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5991A - 통합개발환경 상에서 가상 머신 프로그램 및 네이티브 프로그램의 디버깅을 위한 서버 및 컴퓨터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통합개발환경 상에서 가상 머신 프로그램 및 네이티브 프로그램의 디버깅을 위한 서버 및 컴퓨터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5991A
KR20210015991A KR1020210011970A KR20210011970A KR20210015991A KR 20210015991 A KR20210015991 A KR 20210015991A KR 1020210011970 A KR1020210011970 A KR 1020210011970A KR 20210011970 A KR20210011970 A KR 20210011970A KR 20210015991 A KR20210015991 A KR 202100159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gram
debugger
debugging
module
development environ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19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석준
이소영
이민성
김은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맥스 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맥스 소프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맥스 소프트
Priority to KR10202100119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15991A/ko
Publication of KR202100159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59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6Preventing errors by testing or debugging software
    • G06F11/362Software debugging
    • G06F11/3624Software debugging by performing operations on the source code, e.g. via a compil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6Preventing errors by testing or debugging software
    • G06F11/362Software debugging
    • G06F11/3636Software debugging by tracing the execution of the progr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Abstract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라, 통합개발환경 상에서 가상 머신 프로그램 및 네이티브 프로그램의 디버깅을 위한 서버가 개시된다. 상기 서버는 통합개발환경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통합개발환경 인터페이스 제공 유닛; 및 가상 머신 프로그램 및 네이티브 프로그램 간의 통합 디버깅을 제공하는 통합 디버깅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통합 디버깅 유닛은: 통합개발환경 인터페이스로부터 제 1 프로그램에 대한 디버깅 수행 명령을 수신하는 디버깅 수행 명령 수신 모듈-상기 제 1 프로그램은 상호호출될 수 있는 네이티브 프로그램 및 가상머신 프로그램을 포함함-; 및 상기 디버깅 수행 명령 수신 모듈이 상기 디버깅 수행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제 1 프로그램의 실행 컨텍스트에 대응하는 디버거 모듈을 상기 통합개발환경 인터페이스에 할당하는 디버거 할당 모듈-상기 대응하는 디버거 모듈은 상기 네이티브 디버거 모듈 또는 가상머신 디버거 모듈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통합개발환경 상에서 가상 머신 프로그램 및 네이티브 프로그램의 디버깅을 위한 서버 및 컴퓨터 프로그램{SERVERS AND COMPUTER PROGRAMS FOR DEBUGGING OF NATIVE PROGRAMS AND VIRTUAL MACHINE PROGRAMS ON INTEGRATED DEVELOPMENT ENVIRONMENT}
본 개시는 통합개발환경 상에 가상 머신 프로그램 및 네이티브 프로그램의 디버깅에 관한 것이다.
가상 머신(VM: virtual mechine)은 컴퓨팅 환경을 소프트웨어로 구현한 것으로, 컴퓨터를 에뮬레이션 (emulation)하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한다. 가상 머신은 크게 시스템 가상 머신과 프로세스 가상 머신으로 분류될 수 있다. 시스템 가상 머신은 각각이 독립된 운영체제(OS)상에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고, 프로세스 가상 머신은 호스트 운영체제상에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네이티브 프로그램은 운영체제상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네이티브 프로그램 및 가상 머신 프로그램은 상호호출하는 관계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을 참조하면, 가상 머신의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자바 네이티브 인터페이스(JNI: Java Native Interface))는 가상 머신(예를 들어, JVM)에서 실행되고 있는 가상머신 프로그램(예를 들어, 자바 오브젝트 코드)이 네이티브 응용 프로그램들과 C, C++ 그리고 어셈블리 등과 같은 다른 언어들로 구현된 라이브러리에 의해 호출되거나, 가상 머신 프로그램이 다른 언어들로 구현된 라이브러리를 호출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통합개발환경 상에서, 상호호출되는 네이티브 프로그램 및 가상 머신 프로그램의 디버깅은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각각의 프로그램에 대한 디버거를 개별적으로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즉, 프로그램 개발자)는 해당 프로그램에 적합한 디버거를 직접 실행해야 한다. 또한, 사용자는 해당 프로그램의 실행 흐름에 따라 적절하게 디버거를 전환해야한다.
따라서, 상호호출되는 네이티브 프로그램 및 가상 머신 프로그램의 디버깅이 통합개발환경에서 통합적으로 수행될 수 있는 솔루션에 대한 수요가 존재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56486호
본 개시는 전술한 배경기술에 대응하여 안출된 것으로, 통합개발환경 상에서 가상 머신 프로그램 및 네이티브 프로그램의 디버깅을 위한 서버 및 컴퓨터 프로그램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라, 통합개발환경 상에서 가상 머신 프로그램 및 네이티브 프로그램의 디버깅을 위한 서버가 개시된다.
상기 서버는 통합개발환경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통합개발환경 인터페이스 제공 유닛; 및 가상 머신 프로그램 및 네이티브 프로그램 간의 통합 디버깅을 제공하는 통합 디버깅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통합 디버깅 유닛은: 통합개발환경 인터페이스로부터 제 1 프로그램에 대한 디버깅 수행 명령을 수신하는 디버깅 수행 명령 수신 모듈-상기 제 1 프로그램은 상호호출될 수 있는 네이티브 프로그램 및 가상머신 프로그램을 포함함-; 및 상기 디버깅 수행 명령 수신 모듈이 상기 디버깅 수행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제 1 프로그램의 실행 컨텍스트에 대응하는 디버거 모듈을 상기 통합개발환경 인터페이스에 할당하는 디버거 할당 모듈-상기 대응하는 디버거 모듈은 상기 네이티브 디버거 모듈 또는 가상머신 디버거 모듈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버거 할당 모듈은: 상기 디버깅 수행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 1 프로그램의 상기 실행 컨텍스트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실행 컨텍스트에 대응하는 디버거 모듈을 결정하고, 그리고 상기 결정된 디버거 모듈에 의한 디버깅을 상기 통합개발환경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버거 할당 모듈은: 상기 네이티브 프로그램과 상기 가상머신 프로그램 사이의 호출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제 1 프로그램의 상기 실행 컨텍스트를 재결정하고, 상기 재결정된 실행 컨텍스트에 대응하는 디버거 모듈을 재결정하고, 그리고 상기 재결정된 디버거 모듈에 의한 디버깅을 상기 통합개발환경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버거 할당 모듈은: 상기 할당되는 디버거 모듈이 상기 통합개발환경 인터페이스에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를 식별하고, 그리고 상기 할당되는 디버거 모듈이 상기 통합개발환경 인터페이스에 연결되어 있지 않는 경우, 상기 할당되는 디버거 모듈을 상기 통합개발환경 인터페이스에 연결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는 디버깅 정보 저장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디버거 할당 모듈은 상기 통합개발환경 인터페이스에 할당되는 상기 디버거 모듈에 관한 디버깅 정보를 상기 디버깅 정보 저장 모듈 상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버거 할당 모듈은 상기 네이티브 프로그램과 상기 가상머신 프로그램 사이의 호출에 의해 상기 통합개발환경 인터페이스에 할당되는 디버거 모듈로 상기 디버깅 정보 저장 모듈 상에 저장된 상기 디버깅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버깅 정보는 메모리 상태 정보, 레지스터 상태 정보, 디버깅 명령 정보, 및 브레이크 포인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행 컨텍스트는 제 1 프로그램 중 현재 디버깅되는 프로그램의 유형 정보 및 프로그래밍 언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개시의 몇몇 다른 실시예에 따라, 통합개발환경 상에서 가상 머신 프로그램 및 네이티브 프로그램의 디버깅을 위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개시된다.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통합개발환경 상에서 가상 머신 프로그램 및 네이티브 프로그램의 디버깅을 위한 서버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이하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하며, 상기 방법은: 디버깅 수행 명령 수신 모듈에 의해, 통합개발환경 인터페이스로부터 제 1 프로그램에 대한 디버깅 수행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상기 제 1 프로그램은 상호호출될 수 있는 네이티브 프로그램 및 가상머신 프로그램을 포함함-; 및 디버거 할당 모듈에 의해, 상기 디버깅 수행 명령 수신 모듈이 상기 디버깅 수행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제 1 프로그램의 실행 컨텍스트에 대응하는 디버거 모듈을 상기 통합개발환경 인터페이스에 할당하는 단계-상기 대응하는 디버거 모듈은 상기 네이티브 프로그램에 대한 디버거 모듈 또는 상기 가상머신 프로그램에 대한 디버거 모듈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응하는 디버거 모듈을 상기 통합개발환경 인터페이스에 할당하는 단계는: 상기 디버거 할당 모듈에 의해, 상기 디버깅 수행 명령 수신 모듈이 디버깅 수행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 1 프로그램의 상기 실행 컨텍스트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디버거 할당 모듈에 의해, 상기 실행 컨텍스트에 대응하는 디버거 모듈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디버거 할당 모듈에 의해, 상기 결정된 디버거 모듈에 의한 디버깅을 상기 통합개발환경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하는 것을 허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응하는 디버거 모듈을 상기 통합개발환경 인터페이스에 할당하는 단계는: 상기 디버거 할당 모듈에 의해, 상기 네이티브 프로그램과 상기 가상머신 프로그램 사이의 호출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제 1 프로그램의 상기 실행 컨텍스트를 재결정하는 단계; 상기 디버거 할당 모듈에 의해, 상기 재결정된 실행 컨텍스트에 대응하는 디버거 모듈을 재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디버거 할당 모듈에 의해, 상기 재결정된 디버거 모듈에 의한 디버깅을 상기 통합개발환경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하는 것을 허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응하는 디버거 모듈을 상기 통합개발환경 인터페이스에 할당하는 단계는: 상기 디버거 할당 모듈에 의해, 상기 할당되는 디버거 모듈이 상기 통합개발환경 인터페이스에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디버거 할당 모듈에 의해, 상기 할당되는 디버거 모듈이 상기 통합개발환경 인터페이스에 연결되어 있지 않는 경우, 상기 할당되는 디버거 모듈을 상기 통합개발환경 인터페이스에 연결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디버거 할당 모듈에 의해, 상기 통합개발환경 인터페이스에 할당되는 상기 디버거 모듈에 관한 디버깅 정보를 디버깅 정보 저장 모듈 상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버거 할당 모듈은 상기 네이티브 프로그램과 상기 가상머신 프로그램 사이의 호출에 의해 상기 통합개발환경 인터페이스에 할당되는 디버거 모듈로 상기 디버깅 정보 저장 모듈 상에 저장된 상기 디버깅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버깅 정보는 메모리 상태 정보, 레지스터 상태 정보, 디버깅 명령 정보, 및 브레이크 포인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행 컨텍스트는 제 1 프로그램 중 현재 디버깅되는 프로그램의 유형 정보 및 프로그래밍 언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기술적 해결 수단은 이상에서 언급한 해결 수단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해결 수단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는 통합개발환경 상에서 가상 머신 프로그램 및 네이티브 프로그램의 디버깅을 위한 서버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다양한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로 기재되며, 여기서 유사한 참조 번호들은 총괄적으로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지칭하는데 이용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설명 목적을 위해, 다수의 특정 세부사항들이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총체적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제시된다. 그러나, 그러한 양상(들)이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 실시될 수 있음은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통합개발환경 상에서 수행되는 디버깅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통합개발환경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3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통합개발환경 상에서 가상 머신 프로그램 및 네이티브 프로그램의 디버깅을 위한 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통합개발환경 상에서 가상 머신 프로그램 및 네이티브 프로그램의 디버깅을 위한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대응하는 디버거 모듈을 통합개발환경 인터페이스에 할당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대응하는 디버거 모듈을 통합개발환경 인터페이스에 할당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대응하는 디버거 모듈을 통합개발환경 인터페이스에 할당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통합개발환경 상에서 가상 머신 프로그램 및 네이티브 프로그램의 디버깅을 위한 수단, 로직, 모듈, 및 회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이 구현될 수 있는 예시적인 컴퓨팅 환경에 대한 간략하고 일반적인 개략도를 도시한다.
다양한 실시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감지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다양한 양상들 및 특징들이 하나 이상의 장치들, 단말들, 서버들, 디바이스들, 컴포넌트들 및/또는 모듈들 등을 포함할 수 있는 시스템에 의하여 제시될 것이다. 다양한 시스템들이, 추가적인 장치들, 단말들, 서버들, 디바이스들, 컴포넌트들 및/또는 모듈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는 점 그리고/또는 도면들과 관련하여 논의된 장치들, 단말들, 서버들, 디바이스들, 컴포넌트들, 모듈들 등의 전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점 또한 이해되고 인식되어야 한다.
당업자들은 추가적으로 여기서 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되어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 논리적 블록들, 구성들, 모듈들, 회로들, 수단들, 로직들, 및 알고리즘 단계들이 전자 하드웨어,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양쪽 모두의 조합들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상호교환성을 명백하게 예시하기 위해, 다양한 예시적 컴포넌트들, 블록들, 구성들, 수단들, 로직들, 모듈들, 회로들, 및 단계들은 그들의 기능성 측면에서 일반적으로 위에서 설명되었다. 그러한 기능성이 하드웨어로 또는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되는지 여부는 전반적인 시스템에 부과된 특정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및 설계 제한들에 달려 있다. 숙련된 기술자들은 각각의 특정 어플리케이션들을 위해 다양한 방법들로 설명된 기능성을 구현할 수 있으나, 그러한 구현의 결정들이 본 개시내용의 영역을 벗어나게 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컴퓨터 프로그램" "컴포넌트", "모듈", "시스템" 등은 서로 호환가능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그리고 컴퓨터-관련 엔티티,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조합, 또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컴포넌트는 프로세서상에서 실행되는 처리과정(procedure), 프로세서, 객체, 실행 스레드, 프로그램, 및/또는 컴퓨터일 수 있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컴퓨팅 장치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및 컴퓨팅 장치 모두 컴포넌트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는 프로세서 및/또는 실행 스레드 내에 상주할 수 있다. 일 컴포넌트는 하나의 컴퓨터 내에 로컬화 될 수 있다. 일 컴포넌트는 2개 이상의 컴퓨터들 사이에 분배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컴포넌트들은 그 내부에 저장된 다양한 데이터 구조들을 갖는 다양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로부터 실행할 수 있다. 컴포넌트들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데이터 패킷들을 갖는 신호(예를 들면, 로컬 시스템, 분산 시스템에서 다른 컴포넌트와 상호작용하는 하나의 컴포넌트로부터의 데이터 및/또는 신호를 통해 다른 시스템과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에 따라 로컬 및/또는 원격 처리들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이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개시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소자나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소자나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소자나 구성요소를 다른 소자나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소자나 구성요소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소자나 구성요소 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더불어, 용어 "또는"은 배타적 "또는"이 아니라 내포적 "또는"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는 자연적인 내포적 치환 중 하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X가 A를 이용하거나; X가 B를 이용하거나; 또는 X가 A 및 B 모두를 이용하는 경우,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가 이들 경우들 어느 것으로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열거된 관련 아이템들 중 하나 이상의 아이템의 가능한 모든 조합을 지칭하고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더불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정보" 및 "데이터"는 종종 서로 상호교환 가능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 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목적 및 효과,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개시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개시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개시는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통합개발환경 시스템을 도시한다.
통합개발환경 시스템은 코딩, 디버깅, 컴파일링 및 배포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개발에 관련된 통합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통합개발환경 시스템은 소프트웨어 개발을 위해 필요한 컴파일러, 텍스트 편집기, 디버거 등을 따로 사용하지 않고, 이러한 프로그램들을 하나로 묶어 대화형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지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합개발환경 시스템은 이클립스(Eclipse), 라자루스(Lazarus), 비주얼 스튜디오(Visual Studio), 델파이(Delphi), JDE, PYPL(PopularitY of Programming Language), 안드로이드 스튜디오(android studio), OF 스튜디오(OF studio) 등의 다양한 플랫폼에 의해 구현되는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통합개발환경 시스템은 서버(1000) 및 사용자 단말(200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구성요소들은 통합개발환경 시스템을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통합개발환경 시스템은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1000)는 사용자 단말(2000)을 포함할 수 있고, 또는 사용자 단말(2000)이 서버(10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서버(1000), 및 사용자 단말(2000)은 네트워크를 통해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통합개발환경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를 상호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0), 및 사용자 단말(2000)은 가상 머신 프로그램 및 네이티브 프로그램의 디버깅을 위한 데이터를 상호 송수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는 공중전화 교환망(PSTN:Public Switiched Telephone Network), xDSL(x Digital Subscriber Line), RADSL(Rate Adaptive DSL), MDSL(Multi Rate DSL), VDSL(Very High Speed DSL), UADSL(Universal Asymmetric DSL), HDSL(High Bit Rate DSL) 및 근거리 통신망(LAN) 등과 같은 다양한 유선 통신 시스템들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제시되는 네트워크는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 Access), SC-FDMA(Single Carrier-FDMA) 및 다른 시스템들과 같은 다양한 무선 통신 시스템들을 사용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는 유선 및 무선 등과 같은 그 통신 양태를 가리지 않고 구성될 수 있으며, 단거리 통신망(PAN:Personal Area Network), 근거리 통신망(WAN:Wide Area Network) 등 다양한 통신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네트워크는 공지의 월드와이드웹(WWW:World Wide Web)일 수 있으며, 적외선(IrDA:Infrared Data Assoication) 또는 블루투스(Bluetooth)와 같이 단거리 통신에 이용되는 무선 전송 기술을 이용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술들은 위에서 언급된 네트워크들뿐만 아니라, 다른 네트워크들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1000)는 메모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메모리는 서버(10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는 서버(10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서버(10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유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서버(10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데이터 변환, 메인 프레임이나 공중망을 통한 다른 네트워크와의 연결, 장치 공유)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서버(10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에 저장되고, 서버(1000) 상에 설치되어, 프로세서(미도시)에 의하여 상기 서버(1000)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통상적으로 (10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프로세서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서버(1000)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프로세서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서버(10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서버(1000)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 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1000)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서버(1000)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개시 내용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에 저장되고, 프로세서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에서, 메인 프레임은 IBM사와 같은 회사에서 만든 대형 컴퓨터를 일컫는 산업계 용어로서, 대기업이나 금융기관과 같은 회사들의 기업활동에 필요한 컴퓨팅 업무에 주로 사용되며, 분산 컴퓨팅 방식을 취하기보다는 중앙 집중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메인 프레임의 프로그램은 코볼 등의 프로그래밍 언어로 작성될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에서, 사용자 단말(2000)은 외부 컴퓨팅 장치에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2000)은 이동 가능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ed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2000)은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데스크탑 컴퓨터(desktop computer),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디지털 TV, 디지털 사이니지,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2000)은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구성 요소들은 사용자 단말(2000)을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사용자 단말(2000)은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구성 요소들은 별개의 칩이나 모듈이나 장치로 구성될 수 있고, 하나의 장치 내에 포함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2000)의 메모리는 사용자 단말(20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2000)의 메모리는 상기 사용자 단말(20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사용자 단말(20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유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사용자 단말(20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데이터 변환, 메인 프레임이나 공중망을 통한 다른 네트워크와의 연결, 장치 공유)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사용자 단말(20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사용자 단말(2000)의 메모리에 저장되고, 사용자 단말(2000) 상에 설치되어, 사용자 단말(2000)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2000)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0)의 프로세서는 사용자 단말(2000)의 제어와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사용자 단말(20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사용자 단말(2000)의 프로세서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사용자 단말(2000)의 메모리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2000)은 상기 사용자 단말(2000) 상에 설치된 통합개발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프로그램(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사용자에게 통합개발환경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통합개발환경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요청된 코딩, 디버그, 컴파일, 배포 등 프로그램 개발에 관련된 다양한 서비스가 처리될 수 있다.
본 개시의 통합개발환경 시스템은 상호호출되는 네이티브 프로그램 및 가상 머신 프로그램의 디버깅이 통합개발환경 상에서 통합적으로 수행될 수 있는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통합개발환경 시스템은 상호호출될 수 있는 프로그램에 대응하여 적합한 디버깅 모듈(예를 들어, 네이티브 디버거 모듈 또는 가상머신 디버거 모듈)의 자동적인 전환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통합개발환경 시스템은 상호호출될 수 있는 프로그램에 대해 적합한 디버거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네이티브 프로그램 및 가상머신 프로그램 간의 호출이 발생하는 경우 사용자는 적합한 디버거를 실행하고, 디버깅을 위한 정보를 직접 확인하고, 그리고 디버깅을 위한 설정을 수정함으로써 디버깅 작업을 수행해야하는 번거로움을 피할 수 있다. 본 개시의 통합개발환경 시스템은 서로 다른 디버거를 사용하여 디버깅을 수행하는 프로그램(가상머신 프로그램 및 네이티브 프로그램)에 대하여 통합적인 디버깅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블록도이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서, 서버(1000)는 통합개발환경 인터페이스 제공 유닛 (100), 통합 디버깅 유닛(200), 디버거 유닛(300)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서버(1000)는 서버(1000)의 통합개발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다른 구성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서버(1000)는 단말 또는 서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0)는 도 2의 서버일 수 있고, 임의의 프로세스를 구현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명령어들이 예시적인 실시예를 위하여 서버(100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서버(1000)는 임의의 형태의 장치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서버(1000)는 디지털 기기로서, 랩탑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데스크톱 컴퓨터, 웹 패드, 이동 전화기와 같이 프로세서를 탑재하고 메모리를 구비한 연산 능력을 갖춘 디지털 기기일 수 있다.
서버(1000)에 포함되는 컴포넌트들은 네트워크 유닛(미도시)을 통해 서로 통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유닛은 유/무선 인터넷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유닛은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하여, 컴퓨팅 장치와 비교적 근거리에 위치하고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한 전자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유닛은 네트워크의 연결 상태 및 네트워크의 송수신 속도를 감지할 수 있다. 네트워크 유닛을 통해 수신된 데이터는 서버 상의 메모리 또는 영구저장매체를 통해 저장되거나, 또는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근거리에 있는 다른 전자장치들로 전송될 수 있다.
통합개발환경 인터페이스 제공 유닛(100)은 통합개발환경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합개발환경 인터페이스 제공 유닛(100)은 코딩, 디버깅, 컴파일링 및 배포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개발에 관련된 작업들을 처리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통합개발환경 인터페이스 제공 유닛(100)에 의해 제공되는 통합개발환경은 이클립스(Eclipse), 라자루스(Lazarus), 비주얼 스튜디오(Visual Studio), 델파이(Delphi), JDE, PYPL(PopularitY of Programming Language), 안드로이드 스튜디오(android studio), OF 스튜디오(OF studio)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않고, 본 기술분야에 알려진 다양한 통합개발환경 플랫폼이 사용될 수 있다.
통합개발환경 인터페이스 제공 유닛(100)은 사용자 단말(2000) 또는 서버(1000)를 통해 사용자에게 통합개발환경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통합개발환경 인터페이스 제공 유닛(100)은 프로그램 개발 작업을 위한 다양한 명령을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합개발환경 인터페이스 제공 유닛(100)은 코딩, 디버깅, 컴파일링 및 배포를 위한 명령을 처리할 수 있다. 통합개발환경 인터페이스 제공 유닛(100)은 프로그램 개발 작업을 위한 다양한 사용자 명령을 통합개발환경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합개발환경 인터페이스 제공 유닛(100)은 프로그램 개발 작업을 위한 사용자 명령을 수행한 처리결과를 통합개발환경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통합개발환경 인터페이스 제공 유닛(100)은 프로그램 개발 작업을 위한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통합 디버깅 유닛(200)은 가상 머신 프로그램 및 네이티브 프로그램 간의 통합 디버깅을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합 디버깅 유닛(200)은 가상 머신 프로그램와 네이티브 프로그램 간에 상호호출이 있는 경우 적합한 디버거를 통합환경개발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몇몇의 실시예에서, 통합개발환경 인터페이스 제공 유닛(100) 및 통합 디버깅 유닛(200)은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개별적인 컴포넌트일 수 있다. 몇몇의 다른 실시예에서, 통합개발환경 인터페이스 제공 유닛(100)은 통합 디버깅 유닛(200)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의 다른 실시예에서, 통합 디버깅 유닛(200)은 통합개발환경 인터페이스 제공 유닛(100)에 의해 수행되는 작업 중 적어도 일부를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통합 디버깅 유닛(200)은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서, 통합 디버깅 유닛(200)은 디버깅 수행 명령 수신 모듈(210), 디버거 할당 모듈(220), 디버깅 정보 저장 모듈(230)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서 통합 디버깅 유닛(200)은 가상 머신 프로그램 및 네이티브 프로그램 간의 통합 디버깅을 제공하기 위한 다른 구성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서, 디버깅 수행 명령 수신 모듈(210)은 통합개발환경 인터페이스로부터 제 1 프로그램에 대한 디버깅 수행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프로그램은 상호호출될 수 있는 네이티브 프로그램 및 가상머신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이티브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동안, 호출 명령에 의해 가상머신 프로그램이 호출될 수 있다. 또한, 가상머신 프로그램이 호출되는 동안, 호출 명령에 의해 네이티브 프로그램이 호출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호호출되는 네이티브 프로그램 및 가상머신 프로그램은 제 1 프로그램으로 지칭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 1 프로그램은 다양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네이티브 프로그램은 오픈프레임 시스템(예를 들어, 유닉스, 리눅스 등)으로 구현된 임의의 프로그램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네이티브 프로그램은 리호스팅을 통해 구현된 메인프레임 시스템의 기능들을 수행하거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오픈 프레임 컴퓨팅 환경의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네이티프 프로그램은 운영체제 상에서 구동될 수 있으며, 상기 운영체제는 개방형 시스템 환경의 임의의 운영체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네이티브 프로그램은 다양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가상머신 프로그램은 가상머신 상에서 구현되는 임의의 프로그램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히 설명하면, 특정 언어(예를 들어, 어셈블리, 코볼 등)는 CPU에 의존적일 수 있다. 따라서, 특정 언어로 구현되는 프로그램은 일부 오픈프레임 시스템 상에서 동작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가상 머신을 통해 특정 언어의 명령들이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가지는 프로그램은 가상머신 프로그램으로 지칭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가상머신 프로그램은 다양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프로그램에 대한 디버깅 수행 명령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통합개발환경 인터페이스를 통해 생성될 수 있다. 제 1 프로그램에 대한 디버깅 수행 명령이 통합개발환경 인터페이스를 통해 서버로 송신될 수 있다. 디버깅 수행 명령 수신 모듈(210)은 서버로 송신된 제 1 프로그램에 대한 디버깅 수행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디버깅 수행 명령 수신 모듈(210)은 디버깅을 위한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서, 디버깅 수행 명령 수신 모듈(210)은 제 1 프로그램이 디버깅을 위해 실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자세히 설명하면, 제 1 프로그램의 실행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실행요청은 단순 실행을 위한 요청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실행요청을 제 1 프로그램의 디버깅을 위한 요청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버깅 수행 명령 수신 모듈(1000)은 통합개발환경 인터페이스로부터 제 1 프로그램에 대한 디버깅 수행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디버깅 수행 명령 수신 모듈(210)은 제 1 프로그램의 디버깅을 위해 제 1 프로그램이 실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 1 프로그램의 실행은 서버(1000)의 다양한 컴포넌트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프로그램의 실행은 통합개발환경 인터페이스 제공 유닛(1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제 1 프로그램의 실행은 통합 디버깅 유닛(2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제 1 프로그램의 실행이 통합 디버깅 유닛에 의해 수행되는 경우, 제 1 프로그램의 실행은 디버깅을 위한 제 1 프로그램의 실행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 1 프로그램의 실행은 서버(1000)의 다양한 컴포넌트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서, 디버깅 수행 명령 수신 모듈(210)이 디버깅 수행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디버거 할당 모듈(220)은 제 1 프로그램의 실행 컨텍스트에 대응하는 디버거 모듈을 상기 통합개발환경 인터페이스에 할당할 수 있다. 여기서 디버거 모듈은 디버거 유닛(300)에 포함되는 네이티브 디버거 모듈(310) 또는 가상머신 디버거 모듈(320)일 수 있다.
디버거 유닛(300)은 네이티브 디버거 모듈(310) 및 가상머신 디버거 모듈(320)을 포함할 수 있다. 네이티브 디버거 모듈(310)은 네이티브 프로그램의 작성 언어에 따라 다양한 디버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이티브 디버거 모듈은 어셈블리로 작성된 프로그램에 대한 디버거 모듈, 코볼로 작성된 프로그램에 대한 디버거 모듈, PL/I로 작성된 프로그램에 대한 디버거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가상머신 디버거 모듈(320)은 가상머신 프로그램의 작성 언어에 따라 다양한 디버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머신 디버거 모듈(320)은 어셈블리로 작성된 프로그램에 대한 디버거 모듈, 코볼로 작성된 프로그램에 대한 디버거 모듈, PL/I로 작성된 프로그램에 대한 디버거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서 디버거 유닛(300)은 도 3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독립적인 컴포넌트일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서, 통합개발환경 인터페이스 제공 유닛 또는 통합 디버깅 유닛(200)에 포함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디버거 유닛(300)은 다양한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디버깅 수행 명령 수신 모듈(210)이 디버깅 수행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제 1 프로그램의 실행은 디버깅을 위한 실행일 수 있다. 이 경우, 디버거 할당 모듈(220)은 제 1 프로그램의 디버깅에 적합한 디버거를 결정하기 위해 실행 컨텍스트를 결정할 수 있다.
실행 컨텍스트는 제 1 프로그램 중 현재 디버깅의 대상이 되는 부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행 컨텍스트는 제 1 프로그램 중 현재 디버깅되는 프로그램의 유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실행 컨텍스트는 제 1 프로그램 중 네이티브 프로그램에 대한 디버깅이 현재 수행 중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실행 컨텍스트는 제 1 프로그램 중 가상머신 프로그램에 대한 디버깅이 현재 수행 중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실행 컨텍스트는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행 컨텍스트는 현재 디버깅되는 프로그램의 프로그래밍 언어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행 컨텍스트는 현재 디버깅되고 있는 네이티브 프로그램이 코볼로 작성된 프로그램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실행 컨텍스트는 현재 디버깅되고 있는 가상머신 프로그램이 어셈블리로 작성된 프로그램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실행 컨텍스트는 제 1 프로그램의 디버깅에 적합한 디버거를 결정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프로그램의 실행 컨텍스트가 결정되는 경우, 디버거 할당 모듈(220)은 결정된 제 1 프로그램의 실행 컨텍스트에 대응하는 디버거 모듈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정된 제 1 프로그램의 실행 컨텍스트는 현재 디버깅되고 있는 프로그램이 네이티브 프로그램이고, 그리고 네이티브 프로그램이 어셈블리로 작성된 언어라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디버거 할당 모듈(220)은 디버거 유닛(300) 중에서 어셈블리 언어에 대한 디버거 모듈을 실행 컨텍스트에 대응하는 디버거 모듈로 결정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디버거 할당 모듈(220)은 다양한 방식으로 제 1 프로그램의 실행 컨텍스트에 대응하는 디버거 모듈을 결정할 수 있다.
결정된 실행 컨텍스트에 대응하는 디버거 모듈이 결정되는 경우, 디버거 할당 모듈(220)은 디버거 유닛(300) 중 결정된 디버거 모듈에 의한 디버깅을 상기 통합개발환경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행 컨텍스트에 대응하는 디버거 모듈은 디버거 유닛(300) 중 네이티브 프로그램인 코볼에 대한 디버거 모듈이라고 디버거 할당 모듈(220)이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디버거 할당 모듈(220)은 네이티브 프로그램인 코볼에 대한 디버거 모듈의 제어(또는 조작)가 통합개발환경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되도록 허용할 수 있다. 따라서, 네이티브 프로그램인 코볼에 대한 디버거 모듈을 통해 통합환경개발 인터페이스 상에서, 네이티브 프로그램에 대한 디버깅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임의의 디버거 모듈이 통합개발환경 인터페이스에 할당되는 경우, 할당되는 디버거 모듈은 제 1 프로그램의 디버깅을 위해 통합개발환경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어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실행 컨텍스트에 대응하는 디버거 모듈은 디버거 유닛(300) 중 가상머신 프로그램인 어셈블리에 대한 디버거 모듈이라고 디버거 할당 모듈(220)이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디버거 할당 모듈(220)은 가상머신 프로그램인 어셈블리에 대한 디버거 모듈의 제어(또는 조작)가 통합개발환경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되도록 허용할 수 있다. 따라서, 가상머신 프로그램인 어셈블리에 대한 디버거 모듈을 통해 통합환경개발 인터페이스 상에서 네이티브 프로그램에 대한 디버깅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디버거 할당 모듈(220)은 다양한 방식으로 디버거 모듈에 대한 제어를 통합개발환경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하는 것을 결정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라, 상기 디버거 할당 모듈(220)은 네이티브 프로그램과 가상머신 프로그램 사이의 호출이 발생하는 경우, 제 1 프로그램의 실행 컨텍스트를 재결정하고, 재결정된 실행 컨텍스트에 대응하는 디버거 모듈을 재결정하고, 그리고 재결정된 디버거 모듈에 의한 디버깅을 상기 통합개발환경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프로그램에 포함되는 네이티브 프로그램 및 가상 머신 프로그램은 상호호출하는 관계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네이티브 프로그램에 대한 디버깅이 수행되는 중, 가상 머신 프로그램에 대한 호출이 수행될 수 있다. 다른 예로, 가상 머신 프로그램에 대한 디버깅이 수행되는 중, 네이티브 프로그램에 대한 호출이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디버거 할당 모듈(220)은 호출되는 프로그램에 적합한 디버거 모듈을 결정할 수 있고, 따라서 적합한 디버거 모듈을 통해 호출되는 프로그램에 대한 디버깅이 수행될 수 있다. 네이티브 프로그램 및 가상머신 프로그램 간의 상호호출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명세서에 참조로 통합되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56486호에 개시된다.
네이티브 프로그램과 상기 가상머신 프로그램 사이의 호출이 발생하는 경우에 수행되는 서버의 동작이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디버거 할당 모듈(220)은 네이티브 프로그램과 가상머신 프로그램 사이의 호출이 발생하는 경우, 제 1 프로그램의 실행 컨텍스트를 재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이티브 프로그램의 디버깅 중 가상머신 프로그램에 대한 호출이 발생하는 경우, 디버거 할당 모듈(220)은 제 1 프로그램의 실행 컨텍스트를 재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버거 할당 모듈(220)에 의해 재결정되는 실행 컨텍스트는 제 1 프로그램 중 코볼로 작성된 네이티브 프로그램에 대한 디버깅이 현재 수행 중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디버거 할당 모듈(220)에 의해 재결정되는 실행 컨텍스트는 제 1 프로그램 중 PL/I로 작성된 가상머신 프로그램에 대한 디버깅이 현재 수행 중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재결정되는 실행 컨텍스트는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프로그램의 실행 컨텍스트가 재결정되는 경우, 디버거 할당 모듈(220)은 디버거 유닛(300) 중에서 재결정된 제 1 프로그램의 실행 컨텍스트에 대응하는 디버거 모듈을 재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결정된 제 1 프로그램의 실행 컨텍스트는 호출되는 프로그램이 네이티브 프로그램이고, 그리고 호출되는 네이티브 프로그램이 어셈블리로 작성된 언어라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디버거 할당 모듈(220)은 디버거 유닛(300) 중 어셈블리 언어에 대한 디버거 모듈을 재결정된 실행 컨텍스트에 대응하는 디버거 모듈로 결정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디버거 할당 모듈(220)은 다양한 방식으로 재결정된 실행 컨텍스트에 대응하는 디버거 모듈을 재결정할 수 있다.
재결정된 실행 컨텍스트에 대응하는 디버거 모듈이 재결정되는 경우, 디버거 할당 모듈(220)은 재결정된 디버거 모듈에 의한 디버깅을 상기 통합개발환경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결정된 실행 컨텍스트에 대응하는 디버거 모듈은 네이티브 프로그램인 코볼에 대한 디버거 모듈이라고 디버거 할당 모듈(220)이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디버거 할당 모듈(220)은 네이티브 프로그램인 코볼에 대한 디버거 모듈의 제어(또는 조작)가 통합개발환경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되도록 허용할 수 있다. 따라서, 네이티브 프로그램인 코볼에 대한 디버거 모듈을 통해 통합환경개발 인터페이스 상에서, 호출된 네이티브 프로그램에 대한 디버깅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재결정된 실행 컨텍스트에 대응하는 디버거 모듈은 가상머신 프로그램인 어셈블리에 대한 디버거 모듈이라고 디버거 할당 모듈(220)이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디버거 할당 모듈(220)은 호출되는 가상머신 프로그램의 어셈블리에 대한 디버거 모듈의 제어가 통합개발환경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되도록 허용할 수 있다. 따라서, 가상머신 프로그램인 어셈블리에 대한 디버거 모듈을 통해 통합환경개발 인터페이스 상에서, 호출된 네이티브 프로그램에 대한 디버깅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디버거 할당 모듈(220)은 다양한 방식으로 호출되는 프로그램의 디버거 모듈에 의한 디버깅을 통합개발환경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서, 디버거 할당 모듈(220)은 할당되는 디버거 모듈이 통합개발환경 인터페이스에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를 식별하고, 그리고 할당되는 디버거 모듈이 통합개발환경 인터페이스에 연결되어 있지 않는 경우, 할당되는 디버거 모듈을 상기 통합개발환경 인터페이스에 연결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디버거 모듈에 의한 디버깅을 통합개발환경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하기 위해 디버거 할당 모듈(220)은 할당되는 디버거 모듈이 통합개발환경 인터페이스에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버거 할당 모듈(220)은 코볼로 작성된 네이티브 프로그램의 디버거 모듈이 통합개발환경 인터페이스에 할당되도록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할당되는 디버거 모듈(즉, 코볼에 대한 디버거 모듈)은 디버깅을 위한 다양한 정보(예를 들어, 디버깅 명령, 메모리 상태, 레지스터 상태 등)을 송수신하기 위해 통합개발환경 인터페이스에 연결된 상태일 수 있다. 따라서, 할당된 디버거 모듈은 통합개발환경 인터페이스로부터 디버깅을 위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할당된 디버거 모듈은 통합개발환경 인터페이스로 디버깅을 위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환언하면, 할당된 디버거 모듈이 통합개발환경 인터페이스에 연결됨으로써, 통합개발환경 인터페이스를 통해 할당된 디버거에 대한 디버깅을 위한 동작이 수행될 수 있고, 따라서 제 1 프로그램의 디버깅 작업이 할당된 디버거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할당된 디버거 모듈은 이미 통합개발환경 인터페이스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 디버거 할당 모듈(220)은 연결 과정을 거치지 않고 이전에 진행된 디버깅에 관한 디버깅 정보를 할당되는 디버거 모듈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할당된 디버거 모듈 및 통합개발환경 인터페이스의 연결을 수행할 필요없이, 할당되는 디버거 모듈에 의한 디버깅이 수행될 수 있다. 환언하면, 디버거 유닛(300)에 포함되는 어느 한 디버거 모듈(예를 들어, 어셈블리에 대한 네이티브 디버거 모듈)와 통합개발환경 인터페이스 사이의 연결이 존재하고 그리고 연결된 디버거 모듈에 의한 디버깅 작업이 수행되는 도중에, 네이티브 프로그램 및 가상머신 프로그램 간의 호출이 발생함에 따라 다른 디버거 모듈(예를 들어, 코볼에 대한 가상머신 디버거 모듈)이 새로이 할당될 수 있다. 다른 디버거 모듈이 새로이 할당되는 경우에도, 이전에 성립된 디버거 모듈(즉, 어셈블리에 대한 네이티브 디버거 모듈) 및 통합개발환경 인터페이스의 연결은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이전에 연결이 성립된 디버거 모듈이 다시 할당되는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이전에 성립된 연결을 이용하여 재할당되는 디버거 모듈에 의한 디버깅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할당된 디버거 모듈이 통합개발환경 인터페이스에 연결되어 있는 않는 경우, 디버거 할당 모듈(220)은 할당되는 디버거 모듈을 통합개발환경 인터페이스 연결시킬 수 있다. 이 경우, 할당되는 디버거 모듈 및 통합개발환경 인터페이스의 연결은 다양한 방식으로 수행될 있다. 예를 들어, 할당되는 디버거 모듈 및 통합개발환경 인터페이스의 연결은 소켓통신 방식(예를 들어, TCP 또는 UDP를 사용하는 소켓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할당되는 디버거 모듈 및 통합개발환경 인터페이스의 연결은 다양한 방식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가상머신 또는 복수의 가상머신 프로그램의 언어가 사용되는 경우, 각각의 디버거 모듈이 할당되는 시점에, 각각의 디버거 모듈이 개별적으로 통합개발환경 인터페이스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실제로 디버깅 작업에 사용되는 디버거 모듈의 연결만이 수행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할당되는 디버거 모듈 및 통합개발환경 인터페이스의 연결은 다양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서, 디버거 할당 모듈(220)은 통합개발환경 인터페이스에 할당되는 디버거 모듈에 관한 디버깅 정보를 상기 디버깅 정보 저장 모듈(230) 상에 저장할 수 있다.
할당되는 디버거 모듈을 통해 디버깅 작업이 수행되는 경우, 디버거 할당 모듈(220)은 디버깅을 위한 다양한 정보를 디버깅 정보 저장 모듈(230) 상에 저장할 수 있다. 디버깅 정보 저장 모듈(230) 상에 저장되는 디버깅 정보는 메모리 상태 정보, 레지스터 상태 정보, 디버깅 명령 정보, 및 브레이크 포인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 상태 정보는 디버깅 과정에서 메모리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 상태 정보는 명령 또는 변수의 주소, 종류, 데이터값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레지스터 상태 정보는 디버깅 과정에서 레지스터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지스터 상태 정보는 레지스터의 항목, 주소, 종류, 데이터값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버깅 명령 정보는 디버깅을 위해 입력되고 처리된 명령들에 관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버깅 명령 정보는 입력된 명령의 종류, 내용, 입력시간, 처리결과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브레이크 포인트 정보는 디버깅을 위한 프로그램의 실행 중 중지(또는 인터럽트)되는 지점을 나타내는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레이크 포인트 정보는 네이티브 프로그램 또는 가상머신 프로그램의 소스코드 중 어느 한 지점(예를 들어, 소스코드의 전체 100 라인 중 20번째 라인 등)에서 프로그램의 실행을 중지시키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디버깅 정보 저장 모듈(230)은 디버깅을 위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서, 디버거 할당 모듈(220)은 네이티브 프로그램과 가상머신 프로그램 사이의 호출에 의해 통합개발환경 인터페이스에 할당되는 디버거 모듈로 디버깅 정보 저장 모듈(230) 상에 저장된 디버깅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이티브 프로그램의 디버깅이 수행되는 중, 가상머신 프로그램의 호출이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디버거 할당 모듈(220)은 가상머신 프로그램에 대한 디버거 모듈을 통합개발환경 인터페이스에 할당할 수 있다. 따라서, 새로이 할당되는 디버거 모듈에 의한 디버깅이 수행될 수 있다. 디버거 할당 모듈(220)은 호출에 의해 새로이 할당되는 디버그 모듈로 이전에 할당되었던 디버깅 모듈의 디버깅 작업에 관한 디버깅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또는 디버깅 정보 저장 모듈(230)에 의해 디버깅 정보가 송신되도록 허용함). 따라서, 수신된 디버깅 정보를 이용하여 새로이 할당되는 디버그 모듈에 의해 디버깅 작업이 연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서버는 상호호출될 수 있는 프로그램에 대응하여 적합한 디버깅 모듈의 자동적인 전환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서버는 호출되는 프로그램에 대해 적합한 디버거를 제공할 수 있고, 따라서 네이티브 프로그램 및 가상머신 프로그램의 호출이 발생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적합한 디버거를 실행하고, 디버깅을 위한 정보를 직접 확인하고, 그리고 디버깅을 위한 설정을 수정함으로써 디버깅 작업을 수행해야하는 번거로움을 피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서버는 서로 다른 디버거를 사용하여 디버깅을 수행하는 프로그램(가상머신 프로그램 및 네이티브 프로그램)에 대하여 통합적인 디버깅을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통합개발환경 상에서 가상 머신 프로그램 및 네이티브 프로그램의 디버깅을 위한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서, 통합개발환경 상에서 가상 머신 프로그램 및 네이티브 프로그램의 디버깅을 위한 서버(1000)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은 디버깅 수행 명령 수신 모듈(210)에 의해, 통합개발환경 인터페이스로부터 제 1 프로그램에 대한 디버깅 수행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s1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프로그램은 상호호출될 수 있는 네이티브 프로그램 및 가상머신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서, 통합개발환경 상에서 가상 머신 프로그램 및 네이티브 프로그램의 디버깅을 위한 서버(1000)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은 디버거 할당 모듈(220)에 의해, 상기 디버깅 수행 명령 수신 모듈(210)이 상기 디버깅 수행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제 1 프로그램의 실행 컨텍스트에 대응하는 디버거 모듈을 상기 통합개발환경 인터페이스에 할당하는 단계(s11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대응하는 디버거 모듈은 네이티브 프로그램에 대한 디버거 모듈 또는 가상머신 프로그램에 대한 디버거 모듈일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대응하는 디버거 모듈을 통합개발환경 인터페이스에 할당하는 단계(s110)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서, 대응하는 디버거 모듈을 통합개발환경 인터페이스에 할당하는 단계(s110)는 디버거 할당 모듈(220)에 의해, 디버깅 수행 명령 수신 모듈(210)이 디버깅 수행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제 1 프로그램의 실행 컨텍스트를 결정하는 단계(s2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서, 대응하는 디버거 모듈을 통합개발환경 인터페이스에 할당하는 단계(s110)는 디버거 할당 모듈(220)에 의해, 실행 컨텍스트에 대응하는 디버거 모듈을 결정하는 단계(s21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서, 대응하는 디버거 모듈을 통합개발환경 인터페이스에 할당하는 단계(s110)는 디버거 할당 모듈(220)에 의해, 결정된 디버거 모듈에 의한 디버깅을 통합개발환경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하는 것을 허용하는 단계(s2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대응하는 디버거 모듈을 통합개발환경 인터페이스에 할당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흐름도이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서, 대응하는 디버거 모듈을 통합개발환경 인터페이스에 할당하는 단계(s110)는 디버거 할당 모듈(220)에 의해, 네이티브 프로그램과 가상머신 프로그램 사이의 호출이 발생하는 경우, 제 1 프로그램의 실행 컨텍스트를 재결정하는 단계(s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서, 대응하는 디버거 모듈을 통합개발환경 인터페이스에 할당하는 단계(s110)는 디버거 할당 모듈(220)에 의해, 재결정된 실행 컨텍스트에 대응하는 디버거 모듈을 재결정하는 단계(s3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서, 대응하는 디버거 모듈을 통합개발환경 인터페이스에 할당하는 단계(s110)는 디버거 할당 모듈(220)에 의해, 재결정된 디버거 모듈에 의한 디버깅을 통합개발환경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할 것을 허용하는 단계(s3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대응하는 디버거 모듈을 통합개발환경 인터페이스에 할당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흐름도이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서, 대응하는 디버거 모듈을 통합개발환경 인터페이스에 할당하는 단계(s110)는 디버거 할당 모듈(220)에 의해, 할당되는 디버거 모듈이 통합개발환경 인터페이스에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단계(s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서, 대응하는 디버거 모듈을 통합개발환경 인터페이스에 할당하는 단계(s110)는 디버거 할당 모듈(220)에 의해, 할당되는 디버거 모듈이 통합개발환경 인터페이스에 연결되어 있지 않는 경우, 할당되는 디버거 모듈을 통합개발환경 인터페이스에 연결시키는 단계(s4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통합개발환경 상에서 가상 머신 프로그램 및 네이티브 프로그램의 디버깅을 위한 수단, 로직, 모듈, 및 회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서, 통합개발환경 상에서 가상 머신 프로그램 및 네이티브 프로그램의 디버깅을 위한 수단은 디버깅 수행 명령 수신 모듈(210)에 의해, 통합개발환경 인터페이스로부터 제 1 프로그램에 대한 디버깅 수행 명령을 수신하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프로그램은 상호호출될 수 있는 네이티브 프로그램 및 가상머신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서, 통합개발환경 상에서 가상 머신 프로그램 및 네이티브 프로그램의 디버깅을 위한 수단은 디버거 할당 모듈(220)에 의해, 상기 디버깅 수행 명령 수신 모듈(210)이 상기 디버깅 수행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제 1 프로그램의 실행 컨텍스트에 대응하는 디버거 모듈을 상기 통합개발환경 인터페이스에 할당하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대응하는 디버거 모듈은 네이티브 프로그램에 대한 디버거 모듈 또는 가상머신 프로그램에 대한 디버거 모듈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서, 통합개발환경 상에서 가상 머신 프로그램 및 네이티브 프로그램의 디버깅을 위한 로직은 디버깅 수행 명령 수신 모듈(210)에 의해, 통합개발환경 인터페이스로부터 제 1 프로그램에 대한 디버깅 수행 명령을 수신하는 로직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프로그램은 상호호출될 수 있는 네이티브 프로그램 및 가상머신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서, 통합개발환경 상에서 가상 머신 프로그램 및 네이티브 프로그램의 디버깅을 위한 로직은 디버거 할당 모듈(220)에 의해, 상기 디버깅 수행 명령 수신 모듈(210)이 상기 디버깅 수행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제 1 프로그램의 실행 컨텍스트에 대응하는 디버거 모듈을 상기 통합개발환경 인터페이스에 할당하는 로직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대응하는 디버거 모듈은 네이티브 프로그램에 대한 디버거 모듈 또는 가상머신 프로그램에 대한 디버거 모듈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서, 통합개발환경 상에서 가상 머신 프로그램 및 네이티브 프로그램의 디버깅을 위한 모듈은 디버깅 수행 명령 수신 모듈(210)에 의해, 통합개발환경 인터페이스로부터 제 1 프로그램에 대한 디버깅 수행 명령을 수신하는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프로그램은 상호호출될 수 있는 네이티브 프로그램 및 가상머신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서, 통합개발환경 상에서 가상 머신 프로그램 및 네이티브 프로그램의 디버깅을 위한 모듈은 디버거 할당 모듈(220)에 의해, 상기 디버깅 수행 명령 수신 모듈(210)이 상기 디버깅 수행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제 1 프로그램의 실행 컨텍스트에 대응하는 디버거 모듈을 상기 통합개발환경 인터페이스에 할당하는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대응하는 디버거 모듈은 네이티브 프로그램에 대한 디버거 모듈 또는 가상머신 프로그램에 대한 디버거 모듈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서, 통합개발환경 상에서 가상 머신 프로그램 및 네이티브 프로그램의 디버깅을 위한 회로는 디버깅 수행 명령 수신 모듈(210)에 의해, 통합개발환경 인터페이스로부터 제 1 프로그램에 대한 디버깅 수행 명령을 수신하는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프로그램은 상호호출될 수 있는 네이티브 프로그램 및 가상머신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서, 통합개발환경 상에서 가상 머신 프로그램 및 네이티브 프로그램의 디버깅을 위한 회로는 디버거 할당 모듈(220)에 의해, 상기 디버깅 수행 명령 수신 모듈(210)이 상기 디버깅 수행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제 1 프로그램의 실행 컨텍스트에 대응하는 디버거 모듈을 상기 통합개발환경 인터페이스에 할당하는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대응하는 디버거 모듈은 네이티브 프로그램에 대한 디버거 모듈 또는 가상머신 프로그램에 대한 디버거 모듈일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들이 구현될 수 있는 예시적인 컴퓨팅 환경에 대한 간략하고 일반적인 개략도를 도시한다.
본 개시가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의 컴퓨터 상에서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와 관련하여 전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본 개시가 기타 프로그램 모듈들과 결합되어 및/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잘 알 것이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서의 모듈은 특정의 태스크를 수행하거나 특정의 추상 데이터 유형을 구현하는 루틴, 프로시져, 프로그램, 컴포넌트, 데이터 구조, 기타 등등을 포함한다. 또한, 당업자라면 본 개시의 방법이 단일-프로세서 또는 멀티프로세서 컴퓨터 시스템, 미니컴퓨터, 메인 프레임 컴퓨터는 물론 퍼스널 컴퓨터, 핸드헬드 컴퓨팅 장치, 마이크로프로세서-기반 또는 프로그램가능 가전 제품, 기타 등등(이들 각각은 하나 이상의 연관된 장치와 연결되어 동작할 수 있음)을 비롯한 다른 컴퓨터 시스템 구성으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잘 알 것이다.
본 개시의 설명된 실시예들은 또한 어떤 태스크들이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원격 처리 장치들에 의해 수행되는 분산 컴퓨팅 환경에서 실시될 수 있다. 분산 컴퓨팅 환경에서, 프로그램 모듈은 로컬 및 원격 메모리 저장 장치 둘다에 위치할 수 있다.
컴퓨터는 통상적으로 다양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매체는 그 어떤 것이든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가 될 수 있고, 이러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일시적(transitory) 및 비일시적(non-transitory) 매체, 이동식 및 비-이동식 매체를 포함한다. 제한이 아닌 예로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전송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를 저장하는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되는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일시적 및 비-일시적 매체, 이동식 및 비이동식 매체를 포함한다.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RAM, ROM, EEPROM, 플래시 메모리 또는 기타 메모리 기술, CD-ROM, DVD(digital video disk) 또는 기타 광 디스크 저장 장치, 자기 카세트,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 또는 기타 자기 저장 장치, 또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고 원하는 정보를 저장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임의의 기타 매체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컴퓨터 판독가능 전송 매체는 통상적으로 반송파(carrier wave)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transport mechanism)과 같은 피변조 데이터 신호(modulated data signal)에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등을 구현하고 모든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피변조 데이터 신호라는 용어는 신호 내에 정보를 인코딩하도록 그 신호의 특성들 중 하나 이상을 설정 또는 변경시킨 신호를 의미한다. 제한이 아닌 예로서, 컴퓨터 판독가능 전송 매체는 유선 네트워크 또는 직접 배선 접속(direct-wired connection)과 같은 유선 매체, 그리고 음향, RF, 적외선, 기타 무선 매체와 같은 무선 매체를 포함한다. 상술된 매체들 중 임의의 것의 조합도 역시 컴퓨터 판독가능 전송 매체의 범위 안에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컴퓨터(1102)를 포함하는 본 개시의 여러가지 측면들을 구현하는 예시적인 환경(1100)이 나타내어져 있으며, 컴퓨터(1102)는 처리 장치(1104), 시스템 메모리(1106) 및 시스템 버스(1108)를 포함한다. 시스템 버스(1108)는 시스템 메모리(1106)(이에 한정되지 않음)를 비롯한 시스템 컴포넌트들을 처리 장치(1104)에 연결시킨다. 처리 장치(1104)는 다양한 상용 프로세서들 중 임의의 프로세서일 수 있다. 듀얼 프로세서 및 기타 멀티프로세서 아키텍처도 역시 처리 장치(1104)로서 이용될 수 있다.
시스템 버스(1108)는 메모리 버스, 주변장치 버스, 및 다양한 상용 버스 아키텍처 중 임의의 것을 사용하는 로컬 버스에 추가적으로 상호 연결될 수 있는 몇가지 유형의 버스 구조 중 임의의 것일 수 있다. 시스템 메모리(1106)는 판독 전용 메모리(ROM)(1110)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1112)를 포함한다. 기본 입/출력 시스템(BIOS)은 ROM, EPROM, EEPROM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1110)에 저장되며, 이 BIOS는 시동 중과 같은 때에 컴퓨터(1102) 내의 구성요소들 간에 정보를 전송하는 일을 돕는 기본적인 루틴을 포함한다. RAM(1112)은 또한 데이터를 캐싱하기 위한 정적 RAM 등의 고속 RAM을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1102)는 또한 내장형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1114)(예를 들어, EIDE, SATA)―이 내장형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1114)는 또한 적당한 섀시(도시 생략) 내에서 외장형 용도로 구성될 수 있음―, 자기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FDD)(1116)(예를 들어, 이동식 디스켓(1118)으로부터 판독을 하거나 그에 기록을 하기 위한 것임), 및 광 디스크 드라이브(1120)(예를 들어, CD-ROM 디스크(1122)를 판독하거나 DVD 등의 기타 고용량 광 매체로부터 판독을 하거나 그에 기록을 하기 위한 것임)를 포함한다.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1114), 자기 디스크 드라이브(1116) 및 광 디스크 드라이브(1120)는 각각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인터페이스(1124), 자기 디스크 드라이브 인터페이스(1126) 및 광 드라이브 인터페이스(1128)에 의해 시스템 버스(1108)에 연결될 수 있다. 외장형 드라이브 구현을 위한 인터페이스(1124)는 예를 들어, USB(Universal Serial Bus) 및 IEEE 1394 인터페이스 기술 중 적어도 하나 또는 그 둘다를 포함한다.
이들 드라이브 및 그와 연관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데이터, 데이터 구조,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 기타 등등의 비휘발성 저장을 제공한다. 컴퓨터(1102)의 경우, 드라이브 및 매체는 임의의 데이터를 적당한 디지털 형식으로 저장하는 것에 대응한다. 상기에서의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대한 설명이 HDD, 이동식 자기 디스크, 및 CD 또는 DVD 등의 이동식 광 매체를 언급하고 있지만, 당업자라면 집 드라이브(zip drive), 자기 카세트, 플래쉬 메모리 카드, 카트리지, 기타 등등의 컴퓨터에 의해 판독가능한 다른 유형의 저장 매체도 역시 예시적인 운영 환경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또 임의의 이러한 매체가 본 개시의 방법들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잘 알 것이다.
운영 체제(1130),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1132), 기타 프로그램 모듈(1134) 및 프로그램 데이터(1136)를 비롯한 다수의 프로그램 모듈이 드라이브 및 RAM(1112)에 저장될 수 있다. 운영 체제, 애플리케이션, 모듈 및/또는 데이터의 전부 또는 그 일부분이 또한 RAM(1112)에 캐싱될 수 있다. 본 개시가 여러가지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운영 체제 또는 운영 체제들의 조합에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잘 알 것이다.
사용자는 하나 이상의 유선/무선 입력 장치, 예를 들어, 키보드(1138) 및 마우스(1140) 등의 포인팅 장치를 통해 컴퓨터(1102)에 명령 및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기타 입력 장치(도시 생략)로는 마이크, IR 리모콘, 조이스틱, 게임 패드, 스타일러스 펜, 터치 스크린, 기타 등등이 있을 수 있다. 이들 및 기타 입력 장치가 종종 시스템 버스(1108)에 연결되어 있는 입력 장치 인터페이스(1142)를 통해 처리 장치(1104)에 연결되지만, 병렬 포트, IEEE 1394 직렬 포트, 게임 포트, USB 포트, IR 인터페이스, 기타 등등의 기타 인터페이스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모니터(1144) 또는 다른 유형의 디스플레이 장치도 역시 비디오 어댑터(1146) 등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시스템 버스(1108)에 연결된다. 모니터(1144)에 부가하여, 컴퓨터는 일반적으로 스피커, 프린터, 기타 등등의 기타 주변 출력 장치(도시 생략)를 포함한다.
컴퓨터(1102)는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을 통한 원격 컴퓨터(들)(1148) 등의 하나 이상의 원격 컴퓨터로의 논리적 연결을 사용하여 네트워크화된 환경에서 동작할 수 있다. 원격 컴퓨터(들)(1148)는 워크스테이션, 서버 컴퓨터, 라우터, 퍼스널 컴퓨터, 휴대용 컴퓨터, 마이크로프로세서-기반 오락 기기, 피어 장치 또는 기타 통상의 네트워크 노드일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컴퓨터(1102)에 대해 기술된 구성요소들 중 다수 또는 그 전부를 포함하지만, 간략함을 위해, 메모리 저장 장치(1150)만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되어 있는 논리적 연결은 근거리 통신망(LAN)(1152) 및/또는 더 큰 네트워크, 예를 들어, 원거리 통신망(WAN)(1154)에의 유선/무선 연결을 포함한다. 이러한 LAN 및 WAN 네트워킹 환경은 사무실 및 회사에서 일반적인 것이며, 인트라넷 등의 전사적 컴퓨터 네트워크(enterprise-wide computer network)를 용이하게 해주며, 이들 모두는 전세계 컴퓨터 네트워크, 예를 들어, 인터넷에 연결될 수 있다.
LAN 네트워킹 환경에서 사용될 때, 컴퓨터(1102)는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또는 어댑터(1156)를 통해 로컬 네트워크(1152)에 연결된다. 어댑터(1156)는 LAN(1152)에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용이하게 해줄 수 있으며, 이 LAN(1152)은 또한 무선 어댑터(1156)와 통신하기 위해 그에 설치되어 있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를 포함하고 있다. WAN 네트워킹 환경에서 사용될 때, 컴퓨터(1102)는 모뎀(1158)을 포함할 수 있거나, WAN(1154) 상의 통신 서버에 연결되거나, 또는 인터넷을 통하는 등, WAN(1154)을 통해 통신을 설정하는 기타 수단을 갖는다. 내장형 또는 외장형 및 유선 또는 무선 장치일 수 있는 모뎀(1158)은 직렬 포트 인터페이스(1142)를 통해 시스템 버스(1108)에 연결된다. 네트워크화된 환경에서, 컴퓨터(1102)에 대해 설명된 프로그램 모듈들 또는 그의 일부분이 원격 메모리/저장 장치(1150)에 저장될 수 있다. 도시된 네트워크 연결이 예시적인 것이며 컴퓨터들 사이에 통신 링크를 설정하는 기타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잘 알 것이다.
컴퓨터(1102)는 무선 통신으로 배치되어 동작하는 임의의 무선 장치 또는 개체, 예를 들어, 프린터, 스캐너, 데스크톱 및/또는 휴대용 컴퓨터, PDA(portable data assistant), 통신 위성, 무선 검출가능 태그와 연관된 임의의 장비 또는 장소, 및 전화와 통신을 하는 동작을 한다. 이것은 적어도 Wi-Fi 및 블루투스 무선 기술을 포함한다. 따라서, 통신은 종래의 네트워크에서와 같이 미리 정의된 구조이거나 단순하게 적어도 2개의 장치 사이의 애드혹 통신(ad hoc communication)일 수 있다.
Wi-Fi(Wireless Fidelity)는 유선 없이도 인터넷 등으로의 연결을 가능하게 해준다. Wi-Fi는 이러한 장치, 예를 들어, 컴퓨터가 실내에서 및 실외에서, 즉 기지국의 통화권 내의 아무 곳에서나 데이터를 전송 및 수신할 수 있게 해주는 셀 전화와 같은 무선 기술이다. Wi-Fi 네트워크는 안전하고 신뢰성 있으며 고속인 무선 연결을 제공하기 위해 IEEE 802.11(a,b,g, 기타)이라고 하는 무선 기술을 사용한다. 컴퓨터를 서로에, 인터넷에 및 유선 네트워크(IEEE 802.3 또는 이더넷을 사용함)에 연결시키기 위해 Wi-Fi가 사용될 수 있다. Wi-Fi 네트워크는 비인가 2.4 및 5 GHz 무선 대역에서, 예를 들어, 11Mbps(802.11a) 또는 54 Mbps(802.11b) 데이터 레이트로 동작하거나, 양 대역(듀얼 대역)을 포함하는 제품에서 동작할 수 있다.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록들, 모듈들, 프로세서들, 수단들, 회로들 및 알고리즘 단계들이 전자 하드웨어, (편의를 위해, 여기에서 "소프트웨어"로 지칭되는) 다양한 형태들의 프로그램 또는 설계 코드 또는 이들 모두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이러한 상호 호환성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다양한 예시적인 컴포넌트들,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단계들이 이들의 기능과 관련하여 위에서 일반적으로 설명되었다. 이러한 기능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되는지 여부는 특정한 애플리케이션 및 전체 시스템에 대하여 부과되는 설계 제약들에 따라 좌우된다.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각각의 특정한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다양한 방식들로 설명된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나, 이러한 구현 결정들은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여기서 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은 방법, 장치, 또는 표준 프로그래밍 및/또는 엔지니어링 기술을 사용한 제조 물품(article)으로 구현될 수 있다. 용어 "제조 물품"은 임의의 컴퓨터-판독가능 장치로부터 액세스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매체(media)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자기 저장 장치(예를 들면,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자기 스트립, 등), 광학 디스크(예를 들면, CD, DVD, 등), 스마트 카드, 및 플래쉬 메모리 장치(예를 들면, EEPROM, 카드, 스틱, 키 드라이브, 등)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용어 "기계-판독가능 매체"는 명령(들) 및/또는 데이터를 저장, 보유, 및/또는 전달할 수 있는 무선 채널 및 다양한 다른 매체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시된 프로세스들에 있는 단계들의 특정한 순서 또는 계층 구조는 예시적인 접근들의 일례임을 이해하도록 한다. 설계 우선순위들에 기반하여, 본 개시의 범위 내에서 프로세스들에 있는 단계들의 특정한 순서 또는 계층 구조가 재배열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도록 한다. 첨부된 방법 청구항들은 샘플 순서로 다양한 단계들의 엘리먼트들을 제공하지만 제시된 특정한 순서 또는 계층 구조에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개시를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개시는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

  1. 통합개발환경 상에서 가상 머신 프로그램 및 네이티브 프로그램의 디버깅을 위한 방법.
KR1020210011970A 2021-01-28 2021-01-28 통합개발환경 상에서 가상 머신 프로그램 및 네이티브 프로그램의 디버깅을 위한 서버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2100159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1970A KR20210015991A (ko) 2021-01-28 2021-01-28 통합개발환경 상에서 가상 머신 프로그램 및 네이티브 프로그램의 디버깅을 위한 서버 및 컴퓨터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1970A KR20210015991A (ko) 2021-01-28 2021-01-28 통합개발환경 상에서 가상 머신 프로그램 및 네이티브 프로그램의 디버깅을 위한 서버 및 컴퓨터 프로그램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0252A Division KR102214698B1 (ko) 2019-04-05 2019-04-05 통합개발환경 상에서 가상 머신 프로그램 및 네이티브 프로그램의 디버깅을 위한 서버 및 컴퓨터 프로그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5991A true KR20210015991A (ko) 2021-02-10

Family

ID=74561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1970A KR20210015991A (ko) 2021-01-28 2021-01-28 통합개발환경 상에서 가상 머신 프로그램 및 네이티브 프로그램의 디버깅을 위한 서버 및 컴퓨터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15991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6486B1 (ko) 2017-04-17 2018-05-11 주식회사 티맥스 소프트 컴퓨팅 디바이스에서 수행되는 오픈 시스템과 메인프레임 시스템 사이의 양방향 호출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6486B1 (ko) 2017-04-17 2018-05-11 주식회사 티맥스 소프트 컴퓨팅 디바이스에서 수행되는 오픈 시스템과 메인프레임 시스템 사이의 양방향 호출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4698B1 (ko) 통합개발환경 상에서 가상 머신 프로그램 및 네이티브 프로그램의 디버깅을 위한 서버 및 컴퓨터 프로그램
RU2486579C2 (ru) Устройство терминала, имеющее основанную на виртуальной машине (vm) структуру уровней для выполнения разнородных приложений
US10025643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mpiler support for kernel launches in device code
JP5496683B2 (ja) カスタマイズ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
CN108121594B (zh) 一种进程管理方法及装置
US20140019574A1 (en) Remote Direct Memory Access Socket Aggregation
KR101856486B1 (ko) 컴퓨팅 디바이스에서 수행되는 오픈 시스템과 메인프레임 시스템 사이의 양방향 호출 방법
CN106066803B (zh) 应用程序运行控制的方法及装置
US11954520B2 (en) Micro kernel scheduling method and apparatus
CN113010470B (zh) 边缘节点远程控制系统、方法、设备及存储介质
CN103176899A (zh) 手机模拟器及在宿主机上模拟手机功能的方法
CN112905472A (zh) 内核调试系统及方法
WO2014022980A1 (en) Isa bridging including support for call to overidding virtual functions
CN114691300A (zh) 一种虚拟机实例的热迁移方法
JP2006164266A (ja) オペレーティングシステムのパフォーマンスの改善
JP4965562B2 (ja) 組込機器による外部との通信を代行サーバにより制御させる技術
CN113419712A (zh) 跨平台的应用生成方法、跨平台应用调用方法、开发装置
KR20210015991A (ko) 통합개발환경 상에서 가상 머신 프로그램 및 네이티브 프로그램의 디버깅을 위한 서버 및 컴퓨터 프로그램
CN105550046B (zh) 虚拟操控的方法、装置及系统
US20230100873A1 (en) Memory tagging and tracking for offloaded functions and called modules
US20100031256A1 (en) Method for establishing virtual operating system
JP2006277204A (ja) 携帯通信端末装置
CN108235822B (zh) 虚拟sim卡的实现方法及装置、存储介质、电子设备
WO2021243665A1 (zh) 编译方法、编译装置、编译系统、存储介质与电子设备
CN111195919B (zh) 一种机器人示教平台及其架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