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6686A - 곤충알 및 산란캡슐 수거장치 - Google Patents

곤충알 및 산란캡슐 수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6686A
KR20210016686A KR1020190094750A KR20190094750A KR20210016686A KR 20210016686 A KR20210016686 A KR 20210016686A KR 1020190094750 A KR1020190094750 A KR 1020190094750A KR 20190094750 A KR20190094750 A KR 20190094750A KR 20210016686 A KR20210016686 A KR 202100166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sule
extraction
insect eggs
spawning
support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47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6367B1 (ko
Inventor
유형종
유태종
권희택
Original Assignee
유형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형종 filed Critical 유형종
Priority to KR10201900947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6367B1/ko
Publication of KR202100166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66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63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63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7/00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or modified breeds of animals
    • A01K67/033Rearing or breeding invertebrates; New breeds of invertebrat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란공간이 형성된 몸체부와, 상기 산란공간에 위치하면서 상기 산란공간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한 추출부재를 포함하는 캡슐부재; 상기 캡슐부재가 삽입되는 캡슐삽입홀이 형성된 산란유인부재; 상기 산란유인부재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추출부재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추출로드가 형성된 베이스몸체와, 상기 추출로드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캡슐부재를 탈거하는 탈거하우징과, 상기 베이스몸체와 상기 탈거하우징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탈거하우징을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캡슐분리부재; 및 상기 추출부재가 슬라이드 이동시 상기 캡슐부재가 상기 캡슐삽입홀에서 탈거되지 않도록, 상기 캡슐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바와 상기 지지바를 상기 산란유인부재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시키는 회전축부재를 포함하는 탈거방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알 및 산란캡슐 수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곤충알을 수집하기 위한 캡슐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캡슐부재에 수집된 곤충알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빠른 시간에 수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또한, 곤충알이 수집된 캡슐부재를 탈거하여 캡슐부재 자체를 수거하거나, 캡슐부재에 형성된 추출부재를 통해 곤충알만을 수거할 수 있어, 곤충알 수거의 요구형태에 맞추어 캡슐부재에 수집된 곤충알을 효율적으로 수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곤충알 및 산란캡슐 수거장치{Apparatus for collecting insect eggs and oviposition capsule}
본 발명은 곤충알 수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산란공간이 형성된 캡슐부재에 곤충의 산란을 유도하여 곤충알을 수집한 후, 곤충알이 수집된 캡슐부재를 직접 수거하거나, 캡슐부재의 산란공간에 수집된 곤충알만을 수거할 수 있는 곤충알 수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가정, 식당 등에서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 산업현장에서 발생되는 유기성 폐기물, 축사에서 발생되는 축분 및 인분 등과 같은 유기성 폐기물은 처리없이 배출되는 경우 토양과 하천 등에 심각한 환경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
종래 방식에 따르면, 특정 처리 과정을 통해서 유기성 폐기물을 가축의 사료 또는 퇴비로 재활용하는 방법, 일정 지역에 매립하거나 해양 투기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었다.
이 경우 처리 장치의 설치비용과 유지비용면에서 경제성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배출물을 그대로 사료로 사용하는 경우는 괴질 발생 등 부작용이 크고, 퇴비화의 경우도 재발열 및 비효성 불균형과 같은 문제가 있다.
현재 이와 같은 문제점 해결을 위해 지렁이, 집파리 유충과 같은 생물을 이용하여 유기성 폐기물을 처리하는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으며, 이 경우 배출된 분변토는 비효성이 탁월하여 농경지, 원예, 과수원 등의 경작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고, 식물의 성장과 생산물의 수확량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생물 중에서 동애등에는 알에서 성충까지 크는 기간이 37∼41일이며, 분해자 역할을 하는 유충의 기간은 14일 정도이다.
동애등에 유충은 유기성 폐기물을 분해할 수 있는 기간(약 14일)이 지나면 번데기가 되기 위해 건조한 장소를 찾으러 바깥으로 기어나오는 습성이 있다.
음식물 쓰레기 10kg에 동애등에 유충 5000마리를 투입하면 5일 만에 음식물 쓰레기의 80% 이상이 분해되고, 분해된 음식물 쓰레기는 유층 투입 전보다 부피는 약 42%, 무게는 약 70% 정도로 줄어든다.
동애등에 유충은 유기성 폐기물을 분해할 수 있는 기간이 지렁이나 집파리보다 길기 때문에 동애등에를 사육해서 활용하는 것이 훨씬 더 효과적이다.
따라서 이러한 유용한 효과를 가지는 동애등에 유충을 대량으로 증식하는 장치가 개발되고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본 출원인은 수집된 동애등에 알을 깨지지 않게 하면서도, 간편하게 수거할 수 있는 곤충 알 수거장치를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066758호에 개시한 바 있다.
그러나 개시된 곤충 알 수거장치를 이용하여 캡슐부재에 동애등에의 알을 수집한다고 하더라도, 캡슐부재에 수집된 동애등에의 알을 다시 캡슐부재로부터 수거하는 작업이 수행되어야 하고,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066758호에는 이러한 작업에 관한 수단을 제시하고 있지 않으며, 따라서, 동애등에의 알을 캡슐부재에 수집하면서도, 캡슐부재로부터 다시 동애등에의 알을 수거할 수 있는 장치 또는 방법의 개발이 요청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066758(2018.06.19. 공개)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곤충알을 수집하기 위한 캡슐부재를 구비하고, 캡슐부재로부터 수집된 곤충알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도 빠른 시간에 수거할 수 있는 곤충알 수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더 나아가, 곤충알이 수집된 캡슐부재를 직접 수거하거나, 캡슐부재에 수집된 곤충알만을 수거할 수 있어, 작업환경에 따라 두 가지 모드로 사용될 수 있는 곤충알 수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산란공간이 형성된 몸체부와, 상기 산란공간에 위치하면서 상기 산란공간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한 추출부재를 포함하는 캡슐부재; 상기 캡슐부재가 삽입되는 캡슐삽입홀이 형성된 산란유인부재; 상기 산란유인부재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추출부재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추출로드가 형성된 베이스몸체와, 상기 추출로드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캡슐부재를 탈거하는 탈거하우징과, 상기 베이스몸체와 상기 탈거하우징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탈거하우징을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캡슐분리부재; 및 상기 추출부재가 슬라이드 이동시 상기 캡슐부재가 상기 캡슐삽입홀에서 탈거되지 않도록, 상기 캡슐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바와 상기 지지바를 상기 산란유인부재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시키는 회전축부재를 포함하는 탈거방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알 및 산란캡슐 수거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탈거방지부재는, 상기 지지바와 힌지결합하여 상기 지지바를 회전시키는 작동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알 및 산란캡슐 수거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지지바의 끝단에는 수취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알 및 산란캡슐 수거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탈거방지부재가 다수개 구비되고, 다수개의 상기 작동바들이 일체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작동바들을 상호연결 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알 및 산란캡슐 수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곤충알을 수집하기 위한 캡슐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캡슐부재에 수집된 곤충알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빠른 시간에 수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또한, 곤충알이 수집된 캡슐부재를 탈거하여 캡슐부재 자체를 수거하거나, 캡슐부재에 형성된 추출부재를 통해 곤충알만을 수거할 수 있어, 곤충알 수거의 요구형태에 맞추어 캡슐부재에 수집된 곤충알을 효율적으로 수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곤충알 및 산란캡술 수거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곤충알 및 산란캡술 수거장치의 전체 구성 및 일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캡슐부재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캡슐부재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산란유인부재 및 탈거방지부재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거방지부재에 작동바가 포함된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지바에 수취부가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곤충알 및 산란캡술 수거장치에 연결부재가 포함된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추출부재가 곤충알을 추출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캡슐부재가 캡슐삽입홀로부터 탈거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곤충알 및 산란캡술 수거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곤충알 및 산란캡술 수거장치의 전체 구성 및 일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캡슐부재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캡슐부재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산란유인부재 및 탈거방지부재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거방지부재에 작동바가 포함된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지바에 수취부가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곤충알 및 산란캡술 수거장치에 연결부재가 포함된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추출부재가 곤충알을 추출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캡슐부재가 캡슐삽입홀로부터 탈거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곤충알 및 산란캡슐 수거장치는, 산란공간(111)이 형성된 몸체부(110)와, 산란공간(111)에 위치하면서 산란공간(111)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한 추출부재(130)를 포함하는 캡슐부재(100); 캡슐부재(100)가 삽입되는 캡슐삽입홀(210)이 형성된 산란유인부재(200); 산란유인부재(200)의 하부에 위치하고, 추출부재(130)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추출로드(330)가 형성된 베이스몸체(310)와, 추출로드(330)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하여 캡슐부재(100)를 탈거하는 탈거하우징(350)과, 베이스몸체(310)와 탈거하우징(350) 사이에 위치하여, 탈거하우징(350)을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370)를 포함하는 캡슐분리부재(300); 및 추출부재(130)가 슬라이드 이동시 캡슐부재(100)가 캡슐삽입홀(210)에서 탈거되지 않도록, 캡슐부재(100)를 지지하는 지지바(410)와 지지바(410)를 산란유인부재(200)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시키는 회전축부재(430)를 포함하는 탈거방지부재(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각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캡슐부재(100)는, 산란공간(111)이 형성된 몸체부(110)와, 산란공간(111)에 위치하면서 산란공간(111)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한 추출부재(130)를 포함한다.
몸체부(110)는 일예로 원통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몸체부(110)의 내부에는 곤충이 알을 산란할 수 있는 산란공간(111)이 형성된다.
산란공간(111)은 몸체부(110)의 양 끝단이 연통되도록 몸체부(11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곤충은 산란관을 산란공간(111)에 삽입하여 산란공간(111)에 알을 산란할 수 있다.
이때, 몸체부(110)를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로 형성하여, 곤충이 산란공간(111)에 산란한 알들을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산란공간(111)의 내부에는 산란공간(111)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한 추출부재(130)가 위치하는데, 추출부재(130)는 산란공간(111)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도록 산란공간(111)의 단면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예컨대, 산란공간(111)의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된 경우, 추출부재(130)는 산란공간(111)의 단면지름과 대응하는 단면지름을 갖는 원판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추출부재(130)는 산란공간(111)의 양 끝단 중 어느 하나에 위치하여, 후술하는 추출로드(330)에 의해 산란공간(111)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함으로써, 산란공간(111)에 산란된 곤충알들을 캡슐부재(100) 외부로 추출하게 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캡슐부재(100)는, 몸체부(110)의 내주면에는 가이드홈(113)이 형성되고, 추출부재(130)의 외주면에는 가이드홈(113)에 삽입되는 돌기부(13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이드홈(113)은 몸체부(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몸체부(110)의 내주면에 함몰되어 형성되며, 돌기부(131)는 추출부재(130)의 외주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는데, 돌기부(131)의 형상 및 개수는 가이드홈(113)의 내주면 형상 및 몸체부(110)의 내주면에 형성된 개수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추출부재(130)의 외주면에 형성된 돌기부(131)가 몸체부(110)의 내주면에 형성된 가이드홈(113)에 삽입되어 돌기부(131)가 몸체부(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가이드홈(113)에 의해 가이드 됨으로써, 추출부재(130)가 산란공간(111)의 길이방향으로 안정적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고, 이로써, 추출부재(130)가 산란공간(111)에서 틀어져 슬라이딩 이동함으로써 곤충알이 새어나가거나, 손상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홈(113′)의 양 끝단에는 산란공간(111′)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스토퍼(115)가 구비되어, 추출부재(130′)가 슬라이딩 이동 시 몸체부(110′)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돌기부(131′)는 스토퍼(115)가 가이드홈(113′)에서 형성된 길이만큼, 추출부재(130′)의 양 끝단에서 이격되어 돌출형성 될 수 있으며, 이로써 추출부재(130′)가 산란공간(111′)의 양 끝단으로 슬라이딩 이동했을 때에 돌기부(131′)가 스토퍼(115)에 걸리게 되어, 추출부재(130′)가 몸체부(110′)의 양 끝단에 돌출되어 위치하거나, 또는 함몰되어 위치하지 않게 할 수 있다.
한편, 추출부재(130′)가 후술하는 추출로드(330)에 의해 산란공간(111′)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산란공간(111′)의 곤충알을 캡슐부재(100′)의 외부로 추출하는 경우, 추출부재(130′)는 산란공간(111′)의 끝단에서 스토퍼(115)에 의해 걸리게 되어 몸체부(110′)의 외부로 이탈하지 않고 멈추게 되는데, 이때, 후술하는 산란유인부재(200)에 형성된 캡슐삽입홀(210)에서 캡슐부재(100′)를 탈거한 후, 상하를 뒤집어 캡슐삽입홀(210) 재삽입함으로써, 산란공간(111′)에 곤충의 산란을 다시 유도할 수 있다.
이어서, 산란유인부재(200)는, 캡슐부재(100)가 삽입되는 캡슐삽입홀(210)이 형성된다.
산란유인부재(200)는 다면체, 다각기둥 등의 입체 구조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예로 육면체의 박스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또한, 플라스틱, 나무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산란유인부재(200)에는 상술한 캡슐부재(100)를 삽입할 수 있는 캡슐삽입홀(210)이 다수개 형성될 수 있는데, 좀 더 구체적으로 캡슐삽입홀(210)은 산란유인부재(200)의 두께방향으로 산란유인부재(200)의 양 끝단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이때, 캡슐삽입홀(210)의 단면지름은 캡슐부재(100)의 단면지름에 대응하여 형성하되, 캡슐부재(100)의 단면지름보다 미세하게 작게 형성하여, 캡슐부재(100)가 별도의 지지수단 없이 캡슐삽입홀(210)에 끼움결합하여 고정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어서, 캡슐분리부재(300)는, 산란유인부재(200)의 하부에 위치하고, 추출부재(130)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추출로드(330)가 형성된 베이스몸체(310)와, 추출로드(330)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하여 캡슐부재(100)를 탈거하는 탈거하우징(350)과, 베이스몸체(310)와 탈거하우징(350) 사이에 위치하여, 탈거하우징(350)을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370)를 포함한다.
먼저, 베이스몸체(310)는 다면체, 다각기둥 등의 입체 구조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술한 산란유인부재(200)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몸체(310)는 후술하는 추출로드(330) 및 탈거하우징(350)이 산란유인부재(200)에 형성된 캡슐삽입홀(210)에 삽입되어 캡슐부재(100)를 탈거하거나, 추출부재(130)를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도록, 산란유인부재(200)의 하부에 위치한다.
이어서, 추출로드(330)는 산란유인부재(200) 방향으로 베이스몸체(310)에서 돌출 형성되며, 추출로드(330)는 끝단이 추출부재(130)와 접촉하면서 산란공간(111)으로 삽입될 수 있고, 추출로드(330)가 산란공간(111)에 삽입된 만큼, 추출부재(130)를 산란공간(111)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추출로드(330)는 추출부재(130)를 산란공간(111)의 끝단까지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어야하므로, 산란공간(111)의 길이보다는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탈거하우징(350)은 추출로드(33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한다.
탈거하우징(350)의 내부에는 추출로드(330)가 관통삽입되는 결합홀(351)이 형성되는데, 결합홀(351)에 추출로드(330)가 관통삽입됨으로써, 탈거하우징(350)은 추출로드(330)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한다.
탈거하우징(350)은 캡슐부재(100)의 몸체부(110) 끝단과 접촉하면서 캡슐삽입홀(210)로 삽입될 수 있고, 탈거하우징(350)이 캡슐삽입홀(210)에 삽입된 만큼, 캡슐부재(100)를 캡슐삽입홀(210)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어서, 탄성부재(370)는 베이스몸체(310)와 탈거하우징(350) 사이에 위치하여, 탈거하우징(350)을 탄성지지한다.
캡슐부재(100)를 캡슐삽입홀(210)에서 탈거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탈거하우징(350)이 추출로드(330)의 끝단에 위치하여야 하는데, 탄성부재(370)는 탈거하우징(350)이 캡슐부재(100)를 캡슐삽입홀(210)에서 탈거할 때에, 추출로드(330)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지 않고 추출로드(330)의 끝단에 위치할 수 있도록, 탈거하우징(350)을 지지하게 된다.
이어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거방지부재(400)는, 추출부재(130)가 슬라이드 이동시 캡슐부재(100)가 캡슐삽입홀(210)에서 탈거되지 않도록, 캡슐부재(100)를 지지하는 지지바(410)와 지지바(410)를 산란유인부재(200)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시키는 회전축부재(430)를 포함한다.
지지바(410)는 일예로 육면체의 바(bar)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산란유인부재(200)의 길이방향으로 정렬되었을 때 지지바(410)의 양 끝단이 캡슐삽입홀(210)에 삽입되어 있는 캡슐부재(100) 상부의 일부를 지지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탈거하우징(350)이 탄성부재(370)에 의해 탄성지지되어 추출로드(330)의 끝단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산란유인부재(200)에 결합된 지지바(410)의 끝단을 캡슐부재(100)의 상부에 위치시켜, 추출부재(130)를 산란공간(1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시킬 때에 캡슐부재(100)의 상부가 지지바(410)의 끝단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캡슐부재(100)가 캡슐삽입홀(210)에서 탈거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지지바(410)는 산란유인부재(200)에 형성된 결합홈(230)에 결합하는 회전축부재(430)가 삽입되어 통과되는 결합홀(411)이 형성되고, 회전축부재(430)가 결합홀(411)을 통과하여 결합홈(230)에 결합함으로써, 지지바(410)는 산란유인부재(200)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추출부재(130)을 슬라이드 이동시켜 곤충알만을 추출하고 할 때에는, 캡슐부재(100)가 캡슐삽입홀(210)으로부터 탈거되지 않도록, 캡슐부재(100)의 상부를 지지바(410)의 끝단에 의해 지지할 필요가 있지만, 캡슐부재(100) 자체를 캡슐삽입홀(210)으로부터 탈거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캡슐부재(100)의 상부가 지지바(410)의 끝단에 의해 지지 되어서는 안된다.
따라서, 지지바(410)를 산란유인부재(200)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시킴으로써, 추출부재(130)을 슬라이드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지지바(410)의 끝단이 캡슐부재(100)의 상부의 일부를 지지하도록 위치시키고, 캡슐부재(100)를 탈거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지지바(410)를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시켜 캡슐부재(100)의 상부를 지지하지 않도록 구성한 것이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거방지부재(400)는, 지지바(410)와 힌지결합(H)하여 상기 지지바(410)를 회전시키는 작동바(4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작동바(450)는 일예로 육면체의 바(bar)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결합홀(411)에서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된 거리에서 지지바(410)와 힌지결합(H)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지지바(410)가 산란유인부재(200)의 길이방향으로 정렬된 상태에서, 작동바(450)는 산란유인부재(200)의 폭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고, 이때 작동바(450)를 산란유인부재(200)의 폭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작동바(450)에 힌지결합(H)하고 있는 지지바(410)는 산란유인부재(2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이 가능하다.
즉, 지지바(410)에 힌지결합(H)하는 작동바(450)를 구비하고, 작동바(450)를 이동시킴으로써 지지바(410)를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산란유인부재(200)에는 다수개의 탈거방지부재(400)들이 결합되고, 이때 산란유인부재(200)의 폭방향으로 정렬되어 결합된 지지바(410)들을 하나의 작동바(450)에 각각 힌지결합(H)하여, 하나의 작동바(450)를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다수개의 지지바(410)를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지바(410)의 끝단에는 수취부(41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출부재(130)를 슬라이드 이동시켜 산란공간(111)의 곤충알을 추출해내고자 할 때, 캡슐부재(100)가 캡슐삽입홀(210)으로부터 탈거되지 않도록 지지바(410)의 끝단을 캡슐부재(100)의 상부에 위치시키게 되는데, 이때, 지지바(410)의 끝단에 고리형상의 수취부(413)를 형성하여 지지바(410)를 회전시켜 캡슐부재(100) 상부에 대한 지지를 해제시킬 때에, 수취부(413)가 곤충알을 감싸 지지바(410)와 함께 이동함으로써 추출부재(130) 상에서 곤충알을 제거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곤충알 및 산란캡슐 수거장치는, 탈거방지부재(400)가 다수개 구비되고, 다수개의 상기 작동바(450)들이 일체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작동바(450)들을 상호연결 하는 연결부재(5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산란유인부재(200)에는 다수개의 탈거방지부재(400)들이 결합되고, 이때 산란유인부재(200)의 폭방향으로 정렬되어 결합된 지지바(410)들을 하나의 작동바(450)에 각각 힌지결합(H)하여, 하나의 작동바(450)를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다수개의 지지바(410)를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탈거방지부재(400)는 산란유인부재(200)의 폭방향 뿐만 아니라, 길이방향으로도 다수개 결합될 수 있는데, 이때, 다수개가 산란유인부재(200)의 길이방향으로 정렬되어 있는 작동바(450)들의 끝단을 연결부재(500)로 상호 연결하여, 연결부재(500)를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다수개의 작동바(450)를 이동시킬 수 있게 되고, 종국적으로 작동바(450)에 힌지결합(H)한 각각의 지지바(410)들을 모두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곤충알 및 산란캡슐 수거장치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바(410)가 산란유인부재(200)의 상부에서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하여 캡슐부재(100)의 상부를 지지하지 않은 상태에서 탈거하우징(350)에 의해 캡슐부재(100)가 캡슐삽입홀(210)로부터 탈거되거나,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바(410)가 산란유인부재(200)의 캡슐삽입홀(230)에 삽입된 캡슐부재(100)의 상부를 지지한 상태에서, 추출부재(130)가 추출로드(330)에 의해 산란공간(111)에서 슬라이딩 이동함으로써, 산란공간(111)의 곤충알을 외부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곤충알을 수집하기 위한 캡슐부재(100)를 구비함으로써, 캡슐부재(100)에 수집된 곤충알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빠른 시간에 수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또한, 곤충알이 수집된 캡슐부재(100)를 탈거하여 캡슐부재(100) 자체를 수거하거나, 캡슐부재(100)에 형성된 추출부재(130)를 통해 곤충알만을 수거할 수 있어, 곤충알 수거의 요구형태에 맞추어 캡슐부재(100)에 수집된 곤충알을 수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캡슐부재
110 : 몸체부
111 : 산란공간
113 : 가이드홈
130 : 추출부재
131 : 돌기부
200 : 산란유인부재
210 : 캡슐삽입홀
230 : 결합홈
300 : 캡슐분리부재
310 : 베이스몸체
330 : 추출로드
350 : 탈거하우징
370 : 탄성부재
400 : 탈거방지부재
410 : 지지바
411 : 결합홀
413 : 수취부
430 : 회전축부재
450 : 작동바
500 : 연결부재

Claims (4)

  1. 산란공간이 형성된 몸체부와, 상기 산란공간에 위치하면서 상기 산란공간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한 추출부재를 포함하는 캡슐부재;
    상기 캡슐부재가 삽입되는 캡슐삽입홀이 형성된 산란유인부재;
    상기 산란유인부재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추출부재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추출로드가 형성된 베이스몸체와, 상기 추출로드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캡슐부재를 탈거하는 탈거하우징과, 상기 베이스몸체와 상기 탈거하우징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탈거하우징을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캡슐분리부재; 및
    상기 추출부재가 슬라이드 이동시 상기 캡슐부재가 상기 캡슐삽입홀에서 탈거되지 않도록, 상기 캡슐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바와 상기 지지바를 상기 산란유인부재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시키는 회전축부재를 포함하는 탈거방지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알 및 산란캡슐 수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거방지부재는,
    상기 지지바와 힌지결합하여 상기 지지바를 회전시키는 작동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알 및 산란캡슐 수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의 끝단에는 수취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알 및 산란캡슐 수거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탈거방지부재가 다수개 구비되고, 다수개의 상기 작동바들이 일체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작동바들을 상호연결 하는 연결부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알 및 산란캡슐 수거장치.
KR1020190094750A 2019-08-05 2019-08-05 곤충알 및 산란캡슐 수거장치 KR1023263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4750A KR102326367B1 (ko) 2019-08-05 2019-08-05 곤충알 및 산란캡슐 수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4750A KR102326367B1 (ko) 2019-08-05 2019-08-05 곤충알 및 산란캡슐 수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6686A true KR20210016686A (ko) 2021-02-17
KR102326367B1 KR102326367B1 (ko) 2021-11-12

Family

ID=74731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4750A KR102326367B1 (ko) 2019-08-05 2019-08-05 곤충알 및 산란캡슐 수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636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1860U (ko) * 2015-11-19 2017-05-29 남지우 곤충 사육통
KR20180000487A (ko) * 2016-06-23 2018-01-03 최영범 인공 산란장
KR20180066758A (ko) 2016-12-09 2018-06-19 유형종 곤충 알 수거장치
KR102029935B1 (ko) * 2017-01-20 2019-10-08 유형종 곤충 알 산란유인캡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1860U (ko) * 2015-11-19 2017-05-29 남지우 곤충 사육통
KR20180000487A (ko) * 2016-06-23 2018-01-03 최영범 인공 산란장
KR20180066758A (ko) 2016-12-09 2018-06-19 유형종 곤충 알 수거장치
KR102029934B1 (ko) * 2016-12-09 2019-10-08 유형종 곤충 알 수거장치
KR102029935B1 (ko) * 2017-01-20 2019-10-08 유형종 곤충 알 산란유인캡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6367B1 (ko) 2021-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9935B1 (ko) 곤충 알 산란유인캡슐
KR102029934B1 (ko) 곤충 알 수거장치
Jin et al. Activities of microplastics (MPs) in agricultural soil: a review of MPs pollution from the perspective of agricultural ecosystems
KR101772749B1 (ko) 곤충 알 분리장치
KR20140079664A (ko) 학습 체험용 곤충 대벌레 사육키트
KR101980790B1 (ko) 동애등에 산란유도장치
DE4114160A1 (de) System zur mechanischen und biologischen zersetzung von muell
WO2014193034A1 (ko) 동애등에 사육 장치
KR20120097205A (ko) 컨베이어를 이용한 동애등에 대량 사육 보호커버장치
KR20210016686A (ko) 곤충알 및 산란캡슐 수거장치
KR102405347B1 (ko) 곤충알 수거장치
Mikola The effect of seed size and duration of growth on the height of Scots pine (Pinus sylvestris L.) and Norway spruce (Picea abies (L.) Karst.) provenances and progenies at the nursery stage.
Dinghi Leaf-litter brood chambers in Dichotomius (Luederwaldtinia) carbonarius (Mannerheim, 1829)(Coleoptera: Scarabaeidae): a novel behavior for dung beetles
Celant et al. Collection of plant remains from archaeological contexts
KR102405349B1 (ko) 곤충 알 산란유도장치
KR20050005212A (ko) 지렁이 사육상자
KR20210016690A (ko) 곤충알 수거가 용이한 곤충알 분리장치
KR20240082687A (ko) 알캡슐을 포함하는 곤충알 산란장치
KR20240082688A (ko) 알캡슐 수거가 용이한 곤충알 산란장치
Klok et al. Initial decomposition of floating leaf blades of waterlilies: causes, damage types and impacts
KR20210016687A (ko) 곤충알 분리장치
KR20210016688A (ko) 배지를 포함하는 곤충알 산란캡슐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Verrell Responses to different densities of males in the smooth newt, Triturus vulgaris:'one at a time, please'
KR20210016689A (ko) 완충수단이 구비된 곤충알 수거장치
CN206721057U (zh) 厨余生物处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