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0486A -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0486A
KR20210020486A KR1020190099889A KR20190099889A KR20210020486A KR 20210020486 A KR20210020486 A KR 20210020486A KR 1020190099889 A KR1020190099889 A KR 1020190099889A KR 20190099889 A KR20190099889 A KR 20190099889A KR 20210020486 A KR20210020486 A KR 202100204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fc
unit
control unit
driving time
pfc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98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신호
김문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998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20486A/ko
Priority to US16/991,415 priority patent/US11398774B2/en
Publication of KR202100204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04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4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mpensating for or adjusting power factor in converters or i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4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mpensating for or adjusting power factor in converters or inverters
    • H02M1/4208Arrangements for improving power factor of AC input
    • H02M1/4225Arrangements for improving power factor of AC input using a non-isolated boost convert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64Magnetic structures combining different functions, e.g. storage, filtering or transform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4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mpensating for or adjusting power factor in converters or inverters
    • H02M1/4208Arrangements for improving power factor of AC inpu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44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mpensating for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in converters or i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15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 H02M3/15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including plural semiconductor devices as final control devices for a single load
    • H02M3/158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including plural semiconductor devices as final control devices for a single load with a plurality of power processing stages connected in parallel
    • H02M2001/0064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10Technologies improving the efficiency by using switched-mode power supplies [SMPS], i.e. efficient power electronics conversion e.g. power factor correction or reduction of losses in power supplies or efficient standby m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ectifiers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전자 장치가 개시된다. 전자 장치는, 제1 PFC(power factor correction)부 및 제1 PFC부와 연결된 제2 PFC부, 제1 PFC부를 제어하는 제1 제어부 및 제2 PFC부를 제어하는 제2 제어부를 포함하며, 제1 제어부는, 제1 PFC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을 감지하고, 감지된 출력 전압에 기초하여 제1 PFC부의 구동 시간을 제어하고 제2 PFC부로 구동 시간에 대한 정보를 제2 제어부로 제공하며, 제2 제어부는, 구동 시간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2 PFC부의 구동 시간을 제어한다.

Description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본 발명은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PFC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 기술의 발전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발 및 보급되고 있고,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디스플레이 장치의 대형화에 따라 소비 전력이 증가하며,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고 소비 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복수의 PFC 회로를 이용한 파워 쉐어링 방법을 이용한다.
종래의 파워 쉐어링 방법은 PFC 회로에 더하여 출력 파워를 배분해주는 컨트롤러를 추가적으로 요구하였다. 또한, 종래의 파워 쉐어링 방법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내부 부하에 파워를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전까지의 과도 상태 동안 빈번하게 발생하는 Peak, 출력 파워의 불평형 등을 고려하여 고용량의 출력 파워 제공이 가능한 PFC 회로를 요구하였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 내에 구비된 전원 장치의 경량화가 어려우며, 제조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개시는 상술한 필요성에 따른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 장치의 초기 과도 상태에서도 안정적인 파워 쉐어링을 통해 내부 부하에 파워를 공급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개시의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제1 PFC(power factor correction)부 및 상기 제1 PFC부와 연결된 제2 PFC부, 상기 제1 PFC부를 제어하는 제1 제어부 및 상기 제2 PFC부를 제어하는 제2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제1 PFC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출력 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제1 PFC부의 구동 시간을 제어하고 상기 제2 PFC부로 상기 구동 시간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2 제어부로 제공하며,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구동 시간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PFC부의 구동 시간을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출력 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제어부의 출력단의 전압 크기를 제어하고, 상기 출력단의 전압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제1 PFC부의 구동 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제어부의 입력단은, 상기 제1 제어부의 출력단과 연결되며,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입력단의 전압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제2 PFC부의 구동 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제어부는, 제1 저항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저항의 크기 및 상기 출력단의 전압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제1 PFC부의 구동 시간을 제어하고, 상기 제2 제어부는, 제2 저항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저항의 크기 및 상기 입력단의 전압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제2 PFC부의 구동 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입력단에 연결된 필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저항의 크기는, 상기 필터에 의해 발생되는 전압 강하로 인한 상기 출력단의 전압 크기와 상기 입력단의 전압 크기 간 차이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필터는, 비드(Bead) 및 콘덴서(condencer)를 포함하는 저역 통과 필터(LPF)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구동 시간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PFC부가 구동된 후 임계 시간 이내에 상기 제2 PFC부를 구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출력 전압 및 기준 출력 전압(Reference output voltage) 간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PFC부의 구동 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제2 PFC부의 출력 전압을 감지하는 단자 및 상기 출력 전압을 감지하는 단자에 연결된 기준 출력 전압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제2 PFC부의 출력 전압이 상기 기준 출력 전압과 동일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수신된 제1 PFC부의 구동 시간에 대한 정보에만 기초하여 상기 제2 PFC부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PFC부의 출력 전압과 상기 제2 PFC부의 출력 전압이 동일하고, 상기 제1 및 제2 PFC부 각각의 출력 파워는, 상기 전자 장치의 전체 소비 파워를 이등분한 파워에 대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제어부 각각은, 상기 제1 및 제2 PFC부 각각의 출력 전압이 임계 값을 초과하면, 상기 제1 및 제2 PFC부의 구동을 중단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PFC(power factor correction)부, 상기 제1 PFC부와 연결된 제2 PFC부, 상기 제1 PFC부를 제어하는 제1 제어부 및 상기 제2 PFC부를 제어하는 제2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제1 제어부를 통해 상기 제1 PFC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출력 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제1 PFC부의 구동 시간을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제2 PFC부로 상기 구동 시간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2 제어부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제어부를 통해 상기 구동 시간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PFC부의 구동 시간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PFC부의 구동 시간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감지된 출력 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제어부의 출력단의 전압 크기를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출력단의 전압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제1 PFC부의 구동 시간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제어부의 입력단은, 상기 제1 제어부의 출력단과 연결되며, 상기 제2 PFC부의 구동 시간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단의 전압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제2 PFC부의 구동 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제어부는, 제1 저항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제어부는, 제2 저항을 포함하며, 상기 제1 PFC부의 구동 시간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저항의 크기 및 상기 출력단의 전압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제1 PFC부의 구동 시간을 제어하고, 상기 제2 PFC부의 구동 시간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저항의 크기 및 상기 입력단의 전압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제2 PFC부의 구동 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입력단에 연결된 필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저항의 크기는, 상기 필터에 의해 발생되는 전압 강하로 인한 상기 출력단의 전압 크기와 상기 입력단의 전압 크기 간 차이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필터는, 비드(Bead) 및 콘덴서(condencer)를 포함하는 저역 통과 필터(LPF)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PFC부의 구동 시간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구동 시간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PFC부가 구동된 후 임계 시간 이내에 상기 제2 PFC부를 구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PFC부의 구동 시간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감지된 출력 전압 및 기준 출력 전압(Reference output voltage) 간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PFC부의 구동 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제2 PFC부의 출력 전압을 감지하는 단자 및 상기 출력 전압을 감지하는 단자에 연결된 기준 출력 전압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제2 PFC부의 구동 시간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2 PFC부의 출력 전압이 상기 기준 출력 전압과 동일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수신된 제1 PFC부의 구동 시간에 대한 정보에만 기초하여 상기 제2 PFC부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의 구동에 따른 초기 과도 상태에서도 복수의 저용량 PFC부를 효율적으로 구동시켜 Peak 발생을 방지하고, 출력 파워의 불평형을 방지하며, 파워 쉐어링을 통해 내부 부하에 안정적으로 파워를 공급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에 구비된 저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에 구비된 저항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의 출력단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PFC부 및 제어부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소비 전력 별 PFC부의 구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PFC부의 과도 상태의 전류 파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개시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개시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개시된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성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모듈" 혹은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모듈" 혹은 복수의 "부"는 특정한 하드웨어로 구현될 필요가 있는 "모듈" 혹은 "부"를 제외하고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개시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제1 PFC(power factor correction)부 및 제1 PFC부(10)와 연결된 제2 PFC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장치(100)는 스마트 폰, 태블릿 PC, 노트북 PC, HMD(Head mounted Display), NED(Near Eye Display), LFD(large format display), Digital Signage(디지털 간판), DID(Digital Information Display), 비디오 월(video wall), 프로젝터 디스플레이, 카메라, 캠코더, 프린터 등과 같이 영상 처리 기능 및/또는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춘 디스플레이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유형의 전자 장치를 의미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의 대형화에 따른 전체 소비 파워 상승 및 여러 규제들을 충족하기 위해 파워 서플라이(예를 들어, SMPS(Switched Mode Power Supply))는 역률 보정 회로 즉, PFC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파워 서플라이는 교류 전류를 직류 전류로 변환해 전자 장치(100) 내부 부하에서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하드웨어이다. 파워 서플라이는 크게, 교류-직류 정류부, 직류-직류 스위칭 변환부, 출력필터 및 출력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파워 서플라이는 스위치 소자의 온-오프(On-Off) 시간 비율을 제어하여 안정화된 출력 파워를 부하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파워 서플라이는 입력 전자파장애(EMI) 필터부 등을 구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일 예로, EMI 필터부는 상용 전원의 전기적인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파워 서플라이는 복수의 PFC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PFC부는 벅(Buck), 부스트(Boost) 및 벅-부스트 컨버터(Buck-Boost Converter) 등 다양한 유형의 컨버터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PFC부는 내부에 구비된 인덕터의 전류 파형에 따라 CCM(Continuous Conduction Mode), CrM(Critical Conduction Mode), DCM(Discontinuous Conduction Mode)으로 동작 모드가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CCM으로 동작하는 PFC부는 인덕터의 전류가 0이 되는 순간이 존재하지 않도록 하는 연속적인 특성을 유지시키는 회로이다. CCM으로 동작하는 PFC부는 인덕터의 전류 피크와 리플이 낮게 유지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 CrM으로 동작하는 PFC부는 ZCD(Zero current detection)이 가능한 회로로서, 인덕터 전류가 0일 때에 스위치를 턴-온(On)시켜 스위칭 손실 및 전류 피크값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및 제2 PFC부 각각을 ZCS(Zero Current Switching)이 가능한 CRM PFC 회로로 상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PFC부(10) 및 제1 PFC부(10)와 연결된 제2 PFC부는 파워 쉐어링(Power Sharing)을 통해 전자 장치(100) 내부 부하에 파워를 공급하여 전자 장치(100)를 구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PFC부 각각의 출력 파워는, 전자 장치(100)의 전체 소비 파워를 이등분한 파워에 대응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실시 예이며 제1 PFC부(10) 및 제2 PFC부 각각은 기 설정된 비율에 따른 출력 파워를 부하로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PFC부 간 파워 쉐어링을 통해 전자 장치(100) 내부 부하에 파워를 제공하는 다양한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제1 PFC부(10), 제2 PFC부(20), 제1 제어부(30) 및 제2 제어부(40)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제1 PFC부(10)와 제1 제어부(30)는 서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제2 PFC부(20)와 제2 제어부(40)는 서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제1 제어부(30) 및 제2 제어부(40) 각각은 회로를 포함하는 별개의 IC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제어부(30)는 제1 제어부(30) 상의 특정 단자(또는, 핀)을 이용하여 제1 PFC부(10)와 연결되고, 제1 PFC부(1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2 제어부(40)는 제2 제어부(40) 상의 특정 단자를 이용하여 제2 PFC부(20)와 연결되고, 제2 PFC부(20)를 제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제어부(30)는 제1 PFC부(10)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을 감지할 수 있다. 이어서, 제1 제어부(30)는 감지된 출력 전압에 기초하여 제1 PFC부(10)의 구동 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PFC부(10)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은 피드백(Feedback) 전압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제어부(30)는 제1 PFC부(10)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을 감지하도록 제1 PFC부(10)(30)와 연결되어 있을 수 있고, 감지된 출력 전압을 피드백 전압으로 식별할 수 있다.
이어서, 제1 제어부(30)는 감지된 출력 전압(또는, 피드백 전압)에 기초하여 제1 PFC부(10)의 구동 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구동 시간은 제1 PFC부(10)에 구비된 MOSFET(또는, 스위치, MOS 트랜지스터)을 온(On)을 시키는 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제1 제어부(30)로부터 출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제1 PFC부(10)에 구비된 MOSFET의 온/오프(On/Off)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제1 PFC부(10)는 MOSFET이 온 상태이면, 입력 직류 전압의 에너지를 축적시키고, MOSFET이 오프 상태이면 축적된 에너지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제어부(30) 및 제2 제어부는 특정 단자, 신호 라인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제어부(30)는 제1 PFC부(10)의 구동 시간에 대한 정보를 제2 제어부(40)로 제공할 수 있다. 이어서, 제2 제어부(40)는 제1 제어부(30)로부터 제공된 구동 시간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2 PFC부(20)의 구동 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공된 구동 시간에 대한 정보는 제1 PFC부(10)에 구비된 MOSFET의 온 타임(On-time)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제어부(40)는 제공된 구동 시간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2 PFC부(20)에 구비된 MOSFET의 온 타임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3을 참조하여 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제어부(30) 및 제2 제어부(40) 각각은 복수의 단자(또는, 핀)을 포함하는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제어부(30)는 출력 전압을 감지하는 단자(31), 출력단(32), Timing Set 단(33) 및 기준 출력 전압 단자(3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어부(30)는 제1 PFC부(10)와 연결된 출력 전압을 감지하는 단자(31)로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제1 PFC부(10)의 출력 전압을 감지할 수 있다. 이어서, 제1 제어부(30)는 감지된 출력 전압에 기초하여 제1 PFC부(10)의 구동 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제어부(30)는 감지된 출력 전압에 기초하여 제1 제어부(30)의 출력단(32)의 전압 크기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출력단(32)의 전압의 크기는 제1 PFC부(10)의 구동 시간 즉, MOSFET의 온 타임에 비례할 수 있다. 제1 제어부(30)는 출력단(32)의 전압 크기에 기초하여 제1 PFC부(10)의 구동 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출력단(32)는 Comp 단, Error Amplifier Output 단 등으로 불릴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출력단(32)으로 통칭하도록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제2 제어부(40)는 출력 전압을 감지하는 단자(41), 입력단(42), Timing Set 단(43) 및 기준 출력 전압 단자(4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제어부(40)의 입력단(42)은 제1 제어부(30)의 출력단(32)과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제1 제어부(30)의 출력단(32)의 전압 크기와 동일한 전압 크기가 제2 제어부(40)의 입력단(42)에 인가될 수 있다.
이어서, 제2 제어부(40)는 입력단(42)의 전압 크기에 기초하여 제2 PFC부(20)의 구동 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제1 제어부(30)의 출력단(32)의 전압 크기와 제2 제어부(40)의 입력단(42)의 전압 크기가 동일하면, 제1 PFC부(10)의 MOSFET의 온 타임과 제2 PFC부(20)의 MOSFET의 온 타임이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제1 PFC부(10)의 출력 전압과 제2 PFC부(20)의 출력 전압이 동일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1 제어부(30)는 제1 저항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제어부(30)의 Timing Set 단(33)에 제1 저항이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제1 제어부(30)는 제1 저항의 크기 및 출력단(32)의 전압 크기에 기초하여 제1 PFC부(10)의 구동 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제1 제어부(30)는 제1 제어부(30)의 Timing Set 단(33)에 연결된 제1 저항의 크기에 비례하여 제1 PFC부(10)의 구동 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4를 참조하여 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에 구비된 저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의 그래프를 참조하면, 제1 제어부(30)의 Timing Set 단(33)에 연결된 제1 저항의 크기에 따라 제1 PFC부(10)의 구동 시간이 비례하여 증가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제1 PFC부(10)의 구동 시간은 다음과 같은 수학식 1로 나타낼 수 있다.
[수학식 1]
TON = KTSET * VCOMP * RTSET
여기서, TON은 제1 PFC부(10)의 MOSFET의 온 타임, KTSET은 상수, VCOMP은 제1 제어부(30)의 출력단(32)의 전압 크기, RTSET은 제1 제어부(30)의 Timing Set 단(33)에 연결된 제1 저항의 크기를 나타낸다.
수학식 1에 따르면, 제1 PFC부(10)의 MOSFET의 온 타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제1 제어부(30)의 출력단(32)의 전압 크기, 제1 제어부(30)의 Timing Set 단(33)에 연결된 제1 저항의 크기임을 알 수 있다.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PFC부(10)에 한정하여 수학식 1을 설명하였으나, 수학식 1에 따른 TON은 제2 PFC부(20)의 MOSFET의 온 타임을 나타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제2 PFC부(20)의 MOSFET의 온 타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제2 제어부(40)의 입력단(42)의 전압 크기, 제2 제어부(40)의 Timing Set 단(43)에 연결된 제2 저항의 크기임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제어부(30)의 출력단(32)의 전압 크기와 제2 제어부(40)의 입력단(42)의 전압 크기가 동일하고, 제1 제어부(30)의 Timing Set 단(33)에 연결된 제1 저항의 크기와 제2 제어부(40)의 Timing Set 단(43)에 연결된 제2 저항의 크기가 동일하면, 제1 PFC부(10)의 출력 전압과 제2 PFC부(20)의 출력 전압이 동일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KTSET는 제어부의 내부 구성, 내부 소자의 용량 값, 제1 제어부(30)의 Timing Set 단(33)에 연결된 제1 저항의 크기에 따른 가변 값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KTSET는 다음과 같은 수학식 2로 나타낼 수 있다.
[수학식 2]
Figure pat00001
여기서, RTSET은 제1 제어부(30)의 Timing Set 단(33)에 연결된 제1 저항의 크기를 나타낸다. 이어서, 제1 PFC부(10)의 구동 시간은 다음과 같은 수학식 3으로 나타낼 수 있다.
[수학식 3]
TON = KTSET * (VCOMP - 125mV)
여기서, TON은 제1 PFC부(10)의 MOSFET의 온 타임, VCOMP은 제1 제어부(30)의 출력단(32)의 전압 크기를 나타낸다. 한편, 수학식 2 및 3의 구체적인 숫자는 제어부 및 PFC부를 구성하는 내부 소자의 용량 등에 따라 종속적이고 고정된 값임을 나타낸 것에 불과하며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 제어부(40)는 입력단(43)에 연결된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필터는 제1 PFC부(10) 또는 제2 PFC부(20) 중 적어도 하나의 MOSFET의 온에 따라 발생된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다. 이외에도, 필터는 제1 제어부(30) 또는 제2 제어부(40)의 이상동작을 발생시킬 여지가 있는 노이즈의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필터는 적어도 하나의 인덕터 및 커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터는 비드(bead) 및 콘덴서(condencer)를 포함하는 저역 통과 필터(LPF, Low Pass Filter)일 수 있다. 여기서, 비드는 고주파의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으며, 콘덴서는 적층 세라믹 콘덴서(MLCC, Multi-Layer Ceramic Capacitors)로서,부 내의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제2 제어부(40)의 Timing Set 단(43)에 연결된 제2 저항의 크기는 가변적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제2 제어부(40)는 입력단(43)에 연결된 필터에 의해 발생되는 전압 강하를 보상하기 위해 제2 저항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터에 의해 발생되는 전압 강하는 제1 제어부(30)의 출력단(32)의 전압의 크기와 제2 제어부(40)의 입력단(42)의 전압의 크기 간 차이를 발생시킨다. 제2 저항의 크기는 제1 제어부(30)의 출력단(32)의 전압의 크기와 제2 제어부(40)의 입력단(42)의 전압의 크기 간 차이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6을 참조하여 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에 구비된 저항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제2 저항의 크기를 결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PFC부(10)와 제2 PFC부(20) 각각의 출력 전압이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한다(S610). 이어서, 제1 PFC부(10)와 제2 PFC부(20) 각각의 출력 전압이 동일하지 않으면, 제2 저항의 크기를 변경시킨다(S620). 예를 들어, 제1 제어부(30)에 연결된 제1 저항의 크기가 100Kohm이면, 제2 저항의 크기는 제1 저항의 크기 대비 0.1 내지 1% 큰 값을 가지도록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제2 PFC부(20)의 출력 전압의 크기는 제2 제어부(40)의 입력단(42)의 전압 크기, 제2 제어부(40)의 Timing Set 단(43)에 연결된 제2 저항의 크기에 비례한다. 제2 저항의 크기를 제1 저항의 크기 보다 크게 설정하면 필터로 인한 전압 강화를 보상할 수 있으며, 제2 PFC부(20)의 출력 전압의 크기가 제1 PFC부(10)의 출력 전압의 크기와 동일해질 수 있다.
한편, 제2 저항의 크기는 전자 장치(100)의 제조 단계에서 소정의 실험 결과에 따라 필터에 의해 발행되는 전압 강하로 인한 출력단(32)의 전압 크기와 입력단(42)의 전압 크기 간 차이를 최소화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의 출력단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제어부(30)는 출력 전압을 감지하는 단자(31)를 통해 감지된 제1 PFC부(10)의 출력 전압과 기준 출력 전압 단자(34)에 따른 기준 출력 전압 간 차이에 기초하여 출력단(32)의 전압 크기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제어부(30)는 전압 오차 증폭기(voltage-error amplifier)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PFC부(10)의 출력 전압과 기준 출력 전압 간 차이에 기초하여 증폭기를 통해 출력단(32)의 전압 크기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PFC부(10)의 출력 전압과 기준 출력 전압 간 차이가 클수록 출력단(32)의 전압 크기는 증가할 수 있다. 제1 PFC부(10)의 구동 시간은 출력단(32)의 전압 크기에 비례하므로, 제1 제어부(30)는 식별된 출력단(32)의 전압 크기에 기초하여 제1 PFC부(10)의 구동 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제2 제어부(40)도 전압 오차 증폭기(voltage-error amplifier)를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 제어부(40)는 출력 전압을 감지하는 단자(41)가 제2 PFC부(20)가 아닌 기준 출력 전압 단자(44)에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제2 제어부(40)는 제2 PFC부(20)의 출력 전압이 기준 출력 전압과 동일한 것으로 판단하므로 전압 오차 증폭기(voltage-error amplifier)를 통한 신호 출력을 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제2 제어부(40)는 제2 PFC부(20)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자체적으로 생성하거나 또는 입력단(42)의 전압의 크기를 자체적으로 제어하지 않을 수 있다. 제2 제어부(40)는 제1 제어부(30)로부터 수신된 제1 PFC부(10)의 구동 시간에 대한 정보에만 기초하여 제2 PFC부(2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제어부(40)의 입력단(42)의 전압의 크기는 제1 제어부(30)의 출력단(32)의 전압의 크기에 종속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PFC부 및 제어부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제1 PFC부(10) 및 제1 PFC부와 연결된 제2 PFC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PFC부(10)를 제어하기 위한 제1 제어부(30)가 제1 PFC부(10)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PFC부(20)를 제어하기 위한 제2 제어부(40)가 제2 PFC부(20)와 연결될 수 있다.
특히, 제1 제어부(30)는 제1 PFC부(10)의 출력 전압을 감지할 수 있고, 제2 제어부(40)와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제2 제어부(40)는 제2 PFC부(20)의 출력 전압을 감지하지 않을 수 있고, 제2 PFC부(20)의 출력 전압이 아닌 제1 제어부(30)로부터 수신된 정보에만 기초하여 제2 PFC부(20)의 구동 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구동 시간은 PFC부에 포함된 MOSFET의 온 타임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제어부(30) 및 제2 제어부(40) 각각은, 제1 PFC부(10) 및 제2 PFC부(20) 각각의 출력 전압이 임계 값을 초과하면 제1 PFC부(10) 및 제2 PFC부(20)의 구동을 중단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제1 제어부(30)는 제1 PFC부(10)를 보호하기 위해 제1 PFC부(10)의 OVP(Over Voltage Protection)에 따라 출력 전압이 임계 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이어서, 제1 PFC부(10)의 출력 전압이 임계 값을 초과하면, 제1 PFC부(10)의 구동을 중단할 수 있다. 여기서, 임계 값은 제1 PFC부(10)의 구성, 내부에 구비된 소자의 스펙 또는 용량 등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제2 제어부(40)도 제2 PFC부(40)를 보호하기 위해 제2 PFC부(40)의 OVP(Over Voltage Protection)에 따라 출력 전압이 임계 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을 참조하면, 제2 제어부(40)는 고전압 출력을 감지하는 단자(High Voltage Output Sense, HVSEN)을 포함할 수 있고, 출력 전압이 임계 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만을 식별하여 제2 PFC부(20)의 구동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제어부(40)는 수신된 제1 PFC부(10)의 구동 시간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1 PFC부(10)가 구동된 후 임계 시간 이내에 제2 PFC부(20)를 구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제어부(40)는 정보가 수신됨과 동시에 제2 PFC부(20)를 구동시킬 수 있다.
한편, 제2 PFC부(20)는 제1 PFC부(10)의 구동 시간에 종속적으로 구동되므로, 제1 PFC부(10)를 마스터(Master) PFC부, 제2 FPC부(20)를 슬레이브(Slave) PFC부로 부를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제1 PFC부(10)의 출력 파워와 제2 PFC부(20)의 출력 파워는 전자 장치(100)의 내부 부하로 제공되어 전자 장치(100)를 구동시킨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제1 PFC부(10)와 제2 PFC부(20) 각각의 출력 파워는 전자 장치(100)의 전체 소비 파워를 이등분한 파워에 대응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소비 전력 별 PFC부의 구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 PFC부(10) 및 제2 PFC부(20) 각각의 출력 파워 별 인덕터 전류의 파형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각 그래프에서 상단에 위치한 파형은 제1 PFC부(10)의 인덕터 전류의 파형을 나타낸 것이고, 하단에 위치한 파형은 제2 PFC부(20)의 인덕터 전류의 파형을 나타낸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및 제2 PFC부(10, 20) 각각이 200W의 파워를 전자 장치(100)의 내부 부하로 제공 중이면, 제1 PFC부(10)의 인덕터 전류의 파형과 제2 FPC부(20)의 인덕터 전류의 파형이 유사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의 구동 간 제1 또는 제2 PFC부(10, 20) 중 어느 하나의 출력 파워가 임계 값을 초과하지 않으며, 제1 및 제2 PFC부(10, 20) 각각이 임계 범위 내에서 유사한 파워를 안정적으로 출력함을 확인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의 전체 소비 파워가 1kW, 1.5kW로 증가하여도 제1 및 제2 PFC부(10, 20) 각각의 출력 파워가 유사하며, 제1 또는 제2 PFC부(10, 20) 중 어느 하나의 PFC부가 임계 값 이상의 파워를 출력하지 않으며, PEAK가 발생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PFC부의 과도 상태의 전류 파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종래의 파워 쉐어링 방법은 PFC부에 더하여 출력 파워를 배분해주는 컨트롤러를 추가적으로 요구하였다. 이와 같은 컨트롤러는 PFC부의 출력 파워를 감지한 후 해당 출력 파워를 배분하기 때문에 초기 과도 상태에서 정상 상태에 도달하기 까지 수십에서 수백ms가 요구되었다. 초기 과도 상태에서 빈번하게 발생하는 Peak 상태에서도 PFC부의 고장을 방지하기 위해 고용량의 인덕터를 구비하여야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출력 파워를 배분하기 위한 추가적인 컨트롤러를 요구하지 않으며, 초기 과도 상태에서도 Peak가 발생하지 않는다.
도 10을 참조하면, 각 그래프에서 상단에 위치한 파형은 제1 PFC부(10)의 인덕터 전류의 파형을 나타낸 것이고, 하단에 위치한 파형은 제2 PFC부(20)의 인덕터 전류의 파형을 나타낸 것이다. 전자 장치(100)의 초기 구동 상태에서 제1 PFC부(10)의 인덕터 전류의 파형을 나타낸 것이고, 하단에 위치한 파형은 제2 PFC부(20)의 인덕터 전류의 파형이 유사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의 구동을 정지시켜도 제1 PFC부(10)의 인덕터 전류의 파형과 제2 PFC부(20)의 인덕터 전류의 파형이 유사하게 변경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과도 상태에서도 Peak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고용량의 인덕터를 구비하지 않아도 복수의 PFC부를 이용한 파워 쉐어링이 가능하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PFC(power factor correction)부, 제1 PFC부와 연결된 제2 PFC부, 제1 PFC부를 제어하는 제1 제어부 및 제2 PFC부를 제어하는 제2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은, 제1 제어부를 통해 제1 PFC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을 감지하고, 감지된 출력 전압에 기초하여 제1 PFC부의 구동 시간을 제어한다(S1110).
이어서, 제2 PFC부로 구동 시간에 대한 정보를 제2 제어부로 제공한다(S1120).
이어서, 제2 제어부를 통해 제공된 구동 시간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2 PFC부의 구동 시간을 제어한다(S1130).
여기서, 제1 PFC부의 구동 시간을 제어하는 S1110 단계는, 감지된 출력 전압에 기초하여 제1 제어부의 출력단의 전압 크기를 제어하는 단계 및 출력단의 전압 크기에 기초하여 제1 PFC부의 구동 시간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 제어부의 입력단은, 제1 제어부의 출력단과 연결되며, 제2 PFC부의 구동 시간을 제어하는 S1130 단계는, 입력단의 전압 크기에 기초하여 제2 PFC부의 구동 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제1 제어부는, 제1 저항을 포함하며, 제2 제어부는, 제2 저항을 포함하며, 제1 PFC부의 구동 시간을 제어하는 S1110 단계는, 제1 저항의 크기 및 출력단의 전압 크기에 기초하여 제1 PFC부의 구동 시간을 제어하고, 제2 PFC부의 구동 시간을 제어하는 S1130 단계는, 제2 저항의 크기 및 입력단의 전압 크기에 기초하여 제2 PFC부의 구동 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제어부는, 입력단에 연결된 필터를 포함하며, 제2 저항의 크기는, 필터에 의해 발생되는 전압 강하로 인한 출력단의 전압 크기와 입력단의 전압 크기 간 차이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필터는, 비드(Bead) 및 콘덴서(condencer)를 포함하는 저역 통과 필터(LPF)일 수 있다.
또한, 제2 PFC부의 구동 시간을 제어하는 S1130 단계는, 구동 시간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1 PFC부가 구동된 후 임계 시간 이내에 제2 PFC부를 구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PFC부의 구동 시간을 제어하는 S1110 단계는, 감지된 출력 전압 및 기준 출력 전압(Reference output voltage) 간 차이에 기초하여 제1 PFC부의 구동 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2 제어부는, 제2 PFC부의 출력 전압을 감지하는 단자 및 출력 전압을 감지하는 단자에 연결된 기준 출력 전압 단자를 포함하며, 제2 PFC부의 구동 시간을 제어하는 S1130 단계는, 제2 PFC부의 출력 전압이 기준 출력 전압과 동일한 것으로 판단하여, 수신된 제1 PFC부의 구동 시간에 대한 정보에만 기초하여 제2 PFC부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다만,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전자 장치 뿐 아니라, 파워 서플라이를 포함하는 모든 유형의 전자 장치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된 다양한 실시 예들은 소프트웨어(software), 하드웨어(hardware) 또는 이들의 조합을 이용하여 컴퓨터(computer)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있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이 프로세서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 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프로세싱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명령어(computer instructions)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명령어는 특정 기기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에서의 처리 동작을 특정 기기가 수행하도록 한다.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구체적인 예로는,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이 있을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개시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전자 장치 10: 제1 PFC 회로
20: 제2 PFC 회로 30: 제1 제어 회로
40: 제2 제어 회로

Claims (20)

  1. 제1 PFC(power factor correction) 회로 및 상기 제1 PFC부와 연결된 제2 PFC부;
    상기 제1 PFC부를 제어하는 제1 제어부; 및
    상기 제2 PFC부를 제어하는 제2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제1 PFC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출력 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제1 PFC부의 구동 시간을 제어하고 상기 제2 PFC부로 상기 구동 시간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2 제어부로 제공하며,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구동 시간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PFC부의 구동 시간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출력 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제어부의 출력단의 전압 크기를 제어하고,
    상기 출력단의 전압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제1 PFC부의 구동 시간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부의 입력단은, 상기 제1 제어부의 출력단과 연결되며,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입력단의 전압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제2 PFC부의 구동 시간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부는,
    제1 저항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저항의 크기 및 상기 출력단의 전압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제1 PFC부의 구동 시간을 제어하고,
    상기 제2 제어부는,
    제2 저항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저항의 크기 및 상기 입력단의 전압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제2 PFC부의 구동 시간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입력단에 연결된 필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저항의 크기는,
    상기 필터에 의해 발생되는 전압 강하로 인한 상기 출력단의 전압 크기와 상기 입력단의 전압 크기 간 차이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전자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비드(Bead) 및 콘덴서(condencer)를 포함하는 저역 통과 필터(LPF)인, 전자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구동 시간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PFC부가 구동된 후 임계 시간 이내에 상기 제2 PFC부를 구동시키는, 전자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출력 전압 및 기준 출력 전압(Reference output voltage) 간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PFC부의 구동 시간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제2 PFC부의 출력 전압을 감지하는 단자; 및
    상기 출력 전압을 감지하는 단자에 연결된 기준 출력 전압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제2 PFC부의 출력 전압이 상기 기준 출력 전압과 동일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수신된 제1 PFC부의 구동 시간에 대한 정보에만 기초하여 상기 제2 PFC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PFC부의 출력 전압과 상기 제2 PFC부의 출력 전압이 동일하고,
    상기 제1 및 제2 PFC부 각각의 출력 파워는,
    상기 전자 장치의 전체 소비 파워를 이등분한 파워에 대응되는, 전자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제어부 각각은,
    상기 제1 및 제2 PFC부 각각의 출력 전압이 임계 값을 초과하면, 상기 제1 및 제2 PFC부의 구동을 중단시키는, 전자 장치.
  12. 제1 PFC(power factor correction)부, 상기 제1 PFC부와 연결된 제2 PFC부, 상기 제1 PFC부를 제어하는 제1 제어부 및 상기 제2 PFC부를 제어하는 제2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부를 통해 상기 제1 PFC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출력 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제1 PFC부의 구동 시간을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제2 PFC부로 상기 구동 시간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2 제어부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제어부를 통해 상기 구동 시간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PFC부의 구동 시간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PFC부의 구동 시간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감지된 출력 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제어부의 출력단의 전압 크기를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출력단의 전압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제1 PFC부의 구동 시간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부의 입력단은, 상기 제1 제어부의 출력단과 연결되며,
    상기 제2 PFC부의 구동 시간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단의 전압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제2 PFC부의 구동 시간을 제어하는, 제어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부는, 제1 저항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제어부는, 제2 저항을 포함하며,
    상기 제1 PFC부의 구동 시간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저항의 크기 및 상기 출력단의 전압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제1 PFC부의 구동 시간을 제어하고,
    상기 제2 PFC부의 구동 시간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저항의 크기 및 상기 입력단의 전압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제2 PFC부의 구동 시간을 제어하는, 제어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입력단에 연결된 필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저항의 크기는,
    상기 필터에 의해 발생되는 전압 강하로 인한 상기 출력단의 전압 크기와 상기 입력단의 전압 크기 간 차이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제어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비드(Bead) 및 콘덴서(condencer)를 포함하는 저역 통과 필터(LPF)인, 제어 방법.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PFC부의 구동 시간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구동 시간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PFC부가 구동된 후 임계 시간 이내에 상기 제2 PFC부를 구동시키는, 제어 방법.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PFC부의 구동 시간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감지된 출력 전압 및 기준 출력 전압(Reference output voltage) 간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PFC부의 구동 시간을 제어하는, 제어 방법.
  20.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제2 PFC부의 출력 전압을 감지하는 단자; 및
    상기 출력 전압을 감지하는 단자에 연결된 기준 출력 전압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제2 PFC부의 구동 시간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2 PFC부의 출력 전압이 상기 기준 출력 전압과 동일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수신된 제1 PFC부의 구동 시간에 대한 정보에만 기초하여 상기 제2 PFC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 방법.
KR1020190099889A 2019-08-14 2019-08-14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1002048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9889A KR20210020486A (ko) 2019-08-14 2019-08-14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6/991,415 US11398774B2 (en) 2019-08-14 2020-08-12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9889A KR20210020486A (ko) 2019-08-14 2019-08-14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0486A true KR20210020486A (ko) 2021-02-24

Family

ID=74568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9889A KR20210020486A (ko) 2019-08-14 2019-08-14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398774B2 (ko)
KR (1) KR20210020486A (ko)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31980B2 (ko) 1971-11-05 1979-10-11
KR20020084401A (ko) 2001-04-30 2002-11-07 삼성전기주식회사 부하 분배 회로
US20100039088A1 (en) * 2008-08-15 2010-02-18 System General Corp. Interleaved slave switching circuit for discontinuous mode pfc converter
JP5170248B2 (ja) 2008-09-22 2013-03-27 富士通株式会社 電源制御回路、電源装置、電源システムおよび電源制御装置の制御方法
JP5402268B2 (ja) * 2008-10-16 2014-01-29 富士電機株式会社 インターリーブ制御電源装置、該電源装置の制御回路および制御方法
KR100954123B1 (ko) 2009-09-07 2010-04-23 (주)아모시스템 엘이디 조명기구용 전원공급 장치
JP5431980B2 (ja) 2010-01-14 2014-03-05 旭化成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スイッチング電源の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CN101860195B (zh) * 2010-07-01 2013-07-24 崇贸科技股份有限公司 交错式pfc功率转换器的控制电路
GB201110823D0 (en) 2011-06-27 2011-08-10 Cooper Technologies Co Power supply
US9634555B2 (en) * 2012-06-13 2017-04-25 Efficient Power Conversion Corporation Method for operating a non-isolated switching converter having synchronous rectification capability suitable for power factor correction applications
US9106136B2 (en) 2013-02-11 2015-08-11 Microchip Technology Incorporated Pulse width modulation load share bus
JP2018148766A (ja) 2017-03-09 2018-09-20 株式会社デンソー 電力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050772A1 (en) 2021-02-18
US11398774B2 (en) 2022-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52889B2 (en) Power suppli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power supplier
US7498783B2 (en) Extending the continuous mode of operation for a buck converter
US7898235B2 (en) Method and apparatus to control voltage conversion mode
US8363428B2 (en) Adapter power supply having variable switching mode
JP6416580B2 (ja) Usb給電装置、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US946697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ductive overvoltage protection of PFC bulk capacitors in power supplies
US9531283B2 (en) Power supply apparatus
US20090237057A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an adaptive high efficiency switching power supply
CN108566082B (zh) 一种支持多种输入电压的直流atx电源
EP3713064A1 (en) Switching regulator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US20070019347A1 (en) Electrical device with adjustable voltage
US20100318814A1 (en) Power management device and point of sales terminal apparatus using thereof
US9740159B2 (en) Power supply device,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power supply device
US20180091043A1 (en) Power supply device and power supply method
US10622814B2 (en) Power conversion apparatus
US8093877B2 (en) Transient voltage compensation apparatus and power supply using the same
US11398774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148183B1 (en) Load detection circuit and dual-output power supply having the same
US10148110B2 (en) Charg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s of different modulation modules according to load conditions
US7602163B2 (en) Coupled inductor output regulation
US11611208B2 (en) Electronic apparatus
US9564812B2 (en) Power supply device and method for supplying power to the electronic device
JP2016182009A (ja) 電源装置、及び、電源装置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KR102126356B1 (ko) 전원 장치 및 이의 충전 전압 보상 방법
US20110157789A1 (en) Electronic apparatus to which ac adaptor can be connecte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