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7339A - 블록형 다중 공기 정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블록형 다중 공기 정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7339A
KR20210017339A KR1020190096437A KR20190096437A KR20210017339A KR 20210017339 A KR20210017339 A KR 20210017339A KR 1020190096437 A KR1020190096437 A KR 1020190096437A KR 20190096437 A KR20190096437 A KR 20190096437A KR 20210017339 A KR20210017339 A KR 202100173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purifier
block
air
power
ma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64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준영
Original Assignee
손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준영 filed Critical 손준영
Priority to KR10201900964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17339A/ko
Publication of KR202100173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73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9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electrical means, e.g. by applying electrostatic fields or high voltages
    • F24F8/194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electrical means, e.g. by applying electrostatic fields or high voltages by filtering using high volt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6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adding oxyge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005Mechanical details of housing or structure aiming to accommodate the power transfer means, e.g. mechanical integration of coils, antennas or transducers into e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02J7/025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36Modules, e.g. for an easy mounting or transpor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원 터치로 적층된 블록형 공기 정화기가 한번에 동작될 수 있도록 하고 각종 공기질의 상태를 읽어들이는 센서가 마스터로 되어 공기질의 상태에 따라 공기 청정기, 플라즈마 발생기, 산소 발생기, 및 가습기가 자동으로 동작되도록 하는 블록형 다중 공기 정화 시스템이 제공된다. 블록형 다중 공기 정화 시스템은 수직으로 적층한 초기에는 슬레이브 기기로 동작하는 적어도 두개의 블록형 공기 정화기를 포함하는 다중 공기 정화 시스템에서 각 블록형 공기 정화기는 블록 케이스; 상기 블록 케이스의 좌측 또는 우측 상단에 위치하여 상단 공기 정화기로 파워를 송신하는 무선 전원 송신기; 상기 블록 케이스내 상기 무선 전원 송신기의 아래에 위치하여 하단 공기 청정기의 무선 전원 송신기로부터 상기 파워를 수신하는 무선 전원 수신기; 사용자가 전원 온하는 신호 및 각종 공기질 상태를 파악하는 센서의 값을 입력받는 입력부; 마스터 모드 전환 명령 신호에 따라 해당 공기 정화기의 현재 마스터 기기 상태를 다른 공기 정화기로 무선 통신 방식으로 통보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 및 상기 무선 전원 수신기가 상기 파워를 수신하고 상기 무선 전원 송신기가 상기 파워를 송신하지 않는 조건인 경우 상기 입력부로부터 전원 온 신호가 입력된 경우 마스터 전환 명령 신호를 해당 블록형 공기 정화기로 제공하여 마스터 기기로 전환하도록 하고 1:N(여기서 N은 1이상의 정수) 통신으로 마스터 기기로 전환된 공기 정화기의 동작을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공기 정화기가 함께 동작되도록 하고, 마스터 모드 전환 명령 신호를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로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블록형 다중 공기 정화 시스템{BLOCK TYPE MULTIPLE AIR PURIFICATION SYSTEM}
본 발명은 공기 정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직으로 적층한 적어도 두개의 블록형 공기 정화기를 포함하는 블록형 다중 공기 정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산업 발달은 경제와 소득을 증대시키며, 소득 증대는 여가나 건강에 대한 관심을 증가시키고 있다. 그러나, 산업 발달은 역으로 생활 환경을 오염시켜 생활 환경을 오염시키고 있다. 이러한, 오염된 생활 환경으로 대표적인 것으로 황사 현상이나 미세 먼지를 들 수 있다. 그리고, 건강에 대한 관심은 황사현상이나 미세먼지 등에 의한 실내 공기 오염을 방지토록 공기 청정기에 대한 관심 또한 날로 증대되고 있다. 공기 청정기는 오염된 공기를 팬으로 흡입하여 정화하고, 미세한 먼지나 세균류를 집진하여 체취나 담배 냄새를 탈취하며, 오염 때문에 감소된 이온을 공급하는 역할을 주로 하게 된다. 여기서, 이온발생장치에서 발생되는 이온은 공기 중에 부유하는 세균이나 박테리아에 흡착하여 이를 제거하고, 사용자에게 편안함을 느끼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러나 종래의 공기 청정기는 전원이 있어야 동작하므로 고정된 위치에서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으로 이동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이동이 어려움에 따라 한정된 용도로만 사용된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와 관련된 종래기술로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43877호(20150423)에는 공기청정기가 개시되었다. 상기 종래기술은 동작전원을 이용하여 음이온 또는 양이온을 생성하는 제균부; 상기 제균부로 동작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부; 상기 제균부에서 생성된 음이온 또는 양이온을 토출하는 팬(FAN); 상기 전원부의 전원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팬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전원부로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전원부는 상기 배터리가 탈부착 가능하고, 장착 시 고정되도록 하는 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부에는 상기 배터리의 단자와 접촉하도록 구성된 연결단자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만, 상기한 종래기술은 기본적으로 배터리가 포함된 구조로 별도의 전선연결은 필요없으나, 공기청정기의 기본 크기가 커짐에 따라 이동중에 사용하기에는 다소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한 종래 기술은 외부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무선충전기능이 탑재되지 않아 스마트 폰 등을 충전이 필요한 외부장치에 전원을 공급할 수 없어 책상 등에서 사용시 배선이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한 종래기술은 음이온 또는 양이온을 배기하는 팬의 소음을 방지토록 속도를 조절하거나, 실내의 밝기에 따라 자동으로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작동모드가 없어, 야간 또는 취침시 직접 전원을 조작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공개 번호 10-2018-0063031에는 실내의 밝기를 센서로 감지하여 정화된 공기를 공급하는 팬의 작동속도가 조절되고, 실내 공기의 정화시 흡기와 배기가 팬을 중심으로 상하로 분리되된 격층구조로 이루어지며, 스마트폰에 무선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무선충전모듈이 구비된 이동형 공기 청정기가 개시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른 이동형 공기 청정기는 하나의 공기 청정기가 각각 개별적으로 동작하므로, 다수의 공기 청정기를 모두 동작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조작이 필요한 불편함이 있다.
특허 공개 번호 10-2018-0063031(공개일: 2018년 6월 11일)
본 발명은 원 터치로 적층된 블록형 공기 정화기가 한번에 동작될 수 있도록 하고 각종 공기질의 상태를 읽어들이는 센서가 마스터로 되어 공기질의 상태에 따라 공기 청정기, 플라즈마 발생기, 산소 발생기, 및 가습기가 자동으로 동작되도록 하는 블록형 다중 공기 정화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블록형 다중 공기 정화 시스템은 수직으로 적층한 초기에는 슬레이브 기기로 동작하는 적어도 두개의 블록형 공기 정화기를 포함하는 다중 공기 정화 시스템에서 각 블록형 공기 정화기는 블록 케이스; 상기 블록 케이스의 좌측 또는 우측 상단에 위치하여 상단 공기 정화기로 파워를 송신하는 무선 전원 송신기; 상기 블록 케이스내 상기 무선 전원 송신기의 아래에 위치하여 하단 공기 청정기의 무선 전원 송신기로부터 상기 파워를 수신하는 무선 전원 수신기; 사용자가 전원 온하는 신호 및 각종 공기질 상태를 파악하는 센서의 값을 입력받는 입력부; 마스터 모드 전환 명령 신호에 따라 해당 공기 정화기의 현재 마스터 기기 상태를 다른 공기 정화기로 무선 통신 방식으로 통보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 및 상기 무선 전원 수신기가 상기 파워를 수신하고 상기 무선 전원 송신기가 상기 파워를 송신하지 않는 조건인 경우 상기 입력부로부터 전원 온 신호가 입력된 경우 마스터 전환 명령 신호를 해당 블록형 공기 정화기로 제공하여 마스터 기기로 전환하도록 하고 1:N(여기서 N은 1이상의 정수) 통신으로 마스터 기기로 전환된 공기 정화기의 동작을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공기 정화기가 함께 동작되도록 하고, 마스터 모드 전환 명령 신호를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로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마스터 기기로 전환된 상기 공기 정화기는 적어도 두개의 블록형 공기 정화기 중의 최상단 공기 정화기일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의 무선 통신 방식은 지그비, 블루투스,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 및 UWB(Ultra Wideband)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는 슬레이브 기기 복귀 명령 신호에 따라 해당 공기 정화기의 슬레이브 기기로의 복귀를 상기 다른 공기 정화기로 상기 무선 통신 방식으로 통보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마스터 공기 정화기의 무선 전원 수신기가 상기 파워를 수신하지 않을 경우 상기 마스터 공기 정화기의 상기 다른 공기 정화기로부터의 분리 상태로 인식하여 상기 슬레이브 기기 복귀 명령 신호를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두개의 블록형 공기 정화기는 각각 공기 청정기, 플라즈마 발생기, 산소 발생기, 및 가습기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공기 청정기, 가습기, 산소 발생기, 및 플라즈마 발생기와 같은 공기 정화기의 성능을 높이기 위해 동일한 다수의 제품을 적층하여 원 터치로 적층된 블록형 공기 정화기가 한번에 동작될 수 있도록 사용한다. 적층시 아래에 있는 기기의 동작을 함께 제어할 수 있는 방법으로 Wi-Fi, 지그비가 있다.
1:N의 통신으로 마스터(M)의 동작을 슬레이브(S)가 함께 동작되도록 하여,제품을 집안 곳곳에 두고 원터치로 모든 기기가 한번에 동작될 수 있도록 한다. 각각의 제품은 기본적으로 슬레이브 모드 상태로 있고, 간단한 조작을 통해서 마스터 모드로 변경될 수 있다.
마스터 모드 조건
- 무선 충전 하단의 무선 전원 수신기에서 전력 감지되고 무선충전 상단의 무선 전원 송신기에서 전력손실 없을 때 전원을 켤경우
- 단, 스마트 폰을 무선 전원 수신기에 두고 전원을 켤경우 마스터 모드로 전환하지 않는다.
마스터 모드 해제 조건(슬레이브 모드로 복귀)
- 무선 전원 수신기가 파워를 수신하지 않을 경우 분리 상태로 인식
마스터와 슬레이브의 차이점
- 슬레이브는 항상 마스터의 호출을 기다린다.
- 마스터는 사용자의 터치 신호 마다 자신의 상태를 슬레이브에게 알린다.
- 마스터는 입력부의 신호 마다 슬레이브에게 신호를 보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형 다중 공기 정화 시스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블록형 다중 공기 정화 시스템의 각 블록형 공기 정화기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형 다중 공기 정화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형 다중 공기 정화 시스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블록형 다중 공기 정화 시스템의 각 블록형 공기 정화기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형 다중 공기 정화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형 다중 공기 정화 시스템은 수직으로 적층한 초기에는 슬레이브 기기로 동작하는 적어도 두개의 블록형 공기 정화기를 포함한다.
상기 블록형 공기 정화기(10)는 블록 케이스(100), 무선 전원 송신기(200), 무선 전원 수신기(300), 입력부(400), 근거리 무선 통신부(500), 및 제어부(600)를 포함한다.
무선 전원 송신기(200)는 상기 블록 케이스(100)의 좌측 또는 우측 상단에 위치하여 상단 공기 정화기로 파워를 송신한다. 무선 전원 수신기(300)는 상기 블록 케이스(100)내 상기 무선 전원 송신기(200)의 아래에 위치하여 하단 공기 청정기의 무선 전원 송신기(200)로부터 상기 파워를 수신한다. 입력부(400)는 사용자가 전원 온하는 신호 및 각종 공기질 상태를 파악하는 센서의 값을 입력받는다.
근거리 무선 통신부(500)는 마스터 모드 전환 명령 신호에 따라 해당 공기 정화기의 현재 마스터 기기 상태를 다른 공기 정화기로 무선 통신 방식으로 통보한다. 근거리 무선 통신부(500)는 슬레이브 기기 복귀 명령 신호에 따라 해당 공기 정화기의 슬레이브 기기로의 복귀를 상기 다른 공기 정화기로 상기 무선 통신 방식으로 통보한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500)의 무선 통신 방식은 지그비, 블루투스,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 및 UWB(Ultra Wideband)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지그비(Zigbee)는 근거리 통신을 지원하는 IEEE 802154 표준 중 하나로서 가정, 사무실 등의 무선 네트워킹에서 10~20m 내외의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며, 다른 무선 통신 기술(예, IEEE 8021이나 80215)와는 달리 단순기능이 요구되는 초소형, 저전력, 저가격 시장에 적합한 기술이다. 따라서, 이러한 블루투스 또는 지그비를 본 발명에서는 선택적으로 적용이 가능하며,
상기 지그비는 IEEE 802154에 기반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표준 규격으로, 통신 가능 거리는 약 100~500m의 단 거리에서 20~250Kbps의 속도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고 전력 소모량은 500㎼ 이하의 저 전력을 소모한다. 이때 상기 지그비의 특징이라 할 수 있는 점은 외부에서 신호를 보낼 때까지 '휴면' 모드로 유지되어 전력 소모가 매우 낮기 때문에 배터리가 수 개월에서 수년간 지속 될 수 있으며, 블루투스나 무선 랜 프로토콜보다 훨씬 간단하여 소형화에 유리하다. 이에 따라 지그비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운영시스템을 구현하는 비용 또한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IEEE 802154는 Star, Mesh, Cluster Tree 등의 네트워크 토폴로지를 이용하여 라우터 센서 노드들은 광범위한 지역에 설치할 수 있다. 상기 IEEE 802154의 주소 필드는 0 ~ 20 바이트의 가변길이 응용에 따라 유연성을 가지지만, 본 발명에서 구현한 지그비 네트워크에서는 하나의 대역 내에 수용되어 있는 수많은 기기들이 동일한 레벨로서 상호 양방향 통신을 하게 된다는 특징이 있다. 이때 상기 지그비의 주파수 채널은 선택적으로 지정할 수 있다. 상기 지그비에 대해서 개략적으로 전술한 바 있지만 보다 구체적으로 보충 설명하자면 상기 지그비는 저속 전송 속도를 갖는 홈 네트워크, 군사, 농축산 감시 및 제어, 물류 시스템, 환경정보 감시 및 제어, 산업 현장 감시 및 제어, 빌딩 자동화, 원격 제어 및 모니터링 등을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려는 것에서부터 출발한다.
블루투스(Bluetooth)는 에릭슨과 노키아가 자체 개발해 왔던 휴대 장치와 이동통신단말기를 연결하는 근거리 무선통신기술을 1998년에 인텔, 도시바, IBM과 함께 공개 표준으로 출범시킨 것으로, 근거리, 1 : 다수, 음성과 데이터 전송을 위한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에 대한 표준이다. 블루투스는 금속이 아닌 고체를 통과하여 통신할 수 있으며, 보통 10cm에서 10m에 이르는 거리 내의 단말기 간 통신이 가능하고, 전파를 높일 경우 100m까지도 확장할 수 있는 기술이다.
제어부(600)는 상기 무선 전원 수신기(300)가 상기 파워를 수신하고 상기 무선 전원 송신기(200)가 상기 파워를 송신하지 않는 조건인 경우 상기 입력부(400)로부터 전원 온 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마스터 전환 명령 신호를 해당 블록형 공기 정화기로 제공하여 마스터 기기로 전환하도록 하고 1:N(여기서 N은 1이상의 정수) 통신으로 마스터 기기로 전환된 공기 정화기의 동작을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공기 정화기가 함께 동작되도록 하고, 상기 마스터 모드 전환 명령 신호를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500)로 제공한다.
제어부(600)는 상기 마스터 공기 정화기의 무선 전원 수신기가 상기 파워를 수신하지 않을 경우 상기 마스터 공기 정화기의 상기 다른 공기 정화기로부터의 분리 상태로 인식하여 상기 슬레이브 기기 복귀 명령 신호를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500)로 제공한다.
상기 마스터 기기로 전환된 상기 블록형 공기 정화기는 적어도 두개의 블록형 공기 정화기 중의 최상단 공기 정화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적어도 두개의 블록형 공기 정화기는 각각 공기 청정기, 플라즈마 발생기, 산소 발생기, 및 가습기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개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블록형 공기 정화기
100: 블록 케이스
200: 무선 전원 송신기
300: 무선 전원 수신기
400: 입력부
500: 근거리 무선 통신부
600: 제어부

Claims (6)

  1. 수직으로 적층한 초기에는 슬레이브 기기로 동작하는 적어도 두개의 블록형 공기 정화기를 포함하는 다중 공기 정화 시스템에서 각 블록형 공기 정화기는
    블록 케이스;
    상기 블록 케이스의 좌측 또는 우측 상단에 위치하여 상단 공기 정화기로 파워를 송신하는 무선 전원 송신기;
    상기 블록 케이스내 상기 무선 전원 송신기의 아래에 위치하여 하단 공기 청정기의 무선 전원 송신기로부터 상기 파워를 수신하는 무선 전원 수신기;
    사용자가 전원 온하는 신호 및 각종 공기질 상태를 파악하는 센서의 값을 입력받는 입력부;
    마스터 모드 전환 명령 신호에 따라 해당 공기 정화기의 현재 마스터 기기 상태를 다른 공기 정화기로 무선 통신 방식으로 통보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 및
    상기 무선 전원 수신기가 상기 파워를 수신하고 상기 무선 전원 송신기가 상기 파워를 송신하지 않는 조건인 경우 상기 입력부로부터 전원 온 신호가 입력된 경우 마스터 전환 명령 신호를 해당 블록형 공기 정화기로 제공하여 마스터 기기로 전환하도록 하고 1:N(여기서 N은 1이상의 정수) 통신으로 마스터 기기로 전환된 공기 정화기의 동작을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공기 정화기가 함께 동작되도록 하고, 마스터 모드 전환 명령 신호를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로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블록형 다중 공기 정화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기기로 전환된 상기 공기 정화기는 적어도 두개의 블록형 공기 정화기 중의 최상단 공기 정화기인 블록형 다중 공기 정화 시스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의 무선 통신 방식은 지그비, 블루투스,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 및 UWB(Ultra Wideband)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블록형 다중 공기 정화 시스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는 슬레이브 기기 복귀 명령 신호에 따라 해당 공기 정화기의 슬레이브 기기로의 복귀를 상기 다른 공기 정화기로 상기 무선 통신 방식으로 통보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마스터 공기 정화기의 무선 전원 수신기가 상기 파워를 수신하지 않을 경우 상기 마스터 공기 정화기의 상기 다른 공기 정화기로부터의 분리 상태로 인식하여 상기 슬레이브 기기 복귀 명령 신호를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로 제공하는 블록형 다중 공기 정화 시스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개의 블록형 공기 정화기는 각각 공기 청정기, 플라즈마 발생기, 산소 발생기, 및 가습기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블록형 다중 공기 정화 시스템.
  6. 수직으로 적층한 초기에는 슬레이브 기기로 동작하는 적어도 두개의 블록형 공기 정화기를 포함하는 다중 공기 정화 시스템에서 각 블록형 공기 정화기는
    블록 케이스;
    상기 블록 케이스의 좌측 또는 우측 상단에 위치하여 상단 공기 정화기로 파워를 송신하는 무선 전원 송신기;
    상기 블록 케이스내 상기 무선 전원 송신기의 아래에 위치하여 하단 공기 청정기의 무선 전원 송신기로부터 상기 파워를 수신하는 무선 전원 수신기;
    사용자가 전원 온하는 신호 및 각종 공기질 상태를 파악하는 센서의 값을 입력받는 입력부;
    마스터 모드 전환 명령 신호에 따라 해당 공기 정화기의 현재 마스터 기기 상태를 다른 공기 정화기로 무선 통신 방식으로 통보하고 슬레이브 기기 복귀 명령 신호에 따라 해당 공기 정화기의 슬레이브 기기로의 복귀를 상기 다른 공기 정화기로 상기 무선 통신 방식으로 통보하고 근거리 무선 통신부; 및
    상기 무선 전원 수신기가 상기 파워를 수신하고 상기 무선 전원 송신기가 상기 파워를 송신하지 않는 조건인 경우 상기 입력부로부터 전원 온 신호가 입력된 경우 마스터 전환 명령 신호를 해당 블록형 공기 정화기로 제공하여 마스터 기기로 전환하도록 하고 1:N(여기서 N은 1이상의 정수) 통신으로 마스터 기기로 전환된 공기 정화기의 동작을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공기 정화기가 함께 동작되도록 하고, 마스터 모드 전환 명령 신호를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로 제공하고, 상기 마스터 공기 정화기의 무선 전원 수신기가 상기 파워를 수신하지 않을 경우 상기 마스터 공기 정화기의 상기 다른 공기 정화기로부터의 분리 상태로 인식하여 상기 슬레이브 기기 복귀 명령 신호를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로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마스터 기기로 전환된 상기 공기 정화기는 적어도 두개의 블록형 공기 정화기 중의 최상단 공기 정화기이고,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의 무선 통신 방식은 지그비, 블루투스,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 및 UWB(Ultra Wideband)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두개의 블록형 공기 정화기는 각각 공기 청정기, 플라즈마 발생기, 산소 발생기, 및 가습기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블록형 다중 공기 정화 시스템.
KR1020190096437A 2019-08-08 2019-08-08 블록형 다중 공기 정화 시스템 KR202100173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6437A KR20210017339A (ko) 2019-08-08 2019-08-08 블록형 다중 공기 정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6437A KR20210017339A (ko) 2019-08-08 2019-08-08 블록형 다중 공기 정화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7339A true KR20210017339A (ko) 2021-02-17

Family

ID=74731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6437A KR20210017339A (ko) 2019-08-08 2019-08-08 블록형 다중 공기 정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1733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3031A (ko) 2016-06-30 2018-06-11 정현종 무선충전모듈이 구비된 이동형 공기청정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3031A (ko) 2016-06-30 2018-06-11 정현종 무선충전모듈이 구비된 이동형 공기청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444257B (zh) 低功耗自组网遥感监测物理量的方法和装置
CN105388777B (zh) 智能家居控制系统
CN105739468B (zh) 一种基于Zigbee和智能手环的智能家居系统及其方法
WO2019131775A1 (ja) 空気品質管理システム及び方法
WO2013118886A1 (ja) 空調の遠隔音声制御システム及び方法
CN204806601U (zh) 楼宇空气净化器智能控制系统
CN102724786A (zh) 智能家居的照明远程控制系统
CN103987173A (zh) 室内照明控制系统和室内智能控制系统
CN205316497U (zh) 一种具有远程控制的空气净化器
US20110112692A1 (en) System for remote control of packaged terminal air conditioner and heaters with wireless remote control systems
CN106909080A (zh) 一种基于移动终端控制电器设备的方法和移动终端
CN102088380A (zh) 一种以家居服务机器人为核心的智能多机器人网络系统
CN110119094A (zh) 一种基于地面传感控制智能家居系统
KR100730727B1 (ko) 전등 온/오프 제어 시스템
KR101074636B1 (ko) 지그비 무선네트워크를 이용한 기기제어 및 상황정보감시 시스템
KR20210017339A (ko) 블록형 다중 공기 정화 시스템
US11493894B2 (en) Automation system
KR200424678Y1 (ko) 전력 제어 장치
CN204681646U (zh) 新型智能手势开关系统
KR200415596Y1 (ko) 전등 온/오프 제어 시스템
JP2012230780A (ja) センサシステム
CN205581536U (zh) 一种智能家居系统
CN205302054U (zh) 一种基于蓝牙通信技术的智能温湿度控制窗户
CN204421279U (zh) 一种新型建筑内部环境智能控制器
JP2016131080A (ja) 照明制御システム、照明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