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6882A - 치아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치아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치아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치아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6882A
KR20210016882A KR1020190095242A KR20190095242A KR20210016882A KR 20210016882 A KR20210016882 A KR 20210016882A KR 1020190095242 A KR1020190095242 A KR 1020190095242A KR 20190095242 A KR20190095242 A KR 20190095242A KR 20210016882 A KR20210016882 A KR 202100168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er
information
user
dental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52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11856B1 (ko
Inventor
박미라
Original Assignee
뉴턴1665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뉴턴1665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뉴턴1665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952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1856B1/ko
Priority to PCT/KR2019/015716 priority patent/WO2021025230A1/ko
Priority to US17/633,539 priority patent/US20220293229A1/en
Priority to JP2022507667A priority patent/JP2022544155A/ja
Publication of KR202100168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68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18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18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3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physical therapies or activities, e.g. physiotherapy, acupressure or exercis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3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 G16H3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for handling medical images, e.g. DICOM, HL7 or PAC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remote opera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버, 상기 서버와 통신하는 이용자 단말기, 상기 서버와 통신하는 세치사 단말기를 를 이용한 치아관리 서비스 제공방법에 있어서, 세치 서비스 이용자 정보가 상기 이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서버로 송신되는 세치사 매칭 정보 전송 단계; 리스트업된 세치사 목록이 상기 서버에서 상기 이용자 단말기로 전송되는 세치사 목록 전송 단계; 및 상기 리스트업된 세치사 목록에서 선택된 세치사 정보가 상기 이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서버로 송신되는 세치사 매칭 요청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관리 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치아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치아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A system for providing a dental care service and a method for providing a dental care service using the system}
본 발명은 치아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치아관리 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침상안정(bed rest) 상태로 생활하는 고령 환자나 신경손상 환자의 경우, 중력의 영향으로 인해 자력으로 입을 다물 수 없게 되면서 폐렴으로 인해 사망에 이르는 경우가 다수 발생한다.
폐렴으로 인해 사망에 이르는 과정을 순서대로 살펴보면, 구강이 항시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건조해지면서 촉촉한 구강내 공생 상주균이 사라지고 건조환경에서 번식하는 병원균이 급증하여 구강 내 면역력이 급격히 약화되고, 이 후 개방된 구강 내로 쉽게 유입된 세균이 급속도로 번식하게 되고, 입 벌림 상태를 유지하면서 혀가 바닥을 향해 변위하여 삼킴 근육의 균형이 깨져 오인 삼킴에 의해 병원균이 기도를 통해 폐로 유입되어 폐렴이 발생하고, 이에 항생제를 처방하는 과정이 반복되다가, 항생제 내성으로 인해 더 이상 손쓸 수 없는 단계로 수렴하게 된다.
통계적으로 보면 2016년 기준 전체 폐렴환자의 65 퍼센트 이상을 60세 이상의 고령환자들이 차지하고 있고, 통계청 통계 기준으로 폐렴이 10대 사망원인 중 4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최근들어 고령화가 가속화됨에 따라 그 순위가 10년 동안 6계단 상승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윗입술과 아랫입술이 벌어진 상태가 지속적으로 유지되면서, 근육이 열려있는 계(open vector system)를 형성할 경우 신체에 인장력과 압축력 및 비틀림 응력이 특정부위에 집중되게 된고 이는 신체 불균형이 초래된다.
즉, 해부학적으로 인체의 근육은 누워있을 때, 앉아있을 때, 서 있을 때, 걸을 때, 뛸 때 어느 순간에도 인장력, 압축력과 비틀림 응력의 합이 0이 되도록 닫혀있는 계(closed vector system)를 형성하여 안정을 이루어야만 한다.
그러나, 열려있는 계가 지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 신체 일부에 만성적인 통증이 생기거나 치아의 부정교합, 코골이, 수면무호흡, 비염, 안면 비대칭, 일자목, 거북목 증후군, 척추 디스크, 사시 등 신체 불균형에 의한 다양한 질환들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고령 환자나 신경손상 환자의 경우 상악골과 하악골에 변형이 발생하고 혀가 뒤틀려 호흡장애가 오거나, 척추 및 요추에 디스크가 발생하는 심각한 문제가 초래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고령 환자나 신경손상 환자의 경우, 입막음 보조장치 장착 및 하악위치 회복을 위한 구강 구조 교정 치료 등의 케어 서비스가 필수적으로 요구되며, 더불어 구강 청결도가 유지될 수 있도록, 누구나 주기적인 칫솔질을 하듯이, 입안 세균막을 제거하고, 입안으로의 세균 유입을 방지하는 주기적인 세치(cleaning teeth) 서비스를 받는 과정이 필요하다.
다만, 모든 의료기관이 관련 전문 인력을 보유하고 있기가 어려운 바, 현실적으로 거동이 불편한 환자들이 이러한 케어를 받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상기한 필수적인 케어들을 보다 간편하게 받을 수 있는 서비스가 필요하며, 나아가서 관리 서비스의 질을 높일 필요성이 존재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치아관리 서비스를 환자가 손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거동이 불편한 환자를 대상으로 세치 서비스 및 교정 치료 서비스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환자 또는 보호자가 세치 서비스 및 교정 치료에 의한 개선 효과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 상기 서버와 통신하는 이용자 단말기, 상기 서버와 통신하는 세치사 단말기를 이용한 치아관리 서비스 제공방법에 있어서, 세치 서비스 이용자 정보가 상기 이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서버로 송신되는 세치사 매칭 정보 전송 단계; 리스트업된 세치사 목록이 상기 서버에서 상기 이용자 단말기로 전송되는 세치사 목록 전송 단계; 및 상기 리스트업된 세치사 목록에서 선택된 세치사 정보가 상기 이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서버로 송신되는 세치사 매칭 요청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관리 서비스 제공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서버에서 상기 세치사 정보에 해당하는 세치사 단말기로 상기 세치 서비스 이용자 정보가 송신되는 세치 요청 단계; 및 상기 세치사 단말기에서 상기 서버로 세치 매칭 확정 정보가 송신되는 세치 매칭 확정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세치 방법 및 세치 시 주의 사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가 상기 서버에서 상기 세치사 단말기로 송신되는 세치 가이드 정보 전송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세치전 이용자의 치아 사진이 포함된 치아상태 정보가 상기 세치사 단말기에서 상기 서버로 송신되는 세치전 치아 상태 정보 전송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세치후 이용자의 치아 사진이 포함된 치아상태 정보가 상기 세치사 단말기에서 상기 서버로 송신되는 세치후 치아 상태 정보 전송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세치사 매칭 요청 단계는 상기 이용자 단말기에서 이용자의 세치사 개인정보보호 동의가 완료되었다고 판단된 경우에만 진행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의 신체골격 사진이 상기 이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서버로 전송되는 사진 전송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신체골격 사진을 분석하여 골격 균형 상태를 수치화한 골격 정보를 도출하는 골격상태 분석 단계; 및 상기 골격 정보가 상기 서버에서 상기 이용자 단말기로 송신되는 골격상태 정보 전송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이용자가 자신의 골격상태 정보를 연구목적으로 이용함에 동의한다는 의미를 포함하는 정보가 상기 이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서버로 송신되는 골격상태 정보 이용 동의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치아관리 서비스 제공방법은 상기 서버와 통신하는 치과 단말기를 더 이용하며, 교정 서비스 이용자 정보가 상기 이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서버로 송신되는 치과 매칭 정보 전송 단계; 리스트업된 치과 목록이 상기 서버에서 상기 이용자 단말기로 전송되는 치과 목록 전송 단계; 및 상기 리스트업된 치과 목록에서 선택된 치과 정보가 상기 이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서버로 송신되는, 교정진료 매칭 요청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교정장치 배달 정보가 상기 서버에서 상기 세치사 단말기로 송신되는 교정장치 배달 요청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치아관리 서비스를 환자가 손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거동이 불편한 환자를 대상으로 세치 서비스 및 교정 치료 서비스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환자 또는 보호자가 세치 서비스 및 교정 치료에 의한 개선 효과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관리 서비스 제공방법을 구현하는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관리 서비스 제공방법에 의해 이용자 단말기에 제공되는 메인 페이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상기 치아관리 서비스 제공방법을 구현하는 시스템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상기 치아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중 세치사 매칭 플로우를 도시한 것이다.
도 5 내지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관리 서비스 제공방법에 의해 이용자 단말기에게 제공되는 것으로, 세치사 매칭 플로우를 구현하는 페이지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8 내지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관리 서비스 제공방법에 의해 세치사 단말기에게 제공되는 것으로, 세치사 매칭 플로우를 구현하는 페이지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13은 상기 치아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중 골격상태 분석 플로우를 도시한 것이다.
도 14 내지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관리 서비스 제공방법에 의해 이용자 단말기에게 제공되는 것으로, 골격상태 분석 플로우를 구현하는 페이지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19는 상기 치아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중 교정 서비스 매칭 플로우를 도시한 것이다.
도 20 내지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관리 서비스 제공방법에 의해 이용자 단말기에게 제공되는 것으로, 교정 서비스 매칭 플로우를 구현하는 페이지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23 내지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관리 서비스 제공방법에 의해 치과 단말기에게 제공되는 것으로, 교정 서비스 매칭 플로우를 구현하는 페이지들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상기 치아관리 서비스 제공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치아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접속이 가능하며 정보를 저장하는 하는 서버(S),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서버(S)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이용자 단말기(A),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서버(S)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세치사 단말기(B),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서버(S)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관리자 단말기(C) 및,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서버(S)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치과 단말기(D)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이용자란 개인/의료기관 등이 될 수 있고, 관리자란 의료기관 / 정부기관 / 세치 서비스 제공 업체 등이 될 수 있으며, 치과는 상식적으로 알려진 바와 같다.
한편, 세치사(洗齒士, dental cleaner)를 본 명세서를 통해 새롭게 정의하자면, 환자의 거소에 직접 방문하여 누구나 주기적으로 칫솔질을 하듯이 치아 관리 서비스(양치질, 입막음 보조장치 장착, 교정장치 장착, 교정경과 확인 등)를 제공하는 사람을 의미한다.
상기 서버(S)에는 상기 이용자 단말기(A)와 상기 세치사 단말기(B) 및 관리자 단말기(C) 그리고 치과 단말기(D)가 필요에 따라 다수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단말기는 유, 무선 인터넷 망을 통해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기기를 포함하는 일체의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인터넷에 통해 접속하기 위한 기기에 해당하며, 넓게는 각종 데이터를 입력하는 키보드와 마우스 등과 같은 입력장치, 모니터 및 프린터 등과 같은 출력장치, 모뎀이나 LAN 등과 같은 송수신장치, 마이크로프로세서나 그래픽 카드와 같은 처리장치 및 이들을 운용하거나 제어하는 각종 프로그램을 탑재한 저장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일 예로, 개인 통신 단말기(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PCS),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단말기, 개인 디지털 셀룰러 단말기(Personal Digital Cellular; PDC),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단말기,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스마트폰(Smart Phone), 텔레매틱스(Telematics), 무선 데이터 통신 단말기 및/또는 휴대 인터넷 단말, 개인 컴퓨터(Personal Computer) 및 노트북(Notebook) 등이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치아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상기 서버(S)의 개별 구성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서버(S)는 통신하고 있는 이용자 단말기(A)와 세치사 단말기(B)와 관리자 단말기(C) 및 치과 단말기(D)를 인식하는 단말기 인식부(91), 상기 단말기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92), 수신된 정보를 가공하여 정보를 도출하는 통계관리부(93), 데이터와 정보를 누적하여 저장하는 저장부(94) 및, 정보를 단말기로 전송하는 정보 송신부(9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버(S)는 치아관리 서비스 제공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전용 하드웨어 시스템 및 유무선 통신망으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 가상 파일 기반의 웹클라우드 서비스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
치아관리 서비스 제공방법은 크게 세치 서비스 제공 플로우와 골격변화 분석 플로우 및 교정 서비스 제공 플로우로 나눠질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이용자 단말기(A)의 디스플레이에는 제공 서비스가 나열된 메인 페이지(11)가 구비될 수 있으며, 위의 구분에 따라 이용자와 세치사를 매칭하는 세치 서비스 선택 영역(111)과, 이용자의 골격변화 히스토리를 조회하는 히스토리 조회 선택 영역(112) 및, 이용자(환자)와 치과를 매칭하는 교정 서비스 선택 영역(113)이 서로 구획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메인 페이지(11)에서 세치 서비스 선택 영역(111)이 선택되면 세치 서비스 제공 플로우가 진행될 수 있으며,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세치 서비스 제공 플로우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관리 서비스 제공방법은 세치 서비스 이용자 정보가 상기 이용자 단말기(A)에서 상기 서버(S)로 송신되는 세치사 매칭 정보 전송 단계(S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치 서비스 이용자 정보는 이용자의 성명/나이/성별, 보호자의 성명/전화번호, 서비스 예약 날짜/시간 및, 서비스 장소(주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세치 서비스를 이용자가 직접 신청할 수 있음은 물론, 이용자의 신체가 극히 불편한 경우에는 보호자(법률적 보호자뿐만 아니라, 이용자가 상주하는 의료기관도 가능)가 대신 신청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관리 서비스 제공방법은 상기 서버에서 세치 서비스가 가능한 세치사를 추출하는 세치사 목록 리스트업 단계(S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치사 목록 리스트업 단계(S2)에서는 이용자에 의해 입력된 서비스 장소를 기준으로 소정거리 내에 있으며, 이용자에 의해 입력된 서비스 예약 날짜/시간에 예약이 없는 세치사들로 리스트가 추출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리스트업된 세치사 목록은 이용자에 의해 평가된 평점이 높은 세치사 순으로 재정렬될 수 있다.
다음으로, 리스트업되고 재정렬된 세치사 목록이 상기 서버(S)에서 상기 이용자 단말기(A)로 전송되는 세치사 목록 전송 단계(S3)가 더 진행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이용자 단말기(A)에는 매칭 요청이 가능한 세치사 목록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세치사 목록에는 각각의 세치사에 대한 이름/성별/경력/평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가 기재될 수 있다.
이후, 이용자에 의해 특정 세치사가 선택되면 상기 이용자 단말기(A)에서는 세치사 선택 여부 판단 단계(S4)가 더 진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용자 또는 보호자는 리스트업된 세치사들 중 원하는 세치사에게 세치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이용자가 전문 세치사가 상주하고 있지 않은 의료기관 또는 가정집에 머무르고 있는 경우에도 손쉽게 해당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세치사 선택 여부 판단 단계(S4)에서 특정 세치사가 선택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이용자 단말기(A)에서는 세치사 개인정보보호 동의 여부 판단 단계(S5)가 더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세치사 개인정보보호 동의 여부 판단 단계(S5)는 이용자 또는 보호자가 매칭된 세치사의 개인정보를 외부에 유출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세치사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는 절차이다.
상기 세치사 개인정보보호 동의 여부 판단 단계(S5)에서 동의가 선택되지 않은 것(미동의)으로 판단되면 상기 세치사 목록이 다시 리스트업되고 상기 세치사 선택 여부 판단 단계(S4)가 다시 진행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세치사 개인정보보호 동의 여부 판단 단계(S5)에서 동의가 선택되면, 상기 리스트업된 세치사 목록에서 선택된 세치사 정보가 상기 이용자 단말기(A)에서 상기 서버(S)로 송신되는 세치사 매칭 요청 단계(S6)와, 상기 서버(S)에서 상기 세치사 정보에 해당하는 세치사의 세치사 단말기(B)로 상기 세치 서비스 이용자 정보가 송신되는 세치 요청 단계(S7)가 순차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세치사 단말기(B)에서는 이용자의 세치 요청에 세치사가 매칭 승인을 했는지 확인하는 세치요청 승인 여부 판단 단계(S8)가 더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세치요청 승인 여부 판단 단계(S8)는 세치사도 이용자의 세치 여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 개인 일정을 유연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세치요청 승인 여부 판단 단계(S8)에서 승인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매칭 절차는 중단되고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매칭 거절 메시지가 제공될 수 있으며, 승인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세치사 단말기(B)에서는 이용자 개인정보보호 동의 여부 판단 단계(S9)가 더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이용자 개인정보보호 동의 여부 판단 단계(S9) 역시 마찬가지로 세치사가 매칭된 이용자의 개인정보를 외부에 유출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이용자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는 절차이다.
상기 이용자 개인정보보호 동의 여부 판단 단계(S9)에서 동의가 선택되지 않은 것(미동의)으로 판단되면 상기 매칭 절차는 중단되고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매칭 거절 메시지가 제공될 수 있다.
반면, 상기 이용자 개인정보보호 동의 여부 판단 단계(S9)에서 동의가 선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세치사 단말기(B)에서 상기 서버(S)로 세치 매칭 확정 정보가 송신되는 세치 매칭 확정 단계(S10)가 진행되고, 상기 서버(S)에서 상기 세치사 단말기(B)로 이용자의 세부정보(세부 주소, 치아상태 정보, 구강상태 정보 등)가 송신될 수 있다.
상술한 플로우에 따라, 이용자와 세치사가 유연하게 매칭될 수 있음은 물론, 그 과정에서 개인정보를 보호하는 절차를 진행함으로써 민감한 의료 및 직업정보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세치사가 매칭된 경우에도 세치사에 따라 서비스 편차가 크지 않도록 세치 서비스의 품질을 일정하게 관리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서비스 품질 관리를 위한 기술적 구성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관리 서비스 제공방법은 세치 가이드 정보가 상기 서버(S)에서 상기 세치사 단말기(B)로 송신되는 세치 가이드 정보 전송 단계(S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치 가이드 정보는 세치 방법 및 세치 시 주의사항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있으며, 주의사항으로는 세치사의 보호구 의무 장착과 1회용 장비 사용 등에 관한 사항이 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세치사 단말기(B)에서 세치사에 의해 주의사항이 확인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세치전 이용자의 치아상태 정보가 상기 세치사 단말기(B)에서 상기 서버(S)로 송신되는 세치전 치아 상태 정보 전송 단계(S12)가 더 진행될 수 있다.
세치전 이용자의 치아상태 정보는 이용자의 치아 사진이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치아 사진은 유착된 세균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의료용 착색제가 치아에 도포된 사진이 될 수 있고, 이에 더해 이용자의 얼굴 골격사진이 추가될 수도 있다.
이후, 세치후 이용자의 치아상태 정보가 상기 세치사 단말기(B)에서 상기 서버(S)로 송신되는 세치후 치아 상태 정보 전송 단계(S13)가 더 진행될 수 있다.
세치후 이용자의 치아상태 정보는 이용자의 의료용 착색제가 제거된 치아 사진을 포함할 수 있으며, 나아가 이용자의 얼굴에 입막음 보조장치를 부착한 사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세치 전후 이용자의 치아상태 정보는 이용자 단말기(A)를 통해 조회될 수도 있다.
위의 기술적 구성에 따라, 세치 서비스의 전 과정은 이용자와 보호자 그리고 관리자에 의해 모니터링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자연스럽게 서비스 품질이 높은 수준에서 유지될 수 있다.
도 5 내지 7은 전술한 치아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중 하나인 세치 서비스 제공 플로우가 상기 이용자 단말기(A)의 웹/어플리케이션 통해 구현된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상기 메인 페이지(11)에서 세치 서비스 선택 영역(111)이 선택되면 전환되는 화면인 세치 이용정보입력 페이지(12)가 상기 이용자 단말기(A)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공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세치 이용정보입력 페이지(12)에는 상기 세치 서비스 이용자 정보가 입력될 수 있도록, 이용자의 이름/나이/성별이 입력되는 세치 이용자 개인정보 입력 영역(121)과, 보호자의 이름/전화번호가 입력되는 세치 보호자 개인정보 입력 영역(121), 세치 서비스 예약 날짜/시간이 입력되는 예약시간 입력 영역(123), 세치 서비스가 진행되는 거소의 주소를 입력하는 주소 입력 영역(124) 및, 세치 이용정보 확인 영역(125)이 서로 구획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세치 이용정보입력 페이지(12)에 입력된 세치 서비스 이용자 정보는 전술한 세치사 매칭 정보 전송 단계(S1)를 통해 상기 서버(S)로 전달될 수 있다.
도 6은 상기 세치 이용정보 확인 영역(125)이 선택되면 전환되는 페이지로, 세치사 목록이 리스트업되어 제공되는 세치사 선택 페이지(13)다.
상기 세치사 선택 페이지(13)에는 세치사들의 이름/경력/평점/이용후기 등의 정보들이 제공되는 세치사 정보 영역(131) 및, 매칭 요청할 세치사를 선택하는 매칭요청 영역(132)이 서로 구획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매칭요청 영역(132)을 통해 특정 세치사가 선택되면 세치사 선택 여부 판단 단계(S4)에 따라, 세치사 개인정보보호 동의 여부 판단 단계(S5)가 진행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이용자 단말기(A)의 디스플레이는 도 7에 도시된 세치사 개인정보보호 페이지(14)가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세치사 개인정보보호 페이지(14)에는 세치사 개인정보보호 설명 영역(141)과 동의 선택 영역(142) 및 미동의 선택 영역(143)이 서로 구획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세치사 개인정보보호 페이지(14)를 통해 전술한 세치사 개인정보보호 동의 여부 판단 단계(S5)가 진행될 수 있다.
도 8 내지 12는 전술한 치아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중 세치 서비스 제공 플로우가 상기 세치사 단말기(B)의 웹/어플리케이션 통해 구현된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먼저 도 8을 살펴보면, 상기 세치사 단말기(B)의 디스플레이에는 세치 요청 단계(S7)에 따른 세치 매칭 페이지(21)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세치 매칭 페이지(21)에는 이용자의 성명/주소/예약시간/나이/성별이 기재된 이용자 정보 영역(211), 매칭승인 영역(212), 매칭스킵 영역(213)이 서로 구획되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매칭스킵 영역(213)이 선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세치요청 승인 여부 판단 단계(S9)에 따라 매칭이 거절되고, 매칭승인 영역(212)이 선택된 것으로 판단되면 도 9의 이용자 개인정보보호 페이지(22)로 전환될 수 있다.
상기 이용자 개인정보보호 페이지(22)에는 이용자 개인정보보호 설명 영역(221)과 동의 선택 영역(222) 및 미동의 선택 영역(223)이 서로 구획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이용자 개인정보보호 페이지(22)를 통해 전술한 이용자 개인정보보호 동의 여부 판단 단계(S9)가 진행될 수 있다.
도 10은 상기 세치 가이드 정보 전송 단계(S11)에 의해 제공되는 세치 가이드 페이지(23)로, 전술한 세치 방법 및 세치 시 주의사항이 기재된 세치 설명 영역(231)과 확인 영역(232)이 서로 구획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세치 가이드 페이지(23)에서 확인 영역(232) 선택되면, 상기 세치사 단말기(B)의 디스플레이에는 도 11에 도시된 세치전 포토 페이지(24)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세치전 포토 페이지(24)에는 이용자의 치아상태 정보 중 하나인 이용자의 치아 및 안면골격 사진을 업로드하는 세치전 포토 업로드 영역(241)과, 세치전 포토 업로드 확인 영역(241)이 서로 구획되어 배치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세치전 포토 업로드 영역(241)은 이용자의 치아에 의료용 착색제(세균 반응시 변색되는 성질 이용)가 치아에 도포된 사진들이 업로드될 수 있다.
또한, 세치전 포토 업로드 영역(241)에는 이용자의 얼굴골격 사진이 업로드 될 수도 있으며, 상술한 사진들은 가이드 선(점선)을 따라 촬영되어 업로드될 수 있다.
업로드 이후, 세치전 포토 업로드 확인 영역(241)이 선택되면, 상기 세치전 치아 상태 정보 전송 단계(S12)가 진행되고, 상기 세치사 단말기(B)의 디스플레이에는 도 12에 도시된 세치후 포토 페이지(25)가 제공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세치후 포토 페이지(25)에는 이용자의 치아상태 정보 중 하나인 이용자의 치아 및 안면골격 사진을 업로드하는 세치후 포토 업로드 영역(251)과, 세치후 포토 업로드 확인 영역(251)이 서로 구획되어 배치될 수 있다.
세치후 포토 업로드 영역(251)은 이용자의 치아에 도포된 의료용 착색제(세균 반응시 변색되는 성질 이용)가 세치에 의해 제거된 사진들이 업로드될 수 있다.
한편, 세치전 포토 업로드 영역(251)에는 입막음 보조장치(L)가 사용자의 윗입술과 아랫입술에 걸쳐에 부착된 이용자의 얼굴골격 사진이 업로드 될 수 있다.
상기 입막음 보조장치(L)는 이용자의 구강이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폐렴을 방지하고, 입술주변 근육의 벡터합이 0이 되도록 닫혀있는 계를 형성하여 이용자의 골격이 변형되는 문제를 방지하고 골격이 다시 정상적으로 균형을 이루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세치후 사진들 역시 가이드 선(점선)을 따라 촬영되어 업로드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세치후 포토 업로드 확인 영역(251)이 선택됨에 따라 상기 세치전 치아 상태 정보 전송 단계(S13)가 진행되고, 세치 서비스가 마무리될 수 있다.
한편, 세치 서비스 중 누적된 상태 정보를 이용자, 보호자, 세치사, 관리자 및 치과가 이용하여, 보다 나은 치아관리 서비스를 이용자에게 제공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세치 서비스를 통해 골격을 교정하는 과정은 다소 긴 시간(6개월에서 3년)이 소요되므로, 이를 즉각적으로 수치화하여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용자가 교정 효과를 인지하고 지속적으로 수행하도록 할 필요성 역시 존재한다.
이러한 필요에 의해 구성된 것으로, 이하 도 13을 참조하여 골격의 상태를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골격변화 분석 플로우를 설명한다.
상기 골격변화 분석 플로우는 신체 골격사진이 상기 이용자 단말기(A)에서 상기 서버(S)로 전송되는 사진 전송 단계(K1), 상기 서버(S)의 통계관리부(93)에서 상기 신체골격 사진을 분석하여 골격 균형 상태를 수치화한 골격상태 정보를 도출하는 골격데이터 분석 단계(K2) 및, 상기 골격상태 정보가 상기 서버(S)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A)로 송신되는 골격상태 정보 전송 단계(K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골격상태 정보는 치아의 균일 배열 및 좌우 균형 정도, 구강의 좌우 균형 정도, 안면 돌출 정도, 신체를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는 중심축의 기울기에 관한 바디 밸런스 형성 정도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자신의 치아배열, 구강, 안면골격, 허리, 다리, 전신 사진 등을 촬영하고 이를 개인 단말기에 업로드하기만 하면, 골격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음은 물론, 교정에 따른 변화 추이까지 파악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골격변화 분석 플로우는 이용자가 자신의 신체골격 정보의 의료연구 목적 이용에 동의한다는 의미가 담긴 정보가 상기 이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서버(S)로 전송되는 골격상태 정보 이용 동의 단계(K4)와, 이용 동의에 대한 반대 급부로 상기 서버(S)에서 상기 이용자 단말기(A)로 리워드(포인트, 바우쳐 등)가 제공되는 리워드 단계(K5)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리자는 사용자의 신체상태 정보에 관한 방대한 빅데이터를 의료 연구에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골격변화 분석 플로우가 구체적으로 구현된 일례로, 상기 메인 페이지(2)에서 히스토리 조회 선택 영역(112)이 선택되면, 상기 고객 단말기(A)의 디스플레이에는 도 14에 도시된 신체 부위선택 페이지(31)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신체 부위선택 페이지(31)는 골격상태 정보를 조회하고자 하는 신체 부위를 선택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신체 부위선택 페이지(31)에는 선택에 의해 치열 분석 페이지(32)로 전환되는 치열 선택 영역(311), 구강 분석 페이지(33)로 전환되는 구강 선택 영역(312), 안면골격 분석 페이지(34)로 전환되는 안면골격 선택 영역(313) 및, 전신골격 분석 페이지(35)로 전환되는 전신골격 선택 영역(314)이 서로 구획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 15는 치열 분석 페이지(32)로, 치아 전방의 좌우균형 및 고르기가 수치화되어 제공되는 치열 분석 영역(321)과, 치열 분석 정보가 의료연구 목적으로 이용될 수 있음에 동의하기 위한 치열 분석 정보 기부 영역(322)이 서로 구획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 15는 구강 분석 페이지(33)로, 구강의 좌우균형이 수치화되어 제공되는 구강 분석 영역(331)과, 구강 분석 정보가 의료연구 목적으로 이용될 수 있음에 동의하기 위한 구강 분석 정보 기부 영역(332)이 서로 구획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16은 안면골격 분석 페이지(34)로, 안면의 좌우균형 및 돌출상태가 수치화되어 제공되는 안면골격 분석 영역(341)과, 안면골격 분석 정보가 의료연구 목적으로 이용될 수 있음에 동의하기 위한 안면골격 분석 정보 기부 영역(342)이 서로 구획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 17은 전신골격 분석 페이지(35)로, 신체를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는 중심축의 기울기에 관한 바디 밸런스가 수치화 되어 제공되는 전신골격 분석 영역(351)과, 전신골격 분석 정보가 의료연구 목적으로 이용될 수 있음에 동의하기 위한 전신골격 분석 정보 기부 영역(352)이 서로 구획되어 배치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치아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중 교정 서비스 제공 플로우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교정이란, 이미 변형된 치아와 골격을 정상상태로 회복시키는 과정뿐만 아니라, 정상상태의 치아와 골격 구조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예방적 치료도 포함할 수 있다.
교정 치료의 일례로는 하악위 회복 스플린트 장치 치료 등이 있으며, 이는 후하방으로 변위된 하악위를 정상 위치로 회복시키거나 추가 변형을 방지하여 하기도를 확보하는 교정 치료방식 중 하나이다.
상기 메인 페이지(11)에서 교정 서비스 선택 영역(113)이 선택되면 교정 서비스 제공 플로우가 진행될 수 있으며, 이하 도 19를 참조하여 교정 서비스 제공 플로우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관리 서비스 제공방법은 교정 서비스 이용자 정보가 상기 이용자 단말기(A)에서 상기 서버(S)로 송신되는 치과 매칭 정보 전송 단계(T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교정 서비스 이용자 정보는 이용자의 성명/나이/성별, 보호자의 성명/전화번호, 주소, 의료보험 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교정 서비스를 이용자(환자)가 직접 신청할 수 있음은 물론, 이용자의 신체가 극히 불편한 경우에는 보호자(법률적 보호자뿐만 아니라, 이용자가 상주하는 의료기관도 가능)가 대신 신청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관리 서비스 제공방법은 상기 서버에서 교정 서비스가 가능한 치과를 추출하는 치과 목록 리스트업 단계(T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치과 목록 리스트업 단계(T2)에서는 이용자의 주소를 기준으로 소정거리 내에 있는 치과들로 리스트가 추출됨이 바람직하며, 리스트업된 치과 목록은 이용자에 의해 평가된 평점이 높은 순으로 재정렬될 수 있다.
다음으로, 리스트업되고 재정렬된 치과 목록이 상기 서버(S)에서 상기 이용자 단말기(A)로 전송되는 치과 목록 전송 단계(T3)가 더 진행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이용자 단말기(A)에는 매칭 요청이 가능한 치과 목록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치과 목록에는 각각의 치과에 대한 업체명/위치/평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가 기재될 수 있다.
이후, 이용자에 의해 특정 치과가 선택되면 상기 이용자 단말기(A)에서는 치과 선택 여부 판단 단계(T4)가 더 진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용자 또는 보호자는 리스트업된 치과들 중 원하는 치과에 교정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원격 교정 진료가 가능하게 된다.
다음으로, 치과 선택 여부 판단 단계(T4)에서 특정 치과가 선택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이용자 단말기(A)에서는 개인정보제공 동의 여부 판단 단계(T5)가 더 진행될 수 있다.
상기 개인정보제공 동의 여부 판단 단계(T5)는 상기 서버(S)에 저장된 이용자의 개인 신체상태 정보(골격, 세치이력, 교정이력)를 치과에서 조회하여 원격 진료를 수행하기 위해 진행되는 절차이다.
상기 개인정보제공 동의 여부 판단 단계(T5)에서 동의가 선택되지 않은 것(미동의)으로 판단되면 치과 목록이 다시 리스트업되고 상기 치과 선택 여부 판단 단계(T4)가 다시 진행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개인정보제공 동의 여부 판단 단계(T5)에서 동의가 선택되면, 상기 리스트업된 치과 목록에서 치과 정보가 상기 이용자 단말기(A)에서 상기 서버(S)로 송신되는 교정진료 매칭 요청 단계(T6)와, 상기 서버(S)에서 상기 치과 정보에 해당하는 치과의 치과 단말기(D)로 상기 교정 서비스 이용자 정보가 송신되는 교정 진료 요청 단계(T7)가 순차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치과 단말기(D)에서는 이용자의 교정 진료 요청에 치과가 승인을 했는지 확인하는 진료요청 승인 여부 판단 단계(T8)가 더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진료요청 승인 여부 판단 단계(T8)는 치과도 이용자의 진료 여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진료요청 승인 여부 판단 단계(T8)에서 승인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매칭 절차는 중단되고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매칭 거절 메시지가 제공될 수 있으며,
반면, 상기 진료요청 승인 여부 판단 단계(T8)에서 승인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치과 단말기(D)에서 상기 서버(S)로 세치 매칭 확정 정보가 송신되는 교정 진료 매칭 확정 단계(T10)가 진행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서버(S)에서 상기 치과 단말기(B)로 이용자의 개인 신체상태 정보(골격, 세치이력, 교정이력)가 송신되는 이용자 신체상태 정보 전달 단계(T10)가 진행될 수 있다.
상술한 플로우에 따라, 이용자와 치과가 유연하게 매칭될 수 있음은 물론, 기존의 누적된 개인 데이터를 활용하여 보다 효율적인 원격 진료를 수행할 수 있다.
나아가, 교정 진료에 따라서 교정장치를 장착해야 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 치과는 세치사를 통해 교정장치를 이용자(환자)에게 배달하고 경과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관리 서비스 제공방법은 상기 치과 단말기(D)에서 상기 서버(S)로 교정장치 제작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교정장치 제작 완료 정보 전달 단계(T11) 및, 완성된 교정장치의 소재(치과기공소)와 이용자 주소정보를 포함하는 배달 정보를 상기 서버(S)에서 상기 세치사 단말기(B)로 송신하는 교정장치 배달 요청 단계(T12)를 더 포함할 수있다.
이에 따라, 교정장치가 이용자에게 빠르게 배송될 수 있으며, 세치사 단말기(B)를 통해 업로드된 사진을 바탕으로 지속적으로 교정 경과를 모니터링할 수 있게 된다.
도 20 내지 22는 교정 서비스 제공 플로우가 상기 이용자 단말기(A)의 웹/어플리케이션 통해 구현된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0는 상기 메인 페이지(11)에서 교정 서비스 선택 영역(113)이 선택되면 전환되는 화면인 교정 이용정보입력 페이지(41)가 상기 이용자 단말기(A)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공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교정 이용정보입력 페이지(41)에는 상기 교정 서비스 이용자 정보가 입력될 수 있도록, 이용자의 이름/나이/성별이 입력되는 교정 이용자 개인정보 입력 영역(411)과, 보호자의 이름/전화번호가 입력되는 교정 보호자 개인정보 입력 영역(412), 의료보험번호 입력 영역(413), 상기 교정 서비스 이용자 거소의 주소를 입력하는 주소 입력 영역(414) 및, 교정 이용정보 확인 영역(414)이 서로 구획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교정 이용정보입력 페이지(41)에 입력된 교정 서비스 이용자 정보는 전술한 치과 매칭 정보 전송 단계(T1)를 통해 상기 서버(S)로 전달될 수 있다.
도21은 상기 교정 이용정보 확인 영역(414)이 선택되면 전환되는 페이지로, 치과 목록이 리스트업되어 제공되는 치과 선택 페이지(42)다.
상기 치과 선택 페이지(42)에는 치과들의 업체명/평점/주소/이용후기 등의 정보들이 제공되는 치과 정보 영역(421) 및, 진료 요청할 치과를 선택하는 진료요청 영역(422)이 서로 구획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진료요청 영역(422)을 통해 특정 치과가 선택되면 치과 선택 여부 판단 단계(T4)에 따라, 개인정보제공 동의 여부 판단 단계(T5)가 진행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이용자 단말기(A)의 디스플레이는 도 22에 도시된 개인정보제공 동의 페이지(43)가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개인정보제공 동의 페이지(43)에는 개인정보제공 설명 영역(431)과 동의 선택 영역(432) 및 미동의 선택 영역(433)이 서로 구획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 23 내지 25는 교정 서비스 제공 플로우가 상기 치과 단말기(D)의 웹/어플리케이션 통해 구현된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먼저 도 22를 살펴보면, 상기 치과 단말기(D)의 디스플레이에는 교정 진료 요청 단계(T7)에 따른 교정진료 승인 페이지(51)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교정진료 승인 페이지(51)에는 이용자의 성명/주소/성별이 기재된 이용자 정보 영역(511), 진료승인 영역(512), 진료스킵 영역(513)이 서로 구획되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진료스킵 영역(513)이 선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진료 요청 승인 여부 판단 단계(T8)에 따라 매칭이 거절되고, 진료승인 영역(512)이 선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교정 진료 매칭 확정 단계(T9)가 진행될 수있다.
도 24는 상기 교정장치 제작 완료 정보 전달 단계(T11)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딜리버리 요청 페이지(52)로, 상기 장치 딜리버리 요청 페이지(52)에는 완성된 교정장치의 소재(치과기공소)/이용자 주소정보/교정장치 고유코드 번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배달 정보가 기재된 배달정보 영역(521)과, 배달 요청 영역(522)이 서로 구획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후, 배달 요청 영역(522)이 선택되면, 상기 교정장치 제작 완료 정보 전달 단계(T11)와 상기 교정장치 배달 요청 단계(T12)가 순차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도 53은 상기 이용자 단말기(A)와 치과 단말기(D)에 제공되는 교정 히스토리 페이지(53)로, 세치사 또는 이용자에 의해 누적하여 업로드된 사진을 바탕으로, 교정경과를 수치화하여 제공한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본 구성에 따라, 이용자와 치과는 과거 교정결과 및 현재 교정 상태를 면밀하게 살펴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지 않은 효과라도, 본 발명은 상술한 각각의 구성들이 다른 효과를 추가적으로 가지고 있을 수 있으며, 상술한 각각의 구성들간 유기적인 결합관계에 따라 종래기술에서 볼 수 없는 새로운 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
아울러,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이 다른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청구된 구성을 포함하여 실시되거나 균등범위 내에서 실시되는 경우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이용자 단말기 A 세치사 단말기 B 관리자 단말기 C
치과 단말기 D 서버 S

Claims (10)

  1. 서버, 상기 서버와 통신하는 이용자 단말기, 상기 서버와 통신하는 세치사 단말기를 를 이용한 치아관리 서비스 제공방법에 있어서,
    세치 서비스 이용자 정보가 상기 이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서버로 송신되는 세치사 매칭 정보 전송 단계;
    리스트업된 세치사 목록이 상기 서버에서 상기 이용자 단말기로 전송되는 세치사 목록 전송 단계; 및
    상기 리스트업된 세치사 목록에서 선택된 세치사 정보가 상기 이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서버로 송신되는 세치사 매칭 요청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에서 상기 세치사 정보에 해당하는 세치사 단말기로 상기 세치 서비스 이용자 정보가 송신되는 세치 요청 단계; 및
    상기 세치사 단말기에서 상기 서버로 세치 매칭 확정 정보가 송신되는 세치 매칭 확정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세치 방법 및 세치 시 주의 사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가 상기 서버에서 상기 세치사 단말기로 송신되는 세치 가이드 정보 전송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세치전 이용자의 치아 사진이 포함된 치아상태 정보가 상기 세치사 단말기에서 상기 서버로 송신되는 세치전 치아 상태 정보 전송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세치후 이용자의 치아 사진이 포함된 치아상태 정보가 상기 세치사 단말기에서 상기 서버로 송신되는 세치후 치아 상태 정보 전송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치사 매칭 요청 단계는
    상기 이용자 단말기에서 이용자의 세치사 개인정보보호 동의가 완료되었다고 판단된 경우에만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신체골격 사진이 상기 이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서버로 전송되는 사진 전송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신체골격 사진을 분석하여 골격 균형 상태를 수치화한 골격 정보를 도출하는 골격상태 분석 단계; 및
    상기 골격 정보가 상기 서버에서 상기 이용자 단말기로 송신되는 골격상태 정보 전송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이용자가 자신의 골격상태 정보를 연구목적으로 이용함에 동의한다는 의미를 포함하는 정보가 상기 이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서버로 송신되는 골격상태 정보 이용 동의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치아관리 서비스 제공방법은 상기 서버와 통신하는 치과 단말기를 더 이용하며,
    교정 서비스 이용자 정보가 상기 이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서버로 송신되는 치과 매칭 정보 전송 단계;
    리스트업된 치과 목록이 상기 서버에서 상기 이용자 단말기로 전송되는 치과 목록 전송 단계; 및
    상기 리스트업된 치과 목록에서 선택된 치과 정보가 상기 이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서버로 송신되는 교정진료 매칭 요청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교정장치 배달 정보가 상기 서버에서 상기 세치사 단말기로 송신되는 교정장치 배달 요청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KR1020190095242A 2019-08-05 2019-08-05 치아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치아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KR1023118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5242A KR102311856B1 (ko) 2019-08-05 2019-08-05 치아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치아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PCT/KR2019/015716 WO2021025230A1 (ko) 2019-08-05 2019-11-17 치아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치아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US17/633,539 US20220293229A1 (en) 2019-08-05 2019-11-17 Dental care service providing system and dental care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same
JP2022507667A JP2022544155A (ja) 2019-08-05 2019-11-17 歯の管理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及びそれを利用した歯の管理サービス提供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5242A KR102311856B1 (ko) 2019-08-05 2019-08-05 치아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치아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6882A true KR20210016882A (ko) 2021-02-17
KR102311856B1 KR102311856B1 (ko) 2021-11-17

Family

ID=74502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5242A KR102311856B1 (ko) 2019-08-05 2019-08-05 치아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치아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20293229A1 (ko)
JP (1) JP2022544155A (ko)
KR (1) KR102311856B1 (ko)
WO (1) WO2021025230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4845A (ko) * 1999-11-01 2001-06-05 정성훈 네트워크 의료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10135324A (ko) * 2010-06-10 2011-12-16 주식회사 오라픽스 치과 치료용 웨이퍼 제작 서비스 방법과 그를 위한 서버 및 사용자 단말기
US20140372134A1 (en) 2013-06-17 2014-12-18 OneDoc, Inc. Online Health Care Marketplace
KR20160054377A (ko) * 2014-11-06 2016-05-16 김웅대 유무선 통신을 이용한 치과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142142A (ko) * 2015-06-02 2016-12-12 와이메디칼네트워크 주식회사 치아 3d 스캐닝 데이터를 이용한 치과 이력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90056166A (ko) * 2017-11-16 2019-05-24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온라인 구강건강상태 진단방법 및 온라인 구강건강상태 진단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70993B2 (en) * 2000-03-02 2014-03-11 PriceDoc, Inc.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n on-line healthcare open market exchange
US7904307B2 (en) * 2000-03-24 2011-03-08 Align Technology, Inc. Health-care e-commerce systems and methods
DE10346670A1 (de) * 2003-10-08 2005-05-04 Kaltenbach & Voigt Schnittstellen-Einheit für zahnärztlichen oder dentalen Behandlungs-/Arbeitsplatz zur Weiterleitung von Bildinformationen enthaltenden Signalen
US20080146887A1 (en) * 2004-11-30 2008-06-19 Rao Raman K Intelligent personal health management appliances for external and internal visualization of the human anatomy and for dental/personal hygiene
KR101177712B1 (ko) * 2010-09-10 2012-08-28 주식회사 비트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한 환자 맞춤형 의료 서비스 매칭 방법
US20140032233A1 (en) * 2012-07-26 2014-01-30 Don Bodin System for the interchange of dental prescriptions
US20140372147A1 (en) * 2013-06-13 2014-12-18 NaviNet, Inc. Systems, methods, and environment for identification and processing of medical events
KR101788030B1 (ko) * 2016-06-15 2017-11-15 주식회사 카이아이컴퍼니 구강질환 위험도 진단 및 구강관리 시스템과 그 방법
KR20190053446A (ko) * 2017-11-10 2019-05-20 서울대학교치과병원 구강 진단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4845A (ko) * 1999-11-01 2001-06-05 정성훈 네트워크 의료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10135324A (ko) * 2010-06-10 2011-12-16 주식회사 오라픽스 치과 치료용 웨이퍼 제작 서비스 방법과 그를 위한 서버 및 사용자 단말기
US20140372134A1 (en) 2013-06-17 2014-12-18 OneDoc, Inc. Online Health Care Marketplace
KR20160054377A (ko) * 2014-11-06 2016-05-16 김웅대 유무선 통신을 이용한 치과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142142A (ko) * 2015-06-02 2016-12-12 와이메디칼네트워크 주식회사 치아 3d 스캐닝 데이터를 이용한 치과 이력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90056166A (ko) * 2017-11-16 2019-05-24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온라인 구강건강상태 진단방법 및 온라인 구강건강상태 진단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1856B1 (ko) 2021-11-17
WO2021025230A1 (ko) 2021-02-11
JP2022544155A (ja) 2022-10-17
US20220293229A1 (en) 2022-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Vorrink et al. Efficacy of an mHealth intervention to stimulate physical activity in COPD patients after pulmonary rehabilitation
Mascarenhas Patient satisfaction with the comprehensive care model of dental care delivery
Sondell et al. Dentist—patient communication: a review of relevant models
US20020010596A1 (en) Remote patient care
Kelso et al. Educational and long-term therapeutic intervention in the ED: effect on outcomes in adult indigent minority asthmatics
Riley III et al. Components of patient satisfaction with a dental restorative visit: results from the Dental Practice-Based Research Network
Lowrey et al. The impact of internet use on the public perception of physicians: a perspective from the sociology of professions literature
Kumar et al. Using smartphone video “selfies” to monitor change in toothbrushing behavior after a brief intervention: A pilot study
Mitchell Perceptions of empathy and client satisfaction with managed behavioral health care
Tsvyakh et al. Telerehabilitation of patients with injuries of the lower extremities
Turner-Stokes et al. Clinical standards for inpatient specialist rehabilitation services in the UK
KR20180057194A (ko) 헬스케어 플랫폼과 연동하는 전기자극 치료 모니터링 시스템
KR20210016882A (ko) 치아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치아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Turner-Stokes et al. Development and initial validation of the Northwick Park therapy dependency assessment
Gaumer et al. Chiropractic users and nonusers: differences in use, attitudes, and willingness to use nonmedical doctors for primary care
Young et al. Orthotic care needs in a cohort of neurological rehabilitation inpatients
JP2023532967A (ja) 睡眠障害を有する個人および治療に対する傾向を特定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Verulkar et al. Evaluation of the awareness of different orthodontic treatment appliances in patients undergoing orthodontic treatment of Maharashtra–A survey
Sahu et al. Patient satisfaction from dental services provided by multan medical & dental college
Shah et al. Skilled nursing facility functional rehabilitation outcome: Analyses of stroke admissions
Gaddis Thank You Missourians Who" Get" the COVID Sacrifices
KR20220119557A (ko) 신체상태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방법
Worley et al. A comparison of dental restoration outcomes after placement by restorative function auxiliaries versus dentists
US20240029888A1 (en) Generating and traversing data structures for automated classification
Fang et al. Telerehabilitation acceptance among patients during Circuit Breaker period: A retrospective stud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