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1083A - 에너지 효율적인 시스템 동작을 위한 참조 신호 구성 - Google Patents

에너지 효율적인 시스템 동작을 위한 참조 신호 구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1083A
KR20210021083A KR1020217001972A KR20217001972A KR20210021083A KR 20210021083 A KR20210021083 A KR 20210021083A KR 1020217001972 A KR1020217001972 A KR 1020217001972A KR 20217001972 A KR20217001972 A KR 20217001972A KR 20210021083 A KR20210021083 A KR 202100210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equipment
drx cycle
length
discontinuous reception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19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4146B1 (ko
Inventor
요르마 요하네스 카이코넨
티모 코스켈라
라스 달스가드
Original Assignee
노키아 테크놀로지스 오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키아 테크놀로지스 오와이 filed Critical 노키아 테크놀로지스 오와이
Priority to KR10202270244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04294A/ko
Publication of KR202100210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10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41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41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04W52/0216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using a pre-established activity schedule, e.g. traffic indication fra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8Discontinuous transmission [DTX]; Discontinuous reception [DRX]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ar Systems Or Details Thereof (AREA)
  • Measurement Of Radiation (AREA)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너지 효율적인 시스템 동작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참조 신호 구성에 관한 장치,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및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제공한다. 장치는 불연속 수신이 사용자 장비에 적용되는지를 결정하고, 불연속 수신이 적용되는 것으로 결정되면, 사용자 장비의 활성 시간 이외에서 신호가 존재하는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에너지 효율적인 시스템 동작을 위한 참조 신호 구성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는 에너지 효율적인 시스템 동작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참조 신호 구성에 관한 장치, 방법, 시스템, 컴퓨터 프로그램,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및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관한 것이다.
약어 및 정의:
3GPP 3 세대 파트너십 프로그램
BM 빔 관리(Beam Management)
CORESET 제어 자원 세트(Control Resource Set)
CRS 셀 특정 참조 신호(Cell-specific Reference Signal)
CSI 채널 상태 정보(Channel State Information)
C-DRX 연결 모드 DRX(Connected mode DRX)
DL 다운링크(Downlink)
DRX 불연속 수신(Discontinuous Reception)
DTX 불연속 송신(Discontinuous Trasnsmission)
FR 주파수 범위(Frequency Range)
gNB 차세대 노드B(Next Generation NodeB)
LTE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MAC-CE 매체 액세스 제어-제어 요소(Medium Access Control-Control Element)
NR 뉴 라디오(New Radio)
PDCCH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SCH 물리 다운링크 공유 채널(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UCCH 물리 업링크 제어 채널(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QCL 의사 코로케이션(Quasi co-location)
RRC 무선 자원 관리(Radio Resource Management)
RS 참조 신호(Reference Signal)
RSRP 참조 신호 수신 전력(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SS 동기 신호(Synchronization Signal)
SSB 동기 신호 블록Synchronization Signal Block
TCI 전송 구성 표시(Transmission Configuration Indication)
TXRU 송수신기 유닛(Transceiver Unit)
UE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L 업링크(Uplink)
본 발명의 특정 양태는 3GPP NR 물리 계층 설계에 관련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특정 양태는 C-DRX가 구성되는 동안 빔 관리 및/또는 L3 이동성 측정과 보고 및/또는 스케줄링을 수행할 때의 UE 거동에 관련된다.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의 목적은 에너지 효율적인 시스템 동작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참조 신호 구성에 관련한 장치, 방법, 시스템, 컴퓨터 프로그램,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및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의 양태에 따르면,
불연속 수신이 사용자 장비에 적용되는지를 결정하는 단계,
불연속 수신이 적용되는 것으로 결정되면, 사용자 장비의 활성 시간 이외에서 신호가 존재하는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채널 상태 정보 참조 신호(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 CSI-RS)가 존재하는 시간 윈도우를 검출하는 단계,
사용자 장비에 적용되는 불연속 수신 사이클(discontinuous reception cycle, DRX)의 길이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여기서 시간 윈도우의 길이는 DRX 사이클의 길이에 따라 달라진다.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의 양태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명령어를 저장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장치가 제공되며,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명령어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함께, 장치로 하여금 적어도,
불연속 수신이 사용자 장비에 적용되는지를 결정하는 단계,
불연속 수신이 적용되는 것으로 결정되면, 사용자 장비의 활성 시간 이외에서 신호가 존재하는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수행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명령어를 저장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장치가 제공되며,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명령어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함께, 장치로 하여금 적어도,
채널 상태 정보 참조 신호(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 CSI-RS)가 존재하는 시간 윈도우를 검출하는 단계,
사용자 장비에 적용되는 불연속 수신 사이클(discontinuous reception cycle, DRX)의 길이를 검출하는 단계를 수행하게 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시간 윈도우의 길이는 DRX 사이클의 길이에 따라 달라진다.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의 양태에 따르면,
불연속 수신이 사용자 장비에 적용되는지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 및
불연속 수신이 적용되는 것으로 결정되면, 사용자 장비의 활성 시간 이외에서 신호가 존재하는지를 결정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가 제공된다.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의 양태에 따르면,
채널 상태 정보 참조 신호(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 CSI-RS)가 존재하는 시간 윈도우를 검출하기 위한 수단,
사용자 장비에 적용되는 불연속 수신 사이클(discontinuous reception cycle, DRX)의 길이를 검출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가 제공되며,
여기서 시간 윈도우의 길이는 DRX 사이클의 길이에 따라 달라진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컴퓨터의 메모리에 로드될 때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임의의 방법의 단계를 생성하도록 적응된 코드 수단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위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제공되며, 여기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소프트웨어 코드 부분이 저장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위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제공되며, 여기서 프로그램은 처리 디바이스의 내부 메모리로 직접 로드된다.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의 양태에 따르면, 위에서 제시된 바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추가 양태 및 특징은 종속 항에 제시된다.
이들 및 다른 목적, 특징, 세부 사항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취해질 다양한 양태/실시예에 관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보다 완전히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CSI-RS 주기성과 UE C-DRX 사이클을 예시하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특정 양태에 따른 CSI-RS 존재 윈도우의 예를 예시하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특정 양태에 따른 CSI-RS 현재 시간 윈도우와 DRX 사이클 길이 사이의 관계를 예시하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특정 양태에 따른 방법의 예를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특정 양태에 따른 방법의 다른 예를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특정 양태에 따른 장치의 예를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본 개시 내용은 특정의 비제한적인 예 및 현재 상상할 수 있는 실시예인 것으로 간주되는 것과 관련하여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다.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본 개시 내용은 결코 이러한 예 및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고, 더 광범위하게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다음에서, 본 개시 내용 및 실시예의 일부 예시적인 버전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다양한 실시예를 예시하기 위해, 예 및 실시예는 3GPP 기반 통신 시스템, 예를 들어 LTE/LTE-A 기반 시스템, 5G/NR 시스템 등에 기초한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와 관련하여 설명될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명세서에 주어진 예시적인 실시예의 설명은 구체적으로 그와 직접적으로 관련된 용어를 언급한다. 이러한 용어는 제시된 비제한적인 예 및 실시예의 맥락에서만 사용되며, 당연히 본 개시 내용을 어떤 방식 으로든 제한하지 않는다. 오히려, 임의의 다른 시스템 구성 또는 배치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것 및/또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예시적인 실시예가 그에 적용 가능하다는 것을 준수하는 한 동일하게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는 이러한 타입의 통신 시스템 또는 통신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에 제한되지 않고 다른 타입의 통신 시스템 또는 통신 네트워크에도 적용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
LTE 연결 모드 DRX(Connected mode DRX)는 UE가 TS 36.321 섹션 5.7에서 정의된 규칙 및 파라미터에 따라 PDCCH를 불연속적인 방식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결정되었다. UE가 PDCCH를 모니터링할 필요가 없을 때, UE는 수신기 하드웨어를 턴 오프하고 수신기 전력 소비를 줄일 수 있다. TS 36.321(섹션 5.7)에서 제시된 가장 관련성 있는 파라미터는 다음과 같다:
- drx-InactivityTimer, 이것은 DL 및/또는 UL 활동이 중단된 후에 얼마나 빨리 UE가 불연속 PDCCH 모니터링을 적용하기 시작할 수 있는지를 결정한다. 일단 drx-InactivityTimer가 만료되면, UE는 onDurationTimer 동안만 매 DRX 사이클마다 한 번씩 PDCCH를 모니터링해야 한다. 두 개의 상이한 DRX 사이클: shortDRX-Cycle(선택 사항) 및 longDRX- Cycle이 구성될 수 있다.
- shortDRX-Cycle에 따른 PDCCH 불연속 모니터링 패턴이 먼저 적용되고 (구성된 경우라면) longDRX-Cycle 이 뒤이어 진다.
- onDurationTimer는 (다른 규칙에 의해 요구되지 않는 한) UE 가 매 DRX 사이클마다 PDCCH를 모니터링하는데 필요한 최소 활성 시간을 결정한다.
- 정의된 shortDRX-Cycle이 없을 때 또는 (단기 DRX 사이클을 적용한 후에 얼마나 빨리 UE가 장기 DRX를 사용하기 시작할 수 있는지를 결정하는) drxShortCycleTimer이 만료될 때, UE는 longDRX-Cycle에 따라 불연속적인 방식으로 PDCCH를 모니터링하기 시작할 수 있다.
DRX 사이클은 가능한 비활성 기간이 뒤따르는 온 지속기간(on duration)의 주기적 반복을 명시한다.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의 맥락에서 또 다른 관련 있는 규칙은 (DL 또는 UL에서) PDCCH에 의해 새로운 전송이 UE에 시사되면, UE는 drx-InactivityTimer를 재 시작해야 한다.
L3 이동성을 이용한 C-DRX 및 CSI-RS 측정에 관련된 다음과 같은 합의가 RAN1 #90에서 체결되었다:
- UE는 활성 시간 이외에서 L3 이동성을 위해 구성된 CSI-RS를 측정할 필요가 없다.
- C-DRX 활성 시간의 정확한 정의는 RAN2에 따라 달라진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 이러한 맥락에서, RAN1에 의해 참조되는 활성 시간은 UE가 onDuration에서 또는 gNB 활동에 의해 트리거되는 임의의 타이머로 인해 PDCCH를 모니터링하고 있을 때
● 즉, 'onDurationTimer', 'drx-InactitivityTimer' 또는 'drx-RetransmissionTimer' 중 어느 하나가 실행 중일 때
의 시간과 관련된다.
- FFS(추가 연구 대상):
○ L3 이동성을 위해 CSI-RS가 C-DRX 동작을 위한 C-DRX UE의 활성 시간 내에서만 구성되는지 여부
○ UE가 L3 이동성을 위해 구성된 CSI-RS 자원이 활성 시간 이외에서 존재한다고 추정하지 않아야 하는지 여부.
동일한 회의(RAN1 #90)에서 BM에 사용될 수 있는 RS에 관한 합의에 도달했다:
● 빔 관리 절차를 위해 SS 블록에 관한 측정의 L1-RSRP 보고를 지원한다
● 빔 관리를 위해 L1-RSRP 보고에 대해 다음의 구성이 지원된다
- SS 블록만(UE가 필수 지원함)
- CSI-RS만(UE가 필수 지원함)
- SS 블록 + CSI-RS의 독립적 L1 RSRP 보고
● QCL된 SS-block + CSI-RS를 사용하는 공동 L1-RSRP는 선택적으로 UE에 의해 지원됨(선택적으로는 UE가 지원함).
아래에서는 RAN2 #75bis의 C-DRX와 관련된 합의 내용이 설명된다:
● MAC 엔티티는 임의의 주어진 시간에 하나의 DRX 상태(즉, 단일 온/오프 시간)에 있을 수 있다. 다중 구성이 지원되는 경우라면, FFS.
● MAC 엔티티는 깨어있을 때, "PDCCH" 상황을 모니터링한다.
● NR에서, DRX 구성은 적어도 다음과 같은 구성 파라미터에 의해 서술된다: 온 지속기간 시간(on duration time), 비활성 시간(inactivity time), 재전송 시간(retransmission time), 단기 DRX 사이클(short DRX cycle), 장기 DRX 사이클(long DRX cycle).
NR의 목표 중 하나는 네트워크 에너지 소비를 줄이는 것이었다. 이를 가능하게 하는 하나의 접근 방식은 상시 작동(always-on) 신호의 수량과 주기성을 줄이는 것이었다. C-DRX는 UE의 전력 소비 개선을 위한 매력적인 특징으로, UE가 CONNECTED 모드에 유지될 수 있게 하여 대기 시간을 최소화한다. CRS가 항상 사용 가능했던 LTE에서는 RS의 전송 시 UE DRX 활동을 고려할 필요가 없었다. NR에서, 유일한 상시 작동 신호는 SSB뿐이고 CSI-RS는 구성된다면 존재할 뿐이다. 동작 관점에서, 필요한 측정 주기성과 활동은 상이하다, 즉, DRX UE는 임의의 데이터 활동이 없으므로 덜 빈번하게 측정하도록 허용될 수 있는 반면, UE가 데이터 활동이 있을 때는 더 빈번한 측정이 필요하다. CSI-RS 구성에 대한 현재 합의는 기본적으로 네트워크를 몇 가지 옵션으로 제한한다:
- (UE가 활성 상태일지라도) C-DRX 사이클에 기초하여 구성되는 것에 대응하는 주기성으로 CSI-RS 자원을 아주 드물게 하여, 오버헤드를 줄이되 측정/보고를 위한 대기 시간을 늘리고, 측정 보고는 CSI-RS 주기성에 따름, 또는
- CSI-RS를 예를 들어 BM(beam management) 대기 시간(laency)의 목표를 충족하는 주기성으로 구성하되, (UE는 onDuration/활성 시간 동안만 측정을 수행해야 하므로) C-DRX UE 측정 성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네트워크가 이러한 CSI-RS를 상기 주기성으로 상시 작동하게 함, 또는
- UE가 DRX에 들어갈 때/나올 때, 모든 전이 지점(transition point)에서 CSI-RS 자원 주기성을 구성하고 재구성함.
그래서, 더 상세하게 말해서, 과거의 기여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RAN1 #90 이후 및 RAN1 #90에서 체결된 합의에서 위의 FFS 사항과 관련된 UE 거동의 측면에서 공개된 양태보다 먼저(예를 들면, Nokia의 R1-178616 및 R1-1807175로부터), 네트워크가 예를 들어 L3 이동성 또는 빔 관리 또는 스케줄링을 위해 CSI-RS를 구성할 수 있는 방법 및 활성 시간 이외에서 구성된 CSI-RS 자원의 존재에 관한 UE 추정이 있다고 생각된다. 합의의 하위 글 머리 기호(sub bullet)에서 언급되었듯이, 이러한 맥락에서 활성 시간은 UE가 onDurationTimer에 기초하여 또는 gNB 활동에 의해 트리거된 임의의 타이머로 인해 PDCCH를 모니터링하는 때의 시간을 말한다.
TS 36.133에서 정의된 LTE RRM 요구 사항은 C-DRX가 구성되고 있다고 추정하는 것, 및 성능 요구 사항은 DRX 사이클의 활성 시간에 기초하여 결정된다는 것을 유의하는 것이 또한 좋다. 대부분의 테스트 사례에서, UE는 (drx-InactivityTimer 를 계속 실행시키고) UE가 불연속 모니터링을 시작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PDCCH에 의해 어드레싱되고 있으며 성능 요구 사항은 C-DRX가 구성되지 않는 경우와 동일하다.
따라서, UE 거동(즉, PDCCH 모니터링)을 결정하는 규칙은 만일 데이터 활동이 있고 UE가 어느 정도 연속적으로(매 drx-InactivityTimer마다 만료되기 전에 적어도 한번씩) 스케줄링된다면, UE는 활성 시간에 머무르고 PDCCH를 모니터링할 것이라는 결과를 가져온다. 사용자 경험 관점에서, 데이터 활동이 있을 때, 이동성 측정 기준이 더 엄격해야 한다는 것이 또한 분명한다. RAN4에서 성능 요구 사항은 UE 이동성 측정 요구 사항이 C-DRX가 구성되지 않은 경우와 동일한 기준을 따라야 한다고 결정하고 있다. UE가 불연속 모니터링(DRX)를 시작하도록 허용될 때(예를 들어, 지속기간 drx-InactivityTimer 동안 UE를 어드레싱하는 PDCCH 활동이 없었을 때), 연장된 이동성 절차가 사용자 경험에 미치는 영향은 덜 심각하며, (RAN4 요구 사항에 따라) UE는 측정을 덜 빈번하게 수행하도록 허용될 수 있다.
이러한 논의에 기초하여, 네트워크는 UE의 활성 시간에서 CSI-RS 자원을 구성할 수 있게 해주어야만 하고, 만일 네트워크가 UE의 데이터 활동과 매칭하는 이동성 성능을 보장하기를 원하면, 네트워크는 매 전이 지점(DRX ON-OFF-ON)마다 (예를 들어, L3 이동성 또는 빔 관리 또는 스케줄링을 위해) CSI-RS 자원 재구성을 잠재적으로 수행해야 한다. 즉, 구성된 비활성 타이머 지속기간의 지속기간 동안 어떠한 데이터 활동도 없었을 때, UE는 DRX 모드로 들어가고 PDCCH를 비연속적으로 모니터링하도록 허용될 수 있고, 네트워크는 CSI-RS 자원을 재구성하고 구성된 DRX 사이클에 대응하는 주기성을 적용해야 한다. 당연히, 임의의 활동은 (drx-InactivityTimer를 재설정하는 것으로 인해) 활성 시간을 연장시킨다. 저마다, 데이터 활동이 시작되고 네트워크가 UE로 하여금 더 빈번한 CSI-RS 측정을 수행할 수 있게 함으로써 이동성 성능을 보장하고자 할 때, 네트워크는 재구성을 수행하고 CSI-RS의 주기성을 (더 빈번해지도록) 변경해야 한다. 짧은 전송 버스트의 경우, 결과는 연속적이고 빈번한 재구성이 초래되어, 신호 오버헤드 및 에너지 소비를 증가시킨다.
당연히 네트워크는 항상 추정될 수 있는 활성 시간, 즉 매 longDRX- Cycle 마다 적용되는 onDurationTimer에 대응하는 단일 구성을 사용할 수 있다. 이것은 CSI-RS 기반 이동성 성능이 DRX 사이클에 기초한 정적 구성으로 인해 활성 시간 동안에도 제한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네트워크가 UE의 활성 시간 내에서만 CSI-RS 자원을 구성할 수 있다는 요구 사항은 L3 이동성 또는 빔 관리 또는 스케줄링을 위해 CSI-RS를 사용하는 것을 심각하게 방해할 것이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UE 활성 시간 또는 DRX와 그 다음으로는 CSI-RS 구성 그리고 마지막으로는 UE 이동성 성능 및 견고성 사이에 일부 관련이 있어야 하므로 전체 시스템 구성 유연성에 제한을 또한 추가할 수 있다. 이러한 관련성은 매력적이지 않으며 시스템 설계를 복잡하게 만든다.
따라서 CSI-RS 구성을 위한 네트워크측 유연성을 보존하고 UE DRX 구성에 기초한 구성의 변경/적응의 필요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네트워크가 L3 이동성, 빔 관리 및/또는 스케줄링을 위한 CSI-RS를 보다 유연한 방식으로 구성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UE DRX 구성은 변경될 수 있으므로 네트워크가 UE 활성 기간 이외에서 CSI-RS 자원을 구성하지 않도록 하는 임의의 제한 사항이 없어야 하되, CSI-RS 구성을 조정할 필요는 없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활성 데이터 전송을 위해, 데이터에 대한 활성 빔을 충분히 빈번하게 업데이트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서는 RS(즉, CSI-RS)가 빈번하게 전송되어 측정 및 보고를 가능하게 해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은 상당한 자원 오버헤드를 초래할 것이고, 불필요하게 유지 관리해야 할 필요가 없어야 한다. 그러므로 UE가 C-DRX로 구성되고, 데이터 활동이 중단되어 UE가 전력 보존을 시작할 수 있도록 한다면, 이미 합의한 바와 같이 이러한 자원을 존재시킬 필요가 없고, UE는 활성 시간 이외에서 CSI-RS를 측정할 필요가 없다. 이러한 오버 헤드를 방지하기 위해, 위에서 논의한 바와 같이, 네트워크는 데이터 활동(RRC 시그널링)의 종료시 구성을 변경해야 하고, 데이터 활동이 시작될 때는, 예를 들어, onDuration의 시작시에는 구성을 다시 변경해야 한다. 이것은 상당한 RRC 오버 헤드를 초래하고 바람직하지 않을 것이다. 그래서 CSI-RS 자원 구성은 네트워크 제어하에 유지되어야 하며 C-DRX와는 독립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제 위에서 제안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가 완전한 유연성을 갖고 C-DRX와는 독립적으로 CSI-RS 자원을 구성한다고 추정하고 (UE가 불연속 PDCCH 모니터링을 적용하는 동안 전력을 보존할 수 있게 하는) UE가 활성 시간 이외에서 CSI-RS를 측정할 필요가 없다는 마지막 회의에서의 합의 사항을 고려하면, 활성 시간 이외에서 발생하는 CSI-RS 자원에 대한 추정이 무엇이어야 하는지 의문이 남는다. LTE에서, 상시 작동하는 RS, CRS의 존재로 인해, UE는 활성 시간 이외에서도 측정을 수행하는 완전한 유연성을 갖고 있다.
NR에서, 상시 작동하는 신호는 원칙적으로 SS 블록뿐이며, CSI-RS 전송은 네트워크 구성에 따라 달라진다. 따라서, LTE CRS에서와 달리, NR에서 UE는 CSI-RS에 대한 임의의 사전 추정(pre-assumption)을 취할 수 없고 그래서 항상 NW에 의해 주어진 구성에 기초하여 측정을 수행해야 한다.
그러므로 CSI-RS가 활성 시간 이외에서 존재한다는 것을 UE가 추정하지 않을 수 있는 것으로 결정하게 되면 UE 거동에 어떠한 심각한 복잡성도 초래하지 않고, 차례로 네트워크가 UE 활성 시간 이외에서 발생하는 CSI-RS의 전송을 생략함으로써 자원과 에너지를 보존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네트워크가 예를 들어 L3 이동성, 빔 관리 및/또는 스케줄링을 위해 주기적으로 CSI-RS를 전송하는 예를 도시한다. UE는 파선 화살표로 표시된 자원이 존재한다고 추정해서는 안되며 (실선 화살표로 표시된) 활성 시간 내에 발생하는 자원(실선 화살표로 표시됨)만을 사용한다.
따라서, UE는 예를 들어 연결 모드 DRX 활성 시간 이외에서 L3 이동성을 위해 구성된 CSI-RS 자원의 존재를 추정해서는 안된다고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것은 지금까지 RAN1에서 합의되지 않았다.
gNB 절전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따른 대안적인 접근 방식이 제안된다.
또한, 특히 FR2(NR의 주파수 범위 2, 즉, 6GHz 초과)의 경우, 절전을 위해 DRX 모드로 들어가는 UE는 효과적으로 수신기 체인을 완전히 턴 오프할 수 있다 - 즉, UE는 어떤 신호도 수신하지 않을 수 있다. 이것은 CSI-RS 및/또는 SS/PBCH 블록과 같은 임의의 다운링크 참조 신호(downlink reference signal)(DL RS)를 포함할 수 있다. FR2에서, UE는 UE Rx 빔 포밍을 적용할 것이고(FR1에서, UE는 전 방향성 안테나 패턴을 갖는 것으로 추정함) 하나를 초과하는 안테나 패널을 가질 것이다(이것은 RAN4에서의 기본 추정이고 FR2의 경우 RAN4에서 UE 요구 사항을 정의할 때 사용되는 것임).
그러나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UE는 DRX 사이클의 각 온 지속기간 동안 적어도 DL 스케줄링 신호/요청을 수신하기 위해 깨어나서 수신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그 전에 UE는 어느 RX 빔이 DL 수신에 가장 적합한지를 측정하고 정제/검출할 기회도 가져야 하며, 다시 말해서, UE는 DRX 사이클의 활성 시간에 들어갈 때 RX 빔이 PDCCH 수신을 위해 정렬되는지를 결정할 수 있어야 한다. DL RS(CSI-RS)가 활성 시간 외에 존재하지 않으면, 이것은 불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 양태에 따르면, (C-DRX를 이용하여) 활성 시간 이외에서 (구성된) CSI-RS 자원의 존재가 적용된 DRX 사이클의 기간/길이에 종속한다고 결정하는 것이 제안된다. 적용된 C-DRX 사이클 길이가 특정 임계 값 미만이면, UE는 네트워크에 의해 구성된 구성되어진 CSI-RS 자원이 항상 존재한다고 추정할 수 있고, 반면에 C-DRX 사이클 길이가 임계 값을 초과하면, 이러한 자원은 존재하는 것으로 추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방법은 예로서 C-DRX(Connected Mode DRX)를 사용하여 설명되지만, UE가 IDLE 모드에서도 참조 신호 구성을 결정 또는 유지할 수 있다면, 방법은 IDLE 모드 DRX에 대해서도 유사한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다. 예에서, UE는 연결 모드에서 획득된 CSI-RS 구성을 유지할 수 있거나 또는 UE는 브로드캐스트 정보(시스템 정보(system information, SIB))로부터 빔 관리/L3 이동성 참조 신호 구성을 결정할 수 있다. IDLE 모드 DRX 사이클에서, 활성 시간은 UE가 페이징 메시지 수신을 위해 PDCCH를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된 상황에 대응한다. 활성 시간 이외에서, UE는 PDCCH를 모니터링할 필요가 없지만 빔 관리 및 계층 3 이동성을 위한 측정을 수행해야 할 수 있다. 또한, IDLE 및 CONNECTED 모드 DRX 외에도, UE가 비활성 모드에서도 이동성(또는 빔 관리) 참조 신호 구성(CSI-RS 구성)을 추정할 수 있는 경우 및 DRX가 적용되는 경우에 방법은 비활성 모드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정 양태에 따르면, shortDRX-cycle 이 PDCCH 모니터링에 적용되면 UE는 구성된 CSI-RS 자원이 onDuration 이외에서 존재한다고 추정할 수 있고, longDRX-cycle이 PDCCH 모니터링에 적용될 때는 자원이 onDuration 시간에서만 존재한다고 추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 양태에 따르면, UE가 CSI-RS 자원이 적어도 존재한다고 추정할 수 있는 시간 윈도우가 구성된다. 이러한 윈도우는 적용된 DRX 사이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여기서 시간 윈도우는 onDuration과 같거나 더 길 수 있고 및/또는 onDuration을 포함할 수 있다. 시간 윈도우는 또한 onDuration 이전의 특정 시간을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onDuration과 겹칠 수도 있다.
UE가 CSI-RS가 존재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는 기간 또는 윈도우 길이는 UE 비활성 시간 및/또는 DRX 주기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즉, DRX 사이클이 특정 기간 미만이면, CSI-RS 존재인 윈도우 길이는 예를 들어 X가 되고, 반면에 DRX 사이클이 특정 임계 값을 초과하면, CSI-RS 존재 기간은 예를 들어 2X가 될 수 있다. 윈도우 길이는 슬롯, 서브프레임, 밀리 초 또는 심볼 시간 등으로 표현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CSI-RS 존재 기간과 링크된 하나 이상의 임계 값이 있을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방법에 따르면, CSI-RS 자원의 존재는 실행 중인 또는 재설정되는 비활성 타이머와 같은 일부 타이머의 활동에 기초하여 더 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 양태에 따른 제 1 예에서, DRX 사이클 당 CSI-RS 자원의 존재(CSI-RS가 활성 시간 이외에서 존재하는지 여부), 즉, CSI-RS 자원별로 단기(short)/장기(long)가 구성된다. 이것은 CSI-RS 구성의 일부로서 또는 DRX 구성(RRC 정보 요소)으로서 시그널링될 수 있다. 구성이 CSI-RS 자원 구성의 일부인 경우, 자원이 활성 시간 이외에서 (또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시간 윈도우 동안) 존재할 것으로 예상될 수 있는지를 표시하는 특정 필드가 사용될 수 있다. CSI-RS의 존재는 또한 DRX 구성의 일부일 수도 있다.
세 가지 옵션(단기(short), 장기(long), notPresent)이 CSI-RS 자원 또는 자원 세트 구성의 일부로서 시그널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기 DRX 사이클이 구성되는 경우, UE는 자원 또는 자원 세트가 단기 DRX에 존재하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NotPresent는 자원이 활성 시간 외에서 존재한다고 추정될 수 없음을 표시한다. 또한, 장기 DRX이 표시되는 경우, UE는 CSI-RS가 장기 DRX 동안에도 존재한다고 추정할 수 있다. CSI-RS 자원은 단기 및 장기 DRX 동안에도 존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이것은 UE 요구 사항 또는 거동으로서 (또는 구성에 추가하여) 명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CSI-RS 구성에 기초하여 UE는 활성 시간 이전에 구성된 다수의 CSI-RS를 사용할 것이다. 개수는 명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 양태에 따른 제 2 예에서, CSI-RS 세트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단기와 장기 DRX 및 활성 모드에서 서브세트이거나 또는 상이할 수 있다:
- 단기 DRX에서, UE는 CSI-RS 자원 또는 CSI-RS 자원 세트(setCSI-RS_1)를 추정할 수 있으며, 장기 DRX에서 UE는 자원이 겹치지 않거나, 부분적으로/완전히 겹치는 setCSI-RS_2를 추정할 수 있다(CSI-RS 신호의 일부 또는 전부는 두 세트에서 동일하다). 또는 구성은 (setCSI-RS_3일 수 있는) 활성 시간에서 구성된 것과 유사하게 표시될 수 있다.
- 대안적으로, UE는 단기 DRX에서 setCSI-RS_1a의 세트를 추정하고 장기 DRX에서 setCSI-RS_1b를 추정할 수 있으며, 여기서 setCSI-RS_1b는 setCSI-RS_1a의 서브세트이다.
본 발명의 특정 양태에 따른 제 3 예에서, 네트워크는 UE가 예를 들어 CSI-RS가 존재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는 RS 윈도우를 사용하여 UE를 구성한다. 제 1 예에서, 이러한 RS 윈도우는 On-duration과 정렬/겹칠 수 있다. 제 2 예에서, 이러한 RS 윈도우는 On-duration과 부분적으로 겹치고 그 앞에 있을 수 있다. 제 3 예에서, 이러한 RS 윈도우는 독립형(stand-alone)일 수 있다(On-duration과 이따금/전혀 정렬/겹침 없음).
본 발명에 따른 제 4 예는 이들 3 가지 예의 조합이다. 이것은 도 2에 예시된다.
도 2는 전술한 예 1 내지 4에 따른 CSI-RS 존재 윈도우의 예시를 보여준다.
구성된 CSI-RS 자원이 활성 시간 이외에서 네트워크에 의해 동적으로 디스에이블되도록(전송되지 않도록) 하면, (CSI-RS 전송을 줄이고 다른 것을, 예를 들어 데이터를 다른 사용자에게 전송함으로써) 네트워크가 자원 활용을 개선하고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을 것이고 및/또는 빈번한(RRC 기반) 재구성을 도입하지 않으면서 송신기를 디스에이블함으로써 전송될 것이 아무 것도 없는 경우 전력을 보존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은 (비제한적인 예로서) 하나의 임계 값과 두 개의 상이한 DRX 사이클을 사용하는 DRX 사이클의 함수로서 CSI-RS 존재 기간을 예시한다.
도 3의 예에서 CSI-RS 존재 시간 또는 윈도우는 DRX 사이클 길이에 따라 달라진다. 도 3의 예 1과 비교한 예 2에서, CSI-RS 존재 윈도우 길이는 DRX 사이클 길이가 두 배가 됨에 따라 두 배가된다. 즉, CSI-RS가 on-duration과 함께 존재하는 시간과 DRX 사이클 길이 사이에는 (이 예에서) 선형 종속성이 있다. 다른 단계적 접근 방식도 가능하며, 즉, 종속성은 선형일 필요는 없지만 아래에 예시된 바와 같은 표에 기초할 수 있다.
Figure pct00001
즉, 위의 표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DRX 사이클이 특정 임계 값(표에 도시된 예에서는 320 ms, 이것으로 제한되지 않지만 다른 모든 적절한 임계 값이 사용할 수 있음)을 초과하면, CSI-RS은 DRX 사이클이 임계 값 미만인 경우보다 더 긴 시간 동안 존재하며, DRX 사이클이 없으면, CSI-RS는 존재하지 않는다.다음에서, 본 발명의 예시적인 버전의 보다 일반적인 설명이 도 4 및 5와 관련하여 이루어진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부 예시적인 버전에 따른 방법의 예를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버전에 따르면, 방법은 사용자 장비 등에서 구현될 수 있거나 그 일부일 수 있다. 방법은 불연속 수신이 사용자 장비에 적용되는지를 결정하고, 불연속 수신이 적용되는 것으로 결정되면, 사용자 장비의 활성 시간 이외에서 신호가 존재하는지를 결정하는 단계(S41)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부 예시적인 버전에 따르면, 방법은 다운링크 채널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사용자 장비에 적용되는 불연속 수신 사이클(DRX 사이클)의 길이를 검출하고, DRX 사이클의 검출된 길이에 기초하여 DRX 사이클 내에서 활성 시간 이외에서 신호가 존재하는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부 예시적인 버전에 따르면, 활성 시간은 사용자 장비가 다운링크 채널을 모니터링하는 기간이다.
본 발명의 일부 예시적인 버전에 따르면, 방법은 사용자 장비에 적용된 DRX 사이클이 단기 DRX 사이클에 대응하면, 신호가 활성 시간 외에서 존재한다고 결정하고, 사용자 장비에 적용된 DRX 사이클이 장기 DRX 사이클에 대응하면, 신호가 활성 시간 동안만 존재한다고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부 예시적인 버전에 따르면, 사용자 장비에 적용된 DRX 사이클이 단기 DRX 사이클에 대응하면, 제 1 세트의 신호가 존재한다고 결정되고, 사용자 장비에 적용된 DRX 사이클이 장기 DRX 사이클에 대응하면, 제 2 세트의 신호가 존재한다고 결정되며, 제 1 세트와 제 2 세트는 서로 겹치지 않거나 또는 부분적으로 겹친다.
본 발명의 일부 예시적인 버전에 따르면, 사용자 장비에 적용된 DRX 사이클이 단기 DRX 사이클에 대응하면, 제 1 세트의 신호가 존재한다고 결정되고, 사용자 장비에 적용된 DRX 사이클이 장기 DRX 사이클에 대응하면, 제 2 세트의 신호가 존재한다고 결정되며, 제 2 세트는 제 1 세트의 서브세트이다.
본 발명의 일부 예시적인 버전에 따르면, 방법은 DRX 사이클의 검출된 길이를 미리 결정된 임계 값과 비교하고, DRX 사이클의 검출된 길이와 미리 결정된 임계 값 사이의 비교에 기초하여 신호가 존재하는지 아닌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부 예시적인 버전에 따르면, 방법은 DRX 사이클의 길이가 임계 값 미만이라고 결정되면, 신호가 존재한다고 결정하고, DRX 사이클의 길이가 임계 값을 초과한다고 결정되면, 신호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부 예시적인 버전에 따르면, 신호는 참조 신호(reference signal, RS)이다.
본 발명의 일부 예시적인 버전에 따르면, 신호는 채널 상태 정보 참조 신호(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 CSI-RS)이다.
본 발명의 일부 예시적인 버전에 따르면, 다운링크 채널은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이다.
본 발명의 일부 예시적인 버전에 따르면, DRX 사이클의 길이는 무선 자원 구성 정보 요소(radio resource configuration information element, RRC IE)에서 CSI-RS 구성 또는 DRX 구성의 일부로서 표시된다.
본 발명의 일부 예시적인 버전에 따르면, RRC IE는 DRX 사이클의 길이가 단기, 장기 또는 CSI-RS가 존재하지 않음을 표시한다.
본 발명의 일부 예시적인 버전에 따르면, 불연속 수신은 연결된 모드 불연속 수신(connected mode discontinuous reception, C-DRX)이며, 다운링크 채널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사용자 장비에 적용된다.
본 발명의 일부 예시적인 버전에 따르면, 불연속 수신은 IDLE 모드 불연속 수신이며, 다운링크 채널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사용자 장비에 적용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부 예시적인 버전에 따른 방법의 다른 예를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버전에 따르면, 방법은 사용자 장비 등에서 구현될 수 있거나 그 일부일 수 있다. 방법은 채널 상태 정보 참조 신호(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 CSI-RS)가 존재하는 시간 윈도우를 검출하는 단계(S51), 사용자 장비에 적용되는 불연속 수신 사이클(discontinuous reception cycle, DRX 사이클)의 길이를 검출하는 단계(S52)를 포함하며, 시간 윈도우는 DRX 사이클의 길이에 따라 달라진다.
본 발명의 일부 예시적인 버전에 따르면, DRX 사이클의 길이가 길수록, 시간 윈도우가 길어진다.
본 발명의 일부 예시적인 버전에 따르면, DRX 사이클의 길이가 미리 결정된 임계 값을 초과하면, 시간 윈도우는 DRX 사이클의 길이가 미리 결정된 임계 값 미만인 경우보다 더 길다.
본 발명의 일부 예시적인 버전에 따르면, 시간 윈도우는 활성 시간과 정렬되고 겹침 - 여기서 활성 시간은 사용자 장비가 다운링크 채널을 모니터링하는 기간임 - ; 활성 시간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겹침; 활성 시간과 겹치지 않는 활성 시간 직전; 활성 시간과 겹치지 않음 중 적어도 하나이다.
본 발명의 일부 예시적인 버전에 따르면, 신호는 참조 신호(reference signal, RS)이다.
본 발명의 일부 예시적인 버전에 따르면, 신호는 채널 상태 정보 참조 신호(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 CSI-RS)이다.
본 발명의 일부 예시적인 버전에 따르면, 다운링크 채널은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이다.
본 발명의 일부 예시적인 버전에 따르면, 불연속 수신은 연결된 모드 불연속 수신(connected mode discontinuous reception, C-DRX)이며, 다운링크 채널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사용자 장비에 적용된다.
본 발명의 일부 예시적인 버전에 따르면, 불연속 수신은 IDLE 모드 불연속 수신이며, 다운링크 채널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사용자 장비에 적용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부 예시적인 버전에 따른 장치의 다른 예를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6에서, 본 발명의 위에서 설명한 다양한 양태를 구현하도록 구성된, 장치(60)의 구성을 예시하는 블록 회로도가 도시된다. 도 6에 도시된 장치(60)는 본 발명을 이해하는데 필수적이지 않기에 간략화를 위해 본 명세서에서 생략된, 아래에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것 이외의 몇 가지 추가 요소 또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뿐만 아니라, 장치는 또한 장치의 일부이거나 장치 에 별도의 요소로서 부착될 수 있는 등의 칩셋, 칩, 모듈 등과 같은 유사한 기능을 갖는 또 다른 디바이스일 수 있다.
장치(60)는 프로그램 등에 의해 제공된 명령어를 실행하는 CPU 등과 같은 처리 기능 또는 프로세서(61)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61)는 아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특정 처리에 전용되는 하나 이상의 처리 부분을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처리는 단일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다. 이러한 특정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부분은 또한 개별 요소로서 제공되거나 또는 예를 들어 CPU와 같은 하나의 물리적 프로세서 또는 여러 물리적 엔티티에서와 같은 하나 또는 추가의 프로세서 또는 처리 부분 내에서 제공될 수 있다. 참조 부호(62)는 프로세서(61)에 연결된 송수신기 또는 입력/출력(input/output)(I/O) 유닛(인터페이스)를 나타낸다. I/O 유닛(62)은 하나 이상의 다른 네트워크 요소, 엔티티, 단말기 등과 통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I/O 유닛(62)은 여러 네트워크 요소를 향한 통신 장비를 포함하는 결합된 유닛일 수 있거나, 또는 상이한 네트워크 요소에 대해 복수의 상이한 인터페이스를 갖는 분산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장치(60)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61)에 의해 실행될 데이터 및 프로그램을 저장하는데 사용 가능한 및/또는 프로세서(61)의 작업 저장소로서 사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63)를 더 포함한다.
프로세서(61)는 위에서 설명된 양태에 관련된 처리를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장치(60)는 사용자 장비 등에서 구현되거나 그 일부일 수 있고, 도 4 및 도 5와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은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된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즉, 장치는 불연속 수신이 사용자 장비에 적용되는지를 결정하고, 불연속 수신이 적용되는 것으로 결정되면, 사용자 장비의 활성 시간 이외에서 신호가 존재하는지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장치는 채널 상태 정보 참조 신호(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 CSI-RS)가 존재하는 시간 윈도우를 검출하기 위한 수단, 사용자 장비에 적용되는 불연속 수신 사이클(discontinuous reception cycle, DRX cycle)의 길이를 검출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며, 시간 윈도우는 DRX 사이클의 길이에 따라 달라진다.
장치의 기능에 관한 추가 세부 사항에 대해서는 도 4 및 도 5와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부 예시적인 버전에 따른 방법의 설명을 참조한다.
장치의 전술한 예시적인 설명에서, 본 발명의 원리를 이해하는데 관련되는 유닛/수단만이 기능 블록을 사용하여 설명되었다. 장치는 각각의 동작에 필요한 추가 유닛/수단을 제각기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서 이들 유닛/수단에 대한 설명은 생략된다. 장치의 기능 블록의 배열은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기능은 하나의 블록에 의해 수행되거나 서브블록으로 더 분할될 수 있다.
전술한 설명에서 장치(또는 일부 다른 수단)가 일부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고 언급될 때, 이것은 (즉,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또는 대응하는 회로가 각각의 장치의 메모리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와 잠재적으로 협력하여, 장치를 적어도 이와 같이 언급된 기능을 수행하게 하도록 구성된다고 언급하는 설명과 동등하게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기능은 구체적으로 구성된 회로 또는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에 의해 동등하게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즉, "하도록 구성된 유닛"이라는 표현은 "하기 위한 수단"과 같은 표현과 동등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 소프트웨어 코드 부분으로 구현되고 (디바이스, 장치 및/또는 그 모듈의 예로서 또는 장치 및/또는 그 모듈을 포함하는 엔티티의 예로서) 장치에서 프로세서를 사용하여 실행될 가능성이 있는 방법 단계는 소프트웨어 코드 독립적이며 방법 단계에서 정의된 기능성이 보존되는 한 임의의 알려진 또는 향후 개발되는 프로그래밍 언어를 사용하여 명시될 수 있다는 것;
- 일반적으로 임의의 방법 단계는 구현된 기능성의 측면에서 양태/실시예의 아이디어 및 그 수정 사항을 변경하지 않고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서 구현하기에 적합하다는 것;
- 위에서 정의된 장치 또는 그 임의의 모듈(들)에서 하드웨어 컴포넌트로서 구현될 가능성이 있는 방법 단계 및/또는 디바이스, 유닛 또는 수단(예를 들어,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양태/실시예에 따라 장치의 기능을 수행하는 디바이스)는 하드웨어 독립적이며, 예를 들어, ASIC(Application Specific IC(Integrated circuit)) 컴포넌트,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s) 컴포넌트, CPLD(Complex Programmable Logic Device) 컴포넌트, APU(Accelerated Processor Unit), GPU(Graphics Processor Unit) 또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 컴포넌트를 사용하여, MOS(Metal Oxide Semiconductor), CMOS(Complementary MOS), BiMOS(Bipolar MOS), BiCMOS(Bipolar CMOS), ECL(Emitter Coupled Logic), TTL(Transistor-Transistor Logic) 등과 같은 임의의 알려진 또는 향후 개발되는 하드웨어 기술 또는 이들의 임의의 혼성체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는 것;
- 디바이스, 유닛 또는 수단(예를 들어, 위에서 정의된 장치 또는 그 각각의 유닛/수단 중 어느 하나)은 개별 디바이스, 유닛 또는 수단으로서 구현될 수 있지만, 이것은 디바이스, 유닛 또는 수단의 기능성이 보존되는 한 이들이 시스템 전체에서 분산된 방식으로 구현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는 것;
- 장치는 반도체 칩, 칩셋 또는 그러한 칩 또는 칩셋을 포함하는 (하드웨어) 모듈에 의해 표현될 수 있고; 그러나 이것은 하드웨어로 구현되는 대신 장치 또는 모듈의 기능성이 프로세서에서 실행을 위한/실행 중인 실행 가능한 소프트웨어 코드 부분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과 같은 (소프트웨어) 모듈의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될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다는 것;
- 디바이스는 기능적으로 서로 협력하든 또는 서로 기능적으로 독립적이지만 예를 들어, 동일한 디바이스 하우징에 있든 간에 장치로서 또는 하나를 초과하는 장치의 조립체로서 간주될 수 있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위에서 설명된 양태에 따른 각각의 기능 블록 또는 요소는 이것이 각자의 부분의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만 적응된 것일 뿐이라면, 제각기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로 된 임의의 알려진 수단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언급된 방법 단계는 개별 기능 블록에서 또는 개별 디바이스에 의해 실현될 수 있거나, 또는 방법 단계 중 하나 이상은 단일 기능 블록에서 또는 단일 디바이스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임의의 방법 단계는 본 발명의 사상을 변경하지 않고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서 구현되기에 적합하다. 디바이스 및 수단은 개별 디바이스로서 구현될 수 있지만, 이것은 디바이스의 기능성이 보존되는 한 이들이 시스템 전체에서 분산된 방식으로 구현된다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이러한 원칙 및 유사한 원칙은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진 것으로 간주된다.
본 설명의 의미에서 소프트웨어는 이를테면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코드 수단이나 부분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 코드뿐만 아니라, 각각의 데이터 구조 또는 코드 수단/부분이 저장되어 있거나 또는 잠재적으로 그 처리 중에 신호 또는 칩에서 구현되는 컴퓨터 판독 가능(저장) 매체와 같은 유형의 매체상에서 구현된 소프트웨어(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를 포함한다.
위에서 설명된 양태/실시예 및 일반적이고 특정한 예는 단지 예시의 목적으로 제공될 뿐이며 본 발명이 이것으로 제한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항의 범위에 속하는 모든 변형 및 수정이 포함되는 것으로 의도한다.

Claims (43)

  1. 사용자 장비에서 사용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불연속 수신(discontinuous reception)이 사용자 장비에 적용되는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불연속 수신이 적용되는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사용자 장비의 활성 시간 이외에서 신호가 존재하는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에서 사용하기 위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다운링크 채널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 장비에 적용되는 불연속 수신 사이클(discontinuous reception cycle, DRX 사이클)의 길이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DRX 사이클의 상기 검출된 길이에 기초하여 상기 DRX 사이클 내에서 상기 활성 시간 이외에서 신호가 존재하는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에서 사용하기 위한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 시간은 상기 사용자 장비가 다운링크 채널을 모니터링하는 기간인
    사용자 장비에서 사용하기 위한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장비에 적용된 상기 DRX 사이클이 단기 DRX 사이클에 대응하면, 상기 신호가 상기 활성 시간 이외에서 존재한다고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장비에 적용된 상기 DRX 사이클이 장기 DRX 사이클에 대응하면, 상기 신호가 상기 활성 시간 동안에만 존재한다고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에서 사용하기 위한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장비에 적용된 상기 DRX 사이클이 단기 DRX 사이클에 대응하면, 제 1 세트의 신호가 존재한다고 결정되고,
    상기 사용자 장비에 적용된 상기 DRX 사이클이 장기 DRX 사이클에 대응하면, 제 2 세트의 신호가 존재한다고 결정되며,
    상기 제 1 세트와 상기 제 2 세트는 서로 겹치지 않거나 부분적으로 겹치는
    사용자 장비에서 사용하기 위한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장비에 적용된 상기 DRX 사이클이 단기 DRX 사이클에 대응하면, 제 1 세트의 신호가 존재한다고 결정되고,
    상기 사용자 장비에 적용된 상기 DRX 사이클이 장기 DRX 사이클에 대응하면, 제 2 세트의 신호가 존재한다고 결정되며,
    상기 제 2 세트는 상기 제 1 세트의 서브세트인
    사용자 장비에서 사용하기 위한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RX 사이클의 상기 감지된 길이를 미리 결정된 임계 값과 비교하는 단계,

    상기 DRX 사이클의 상기 검출된 길이와 상기 미리 결정된 임계 값 사이의 상기 비교에 기초하여, 신호가 존재하는지 아닌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에서 사용하기 위한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DRX 사이클의 상기 길이가 상기 임계 값 미만인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신호가 존재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DRX 사이클의 상기 길이가 상기 임계 값을 초과하는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신호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에서 사용하기 위한 방법.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는 참조 신호(reerence signal, RS)이거나, 또는
    상기 신호는 채널 상태 정보 참조 신호(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 CSI-RS)이고; 및/또는
    상기 다운링크 채널은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인
    사용자 장비에서 사용하기 위한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DRX 사이클의 상기 길이는 무선 자원 구성 정보 요소(radio resource configuration information element, RRC IE)에서 CSI-RS 구성 또는 DRX 구성의 일부로서 표시되는
    사용자 장비에서 사용하기 위한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RRC IE는 상기 DRX 사이클의 상기 길이가 단기, 장기 또는 CSI-RS가 존재하지 않음을 표시하는
    사용자 장비에서 사용하기 위한 방법.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불연속 수신은 연결된 모드 불연속 수신(connected mode discontinuous reception, C-DRX)이며, 상기 다운링크 채널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 장비에 적용되는
    사용자 장비에서 사용하기 위한 방법.
  13.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불연속 수신은 IDLE 모드 불연속 수신이며, 상기 다운링크 채널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 장비에 적용되는
    사용자 장비에서 사용하기 위한 방법.
  14. 사용자 장비에서 사용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채널 상태 정보 참조 신호(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 CSI-RS)가 존재하는 시간 윈도우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장비에 적용되는 불연속 수신 사이클(discontinuous reception cycle, DRX 사이클)의 길이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시간 윈도우의 길이는 상기 DRX 사이클의 길이에 따라 달라지는
    사용자 장비에서 사용하기 위한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DRX 사이클의 상기 길이가 길수록, 상기 시간 윈도우가 길어지는
    사용자 장비에서 사용하기 위한 방법.
  16. 제 14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DRX 사이클의 상기 길이가 미리 결정된 임계 값을 초과하면, 상기 시간 윈도우는 상기 DRX 사이클의 상기 길이가 상기 미리 결정된 임계 값 미만인 경우 보다 더 긴
    사용자 장비에서 사용하기 위한 방법.
  17. 제 14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윈도우는,
    활성 시간과 정렬되고 겹침 - 상기 활성 시간은 상기 사용자 장비가 다운링크 채널을 모니터링하는 기간임 - ;
    상기 활동 시간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겹침;
    상기 활동 시간과 겹치지 않는 상기 활동 시간 직전; 및
    상기 활성 시간과 겹치지 않음
    중 적어도 하나인
    사용자 장비에서 사용하기 위한 방법.
  18. 제 14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는 참조 신호(reerence signal, RS)이거나, 또는
    상기 신호는 채널 상태 정보 참조 신호(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 CSI-RS)이고; 및/또는
    상기 다운링크 채널은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인
    사용자 장비에서 사용하기 위한 방법.
  19. 제 14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불연속 수신은 연결된 모드 불연속 수신(connected mode discontinuous reception, C-DRX)이며, 상기 다운링크 채널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 장비에 적용되거나; 또는
    상기 불연속 수신은 IDLE 모드 불연속 수신이며, 상기 다운링크 채널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 장비에 적용되는
    사용자 장비에서 사용하기 위한 방법.
  20. 장치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명령어를 저장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상기 명령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함께, 상기 장치로 하여금 적어도,
    불연속 수신이 상기 사용자 장비에 적용되는지를 결정하는 동작, 및
    상기 불연속 수신이 적용되는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사용자 장비의 활성 시간 이외에서 신호가 존재하는지를 결정하는 동작을 수행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상기 명령어는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함께, 상기 장치로 하여금 적어도,
    상기 다운링크 채널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 장비에 적용되는 불연속 수신 사이클(discontinuous reception cycle, DRX 사이클)의 길이를 검출하는 동작, 및
    상기 DRX 사이클의 상기 검출된 길이에 기초하여 상기 DRX 사이클 내에서 상기 활성 시간 이외에서 신호가 존재하는지를 결정하는 동작을 수행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22. 제 20 항 또는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 시간은 상기 사용자 장비가 다운링크 채널을 모니터링하는 기간인
    장치.
  23. 제 20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상기 명령어는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함께, 상기 장치로 하여금 적어도,
    상기 사용자 장비에 적용된 상기 DRX 사이클이 단기 DRX 사이클에 대응하면, 상기 신호가 상기 활성 시간 이외에서 존재한다고 결정하는 동작, 및
    상기 사용자 장비에 적용된 상기 DRX 사이클이 장기 DRX 사이클에 대응하면, 상기 신호가 상기 활성 시간 동안에만 존재한다고 결정하는 동작을 수행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24. 제 20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장비에 적용된 상기 DRX 사이클이 단기 DRX 사이클에 대응하면, 제 1 세트의 신호가 존재한다고 결정되고,
    상기 사용자 장비에 적용된 상기 DRX 사이클이 장기 DRX 사이클에 대응하면, 제 2 세트의 신호가 존재한다고 결정되며,
    상기 제 1 세트와 상기 제 2 세트는 서로 겹치지 않거나 부분적으로 겹치는
    장치.
  25. 제 20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장비에 적용된 상기 DRX 사이클이 단기 DRX 사이클에 대응하면, 제 1 세트의 신호가 존재한다고 결정되고,
    상기 사용자 장비에 적용된 상기 DRX 사이클이 장기 DRX 사이클에 대응하면, 제 2 세트의 신호가 존재한다고 결정되며,
    상기 제 2 세트는 상기 제 1 세트의 서브세트인
    장치.
  26.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상기 명령어는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함께, 상기 장치로 하여금 적어도,
    상기 DRX 사이클의 상기 감지된 길이를 미리 결정된 임계 값과 비교하는 동작,
    상기 DRX 사이클의 상기 검출된 길이와 상기 미리 결정된 임계 값 사이의 상기 비교에 기초하여, 신호가 존재하는지 아닌지를 결정하는 동작을 수행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상기 명령어는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함께, 상기 장치로 하여금 적어도,
    상기 DRX 사이클의 상기 길이가 상기 임계 값 미만인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신호가 존재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동작, 및
    상기 DRX 사이클의 상기 길이가 상기 임계 값을 초과하는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신호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하는 동작을 수행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28. 제 20 항 내지 제 2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는 참조 신호(reerence signal, RS)이거나, 또는
    상기 신호는 채널 상태 정보 참조 신호(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 CSI-RS)이고; 및/또는
    상기 다운링크 채널은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인
    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DRX 사이클의 상기 길이는 무선 자원 구성 정보 요소(radio resource configuration information element, RRC IE)에서 CSI-RS 구성 또는 DRX 구성의 일부로서 표시되는
    장치.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RRC IE는 상기 DRX 사이클의 상기 길이가 단기, 장기 또는 CSI-RS가 존재하지 않음을 표시하는
    장치.
  31. 제 20 항 내지 제 3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불연속 수신은 연결된 모드 불연속 수신(connected mode discontinuous reception, C-DRX)이며, 상기 다운링크 채널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 장비에 적용되는
    장치.
  32. 제 20 항 내지 제 3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불연속 수신은 IDLE 모드 불연속 수신이며, 상기 다운링크 채널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 장비에 적용되는
    장치.
  33. 장치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명령어를 저장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상기 명령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함께, 상기 장치로 하여금 적어도,
    채널 상태 정보 참조 신호(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 CSI-RS)가 존재하는 시간 윈도우를 검출하는 동작,
    상기 사용자 장비에 적용되는 불연속 수신 사이클(discontinuous reception cycle, DRX 사이클)의 길이를 검출하는 동작을 수행하게 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시간 윈도우의 길이는 상기 DRX 사이클의 길이에 따라 달라지는
    장치.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DRX 사이클의 상기 길이가 길수록, 상기 시간 윈도우가 길어지는
    장치.
  35. 제 33 항 또는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DRX 사이클의 상기 길이가 미리 결정된 임계 값을 초과하면, 상기 시간 윈도우는 상기 DRX 사이클의 상기 길이가 상기 미리 결정된 임계 값 미만인 경우보다 더 긴
    장치.
  36. 제 33 항 내지 제 3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윈도우는,
    활성 시간과 정렬되고 겹침 - 상기 활성 시간은 상기 사용자 장비가 다운링크 채널을 모니터링하는 기간임 - ;
    상기 활동 시간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겹침;
    상기 활동 시간과 겹치지 않는 상기 활동 시간 직전; 및
    상기 활성 시간과 겹치지 않음
    중 적어도 하나인
    장치.
  37. 제 33 항 내지 제 3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는 참조 신호(reerence signal, RS)이거나, 또는
    상기 신호는 채널 상태 정보 참조 신호(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 CSI-RS)이고; 및/또는
    상기 다운링크 채널은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인
    장치.
  38. 제 33 항 내지 제 3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불연속 수신은 연결된 모드 불연속 수신(connected mode discontinuous reception, C-DRX)이며, 상기 다운링크 채널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 장비에 적용되거나; 또는
    상기 불연속 수신은 IDLE 모드 불연속 수신이며, 상기 다운링크 채널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 장비에 적용되는
    장치.
  39. 장치로서,
    불연속 수신이 사용자 장비에 적용되는지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불연속 수신이 적용되는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사용자 장비의 활성 시간 이외에서 신호가 존재하는지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
  40. 장치로서,
    채널 상태 정보 참조 신호(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 CSI-RS)가 존재하는 시간 윈도우를 검출하기 위한 수단,
    사용자 장비에 적용되는 불연속 수신 사이클(discontinuous reception cycle, DRX 사이클)의 길이를 검출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시간 윈도우의 길이는 상기 DRX 사이클의 길이에 따라 달라지는
    장치.
  41. 저장된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명령어는 적어도,
    불연속 수신이 사용자 장비에 적용되는지를 결정하는 동작, 및
    상기 불연속 수신이 적용되는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사용자 장비의 활성 시간 이외에서 신호가 존재하는지를 결정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42. 저장된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명령어는 적어도,
    채널 상태 정보 참조 신호(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 CSI-RS)가 존재하는 시간 윈도우를 검출하는 동작,
    사용자 장비에 적용되는 불연속 수신 사이클(discontinuous reception cycle, DRX cycle)의 길이를 검출하는 동작을 수행하며,
    상기 시간 윈도우의 길이는 상기 DRX 사이클의 길이에 따라 달라지는
    컴퓨터 프로그램.
  43. 제 41 항 또는 제 42 항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KR1020217001972A 2018-06-21 2018-06-21 에너지 효율적인 시스템 동작을 위한 참조 신호 구성 KR1024241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7024477A KR20220104294A (ko) 2018-06-21 2018-06-21 에너지 효율적인 시스템 동작을 위한 참조 신호 구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EP2018/066643 WO2019242862A1 (en) 2018-06-21 2018-06-21 Reference signal configuration for enabling energy efficient system operation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4477A Division KR20220104294A (ko) 2018-06-21 2018-06-21 에너지 효율적인 시스템 동작을 위한 참조 신호 구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1083A true KR20210021083A (ko) 2021-02-24
KR102424146B1 KR102424146B1 (ko) 2022-07-21

Family

ID=6278412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4477A KR20220104294A (ko) 2018-06-21 2018-06-21 에너지 효율적인 시스템 동작을 위한 참조 신호 구성
KR1020217001972A KR102424146B1 (ko) 2018-06-21 2018-06-21 에너지 효율적인 시스템 동작을 위한 참조 신호 구성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4477A KR20220104294A (ko) 2018-06-21 2018-06-21 에너지 효율적인 시스템 동작을 위한 참조 신호 구성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10266835A1 (ko)
EP (1) EP3811687A1 (ko)
JP (1) JP7280293B2 (ko)
KR (2) KR20220104294A (ko)
WO (1) WO201924286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9353A (ko) * 2019-02-14 2020-08-24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전력 소모 감소 방법 및 장치
WO2021160606A1 (en) * 2020-02-14 2021-08-1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for user equipment measurements on additional reference symbols during idle mode for power saving
WO2021206512A1 (ko) * 2020-04-09 2021-10-14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상태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63582A (ja) * 2007-03-20 2008-10-30 Ntt Docomo Inc 通信制御方法、基地局及びユーザ装置
KR20120043142A (ko) * 2008-03-20 2012-05-03 리서치 인 모션 리미티드 불연속 수신과 관련한 업링크 타이밍 동기화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EP2712263A1 (en) * 2011-05-18 2014-03-26 Fujitsu Limite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er terminal, base station, and communication method
KR20170041722A (ko) * 2014-08-06 2017-04-17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확장된 유휴 불연속 수신을 위한 유휴-모드 향상들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214442B8 (en) * 2009-02-02 2013-06-19 Research In Motion Limited Apparatus and method for coordinating the operations of discontinuous reception and the semi-persistent scheduling.
CN103444235A (zh) 2011-04-04 2013-12-11 京瓷株式会社 移动通信方法和无线终端
US9661684B2 (en) * 2014-08-11 2017-05-23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of sharing a UE receiver between D2D and cellular operations based on activit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63582A (ja) * 2007-03-20 2008-10-30 Ntt Docomo Inc 通信制御方法、基地局及びユーザ装置
KR20120043142A (ko) * 2008-03-20 2012-05-03 리서치 인 모션 리미티드 불연속 수신과 관련한 업링크 타이밍 동기화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EP2712263A1 (en) * 2011-05-18 2014-03-26 Fujitsu Limite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er terminal, base station, and communication method
KR20170041722A (ko) * 2014-08-06 2017-04-17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확장된 유휴 불연속 수신을 위한 유휴-모드 향상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280293B2 (ja) 2023-05-23
JP2021528006A (ja) 2021-10-14
WO2019242862A1 (en) 2019-12-26
CN112640535A (zh) 2021-04-09
KR20220104294A (ko) 2022-07-26
US20210266835A1 (en) 2021-08-26
EP3811687A1 (en) 2021-04-28
KR102424146B1 (ko) 2022-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417208B (zh) 一种资源配置、获取方法、网络设备及终端
CN109495924B (zh) 一种测量、测量配置方法、终端及基站
US20200100184A1 (en) Discontinuous reception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US10299312B2 (en) Managing transitions between different user equipment activity configurations
CN113796039A (zh) 在节能模式下确定在开启持续时间期间的pdcch监测
KR102424146B1 (ko) 에너지 효율적인 시스템 동작을 위한 참조 신호 구성
AU2017430818B2 (en) Discontinuous reception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WO2020140966A1 (zh) 一种资源配置、获取方法、网络设备及终端
AU2024201320A1 (en) Uplink information based on wake-up signal
EP3874803A1 (en) Event-based adaption of ue measurements
CN114503684B (zh) 信息传输方法以及相关设备
CN112291049B (zh) 节能信号的tci状态配置方法及装置
CN109644442B (zh) 用户设备及其控制信道监视方法、网络节点及其控制信道配置和传输方法
CN112640535B (zh) 用于启用节能系统操作的参考信号配置
CN115915352A (zh) 信息交互方法、装置及通信设备
KR20220049580A (ko) 처리 방법 및 장비
US12003995B2 (en) Event-based adaption of UE measurements
KR102094774B1 (ko) 세컨더리 셀 상태 제어 방법 및 장치
RU2789851C2 (ru) Способ переключения режима приема и оконе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US20220400433A1 (en) Wake-Up Signaling during a Discontinuous Reception Cycle
KR20230164058A (ko) 불연속 통신을 위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