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6461A - 물품 정보 수집 장치 - Google Patents

물품 정보 수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6461A
KR20210016461A KR1020217000232A KR20217000232A KR20210016461A KR 20210016461 A KR20210016461 A KR 20210016461A KR 1020217000232 A KR1020217000232 A KR 1020217000232A KR 20217000232 A KR20217000232 A KR 20217000232A KR 20210016461 A KR20210016461 A KR 202100164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cle
box
plate
imag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02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리난 펑
지에위 마
딩 시아
팅타오 리
원야오 우
이메이 장
Original Assignee
상하이 주이웨 사이언스 앤드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상하이 주이웨 사이언스 앤드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상하이 주이웨 사이언스 앤드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0164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64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11/02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by means of tv-camera scan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11/0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for measuring thickness ; e.g. of sheet material
    • G01B11/0608Height gau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1/00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e.g. stereogrammetry; Photographic survey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1/00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e.g. stereogrammetry; Photographic surveying
    • G01C11/02Picture tak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hotogrammetry or photographic surveying, e.g. controlling overlapping of pictures
    • G01C11/025Picture tak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hotogrammetry or photographic surveying, e.g. controlling overlapping of pictures by scanning the objec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19/62Over or under weighing apparat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00General purpose image data processing
    • G06T1/0007Image acqui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60Analysis of geometric attribu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6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provided with illuminat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5Control of camera direction for changing a field of view, e.g. pan, tilt or based on tracking of obj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80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90Arrangement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e.g. multiple cameras in TV studios or sports stadiu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ometr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Stereoscopic And Panoramic Photography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 Image Input (AREA)
  • Studio Devi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박스, 재물판, 영상 수집 유닛, 저장 유닛 및 데이터 처리 유닛을 포함하되, 재물판은 상기 박스 내측 저면에 설치되어 물품이 안착되고; 영상 수집 유닛은 상기 물품의 적어도 하나의 영상을 수집하며; 저장 유닛은 상기 물품의 영상을 저장하고; 데이터 처리 유닛은 상기 영상 수집 유닛, 상기 저장 유닛에 연결되는 물품 정보 수집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물품 정보 수집 장치
본 발명은 소매업 기술분야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물품 정보 수집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인 슈퍼마켓 프로젝트에서, 컴퓨터 시각 기술은 물품 외부의 시각적 효과에 따라 물품 종류를 식별할 수 있다. 컴퓨터 시각 기술의 응용에서, 컴퓨터는 각각의 종류의 물품 사진을 대량으로 미리 수집하고, 대량의 사진을 샘플로 하여 물품 식별 모형을 구축하여, 각각의 물품의 형상, 패턴, 색깔, 사이즈 등 외관 정보를 획득한다. 이론적으로, 모형 구축 시 데이터베이스에 입력한 사진의 개수가 많을 수록, 모형 구축 후 물품 식별의 정확도가 높아진다. 일반적으로, 각각의 물품이 무인 슈퍼마켓에서 판매되기 전 모두 몇 천 나아가 몇 만 장의 상이한 각도 및 상이한 방향의 사진이 필요하다. 만약 기존의 카메라 또는 캠으로 사진 수집을 진행할 경우 시간과 인력이 많이 필요하고 속도가 아주 느려 각각의 물품의 촬영 과정이 일반적으로 30 ~ 60 분 정도 지속되고 오차율이 아주 높다.
물품이 무인 슈퍼마켓에서 판매되기 전, 영상 데이터(사진)을 제외하고 컴퓨터는 물품의 중량, 모델, 제품번호 등 정보를 더 수집해야 하므로, 수집해야 하는 데이터 유형이 많고 수집 공정이 복잡하여 효율이 떨어지고 작업량이 크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선행기술에 존재하는 물품 정보를 수동으로 수집하는데 소모되는 시간이 많고 속도가 느리며 인건비가 높고 오차율이 높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물품 정보 수집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박스, 재물판, 영상 수집 유닛, 저장 유닛 및 데이터 처리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재물판은 상기 박스 내측 저면에 설치되어 물품이 안착되고; 상기 영상 수집 유닛은 상기 물품의 적어도 하나의 영상을 수집하며; 상기 저장 유닛은 상기 물품의 영상을 저장하고 상기 영상은 이미지 및/또는 비디오를 포함하며; 데이터 처리 유닛은 각각 상기 영상 수집 유닛, 상기 저장 유닛에 연결되는 물품 정보 수집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영상 수집 유닛은 제1 촬영 유닛 및/또는 제2 촬영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촬영 유닛은 상기 재물판 상의 물품을 향해 설치되는 제1 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촬영 유닛은 상기 박스의 내측벽에 설치되며; 제2 촬영 유닛은 상기 재물판 상의 물품을 향해 설치되는 제2 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촬영 유닛은 상기 박스의 최상면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촬영 유닛 및/또는 상기 제2 촬영 유닛은 상기 데이터 처리 유닛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유익한 효과는 촬영 과정에서 카메라와 물품의 상대적 시각 및 상대적 방향을 자동으로 조절하여 단시간 내에 동일한 물품의 상이한 각도, 상이한 방향의 대량의 사진을 촬영하는 것을 통해 촬영 효율을 대폭 상승시키고 인건비 및 시간을 효과적으로 절약할 수 있는 물품 정보 수집 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물품 정보 수집 장치의 외부 구조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박스 판재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물품 정보 수집 장치의 내부 구조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제1 회전 장치의 분해 구조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제1 회전 장치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데이터 처리 유닛의 기능 모듈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물품 정보 수집 장치의 회로 구조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물품 정보 수집 장치의 내부 구조 모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물품 정보 수집 장치 밑판의 분해 구조 모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무게 측정 장치의 단면 구조 모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물품 정보 수집 장치의 회로 구조 블록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물품 정보 수집 장치의 내부 구조 모식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수평 이동 장치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승강 장치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물품 정보 수집 장치의 회로 구조 블록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물품 정보 수집 장치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물품 정보 수집 장치의 다른 시각에서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제2 회전 장치의 분해 구조 모식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물품 정보 수집 장치의 회로 구조 블록도이다.
아래, 명세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완전하게 설명하여 그 기술적 내용이 보다 명확해지고 더 잘 이해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상이한 형태의 실시예를 통해 구현될 수 있고, 그 보호범위는 본문에서 언급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구조가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숫자 부호로 표시되고, 각 부위의 구조 또는 기능이 유사한 부재는 유사한 숫자 부호로 표시된다. 본 발명에서 언급된 상, 하, 전, 후, 좌, 우, 내, 외, 상부 표면, 하부 표면, 측면, 최상부, 바닥부, 전단, 후단, 말단 등 방향 용어는 단지 도면에서의 방향이고, 본 발명을 해석하고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일부 부재가 다른 부재“상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설명될 경우, 상기 부재는 상기 다른 부재에 직접 설치될 수 있고; 중간 부재가 존재하여 상기 부재가 상기 중간 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중간 부재가 다른 부재에 설치될 수도 있다. 하나의 부재가 다른 부재에 “장착” 또는 “연결”되는 것으로 설명될 경우, 양자가 직접적으로 “장착” 또는 “연결”되거나 하나의 부재가 중간 부재를 통해 다른 부재에 간접적으로 “장착” 또는 “연결”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실시예 1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물품 정보 수집 장치를 제공하고, 이는 박스(1)를 포함하며, 6개의 박스 판재(101)로 둘러싸여 밀폐형 직육면체 박스를 이룬다. 여기서 임의의 하나의 박스 판재(101)는 다른 4개의 박스 판재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박스(1)는 정육면체 또는 원기둥체일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 판재(101)는 평판(1011)을 포함하고, 평판(1011) 가장자리 부분에는 클립부(1012) 및 걸림구(1013)가 돌출 설치되며, 걸림구(1013)는 평판(1011)의 가장자리 부분에 관통된다. 임의의 하나의 상기 박스 판재의 클립부는 다른 하나의 상기 박스 판재의 걸림구에 탈착 가능하게 걸려, 박스의 분리가 간단하고 휴대 또는 운송이 편리하다.
박스(1)는 사용자가 박스 밖에서 박스 내의 작업 상태를 관찰할 수 있도록, 박스(1)의 박스 판재(101) 내에 감입되는 갈색의 투명창(10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박스(1)의 어느 하나의 박스 판재에는 도어(미도시)가 더 설치될 수 있고, 사용자는 박스 판재를 분리하지 않고도 도어를 통해 물품을 박스(1)에 넣거나 박스(1)로부터 꺼낼 수 있다.
도 3 ~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직육면체 박스(1) 저면에 위치한 박스 판재는 박스 밑판(103)이고, 박스(1) 내측 저면, 즉 박스 밑판(103) 상면에 제1 회전 장치(21)가 설치되며, 제1 회전 롤러(211), 제1 모터(212) 및 제1 고리형 동력전달 벨트(213)를 포함하고, 제1 회전 롤러(211)는 제1 베어링(214)을 통해 상기 박스 내측 저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1 모터(212)는 상기 박스 내측 저면에 고정되고; 제1 모터(212)는 제1 로터(미도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로터의 중심 축선과 제1 회전 롤러(211)의 중심 축선은 평행되고; 제1 고리형 동력전달 벨트(213)는 제1 회전 롤러(211) 및 상기 로터의 외측벽에 팽팽하게 씌워지며, 제1 고리형 동력전달 벨트(213) 내측벽은 제1 회전 롤러(211)의 외측벽 및 상기 로터의 외측벽과 접한다.
도 3 ~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제1 회전 장치(21)의 최상부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재물판(2)을 더 포함하여 물품을 안착시킨다. 제1 모터(212) 가동 시, 제1 모터(212)의 로터는 제1 고리형 동력전달 벨트(213)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제1 고리형 동력전달 벨트(213)의 견인 작용에 의해, 제1 회전 롤러(211)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제1 회전 롤러(211)의 제1 베어링(214)이 제1 재물판(2)을 회전시키면서, 제1 재물판(2) 위에 안착된 물품도 회전시킨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1) 내측 최상면에 박스(1) 내부를 비추기 위한 광원(3)이 설치된다. 광원(3)은 박스의 광선이 균일하도록 LED 램프, 롤온 램프, 백열 등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수집 유닛은 박스(1) 내에 설치되어 상기 물품의 적어도 하나의 영상을 수집한다. 상기 영상은 이미지 또는 사진일 수 있고 비디오일 수도 있다. 상기 영상 수집 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촬영 유닛을 포함하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영상 수집 유닛은 제1 촬영 유닛(301) 및 제2 촬영 유닛(302)을 포함한다.
제1 촬영 유닛(301)은 박스(1)의 내측벽에 설치되고, 제1 촬영 유닛(301)은 제1 카메라와 이미징 플레이트(미도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카메라는 재물판(2) 상의 물품을 향해 설치되고, 상기 제1 카메라의 중축선은 상기 이미징 플레이트에 수직되며, 명령을 수신한 후 상기 물품에 대해 촬영 처리를 진행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카메라의 높이는 재물판(2)에 안착된 물품의 중부의 높이와 같다. 상기 제1 카메라의 중축선과 재물판(2)의 중축선 사이의 끼인 각은 90 도이고, 재물판(2)이 물품을 회전시킬 경우 제1 촬영 유닛(301)은 수평 방향에서 상기 물품의 다양한 각도, 다수의 측면의 영상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미지 및/또는 비디오를 포함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제2 촬영 유닛(302)은 박스(1) 내측의 최상면에 고정되고, 박스(1) 내측의 최상면과 2개의 측면 부분의 하나의 모서리 내에 가깝게 설치된다. 제2 촬영 유닛(302)은 제2 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카메라는 재물판(2) 상의 물품을 향해 설치된다. 상기 제2 카메라의 중축선과 재물판(2)의 중축선 사이의 끼인 각은 20 ~ 70 도이고, 상기 제2 카메라는 각도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2 카메라가 촬영 과정에서 재물판(2) 상의 물품에 대해 항상 명령을 수신한 후 물품에 대해 촬영 처리를 진행할 수 있고, 재물판(2)이 물품을 회전시킬 경우 제2 촬영 유닛(302)이 아래를 향해 상기 물품을 촬영하여 상기 물품의 다수의 각도, 다수의 측면의 영상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미지 및/또는 비디오를 포함한다.
도 3,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1) 저부에는 커버 플레이트(401)가 설치되고, 이는 박스 밑판(103)에 평행되고 박스 밑판(103)과 둘러싸여 전기 캐비티(4)를 형성하여 제1 회전 장치(21), 인쇄 회로 기판(402) 및 전원 장치(미도시)를 안착시킨다. 전기 캐비티(4)의 내부 높이와 재물판(2)의 높이는 제1 촬영 유닛(301)이 재물판(2) 상의 물품에 대한 촬영 과정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같거나 유사할 수 있다. 설치의 편의를 위해 바람직하게 커버 플레이트(401), 박스 밑판(103)은 2개의 부분으로 나뉠 수 있고, 전기 캐비티(4)도 2개의 부분으로 나뉠 수 있으며, 각각 제1 캐비티(41) 및 제2 캐비티(42)일 수 있고, 제1 캐비티(41)에 제1 회전 장치(21)가 안착되고, 제2 캐비티(42)에 인쇄 회로 기판(402) 및 전원 장치(미도시)가 안착된다. 인쇄 회로 기판(402)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라인을 통해 데이터 처리 유닛에 연결되고, 상기 전원 장치는 외부 교류 전원에 연결되는 전원 어댑터일 수 있고, 전지 팩일 수도 있으며 데이터 처리 유닛 및 인쇄 회로 기판(PCB)을 위해 전원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는 사용 과정에서, 사용자가 상기 박스 판재를 장착하여 박스를 형성하고, 촬영하고자 하는 물품을 재물판(2)에 안착시켜 상기 물품에 대해 촬영 처리를 시작한다. 상기 영상 수집 장치는 자가 정렬 기능을 구비하고, 상기 영상 수집 장치는 촬영 명령을 수신할 경우, 상기 제1 카메라, 상기 제2 카메라가 각각 재물판(2)을 향하는 동시에 제1 회전 장치(21)의 모터(212)가 가동되어 재물판(2)이 물품을 천천히 회전시킨다. 제1 촬영 유닛(301), 제2 촬영 유닛(302)은 매초 10 ~ 60 프레임(바람직하게 20, 24, 25, 30 프레임)의 속도로 물품의 이미지 또는 비디오를 획득하여 몇 천 또는 몇 만 장의 상기 물품 측면 또는 최상면이 상이한 각도에서의 사진을 획득하여 컴퓨터 시각 모형을 구축하기 위한 샘플로 사용한다.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물품은 일반적으로 표준 물품이고, 동일한 종류의 물품의 외관, 사이즈는 모두 동일하거나 유사하고, 동일한 종류의 물품은 하나의 제품에 대해 촬영 처리를 진행하기만 하면 상기 종류의 물품에 대한 이미지 처리를 완료할 수 있다. 제1 회전 장치(21)가 물품을 적어도 한 바퀴 회전시켜야만, 제1 촬영 유닛(301), 제2 촬영 유닛(302)이 상기 물품의 다양한 각도, 다양한 방향의 영상을 획득할수 있고, 제1 회전 장치(21)가 등속으로 한 바퀴 회전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3 ~ 90초이다. 제1 회전 장치(21)가 등속으로 한 바퀴 회전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60초이면, 제1 촬영 유닛(301), 제2 촬영 유닛(302)는 초당 30 프레임의 속도로 물품의 이미지를 획득하고, 물품 정보 수집 장치는 분당 1800 장의 물품 이미지를 수집할 수 있다.
상기 물품 정보 수집 장치는 저장 유닛(5) 및 데이터 처리 유닛(6)을 더 포함하고, 본 실시예는 바람직하게 라즈베리 파이(12)이며, 그 저장 유닛(5)은 SD카드 또는 MicroSD 카드이고, 그 데이터 처리 유닛(6)는 ARM 프로세서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라즈베리 파이(12)는 박스(1)의 측벽에 고정 장착되고, 제1 촬영 유닛(301)과 동일한 하우징 내에 장착되며, 라즈베리 파이(12)의 다양한 인터페이스(예를 들면 이더넷 인터페이스, USB 인터페이스)는 박스(1)의 측벽 부분에 설치되고, 박스 외부에 노출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라즈베리 파이(12)는 전기 캐비티(4) 내에 설치될 수도 있고, 제1 촬영 유닛(301)는 박스(1)의 측벽에 고정되거나 또는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1 촬영 유닛(301), 제2 촬영 유닛(302)은 데이터 처리 유닛(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촬영된 사진을 라즈베리 파이(12)에 실시간으로 전송하고 저장 유닛(5)에 저장하며, 필요 시 데이터 처리 유닛(6)은 사진을 초보적으로 선별하고 해상도가 낮은 사진을 삭제한다.
라즈베리 파이(12)의 저장 유닛(5)에는 대량의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이 저장되어 물품 사이즈 판단 방법을 수행하고, 상기 물품의 영상 사이즈에 따라 상기 물품의 사이즈를 계산한다. 상기 물품 사이즈 판단 방법은 아래와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S1은 거리 파라미터 기록 단계로서 제1 카메라와 상기 물품 선단의 수평 거리 및 상기 제1 카메라와 상기 이미징 플레이트의 거리를 입력하고; 단계 S2는 물품 영상 획득 단계로서 상기 물품이 상기 이미징 플레이트에 형성한 물품 영상을 획득하며; 단계 S3은 영상 사이즈 획득 단계로서 상기 물품 영상의 사이즈를 획득하고; 단계 S4는 물품 사이즈 계산 단계로서 물품 영상의 사이즈에 따라 상기 제1 카메라와 상기 물품 선단의 거리 및 상기 제1 카메라와 상기 이미징 플레이트의 거리에 따라 상기 물품의 사이즈를 계산한다.
라즈베리 파이(12)의 데이터 처리 유닛(6)은 다수의 실행 유닛을 포함하여, 각각의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을 수행하고, 각각의 명령은 상기 물품 사이즈 판단 방법의 하나의 단계를 수행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처리 유닛(6)의 실행 유닛은 실행 유닛거리 파라미터 입력 유닛(601), 물품 영상 획득 유닛(602), 영상 사이즈 획득 유닛(603) 및 물품 사이즈 계산 유닛(604)을 포함한다. 데이터 처리 유닛(6)은 상기 물품의 영상 사이즈에 따라 상기 물품의 사이즈를 계산하여, 물품의 길이, 폭, 높이 등 사이즈 정보를 획득한다.
거리 파라미터 입력 유닛(601)은 제1 카메라와 상기 물품 선단의 수평 거리 및 상기 제1 카메라와 상기 이미징 플레이트의 거리를 기록한다. 물품 영상 획득 유닛(602)은 상기 물품이 상기 이미징 플레이트에 형성한 물품 영상을 획득한다. 영상 사이즈 획득 유닛(603)은 상기 물품 영상의 사이즈를 획득한다. 물품 사이즈 계산 유닛(604)은 물품 영상의 사이즈, 상기 제1 카메라와 상기 물품 선단의 거리 및 상기 제1 카메라와 상기 이미징 플레이트의 거리에 따라 상기 물품의 사이즈를 계산한다.
재물판(2)에는 식별부가 설치되고, 사용자가 물품을 놓을 경우 물품이 재물판(2)의 식별부 위치에 놓아 물품 선단과 식별부가 대응되며, 상기 식별부 중심점과 제1 카메라의 중심점이 동일한 수평면에서의 투영 위치의 거리를 제1 카메라와 상기 물품 선단의 수평 거리로 볼 수 있고, 이는 미리 측정 가능하거나 설정 가능하다. 상기 제1 카메라와 상기 이미징 플레이트의 거리는 제1 촬영 유닛(301)의 카메라 파라미터로서 이는 알고 있는 수치이다. 상기 제1 카메라와 상기 물품 선단의 수평 거리, 상기 제1 카메라와 상기 이미징 플레이트의 거리는 모두 기기 디버깅 과정에서 설정 완료될 수 있고, 이를 라즈베리 파이에 입력한다.
물품이 수평으로 소정 각도 회전한 후, 제1 촬영 유닛(301)은 상이한 각도의 물품 이미지를 활영할 수 있고, 물품 사이즈 계산 유닛(604)은 광학 이미징 원리에 따라 물품의 길이, 폭 및 높이를 포함하는 물품 사이즈를 계산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카메라에서 상기 물품의 선단 까지의 거리가 D, 상기 제1 카메라의 초점 거리가 f, 상기 물품의 이미징 높이가 h이면, 광학 이미징 원리에 따라 상기 물품의 실제 높이는 H = h * D / f가 된다. 물품은 회전 가능하고, 물품 사이즈 계산 유닛(604)은 물품의 길이 및 폭을 더 계산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데이터 처리 유닛(6)에 각각 연결되는 서버(7), 스캔 장치(8), 표시 장치(9), 경보 장치(10) 및 제어 패널(13)을 더 포함한다.
서버(7)는 상기 물품 정보 수집 장치 외부에 설치되고, 데이터 처리 유닛(6)에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연결되며, 라즈베리 파이(12)의 저장 공간이 유한하기에 상기 물품의 영상 및/또는 그 사이즈를 서버(7)에 송신할 수도 있고, 서버 내에서 물품 데이터베이스를 생성 및 갱신하여 물품의 영상, 사이즈 등 물품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물품 또는 그 포장된 표면에는 바코드, 큐알코드 등 식별 가능 코드가 설치되고, 식별 가능 코드에 물품 종류, 모델, 제품번호, 시리얼 넘버, 가격, 생산지 등을 포함하는 물품 정보가 저장된다.
스캔 장치(8)는 상기 물품 정보 수집 장치 외부에 설치되고, 데이터 처리 유닛(6)에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연결되어, 상기 물품에 대해 코드 스캔 처리를 진행하여 물품 종류, 모델, 가격 등 상기 물품 정보를 식별한다. 상기 물품 정보는 서버(7) 내에 전송되어 물품 데이터베이스 중의 물품 정보를 보충 및 개선할 수 있다.
표시 장치(9)는 상기 물품 정보 수집 장치 외부에 설치되고, 바람직하게 박스(1)의 외측벽에 설치되어 상기 물품의 정보 및/또는 촬영 진도, 촬영 시간 등 작업 정보를 표시한다. 경보 장치(10)는 스피커이고, 박스(1)의 외측벽 또는 라즈베리 파이(12)의 회로기판에 설치된다. 상기 물품의 영상 정보 수집 완료 후 모터(212)가 자동으로 정지되고 제1 촬영 유닛(301), 제2 촬영 유닛(302)이 자동으로 촬영을 정지한다. 상기 경보 장치는 경보음을 발생하여 사용자에게 상기 물품의 정보의 수집 완료를 알려주고, 사용자가 물품을 꺼내거나 다음 물품에 대해 정보 수집을 진행도록 알려준다.
제어 패널(13)은 박스(1)의 외측벽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제어 명령을 입력하고, 표시 장치(9) 및 경보 장치(10)는 모두 제어 패널(13)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물품 정보 수집 장치는 사용자가 입력한 제어 명령을 획득하고, 전원을 제어하여 각각의 전기 소자에 전력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도록 하고, 제1 회전 장치(21)의 모터(212), 제1 촬영 유닛(301), 제2 촬영 유닛(302)을 제어하여 작업을 시작 또는 정지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사용 과정에서, 사용자는 우선 박스를 조립하여 스캔 장치(8)를 이용하여 상기 물품의 바코드 정보를 획득하고 물품 정보를 기록한 다음 물품을 도어를 통해 박스에 넣고 재물판(2)에 안착시킨 후 도어를 닫는다. 촬영 시간(예를 들면 2분)을 설정하고 제1 회전 장치(21)를 가동시켜 재물판(2)을 회전시키며, 제1 촬영 유닛(301), 제2 촬영 유닛(302)은 상기 물품의 영상 정보를 고속으로 수집하고 이를 서버(7) 내에 전송한다.
본 실시예의 유익한 효과는, 제공하는 물품 정보 수집 장치가 물품이 자동으로 회전 시 빠르게 촬영하여 단시간 내에 동일한 물품의 다양한 각도의 대량의 사진을 획득하여 컴퓨터 시각 모형을 구축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많은 이미지 샘플을 제공함으로써, 인력 물력을 효과적으로 절약하고 물품 사진의 촬영 효율을 향상시킨다. 아울러, 물품 정보 수집 장치는 물품의 종류, 모델, 가격 등 다른 물품 정보를 수집할 수도 있다.
실시예 2
도 8 ~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2가 제공하는 물품 정보 수집 장치는 실시예 1의 모든 기술특징을 포함하고 양자의 구별되는 특징은 실시예 2는 무게 측정 장치(11)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무게 측정 장치는 무게 측정 플레이트(1101) 및 중량 센서(1102)를 포함한다는 것이다.
무게 측정 플레이트(1101)는 커버 플레이트(401)의 일부로서 재물판(2)과 동일한 평면에 위치하고, 무게 측정 플레이트(1101)는 박스(1) 내측 저면에 평행되며 재물판(2) 옆에 설치되어 물품을 안착시킨다. 중량 센서(1102) 일단의 하면은 박스(1)의 내측 저면, 즉 박스 밑판(103)에 연결되고, 그 타단의 상면은 무게 측정 플레이트(1101)의 하면에 연결된다. 중량 센서(1102)는 데이터 처리 유닛(6)에 연결되고, 중량 센서(1102)는 상기 물품의 중량 데이터를 측정하고, 상기 중량 데이터를 데이터 처리 유닛(6)에 전송한다.
실시예 2와 실시예 1의 다른 구별되는 특징은 실시예 2에서 라즈베리 파이(12)도 전기 캐비티(4) 내에 장착되고, 제1 촬영 유닛(301)이 박스(1)의 측벽에 고정 장착된다는 것이다.
본 실시예의 사용 과정에서, 사용자는 우선 박스를 조립하여 스캔 장치(8)를 이용하여 상기 물품의 바코드 정보를 획득하고 물품 정보를 기록한 다음 물품을 도어를 통해 박스에 넣고 상기 무게 측정 플레이트에 안착시키며, 중량 센서가 상기 물품의 중량 데이터를 수집하고, 데이터 처리 유닛(6)이 이에 의해 각각의 물품의 중량값을 기록하고 이를 서버(7)에 송신하여 물품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다음, 사용자가 물품을 재물판(2)에 이동시키고 도어를 닫는다. 촬영 시간(예를 들면 2분)을 설정하고 제1 회전 장치(21)를 가동시켜 재물판(2)을 회전시키며, 제1 촬영 유닛(301), 제2 촬영 유닛(302)은 상기 물품의 영상 정보를 고속으로 수집하고 이를 서버(7) 내에 전송한다.
본 실시예의 유익한 효과는, 제공하는 물품 정보 수집 장치가 단시간 내에 동일한 물품의 상이한 각도의 대량의 사진을 획득하는 외에 또 물품의 중량 데이터 등 물품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실시예 3
도 12 ~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가 제공하는 물품 정보 수집 장치는 실시예 1의 모든 기술특징을 포함하고 수평 이동 장치(14) 및 승강 장치(15)를 더 포함하며, 이들은 모두 박스(1)의 내측벽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는 제1 촬영 유닛(301)을 수평 이동 장치(14)에 설치하고, 제2 촬영 유닛(302)을 승강 장치(15)에 설치하며, 승강 장치(15)를 박스(1)의 일 내측벽 상부에 설치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촬영 유닛(301)는 승강 장치(15)에 설치될 수도 있고, 제2 촬영 유닛(302)는 수평 이동 장치(14)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아울러 승강 장치(15)를 박스(1)의 일 내측벽 상부에 설치할 수 있다.
수평 이동 장치(14)는 제1 슬라이딩 레일(141), 제1 슬라이딩 블록(142) 및 제1 신축 로드(143)를 포함한다. 제1 슬라이딩 레일(141)은 박스(1)의 일 내측벽에 수평으로 설치되고; 제1 슬라이딩 블록(142)은 제1 슬라이딩 레일(14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으며, 제1 슬라이딩 블록(142)은 제1 촬영 유닛(301)에 연결되고, 제1 신축 로드(143) 일단은 제1 슬라이딩 블록(142)에 연결되고, 타단은 수평 이동 장치(14)의 일단에 고정 연결된다. 제1 신축 로드(143)의 길이가 변할 경우, 제1 슬라이딩 블록(142)은 제1 슬라이딩 레일(141)을 따라 수평으로 이동하여, 제1 촬영 유닛(301)이 수평 이동되도록 하고, 다수의 각도로부터 상기 물품의 영상 데이터를 수집하여 더 많은 물품 사진을 획득할 수 있다.
승강 장치(15)는 제2 슬라이딩 레일(151), 제2 슬라이딩 블록(152) 및 제2 신축 로드(153)를 포함한다. 제2 슬라이딩 레일(151)은 박스(1)의 내측벽 상부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제2 슬라이딩 블록(152)은 상기 제2 슬라이딩 레일(15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으며, 제2 슬라이딩 블록(152)은 제2 촬영 유닛(302)에 연결된다. 제2 신축 로드(153)일단은 제2 슬라이딩 블록(152)에 연결되고, 타단은 승강 장치(15)의 일단에 고정 연결된다. 제2 신축 로드(153)의 길이가 변할 경우, 제2 슬라이딩 블록(152)이 제2 슬라이딩 레일(151)을 따라 상하 이동하여, 제2 촬영 유닛(302)이 승강 이동되도록 하고, 다수의 각도로부터 상기 물품의 영상 데이터를 수집하여 더 많은 물품 사진을 획득할 수 있다.
제1 신축 로드(143), 제2 신축 로드(153)는 각각 데이터 처리 유닛(6),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사용자는 실제 필요에 따라 제1 신축 로드(143), 제2 신축 로드(153)의 신축량을 제어하여 제1 촬영 유닛(301), 제2 촬영 유닛(302)의 카메라 각도 및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이런 조절은 촬영 과정 전에 진행될 수 있거나 촬영 과정 중에 진행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물품 정보 수집 장치는 박스(1)의 내측벽에 설치되는 제2 승강 장치(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수평 이동 장치(14)는 승강 가능하게 상기 제2 승강 장치에 설치되며, 제1 촬영 유닛(301)는 수평 이동 가능하게 수평 이동 장치(14)의 제1 슬라이딩 블록(142)에 설치되고, 제1 촬영 유닛(301)은 수평 이동 장치(14)에 설치될 수 있고, 제1 촬영 유닛(301)을 수평 이동 및/또는 승강 이동시키는 것을 통해 더 많은 각도, 더 많은 방향에서 물품 사진을 촬영할 수 있고 더 많은 물품 영상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물품 정보 수집 장치는 실시예 1의 모든 기술특징을 포함하는 외에 전술한 수평 이동 장치(14) 또는 승강 장치(15)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수평 이동 장치(14) 또는 승강 장치(15)는 박스(1)의 내측벽에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유익한 효과는, 제공하는 물품 정보 수집 장치의 제1 촬영 유닛, 제2 촬영 유닛가 촬영 과정에서 수평 이동 및/또는 상하 이동하는 것을 통해 단시간 내에 동일한 물품의 더 많은 각도의 대량의 사진을 획득할 수 있다.
실시예 4
도 16 ~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가 제공하는 물품 정보 수집 장치는 실시예 1의 모든 기술특징을 포함하고 실시예 4와 실시예 1의 구별되는 특징은 실시예 4는 제1 회전 장치(21)를 포함하지 않고 제2 회전 장치(22)를 포함하며, 이는 박스(1) 내측 최상면에 설치되고, 제2 촬영 유닛(302)는 박스(1)의 내측벽이 아니라 제2 회전 장치(22)에 설치된다는 것이다.
제2 회전 장치(22)의 구조는 제1 회전 장치(21)의 구조와 유사하고, 제2 회전 장치(22)는 제2 회전 롤러(221), 제2 모터(222) 및 제2 고리형 동력전달 벨트(223)를 포함한다. 제2 회전 롤러(221)는 제2 베어링(224)을 통해 박스(1) 내측 최상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2 모터(222)는 박스(1) 내측 최상면에 고정되고, 제2 모터(222)는 제2 로터(미도시)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로터의 중심 축선과 상기 제2 회전 롤러(221)의 중심 축선은 평행되고; 제2 고리형 동력전달 벨트(223)는 제2 회전 롤러(221) 및 상기 제2 로터의 외측벽에 팽팽하게 씌워지며, 제2 고리형 동력전달 벨트(223) 내측벽은 제2 회전 롤러(221)의 외측벽 및 상기 제2 로터의 외측벽과 접한다.
본 실시예는 제2 회전 장치(22)의 최상부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회전 플레이트(225)를 더 포함하고, 제2 모터(222)가 회전 시 제2 모터(222)는 제2 고리형 동력전달 벨트(223)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제2 고리형 동력전달 벨트(223)의 견인 작용에 의해, 제2 회전 롤러(221)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제2 회전 롤러(221)의 베어링(224)이 회전 플레이트(225)를 회전시키면서, 브라켓(226)을 통해 회전 플레이트(225)에 연결된 제2 촬영 유닛(302)을 회전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재물판(2) 및 물품은 정지하여 움직이고 않고 제2 회전 장치(22)가 제2 촬영 유닛(302)을 수평면에서 회전시키며, 위에서 아래로 재물판(2)에 위치결정된 물품을 촬영한다. 제2 회전 장치(22)가 등속으로 한 바퀴 회전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3 ~ 90초이고, 그 기술적 효과는 실시예 1과 유사하므로 여기서는 더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물품 정보 수집 장치는 실시예 1의 모든 기술특징을 포함하는 외에 전술한 박스(1) 내측 최상면에 설치되는 제2 회전 장치(22)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촬영 유닛(302)은 박스(1)의 내측벽이 아니라 제2 회전 장치(22)에 설치된다. 제1 회전 장치(21) 및 제2 회전 장치(22)의 공통 작용에 의해 재물판(2) 상의 물품을 향하는 제1 촬영 유닛(301), 제2 촬영 유닛(302)이 상기 물품에 대해 회전하는 동시에 빠르게 촬영하여 단시간 내에 동일한 물품의 더 많은 각도의 대량의 사진을 획득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제1 촬영 유닛(301), 제2 촬영 유닛(302)은 통상적인 채색 카메라로서 그 원가가 저렴하고 2개의 촬영 유닛의 촬영 속도는 초당 20 ~ 30 프레임이다. 정보 수집 과정에서 소모되는 시간이 짧고 속도가 빠르기에 대량의 인력 물력을 절약할 수 있어 물품 정보 수집 효율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유익한 효과는 촬영 과정에서 영상 수집 유닛과 물품의 상대적 시각 및 상대적 방향을 자동으로 조절하여 단시간 내에 동일한 물품의 상이한 각도, 상이한 방향의 대량의 사진을 촬영하는 것을 통해 촬영 효율을 대폭 상승시키고 인건비 및 시간을 효과적으로 절약할 수 있는 물품 정보 수집 장치를 제공한다.
상술한 바는 단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이고,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이 본 발명을 어떻게 구현할 것인 지를 더 명확하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이러한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지 않는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은 본 발명의 원리를 벗어나지 않는 전제 하에, 다양한 개선 및 수정을 진행할 수 있고, 이러한 개선 및 수정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해야 한다.
1: 박스,
2: 재물판,
3: 광원,
4: 전기 캐비티,
5: 저장 유닛,
6: 데이터 처리 유닛,
7: 서버,
8: 스캔 장치,
9: 표시 장치,
10: 경보 장치,
11 : 무게 측정 장치,
12: 라즈베리 파이,
13: 제어 패널,
14: 수평 이동 장치,
15: 승강 장치,
21: 제1 회전 장치,
22: 제2 회전 장치,
41: 제1 캐비티,
42: 제2 캐비티,
101: 박스 판재,
102: 투명창,
103: 박스 밑판,
211: 제1 회전 롤러,
212: 제1 모터,
213: 제1 고리형 동력전달 벨트,
214: 제1 베어링,
221: 제2 회전 롤러,
222: 제2 모터,
223: 제2 고리형 동력전달 벨트,
224: 제2 베어링,
225: 회전 플레이트,
226: 브라켓,
301: 제1 촬영 유닛,
302: 제2 촬영 유닛,
401: 커버 플레이트,
402: 인쇄 회로 기판,
403: 전원 장치,
601: 거리 파라미터 입력 유닛,
602: 물품 영상 획득 유닛,
603: 영상 사이즈 획득 유닛,
604: 물품 사이즈 계산 유닛,
141: 제1 슬라이딩 레일,
142: 제1 슬라이딩 블록,
143: 제1 신축 로드,
151: 제2 슬라이딩 레일,
152: 제2 슬라이딩 블록,
153: 제2 신축 로드,
1011: 평판,
1012: 클립부,
1013: 걸림구,
1101: 무게 측정 플레이트,
1102: 중량 센서.

Claims (16)

  1. 물품 정보 수집 장치에 있어서,
    박스;
    상기 박스 내측 저면에 설치되어 물품이 안착되는 재물판;
    상기 물품의 적어도 하나의 영상을 수집하고, 상기 영상은 이미지 및/또는 비디오를 포함하는 영상 수집 유닛;
    상기 물품의 영상을 저장하는 저장 유닛; 및
    상기 영상 수집 유닛, 상기 저장 유닛에 각각 연결되는 데이터 처리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정보 수집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수집 유닛은
    상기 재물판 상의 물품을 향해 설치되는 제1 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박스의 내측벽에 설치되는 제1 촬영 유닛; 및/또는
    상기 재물판 상의 물품을 향해 설치되는 제2 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상기 박스 내측의 최상면에 설치되는 제2 촬영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촬영 유닛 및/또는 상기 제2 촬영 유닛은 상기 데이터 처리 유닛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정보 수집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카메라의 중축선과 상기 재물판의 중축선 사이의 끼인 각은 90 도; 및/또는 ,
    상기 제2 카메라의 중축선과 상기 재물판의 중축선 사이의 끼인 각은 20 ~ 70 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정보 수집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의 내측벽에 설치되는 수평 이동 장치; 및/또는
    상기 박스의 내측벽에 설치되는 승강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촬영 유닛은 수평 이동 장치 및/또는 승강 장치에 장착되고,
    상기 제2 촬영 유닛은 수평 이동 장치 및/또는 승강 장치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정보 수집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제1 회전 장치 또는 제2 회전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회전 장치는 상기 박스 내측 저면에 설치되고, 상기 재물판이 상기 제1 회전 장치의 최상부에 수평으로 설치되며,
    제2 회전 장치는 상기 박스 내측 최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제2 촬영 유닛이 연결 바를 통해 연결되는 제2 회전 장치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정보 수집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 장치는
    상기 박스 내측 저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 회전 롤러;
    상기 박스 내측 저면에 고정되고 제1 로터를 포함하는 제1 모터; 및
    상기 제1 회전 롤러 및 상기 제1 로터의 외측벽에 팽팽하게 씌워지는 제1 고리형 동력전달 벨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로터의 중심 축선과 상기 제1 회전 롤러의 중심 축선은 평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정보 수집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회전 장치는
    상기 박스 내측 최상면 저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 회전 롤러;
    상기 박스 내측 최상면에 고정되고 제2 로터를 포함하는 제2 모터; 및
    상기 제2 회전 롤러 및 상기 제2 로터의 외측벽에 팽팽하게 씌워지는 제2 고리형 동력전달 벨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로터의 중심 축선과 상기 제2 회전 롤러의 중심 축선은 평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정보 수집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 내측 저면에 설치되어 물품이 안착되는 무게 측정 플레이트; 및
    일단의 하면이 상기 박스 내측 저면에 연결되고, 타단의 상면이 상기 무게 측정 플레이트의 하면에 연결되는 중량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량 센서는 상기 데이터 처리 유닛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정보 수집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 내측 최상면에 설치되는 광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정보 수집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는 3개 이상의 박스 판재를 포함하고, 임의의 박스 판재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박스 판재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정보 수집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각각의 박스 판재는
    평판;
    상기 평판의 가장자리 부분에 돌출되는 클립부; 및/또는 ,
    상기 평판의 가장자리 부분에 관통되는 걸림구를 포함하고,
    하나의 박스 판재의 클립부는 다른 하나의 박스 판재의 걸림구에 탈착 가능하게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정보 수집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는
    상기 박스 측면 또는 최상면의 박스 판재 내에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는 도어; 및/또는 ,
    상기 박스의 박스 판재 내에 감입되는 투명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정보 수집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 유닛은 상기 물품의 영상 사이즈에 따라 상기 물품의 사이즈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정보 수집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수집 유닛은 상기 박스의 내측벽에 설치되는 제1 촬영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촬영 유닛은 제1 카메라 및 이미징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카메라는 상기 재물판 상의 물품을 향해 설치되고, 상기 제1 카메라의 중축선은 상기 이미징 플레이트에 수직되며;
    상기 데이터 처리 유닛은
    상기 제1 카메라와 상기 물품의 수평 거리 및 상기 제1 카메라와 상기 이미징 플레이트의 거리를 입력하기 위한 거리 파라미터 입력 유닛;
    상기 물품이 상기 이미징 플레이트에 형성한 물품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물품 영상 획득 유닛;
    상기 물품 영상의 사이즈를 획득하기 위한 영상 사이즈 획득 유닛; 및
    물품 영상의 사이즈, 상기 제1 카메라와 상기 물품 선단의 거리 및 상기 제1 카메라와 상기 이미징 플레이트의 거리에 따라 상기 물품의 사이즈를 계산하는 물품 사이즈 계산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정보 수집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 유닛에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연결되어 상기 물품의 영상 및/또는 그 사이즈를 획득하는 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정보 수집 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 유닛에 연결되는 스캔 장치; 및/또는 ,
    상기 데이터 처리 유닛에 연결되는 표시 장치; 및/또는 ,
    상기 데이터 처리 유닛에 연결되는 경보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정보 수집 장치.
KR1020217000232A 2019-05-16 2019-06-13 물품 정보 수집 장치 KR2021001646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10407349.X 2019-05-16
CN201910407349.XA CN110132240A (zh) 2019-05-16 2019-05-16 货品信息采集装置
PCT/CN2019/091131 WO2020228089A1 (zh) 2019-05-16 2019-06-13 货品信息采集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6461A true KR20210016461A (ko) 2021-02-15

Family

ID=67574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0232A KR20210016461A (ko) 2019-05-16 2019-06-13 물품 정보 수집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20053170A1 (ko)
EP (1) EP3971520A1 (ko)
JP (1) JP2021521495A (ko)
KR (1) KR20210016461A (ko)
CN (1) CN110132240A (ko)
AU (1) AU2019446366A1 (ko)
SG (1) SG11202111747VA (ko)
WO (1) WO202022808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38625A (zh) * 2020-01-16 2020-06-05 杭州淘控电子商务有限公司 一种价格监控装置及系统
CN112613950B (zh) * 2020-12-28 2024-03-29 上海寻梦信息技术有限公司 品类识别模型训练方法、品类识别方法及相关设备
CN115100780B (zh) * 2022-05-30 2023-12-05 河南云迹智能技术有限公司 一种自动补货的智能货柜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63483B2 (ja) * 2015-01-26 2018-01-17 東芝テック株式会社 物品認識装置、販売データ処理装置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CN105066885A (zh) * 2015-07-11 2015-11-18 浙江大学宁波理工学院 一种鱼体尺寸和重量快速采集装置以及采集方法
CN106839996A (zh) * 2017-02-14 2017-06-13 温州中壹技术服务有限公司 一种图像采集装置及采集方法
CN109427090A (zh) * 2017-08-28 2019-03-05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穿戴物品3d模型构建系统和方法
CN109426780A (zh) * 2017-08-28 2019-03-05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穿戴物品信息采集系统和方法
CN108241815A (zh) * 2017-11-10 2018-07-03 精华电子(苏州)有限公司 图像采集装置及图像采集方法
CN108376419B (zh) * 2017-12-11 2020-06-26 江苏大学 一种盆栽生菜的综合长势监测方法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053170A1 (en) 2022-02-17
JP2021521495A (ja) 2021-08-26
SG11202111747VA (en) 2021-11-29
WO2020228089A1 (zh) 2020-11-19
CN110132240A (zh) 2019-08-16
AU2019446366A1 (en) 2021-12-02
EP3971520A1 (en) 2022-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053170A1 (en) Goods information collection device
CN106596550B (zh) 一种微小昆虫标本图像采集系统
CN105157607B (zh) 三维扫描装置及其扫描方法
CN104315979B (zh) 一种三维扫描仪及三维扫描方法
KR20140034816A (ko) 휴대형 광학 측정 검사 시스템
CN111398172A (zh) 一种3d视觉检测设备和方法
CN112257537B (zh) 一种智能多点三维信息采集设备
CN112303423B (zh) 一种转动稳定的智能三维信息采集设备
GB2578960A (en) Sensor apparatus
CN203298744U (zh) 一种手持式3d扫描仪
CN112257536B (zh) 一种空间与物体三维信息采集匹配设备及方法
CN112254676A (zh) 一种便携式智能3d信息采集设备
WO201305972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room dimensions
CN112082486A (zh) 一种手持式智能3d信息采集设备
CN106066162A (zh) 一种桌面扫描仪
CN210242784U (zh) 货品信息采集装置
US20200103439A1 (en) Electronic component handler and electronic component tester
CN207479024U (zh) 手机配件检测设备
CN206709783U (zh) 毛绒细度长度测量专用毛绒样品成像扫描仪
CN114609040A (zh) 一种基于机器视觉方式的动车组产品综合检测系统
CN109990714B (zh) 一种人防防护设备质量检测系统及检测方法
CN205898077U (zh) 一种桌面扫描仪
KR100937050B1 (ko) 다방향 항공촬영을 통한 지형지물의 입체 영상 표현식 촬영시스템
CN109124645B (zh) 人体平衡能力测量装置及方法
CN208625711U (zh) 一种人体三维扫描人体成分检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