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4599A - 스펀본드 라미네이트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스펀본드 라미네이트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4599A
KR20210014599A KR1020200094620A KR20200094620A KR20210014599A KR 20210014599 A KR20210014599 A KR 20210014599A KR 1020200094620 A KR1020200094620 A KR 1020200094620A KR 20200094620 A KR20200094620 A KR 20200094620A KR 20210014599 A KR20210014599 A KR 202100145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aments
layer
spunbond nonwoven
den
polyethyl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46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토비아스 바그너
제바스티안 좀머
패트릭 보올
안드레아스 뢰스너
한스-게오르그 고이스
게롤트 린케
베른트 쿤체
Original Assignee
라이펜호이저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마쉬넨파브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이펜호이저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마쉬넨파브릭 filed Critical 라이펜호이저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마쉬넨파브릭
Publication of KR202100145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45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07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in that the layers are not bonded on the totality of their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heating meth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14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using layers with different mechanical or chemical conditions or properties, e.g. layers with different thermal shrinkage, layers under tension during bo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036Heat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the fibres or filaments of a layer being of different substances, e.g. conjugate fibres, mixture of different fibr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22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with a crimped or curled structure; with a special structure to simulate wool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28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co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1F6/3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co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rising olefins as the major constituent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8/00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 D01F8/0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 D01F8/06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with at least one polyolefin as constituent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05Synthetic yarns or filaments
    • D04H3/007Addition polymer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05Synthetic yarns or filaments
    • D04H3/009Condensation or reaction polymers
    • D04H3/011Polyester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1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shape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yarns or filament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 D04H3/1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with bonds between thermoplastic yarns or filaments produced by welding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 D04H3/1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with bonds between thermoplastic yarns or filaments produced by welding
    • D04H3/147Composite yarns or filament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 D04H3/1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with bonds between thermoplastic yarns or filaments produced by welding
    • D04H3/153Mixed yarns or filament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 D04H3/1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with bonds between thermoplastic filaments produced in association with filament formation, e.g. immediately following extrusio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15/00Calendering, pressing, ironing, glossing or glazing textile fabr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53Polyolefin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76Polyester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12Conjugate fibres, e.g. core/sheath or side-by-s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14Mixture of at least two fibres made of different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5/10Fibres of continuous length
    • B32B2305/20Fibres of continuous length in the form of a non-woven m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9/00Parameters for the laminating or treatment process; Apparatus details
    • B32B2309/08Dimensions, e.g. volu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10/00Treatment by energy or chemical effects
    • B32B2310/04Treatment by energy or chemical effects using liquids, gas or steam
    • B32B2310/0445Treatment by energy or chemical effects using liquids, gas or steam using gas or flames
    • B32B2310/0454Hot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3/00Polyalke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3/00Polyalkenes
    • B32B2323/10Polypropylene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2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10B2321/02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polyolefins
    • D10B2321/022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polyolefins polypropylene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3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 D10B2331/04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esters, e.g.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Multicomponent Fiber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스펀본드 부직 라미네이트는 서로 상하 관계인 복수의 스펀본드 부직 층을 가지며, 스펀본드 부직 층들 중 적어도 2개는 권축된 연속 필라멘트들을 갖는다. 권축된 다성분 필라멘트들 또는 2성분 필라멘트들을 갖는 제1 스펀본드 부직 층은, 적어도 하나의 폴리올레핀으로 구성되거나 실질적으로 구성된 제1 층의 필라멘트들의 외측 표면 상의 적어도 하나의 제1 요소에 의해 형성된다. 제1 층의 필라멘트들의 제2 요소는, 제1 층의 필라멘트들의 제1 요소의 폴리올레핀보다 높은 융점을 갖는 플라스틱으로 구성되거나 실질적으로 구성된다. 스펀본드 부직 라미네이트는, 커버 층으로서, 다성분 필라멘트들 또는 2성분 필라멘트들을 가지며 제2 층의 필라멘트들의 외측 표면 상의 적어도 하나의 폴리올레핀으로 제작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요소에 의해 형성되는 제2 최외측 스펀본드 부직 층을 갖는다. 플라스틱으로 구성되거나 실질적으로 구성된 제2 층의 필라멘트들의 적어도 하나의 추가 요소 또는 제2 요소는 제2 층의 필라멘트들의 제1 요소의 폴리올레핀보다 높은 융점을 갖는다. 제2 층의 필라멘트들의 제1 요소의 폴리올레핀 비율은 제1 층의 필라멘트들의 제1 요소의 폴리올레핀 비율보다 더 크다.

Description

스펀본드 라미네이트 및 그 제조 방법{SPUNBOND LAMINATE AND METHOD OF MAKING SAME}
본 발명은 스펀본드 부직 층들(spunbond nonwoven layers) 중 적어도 2개가 권축된 연속 필라멘트들(crimped continuous filaments)을 갖거나 권축된 연속 필라멘트들로 구성되거나 실질적으로 권축된 연속 필라멘트들로 구성된, 서로 상하 관계인 복수의 스펀본드 부직 층을 갖는 스펀본드 부직 라미네이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이러한 스펀본드 부직 라미네이트의 제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실상 끝없는 그 길이로 인해, 연속 필라멘트들은 예를 들면 10 mm 내지 60 mm의 훨씬 짧은 길이를 갖는 스테이플 섬유들과는 다르다.
전술한 유형의 스펀본드 부직 라미네이트들은 종래 기술 및 다양한 디자인 변형의 실시로부터 알려져 있다. 많은 용도에서, 상당한 두께를 가지며 고도의 유연도(softness)를 갖는 부직포가 요구된다. 상당한 두께는 보통 권축된 필라멘트들을 사용하여 달성된다. 특히, 병렬 구성 또는 편심 코어 쉬스(eccentric core-sheath) 구성을 갖는 다성분 필라멘트들 또는 2성분(bicomponent) 필라멘트들이 이에 사용된다. 큰 두께 및 높은 유연도 특성은 보통 비교적 낮은 부직포 강도와 연관된다. 한편으로, 이는 기계 방향(machine direction; MD)으로의 부직포의 인장 강도에 적용된다. 다른 한편으로, 이는 특히 부직포 표면의 내마모성에도 또한 적용된다. 이와 관련하여, 두께와 유연도의 증가는 종종 부직포의 마모 특성에 악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목표들이 상충된다. 지금까지, 해결책은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문제들을 제시해 왔다. 마모 응력(abrasive stress)에 대한 부직포 또는 부직포 표면의 높은 저항성 외에, 부직포의 가능한 최대의 불투명도가 종종 바람직하다. 종래 기술로부터 알려진 부직포들 또는 부직 라미네이트들 중 다수는 이 요건을 충족하지 못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한편으로는 상당한 두께와 고도의 유연도에 의해 구별되며, 다른 한편으로는 최적의 강도를 또한 가지며, 무엇보다도 높은 내마모성 또는 마모 응력에 대한 높은 저항성을 갖는, 전술한 유형의 스펀본드 부직 라미네이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스펀본드 부직 라미네이트는 또한 매우 양호한 불투명도를 가져야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러한 스펀본드 부직 라미네이트를 제작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서로 상하 관계인 복수의 스펀본드 부직 층 - 스펀본드 부직 층들 중 적어도 2개는 권축된 연속 필라멘트들을 갖거나 권축된 연속 필라멘트들로 구성되거나 실질적으로 구성됨 - 을 갖는 스펀본드 부직 라미네이트를 교시하며,
권축된 다성분 필라멘트들 또는 권축된 2성분 필라멘트들을 갖는 제1 스펀본드 부직 층이 제공되며, 제1 층의 필라멘트들의 외측 표면 상의 적어도 하나의 제1 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폴리올레핀, 특히 폴리에틸렌으로 구성되거나 실질적으로 구성되고,
제1 층의 필라멘트들의 적어도 하나의 추가 요소 또는 제2 요소는 제1 층의 필라멘트들의 제1 요소의 폴리올레핀 또는 폴리에틸렌보다 높은 융점을 갖는 플라스틱으로 구성되거나 실질적으로 구성되며,
스펀본드 부직 라미네이트는 커버 층으로서 다성분 필라멘트들 또는 2성분 필라멘트들, 특히 권축된 다성분 필라멘트들 또는 2성분 필라멘트들을 갖는 제2 최외측 스펀본드 부직 층을 가지며, 특히 제2 층의 필라멘트들의 외측 표면 상의 적어도 하나의 폴리올레핀으로 제작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요소는 폴리에틸렌으로 구성되거나 실질적으로 구성되는 한편, 제2 층의 필라멘트들의 적어도 하나의 추가 요소 또는 제2 요소는 제2 층의 필라멘트들의 제1 요소의 폴리올레핀 또는 폴리에틸렌보다 높은 융점을 갖는 플라스틱으로 구성되거나 실질적으로 구성되고,
제2 층의 필라멘트들의 제1 요소의 폴리올레핀 비율 또는 폴리에틸렌 비율은 제1 층의 필라멘트들의 제1 요소의 폴리올레핀 비율 또는 폴리에틸렌 비율보다 더 크다.
플라스틱에 대해 또는 폴리머에 대해 여기서 또는 아래에서 "실질적으로 구성되는"이 특정되는 경우에, 이는 특히 폴리머가 적어도 95 중량%,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7 중량%, 바람직하게는 또한 적어도 98 중량%로 존재하는 것을 의미한다. 나머지 중량%는 특히 가소제, 충전제, 착색제 등과 같은 첨가제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펀본드 부직 라미네이트는 권축된 연속 필라멘트들을 갖는 적어도 2개의 스펀본드 부직 층을 갖는다. 본 발명의 권장 실시예에 따르면, 권축된 연속 필라멘트들을 갖는 최대 4개의 스펀본드 부직 층이 본 발명에 따른 스펀본드 부직 라미네이트에 존재한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스펀본드 부직 층 및 제2 스펀본드 부직 층 양자 모두는 권축된 다성분 필라멘트들 또는 권축된 2성분 필라멘트들을 갖는다. 제1 스펀본드 부직 층이 권축된 다성분 필라멘트들 또는 권축된 2성분 필라멘트들로 구성되거나 실질적으로 구성되는 것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또한, 제2 최외측 스펀본드 부직 층이 권축된 다성분 필라멘트들 또는 권축된 2성분 필라멘트들로 구성되거나 실질적으로 구성되는 것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권축된 연속 필라멘트들이 본 발명에 따른 스펀본드 부직 라미네이트의 제1 층 및 바람직하게는 또한 추가의 제2 층에 사용된다. 연속 필라멘트들은 유리하게는 그 길이의 cm 당 적어도 1.5개,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5개,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개의 루프를 갖는 권축(crimp)을 갖는다. 연속 필라멘트들의 길이의 cm 당 1.5 내지 3.5개, 바람직하게는 1.8 내지 3.2개, 바람직하게는 2 내지 3개의 루프를 갖는 권축이 여기서는 특히 바람직하다. 연속 필라멘트들의 cm 길이 당 권축 루프 및/또는 권축 보우(crimp bows)(루프)의 수는 특히, 필라멘트들의 미연신 길이에 기초하여 (1/10 mm)에서 2 mg/den의 프리텐션 하에 권축을 계수함으로써 일본 표준 JIS L-1015-1981에 따라 측정된다. 권축 루프의 수를 결정하기 위해 0.05 mm의 감도가 사용된다. 측정은 유리하게는 독일 TexTechno 사의 "Favimat" 장치를 사용하여 수행된다. 이 목적을 위해, "스테이플 섬유에 대한 자동 권축 측정", Denkendorf Colloqium, "Textile Mess- und Pruftechnik", 1999년 11월 9일, Dr. Ulrich Morschel(특히, 4쪽 도 4)을 참조하면 된다. 이 목적을 위해, 필라멘트들 또는 필라멘트 샘플이 추가 고화 전에 퇴적물로부터 또는 퇴적 메쉬 벨트로부터 필라멘트 볼(filament ball)로서 제거되고는, 필라멘트들이 분리 및 측정된다.
권장 실시예에 따르면, 라미네이트의 제2 층의 필라멘트들의 권축도(degree of crimp)는 제1 층의 필라멘트들의 권축도 이하이다. 이 실시예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는 데 있어서 특히 유리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본 발명의 범위에서 특히 중요한 매우 권장되는 실시예는 제2 층(커버 층)의 필라멘트들의 역가(titer)가 제1 층의 필라멘트들의 역가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 층의 필라멘트들은 1.5 den 초과, 바람직하게는 1.6 den 초과, 바람직하게는 1.7 den 초과의 역가를 갖는 것이 권장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스펀본드 부직 라미네이트의 제1 층의 필라멘트들의 역가는 1.5 den 내지 2.5 den 사이, 특히 1.6 den 내지 2.4 den 사이, 바람직하게는 1.7 den 내지 2.3 den 사이, 매우 바람직하게는 1.8 den 내지 2.2 den 사이, 특히 바람직하게는 2.0 den 내지 2.2 den 사이이다. 제2 층의 필라멘트들이 1.7 den 미만, 특히 1.6 den 미만의 역가, 및 권장 실시예에 따라, 0.8 den 내지 1.6 den, 특히 0.9 den 내지 1.5 den, 및 바람직하게는 1.0 den 내지 1.3 den의 역가를 갖는 것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최대 12 den의 역가를 갖는 필라멘트들이 제1 층에 사용될 수 있다. 그러면 제2 층의 필라멘트들은 예를 들면, 6 den 이하의 역가를 갖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최외측 층의 필라멘트들의 역가가 제1 층의 필라멘트들의 역가보다 낮다는 것이 이미 지적되었다. 제1 층의 필라멘트들의 역가와 제2 층의 필라멘트들의 역가 사이의 차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0.2 den,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0.3 den, 및 권장 최대 1.1 den, 바람직하게는 최대 1.0 den이다.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층의 역가와 제2 층의 역가 사이의 차는 최대 4 den 내지 6 den일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역가 구배(titer gradient)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는 측면에서 특히 유리하다.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스펀본드 부직 라미네이트가 그래도 강도 특성에 관한 모든 요건을 충족하는 고 유연도 및 큰 부피 또는 두께를 갖는 제품이라는 발견에 기초한다. 무엇보다도, 본 발명에 따른 스펀본드 부직 라미네이트는 우수한 내마모성 및 이와 관련하여, 최적의 내마모성을 갖는다. 기계 방향(machine direction: MD)으로의 인장 강도도 또한 매우 양호한 값을 가져서, 라미네이트는 취급 및 사용이 용이하다. 본 발명에 따른 스펀본드 부직 라미네이트는 최적으로 폐쇄된 균질한 표면에 의해 구별되는 것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특히 중요하다. 커버 층으로 사용되는 라미네이트의 제2 층이 특히 이에 기여한다. 라미네이트의 우수한 표면 균일성이 달성되며, 표면으로부터의 방해성 융기부 또는 표면의 방해성 함몰부가 효과적으로 회피될 수 있다. 동시에, 라미네이트 표면은 너무 거칠지 않으며, 최적의 슬라이딩 특성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스펀본드 부직 라미네이트는 높은 생산 속도로 문제없이 제작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2 비임(2-beam) 시스템 또는 멀티비임(multibeam) 시스템에서 매우 생산성있게 제작될 수 있음이 또한 강조되어야 한다. 스펀본드 부직 라미네이트는 균질한 퇴적 및 균질한 표면을 특징으로 하며, 특히 불리한 소위 블로우 백(blow-back) 효과로부터 발생하는 방해성 필라멘트 응집체가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펀본드 부직 라미네이트는 간단하면서 저렴한 방식으로, 그리고 그에 따라 비용 효과적인 방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는 점도 또한 부가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제1 층의 필라멘트들의 외측 표면 상의 제1 요소가 적어도 하나의 폴리올레핀으로 구성되거나 실질적으로 구성되고, 특히 폴리에틸렌으로 구성되거나 실질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무엇보다도, 폴리프로필렌이 또한 폴리올레핀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제1 층의 필라멘트들의 외측 표면 상에 제공되는 폴리올레핀으로 제작된 제1 요소가 제1 층의 필라멘트들의 제2 요소 또는 추가 요소보다 낮은 융점을 갖는 것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는 제1 층의 필라멘트들의 폴리올레핀 비율 또는 폴리에틸렌 비율이 40 중량% 미만, 특히 38 중량% 미만, 바람직하게는 35 중량%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 층의 필라멘트들의 제1 요소의 폴리올레핀은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인 것이 이미 지적되었다. 이 폴리에틸렌의 용융 유량(melt flow rate: MFR)은 35 g/10분 미만, 특히 30 g/10분 미만, 바람직하게는 25 g/10분 미만, 매우 바람직하게는 20 g/10분 미만인 것이 권장된다. 여기서 그리고 아래에서 용융 유량(MFR)이 주어지는 경우, 이들은 특히 ASTM D1238-13(조건 B, 2.16 kg, 230 ℃)에 따라 폴리프로필렌에 대해 190 ℃/2.16 kg에서 ASTM D1238-13에 따라 폴리에틸렌에 대해 측정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제1 층의 필라멘트들의 적어도 하나의 추가 요소 또는 제2 요소가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스테르로 구성되거나 실질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추가/제2 요소의 경우에, 폴리프로필렌 대신에 또는 폴리프로필렌에 부가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폴리프로필렌 코폴리머가 또한 사용될 수도 있으며, 폴리에스테르 대신에 또는 폴리에스테르에 부가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폴리에스테르 코폴리머가 또한 사용될 수도 있다.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가 폴리에스테르로서 특히 적합하고, PET 코폴리머(Co-PET)가 폴리에스테르 코폴리머로서 특히 적합하다. 하지만,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또는 폴리락티드(PLA)도 또한 폴리에스테르로 사용될 수 있다. 이들 플라스틱의 코폴리머들도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장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의 플라스틱으로 제작된 제1 층의 필라멘트들의 적어도 하나의 추가 요소 또는 제2 요소가 "폴리프로필렌, 폴리프로필렌 코폴리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PET 코폴리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PBT 코폴리머, 폴리락티드(PLA), PLA 코폴리머" 그룹으로 구성되거나 실질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는 제1 층의 필라멘트들의 제1 요소, 특히 저융점 요소가 폴리에틸렌으로 구성되거나 실질적으로 구성되고, 제1 층의 필라멘트들의 제2 요소, 특히 고융점 요소가 폴리프로필렌으로 구성되거나 실질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는 제1 층의 필라멘트들의 제1 요소, 특히 저융점 요소가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으로 구성되거나 실질적으로 구성되고, 제1 층의 필라멘트들의 제2 요소, 특히 고융점 요소가 폴리에스테르 및/또는 폴리에스테르 코폴리머로 구성되거나 실질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언급된 폴리머들의 혼합물 또는 블렌드가 제1 층의 필라멘트들의 요소들에 사용되는 것도 또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층의 다성분 필라멘트들 또는 2성분 필라멘트들은 편심 코어 쉬스(eccentric core-sheath) 구성을 갖는다. 이 실시예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는 데 있어서 특히 유용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이 맥락에서 매우 권장되는 실시예는 편심 코어 쉬스 구성을 갖는 제1 층의 필라멘트들의 쉬스가 필라멘트 둘레의 적어도 20 %, 특히 적어도 30 %,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40 %,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0 %, 매우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60 %, 특히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65 %에 걸쳐 일정한 두께(d) 또는 실질적으로 일정한 두께(d)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그리고 아래에서, 두께(d)는 특히 평균 두께(d)를 의미한다. 이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는 아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된다.
매우 권장되는 실시예에 따라, 제1 층의 필라멘트들이 편심 코어 쉬스 구성을 갖는 경우, 저융점의 제1 요소가 필라멘트들의 쉬스에 제공되고, 고융점의 적어도 하나의 제2 요소 또는 고융점의 제2 요소가 필라멘트들의 코어에 존재하는 것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층의 다성분 필라멘트들 또는 2성분 필라멘트들은 편심 코어 쉬스 구성을 가지며, 쉬스는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에틸렌 폴리머로 구성되거나 실질적으로 구성되고, 코어는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코폴리머로 구성되거나 실질적으로 구성된다.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층의 다성분 필라멘트들 또는 2성분 필라멘트들은 편심 코어 쉬스 구성을 가지며, 쉬스는 폴리올레핀 및/또는 폴리올레핀 코폴리머, 특히 폴리프로필렌 및/또는 폴리프로필렌 코폴리머로 구성되거나 실질적으로 구성되고, 코어는 폴리에스테르 및/또는 폴리에스테르 코폴리머, 특히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및/또는 PET 코폴리머로 구성되거나 실질적으로 구성된다. 일정한 쉬스 두께(d)를 갖는 전술한 편심 코어 쉬스 구성은 특히 바람직하다.
제1 층의 필라멘트들의 추가 요소 또는 제2 요소가 폴리프로필렌 및/또는 폴리프로필렌 코폴리머로 구성되거나 실질적으로 구성되는 경우,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코폴리머는 유리하게는 25 g/10분 초과, 특히 30 g/10분 초과, 바람직하게는 45 g/10분 초과, 바람직하게는 55 g/10분 초과, 특히 바람직하게는 60 g/10분 초과의 용융 유량(MFR)를 갖는다.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코폴리머의 용융 유량(MFR)은 첨가제에 의해, 특히 폴리머 첨가제, 과산화물 등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적어도 제1 층 또는 제2 층(커버 층)의 필라멘트들의 외측 표면 상의 제1 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폴리올레핀, 특히 폴리에틸렌으로 구성되거나 실질적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2 층의 필라멘트들의 제1 요소의 폴리올레핀 비율 또는 폴리에틸렌 비율은 제1 층의 필라멘트들의 제1 요소의 폴리올레핀 비율 또는 폴리에틸렌 비율보다 더 크다. 제2 층의 필라멘트들의 폴리올레핀 비율, 특히 폴리에틸렌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33 중량% 초과, 적합하게는 35 중량% 초과, 바람직하게는 38 중량% 초과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2 층의 필라멘트들의 폴리올레핀 비율, 특히 폴리에틸렌 비율이 바람직하게는 38 중량% 내지 67 중량%, 특히 40 중량% 내지 65 중량%, 바람직하게는 40 중량% 내지 6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들 중량%는 제2 층의 필라멘트들의 저융점의 제1 요소와 관련되는 것이 권장된다.
본 발명의 권장 실시예는 제2 층의 필라멘트들의 외측 표면 상의 제1 요소가 폴리에틸렌으로 구성되거나 실질적으로 폴리에틸렌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폴리에틸렌의 용융 유량(MFR)은 유리하게는 15 g/10분 초과, 특히 20 g/10분 초과, 바람직하게는 27 g/10분 초과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두 층 모두의 필라멘트들의 외측 표면 상의 제1 요소가 폴리에틸렌으로 구성되거나 실질적으로 구성되는 경우, 제2 층의 필라멘트들의 폴리에틸렌의 용융 유량은 유리하게는 제1 층의 필라멘트들의 폴리에틸렌의 용융 유량보다 더 크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2 층의 필라멘트들의 적어도 하나의 추가 요소 또는 제2 요소는 제2 층의 필라멘트들의 제1 요소의 폴리올레핀 또는 폴리에틸렌보다 높은 융점을 갖는 플라스틱으로 구성되거나 실질적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는 제2 층의 필라멘트들의 적어도 하나의 추가 요소 또는 제2 요소가 폴리프로필렌 및/또는 폴리프로필렌 코폴리머로 구성되거나 실질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원리상, 이 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폴리에스테르 및/또는 폴리에스테르 코폴리머로 또한 구성되거나 실질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 목적을 위해, 제1 층의 필라멘트들의 제2 요소에 대해 앞서 특정된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에스테르 코폴리머가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제2 층의 필라멘트들의 추가 요소 또는 제2 요소에 폴리프로필렌이 사용되는 경우, 제2 층의 제2 요소의 폴리프로필렌의 용융 유량(MFR)은 바람직하게는 25 g/10분 초과, 특히 50 g/10분 초과이다. 제2 층의 다성분 필라멘트들 또는 2성분 필라멘트들이 편심 코어 쉬스 구성 또는 병렬 구성을 갖는 것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이들 필라멘트의 편심 코어 쉬스 구성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특히 매우 권장되는 실시예는 제2 층의 다성분 필라멘트들 또는 2성분 필라멘트들이 편심 코어 쉬스 구성을 가지며, 필라멘트들의 쉬스가 필라멘트 둘레의 적어도 20 %, 특히 적어도 30 %,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40 %,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0 %, 매우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60 %, 특히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65 %에 걸쳐 일정한 두께(d) 또는 실질적으로 일정한 두께(d)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스펀본드 부직 라미네이트의 제2 층(커버 층)이 특히 라미네이트의 균질한 표면 특성을 담당한다는 발견에 기초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 제2 층의 특징들은 고도의 유연도 및 충분한 강도와 함께 폐쇄된 표면을 필요로 한다. 이 제2 층(커버 층)은 특히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스펀본드 부직 라미네이트가 제품에 사용될 때 제품의 외측 표면을 형성한다. 이 제2 층 또는 표면 층은 심미적 관점에서 모든 요건을 충족하며, 우수한 불투명도를 갖는 스펀본드 부직 라미네이트에 기여한다. 특히, 커버 층을 형성하는 제2 층은 결함 부위가 없고 무엇보다도 교란성 응집체가 없이 매우 균질한 표면 특성을 갖는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스펀본드 부직 라미네이트의 제1 층과 제2 층은 층들 또는 추가 층들의 개재없이 서로 상하 관계로 제공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층들 또는 추가 층들, 예를 들면 추가 스펀본드 부직 층들 및/또는 멜트블로운(melt-blown) 부직 층들이 제1 층과 제2 층 사이에 개재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권장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층의 평량(basis weight)은 제1 층의 평량보다 작다. 제1 층의 평량은 바람직하게는 제2 층의 평량보다 적어도 1.1 배, 특히 적어도 1.2 배,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25 배 더 크다. (전체) 스펀본드 부직 라미네이트의 평량이 40 g/m2 미만인 것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는 기계 방향(machine direction: MD)으로의 스펀본드 부직 라미네이트의 강도가 25 N/5cm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스펀본드 부직 라미네이트의 두께는 유리하게는 0.50 mm 초과, 특히 0.53 mm 초과, 바람직하게는 0.55 mm 초과, 특히 바람직하게는 0.58 mm 초과이다. 위에 주어진 강도 및 두께 값들은 특히 12 내지 50 g/m2,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0 g/m2의 평량을 갖는 스펀본드 부직 라미네이트들에 적용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스펀본드 부직 라미네이트의 적어도 2개의 층은 스펀본드 부직 층들로 제작된다. 적어도 2개의 부직 층 각각이 스펀본딩 장치 또는 스펀본딩 비임으로 제작되는 것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펀본드 부직 라미네이트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2개의 스펀본딩 장치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2 비임 시스템이 필요하다. 각각의 스펀본딩 장치가 방적 장치 또는 방적 노즐(spinneret)과 함께 방적 노즐의 하류의 쿨러 및 쿨러의 하류의 적어도 하나의 연신기(stretcher)을 갖는 것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적어도 하나의 디퓨저가 바람직하게는 연신기의 하류에 제공된다. 본 발명의 특히 매우 권장되는 실시예는 쿨러와 연신기의 어셈블리가 폐쇄된 서브어셈블리로서 설계되고, 쿨러로의 냉각 공기의 공급을 제외하고는, 이 어셈블리에 더 이상의 외부 공기 공급이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필라멘트들의 유동 방향으로 디퓨저 또는 마지막 디퓨저를 빠져나가는 연속 필라멘트들은 유리하게는 퇴적 컨베이어 상에 또는 특히 퇴적 메쉬 벨트 상에 퇴적된다. 그리고 나서 각각의 부직 층 또는 스펀본드 부직 층의 예비압밀(preconsolidation)이 바람직하게는 퇴적 컨베이어 상에서 또는 퇴적 메쉬 벨트 상에서 수행된다.
본 발명의 특히 권장되는 실시예는 스펀본드 부직 라미네이트의 2개의 층 중 적어도 하나가 열풍으로 예비압밀되며, 특히 열풍으로만 예비압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펀본드 부직 라미네이트의 적어도 2개의 층이 열풍으로 예비압밀되거나 두 층 모두가 열풍으로만 예비압밀되는 실시예가 본 발명의 범위에서 특히 유용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스펀본드 부직 라미네이트의 최종 압밀이 열풍으로 행해지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열풍으로만 행해지는 것도 또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스펀본드 부직 라미네이트는 그래서 열풍으로만 예비압밀되고 최종 압밀된 스펀본드 부직 라미네이트이다. 이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위에서 특히 중요하다.
본 발명의 입증된 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른 스펀본드 부직 라미네이트의 적어도 하나의 층, 바람직하게는 두 층 모두가 각각 150 ℃ 미만의 온도, 특히 140 ℃ 미만의 온도, 바람직하게는 135 ℃ 미만의 온도에서 예비압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스펀본드 부직 라미네이트의 적어도 하나의 층, 바람직하게는 두 층 모두가 열풍 나이프(hot air knife) 및/또는 열풍 오븐으로 예비압밀되는 것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특히 바람직하다. 하나의 실시예의 변형에 따르면, 열풍 나이프가 층의 이동 방향으로 제1 예비압밀기(preconsolidater)를 형성하고, 다음으로 열풍 오븐이 층의 이동 방향으로 하류에서 제2 예비압밀기를 형성한다. 기본적으로, 스펀본드 부직 라미네이트의 층의 예비압밀을 위해 열풍 나이프만 사용될 수도 있고 단지 열풍 오븐만 사용될 수도 있다. 제1 예비압밀기가 열풍 오븐에 의해 형성되고, 이동 방향으로 하류의 제2 예비압밀기가 열풍 나이프에 의해 형성되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스펀본드 부직 라미네이트는 유리하게는 열풍에 의해 최종 압밀되고, 바람직하게는 열풍 오븐에서 최종 압밀된다.
본 발명의 범위에서 특히 중요한 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른 스펀본드 부직 라미네이트의 제2 층(커버 층)이 스펀본딩 장치에 의해 제작되고는 퇴적 컨베이어 상에 또는 퇴적 메쉬 벨트 상에 먼저 퇴적되며, 그 후에 제1 층이 스펀본딩 장치로 제작되어서는 퇴적 컨베이어 상에 또는 퇴적 메쉬 벨트 상에 이미 퇴적된 제2 층(커버 층)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유리한 제품 또는 스펀본드 부직 라미네이트가 이와 같이 수득됨이 제시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서로 상하 관계인 복수의 스펀본드 부직 층 - 스펀본드 부직 층들 중 적어도 2개는 권축된 연속 필라멘트들을 갖거나 권축된 연속 필라멘트들로 구성되거나 실질적으로 구성됨 - 을 갖는 스펀본드 부직 라미네이트를 제작하는 방법을 또한 교시하며,
권축된 다성분 필라멘트들 또는 2성분 필라멘트들을 갖는 제1 스펀본드 부직 층이 제작되고, 제1 층의 필라멘트들의 외측 표면 상의 적어도 하나의 제1 요소가 적어도 하나의 폴리올레핀, 특히 폴리에틸렌으로 구성되거나 실질적으로 구성되는 한편, 제1 층의 필라멘트들의 적어도 하나의 추가 요소 또는 제2 요소가 제1 층의 필라멘트들의 제1 요소의 폴리올레핀 또는 폴리에틸렌보다 높은 융점을 갖는 플라스틱으로 구성되거나 실질적으로 구성되며,
제1 층은 예비압밀되고, 바람직하게는 열풍으로 예비압밀되며, 특히 열풍으로만 예비압밀되고,
제2 최외측 스펀본드 부직 층이 커버 층으로서 다성분 필라멘트들 또는 2성분 필라멘트들, 특히 권축된 다성분 필라멘트들 또는 2성분 필라멘트들로 제작되며, 특히 제2 층의 필라멘트들의 외측 표면 상의 적어도 하나의 폴리올레핀으로 제작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요소가 폴리에틸렌으로 구성되거나 실질적으로 구성되는 한편, 제2 층의 필라멘트들의 적어도 하나의 추가 요소 또는 제2 요소가 제2 층의 필라멘트들의 제1 요소의 폴리올레핀 또는 폴리에틸렌보다 높은 융점을 갖는 플라스틱으로 구성되거나 실질적으로 구성되며,
제2 스펀본드 부직 층은 예비압밀되고, 바람직하게는 열풍으로 예비압밀되며, 특히 열풍으로만 예비압밀되고,
제2 층의 필라멘트들의 제1 요소의 폴리올레핀 비율 또는 폴리에틸렌 비율은 제1 층의 필라멘트들의 제1 요소의 폴리올레핀 비율 또는 폴리에틸렌 비율보다 더 크며,
스펀본드 부직 라미네이트는 최종 압밀되고, 바람직하게는 열풍으로 최종 압밀되며, 특히 열풍으로만 최종 압밀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특히 권장되는 실시예는 제2 최외측 스펀본드 부직 층이 먼저 컨베이어 상에 제작되거나 퇴적되고, 그 다음에 예비압밀되며, 바람직하게는 열풍으로 예비압밀되고, 특히 열풍으로만 예비압밀되며,
그 다음에 제1 층이 생성되어 이미 퇴적된 제2 층 상에 퇴적되고, 그 다음에 제2 층 또는 제1 및 제2 층의 응집체가 예비압밀되며, 바람직하게는 열풍으로 예비압밀되고, 특히 열풍으로만 예비압밀되며,
스펀본드 부직 라미네이트가 최종 압밀되고, 바람직하게는 열풍으로 최종 압밀되며, 특히 열풍으로만 최종 압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실시예만을 도시한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본 발명이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펀본드 부직 라미네이트의 층을 제작하는 장치를 통한 수직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펀본드 부직 라미네이트의 2개의 층을 제작하는 2개의 스펀본딩 장치를 갖는 2 비임 시스템을 통한 수직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펀본드 부직 라미네이트를 통한 단면도이다.
도 4는 편심 코어 쉬스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라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연속 필라멘트를 통한 단면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스펀본드 부직 라미네이트(1)를 위한 스펀본드 부직 층(2 또는 3)을 제작하는 스펀본딩 장치를 도시한다. 상기 장치로 제작된 이러한 스펀본드 부직 층(2 또는 3)은 권축된 연속 필라멘트들(F)을 갖거나, 또는 권축된 연속 필라멘트들(F)로 구성되거나 권축된 연속 필라멘트들(F)로 실질적으로 구성된다. 연속 필라멘트들(F)이 열가소성인 것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도 1에 도시된 장치는 연속 필라멘트들(F)을 방적하기 위한 방적 노즐(spinneret)(10)를 포함하며, 방적된 연속 필라멘트들(F)은 유리하게는 냉각을 위해 냉각 챔버(12)를 갖는 쿨러(11) 내로 도입된다. 바람직하게는 그리고 여기서는, 급기 매니폴드(air supply manifolds)(13 및 14)가 냉각 챔버(12)의 두 대향 측면에서 서로 상하 관계로 배치되어 있다. 상이한 온도의 공기가 유리하게는 서로 상하 관계의 이들 급기 매니폴드(13 및 14)로부터 냉각 챔버 내로 도입된다. 권장되는 바와 같이 그리고 여기서는, 방적 노즐(10)과 쿨러(11) 사이에 모노머 추출기(monomer extractor)(15)가 구비된다. 이 모노머 추출기(15)에 의해, 방적 프로세스 중에 발생하는 교란성 가스들(disruptive gas)이 장치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이들 가스는 예를 들면, 모노머, 올리고머, 또는 분해 생성물 등의 물질일 수 있다.
쿨러(11) 다음으로 바람직하게는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필라멘트 유동 방향으로, 연속 필라멘트들(F)을 연신하기 위한 연신기(16)가 이어진다. 바람직하게는 그리고 여기서, 연신기(16)는 쿨러(11)를 연신기(16)의 연신 샤프트(18)에 연결하는 중간 통로(17)를 갖는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그리고 여기서는, 쿨러(11)와 연신기(16)의 어셈블리 또는 쿨러(11), 중간 통로(17), 및 연신 샤프트(18)의 어셈블리는 폐쇄된 서브어셈블리로서 설계되며, 쿨러(11) 내의 냉각 공기의 공급을 제외하고는, 이 집합체에 외부로부터의 더 이상의 공기 공급은 없다.
연신기(16)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는 필라멘트 유동 방향으로, 연속 필라멘트들(F)이 통과하는 디퓨저(19)가 이어진다. 디퓨저(19)를 통과한 후, 연속 필라멘트들(F)은 바람직하게는 그리고 여기서는, 퇴적 메쉬 벨트(deposit mesh belt)(20)로서 설계된 컨베이어 상에 퇴적된다. 퇴적 메쉬 벨트(20)는 바람직하게는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무한 회전(endlessly rotating) 퇴적 메쉬 벨트(20)로서 설계된다. 이 퇴적 메쉬 벨트(20)는, 유리하게는 프로세스 공기가 퇴적 메쉬 벨트(20)를 통해 아래로부터 흡입될 수 있도록 통기성이다.
바람직하게는 그리고 여기서, 디퓨저(19)는 2개의 하부 발산형 디퓨저 벽(21 및 22)을 갖는다. 이들 발산형 디퓨저 벽(21 및 22)은 유리하게는 상기 장치 또는 디퓨저(19)의 중심 평면(M)에 대해 비대칭이다. 권장되는 바와 같이 그리고 여기서, 입구 측의 디퓨저 벽(21)은 출구 측의 디퓨저 벽(22)보다 중심 평면(M)에 대해 더 작은 각도(ß)를 형성한다. 입구 측의 디퓨저 벽(21)이 중심 평면(M)과 이루는 각도(ß)는 출구 측의 디퓨저 벽(22)이 중심 평면(M)과 이루는 각도(ß)보다 적어도 1 ° 더 작은 것이 권장된다.
2개의 대향하는 2차 공기 입구 갭(24 및 25)이 디퓨저(19)의 유입단(inflow end)(23)에 구비되며, 이들 각각은 부분적으로 2개의 대향하는 디퓨저 벽 각각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퇴적 메쉬 벨트(20)의 이동 방향에 대해 출구 측의 2차 공기 입구 갭(25)을 통해서 보다 입구 측의 2차 공기 입구 갭(24)을 통해서 더 적은 2차 공기량 유동(secondary air volume flow)이 도입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입구 측의 2차 공기 입구 갭(24)의 2차 공기량 유동은 출구 측의 2차 공기 입구 갭(25)을 통한 2차 공기량 유동보다 적어도 5 %,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0 %, 특히 적어도 15 % 더 낮은 것이 권장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펀본드 부직 라미네이트(1)를 형성하기 위해 2개의 스펀본드 부직 층(2 및 3)을 제작하기 위한 도 1에 대응하는 2개의 스펀본딩 장치를 갖는 2 비임 시스템을 도시한다. 단순화를 위해, 스펀본딩 장치의 장치 구성요소들은 도 2에 전체가 도시되지는 않았으며, 대신에 개개의 디퓨저(19)의 하부 영역만 도시되어 있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그리고 여기서, 연속 필라멘트들(F)은 먼저 2 비임 시스템의 상류 스펀본딩 장치에 의해 방적되고는 퇴적되어 제2 스펀본드 부직 층(3)(커버 층)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제1 스펀본드 부직 층(2)을 위한 연속 필라멘트들(F)이 도 2의 우측의 퇴적 메쉬 벨트(20)의 이동 방향의 하류의 스펀본딩 장치에 의해 방적되고는, 퇴적 메쉬 벨트(20) 상에 또는 제2 스펀본드 부직 층(3) 상에 퇴적된다. 스펀본드 부직 층들(2, 3)의 이러한 제작 순서가 본 발명의 범위에서 특히 권장된다.
각 스펀본딩 장치의 연속 필라멘트들(F)에 대한 퇴적 영역(26)의 아래에서, 프로세스 공기가 흡입 속도 vH로 메인 흡입 영역(27)에서 퇴적 메쉬 벨트(20)를 통해 추출된다. 도 2의 좌측에 도시된 제1 스펀본딩 장치로 제작된 부직 층(3), 바람직하게는 그리고 여기서 제2 층(3)이 퇴적 메쉬 벨트(20)에 의해 열풍 예비압밀기(hot-air preconsolidater)에 공급되는 것이 권장된다. 바람직하게는 그리고 여기서, 이 제2 층(3)은 먼저 열풍 나이프(hot-air knife)(31)로 예비압밀되며, 그리고 나서 바람직하게는 기계 방향(MD)으로 하류에 연결된 열풍 오븐(32)으로 추가로 압밀된다. 권장되는 실시예에서 그리고 여기서, 특히 흡입 속도 v2를 갖는 열풍 나이프(31)의 경우에 그리고 흡입 속도 v3를 갖는 열풍 오븐의 경우에, 열풍 나이프(31) 및 열풍 오븐(32) 양자 모두의 아래에서 퇴적 메쉬 벨트(20)에 의해 프로세스 공기가 추출된다. 흡입 속도의 경우에, 메인 흡입 영역(27)에서의 흡입 속도 vH가 가장 크고, 열풍 나이프(31) 아래의 흡입 속도 v2가 두 번째로 크며, 열풍 오븐(32) 아래의 흡입 속도 v3가 세 번째로 큰 것이 바람직하다. 흡입 속도(v)는 그래서 필라멘트들(F)의 퇴적 영역(26)으로부터 열풍 오븐(32) 쪽으로 감소한다. 열풍 나이프(31)(도 2의 좌측)는 80 ℃ 내지 250 ℃의 열풍 온도에서, 바람직하게는 120 ℃ 내지 190 ℃에서 제2 층(3)을 바람직하게 예비압밀한다. 하류의 열풍 오븐(32)에서의 열풍 예비압밀은 110 ℃ 내지 180 ℃, 바람직하게는 120 ℃ 내지 160 ℃의 열풍 온도에서 유리하게 수행된다. 열풍 나이프(31)(도 2의 좌측)는 본 실시예에서, 하류의 열풍 오븐(32)의 열풍보다 더 고속으로 열풍이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풍 나이프(31)에 공급되는 열풍의 속도는 바람직하게는 열풍 오븐(32)의 열풍 속도보다 적어도 1.5 배, 바람직하게는 1.8 배 더 큰 속도를 갖는다. 또한, 권장되는 바와 같이 그리고 여기서는, 열풍이 가해지는 기계 방향(MD)의 폭은 첫 번째(도 2의 좌측) 열풍 오븐(32)에서보다 첫 번째(도 2의 좌측) 열풍 나이프(31)에서 더 좁다. 열풍 오븐(32)에서의 기계 방향(MD)으로의 열풍 노출의 폭은 열풍 나이프(31)에서보다 적어도 1.5 배 더 크다.
스펀본드 부직 라미네이트(1)를 위한 제2 스펀본드 부직 층(2, 3), 바람직하게는 그리고 여기서는, 제1 층(2)은 도 2에 도시된 우측의 제2 스펀본딩 장치로 제작된다. 이 제1 층(2)은 본 실시예에서, 퇴적 메쉬 벨트(20)에 의해 이미 운반된 제2 스펀본드 부직 층(3) 상에 퇴적되는 것이 권장된다. 이어서, 여기서는 2개의 층(2, 3)의 응집체가 예비압밀되는 것, 특히 권장되는 바와 같이 그리고 여기서는, 열풍으로 예비압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목적을 위해, 열풍 나이프(31)가 먼저 기계 방향(MD)으로 제2 스펀본딩 장치의 하류에 있으며, 열풍 오븐(32)이 이어서 열풍 나이프(31)의 하류에 있다. 제2 스펀본딩 장치의 경우 그리고 제2 스펀본딩 장치의 전술한 열풍 예비압밀기에서, 제1 스펀본딩 장치에 대해 설명된 흡입 작동이 유리하게는 해당 흡입 속도로 수행된다. 열풍 예비압밀기에 대해 위에서 언급된 파라미터들, 특히 온도 및 폭 파라미터는 제2 스펀본딩 장치 후의 열풍 나이프(31) 및 열풍 오븐(32)에도 또한 적용된다. 도 2의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스펀본드 부직 라미네이트(1)의 두 층(2, 3) 모두는 열풍으로만 예비압밀된다.
2개의 층(2 및 3)의 예비압밀된 응집체가 그 다음에 최종 압밀되고, 바람직하게는 열풍에 의해 최종 압밀되는 것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이 목적을 위해, 유리하게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열풍 오븐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펀본드 부직 라미네이트(1)의 층들 또는 2개의 층(2, 3)은 모두 열풍으로 예비압밀되거나 열풍으로만 예비압밀되고, 또한 열풍으로 최종 압밀되거나 열풍으로만 최종 압밀된다.
도 3은 2개의 층(2 및 3)을 갖는 본 발명의 스펀본드 부직 라미네이트(1)를 통한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펀본드 부직 라미네이트(1)의 층들(2, 3)에 특히 매우 바람직한, 편심 코어 쉬스 구성을 갖는 2성분 필라멘트들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펀본드 부직 라미네이트(1)의 2개의 층(2, 3) 모두는 편심 코어 쉬스 구성을 갖는 이러한 2성분 필라멘트들로 구성된다. 도 4는 바람직한 특별한 코어 쉬스 구성을 갖는 연속 필라멘트(F)를 통한 단면도를 도시한다. 이들 연속 필라멘트(F)에 대해, 쉬스(37)는 바람직하게는 필라멘트의 단면에서 일정한 두께(d)를 가지며, 여기서는 필라멘트 둘레의 50 % 초과, 바람직하게는 55 % 초과에 걸쳐 있다. 바람직하게는 그리고 여기서는, 필라멘트(F)의 코어(4)는 필라멘트(F)의 필라멘트 단면적의 65 % 초과를 차지한다. 권장되는 바와 같이 그리고 여기서는, 필라멘트의 단면에서 봤을 때 코어(4)는 원의 세그먼트 형상으로 설계된다. 유리하게는 그리고 여기서, 이 코어(4)는 그 둘레에 대해 아치형 둘레부(5) 및 할선(secantal)형 둘레부(6)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그리고 여기서는, 코어(4)의 아치형 둘레부는 코어(4)의 둘레의 50 % 초과, 바람직하게는 55 % 초과를 차지한다. 유리하게는 그리고 여기서, 필라멘트의 단면에서 봤을 때 필라멘트(F)의 쉬스(37)는 일정한 두께(d)를 갖는 쉬스 영역 외부의 원의 세그먼트 형상으로 형성된다. 쉬스(37)의 이 원형 세그먼트(7)는, 권장되는 바와 같이 그리고 여기서는, 그 둘레에 대해 아치형 둘레부(8) 및 직선형 둘레부(9)를 갖는다. 그 일정한 두께의 영역에서의 쉬스(37)의 두께(d) 또는 평균 두께(d)는 바람직하게는 필라멘트 직경(D)의 0.5 % 내지 8 %, 특히 2 % 내지 10 %이다. 쉬스의 두께(d) 또는 평균 두께(d)는 바람직하게는 0.1 ㎛ 내지 3 ㎛이다. 도 4는 또한 연속 필라멘트(F)의 쉬스(3)의 도심(centroid)으로부터 코어(4)의 무게 중심까지의 거리(a)를 도시한다. 코어(4)의 도심과 쉬스(3)의 도심 사이의 거리(a)는 바람직하게는 여기서 필라멘트(F)에 대한 필라멘트 직경(D) 또는 최대 필라멘트 직경(D)의 5 % 내지 40 %이다.

Claims (26)

  1. 서로 상하 관계인 복수의 스펀본드 부직 층(spunbond nonwoven layers)(2, 3)을 갖는 스펀본드 부직 라미네이트(1)로서,
    상기 스펀본드 부직 층들(2, 3) 중 적어도 2개는 권축된 연속 필라멘트들(crimped continuous filaments)(F)을 갖거나 권축된 연속 필라멘트들(F)로 구성되거나 실질적으로 구성되고,
    권축된 다성분 필라멘트들 또는 2성분(bicomponent) 필라멘트들을 갖는 제1 스펀본드 부직 층(2)은,
    적어도 하나의 폴리올레핀, 특히 폴리에틸렌으로 구성되거나 실질적으로 구성된, 상기 제1 층(2)의 필라멘트들(F)의 외측 표면 상의 적어도 하나의 제1 요소;
    상기 제1 층(2)의 필라멘트들(F)의 상기 제1 요소의 폴리올레핀 또는 폴리에틸렌보다 높은 융점을 갖는 플라스틱으로 구성되거나 실질적으로 구성된, 상기 제1 층(2)의 필라멘트들(F)의 적어도 하나의 추가 요소 또는 제2 요소
    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스펀본드 부직 라미네이트(1)는, 다성분 필라멘트들 또는 2성분 필라멘트들을 갖춘 제2 최외측 스펀본드 부직 층(3)을, 커버 층으로서, 가지며,
    상기 제2 최외측 스펀본드 부직 층(3)은,
    적어도 하나의 폴리올레핀, 특히 폴리에틸렌으로 구성되거나 실질적으로 구성된, 특히 제2 층(3)의 필라멘트들(F)의 외측 표면 상의 적어도 하나의 제1 요소;
    상기 제2 층(3)의 필라멘트들(F)의 상기 제1 요소의 폴리올레핀 또는 폴리에틸렌보다 높은 융점을 갖는 플라스틱으로 구성되거나 실질적으로 구성된, 상기 제2 층(3)의 필라멘트들(F)의 적어도 하나의 추가 요소 또는 제2 요소
    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제2 층(3)의 필라멘트들(F)의 상기 제1 요소의 폴리올레핀 비율 또는 폴리에틸렌 비율은 상기 제1 층(2)의 필라멘트들(F)의 상기 제1 요소의 폴리올레핀 비율 또는 폴리에틸렌 비율보다 더 큰 것인, 스펀본드 부직 라미네이트.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최외측 층(3)의 필라멘트들(F)의 역가(titer)는 상기 제1 층(2)의 필라멘트들(F)의 역가보다 작은 것인, 스펀본드 부직 라미네이트.
  3.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층(2)의 필라멘트들(F)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가 요소 또는 제2 요소는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스테르로 구성되거나 실질적으로 구성되는 것인, 스펀본드 부직 라미네이트.
  4. 제1 항 또는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층(2)의 필라멘트들(F)의 상기 폴리올레핀 비율 또는 상기 폴리에틸렌 비율은 40 중량% 미만, 특히 38 중량% 미만, 바람직하게는 35 중량% 미만인 것인, 스펀본드 부직 라미네이트.
  5. 제1 항 내지 제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층(2)의 필라멘트들(F)은 1.5 den 초과, 바람직하게는 1.6 den 초과, 매우 바람직하게는 1.7 den 초과의 역가를 가지며, 권장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 층(2)의 필라멘트들(F)은 1.5 den 내지 2.5 den, 특히 1.6 den 내지 2.4 den, 바람직하게는 1.7 den 내지 2.3 den, 매우 바람직하게는 1.8 den 내지 2.2 den, 특히 바람직하게는 2.0 den 내지 2.2 den의 역가를 갖는 것인, 스펀본드 부직 라미네이트.
  6. 제1 항 내지 제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층(2)의 다성분 필라멘트들 또는 2성분 필라멘트들은 편심 코어 쉬스(eccentric core-sheath) 구성을 갖는 것인, 스펀본드 부직 라미네이트.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편심 코어 쉬스 구성을 갖는 상기 제1 층(2)의 필라멘트들(F)의 쉬스는 필라멘트 둘레의 적어도 20 %, 특히 적어도 30 %,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40 %, 매우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0 %에 걸쳐 일정한 두께(d) 또는 실질적으로 일정한 두께(d)를 갖는 것인, 스펀본드 부직 라미네이트.
  8. 제1 항 내지 제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층(2)의 필라멘트들(F)의 상기 제1 요소의 폴리올레핀은 폴리에틸렌이며, 이 폴리에틸렌의 용융 유량(melt flow rate: MFR)은 35 g/10분 미만, 특히 30 g/10분 미만, 바람직하게는 25 g/10분 미만, 매우 바람직하게는 20 g/10분 미만인 것인, 스펀본드 부직 라미네이트.
  9. 제1 항 내지 제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층(2)의 필라멘트들(F)의 상기 추가 요소 또는 제2 요소는 폴리프로필렌으로 구성되거나 실질적으로 구성되고, 상기 폴리프로필렌은 25 g/10분 초과, 특히 35 g/10분 초과, 바람직하게는 45 g/10분 초과, 매우 바람직하게는 55 g/10분 초과, 특히 바람직하게는 65 g/10분 초과의 용융 유량(MFR)을 갖는 것인, 스펀본드 부직 라미네이트.
  10. 제1 항 내지 제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펀본드 부직 층(3)의 다성분 필라멘트들 또는 2성분 필라멘트들은 권축된 필라멘트들(F)인 것인, 스펀본드 부직 라미네이트.
  11. 제1 항 내지 제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층(3)의 필라멘트들(F)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가 요소 또는 제2 요소는 폴리프로필렌으로 구성되거나 실질적으로 구성되는 것인, 스펀본드 부직 라미네이트.
  12. 제1 항 내지 제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층(3)의 필라멘트들의 상기 폴리올레핀 비율, 특히 폴리에틸렌 비율은 33 중량% 초과, 바람직하게는 35 중량% 초과, 매우 바람직하게는 38 중량%를 초과하며, 상기 폴리올레핀 비율, 특히 상기 폴리에틸렌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40 중량% 내지 65 중량%, 매우 바람직하게는 40 중량% 내지 60 중량%인 것인, 스펀본드 부직 라미네이트.
  13. 제1 항 내지 제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층(3)의 필라멘트들(F)은 1.7 den 미만, 특히 1.6 den 미만의 역가, 그리고 권장 실시예에 따라, 0.8 den 내지 1.6 den, 특히 0.9 den 내지 1.5 den, 바람직하게는 1.0 den 내지 1.3 den의 역가를 갖는 것인, 스펀본드 부직 라미네이트.
  14. 제1 항 내지 제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층(3)의 다성분 필라멘트들 또는 2성분 필라멘트들은 편심 코어 쉬스 구성 또는 병렬 구성(side-by-side configuration)을 갖는 것인, 스펀본드 부직 라미네이트.
  15. 제1 항 내지 제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층(3)의 다성분 필라멘트들 또는 2성분 필라멘트들은 편심 코어 쉬스 구성을 가지며, 상기 필라멘트들(F)의 쉬스는 바람직하게는 필라멘트 둘레의 적어도 20 %, 특히 적어도 30 %, 적어도 40 %,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0 %에 걸쳐 일정한 두께(d) 또는 실질적으로 일정한 두께(d)를 갖는 것인, 스펀본드 부직 라미네이트.
  16. 제1 항 내지 제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층(3)의 필라멘트들(F)의 상기 외측 표면 상의 상기 제1 요소는 폴리에틸렌으로 구성되거나 실질적으로 폴리에틸렌으로 구성되며, 이 폴리에틸렌의 용융 유량(MFR)은 15 g/10분 초과, 특히 20 g/10분 초과, 바람직하게는 27 g/10분 초과인 것인, 스펀본드 부직 라미네이트.
  17. 제11 항 내지 제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층(3)의 상기 제2 요소의 상기 폴리프로필렌의 용융 유량(MFR)은 25 g/10분 초과, 특히 60 g/10분 초과인 것인, 스펀본드 부직 라미네이트.
  18. 제1 항 내지 제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층(3)의 필라멘트들(F)의 권축도(degree of crimp)는 상기 제1 층(2)의 필라멘트들(F)의 권축도 이하인 것인, 스펀본드 부직 라미네이트.
  19. 제1 항 내지 제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층(3)의 단위 면적당 중량은 상기 제1 층(2)의 단위 면적당 중량보다 작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층(2)의 단위 면적당 중량은 상기 제2 층(3)의 평량(basis weight)보다 적어도 1.2 배, 특히 적어도 1.3 배,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4 배 더 큰 것인, 스펀본드 부직 라미네이트.
  20. 제1 항 내지 제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펀본드 부직 라미네이트(1)의 평량은 30 g/m2 미만인 것인, 스펀본드 부직 라미네이트.
  21. 제1 항 내지 제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계 방향(machine direction: MD)으로의 상기 스펀본드 부직 라미네이트(1)의 강도는 25 N/5cm보다 크며, 상기 스펀본드 부직 라미네이트(1)는 특히 12 내지 50 g/m2,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0 g/m2의 평량을 갖는 것인, 스펀본드 부직 라미네이트.
  22. 제1 항 내지 제2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펀본드 부직 라미네이트(1)의 두께는 0.50 mm 초과, 특히 0.53 mm 초과, 바람직하게는 0.55 mm 초과이며, 상기 스펀본드 부직 라미네이트(1)는 특히 12 내지 50 g/m2,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0 g/m2의 평량을 갖는 것인, 스펀본드 부직 라미네이트.
  23. 제1 항 내지 제2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층(2)의 필라멘트들(F)의 역가와 상기 제2 층(3)의 필라멘트들(F)의 역가 사이의 차는 적어도 0.2 den,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0.3 den, 최대 권장치 1.1 den, 바람직하게는 최대 1.0 den인 것인, 스펀본드 부직 라미네이트.
  24. 특히 제1 항 내지 제23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서로 상하 관계인 복수의 스펀본드 부직 층(2, 3)을 갖는 스펀본드 부직 라미네이트(1)를 제작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스펀본드 부직 층들 중 적어도 2개는 권축된 연속 필라멘트들을 갖거나 권축된 연속 필라멘트들로 구성되거나 실질적으로 구성되고,
    권축된 다성분 필라멘트들 또는 2성분 필라멘트들을 갖는 제1 스펀본드 부직 층(2)은,
    적어도 하나의 폴리올레핀, 특히 폴리에틸렌으로 구성되거나 실질적으로 구성된, 상기 제1 층(2)의 필라멘트들(F)의 외측 표면 상의 적어도 하나의 제1 요소, 및
    상기 제1 층(2)의 필라멘트들(F)의 상기 제1 요소의 폴리올레핀 또는 폴리에틸렌보다 높은 융점을 갖는 플라스틱으로 구성되거나 실질적으로 구성된, 상기 제1 층(2)의 필라멘트들(F)의 적어도 하나의 추가 요소 또는 제2 요소
    로 제작되며,
    상기 제1 층은 예비압밀되고(preconsolidated), 바람직하게는 열풍으로 예비압밀되며, 특히 열풍으로만 예비압밀되고,
    다성분 필라멘트들 또는 2성분 필라멘트들을 갖는 제2 최외측 스펀본드 부직 층(3)은,
    적어도 하나의 폴리올레핀, 특히 폴리에틸렌으로 구성되거나 실질적으로 구성된, 상기 제2 층(3)의 필라멘트들(F)의 외측 표면 상의 적어도 하나의 제1 요소, 및
    상기 제2 층(3)의 필라멘트들(F)의 상기 제1 요소의 폴리올레핀 또는 폴리에틸렌보다 높은 융점을 갖는 플라스틱으로 구성되거나 실질적으로 구성된, 상기 제2 층(3)의 필라멘트들(F)의 적어도 하나의 추가 요소 또는 제2 요소
    로, 커버 층으로서, 제작되며,
    상기 제2 스펀본드 부직 층(3)은 예비압밀되고, 바람직하게는 열풍으로 예비압밀되며, 특히 열풍으로만 예비압밀되고,
    상기 제2 층(3)의 필라멘트들(F)의 상기 제1 요소의 폴리올레핀 비율 또는 폴리에틸렌 비율은 상기 제1 층(2)의 필라멘트들(F)의 상기 제1 요소의 폴리올레핀 비율 또는 폴리에틸렌 비율보다 더 크며,
    상기 스펀본드 부직 라미네이트(1)는 최종 압밀되고, 바람직하게는 열풍으로 최종 압밀되며, 특히 열풍으로만 최종 압밀되는 것인, 방법.
  25. 제24 항에 있어서,
    먼저 상기 제2 스펀본드 부직 층(3)이 커버 층으로서 제작되어 예비압밀된 후, 상기 제1 스펀본드 부직 층(2)이 제작되거나 상기 제2 스펀본드 부직 층(3) 상에 제작되고 그 다음에 예비압밀되는 것인, 방법.
  26. 제24 항 또는 제2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펀본드 부직 층(3)에는 권축된 다성분 필라멘트들 또는 2성분 필라멘트들이 사용되는 것인, 방법.
KR1020200094620A 2019-07-30 2020-07-29 스펀본드 라미네이트 및 그 제조 방법 KR2021001459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9189238.9 2019-07-30
EP19189238.9A EP3771556B1 (de) 2019-07-30 2019-07-30 Spinnvlieslaminat und verfahren zur erzeugung eines spinnvlieslaminat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4599A true KR20210014599A (ko) 2021-02-09

Family

ID=67513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4620A KR20210014599A (ko) 2019-07-30 2020-07-29 스펀본드 라미네이트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3) US11318712B2 (ko)
EP (1) EP3771556B1 (ko)
JP (1) JP2021025189A (ko)
KR (1) KR20210014599A (ko)
CN (1) CN112301551A (ko)
AR (1) AR119525A1 (ko)
BR (1) BR102020014416B8 (ko)
DK (1) DK3771556T3 (ko)
ES (1) ES2901498T3 (ko)
IL (1) IL276273B (ko)
MX (1) MX2020008054A (ko)
MY (1) MY197414A (ko)
PL (1) PL3771556T3 (ko)
ZA (1) ZA20200471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2115200A1 (de) * 2022-06-17 2023-12-28 Reifenhäuser GmbH & Co. KG Maschinenfabrik Vliesstoff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s Vliesstoffes
DE102022115205A1 (de) * 2022-06-17 2023-12-28 Reifenhäuser GmbH & Co. KG Maschinenfabrik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s Vliesstoffes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54989B1 (en) * 1998-11-12 2002-09-2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Process of making a crimped multicomponent fiber web
EP1369518B1 (en) * 2001-01-29 2012-08-29 Mitsui Chemicals, Inc. Non-woven fabrics of wind-shrink fiber and laminates thereof
JP4315663B2 (ja) * 2002-10-17 2009-08-19 ユニチカ株式会社 芯鞘状複合長繊維よりなる不織布の製造方法
US7425517B2 (en) * 2003-07-25 2008-09-1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Nonwoven fabric with abrasion resistance and reduced surface fuzziness
US20060141886A1 (en) * 2004-12-29 2006-06-29 Brock Thomas W Spunbond-meltblown-spunbond laminates made from biconstituent meltblown materials
MY165729A (en) * 2011-05-11 2018-04-20 Mitsui Chemicals Inc Crimped Conjugated Fiber and Non-Woven Fabric Comprising the Fiber
WO2014022988A1 (en) * 2012-08-08 2014-02-13 Daiwabo Holdings Co., Ltd. Nonwoven, sheet for absorbent article from the same, and absorbent article using the same
ES2676305T5 (es) * 2015-02-04 2023-03-16 Reifenhaeuser Masch Procedimiento para la fabricación de un laminado y laminado
EP3246444B1 (en) * 2016-05-18 2020-04-08 Fibertex Personal Care A/S Method for making a high loft nonwoven web
RU2731772C2 (ru) * 2016-05-18 2020-09-08 Файбертекс Персонал Кэа А/С Нетканая ламинатная ткань, содержащая аэродинамически распыленный из расплава слой и слои спанбонд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02020014416A2 (pt) 2021-02-09
US11833802B2 (en) 2023-12-05
US11318712B2 (en) 2022-05-03
IL276273A (en) 2021-01-31
JP2021025189A (ja) 2021-02-22
RU2020124804A (ru) 2022-01-27
IL276273B (en) 2022-04-01
EP3771556B1 (de) 2021-09-29
PL3771556T3 (pl) 2022-02-21
US20220194050A1 (en) 2022-06-23
BR102020014416B1 (pt) 2023-08-22
ES2901498T3 (es) 2022-03-22
US20240051259A1 (en) 2024-02-15
AR119525A1 (es) 2021-12-22
US20210031487A1 (en) 2021-02-04
BR102020014416B8 (pt) 2023-10-03
EP3771556A1 (de) 2021-02-03
MY197414A (en) 2023-06-16
MX2020008054A (es) 2021-02-01
CN112301551A (zh) 2021-02-02
ZA202004716B (en) 2021-08-25
DK3771556T3 (da) 2021-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40051259A1 (en) Spunbond laminate and method of making same
JP2020124924A (ja) 積層体の製造方法および積層体
US20220251747A1 (en) Spunbond nonwoven of continuous filaments and method of making sam3e
KR102612807B1 (ko) 권축 필라멘트로부터 부직포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20230357972A1 (en) Self-Crimped Multi-Component Fiber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2022023432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a nonwoven fabric
US11821121B2 (en) Biopolymer-containing nonwoven fabric
RU2794313C2 (ru) Слоистый материал из фильерного нетканого материала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слоистого материала из фильерного нетканого материала
RU2810682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нетканого материала
KR102518198B1 (ko) 섬유로부터 부직포를 제조하는 장치 및 방법
RU2784502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нетканого материала из извитых волокон
JPWO2021018526A5 (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