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9727A - 차량용 공조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공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9727A
KR20210019727A KR1020190098714A KR20190098714A KR20210019727A KR 20210019727 A KR20210019727 A KR 20210019727A KR 1020190098714 A KR1020190098714 A KR 1020190098714A KR 20190098714 A KR20190098714 A KR 20190098714A KR 20210019727 A KR20210019727 A KR 202100197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s
vehicle
seat
air conditioning
v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87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66736B1 (ko
Inventor
예동희
이세민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987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6736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90098714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666736B1/ko
Publication of KR202100197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97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67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67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271HVAC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 parts or components and being connected to the vehicle HVAC unit
    • B60H1/00285HVAC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 parts or components and being connected to the vehicle HVAC unit for vehicle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57Details of ducts or cables
    • B60H1/00564Details of ducts or cables of air 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35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6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N2/5607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 B60N2/5621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by air
    • B60N2/5628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by air coming from the vehicle ventilation system, e.g. air-conditioning 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실 내에서 이동하는 좌석, 공조풍을 토출하는 공조케이스, 상기 좌석의 이동 경로에서, 상기 좌석에 상기 공조풍을 공급하는 순환덕트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용 공조장치{AIR CONDITIONING APPARATUS FOR AUTOMOTIVE VEHICLE}
실시 예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차량 시트에는 탑승자 편의를 고려하여 다양한 기술들이 적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공조풍을 토출하는 통풍시트가 그러하다.
통풍시트는 크게 열전소자형 통풍시트와 공조 연계형 통풍시트로 구분될 수 있다.
열전소자형 통풍시트는 시트에서 직접 차실 공기를 흡입하여 공조풍으로 변환한 후 토출하는 구조로서, 열전소자에 의해 냉난방이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열전소자형 통풍시트는 공조 연계형 통풍시트에 비해 에너지 효율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자율주행차량에 적용되는 경우 슬림 시트 적용 추세로 인해 시트 내부에 냉난방 장치의 설치 공간을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에 반해, 공조 연계형 통풍시트는 차량에 탑재된 공조장치로부터 공조풍을 공급받아 토출하는 구조로서, 열전소자형 통풍시트에 비해 에너지 효율이 높을 뿐만 아니라 넓은 설치 공간을 요구하지 않는 등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공조 연계형 통풍시트는 공조장치의 공조케이스와 시트를 직접 연결하는 연결덕트로 인해 시트 위치가 고정되거나 연결덕트 일부를 신축 가능한 주름관 등의 형태로 제작하여 극히 제한된 범위에서는 이동할 수 있지만, 자율주행차량 중 비교적 자유로운 시트 이동이 요구되는 타입에는 적용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87779호 (2018. 08. 13, 통풍시트의 통풍모듈)
(특허문헌 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45139호 (2017. 06. 08, 공조기 연동 시트 장치)
실시 예는 이동식 좌석에 대한 좌석 공조가 가능한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에 국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차실 내에서 이동하는 좌석; 공조풍을 토출하는 공조케이스; 상기 좌석의 이동 경로에서, 상기 좌석에 상기 공조풍을 공급하는 순환덕트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순환덕트는 상기 좌석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레일을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순환덕트에 연결되는 연결덕트; 및 상기 차실 내로 제1 공조풍을 토출하는 제1 벤트, 및 상기 연결덕트로 제2 공조풍을 토출하는 제2 벤트를 구비하는 공조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순환덕트는, 상기 복수의 좌석이 제1 배치로 있을 때 상기 복수의 좌석과 상응한 위치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1 토출구; 및 상기 복수의 좌석이 상기 제1 배치와 다른 제2 배치로 있을 때 상기 복수의 좌석과 상응한 위치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2 토출구를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벤트는 상기 차실의 전방에서 상기 차실 내로 상기 제1 공조풍을 토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순환덕트는 고리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벤트, 상기 제2 벤트, 상기 복수의 제1 토출구 및 상기 복수의 제2 토출구에 각각 설치되는 도어; 상기 복수의 좌석 각각의 위치와 방향을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의 센싱 값에 따라 상기 차량의 주행모드를 판단하고, 상기 차량의 주행모드에 따라 복수의 상기 도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좌석 중 하나의 좌석이 운전석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차량의 전방 측을 바라보면 수동 주행모드로 판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동 주행모드에서 상기 제1 벤트의 토출 풍량을 상기 제2 벤트의 토출 풍량보다 크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의 좌석은 상기 수동 주행모드에서 한 쌍의 좌석이 전방 측에 나란히 배치되고 다른 한 쌍의 좌석이 후방 측에 나란히 배치되는 상기 제1 배치로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동 주행모드에서 상기 복수의 제1 토출구 및 상기 복수의 제2 토출구 중 상기 복수의 제1 토출구만을 개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좌석 중 하나의 좌석이 운전석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차량의 후방 측을 바라보거나 상기 복수의 좌석이 모두 상기 운전석 위치에서 벗어나게 배치되면 자율 주행모드로 판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율 주행모드에서 상기 제1 벤트와 상기 제2 벤트 중 상기 제2 벤트만을 개방할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자율 주행모드는, 상기 복수의 좌석 중 하나의 좌석이 상기 운전석 위치에 배치되는 제1 서브모드; 및 상기 복수의 좌석이 모두 상기 운전석 위치에서 벗어나게 배치되는 제2 서브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의 좌석은 상기 제1 서브모드에서 한 쌍의 좌석이 전방 측에 나란히 배치되고 다른 한 쌍의 좌석이 후방 측에 나란히 배치되는 상기 제1 배치로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서브모드에서 상기 복수의 제1 토출구의 토출 풍량을 상기 복수의 제2 토출구의 토출 풍량보다 크게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의 좌석은 상기 제2 서브모드에서 하나의 좌석이 전방 측에 배치되고 다른 하나의 좌석이 후방 측에 배치되며 나머지 한 쌍의 좌석이 중간에 나란히 배치되는 상기 제2 배치로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서브모드에서 상기 복수의 제2 토출구의 토출 풍량을 상기 복수의 제1 토출구의 토출 풍량보다 크게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좌석은 순환덕트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통과하여 시승자를 냉각하기 위한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좌석 배치 변경 시 좌석에 공조풍을 공급하는 순환덕트의 토출구가 변경될 뿐 공조케이스와 좌석을 연결하는 유로는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순환덕트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복수의 좌석의 제1 배치 예이고,
도 4는 도 3의 변형 예이고,
도 5는 도 1의 복수의 좌석의 제2 배치 예이고,
도 6은 도 1의 차량용 공조장치의 제어 로직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 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 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 개 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 B, 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 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 요소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차실 내에서 이동하는 좌석, 공조풍을 토출하는 공조케이스(100), 상기 좌석의 이동 경로에서, 상기 좌석에 상기 공조풍을 공급하는 순환덕트를 포함하는 것으로, 좌석의 이동시에도 순환덕트에서 공급되는 공기가 시승자를 냉각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1)은 공조장치(10), 복수의 좌석(20), 및 복수의 좌석(20)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레일(30)을 포함할 수 있다.
공조장치(10)는 차량(1)의 차실(cabin), 즉 탑승공간에 공조풍을 공급할 수 있다.
좌석(20)은 레일(30)을 따라 이동할 수 있고 상하 방향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운전석 위치에서 차량(1)의 전방을 향해 배치된 좌석(20)은 운전석 위치와 조수석 위치 사이로 이동하여 차량(1)의 후방을 향하도록 회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좌석(20)은 순환덕트(200)로부터 공급되는 공조풍이 좌석을 통과하여 시승자를 냉각하기 위한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일실시예로, 유로(미도시)는 좌석 바닥이 그물(mash) 형태의 구조로 마련될 수 있으며, 공조풍은 그물 형태의 좌석이 형성하는 유로를 통과하여 시승자를 냉각할 수도 있다.
레일(30)은 차실의 바닥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레일(30)은 고리 형상일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복수의 좌석(20) 각각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서브 레일(미도시)로 나누어질 수도 있다.
도 2는 도 1의 순환덕트의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10)는 공조케이스(100), 순환덕트(200) 및 연결덕트(300)를 포함할 수 있다.
공조케이스(100)는 차실 전방에 배치될 수 있고, 공조케이스(100) 내에는 블로어, 증발기, 히터 등이 배치되어 실외 또는 차실 공기를 흡입할 수 있으며 흡입한 공기를 냉각 및 가열하여 공조풍, 예를 들어 냉풍 또는 온풍으로 변환할 수 있다.
공조케이스(100)는 공조풍을 토출하는 제1 벤트(110) 및 제2 벤트(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벤트(110)는 차실 내로 제1 공조풍을 토출할 수 있다.
제1 벤트(110)는 대시보드의 센터페시아 측에 연결되는 센터 벤트일 수 있다.
따라서, 제1 벤트(110)는 차실 전방에서 차실 내로 제1 공조풍을 토출할 수 있다.
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 벤트(110)는 대시보드의 전방 윈도우 측에 연결되는 디프로스트 벤트, 대시보드의 사이드 미러 측에 연결되는 사이드 벤트, 및/또는 대시보드의 차실 바닥 측에 연결되는 플로어 벤트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2 벤트(120)는 제2 벤트(120)에 연결된 연결덕트(300)로 제2 공조풍을 토출할 수 있다.
제2 벤트(120)는 제1 벤트(110)로부터 분기될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순환덕트(200)는 레일(30)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순환덕트(200)는 레일(3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레일(30)과 분리되어 평행하게 연장될 수도 있다.
순환덕트(200)는 고리 형상일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순환덕트(200)에는 제2 공조풍을 토출하는 복수의 제1 토출구(210) 및 복수의 제2 토출구(220)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토출구(210) 및 제2 토출구(220)의 개수는 각각 좌석(20)의 개수와 동일할 수 있다.
제1 토출구(210) 및 제2 토출구(220)는 해당 토출구 상으로 이동한 좌석(20) 내에 설치된 토출덕트(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토출덕트의 입구는 좌석(20)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고, 토출덕트의 출구는 좌석(20)의 신체 접촉면, 예를 들어 착석 면 또는 등받이 면을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공조풍이 토출덕트를 통해 좌석(20)에 착석한 탑승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연결덕트(300)는 공조케이스(100)의 제2 벤트(120)와 순환덕트(200)를 연결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복수의 좌석의 제1 배치 예이고, 도 4는 도 3의 변형 예이고, 도 5는 도 1의 복수의 좌석의 제2 배치 예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복수의 제1 토출구(210)는 복수의 좌석(20)이 제1 배치로 있을 때 복수의 좌석(20)과 상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좌석(20)은 복수의 제1 토출구(2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좌석(20)은 복수의 제1 토출구(210)로부터 제2 공조풍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좌석(20)은 한 쌍의 좌석(20)이 차실의 전방 측에 나란히 배치될 수 있고 다른 한 쌍의 좌석(20)의 차실의 후방 측에 나란히 배치될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복수의 제2 토출구(220)는 복수의 좌석(20)이 제2 배치로 있을 때 복수의 좌석(20)과 상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좌석(20)은 복수의 제2 토출구(22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좌석(20)은 복수의 제2 토출구(220)로부터 제2 공조풍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좌석(20)은 하나의 좌석(20)이 차실의 전방 측에 배치될 수 있고 다른 하나의 좌석(20)이 차실의 후방 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또 다른 한 쌍의 좌석(20)이 차실의 중간에 나란히 배치될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2 배치는 제1 배치와 상이하면 족할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차량용 공조장치의 제어 로직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어부(400)는 센서부(410)의 센싱 값에 따라 복수의 도어(420)를 제어할 수 있다.
센서부(410)는 복수의 좌석(20) 각각의 위치와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센서부(410)는 위치센서, 적외선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어(420)는 제1 벤트(110), 제2 벤트(120), 복수의 제1 토출구(210) 및 복수의 제2 토출구(220) 각각에 설치되어 개방, 폐쇄 또는 개도율 조절을 할 수 있다.
여기서, 도어(420)는 도어 액츄에이터(미도시)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볼 수 있다.
제어부(400)는 센서부(410)의 센싱 값에 따라 차량(1)의 주행모드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400)는 도 3에서와 같이 복수의 좌석(20) 중 하나의 좌석(20)이 운전석 위치(A)에 배치되어 차량(1)의 전방 측을 바라보는 것으로 감지되면 탑승자가 직접 차량(1)을 운전하는 수동 주행모드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운전석 위치(A)란 탑승자가 운전대를 조작할 수 있는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부(400)는 도 4에서와 같이 복수의 좌석(20) 중 하나의 좌석(20)이 운전석 위치(A)에 배치되어 차량(1)의 전방 측을 바라보지 않거나 도 5에서와 같이 복수의 좌석(20)이 모두 운전석 위치(A)에서 벗어나게 배치된 것으로 감지되면 자율주행 시스템(autonomous system)에 의한 자율 주행모드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자율 주행모드를 제1 서브모드 또는 제2 서브모드로 구분하여 판단할 수도 있다.
복수의 좌석(20)은 제1 서브모드에서 도 4에서와 같이 하나의 좌석(20)이 운전석 위치(A)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서브모드에서 도 5에서와 같이 모든 좌석(20)이 운전석 위치(A)에서 벗어나게 배치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차량(1)의 주행모드 판단 결과에 따라 복수의 도어(42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400)는 수동 주행모드로 판단하면 제1 벤트(110)의 토출 풍량을 제2 벤트(120)의 토출 풍량보다 크게 형성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체 토출 풍량 대비 제1 벤트(110)의 토출 풍량은 80%일 수 있고, 제2 벤트(120)의 토출 풍량은 20%일 수 있다.
따라서, 차실 전방 측을 바라보는 운전자에게 보다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좌석(20)은 제1 배치로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400)는 복수의 제1 토출구(210)와 복수의 제2 토출구(220) 중 복수의 제1 토출구(210)만을 개방할 수 있다.
따라서, 차실 전체 공조는 제1 벤트(110)에서 토출되는 제1 공조풍에 의해 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좌석 공조는 복수의 제1 토출구(210)에서 토출되는 제2 공조풍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부(400)는 자율 주행모드로 판단하면 제1 벤트(110)와 제2 벤트(120) 중 제2 벤트(120)만을 개방할 수 있다.
복수의 좌석(20) 중 차실 전방 측에 배치되는 좌석(20)은 자율 주행모드 시에 차량(1)의 후방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이 경우 제1 벤트(110)에서 토출되는 공조풍은 좌석(20)의 등받이에 의해 가로막혀 차실 전체 공조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때, 복수의 좌석(20)은 제1 배치(제1 서브모드) 또는 제2 배치(제2 서브모드)로 있을 수 있다.
제어부(400)는 복수의 좌석(20)이 제1 배치(제1 서브모드)로 있는 경우 복수의 제1 토출구(210)의 토출 풍량을 복수의 제2 토출구(220)의 토출 풍량보다 크게 형성되도록 제어할 수 있고, 복수의 좌석(20)이 제2 배치(제2 서브모드)로 있는 경우 복수의 제2 토출구(220)의 토출 풍량을 복수의 제1 토출구(210)의 토출 풍량보다 크게 형성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서브모드 시 전체 토출 풍량 대비 제1 토출구(210)의 토출 풍량은 80%일 수 있고, 제2 토출구(220)의 토출 풍량은 20%일 수 있다. 또한, 제2 서브모드 시 전체 토출 풍량 대비 제1 토출구(210)의 토출 풍량은 20%일 수 있고, 제2 토출구(220)의 토출 풍량은 80%일 수 있다.
따라서, 제1 서브모드 시 차실 전체 공조는 복수의 제2 토출구(220)에서 토출되는 제2 공조풍에 의해 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좌석 공조는 복수의 제1 토출구(210)에서 토출되는 제2 공조풍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제2 서브모드 시 차실 전체 공조는 복수의 제1 토출구(210)에서 토출되는 제2 공조풍에 의해 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좌석 공조는 복수의 제2 토출구(220)에서 토출되는 제2 공조풍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 도 3 및 도 6을 참조하면, 연결덕트(300)는 운전석 위치(A)와 조수석 위치(B) 사이에서 순환덕트(200)에 연결될 수 있고, 순환덕트(200)에는 연결덕트(300)와 운전석 위치(A) 사이의 제1 유로 및 연결덕트(300)와 조수석 위치(B) 사이의 제2 유로를 각각 개폐하는 한 쌍의 좌우선택도어(430)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410)는 복수의 좌석(20) 각각에 대한 탑승자의 착석 여부를 감지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센서부(410)는 압력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어부(400)는 센서부(410)의 센싱 값에 따라 복수의 좌석(20) 각각에 대한 탑승자의 착석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탑승자가 착석한 좌석(20)에만 제2 공조풍이 공급되도록 좌석(20)에 연결된 토출구(210, 220)의 도어(420)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탑승자에 대한 보다 쾌적하고 효율적인 좌석 공조가 가능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복수의 좌석(20)이 제1 배치로 있을 때 운전석 위치(A)에 있는 좌석(20)에만 탑승자가 착석한 경우 한 쌍의 좌우선택도어(430)를 제어하여 제1 유로를 개방하는 한편 제2 유로를 폐쇄할 수도 있다.
따라서, 운전자에 대한 보다 쾌적하고 효율적인 좌석 공조가 가능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차량 10: 공조장치
20: 좌석 30: 레일
100: 공조케이스 110: 제1 벤트
120: 제2 벤트 200: 순환덕트
210: 제1 토출구 220: 제2 토출구
300: 연결덕트 400: 제어부
410: 센서부 420: 도어 430: 좌우선택도어

Claims (15)

  1. 차실 내에서 이동하는 좌석;
    공조풍을 토출하는 공조케이스;
    상기 좌석의 이동 경로에서, 상기 좌석에 상기 공조풍을 공급하는 순환덕트
    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덕트는 상기 좌석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레일을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덕트에 연결되는 연결덕트; 및
    상기 차실 내로 제1 공조풍을 토출하는 제1 벤트, 및 상기 연결덕트로 제2 공조풍을 토출하는 제2 벤트를 구비하는 공조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순환덕트는,
    상기 복수의 좌석이 제1 배치로 있을 때 상기 복수의 좌석과 상응한 위치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1 토출구; 및
    상기 복수의 좌석이 상기 제1 배치와 다른 제2 배치로 있을 때 상기 복수의 좌석과 상응한 위치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2 토출구를 구비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벤트는 상기 차실의 전방에서 상기 차실 내로 상기 제1 공조풍을 토출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덕트는 고리 형상인 차량용 공조장치.
  6.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벤트, 상기 제2 벤트, 상기 복수의 제1 토출구 및 상기 복수의 제2 토출구에 각각 설치되는 도어;
    상기 복수의 좌석 각각의 위치와 방향을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의 센싱 값에 따라 상기 차량의 주행모드를 판단하고, 상기 차량의 주행모드에 따라 복수의 상기 도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좌석 중 하나의 좌석이 운전석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차량의 전방 측을 바라보면 수동 주행모드로 판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동 주행모드에서 상기 제1 벤트의 토출 풍량을 상기 제2 벤트의 토출 풍량보다 크게 제어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좌석은 상기 수동 주행모드에서 한 쌍의 좌석이 전방 측에 나란히 배치되고 다른 한 쌍의 좌석이 후방 측에 나란히 배치되는 상기 제1 배치로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동 주행모드에서 상기 복수의 제1 토출구 및 상기 복수의 제2 토출구 중 상기 복수의 제1 토출구만을 개방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10.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좌석 중 하나의 좌석이 운전석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차량의 후방 측을 바라보거나 상기 복수의 좌석이 모두 상기 운전석 위치에서 벗어나게 배치되면 자율 주행모드로 판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율 주행모드에서 상기 제1 벤트와 상기 제2 벤트 중 상기 제2 벤트만을 개방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12.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자율 주행모드는,
    상기 복수의 좌석 중 하나의 좌석이 상기 운전석 위치에 배치되는 제1 서브모드; 및
    상기 복수의 좌석이 모두 상기 운전석 위치에서 벗어나게 배치되는 제2 서브모드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좌석은 상기 제1 서브모드에서 한 쌍의 좌석이 전방 측에 나란히 배치되고 다른 한 쌍의 좌석이 후방 측에 나란히 배치되는 상기 제1 배치로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서브모드에서 상기 복수의 제1 토출구의 토출 풍량을 상기 복수의 제2 토출구의 토출 풍량보다 크게 제어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14.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좌석은 상기 제2 서브모드에서 하나의 좌석이 전방 측에 배치되고 다른 하나의 좌석이 후방 측에 배치되며 나머지 한 쌍의 좌석이 중간에 나란히 배치되는 상기 제2 배치로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서브모드에서 상기 복수의 제2 토출구의 토출 풍량을 상기 복수의 제1 토출구의 토출 풍량보다 크게 제어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1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좌석은 순환덕트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통과하여 시승자를 냉각하기 위한 유로가 형성되는 차량용 공조장치.
KR1020190098714A 2019-08-13 차량용 공조장치 KR1026667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8714A KR102666736B1 (ko) 2019-08-13 차량용 공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8714A KR102666736B1 (ko) 2019-08-13 차량용 공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9727A true KR20210019727A (ko) 2021-02-23
KR102666736B1 KR102666736B1 (ko) 2024-05-20

Family

I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121872A1 (fr) * 2021-04-16 2022-10-21 Faurecia Interieur Industrie Véhicule avec soufflage d’air porté par les sièges ava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5139B1 (ko) 2015-09-21 2017-06-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공조기 연동 시트 장치
KR101887779B1 (ko) 2016-11-22 2018-08-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통풍시트의 통풍모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5139B1 (ko) 2015-09-21 2017-06-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공조기 연동 시트 장치
KR101887779B1 (ko) 2016-11-22 2018-08-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통풍시트의 통풍모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121872A1 (fr) * 2021-04-16 2022-10-21 Faurecia Interieur Industrie Véhicule avec soufflage d’air porté par les sièges ava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267065A1 (en) Air conditioning system for vehicle
JP5128977B2 (ja) 自動車用空気調和装置
US9597945B2 (en) Automotive HVAC system with suction surfaces to control local airflow
KR101445649B1 (ko) 차량용 공조 장치
US11904658B2 (en) Ventilation device for the inside of a motor vehicle
US20200317020A1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US593498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tor vehicle heating and air-conditioning
JP2020157801A (ja) 車両用電池冷却システム
US20120238197A1 (en) Vehicle air conditioning apparatus
US11648815B2 (en) Vehicle air conditioner
KR20180067761A (ko) 차량용 공기조화장치
US20130252528A1 (en) Air-condition system for vehicle
CN107554234B (zh) 用于车辆的空调控制系统和方法
KR102666736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210019727A (ko) 차량용 공조장치
WO2019097914A1 (ja) 空調システム
JP2020199990A (ja) 車両用シート空調装置
JP4364581B2 (ja) 乗用車の空気案内構造
WO2014155805A1 (ja) 車両用空気調和システム
KR20160006303A (ko) 차량용 공조장치
JP2008183959A (ja) 車両用空調装置
JP2012121482A (ja) 車両用空気調和システム
KR20140089092A (ko) 차량의 후석 공조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JP2009120079A (ja) 車両用シート空調装置
WO2012161145A1 (ja) 車両用空気調和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