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8685A - IoT 기반의 스마트 창고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IoT 기반의 스마트 창고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8685A
KR20210018685A KR1020190096935A KR20190096935A KR20210018685A KR 20210018685 A KR20210018685 A KR 20210018685A KR 1020190096935 A KR1020190096935 A KR 1020190096935A KR 20190096935 A KR20190096935 A KR 20190096935A KR 20210018685 A KR20210018685 A KR 202100186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rehouse
goods
data
management
sm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69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라푸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라푸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라푸드
Priority to KR10201900969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18685A/ko
Publication of KR202100186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86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47L7/0085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related to clean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36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parts which are controlled
    • A47L9/2852Elements for displacement of the vacuum cleaner or the accessories therefor, e.g. wheels, casters or nozz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23/00Auxiliary devices for weighing apparatus
    • G01G23/18Indicating devices, e.g. for remote indication; Recording devices; Scales, e.g. graduat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 G01K1/02Mean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specially adapted for thermome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20Administration of product repair or mainten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201/00Robotic cleaning machines, i.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or the cleaning oper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ina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oxic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Abstract

IoT 단말기를 이용하여 창고 내의 환경 및 안전을 모니터링하고, 창고에서 사용되는 물품의 입고부터, 사용, 보관 및 폐기까지의 전체 프로세스를 실시간 모니터링하여 관리하는 IoT 기반의 스마트 창고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물품을 입고, 사용, 보관, 폐기 등을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관리함으로써 창고에서 발생될 수 있는 위험요소를 사전에 제거 및 방지하고, 연구와 관련된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여, 관리자들의 안정적인 분석, 검사, 실험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IoT 기반의 스마트 창고 관리 시스템{SMART STOREROOM MANAGEMENT SYSTEM BASED ON INTERNET OF THINGS}
본 발명은 IoT 기반의 스마트 창고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고란 물품등을 저장하기 위한 시설로 외기와의 차단성이 양호한 저장용 건물을 의미한다.
이러한 창고에는 물품 등이 저장됨에 따라 온도 및 습도의 조절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창고에는 온도 센서와 습도 센서와 같은 감지센서와 창고의 환경상태를 조절하기 위한 온풍기, 냉풍기 및 제습기와 같은 환경상태 조절 장치들이 구비될 수 있다.
그 뿐만 아니라, 창고를 최적의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감지센서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환경상태 조절 장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시스템이 마련된다.
또한 종래에는 온도뿐 아니라 습도가 조절될 수 있고 원격 감시와 원격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저온 창고의 온도 및 습도의 감시와 제어를 위한 방법 및 장치(공개특허공보 10-2006-0017969호, 2006년02월 23일)가 출원된 바 있다.
종래 저온 창고의 온도 및 습도의 감시와 제어를 위한 방법 및 장치는 저온 창고의 현재 온도를 감지하는 단계와; 저온 창고의 현재 습도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현재 온도와 미리 설정된 최적 온도를 비교하고 상기 현재 온도가 상기 최적 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저온 창고의 온도를 조절하는 단계와; 상기 현재 습도와 미리 설정된 최적 습도를 비교하고 상기 현재 습도가 상기 최적 습도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저온 창고의 습도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저온 온도 및 습도의 감시와 제어를 위한 방법 및 장치는 현재 온도와 습도를 감지하고 미리 설정된 최적 온도와 비교하여 창고에 식품이 입고 또는 출고되는 운영정보와 관계없이 상기 저온 창고의 온도 및 습도를 조절하기 때문에 창고에서 불필요한 온도 및 습도 조절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 저온 온도 및 습도의 감시와 제어를 위한 방법 및 장치는 한 순간에 획득된 센싱 값이나 축적된 센싱 값을 기반으로 환경상태 조절 장치의 제어 여부를 추론하는 상황인지 미들웨어나 추론 시스템이기 때문에 실제 상황에 따른 적절한 조치가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10-2006-0017969호
본 발명은 NFC, RFID, 비콘 및 바코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IoT 단말기를 이용하여 창고 내의 물품 또는 환경과 관련된 데이터를 수집하여 유무선 네트워크 기반의 실시간 데이터 연동을 통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IoT 기반의 스마트 창고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스마트 창고 관리 시스템은 창고 환경의 모니터링을 위한 환경 데이터를 감지하고, 물품 및 창고에 대한 관리 및 모니터링을 위한 물품 관리 데이터를 수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IoT 단말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IoT 단말기로부터 상기 환경 데이터 및 상기 물품 관리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환경 데이터 및 상기 물품 관리 데이터를 관리자에게 제공하여, 상기 관리자로부터 플랫폼 서비스를 위한 선택 입력 정보를 수신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로부터 실시간으로 상기 환경 데이터 및 상기 물품 관리 데이터를 수신하고, 실시간으로 수신된 상기 환경 데이터 및 상기 물품 관리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창고 환경의 안전관리와, 물품에 대한 실시간 모니터링 및 관리를 수행하는 스마트 창고 서버 및 상기 스마트 창고 서버로부터 수신된 상기 환경 데이터 및 상기 물품 관리 데이터를 기반으로 레거시 시스템을 통하여 서비스 파트너 서버와 연계하여 상기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 서비스 제공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NFC, RFID 비콘 및 바코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IoT 단말기를 이용하여 창고내의 물품 및 환경과 관련된 데이터를 수집하여 유무선 네트워크 기반의 실시간 데이터 연동을 통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스마트 창고 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스마트 창고 관리 시스템의 스마트 창고 서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스마트 창고 관리 시스템의 적용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창고 서버를 보인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5의 물품관리부를 보인 블록도이다.
도 7은 도 5의 적재대관리부를 보인 블록도이다.
도 8은 도 5의 시간관리부를 보인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반품관리부를 보인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주문 관리부를 보인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이용되는 건습식 지능형 로봇청소기의 개요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건습식 지능형 로봇청소기의 분리 개요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스마트 창고 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스마트 창고 관리 시스템(100)은 IoT 단말기(110)로부터 창고 내의 환경 데이터 및 물품 관리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환경 데이터 및 물품 관리 데이터로부터 창고 환경의 안전관리와, 물품에 대한 실시간 모니터링 및 관리를 수행하며, 레거시 시스템을 통해 서비스 파트너 서버와 연계하여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스마트 창고 관리 시스템(100)은 IoT 단말기(110), 스마트 디바이스(120), 스마트 창고 서버(130) 및 플랫폼 서비스 제공부(140)를 포함한다.
IoT 단말기(110)는 창고 환경의 모니터링을 위한 환경 데이터를 감지하고, 물품 포장재(112) 및 물품 창고(111)에 대한 관리 및 모니터링을 위한 물품 관리 데이터를 수집한다.
IoT 단말기(110)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비콘(Beacon),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바코드(Barcode) 및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IoT 단말기(110)는 창고 내의 온도, 습도, 미세먼지, 유해물질, 이산화탄소 농도 및 가스 누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환경 데이터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IoT 단말기(110)는 창고의 벽면에 위치하여 창고의 온도, 습도와, 미세먼지의 농도를 측정 및 감지하고, 일산화탄소 또는 포름알데히드 등의 유해물질을 포함하는 공기 오염 물질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IoT 단말기(110)는 창고의 가스 누출 또는 오염물질의 누출을 감지할 수도 있다.
IoT 단말기(110)는 물품을 사용한 관리자의 신원 데이터, 물품의 사용량, 유효기간 및 보관 현황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물품 관리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IoT 단말기(110)는 물품 포장재(112)에 위치하여, 물품 포장재(112)에 보관되어 있는 물품의 종류, 물품의 정보, 입고일, 유효기간, 폐기일, 보관 현황, 사용량 및 유의사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물품 관리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고, 물품 포장재(112)에 접근하는 관리자의 신원 데이터, 사용한 날짜, 횟수 및 용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물품 관리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IoT 단말기(110)는 물품 포장재(112)의 표면 또는 물품 포장재(112)에 달려있을 수 있고, 물품 포장재(112)를 보관하는 선반에 부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IoT 단말기(110)는 물품 창고(111)로부터 입고 또는 출고되는 물품 포장재(112)를 감지하고, 감지된 물품 포장재(112)에 대한 입출 데이터, 물품 창고(111)의 고유 식별 데이터 및 물품의 성상별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물품 관리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IoT 단말기(110)는 물품을 저장 및 보관하는 창고(111)에 위치하여, 물품 포장재(112)에 위치된 IoT 단말기(110)와의 통신을 통해 입고 또는 출고되는 물품 포장재(112)를 감지할 수 있고, 물품 창고(111)의 저장 온도 및 저장 습도의 저장 환경을 수집할 수 있다.
또한, IoT 단말기(110)는 물품 창고(111)의 밀폐형, 오픈형 및 일반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용도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고, 물품 창고(111)의 위치와, 물품 창고(111)에 저장되어 있는 물품의 성상별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스마트 디바이스(12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IoT 단말기(110)로부터 환경 데이터 및 물품 관리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환경 데이터 및 물품 관리 데이터를 관리자에게 제공하여, 관리자로부터 플랫폼 서비스를 위한 선택입력 정보를 수신한다.
스마트 디바이스(120)는 IoT 단말기(110)로부터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환경 데이터 및 물품 관리 데이터와, 플랫폼 서비스 제공부(140)로부터 수신되는 플랫폼 서비스를 디스플레이하여 관리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디바이스(120)는 창고 내의 물품의 현황, 정보를 사용한 사용자, 사용량, 유효기간과, 창고의 사고위험감지, 사고 발생 공지, 환경오염 정도 및 가스누출 알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여 실시간으로 관리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스마트 디바이스(120)는 관리자가 보유하는 개인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태그를 인식하여 관리자의 신원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고, 관리자로부터 플랫폼 서비스 또는 물품 관련 서비스를 위한 선택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스마트 디바이스(120)는 물품 포장재(112)에 부착되어 있는 RFID 및 바코드 등의 태그를 인식하여 물품 관리 데이터를 수집할 수도 있다.
스마트 디바이스(120)는 IoT 단말기(110)로부터 수신된 물품 관리 데이터에 기반하여, 물품의 사용이나 교체, 위치 변경 등 새로운 이벤트가 발생되는 경우, 물품 관리 데이터를 스마트 창고 서버(130)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스마트 디바이스(120)는 환경 데이터 및 물품 관리 데이터를 각각 수신하는 복수 개의 스마트 디바이스(1201, 1202,…,120n)일 수 있고, 환경 데이터 및 물품 관리 데이터를 모두 수신하는 하나의 스마트 디바이스(120)일 수 있다.
스마트 창고 서버(130)는 스마트 디바이스(120)로부터 실시간 환경 데이터 및 물품 관리 데이터를 수신하고, 실시간으로 수신된 환경 데이터 및 물품 관리 데이터를 기반으로 창고 환경의 안전관리와, 물품에 대한 실시간 모니터링 및 관리를 수행한다.
스마트 창고 서버(130)는 창고의 레거시 시스템(150)과 연동할 수 있고, 플랫폼 서비스 제공부(140)로 환경 데이터 및 물품 관리 데이터를 전송하여, 플랫폼 서비스 제공부(140)로부터 환경 데이터 및 물품 관리 데이터에 기반한 플랫폼 서비스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창고 서버(130)는 플랫폼 서비스 제공부(140)로부터 수신된 플랫폼 서비스를 스마트 디바이스(120)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스마트 창고 서버(130)는 스마트 디바이스(120)로부터 수신된 환경 데이터 및 물품 관리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전에 정의한 기준에 기초하여 위험 상황을 감지할 수 있고, 위험 상황에 따른 경고 알림 또는 대처 방안에 대한 정보를 스마트 디바이스(120) 또는 서비스 파트너 서버(16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 스마트 창고 서버(130)는 위험 상황에 따른 경고 알림 또는 대처 방안에 대한 정보와, 스마트 디바이스(120)로부터 수신된 환경 데이터 및 물품 관리 데이터를 관리자의 단말기로 전송할 수도 있다.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는 휴대폰,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노트북 컴퓨터, 데스크탑 컴퓨터 및 PC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플랫폼 서비스 제공부(140)는 스마트 창고 서버(130)로부터 수신된 환경 데이터 및 물품 관리 데이터를 기반으로 레거시 시스템(150)을 통하여 서비스 파트너 서버(160)와 연계하여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한다.
플랫폼 서비스 제공부(140)는 수신된 물품 관리 데이터를 기반으로 레거시 시스템(150)을 통하여 물품 업체 또는 물품 소모품 업체의 서비스 파트너 서버(160)와 연계하고, 서비스 물품 또는 물품 소모품 업체의 서비스 파트너 서버(160)로 물품 및 물품 소모품의 구매 프로세스를 포함하는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플랫폼 서비스 제공부(140)는 수신된 환경 데이터 및 물품 관리 데이터를 기반으로 레거시 시스템(150)을 통하여 창고 안전 정보 업체의 서비스 파트너 서버(160)와 연계하고, 창고 안전 정보 업체의 서비스 파트너서버(160)로 환경 및 안전 프로세스를 포함하는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플랫폼 서비스 제공부(140)는 수신된 물품 관리 데이터를 기반으로 레거시 시스템(150)을 통하여 물품 재단 업체, 컨텐츠 제공 업체, 창고 진단 업체 및 컨설팅 제공 업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연구 관련 컨설팅 및 컨텐츠 제공 업체의 서비스 파트너 서버(160)와 연계하고, 물품 관련 컨설팅 및 컨텐츠 제공 업체의 서비스 파트너 서버(160)로 실험 정보 관리 프로세스를 포함하는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플랫폼 서비스 제공부(140)는 수신된 물품 관리 데이터를 기반으로 레거시 시스템(150)을 통하여 외부의 창고의 서비스 파트너 서버(160)와 연계하고, 창고의 서비스 파트너 서버(160)로 화상회의 프로세스를 포함하는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플랫폼 서비스 제공부(140)는 수신된 환경 데이터 및 물품 관리 데이터를 기반으로 레거시 시스템(150)을 통하여 환경 과학 연구 업체 또는 연구 재단 업체의 서비스 파트너 서버(160)와 연계하고, 환경 과학 연구 업체 또는 연구 재단 업체의 서비스 파트너 서버(160)로 관제 프로세스를 포함하는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스마트 창고 관리 시스템(100)은 레거시 시스템(150) 및 서비스 파트너 서버(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레거시 시스템(150)은 창고의 기존 시스템(Back Office)일 수 있으며, 창고의 구매시스템, 환경 및 안전 시스템, 관제 시스템, 실험정보관리시스템, 화상회의 시스템 및 기타 관련 시스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파트너 서버(160)는 환경 데이터 및 물품 관리 데이터에 기반하여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창고와 관련된 외부 협력 업체를 일컫을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서비스 파트너 서버(160)는 국립환경과학원, 물품 업체, 연구소모품 업체, 각 연구소, 창고 안전정보망, 한국연구재단, 기타 컨텐츠 제공 업체, 연구소 진단 업체 및 연구 관련 컨설팅 제공 업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업체의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스마트 창고 관리 시스템의 스마트 창고 서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스마트 창고 관리 시스템의 스마트 창고 서버(130)는 스마트 디바이스로부터 실시간 환경 데이터 및 물품 관리 데이터를 수신하고, 실시간 수신된 환경 데이터 및 물품 관리 데이터를 기반으로 창고 환경의 안전관리와, 물품에 대한 실시간 모니터링 및 관리를 수행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스마트 창고 관리 시스템의 스마트 창고 서버(130)는 물품 관리 모듈(131), 환경 관리 모듈(132), 안전 관리 모듈(133), 위험 상황 감지 모듈(134), 경고 알림 모듈(135) 및 인터페이스부(136)를 포함할 수 있다.
물품 관리 모듈(131)은 물품의 입고일, 사용량, 유효 기간, 보관 현황 및 폐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물품 관리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다.
물품 관리 모듈(131)은 스마트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물품 관리 데이터에 기반하여 물품에 관해 사전에 정의된 기준에 기초하여 물품을 모니터링 및 관리할 수 있다.
환경 관리 모듈(132)은 환경 데이터에 기반하여 창고 환경을 모니터링 및 관리할 수 있다.
환경 관리 모듈(132)은 스마트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환경 데이터에 기반하여 환경에 관해 사전에 정의된 기준에 기초하여 창고 환경을 모니터링 및 관리할 수 있다.
안전 관리 모듈(133)은 창고의 위험 상황 발생에 따른 경고 및 대피 지시와, 안전 관련 정보 및 공지사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긴급 정보를 사전에 정의된 기준에 기반하여 모니터링 및 관리할 수 있다.
위험 상황 감지 모듈(134)은 수신된 환경 데이터 및 물품 관리 데이터와, 물품 관리 모듈(131), 환경 관리 모듈(132) 및 안전 관리 모듈(133)에 기반하여 창고의 위험 상황을 감지할 수 있다.
위험 상황 감지 모듈(134)은 수신된 환경 데이터 및 물품 관리 데이터를 기반으로 물품 관리 모듈(131), 환경관리 모듈(132) 및 안전 관리 모듈(133)에서 사전에 정의된 기준에 기반하여 실시간으로 창고을 모니터링 및 관리하고, 기준치가 초과될 경우, 위험 상황으로 판단하여 위험 상황에 따라 대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위험 상황 감지 모듈(134)은 물품 관리 모듈(131)에 기반하여, 물품의 유효 기간이 관리자(관리자)가 사전에 정의한 기준 일자 보다 짧을 경우, 물품의 접합한 보관 환경이 아닐 경우, 물품의 입고일이 사전에 정의한 기준일 보다 초과하여 폐기해야할 경우에 위험 상황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위험 상황 감지 모듈(134)은 환경 관리 모듈(132)에 기반하여 창고 내의 온도 및 습도가 사전에 지정된 기준치를 초과 또는 미만일 경우,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및 포름알데히드의 유해물질의 농도가 초과될 경우, 가스 및 오염물질의 농도가 초과될 경우에 위험 상황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위험 상황 감지 모듈(134)은 안전 관리 모듈(133)에 기반하여 창고의 화재, 지진, 소음 및 외부충격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환경 데이터로부터 위험 상황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위험 상황 감지 모듈(134)은 관리자 및 마스터 관리 모듈(137)에 기반하여 창고을 출입하는 관리자의 정보가 승인되지 않았을 경우, 창고에 유해 물질이 반입되었을 경우, 창고에 보관 중인 각종 관리 문서가 감지되지 않을 경우에 위험 상황으로 판단할 수 있다.
위험 상황 감지 모듈(134)은 물품 관리 모듈(131) 환경 관리 모듈(132) 및 안전 관리 모듈(13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모듈에 기반하여 위험 상황을 감지 및 판단하고, 판단된 신호를 경고 알림 모듈(135)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위험 상황 감지 모듈(134)은 관리자 및 마스터 관리 모듈(137)을 더 포함하여 창고의 위험상황을 감지할 수 있다.
경고 알림 모듈(135)은 감지된 위험 상황에 따른 경고 알림 및 대처 방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경고 알림 모듈(135)은 위험 상황 발생에 따른 경고 및 대피 지시와, 안전 관련 정보 및 공지사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긴급 정보를 인터페이스부(136)로 전송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36)는 플랫폼 서비스 제공부로 환경 데이터 및 물품 관리 데이터를 통신할 수 있고, 레거시 시스템과 연동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36)는 스마트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환경 데이터 및 물품 관리 데이터를 플랫폼 서비스 제공부와 통신할 수 있고, 레거시 시스템과 연동하여 서비스 파트너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부(136)는 위험 상황 감지 모듈(134) 또는 경고 알림 모듈(135)로부터 긴급 정보를 수신하여 스마트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스마트 창고 관리 시스템의 스마트 창고 서버(130)는 관리자 및 마스터 관리 모듈(13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관리자 및 마스터 관리 모듈(137)은 창고을 출입하는 관리자의 정보를 관리하고, 창고의 유해 물질, 안전관리 및 각종 관리 문서의 사전 정의에 기반하여 창고의 출입 및 보안을 관리할 수 있다.
관리자 및 마스터 관리 모듈(137)은 스마트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관리자의 신원 데이터, 전자 저울로부터 측정된 물품의 질량 데이터, 환경 데이터 및 물품 관리 데이터에 기반하여 관리자 및 각종 문서를 모니터링 및 관리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스마트 디바이스(120)는 관리자의 신원 데이터를 수집하는 태그 리더기(121), 물품의 질량을 측정하는 전자 저울(123) 및 관리자로부터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태그 리더기(121)는 관리자가 보유하는 개인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태그를 인식하여 창고을 출입하는 관리자의 신원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태그 리더기(121)는 RFID, 카드, 비콘 및 NFC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관리자의 개인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태그를 인식할 수 있다.
전자 저울(123)은 물품 포장재 내의 물질의 질량을 측정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2)는 IoT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환경 데이터, 물품 관리 데이터와, 태그 리더기(121)로부터 인식된 신원데이터, 전자 저울(123)로부터 측정된 질량 데이터 및 플랫폼 서비스를 디스플레이하고, 관리자로부터 플랫폼 서비스를 위한 선택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2)는 스마트 창고 서버로부터 수신된 위험 상황에 따른 경고 알람 및 대피 지시와, 안전 관련 정보 및 공지사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긴급 정보를 디스플레이하여 관리자에게 제공할 수 있고, 경고에 따른 알람 및 음성을 출력하여 연구 중인 관리자들에게 위험 상황을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120)는 바코드 리더기(1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코드 리더기(124)는 물품 포장재에 부착된 바코드 또는 IoT 단말기에 포함되어 있는 바코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바코드를 인식할 수 있다.
스마트 디바이스(120)는 바코드 리더기(124)를 이용하여 물품 포장재의 바코드를 인식하여, 물품 관리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바코드 리더기(124)는 바코드를 인식 및 스캔할 수 있는 카메라, 라이트펜(light pen) 스캐너, 건(gun) 스캐너, 슬롯 스캐너, 카운터톱(countertop) 스캐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스마트 창고 관리 시스템의 적용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창고 서버를 보인 블록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실시예는 창고에 구비되는 다수개의 적재대(30)와, 창고에 들어오는 작업자(10-1)에 부착된 RFID태그(1-1)의 작업자 식별 정보를 읽고, 읽은 작업자 식별 정보를 외부에 전송하며, 창고에 입고되는 물품(10)에 부착된 RFID태그(1)의 물품정보를 읽고, 읽은 물품정보를 외부에 전송하는 입고리더부(20)(스마트 디바이스의 일종임)와, 적재대(30)에 접근하는 작업자(10-1)에 부착된 RFID태그(1-1)의 작업자 식별 정보를 읽고, 읽은 작업자 식별 정보를 외부에 전송하며, 적재대(30)에 적재된 물품(10)에 부착된 RFID태그(1)의 물품정보를 읽고, 읽은 물품정보를 외부에 전송하는 다수개의 적재대리더부(40)와, 적재대(30)에 적재된 물품(10)들의 중량을 측정하여 전송하는 다수의 중량측정부(40-1)와, 창고에서 나가는 작업자(10-1)에 부착된 RFID태그(1-1)의 작업자 식별 정보를 읽고, 읽은 작업자 식별 정보를 외부에 전송하며, 창고에서 출고되는 물품(10)에 부착된 RFID태그(1)의 물품정보를 읽고, 읽은 물품정보를 외부에 전송하는 출고리더부(50)(스마트 디바이스의 일종임)와, 입고리더부(20), 다수개의 적재대리더부(40) 및 출고리더부(50)에서 전송되는 작업자 식별 정보, 물품정보 및 물품(10)의 보관시간을 관리하여 물품(10)을 정해진 날짜에 출고시키는 스마트 창고 서버(60)와, 스마트 창고 서버(6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입고된 물품(10)의 적재위치를 표시하는 다수개의 적재표시부(70)를 포함한다.
여기서, RFID태그(1)의 물품정보는 물품의 종류에 따른 물품명, 제조일, 제조회사, 중량 등일 수 있다. 그리고, 창고에 구비되는 다수개의 적재대(30)는 창고의 입구에서 출구까지 물품(10)들이 이동될 수 있는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입고리더부(20)는 창고의 입구에 배치되고, 출고리더부(50)는 창고의 출구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다수개의 적재대리더부(40)는 다수개의 적재대(30)에 각각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입고리더부(20), 다수개의 적재대리더부(40) 및 출고리더부(50)는 각각 읽혀진 작업자 식별 정보와 물품정보를 외부로 전송시킬 수 있는 입고통신부(21), 다수개의 적재통신부(41) 및 출고통신부(51)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입고리더부(20), 다수개의 적재대리더부(40) 및 출고리더부(50)는 각각 작업자(10-1)에 부착된 RFID 태그(1-1)의 작업자 식별 정보와 물품(10)에 부착된 RFID태그(1)의 물품정보를 읽을 수 있는 리더기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창고 서버(60)는 입고리더부(20)에서 읽혀진 물품(10)의 정보를 전송받아, 읽혀진 물품(10)이 적재대(30)에 적재되도록 적재표시부(70)를 통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창고 서버(60)는 적재대(30)에 적재된 물품(10)의 적재된 날짜를 기준으로 다음순서의 적재대(30)로 이동시키거나 출고시키도록 적재표시부(70)를 통하여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적재대(30)는 다수의 적재공간(32)으로 구획되고, 다수의 적재공간(32)에 다수개의 적재대리더부(40)가 각각 배치되며, 다수개의 적재대리더부(40)들에는 각각의 ID가 부여될 수 있다.
여기서, 적재대(30)는 다수의 적재공간(32)으로 구획되어 서로 다른 여러 종류의 물품(10)들이 각각 적재될 수 있다. 이때, 다수개의 적재대(30)는 물품(10)들이 종류별로 적재되면서, 입고된 시간(날짜)의 순서대로 적재되도록 소정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다수개의 적재대리더부(40)는 각각의 ID가 부여될 수 있으므로, 스마트 창고 서버(60)는 다수개의 적재대리더부(40)에 부여된 각각의 ID를 인식하여 각각의 적재대리더부(40)를 구분하여 인지할 수 있다.
이때, 스마트 창고 서버(60)는 물품(10)을 최초에 적재된 적재부(30)에서 다음의 적재부(30)로 이동시키도록 최초의 적재부(30)에 배치된 적재표시부(70)와 다음의 적재부(30)에 배치된 적재표시부(70)를 구동시키면 작업자는 이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물품(10)을 최초의 적재부(30)에서 다음의 적재부(30)로 쉽게 이동시 킬 수 있다.
또한, 스마트 창고 서버(60)는 물품(10)의 종류를 파악하여 다수의 적재공간(32)에 서로 다른 종류의 물품(10)을 각각 배치시키도록 적재표시부(7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적재표시부(70)는 창고에 입고되는 물품(10)의 적재위치를 표시하는 입고표시부(71)와, 창고에 입고되어 적재대(30)에 적재된 물품(10)의 다음 적재위치를 표시하는 이동표시부(73)와, 적재대(30)에 적재된 물품(10)의 출고를 표시하는 출고표시부(7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적재위치는 적재공간(32)일 수 있다. 그리고, 입고표시부(71), 이동표시부(73) 및 출고표시부(75)는 서로 다른 색의 다수개의 램프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입고표시부(71)의 램프는 파란색, 이동표시부(73)의 램프는 노란색, 출고표시부(75)의 램프는 빨간색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이 램프들은 다수개의 적재대(30)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즉, 물품(10)이 입고되면 이를 스마트 창고 서버(60)가 인지하여 적재대(30)에서 파란색의 램프가 점등되면, 작업자는 파란색의 램프가 점등된 적재대(30)에 입고된 물품(10)을 적재시킬 수 있다.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작업자는 최초의 물품(10)이 입고되면 파란색을 확인하여 최초의 물품(10)을 적재대(30)의 적재공간(32)에 적재시키고, 다음에 입고되는 물품(10)이 최초에 입고된 물품(10)과 다른 경우에는 스마트 창고 서버(60)가 최초의 적재대(30)의 적재공간(32)에 점등되었던 파란색 램프는 소등되고 다른 적재공간(32)의 파란색의 램프가 점등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종류가 서로 다른 물품(10)을 하나씩 순서대로 입고시키면, 적재대(30)의 다른 적재공간(32)에서 순서대로 파란색의 램프가 점등되므로, 작업자는 혼동하지 않으면서 각각의 적재공간(32)에 서로 다른 종류의 물품(10)을 정확하게 적재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적재대(30)들 중에 2개의 적재대(30)에서 노란색의 램프가 각각 점등되면, 작업자는 노란색의 램프가 각각 점등된 2개의 적재대(30) 중 입구에 가까운 적재대(30)의 물품(10)을 출구에 가까운 적재대(30)로 이동시켜서 적재시킬 수 있다.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서로 다른 적재대(30)에서 각각의 적재공간(32)에 배치된 2개의 노란색의 램프가 점등되면 작업자는 입구에 가까운 적재대(30)의 물품을 출구에 가까운 적재대(30)로 적재시킨다. 이때, 적재가 완료되면 2개의 노란색의 램프는 소등된다. 이어서, 다른 종류의 이동될 물품(10)에 대한 2개의 노란색의 램프가 점등되므로, 작업자는 이에 대한 물품(10)을 이동시킬 수 있다. 즉, 한 종류의 물품(10)의 이동이 완료되면 다른 종류의 물품(10)의 이동을 위하여 다른 2개의 노란색의 램프가 점등되므로, 작업자는 이를 혼동하지 않으면서 물품(10)을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적재대(30)에서 빨간색의 램프가 각각 점등되면, 작업자는 이를 확인하여 빨간색의 램프가 점등된 적재대(30)에 적재된 물품(10)을 출구로 출고시킬 수 있다.
그리고, 스마트 창고 서버(60)는 입고리더부(20), 다수개의 적재대리더부(40) 및 출고리더부(50)에서 전송되는 물품정보를 수신하는 서버통신부(61)와, 물품정보를 인식하여 물품(10)의 종류를 파악하여 관리하는 물품관리부(63)와, 물품관리부(63)에서 파악된 물품(10)에 대한 적재대(30)의 적재위치를 관리하는 적재대관리부(65)와, 물품(10)의 입고시간에 따라 적재대관리부(65)에서 관리되는 각각의 적재위치에서 상기 적재표시부(70)가 표시되도록 관리하는 표시관리부(67)와, 물품관리부(63)에서 각각의 물품정보를 인식하는 시간을 카운트하여 제공하는 시간관리부(69)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스마트 창고 서버(60)는 PC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서버통신부(61)와, 물품관리부(63)와, 적재대관리부(65)와, 표시관리부(67) 및 시간관리부(69)는 제어부(62)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PC는 모니터와 키보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서버통신부(61)는 근거리 통신할 수 있다.
또한, 서버통신부(61)를 통해 물품정보가 수신되면 물품관리부(63)는 물품(10)의 종류를 파악하고, 적재대관리부(65)에서 관리되는 적재대(30)의 적재위치 즉 물품(10)이 적재될 적재공간(32)을 적재표시부(70)를 통하여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품관리부(63)는 입고리더부(20), 적재대리더부(40) 및 출고리더부(50)에서 전송되는 물품정보를 각각 분류하여 인식하는 물품인식부(63a)와, 물품인식부(63a)에서 각각 인식된 물품정보를 이용하여 물품의 종류를 확인하는 종류확인부(63b)와, 물품인식부(63a)에서 각각 인식된 물품정보를 이용하여 물품의 종류별 수량을 확인하는 수량확인부(63c)와, 시간관리부(69)에서 제공되는 시간을 근거로 적재대(30)에 적재된 물품(10)의 이동 및 출고를 지시하는 물품이동부(63d)와, 종류확인부(63b)에서 확인된 물품종류와, 수량확인부(63c)에서 확인된 물품수량과, 물품이동부(63d)에 의해 물품(10)의 이동 및 출고상황이 데이터화되어 저장되는 물품DB(63e)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물품인식부(63a)는 전송된 물품정보가 입고리더부(20)에서 읽혀진 것인지, 적재대리더부(40)에서 읽혀진 것인지, 출고리더부(50)에서 읽혀진 것인지 각각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종류확인부(63b)는 물품정보들을 통해 적재대(30)에 적재되는 각각의 물품명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수량확인부(63c)는 적재대(30)에 적재되는 물품(10)의 수량을 확인하여 각각의 총합계를 가산하고, 적재대(30)에서 출고되는 물품(10)의 수량을 확인하여 총합계에서 감산할 수 있다. 이때, 시간관리부(69)에서 적재대(30)에 적대된 물품(10)들의 적재시간을 카운팅하면 물품이동부(63d)는 각각의 물품(10)에 해당되는 날짜에 따른 이동 및 출고를 지시할 수 있다.
즉, 물품(10)의 입고날짜를 계산하여 입고된 물품(10)을 날짜의 흐름에 따라 출구에 가깝게 이동시키고, 최종적으로 출구에 위치된 물품(10)은 출고날짜에 의해 출고될 수 있도록 물품이동부(63d)의 지시에 의해 적재표시부(70)가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대관리부(65)는 물품관리부(63)에서 인식된 각각 물품(10)이 적재대(30)에 적재되도록 적재대(30)의 빈 적재위치를 확인하는 적재위치확인부(65a)와, 적재위치확인부(65a)에 의해 확인된 적재위치에 물품(10)의 적재완료를 확인하는 적재완료확인부(65b)와, 적재파악부(31)에 적재대(30)의 적재 위치를 제공하도록 다수의 구역으로 구획된 적재위치와, 적재대(30)에 설치된 적재대리더부(40)의 ID가 저장되고, 물품(10)의 적재 및 이동상황이 저장되는 적재DB(65c)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적재위치확인부(65a)는 물품관리부(63)에서 인식된 물품정보가 입고리더부(20)에서 읽혀진 것이면 적재대(30)의 첫 번째 적재위치를 확인할 수 있고, 적재대리더부(40)에서 읽혀진 것이면 적재대(30)의 다음 적재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적재완료확인부(65b)는 적재대(30)에 물품(10)이 적재되면 적재된 적재위치를 적재DB(65c)에 저장할 수 있고, 적재대(30)에서 물품(10)이 출고되면 빈 적재위치를 적재DB(65c)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표시관리부(67)에 의해 적재표시부(70)의 입고표시부(71), 이동표시부(73) 및 출고표시부(75)는 각각 제어될 수 있다.
그리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간관리부(69)는 물품관리부(63)에서 인식된 물품(10)들의 입고, 이동 및 출고시간을 확인하는 시간확인부(69a)와, 시간확인부(69a)에서 확인된 입고 및 이동되는 물품(10)의 이동 및 출고시간을 설정하는 이동설정부(69b)와, 시간확인부(69a) 및 이동설정부(69b)에 시간을 제공하는 시간제공부(69c)와, 시간확인부(69a)의 확인된 물품(10)의 입고, 이동 및 출고시간을 카운팅하는 시간카운팅부(69d)와, 이동설정부(69b)의 설정시간과 상기 시간카운팅부(69d)의 카운팅시간을 판단하여 물품(10)의 이동 및 출고시간을 제공하는 이동시간제공부(69e)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이동설정부(69b)는 PC에 구비된 키보드의 입력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또한, 시간제공부(69c)는 타이머일 수 있다.
그리고, 시간확인부(69a)는 물품(10)의 입고된 시간, 적재대(30)의 적재공간(32)에서 다른 적재공간(32)으로 이동된 시간, 적재대(30)에서 출고된 시간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시간확인부(69a)는 입고리더부(20), 다수개의 적재대리더부(40) 및 출고리더부(50)에서 전송되는 물품정보의 전송시간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설정부(69b)는 입고된 물품(10)의 종류에 따라 이동 및 출고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즉, 입고된 물품(10)이 식품, 유제품, 농산물, 수산물, 육류 등은 유통기간이 비교적 짧기 때문에 창고에 장시간 보관될 수 없다. 따라서, 이에 해당되는 물품(10)들은 이동 및 출고시간을 짧게 설정하여야 한다.
또한, 상대적으로 유통기간이 긴 물품(10)들은 창고에 장기간 보관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다.
그러므로, 물품(10)은 입고된 순간부터 시간이 체크되어 출구에 설정된 시간에 따라 점차 가까운 적재대(30)로 이동되도록 이동시간이 제공될 수 있고, 이동된 물품(10)도 설정된 시간에 출고되도록 출고시간이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창고에 입고된 물품(10)은 설정된 시간에 따라 적재대(30)에서 이동되고, 적재대(30)에서 출고될 수 있다.
그리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고된 물품(10)의 이상을 파악하여 반품하도록 관리하는 반품관리부(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반품관리부(80)는 물품(10)에 대한 이상상황을 상기 물품(10)의 RFID태그(1)에 입력하는 라이터(81)와, RFID태그(1)의 물품정보를 인식하는 반품리더기(82)와, 라이터(81)에 이상데이터를 제공하도록 이상데이터가 저장되고, 반품리더기(82)의 읽혀진 물품정보가 저장되는 라이터DB(83)와, 라이터(81)의 입력시간을 체크하는 입력체크부(85)와, 입력체크부(85)에 시간을 제공하는 입력시간제공부(86)와, 반품리더기(82)의 인식 횟수를 카운트하는 입력카운트부(87)와, 라이터(81)의 입력을 감지하여 입력시간 및 입력횟수와, 반품리더기(82)의 인식된 물품의 반품정보 및 반품수량을 상기 라이터DB(83)에 저장시키는 입력관리부(88)와, 라이터DB(83)에 저장된 데이터들을 외부로 전송하는 반품통신부(89)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라이터(81)와, 반품리더기(82)와, 라이터DB(83)와, 입력체크부(85)와, 입력시간제공부(86)와, 입력카운트부(87)와, 입력관리부(88)와, 반품통신부(89)는 반품제어부(80a)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그리고, 스마트 창고 서버(60)는 반품처리부(84)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반품처리부(84)는 반품메모리(84a)가 구비되어 반품정보에 대한 이상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즉, 반품관리부(80)에서 전송되는 반품되는 물품(10)에 대한 이상데이터를 전송받아 관리하고, 별도의 모니터(도시생략)를 통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그리고, 창고에 물품(10)이 입고되면 작업자는 물품(10)을 육안으로 확인하여 포장의 이상 또는 물품의 이상을 파악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는 라이터(81)를 이용하여 RFID태그(1)에 이상상태를 입력할 수 있다. 이때, 작업자는 키보드를 이용하여 입력관리부(88)를 구동시켜 라이터DB(83)에서 저장된 이상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다.
즉, 이상데이터는 포장불량, 포장파손, 물품파손, 출고날짜초과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작업자는 이상데이터를 선택하여 선택된 이상데이터를 RFID태그(1)에 입력시킬 수 있다. 이때, 출고날짜초과는 출고날짜가 초과되어 사용하지 못하는 즉 상한 물품(10)들 일 수 있다.
또한, 이상데이터가 RFID태그(1)에 입력되면 입력관리부(88)가 입력된 이상데이터 및 입력시간을 반품되는 물품(10)의 물품정보를 매칭시켜 함께 라이터DB(83)에 저장시킬 수 있다.
또한, 물품(10)의 종류 및 각각의 입력카운트횟수를 라이터DB(83)에 저장시킬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라이터DB(83)에 저장된 어떤 물품(10)들이 반품되는지, 반품되는 물품(10)은 몇 개인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반품되는 물품(10)에 대한 데이터는 스마트 창고 서버(60)에 전송될 수 있다.
한편, 창고에 입고되는 물품(10)에 RFID태그가 없고, 스마트 창고 서버(60)가 입고되는 물품(10)의 적재 위치를 알고 있고, 작업자를 알고 있는 경우에 스마트 창고 서버(60)는 물품(10)의 적재 위치에 해당하는 적재대리더부(40)가 접근하는 작업자(10-1)에 부착되어 있는 RFID 태그(1-1)를 읽어 작업자 식별 정보를 전송하면 물품(10)의 적재 위치에 해당하는 경우에 물품(10)이 해당 위치에 정확하게 적재된 것으로 판단한다.
이때, 스마트 창고 서버(60)가 물품(10)의 중량을 알고 있는 경우에 물품(10)의 적재 위치에 위치한 중량측정부(40-1)로부터 측정된 중량을 전송받아 중량이 해당 물품(10)의 중량만큼 증가한 경우에 물품(10)이 해당 위치에 정확하게 적재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창고에 입고되는 물품(10)에 RFID태그가 없고, 스마트 창고 서버(60)가 입고되는 물품(10)의 적재 위치만을 알고 있고, 작업자를 모르는 경우에 스마트 창고 서버(60)가 물품(10)의 중량을 알고 있다면, 스마트 창고 서버(60)는 물품(10)의 적재 위치에 해당하는 적재대리더부(40)가 접근하는 작업자(10-1)에 부착되어 있는 RFID 태그(1-1)를 읽어 작업자 식별 정보를 전송하고, 물품(10)의 적재 위치에 위치한 중량측정부(40-1)로부터 측정된 중량을 전송받아 중량이 해당 물품(10)의 중량만큼 증가한 경우에 물품(10)이 해당 위치에 정확하게 적재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스마트 창고 서버(60)는 적재 작업을 수행한 작업자도 적재대리더부(40)에서 전송한 작업자 식별 정보를 통하여 특정할 수 있다.
물론, 창고에 입고되는 물품(10)에 RFID 태그(1-1)가 있고, 스마트 창고 서버(60)가 입고되는 물품(10)의 적재 위치를 알고 있고, 작업자를 알고 있는 경우에 스마트 창고 서버(60)는 물품(10)의 적재 위치에 해당하는 적재대리더부(40)가 물품(10)에 부착된 RFID 태그(1-1)를 읽어 물품 정보를 전송하고, 접근하는 작업자(10-1)에 부착되어 있는 RFID 태그(1-1)를 읽어 작업자 식별 정보를 전송하면 물품(10)의 적재 위치에 해당하는 경우에 물품(10)이 해당 위치에 정확하게 적재된 것으로 이중으로 판단한다.
이때에도, 스마트 창고 서버(60)가 물품(10)의 중량을 알고 있는 경우에 물품(10)의 적재 위치에 위치한 중량측정부(40-1)로부터 측정된 중량을 전송받아 중량이 해당 물품(10)의 중량만큼 증가한 경우에 물품(10)이 해당 위치에 정확하게 적재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어 삼중으로 정확성을 검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창고에 입고되는 물품(10)에 RFID태그가 있고, 스마트 창고 서버(60)가 입고되는 물품(10)의 적재 위치만을 알고 있으며, 작업자를 모르는 경우에 스마트 창고 서버(60)는 물품(10)의 적재 위치에 해당하는 적재대리더부(40)가 접근하는 작업자(10-1)에 부착되어 있는 RFID 태그(1-1)를 읽어 작업자 식별 정보를 전송하면 작업자를 확인하여 특정할 수 있다.
한편, 창고에 출고되는 물품(10)에 RFID태그가 없고, 스마트 창고 서버(60)가 출고되는 물품(10)의 적재 위치를 알고 있고, 작업자를 알고 있는 경우에 스마트 창고 서버(60)는 물품(10)의 적재 위치에 해당하는 적재대리더부(40)가 접근하는 작업자(10-1)에 부착되어 있는 RFID 태그(1-1)를 읽어 작업자 식별 정보를 전송하면 물품(10)의 적재 위치에 해당하는 경우에 물품(10)이 해당 위치에 정확하게 출고된 것으로 판단한다.
이때, 스마트 창고 서버(60)가 물품(10)의 중량을 알고 있는 경우에 물품(10)의 적재 위치에 위치한 중량측정부(40-1)로부터 측정된 중량을 전송받아 중량이 해당 물품(10)의 중량만큼 감소한 경우에 물품(10)이 해당 위치에 정확하게 출고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창고에 출고되는 물품(10)에 RFID태그가 없고, 스마트 창고 서버(60)가 출고되는 물품(10)의 적재 위치만을 알고 있고, 작업자를 모르는 경우에 스마트 창고 서버(60)가 물품(10)의 중량을 알고 있다면, 스마트 창고 서버(60)는 물품(10)의 적재 위치에 해당하는 적재대리더부(40)가 접근하는 작업자(10-1)에 부착되어 있는 RFID 태그(1-1)를 읽어 작업자 식별 정보를 전송하고, 물품(10)의 적재 위치에 위치한 중량측정부(40-1)로부터 측정된 중량을 전송받아 중량이 해당 물품(10)의 중량만큼 감소한 경우에 물품(10)이 해당 위치에 정확하게 출고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스마트 창고 서버(60)는 출고 작업을 수행한 작업자도 적재대리더부(40)에서 전송한 작업자 식별 정보를 통하여 특정할 수 있다.
물론, 창고에 출고되는 물품(10)에 RFID 태그(1-1)가 있고, 스마트 창고 서버(60)가 출고되는 물품(10)의 적재 위치를 알고 있고, 작업자를 알고 있는 경우에 스마트 창고 서버(60)는 물품(10)의 적재 위치에 해당하는 적재대리더부(40)가 물품(10)에 부착된 RFID 태그(1-1)를 읽어 물품 정보를 전송하고, 접근하는 작업자(10-1)에 부착되어 있는 RFID 태그(1-1)를 읽어 작업자 식별 정보를 전송하면 물품(10)의 적재 위치에 해당하는 경우에 물품(10)이 해당 위치에 정확하게 출고된 것으로 이중으로 판단한다.
이때에도, 스마트 창고 서버(60)가 물품(10)의 중량을 알고 있는 경우에 물품(10)의 적재 위치에 위치한 중량측정부(40-1)로부터 측정된 중량을 전송받아 중량이 해당 물품(10)의 중량만큼 감소한 경우에 물품(10)이 해당 위치에 정확하게 출고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어 삼중으로 정확성을 검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창고에 출고되는 물품(10)에 RFID태그가 있고, 스마트 창고 서버(60)가 출고되는 물품(10)의 적재 위치만을 알고 있으며, 작업자를 모르는 경우에 스마트 창고 서버(60)는 물품(10)의 적재 위치에 해당하는 적재대리더부(40)가 접근하는 작업자(10-1)에 부착되어 있는 RFID 태그(1-1)를 읽어 작업자 식별 정보를 전송하면 작업자를 확인하여 특정할 수 있다.
한편, 창고에서 출고되는 물품(10)들이 다수개이고, 이러한 다수개를 하나의 포장 용기에 담아 출고해야 하는 경우에, 물품(10)들에 RFID태그가 없고, 스마트 창고 서버(60)가 출고되는 물품(10)들의 적재 위치를 알고 있는 경우에 스마트 창고 서버(60)는 물품(10)들의 적재 위치에 해당하는 적재대리더부(40)가 접근하는 작업자(10-1)에 부착되어 있는 RFID 태그(1-1)를 읽어 작업자 식별 정보를 전송하면 작업자(10-1)의 이동 경로를 확인하여 해당 물품(10)들의 모든 적재 위치를 경유하는 경우에 물품(10)들이 해당 위치에서 정확하게 출고된 것으로 판단한다.
즉, 스마트 창고 서버(60)는 주문된 물품이 다수의 물품이고 이를 하나의 포장용기에 포장하여 배송해야 하는 경우에 작업자(10-1)의 이동 경로가 해당 물품(10)들의 모든 적재 위치들에 해당하는 경우에 정확하게 출고된 것으로 판단한다.
이때, 스마트 창고 서버(60)가 물품(10)들의 중량을 알고 있는 경우에 물품(10)들의 적재 위치에 위치한 중량측정부(40-1)들로부터 측정된 중량을 전송받아 중량이 해당 물품(10)들의 중량만큼 각각 감소한 경우에 물품(10)들이 해당 위치에 정확하게 출고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창고에 출고되는 물품(10)들에 RFID태그가 없고, 스마트 창고 서버(60)가 출고되는 물품(10)들의 적재 위치만을 알고 있고, 작업자를 모르는 경우에 스마트 창고 서버(60)가 물품(10)들의 중량을 알고 있다면, 스마트 창고 서버(60)는 물품(10)들의 적재 위치에 해당하는 적재대리더부(40)가 접근하는 작업자(10-1)에 부착되어 있는 RFID 태그(1-1)를 읽어 작업자 식별 정보를 전송하고, 물품(10)들의 적재 위치에 위치한 중량측정부(40-1)들로부터 측정된 중량을 전송받아 중량이 해당 물품(10)들의 중량만큼 각각 감소한 경우에 물품(10)이 해당 위치에 정확하게 출고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스마트 창고 서버(60)는 출고 작업을 수행한 작업자도 적재대리더부(40)에서 전송한 작업자 식별 정보를 통하여 특정할 수 있다.
물론, 창고에 출고되는 물품(10)들에 RFID 태그(1-1)들이 있고, 스마트 창고 서버(60)가 출고되는 물품(10)들의 적재 위치를 알고 있고, 작업자를 알고 있는 경우에 스마트 창고 서버(60)는 물품(10)들의 적재 위치에 해당하는 적재대리더부(40)들이 물품(10)들에 부착된 RFID 태그(1-1)들을 읽어 물품 정보를 전송하고, 접근하는 작업자(10-1)에 부착되어 있는 RFID 태그(1-1)를 읽어 작업자 식별 정보를 전송하면 물품(10)들의 적재 위치들이 작업자의 이동 경로에 모두 위치하는 경우에 물품(10)들이 해당 위치에 정확하게 출고된 것으로 이중으로 판단한다.
이때에도, 스마트 창고 서버(60)가 물품(10)들의 중량을 알고 있는 경우에 물품(10)들의 적재 위치에 위치한 중량측정부(40-1)들로부터 측정된 중량을 전송받아 중량이 해당 물품(10)들의 중량만큼 각각 감소한 경우에 물품(10)들이 해당 위치에 정확하게 출고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어 삼중으로 정확성을 검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창고에 출고되는 물품(10)들에 RFID태그가 있고, 스마트 창고 서버(60)가 출고되는 물품(10)들의 적재 위치만을 알고 있으며, 작업자를 모르는 경우에 스마트 창고 서버(60)는 물품(10)들의 적재 위치에 해당하는 적재대리더부(40)가 접근하는 작업자(10-1)에 부착되어 있는 RFID 태그(1-1)를 읽어 작업자 식별 정보를 전송하면 작업자를 확인하여 특정할 수 있다.
한편, 스마트 창고 서버(60)가 입고나 출고 작업자를 알기 위해서는 도 10에 도시된 주문 관리부를 더 포함하고 있어야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문 관리부의 구성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문 관리부는 주문 정보를 표시하는 주문 표시부(200), 주문 정보를 인쇄하여 작업자(10-1)에게 주문 정보가 인쇄된 주문서를 제공하는 주문 인쇄부(300), 주문 인쇄부(300)에 접근하여 인쇄된 주문서를 수령하는 작업자(10-1)에 부착된 RFID태그(1-1)의 작업자 식별 정보를 읽어 창고서버(60)로 전송하는 작업자리더부(400)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주문 정보는 입고 주문 정보와 출고 주문 정보가 있다.
스마트 창고 서버(60)는 입고 주문이나 출고 주문을 주문자 단말기(미도시)로부터 전송받은 경우에 전송받은 입고 주문 정보나 출고 주문 정보를 주문 표시부(200)에 표시하고, 주문 인쇄부(300)를 통하여 인쇄한다.
그러면, 주문 표시부(200)의 앞에서 대기하고 있던 작업자들중 어느 한명의 작업가가 주문 표시부(200)에 표시된 주문 정보를 확인하고 작업 수행을 위하여 주문 인쇄부(300)에 접근하여 인쇄된 주문서를 수령하면 작업자리더부(400)는 접근하는 작업자(10-1)에 부착된 RFID태그(1-1)의 작업자 식별 정보를 읽어 스마트 창고 서버(60)에 제공하며, 스마트 창고 서버(60)는 해당 주문을 처리하는 작업자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스마트 창고 서버(60)는 해당 작업자의 휴대 단말기(미도시)로 주문 정보를 전송하여 작업시에 참고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창고의 청소에 이용되는 건습식 지능형 로봇청소기의 개요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건습식 지능형 로봇청소기의 분리 개요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로봇청소기(B1)는 본체(B10)의 후면부 하측에서 본체(B10)의 저면과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되되, 외부면에는 걸레가 부착되어 있는 물걸레청소장치(B20)와, 상기 본체(B10)의 내부에서 하부에 위치한 물걸레청소장치(B20)를 하부방향으로 밀어주어 상기 물걸레청소장치(B20)의 외부면에 부착된 걸레가 바닥면을 눌러주는 기능을 하도록 유도하는 푸싱장치(B30)와, 상기 본체(B10)의 내부에 구성된 스팀분사장치(B40)로 인해 보다 효율적인 물걸레청소작업을 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의 로봇청소기(B1)는 내부에 제어부(B80), 위치 확인부(B82), 통신부(B84) 등의 전자기적 제어장치 및 구동장치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과 저면에 구동장치와 연계하여 주행기능을 위한 구동바퀴(B70) 및 종동바퀴(도면에 도시되지 않음)가 구성되는 본체(B10)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B10)의 저면에서 먼지를 흡입하는 흡입관(B62)과, 상면에서 습기를 흡입하는 습기 흡입관(B66)과, 흡입된 습기를 제거하는 습기 제거 필터(B67)와, 상기 흡입관(B62)의 전면측에 위치하여 흡입관(B62)으로 먼지를 유도하는 브러시(B63)와, 상기 흡입관(B62)을 통해 흡입된 먼지가 모이는 먼지통(B61)과, 상기 먼지통(B61)의 일측에 위치하여 흡입관(B62)을 통해 먼지통(B61)으로 먼지가 흡입되도록 하고, 습기 흡입관(B66)을 통해 습기 제거 필터(B67)로 습기가 흡입되도록 하는 흡입팬(B64) 및 상기 흡입팬(B64)을 구동시키는 모터(B65)로 구성된 집진장치(B60)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체(B10)의 저면에는 걸레청소를 할 수 있도록 걸레가 부착되어 있는 물걸레청소장치(B20)가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물걸레청소장치(B20)의 착탈구조는 본 발명의 기술이 속하는 당업자라면 쉽게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특허청 공보에 의해서도 다양하게 제시되어 있는 기술이기 때문에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다.
도면부호 S는 본 발명의 물걸레청소장치(B20)가 안착될 수 있는 본체(B10)의 저면부 공간을 나타낸 것이며, 도면부호 C는 가습장치(B50)의 무화실(B54)과 저수실(B53) 및 물탱크(B41)와 집진장치(B60)의 먼지통(B61)의 상부를 덮고 있는 각각의 커버를 나타낸 것으로 물탱크(B41)의 커버(C)에는 후술하는 가습장치(B50)의 물보충을 위해 물병(B57)을 안착시키는 공간인 안착대(B411)와 상기 안착대를 덮는 상부덮개(B412)가 별개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로봇청소기(B20)의 가장 큰 특징으로서 걸레기능을 하는 물걸레청소장치(B20)를 하부측의 바닥면으로 밀어줌으로써 물걸레청소장치(B20)에 부착된 걸레가 바닥면을 강하게 문지르도록 하는 푸싱장치(B30)와 상기 푸싱장치(B30)에 의해 물걸레청소장치(B20)가 바닥면을 문지르기 전 바닥면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쉽게 지울수 있도록 본체(B10)의 내부에서 스팀을 발생시켜 본체(B10)의 하부로 스팀을 분사하는 스팀분사장치(B40)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 스팀분사장치(B40)는 기본적으로 본체(B10)의 내부에 물을 저장할 수 있는 물탱크(B41)와, 상기 물탱크(B41)의 저면에 위치한 유로관(B43)을 통해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발생장치(B44)와, 상기 스팀발생장치(B44)로부터 형성된 스팀을 본체(B10)의 저면 바닥으로 형성된 스팀노즐(B46)을 통해 본체(B10)의 하부로 스팀을 분사하도록 유도하는 펌프(B45)가 구성되어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스팀을 발생시키지 않고 펌프(B45)를 통해 물탱크(B41)에 저장된 물을 외부로 분사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로봇청소기(B1)는 청소기의 기능 외에도 유로관(B43)을 통해 물을 공급받아 가급기능을 할 수 있도록 가습장치(B50)가 구성되어 있다.
유로관(B43)에는 물탱크(B41)로부터 유입되는 물의 방향을 컨트롤하는 컨트롤밸브를 구성하여 유로관(B43)과 연결되어 있는 송수관(B51)을 통해 가습장치(B50)로 물을 공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가습장치(B50)에는 물걸레청소보다 훨씬 많은 물의 양이 필요하게 되므로 부족한 물공급을 위해 물탱크(B41)의 상부덮개(B412)에 안착대(B411)를 형성하고, 상기 안착대(B411)에 물이 채워져 있는 물병의 입구측을 안착시켜 물을 공급할 수 있게 하였다.
상기 물병은 본 발명의 로봇청소기의 구입시 제공되는 물병을 상기 물탱크(B41)의 안착대(B411)를 일반인이 구입할 수 있는 패트병의 입구와 동일한 규격으로 형성한다면 물병(B411)을 잃어버리거나 심하게 훼손된 경우 패트병으로 대용할 수 있다.
상기 가습장치(B50)는 사용자가 가습기능을 선택시 물탱크(B41)로부터 유로관(B43)을 통해 흐르는 물을 컨트롤밸브에 의해 송수관으로 유도함으로써 가습장치로 물을 공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컨트롤밸브의 제어구성은 일반적인 구성이기 때문에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자세하게 도시하지 않았다. 송수관(B51)으로 입수된 물은 저수실(B53)로 공급되고 결국 물은 네브라이저(B55)의 무화작용에 의해 작은 물방울로 형성시키는 무화실(B54)에서 분무노즐(B56)을 따라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가습장치(B50)가 구동되는 것이다.
네브라이저(B55)는 일반적이 가습기에서 진동자와 방열판 그리고 회로판으로 구성된 부품을 일컫는 명칭이다.
한편, 스마트 창고 서버(B2)은 창고의 실내의 구조를 인터넷의 부동산 정보 제공 서버에 접속하여 다운로드 받아 저장한다.
한편, 제어부(B80)는 통신부(B84)를 통하여 스마트 창고 서버(B2)과 통신을 수행하며, 스마트 창고 서버(B2)은 제어부(B80)에 창고 실내 구조와 설치된 다수의 습도 측정 센서의 위치를 알려준다.
그리고 위치 확인부(B82)는 다수의 습도 측정 센서와 통신부(B84)를 통하여 통신을 수행하면서 다수의 습도 측정 센서로부터 수신된 습도 전송 신호의 수신신호 강도 지수(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RSSI)를 측정하여 로봇 청소기(B1)의 실내 위치를 확인한다.
그리고, 제어부(B80)는 다수의 습도 측정 센서로부터 측정된 습도를 전송받아 각 위치에서의 습도를 파악한다.
이때, 실내의 쾌적함을 유지하려면 온도 외에도 습도를 고려해야 하는데, 습도가 30% 미만이거나 80% 이상이면 좋지 않고, 40~70% 정도면 대체로 쾌적함을 느낄 수 있다.
실제로 쾌적함을 주는 습도는 온도에 따라 달라지는데, 15℃에서는 70%정도, 18~20℃에서는 60%, 21~23℃에서는 50%, 24℃ 이상에서는 40%가 적당한 습도라고 한다. 이러한 온도를 고려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습도 측정 센서에 온도 측정 센서를 더 구비하여 측정된 온도를 제어부(B80)로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B80)는 습도만을 고려하거나 온도를 고려하여 각 위치에서 쾌적함을 주는 목표 습도를 설정하여 목표 습도에 도달하지 못한 위치로 이동하여 목표 습도에 도달하도록 가습 장치(B50)를 구동한다.
이때, 목표 습도에 도달하지 못한 지역이 여러곳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목표 습도가 차이가 가장 많이 나는 위치로 이동하여 가습 장치(B50)를 구동한다.
한편, 제어부(B80)는 목표 습도를 상회하는 측정 습도가 발견되면, 해당 위치로 이동하여 모터(B65)를 구동하여 흡입팬(B64)이 습기 흡입관(B66)을 통하여 습기를 흡입하여 습기 제거 필터(B67)를 통하여 습기를 제거하도록 한다.
이와 달리 스마트 창고 서버(B2)는 창고 실내의 구조를 인터넷의 부동산 정보 제공 서버에 접속하여 다운로드 받아 저장한 후에, 창고 실내의 구조의 다수의 위치의 GPS 좌표를 획득한 후에, 이를 제어부(B80)로 제공한다.
이때, 위치 확인부(B82)가 GPS 수신기를 포함하도록 구성하여, 실내를 주행하면서 GPS 수신기를 통하여 GPS 좌표를 확인하여 위치를 파악하고, 파악된 위치의 습도를 제어부(B80)는 구비된 습도 측정부를 이용하여 습도를 측정하여 실내의 각 위치에서의 습도를 파악한다.
이때, 실내의 쾌적함을 유지하려면 온도 외에도 습도를 고려해야 하는데, 습도가 30% 미만이거나 80% 이상이면 좋지 않고, 40~70% 정도면 대체로 쾌적함을 느낄 수 있다.
실제로 쾌적함을 주는 습도는 온도에 따라 달라지는데, 15℃에서는 70%정도, 18~20℃에서는 60%, 21~23℃에서는 50%, 24℃ 이상에서는 40%가 적당한 습도라고 한다. 이러한 온도를 고려하기 위해서는 습도 측정부에 온도 측정부를 더 구비하여 측정된 온도를 제어부(B80)로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B80)는 습도만을 고려하거나 온도를 고려하여 각 위치에서 쾌적함을 주는 목표 습도를 설정하여 목표 습도에 도달하지 못한 위치로 이동하여 목표 습도에 도달하도록 가습 장치(B50)를 구동한다.
이때, 목표 습도에 도달하지 못한 지역이 여러곳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목표 습도가 차이가 가장 많이 나는 위치로 이동하여 가습 장치(B50)를 구동한다.
한편, 제어부(B80)는 목표 습도를 상회하는 측정 습도가 발견되면, 해당 위치로 이동하여 모터(B65)를 구동하여 흡입팬(B64)이 습기 흡입관(B66)을 통하여 습기를 흡입하여 습기 제거 필터(B67)를 통하여 습기를 제거하도록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IoT 단말기
120: 스마트 디바이스
130: 스마트 창고 서버
140: 플랫폼 서비스 제공부
150: 레거시 시스템
160: 서비스 파트너 서버

Claims (15)

  1. 창고 환경의 모니터링을 위한 환경 데이터를 감지하고, 물품 포장재 및 물품 창고에 대한 관리 및 모니터링을 위한 물품 관리 데이터를 수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IoT 단말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IoT 단말기로부터 상기 환경 데이터 및 상기 물품 관리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환경 데이터 및 상기 물품 관리 데이터를 관리자에게 제공하여, 상기 관리자로부터 플랫폼 서비스를 위한 선택 입력 정보를 수신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로부터 실시간으로 상기 환경 데이터 및 상기 물품 관리 데이터를 수신하고, 실시간으로 수신된 상기 환경 데이터 및 상기 물품 관리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창고 환경의 안전관리와, 물품에 대한 실시간 모니터링 및 관리를 수행하는 스마트 창고 서버; 및
    상기 스마트 창고 서버로부터 수신된 상기 환경 데이터 및 상기 물품 관리 데이터를 기반으로 레거시 시스템을 통하여 서비스 파트너 서버와 연계하여 상기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 서비스 제공부를 포함하는 IoT 기반의 스마트 창고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 서비스 제공부는
    상기 수신된 물품 관리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레거시 시스템을 통하여 물품 업체 또는 연구 소모품 업체의 서비스 파트너 서버와 연계하고,
    상기 서비스 물품 또는 물품 소모품 업체의 서비스 파트너 서버로 상기 물품 및 연구 소모품의 구매 프로세스를 포함하는 상기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IoT 기반의 스마트 창고 관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창고 서버는
    물품의 입고일, 사용량, 유효 기간, 보관 현황 및 폐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물품 관리 데이터를 관리하는 물품 관리 모듈;
    상기 환경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창고 환경을 모니터링 및 관리하는 환경 관리 모듈;
    상기 환경데이터에 기반하여 창고에 위치해 있는 연구소의 위험 상황을 모니터링 및 관리하는 안전 관리 모듈;
    상기 수신된 환경 데이터 및 상기 물품 관리 데이터와, 상기 물품 관리 모듈, 상기 환경 관리 모듈 및 상기 안전 관리 모듈에 기반하여 상기 창고의 위험 상황을 감지하는 위험 상황 감지 모듈;
    상기 감지된 위험 상황에 따른 경고 알림 및 대처 방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경고 알림 모듈; 및
    상기 플랫폼 서비스 제공부로 상기 환경 데이터 및 상기 물품 관리 데이터의 통신과, 상기 레거시 시스템과의 연동을 위한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IoT 기반의 스마트 창고 관리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창고 서버는
    상기 창고을 출입하는 상기 관리자의 정보를 관리하고, 상기 창고의 유해 물질, 안전 관리 및 각종 관리 문서의 사전 정의에 기반하여 상기 창고의 출입 및 보안을 관리하는 관리자 및 마스터 관리 모듈을 더 포함하는 IoT 기반의 스마트 창고 관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IoT 단말기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비콘(Beacon),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바코드(Barcode) 및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의 스마트 창고 관리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IoT 단말기는
    상기 창고 내의 온도, 습도, 미세먼지, 유해물질, 이산화탄소 농도 및 가스 누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기 환경 데이터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의 스마트 창고 관리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IoT 단말기는
    물품을 사용한 관리자의 신원 데이터, 물품의 사용량, 유효기간 및 보관 현황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기 물품 관리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의 스마트 창고 관리 시스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IoT 단말기는
    상기 물품 창고로부터 입고 또는 출고되는 상기 물품 포장재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물품 포장재에 대한 입출 데이터, 상기 물품 창고의 고유 식별 데이터 및 물품의 성상별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기 물품 관리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의 스마트 창고 관리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는
    상기 관리자가 보유하는 개인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태그를 인식하여 창고을 출입하는 상기 관리자의 신원 데이터를 수집하는 태그 리더기;
    상기 물품 포장재 내의 물질의 질량을 측정하는 전자 저울; 및
    상기 IoT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환경 데이터, 상기 물품 관리 데이터, 상기 태그 리더기로부터 인식된 상기 신원 데이터, 상기 전자 저울로부터 측정된 질량 데이터 및 상기 플랫폼 서비스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관리자로부터 상기 플랫폼 서비스를 위한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IoT 기반의 스마트 창고 관리 시스템.
  10.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창고에 구비되는 다수개의 적재대; 및
    각각의 적재대에 적층된 물품의 중량을 측정하여 창고서버로 전송하는 다수의 중량측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 창고 서버는 물품의 중량을 알고 있는 경우에 물품의 적재 위치에 위치한 중량측정부로부터 측정된 중량을 전송받아 중량이 해당 물품의 중량만큼 증가한 경우에 물품이 해당 위치에 적재된 것으로 판단하는 IoT 기반의 스마트 창고 관리 시스템.
  11. 청구항 10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창고 서버는 출고될 물품의 중량을 알고 있는 경우에 출고될 물품의 적재 위치에 위치한 중량측정부로부터 측정된 중량을 전송받아 중량이 해당 물품의 중량만큼 감소한 경우에 물품이 해당 위치에 출고된 것으로 판단하는 IoT 기반의 스마트 창고 관리 시스템.
  12. 청구항 1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창고 서버는 출고될 물품이 다수개이고 각각의 중량을 알고 있는 경우에 출고될 다수의 물품의 적재 위치에 각각 위치한 다수개의 중량측정부로부터 측정된 각각의 중량을 전송받아 각각의 중량이 해당 물품의 중량만큼 감소한 경우에 다수개의 물품이 해당 위치에서 출고된 것으로 판단하는 IoT 기반의 스마트 창고 관리 시스템.
  13. 청구항 1항에 있어서,
    본체 내에 마련되어 있는 구동원에 의해 주행하면서 청소를 행하도록 구성함에 있어 흡입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가습 기능이 구비된 로봇 청소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로봇 청소기는 상기 본체 내에는 물을 가습하여 실내의 습도를 조절하는 가습 장치; 및
    실내의 다수의 지점의 습도를 파악하여 목표 습도에 도달하지 못한 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가습 장치를 구동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IoT 기반의 스마트 창고 관리 시스템.
  14. 청구항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마트 창고 서버로부터 다수의 습도 측정 센서의 위치가 표시된 창고 실내 구조를 전송받아 다수의 습도 측정 센서로부터 측정된 습도를 전송받아 실내의 다수의 지점의 습도를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의 스마트 창고 관리 시스템.
  15. 청구항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마트 창고 서버로부터 다수의 온도 측정 센서의 위치가 표시된 창고 실내 구조를 전송받아 다수의 온도 측정 센서로부터 측정된 온도를 전송받아 실내의 다수의 지점의 온도를 파악하고 이를 고려하여 창고 실내의 다수의 지점의 목표 습도를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의 스마트 창고 관리 시스템.
KR1020190096935A 2019-08-08 2019-08-08 IoT 기반의 스마트 창고 관리 시스템 KR202100186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6935A KR20210018685A (ko) 2019-08-08 2019-08-08 IoT 기반의 스마트 창고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6935A KR20210018685A (ko) 2019-08-08 2019-08-08 IoT 기반의 스마트 창고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8685A true KR20210018685A (ko) 2021-02-18

Family

ID=74688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6935A KR20210018685A (ko) 2019-08-08 2019-08-08 IoT 기반의 스마트 창고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18685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26925A (zh) * 2021-03-30 2021-06-08 中国建设银行股份有限公司 一种产品监管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3674050A (zh) * 2021-07-05 2021-11-19 亳州市药通信息咨询有限公司 一种基于大数据和物联网的中药材电子商务交易系统
CN114721068A (zh) * 2022-02-24 2022-07-08 广东烟草河源市有限责任公司 一种物流中心气象环境监控系统及方法
DE102021113958A1 (de) 2021-02-09 2022-08-11 Hyundai Mobis Co., Ltd. Fahrzeugbelüftungsvorrichtung mit direkter und indirekter multifunktion
CN116468373A (zh) * 2023-06-20 2023-07-21 华能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物联网的电厂设备仓储管理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7969A (ko) 2004-08-23 2006-02-28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차량 충격 감지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7969A (ko) 2004-08-23 2006-02-28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차량 충격 감지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1113958A1 (de) 2021-02-09 2022-08-11 Hyundai Mobis Co., Ltd. Fahrzeugbelüftungsvorrichtung mit direkter und indirekter multifunktion
CN112926925A (zh) * 2021-03-30 2021-06-08 中国建设银行股份有限公司 一种产品监管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3674050A (zh) * 2021-07-05 2021-11-19 亳州市药通信息咨询有限公司 一种基于大数据和物联网的中药材电子商务交易系统
CN113674050B (zh) * 2021-07-05 2023-08-22 亳州市药通信息咨询有限公司 一种基于大数据和物联网的中药材电子商务交易系统
CN114721068A (zh) * 2022-02-24 2022-07-08 广东烟草河源市有限责任公司 一种物流中心气象环境监控系统及方法
CN116468373A (zh) * 2023-06-20 2023-07-21 华能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物联网的电厂设备仓储管理系统
CN116468373B (zh) * 2023-06-20 2023-09-01 华能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物联网的电厂设备仓储管理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18685A (ko) IoT 기반의 스마트 창고 관리 시스템
CN109635132B (zh) 一种自动化仓库管理方法、系统及终端设备
US2022029167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ed guided vehicle control
CN105279665B (zh) 一种自动化超市系统
CN104978646B (zh) 一种智能配货系统及方法
US7757947B2 (en) R.F.I.D. enabled storage bin and method for tracking inventory
CN103890819B (zh) 用于收集与货运容器相关联的基本和辅助数据的系统和方法
CN106327127A (zh) 一种配电设备物资的仓储管理监控系统
US20120191272A1 (en) Inferential load tracking
US11023851B2 (en) RFID-based inventory tracking system
CN207938018U (zh) 库存管理装置及系统
KR101998384B1 (ko) 스마트 물류시스템
CN103258359A (zh) 使用环境传感器用来运输产品的系统
CA2531849A1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monitoring inventory
KR102632537B1 (ko) 스마트무인스토어시스템을 이용하여 스마트카트에 주문상품을 담는 방법
KR20210112724A (ko) IoT 기반의 스마트 창고 관리 시스템
KR102278724B1 (ko) 배달음식용 포장물품의 재활용 시스템 및 방법
US11281870B2 (en) System and method for stock picking using RFID tags
KR101247945B1 (ko) 유해 물질 관리용 지능형 알에프아이디 약품함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CN213024481U (zh) 多模块无人仓及智能管理系统
CN109934542A (zh) 一种润滑油品仓库智能管理系统
WO2015173820A1 (en) Goods delivery system
US20150206095A1 (en) Garment dispenser assembly
CN108304904A (zh) 受控物的标识生成及其设备、存储装置
CN108681855A (zh) 一种铁路冷链集装器智能管理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