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8629A - 연속 혈당 측정 장치용 신체 부착 유닛의 보조 접착 패치 - Google Patents

연속 혈당 측정 장치용 신체 부착 유닛의 보조 접착 패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8629A
KR20210018629A KR1020190095971A KR20190095971A KR20210018629A KR 20210018629 A KR20210018629 A KR 20210018629A KR 1020190095971 A KR1020190095971 A KR 1020190095971A KR 20190095971 A KR20190095971 A KR 20190095971A KR 20210018629 A KR20210018629 A KR 202100186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patch
release paper
over
body attach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59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32928B1 (ko
Inventor
채경철
최현호
류광열
왕지훈
강영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센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센스
Priority to KR10201900959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2928B1/ko
Priority to US17/631,492 priority patent/US20220273239A1/en
Priority to JP2022503993A priority patent/JP7315779B2/ja
Priority to AU2020326036A priority patent/AU2020326036B2/en
Priority to EP20850149.4A priority patent/EP4011280A4/en
Priority to PCT/KR2020/003707 priority patent/WO2021025259A1/ko
Publication of KR202100186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86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29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29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03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invasive, e.g. introduced into the body by a catheter or needle or using implanted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32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for measuring glucose, e.g. by tissue impedance measur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969Low-profile devices which resemble patches or plasters, e.g. also allowing collection of blood samples for tes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3Means for maintaining contact with the body
    • A61B5/6832Means for maintaining contact with the body using adhesives
    • A61B5/6833Adhesive pat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3Means for maintaining contact with the body
    • A61B5/6832Means for maintaining contact with the body using adhesives
    • A61B5/68335Means for maintaining contact with the body using adhesives including release sheets or li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46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brought in contact with an internal body part, i.e. invasive
    • A61B5/684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brought in contact with an internal body part, i.e. invasive mounted on an invasive device
    • A61B5/6848Needles
    • A61B5/6849Needles in combination with a needle se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a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Hematolog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속 혈당 측정 장치용 신체 부착 유닛의 보조 접착 패치에 관한 것으로, 신체 부착 유닛의 접착 테이프를 감싸며 피부에 접착되는 별도의 오버 패치를 구비함으로써, 신체 부착 유닛의 접착 테이프 크기를 최소로 유지하고 이 상태에서 신체 부착 유닛을 피부에 추가적으로 접착 고정시킬 수 있어 접착력을 강화시킬 수 있으며, 오버 패치의 접착면에 부착된 이형지를 복수개로 분리 형성하고, 각 이형지의 보호 영역이 오버 패치의 접착 영역 및 가압 영역 일부를 포함하도록 함으로써, 이형지 분리 과정에서 오버 패치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오버 패치의 접착 작업을 편리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연속 혈당 측정 장치용 신체 부착 유닛의 보조 접착 패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연속 혈당 측정 장치용 신체 부착 유닛의 보조 접착 패치{OVERPAD OF ON-BODY UNIT FOR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SYSTEM}
본 발명은 연속 혈당 측정 장치용 신체 부착 유닛의 보조 접착 패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신체 부착 유닛의 접착 테이프를 감싸며 피부에 접착되는 별도의 오버 패치를 구비함으로써, 신체 부착 유닛의 접착 테이프 크기를 최소로 유지하고 이 상태에서 신체 부착 유닛을 피부에 추가적으로 접착 고정시킬 수 있어 접착력을 강화시킬 수 있으며, 오버 패치의 접착면에 부착된 이형지를 복수개로 분리 형성하고, 각 이형지의 보호 영역이 오버 패치의 접착 영역 및 가압 영역 일부를 포함하도록 함으로써, 이형지 분리 과정에서 오버 패치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오버 패치의 접착 작업을 편리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연속 혈당 측정 장치용 신체 부착 유닛의 보조 접착 패치에 관한 것이다.
당뇨병은 현대인에게 많이 발생되는 만성질환으로 국내의 경우 전체 인구의 5%에 해당하는 200만 명 이상에 이르고 있다.
당뇨병은 비만, 스트레스, 잘못된 식습관, 선천적 유전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췌장에서 만들어지는 인슐린이 절대적으로 부족하거나 상대적으로 부족하여 혈액에서 당에 대한 균형을 바로 잡아주지 못함으로써 혈액 안에 당 성분이 절대적으로 많아지게 되어 발병한다.
혈액 중에는 보통 일정 농도의 포도당이 함유되어 있으며 조직 세포는 여기에서 에너지를 얻고 있다.
그러나, 포도당이 필요 이상으로 증가하게 되면 간장이나 근육 또는 지방세포 등에 적절히 저장되지 못하고 혈액 속에 축적되며, 이로 인해 당뇨병 환자는 정상인보다 훨씬 높은 혈당이 유지되며, 과다한 혈당은 조직을 그대로 통과하여 소변으로 배출됨에 따라 신체의 각 조직에 절대적으로 필요한 당분은 부족해져서 신체 각 조직에 이상을 불러일으키게 된다.
당뇨병은 초기에는 거의 자각 증상이 없는 것이 특징인데, 병이 진행되면 당뇨병 특유의 다음, 다식, 다뇨, 체중감소, 전신 권태, 피부 가려움증, 손과 발의 상처가 낫지 않고 오래가는 경우 등의 특유의 증상이 나타나며, 병이 한층 더 진행되면 시력장애, 고혈압, 신장병, 중풍, 치주질환, 근육 경련 및 신경통, 괴저 등으로 진전되는 합병증이 나타난다.
이러한 당뇨병을 진단하고 합병증으로 진전되지 않도록 관리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혈당 측정과 치료가 병행되어야 한다.
당뇨병 환자 및 당뇨병으로 진전되지 않았으나 혈액 내에 정상보다 많은 당이 검출되는 사람들을 위하여 많은 의료기기 제조업체에서는 가정에서 혈당을 측정할 수 있도록 다양한 종류의 혈당 측정기를 제공하고 있다.
혈당 측정기는 사용자가 손가락 끝으로부터 채혈하여 혈당 측정을 1회 단위로 수행하는 방식과, 사용자의 배와 팔 등에 부착하여 혈당 측정을 연속적으로 수행하는 방식이 있다.
당뇨병 환자의 경우, 일반적으로 고혈당과 저혈당 상태를 오가게 되는데, 응급 상황은 저혈당 상태에서 찾아오고, 의식을 잃거나 당분 공급 없이 저혈당 상태가 오랫동안 지속되면 목숨을 잃을 수도 있다. 따라서, 저혈당 상태의 즉각적인 발견은 당뇨병 환자에게 매우 중요하나 간헐적으로 혈당을 측정하는 채혈식 혈당 측정기로는 이를 정확하게 파악하는데 한계가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인체 내에 삽입되어 수분 간격으로 혈당치를 측정하는 연속 혈당 측정 장치(CGMS: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System)가 개발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당뇨병 환자의 관리와 응급 상황에 대한 대처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채혈식 혈당 측정기는 당뇨병 환자가 자신의 혈당을 검사하기 위해 바늘로 통증에 민감한 손끝을 찔러 혈액을 채취하는 방식으로 혈당 측정이 이루어지므로, 채혈 과정에서 고통과 거부감을 유발하게 된다. 이러한 고통과 거부감을 최소화하기 위해 통증이 상대적으로 덜한 배와 팔 등의 부위에 바늘 형태의 센서를 삽입한 후 연속적으로 혈당을 측정하는 연속 혈당 측정 시스템에 대한 연구 개발이 수행되고 있으며, 더 나아가서는 혈액을 채취하지 않고 혈당을 측정하는 비침습 혈당 측정 시스템(Non-Invasive Glucose Monitoring System)에 대한 연구 개발 또한 활발하게 진행되어 왔다.
비침습 혈당 측정 시스템은 지난 과거 40여년간 혈액을 채취하지 않고 혈당을 측정하기 위해 광학적인 방법, 전기적인 방법, 호기에서 측정하는 등의 다양한 방식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시그너스사(Cygnus, Redwoo City, Ca, USA)는 역이온 삼투요법을 이용하여 손목시계 형태의 Glucowatch G2 Biographer 를 개발하여 출시하였으나, 피부 자극 문제와 검정에 대한 문제, 발한시 기기가 멈추는 문제, 고혈당에 비해 저혈당을 잘 인지하지 못하는 문제 등으로 인해 2007년 판매가 중단되었다. 현재까지 많은 무채혈 혈당 측정 기술이 등장했고 보고되고 있지만 정확성이 떨어져 실용적으로 사용되지는 못하고 있다.
연속 혈당 측정 장치는 신체의 피부에 부착되어 체액을 추출하여 혈당을 측정하는 센서 모듈과, 센서 모듈에 의해 측정된 혈당 수치를 단말기에 전송하는 트랜스미터와, 전송받은 혈당 수치를 출력하는 단말기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센서 모듈에는 피하지방에 삽입되어 세포 간질액을 추출하도록 바늘 모양으로 형성된 센서 프로브 등이 구비되며, 센서 모듈을 신체에 부착하기 위해 별도의 어플리케이터가 사용된다.
이러한 연속 혈당 측정 장치는 제조사마다 매우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고 있으며, 그 사용방식 또한 다양하게 이루어진다. 그러나, 대부분의 연속 혈당 측정기들은 1회용 센서 모듈을 어플리케이터를 통해 신체에 부착하는 방식으로 제작 유통되고 있으며, 센서 모듈의 외부 하우징에는 센서 모듈을 신체에 부착시킬 수 있도록 바닥면에 접착 테이프가 부착된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센서 모듈이 어플리케이터를 통해 신체 피부에 삽입되면, 이 과정에서 센서 모듈은 접착 테이프에 의해 신체 피부에 부착된 상태로 유지되며, 이 상태로 연속적으로 혈당을 측정하게 된다.
센서 모듈의 피부에 대한 접착력 강화를 위해 접착 테이프는 센서 모듈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피부에 접착되는데, 접착 테이프의 크기를 확장시키게 되면, 이에 따라 어플리케이터의 크기 또한 확장되어야 하므로, 사용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제조 비용이 증가하고, 아울러 설계 및 디자인 상 제약이 따르는 등의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회피하기 위해 접착 테이프의 크기를 센서 모듈의 하우징 바닥면에만 형성하게 되면, 접착력이 약해 장시간 사용중 센서 모듈이 신체 피부로부터 분리 이탈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국내공개특허 제10-2018-0132552호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신체 부착 유닛의 접착 테이프를 감싸며 피부에 접착되는 별도의 오버 패치를 구비함으로써, 신체 부착 유닛의 접착 테이프 크기를 최소로 유지하고 이 상태에서 신체 부착 유닛을 피부에 추가적으로 접착 고정시킬 수 있어 접착력을 강화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어플리케이터의 크기를 확장할 필요가 없어 제작 비용을 절감하고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키며 다양한 설계 및 디자인을 적용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연속 혈당 측정 장치용 신체 부착 유닛의 보조 접착 패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오버 패치의 접착면에 부착된 이형지를 복수개로 분리 형성하고, 각 이형지의 보호 영역이 오버 패치의 접착 영역 및 가압 영역 일부를 포함하도록 함으로써, 이형지 분리 과정에서 오버 패치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오버 패치의 접착 작업을 편리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연속 혈당 측정 장치용 신체 부착 유닛의 보조 접착 패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연속 혈당 측정을 위해 신체에 삽입되는 센서 부재가 내부에 수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에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의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외부 돌출되게 형성되는 접착 테이프가 구비된 연속 혈당 측정용 신체 부착 유닛을 피부에 추가적으로 접착 고정시킬 수 있는 신체 부착 유닛의 보조 접착 패치로서, 일면에 접착면이 형성되고 중심 영역에는 상기 하우징이 관통할 수 있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접착면에는 상기 관통홀 외측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가장자리 둘레로부터 외부 돌출된 영역의 상기 접착 테이프를 가압하며 상기 접착 테이프와 접착할 수 있는 가압 영역과, 상기 가압 영역의 외측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피부에 접착할 수 있는 접착 영역이 형성되는 오버 패치; 및 상기 오버 패치의 접착면을 보호하도록 사용자에 의해 분리 제거 가능한 형태로 상기 오버 패치의 접착면에 부착되는 이형지를 포함하고, 상기 이형지는 상기 오버 패치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분리 제거될 수 있도록 복수개로 절개되어 분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부착 유닛의 보조 접착 패치를 제공한다.
이때, 복수개로 분리 형성된 이형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오버 패치의 상기 가압 영역의 일부 및 상기 접착 영역의 일부를 동시에 보호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오버 패치의 접착면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형지는 위치 고정 이형지, 제 1 접착 이형지 및 제 2 접착 이형지 3개로 절개되어 분리 형성되고, 상기 위치 고정 이형지는, 상기 오버 패치의 가압 영역 전체를 보호하는 가압 영역 보호부와, 상기 가압 영역 보호부의 일측에 외부 돌출되는 형태로 상기 접착 영역 일부를 보호하는 접착 영역 보호부를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 영역 보호부는 상기 오버 패치의 가압 영역을 따라 링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접착 영역 보호부는 상기 가압 영역 보호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일측과 타측에 서로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접착 이형지 및 제 2 접착 이형지는 상기 위치 고정 이형지의 가압 영역 보호부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오버 패치의 접착 영역의 나머지 일부를 각각 보호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접착 이형지 및 제 2 접착 이형지는 상기 위치 고정 이형지에 형성된 2개의 접착 영역 보호부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게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 영역 보호부의 상기 가압 영역 보호부와의 연결 부위는 곡선 절개 라인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1 접착 이형지 및 제 2 접착 이형지는 상기 곡선 절개 라인을 따라 상기 접착 영역 보호부와 분리 절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형지는 제 1 분리 이형지 및 제 2 분리 이형지 2개로 절개되어 분리 형성되고, 상기 제 1 분리 이형지 및 제 2 분리 이형지는 상기 가압 영역 일부 및 접착 영역 일부를 모두 보호하도록 각각 형성되며 상호 절개 라인을 따라 상기 오버 패치의 접착면 전체 영역을 서로 이등분하여 보호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분리 이형지 및 제 2 분리 이형지에는 상기 오버 패치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손잡이부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분리 이형지 및 제 2 분리 이형지의 손잡이부는 상호 절개 라인과 인접한 부위에 각각 상호 대향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신체 부착 유닛의 접착 테이프를 감싸며 피부에 접착되는 별도의 오버 패치를 구비함으로써, 신체 부착 유닛의 접착 테이프 크기를 최소로 유지하고 이 상태에서 신체 부착 유닛을 피부에 추가적으로 접착 고정시킬 수 있어 접착력을 강화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어플리케이터의 크기를 확장할 필요가 없어 제작 비용을 절감하고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키며 다양한 설계 및 디자인을 적용 가능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오버 패치의 접착면에 부착된 이형지를 복수개로 분리 형성하고, 각 이형지의 보호 영역이 오버 패치의 접착 영역 및 가압 영역 일부를 포함하도록 함으로써, 이형지 분리 과정에서 오버 패치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오버 패치의 접착 작업을 편리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 혈당 측정 장치의 기본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 혈당 측정 장치의 어플리케이터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 혈당 측정 장치의 신체 부착 유닛에 대한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체 부착 유닛의 보조 접착 패치에 대한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체 부착 유닛의 보조 접착 패치의 부착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접착 패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보조 접착 패치의 사용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용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접착 패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보조 접착 패치의 사용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 혈당 측정 장치의 기본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 혈당 측정 장치의 어플리케이터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 혈당 측정 장치의 신체 부착 유닛에 대한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 혈당 측정 장치는 연속적 혈당 측정을 위해 신체에 삽입되는 센서 부재(520)를 구비하는 신체 부착 유닛(20)을 어플리케이터(10)를 통해 신체에 부착시키도록 구성되며, 어플리케이터(10)를 작동시켜 신체 부착 유닛(20)을 신체에 삽입 부착시켜 신체로부터 연속적으로 혈당을 측정하고, 신체 부착 유닛(20)을 통해 주기적으로 측정되는 혈당 측정 정보는 별도의 단말기(30)로 전송되어 출력되도록 구성된다.
신체 부착 유닛(20)이 어플리케이터(10) 내부에 조립되어 하나의 단위 제품으로 제작되며, 연속 혈당 측정 장치의 사용시 사용자의 부가 작업이 최소화되는 형태로 사용 방식이 매우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신체 부착 유닛(20)은, 체액을 추출하여 주기적으로 혈당을 측정할 수 있도록 신체에 부착 가능하게 형성되는데, 혈당 측정 결과를 외부 단말기(30) 등의 외부 기기에 전송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신체 부착 유닛(20)에는, 일단부가 신체에 삽입되는 센서 부재(520)와, 외부 단말기(30)와 무선 통신할 수 있도록 무선 통신칩이 내부에 배치되어 있어 별도의 트랜스미터를 추가 결합할 필요도 없이 사용 가능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터(10)는 신체 부착 유닛(20)이 내부에 결합 고정되도록 형성되며, 사용자의 가압 버튼(110)에 대한 가압 조작에 의해 신체 부착 유닛(20)을 외부 토출하도록 작동한다.
이때, 신체 부착 유닛(20)은 어플리케이터(10)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조립 제작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어플리케이터(10)의 작동에 따라 외부 토출 방향으로 이동하여 신체에 부착되도록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어플리케이터 조립체는 제작 단계에서 신체 부착 유닛(20)이 어플리케이터(10)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어플리케이터(10)의 작동만으로 신체 부착 유닛(20)이 피부에 부착되도록 조립 제작되고, 이 상태로 사용자에게 공급되므로, 사용자는 신체 부착 유닛(20)을 피부에 부착하기 위한 별도의 부가 작업 없이 단순히 어플리케이터(10)를 작동시키는 작업만으로 신체 부착 유닛(20)을 피부에 부착시킬 수 있다. 특히, 신체 부착 유닛(20)에 별도의 무선 통신칩이 구비되어 있어 별도의 트랜스미터를 결합할 필요도 없어 더욱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종래의 일반적인 연속 혈당 측정 장치는 별도로 포장된 신체 부착 유닛을 포장을 벗겨낸 후 어플리케이터에 정확히 삽입하고, 삽입한 이후 어플리케이터를 작동시켜 신체 부착 유닛을 피부에 부착시키게 되는데, 신체 부착 유닛을 어플리케이터에 정확하게 삽입시키는 작업이 번거롭고 어려울 뿐만 아니라 어린아이나 노약자 분들의 경우 이러한 작업시 신체 부착 유닛을 오염시키는 등의 이유로 혈당 측정 정확도를 저하시키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작 단계에서 신체 부착 유닛(20)을 어플리케이터(10)에 삽입한 상태로 제작 유통함으로써, 사용자가 신체 부착 유닛(20)을 벗겨내 어플리케이터(10)에 삽입하는 과정 등이 생략되고, 단순히 어플리케이터(10)를 조작하는 것만으로 신체 부착 유닛(20)을 피부에 부착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성이 획기적으로 향상되며, 특히, 신체 부착 유닛(20)의 오염 등을 방지할 수 있어 혈당 측정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어플리케이터(10)에는 신체 부착 유닛(20)이 어플리케이터(10)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외부 노출이 차단되도록 별도의 보호캡(200)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보호캡(200)을 분리한 이후에만 어플리케이터(10)를 작동시켜 신체 부착 유닛(20)을 보호캡(200)을 제거한 쪽으로 외부 토출시켜 신체에 부착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신체 부착 유닛(20)의 신체 접촉면에는 신체 부착 유닛(20)이 신체에 부착될 수 있도록 접착 테이프(560)가 부착되고, 접착 테이프(560)의 신체 접촉면에는 접착 테이프(560) 보호를 위해 이형지(미도시)가 부착되는데, 접착 테이프(560)의 이형지는 보호캡(200)을 어플리케이터(10)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에서 접착 테이프(560)로부터 분리 제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접착 테이프(560)의 이형지는 일측이 보호캡(200)에 접착되어 있도록 구성될 수 있고, 따라서, 사용자가 어플리케이터(10)로부터 보호캡(200)을 분리하면, 보호캡(200)과 함께 접착 테이프(560)로부터 분리 제거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보호캡(200)을 분리하게 되면, 접착 테이프(560)의 이형지가 분리 제거되므로, 이 상태에서 어플리케이터(10)를 작동시켜 신체 부착 유닛(20)을 신체에 부착시킬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터(10)는 신체 부착 유닛(20)이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신체 부착 유닛(20)을 결합 고정하고 신체 부착 유닛(20)이 외부 토출 이동한 상태에서는 신체 부착 유닛(20)에 대한 결합 고정 상태를 해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신체 부착 유닛(20)이 어플리케이터(10)의 내부에 삽입 조립된 상태에서는 신체 부착 유닛(20)은 고정된 상태로 유지되고, 어플리케이터(10)를 작동시켜 신체 부착 유닛(20)을 외부 토출하여 피부에 부착되도록 한 경우에는 어플리케이터(10)와 신체 부착 유닛(20)의 결합 고정 상태가 해제되므로, 이 상태에서 어플리케이터(10)를 분리하면 신체 부착 유닛(20)과 분리되고, 피부에는 신체 부착 유닛(20)만 부착된 상태로 남아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체 부착 유닛(20)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별도의 스위치 수단을 통해 센서 부재(520)와 무선 통신칩이 작동 개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어플리케이터(10)를 통해 신체 부착 유닛(20)을 신체에 삽입 부착한 이후, 사용자는 신체 부착 유닛(20)에 구비된 스위치 수단 등을 통해 신체 부착 유닛(20)이 작동 개시되도록 할 수 있고, 이러한 작동 개시 시점부터 센서 부재(520) 및 무선 통신칩이 작동하여 신체의 혈당을 측정하고 측정 결과를 외부 단말기(3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스위치 수단은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신체 부착 유닛(20)은, 하우징(510) 내부에 센서 부재(520)가 배치되며, 센서 부재(520)의 일단부가 하우징(510) 바닥면으로부터 외부 돌출되어 신체에 삽입 부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센서 부재(520)는 신체에 삽입되는 센서 프로브부와, 하우징(510) 내부에 배치되는 센서 바디부로 구성되는데, 센서 프로브부와 센서 바디부는 절곡된 형태로 각각 센서 부재(520)의 일단부와 타단부를 이룬다.
이때, 센서 부재(520)의 신체 삽입 과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별도의 삽입 가이드 니들(550)이 하우징(5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삽입 가이드 니들(550)은 센서 부재(520)의 일단부가 신체에 안정적으로 삽입되도록 센서 부재(520)의 일단부를 감싸며 센서 부재(520)와 함께 신체에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삽입 가이드 니들(55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체 부착 유닛(20)의 하우징(510)을 상하 관통하는 방향으로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며, 센서 부재(520)의 외부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단부에는 니들 헤드(551)가 형성된다. 이러한 삽입 가이드 니들(550)은 신체 부착 유닛(20)이 어플리케이터(10)에 의해 외부 토출 방향으로 이동하면, 센서 부재(520)보다 먼저 신체에 삽입되며 센서 부재(520)가 안정적으로 피부에 삽입되도록 보조한다. 삽입 가이드 니들(550)은 바늘 헤드(551)를 통해 어플리케이터(10)의 바늘 인출 바디(미도시)와 결합되며, 신체 부착 유닛(20)이 어플리케이터(10)의 작동에 의해 신체에 삽입 부착된 이후에는 어플리케이터(10)의 바늘 인출 바디에 의해 신체로부터 인출 제거되도록 형성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신체 부착 유닛(20)의 하우징(510) 바닥면에는 신체 부착 유닛(20)을 신체 피부에 부착시킬 수 있도록 접착 테이프(560)가 부착되는데, 접착 테이프(560)는 하우징(510)의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외부 돌출되게 형성된다. 배경 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접착 테이프(560)의 접착력 강화를 위해 접착 테이프(560)의 크기를 확장하면, 어플리케이터(10)의 크기를 확장시켜야 하며, 이는 제작 비용의 증가 및 사용 불편함 등을 야기할 수 있고, 설계 및 디자인 측면에서 불리하게 작용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 혈당 측정 장치는 접착 테이프(560)의 크기를 최소로 유지하고 이 상태에서 신체 부착 유닛(20)을 피부에 추가적으로 접착 고정시킬 수 있는 별도의 보조 접착 패치(5601)를 구비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접착 패치(5601)에 대한 세부 구성에 대해 살펴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체 부착 유닛의 보조 접착 패치에 대한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체 부착 유닛의 보조 접착 패치의 부착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체 부착 유닛의 보조 접착 패치(5601)는 오버 패치(5610)와, 오버 패치(5610)의 접착면에 부착되는 이형지(56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오버 패치(5610)는 일면에 접착면이 형성되고 중심 영역에는 하우징(510)이 관통할 수 있는 관통홀(5611)이 형성된다. 접착면에는 관통홀(5611) 외측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하우징(510)의 가장자리 둘레로부터 외부 돌출된 영역의 접착 테이프(560)를 가압하며 접착 테이프(560)와 접착할 수 있는 가압 영역(5612)과, 가압 영역(5612)의 외측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피부에 접착할 수 있는 접착 영역(5613)이 형성된다.
이형지(5620)는 오버 패치(5610)의 접착면을 보호하도록 사용자에 의해 분리 제거 가능한 형태로 오버 패치(5610)의 접착면에 부착된다.
이때, 이형지(5620)는 오버 패치(5610)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분리 제거될 수 있도록 복수개로 절개되어 분리 형성되는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6 내지 도 9를 중심으로 후술한다.
이러한 오버 패치(561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510)의 가장자리 둘레로부터 외부 돌출된 접착 테이프(560) 영역과 가압 접착되는 가압 영역(5612)과, 가압 영역(5612)의 외측 영역에 형성되어 신체 피부에 접착할 수 있는 접착 영역(5613)이 형성됨으로써, 신체 부착 유닛(20)을 추가적으로 피부에 접착 고정시킬 수 있다.
즉, 오버 패치(5610)의 가압 영역(5612)을 통해 하우징(510) 바닥면의 접착 테이프(560)와 접착한 상태로 접착 영역(5613)을 통해 접착 면적을 증가시켜 피부에 접착되므로, 신체 부착 유닛(20)을 그 외부에서 감싸는 형태로 한번 더 신체에 접착 고정시키게 된다.
이러한 오버 패치(5610)는 사용자가 신체 부착 유닛(20)을 어플리케이터(10)를 통해 신체에 부착시킨 이후, 신체에 부착된 신체 부착 유닛(20)의 외부 둘레를 감싸도록 접착시키는 형태로 별도로 사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 혈당 측정 장치는 접착 테이프(560) 및 어플리케이터(10)의 크기를 확장하지 않더라도 별도의 오버 패치(5610)를 통해 신체 부착 유닛(20)의 접착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접착 패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보조 접착 패치의 사용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버 패치(5610)의 접착면에는 이형지(5620)가 부착되는데, 이형지(5620)는 오버 패치(5610)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분리 제거될 수 있도록 복수개로 절개되어 분리 형성된다.
이때, 복수개로 분리 형성된 이형지(56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오버 패치(5610)의 가압 영역(5612)의 일부 및 접착 영역(5613)의 일부를 동시에 보호하도록 형성되어 오버 패치(5610)의 접착면에 부착된다.
즉, 복수개로 분리 형성된 이형지(56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분리 제거된 상태에서, 오버 패치(5610)의 가압 영역(5612)의 일부 및 접착 영역(5613)의 일부가 동시에 노출되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면, 이형지(56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 고정 이형지(5621), 제 1 접착 이형지(5622) 및 제 2 접착 이형지(5623) 3개로 절개되어 분리 형성될 수 있다. 이들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개 라인(CL)을 따라 절개되는 형태로 분리 형성된다.
위치 고정 이형지(5621)는, 오버 패치(5610)의 가압 영역(5612) 전체를 보호하는 가압 영역 보호부(5621a)와, 가압 영역 보호부(5621a)의 일측에 외부 돌출되는 형태로 접착 영역(5613) 일부를 보호하는 접착 영역 보호부(5621b)를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가압 영역 보호부(5621a)는 오버 패치(5610)의 가압 영역(5612)을 따라 링 형태로 형성되고, 접착 영역 보호부(5621b)는 가압 영역 보호부(5621a)의 중심을 기준으로 일측과 타측에 서로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 1 접착 이형지(5622) 및 제 2 접착 이형지(5623)는 위치 고정 이형지(5621)의 가압 영역 보호부(5621a)의 외측에 배치되어 오버 패치(5610)의 접착 영역(5613)의 나머지 일부를 각각 보호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제 1 접착 이형지(5622) 및 제 2 접착 이형지(5623)는 위치 고정 이형지(5621)에 형성된 2개의 접착 영역 보호부(5621b)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게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접착 영역 보호부(5621b)의 가압 영역 보호부(5621a)와의 연결 부위는 곡선 절개 라인(CL1)을 갖도록 형성되고, 제 1 접착 이형지(5622) 및 제 2 접착 이형지(5623)는 곡선 절개 라인(CL1)을 따라 접착 영역 보호부(5621a)와 분리 절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위치 고정 이형지(5621)를 오버 패치(5610)로부터 분리 제거하고, 이 상태로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버 패치(5610)를 하우징(510)의 접착 테이프(560)를 감싸도록 부착시킨다. 이와 같이 부착시키게 되면, 오버 패치(5610)는 위치 고정 이형지(5621)의 제거 상태이므로, 접착면의 일부(가압 영역 보호부(5621a)에 대응되는 일부 영역)가 접착 테이프(560)를 모두 감싼 상태로 접착면의 일부(접착 영역 보호부(5621b)에 대응되는 일부 영역)가 신체 피부에 접착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는 오버 패치(5610)의 접착면 일부가 신체 피부에 접착되므로, 접착 위치가 고정된다.
이후, 도 7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에 위치한 제 1 접착 이형지(5622) 및 제 2 접착 이형지(5623)를 분리 제거하여 오버 패치(5610)의 나머지 접착면을 노출시켜 피부에 접착시킴으로써, 오버 패치(5610)를 신체 피부에 완전하게 접착시킬 수 있다.
이러한 이형지(5620)의 단계적 분리 제거를 통해 오버 패치(5610)를 하우징(510)의 접착 테이프(560)를 감싼 상태로 위치 고정시켜 편리하게 신체 피부에 접착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 접착 이형지(5622) 및 제 2 접착 이형지(5623)는 곡선 절개 라인(CL1)을 따라 위치 고정 이형지(5621)의 접착 영역 보호부(5621a)와 분리 절개됨으로써,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 고정 이형지(5621)가 분리 제거된 상태로 오버 패치(5610)가 피부에 부착됨에 따라 오버 패치(5610)에 남아있는 제 1 접착 이형지(5622) 및 제 2 접착 이형지(5623)의 날카로운 모서리 부분에 의해 피부가 찔리는 등의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피부 통증 및 불편함 없이 편리하고 용이하게 오버 패치(5610) 부착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접착 패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보조 접착 패치의 사용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접착 패치(5601)의 이형지(562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분리 이형지(5624) 및 제 2 분리 이형지(5625) 2개로 절개 라인(CL)을 따라 절개되어 분리 형성될 수 있다.
제 1 분리 이형지(5624) 및 제 2 분리 이형지(5625)는 오버 패치(5610)의 가압 영역(5612) 일부 및 접착 영역(5613) 일부를 모두 보호하도록 각각 형성되며, 상호 절개 라인(CL)을 따라 오버 패치(5610)의 접착면 전체 영역을 서로 이등분하여 보호하도록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 1 분리 이형지(5624) 및 제 2 분리 이형지(5625)에는 오버 패치(561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손잡이부(5626)가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손잡이부(5626)는 상호 절개 라인(CL)과 인접한 부위에 각각 상호 대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오버 패치(5610)를 이형지(5620)가 부착된 상태로 하우징(510)의 접착 테이프(560)를 감싸도록 배치시키고, 이 상태에서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분리 이형지(5624)를 손잡이부(5626)를 잡아 분리 제거한다. 이와 같이 제 1 분리 이형지(5624)가 분리 제거되면, 제 1 분리 이형지(5624)의 분리 제거에 의해 노출되는 오버 패치(5610)의 가압 영역(5612) 및 접착 영역(5613)에 의해 하우징(510)의 접착 테이프(560)의 일부 영역을 감싼 상태로 오버 패치(5610)가 피부에 부착된다. 이후, 제 2 분리 이형지(5625)를 손잡이부(5626)를 잡아 분리 제거하면, 오버 패치(5610)의 나머지 가압 영역(5612) 및 접착 영역(5613)이 노출되어 하우징(510)의 접착 테이프(560)의 나머지 영역을 감싼 상태로 오버 패치(5610)가 피부에 부착 완료된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보조 접착 패치(5601)를 하우징(510)의 접착 테이프(560)를 감싸는 형태로 편리하고 용이하게 추가적으로 피부에 접착 고정시킬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어플리케이터
20: 신체 부착 유닛
510: 하우징
520: 센서 부재
550: 삽입 가이드 니들
560: 접착 테이프
5601: 보조 접착 패치
5610: 오버 패치
5611: 관통홀
5612: 가압 영역
5613: 접착 영역
5620: 이형지
5621: 위치 고정 이형지
5621a: 가압 영역 보호부
5621b: 접착 영역 보호부
5622: 제 1 접착 이형지
5623: 제 2 접착 이형지
5624: 제 1 분리 이형지
5625: 제 2 분리 이형지
5626: 손잡이부

Claims (10)

  1. 연속 혈당 측정을 위해 신체에 삽입되는 센서 부재가 내부에 수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에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의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외부 돌출되게 형성되는 접착 테이프가 구비된 연속 혈당 측정용 신체 부착 유닛을 피부에 추가적으로 접착 고정시킬 수 있는 신체 부착 유닛의 보조 접착 패치로서,
    일면에 접착면이 형성되고 중심 영역에는 상기 하우징이 관통할 수 있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접착면에는 상기 관통홀 외측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가장자리 둘레로부터 외부 돌출된 영역의 상기 접착 테이프를 가압하며 상기 접착 테이프와 접착할 수 있는 가압 영역과, 상기 가압 영역의 외측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피부에 접착할 수 있는 접착 영역이 형성되는 오버 패치; 및
    상기 오버 패치의 접착면을 보호하도록 사용자에 의해 분리 제거 가능한 형태로 상기 오버 패치의 접착면에 부착되는 이형지
    를 포함하고, 상기 이형지는 상기 오버 패치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분리 제거될 수 있도록 복수개로 절개되어 분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부착 유닛의 보조 접착 패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복수개로 분리 형성된 이형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오버 패치의 상기 가압 영역의 일부 및 상기 접착 영역의 일부를 동시에 보호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오버 패치의 접착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부착 유닛의 보조 접착 패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지는
    위치 고정 이형지, 제 1 접착 이형지 및 제 2 접착 이형지 3개로 절개되어 분리 형성되고,
    상기 위치 고정 이형지는, 상기 오버 패치의 가압 영역 전체를 보호하는 가압 영역 보호부와, 상기 가압 영역 보호부의 일측에 외부 돌출되는 형태로 상기 접착 영역 일부를 보호하는 접착 영역 보호부를 포함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부착 유닛의 보조 접착 패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영역 보호부는 상기 오버 패치의 가압 영역을 따라 링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접착 영역 보호부는 상기 가압 영역 보호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일측과 타측에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부착 유닛의 보조 접착 패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착 이형지 및 제 2 접착 이형지는 상기 위치 고정 이형지의 가압 영역 보호부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오버 패치의 접착 영역의 나머지 일부를 각각 보호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부착 유닛의 보조 접착 패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착 이형지 및 제 2 접착 이형지는 상기 위치 고정 이형지에 형성된 2개의 접착 영역 보호부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게 이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부착 유닛의 보조 접착 패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영역 보호부의 상기 가압 영역 보호부와의 연결 부위는 곡선 절개 라인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1 접착 이형지 및 제 2 접착 이형지는 상기 곡선 절개 라인을 따라 상기 접착 영역 보호부와 분리 절개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부착 유닛의 보조 접착 패치.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지는 제 1 분리 이형지 및 제 2 분리 이형지 2개로 절개되어 분리 형성되고,
    상기 제 1 분리 이형지 및 제 2 분리 이형지는 상기 가압 영역 일부 및 접착 영역 일부를 모두 보호하도록 각각 형성되며 상호 절개 라인을 따라 상기 오버 패치의 접착면 전체 영역을 서로 이등분하여 보호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부착 유닛의 보조 접착 패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분리 이형지 및 제 2 분리 이형지에는 상기 오버 패치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손잡이부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부착 유닛의 보조 접착 패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분리 이형지 및 제 2 분리 이형지의 손잡이부는 상호 절개 라인과 인접한 부위에 각각 상호 대향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부착 유닛의 보조 접착 패치.
KR1020190095971A 2019-08-07 2019-08-07 연속 혈당 측정 장치용 신체 부착 유닛의 보조 접착 패치 KR1023329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5971A KR102332928B1 (ko) 2019-08-07 2019-08-07 연속 혈당 측정 장치용 신체 부착 유닛의 보조 접착 패치
US17/631,492 US20220273239A1 (en) 2019-08-07 2020-03-18 Auxiliary adhesive patch of body attachable unit for continuous blood glucose monitoring device
JP2022503993A JP7315779B2 (ja) 2019-08-07 2020-03-18 連続血糖測定装置用身体付着ユニットの補助接着パッチ
AU2020326036A AU2020326036B2 (en) 2019-08-07 2020-03-18 Auxiliary adhesive patch of body attachment unit for continuous blood glucose monitoring device
EP20850149.4A EP4011280A4 (en) 2019-08-07 2020-03-18 AUXILIARY ADHESIVE PATCH OF BODY ATTACHMENT UNIT FOR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DEVICE
PCT/KR2020/003707 WO2021025259A1 (ko) 2019-08-07 2020-03-18 연속 혈당 측정 장치용 신체 부착 유닛의 보조 접착 패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5971A KR102332928B1 (ko) 2019-08-07 2019-08-07 연속 혈당 측정 장치용 신체 부착 유닛의 보조 접착 패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8629A true KR20210018629A (ko) 2021-02-18
KR102332928B1 KR102332928B1 (ko) 2021-12-01

Family

ID=74503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5971A KR102332928B1 (ko) 2019-08-07 2019-08-07 연속 혈당 측정 장치용 신체 부착 유닛의 보조 접착 패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273239A1 (ko)
EP (1) EP4011280A4 (ko)
JP (1) JP7315779B2 (ko)
KR (1) KR102332928B1 (ko)
AU (1) AU2020326036B2 (ko)
WO (1) WO2021025259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50242A1 (ko) * 2021-05-24 2022-12-01 주식회사 아이센스 신체 부착 디바이스용 접착 테이프
WO2023277267A1 (ko) * 2021-06-29 2023-01-05 주식회사 아이센스 경피성 센서용 어플리케이터 및 어플리케이터 조립체
KR20230021402A (ko) * 2021-08-05 2023-02-14 주식회사 아이센스 경피성 센서용 어플리케이터 및 어플리케이터 조립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06234A (ko) * 2010-03-22 2011-09-28 이미영 피부 삽입형 생체신호 측정용 전극
JP2014147837A (ja) * 2012-06-27 2014-08-21 Kosumedei Seiyaku Kk マイクロニードルパッチの保護離型シート
KR20180121487A (ko) * 2016-03-02 2018-11-07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
KR20180132552A (ko) 2017-06-02 2018-12-12 주식회사 아이센스 연속 혈당 측정기용 센서 어플리케이터 조립체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03016B2 (ja) * 2012-06-27 2016-04-13 コスメディ製薬株式会社 マイクロニードルパッチの保護離型シート
US11219413B2 (en) * 2014-08-26 2022-01-11 Dexcom,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ecuring a continuous analyte sensor to a host
KR200481185Y1 (ko) * 2014-08-29 2016-08-26 에버레이드 주식회사 오염방지기능을 갖는 일회용 의료밴드
KR20170027646A (ko) * 2015-09-02 2017-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부착 패드 및 그를 구비하는 생체 정보 측정 장치
DK3426417T3 (da) * 2016-03-09 2022-09-12 Koninklijke Philips Nv Anordning omfattende mindst to elementer i et bevægeligt arrangement i forhold til hinanden og et anti-begroningssystem
JP2018102576A (ja) * 2016-12-26 2018-07-05 アークレイ株式会社 測定装置、センサユニット、及び測定装置を設置する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06234A (ko) * 2010-03-22 2011-09-28 이미영 피부 삽입형 생체신호 측정용 전극
JP2014147837A (ja) * 2012-06-27 2014-08-21 Kosumedei Seiyaku Kk マイクロニードルパッチの保護離型シート
KR20180121487A (ko) * 2016-03-02 2018-11-07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
KR20180132552A (ko) 2017-06-02 2018-12-12 주식회사 아이센스 연속 혈당 측정기용 센서 어플리케이터 조립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50242A1 (ko) * 2021-05-24 2022-12-01 주식회사 아이센스 신체 부착 디바이스용 접착 테이프
KR20220158357A (ko) * 2021-05-24 2022-12-01 주식회사 아이센스 신체 부착 디바이스용 접착 테이프
WO2023277267A1 (ko) * 2021-06-29 2023-01-05 주식회사 아이센스 경피성 센서용 어플리케이터 및 어플리케이터 조립체
KR20230021402A (ko) * 2021-08-05 2023-02-14 주식회사 아이센스 경피성 센서용 어플리케이터 및 어플리케이터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20326036B2 (en) 2023-09-21
JP2022541809A (ja) 2022-09-27
JP7315779B2 (ja) 2023-07-26
EP4011280A4 (en) 2023-08-30
US20220273239A1 (en) 2022-09-01
KR102332928B1 (ko) 2021-12-01
EP4011280A1 (en) 2022-06-15
AU2020326036A1 (en) 2022-02-17
WO2021025259A1 (ko) 2021-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4782B1 (ko) 연속 혈당 측정기용 센서 어플리케이터 조립체
KR102200138B1 (ko) 연속 혈당 측정 장치
KR102222045B1 (ko) 연속 혈당 측정 장치
KR102200136B1 (ko) 연속 혈당 측정 장치
KR102332928B1 (ko) 연속 혈당 측정 장치용 신체 부착 유닛의 보조 접착 패치
JP2022168093A (ja) 連続血糖測定装置用アプリケーター
JP7132421B2 (ja) 連続血糖測定用身体付着ユニット
KR102238432B1 (ko) 연속 혈당 측정 장치용 삽입 가이드 니들 제작 방법
KR102283296B1 (ko) 연속 혈당 측정용 센서 부재
JP2023519513A (ja) 連続血糖測定装置
JP2022185131A (ja) 身体付着ユニット
JP2022162114A (ja) 連続血糖測定用身体付着ユニット
KR102197578B1 (ko) 연속 혈당 측정용 신체 부착 유닛
KR102197577B1 (ko) 연속 혈당 측정 장치
JP2024019728A (ja) 血糖測定装置
KR102238431B1 (ko) 연속 혈당 측정 장치용 삽입 가이드 니들
JP2022166310A (ja) 連続血糖測定用身体付着ユニット
JP2022179730A (ja) 身体付着ユニット及びセンサー部材
EP4098189A1 (en) Continuous blood glucose measurement device
JP2023010823A (ja) 血糖測定用身体付着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