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4708A - Modular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 Google Patents

Modular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4708A
KR20210014708A KR1020210009897A KR20210009897A KR20210014708A KR 20210014708 A KR20210014708 A KR 20210014708A KR 1020210009897 A KR1020210009897 A KR 1020210009897A KR 20210009897 A KR20210009897 A KR 20210009897A KR 20210014708 A KR20210014708 A KR 202100147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nditioning system
vehicle
control members
air conditio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989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79897B1 (en
Inventor
제럴드 릭터
마이클 피에트
요하네스 스타우스베르크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100147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470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98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989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1/00064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for sending air streams of different temperatures into the passenger compar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14Details of air conditioning housings
    • B60H1/00521Mounting or fastening of components in housings, e.g. heat exchangers, fans, electronic reg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14Details of air conditioning housings
    • B60H1/00542Modular assembl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92Add-on devices, e.g. heat/cooling boxes, compartment dividers, upgrade s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35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 B60H1/00842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the system comprising a plurality of damper doors; Air distribution between several out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2001/00078Assembling, manufacturing or layout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2001/00185Distribution of conditionned air
    • B60H2001/00192Distribution of conditionned air to left and right part of passenger compar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2001/00185Distribution of conditionned air
    • B60H2001/002Distribution of conditionned air to front and rear part of passenger compartm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dular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 vehicle, which has reduced tool and development costs, comprising: one or more air conditioning system housings (1); and a plurality of air temperature control and air distribution devices disposed in the housings.

Description

차량용 모듈식 공기 조화 시스템{MODULAR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Vehicle modular air conditioning system {MODULAR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본 발명은 차량의 전방 및 후방 구역(front and rear zones)의 온도 설정 시 1 내지 4 구역 작동을 위한 차량용 모듈식 공기 조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dular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 vehicle for operation in zones 1 to 4 when the temperature of the front and rear zones of the vehicle is set.

차량들에는 안락함에 대한 더 높은 기대로 인해 점점 더 많은 멀티존 공기 조화 시스템(multi-zone air conditioning system)들이 사용되고 있다. 이들은 차량의 4개의 모든 좌석, 즉 전방 좌우측 좌석 및 후방 좌우측 좌석에 대한 개별 온도 설정 및 부분적인 공기 분배 설정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와 같은 멀티존 공기 조화 시스템들은 대개 단순한 공기 조화 시스템의 변형예로서 옵션 사양 장비로 제공된다. 이 때문에 대부분은 모듈식 공기 조화 시스템이 제시되며, 이러한 모듈식 공기 조화 시스템은 이상적으로는 동일한 인터페이스를 갖는 설치 공간 내에서 1개 내지 4개의 실내 온도 조절 구역(climate zone)의 변형예들을 구현할 수 있다. 이 경우 대부분은 추가 채널과 내부 분리 벽을 추가하여 다수의 구역의 존재를 보장하는 기본 아키텍처(basic architecture)가 선택된다. 이와 동시에 온도 구역들의 확장은 수직 방향으로 이루어지며, 즉 전방 구역들은 장치의 상부 영역으로부터 공급되고, 후방 온도 구역들은 장치의 하부 영역으로부터 공급된다. 이 경우 차량용 공기 조화 시스템은 열교환기의 영역에서 상응하게 수평으로 연장되는 분리 벽에 의해 상부 및 하부 영역으로 수평으로 분리된다. 따라서 상기 열교환기는 2개의 영역으로 나누어지고, 이들 영역으로부터의 공기는 각각 전방 구역들에 대한 상부 공기 혼합 챔버 및 후방 구역들에 대한 하부 공기 혼합 챔버로 안내된다. 예를 들어, 가동 플랩, 소위 온도 플랩 형태의 제어 부재들에 의해 공기 흐름들을 적절히 제어함으로써, 각각의 구역들에 대한 공기 혼합 챔버들에 개별 온도가 설정된다. 추가로, 상기 상부 및 하부 공기 혼합 챔버들은 각각 좌우로 분리하기 위해 수직으로, 즉 횡 방향으로 세분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총 4개의 온도 구역이 발생한다.More and more multi-zone air conditioning systems are being used in vehicles due to higher expectations of comfort. These allow individual temperature settings and partial air distribution settings for all four seats of the vehicle, namely the front left and right seats and the rear left and right seats. Such multi-zone air conditioning systems are usually provided as optional equipment as a modification of a simple air conditioning system. For this reason, most of the modular air conditioning systems are presented, and these modular air conditioning systems can ideally implement variations of one to four climate zones within an installation space having the same interface. have. In this case, in most cases, a basic architecture is chosen that guarantees the existence of multiple zones by adding additional channels and internal dividing walls. At the same time, the expansion of the temperature zones takes place in a vertical direction, ie the front zones are fed from the upper area of the device and the rear temperature zones are fed from the lower area of the device. In this case, the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is horizontally separated into upper and lower regions by a partition wall extending correspondingly horizontally in the region of the heat exchanger. The heat exchanger is thus divided into two zones, and air from these zones is guided to the upper air mixing chamber for the front zones and the lower air mixing chamber for the rear zones, respectively. Individual temperatures are set in the air mixing chambers for the respective zones by appropriately controlling the air flows, for example by means of control members in the form of a movable flap, a so-called temperature flap. In addition, the upper and lower air mixing chambers can be subdivided vertically, that is, transversely, to separate left and right, respectively, resulting in a total of four temperature zones.

DE 10 2004 033 402 A1호에는 상기와 같은 차량용 공기 조화 시스템이 기술된다. 이 경우 공기 조화 시스템의 1 또는 2 구역 기본 아키텍처는 가열 열교환기 아래에서 수직 확장과 공기 조화 시스템의 3 또는 4 구역 변형예에 수평 분리 벽을 추가하여 변경된다. 종래 기술에 공지된 다른 변형예들에서는 부분적으로 1 또는 2 구역 변형예뿐만 아니라 3 또는 4 구역 변형예를 위해 다양한 아키텍처가 제공된다. DE 10 2004 033 402 A1 describes such a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In this case, the basic architecture of the 1st or 2nd zone of the air conditioning system is changed by adding horizontal dividing walls to the vertical expansion under the heated heat exchanger and the 3 or 4th zone variant of the air conditioning system. In other variants known in the prior art, various architectures are provided, in part for one or two zone variants, as well as for three or four zone variants.

종래 기술의 단점은 한편으로는 상이한 채널 삽입체들로 인한 공기 흐름을 위한 가변 공간 또는 미사용 공간이다. 반면에 열교환기 아래에 추가 냉풍 채널이 있기 때문에 1 또는 2 구역 변형예들에서는 3 방향 4 구역 변형예들에서보다 총 질량 흐름에 대한 공기 채널이 더 작다는 중대한 단점이 있다. 이러한 상황은 공기 흐름과 음향에 나쁜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차량에서 성능 및 음향 조건에 대한 요구 사항은 공기 조화 시스템의 변형예와 무관한 것이 아니라 차량마다 다르다.A disadvantage of the prior art is on the one hand the variable or unused space for air flow due to different channel inserts. On the other hand, there is a significant drawback that the air channel for the total mass flow is smaller in the 1 or 2 zone variants than in the 3 direction 4 zone variants because there is an additional cold air channel under the heat exchanger. This situation adversely affects airflow and sound. However, the requirements for performance and acoustic conditions in the vehicle are not independent of the variant of the air conditioning system, but vary from vehicle to vehicle.

또한, 온풍 및 냉풍 경로 사이의 상이한 단면적 비율로 인해 상이한 제어 특성이 발생하는데, 이는 변형예들 사이에서 압력 손실 비율이 다르기 때문이다. 이러한 경우 균일한 온도 제어를 달성하기 위해 시스템의 제어 전략의 추가 조정이 요구된다.In addition, different control characteristics occur due to the different cross-sectional area ratios between the hot air and cold air paths, because the pressure loss ratio is different between the variants. In this case, further adjustment of the control strategy of the system is required to achieve uniform temperature control.

다른 변형예의 형성의 경우, 즉, 1 또는 2 구역 그리고 3 및 4 구역 변형예에 있어서는 별도의 하우징 버전 및 이에 따라 공구가 필요하다. 또한, 이러한 솔루션의 경우 개발 비용이 증가한다.In the case of the formation of other variants, ie for the 1 or 2 zone and 3 and 4 zone variants, a separate housing version and thus a tool is required. In addition, these solutions increase the cost of development.

본 발명의 과제는 특히 열교환기 주변 영역에서 환기 시스템 성능( ventilation system performance) 및 음향의 단점을 피할 수 있는 모듈식 공기 조화 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이다. 추가 목적은 개발 비용과 공구 비용을 줄이기 위해 기능들을 하우징 개념에 통합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evelop a modular air conditioning system capable of avoiding the disadvantages of ventilation system performance and acoustics, particularly in the area around the heat exchanger. An additional objective is to integrate functions into the housing concept to reduce development and tool costs.

본 발명의 상기 과제는 청구항 1에 따른 특징들을 갖는 차량용 모듈식 공기 조화 시스템에 의해서 해결된다. 바람직한 개선예들은 종속항에 제시되어 있다.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olved by a modular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 vehicle having the features according to claim 1. Preferred refinements are presented in the dependent claims.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모듈식 공기 조화 시스템은 차량의 전방 및 후방 구역의 온도 설정 시 1 내지 4 구역으로 작동하기에 적합하다. 상기 차량용 모듈식 공기 조화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공기 조화 시스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된 다수의 공기 온도 조절 및 공기 분배 장치를 구비한다. 언급한 공기 온도 조절 및 공기 분배 장치들의 그룹은 하나 이상의 팬, 증발기, 열교환기, 상기 열교환기를 관통하는 공기 흐름들을 제어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제어 부재 및 상기 열교환기를 스쳐 지나는 공기 흐름들을 제어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제어 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공기 분배 장치로서 차량의 전방 구역들을 위한 공기 송풍구들 및 차량의 후방 영역들을 위한 공기 송풍구들이 형성되어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르면, - 차량용 공기 조화 시스템의 횡 방향을 기준으로 - 상기 공기 조화 시스템 하우징 내에서 중앙에 위치 설정된 내부 모듈이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내부 모듈은 수직으로 배향된 분리 벽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부분을 구비한다. 상기 내부 모듈에 의해서는, 상기 공기 조화 시스템 하우징의 영역(이 영역들로부터는 공기가 차량의 후방 구역들의 공기 송풍구들로 안내될 수 있음)들의 수직으로 연장되는 분리가 상기 공기 조화 시스템 하우징의 인접 영역(이 영역들로부터는 공기가 차량의 전방 구역들의 공기 송풍구들로 공기를 안내될 수 있음)들에 의해 달성됨으로써, 언급한 후방 구역들 및 전방 구역들을 위한 영역들은 횡 방향(y)으로 차례로, 이 경우 후방 구역들을 위한 영역들은 공기 조화 시스템의 중앙에 그리고 전방 구역들의 영역들은 바깥쪽 양측에 배치되어 있다.The modular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uitable for operating in 1 to 4 zones when the temperature of the front and rear zones of the vehicle is set. The vehicle modular air conditioning system includes at least one air conditioning system housing and a plurality of air temperature control and air distribution devices disposed within the housing. The mentioned group of air temperature control and air distribution devices includes one or more fans, evaporators, heat exchangers, one or more control members for controlling air flows through the heat exchanger and one or more control members for controlling air flows through the heat exchanger. It includes a control member. Further, as an air distribution device, air vents for the front regions of the vehicle and air vents for the rear regions of the vehicle are formed.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based o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an internal module centrally positioned within the air conditioning system housing is formed, and the internal module includes a vertically oriented separation wall. It has one or more parts. By the internal module, the vertically extending separation of the areas of the air conditioning system housing (from which air can be guided to the air vents of the rear areas of the vehicle) is adjacent to the air conditioning system housing. By means of zones (from which air can be guided air to the air vents of the front zones of the vehicle), the zones for the mentioned rear zones and front zones are in turn in the transverse direction (y). In this case, the areas for the rear areas are arranged in the center of the air conditioning system and the areas of the front areas are arranged on both sides of the outer side.

바람직하게는 열교환기를 관통하는 공기 흐름들을 제어하기 위한 모든 온풍 제어 부재 및 열교환기를 관통하는 공기 흐름들을 제어하기 위한 모든 냉풍 제어 부재들이 각각 횡 방향(y)으로 배향되어 있다. 이 경우 특히 바람직한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모든 온풍 제어 부재 또는 모든 냉풍 제어 부재는 각각 하나의 축 상에 배치되어 있다.Preferably, all of the warm air control members for controlling air flows through the heat exchanger and all of the cold air control members for controlling air flows through the heat exchanger are each orient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y). In this case, according to one particularly preferred embodiment, all the hot air control members or all the cold air control members are each disposed on one shaft.

이러한 경우 모듈성(modularity)은 내부 모듈의 상호 교환에 의해 1 및 2 구역과 3 또는 4 구역의 모든 변형예에 대해 균일한 설계를 갖는 공기 조화 시스템 하우징에서 주어지며, 상기 내부 모듈에서는 상응하는 제어 부재들의 배치가 나타난다. 따라서 내부 모듈은 예를 들면, 플랩의 형태의 제어 부재들뿐만 아니라 다양한 기능을 위해 채널 및/또는 디플렉터와 같은 공기 안내 부재들을 포함할 수 있다. 3 및 4 구역 변형예의 경우 내부 모듈은 후방 구역들을 위한 온풍 제어 부재들과 냉풍 제어 부재들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시스템에서 공기는 각각 후방 또는 하부 하우징 영역의 후방 송풍구들 방향으로 안내된다. 3 또는 4 구역 변형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횡 방향(y)을 기준으로, 전방 온도 구역들을 위한 온풍 제어 부재들이 동일한 축 상에서 중앙에 위치 설정된, 후방 구역들을 위한 온풍 제어 부재들의 측면에 배치되어 있고, 그러나 이 경우 상기 전방 구역들을 위한 온풍 제어 부재들 및 후방 구역들을 위한 온풍 제어 부재들은 바람직하게는 서로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이에 상응하게 횡 방향(y)을 기준으로, 전방 온도 구역들을 위한 냉풍 제어 부재들이 동일한 축 상에서 중앙에 위치 설정된, 후방 구역들을 위한 냉풍 제어 부재들의 측면에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전방 구역들을 위한 냉풍 제어 부재들 및 후방 구역들을 위한 냉풍 제어 부재들은 마찬가지로 서로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In this case, modularity is given in the air conditioning system housing with a uniform design for all variants of zones 1 and 2 and zones 3 or 4 by interchanging internal modules, and in the inner module the corresponding control member The arrangement of them appears. Thus, the inner module may include, for example, control members in the form of flaps as well as air guide members such as channels and/or deflectors for various functions. For the 3 and 4 zone variants, the inner module includes hot air control members and cold air control members for the rear zones. In such a system, air is guided in the direction of the rear vents in the rear or lower housing area, respectivel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3 or 4 zone variant, with respect to the transverse direction (y), the warm air control members for the front temperature zones are placed centrally on the same axis, on the side of the warm air control members for the rear zones. However, in this case, the warm air control members for the front zones and the warm air control members for the rear zones can preferably be controll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Correspondingly, with respect to the transverse direction y, the cold air control elements for the front temperature zones are arranged on the side of the cold air control elements for the rear zones, centered on the same axis. In this case, the cool air control members for the front zones and the cool air control members for the rear zones can likewise be controll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차량용 모듈식 공기 조화 시스템의 3 또는 4 구역 변형예에서, 중앙에 위치 설정된 내부 모듈은 상기 열교환기 다음 영역에서부터, 공기의 유동 방향을 기준으로, 거의 증발기까지 그리고 이에 따라 증발기와 열교환기 사이에 있는 영역까지 도달하고, 온풍 제어 부재(18.1)들과 냉풍 제어 부재(18.2)들을 수용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내부 모듈은 후방 구역을 위한 온도 플랩 형태의 온풍 및 냉풍 제어 부재들의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내부 모듈은 공기를 차량용 공기 조화 시스템의 후면 또는 바닥부에 있는 후방 구역들의 공기 송풍구들로 유도한다. 전방 및 후방 구역을 위한 온도 플랩들은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축 상에 배치되어 있지만, 후방 구역들을 위한 온도 플랩들은 전방 구역들의 온도 플랩들과 무관하게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In a 3 or 4 zone variant of the automotive modular air conditioning system, the centrally located internal module is located from the area following the heat exchanger, almost to the evaporator, based on the flow direction of the air, and thus between the evaporator and the heat exchanger. It reaches the area and can accommodate the warm air control members 18.1 and the cold air control members 18.2. According to one preferred embodiment, the inner module may comprise a system of hot and cold air control elements in the form of a temperature flap for the rear zone. The inner module directs air to the air vents in the rear zones at the rear or bottom of the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The temperature flaps for the front and rear zones are preferably arranged on the same axis, but the temperature flaps for the rear zones can be controlled independently independent of the temperature flaps of the front zones.

바람직한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내부 모듈은 또한, 공기가 상기 내부 모듈로부터 후방 구역들을 위한 공기 송풍구들로만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내부 모듈이 상부 영역에서 전방 구역들로 이어지는 공기 송풍구들에 대한 공기 경로들을 폐쇄하는 방식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를 위해 내부 모듈은 주요 부분으로서 2개의 U자형 쉘을 포함하고, 이들 쉘은 수직의 하우징 중간 벽의 양측에 장착되어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수직 하우징 중간 벽과 U자형 쉘의 연결은 바람직하게는 클립 연결이다.According to one preferred embodiment, the inner module is further configured such that the inner module closes the air paths for the air vents leading from the upper region to the front regions so that air can only pass from the inner module to the air vents for the rear regions. Is formed in a wa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is the inner module comprises two U-shaped shells as main parts, these shells are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vertical housing middle wall, in this case the vertical housing middle wall and The connection of the U-shaped shell is preferably a clip connection.

본 발명의 일 개선예에 따르면, 디프로스팅 시, 즉 앞유리 상에서 디프로스팅을 위한 공기가 필요한 경우를 위해 내부 모듈 내에 바이패스를 개폐하기 위한 제어 부재를 갖는 바이패스가 제공될 수 있으며, 이렇게 함으로써 상기 내부 모듈로부터의 온풍을 포함하여 열교환기로부터의 전체 공기를 디프로스팅 송풍구까지 안내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improved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a bypass having a control memb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bypass in the internal module for defrosting, that is, when air for defrosting on the windshield is required, can be provided, thereby The total air from the heat exchanger including the warm air from the internal module may be guided to the defrosting vent.

1 또는 2 구역 변형에의 경우 중앙에 위치 설정된 내부 모듈은 3 또는 4 구역 변형예와 비교하여 변경된 분리 벽 형상을 갖는다. 1 또는 2 구역 변형예를 위한 내부 모듈은, 혼합 챔버로부터의 공기, 즉 열교환기를 통해 안내된 온풍 공기 흐름과 열교환기를 스쳐 지나 안내된 냉풍 공기 흐름이 만나는 영역으로부터의 공기를 후방 구역들의 공기 송풍구들로 안내하기 위해 3 또는 4 구역 변형예에 비해 축소된 분리 벽을 갖는다. 따라서 내부 모듈은 x-방향으로 상당히 축소되고, 공기의 유동 방향을 기준으로 열교환기 다음 영역에 위치한다. 이와 같이 형성된 내부 모듈은 냉풍 및 온풍 제어 부재들로부터 흘러나오는 공기의 일부를 혼합 챔버로부터 차량의 후방 구역들을 위한 공기 송풍구의 방향으로 안내한다. 냉풍 및 온풍 흐름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요소들은 전술한 3 또는 4 구역 변형예에 상응하는 결합 제어 부재들, 예를 들어 하나의 축 상에 놓이는 회동 가능한 다수의 온도 플랩일 수 있다. 그러나 냉풍 및 온풍 흐름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부재들은 1 또는 2 구역 변형예에서는 y-방향에서 상응하게 변경된 크기, 특히 길이를 갖는 개별 제어 부재일 수 있으며, 이들 제어 부재에 의해서는 전방 구역들의 공기 송풍구들뿐만 아니라 후방 구역들의 공기 송풍구들로 흐르는 온풍 또는 냉풍 흐름이 제어될 수 있다. 제어 부재들은 전방 구역 또는 후방 구역들에 대한 온도를 조절하는 동시에 서로 연결되는 다수의 온도 플랩일 수 있다. 제어 부재들은 또한, 개별 온도 플랩일 수 있는데, 이들은 각각 적어도 하나의 전방 구역 및 적어도 하나의 후방 구역의 온도를 조절하거나 심지어 차량용 공기 조화 시스템의 전체 단면적을 커버한다. 1 구역 또는 이중 구역 변형예의 큰 횡단면으로 인해, 이러한 설계는 선행 기술보다 우수하다.In the case of the 1 or 2 zone variant, the centrally positioned inner module has a modified dividing wall shape compared to the 3 or 4 zone variant. The internal module for the 1 or 2 zone variant includes air from the mixing chamber, i.e., the air from the region where the hot air air flow guided through the heat exchanger and the cold air air flow guided through the heat exchanger meet the air vents in the rear regions. It has a reduced dividing wall compared to the 3 or 4 zone variant to guide it. Therefore, the internal module is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x-direction and is located in the area after the heat exchanger based on the flow direction of air. The internal module thus formed guides a portion of the air flowing from the cold and hot air control members from the mixing chamber to the direction of the air vents for the rear areas of the vehicle. The contro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cold and hot air flows may be coupling control members corresponding to the three or four zone variants described above, for example a plurality of rotatable temperature flaps lying on one axis. However, the control members for controlling the cold and hot air flows may be individual control members having a correspondingly changed size, in particular length, in the y-direction in the 1 or 2 zone variant, by means of these control members the air vents of the front zones. As well as the flow of hot or cold air flowing to the air vents of the rear areas can be controlled. The control members may be multiple temperature flaps connected to each other while regulating the temperature for the front or rear zones. The control elements can also be individual temperature flaps, which each regulate the temperature of at least one front and at least one rear section or even cover the entire cross-sectional area of the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Due to the large cross section of the single zone or double zone variants, this design is superior to the prior art.

냉풍 및 온풍 흐름에 대해 항상 동일한 단면적이 제공되는 차량용 모듈식 공기 조화 시스템의 모든 변형예들은 공통적이다. 즉, 공기 조화 시스템에 내부 모듈을 사용하여 공기 조화 시스템 하우징 내에서 온풍 흐름의 단면적이나 냉풍 흐름이 변경되지 않는다. 이 경우 중앙에 위치한 내부 모듈은 개별 변형예들에서 공기 흐름을 차량의 공기 조화 시스템의 개별 영역/구역으로 안내하기 위해서만 사용된다. 이 경우 내부 모듈은 공기를 상이한 방식으로 차량 공기 조화 시스템의 여러 공기 송풍구들로 안내한다. 이 때문에 특히 1 및 2 구역 변형예와 관련하여 종래 기술에 존재하는 단점인 감소된 단면적이 방지된다.All variants of a modular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 vehicle in which the same cross-sectional area is always provided for cold and hot air flows are common. That is,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hot air flow or the cold air flow in the air conditioning system housing is not changed by using the internal module in the air conditioning system. In this case, the centrally located inner module is only used in individual variants to guide the airflow to individual areas/zones of the vehicle's air conditioning system. In this case, the internal module guides the air in different ways to the various air vents of the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This avoids the reduced cross-sectional area, which is a disadvantage present in the prior art, in particular with respect to the 1 and 2 zone variants.

본 발명에 의해 달성될 수 있는 장점들은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The advantages that can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내부 모듈을 갖춘 차량용 모듈식 공기 조화 시스템의 본 발명에 따른 개념은 앞서 언급한 모든 변형예와 관련하여 차량용 공기 조화 시스템 내부에서 냉풍 및 온풍 흐름에 대한 동일한 단면적을 허용한다. 즉, 차량용 공기 조화 시스템의 모든 변형예에 균일한 설치 공간이 충분히 이용될 수 있다. 냉풍 및 온풍 흐름에 대한 단면적은 모든 유형에서 동일하기 때문에 제어 특성, 공기 흐름 또는 음향에 미치는 영향도 낮다. 일부 변형예의 특정 부품들만 필요하므로 공구 및 개발 비용이 절감된다.The inventive concept of a vehicle modular air conditioning system with internal modules allows for the same cross-sectional area for cold and hot air flows inside the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with respect to all the aforementioned variants. That is, a uniform installation space can be sufficiently used for all modifications of the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Since the cross-sectional area for cold and hot air flow is the same for all types, the influence on control characteristics, air flow or acoustics is also low. Tool and development costs are reduced because only certain parts of some variants are required.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추가적인 세부 사항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루어지는 실시예들의 하기 설명으로부터 드러난다. 도면부에서:
도 1은 내부 모듈을 갖는 차량용 모듈식 공기 조화 시스템의 공기 조화 시스템 하우징의 분해도이고,
도 2a는 외부로부터 내부 모듈을 바라보고 공기 유동 경로들 그리고 차량의 전방 구역 중 하나로 공기를 안내하기 위한 제어 부재들을 갖는 차량용 모듈식 공기 조화 시스템의 단면도이며,
도 2b는 내부 모듈 내 한 위치에서 공기 유동 경로들 그리고 차량의 후방 구역 중 하나로 공기를 안내하기 위한 제어 부재들을 갖는 차량용 모듈식 공기 조화 시스템의 단면도이고,
도 3a는 제어 부재들의 도시 없이, 4 구역 변형예를 위한 내부 모듈의 분리 벽들이 삽입된, 증발기 다음에 놓인 차량용 모듈식 공기 조화 시스템 영역의 사시도이며,
도 3b는 4 구역 변형예를 위한 차량용 모듈식 공기 조화 시스템의 제어 부재들로서 증발기와 열교환기 사이에 위치 설정된 어레인지먼트의 정면도이고,
도 4a는 중앙에 위치 설정된 2 구역 변형예를 위한 내부 모듈을 갖는 차량용 공기 조화 시스템을 y-축에 대해 횡 방향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4b는 전방 및 후방 레그룸 영역들과 후방 콘솔 송풍구들용 공기 송풍구들에 대한 도시와 함께 x-축에 대해 횡 방향으로 절단한 차량용 공기 조화 시스템의 단면도이며, 그리고
도 4c는 차량용 공기 조화 시스템 및 2 구역 변형예의 개별 온도 플랩의 정면도이다.
Further detail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merge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mad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rawing:
1 is an exploded view of an air conditioning system housing of a vehicle modular air conditioning system having an internal module,
Figure 2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odular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 vehicle with control members for directing air to one of the air flow paths and the front zone of the vehicle, looking at the internal module from the outside,
2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odular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 vehicle having control members for directing air to one of the air flow paths and the rear section of the vehicle at a location in the inner module,
Fig. 3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rea of the vehicle modular air conditioning system placed after the evaporator, into which the dividing walls of the inner module for a four-zone variant have been inserted, without showing the control members,
3B is a front view of an arrangement positioned between an evaporator and a heat exchanger as control members of a vehicle modular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 four-zone variant,
4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 vehicle having an internal module for a two-zone variant positioned at the center in a transvers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y-axis,
4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vehicular air conditioning system cut transversely to the x-axis with an illustration of the front and rear legroom areas and air vents for the rear console vents, and
4C is a front view of the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and individual temperature flaps of a two-zone variant.

도 1은 차량용 공기 조화 시스템의 모듈식 공기 조화 시스템 하우징(1)의 분해도를 도시하며, 이 경우 상기 모듈식 공기 조화 시스템 하우징(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대응한다. 상기 차량용 공기 조화 시스템은 공기 조화 시스템 하우징(1) 외에도 예를 들면, 팬, 증발기, 열교환기 및 다수의 제어 부재와 같은 도 1에 도시되지 않은 다수의 공기 온도 조절 및 공기 분배 장치를 포함한다. 1 shows an exploded view of a modular air conditioning system housing 1 of a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in which case the modular air conditioning system housing 1 corresponds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air conditioning system housing 1, the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includes a number of air temperature control and air distribution devices not shown in FIG . 1 , such as, for example, fans, evaporators, heat exchangers and a number of control members.

도 1은 분해도의 좌측 부분에 차량용 공기 조화 시스템의 팬을 수용하기 위한 하우징 부분(2)들을 도시하고, 분해도의 또 다른 부분에 증발기와 열교환기를 수용하기 위한 그리고 공기 송풍구들을 형성하기 위한 하우징 부분(3)들을 도시한다. 1 shows in the left part of the exploded view a housing part 2 for receiving a fan of an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 vehicle, and in another part of the exploded view a housing part for receiving an evaporator and a heat exchanger and for forming air vents ( 3) show them.

차량의 다양한 구역들에 대한 온도 영역들은 종래 기술과 같이 수직 방향으로, 즉 z-방향으로 열교환기의 상부 및 하부에 배치되어 있지 않고, 횡 방향(y)으로 서로 인접 배치되어 있다.The temperature zones for various areas of the vehicle are not disposed above and below the heat exchanger in the vertical direction, that is, in the z-direction, as in the prior art, but ar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transverse direction y.

y-방향을 기준으로, 후방 구역들의 온도 영역들은 차량용 공기 조화 시스템 중앙에 배치되어 있고, 전방 구역들의 온도 영역들은 중앙에 배치된 온도 범위들의 양측에서 공기 조화 시스템 하우징의 외부에 배치되어 있다. 상이한 구역들에 대한 온도 영역들의 이러한 배치는 중앙에 배치된 내부 모듈(4)의 설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내부 모듈(4)은 2개의 쉘 형상의, 실제로 U자형인 부분(5.1, 5.2)을 포함하고, 이들 부분은 예를 들면, 클립들에 의해 x-z 평면에 놓이는 하우징 중간 벽(도 1에서 보이지 않음)의 양측에 장착된다. 이러한 경우에 각각의 부분(5.1, 5.2)은 국부적으로 수직으로, 즉 이는 x-z 평면에 평행하게 배향되어 있고, 따라서 각각 수직 분리 벽을 형성한다. 도 1은 차량용 공기 조화 시스템의 4 구역 변형예에 제공되는 내부 모듈(4)을 도시한다. 이 경우 각각의 부분(5.1, 5.2)은 하부 가장자리로부터 시작하여, 리세스(6.1, 6.2) 그리고 경우에 따라 추가 리세스들을 가지며, 상기 추가 리세스들 내에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열교환기와 경우에 따라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추가 전기 가열 소자가 상기 부분(5.1, 5.2)들의 수직 영역들에 직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내부 모듈(4)은 거의 증발기까지, 더 정확하게는 증발기와 열교환기 사이 영역까지 도달한다. 또한, 내부 모듈(4)은 예를 들면, 온도 플랩과 같은 제어 부재들을 수용할 수 있다.With respect to the y-direction, the temperature zones of the rear zones are arranged in the center of the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and the temperature zones of the front zones are arranged outside the air conditioning system housing on both sides of the centrally arranged temperature ranges. This arrangement of temperature zones for different zones is achieved by the installation of an inner module 4 arranged in the center. The inner module 4 comprises two shell-shaped, substantially U-shaped parts 5.1, 5.2, which are, for example, the housing intermediate wall (visible in Fig. 1) lying in the xz plane by means of clips. Not). In this case each part 5. 1, 5.2 is oriented locally vertically, ie parallel to the xz plane, and thus each forms a vertical separation wall. 1 shows an internal module 4 provided in a four-zone variant of a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In this case each part 5.1, 5.2, starting from the lower edge, has a recess 6.1, 6.2 and optionally additional recesses, in which case a heat exchanger not shown in the drawing and in the case Accordingly, an additional electric heating element not shown in the drawing can be arranged at right angles to the vertical regions of the parts 5. 1, 5.2. In this way the inner module 4 reaches almost as far as the evaporator, more precisely the region between the evaporator and the heat exchanger. In addition, the inner module 4 can accommodate control elements such as temperature flaps, for example.

2a는 분리 벽으로서 작용하고, 4 구역 변형예에 상응하게 형성된 내부 모듈(4)의 쉘 형상의 부분(5.1)의 수직 영역을 외부로부터 바라보고 y-방향에 대해 횡 방향으로 절단한 차량용 공기 조화 시스템(7)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이 경우 상기 횡단면은 제1 또는 제2 구역으로 흐르는 공기 유동을 위한 공기 유동 경로들과 제어 부재들을 도시한다. 차량용 모듈식 공기 조화 시스템은 공기 온도 조절 및 공기 분배 장치들을 포함한다. 공기 분배 장치로는 팬(8) 그리고 플랩 형태의 제어 부재(9.1, 9.2, 9.3, 9.4, 9.5)들이 제공되어 있고, 공기 온도 조절 장치로는 증발기(10), 열교환기(11) 그리고 추가 가열 소자(12)들이 제공되어 있다. 추가로 팬(8)과 증발기(10) 사이에는 공기 정화용 필터 부재(13)가 예컨대, 폴렌 필터(pollen filter)로 제공되어 있다. 팬(8), 필터 부재(13), 증발기(10), 열교환기(11) 및 추가 가열 소자(12)는 공기의 유동 방향으로 차례로 배치되어 있고, 동시에 y-방향에, 즉 차량용 공기 조화 시스템(7)의 횡 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배향되어 있다. 추가 공기 분배 장치로는 냉풍 및 온풍 흐름들을 제어하기 위해 열교환기(11) 앞에 온풍 플랩(9.1) 그리고 상기 열교환기(11) 상부에 냉풍 플랩(9.2)이 제공되어 있다. 더 나아가, 도 2a는 전방 구역들을 위한 상이한 공기 송풍구들 또는 공기 배출 채널들 및 이와 관련된 공기 배출 플랩들, 즉 디프로스팅 플랩(9.3)을 구비한 디프로스팅 송풍구(14), 상응하는 대시보드 플랩(9.4, 9.5)들을 구비한 대시보드 송풍구(15, 16)들 그리고 전방 구역 중 하나, 즉 제1 및 제2 구역을 위한 레그룸 배출 플랩(9.6)을 구비한 레그룸 송풍구(17)를 도시한다.Figure 2a is a vehicle air cut in a transvers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y-direction looking from the outside and a vertical area of the shell-shaped portion 5.1 of the inner module 4 formed corresponding to the four-zone variant, serving as a dividing wall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ditioning system 7 is shown. In this case the cross section shows air flow paths and control members for air flow to the first or second zone. Modular air conditioning systems for vehicles include air temperature control and air distribution devices. A fan (8) and flap-shaped control members (9.1, 9.2, 9.3, 9.4, 9.5) are provided as an air distribution device, and an evaporator (10), heat exchanger (11) and additional heating are provided as an air temperature control device. Elements 12 are provided. In addition, a filter member 13 for purifying air is provided between the fan 8 and the evaporator 10 as, for example, a pollen filter. The fan 8, the filter element 13, the evaporator 10, the heat exchanger 11 and the additional heating element 12 are arranged in sequence in the direction of air flow, and at the same time in the y-direction, i.e. the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It is oriented parallel to the transverse direction of (7). As an additional air distribution device, a warm air flap 9.1 in front of the heat exchanger 11 and a cold air flap 9.2 on top of the heat exchanger 11 are provided to control the flows of cold and hot air. Further, Fig. 2a shows a defrosting vent 14 with different air vents or air vent channels and associated air vent flaps for the front zones, i.e. with a defrost flap 9.3, a corresponding dashboard flap ( It shows a legroom vent 17 with dashboard vents 15, 16 with 9.4, 9.5 and a legroom vent flap 9.6 for one of the front zones, i.e. the first and second zones.

2b는 내부 모듈(4) 내 한 위치에서 공기 유동 경로들 그리고 차량의 후방 구역 중 하나로, 즉 도시된 4 구역 변형예의 경우 제3 또는 제4 구역으로 공기를 안내하기 위한 공기 분배 장치들을 갖는 차량용 모듈식 공기 조화 시스템(7)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내부 모듈(4)은 거의 증발기(10) 그리고 이와 더불어 증발기(10)와 열교환기(11) 사이 영역까지 도달하고, 동시에 온도 제어 부재(18.1 및 18.2), 이 경우 온도 플랩으로서 온풍 플랩(18.1) 및 냉풍 플랩(18.2) 형태의 공기 분배 장치들 수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내부 모듈(4) 내에 배치된 온도 플랩(18.1, 18.2)들은 도 2a에 도시된, 전방 구역들을 위한 온도 플랩(9.1, 9.2)들과 무관하게 제어될 수 있고, 따라서 후방 영역들을 위한 냉풍 및 온풍 흐름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부재로서 기능한다. 내부 모듈(4)의 부분(5.1)의 쉘 형상은 추가로, 상부 영역에서 전방 구역들로 이어지는 공기 송풍구(14, 15, 16)들에 대한 공기 경로가 폐쇄됨으로써 공기가 내부 모듈(4)로부터 후방 구역들을 위한 공기 송풍구들로만 이를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도 2b에 따르면, 내부 모듈(4) 내에 공기 배출 채널(19)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공기 배출 채널은 공기를 레그룸 송풍구 그리고 후방 구역 중 하나, 즉 제3 또는 제4 구역의 콘솔 송풍구로 안내한다. 공기 배출 채널(19)은 제어 부재(20)로서 공기 배출 플랩(20)을 구비하며, 상기 공기 배출 플랩의 회동 축은 x-방향으로 그리고 이와 더불어 y-방향으로 연장되는 다른 플랩(9.1, 9.2, 9.3, 9.4, 9.5, 9.6, 18.1, 18.2)들의 회동 축에 수직으로 배향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시스템 내에서 공기가 후방 또는 하부 하우징 영역에서 후방 구역 송풍구들의 방향으로 안내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은 실시예에 따르면, 공기를 앞유리로 안내해야 하는 디프로스팅의 경우, 전체 공기를 열교환기로부터 디프로스팅 송풍구로 안내할 수 있기 위해서 내부 모듈(4) 내에 추가로 제어 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내부 모듈(4) 내로 유입된 온풍을 내부 모듈로부터 디프로스팅 송풍구(14)까지 안내하는 바이패스 유로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바이패스 유로 내에 상기 제어 부재로서의 디프로스팅 배출 플랩이 구비되어 바이패스 유로를 개폐할 수 있다.Figure 2b is for a vehicle with air distribution devices for directing air to one of the air flow paths and the rear section of the vehicle at one location in the inner module 4, i.e. to the third or fourth zone in the case of the four zone variant shown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odular air conditioning system 7 is shown. The inner module 4 almost reaches the evaporator 10 and, in addition to the region between the evaporator 10 and the heat exchanger 11, at the same time the temperature control members 18.1 and 18.2, in this case a warm air flap 18.1 as a temperature flap. And it is designed to accommodate air distribution devices in the form of a cold wind flap (18.2). The temperature flaps 18.1, 18.2 disposed in the inner module 4 can be controlled independently of the temperature flaps 9.1, 9.2 for the front zones, shown in Fig. 2a, and thus cold and hot air for the rear zones. It functions as a control member for controlling the flows. The shell shape of the portion 5. 1 of the inner module 4 is additionally closed by the air path to the air vents 14, 15, 16 leading from the upper area to the front zones, thereby allowing air from the inner module 4. Only allow access to air vents for rear areas. Accordingly, according to Fig. 2b , an air exhaust channel 19 is formed in the inner module 4, which directs air to one of the legroom vents and the rear zone, that is, the console vents in the third or fourth zone. do. The air outlet channel 19 has an air outlet flap 20 as a control member 20, the axis of rotation of the air outlet flap being the other flaps 9.1, 9.2, extending in the x-direction and in addition to the y-direction. 9.3, 9.4, 9.5, 9.6, 18.1, 18.2) are oriented perpendicular to their axis of rotation. Thus, in such a system, air can be guided in the direction of the rear zone vents in the rear or lower housing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not shown, in the case of defrosting in which air must be guided to the windshield, a control member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in the inner module 4 to guide the entire air from the heat exchanger to the defrosting vent. have. For example, a bypass flow path for guiding the hot air introduced into the internal module 4 from the internal module to the defrosting vent 14 may be provided, and a defrosting discharge flap as the control member is provided in the bypass flow path. The bypass flow path can be opened and closed.

3a는 - 공기의 유동 방향을 기준으로 - 차량용 모듈식 공기 조화 시스템(7)의 증발기 뒤에 놓이는 영역의 사시도를 도시하며, 이 경우 상기 공기 조화 시스템 내에는 4 구역 변형예를 위해 설계된 내부 모듈(4)이 삽입되어 있다. 즉, 증발기는 도 3a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고, y-방향으로 실제로 차량용 공기 조화 시스템(7)의 전체 범위에 걸쳐 연장되는 열교환기(11)가 도시되어 있다. 내부 모듈(4)의 각각의 부분(5.1, 5.2), 상기 부분(5.1, 5.2)들이 양측에 고정된 하우징 중간 벽(21)의 연장부는 x-방향과 z-방향으로 y-방향의 개별 연장부보다 크다. 내부 모듈(4)의 부분(5.1, 5.2)들 및 하우징 중간 벽(21)은 그들의 하부면에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열교환기의 높이 및 두께 치수에 상응하는 리세스(6.1, 6.2, 22)를 각각 갖는다. 이 경우 상기 리세스(6.1, 6.2, 22)들은 상호 배치되어 열교환기(11)가 상기 리세스(6.1, 6.2, 22)들 내에 배치되고, 따라서 열교환기(11)가 도 3a에서와 같이 횡 방향(y)으로 내부 모듈(4)에 의해 관통될 수 있다. 그 결과 내부 모듈(4)은 거의 증발기(10)까지 그리고 이와 더불어 도 2a도 2b의 상응하는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발기(10)와 열교환기(11) 사이 영역까지 연장되도록 설계되어 있다.Fig. 3a shows a perspective view of the area lying behind the evaporator of the modular air conditioning system 7 for a vehicle-with respect to the flow direction of the air-in this case the internal module designed for the 4 zone variant ( 4) is inserted. In other words, the evaporator is not shown in FIG. 3A , but a heat exchanger 11 is shown extending in the y-direction actually over the entire range of the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7. Each part (5.1, 5.2) of the inner module (4), the extension of the housing intermediate wall (21) in which the parts (5.1, 5.2) are fixed on both sides, respectively extend in the y-direction in the x-direction and the z-direction Greater than wealth. The parts 5. 1, 5.2 of the inner module 4 and the housing intermediate wall 21 are, as already mentioned on their lower surfaces, recesses 6. 1, 6.2, 22 corresponding to the height and thickness dimensions of the heat exchanger. Each has In this case, the recesses 6.1, 6.2, 22 are mutually arranged so that the heat exchanger 11 is disposed in the recesses 6.1, 6.2, 22, and thus the heat exchanger 11 is transverse as in FIG. 3A . It can be penetrated by the inner module 4 in the direction y. As a result, the inner module 4 is designed to extend almost up to the evaporator 10 and together with the region between the evaporator 10 and the heat exchanger 11, as shown in the corresponding cross-sectional views of FIGS . 2A and 2B . .

도 3b는 4 구역 변형예를 위한 차량용 모듈식 공기 조화 시스템의 제어 부재로서 증발기와 열교환기 사이에 배치된 온도 플랩들의 어레인지먼트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이 경우 상기 온도 플랩(9.1, 9.2)들은 전방 구역들을 위한 냉풍 및 온풍 흐름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부재로서, 내부 모듈 내에 배치된 후방 구역들을 위한 냉풍 및 온풍 흐름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부재로서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온도 플랩(18.1, 18.2)과 같이 동일한 축(23.1, 23.2) 상에서 내부 모듈(4)의 측면에 배치되어 있으며, 그러나 상기 온도 플랩들은 후방 구역들과 무관하게 그리고 상호 제어될 수 있다. 환언하면: 후방 구역들을 위한 온풍을 제어하기 위한 2개의 중간 온풍 플랩(18.1)은 전방 구역들을 위한 온풍을 제어하기 위해 각각 외부에서 인접한 2개의 온풍 플랩(9.1)과 같이 동일한 축(23.1) 상에 배치되어 있다. 유사하게, 후방 구역들을 위한 냉풍을 제어하기 위한 2개의 중간 냉풍 플랩(18.2)은 전방 구역들을 위한 냉풍을 제어하기 위해 각각 외부에서 인접한 2개의 냉풍 플랩(9.2)과 같이 동일한 축(23.1) 상에 배치되어 있다. 3B shows a front view of an arrangement of temperature flaps disposed between the evaporator and the heat exchanger as a control member of the vehicle modular air conditioning system for the four-zone variant. In this case, the temperature flaps 9.1 and 9.2 are a control member for controlling cold and hot air flows for the front zones, and relatively small as a control member for controlling cold and hot air flows for the rear zones arranged in the inner module. It is arranged on the side of the inner module 4 on the same axis 23.1, 23.2 as the sized temperature flaps 18.1, 18.2, but the temperature flaps can be controlled independently and mutually in the rear zones. In other words: two intermediate warm air flaps (18.1) for controlling the warm air for the rear zones are each on the same axis (23.1) as two externally adjacent warm air flaps (9.1) to control the warm air for the front regions. It is placed. Similarly, the two intermediate cold air flaps 18.2 for controlling the cold air for the rear regions are on the same axis 23.1 as the two externally adjacent cold air flaps 9.2, respectively, to control the cold air for the front regions. It is placed.

도 4a는 중앙에 위치 설정된 2 구역 변형예를 위한 내부 모듈을 갖는 차량용 공기 조화 시스템(7)의 단면도를 y-축에 대해 횡 방향으로 도시하는 반면, 도 4b는 차량용 공기 조화 시스템의 단면도를 x-축에 대해 횡 방향으로 도시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3 구역 또는 4 구역 변형예에 비해 변경된, 부분(25.1, 25.2)들의 분리 벽 구조를 갖는 내부 모듈(24)의 변형예가 제공된다. 2 구역 변형예를 위한 내부 모듈(24)은 4 구역 변형예의 내부 모듈에 비해 감소된 분리 벽들을 가짐으로써, 공기가 혼합 챔버(26)(도 4a 참고)로부터, 즉 열교환기를 통해 안내된 온풍 흐름과 상기 열교환기를 스쳐 지나서 안내된 냉풍 흐름이 모이는 영역으로부터 후방 구역들의 공기 송풍구들로 안내된다. 따라서 내부 모듈(24)의 부분(25.1, 25.2)들이 x-방향으로 확연히 축소되고, 공기의 유동 방향을 기준으로 열교환기(11) 다음 영역에 위치되며, 이에 따라 증발기(10)까지 도달하지 못한다. 4구역 변형예를 위한 내부 모듈과는 대조적으로, 내부 모듈(24)은 공기의 일부분을 온도 플랩(27.1, 27.2)(도 4a 참조)들의 영역으로부터, 즉 혼합 챔버(26)로부터 차량의 후방 영역들을 위한 공기 송풍구들의 방향으로 안내한다. FIG. 4A shows a cross- sectional view of an in-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7 with an inner module for a two-zone variant positioned in the center, while FIG. 4B show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vehicle air-conditioning system 7 -Shown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o the axis. In this embodiment, a variant of the inner module 24 with a dividing wall structure of the parts 25.1 and 25.2, modified compared to the 3-zone or 4-zone variant, is provided. The internal module 24 for the two-zone variant has reduced separation walls compared to the internal module of the four-zone variant, so that the air flows from the mixing chamber 26 (see Fig. 4A), that is, the hot air flow guided through the heat exchanger. And the flow of cold air guided past the heat exchanger is guided to the air vents of the rear regions from the converging region. Therefore, the parts 25.1 and 25.2 of the internal module 24 are remarkably reduced in the x-direction, and are located in the area next to the heat exchanger 11 based on the flow direction of air, and thus cannot reach the evaporator 10. . In contrast to the inner module for the four-zone variant, the inner module 24 draws part of the air from the area of the temperature flaps 27.1, 27.2 (see Fig. 4A), i.e. from the mixing chamber 26 to the rear area of the vehicle. Guide them in the direction of the air vents.

도 4b는 하우징 중간 벽(21)의 양측에 장착된 부분(25.1, 25.2)들을 갖는 내부 모듈(24)을 삽입하여 수직으로 연장되는, 혼합 챔버로부터 시작하는 전방 구역들의 영역들과 상기 혼합 챔버로부터 시작하는 후방 구역들의 영역들 사이 분리를 도시하며, 다시 말하면, 이 경우 상기 전방 구역들과 후방 구역들의 영역들 차례로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혼합 챔버로부터 시작하는 전방 구역들의 레그룸 송풍구(28)들용 영역들은 차량용 공기 조화 시스템(7)의 양측에서 외부에 배치되어 있고, 후방 구역들의 레그룸 송풍구(29)들용 영역들은 계속해서 내부에 그리고 후방 구역들의 콘솔 송풍구(30)들용 영역들은 하우징 중간 벽(21)의 양측에서 중앙에 배치되어 있다. 4B shows the regions of the front zones starting from the mixing chamber and extending vertically by inserting an inner module 24 with parts 25.1, 25.2 mounted on either side of the housing intermediate wall 21 and from the mixing chamber. It shows the separation between the regions of the starting rear regions, that is to say, in this case the regions of the front and rear regions are arranged one after the other. Therefore, the areas for the legroom vents 28 in the front zones starting from the mixing chamber are arranged outside on both sides of the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7, and the zones for the legroom vents 29 in the rear zones continue to be inside and at the rear. The areas for the console vents 30 of the zones are centrally arranged on both sides of the housing intermediate wall 21.

냉풍 및 온풍 흐름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부재들은 이 경우 도 3b에 따른 3 구역 또는 4 구역 변형예의 온도 플랩과 같이 결합된 제어 부재 또는 상응하게 변경된 크기(길이)를 갖는 개별 제어 부재일 수 있다. 도 4c는 증발기와 열교환기 사이에 위치 설정된, 2 구역 변형예를 위한 내부 모듈을 갖는 차량용 모듈식 공기 조화 시스템의 온도 플랩 어레인지먼트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이 경우 우측 및 좌측 온풍 플랩(27.1)들, 즉 공기 유동 방향으로 열교환기 다음에 하우징 중간 벽(21)의 양측에 위치한 온도 플랩들이 y-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축(31.1) 상에 배치되어 있다. 우측 및 좌측 냉풍 플랩들, 즉 열교환기(도 4c에서는 보이지 않음) 위에 위치하는 온도 플랩(27.2)들은 횡 방향(y)으로 제1 축(31.1)에 대해 평행하게 뻗은 제2의 상부 축(31.2) 상에서 함께 인접 배치되어 있다.The contro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cold and hot air flows can in this case be a combined control element, such as a temperature flap of the three-zone or four-zone variant according to Fig. 3b, or a separate control element with a correspondingly varied size (length). 4C shows a front view of a temperature flap arrangement of a modular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 vehicle with internal modules for a two zone variant, positioned between the evaporator and the heat exchanger. In this case, the right and left warm air flaps 27.1, that is, temperature flaps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housing middle wall 21 after the heat exchanger in the air flow direction, are arranged on the first axis 31.1 extending in the y-direction. have. The right and left cold air flaps, i.e. the temperature flaps 27.2 located above the heat exchanger (not visible in Fig. 4c), have a second upper axis 31.2 extending parallel to the first axis 31.1 in the transverse direction y. ) Are placed adjacent to each other.

제어 부재(27.1, 27.2)들은 이 경우 개별 온도 플랩으로서, 각각 전방 구역과 후방 구역의 온도를 조절하고, 차량용 공기 조화 시스템의 좌측 또는 우측의 단면적을 각각 커버하며, 이때 차량용 공기 조화 시스템의 좌측과 우측 사이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분리는 하우징 중간 벽(21)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따라서 개별 온도 플랩들은 각각 도 3b에 따른 4 구역 변형예의 2개의 온도 플랩(9.1; 18.1; 9.2; 18.2)과 동일한 단면적을 커버하며, y-방향으로 더 길게 설계되어 있다.The control members 27.1 and 27.2, in this case as individual temperature flaps, regulate the temperature of the front and rear areas, respectively, and cover the cross-sectional areas of the left or right side of the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respectively, wit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The separation extending vertically between the right side is achieved by means of the housing intermediate wall 21. Thus, the individual temperature flaps each cover the same cross-sectional area as the two temperature flaps 9.1; 18.1; 9.2; 18.2 of the four-zone variant according to Fig. 3b and are designed to be longer in the y-direction.

1: 공기 조화 시스템 하우징
2: 팬 수용을 위한 공기 조화 시스템 하우징의 하우징 부분
3: 증발기 및 열교환기 수용 그리고 공기 송풍구 형성을 위한 공기 조화 시스템 하우징의 하우징 부분
4: 3 또는 4 구역 변형예를 위한 내부 모듈
5.1: 내부 모듈의 부분(우측)
5.2: 내부 모듈의 부분(좌측)
6.1: 열교환기용 리세스
6.2: 열교환기용 리세스
7: 차량용 모듈식 공기 조화 시스템
8: 팬
9.1: 온풍 제어 부재, 온풍 플랩, 전방 구역용 온도 플랩
9.2: 냉풍 제어 부재, 냉풍 플랩, 전방 구역용 온도 플랩
9.3: 디프로스팅 플랩
9.4: 대시보드 플랩
9.5: 대시보드 플랩
9.6: 레그룸 송풍구 플랩
10: 증발기
11: 열교환기
12: 전기 가열 소자
13: 필터 부재
14: 디프로스팅 송풍구
15: 대시보드 송풍구
16: 대시보드 송풍구
17: 차량의 전방 구역을 위한 레그룸 송풍구
18.1: 온풍 제어 부재, 온풍 플랩, 후방 온도 구역용 온도 플랩
18.2: 냉풍 제어 부재, 냉풍 플랩, 후방 온도 구역용 온도 플랩
19: 제3 또는 제4 구역용 공기 배출 채널
20: 공기 배출 채널의 제어 부재
21: 하우징 중앙 벽
22: 하우징 중앙 벽의 리세스
23.1: 온풍 플랩용 축
23.2: 냉풍 플랩용 축
24: 2 구역 변형예를 위한 내부 모듈
25.1: 내부 모듈의 부분(우측)
25.2: 내부 모듈의 부분(좌측)
26: 혼합 챔버
27.1: 온풍 제어 부재, 온풍 플랩, 2 구역 변형예를 위한 온도 플랩
27.2: 냉풍 제어 부재, 냉풍 플랩, 2 구역 변형예를 위한 온도 플랩
28: 전방 구역의 레그룸 송풍구용 영역
29: 후방 구역의 레그룸 송풍구용 영역
30: 후방 구역의 콘솔 송풍구용 영역
31.1: 2 구역 변형예를 위한 온풍 플랩용 축
31.2; 2 구역 변형예를 위한 냉풍 플랩용 축
1: air conditioning system housing
2: Housing part of the air conditioning system housing for accommodating the fan
3: Housing part of the air conditioning system housing to accommodate the evaporator and heat exchanger and to form an air vent
4: Internal module for 3 or 4 zone variants
5.1: part of the internal module (right)
5.2: part of the internal module (left)
6.1: recess for heat exchanger
6.2: recess for heat exchanger
7: Modular air conditioning system for vehicles
8: fan
9.1: warm air control member, warm air flap, temperature flap for front zone
9.2: cold air control member, cold air flap, temperature flap for front zone
9.3: defrosting flap
9.4: dashboard flap
9.5: dashboard flap
9.6: legroom vent flap
10: evaporator
11: heat exchanger
12: electric heating element
13: filter element
14: defrosting vent
15: dashboard vent
16: dashboard vent
17: Legroom vents for the front area of the vehicle
18.1: warm air control member, warm air flap, temperature flap for rear temperature zone
18.2: cold air control member, cold air flap, temperature flap for rear temperature zone
19: Air exhaust channel for zone 3 or 4
20: absence of control of the air exhaust channel
21: housing center wall
22: recess in center wall of housing
23.1: Shaft for warm air flap
23.2: Shaft for cold wind flap
24: Inner module for two zone variant
25.1: part of the internal module (right)
25.2: Part of the internal module (left)
26: mixing chamber
27.1: warm air control member, warm air flap, temperature flap for two zone variant
27.2: cold air control member, cold air flap, temperature flap for two zone variant
28: Area for legroom vents in the front area
29: Area for legroom vents in the rear area
30: area for console vents in the rear area
31.1: Shaft for warm air flap for two zone variant
31.2; Shaft for cold wind flap for 2 zone variant

Claims (11)

차량의 전방 및 후방 구역의 온도 설정과 관련하여 1 내지 4 구역을 위한 차량용 모듈식 공기 조화 시스템(7)으로서,
상기 차량용 모듈식 공기 조화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공기 조화 시스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된 다수의 공기 온도 조절 및 공기 분배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 온도 조절 및 공기 분배 장치들은
하나 이상의 팬(8),
증발기(10),
열교환기(11),
상기 열교환기(11)를 관통하는 공기 흐름들을 제어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온풍 제어 부재(9.1, 18.1, 27.1),
상기 열교환기(11)를 바이패스하는 공기 흐름들을 제어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냉풍 제어 부재(9.2, 18.2, 27.2),
차량의 전방 구역들용 공기 송풍구들 및 차량의 후방 영역들용 공기 송풍구들, 및
상기 공기 조화 시스템 하우징 내에 교체 가능하게 장착되는 내부 모듈(4)을 구비하며,
상기 내부 모듈은 수직으로 배향된 분리 벽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부분(5.1, 5.2, 25.1, 25.2)을 구비하고,
상기 공기 조화 시스템 하우징(1)은 상기 후방 구역측 공기 송풍구로 공기를 공급하는 제1 영역들과, 상기 내부 모듈(4)이 배치되며 상기 후방 구역측 공기 송풍구로 공기를 공급하며 상기 제1 영역과 인접한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들은 차량용 공기 조화 시스템의 횡 방향(y)을 기준으로 상기 공기 조화 시스템(7)의 중앙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영역들은 바깥쪽 양측에 배치되어 있는, 차량용 모듈식 공기 조화 시스템.
As a vehicle modular air conditioning system (7) for zones 1 to 4 with respect to the temperature setting of the front and rear zones of the vehicle,
The vehicle modular air conditioning system includes at least one air conditioning system housing and a plurality of air temperature control and air distribution devices disposed within the housing,
The air temperature control and air distribution devices
One or more fans (8),
Evaporator (10),
Heat exchanger (11),
One or more warm air control members (9.1, 18.1, 27.1) for controlling air flows through the heat exchanger (11),
One or more cold air control members 9.2, 18.2, 27.2 for controlling air flows bypassing the heat exchanger 11,
Air vents for the front regions of the vehicle and air vents for the rear regions of the vehicle, and
It has an internal module (4) that is interchangeably mounted in the air conditioning system housing,
The inner module has one or more portions (5.1, 5.2, 25.1, 25.2) comprising vertically oriented dividing walls,
The air conditioning system housing (1) includes first areas for supplying air to the rear area side air blowing port, the internal module 4 is disposed, and supplying air to the rear area side air channel, and the first area And a second region adjacent to,
The first areas are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air conditioning system (7) with respect to the lateral direction (y) of the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and the second areas are disposed on both outer sid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11)를 관통하는 공기 흐름들을 제어하기 위한 모든 온풍 제어 부재(9.1, 18.1, 27.1) 및 상기 열교환기(11)를 관통하는 공기 흐름들을 제어하기 위한 모든 냉풍 제어 부재(9.2, 18.2, 27.2)들이 각각 횡 방향(y)으로 배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모듈식 공기 조화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All hot air control members 9.1, 18.1, 27.1 for controlling air flows through the heat exchanger 11 and all cold air control members 9.2, 18.2 for controlling air flows through the heat exchanger 11 , 27.2) are each orient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y).
제2항에 있어서,
모든 온풍 제어 부재(9.1, 18.1, 27.1)가 공통 축(23.1) 상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모듈식 공기 조화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Modular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all warm air control members (9.1, 18.1, 27.1) are arranged on a common shaft (23.1).
제2항에 있어서,
모든 냉풍 제어 부재(9.2, 18.2, 27.2)가 공통 축(23.2) 상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모듈식 공기 조화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Modular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all cold air control members (9.2, 18.2, 27.2) are arranged on a common shaft (23.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모듈(4)이 상기 후방 구역들을 위한 온풍 제어 부재(18.1)들 및 냉풍 제어 부재(18.2)들을 포함하여, 상기 전방 구역과 독립적으로 후방 구역으로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 및 풍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모듈식 공기 조화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internal module 4 includes warm air control members 18.1 and cold air control members 18.2 for the rear regions to control the temperature and air volume of air supplied to the rear region independently of the front region. A modular air conditioning system for vehicles, characterized by.
제5항에 있어서,
횡 방향(y)을 기준으로, 전방 온도 구역들을 위한 온풍 제어 부재(9.1)들이 동일한 축(23.1) 상에서 중앙에 위치 설정된, 후방 구역들을 위한 온풍 제어 부재(18.1)들의 측면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전방 구역들을 위한 온풍 제어 부재(9.1)들 및 후방 구역들을 위한 온풍 제어 부재(18.1)들은 서로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모듈식 공기 조화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5,
With respect to the transverse direction (y), the warm air control members 9. 1 for the front temperature zones are arranged on the sides of the warm air control members 18.1 for the rear zones, centrally located on the same axis 23.1, the A modular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warm air control members (9.1) for the front zones and the warm air control members (18.1) for the rear zones can be controll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제5항에 있어서,
횡 방향(y)을 기준으로, 전방 온도 구역들을 위한 냉풍 제어 부재(9.2)들이 동일한 축(23.2) 상에서 중앙에 위치 설정된, 후방 구역들을 위한 냉풍 제어 부재(18.2)들의 측면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전방 구역들을 위한 냉풍 제어 부재(9.2)들 및 후방 구역들을 위한 냉풍 제어 부재(18.2)들은 서로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모듈식 공기 조화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5,
With respect to the transverse direction y, the cold air control members 9.2 for the front temperature zones are arranged on the sides of the cold air control members 18.2 for the rear zones, centered on the same axis 23.2, said A modular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ld air control members (9.2) for the front zones and the cold air control members (18.2) for the rear zones can be controll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모듈(4)이 상기 열교환기(11) 다음 영역에서부터, 공기의 유동 방향을 기준으로, 증발기(10)와 열교환기(110 사이에 있는 영역까지 도달하고, 상기 후방 구역 중 하나 이상을 위한 온풍 제어 부재(18.1)들과 냉풍 제어 부재(18.2)들을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모듈식 공기 조화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5,
The internal module 4 reaches the area between the evaporator 10 and the heat exchanger 110 from the area next to the heat exchanger 11, based on the flow direction of air, and for at least one of the rear areas A modular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to accommodate the warm air control members (18.1) and the cold air control members (18.2).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모듈(4)이 부분(5.1, 5.2)으로서 2개의 U자형 쉘을 포함하고, 이들 쉘은 수직으로 배향된 하우징 중간 벽의 양측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모듈식 공기 조화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5,
Modular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ner module (4) comprises two U-shaped shells as parts (5.1, 5.2), these shells being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vertically oriented housing middle wall .
제5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모듈(4) 내에, 온풍을 상기 내부 모듈(4)로부터 디프로스팅 송풍구(14)까지 안내하기 위한 바이패스 유로 및 상기 바이패스 유로를 개폐하기 위한 제어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모듈식 공기 조화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5 to 9,
In the internal module 4, a bypass flow path for guiding the warm air from the internal module 4 to the defrosting vent 14 and a control memb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bypass flow path is provided. Modular air conditioning system.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냉풍 및 온풍 제어 부재(18.1, 18.2)들로부터 흐르는 공기의 일부분을, 상기 열교환기(11)를 통해 안내된 온풍 흐름과 상기 열교환기를 바이패스하는 냉풍 흐름이 만나는 혼합 챔버(26)로부터 상기 차량의 후방 구역들을 위한 공기 송풍구들 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해 상기 내부 모듈(24)이 공기의 유동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열교환기(11) 하류 영역에만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모듈식 공기 조화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The vehicle from the mixing chamber 26 where the hot air flow guided through the heat exchanger 11 and the cold air flow bypassing the heat exchanger meet a portion of the air flowing from the cold and hot air control members 18.1 and 18.2 A modular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ner module (24) is disposed only in a region downstream of the heat exchanger (11) based on the flow direction of air to guide the air vents for the rear areas of the vehicle .
KR1020210009897A 2017-07-28 2021-01-25 Modular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KR102379897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7117176 2017-07-28
DE102017117176.2 2017-07-28
DE102018117955.3 2018-07-25
DE102018117955.3A DE102018117955B4 (en) 2017-07-28 2018-07-25 Modular vehicle air conditioning
KR1020180087359A KR20190013586A (en) 2017-07-28 2018-07-26 Modular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7359A Division KR20190013586A (en) 2017-07-28 2018-07-26 Modular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4708A true KR20210014708A (en) 2021-02-09
KR102379897B1 KR102379897B1 (en) 2022-04-01

Family

ID=6500436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7359A KR20190013586A (en) 2017-07-28 2018-07-26 Modular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KR1020210009897A KR102379897B1 (en) 2017-07-28 2021-01-25 Modular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7359A KR20190013586A (en) 2017-07-28 2018-07-26 Modular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20190013586A (en)
DE (1) DE102018117955B4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15995A (en) * 2004-07-02 2006-01-19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Modular system for designing vehicular one-zone to four-zone air-conditioning system
JP2010162946A (en) * 2009-01-13 2010-07-29 Mitsubishi Heavy Ind Ltd Vehicular air conditioner
KR20160135033A (en) * 2015-05-15 2016-11-24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Air conditioner for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72833B2 (en) * 2002-07-23 2004-08-10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HVAC system with modular insert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15995A (en) * 2004-07-02 2006-01-19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Modular system for designing vehicular one-zone to four-zone air-conditioning system
JP2010162946A (en) * 2009-01-13 2010-07-29 Mitsubishi Heavy Ind Ltd Vehicular air conditioner
KR20160135033A (en) * 2015-05-15 2016-11-24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Air conditioner for vehicle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삭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8117955B4 (en) 2020-03-19
KR20190013586A (en) 2019-02-11
KR102379897B1 (en) 2022-04-01
DE102018117955A1 (en) 2019-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6016B1 (en) AN HVAC Module HAVING AN OPEN ARCHITECTURE
KR101928334B1 (en) Air distributing system for the third and/or fourth zone of a three- or four zones-air conditioning appliance of automobile
JP2018520046A (en) Automotive heating, ventilation and / or air conditioning equipment and corresponding additional modules and assembly methods
US20070095517A1 (en) Multi-zone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 motor vehicle
KR102208702B1 (en) Air conditioning system and method for multi-zone air conditioning of a vehicle interior
JP4688790B2 (en) Small structure heating, ventilation, or air-conditioning system for automobile cabin
KR102056123B1 (en) Air distribution assembly for an air-conditioning system of a motor vehicle
US6651453B2 (en) Air-conditioning device for a motor vehicle
KR101986290B1 (en) Method of distributing air ventilation in a vehicle
KR102379897B1 (en) Modular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KR102136606B1 (en) Air-conditioning system for a motor vehicle
KR20160104763A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102136642B1 (en) Heater/air conditioning for a motor vehicle
US11040592B2 (en) Climate control device for a motor vehicle
KR102336365B1 (en) Air conditioner for a motor vehicle
KR20210014175A (en) Air distribution device for a multi-zone air conditioning system and multi-zone air conditioning system for motor vehicles
CN114051462A (en) Unique airflow delivery paths for independent rear zones in three or four HVAC systems
US20220305875A1 (en) Control device, and associated heating and/or ventilation and/or air conditioning installation, motor vehicle and temperature management method
KR102087821B1 (en) Air-conditioning system for a motor vehicle
KR102218419B1 (en) Air-conditioning system for a motor vehicle
KR101899367B1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JP5878025B2 (en) Sliding door unit for vehicle air conditioner
KR102184094B1 (en) Air conditioner for a motor vehicl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air conditioner
KR101094848B1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US20040226684A1 (en) Heating and air conditioning plant for motor vehicles with a longitudinally arranged evaporator un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