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9883A - 영상 기반의 안구운동능력 훈련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영상 기반의 안구운동능력 훈련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9883A
KR20210019883A KR1020190099068A KR20190099068A KR20210019883A KR 20210019883 A KR20210019883 A KR 20210019883A KR 1020190099068 A KR1020190099068 A KR 1020190099068A KR 20190099068 A KR20190099068 A KR 20190099068A KR 20210019883 A KR20210019883 A KR 202100198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ining
image
user
eye movement
abi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90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시현
강태우
허예은
Original Assignee
박시현
허예은
강태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시현, 허예은, 강태우 filed Critical 박시현
Priority to KR10201900990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19883A/ko
Publication of KR202100198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98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5/00Exercisers for the eyes
    • A61H5/005Exercisers for training the stereoscopic vie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23Interfaces to the user
    • A61H2201/5043Display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영상 기반의 안구운동능력 훈련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상기 영상장치를 이용한 안구운동능력 훈련 방법은 영상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사전 저장된 측정용 영상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안구운동능력에 대한 측정값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측정값을 기초로 훈련용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훈련용 영상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값은 상기 사용자의 양안 각각의 사시각 및 안근능력지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훈련용 영상은 가상프리즘 훈련용 영상 또는 양안협응 훈련용 영상이며, 상기 가상프리즘 훈련용 영상은 상기 측정값 및 훈련강도를 기초로 특정된 프리즘 수치만큼 초점이 이동된 것이고, 상기 양안협응 훈련용 영상은 좌안에만 보여지는 제1 오브제 및 우안에만 보여지는 제2 오브제를 출력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영상 기반의 안구운동능력 훈련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DEVICE, METHOD AND PROGRAM FOR TRAINING OCULAR MOTOR ABILITY USING IMAGE}
본 발명은 영상 기반의 안구운동능력 훈련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물리적인 도구 대신 영상을 이용하여 안구운동능력을 측정, 훈련 및 치료하는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사람은 안구가 두부의 앞쪽에 위치하고 있어 물체가 망막의 중심와(Fovea centralis)에 정확히 맺혀야 선명한 시력이 유지된다. 이를 위해 안구는 반사적 또는 의도적으로 물체가 중심와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움직이는 운동을 한다. 따라서, 안구운동계에 이상이 있어 안구운동능력이 선천적 또는 후천적으로 부족한 경우, 다양한 안구운동장애의 원인이 된다. 예를 들어, 사시, 복시, 약시 등의 시각장애는 눈을 움직이는 근육의 이상, 즉 안구운동장애가 주요한 원인 중 하나이다. 이와 같이 안구운동장애로 인해 발생하는 증상은 안구운동능력을 향상시키는 비수술적 치료 방법에 의해 완화될 수 있다.
안구운동장애의 한 예로서 사시는 두 눈이 정렬되지 않고 서로 다른 지점을 바로보는 시력 장애이다. 사시의 비수술 치료 방법으로는 도구를 이용하여 눈의 초점의 이동을 유도하거나, 프리즘을 활용하여 눈의 초점을 변경하는 방법이 있다. 구체적인 예로, 프리즘 안경을 사용하는 경우, 환자의 증세가 완화되는 등의 이유로 프리즘 수치에 변경이 필요한 경우 새로운 프리즘을 구입하여 적용해야 한다.
약시는 안구에 기질적인 이상없이 발생하는 시력 저하로서, 시력표에서 양쪽 눈의 시력이 두 줄 이상 차이가 있을 때 시력이 낮은 쪽을 약시라고 한다. 약시의 비수술 치료 방법으로는 가림치료가 있으며, 이는 시력이 좋은 눈(주시안)을 일정 시간 동안 인위적으로 가림으로써 약시안(부시안)을 강제로 사용하도록 하는 치료 방법이다.
한편, 영상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 및 혼합현실(Mixed Reality; MR) 산업이 활성화되고 있다.
가상현실(VR)은 현실 세계를 차단하고 컴퓨터 그래픽으로 디지털 환경을 구축하여 가상의 영상과 사용자의 움직임을 결합하여 3D로 구현된 현실을 제공하는 것이다. 증강현실(AR)은 현실 정보 위에 가상의 정보를 입혀서 보여주는 기술로, 실제 환경에 3차원 가상의 사물 또는 이미지를 겹쳐 보여주는 기술이다. 혼합현실(MR)은 현실 세계와 가상 세계 정보를 결합하여 두 세계를 융합시키는 공간을 만들어내는 기술이다.
등록특허공보 제10-1789153호, 2017.10.17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안구운동능력을 측정하고, 훈련 및 치료하기 위해 별도의 도구를 물리적으로 구비할 필요없이 영상을 이용하여 안구운동능력을 측정, 훈련 및 치료할 수 있는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안구운동능력을 측정, 훈련 및 치료하기 위해 대상자의 안구운동능력 수준 또는 단계별로 도구(예를 들어, 프리즘, 적녹안경)를 교체하거나 조정할 필요없는 안구운동능력을 측정, 훈련 및 치료할 수 있는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검사자의 주관이 개입되지 않고 객관적인 측정 및 훈련이 가능한 영상 기반의 안구운동능력 훈련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른 영상장치를 이용한 안구운동능력 훈련 방법은 영상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사전 저장된 측정용 영상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안구운동능력에 대한 측정값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측정값을 기초로 훈련용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훈련용 영상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값은 상기 사용자의 양안 각각의 사시각 및 안근능력지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훈련용 영상은 가상프리즘 훈련용 영상 또는 양안협응 훈련용 영상이며, 상기 가상프리즘 훈련용 영상은 상기 측정값 및 훈련강도를 기초로 특정된 프리즘 수치만큼 초점이 이동된 것이고, 상기 양안협응 훈련용 영상은 좌안에만 보여지는 제1 오브제 및 우안에만 보여지는 제2 오브제를 출력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른 영상장치를 이용한 안구운동능력 훈련 방법은 사용자의 적응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의 적응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사용자의 양안에 각각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를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제1 이미지 및 상기 제2 이미지의 중앙이 겹쳐 보이면 적응된 것으로 판단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른 영상장치를 이용한 안구운동능력 훈련 방법은 상기 적응여부 판단 결과가 부적응인 경우, 동일한 영상 또는 훈련강도를 감소시킨 영상으로 훈련을 계속하고, 상기 적응여부 판단 결과가 적응인 경우, 설정된 훈련횟수를 완료하였으면 훈련을 종료하고, 상기 설정된 훈련횟수를 미완료하였으면 훈련 강도를 증가시킨 영상으로 훈련을 계속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른 영상장치를 이용한 안구운동능력 훈련 방법은 상기 측정값을 획득하는 단계는 사시각을 측정하는 단계이며, 상기 사시각을 측정하는 단계는, 중앙에 응시대상이 표시된 사시각 측정용 영상을 제공하는 단계, 제1 안구를 가리고 제2 안구의 응시점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안구를 가리지 않고 상기 제2 안구의 응시점을 획득하는 단계; 및 획득한 응시점 간의 각도 차이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른 영상장치를 이용한 안구운동능력 훈련 방법은 상기 측정값을 획득하는 단계는 안근능력지수를 측정하는 단계이며, 상기 안근능력지수를 측정하는 단계는, 설정된 위치에 응시대상이 표시된 안근능력지수 측정용 영상을 제공하는 단계 및 제1 안구를 가리고 제2 안구가 상기 응시대상을 단위시간동안 응시하는지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설정된 위치는 상, 하, 좌, 우를 포함하며 각 위치를 대상으로 안근능력지수 측정이 반복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른 영상장치를 이용한 안구운동능력 훈련 방법은 상기 제1 오브제는 컨트롤러와 연동하여 움직이는 것이고, 상기 양안협응 훈련용 영상은 사용자가 양안을 모두 사용하여 상기 제1 오브제와 상기 제2 오브제가 만나게 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른 영상장치를 이용한 안구운동능력 훈련 방법은 상기 양안협응 훈련용 영상은 상기 측정값 및 훈련강도를 기초로 특정된 프리즘 수치만큼 초점이 이동된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른 영상장치를 이용한 안구운동능력 훈련 방법은 상기 훈련용 영상은 양안에 제공되는 영상 중 어느 하나의 영상에 시야 능력을 떨어뜨리는 특정한 효과가 적용된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른 영상장치를 이용한 안구운동능력 훈련 프로그램은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상기 영상장치를 이용한 안구운동능력 훈련 방법을 실행하며 매체에 저장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면에 따른 영상 기반의 안구운동능력 훈련 장치는 사용자의 응시점을 감지하는, 감지부, 사전 저장된 측정용 영상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안구운동능력에 대한 측정값을 획득하는, 안구운동능력 측정부, 상기 측정값을 기초로 훈련용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제어부 및 상기 측정용 영상 및 상기 훈련용 영상을 제공하는, 영상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값은 상기 사용자의 양안 각각의 사시각 및 안근능력지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훈련용 영상은 가상프리즘 훈련용 영상 또는 양안협응 훈련용 영상이며, 상기 가상프리즘 훈련용 영상은 상기 측정값 및 훈련강도를 기초로 특정된 프리즘 수치만큼 초점이 이동된 것이고, 상기 양안협응 훈련용 영상은 좌안에만 보여지는 제1 오브제 및 우안에만 보여지는 제2 오브제를 출력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 본 발명에 의하면, 영상장치만 구비되면 종래에 안구운동능력 측정 및 치료에 이용되던 추가적인 도구없이도 사용자의 안구운동능력을 측정, 훈련 및 치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와 달리 안구운동능력을 측정, 훈련 및 치료하는 과정에서 대상자의 안구운동능력 수준 또는 단계에 따라 도구를 교체할 필요가 없으므로 보다 신속하고 편리하게 안구운동능력을 측정, 훈련 및 치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에 의하면, 영상장치를 이용하여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여 사용자가 제공받는 영상에 따라 동작을 수행하는 것만으로 지루하지 않게 안구운동능력을 측정, 훈련 및 치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구운동능력 훈련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모션 인식부가 더 포함된 안구운동능력 훈련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구운동능력 훈련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적응여부 판단 단계가 더 포함된 안구운동능력 훈련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적응여부 판단 단계의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적응여부에 따라 훈련강도가 조절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시각을 측정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근능력지수를 측정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안협응훈련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안협응훈련을 위해 제공되는 영상의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안구운동능력"은 정상적인 시력 유지 및 시야 확보를 위해 안구의 운동을 제어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즉, 안근을 정상적으로 사용하여 안구를 움직일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영상장치"는 사용자에게 영상을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임의의 장치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측정용 영상"은 사용자의 안구운동능력을 측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제작된 영상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훈련용 영상"은 사용자의 안구운동능력을 훈련 및 치료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제작된 영상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안근능력지수"는 사용자의 안구운동능력을 수치화한 값으로서, 안구를 반사적 또는 의도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능력을 수치화한 값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프리즘"은 1m 거리에서 1cm만큼의 편차를 수치화한 단위를 의미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구운동능력 훈련 장치의 구성도이다.
안구운동능력 훈련 장치(10)는 영상을 시각적으로 제공하여 사용자의 안구운동능력을 측정 및 훈련시킬 수 있는 장치이다. 안구운동능력 훈련 장치(10)가 제공하는 영상은 일반영상부터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 혼합현실(MR) 기술이 적용된 영상을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구운동능력 훈련 장치(10)는 감지부(11), 안구운동능력 측정부(12), 영상제어부(13) 및 영상제공부(14)를 포함한다.
감지부(11)는 사용자의 안구가 응시하는 방향, 즉, 사용자의 안구의 응시점(Gaze point)을 감지 및 추적(Tracking)하는 역할을 한다.
일 실시예로, 감지부(11)는 영상에 대응하여 움직이는 사용자의 안구의 동공의 위치를 통해 사용자의 응시점을 감지한다. 감지부(11)는 동공의 위치를 인식하고 추적할 수 있는 임의의 센서이며 그 종류에는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안구를 촬영하는 적외선 카메라, 인식된 동공을 추적하는 아이트랙킹(Eye Tracking)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안구운동능력 측정부(12)는 사용자의 안구운동능력을 측정하고, 이를 수치화한 측정값을 획득하는 역할을 한다.
안구운동능력 측정부(12)는 사용자가 제공되는 측정용 영상의 지시에 따라 동작을 수행할 때 감지부(11)를 통해 감지된 안구의 응시점을 기준으로 사용자의 안구운동능력을 측정한다.
또한, 안구운동능력 측정부(12)는 측정된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안구운동능력을 수치화한다. 안구운동능력을 수치화한 측정값은 사시각 및 안근능력지수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안구운동능력 측정부(12)는 사용자의 사시 증상의 정도를 판단하기 위한 사시각을 계산하거나, 사용자가 얼마나 안구를 반사적 또는 의도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지를 수치화한 값으로서 안근능력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
영상제어부(13)는 측정용 영상 및 훈련용 영상을 선택하거나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영상제어부(13)는 사전에 측정용 영상 및 훈련용 영상을 저장 및 관리하고 있다. 일 실시예로, 영상제어부(13)는 외부기기 또는 외부서버와 통신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영상제어부(13)는 외부와 영상 데이터 및 영상에 포함되는 오브제 데이터 등을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영상제어부(13)는 영상 내에서 출력되는 응시대상 및 오브제의 위치를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영상제어부(13)는 측정용 영상이 제공될 때 정중앙, 상, 하, 좌, 우, 좌상, 우상, 좌하, 우하 방향에 응시대상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훈련용 영상으로서 양안협응 훈련용 영상이 제공될 때, 신규의 오브제를 생성하여 출력하거나 영상 내에서 출력되는 오브제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영상제어부(13)는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측정용 영상을 선택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인 예로, 사용자의 목적이 사시각을 측정하는 것이라면 사시각 측정용 영상을 선택하고, 사용자의 목적이 안근능력지수를 측정하는 것이라면 안근능력지수 측정용 영상을 선택한다. 이와 같은 측정용 영상을 이용하여 사시각 또는 안근능력지수 등의 측정값을 획득하는 과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 영상제어부(13)는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훈련강도를 적용하여 훈련용 영상을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적용되는 훈련강도는 측정값을 기초로 결정되며, 사용자의 상태별로 상이하다. 또한, 훈련강도는 훈련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적응여부에 따라 증가되거나 감소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영상제어부(13)가 생성하는 훈련용 영상은 가상프리즘 훈련용 영상 및 양안협응 훈련용 영상을 포함한다.
"가상프리즘 훈련용 영상"은 안구운동능력 측정부(12)에서 측정한 측정값을 기초로 특정한 프리즘 수치만큼 초점을 이동시켜 생성한 영상이다. 즉, 가상프리즘 훈련용 영상은 폭주기능 및 조절기능을 향상시키는 훈련을 위해 의도적으로 시야각을 틀어 초점을 맞추도록 유도하는 가상프리즘 훈련을 위한 영상이다. 사용자가 안구운동능력이 정상적인 경우, 어렵지않게 안구운동을 통해 시야각을 틀어서 올바른 초점으로 영상을 볼 수 있다. 이와 달리, 사용자가 안구운동능력이 부족한 경우, 시야각을 틀기 위한 안구운동에 어려움이 있어서 올바른 초점으로 영상을 보는 것이 힘들다. 따라서, 적절한 훈련강도를 적용하여, 즉, 적절한 프리즘 수치만큼 초점을 이동시킨 영상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안구운동능력을 훈련시킨다.
"양안협응 훈련용 영상"은 양안에 상이한 이미지를 차별적으로 제공하는 영상이다. 즉, 양안협응 훈련용 영상은 사용자가 양안을 모두 사용하도록 유도하는 훈련용 영상으로, 차별적으로 송출되는 이미지를 통해 사용자가 양안을 사용하지 않으면 진행할 수 없는 콘텐츠를 제공하여 강제적으로 양안이 사용되도록 하는 영상이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한편, 일 실시예로, 양안협응 훈련과 가상프리즘 훈련이 동시에 진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양안협응 훈련용 영상에 상술한 가상프리즘 훈련용 영상의 원리를 적용하여, 양안협응 훈련용 영상을 측정부(12)에서 측정한 측정값을 기초로 특정한 프리즘 수치만큼 초점을 이동시켜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올바른 초점으로 영상을 보기 위해 시야각을 트는 안구운동을 하는 것과 동시에, 양안을 모두 사용해야만 진행할 수 있는 게임 또는 미션을 수행하며 양안을 모두 사용하는 훈련을 함께 하게 된다.
다른 실시예로, 훈련용 영상은 양안에 제공되는 영상 중 어느 하나의 영상에 시야 능력을 떨어뜨리는 특정한 효과가 적용된 영상이다. 구체적으로, 시력이 좋은 눈(주시안)에는 특정한 효과가 적용된 영상을 제공하여 의도적으로 불편하게 만들고, 약시안(부시안)에는 특정한 효과가 적용되지 않은 정상적인 영상을 제공하여 강제로 사용하도록 하는 훈련용 영상이다. 특정한 효과는 흐림효과, 투명도 조절, 명암값 조절 등을 포함하며 상술한 예시에 제한되지 않고 사용자의 시야능력을 떨어뜨리는 임의의 효과이다.
영상제공부(14)는 영상을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영상제공부(14)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측정용 영상 또는 훈련용 영상을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출력해준다.
영상제공부(14)는 사용자의 양안의 각각에 개별적으로 영상을 제공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좌안으로는 좌안에 제공되는 영상만을 볼 수 있고, 우안에 제공되는 영상은 볼 수 없으며,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모션 인식부가 더 포함된 안구운동능력 훈련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사용자 모션 인식부(60)는 사용자의 모션을 인식하고 사용자의 움직임에 대한 정보를 안구운동능력 훈련 장치(10)에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인 예로, 사용자 모션 인식부(60)는 사용자가 휴대하여 조작할 수 있도록 제작된 컨트롤러일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컨트롤러를 조작하면, 컨트롤러는 해당 움직임을 인식하여 안구운동능력 훈련 장치에 제공한다. 이에 따라, 영상 내 오브제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상응하여 이동한다. 이에 대한 상세한 예시는 후술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구운동능력 훈련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구운동능력 훈련 방법은, 사용자의 안구운동능력에 대한 측정값을 획득하는 단계(S100), 훈련용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S200), 훈련용 영상을 제공하는 단계(S300)을 포함한다.
S100 단계는 사용자의 안구운동능력을 측정하고, 이를 수치화한 측정값(예를 들어, 사시각 또는 안근능력지수)을 획득하는 단계이다. 사용자는 목적에 따라 제공되는 측정용 영상의 지시에 따라 특정 동작을 수행한다.
S200 단계는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S100 단계에서 획득한 측정값을 기초로 훈련강도를 결정하여 적용한 훈련용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이다.
S300 단계는 S200 단계에서 생성한 훈련용 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이다. 사용자는 제공되는 영상이 지시하는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목적으로 하는 안구운동능력을 훈련시킬 수 있다.
각 단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적응여부 판단 단계가 더 포함된 안구운동능력 훈련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3과 비교하여 사용자의 적응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400)를 더 포함한다.
S400 단계는 훈련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현재 적용된 훈련강도에 적응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이다. 즉, 사용자가 현재 적용된 훈련강도에 대해서 충분히 안구운동능력을 갖추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이다. 예를 들어, 현재 적용된 프리즘 수치만큼 틀어진 초점에 대해 올바른 초점으로 볼 수 있도록 시야각을 트는 안구운동을 할 수 있거나, 양안을 충분히 함께 사용할 수 있는지 판단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적응수준에 따라 훈련강도를 변경(증가 또는 감소)하여 보다 효율적인 훈련이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적응여부 판단 단계의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제1 안구(21)에는 중앙이 비어있는 과녁모양의 제1 이미지(31)가 출력되고, 제2 안구(22)에는 더하기 기호 모양의 제2 이미지(32)가 표시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각 안구에 출력되는 이미지만 볼 수 있고, 다른 안구에 표시되는 이미지는 볼 수 없다. 적응여부 판단을 위해 사용자는 제1 이미지(31)와 제2 이미지(32)가 겹쳐보이도록 안구를 움직이는 운동을 하며, 본인이 직접 적응여부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가 현재 적용된 훈련강도에 대해 충분한 안구운동능력을 갖추고 있는 경우, 어렵지 않게 제1 이미지(31)와 제2 이미지(32)가 겹쳐보이도록 안구를 움직이는게 가능하므로 적응된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 달리 겹쳐보이도록 안구를 움직이는게 어려운 경우 현재 적용된 훈련강도에 대해 부적응 상태로 판단한다. 적응/부적응 판단에 따라 훈련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적응여부에 따라 훈련강도가 조절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적응여부에 따라 훈련강도가 조절되는 과정은, 사용자의 적용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410), 훈련강도를 감소시키는 단계(S420), 훈련횟수 완료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430), 훈련강도를 증가시키는 단계(S440) 및 훈련을 종료하는 단계(S450)를 포함한다.
S410 단계에서는 사용자의 적응여부를 판단하여 "부적응"인 경우, 훈련강도를 감소시킨다(S420). 감소된 훈련강도를 적용한 훈련용 영상을 생성 및 제공하고 적응여부를 판단하는 S200 내지 S410 단계를 재진행한다. 한편, 도 5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적응여부 판단결과가 부적응이어도 현재 수준의 훈련강도를 유지하여 훈련을 반복하거나, 훈련횟수를 완료한 경우에는 훈련이 종료될 수 있다.
S410 단계에서의 적응여부 판단결과가 "적응"인 경우, 훈련횟수를 완료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430). 훈련횟수는 사용자에 따라 사전 설정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설정된 훈련횟수를 완료한 경우 훈련은 종료된다(S450). 이와 달리, 사용자가 현재 적용된 훈련강도에 적응은 하였으나 훈련횟수를 미완료한 경우에는 훈련강도를 증가시킨다(S440). 증가된 훈련강도를 적용한 훈련용 영상을 생성 및 제공하고 적응여부를 판단하는 S200 내지 S410 단계를 재진행한다. 한편, 도 5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S410 단계에서의 판단결과가 적응이고, S430 단계에서 판단결과가 미완료인 경우, 훈련강도를 증가시키지 않고 현재 적용된 수준의 훈련강도를 유지하여 훈련을 반복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시각을 측정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시각을 측정하는 과정은 사시각 측정용 영상을 제공하는 단계(S111), 제1 안구를 가리고 제2 안구의 응시점을 획득하는 단계(S112), 제1 안구를 가리지 않고 제2 안구의 응시점을 획득하는 단계(S113), S112 및 S113에서 획득한 응시점 간의 각도 차이를 계산하는 단계(S114), 양안 측정을 완료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15), 좌우변경하여 S111 내지 S115 단계를 진행하는 단계(S116) 및 측정을 완료하는 단계(S117)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시각을 측정하는 일 실시예는 커버 언커버 테스트(Cover uncover test)로 정상안의 시야를 차단한 상태에서의 대상안의 응시점과 정상안의 시야를 차단하지 않은 상태에서의 대상안의 응시점의 각도 차이를 계산하는 방법으로 사시각을 측정한다.
S111 단계는 사시각 측정을 위한 사시각 측정용 영상을 제공하는 단계이다. 사시각 측정용 영상은 영상의 중앙에 응시대상을 포함하는 영상이다. 사용자는 상기 응시대상을 응시하도록 지시받는다.
S112 단계에서는 사용자의 양안 중 제1 안구를 가리고 제2 안구가 응시대상을 응시하도록 하여, 제1 안구가 가려진 상태에서의 제2 안구의 응시점을 획득한다.
S113 단계에서는 상기 제1 안구를 가리지 않은 상태에서의 제2 안구의 응시점을 획득한다.
S114 단계에서는 S112 및 S113에서 획득한 두 응시점 간의 각도 차이를 계산한다. 즉, 사시각 측정의 목적이 되는 동일한 안구(제2 안구)에 대해 제1 안구를 가린 상태에서와 가리지 않은 상태에서의 각각 획득한 두 응시점의 각도 차이를 계산한다. 예를 들어, 사시 또는 사위 증상이 전혀 없는 정상안의 경우라면 두 응시점은 정확히 일치할 것이므로 계산된 각도는 0도일 것이다.
S115 단계에서는 양안 모두에 대해 사시각 측정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미완료된 경우, 즉, 한쪽 눈만 측정이 완료된 경우는 좌우를 변경하여 S111 내지 S115 단계를 진행하고, 양안에 모두에 대해 측정이 완료된 경우 측정을 종료한다(S116, S117).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근능력지수를 측정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근능력지수를 측정하는 과정은 안근능력지수 측정용 영상을 제공하는 단계(S121), 제1 안구를 가리고 제2 안구의 화면에 응시대상을 출력하는 단계(S122), 단위시간동안 대기하는 단계(S123), 상, 하, 좌, 우, 좌상, 우상, 좌하, 우하 방향에 대해 S122 내지 S123 단계를 반복 진행하는 단계(S124), 양안 측정을 완료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25), 좌우변경하여 S121 내지 S125 단계를 진행하는 단계(S126) 및 측정을 완료하는 단계(S127)를 포함한다.
S121 단계는 안근능력지수를 측정하기 위한 안근능력지수 측정용 영상을 제공하는 단계이다. 안근능력지수는 사용자의 안구운동능력을 수치화한 측정값이다. 안근능력지수 측정용 영상은 설정된 방향에 응시대상을 포함하는 영상으로서, 사용자는 상기 응시대상을 단위시간동안 응시하도록 지시받는다. 구체적인 예로, 상기 설정된 방향은 상, 하, 좌, 우, 좌상, 우상, 좌하, 우하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더 많은 방향 또는 더 적은 방향이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위시간은 특정한 길이의 시간(예를 들어, 10초)이다.
S122 단계에서는 제1 안구를 가리고 제2 안구의 화면에 응시대상을 출력하며 사용자가 응시하도록 지시한다. 일 실시예로, 첫 시행에서는 응시대상을 화면의 정중앙에 출력하여 사용자의 제2 안구가 정중앙을 응시한 상태에서 측정을 시작할 수 있도록 한다.
S123 단계에서는 S122 단계의 응시대상 출력을 유지하면서 단위시간동안 대기한다. 즉, 사용자는 특정한 방향에 출력된 응시대상을 응시하기 위해 안구를 움직인 상태에서 단위시간동안 유지하고 있어야 한다. 안구운동능력이 높을수록 단위시간동안 안구 방향을 유지하는 것이 쉽고, 안구운동능력이 떨어질수록 단위시간동안 안구 방향을 유지하는 것이 어려울 것이다. 따라서, 유지에 성공한 시간 및 응시점의 정확도에 따라 안근능력지수를 측정할 수 있다.
S124 단계에서는 설정된 방향에 대해 S122 내지 S123 단계를 반복하여 진행한다. 예를 들어, 상, 하, 좌, 우, 좌상, 우상, 좌하, 우하의 8방향에 대해 측정을 진행할 수 있다.
S125 단계에서는 양안 모두에 대해 사시각 측정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미완료된 경우, 즉, 한쪽 눈만 측정이 완료된 경우는 좌우를 변경하여 S121 내지 S125 단계를 진행하고, 양안에 모두에 대해 측정이 완료된 경우 측정을 종료한다(S126, S127).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안구운동능력 훈련 장치(10)가 제공하는 영상은 증강현실(AR) 기술이 적용된 영상일 수 있다. 사용자가 현실 세계에서 바라보는 장면에 가상의 응시대상을 삽입하여 보다 실감나는 안구운동능력 측정 및 훈련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사용자가 정면으로 응시하는 방향을 설정하기 위해 사용자는 안구운동능력 훈련 장치(10)를 착용하고 정면의 중앙에 표시되는 응시대상을 바라보도록 지시받는다. 이 때, 증강현실 기술을 통해 현실세계가 그대로 보여지되 가상의 응시대상이 함께 보여진다. 안구운동능력 훈련 장치(10)는 사용자가 정면을 바라볼 때 보여지는 현실세계의 이미지를 저장한다. 저장된 이미지는 측정 및 훈련이 진행되는 동안 사용자가 고개를 정면으로 향하고 있는지 판단하는 기준이 된다. 즉, 안구운동능력 훈련 장치(10)는 사용자가 바라보는 현실세계의 실시간 이미지를 저장된 이미지와 비교하여 특정 수준 이상 차이나면 사용자가 고개를 돌린 것으로 판단하고, 고개를 다시 정면에 맞추라는 지시와 함께 정면의 중앙에 응시대상을 다시 표시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고개는 정면으로 유지하고 오로지 안구만을 움직여서 측정 및 훈련을 진행할 수 있게 되어 보다 정확한 안구운동능력 측정 및 훈련이 가능하다. 그밖의 측정 및 훈련 방법은 현실세계의 실시간 이미지에 가상의 응시대상이 함께 출력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VR 영상을 이용하는 방법과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안구운동능력 훈련 장치(10)를 이용하여 측정 및 훈련을 진행하는 도중, 사용자의 눈이 과도하게 흔들리거나 초점 변경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경우, 제공되던 영상을 멈추고 초점이 틀어지지 않은 정상적인 영상을 대체하여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영상을 이용하여 안구운동능력을 측정 및 훈련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멀미, 어지러움 등의 부작용을 예방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안협응훈련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양안협응 훈련용 영상은 기준이미지(40), 제1 오브제(51) 및 제2 오브제(52)를 포함한다.
양안협응 훈련은 사용자가 양안을 동시에 사용하도록 하는 훈련이다.
사용자의 좌안에 제공되는 영상에는 기준이미지(40)와 함께 제1 오브제(51)가 출력되고, 사용자의 우안에 제공되는 영상에는 기준이미지(40)와 함께 제2 오브제(52)가 출력된다. 한편, 좌안과 우안에 제공되는 영상이 반대인 것도 가능하다.
기준이미지(40)는 사용자가 양안협응 훈련용 영상에서 지시하는대로 제1 오브제(51)와 제2 오브제(52)가 만나도록 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기준으로 삼을 수 있는 이미지이다. 사용자는 양안을 모두 사용하여 좌안에만 출력되는 제1 오브제(51)와 우안에만 출력되는 제2 오브제(52)가 기준이미지(40)상에서 위치하는 지점을 기준으로 두 오브제가 만나도록 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오브제(51)는 사용자 모션 인식부(60)와 연동하여 움직이는 오브제이다. 즉, 사용자가 안구운동능력 훈련 장치(10)와 연동되는 사용자 모션 인식부(60)를 동작시키거나 이동시키면 제1 오브제(51)가 사용자 모션 인식부(60)의 움직임에 상응하여 동시에 움직인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1 오브제(51)를 사용자 모션 인식부(60)로 움직여서 제2 오브제(52)와 만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로, 제2 오브제(52)도 사용자 모션 인식부(60)와 연동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양손으로 사용자 모션 인식부(60)를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안협응훈련을 위해 제공되는 영상의 예시도이다.
도 10(a)는 사용자의 우안에 제공되는 영상 이미지이고, 도 10(b)는 사용자의 좌안에 제공되는 영상 이미지이다.
도 10(a)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좌안으로 기준이미지(40)와 함께 제2 오브제(52)만을 볼 수 있고, 도 10(b)를 참조하면, 우안으로 기준이미지(40)와 함께 제1 오브제(51)만을 볼 수 있다. 사용자는 양안 각각에 제공되는 영상에서 제1 오브제(51)를 움직여 제2 오브제(52)와 만나도록 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구체적인 예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오브제(51)가 칼 모양의 이미지이고, 제2 오브제(52)는 과일 모양의 이미지인 경우, 사용자는 좌안에 제공되는 영상에 보이는 칼을 사용자 모션 인식부(60)로 움직여서 우안에 제공되는 영상에 보이는 과일을 자르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게임하는 것과 같이 재미있게 양안협응 훈련을 진행할 수 있으므로 보다 몰입도 및 집중도 높은 안구운동능력 훈련을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사용자의 안구운동능력을 측정 및 훈련할 수 있는 다양한 영상 콘텐츠를 플랫폼을 통해 유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개발자들은 다양한 VR, AR 기술 기반의 측정용, 훈련용 영상을 제작하고 판매하게 되어 사용자에게 더욱 다양한 영상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안구운동능력 훈련 장치(10)는 사용자의 안구운동능력을 측정 및 훈련한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안구운동능력 훈련을 일회성으로 실시하는데 그치지 않고, 안구운동질환을 예방 및 치료하기 위해 지속적인 관리와 훈련을 기존의 데이터와 비교하여 연속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 안구운동능력 훈련 장치
21 : 제1 안구
22 : 제2 안구
31 : 제1 이미지
32 : 제2 이미지
40 : 기준이미지
51 : 제1 오브제
52 : 제2 오브제
60 : 사용자 모션 인식부

Claims (10)

  1. 영상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사전 저장된 측정용 영상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안구운동능력에 대한 측정값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측정값을 기초로 훈련용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훈련용 영상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값은 상기 사용자의 양안 각각의 사시각 및 안근능력지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훈련용 영상은 가상프리즘 훈련용 영상 또는 양안협응 훈련용 영상이며,
    상기 가상프리즘 훈련용 영상은 상기 측정값 및 훈련강도를 기초로 특정된 프리즘 수치만큼 초점이 이동된 것이고,
    상기 양안협응 훈련용 영상은 좌안에만 보여지는 제1 오브제 및 우안에만 보여지는 제2 오브제를 출력하는 것인,
    영상장치를 이용한 안구운동능력 훈련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적응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의 적응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사용자의 양안에 각각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를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제1 이미지 및 상기 제2 이미지의 중앙이 겹쳐 보이면 적응된 것으로 판단하는,
    영상장치를 이용한 안구운동능력 훈련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응여부 판단 결과가 부적응인 경우, 동일한 영상 또는 훈련강도를 감소시킨 영상으로 훈련을 계속하고,
    상기 적응여부 판단 결과가 적응인 경우, 설정된 훈련횟수를 완료하였으면 훈련을 종료하고, 상기 설정된 훈련횟수를 미완료하였으면 훈련 강도를 증가시킨 영상으로 훈련을 계속하는,
    영상장치를 이용한 안구운동능력 훈련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값을 획득하는 단계는 사시각을 측정하는 단계이며,
    상기 사시각을 측정하는 단계는,
    중앙에 응시대상이 표시된 사시각 측정용 영상을 제공하는 단계;
    제1 안구를 가리고 제2 안구의 응시점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안구를 가리지 않고 상기 제2 안구의 응시점을 획득하는 단계; 및
    획득한 응시점 간의 각도 차이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장치를 이용한 안구운동능력 훈련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값을 획득하는 단계는 안근능력지수를 측정하는 단계이며,
    상기 안근능력지수를 측정하는 단계는,
    설정된 위치에 응시대상이 표시된 안근능력지수 측정용 영상을 제공하는 단계; 및
    제1 안구를 가리고 제2 안구가 상기 응시대상을 단위시간동안 응시하는지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설정된 위치는 상, 하, 좌, 우를 포함하며 각 위치를 대상으로 안근능력지수 측정이 반복되는 것인,
    영상장치를 이용한 안구운동능력 훈련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오브제는 컨트롤러와 연동하여 움직이는 것이고,
    상기 양안협응 훈련용 영상은 사용자가 양안을 모두 사용하여 상기 제1 오브제와 상기 제2 오브제가 만나게 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인,
    영상장치를 이용한 안구운동능력 훈련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양안협응 훈련용 영상은 상기 측정값 및 훈련강도를 기초로 특정된 프리즘 수치만큼 초점이 이동된 것인,
    영상장치를 이용한 안구운동능력 훈련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훈련용 영상은 양안에 제공되는 영상 중 어느 하나의 영상에 시야 능력을 떨어뜨리는 특정한 효과가 적용된 것인,
    영상장치를 이용한 안구운동능력 훈련 방법.
  9.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영상장치를 이용한 안구운동능력 훈련 프로그램.
  10. 사용자의 응시점을 감지하는, 감지부;
    사전 저장된 측정용 영상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안구운동능력에 대한 측정값을 획득하는, 안구운동능력 측정부;
    상기 측정값을 기초로 훈련용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제어부; 및
    상기 측정용 영상 및 상기 훈련용 영상을 제공하는, 영상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값은 상기 사용자의 양안 각각의 사시각 및 안근능력지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훈련용 영상은 가상프리즘 훈련용 영상 또는 양안협응 훈련용 영상이며,
    상기 가상프리즘 훈련용 영상은 상기 측정값 및 훈련강도를 기초로 특정된 프리즘 수치만큼 초점이 이동된 것이고,
    상기 양안협응 훈련용 영상은 좌안에만 보여지는 제1 오브제 및 우안에만 보여지는 제2 오브제를 출력하는 것인,
    영상 기반의 안구운동능력 훈련 장치.
KR1020190099068A 2019-08-13 2019-08-13 영상 기반의 안구운동능력 훈련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KR202100198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9068A KR20210019883A (ko) 2019-08-13 2019-08-13 영상 기반의 안구운동능력 훈련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9068A KR20210019883A (ko) 2019-08-13 2019-08-13 영상 기반의 안구운동능력 훈련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9883A true KR20210019883A (ko) 2021-02-23

Family

ID=74688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9068A KR20210019883A (ko) 2019-08-13 2019-08-13 영상 기반의 안구운동능력 훈련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19883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33461A1 (ko) * 2021-09-03 2023-03-09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가상현실 기반 안구운동 및 시지각 훈련 제공 장치 및 방법
CN116098794A (zh) * 2022-12-30 2023-05-12 广州视景医疗软件有限公司 一种脱抑制视觉训练方法及装置
WO2024025055A1 (ko) * 2022-07-29 2024-02-01 주식회사 에덴룩스 시력훈련장치 및 시력훈련방법
CN117976129A (zh) * 2024-04-01 2024-05-03 河海大学 一种基于多深度线索场景的深度知觉训练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9153B1 (ko) 2016-09-29 2017-10-23 길승종 가상현실 기반의 emdr 안구 운동의 몰입형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9153B1 (ko) 2016-09-29 2017-10-23 길승종 가상현실 기반의 emdr 안구 운동의 몰입형 제공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33461A1 (ko) * 2021-09-03 2023-03-09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가상현실 기반 안구운동 및 시지각 훈련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230034497A (ko) * 2021-09-03 2023-03-10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가상현실 기반 안구운동 및 시지각 훈련 제공 장치 및 방법
WO2024025055A1 (ko) * 2022-07-29 2024-02-01 주식회사 에덴룩스 시력훈련장치 및 시력훈련방법
CN116098794A (zh) * 2022-12-30 2023-05-12 广州视景医疗软件有限公司 一种脱抑制视觉训练方法及装置
CN116098794B (zh) * 2022-12-30 2024-05-31 广州视景医疗软件有限公司 一种脱抑制视觉训练方法及装置
CN117976129A (zh) * 2024-04-01 2024-05-03 河海大学 一种基于多深度线索场景的深度知觉训练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40148244A1 (en) Interactive system for vision assessment and correction
KR20210019883A (ko) 영상 기반의 안구운동능력 훈련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US12016629B2 (en) Screening apparatus and method
US1188129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 web platform hosting one or more assessments of human visual performance
US1023161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virtual reality, augmented reality, and/or a synthetic 3-dimensional information for the measurement of human ocular performance
JP6340503B2 (ja) 目追跡システム及び利き目を検出する方法
US10179081B2 (en) Vision measurement and training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JP2022176291A (ja) ライトフィールドプロセッサシステム
JP2020509790A5 (ko)
CN113208884B (zh) 视觉检测与视觉训练设备
CN115040069A (zh) 一种订购眼镜的系统
CN108139600B (zh) 用于确定渐变镜片的光学系统的方法
CN109688898B (zh) 辅助建立用于矫正斜视或隐斜视的矫正的设备和相关方法
MXPA04011319A (es) Sistema interactivo de oclusion.
US20100305411A1 (en) Control of operating characteristics of devices relevant to distance of visual fixation using input from respiratory system and/or from eyelid function
JP7165994B2 (ja) 眼の計測を収集するための方法及びデバイス
KR102616391B1 (ko) 양안 장애의 진단 평가 및 선별을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장치
EP2967313B1 (en) Wavefront interactive refraction display
CN114903760A (zh) 一种斜视训练设备
CN118649070A (zh) 一种基于视线估计的交互式双眼视功能训练系统及方法
KR102304369B1 (ko) Vr을 이용한 안과검사방법 및 시스템
CN116650788A (zh) 一种基于增强现实的前庭康复训练系统及方法
US20230149248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dynamic ocular training using therapeutic games
JP7220280B2 (ja) 被験者の眼球の回旋特性を計測する計測方法及び累進屈折力レンズの設計方法
US20230128758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ocular examin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