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4435A - 차량용 풋 스위치 모듈 - Google Patents

차량용 풋 스위치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4435A
KR20210014435A KR1020190092510A KR20190092510A KR20210014435A KR 20210014435 A KR20210014435 A KR 20210014435A KR 1020190092510 A KR1020190092510 A KR 1020190092510A KR 20190092510 A KR20190092510 A KR 20190092510A KR 20210014435 A KR20210014435 A KR 202100144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foot
radio
air conditioning
condition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25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925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14435A/ko
Publication of KR202100144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44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5Electro-mechanical devices, e.g. switch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01H13/16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adapted for operation by a part of the human body other than the hand, e.g. by foo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26C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풋 스위치 모듈에 관한 것으로, 탑승자의 발로 조작 가능하게 차량의 풋레스트(footrest) 영역의 일측에 마련되며, 공조유닛의 온/오프(ON/OFF)를 제어하는 제1스위치; 상기 탑승자의 발로 조작 가능하게 상기 풋레스트 영역의 다른 일측에 마련되며, 라디오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제2스위치; 상기 풋레스트 영역에 마련되며, 상기 탑승자의 발 모션을 감지하는 모션감지센서; 및 상기 모션감지센서에서 감지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공조유닛 및 상기 라디오 중 어느 하나의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에 의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제고시킬 수 있으며, 주행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풋 스위치 모듈{FOOT SWITCH MODULE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풋 스위치 모듈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편의를 제고시킬 수 있으며, 주행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풋 스위치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대시보드에는 공조유닛(예를 들어, 에어컨), 라디오, 및 볼륨 등의 제어를 위한 각종 스위치가 마련된다.
그런데, 기존에는 차량의 주행중에 공조유닛 및 라디오 등을 조작하기 위해서, 운전자가 시선을 전방에서 대시보드 측으로 돌려 스위치의 위치를 육안으로 확인한 후 손을 뻗어 스위치를 조작해야 했으므로, 차량의 주행 안정성이 저하되고 안전운행에 지장을 주어 사고의 요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운전이 서투른 초보 운전자의 경우 주행중 대시보드에 마련된 각종 스위치를 조작하기 어렵고 오조작에 따른 사고 위험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주행중 각종 스위치 조작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아직 미흡하여 이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편의를 제고시킬 수 있으며, 주행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풋 스위치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은 운전자가 발을 이용하여 공조유닛 및 라디오 등에 관련된 기능을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주행중 시선을 전방에 유지하면서 공조유닛 및 라디오의 기능을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용 풋 스위치 모듈은, 탑승자의 발로 조작 가능하게 차량의 풋레스트(footrest) 영역의 일측에 마련되며, 공조유닛의 온/오프(ON/OFF)를 제어하는 제1스위치; 상기 탑승자의 발로 조작 가능하게 상기 풋레스트 영역의 다른 일측에 마련되며, 라디오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제2스위치; 상기 풋레스트 영역에 마련되며, 상기 탑승자의 발 모션을 감지하는 모션감지센서; 및 상기 모션감지센서에서 감지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공조유닛 및 상기 라디오 중 어느 하나의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는, 사용자의 편의를 제고시키고, 주행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즉, 기존에는 차량의 주행중에 공조유닛 및 라디오 등을 조작하기 위해서, 운전자가 시선을 전방에서 대시보드 측으로 돌려 스위치의 위치를 육안으로 확인한 후 손을 뻗어 스위치를 조작해야 했으므로, 차량의 주행 안정성이 저하되고 안전운행에 지장을 주어 사고의 요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주행중 운전자가 발을 이용하여 공조유닛 및 라디오 등에 관련된 기능을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공조유닛 및 라디오의 기능 조작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더욱이, 주행중 시선을 전방에 유지하면서 공조유닛 및 라디오의 기능을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주행 안정성을 향상을 높이고 사고 위험성을 낮추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1스위치 및 제2스위치에 의한 공조유닛 및 라디오의 온/오프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행해질 수 있다.
일 예로, 제1스위치를 1회 푸시 조작하면 공조유닛이 온(ON)되고, 제1스위치를 연속적으로 2회 푸시 조작하면 공조유닛이 오프(OFF)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2스위치를 1회 푸시 조작하면 라디오가 온(ON)되고, 제2스위치를 연속적으로 2회 푸시 조작하면 라디오가 오프(OFF)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공조유닛의 온(ON) 상태에서, 모션감지센서에 제1스위치에서 제2스위치를 향하는 제1방향 스윙모션(예를 들어, 시계 방향 스윙모션)이 감지되면, 제어부는 공조유닛의 바람세기를 높이도록 구성된다. 이와 반대로, 공조유닛의 온(ON) 상태에서, 모션감지센서에 제2스위치에서 제1스위치를 향하는 제2방향 스윙모션(예를 들어, 반시계 방향 스윙모션)이 감지되면, 제어부는 공조유닛의 바람세기를 낮추도록 구성된다.
다른 일 예로, 라디오의 온(ON) 상태에서, 모션감지센서에 제1스위치에서 제2스위치를 향하는 제1방향 스윙모션(예를 들어, 시계 방향 스윙모션)이 감지되면, 제어부는 라디오의 볼륨을 높이도록 구성된다. 이와 반대로, 라디오의 온(ON) 상태에서, 모션감지센서에 제2스위치에서 제1스위치를 향하는 제2방향 스윙모션(예를 들어, 반시계 방향 스윙모션)이 감지되면, 제어부는 라디오의 볼륨을 낮추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풋레스트 영역에는 스위치 브라켓이 마련되며, 제1스위치는 스위치 브라켓의 내면 일측에 마련되고, 제2스위치는 스위치 브라켓의 내면 다른 일측에 마련된다.
바람직하게, 스위치 브라켓은, 탑승자의 발뒤축을 회전 중심으로 하는 탑승자의 발의 스윙 궤적에 대응하는 원호 단면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되, 제1스위치는 스위치 브라켓의 내주면 일단부에 배치되고, 제2스위치는 스위치 브라켓의 내주면 다른 일단부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용 풋 스위치 모듈은, 탑승자의 발로 조작 가능하게 풋레스트 영역에 마련되며, 라디오의 온(ON) 상태에서, 라디오의 채널을 제어하는 제3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3스위치는 스위치 브라켓의 내면에 마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3스위치는 제1스위치 및 제2스위치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풋레스트 영역의 바닥에 복수개의 제3스위치를 마련하거나, 풋레스트 영역의 바닥 또는 스위치 브라켓의 내면에 단 하나의 제3스위치만을 마련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풋레스트 영역의 바닥면에는 통합스위치박스가 마련될 수 있으며, 제1스위치, 제2스위치, 및 제3스위치는 통합스위치박스 상에 장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통합스위치박스 상에 제1스위치, 제2스위치, 및 제3스위치를 통합으로 장착하는 것에 의하여, 제1스위치, 제2스위치, 및 제3스위치의 조작 경로 및 조작 시간을 단축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스위치, 제2스위치, 및 제3스위치가 풋레스트 영역의 바닥면에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편의를 제고시킬 수 있으며, 주행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주행중 운전자가 발을 이용하여 공조유닛 및 라디오 등에 관련된 기능을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사용상 편리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의 편의를 제고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주행중 시선을 전방에 유지하면서 손을 사용하지 않고 공조유닛 및 라디오를 조작할 수 있다.
무엇보다도, 최근들어 수동변속기 사용자가 줄어들고 자동변속기의 시대가 도래하면서 국가별로 다르지만 주행중 왼쪽발의 역할이 점차 줄어들고 있는 반면, 자동차의 엔터테이트먼트와 운전자의 편의 시설은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주행중 운전자가 손으로 조작해야 하는 일이 점차 많아지게 되므로, 주행중 운전자가 전방 주시를 소홀하게 하는 결과를 초래하여 운전자의 생명과 안전을 위협하는 문제점이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주행중 운전자가 왼쪽발로 편의 시설을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주행안전성을 높이고 운전자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풋 스위치 모듈의 장착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풋 스위치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풋 스위치 모듈의 작동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풋 스위치 모듈의 작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풋 스위치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본 설명에서 동일한 번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하며, 이러한 규칙 하에서 다른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인용하여 설명할 수 있고,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판단되거나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풋 스위치 모듈의 장착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풋 스위치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풋 스위치 모듈의 작동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풋 스위치 모듈의 작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풋 스위치 모듈(100)은, 탑승자의 발(F)로 조작 가능하게 차량(10)의 풋레스트(footrest)(12) 영역의 일측에 마련되며, 공조유닛의 온/오프(ON/OFF)를 제어하는 제1스위치(110); 상기 탑승자의 발(F)로 조작 가능하게 상기 풋레스트(12) 영역의 다른 일측에 마련되며, 라디오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제2스위치(120); 상기 풋레스트(12) 영역에 마련되며, 상기 탑승자의 발(F) 모션을 감지하는 모션감지센서(130); 및 상기 모션감지센서(130)에서 감지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공조유닛 및 상기 라디오 중 어느 하나의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132);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풋 스위치 모듈(100)은, 차량(10)의 풋레스트(12) 영역에 마련되며, 사용자의 발 조작에 의해 공조유닛 및 라디오와 관련된 기능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차량(10)의 풋레스트(12) 영역이라 함은, 차량(10)의 엑셀 페달의 좌측(또는 우측) 영역에 구비되어 주행중 사용하지 않는 발(예를 들어, 왼쪽발)을 올려놓는 영역으로 정의된다.
제1스위치(110)는 탑승자의 발(F)로 조작 가능하게 차량(10)의 풋레스트(12) 영역의 일측에 마련되며, 공조유닛(HAVC UNIT)의 온/오프(ON/OFF)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공조유닛의 온/오프를 제어한다 함은, 공조장치(Heat, Air Ventilation and Cooling)를 기반으로 차량(10)의 실내 온도를 조절(예를 들어, 냉방 또는 난방)하는 작동을 온(ON)하거나 오프(OFF)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제1스위치(110)로서는 탑승자의 발(F) 조작에 의해 작동 가능한 다양한 스위치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스위치(110)로서는 탑승자의 발(F) 조작(예를 들어, 누름 조작)에 의해 작동할 수 있는 푸시 스위치(push switch)가 사용될 수 있다.
제1스위치(110)에 의한 공조유닛의 온/오프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행해질 수 있다.
일 예로, 제1스위치(110)를 1회 푸시 조작하면 공조유닛이 온(ON)되고, 제1스위치(110)를 연속적으로 2회 푸시 조작하면 공조유닛이 오프(OFF)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공조유닛이 온되는 제1스위치의 푸시 조작 횟수를 2회 이상으로 설정하고, 공조유닛이 오프되는 제1스위치의 푸시 조작 횟수를 3회 이상으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2스위치(120)는 탑승자의 발(F)로 조작 가능하게 차량(10)의 풋레스트(12) 영역의 다른 일측에 마련되며, 라디오의 온/오프(ON/OFF)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제2스위치(120)로서는 탑승자의 발(F) 조작에 의해 작동 가능한 다양한 스위치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일 예로, 제2스위치(120)로서는 탑승자의 발(F) 조작(예를 들어, 누름 조작)에 의해 작동할 수 있는 푸시 스위치(push switch)가 사용될 수 있다.
제2스위치(120)에 의한 라디오의 온/오프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행해질 수 있다.
일 예로, 제2스위치(120)를 1회 푸시 조작하면 라디오가 온(ON)되고, 제2스위치(120)를 연속적으로 2회 푸시 조작하면 라디오가 오프(OFF)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라디오가 온되는 제2스위치의 푸시 조작 횟수를 2회 이상으로 설정하고, 라디오가 오프(OFF)되는 제2스위치의 푸시 조작 횟수를 3회 이상으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모션감지센서(130)는 풋레스트(12) 영역에 마련되어 탑승자의 발(F) 모션을 감지하도록 구성되며, 제어부(132)는 모션감지센서(130)에서 감지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공조유닛 및 라디오 중 어느 하나의 기능을 제어하도록 마련된다.
모션감지센서(130)로서는 탑승자의 발(F) 모션을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감지센서가 사용될 수 있으며, 모션감지센서(130)의 종류 및 구조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 모션감지센서(130)로서는 탑승자의 발(F) 모션을 감지할 수 있는 통상의 적외선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모션감지센서(130)에서 감지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공조유닛 및 라디오 중 어느 하나의 기능을 제어한다 함은, 모션감지센서(130)에 미리 정의된 신호가 감지되면, 제어부(132)가 공조유닛 및 라디오 중 어느 하나에 관련된 기능(미리 정의된 기능)을 실행시키는 것으로 정의된다.
일 예로, 공조유닛의 온(ON) 상태에서, 모션감지센서(130)에 제1스위치(110)에서 제2스위치(120)를 향하는 제1방향 스윙모션(예를 들어, 시계 방향 스윙모션)이 감지되면, 제어부(132)는 공조유닛의 바람세기를 높이도록 구성된다. 이와 반대로, 공조유닛의 온(ON) 상태에서, 모션감지센서(130)에 제2스위치(120)에서 제1스위치(110)를 향하는 제2방향 스윙모션(예를 들어, 반시계 방향 스윙모션)이 감지되면, 제어부(132)는 공조유닛의 바람세기를 낮추도록 구성된다.
다른 일 예로, 라디오의 온(ON) 상태에서, 모션감지센서(130)에 제1스위치(110)에서 제2스위치(120)를 향하는 제1방향 스윙모션(예를 들어, 시계 방향 스윙모션)이 감지되면, 제어부(132)는 라디오의 볼륨을 높이도록 구성된다. 이와 반대로, 라디오의 온(ON) 상태에서, 모션감지센서(130)에 제2스위치(120)에서 제1스위치(110)를 향하는 제2방향 스윙모션(예를 들어, 반시계 방향 스윙모션)이 감지되면, 제어부(132)는 라디오의 볼륨을 낮추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전술한 제1스위치(110), 제2스위치(120), 및 모션감지센서(130)의 장착 위치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일 예로, 풋레스트(12) 영역에는 스위치 브라켓(200)이 마련되며, 제1스위치(110)는 스위치 브라켓(200)의 내면 일측에 마련되고, 제2스위치(120)는 스위치 브라켓(200)의 내면 다른 일측에 마련된다.
바람직하게, 스위치 브라켓(200)은, 탑승자의 발(F)뒤축을 회전 중심(도 7의 C)으로 하는 탑승자의 발(F)의 스윙 궤적에 대응하는 원호 단면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되, 제1스위치(110)는 스위치 브라켓(200)의 내주면 일단부(도 2를 기준으로 좌측단부)에 배치되고, 제2스위치(120)는 스위치 브라켓(200)의 내주면 다른 일단부(도 2를 기준으로 우측단부)에 배치된다.
모션감지센서(130)는 제1스위치(110)와 제2스위치(120)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스위치 브라켓(200)의 내주면에 이격되게 복수개가 마련된다. 일 예로, 제1스위치(110)와 제2스위치(120)의 사이에는 3개의 모션감지센서(130)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스위치 브라켓 상에서 제1스위치 및 제2스위치의 위치를 서로 반대로 변경하거나, 제1스위치 및 제2스위치를 스위치 브라켓 상에서 여타 다른 위치에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르게는 별도의 스위치 브라켓을 배제하고 풋레스트 영역의 바닥에 제1스위치 및 제2스위치를 마련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용 풋 스위치 모듈(100)은, 탑승자의 발(F)로 조작 가능하게 풋레스트(12) 영역에 마련되며, 라디오의 온(ON) 상태에서, 라디오의 채널을 제어하는 제3스위치(142,144)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3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3스위치(142,144)는 스위치 브라켓(200)의 내면에 마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3스위치(142,144)는 제1스위치(110) 및 제2스위치(120)의 상부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가령, 제1스위치(110)의 상부에 마련되는 제3스위치(142)를 조작하면 라디오 채널이 낮은 주파수 채널로 변경될 수 있고, 제2스위치(120)의 상부에 마련되는 제3스위치(144)를 조작하면 라디오 채널이 높은 주파수 채널로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풋레스트 영역의 바닥에 복수개의 제3스위치를 마련하거나, 풋레스트 영역의 바닥 또는 스위치 브라켓의 내면에 단 하나의 제3스위치만을 마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풋 스위치 모듈(100)의 작동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일 예로, 탑승자가 발로 제1스위치(110)를 1회 푸시 조작하면 공조유닛이 온(ON) 된다.(도 4 참조)
공조유닛의 온(ON) 상태에서, 모션감지센서(130)에 제1스위치(110)에서 제2스위치(120)를 향하는 제1방향 스윙모션(예를 들어, 시계 방향 스윙모션)이 감지되면, 공조유닛의 바람세기가 크게 제어된다.(도 7 참조) 반면, 공조유닛의 온(ON) 상태에서, 모션감지센서(130)에 제2스위치(120)에서 제1스위치(110)를 향하는 제2방향 스윙모션(예를 들어, 반시계 방향 스윙모션)이 감지되면, 공조유닛의 바람세기가 작게 제어된다.(도 8 참조)
한편, 공조유닛의 온(ON) 상태에서, 탑승자가 발로 제1스위치(110)를 연속적으로 2회 푸시 조작하면 공조유닛이 오프(OFF)된다.
다시, 도 9를 참조하면, 탑승자가 발로 제2스위치(120)를 1회 푸시 조작하면 라디오가 온(ON) 된다.(도 5 참조)
라디오의 온(ON) 상태에서, 모션감지센서(130)에 제1스위치(110)에서 제2스위치(120)를 향하는 제1방향 스윙모션(예를 들어, 시계 방향 스윙모션)이 감지되면, 라디오의 볼륨이 크게 제어된다.(도 7 참조) 반면, 라디오의 온(ON) 상태에서, 모션감지센서(130)에 제2스위치(120)에서 제1스위치(110)를 향하는 제2방향 스윙모션(예를 들어, 반시계 방향 스윙모션)이 감지되면, 라디오의 볼륨이 작게 제어된다.(도 8 참조)
라디오의 온(ON) 상태에서 탑승자가 발로 제3스위치(142)를 푸시 조작하면 라디오의 채널이 변경된다.
한편, 라디오의 온(ON) 상태에서, 탑승자가 발로 제2스위치(120)를 연속적으로 2회 푸시 조작하면 공조유닛이 오프(OFF)된다.
한편,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풋 스위치 모듈(10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아울러, 전술한 구성과 동일 및 동일 상당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동일 상당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전술 및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스위치(110), 제2스위치(120), 및 제3스위치(142)가 각각 개별적으로 장착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도 10과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풋레스트(12) 영역의 바닥면에는 통합스위치박스(150')가 마련될 수 있으며, 제1스위치(110'), 제2스위치(120'), 및 제3스위치(140')는 통합스위치박스(150') 상에 장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통합스위치박스(150') 상에 제1스위치(110'), 제2스위치(120'), 및 제3스위치(140')를 통합으로 장착하는 것에 의하여, 제1스위치(110'), 제2스위치(120'), 및 제3스위치(140')의 조작 경로 및 조작 시간을 단축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 및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스위치(110), 제2스위치(120), 및 제3스위치(142)가 풋레스트(12) 영역에 마련된 스위치 브라켓(200)에 장착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도 10과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스위치(110"), 제2스위치(120"), 및 제3스위치(140")가 풋레스트(12) 영역의 바닥면에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단, 모션감지센서(130)는 스위치 브라켓(200)의 내면에 장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차량
12 : 풋레스트
100 : 차량용 풋 스위치 모듈
110,110',110" : 제1스위치
120,120',120" : 제2스위치
130 : 모션감지센서
132 : 제어부
142,144 : 제3스위치
150' : 통합스위치박스
200 : 스위치 브라켓

Claims (11)

  1. 탑승자의 발로 조작 가능하게 차량의 풋레스트(footrest) 영역의 일측에 마련되며, 공조유닛의 온/오프(ON/OFF)를 제어하는 제1스위치;
    상기 탑승자의 발로 조작 가능하게 상기 풋레스트 영역의 다른 일측에 마련되며, 라디오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제2스위치;
    상기 풋레스트 영역에 마련되며, 상기 탑승자의 발 모션을 감지하는 모션감지센서; 및
    상기 모션감지센서에서 감지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공조유닛 및 상기 라디오 중 어느 하나의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차량용 풋 스위치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위치를 1회 푸시 조작하면 상기 공조유닛이 온(ON)되고, 상기 제1스위치를 연속적으로 2회 푸시 조작하면 상기 공조유닛이 오프(OFF)되며,
    상기 제2스위치를 1회 푸시 조작하면 상기 라디오가 온(ON)되고, 상기 제2스위치를 연속적으로 2회 푸시 조작하면 상기 라디오가 오프(OFF)되는 차량용 풋 스위치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자의 발로 조작 가능하게 상기 풋레스트 영역에 마련되며, 상기 라디오의 온(ON) 상태에서, 상기 라디오의 채널을 제어하는 제3스위치를 포함하는 차량용 풋 스위치 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풋레스트 영역에 마련되는 스위치 브라켓을 포함하되,
    상기 제1스위치는 상기 스위치 브라켓의 내면 일측에 마련되고,
    상기 제2스위치는 상기 스위치 브라켓의 내면 다른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모션감지센서는 상기 제1스위치와 상기 제2스위치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스위치 브라켓의 내면에 마련되는 차량용 풋 스위치 모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브라켓은, 상기 탑승자의 발뒤축을 회전 중심으로 하는 상기 탑승자의 발의 스윙 궤적에 대응하는 원호 단면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되,
    상기 제1스위치는 상기 스위치 브라켓의 내주면 일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스위치는 상기 스위치 브라켓의 내주면 다른 일단부에 배치되는 차량용 풋 스위치 모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공조유닛의 온(ON) 상태에서,
    상기 모션감지센서에 상기 제1스위치에서 상기 제2스위치를 향하는 제1방향 스윙모션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조유닛의 바람세기를 높이고,
    상기 모션감지센서에 상기 제2스위치에서 상기 제1스위치를 향하는 제2방향 스윙모션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조유닛의 바람세기를 낮추는 차량용 풋 스위치 모듈.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라디오의 온(ON) 상태에서,
    상기 모션감지센서에 상기 제1스위치에서 상기 제2스위치를 향하는 제1방향 스윙모션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라디오의 볼륨을 높이고,
    상기 모션감지센서에 상기 제2스위치에서 상기 제1스위치를 향하는 제2방향 스윙모션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라디오의 볼륨을 낮추는 차량용 풋 스위치 모듈.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위치, 상기 제2스위치, 상기 제3스위치는 상기 풋레스트 영역의 바닥면에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차량용 풋 스위치 모듈.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풋레스트 영역의 바닥면에 구비되는 통합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스위치, 상기 제2스위치, 상기 제3스위치는 상기 통합스위치 상에 장착되는 차량용 풋 스위치 모듈.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3스위치는 상기 스위치 브라켓의 내면에 마련되는 차량용 풋 스위치 모듈.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3스위치는 상기 제1스위치 및 상기 제2스위치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상부에 배치되는 차량용 풋 스위치 모듈.
KR1020190092510A 2019-07-30 2019-07-30 차량용 풋 스위치 모듈 KR202100144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2510A KR20210014435A (ko) 2019-07-30 2019-07-30 차량용 풋 스위치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2510A KR20210014435A (ko) 2019-07-30 2019-07-30 차량용 풋 스위치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4435A true KR20210014435A (ko) 2021-02-09

Family

ID=74559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2510A KR20210014435A (ko) 2019-07-30 2019-07-30 차량용 풋 스위치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1443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78532B1 (en) Vehicle steering wheel
US10583855B2 (en) Steering device for a vehicle, in particular an electric vehicle
EP0553192B1 (en) Operation of servo devices for driving a motor vehicle-control, arrangement and method
JP3317848B2 (ja) 車両用空調制御スイッチ
JP6167779B2 (ja) 車両用シフト装置
US9751380B2 (en) Air vent assembly with integral air vent and control head
WO2018042857A1 (ja) 操作装置
ES2961953T3 (es) Dispositivo de control para un vehículo y procedimiento para el funcionamiento de un dispositivo de control
US8471401B2 (en) Switch device for vehicle
KR20120008507A (ko) 차량용 입력 조작 장치
JP6031469B2 (ja) 自動車補助機能ユニットの設定装置およびステアリングカラムレバー操作者制御アセンブリ
US10443725B2 (en) Shift-by-wire module illumination strategy for vehicle
US20190263439A1 (en) Steering wheel having operator control elements, and method for setting a function for a vehicle
KR20210014435A (ko) 차량용 풋 스위치 모듈
US20150167824A1 (en) Flap type electronic automatic transmission lever control method
US7156167B2 (en)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system and method
EP2818763B1 (en) Gear shift system for a motor vehicle with gear shift devices rotationally integral with a steering wheel, respective electronic control unit, software program product therefor and motor vehicle with such a system
GB2441340A (en) Operator interface sensing a touch position on a movable portion
JP6171756B2 (ja) 車両用シフト装置
JPH10244856A (ja) 変速機シフト表示装置
JP4458723B2 (ja) ステアリングスイッチ評価方法及びステアリングスイッチ
JP2002347433A (ja) 車両用空調装置
GB2390416A (en) Rotary control arrangement for a vehicle heating, ventilation or air-conditioning (HVAC) system
KR101805705B1 (ko) 차량용 제어장치
WO2023247505A1 (en) Climate controller and climate control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