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7542A - 맨홀 출입 보조장치 - Google Patents

맨홀 출입 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7542A
KR20210017542A KR1020190096957A KR20190096957A KR20210017542A KR 20210017542 A KR20210017542 A KR 20210017542A KR 1020190096957 A KR1020190096957 A KR 1020190096957A KR 20190096957 A KR20190096957 A KR 20190096957A KR 20210017542 A KR20210017542 A KR 202100175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hole
air
assist device
manhole access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69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3340B1 (ko
Inventor
유정훈
김동민
박상서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900969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3340B1/ko
Publication of KR202100175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75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33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33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1/00Ladders in general
    • E06C1/02Ladders in general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 or members
    • E06C1/38Special constructions of ladders, e.g. ladders with more or less than two longitudinal members, ladders with movable rungs or other treads, longitudinally-foldable ladders
    • E06C1/397Special constructions of ladders, e.g. ladders with more or less than two longitudinal members, ladders with movable rungs or other treads, longitudinally-foldable ladders characterised by having wheels, rollers, or runn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7Ventilation with forced flow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07Shapes round, e.g. cir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2007/005Cyclic ventilation, e.g. alternating air supply volume or reversing flow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순환이 가능한 맨홀 출입 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맨홀에 설치되며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외측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의 외측에서 상기 본체부의 내측으로 공기를 전달하는 공기 유입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맨홀의 내부와 같이 밀폐된 공간에 외부 공기가 보다 용이하게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대기와 격리된 맨홀의 내부 공간에서 작업하는 작업자들의 안전사고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맨홀 출입 보조장치{ASSISTANCE DEVICE FOR MANHOLE IN-OUT}
본 발명은 맨홀 출입 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맨홀의 내부와 같이 밀폐된 공간에 외부 공기가 보다 용이하게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대기와 격리된 맨홀의 내부 공간에서 작업하는 작업자들의 안전사고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공기순환이 가능한 맨홀 출입 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맨홀은 지하에 매설되어 설치되는 것으로 그 본체는 내부가 비어 있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부 일 측에는 상단면이 지면에 이르는 수직 통로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로 형성되는 맨홀은 상수도관, 전기 및 통신용 배관, 전송관 등과 연결되고, 따라서 맨홀의 내부에는 상수도관 밸브, 전기 및 전신용 부스 등이 설치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지면에 드러나는 수직통로부의 상단면에는 맨홀 내부의 공간으로 이물질이 투입되지 못하도록 맨홀 덮개를 이용하여 긴밀하게 닫게 된다.
이에 따라, 맨홀의 내부 공간은 대부분 밀폐되고, 협소하며 동시에 대기와 격리된 공간으로 형성되며 따라서 공기의 순환이 원활하지 않으므로 맨홀의 내부 공간에서 작업을 하는 경우 종종 질식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맨홀 내부 공간에서의 안전사고는 작업자들이 맨홀의 내부 공간에서 장시간 작업을 하는 경우에 작업자들의 호흡에 따라 맨홀 내부 공간의 산소량이 점차 줄어듦에 따른 것으로 작업자는 산소의 부족시 질식사고로 인해 사망까지 이르게 되는 만큼 맨홀 내부 공간에서 작업을 하는 경우에는 산소 부족 현상을 방지할만한 맨홀 출입 보조장치의 마련이 필요하게 된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맨홀 내부 공간에서의 작업 환경 개선을 위한 압축 에어가 수용된 탱크 등을 포함하는 맨홀 출입 보조장치가 개시된바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기술에 따르면, 맨홀 내부에서 장시간 작업을 하는 경우에 탱크 내부의 공기 잔량이 부족한 경우에는 새로운 탱크로 교체를 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으며, 따라서 작업자가 장시간의 작업에 대해 쉽게 피로를 느끼는 단점이 존재하였다.
또한, 종래의 맨홀 출입 보조장치의 경우에는 그 부피가 크고 무게가 무거워 맨홀 출입 보조장치에 대한 휴대 및 보관 등의 취급이 매우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따라서 대기와 격리된 맨홀의 내부 공간에서 작업하는 작업자들의 안전사고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동시에 이동성 및 보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맨홀 출입 보조장치에 대한 필요가 당업계에서 점차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맨홀의 내부와 같이 밀폐된 공간에 외부 공기가 보다 용이하게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대기와 격리된 맨홀의 내부 공간에서 작업하는 작업자들의 안전사고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공기순환이 가능한 맨홀 출입 보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공기순환이 가능한 맨홀 출입 보조장치로서, 맨홀에 설치되며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외측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의 외측에서 상기 본체부의 내측으로 공기를 전달하는 공기 유입부;를 포함한다.
상기 공기 유입부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에 결합되어 외부로부터 상기 연결부 방향으로 공기를 전달하는 공기 생성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공기 생성부는, 모터; 상기 모터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키는 회전 날개; 및 상기 모터 및 상기 회전 날개 중 적어도 하나를 수용하는 프레임;을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의 일 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흡입구가 관통 형성된다.
상기 본체부는 상기 맨홀에 접하도록 형성되는 외측판과 상기 외측판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내측판을 포함하고, 상기 외측판의 상단과 상기 내측판의 상단은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하여 형성된다.
상기 외측판의 길이는 상기 내측판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고, 상기 외측판의 상단은 상기 내측판의 상단을 감싸도록 하향 굴곡지게 형성된다.
상기 본체부의 적어도 일 영역에 결합되는 U자형 사다리를 더 포함한다.
상기 사다리의 적어도 일 영역에는 상기 본체부 또는 상기 사다리를 이동시키는 복수 개의 바퀴가 형성된다.
상기 사다리의 일 단에는 사용자의 파지를 용이하게 하는 손잡이가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는 고무 재질로 형성된다.
본 발명은 맨홀의 외부 공기가 밀폐된 맨홀의 내부 공간으로 용이하게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맨홀 내부 공간에서의 작업 환경을 보다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대기와 격리된 맨홀의 내부 공간에서 작업하는 작업자들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 부재가 장착된 사다리가 구비되어 맨홀 출입 보조장치에 대한 이동성 및 보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맨홀 내부 및 외부 공간에 있는 작업자 간에 상시 소통 및 감시가 가능하므로 긴급 상황에 대한 대처가 용이하고, 맨홀 작업 업무에 대한 편리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팬(fan)의 구동 없이 공기 순환이 가능하기 때문에 내구성이 증대되어 저소음으로 장기간 사용이 가능한 동시에 오작동 위험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전력 낭비를 감소시켜 에너지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맨홀 출입 보조장치(1000)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100)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100)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100) 및 사다리(400)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100) 및 사다리(400)에 대한 사용 상태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생성부(300)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생성부(300)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맨홀 출입 보조장치(1000)의 사용 상태도를 도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맨홀 출입 보조장치(1000)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맨홀 출입 보조장치(1000)는 본체부(100), 연결부(200), 공기 생성부(300) 및 사다리(400)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부(100)는 맨홀의 상단에 설치될 수 있으며, 연결부(200)의 일 단이 본체부(100)의 외측에 연통하도록 연결되고, 연결부(200)의 타 단이 공기 생성부(300)와 상호 연통하도록 결합됨으로써, 공기 생성부(300)로부터 생성되는 공기를 본체부(100)로 보다 용이하게 전달할 수 있다.
즉, 연결부(200)는 본체부(100)와 공기 생성부(300)를 상호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내측이 회전 형태의 파형으로 구현되어 공기 생성부(300)로부터 생성되는 공기를 본체부(100)로 보다 신속하게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이하 상술되는 바와 같이, 본체부(100)의 적어도 일 영역에는 U자형 사다리(400)가 고정 결합되어 사용자는 맨홀에 대한 출입을 보다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맨홀 출입 보조장치(1000)는 맨홀의 밀폐된 공간에 외부 공기를 유입시켜 맨홀 내부 공간의 공기를 보다 효율적으로 순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대해서는 도 2 내지 도 8을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맨홀 출입 보조장치(1000)의 본체부(100)를 도시한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맨홀 출입 보조장치(1000)의 본체부(100)는 공기 유입부(110)를 포함한다.
본체부(100)는 맨홀의 상단에 보다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맨홀의 직경에 대응하여 내측에 중공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부(100)의 내측에 형성되는 중공의 크기는 사용자가 내측 또는 외측으로 보다 원활하게 출입이 가능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맨홀의 직경에 대응하는 중공을 가진 원통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본체부(100)는 하부의 적어도 일 영역이 맨홀의 내측에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구현하기 위해 본체부(100)의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공기 유입부(110)는 본체부(100)의 외측면으로부터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 유입부(110)는 본체부(100)와 연결부(200) 사이에 공기의 흐름이 발생하도록 상호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바람직하게는 연결부(200)로부터 제공되는 공기를 본체부(100)의 내측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100)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외측판과 내측판으로 구성되는 이중판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체부(100)의 원주면을 따라 외측판과 내측판 사이의 공간에는 공기의 흐름을 위한 공기 통로가 구비될 수 있다.
즉, 공기 유입부(110)로부터 유입된 공기는 본체부(100)의 외측판과 내측판 사이의 공기 통로를 지나 본체부(100)의 하부 방향으로 전달됨으로써, 맨홀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다(예를 들어, 도 3b 참조).
이를 구현하기 위해, 구체적으로 본체부(100)의 외측판과 내측판의 상단은 각각 소정의 간격만큼 상호 이격하여 형성되고, 동시에 외측판의 길이는 내측판의 길이보다 길게 구현되어 외측판의 상단이 내측판의 상단을 감싸도록 하향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맨홀 출입 보조장치(1000)의 본체부(100) 및 사다리(400)의 결합 사시도와 사용 상태도를 각각 도시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맨홀 출입 보조장치(1000)는 본체부(100)의 적어도 일 영역을 감싸도록 결합되는 U자형 사다리(400)를 포함한다.
사다리(400)는 사용자가 맨홀의 내부 또는 외부로 안전하게 출입하기 위해 보조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바람직하게는 U자형 형태로 구비되어 본체부(100)의 상단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사다리(400)는 본체부(10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본체부(100)의 상단, 외측판 및 내측판에 밀착되어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사다리(400)의 구조 및 형태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양단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등 다양한 구조 및 형태의 사다리(400)로 구현될 수 있다.
사다리(400)의 적어도 일 영역에는 본체부(100) 또는 사다리(400)의 이동을 위한 복수 개의 바퀴(410)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퀴(410)는 본체부(100)에 대향하여 사다리(400)의 외측면에 결합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 바퀴(410)는 롤러 등을 포함하는 복수 개(예를 들어, 4개, 6개, 8개, 등)의 이동 부재로 구현될 수 있다.
즉,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사용자는 본체부(100)를 자유롭게 이동시키기 위해 사다리(400)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바퀴(410)를 지면에 닿도록 함으로써, 본체부(100) 또는 사다리(400)를 보다 손쉽게 운반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 개의 바퀴(410)는 사용자의 이동 방향에 따라 직선 또는 곡선으로의 이동 방향 전환이 가능하도록 구현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보다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다리(400)의 적어도 일 단에는 사용자의 파지를 위한 손잡이(420)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손잡이(420)는 사다리(400)의 일 단으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한 파지와 본체부(100) 또는 사다리(400)의 운반 시에 상대적으로 적은 힘이 소요되도록 보조할 수 있다.
추가로, 손잡이(420)의 외측면에는 복수 개의 빗살 무늬의 홈이 형성되거나 또는 마찰 계수가 높은 재질 바람직하게는, 고무 재질 등으로 마감 처리됨으로써, 사용자의 손과 손잡이(420) 사이에 마찰력을 발생시켜 본체부(100) 또는 사다리(400)를 운반하는 동안에 사용자의 손으로부터 손잡이(42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맨홀 출입 보조장치(1000)의 공기 생성부(300)의 사시도 및 개략도를 각각 도시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맨홀 출입 보조장치(1000)의 공기 생성부(300)는 모터(310), 회전 날개(320) 및 프레임(330)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모터(310)는 전원 공급 유닛(예를 들어, 충전식 배터리, 등)과 연결 전선 등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전원 공급 유닛으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이용하여 구동될 수 있다.
회전 날개(320)는 모터(31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 날개(320)는 복수 개의 팬(fan)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모터(310)의 구동에 의해 공기를 일 방향으로 흡입할 수 있다.
즉, 회전 날개(320)와 모터(310)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송풍기와 같은 원리로 구동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모터(310)의 회전축이 회전 날개(320)와 상호 연결되어 상기 모터(310)의 작동에 의해 회전축과 연결된 복수 개의 회전 날개(320)가 회전함에 따라 일 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프레임(330)은 모터(310)와 회전 날개(320)를 수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임(330)은 모터(310), 전원 공급 유닛 및 회전 날개(320) 등을 내부에 배치하도록 직육면체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임(330)은 모터(310), 전원 공급 유닛 및 회전 날개(320) 등이 외부에 시각적으로 노출되지 않게 하여 안전사고 등을 미연에 방지하는 동시에 프레임(330)의 적어도 일 측면에는 복수 개의 흡입구(340)가 관통 형성되어 모터(310) 및 회전 날개(320)의 작동에 따라 복수 개의 흡입구(340)를 통해 외부의 공기를 프레임(330)의 내측으로 용이하게 흡입시킬 수 있다.
즉, 공기 생성부(300)는 모터(310)와 회전 날개(320)의 작동에 의해 외부 공기가 프레임(330)의 내부로 흡입될 수 있도록 하며, 흡입된 공기는 공기 생성부(300)와 연결된 연결부(200)를 지나 본체부(100)로 전달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맨홀 출입 보조장치(1000)의 사용 상태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맨홀 출입 보조장치(1000)는 맨홀의 상단에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다리(400)가 결합된 본체부(100), 연결부(200) 및 공기 생성부(300)는 공기의 흐름이 발생하도록 상호 연결되고, 공기 생성부(300)로부터 흡입된 외부 공기는 연결부(200)를 통해 공기 유입부(110)로 전달되어 본체부(100)의 하부에 위치하는 맨홀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다.
즉, 본체부(100)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맨홀의 내부 공간에서 순환되도록 형성되어 사용자의 작업 환경을 보다 개선시킬 수 있으며, 동시에 대기와 격리된 맨홀의 내부 공간에서 작업하는 사용자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연결부(200) 또는 공기 생성부(300)로부터 본체부(100)를 분리하여 맨홀의 상단에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설치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모터(310) 및 회전 날개(320)의 구동 없이 공기 순환이 가능하도록 구현함으로써, 저소음 상태로 맨홀 내부의 공기 순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동시에 전력 낭비를 감소시켜 에너지 효율을 증대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도면과 명세서에 최적의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권리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본체부 110: 공기 유입부
200: 연결부 300: 공기 생성부
310: 모터 320: 회전 날개
330: 프레임 340: 흡입구
400: 사다리 410: 바퀴
420: 손잡이 1000: 맨홀 출입 보조장치

Claims (10)

  1. 공기순환이 가능한 맨홀 출입 보조장치로서,
    맨홀에 설치되며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외측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의 외측에서 상기 본체부의 내측으로 공기를 전달하는 공기 유입부;
    를 포함하는 맨홀 출입 보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유입부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에 결합되어 외부로부터 상기 연결부 방향으로 공기를 전달하는 공기 생성부;
    를 더 포함하는 맨홀 출입 보조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생성부는,
    모터;
    상기 모터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키는 회전 날개; 및
    상기 모터 및 상기 회전 날개 중 적어도 하나를 수용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맨홀 출입 보조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일 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흡입구가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출입 보조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맨홀에 접하도록 형성되는 외측판과 상기 외측판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내측판을 포함하고,
    상기 외측판의 상단과 상기 내측판의 상단은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출입 보조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판의 길이는 상기 내측판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고, 상기 외측판의 상단은 상기 내측판의 상단을 감싸도록 하향 굴곡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출입 보조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적어도 일 영역에 결합되는 U자형 사다리를 더 포함하는 맨홀 출입 보조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사다리의 적어도 일 영역에는 상기 본체부 또는 상기 사다리를 이동시키는 복수 개의 바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출입 보조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사다리의 적어도 일 단에는 사용자의 파지를 용이하게 하는 손잡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출입 보조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고무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출입 보조장치.
KR1020190096957A 2019-08-08 2019-08-08 맨홀 출입 보조장치 KR1022733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6957A KR102273340B1 (ko) 2019-08-08 2019-08-08 맨홀 출입 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6957A KR102273340B1 (ko) 2019-08-08 2019-08-08 맨홀 출입 보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7542A true KR20210017542A (ko) 2021-02-17
KR102273340B1 KR102273340B1 (ko) 2021-07-06

Family

ID=74732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6957A KR102273340B1 (ko) 2019-08-08 2019-08-08 맨홀 출입 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334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99607A (ja) * 1995-01-19 1996-08-06 Kanesou Kk マンホール用梯子装置
KR101330917B1 (ko) * 2012-01-11 2013-11-18 전원진 맨홀 환풍기
KR20140137673A (ko) * 2013-05-23 2014-12-0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무날개 환기팬
KR20160126253A (ko) * 2015-04-23 2016-11-02 (주)동명기술공단종합건축사사무소 무날개 제트팬 환풍기를 구비한 터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99607A (ja) * 1995-01-19 1996-08-06 Kanesou Kk マンホール用梯子装置
KR101330917B1 (ko) * 2012-01-11 2013-11-18 전원진 맨홀 환풍기
KR20140137673A (ko) * 2013-05-23 2014-12-0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무날개 환기팬
KR20160126253A (ko) * 2015-04-23 2016-11-02 (주)동명기술공단종합건축사사무소 무날개 제트팬 환풍기를 구비한 터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3340B1 (ko) 2021-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16013B2 (en) Reduced noise appliance
US9862539B2 (en) Portable water tank assembly for a dust emitting construction machine
EP1929913A1 (en) Wet and/or dry vacuum cleaner with nozzle assembly
CN110052342A (zh) 一种防水型充电式水陆两用高压清洗机
KR20210017542A (ko) 맨홀 출입 보조장치
GB2322068A (en) Electrically operated brush roller
CN206425310U (zh) 一种管道除尘器
US10124430B2 (en) Reciprocating saw
CN106192836B (zh) 背负式风机系统
US20060064825A1 (en) Spa and pool step vacuum
CN209230980U (zh) 便携式扦样机及粮仓
CN210544002U (zh) 一种建筑工程施工降尘装置
KR20210051871A (ko) 사용이 편리한 경량형 충전식 예초기
AU2017100665A4 (en) An electric tool
CN112140358A (zh) 一种使用方便的安防工程施工用钻孔装置
CN204327537U (zh) 一种电动工具
CN112077799A (zh) 一种电动工具
CN105673528B (zh) 一种电动工具
CN210264803U (zh) 一种矿井下带有逃生功能的通风管道
CN211406464U (zh) 上料装置
JP2015014153A (ja) 路面切断機、および、路面切断機の粉塵飛散防止装置
KR102195271B1 (ko) 전동드릴 장치
CN216702468U (zh) 地刷组件及洗地机
CN213509474U (zh) 一种船用水性高聚物地坪用收光设备
CN211993649U (zh) 一种用于塑料改性的混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