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6169A - Steel pit structure for elevator - Google Patents

Steel pit structure for elev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6169A
KR20210016169A KR1020190093767A KR20190093767A KR20210016169A KR 20210016169 A KR20210016169 A KR 20210016169A KR 1020190093767 A KR1020190093767 A KR 1020190093767A KR 20190093767 A KR20190093767 A KR 20190093767A KR 20210016169 A KR20210016169 A KR 202100161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t
module
wall
pit module
intermediat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376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72346B1 (en
Inventor
주상준
정인수
박상현
김종호
Original Assignee
효성중공업 주식회사
(주)창민우구조컨설탄트
우광티엔씨(주)
진흥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효성중공업 주식회사, (주)창민우구조컨설탄트, 우광티엔씨(주), 진흥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효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937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2346B1/en
Publication of KR202100161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616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23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234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05Constructional features of hoistway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el elevator pit structure of a middle wall type which arranges and separates a first pit module and a second pit module from each other and connects the first pit module and the second pit module by a base frame below to integrate the first pit module and the second pit module when installing a hoistway divided by a middle wall to firmly fix the base frame and the first and second pit modules in concrete to resist buoyanc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el elevator pit structure of a middle wall type relates to a steel elevator pit buried in a concrete foundation of a lower portion of a hoistway and comprises: a first pit module of a rectangular cross section of which an upper portion is opened; a second pit module which has a rectangular cross section of which an upper portion is opened, and is laterally separated from the first pit module to form a wall construction unit between the first pit module and the second pit module; and an integrated base frame of a rectangular shape provided below the first pit module and the second pit module, wherein a lateral end thereof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first pit module and the second pit module.

Description

중간 벽체형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물{Steel pit structure for elevator}Middle wall steel elevator pit structure {Steel pit structure for elevator}

본 발명은 세대 경계벽 등의 중간 벽체에 의해 분할되는 승강로 설치시, 제1피트모듈과 제2피트모듈을 상호 이격 배치하되 하부의 베이스프레임으로 연결하여 일체화함으로써, 베이스프레임과 제1, 2피트모듈이 콘크리트 내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부력에 저항할 수 있는 중간 벽체형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물에 대한 것이다.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installing a hoistway divided by an intermediate wall such as a household boundary wall, the first pit module and the second pit module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ut connected to the lower base frame to integrate the base frame and the first and second pit modules. It is about an intermediate wall-type steel elevator pit structure that is firmly fixed in the concrete and can resist buoyancy.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 샤프트 하부에는 완충기 설치 또는 장비 점검 등을 위해 엘리베이터 피트(pit)가 설치된다.In general, elevator pit is installed under an elevator shaft for installing a shock absorber or checking equipment.

이러한 엘리베이터 피트는 건물 최하부에 구비되어야 하므로, 통상 매트 기초 내부에 매립 설치된다.Since such an elevator pit must be provided at the bottom of a building, it is usually embedded in the mat foundation.

그런데 기초 공사 자체에는 거푸집 작업이 필요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기초 내부에 상기 엘리베이터 피트 설치를 위한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거푸집 설치 및 해체 작업이 필요하다. However, although the foundation work itself does not require a formwork, a separate formwork installation and dismantling work is required to form a space for installing the elevator pit inside the foundation.

아울러 엘리베이터 피트 부분은 통상 기초보다 하부로 일정 깊이 더 내려가게 설치된다. 그러므로 철근 배근 및 거푸집 설치 작업이 어려워, 이로 인해 공사 기간이 증가하고 경제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elevator pit part is usually installed to descend a certain depth below the foundation.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install reinforcing bars and formwork, thereby increasing the construction period and reducing economic efficiency.

이러한 재래식 엘리베이터 피트 시공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엘리베이터 피트를 사전 제작하여 현장 작업을 최소화할 수 있는 상부가 개방된 박스형의 엘리베이터 피트용 구조물이 개발되었다(등록특허 제10-1508898호).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such conventional elevator pit construction, a box-type elevator pit structure with an open top that can minimize field work by pre-fabricating an elevator pit has been developed (Registration Patent No. 10-1508898).

그러나 이러한 엘리베이터 피트용 구조물은 구조물의 중량이 가볍기 때문에, 기초 콘크리트 타설시 부력에 의한 부상(浮上)의 우려가 있다.However, since the structure for elevator pit is light in weight, there is a concern of injury due to buoyancy when pouring basic concrete.

이에 등록특허 제10-1705264호 등에서와 같이, 하측 부재의 단부를 피트 양측으로 돌출시키고, 1차로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하여 베이스프레임인 하측 부재가 1차 콘크리트 내에 고정된 상태에서 2차로 기초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기술이 개발되었다(도 1). Accordingly, as in Registration Patent No. 10-1705264, the end of the lower member is protruded to both sides of the pit, and concrete is firstly poured and cured, so that the lower member, which is the base frame, is fixed in the primary concrete, and the foundation concrete is secondarily formed. A technique for pouring was developed (Fig. 1).

그러나 공동주택에서 세대 경계벽 등의 중간 벽체에 의해 승강로가 분할되는 경우,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물을 중간 벽체를 기준으로 좌우에 각각 설치하면 중간 벽체 측은 베이스프레임을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물의 외측으로 돌출시킬 수 없다. However, when the hoistway is divided by an intermediate wall such as a household boundary wall in an apartment house, if the elevator pit structure is install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intermediate wall, the base frame cannot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elevator pit structure.

이에 따라 베이스프레임이 1차 타설되는 콘크리트 내에 견고하게 고정되지 못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콘크리트 타설시 또는 지하 수압에 의해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물이 부상하여 이탈되는 문제가 발생한다.Accordingly, the base frame cannot be firmly fixed in the first poured concrete, and as a resul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levator pit structure rises and separates during concrete pouring or by underground water pressure.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중간 벽체에 의해 분할되는 승강로에서 콘크리트 내에 견고하게 고정됨으로써 부력에 저항할 수 있는 중간 벽체형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termediate wall-type steel elevator pit structure capable of resisting buoyancy by being firmly fixed in concrete in a hoistway divided by an intermediate wall.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승강로 하부의 콘크리트 기초에 매립되는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에 관한 것으로, 상부가 개방된 사각형 단면의 제1피트모듈; 상부가 개방된 사각형 단면으로 상기 제1피트모듈과 횡방향으로 이격되어 사이에 벽 조성부가 형성되도록 구비되는 제2피트모듈; 및 상기 제1피트모듈과 제2피트모듈의 하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측단이 제1피트모듈 및 제2피트모듈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장방형의 일체형 베이스프레임;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 벽체형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물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relates to a steel elevator pit buried in a concrete foundation under a hoistway, the first pit module of a rectangular cross-section with an open top; A second pit module having an open upper side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pit module in a transverse direction to form a wall composition therebetween; And a rectangular integrated base frame provided under the first pit module and the second pit module and having side ends protruding outward of the first pit module and the second pit module. It provides an intermediate wall-type steel elevator pit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제1피트모듈과 제2피트모듈의 상부는 제1피트모듈과 제2피트모듈의 외곽을 서로 연결하는 상부지지프레임으로 상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 벽체형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물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is an intermediate wall,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pit module and the second pit module are mutually fixed with an upper support frame connecting the outer edges of the first pit module and the second pit module to each other. Provides a steel elevator pit structure.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벽 조성부의 내부에는 선조립 철근망이 삽입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 벽체형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물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provides an intermediate wall-type steel elevator pit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pre-assembled reinforced mesh is inserted and installed inside the wall composition part.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제1피트모듈 및 제2피트모듈의 벽 조성부 측 측면은 벽 패널 및 수직보강바와 수평보강바로 구성되어 상기 벽 패널의 내측면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보강프레임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 벽체형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물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is a reinforcing frame that is composed of a wall panel, a vertical reinforcing bar, and a horizontal reinforcing bar on the side of the wall composition part of the first and second pit modules so as to be detachably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wall panel. It provides an intermediate wall-type steel elevator pit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보강프레임의 수직보강바 및 수평보강바는 일측 레그의 단부는 보강바에 고정되고, 타측 레그의 단부는 벽 패널에 고정되는 ㄱ형상의 고정브래킷에 의해 벽 패널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 벽체형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물을 제공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the vertical reinforcing bar and the horizontal reinforcing bar of the reinforcing frame have an end of one leg fixed to the reinforcing bar, and an end of the other leg is a wall panel by an a-shaped fixing bracket fixed to the wall panel. It provides an intermediate wall-type steel elevator pit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fixed to.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고정브래킷의 타측 레그 일측에는 연장플레이트가 볼트 결합되고, 상기 연장플레이트의 단부가 벽 패널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 벽체형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물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provides an intermediate wall-type steel elevator pit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an extension plate is bolted to one side of the other leg of the fixing bracket, and an end of the extension plate is fixed to the wall panel.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보강프레임의 상부에 위치한 수평보강바는 보강프레임고정구에 의해 상부지지프레임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 벽체형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물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provides an intermediate wall-type steel elevator pit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horizontal reinforcing bar loc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reinforcing frame is coupled to the upper support frame by a reinforcing frame fixing tool.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벽 조성부의 베이스프레임 상부는 누수방지플레이트에 의해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 벽체형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물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provides an intermediate wall-type steel elevator pit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frame of the wall composition is closed by a leak-proof plate.

본 발명에 따르면 중간 벽체에 의해 분할되는 승강로 설치시, 제1피트모듈과 제2피트모듈을 상호 이격 배치하되 이들 모듈을 하부의 베이스프레임으로 연결하여 일체화함으로써, 콘크리트 타설시 베이스프레임 및 상부의 제1, 2피트모듈을 콘크리트 내에 견고하게 고정하여 부력에 저항 가능한 중간 벽체형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물을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installing a hoistway divided by an intermediate wall, the first pit module and the second pit module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ut these modules are connected to the lower base frame to be integrated.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intermediate wall-type steel elevator pit structure capable of resisting buoyancy by firmly fixing 1 and 2 foot modules in concrete.

도 1은 종래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물의 시공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 중간 벽체형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물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지지포스트와 상부지지프레임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중간 벽체형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가 설치된 콘크리트 기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중간 벽체형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물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6은 벽 패널 및 보강프레임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7은 보강프레임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8은 일실시예의 고정브래킷에 의한 보강프레임과 벽 패널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9는 다른 실시예의 고정브래킷에 의한 보강프레임과 벽 패널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단면도.
1 is a view showing a construction method of a conventional elevator pit structure.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present invention intermediate wall-type steel elevator pit struct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a support post and an upper support frame.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crete foundation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ntermediate wall-type steel elevator pit is installed.
5 is a plan view showing an intermediate wall-type steel elevator pit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a wall panel and a reinforcing fram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reinforcing frame.
8 is a plan view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a reinforcing frame and a wall panel by a fixing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a reinforcing frame and a wall panel by a fixing bracke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ccording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preferred embodiments.

도 2는 본 발명 중간 벽체형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물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3은 지지포스트와 상부지지프레임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 중간 벽체형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가 설치된 콘크리트 기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present invention intermediate wall-type steel elevator pit structure,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support post and the upper support frame, Figure 4 is the present invention concrete intermediate wall-type steel elevator pit is installed It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foundation.

도 2 내지 도 3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중간 벽체형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물은 승강로 하부의 콘크리트 기초(3)에 매립되는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2)에 관한 것으로, 상부가 개방된 사각형 단면의 제1피트모듈(21a); 상부가 개방된 사각형 단면으로 상기 제1피트모듈(21a)과 횡방향으로 이격되어 사이에 벽 조성부(22)가 형성되도록 구비되는 제2피트모듈(21b); 및 상기 제1피트모듈(21a)과 제2피트모듈(21b)의 하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측단이 제1피트모듈(21a) 및 제2피트모듈(21b)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장방형의 일체형 베이스프레임(23);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shown in Figures 2 to 3,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rmediate wall-type steel elevator pit structure relates to a steel elevator pit (2) buried in the concrete foundation (3) in the lower part of the hoistway, and the upper part of the open square cross section. 1 foot module 21a; A second pit module (21b) having a rectangular cross-section with an open top and spaced laterally from the first pit module (21a) so as to form a wall composition portion (22) therebetween; And a rectangular integral base provided under the first pit module 21a and the second pit module 21b, and the side ends protruding outward of the first pit module 21a and the second pit module 21b. Frame 23;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본 발명은 중간 벽체에 의해 분할된 승강로에서 콘크리트 내에 견고하게 고정됨으로써 부력에 저항할 수 있는 중간 벽체형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termediate wall-type steel elevator pit structure capable of resisting buoyancy by being firmly fixed in concrete in a hoistway divided by an intermediate wall.

상기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2)는 승강로 하부의 콘크리트 기초(3)에 매립된다. The steel elevator pit 2 is embedded in the concrete foundation 3 below the hoistway.

본 발명 중간 벽체형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물은 제1피트모듈(21a), 제2피트모듈(21b) 및 베이스프레임(2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intermediate wall-type steel elevator pit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pit module 21a, a second pit module 21b, and a base frame 23.

상기 제1피트모듈(21a)과 제2피트모듈(21b)은 각각 상부가 개방된 사각형 단면으로 형성된다. Each of the first pit module 21a and the second pit module 21b has a rectangular cross section with an open top.

상기 제1피트모듈(21a)과 제2피트모듈(21b)은 상호 횡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으로, 사이에 벽 조성부(22)가 형성된다. The first pit module 21a and the second pit module 21b ar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a wall composition part 22 is formed therebetween.

즉, 상기 제1피트모듈(21a)과 제2피트모듈(21b) 사이에는 벽 조성부(22)가 형성되어, 후에 벽 조성부(22)에 중간 벽체(4)이 시공된다. That is, the wall composition part 22 is formed between the first pit module 21a and the second pit module 21b, and the intermediate wall 4 is installed on the wall composition part 22 later.

상기 제1피트모듈(21a)과 제2피트모듈(21b)은 중간 벽체(4)을 기준으로 좌우로 이격 배치된다. The first pit module 21a and the second pit module 21b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the left and right based on the intermediate wall 4.

상기 베이스프레임(23)은 장방형 형상으로 제1피트모듈(21a)과 제2피트모듈(21b)의 하부에 일체로 구비된다. The base frame 23 has a rectangular shape and is integrally provided under the first pit module 21a and the second pit module 21b.

상기 베이스프레임(23)은 측단이 제1피트모듈(21a) 및 제2피트모듈(21b)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The base frame 23 has a side end protruding outward of the first pit module 21a and the second pit module 21b.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피트모듈(21a)과 제2피트모듈(21b)이 상호 이격 배치되는 대신 하부의 베이스프레임(23)이 이들을 하나로 연결하여 일체화한다. 이에 따라 1차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의해 베이스프레임(23) 및 베이스프레임(23) 상부에 설치되는 제1피트모듈(21a)과 제2피트모듈(21b)이 견고하게 고정 가능하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nstead of the first pit module 21a and the second pit module 21b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lower base frame 23 connects and integrates them. Accordingly, the first pit module 21a and the second pit module 21b installed on the base frame 23 and the base frame 23 can be firmly fixed by the first poured concrete.

상기 제1피트모듈(21a)과 제2피트모듈(21b)은 사이의 벽 조성부(22)에 중간 벽체(4)을 시공하기 위한 거푸집 역할을 한다.The first pit module 21a and the second pit module 21b serve as a formwork for constructing the intermediate wall 4 on the wall forming part 22 therebetween.

상기 벽 조성부(22)는 상부와 양측면이 개방되어 기초 콘크리트 타설시 중간 벽체(4) 하부가 같이 시공될 수 있도록 한다.The wall composition part 22 is open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part so that the lower part of the intermediate wall 4 can be constructed at the same time when basic concrete is placed.

상기 제1피트모듈(21a)과 제2피트모듈(21b)은 구체적으로 상부가 개방된 장방형 또는 정방형의 사각형 단면으로 각각 형성 가능하다.Each of the first pit module 21a and the second pit module 21b may have a rectangular or square cross-section with an open top.

상기 제1피트모듈(21a)과 제2피트모듈(21b)은 각 모서리에 지지포스트(211)가 배치되고, 이웃하는 지지포스트(211) 사이에는 측면패널(212)이 결합될 수 있다. Each of the first pit module 21a and the second pit module 21b has a support post 211 disposed at each corner, and a side panel 212 may be coupled between the neighboring support posts 211.

상기 측면패널(212)은 기초 콘크리트 타설시 측압을 지지하고 상부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골과 마루가 교대로 형성된 파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 The side panel 212 may be configured in a waveform in which valleys and floors are alternately formed so as to support side pressure and stably support an upper load when pouring foundation concrete.

상기 지지포스트(211)와 측면패널(212)의 상부에는 상부 강성 보강을 위하여 상부지지프레임(213)을 결합할 수 있다. An upper support frame 213 may be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support post 211 and the side panel 212 to reinforce upper rigidity.

상기 상부지지프레임(213)의 상부에는 승강로 벽체 타설용 거푸집의 하단을 고정하기 위한 거푸집 거치 프레임(214)이 결합될 수 있다.A formwork mounting frame 214 for fixing a lower end of a formwork for placing a hoistway wall may be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upper support frame 213.

상기 거푸집 거치 프레임(214)은 콘크리트 기초(3) 상부의 승강로 벽체 타설용 거푸집을 고정하여 체결하기 위해 상부지지프레임(213)에 결합되는 소모성 자재로 상부지지프레임(213)의 상부에 착탈식으로 결합할 수 있다. 상기 거푸집 거치 프레임(214)은 승강로 벽체 시공 완료 후 해체하여 제거 가능하다.The formwork mounting frame 214 is a consumable material coupled to the upper support frame 213 to fix and fasten the formwork for placing the hoistway wall above the concrete foundation 3, and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upper support frame 213 can do. The formwork mounting frame 214 can be disassembled and removed after completion of the hoistway wall construction.

아울러 콘크리트 기초(3)와 측면패널(212) 사이 틈을 통해 측면패널(212)을 타고 올라오는 지하수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부지지프레임(213)의 외측면에는 전단차수키(215)를 설치할 수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prevent the inflow of groundwater coming up through the side panel 212 through the gap between the concrete foundation 3 and the side panel 212, a shearing order key 215 is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support frame 213. I can.

상기 전단차수키(215)는 기초의 상부 철근(미도시)이 연결되어 정착되고, 기초 콘크리트의 내부에 맞물려 일체화됨으로써, 지하 수압에 의한 부력 등에 저항한다. The shear order key 215 is fixed by connecting the upper reinforcing bar (not shown) of the foundation, and is interlocked with the interior of the foundation concrete to be integrated, thereby resisting buoyancy caused by underground water pressure.

상기 베이스프레임(23)은 일정한 두께를 갖는 장방형 형상으로 구성 가능한 것으로, 강재를 절곡 또는 용접하여 형성 가능하다.The base frame 23 may be configured in a rectangular shape having a certain thickness, and may be formed by bending or welding a steel material.

상기 베이스프레임(23)은 지하수에 의한 부력 등을 지지하기 위해 내부에 바닥철근(231)을 배근한 후 내부에 채움콘크리트(미도시)를 타설하여 채울 수 있다.The base frame 23 may be filled by placing a floor reinforcement 231 therein to support buoyancy caused by groundwater, and then pouring filled concrete (not shown) therein.

상기 베이스프레임(23)은 제1피트모듈(21a)과 제2피트모듈(21b)의 측면패널(212)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하여, 버림콘크리트(3') 및 콘크리트 기초(3) 내에 묻히게 구성할 수 있다(도 4). 이로써 하부 부력 등에 대해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2)와 기초가 일체 거동하여 저항 가능하다. The base frame 23 is formed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side panels 212 of the first pit module 21a and the second pit module 21b, and is configured to be buried in the discarded concrete (3') and the concrete foundation (3). It can be done (Fig. 4). Thereby, the steel elevator pit 2 and the foundation behave integrally with respect to the lower buoyancy and can be resisted.

도 3, 도 4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피트모듈(21a)과 제2피트모듈(21b)의 상부는 제1피트모듈(21a)과 제2피트모듈(21b)의 외곽을 서로 연결하는 상부지지프레임(213)으로 상호 고정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3 and 4, the upper portions of the first pit module 21a and the second pit module 21b connect the outer edges of the first pit module 21a and the second pit module 21b to each other. It can be fixed to each other by the upper support frame 213.

상기 제1피트모듈(21a)과 제2피트모듈(21b)의 하부는 베이스프레임(23)에 의해 지지되나 상부는 서로 분리되어 있다. 이에 따라 벽 조성부(22) 내부에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 측압 지지가 곤란하고, 제1, 2피트모듈(21a, 21b)의 고정에 어려움이 있다. The lower portions of the first pit module 21a and the second pit module 21b are supported by the base frame 23, but the upper portions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ccordingly, it is difficult to support concrete lateral pressure when placing concrete inside the wall composition unit 22, and it is difficult to fix the first and second feet modules 21a and 21b.

따라서 상기 제1피트모듈(21a)과 제2피트모듈(21b)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지지프레임(213)을 하나로 연결하여 제1피트모듈(21a)과 제2피트모듈(21b)의 외곽이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Therefore, by connecting the upper support frame 213 installed on the top of the first pit module 21a and the second pit module 21b into one, the outer edges of the first pit module 21a and the second pit module 21b are It can be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이에 따라 제1피트모듈(21a)과 제2피트모듈(21b)이 서로 견고하게 고정되어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물의 형상 유지가 용이하다. 또한, 중간 벽체(4) 부분 콘크리트 타설시 양측 거푸집의 간격 유지를 위해 스페이서를 설치하는 경우 스페이서가 중간 벽체(4)를 관통하게 되므로 중간 벽체(4)에서 누수 발생 우려가 있는데, 지지프레임(213)에 의해 양측 거푸집의 간격이 유지되므로 별도의 스페이서 설치가 필요 없어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ly, since the first pit module 21a and the second pit module 21b are firmly fixed to each other, it is easy to maintain the shape of the elevator pit structure. In addition, when spacers are installed to maintain the spacing between the formwork on both sides of the intermediate wall (4) when partial concrete is poured, since the spacer penetrates through the intermediate wall (4), there is a risk of leakage from the intermediate wall (4). ), the gap between the two forms is maintained, so there is no need for a separate spacer to be installed, preventing leakage.

도 3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벽 조성부(22)의 베이스프레임(23) 상부는 누수방지플레이트(232)에 의해 폐쇄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3 and the like, the upper part of the base frame 23 of the wall composition part 22 may be configured to be closed by a leak-proof plate 232.

상기 베이스프레임(23)은 채움 콘크리트 타설을 위해 상면이 개방될 수 있다. 그런데 베이스프레임(23) 상면이 개방될 경우, 중간 벽체(4)을 타고 물이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물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The base frame 23 may have an open upper surface for pouring concrete. However, whe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frame 23 is opened, water may flow into the elevator pit structure while riding the intermediate wall 4.

따라서 벽 조성부(22)의 베이스프레임(23) 상부에는 누수방지플레이트(232)를 덮어 폐쇄함으로써 누수를 방지하도록 구성 가능하다. Accordingly,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frame 23 of the wall composition 22 may be configured to prevent leakage by covering and closing the leakage prevention plate 232.

도 5는 본 발명 중간 벽체형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물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5 is a plan view showing an intermediate wall-type steel elevator pit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벽 조성부(22)의 내부에는 선조립 철근망(25)이 삽입 설치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5, a pre-assembled reinforcing bar network 25 may be inserted into the wall composition part 22.

상기 벽 조성부(22)에는 중간 벽체(4)이 시공된다. An intermediate wall 4 is installed in the wall composition 22.

이러한 중간 벽체(4)은 수직하중을 지지하는 부재이므로 벽 철근이 배근되어 수직 하중을 기초부에 전달하여야 한다.Since the intermediate wall 4 is a member that supports the vertical load, the wall reinforcement is reinforced to transmit the vertical load to the foundation.

그런데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물은 공장에서 선조립하여 현장 반입 및 설치되는 것이므로, 제1피트모듈(21a)과 제2피트모듈(21b) 사이의 폭이 좁은 벽 조성부(22) 내에서 철근 배근 작업을 하기가 쉽지는 않다. However, since the steel elevator pit structure is pre-assembled at the factory and brought on-site and installed, reinforcement work is performed within the narrow wall construction part 22 between the first pit module 21a and the second pit module 21b. Is not easy.

따라서 벽 철근을 현장에서 설치할 수도 있으나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물 제작시 선조립 철근망(25)을 미리 삽입 설치함으로써 현장 철근 배근 작업을 생략하도록 할 수 있다. Therefore, it is possible to install the wall reinforcement on site, but by inserting and installing the pre-assembled reinforcement network 25 in advance when manufacturing the elevator pit structure, the reinforcement work on the site can be omitted.

도 6은 벽 패널 및 보강프레임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a wall panel and a reinforcing frame.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피트모듈(21a) 및 제2피트모듈(21b)의 벽 조성부(22) 측 측면은 벽 패널(26) 및 수직보강바(271)와 수평보강바(272)로 구성되어 상기 벽 패널(26)의 내측면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보강프레임(27)으로 구성 가능하다. As shown in Fig. 6, the side surfaces of the first pit module 21a and the second pit module 21b on the side of the wall forming part 22 are wall panels 26 and vertical reinforcing bars 271 and horizontal reinforcing bars ( It is composed of 272 and may be composed of a reinforcing frame 27 that is detachably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wall panel 26.

상기 제1피트모듈(21a) 및 제2피트모듈(21b)의 벽 조성부(22) 측 측면은 중간 벽체(4) 콘크리트 타설시 측압을 지지할 수 있도록 강성을 유지해야 한다.The side surfaces of the wall composition part 22 of the first pit module 21a and the second pit module 21b must maintain rigidity so as to support the lateral pressure during concrete placement of the intermediate wall 4.

그러나 중간 벽체(4) 부분은 승강기 등 설치시 공간적 여유가 없는 경우가 많아 측압 지지가 어려울 수 있다.However, the intermediate wall 4 may be difficult to support side pressure because there is often no spatial margin when installing an elevator or the like.

따라서 상기 벽 패널(26)에 착탈 가능한 보강프레임(27)을 고정하여 중간 벽체(4) 콘크리트 타설시 측압을 지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Therefore, by fixing the reinforcing frame 27 detachable to the wall panel 26, the intermediate wall 4 may be configured to support lateral pressure during concrete placement.

상기 보강프레임(27)은 수직보강바(271)와 수평보강바(272)로 구성된다. The reinforcing frame 27 is composed of a vertical reinforcing bar 271 and a horizontal reinforcing bar 272.

구체적으로 상기 보강프레임(27)은 상부와 하부에 각각 수평보강바(272)를 배치하고, 상하부 수평보강바(272) 사이에 복수의 수직보강바(271)를 결합하여 일체로 구성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reinforcing frame 27 may be integrally configured by arranging horizontal reinforcing bars 272 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respectively, and combining a plurality of vertical reinforcing bars 271 between the upper and lower horizontal reinforcing bars 272. .

상기 보강프레임(27)은 중간 벽체(4) 콘크리트 양생 후 제거하여 승강로 설비 공사시 간섭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The reinforcing frame 27 may be removed after curing the concrete of the intermediate wall 4 so as not to interfere during the construction of the hoistway facility.

상기 벽 패널(26)은 중간 벽체(4) 철근의 피복두께 확보, 엘리베이터 피트 내부의 승강기 설치를 위한 최소 공간 확보 등을 위하여 평판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wall panel 26 is preferably formed of a flat plate in order to secure the cover thickness of the reinforcing bar of the intermediate wall 4 and secure a minimum space for installing an elevator inside the elevator pit.

한편, 상기 엘리베이터 피트 내부에는 승강기 점검용 사다리가 설치되어야 한다. 그런데 현장에서 용접에 의해 벽 패널(26)에 승강기 점검용 사다리 고정시, 용접 부주의로 인해 벽 패널(26)에 구멍이 생기면서 누수가 발생할 수 있다.Meanwhile, a ladder for checking an elevator must be installed inside the elevator pit. However, when fixing the elevator inspection ladder to the wall panel 26 by welding in the field, a hole may be formed in the wall panel 26 due to negligence of welding and water leakage may occur.

따라서 상기 벽 패널(26)의 내측면에는 승강기 점검용 사다리 설치를 위한 사다리 고정패널(261)을 선부착하여 둘 수 있다. Accordingly, a ladder fixing panel 261 for installing a ladder for checking an elevator may be pre-attached to the inner side of the wall panel 26.

도 6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강프레임(27)의 상부에 위치한 수평보강바(272)는 보강프레임고정구(273)에 의해 상부지지프레임(213)에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6 and the like, the horizontal reinforcing bar 272 loc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reinforcing frame 27 may be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upper support frame 213 by a reinforcing frame fixing tool 273.

상기 보강프레임(27)을 용접 공정 없이 고정할 수 있도록 보강프레임(27)은 별도의 보강프레임고정구(273)를 이용하여 볼트로 상부지지프레임(213)에 고정할 수 있다.The reinforcing frame 27 may be fixed to the upper support frame 213 with bolts using a separate reinforcing frame fixing tool 273 so that the reinforcing frame 27 can be fixed without a welding process.

즉, 상부에 위치한 수평보강바(272)의 양단은 각각 보강프레임고정구(273)에 의해 상부지지프레임(213)에 조립 고정할 수 있다. That is, both ends of the horizontal reinforcing bar 272 located at the upper part may be assembled and fixed to the upper support frame 213 by the reinforcing frame fasteners 273, respectively.

아울러 하부에 위치하는 수평보강바(272)는 보강프레임고정구(273)에 의해 누수방지플레이트(232)에 조립 고정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horizontal reinforcing bar 272 located at the bottom may be assembled and fixed to the leak-proof plate 232 by a reinforcing frame fixing tool 273.

상기 보강프레임고정구(273)는 볼트에 의해 상부지지프레임(213) 또는 누수방지플레이트(232)에 조립 고정 가능하므로, 해체시 부재의 손상이 없다.Since the reinforcing frame fixing tool 273 can be assembled and fixed to the upper support frame 213 or the leakage preventing plate 232 by bolts, there is no damage to the member during disassembly.

도 7은 보강프레임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8은 일실시예의 고정브래킷에 의한 보강프레임과 벽 패널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reinforcing frame, and FIG. 8 is a plan view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a reinforcing frame and a wall panel by a fixing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강프레임(27)의 수직보강바(271) 및 수평보강바(272)는 일측 레그(281)의 단부는 보강바(271, 272)에 고정되고, 타측 레그(282)의 단부는 벽 패널(26)에 고정되는 ㄱ형상의 고정브래킷(28)에 의해 벽 패널(26)에 고정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7 and 8, the vertical reinforcing bar 271 and the horizontal reinforcing bar 272 of the reinforcing frame 27 are fixed to the reinforcing bars 271 and 272 at one end of the leg 281. , The end of the other leg 282 may be configured to be fixed to the wall panel 26 by the a-shaped fixing bracket 28 fixed to the wall panel 26.

강판인 벽 패널(26)에 보강프레임(27)을 고정하는 과정은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물의 공장 제작시 이루어지므로 용접 품질 확보가 용이하다.Since the process of fixing the reinforcing frame 27 to the wall panel 26, which is a steel plate, is performed during factory manufacturing of the elevator pit structure, it is easy to secure welding quality.

반면, 상기 보강프레임(27)의 해체는 현장에서 기초 콘크리트 양생 후 승강로 설비 공사 시점에 이루어진다. On the other hand, the dismantling of the reinforcing frame 27 is performed at the time of the hoistway facility construction after curing the basic concrete at the site.

그러므로 보강프레임(27)의 해체가 용접이나 산소 절단 등에 숙련도가 떨어지는 현장 설비 작업자들에 의해 이루어져 벽 패널(26)의 손상 가능성이 있으며, 누수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Therefore, the disassembly of the reinforcing frame 27 is made by field equipment workers who are less skilled in welding or oxygen cutting, and there is a possibility of damage to the wall panel 26, and a leakage problem may occur.

따라서 현장에서 보강프레임(27) 해체시 벽 패널(26)에 손상을 주지 않도록 보강프레임(27)은 ㄱ형상의 고정브래킷(28)을 이용하여 벽 패널(26)에 용접 고정하여 둘 수 있다.Therefore, the reinforcing frame 27 can be welded to the wall panel 26 using the a-shaped fixing bracket 28 so as not to damage the wall panel 26 when dismantling the reinforcing frame 27 at the site.

상기와 같은 고정브래킷(28)의 용접 결합을 위해 벽 패널(26)은 강판을 사용할 수 있다. For the welding of the fixing bracket 28 as described above, the wall panel 26 may use a steel plate.

상기 고정브래킷(28)은 벽 패널(26)에 보강프레임(27)을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공장 제작시 용접에 의해 사전 부착 가능하다.The fixing bracket 28 is for fixing the reinforcing frame 27 to the wall panel 26, and can be pre-attached by welding during factory manufacturing.

상기 벽 조성부(22)에 중간 벽체(4) 형성을 위한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한 이후 보강프레임(27)을 해체하고자 하는 경우, 고정브래킷(28)의 타측 레그(282)를 절단하여 보강프레임(27)을 해체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dismantling the reinforcing frame 27 after pouring and curing concrete for the formation of the intermediate wall 4 in the wall composition 22, the other leg 282 of the fixing bracket 28 is cut to cut the reinforcing frame ( 27) can be dismantled.

이때, 도 8에서 표기한 고정브래킷(28)의 일점쇄선 부분을 절단하고 보강프레임(27)을 해체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dashed-dotted line portion of the fixing bracket 28 shown in FIG. 8 may be cut and the reinforcing frame 27 may be disassembled.

이와 같이, 상기 고정브래킷(28)과 벽 패널(26) 사이의 용접 부위가 아니라 고정브래킷(28)의 레그 중간을 절단하면, 벽 패널(26)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In this way, if the middle of the leg of the fixing bracket 28 is cut instead of the welding portion between the fixing bracket 28 and the wall panel 26, damage to the wall panel 26 can be prevented.

상기 수평보강바(272)의 양단은 지지포스트(211) 또는 벽 패널(26)의 내측면에 고정 가능하다.Both ends of the horizontal reinforcing bar 272 may be fixed to the support post 211 or the inner side of the wall panel 26.

상기 수평보강바(272)는 용접에 의해 고정할 수 있으며, 보강프레임(27) 해체시에는 수평보강바(272) 측 단부를 절단하여 보강프레임(27)을 해체 가능하다.The horizontal reinforcing bar 272 may be fixed by welding, and when the reinforcing frame 27 is dismantled, the reinforcing frame 27 can be disassembled by cutting an end of the horizontal reinforcing bar 272 side.

상기 수직보강바(271)의 내측에는 멍에 고정을 위한 멍에 고정대(29)를 부착할 수 있다. A yoke fixture 29 for fixing the yoke may be attached to the inside of the vertical reinforcing bar 271.

도 9는 다른 실시예의 고정브래킷에 의한 보강프레임과 벽 패널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a reinforcing frame and a wall panel by a fixing bracke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브래킷(28)의 타측 레그(282) 일측에는 연장플레이트(283)가 볼트(B) 결합되고, 상기 연장플레이트(283)의 단부가 벽 패널(26)에 고정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9, an extension plate 283 is bolted (B) to one side of the other leg 282 of the fixing bracket 28, and the end of the extension plate 283 is attached to the wall panel 26. Can be configured to be fixed.

도 8과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일단 고정브래킷(28)의 타측 레그(282)를 절단하여 보강프레임(27)을 제거할 경우, 보강프레임(27)을 재사용하기 위해서는 고정브래킷(28) 전체를 다시 절단하고 새로운 고정브래킷(28)을 용접 결합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As described above with respect to FIG. 8, once the other leg 282 of the fixing bracket 28 is cut to remove the reinforcing frame 27, in order to reuse the reinforcing frame 27, the entire fixing bracket 28 There is a hassle to cut again and weld the new fixing bracket 28.

따라서 상기 고정브래킷(28)의 타측 레그(282) 단부에 연장플레이트(283)를 볼트(B) 결합하여, 보강프레임(27)의 재사용이 용이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extension plate 283 is bolted (B) to the end of the other leg 282 of the fixing bracket 28, so that the reinforcing frame 27 can be easily reused.

이에 상기 중간 벽체(4) 콘크리트 양생 후 연장플레이트(283)를 절단하여 보강프레임(27)을 제거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reinforcing frame 27 may be removed by cutting the extension plate 283 after curing the intermediate wall 4 concrete.

그리고 상기 연장플레이트(283)와 고정브래킷(28)의 타측 레그(282)를 연결하는 볼트(B)를 해체하여 연장플레이트(283)의 잔여 부분을 제거한 다음, 고정브래킷(28)의 타측 레그(282)에 새로운 연장플레이트(283)를 볼트(B) 체결 가능하다.Then, the bolt (B) connecting the extension plate 283 and the other leg 282 of the fixing bracket 28 is removed to remove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extension plate 283, and then the other leg of the fixing bracket 28 ( It is possible to fasten a new extension plate 283 to 282 with a bolt (B).

이후 보강프레임(27) 재설치시 고정브래킷(28)의 일측 레그(281)와 타측 레그(282) 부분까지 그대로 재활용 가능하다. After the reinforcement frame 27 is reinstalled, one leg 281 and the other leg 282 of the fixing bracket 28 can be recycled as it is.

1: 지반 2: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
21a: 제1피트모듈 21b: 제2피트모듈
211: 지지포스트 212: 측면패널
213: 상부지지프레임 214: 거푸집 거치 프레임
215: 전단차수키 22: 벽 조성부
23: 베이스프레임 231: 바닥철근
232: 누수방지플레이트 25: 선조립 철근망
26: 벽 패널 261: 사다리 고정패널
27: 보강프레임 271: 수직보강바
272: 수평보강바 273: 보강프레임고정구
28: 고정브래킷 281: 일측 레그
282: 타측 레그 283: 연장플레이트
29: 멍에 고정대 3: 콘크리트 기초
3': 버림콘크리트 4: 중간 벽체
B: 볼트
1: Ground 2: Steel elevator feet
21a: first pit module 21b: second pit module
211: support post 212: side panel
213: upper support frame 214: formwork mounting frame
215: shear order key 22: wall construction unit
23: base frame 231: floor reinforcement
232: leakage prevention plate 25: pre-assembled reinforcing bar net
26: wall panel 261: ladder fixing panel
27: reinforcing frame 271: vertical reinforcing bar
272: horizontal reinforcing bar 273: reinforcing frame fixing tool
28: fixing bracket 281: one leg
282: the other leg 283: extension plate
29: yoke fixture 3: concrete foundation
3': discarded concrete 4: intermediate wall
B: bolt

Claims (8)

승강로 하부의 콘크리트 기초(3)에 매립되는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2)에 관한 것으로,
상부가 개방된 사각형 단면의 제1피트모듈(21a);
상부가 개방된 사각형 단면으로 상기 제1피트모듈(21a)과 횡방향으로 이격되어 사이에 벽 조성부(22)가 형성되도록 구비되는 제2피트모듈(21b); 및
상기 제1피트모듈(21a)과 제2피트모듈(21b)의 하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측단이 제1피트모듈(21a) 및 제2피트모듈(21b)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장방형의 일체형 베이스프레임(23);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 벽체형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물.
It relates to a steel elevator pit (2) buried in the concrete foundation (3) under the hoistway,
A first pit module (21a) having a rectangular cross-section with an open top;
A second pit module (21b) having a rectangular cross-section with an open top and spaced laterally from the first pit module (21a) so as to form a wall composition portion (22) therebetween; And
A rectangular integrated base frame that is provided under the first pit module 21a and the second pit module 21b and has a side end protruding outward of the first pit module 21a and the second pit module 21b (23); An intermediate wall-type steel elevator pit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제1항에서,
상기 제1피트모듈(21a)과 제2피트모듈(21b)의 상부는 제1피트모듈(21a)과 제2피트모듈(21b)의 외곽을 서로 연결하는 상부지지프레임(213)으로 상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 벽체형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물.
In claim 1,
The upper part of the first pit module 21a and the second pit module 21b is fixed to each other by an upper support frame 213 connecting the outer peripheries of the first pit module 21a and the second pit module 21b to each other. An intermediate wall-type steel elevator pit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서,
상기 벽 조성부(22)의 내부에는 선조립 철근망(25)이 삽입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 벽체형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물.
In claim 1,
An intermediate wall-type steel elevator pit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a pre-assembled reinforcing bar network (25) is inserted and installed in the wall composition (22).
제1항에서,
상기 제1피트모듈(21a) 및 제2피트모듈(21b)의 벽 조성부(22) 측 측면은 벽 패널(26) 및 수직보강바(271)와 수평보강바(272)로 구성되어 상기 벽 패널(26)의 내측면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보강프레임(27)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 벽체형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물.
In claim 1,
The side of the first pit module 21a and the second pit module 21b on the side of the wall forming part 22 is composed of a wall panel 26, a vertical reinforcing bar 271 and a horizontal reinforcing bar 272. An intermediate wall-type steel elevator pit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reinforcing frame (27) that is detachably fixed to the inner side of (26).
제4항에서,
상기 보강프레임(27)의 수직보강바(271) 및 수평보강바(272)는 일측 레그(281)의 단부는 보강바(271, 272)에 고정되고, 타측 레그(282)의 단부는 벽 패널(26)에 고정되는 ㄱ형상의 고정브래킷(28)에 의해 벽 패널(26)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 벽체형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물.
In claim 4,
The vertical reinforcing bar 271 and the horizontal reinforcing bar 272 of the reinforcing frame 27 are fixed to the reinforcing bars 271 and 272 at one end of the leg 281, and the end of the other leg 282 is a wall panel An intermediate wall-type steel elevator pit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ixed to the wall panel 26 by the a-shaped fixing bracket 28 fixed to 26.
제5항에서,
상기 고정브래킷(28)의 타측 레그(282) 일측에는 연장플레이트(283)가 볼트(B) 결합되고, 상기 연장플레이트(283)의 단부가 벽 패널(26)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 벽체형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물.
In clause 5,
An intermediate wall, characterized in that an extension plate 283 is bolted (B) to one side of the other leg 282 of the fixing bracket 28, and an end of the extension plate 283 is fixed to the wall panel 26 Steel elevator pit structure.
제4항에서,
상기 보강프레임(27)의 상부에 위치한 수평보강바(272)는 보강프레임고정구(273)에 의해 상부지지프레임(213)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 벽체형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물.
In claim 4,
An intermediate wall-type steel elevator pit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horizontal reinforcing bar 272 loc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reinforcing frame 27 is coupled to the upper support frame 213 by a reinforcing frame fixing tool 273.
제1항에서,
상기 벽 조성부(22)의 베이스프레임(23) 상부는 누수방지플레이트(232)에 의해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 벽체형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물.
In claim 1,
An intermediate wall-type steel elevator pit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part of the base frame 23 of the wall composition 22 is closed by a leak-proof plate 232.
KR1020190093767A 2019-08-01 2019-08-01 Steel pit structure for elevator KR10227234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3767A KR102272346B1 (en) 2019-08-01 2019-08-01 Steel pit structure for elev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3767A KR102272346B1 (en) 2019-08-01 2019-08-01 Steel pit structure for elev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6169A true KR20210016169A (en) 2021-02-15
KR102272346B1 KR102272346B1 (en) 2021-07-02

Family

ID=74560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3767A KR102272346B1 (en) 2019-08-01 2019-08-01 Steel pit structure for elev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2346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30205A (en) * 2022-06-07 2022-09-09 上海城建市政工程(集团)有限公司 Deep foundation pit raft, sump well and elevator shaft integrated rapid construction method
CN118128052A (en) * 2024-05-06 2024-06-04 山东智鼎电梯有限公司 Pit with elevator steel structur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5007U (en) * 1994-07-11 1996-02-16 Panel reinforcement structure of prefabricated water tank.
JPH0849301A (en) * 1994-08-09 1996-02-20 Misawa Homes Co Ltd Building with basement
KR20040016371A (en) * 2000-05-19 2004-02-21 엘. 죠 스칼란 Construction of high-rise building with large modular units
JP2005350992A (en) * 2004-06-11 2005-12-22 Takanori Sato Method for fastening steel pipe and wide flange beam
KR20170112860A (en) * 2016-04-01 2017-10-12 엄재현 Elevator Pit Structure
KR20190084489A (en) * 2018-01-08 2019-07-17 김상근 Construction Member for Finishing Material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5007U (en) * 1994-07-11 1996-02-16 Panel reinforcement structure of prefabricated water tank.
JPH0849301A (en) * 1994-08-09 1996-02-20 Misawa Homes Co Ltd Building with basement
KR20040016371A (en) * 2000-05-19 2004-02-21 엘. 죠 스칼란 Construction of high-rise building with large modular units
JP2005350992A (en) * 2004-06-11 2005-12-22 Takanori Sato Method for fastening steel pipe and wide flange beam
KR20170112860A (en) * 2016-04-01 2017-10-12 엄재현 Elevator Pit Structure
KR20190084489A (en) * 2018-01-08 2019-07-17 김상근 Construction Member for Finishing Material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30205A (en) * 2022-06-07 2022-09-09 上海城建市政工程(集团)有限公司 Deep foundation pit raft, sump well and elevator shaft integrated rapid construction method
CN115030205B (en) * 2022-06-07 2024-04-26 上海城建市政工程(集团)有限公司 Integrated rapid construction method for raft, water collecting well and elevator shaft of deep foundation pit
CN118128052A (en) * 2024-05-06 2024-06-04 山东智鼎电梯有限公司 Pit with elevator steel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2346B1 (en) 2021-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0419B1 (en) Joint structure of vertical member and horizontal member
KR101295740B1 (en) Joint of Steel Column
KR102008414B1 (en) Steel elevator pit, lower structure of hoist way with steel elevator pit and construcion method thereof
KR101904692B1 (en) Method for the final working to the slab hole and mold
US20140130444A1 (en) Tilt-Up Concrete Spandrel Assemblies and Methods
KR101574253B1 (en) A method for construction using a twin wall structure using a PC panel
KR102272346B1 (en) Steel pit structure for elevator
KR101908356B1 (en) Aseismatic Reinforcement Double Steel Frame and Aseismatic Reinforcement Method using thereof
KR100679301B1 (en) A pile head reinforcement structure of precastconcrete pile
KR101708218B1 (en) Hybrid underground pit structures and its construction method
KR20120083020A (en) Precast module footing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fwith
KR20190036248A (en) Seismic retrofit structure for building and seismic retrofit method using the same
KR100973235B1 (en) Elevator pit structure
KR20180026286A (en) Grid precast concrete structure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KR101473218B1 (en) A construction method of an underground structure
JP2020094443A (en) Method for constructing foundation of building
KR200378210Y1 (en) A pile head reinforcement structure of precastconcrete pile
JP2004011327A (en) Caisson and method of its construction
KR200370135Y1 (en) Forms for edge girder construction
KR20030036380A (en) An iron plate frame work
JP5643141B2 (en) Mixed structure building and construction method of mixed structure building
KR101179723B1 (en) A form system for rapid construction of a wall type of structure
KR102620982B1 (en) PC modular prefabricated hous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PC module
JP5467935B2 (en) Mixed structure unit type building and construction method of mixed structure unit type building
KR20060017433A (en) Foundation well bucket and bridge new construction method of large brid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