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5479A - 실내 계량 정보를 이용한 안전 관리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 - Google Patents

실내 계량 정보를 이용한 안전 관리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5479A
KR20210015479A KR1020190094378A KR20190094378A KR20210015479A KR 20210015479 A KR20210015479 A KR 20210015479A KR 1020190094378 A KR1020190094378 A KR 1020190094378A KR 20190094378 A KR20190094378 A KR 20190094378A KR 20210015479 A KR20210015479 A KR 202100154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house
management server
metering
situ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43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6280B1 (ko
Inventor
김용근
Original Assignee
김용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근 filed Critical 김용근
Priority to KR10201900943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6280B1/ko
Publication of KR202100154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54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62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62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Alarm System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댁내 계량 정보를 이용한 안전 관리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관리 서버가, 댁내에 설치된 계량 장비로부터 수도 사용량, 가스 사용량 및 전기 사용량을 포함하는 계량 정보를 수신하고, 계량 정보에 기초하여 댁내 상황을 분석하며, 댁내 상황 분석 정보에 기초하여 댁내에 설치된 안전 장비에 대한 제어 명령을 송신하는 과정을 통해 구현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재 감지 장치, 가스 누출 감지 장치 및 방범 장치 등에서의 감시 정보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설정한 댁내 기본 상황 정보와 함께 전기 사용량 측정기 및 가스 사용량 측정기 등에서의 계량 정보를 복합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비상 상황의 발생 여부를 매우 높은 정확도로 판단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댁내 계량 정보를 이용한 안전 관리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Safety Management Method Using In-house Information, and Managing Server Used Threrin}
본 발명은 댁내 계량 정보를 이용한 안전 관리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재 감지 장치, 가스 누출 감지 장치 및 방범 장치 등에서의 감시 정보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설정한 댁내 기본 상황 정보와 함께 전기 사용량 측정기 및 가스 사용량 측정기 등에서의 계량 정보를 복합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비상 상황의 발생 여부를 매우 높은 정확도로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댁내 계량 정보를 이용한 안전 관리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에 관한 것이다.
가정이나 사무실 내에 화재 감지 장치, 가스 누출 감지 장치, 방범 장치 등을 설치하고 이들을 관리하는 안전 관리 서비스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화재가 발생하였음에도 화재 감지 장치의 동작 오류로 인해 화재를 감지하지 못할 가능성이 존재할 뿐만 아니라, 외부인이 침입하였음에도 방범 장치의 센서 동작 오류로 인해 침입자를 감지하지 못하거나, 침입자가 센서의 감지 영역을 회피하여 침입하거나, 또는 방범 장치의 기능을 무력화한 후 내부로 침입할 가능성은 여전히 존재한다.
또한, 가스 누출 감지 장치를 실내에 설치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가스 감지 센서의 동작 오류로 인해 가스 누출을 감지하지 못할 가능성 또한 존재한다.
이와 같이 가정이나 사무실의 안전 관리를 위한 각종 설치 장비들의 고장 또는 오동작의 가능성으로 인해, 안전 관리 서비스에 가입했음에도 불구하고 사용자들의 불안감은 여전히 해소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화재 감지 장치, 가스 누출 감지 장치 및 방범 장치 등에서의 감시 정보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설정한 댁내 기본 상황 정보와 함께 전기 사용량 측정기 및 가스 사용량 측정기 등에서의 계량 정보를 복합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비상 상황의 발생 여부를 매우 높은 정확도로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댁내 계량 정보를 이용한 안전 관리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댁내 계량 정보를 이용한 안전 관리 방법은, (a) 관리 서버가, 댁내에 설치된 계량 장비로부터 수도 사용량, 가스 사용량 및 전기 사용량을 포함하는 계량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계량 정보에 기초하여 댁내 상황을 분석하는 단계; 및 (c) 상기 관리 서버가, 댁내 상황 분석 정보에 기초하여 댁내에 설치된 안전 장비에 대한 제어 명령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댁내에 거주하는 사용자가 입력한 댁내 기본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댁내 상황을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댁내에 설치된 화재 감지 장치, 가스 누출 감지 장치 및 방범 장치를 포함하는 감시 장비의 감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댁내 상황을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관리 서버는, 댁내에 설치된 계량 장비로부터 수도 사용량, 가스 사용량 및 전기 사용량을 포함하는 계량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계량 정보에 기초하여 댁내 상황을 분석하는 판단부; 및 댁내 상황 분석 정보에 기초하여 댁내에 설치된 안전 장비에 대한 제어 명령을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판단부는, 상기 댁내에 거주하는 사용자가 입력한 댁내 기본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댁내 상황을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판단부는, 상기 댁내에 설치된 화재 감지 장치, 가스 누출 감지 장치 및 방범 장치를 포함하는 감시 장비의 감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댁내 상황을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재 감지 장치, 가스 누출 감지 장치 및 방범 장치 등에서의 감시 정보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설정한 댁내 기본 상황 정보와 함께 전기 사용량 측정기 및 가스 사용량 측정기 등에서의 계량 정보를 복합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비상 상황의 발생 여부를 매우 높은 정확도로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댁내 계량 정보를 이용한 안전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댁내 계량 정보를 이용한 안전 서비스를 제공하는 관리 서버의 구조를 설명하는 기능 블록도,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댁내 계량 정보를 이용한 안전 관리 방법의 실행 과정을 설명하는 신호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댁내 계량 정보를 이용한 안전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댁내 계량 정보를 이용한 안전 관리 시스템은 계량 장비(100), 감시 장비(200), 관리 서버(300), 사용자 단말기(400), 및 안전 장비(500)를 포함한다.
계량 장비(100)는 가정이나 사무실의 내부인 댁내에 설치되어 있으며, 수도 사용량 측정기, 가스 사용량 측정기 및 전기 사용량 측정기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계량 장비(100)가 측정한 각종 사용량 측정 정보는 관리 서버(300)로 실시간으로 송신된다.
감시 장비(200) 또한 댁내에 설치되어 있으며, 화재 감지 장치, 가스 누출 감지 장치 및 방범 장치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감시 장비(200)가 측정한 화재 감지 정보, 가스 누출 감지 정보, 외부인 침입 정보 등의 감시 정보 또한 관리 서버(300)로 실시간으로 송신된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방범 장치는 적외선 감지 센서, 실내 온도 측정 센서 및 미세 먼지 측정 센서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구체적으로, 적외선 감지 센서가 침입자의 인체로부터 방사되는 적외선을 감지함에 따라, 방범 장치는 침입자 확인 메시지를 포함하는 감시 정보를 관리 서버(300)로 송신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실내 온도 측정 센서에 의해 측정된 실내 온도값에 소정의 기준 온도값(예를 들면, 0.1℃) 이상의 변화가 발생한 경우에 방범 장치는 침입자의 실내 진입 과정에서 창문 또는 출입문의 개방으로 인한 외기의 유입으로 실내 온도가 변화되었거나, 침입자의 체온으로 인해 실내 온도에 변화가 생긴 것으로 판단하고, 침입자 확인 메시지를 포함하는 감시 정보를 관리 서버(300)로 송신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미세 먼지 측정 센서에 의해 측정된 미세 먼지 농도 측정값이 소정의 기준값(예를 들면, 5㎍/㎥) 이상 증가한 경우에 방범 장치는 침입자의 실내 진입 과정에서 창문 또는 출입문의 개방으로 인한 외기의 유입으로 미세 먼지의 농도가 증가하였거나, 침입자의 의복으로부터 떨어져 나온 미세 먼지 입자로 인해 미세 먼지 농도 측정값이 증가한 것으로 판단하고, 침입자 확인 메시지를 포함하는 감시 정보를 관리 서버(300)로 송신할 수 있을 것이다.
관리 서버(300)는 본 발명에 따른 댁내 계량 정보를 이용한 안전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가 설치 및 운영하는 서버로서, 계량 장비(100)로부터 수신되는 계량 정보와 감시 장비(200)로부터 수신되는 감시 정보에 기초하여 댁내 상황을 분석하며, 상황 분석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400)로 송신한다.
사용자 단말기(400)는 본 발명에 따른 댁내 계량 정보를 이용한 안전 관리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인 댁내 거주자가 소지하고 있는 스마트 폰 등의 무선 통신 단말기로서 사용자는 외출, 취침, 휴가 등의 댁내 기본 상황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400)를 통해 관리 서버(300)로 송신한다.
안전 장비(500)는 댁내에 설치되어 있으며, 소화 장치, 경보 장치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안전 장비(500)는 관리 서버(300) 또는 사용자 단말기(400)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명령에 따라 소화 동작, 경보 동작 등을 실행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댁내 계량 정보를 이용한 안전 서비스를 제공하는 관리 서버(300)의 구조를 설명하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댁내 계량 정보를 이용한 안전 서비스를 제공하는 관리 서버(300)는 수신부(310), 저장부(330), 판단부(350) 및 송신부(370)를 포함한다.
관리 서버(300)의 수신부(310)는 사용자가 입력한 댁내 기본 상황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400)로부터 수신하고, 수도 사용량, 가스 사용량 및 전기 사용량을 포함하는 계량 정보를 계량 장비(100)로부터 수신하며, 화재 감지 정보, 가스 누출 감지 정보 및 외부인 침입 정보를 포함하는 감시 정보를 감시 장비(200)로부터 수신한다.
한편, 관리 서버(300)의 판단부(350)는 사용자 단말기(400)로부터 수신한 댁내 기본 상황 정보, 계량 장비(100)로부터 수신한 계량 정보 및 감시 장비(200)로부터 수신한 감시 정보에 기초하여 댁내 상황을 분석하며, 관리 서버(300)의 저장부(330)는 판단부(350)의 분석 정보와 수신부(310)가 수신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다.
관리 서버(300)의 송신부(370)는 안전 장비(500)에 대한 제어 명령을 안전 장비(500)로 송신하며, 사용자 단말기(400)로 댁내 상황 분석 정보를 송신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댁내 계량 정보를 이용한 안전 관리 방법의 실행 과정을 설명하는 신호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댁내 계량 정보를 이용한 안전 관리 방법의 실행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400)를 통해 재실 상태, 외출 상태, 취침 상태, 장기 휴가 상태 등의 댁내 기본 상황 정보를 입력함에 따라, 관리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기(400)로부터 댁내 기본 상황 정보를 수신한다(S600).
한편, 감시 장비(200)는 화재 감지 정보, 가스 누출 감지 정보 및 외부인 침입 정보 등의 감시 정보를 관리 서버(300)로 실시간으로 송신하며(S610), 계량 장비(100)는 수도 사용량 측정 정보, 가스 사용량 측정 정보 및 전기 사용량 측정 정보 등의 계량 정보를 관리 서버(300)로 실시간으로 송신한다(S630).
이에 관리 서버(300)의 저장부(330)는 사용자 단말기(400)로부터 수신된 댁내 기본 상황 정보, 감시 장비(200)로부터 수신된 각종 감시 정보, 계량 장비(100)로부터 수신된 각종 계량 정보를 저장하며, 관리 서버(300)의 판단부(350)는 저장부(330)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댁내 상황을 실시간을 분석한다(S650).
구체적으로, 전술한 S650 단계를 실시함에 있어서, 관리 서버(300)의 판단부(350)는 댁내 기본 상황 정보가 장기 휴가 상태인 경우에 감시 장비(200)로부터 외부인 침입 정보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라도 전기 사용량 측정 정보가 계량 장비(100)로부터 수신되는 경우에는 외부인의 침입이 있는 것으로 댁내 상황을 분석하게 된다.
아울러, 관리 서버(300)의 판단부(350)는 댁내 기본 상황 정보가 외출 상태 또는 장기 휴가 상태인 경우에 감시 장비(200)로부터 화재 감지 정보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라도 계량 장비(100)로부터 수신되는 전기 사용량 측정 정보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경우에는 누전 발생으로 인한 화재 발생의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댁내 상황을 분석하게 된다.
또한, 관리 서버(300)의 판단부(350)는 댁내 기본 상황 정보가 외출 상태 또는 장기 휴가 상태인 경우에 감시 장비(200)로부터 가스 누출 감지 정보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라도 가스 사용량 측정 정보가 계량 장비(100)로부터 수신되는 경우에는 가스 누출 발생의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댁내 상황을 분석하게 된다.
또한, 관리 서버(300)의 판단부(350)는 댁내 기본 상황 정보가 외출 상태 또는 장기 휴가 상태인 경우에 감시 장비(200)로부터 가스 누출 감지 정보가 수신된 경우라도 가스 사용량 측정 정보가 계량 장비(100)로부터 수신되지 않은 경우에는 가스 누출 발생의 가능성이 실질적으로는 낮은 것으로 댁내 상황을 분석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관리 서버(300)의 판단부(350)의 분석 결과, 화재 발생, 가스 누출, 외부인 침입, 누전 발생, 침수 발생 등의 비상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 관리 서버(300)의 송신부(370)는 댁내에 설치되어 있는 소화 장치 또는 경보 장치 등의 안전 장비(500)로 동작 제어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소화 장치 또는 경보 장치가 동작되도록 제어하게 된다(S670).
아울러, 관리 서버(300)의 송신부(370)는 전술한 S650 단계에서의 상황 분석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400)로 송신함으로써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400)를 통해 댁내 상황을 신속하게 파악하고 관련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유도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응용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응용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계량 장비, 200: 감시 장비,
300: 관리 서버, 400: 사용자 단말기,
500: 안전 장비.

Claims (4)

  1. (a) 관리 서버가, 댁내에 설치된 계량 장비로부터 수도 사용량, 가스 사용량 및 전기 사용량을 포함하는 계량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계량 정보에 기초하여 댁내 상황을 분석하는 단계; 및
    (c) 상기 관리 서버가, 댁내 상황 분석 정보에 기초하여 댁내에 설치된 안전 장비에 대한 제어 명령을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댁내 계량 정보를 이용한 안전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댁내에 거주하는 사용자가 입력한 댁내 기본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댁내 상황을 분석하는 것인 댁내 계량 정보를 이용한 안전 관리 방법.
  3. 댁내에 설치된 계량 장비로부터 수도 사용량, 가스 사용량 및 전기 사용량을 포함하는 계량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계량 정보에 기초하여 댁내 상황을 분석하는 판단부; 및
    댁내 상황 분석 정보에 기초하여 댁내에 설치된 안전 장비에 대한 제어 명령을 송신하는 송신부
    를 포함하는 관리 서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댁내에 거주하는 사용자가 입력한 댁내 기본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댁내 상황을 분석하는 것인 관리 서버.
KR1020190094378A 2019-08-02 2019-08-02 실내 계량 정보를 이용한 안전 관리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 KR1022662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4378A KR102266280B1 (ko) 2019-08-02 2019-08-02 실내 계량 정보를 이용한 안전 관리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4378A KR102266280B1 (ko) 2019-08-02 2019-08-02 실내 계량 정보를 이용한 안전 관리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5479A true KR20210015479A (ko) 2021-02-10
KR102266280B1 KR102266280B1 (ko) 2021-06-16

Family

ID=74561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4378A KR102266280B1 (ko) 2019-08-02 2019-08-02 실내 계량 정보를 이용한 안전 관리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628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1845B1 (ko) * 2009-10-22 2010-07-22 주식회사 유신테크 기초생활정보 통합정보 관제 시스템 및 제어방법
JP2016224542A (ja) * 2015-05-27 2016-12-28 シャープ株式会社 通知システム、及び空気清浄機
KR20190050066A (ko) * 2017-11-02 2019-05-10 (주)세화하이테크 원격 모니터링 및 원격 제어를 수행하는 IoT 가스 플랫폼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1845B1 (ko) * 2009-10-22 2010-07-22 주식회사 유신테크 기초생활정보 통합정보 관제 시스템 및 제어방법
JP2016224542A (ja) * 2015-05-27 2016-12-28 シャープ株式会社 通知システム、及び空気清浄機
KR20190050066A (ko) * 2017-11-02 2019-05-10 (주)세화하이테크 원격 모니터링 및 원격 제어를 수행하는 IoT 가스 플랫폼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6280B1 (ko) 2021-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3680B1 (ko) 스마트형 화재 감시 감지 시스템
CN203706346U (zh) 一种远程监控报警装置
US9972183B2 (en) System and method of motion detection and secondary measurements
KR20130083221A (ko) 호별 id 정보를 활용한 초고층 건축물 화재감지, 경보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85033A (ko) 학습형 다중센서 재난감지 시스템과 그 방법
KR101247676B1 (ko) 방범용 알에프 송수신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341155B1 (ko) 어드레스형 유무선 화재 경보 시스템
KR101975021B1 (ko) 공동주택의 통신시설을 이용한 소방 안전관리 시스템
JP2010033516A (ja) コントローラ装置
CN104036623A (zh) 数据信息误报纠正的方法
KR20220076374A (ko) 화재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KR20090082800A (ko) 화재 감지 시스템
KR20210015479A (ko) 실내 계량 정보를 이용한 안전 관리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
EP4270344A1 (en) Self-testing fire sensing device for confirming a fire
KR101750747B1 (ko) 블루투스 아이비콘을 이용한 전자식 화재감지기 및 수신시스템
KR101263291B1 (ko) 목조전통건축물 재난 상황 조기 경보 시스템
KR102391895B1 (ko) 기존 센서를 활용한 센서 통합 운영 IoT 플랫폼 시스템
WO2019179648A1 (en) A method for increasing specificity of jamming detection in a home alarm system
CN107808504A (zh) 报警方法和报警系统
Raghavendran SMS based wireless home appliance control system
KR100633023B1 (ko) 센서 네트워크 및 케이블 방송망을 이용한 화재 경보시스템 및 방법
CN207337096U (zh) 一种智能家居环境检测系统
KR20110045111A (ko) 화재시 관리자에게 문자를 통보하는 무선 송신기
KR20080086154A (ko) 터미널형 무선 다기능 감지 장치
KR102335154B1 (ko) 단선을 점검할 수 있는 화재감시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