포트는 CRI, RSRP 및/또는 SSBRI 등을 포함할 수 있음;
상기 단말 기기가 동시에 수신하거나 또는 처리한 측정 자원의 수량; 여기서 측정 자원은 CSI-RS 자원, 동기화 신호/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 블록(Synchronization Signal/Physical Broadcast Channel Block, SSB) 자원 및 CSI-RS 자원과 SSB 자원 중의 적어도 하나일 수 있음;
CSI 리포트(CSI report) 관련의 딜레이; 해당 딜레이는, 단말 기기가 채널 상태 정보 기준 신호(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 CSI-RS) 리포트를 트리거하는 시그널링을 수신한 시각부터 대응되는 CSI 리포트가 위치한 시각 간의 딜레이, 및 단말 기기가 CSI-RS를 측정하는 시각부터 대응되는 CSI 리포트가 위치한 시각 간의 딜레이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및
빔 관리 리포트(beam management report) 관련의 딜레이; 해당 딜레이는 단말 기기가 빔 관리 리포트를 트리거하는 시그널링을 수신한 시각부터 대응되는 빔 관리 리포트가 위치한 시각 간의 딜레이, 및 단말 기기가 CSI-RS를 측정하는 시각부터 대응되는 빔 관리 리포트가 위치한 시각 간의 딜레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측 기기는 단말 기기에 상이한 절전 모드 또는 절전 레벨만 구성하면, 단말 기기는 구성한 절전 모드 또는 절전 레벨에 근거하여 해당 절전 모드 또는 절전 레벨에 대응되는 파라미터 및 해당 파라미터의 값을 확정할 수 있기에, 구성 과정 중의 시그널링 전송 오버헤드를 절약할 수 있고 처리 딜레이를 낮출 수 있다. 또한, 단말 기기는 해당 단말 기기의 전력 소모 정보에 근거하여 네트워크 측 기기로 절전 모드 또는 절전 레벨을 리포팅할 수 있기에, 단말 기기의 절전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개시 실시예에서 구성 방법을 더 제공하며, 해당 방법의 주체는 예컨대 기지국과 같은 네트워크 측 기기이며 구체적으로 이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301: 단말 기기로부터 제1 메시지를 수신하며, 상기 제1 메시지는 상기 단말 기기의 절전 모드 또는 절전 레벨을 명시 또는 암시적으로 지시한다.
단계 302: 상기 단말 기기로 상기 제1 메시지의 제1 피드백 메시지를 송신하여, 단말 기기로 하여금 상기 제1 피드백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단말 기기의 전력 소모와 관련된 하나 또는 복수개의 제1 파라미터의 값을 설정하도록 한다.
이해해야 할 것은, 도 3에서 도시한 실시예 중의 제1 메시지, 제1 피드백 정보, 제1 파라미터, 제2 파라미터, 제3 파라미터, 제4 파라미터 및 제5 파라미터의 설명은 도 2에서 도시한 실시예의 제1 메시지, 제1 피드백 정보, 제1 파라미터, 제2 파라미터, 제3 파라미터, 제4 파라미터 및 제5 파라미터의 설명과 동일하기에 여기서 더 이상 기술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측 기기는 단말 기기가 리포팅한 절전 모드 또는 절전 레벨에 근거하여, 단말 기기에 상이한 절전 모드 또는 절전 레벨을 구성할 수 있으며, 단말 기기는 구성한 절전 모드 또는 절전 레벨에 근거하여 해당 절전 모드 또는 절전 레벨에 대응되는 파라미터 및 해당 파라미터의 값을 확정할 수 있기에, 구성 과정 중의 시그널링 전송 오버헤드를 절약할 수 있고 처리 딜레이를 낮출 수 있으며, 단말 기기의 절전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개시 실시예에서 구성 방법을 더 제공하며, 해당 방법의 주체는 예컨대 UE과 같은 단말 기기이며 구체적으로 단계 401 및 단계 402를 포함한다.
단계 401: 네트워크 측 기기로부터 상기 단말 기기의 절전 모드 또는 절전 레벨의 구성 정보를 수신한다.
이해해야 할 것은, 해당 구성 정보는 단말 기기의 절전 모드 또는 절전 레벨을 명시 또는 암시적으로 지시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단말 기기는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시그널링, 매체 액세스 제어(Media Access Control, MAC) 시그널링 또는 PDCCH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단말 기기의 절전 모드 또는 절전 레벨의 구성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본 개시 실시예에서는 구성 정보의 리포팅 방식에 대하여 구체적인 한정을 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단계 401 중의 절전 모드의 구성 정보는 절전 모드 1, 절전 모드 2, 절전 모드 3, 절전 모드 4, …… 등 중 임의의 절전 모드의 식별자 또는 기타 정보일 수 있고, 각 절전 모드에 대응되는 파라미터와 해당 파라미터의 값은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다. 이해해야 할 것은, 본 개시 실시예에서는 절전 모드에 대응되는 파라미터 및 해당 파라미터의 값에 대하여 구체적인 한정을 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단계 401 중의 절전 레벨의 구성 정보는 절전 레벨 1, 절전 레벨 2, 절전 레벨 3, 절전 레벨 4, …… 등 중 임의의 절전 레벨의 식별자 또는 기타 정보일 수 있고, 각 절전 레벨에 대응되는 파라미터와 해당 파라미터의 값은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다. 이해해야 할 것은, 본 개시 실시예에서는 절전 레벨에 대응되는 파라미터 및 해당 파라미터의 값에 대하여 구체적인 한정을 하지 않는다.
단계 402: 상기 구성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단말 기기의 절전 모드 또는 절전 레벨에 대응되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제6 파라미터의 값을 설정한다.
선택적으로, 구성 정보는 하나의 제4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4 필드의 값은, 하나 또는 복수개의 제7 파라미터의 값에 대응되고, 상기 제7 파라미터는 상기 단말 기기의 전력 소모와 관련된다.
예컨대, 구성 정보가 2비트(bit)이고, 함의는 표 5와 같다.
Figure pct00004
표 5에서 제7 파라미터는 파라미터 A, 파라미터 B, 파라미터 C 및 파라미터 A의 값, 파라미터 B의 값, 파라미터 C의 값을 포함하고, 여기서 파라미터 A, 파라미터 B, 파라미터 C는 단말 기기의 전력 소모와 관련된다. 이해해야 할 것은, 제7 파라미터 및 제7 파라미터의 값은 네트워크 측 기기가 구성한 것이거나 또는 프로토콜에서 약정한 것이다.선택적으로, 구성 정보는 하나의 제5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5 필드의 값은, 일종의 절전 모드 또는 절전 레벨의 하나 또는 복수개의 제8 파라미터의 값에 대응된다.
예컨대, 구성 정보가 2비트(bit)이고, 함의는 표 6과 같다.
Figure pct00005
표 6에서 네가지 절전 모드 또는 절전 레벨을 예시하였으며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제8 파라미터는 파라미터 A, 파라미터 B, 파라미터 C 및 파라미터 A의 값, 파라미터 B의 값, 파라미터 C의 값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제8 파라미터 및 제8 파라미터의 값은 네트워크 측 기기가 구성한 것이거나 또는 프로토콜에서 약정한 것이다.이해해야 할 것은, 각 절전 모드 또는 절전 레벨에 대응되는 파라미터의 값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예컨대 표 6에서 절전 모드(또는 절전 레벨) 3의 파라미터 A의 값은 절전 모드(또는 절전 레벨) 4의 파라미터 A의 값과 동일하고; 절전 모드(또는 절전 레벨) 2의 파라미터 B의 값은 절전 모드(또는 절전 레벨) 3 및 절전 모드(또는 절전 레벨) 4의 파라미터 B의 값과 동일하다.
선택적으로, 구성 정보는 하나의 제6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6 필드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제2 비트 스트링스를 포함하며, 상기 각 제2 비트 스트링스의 값은, 제9 파라미터의 값에 대응되고, 상기 제9 파라미터는 상기 단말 기기의 전력 소모와 관련된다. 선택적으로, 제9 파라미터 및 제9 파라미터의 값은 네트워크 측 기기가 구성한 것이거나 또는 프로토콜에서 약정한 것이다.
예컨대, 구성 정보는 이하 필드를 포함할 수 있고, 해당 필드는 총 12 bit(4bit + 5bit + 3bit)이며, 함의는 표 7와 같다.
Figure pct00006
이해해야 할 것은, 제6 파라미터, 제7 파라미터, 제8 파라미터 및 제9 파라미터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선택적으로, 제6 파라미터, 제7 파라미터, 제8 파라미터 또는 제9 파라미터는,
상기 단말 기기의 송신 안테나 또는 송신 채널의 수량;
상기 단말 기기의 수신 안테나 또는 수신 채널의 수량;
동시에 활성화한 업링크 컴포넌트 캐리어(Component Carrier, CC)의 수량;
동시에 활성화한 다운링크 컴포넌트 캐리어의 수량;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와 상기 PDCCH가 스케줄링한 물리 다운링크 공유 채널(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DSCH) 간의 시간 간격, 예컨대 파라미터 K0;
PDSCH와 대응하는 ACK 또는 NACK 간의 시간 간격, 예컨대 파라미터 K1;
PDCCH와 상기 PDCCH가 스케줄링한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 간의 시간 간격, 예컨대 파라미터 K2;
PDSCH 처리 딜레이, 예컨대 파라미터 N1;
PUSCH 준비 딜레이, 예컨대 파라미터 N2;
다운링크 멀티 입력 멀티 출력(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IMO) 레이어(layer) 수;
업링크 MIMO 레이어 수;
PDCCH 모니터링(monitoring) 주기;
PDCCH 모니터링 오프셋(offset);
PDCCH 모니터링 지속 시간(duration);
비연속 수신(Discontinuous Reception, DRX) 주기; 선택적으로 제1 파라미터, 제2 파라미터, 제3 파라미터, 제4 파라미터 또는 제5 파라미터는 기타 DRX 관련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에컨대 지속 시간 타이머(onDuration Timer) 파라미터, 비활성화 타이머(InactivityTimer) 파라미터, 장주기 관련 파라미터, 단주기 관련 파라미터 및 재전송 관련 파라미터 등일 수 있음;
대역폭 부분(Band Width Part, BWP)의 대역폭;
BWP의 식별자(Identity, ID);
듀어 접속(Dual Connectivity, DC);
비 듀어 접속(non-DC);
최대 업링크 전송 레이트;
최대 다운링크 전송 레이트;
상기 단말 기기가 동시에 처리한 채널 상태 정보(Channel State Information, CSI) 리포트(report)의 수량; 여기서 CSI 리포트는 채널 품질 지시(Channel Quality Indicator, CQI), 프리코딩 매트릭스 지시(precoding matrix indicator, PMI), 채널 상태 정보 기준 신호 자원 지시(CSI-RS(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 resource indicator, CRI), 동기화 신호/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 블록 자원 지시(Synchronization Signal/Physical Broadcast Channel Block Resource Indicator, SSBRI), 레이어 지시(Layer Indicator, LI), 랭크 지시(Rank Indicator, RI) 및/또는 레이어 1 기준 신호 수신 파워(Layer 1 Reference Signal Receiving Power, L1-RSRP) 등을 포함할 수 있음;
상기 단말 기기가 동시에 처리한 빔 관리 리포트(beam management report)의 수량; 여기서 빔 관리 리포트는 CRI, RSRP 및/또는 SSBRI 등을 포함할 수 있음;
상기 단말 기기가 동시에 수신하거나 또는 처리한 측정 자원의 수량; 여기서 측정 자원은 CSI-RS 자원, 동기화 신호/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 블록(Synchronization Signal/Physical Broadcast Channel Block, SSB) 자원 및 CSI-RS 자원과 SSB 자원 중의 적어도 하나일 수 있음;
CSI 리포트(CSI report) 관련의 딜레이; 해당 딜레이는, 단말 기기가 채널 상태 정보 기준 신호(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 CSI-RS) 리포트를 트리거하는 시그널링을 수신한 시각부터 대응되는 CSI 리포트가 위치한 시각 간의 딜레이, 및 단말 기기가 CSI-RS를 측정하는 시각부터 대응되는 CSI 리포트가 위치한 시각 간의 딜레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및
빔 관리 리포트(beam management report) 관련의 딜레이; 해당 딜레이는 단말 기기가 빔 관리 리포트를 트리거하는 시그널링을 수신한 시각부터 대응되는 빔 관리 리포트가 위치한 시각 간의 딜레이, 및 단말 기기가 CSI-RS를 측정하는 시각부터 대응되는 빔 관리 리포트가 위치한 시각 간의 딜레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측 기기는 단말 기기에 상이한 절전 모드 또는 절전 레벨만 구성하면, 단말 기기는 구성한 절전 모드 또는 절전 레벨에 근거하여 해당 절전 모드 또는 절전 레벨에 대응되는 파라미터 및 해당 파라미터의 값을 확정할 수 있기에, 구성 과정 중의 시그널링 전송 오버헤드를 절약할 수 있고 처리 딜레이를 낮출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개시 실시예에서 구성 방법을 더 제공하며, 해당 방법의 주체는 네트워크 측 기기이며 구체적으로 이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501: 단말 기기로 상기 단말 기기의 절전 모드(power saving mode) 또는 절전 레벨(power saving level)의 구성 정보를 송신하여, 단말 기기로 하여금 상기 구성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단말 기기의 절전 모드 또는 절전 레벨의 하나 또는 복수개의 제6 파라미터의 값을 설정하도록 한다.
이해해야 할 것은, 도 5에서 도시한 실시예 중의 절전 모드 또는 절전 레벨의 구성 정보는 도 4에서 도시한 실시예 중의 절전 모드 또는 절전 레벨의 구성 정보를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 더 이상 기술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네트워크 측 기기는 RRC 시그널링, MAC 시그널링 또는 PDCCH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단말 기기의 절전 모드 또는 절전 레벨의 구성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물론, 본 개시 실시예에서는 구성 정보의 송신 방식에 대하여 구체적인 한정을 하지 않는다.
이해해야 할 것은, 도 5에서 도시한 실시예 중의 제6 파라미터, 제7 파라미터, 제8 파라미터 및 제9 파라미터의 설명은 도 4에서 도시한 실시예의 제6 파라미터, 제7 파라미터, 제8 파라미터 및 제9 파라미터의 설명과 동일하기에 여기서 더 이상 기술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측 기기는 단말 기기에 상이한 절전 모드 또는 절전 레벨만 구성하면, 단말 기기는 구성한 절전 모드 또는 절전 레벨에 근거하여 해당 절전 모드 또는 절전 레벨에 대응되는 파라미터 및 해당 파라미터의 값을 확정할 수 있기에, 구성 과정 중의 시그널링 전송 오버헤드를 절약할 수 있고 처리 딜레이를 낮출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개시 실시예에서 구성 방법을 더 제공하며, 해당 방법의 주체는 예컨대 UE과 같은 단말 기기이며 구체적으로 단계 601, 단계 602 및 단계 603을 포함한다.
단계 601: 네트워크 측 기기로 제2 메시지를 송신하며, 상기 제2 메시지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제10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0 파라미터는 상기 단말 기기가 동시에 처리한 CSI 리포트(CSI report)의 수량, 상기 단말 기기가 동시에 처리한 빔 관리 리포트(beam management report)의 수량, 상기 단말 기기가 동시에 수신하거나 또는 처리한 측정 자원의 수량, CSI 리포트(CSI report) 관련의 딜레이 및 빔 관리 리포트(beam management report) 관련의 딜레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단계 602: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로부터 상기 제2 메시지의 제2 피드백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CSI 리포트는 채널 품질 지시(Channel Quality Indicator, CQI), 프리코딩 매트릭스 지시(precoding matrix indicator, PMI), 채널 상태 정보 기준 신호 자원 지시(CSI-RS(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 resource indicator, CRI), 동기화 신호/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 블록 자원 지시(Synchronization Signal/Physical Broadcast Channel Block Resource Indicator, SSBRI), 레이어 지시(Layer Indicator, LI), 랭크 지시(Rank Indicator, RI) 및/또는 레이어 1 기준 신호 수신 파워(Layer 1 Reference Signal Receiving Power, L1-RSR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빔 관리 리포트는 CRI, RSRP 및/또는 SSBRI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CSI 리포트 관련의 딜레이는, 단말 기기가 채널 상태 정보 기준 신호(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 CSI-RS) 리포트를 트리거하는 시그널링을 수신한 시각부터 대응되는 CSI 리포트가 위치한 시각 간의 딜레이, 및 단말 기기가 CSI-RS를 측정하는 시각부터 대응되는 CSI 리포트가 위치한 시각 간의 딜레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빔 관리 리포트 관련의 딜레이는 단말 기기가 빔 관리 리포트를 트리거하는 시그널링을 수신한 시각부터 대응되는 빔 관리 리포트가 위치한 시각 간의 딜레이, 및 단말 기기가 CSI-RS를 측정하는 시각부터 대응되는 빔 관리 리포트가 위치한 시각 간의 딜레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제2 피드백 정보는 제2 메시지의 ACK 또는 NACK;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에 구성한 적어도 하나의 제10 파라미터의 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단계 603: 상기 제2 피드백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10 파라미터의 값을 설정하거나; 또는 상기 제2 피드백 정보에 근거하여 신호 처리를 진행한다.
본 개시 실시예에서, 단말 기기는 직접 네트워크 측 기기로 단말 기기의 절전 모드 또는 절전 레벨에 대응되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제10 파라미터를 리포팅할 수 있고, 해당 단말 기기는 네트워크 측 기기의 제2 피드백 정보에 근거하여 단말 기기의 제10 파라미터의 값을 확정할 수 있거나, 또는 제2 피드백 정보에 근거하여 신호 처리를 진행할 수 있기에, 단말 기기는 한번에 관련 파라미터의 값을 알 수 있고, 관련 기술 중의 방법에 비해서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절약하고 처리 딜레이를 낮출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개시 실시예에서 구성 방법을 더 제공하며, 해당 방법의 주체는 예컨대 기지국과 같은 네트워크 측 기기이며 구체적으로 이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701: 단말 기기로부터 제2 메시지를 수신하며, 상기 제2 메시지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제10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상기 각 제10 파라미터는 상기 단말 기기가 동시에 처리한 CSI 리포트(CSI report)의 수량, 상기 단말 기기가 동시에 처리한 빔 관리 리포트(beam management report)의 수량, 상기 단말 기기가 동시에 수신하거나 또는 처리한 측정 자원의 수량, CSI 리포트(CSI report) 관련의 딜레이 및 빔 관리 리포트(beam management report) 관련의 딜레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단계 702: 상기 단말 기기로 상기 제2 메시지의 제2 피드백 정보를 송신하여, 상기 단말 기기로 하여금 상기 제2 피드백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10 파라미터의 값을 설정하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제2 피드백 정보에 근거하여 신호 처리를 진행하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CSI 리포트 관련의 딜레이는, 단말 기기가 채널 상태 정보 기준 신호(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 CSI-RS) 리포트를 트리거하는 시그널링을 수신한 시각부터 대응되는 CSI 리포트가 위치한 시각 간의 딜레이, 및 단말 기기가 CSI-RS를 측정하는 시각부터 대응되는 CSI 리포트가 위치한 시각 간의 딜레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빔 관리 리포트 관련의 딜레이는 단말 기기가 빔 관리 리포트를 트리거하는 시그널링을 수신한 시각부터 대응되는 빔 관리 리포트가 위치한 시각 간의 딜레이, 및 단말 기기가 CSI-RS를 측정하는 시각부터 대응되는 빔 관리 리포트가 위치한 시각 간의 딜레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제2 피드백 정보는 제2 메시지의 ACK 또는 NACK;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에 구성한 적어도 하나의 제10 파라미터의 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개시 실시예에서, 단말 기기는 직접 네트워크 측 기기로 단말 기기의 절전 모드 또는 절전 레벨에 대응되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제10 파라미터를 리포팅할 수 있고, 해당 단말 기기는 네트워크 측 기기의 제2 피드백 정보에 근거하여 단말 기기의 제10 파라미터의 값을 확정할 수 있거나, 또는 제2 피드백 정보에 근거하여 신호 처리를 진행할 수 있기에, 단말 기기는 한번에 관련 파라미터의 값을 알 수 있고, 관련 기술 중의 방법에 비해서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절약하고 처리 딜레이를 낮출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를 더 잘 이해하기 위하여, 이하 예시 1 내지 예시 3을 결합하여 단말 기기 측의 프로세스에 대하여 설명한다. 예시 1 내지 예시 3에서, 단말 기기는 UE로, 네트워크 측 기기는 기지국으로 예를 하여 설명한다.
예시 1:
단계 1: UE는 절전 모드(power saving mode) 또는 절전 레벨(power saving level)을 리포팅한다.
단계 2: UE는 기지국으로부터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고, 피드백 정보는 기지국이 UE에서 리포팅한 절전 모드 또는 절전 레벨에 대한 긍정 응답(ACK) 또는 부정 응답(NACK), 또는 기지국이 절전 모드 또는 절전 레벨의 파라미터에 대한 구성 시그널링일 수 있으며, 예컨대, 기지국이 구성한 절전 모드 또는 절전 레벨에 대응되는 파라미터 및 파라미터의 값이다.
3) UE는 기지국의 피드백 정보에 근거하여 절전 모드 또는 절전 레벨의 파라미터를 구성한다.
예시 2:
단계 1: UE는 기지국으로부터 절전 모드(power saving mode) 또는 절전 레벨(power saving level)의 구성 정보를 수신한다.
단계 2: UE는 구성 정보에 근거하여 절전 모드 또는 절전 레벨의 파라미터를 구성한다.
절전 모드 또는 절전 레벨에 대하여,
여러가지 절전 모드(power saving mode X) 또는 절전 레벨(power saving level X)(X=1, 2 … N)은,
-power saving mode1: 파라미터 A의 값은 a1, 파라미터 B의 값은 b1, … , 파라미터 M의 값은 m1이다.
-power saving mode2: 파라미터 A의 값은 a2, 파라미터 B의 값은 b2, … , 파라미터 M의 값은 m1이다.
….
이해해야 할 것은, 기지국은 각종 절전 모드 또는 절전 레벨에 대응되는 파라미터 리스트 및 각 파라미터의 값을 구성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절전 모드 또는 절전 레벨의 파라미터는 이하 중의 한 항 또는 복수 항을 포함할 수 있다.
UE의 송신 안테나 또는 송신 채널의 수량;
UE의 수신 안테나 또는 수신 채널의 수량;
동시에 활성화한 업링크 CC의 수량;
동시에 활성화한 다운링크 CC의 수량;
파라미터 K0/K1/K2;
파라미터 N1/N2;
UE가 CSI-RS 구성을 수신하는 것 부터 CSI를 리포팅하는 것 까지의 딜레이/UE가 CSI-RS를 측정하는 것 부터 CSI를 리포팅하는 것 까지의 딜레이;
다운링크 MIMO layer 수;
업링크 MIMO layer 수;
PDCCH monitoring 주기/offset/duration;
BWP 대역폭/BWP ID;
DC/non-DC;
최대 업링크 전송 레이트/최대 다운링크 전송 레이트;
동시에 처리한 CSI report, beam namagement report의 수량;
동시에 수신하거나 또는 처리한 측정 자원의 수량;
CSI report 관련의 딜레이; 또는
Beam management report 관련의 딜레이; 중 한 항 또는 복수 항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 3:
단계 1: UE는 기지국에 이하 한 항 또는 복수 항을 리포팅한다.즉:
동시에 처리한 CSI report 또는 beam namagement report의 수량;
동시에 수신하거나 또는 처리한 측정 자원의 수량;
CSI report 관련의 딜레이; 또는 Beam management report 관련의 딜레이; 중 한 항 또는 복수 항을 리포팅한다.
단계 2: UE는 기지국으로부터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고, 피드백 정보는 기지국이 UE에서 리포팅한 내용에 대한 ACK/NACK, 또는 기지국이 리포팅한 파라미터 값에 대한 구성 시그널링이다.
단계 3: UE는 기지국의 피드백 정보에 근거하여 파라미터를 구성하거나 또는 처리를 진행한다.
본 개시 실시예에서, 단말 기기를 더 제공하며, 단말 기기가 문제를 해결하는 원리는 본 개시 실시예에서의 구성 방법과 유사하기에, 해당 단말 기기의 실시는 방법 실시예의 실시를 참조할 수 있으며, 중복 설명을 피면하기 위하여 여기서 더 이상 기술하지 않는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개시 실시예에서 단말 기기를 더 제공하며, 해당 단말 기기(800)은,
네트워크 측 기기로 제1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제1 송신 모듈(801) - 상기 제1 메시지는 상기 단말 기기의 절전 모드 또는 절전 레벨을 명시 또는 암시적으로 지시함 -;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로부터 상기 제1 메시지의 제1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제1 수신 모듈(802); 및
상기 제1 피드백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단말 기기의 전력 소모와 관련된 하나 또는 복수개의 제1 파라미터의 값을 설정하기 위한 제1 처리 모듈(803); 을 포함한다.
본 개시 실시예에서, 선택적으로, 제1 송신 모듈(801)은 상기 단말 기기의 전력 소모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로 상기 제1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본 개시 실시예에서, 선택적으로, 상기 제1 피드백 정보는,
상기 제1 메시지의 긍정 응답(ACK) 또는 부정 응답(NACK);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에 구성한 절전 모드 또는 절전 레벨의 식별자; 및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에 구성한 상기 단말 기기의 전력 소모와 관련된 하나 또는 복수개의 제2 파라미터의 값; 중 한 항 또는 복수 항을 포함한다.
본 개시 실시예에서,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메시지는 제1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필드의 값은, 하나 또는 복수개의 제3 파라미터의 값에 대응되고, 상기 제3 파라미터는 상기 단말 기기의 전력 소모와 관련되거나; 또는
상기 제1 메시지는 제2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필드의 값은, 일종의 절전 모드 또는 절전 레벨의 하나 또는 복수개의 제4 파라미터의 값에 대응되거나; 또는
상기 제1 메시지는 제3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3 필드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제1 비트 스트링스를 포함하며, 상기 각 제1 비트 스트링스의 값은, 제5 파라미터의 값에 대응되고, 상기 제5 파라미터는 상기 단말 기기의 전력 소모와 관련된다.
본 개시 실시예에서, 선택적으로, 상기 제3 파라미터 및 상기 제3 파라미터의 값은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가 구성한 것이거나 또는 프로토콜에서 약정한 것이거나; 또는 상기 제4 파라미터 및 상기 제4 파라미터의 값은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가 구성한 것이거나 또는 프로토콜에서 약정한 것이거나; 또는 상기 제5 파라미터 및 상기 제5 파라미터의 값은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가 구성한 것이거나 또는 프로토콜에서 약정한 것이다.
본 개시 실시예에서, 선택적으로, 상기 제1 파라미터, 제2 파라미터, 제3 파라미터, 제4 파라미터 또는 제5 파라미터는,
상기 단말 기기의 송신 안테나 또는 송신 채널의 수량;
상기 단말 기기의 수신 안테나 또는 수신 채널의 수량;
동시에 활성화한 업링크 컴포넌트 캐리어의 수량;
동시에 활성화한 다운링크 컴포넌트 캐리어의 수량;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와 상기 PDCCH가 스케줄링한 물리 다운링크 공유 채널(PDSCH) 간의 시간 간격;
PDSCH와 대응하는 ACK 또는 NACK 간의 시간 간격;
PDCCH와 상기 PDCCH가 스케줄링한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USCH) 간의 시간 간격;
PDSCH 처리 딜레이;
PUSCH 준비 딜레이;
다운링크 멀티 입력 멀티 출력(MIMO) 레이어 수;
업링크 MIMO 레이어 수;
PDCCH 모니터링 주기;
PDCCH 모니터링 오프셋;
PDCCH 모니터링 지속 시간;
비연속 수신(DRX) 주기;
대역폭 부분(BWP)의 대역폭;
BWP의 식별자(ID);
듀어 접속(DC);
비 듀어 접속(non-DC);
최대 업링크 전송 레이트;
최대 다운링크 전송 레이트;
상기 단말 기기가 동시에 처리한 CSI 리포트의 수량;
상기 단말 기기가 동시에 처리한 빔 관리 리포트의 수량;
상기 단말 기기가 동시에 수신하거나 또는 처리한 측정 자원의 수량;
CSI 리포트 관련의 딜레이; 및
빔 관리 리포트 관련의 딜레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개시 실시예에서 제공한 단말 기기는 상기 방법 실시예를 실행할 수 있으며, 실현 원리 및 기술적 효과는 유사하기에 본 실시예는 여기서 더 이상 기술하지 않는다.
본 개시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측 기기를 더 제공하며, 네트워크 측 기기가 문제를 해결하는 원리는 본 개시 실시예에서의 구성 방법과 유사하기에, 해당 네트워크 측 기기의 실시는 방법 실시예의 실시를 참조할 수 있으며, 중복 설명을 피면하기 위하여 여기서 더 이상 기술하지 않는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개시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측 기기를 더 제공하며, 해당 네트워크 측 기기(900)은,
단말 기기로부터 제1 메시지를 수신 하기 위한 제2 수신 모듈(901) - 상기 제1 메시지는 상기 단말 기기의 절전 모드 또는 절전 레벨을 명시 또는 암시적으로 지시함 -;
상기 단말 기기로 상기 제1 메시지의 제1 피드백 메시지를 송신하여, 단말 기기로 하여금 상기 제1 피드백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단말 기기의 전력 소모와 관련된 하나 또는 복수개의 제1 파라미터의 값을 설정하도록 하기 위한 제2 송신 모듈(902); 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선택적으로, 상기 제1 피드백 정보는,
상기 제1 메시지의 ACK 또는 NACK;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에 구성한 절전 모드 또는 절전 레벨의 식별자; 및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에 구성한 상기 단말 기기의 전력 소모와 관련된 하나 또는 복수개의 제2 파라미터의 값; 중 한 항 또는 복수 항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메시지는 제1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필드의 값은, 하나 또는 복수개의 제3 파라미터의 값에 대응되고, 상기 제3 파라미터는 상기 단말 기기의 전력 소모와 관련되거나; 또는
상기 제1 메시지는 제2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필드의 값은, 일종의 절전 모드 또는 절전 레벨의 하나 또는 복수개의 제4 파라미터의 값에 대응되거나; 또는
상기 제1 메시지는 제3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3 필드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제1 비트 스트링스를 포함하며, 상기 각 제1 비트 스트링스의 값은, 제5 파라미터의 값에 대응되고, 상기 제5 파라미터는 상기 단말 기기의 전력 소모와 관련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선택적으로, 상기 제3 파라미터 및 상기 제3 파라미터의 값은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가 구성한 것이거나 또는 프로토콜에서 약정한 것이거나; 또는 상기 제4 파라미터 및 상기 제4 파라미터의 값은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가 구성한 것이거나 또는 프로토콜에서 약정한 것이거나; 또는 상기 제5 파라미터 및 상기 제5 파라미터의 값은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가 구성한 것이거나 또는 프로토콜에서 약정한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선택적으로, 상기 제1 파라미터, 제2 파라미터, 제3 파라미터, 제4 파라미터 또는 제5 파라미터는,
상기 단말 기기의 송신 안테나 또는 송신 채널의 수량;
상기 단말 기기의 수신 안테나 또는 수신 채널의 수량;
동시에 활성화한 업링크 컴포넌트 캐리어의 수량;
동시에 활성화한 다운링크 컴포넌트 캐리어의 수량;
PDCCH와 상기 PDCCH가 스케줄링한 PDSCH 간의 시간 간격;
PDSCH와 대응하는 ACK 또는 NACK 간의 시간 간격;
PDCCH와 상기 PDCCH가 스케줄링한 PUSCH 간의 시간 간격;
PDSCH 처리 딜레이;
PUSCH 준비 딜레이;
다운링크 MIMO 레이어 수;
업링크 MIMO 레이어 수;
PDCCH 모니터링 주기;
PDCCH 모니터링 오프셋;
PDCCH 모니터링 지속 시간;
비연속 수신(DRX) 주기;
BWP의 대역폭;
BWP의 식별자(ID);
DC;
non-DC;
최대 업링크 전송 레이트;
최대 다운링크 전송 레이트;
상기 단말 기기가 동시에 처리한 CSI 리포트의 수량;
상기 단말 기기가 동시에 처리한 빔 관리 리포트의 수량;
상기 단말 기기가 동시에 수신하거나 또는 처리한 측정 자원의 수량;
CSI 리포트 관련의 딜레이; 및
빔 관리 리포트 관련의 딜레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개시 실시예에서 제공한 네트워크 측 기기는 상기 방법 실시예를 실행할 수 있으며, 실현 원리 및 기술적 효과는 유사하기에 본 실시예는 여기서 더 이상 기술하지 않는다.
본 개시 실시예에서 단말 기기를 더 제공하며, 단말 기기가 문제를 해결하는 원리는 본 개시 실시예에서의 구성 방법과 유사하기에, 해당 단말 기기의 실시는 방법 실시예의 실시를 참조할 수 있으며, 중복 설명을 피면하기 위하여 여기서 더 이상 기술하지 않는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개시 실시예에서 단말 기기를 더 제공하며, 해당 단말 기기(1000)은,
네트워크 측 기기로부터 상기 단말 기기의 절전 모드 또는 절전 레벨의 구성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제3 수신 모듈(1001); 및
상기 구성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단말 기기의 절전 모드 또는 절전 레벨에 대응되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제6 파라미터의 값을 설정하기 위한 제2 처리 모듈(1002); 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선택적으로, 상기 제3 수신 모듈(1001)은, 무선 자원 제어(RRC) 시그널링, 매체 액세스 제어(MAC) 시그널링 또는 PDCCH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단말 기기의 절전 모드 또는 절전 레벨의 구성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선택적으로, 상기 구성 정보는 제4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4 필드의 값은, 하나 또는 복수개의 제7 파라미터의 값에 대응되고, 상기 제7 파라미터는 상기 단말 기기의 전력 소모와 관련되거나; 또는
상기 구성 정보는 제5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5 필드의 값은, 일종의 절전 모드 또는 절전 레벨의 하나 또는 복수개의 제8 파라미터의 값에 대응되거나; 또는
상기 구성 정보는 제6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6 필드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제2 비트 스트링스를 포함하며, 상기 각 제2 비트 스트링스의 값은, 제9 파라미터의 값에 대응되고, 상기 제9 파라미터는 상기 단말 기기의 전력 소모와 관련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선택적으로, 상기 제7 파라미터 및 상기 제7 파라미터의 값은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가 구성한 것이거나 또는 프로토콜에서 약정한 것이거나; 또는 상기 제8 파라미터 및 상기 제8 파라미터의 값은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가 구성한 것이거나 또는 프로토콜에서 약정한 것이거나; 또는 상기 제9 파라미터 및 상기 제9 파라미터의 값은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가 구성한 것이거나 또는 프로토콜에서 약정한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선택적으로, 상기 제6 파라미터, 제7 파라미터, 제8 파라미터 또는 제9 파라미터는,
상기 단말 기기의 송신 안테나 또는 송신 채널의 수량;
상기 단말 기기의 수신 안테나 또는 수신 채널의 수량;
동시에 활성화한 업링크 컴포넌트 캐리어의 수량;
동시에 활성화한 다운링크 컴포넌트 캐리어의 수량;
PDCCH와 상기 PDCCH가 스케줄링한 PDSCH 간의 시간 간격;
PDSCH와 대응하는 ACK 또는 NACK 간의 시간 간격;
PDCCH와 상기 PDCCH가 스케줄링한 PUSCH 간의 시간 간격;
PDSCH 처리 딜레이;
PUSCH 준비 딜레이;
다운링크 MIMO 레이어 수;
업링크 MIMO 레이어 수;
PDCCH 모니터링 주기;
PDCCH 모니터링 오프셋;
PDCCH 모니터링 지속 시간;
비연속 수신(DRX) 주기;
BWP의 대역폭;
BWP의 식별자(ID);
DC;
non-DC;
최대 업링크 전송 레이트;
최대 다운링크 전송 레이트;
상기 단말 기기가 동시에 처리한 CSI 리포트의 수량;
상기 단말 기기가 동시에 처리한 빔 관리 리포트의 수량;
상기 단말 기기가 동시에 수신하거나 또는 처리한 측정 자원의 수량;
CSI 리포트 관련의 딜레이; 및
빔 관리 리포트 관련의 딜레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개시 실시예에서 제공한 단말 기기는 상기 방법 실시예를 실행할 수 있으며, 실현 원리 및 기술적 효과는 유사하기에 본 실시예는 여기서 더 이상 기술하지 않는다.
본 개시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측 기기를 더 제공하며, 네트워크 측 기기가 문제를 해결하는 원리는 본 개시 실시예에서의 구성 방법과 유사하기에, 해당 네트워크 측 기기의 실시는 방법 실시예의 실시를 참조할 수 있으며, 중복 설명을 피면하기 위하여 여기서 더 이상 기술하지 않는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개시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측 기기를 더 제공하며, 해당 네트워크 측 기기(1100)은,
단말 기기로 상기 단말 기기의 절전 모드 또는 절전 레벨의 구성 정보를 송신하여, 단말 기기로 하여금 상기 구성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단말 기기의 절전 모드 또는 절전 레벨의 하나 또는 복수개의 제6 파라미터의 값을 설정하도록 하기 위한 제3 송신 모듈(1101)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선택적으로, 상기 제3 송신 모듈(1101)는, RRC 시그널링, MAC 시그널링 또는 PDCCH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단말 기기의 절전 모드 또는 절전 레벨의 구성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선택적으로, 상기 구성 정보는 제4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4 필드의 값은, 하나 또는 복수개의 제7 파라미터의 값에 대응되고, 상기 제7 파라미터는 상기 단말 기기의 전력 소모와 관련되거나; 또는
상기 구성 정보는 제5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5 필드의 값은, 일종의 절전 모드 또는 절전 레벨의 하나 또는 복수개의 제8 파라미터의 값에 대응되거나; 또는
상기 구성 정보는 제6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6 필드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제2 비트 스트링스를 포함하며, 상기 각 제2 비트 스트링스의 값은, 제9 파라미터의 값에 대응되고, 상기 제9 파라미터는 상기 단말 기기의 전력 소모와 관련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선택적으로, 상기 제7 파라미터 및 상기 제7 파라미터의 값은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가 구성한 것이거나 또는 프로토콜에서 약정한 것이거나; 또는 상기 제8 파라미터 및 상기 제8 파라미터의 값은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가 구성한 것이거나 또는 프로토콜에서 약정한 것이거나; 또는 상기 제9 파라미터 및 상기 제9 파라미터의 값은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가 구성한 것이거나 또는 프로토콜에서 약정한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선택적으로, 상기 제6 파라미터, 제7 파라미터, 제8 파라미터 또는 제9 파라미터는,
상기 단말 기기의 송신 안테나 또는 송신 채널의 수량;
상기 단말 기기의 수신 안테나 또는 수신 채널의 수량;
동시에 활성화한 업링크 컴포넌트 캐리어의 수량;
동시에 활성화한 다운링크 컴포넌트 캐리어의 수량;
PDCCH와 상기 PDCCH가 스케줄링한 PDSCH 간의 시간 간격;
PDSCH와 대응하는 ACK 또는 NACK 간의 시간 간격;
PDCCH와 상기 PDCCH가 스케줄링한 PUSCH 간의 시간 간격;
PDSCH 처리 딜레이;
PUSCH 준비 딜레이;
다운링크 MIMO 레이어 수;
업링크 MIMO 레이어 수;
PDCCH 모니터링 주기;
PDCCH 모니터링 오프셋;
PDCCH 모니터링 지속 시간;
비연속 수신(DRX) 주기;
BWP의 대역폭;
BWP의 식별자(ID);
DC;
non-DC;
최대 업링크 전송 레이트;
최대 다운링크 전송 레이트;
상기 단말 기기가 동시에 처리한 CSI 리포트의 수량;
상기 단말 기기가 동시에 처리한 빔 관리 리포트의 수량;
상기 단말 기기가 동시에 수신하거나 또는 처리한 측정 자원의 수량;
CSI 리포트 관련의 딜레이; 및
빔 관리 리포트 관련의 딜레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개시 실시예에서 제공한 네트워크 측 기기는 상기 방법 실시예를 실행할 수 있으며, 실현 원리 및 기술적 효과는 유사하기에 본 실시예는 여기서 더 이상 기술하지 않는다.
본 개시 실시예에서 단말 기기를 더 제공하며, 단말 기기가 문제를 해결하는 원리는 본 개시 실시예에서의 구성 방법과 유사하기에, 해당 단말 기기의 실시는 방법 실시예의 실시를 참조할 수 있으며, 중복 설명을 피면하기 위하여 여기서 더 이상 기술하지 않는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개시 실시예에서 단말 기기를 더 제공하며, 해당 단말 기기(1200)은,
네트워크 측 기기로 제2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제4 송신 모듈(1201) - 상기 제2 메시지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제10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0 파라미터는 상기 단말 기기가 동시에 처리한 CSI 리포트의 수량, 상기 단말 기기가 동시에 처리한 빔 관리 리포트의 수량, 상기 단말 기기가 동시에 수신하거나 또는 처리한 측정 자원의 수량, CSI 리포트 관련 딜레이 및 빔 관리 리포트 관련 딜레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로부터 상기 제2 메시지의 제2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제4 수신 모듈(1202); 및
상기 제2 피드백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10 파라미터의 값을 설정하거나; 또는 상기 제2 피드백 정보에 근거하여 신호 처리를 진행하기 위한 제3 처리 모듈(1203); 을 포함한다.
본 개시 실시예에서, 선택적으로, 상기 제2 피드백 정보는,
상기 제2 메시지의 ACK 또는 NACK;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에 구성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10 파라미터의 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개시 실시예에서 제공한 단말 기기는 상기 방법 실시예를 실행할 수 있으며, 실현 원리 및 기술적 효과는 유사하기에 본 실시예는 여기서 더 이상 기술하지 않는다.
본 개시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측 기기를 더 제공하며, 네트워크 측 기기가 문제를 해결하는 원리는 본 개시 실시예에서의 구성 방법과 유사하기에, 해당 네트워크 측 기기의 실시는 방법 실시예의 실시를 참조할 수 있으며, 중복 설명을 피면하기 위하여 여기서 더 이상 기술하지 않는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개시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측 기기를 더 제공하며, 해당 네트워크 측 기기(1300)은,
단말 기기로부터 제2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제5 수신 모듈(1301) - 상기 제2 메시지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제10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상기 각 제10 파라미터는 상기 단말 기기가 동시에 처리한 CSI 리포트의 수량, 상기 단말 기기가 동시에 처리한 빔 관리 리포트의 수량, 상기 단말 기기가 동시에 수신하거나 또는 처리한 측정 자원의 수량, CSI 리포트 관련 딜레이 및 빔 관리 리포트 관련 딜레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 및
상기 단말 기기로 상기 제2 메시지의 제2 피드백 정보를 송신하여, 상기 단말 기기로 하여금 상기 제2 피드백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10 파라미터의 값을 설정하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제2 피드백 정보에 근거하여 신호 처리를 진행하도록 하기 위한 제5 송신 모듈(1302);을 포함한다.
본 개시 실시예에서, 선택적으로, 상기 제2 피드백 정보는,
상기 제2 메시지의 ACK 또는 NACK;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에 구성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10 파라미터의 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개시 실시예에서 제공한 네트워크 측 기기는 상기 방법 실시예를 실행할 수 있으며, 실현 원리 및 기술적 효과는 유사하기에 본 실시예는 여기서 더 이상 기술하지 않는다.
도 14를 참조하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단말 기기(140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401), 메모리(1402),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404)와 사용자 인터페이스(1403)을 포함한다. 단말 기기(1400)의 각 구성 요소들은 버스 인터페이스(1405)을 통해 결합된다. 이해할 수 있는 것은, 버스 인터페이스(1405)는 이들 부품들 사이의 연결 통신을 실현하는데 사용된다. 버스 인터페이스(1405)는 버스 외에, 전원 버스, 제어 버스, 및 상태 신호 버스를 더 포함한다. 그러나, 명확한 설명을 하기 위해 도 14 중의 각 버스는 전부 버스 인터페이스(1405)로 표시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403)는 디스플레이, 키보드 또는 클릭 기기, 예를 들어 마우스, 트랙볼(trackball), 터치 패널 또는 터치 스크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 실시예 중의 메모리(1402)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고 또는 휘발성 및 비휘발성 메모리 둘 다 포함할 수 있다. 그 중에서, 비휘발성 메모리는 판독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프로그램 가능 판독 메모리(Programmable ROM, PROM), 소거 프로그램 가능 판독 메모리(Erasable PROM, EPROM), 전기 소거 프로그램 가능 판독 메모리(Electrically EPROM, EEP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일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일 수 있고 외부 고속 버퍼로서 사용된다. 일례로서 제한적이지 않지만, RAM은 정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tatic RAM, SRAM), 다이나믹 랜덤 액세스 메모리(Dynamic RAM, DRAM), 동기형 DRAM(Synchronous DRAM, SDRAM), 2배 데이터율 DRAM(Double Data Rate SDRAM, DDRSDRAM), 인핸스드 동기형 DRAM(Enhanced SDRAM, ESDRAM), 동기형 다이나믹 액세스 메모리(Synchlink DRAM, SLDRAM) 및 직접 버스의 랜덤 액세스 메모리(Direct Rambus RAM, DRRAM) 등일 수 있다. 본 개시에서 기술된 메모리(1402)는 이들 및 임의의 다른 적합한 유형의 메모리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메모리(1402)는 모듈 또는 데이터 구조, 또는 그들의 부분집합, 또는 그들의 확대 집합: 작업 시스템(14021) 및 애플리케이션(14022)을 저장하고 있다.
여기서 작업 시스템(14021)은, 다양한 기본 트래픽과 하드웨어 기반 태스크를 처리하기 위한 프레임워크, 코어 라이브러리 층, 구동 층 등과 같은 다양한 시스템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애플리케이션(14022)은 다양한 응용 서비스들의 실현을 위해, 미디어 플레이어(Media Player), 브라우저(Browser) 등과 같은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들을 포함한다. 본 개시 실시예 방법의 프로그램은 애플리케이션(14022)에 포함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메모리(1402)에 저장된 프로그램 또는 명령을 호출하여, 구체적으로는 애플리케이션(14022)에 저장된 프로그램 또는 명령을 호출하여 이하 단계를 구현한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측 기기로 제1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메시지는 상기 단말 기기의 절전 모드 또는 절전 레벨을 명시 또는 암시적으로 지시함 -;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로부터 상기 제1 메시지의 제1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피드백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단말 기기의 전력 소모와 관련된 하나 또는 복수개의 제1 파라미터의 값을 설정하는 단계; 를 구현한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메모리(1402)에 저장된 프로그램 또는 명령을 호출하여, 구체적으로는 애플리케이션(14022)에 저장된 프로그램 또는 명령을 호출하여 이하 단계를 구현한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측 기기로부터 상기 단말 기기의 절전 모드 또는 절전 레벨의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구성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단말 기기의 절전 모드 또는 절전 레벨에 대응되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제6 파라미터의 값을 설정하는 단계; 를 구현한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메모리(1402)에 저장된 프로그램 또는 명령을 호출하여, 구체적으로는 애플리케이션(14022)에 저장된 프로그램 또는 명령을 호출하여 이하 단계를 구현한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측 기기로 제2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제2 메시지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제10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0 파라미터는 상기 단말 기기가 동시에 처리한 CSI 리포트의 수량, 상기 단말 기기가 동시에 처리한 빔 관리 리포트의 수량, 상기 단말 기기가 동시에 수신하거나 또는 처리한 측정 자원의 수량, CSI 리포트 관련의 딜레이 및 빔 관리 리포트 관련의 딜레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로부터 상기 제2 메시지의 제2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피드백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10 파라미터의 값을 설정하거나; 또는 상기 제2 피드백 정보에 근거하여 신호 처리를 진행하는 단계; 를 구현한다.
본 개시 실시예에서 제공한 단말 기기는 상기 방법 실시예를 실행할 수 있고, 실현 원리 및 기술적 효과는 유사하기에, 본 실시예에서 이에 대해 더 이상 기술하지 않는다.
도 15를 참조하면, 도 15는 본 개시의 실시예가 응용하는 네트워크 측 기기의 구조도이며,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측 기기(1500)은 프로세서(1501), 송수신기(1502), 메모리(1503) 및 버스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측 기기(1500)는, 메모리(1503)에 저장되며 프로세서(1501)에 의해 실행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1501)에 의해 실행할 때 다음 단계를 구현한다. 단말 기기로부터 제1 메시지를 수신 하는 단계 - 상기 제1 메시지는 상기 단말 기기의 절전 모드 또는 절전 레벨을 명시 또는 암시적으로 지시함 -; 상기 단말 기기로 상기 제1 메시지의 제1 피드백 메시지를 송신하여, 단말 기기로 하여금 상기 제1 피드백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단말 기기의 전력 소모와 관련된 하나 또는 복수개의 제1 파라미터의 값을 설정하도록 하는 단계;를 구현한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측 기기(1500)는, 메모리(1503)에 저장되며 프로세서(1501)에 의해 실행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1501)에 의해 실행할 때 다음 단계를 구현한다. 단말 기기로 상기 단말 기기의 절전 모드 또는 절전 레벨의 구성 정보를 송신하여, 단말 기기로 하여금 상기 구성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단말 기기의 절전 모드 또는 절전 레벨의 하나 또는 복수개의 제6 파라미터의 값을 설정하도록 하는 단계를 구현한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측 기기(1500)은, 메모리(1503)에 저장되며 프로세서(1501)에 의해 실행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1501)에 의해 실행할 때 다음 단계를 구현한다. 단말 기기로부터 제2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2 메시지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제10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상기 각 제10 파라미터는 상기 단말 기기가 동시에 처리한 CSI 리포트의 수량, 상기 단말 기기가 동시에 처리한 빔 관리 리포트의 수량, 상기 단말 기기가 동시에 수신하거나 또는 처리한 측정 자원의 수량, CSI 리포트 관련의 딜레이 및 빔 관리 리포트 관련의 딜레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 및 상기 단말 기기로 상기 제2 메시지의 제2 피드백 정보를 송신하여, 상기 단말 기기로 하여금 상기 제2 피드백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10 파라미터의 값을 설정하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제2 피드백 정보에 근거하여 신호 처리를 진행하도록 하는 단계;를 구현한다.
도 15에서, 버스 아키텍처는 임의의 수량의 서로 연결된 버스와 브릿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버스는 프로세서(1501)에 의해 대표되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와 메모리(1503)에 의해 대표되는 메모리의 각종 회로를 함께 연결한다. 버스 아키텍처는 또한 주변 기기, 전압 안정기 및 파워 관리 회로 등과 같은 각종 기타 회로를 함께 연결할 수 있는데, 이들은 모두 해당 기술분야에 공지된 것이므로, 본문에서는 더이상 이에 대해 진일보하여 기술하지 않기로 한다. 버스 인터페이스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송수신기(1502)는 하나의 소자일 수도 있고, 복수 개의 소자일 수 있는바, 수신기 및 송신기를 포함하여, 전송 매체 상에서 각종 기타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유닛을 제공한다.
프로세서(1501)는 버스 아키텍처의 관리 및 통상의 처리를 책임지고, 메모리(1503)는 프로세서(1501)가 조작을 수행할 때 사용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 실시예에서 제공한 네트워크 측 기기는 상기 방법 실시예를 실행할 수 있으며, 실현 원리 및 기술적 효과는 유사하기에 본 실시예는 여기서 더 이상 기술하지 않는다.
본 개시에서 기술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 단계를 결합하여, 하드웨어 방식으로 실현할 수 있으며, 또는 소프트웨어 명령을 프로세서에서 실행하는 방식으로 실현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명령은 상응한 소트트웨어 모듈로 구성될 수 있으며,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플래시 메모리, ROM, EPROM, EEPROM, 레지스터, 하드 디스크, 모바일 하드 디스크, 판독 디스크, 또는 본영역에 널리 알려져 있는 기타 임의의 형식의 저장매체에 저장 될수 있다. 일종의 실시예의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에 커플링되어, 프로세서가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할 수 있게 하고, 해당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록할 수 있게 한다. 물론,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의 구성 부분 일 수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ASIC에 위치될 수 있다. 그외, 해당 ASIC은 코어망 인터페이스 기기에 위치할 수 있다. 물론,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디스크리트 컴포넌트(discrete components)로서 코어망 인터페이스 기기중에 존재한다.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상술한 하나 또는 복수의 실시예에서, 본개시에서 설명한 기능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그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실현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실현할 경우, 이러한 기능을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거나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상의 하나 또는 복수의 명령 또는 코드로 송신을 진행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와 통신 매체를 포함하며, 통신 매체는 한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용이하게 컴퓨터 프로그램을 송신할 수 있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한다. 저장 매체는 일반적으로 범용 또는 전용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 할 수 있는 임의의 사용 가능 매체 일 수 있다.
이상, 본 개시의 구체적인 실시방식이며,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 과제, 기술방안 및 유익한 효과에 대해 진일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며, 이상은 본개시의 구체적인 실시예일 뿐, 본 개시의 보호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개시의 특정 기술적 사상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수정, 등가 교체, 변경 될 수 있으며, 이는 응당 본 개시의 보호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본 개시의 실시예는 방법,시스템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 제공 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완전히 하드웨어 실시예, 소프트웨어 실시예 또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를 결합한 실시예의 형태를 취할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는 하나 또는 복수의 컴퓨터 사용 가능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한 컴퓨터 사용 가능 저장 매체(디스크 메모리,CD-ROM(Compact Disc Read-Only Memory, CD-ROM),광학메모리등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음)상에서 실시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형태를 취할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이에 따른 방법, 기기(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플로우 차트 및/또는 블록도를 참조하여 기술된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으로 플로우 차트 및/또는 블록도중의 각 플로우 및/또는 블록을 실현하고, 및 플로우 차트 및/또는 블록도의 플로우 및/또는 블록의 결합으로 실현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기계를 생성하기 위한 범용 컴퓨터, 전용 컴퓨터, 임베딩 프로세서 또는 다른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처리 기기의 프로세서에 제공될 수 있으며, 이로하여,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처리 기기의 프로세서를 통하여 실행되는 명령이 플로우 차트에서의 하나 또는 복수의 플로우 및/또는 블록도에서의 하나 또는 복수의 블록에 지정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장치를 생성하도록 한다.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또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처리 기기를 특정 방식으로 작업하도록 인도할 수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어, 해당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이 명령 장치의 제조품을 생성하고, 해당 명령 장치는 플로우 차트의 하나 또는 복수의 플로우 및/또는 블록도의 하나 또는 복수의 블록에 지정된 기능을 실현한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처리 기기에도 적재될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기기에서 일련의 작업 단계를 실행하여 컴퓨터가 실현한 처리를 생성함으로서, 나아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기기상에서 실행한 명령이 플로우 차트의 하나 또는 복수의 플로우 및/또는 블록도의 하나 또는 복수의 블록에 지정된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단계를 제공한다.
이상은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이며, 본 영역의 일반 기술인원에 대하여서는 본 개시의 원리를 이탈하지 않은 전제하에서 다수의 변형 및 윤색을 진행할 수 있고, 이들 또한 본 개시의 보호 범위내에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Claims (34)

  1. 단말 기기에 응용되는 구성 방법에 있어서,
    네트워크 측 기기로 제1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메시지는 상기 단말 기기의 절전 모드 또는 절전 레벨을 명시 또는 암시적으로 지시함 -;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로부터 상기 제1 메시지의 제1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피드백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단말 기기의 전력 소모와 관련된 하나 또는 복수개의 제1 파라미터의 값을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구성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로 상기 제1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기기의 전력 소모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로 상기 제1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피드백 정보는,
    상기 제1 메시지의 긍정 응답(ACK) 또는 부정 응답(NACK);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에 구성한 절전 모드 또는 절전 레벨의 식별자; 및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에 구성한 상기 단말 기기의 전력 소모와 관련된 하나 또는 복수개의 제2 파라미터의 값; 중 한 항 또는 복수 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시지는 제1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필드의 값은, 하나 또는 복수개의 제3 파라미터의 값에 대응되고, 상기 제3 파라미터는 상기 단말 기기의 전력 소모와 관련되거나; 또는
    상기 제1 메시지는 제2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필드의 값은, 일종의 절전 모드 또는 절전 레벨의 하나 또는 복수개의 제4 파라미터의 값에 대응되거나; 또는
    상기 제1 메시지는 제3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3 필드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제1 비트 스트링스를 포함하며, 상기 각 제1 비트 스트링스의 값은, 제5 파라미터의 값에 대응되고, 상기 제5 파라미터는 상기 단말 기기의 전력 소모와 관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파라미터 및 상기 제3 파라미터의 값은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가 구성한 것이거나 또는 프로토콜에서 약정한 것이거나; 또는
    상기 제4 파라미터 및 상기 제4 파라미터의 값은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가 구성한 것이거나 또는 프로토콜에서 약정한 것이거나; 또는
    상기 제5 파라미터 및 상기 제5 파라미터의 값은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가 구성한 것이거나 또는 프로토콜에서 약정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라미터, 제2 파라미터, 제3 파라미터, 제4 파라미터 또는 제5 파라미터는,
    상기 단말 기기의 송신 안테나 또는 송신 채널의 수량;
    상기 단말 기기의 수신 안테나 또는 수신 채널의 수량;
    동시에 활성화한 업링크 컴포넌트 캐리어의 수량;
    동시에 활성화한 다운링크 컴포넌트 캐리어의 수량;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과 상기 PDCCH가 스케줄링한 물리 다운링크 공유 채널(PDSCH) 간의 시간 간격;
    PDSCH와 대응하는 ACK 또는 NACK 간의 시간 간격;
    PDCCH와 상기 PDCCH가 스케줄링한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USCH) 간의 시간 간격;
    PDSCH 처리 딜레이;
    PUSCH 준비 딜레이;
    다운링크 멀티 입력 멀티 출력(MIMO) 레이어 수;
    업링크 MIMO 레이어 수;
    PDCCH 모니터링 주기;
    PDCCH 모니터링 오프셋;
    PDCCH 모니터링 지속 시간;
    비연속 수신(DRX) 주기;
    대역폭 부분(BWP)의 대역폭;
    BWP의 식별자(ID);
    듀어 접속(DC);
    비 듀어 접속(non-DC);
    최대 업링크 전송 레이트;
    최대 다운링크 전송 레이트;
    상기 단말 기기가 동시에 처리한 CSI 리포트의 수량;
    상기 단말 기기가 동시에 처리한 빔 관리 리포트의 수량;
    상기 단말 기기가 동시에 수신하거나 또는 처리한 측정 자원의 수량;
    CSI 리포트 관련의 딜레이; 및
    빔 관리 리포트 관련의 딜레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 방법.
  7. 네트워크 측 기기에 응용되는 구성 방법에 있어서,
    단말 기기로부터 제1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메시지는 상기 단말 기기의 절전 모드 또는 절전 레벨을 명시 또는 암시적으로 지시함 -;
    상기 단말 기기로 상기 제1 메시지의 제1 피드백 메시지를 송신하여, 단말 기기로 하여금 상기 제1 피드백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단말 기기의 전력 소모와 관련된 하나 또는 복수개의 제1 파라미터의 값을 설정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구성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피드백 정보는,
    상기 제1 메시지의 ACK 또는 NACK;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에 구성한 절전 모드 또는 절전 레벨의 식별자; 및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에 구성한 상기 단말 기기의 전력 소모와 관련된 하나 또는 복수개의 제2 파라미터의 값; 중 한 항 또는 복수 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 방법.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시지는 제1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필드의 값은, 하나 또는 복수개의 제3 파라미터의 값에 대응되고, 상기 제3 파라미터는 상기 단말 기기의 전력 소모와 관련되거나; 또는
    상기 제1 메시지는 제2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필드의 값은, 일종의 절전 모드 또는 절전 레벨의 하나 또는 복수개의 제4 파라미터의 값에 대응되거나; 또는
    상기 제1 메시지는 제3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3 필드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제1 비트 스트링스를 포함하며, 상기 각 제1 비트 스트링스의 값은, 제5 파라미터의 값에 대응되고, 상기 제5 파라미터는 상기 단말 기기의 전력 소모와 관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파라미터 및 상기 제3 파라미터의 값은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가 구성한 것이거나 또는 프로토콜에서 약정한 것이거나; 또는
    상기 제4 파라미터 및 상기 제4 파라미터의 값은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가 구성한 것이거나 또는 프로토콜에서 약정한 것이거나; 또는
    상기 제5 파라미터 및 상기 제5 파라미터의 값은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가 구성한 것이거나 또는 프로토콜에서 약정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 방법.
  11. 제7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라미터, 제2 파라미터, 제3 파라미터, 제4 파라미터 또는 제5 파라미터는,
    상기 단말 기기의 송신 안테나 또는 송신 채널의 수량;
    상기 단말 기기의 수신 안테나 또는 수신 채널의 수량;
    동시에 활성화한 업링크 컴포넌트 캐리어의 수량;
    동시에 활성화한 다운링크 컴포넌트 캐리어의 수량;
    PDCCH와 상기 PDCCH가 스케줄링한 PDSCH 간의 시간 간격;
    PDSCH와 대응하는 ACK 또는 NACK 간의 시간 간격;
    PDCCH와 상기 PDCCH가 스케줄링한 PUSCH 간의 시간 간격;
    PDSCH 처리 딜레이;
    PUSCH 준비 딜레이;
    다운링크 MIMO 레이어 수;
    업링크 MIMO 레이어 수;
    PDCCH 모니터링 주기;
    PDCCH 모니터링 오프셋;
    PDCCH 모니터링 지속 시간;
    비연속 수신(DRX) 주기;
    BWP의 대역폭;
    BWP의 식별자(ID);
    DC;
    non-DC;
    최대 업링크 전송 레이트;
    최대 다운링크 전송 레이트;
    상기 단말 기기가 동시에 처리한 CSI 리포트의 수량;
    상기 단말 기기가 동시에 처리한 빔 관리 리포트의 수량;
    상기 단말 기기가 동시에 수신하거나 또는 처리한 측정 자원의 수량;
    CSI 리포트 관련의 딜레이; 및
    빔 관리 리포트 관련의 딜레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 방법.
  12. 단말 기기에 응용되는 구성 방법에 있어서,
    네트워크 측 기기로부터 상기 단말 기기의 절전 모드 또는 절전 레벨의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구성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단말 기기의 절전 모드 또는 절전 레벨에 대응되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제6 파라미터의 값을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로부터 상기 단말 기기의 절전 모드 또는 절전 레벨의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무선 자원 제어(RRC) 시그널링, 매체 액세스 제어(MAC) 시그널링 또는 PDCCH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단말 기기의 절전 모드 또는 절전 레벨의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 방법.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는 제4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4 필드의 값은, 하나 또는 복수개의 제7 파라미터의 값에 대응되고, 상기 제7 파라미터는 상기 단말 기기의 전력 소모와 관련되거나; 또는
    상기 구성 정보는 제5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5 필드의 값은, 일종의 절전 모드 또는 절전 레벨의 하나 또는 복수개의 제8 파라미터의 값에 대응되거나; 또는
    상기 구성 정보는 제6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6 필드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제2 비트 스트링스를 포함하며, 상기 각 제2 비트 스트링스의 값은, 제9 파라미터의 값에 대응되고, 상기 제9 파라미터는 상기 단말 기기의 전력 소모와 관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7 파라미터 및 상기 제7 파라미터의 값은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가 구성한 것이거나 또는 프로토콜에서 약정한 것이거나; 또는
    상기 제8 파라미터 및 상기 제8 파라미터의 값은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가 구성한 것이거나 또는 프로토콜에서 약정한 것이거나; 또는
    상기 제9 파라미터 및 상기 제9 파라미터의 값은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가 구성한 것이거나 또는 프로토콜에서 약정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 방법.
  16. 제12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6 파라미터, 제7 파라미터, 제8 파라미터 또는 제9 파라미터는,
    상기 단말 기기의 송신 안테나 또는 송신 채널의 수량;
    상기 단말 기기의 수신 안테나 또는 수신 채널의 수량;
    동시에 활성화한 업링크 컴포넌트 캐리어의 수량;
    동시에 활성화한 다운링크 컴포넌트 캐리어의 수량;
    PDCCH와 상기 PDCCH가 스케줄링한 PDSCH 간의 시간 간격;
    PDSCH와 대응하는 ACK 또는 NACK 간의 시간 간격;
    PDCCH와 상기 PDCCH가 스케줄링한 PUSCH 간의 시간 간격;
    PDSCH 처리 딜레이;
    PUSCH 준비 딜레이;
    다운링크 MIMO 레이어 수;
    업링크 MIMO 레이어 수;
    PDCCH 모니터링 주기;
    PDCCH 모니터링 오프셋;
    PDCCH 모니터링 지속 시간;
    비연속 수신(DRX) 주기;
    BWP의 대역폭;
    BWP의 식별자(ID);
    DC;
    non-DC;
    최대 업링크 전송 레이트;
    최대 다운링크 전송 레이트;
    상기 단말 기기가 동시에 처리한 CSI 리포트의 수량;
    상기 단말 기기가 동시에 처리한 빔 관리 리포트의 수량;
    상기 단말 기기가 동시에 수신하거나 또는 처리한 측정 자원의 수량;
    CSI 리포트 관련의 딜레이; 및
    빔 관리 리포트 관련의 딜레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 방법.
  17. 네트워크 측 기기에 응용되는 구성 방법에 있어서,
    단말 기기로 상기 단말 기기의 절전 모드 또는 절전 레벨의 구성 정보를 송신하여, 상기 단말 기기로 하여금 상기 구성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단말 기기의 절전 모드 또는 절전 레벨의 하나 또는 복수개의 제6 파라미터의 값을 설정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로 상기 단말 기기의 절전 모드 또는 절전 레벨의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RRC 시그널링, MAC 시그널링 또는 PDCCH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단말 기기의 절전 모드 또는 절전 레벨의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 방법.
  19.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는 제4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4 필드의 값은, 하나 또는 복수개의 제7 파라미터의 값에 대응되고, 상기 제7 파라미터는 상기 단말 기기의 전력 소모와 관련되거나; 또는
    상기 구성 정보는 제5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5 필드의 값은, 일종의 절전 모드 또는 절전 레벨의 하나 또는 복수개의 제8 파라미터의 값에 대응되거나; 또는
    상기 구성 정보는 제6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6 필드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제2 비트 스트링스를 포함하며, 상기 각 제2 비트 스트링스의 값은, 제9 파라미터의 값에 대응되고, 상기 제9 파라미터는 상기 단말 기기의 전력 소모와 관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7 파라미터 및 상기 제7 파라미터의 값은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가 구성한 것이거나 또는 프로토콜에서 약정한 것이거나; 또는
    상기 제8 파라미터 및 상기 제8 파라미터의 값은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가 구성한 것이거나 또는 프로토콜에서 약정한 것이거나; 또는
    상기 제9 파라미터 및 상기 제9 파라미터의 값은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가 구성한 것이거나 또는 프로토콜에서 약정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 방법.
  21. 제18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6 파라미터, 제7 파라미터, 제8 파라미터 또는 제9 파라미터는,
    상기 단말 기기의 송신 안테나 또는 송신 채널의 수량;
    상기 단말 기기의 수신 안테나 또는 수신 채널의 수량;
    동시에 활성화한 업링크 컴포넌트 캐리어의 수량;
    동시에 활성화한 다운링크 컴포넌트 캐리어의 수량;
    PDCCH와 상기 PDCCH가 스케줄링한 PDSCH 간의 시간 간격;
    PDSCH와 대응하는 ACK 또는 NACK 간의 시간 간격;
    PDCCH와 상기 PDCCH가 스케줄링한 PUSCH 간의 시간 간격;
    PDSCH 처리 딜레이;
    PUSCH 준비 딜레이;
    다운링크 MIMO 레이어 수;
    업링크 MIMO 레이어 수;
    PDCCH 모니터링 주기;
    PDCCH 모니터링 오프셋;
    PDCCH 모니터링 지속 시간;
    비연속 수신(DRX) 주기;
    BWP의 대역폭;
    BWP의 식별자(ID);
    DC;
    non-DC;
    최대 업링크 전송 레이트;
    최대 다운링크 전송 레이트;
    상기 단말 기기가 동시에 처리한 CSI 리포트의 수량;
    상기 단말 기기가 동시에 처리한 빔 관리 리포트의 수량;
    상기 단말 기기가 동시에 수신하거나 또는 처리한 측정 자원의 수량;
    CSI 리포트 관련의 딜레이; 및
    빔 관리 리포트 관련의 딜레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 방법.
  22. 단말 기기에 응용되는 구성 방법에 있어서,
    네트워크 측 기기로 제2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제2 메시지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제10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0 파라미터는 상기 단말 기기가 동시에 처리한 CSI 리포트의 수량, 상기 단말 기기가 동시에 처리한 빔 관리 리포트의 수량, 상기 단말 기기가 동시에 수신하거나 또는 처리한 측정 자원의 수량, CSI 리포트 관련의 딜레이 및 빔 관리 리포트 관련의 딜레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로부터 상기 제2 메시지의 제2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피드백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10 파라미터의 값을 설정하거나; 또는 상기 제2 피드백 정보에 근거하여 신호 처리를 진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피드백 정보는,
    상기 제2 메시지의 ACK 또는 NACK;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에 구성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10 파라미터의 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 방법.
  24. 네트워크 측 기기에 응용되는 구성 방법에 있어서,
    단말 기기로부터 제2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2 메시지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제10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상기 각 제10 파라미터는 상기 단말 기기가 동시에 처리한 CSI 리포트의 수량, 상기 단말 기기가 동시에 처리한 빔 관리 리포트의 수량, 상기 단말 기기가 동시에 수신하거나 또는 처리한 측정 자원의 수량, CSI 리포트 관련의 딜레이 및 빔 관리 리포트 관련의 딜레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 및
    상기 단말 기기로 상기 제2 메시지의 제2 피드백 정보를 송신하여, 상기 단말 기기로 하여금 상기 제2 피드백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10 파라미터의 값을 설정하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제2 피드백 정보에 근거하여 신호 처리를 진행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피드백 정보는,
    상기 제2 메시지의 ACK 또는 NACK;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에 구성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10 파라미터의 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 방법.
  26. 단말 기기에 있어서,
    네트워크 측 기기로 제1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제1 송신 모듈 - 상기 제1 메시지는 상기 단말 기기의 절전 모드 또는 절전 레벨을 명시 또는 암시적으로 지시함 -;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로부터 상기 제1 메시지의 제1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제1 수신 모듈; 및
    상기 제1 피드백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단말 기기의 전력 소모와 관련된 하나 또는 복수개의 제1 파라미터의 값을 설정하기 위한 제1 처리 모듈; 을 포함하는 단말 기기.
  27. 네트워크 측 기기에 있어서,
    단말 기기로부터 제1 메시지를 수신 하기 위한 제2 수신 모듈 - 상기 제1 메시지는 상기 단말 기기의 절전 모드 또는 절전 레벨을 명시 또는 암시적으로 지시함 -;
    상기 단말 기기로 상기 제1 메시지의 제1 피드백 메시지를 송신하여, 단말 기기로 하여금 상기 제1 피드백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단말 기기의 전력 소모와 관련된 하나 또는 복수개의 제1 파라미터의 값을 설정하도록 하기 위한 제2 송신 모듈; 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측 기기.
  28. 단말 기기에 있어서,
    네트워크 측 기기로부터 상기 단말 기기의 절전 모드 또는 절전 레벨의 구성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제3 수신 모듈; 및
    상기 구성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단말 기기의 절전 모드 또는 절전 레벨에 대응되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제6 파라미터의 값을 설정하기 위한 제2 처리 모듈; 을 포함하는 단말 기기.
  29. 네트워크 측 기기에 있어서,
    단말 기기로 상기 단말 기기의 절전 모드 또는 절전 레벨의 구성 정보를 송신하여, 단말 기기로 하여금 상기 구성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단말 기기의 절전 모드 또는 절전 레벨의 하나 또는 복수개의 제6 파라미터의 값을 설정하도록 하기 위한 제3 송신 모듈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측 기기.
  30. 단말 기기에 있어서,
    네트워크 측 기기로 제2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제4 송신 모듈 - 상기 제2 메시지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제10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0 파라미터는 상기 단말 기기가 동시에 처리한 CSI 리포트의 수량, 상기 단말 기기가 동시에 처리한 빔 관리 리포트의 수량, 상기 단말 기기가 동시에 수신하거나 또는 처리한 측정 자원의 수량, CSI 리포트 관련 딜레이 및 빔 관리 리포트 관련 딜레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로부터 상기 제2 메시지의 제2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제4 수신 모듈; 및
    상기 제2 피드백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10 파라미터의 값을 설정하거나; 또는 상기 제2 피드백 정보에 근거하여 신호 처리를 진행하기 위한 제3 처리 모듈; 을 포함하는 단말 기기.
  31. 네트워크 측 기기에 있어서,
    단말 기기로부터 제2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제5 수신 모듈 - 상기 제2 메시지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제10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상기 각 제10 파라미터는 상기 단말 기기가 동시에 처리한 CSI 리포트의 수량, 상기 단말 기기가 동시에 처리한 빔 관리 리포트의 수량, 상기 단말 기기가 동시에 수신하거나 또는 처리한 측정 자원의 수량, CSI 리포트 관련 딜레이 및 빔 관리 리포트 관련 딜레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 및
    상기 단말 기기로 상기 제2 메시지의 제2 피드백 정보를 송신하여, 상기 단말 기기로 하여금 상기 제2 피드백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10 파라미터의 값을 설정하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제2 피드백 정보에 근거하여 신호 처리를 진행하도록 하기 위한 제5 송신 모듈;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측 기기.
  32. 단말 기기에 있어서,
    프로세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청구항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구성 방법에서의 단계를 구현하거나, 또는 청구항 제12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구성 방법에서의 단계를 구현하거나, 또는 청구항 제22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구성 방법에서의 단계를 구현하는 단말 기기.
  33. 네트워크 측 기기에 있어서,
    프로세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청구항 제7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구성 방법에서의 단계를 구현하거나, 또는 청구항 제17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구성 방법에서의 단계를 구현하거나, 또는 청구항 제24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구성 방법에서의 단계를 구현하는 네트워크 측 기기.
  34.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청구항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구성 방법에서의 단계를 구현하거나, 또는 청구항 제7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구성 방법에서의 단계를 구현하거나, 또는 청구항 제12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구성 방법에서의 단계를 구현하거나, 또는 청구항 제17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구성 방법에서의 단계를 구현하거나, 또는 청구항 제22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구성 방법에서의 단계를 구현하거나, 또는 청구항 제24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구성 방법에서의 단계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KR1020217001957A 2018-07-11 2019-07-03 구성 방법 및 기기 KR1024022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7017152A KR102522686B1 (ko) 2018-07-11 2019-07-03 구성 방법 및 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10757947.5A CN110719623B (zh) 2018-07-11 2018-07-11 配置方法和设备
CN201810757947.5 2018-07-11
PCT/CN2019/094521 WO2020011083A1 (zh) 2018-07-11 2019-07-03 配置方法和设备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7152A Division KR102522686B1 (ko) 2018-07-11 2019-07-03 구성 방법 및 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2097A true KR20210022097A (ko) 2021-03-02
KR102402230B1 KR102402230B1 (ko) 2022-05-25

Family

ID=6914184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1957A KR102402230B1 (ko) 2018-07-11 2019-07-03 구성 방법 및 기기
KR1020227017152A KR102522686B1 (ko) 2018-07-11 2019-07-03 구성 방법 및 기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7152A KR102522686B1 (ko) 2018-07-11 2019-07-03 구성 방법 및 기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11716684B2 (ko)
EP (1) EP3823364A4 (ko)
JP (1) JP7369763B2 (ko)
KR (2) KR102402230B1 (ko)
CN (1) CN110719623B (ko)
SG (1) SG11202100206TA (ko)
WO (1) WO202001108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05943B2 (en) * 2018-09-28 2022-08-02 Apple Inc. Cross-slot scheduling for New Radio
CN111436103B (zh) * 2019-02-02 2021-12-24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节能模式的切换方法、节能模式的配置方法及通信设备
CN116633515A (zh) * 2019-09-30 2023-08-22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节能信息的传输方法、基站及终端
US11696234B2 (en) * 2019-11-15 2023-07-04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dynamic configuration of channel state information processing units
WO2021212414A1 (zh) * 2020-04-23 2021-10-28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获取和提供配置信息的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3556805B (zh) * 2020-04-26 2022-09-27 荣耀终端有限公司 减少功耗的方法及终端
CN115379508A (zh) * 2021-05-21 2022-11-22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载波管理方法、资源分配方法及相关设备
US11856513B2 (en) * 2021-10-15 2023-12-26 Qualcomm Incorporated Network power mode pattern and switching configuration
KR20240041641A (ko) * 2022-09-23 2024-04-01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의 에너지 세이빙을 위한 방법 및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43562A (zh) * 2010-02-01 2011-08-0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机器到机器的省电方法及装置
CN103581884A (zh) * 2012-07-20 2014-02-1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辅助信息配置方法、用户设备和网络侧设备
KR20160131092A (ko) * 2014-05-08 2016-11-15 인텔 아이피 코포레이션 Ran 노드들에 절전 모드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사용자 장비 및 방법들
US20170013561A1 (en) * 2014-03-21 2017-01-12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s and Network Nod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95000B2 (en) * 2007-04-25 2016-03-22 Kyocera Corporation Power management in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configuration version
US8422984B2 (en) * 2008-02-01 2013-04-16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systems for configuration and activation of power saving classes by a mobile station in a sleep mode
US8295217B2 (en) * 2008-07-11 2012-10-23 Acer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a device power savings class
CN101729325B (zh) 2008-10-21 2012-10-1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用于宽带无线接入系统的省电模式设置方法及系统
US9407391B2 (en) * 2012-05-11 2016-08-02 Intel Corporation User equipment power savings for machine type communications
US9515757B2 (en) * 2012-05-11 2016-12-06 Intel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enhanced user equipment assistance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KR101712302B1 (ko) 2013-02-05 2017-03-03 애플 인크. 접속 모드 불연속 수신의 소비전력 감소
CN104066076B (zh) 2013-03-22 2019-01-15 华为终端(东莞)有限公司 移动终端参数配置方法及参数配置装置
MX2015014367A (es) * 2013-04-30 2015-12-07 Sony Corp Cambio de modo de potencia iniciado en la terminal.
JP2019091960A (ja) 2016-03-30 2019-06-13 シャープ株式会社 端末装置および方法
WO2018008980A1 (ko) * 2016-07-05 2018-01-11 엘지전자(주)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가 선호하는 자원 운용 선택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EP3471314B1 (en) 2016-08-11 2021-10-27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reporting channel stat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WO2018031623A1 (en) 2016-08-11 2018-02-15 Intel Corporation Flexible transmission time interval and on slot aggregation for data transmission for new radio
US10574309B2 (en) * 2017-04-14 2020-02-25 Qualcomm Incorporated Feedback techniques in wireless communications
US10673605B2 (en) * 2017-06-15 2020-06-02 Apple Inc. Semi-static and dynamic TDD configuration for 5G-NR
US10834777B2 (en) * 2018-01-11 2020-11-10 Ofinnon, LLC Discontinuous reception and CSI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43562A (zh) * 2010-02-01 2011-08-0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机器到机器的省电方法及装置
CN103581884A (zh) * 2012-07-20 2014-02-1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辅助信息配置方法、用户设备和网络侧设备
US20170013561A1 (en) * 2014-03-21 2017-01-12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s and Network Nod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KR20160131092A (ko) * 2014-05-08 2016-11-15 인텔 아이피 코포레이션 Ran 노드들에 절전 모드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사용자 장비 및 방법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823364A4 (en) 2021-09-29
JP7369763B2 (ja) 2023-10-26
JP2021524711A (ja) 2021-09-13
KR102522686B1 (ko) 2023-04-17
US20230292236A1 (en) 2023-09-14
CN110719623B (zh) 2021-05-04
US20210120489A1 (en) 2021-04-22
CN110719623A (zh) 2020-01-21
SG11202100206TA (en) 2021-02-25
US11716684B2 (en) 2023-08-01
EP3823364A1 (en) 2021-05-19
KR102402230B1 (ko) 2022-05-25
KR20220073860A (ko) 2022-06-03
WO2020011083A1 (zh) 2020-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2230B1 (ko) 구성 방법 및 기기
JP7229373B2 (ja) 省電力モードの切替方法、省電力モードの配置方法及び通信機器
WO2020034857A1 (zh) Csi报告配置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US2023024675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and terminal
KR20190089216A (ko) 반영구적 csi-rs에 대한 신뢰성있는 동적 표시를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US20190280803A1 (en) Rate Matching
EP3672342B1 (en) Signal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EP3700282A1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uplink control information
WO2021204208A1 (zh) 信道状态信息csi报告的确定方法和通信设备
WO2021160149A1 (zh) 信道状态信息csi报告的反馈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EP3890407A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WO2020221111A1 (zh) 一种调度切换方法及装置
US20210266926A1 (en) Channel state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US2023023987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and configuring uplink channel parameter
KR20210100721A (ko) 단말 에너지 절약 제어 방법, 장치 및 기기
EP4016892A1 (en) Method for transmitting sidelink channel stat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apparatus
WO2019157637A1 (zh) 一种通信方法及装置
WO2018082510A1 (zh) 信道状态信息反馈的方法与装置
WO2021017765A1 (zh) 通信方法和通信装置
WO2019134570A1 (zh) 信道状态信息的测量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WO2018202058A1 (zh) 一种混合信道质量测量方法和用户设备
EP3499950B1 (en) Channel measurement method and user equipment
KR20230074221A (ko) 채널 상태 정보 결정 방법, 보고 설정 결정 방법, 장치 및 관련 장비
WO2013063802A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triggering generation of channel status information via a downlink grant
WO2022253135A1 (zh) 一种信息传输方法、装置、终端及网络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