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4435A - Foot switch module for vehicle - Google Patents

Foot switch module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4435A
KR20210014435A KR1020190092510A KR20190092510A KR20210014435A KR 20210014435 A KR20210014435 A KR 20210014435A KR 1020190092510 A KR1020190092510 A KR 1020190092510A KR 20190092510 A KR20190092510 A KR 20190092510A KR 20210014435 A KR20210014435 A KR 202100144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foot
radio
air conditioning
condition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251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태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925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14435A/en
Publication of KR202100144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443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5Electro-mechanical devices, e.g. switch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01H13/16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adapted for operation by a part of the human body other than the hand, e.g. by foo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26C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ot switch module for a vehicle, comprising: a first switch placed on one side of a footrest of the vehicle to be operable by the foot of a rider, and to control the ON/OFF status of an air-conditioning unit; a second switch placed on the other side of the footrest area to be operable by the foot of the rider, and to control the on/off of a radio; a motion sensor placed in the footrest area to detect a foot motion of the rider; and a control unit which controls the functions of one of the air-conditioning unit and the radio based on the signal detected by the motion sensor.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user convenience and enhance driving stability.

Description

차량용 풋 스위치 모듈{FOOT SWITCH MODULE FOR VEHICLE}Vehicle foot switch module {FOOT SWITCH MODULE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풋 스위치 모듈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편의를 제고시킬 수 있으며, 주행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풋 스위치 모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ot switch module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foot switch module for a vehicle capable of improving user convenience and improving driving stability.

일반적으로 차량의 대시보드에는 공조유닛(예를 들어, 에어컨), 라디오, 및 볼륨 등의 제어를 위한 각종 스위치가 마련된다.In general, a dashboard of a vehicle is provided with various switches for controlling an air conditioning unit (eg, an air conditioner), a radio, and a volume.

그런데, 기존에는 차량의 주행중에 공조유닛 및 라디오 등을 조작하기 위해서, 운전자가 시선을 전방에서 대시보드 측으로 돌려 스위치의 위치를 육안으로 확인한 후 손을 뻗어 스위치를 조작해야 했으므로, 차량의 주행 안정성이 저하되고 안전운행에 지장을 주어 사고의 요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past, in order to operate the air conditioning unit and radio while the vehicle is running, the driver had to visually check the position of the switch by turning his gaze from the front to the dashboard, and then reaching out to operate the switch. There is a problem that deteriorates and interferes with safe operation, which becomes a factor of an accident.

특히, 운전이 서투른 초보 운전자의 경우 주행중 대시보드에 마련된 각종 스위치를 조작하기 어렵고 오조작에 따른 사고 위험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novice driver who is not good at driving, it is difficult to manipulate various switches provided on the dashboard while driving,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risk of an accident due to misoperation increases.

이에 따라, 최근에는 주행중 각종 스위치 조작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아직 미흡하여 이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Accordingly, in recent years, variou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operating various switches while driving, but development thereof is still inadequate.

본 발명은 사용자의 편의를 제고시킬 수 있으며, 주행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풋 스위치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ehicle foot switch module capable of improving user convenience and improving driving stability.

특히, 본 발명은 운전자가 발을 이용하여 공조유닛 및 라디오 등에 관련된 기능을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particular,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a driver to operate functions related to an air conditioning unit, a radio, etc. using feet.

또한, 본 발명은 주행중 시선을 전방에 유지하면서 공조유닛 및 라디오의 기능을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able to operate the functions of the air conditioning unit and the radio while keeping the gaze forward while driving.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용 풋 스위치 모듈은, 탑승자의 발로 조작 가능하게 차량의 풋레스트(footrest) 영역의 일측에 마련되며, 공조유닛의 온/오프(ON/OFF)를 제어하는 제1스위치; 상기 탑승자의 발로 조작 가능하게 상기 풋레스트 영역의 다른 일측에 마련되며, 라디오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제2스위치; 상기 풋레스트 영역에 마련되며, 상기 탑승자의 발 모션을 감지하는 모션감지센서; 및 상기 모션감지센서에서 감지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공조유닛 및 상기 라디오 중 어느 하나의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ot switch module for a vehicle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ootrest area of the vehicle so as to be operable with the foot of the occupant, and the on/off of the air conditioning unit A first switch for controlling ON/OFF; A second switch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footrest area so as to be manipulated by the occupant's foot, and controlling on/off of the radio; A motion detection sensor provided in the footrest area and detecting motion of the passenger's foo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one of the air conditioning unit and the radio based on a signal detected by the motion detection sensor.

이는, 사용자의 편의를 제고시키고, 주행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This is to improve user convenience and improve driving stability.

즉, 기존에는 차량의 주행중에 공조유닛 및 라디오 등을 조작하기 위해서, 운전자가 시선을 전방에서 대시보드 측으로 돌려 스위치의 위치를 육안으로 확인한 후 손을 뻗어 스위치를 조작해야 했으므로, 차량의 주행 안정성이 저하되고 안전운행에 지장을 주어 사고의 요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In other words, in the past, in order to operate the air conditioning unit and radio while the vehicle is running, the driver had to visually check the position of the switch by turning his gaze from the front to the dashboard, and then reaching out to operate the switch, so the vehicle's driving stability is improved. There is a problem that deteriorates and interferes with safe operation, which becomes a factor of an accident.

하지만, 본 발명은 주행중 운전자가 발을 이용하여 공조유닛 및 라디오 등에 관련된 기능을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공조유닛 및 라디오의 기능 조작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Howe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allowing the driver to operate functions related to the air conditioning unit and the radio using their feet while driving, it is possible to obtain an advantageous effect of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operating the functions of the air conditioning unit and the radio.

더욱이, 주행중 시선을 전방에 유지하면서 공조유닛 및 라디오의 기능을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주행 안정성을 향상을 높이고 사고 위험성을 낮추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Moreover, by allowing the function of the air conditioning unit and the radio to be operated while keeping the gaze forward while driving, it is possible to obtain an advantageous effect of improving driving stability and lowering the risk of accidents.

제1스위치 및 제2스위치에 의한 공조유닛 및 라디오의 온/오프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행해질 수 있다.On/off of the air conditioning unit and the radio by the first switch and the second switch may be perform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required conditions and design specifications.

일 예로, 제1스위치를 1회 푸시 조작하면 공조유닛이 온(ON)되고, 제1스위치를 연속적으로 2회 푸시 조작하면 공조유닛이 오프(OFF)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2스위치를 1회 푸시 조작하면 라디오가 온(ON)되고, 제2스위치를 연속적으로 2회 푸시 조작하면 라디오가 오프(OFF)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first switch is pushed once, the air conditioning unit may be turned on, and when the first switch is continuously pushed twice, the air conditioning unit may be configured to be turned off. In addition, when the second switch is pushed once, the radio is turned on, and if the second switch is continuously pushed twice, the radio is turned off.

바람직하게, 공조유닛의 온(ON) 상태에서, 모션감지센서에 제1스위치에서 제2스위치를 향하는 제1방향 스윙모션(예를 들어, 시계 방향 스윙모션)이 감지되면, 제어부는 공조유닛의 바람세기를 높이도록 구성된다. 이와 반대로, 공조유닛의 온(ON) 상태에서, 모션감지센서에 제2스위치에서 제1스위치를 향하는 제2방향 스윙모션(예를 들어, 반시계 방향 스윙모션)이 감지되면, 제어부는 공조유닛의 바람세기를 낮추도록 구성된다.Preferably, in the ON state of the air conditioning unit, when the motion detection sensor detects a first swing motion (eg, clockwise swing motion) from the first switch to the second switch, the controller It is configured to increase the wind strength. On the contrary, when the motion detection sensor detects a second swing motion (for example, counterclockwise swing motion) from the second switch toward the first switch in the ON state of the air conditioning unit, the control unit It is configured to lower the wind strength.

다른 일 예로, 라디오의 온(ON) 상태에서, 모션감지센서에 제1스위치에서 제2스위치를 향하는 제1방향 스윙모션(예를 들어, 시계 방향 스윙모션)이 감지되면, 제어부는 라디오의 볼륨을 높이도록 구성된다. 이와 반대로, 라디오의 온(ON) 상태에서, 모션감지센서에 제2스위치에서 제1스위치를 향하는 제2방향 스윙모션(예를 들어, 반시계 방향 스윙모션)이 감지되면, 제어부는 라디오의 볼륨을 낮추도록 구성된다.As another example, when the motion detection sensor detects the first swing motion (eg, clockwise swing motion) from the first switch to the second switch in the radio ON state, the controller controls the volume of the radio. Is configured to increase. Conversely, when the motion detection sensor detects a second swing motion (for example, counterclockwise swing motion) from the second switch to the first switch in the radio ON state, the controller controls the volume of the radio. Is configured to lower.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풋레스트 영역에는 스위치 브라켓이 마련되며, 제1스위치는 스위치 브라켓의 내면 일측에 마련되고, 제2스위치는 스위치 브라켓의 내면 다른 일측에 마련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witch bracket is provided in the footrest area, the first switch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switch bracket, and the second switch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switch bracket.

바람직하게, 스위치 브라켓은, 탑승자의 발뒤축을 회전 중심으로 하는 탑승자의 발의 스윙 궤적에 대응하는 원호 단면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되, 제1스위치는 스위치 브라켓의 내주면 일단부에 배치되고, 제2스위치는 스위치 브라켓의 내주면 다른 일단부에 배치된다.Preferably, the switch bracket is formed to have an arc cross-sectional shape corresponding to the swing trajectory of the occupant's foot with the occupant's heel axis as the rotation center, the first switch is disposed at one end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witch bracket, and the second switch is a switch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bracket is placed at the other end.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용 풋 스위치 모듈은, 탑승자의 발로 조작 가능하게 풋레스트 영역에 마련되며, 라디오의 온(ON) 상태에서, 라디오의 채널을 제어하는 제3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ot switch module for a vehicle is provided in the footrest area so as to be manipulated by a passenger's feet, and may include a third switch for controlling a channel of the radio in an ON state of the radio. have.

일 예로, 제3스위치는 스위치 브라켓의 내면에 마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3스위치는 제1스위치 및 제2스위치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third switch may be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witch bracket. Preferably, the third switch may be disposed above any one or more of the first switch and the second switch.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풋레스트 영역의 바닥에 복수개의 제3스위치를 마련하거나, 풋레스트 영역의 바닥 또는 스위치 브라켓의 내면에 단 하나의 제3스위치만을 마련하는 것도 가능하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third switches may be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footrest area, or only one third switch may be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footrest area or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witch bracket.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풋레스트 영역의 바닥면에는 통합스위치박스가 마련될 수 있으며, 제1스위치, 제2스위치, 및 제3스위치는 통합스위치박스 상에 장착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ntegrated switch box may be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ootrest area, and the first switch, the second switch, and the third switch may be mounted on the integrated switch box.

이와 같이 통합스위치박스 상에 제1스위치, 제2스위치, 및 제3스위치를 통합으로 장착하는 것에 의하여, 제1스위치, 제2스위치, 및 제3스위치의 조작 경로 및 조작 시간을 단축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Advantageous effect of shortening the operation path and operation time of the first switch, the second switch, and the third switch by integrally mounting the first switch, the second switch, and the third switch on the integrated switch box as described above. Can be obtained.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스위치, 제2스위치, 및 제3스위치가 풋레스트 영역의 바닥면에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Further,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hat the first switch, the second switch, and the third switch ar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ootrest area.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편의를 제고시킬 수 있으며, 주행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s convenience can be improved, and advantageous effects of improving driving stability can be obtained.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주행중 운전자가 발을 이용하여 공조유닛 및 라디오 등에 관련된 기능을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사용상 편리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의 편의를 제고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particul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allowing the driver to operate functions related to the air conditioning unit and the radio using their feet while driving, it is possible to improve convenience in use and to obtain an advantageous effect of enhancing user convenienc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주행중 시선을 전방에 유지하면서 손을 사용하지 않고 공조유닛 및 라디오를 조작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operate the air conditioning unit and the radio without using a hand while keeping the gaze forward while driving.

무엇보다도, 최근들어 수동변속기 사용자가 줄어들고 자동변속기의 시대가 도래하면서 국가별로 다르지만 주행중 왼쪽발의 역할이 점차 줄어들고 있는 반면, 자동차의 엔터테이트먼트와 운전자의 편의 시설은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주행중 운전자가 손으로 조작해야 하는 일이 점차 많아지게 되므로, 주행중 운전자가 전방 주시를 소홀하게 하는 결과를 초래하여 운전자의 생명과 안전을 위협하는 문제점이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주행중 운전자가 왼쪽발로 편의 시설을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주행안전성을 높이고 운전자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Above all, as the number of users of manual transmissions has recently decreased and the era of automatic transmissions has arrived, it varies from country to country, but the role of the left foot during driving is gradually decreasing, while entertainment of automobiles and convenience facilities for drivers are increasing. Accordingly,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driver's manual operation is increased gradually while driving, resulting in the driver neglecting to look forward while driving, thereby threatening the life and safety of the driver.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by allowing the driver to operate the convenience facilities with the left foot while driving, it is possible to obtain an advantageous effect of improving driving safety and protecting the driver's life and safet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풋 스위치 모듈의 장착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풋 스위치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풋 스위치 모듈의 작동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풋 스위치 모듈의 작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풋 스위치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an installation example of a vehicle foot switch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and 3 are views for explaining a vehicle foot switch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to 8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structure of the vehicle foot switch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operating a vehicle foot switch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and 11 are views for explaining a vehicle foot switch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본 설명에서 동일한 번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하며, 이러한 규칙 하에서 다른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인용하여 설명할 수 있고,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판단되거나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 embodiments. For reference, in the present description, the same numbers refer to substantially the same elements, and under these rules, contents described in other drawings may be cited, and contents that are determined to be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r repeated may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풋 스위치 모듈의 장착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풋 스위치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풋 스위치 모듈의 작동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풋 스위치 모듈의 작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view for explaining an installation example of a vehicle foot switch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2 and 3 are views for explaining a vehicle foot switch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FIGS. 4 to 8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structure of the vehicle foot switch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9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ng method of the vehicle foot switch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풋 스위치 모듈(100)은, 탑승자의 발(F)로 조작 가능하게 차량(10)의 풋레스트(footrest)(12) 영역의 일측에 마련되며, 공조유닛의 온/오프(ON/OFF)를 제어하는 제1스위치(110); 상기 탑승자의 발(F)로 조작 가능하게 상기 풋레스트(12) 영역의 다른 일측에 마련되며, 라디오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제2스위치(120); 상기 풋레스트(12) 영역에 마련되며, 상기 탑승자의 발(F) 모션을 감지하는 모션감지센서(130); 및 상기 모션감지센서(130)에서 감지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공조유닛 및 상기 라디오 중 어느 하나의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132);를 포함한다.1 to 9, the vehicle foot switch modul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ootrest 12 area of the vehicle 10 so as to be operable with the passenger's foot F. And, the first switch 110 for controlling the on / off (ON / OFF) of the air conditioning unit; A second switch 120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footrest 12 area so as to be manipulated by the passenger's foot (F) and controlling on/off of the radio; A motion detection sensor 130 provided in the footrest 12 area and detecting motion of the passenger's foot (F); And a controller 132 for controlling one of the air conditioning unit and the radio based on a signal detected by the motion detection sensor 130.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풋 스위치 모듈(100)은, 차량(10)의 풋레스트(12) 영역에 마련되며, 사용자의 발 조작에 의해 공조유닛 및 라디오와 관련된 기능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The vehicle foot switch modul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the footrest 12 area of the vehicle 10 and is configured to control functions related to the air conditioning unit and the radio by the user's foot operation.

여기서, 차량(10)의 풋레스트(12) 영역이라 함은, 차량(10)의 엑셀 페달의 좌측(또는 우측) 영역에 구비되어 주행중 사용하지 않는 발(예를 들어, 왼쪽발)을 올려놓는 영역으로 정의된다.Here, the footrest 12 area of the vehicle 10 is provided in the left (or right) area of the accelerator pedal of the vehicle 10 to place an unused foot (eg, left foot) while driving. It is defined as an area.

제1스위치(110)는 탑승자의 발(F)로 조작 가능하게 차량(10)의 풋레스트(12) 영역의 일측에 마련되며, 공조유닛(HAVC UNIT)의 온/오프(ON/OFF)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The first switch 110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ootrest 12 area of the vehicle 10 so as to be operable with the passenger's foot (F), and turns on/off the air conditioning unit (HAVC UNIT). Is configured to control.

여기서, 공조유닛의 온/오프를 제어한다 함은, 공조장치(Heat, Air Ventilation and Cooling)를 기반으로 차량(10)의 실내 온도를 조절(예를 들어, 냉방 또는 난방)하는 작동을 온(ON)하거나 오프(OFF)하는 것으로 정의된다.Here, controlling the on/off of the air conditioning unit means turning on the operation of controlling (eg, cooling or heating) the indoor temperature of the vehicle 10 based on the air conditioning device (Heat, Air Ventilation and Cooling). It is defined as ON) or OFF.

제1스위치(110)로서는 탑승자의 발(F) 조작에 의해 작동 가능한 다양한 스위치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As the first switch 110, various switch means operable by manipulation of the passenger's foot (F) may be used.

일 예로, 제1스위치(110)로서는 탑승자의 발(F) 조작(예를 들어, 누름 조작)에 의해 작동할 수 있는 푸시 스위치(push switch)가 사용될 수 있다.For example, as the first switch 110, a push switch that can be operated by manipulating the passenger's foot (for example, pressing) may be used.

제1스위치(110)에 의한 공조유닛의 온/오프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행해질 수 있다.The on/off of the air conditioning unit by the first switch 110 may be performed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required conditions and design specifications.

일 예로, 제1스위치(110)를 1회 푸시 조작하면 공조유닛이 온(ON)되고, 제1스위치(110)를 연속적으로 2회 푸시 조작하면 공조유닛이 오프(OFF)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공조유닛이 온되는 제1스위치의 푸시 조작 횟수를 2회 이상으로 설정하고, 공조유닛이 오프되는 제1스위치의 푸시 조작 횟수를 3회 이상으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For example, when the first switch 110 is pushed once, the air conditioning unit is turned on, and when the first switch 110 is continuously pushed twice, the air conditioning unit may be configured to be turned off. .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et the number of push operations of the first switch on which the air conditioning unit is turned on to two or more, and to set the number of push operations of the first switch to be turned off to three or more. Do.

제2스위치(120)는 탑승자의 발(F)로 조작 가능하게 차량(10)의 풋레스트(12) 영역의 다른 일측에 마련되며, 라디오의 온/오프(ON/OFF)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The second switch 120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footrest 12 area of the vehicle 10 so as to be operable with the passenger's foot (F), and is configured to control ON/OFF of the radio. .

제2스위치(120)로서는 탑승자의 발(F) 조작에 의해 작동 가능한 다양한 스위치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As the second switch 120, various switch means operable by manipulation of the passenger's foot (F) may be used.

일 예로, 제2스위치(120)로서는 탑승자의 발(F) 조작(예를 들어, 누름 조작)에 의해 작동할 수 있는 푸시 스위치(push switch)가 사용될 수 있다.As an example, as the second switch 120, a push switch that can be operated by manipulating the passenger's foot (for example, pressing) may be used.

제2스위치(120)에 의한 라디오의 온/오프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행해질 수 있다.On/off of the radio by the second switch 120 may be perform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required conditions and design specifications.

일 예로, 제2스위치(120)를 1회 푸시 조작하면 라디오가 온(ON)되고, 제2스위치(120)를 연속적으로 2회 푸시 조작하면 라디오가 오프(OFF)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라디오가 온되는 제2스위치의 푸시 조작 횟수를 2회 이상으로 설정하고, 라디오가 오프(OFF)되는 제2스위치의 푸시 조작 횟수를 3회 이상으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For example, when the second switch 120 is pushed once, the radio is turned on, and when the second switch 120 is continuously pushed twice, the radio is turned off.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umber of push operations of the second switch on which the radio is turned on is set to two or more, and the number of push operations of the second switch to which the radio is turned off is set to three or more. It is possible.

모션감지센서(130)는 풋레스트(12) 영역에 마련되어 탑승자의 발(F) 모션을 감지하도록 구성되며, 제어부(132)는 모션감지센서(130)에서 감지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공조유닛 및 라디오 중 어느 하나의 기능을 제어하도록 마련된다.The motion detection sensor 130 is provided in the footrest 12 area and is configured to detect the motion of the passenger's foot (F), and the control unit 132 is configured to detect the motion of the air conditioning unit and the radio based on the signal detected by the motion detection sensor 130. It is provided to control any one of the functions.

모션감지센서(130)로서는 탑승자의 발(F) 모션을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감지센서가 사용될 수 있으며, 모션감지센서(130)의 종류 및 구조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s the motion detection sensor 130, various detection sensors capable of detecting the motion of the passenger's foot (F) may be used,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 type and structure of the motion detection sensor 130.

일 예로, 모션감지센서(130)로서는 탑승자의 발(F) 모션을 감지할 수 있는 통상의 적외선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For example, as the motion detection sensor 130, a conventional infrared sensor capable of detecting the motion of the passenger's foot (F) may be used.

참고로, 본 발명에서 모션감지센서(130)에서 감지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공조유닛 및 라디오 중 어느 하나의 기능을 제어한다 함은, 모션감지센서(130)에 미리 정의된 신호가 감지되면, 제어부(132)가 공조유닛 및 라디오 중 어느 하나에 관련된 기능(미리 정의된 기능)을 실행시키는 것으로 정의된다.For reference, in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ling any one of the air conditioning unit and the radio based on a signal detected by the motion sensor 130 means that when a predefined signal is detected by the motion sensor 130, the controller (132) is defined as executing a function (pre-defined function) related to either of the air conditioning unit and the radio.

일 예로, 공조유닛의 온(ON) 상태에서, 모션감지센서(130)에 제1스위치(110)에서 제2스위치(120)를 향하는 제1방향 스윙모션(예를 들어, 시계 방향 스윙모션)이 감지되면, 제어부(132)는 공조유닛의 바람세기를 높이도록 구성된다. 이와 반대로, 공조유닛의 온(ON) 상태에서, 모션감지센서(130)에 제2스위치(120)에서 제1스위치(110)를 향하는 제2방향 스윙모션(예를 들어, 반시계 방향 스윙모션)이 감지되면, 제어부(132)는 공조유닛의 바람세기를 낮추도록 구성된다.For example, in the ON state of the air conditioning unit, the motion detection sensor 130 has a first swing motion from the first switch 110 to the second switch 120 (eg, clockwise swing motion) When this is detected, the control unit 132 is configured to increase the wind strength of the air conditioning unit. Conversely, in the ON state of the air conditioning unit, the motion detection sensor 130 has a second swing motion from the second switch 120 to the first switch 110 (for example, a counterclockwise swing motion ) Is detected, the control unit 132 is configured to lower the wind strength of the air conditioning unit.

다른 일 예로, 라디오의 온(ON) 상태에서, 모션감지센서(130)에 제1스위치(110)에서 제2스위치(120)를 향하는 제1방향 스윙모션(예를 들어, 시계 방향 스윙모션)이 감지되면, 제어부(132)는 라디오의 볼륨을 높이도록 구성된다. 이와 반대로, 라디오의 온(ON) 상태에서, 모션감지센서(130)에 제2스위치(120)에서 제1스위치(110)를 향하는 제2방향 스윙모션(예를 들어, 반시계 방향 스윙모션)이 감지되면, 제어부(132)는 라디오의 볼륨을 낮추도록 구성된다.As another example, in the state of the radio on (ON), the motion detection sensor 130 in the first direction swing motion from the first switch 110 to the second switch 120 (eg, clockwise swing motion) When this is detected, the control unit 132 is configured to increase the volume of the radio. On the contrary, when the radio is on (ON), the motion detection sensor 130 moves from the second switch 120 to the first switch 110 in a second direction (for example, a counterclockwise swing motion). When this is detected, the controller 132 is configured to lower the volume of the radio.

아울러, 전술한 제1스위치(110), 제2스위치(120), 및 모션감지센서(130)의 장착 위치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In addition, mounting positions of the above-described first switch 110, second switch 120, and motion detection sensor 130 may be variously changed according to required conditions and design specifications.

일 예로, 풋레스트(12) 영역에는 스위치 브라켓(200)이 마련되며, 제1스위치(110)는 스위치 브라켓(200)의 내면 일측에 마련되고, 제2스위치(120)는 스위치 브라켓(200)의 내면 다른 일측에 마련된다.For example, the switch bracket 200 is provided in the footrest 12 area, the first switch 110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switch bracket 200, and the second switch 120 is the switch bracket 200 It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inner side.

바람직하게, 스위치 브라켓(200)은, 탑승자의 발(F)뒤축을 회전 중심(도 7의 C)으로 하는 탑승자의 발(F)의 스윙 궤적에 대응하는 원호 단면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되, 제1스위치(110)는 스위치 브라켓(200)의 내주면 일단부(도 2를 기준으로 좌측단부)에 배치되고, 제2스위치(120)는 스위치 브라켓(200)의 내주면 다른 일단부(도 2를 기준으로 우측단부)에 배치된다.Preferably, the switch bracket 200 is formed to have an arc cross-sectional shape corresponding to the swing trajectory of the occupant's foot (F) with the rear axis of the occupant's foot (F) as the rotation center (C in Fig. 7), the first The switch 110 is disposed at one end (left end of FIG. 2)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witch bracket 200, and the second switch 120 is the other end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witch bracket 200 (see FIG. On the right end).

모션감지센서(130)는 제1스위치(110)와 제2스위치(120)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스위치 브라켓(200)의 내주면에 이격되게 복수개가 마련된다. 일 예로, 제1스위치(110)와 제2스위치(120)의 사이에는 3개의 모션감지센서(130)가 구비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motion detection sensors 130 are provided to be spaced apart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witch bracket 200 so as to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switch 110 and the second switch 120. For example, three motion detection sensors 130 may be provided between the first switch 110 and the second switch 120.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스위치 브라켓 상에서 제1스위치 및 제2스위치의 위치를 서로 반대로 변경하거나, 제1스위치 및 제2스위치를 스위치 브라켓 상에서 여타 다른 위치에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르게는 별도의 스위치 브라켓을 배제하고 풋레스트 영역의 바닥에 제1스위치 및 제2스위치를 마련하는 것도 가능하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ons of the first switch and the second switch on the switch bracket may be changed opposite to each other, or the first switch and the second switch may be disposed at other positions on the switch bracket. Alternatively, it is possible to exclude a separate switch bracket and to provide the first switch and the second switch on the bottom of the footrest area.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용 풋 스위치 모듈(100)은, 탑승자의 발(F)로 조작 가능하게 풋레스트(12) 영역에 마련되며, 라디오의 온(ON) 상태에서, 라디오의 채널을 제어하는 제3스위치(142,144)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ehicle foot switch module 100 is provided in the footrest 12 area so as to be operable with the passenger's foot F, and in the radio ON state, the radio channel It may include a third switch (142, 144) for controlling.

일 예로, 도 3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3스위치(142,144)는 스위치 브라켓(200)의 내면에 마련될 수 있다.For example, referring to FIGS. 3 and 6, the third switches 142 and 144 may be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witch bracket 200.

바람직하게, 제3스위치(142,144)는 제1스위치(110) 및 제2스위치(120)의 상부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가령, 제1스위치(110)의 상부에 마련되는 제3스위치(142)를 조작하면 라디오 채널이 낮은 주파수 채널로 변경될 수 있고, 제2스위치(120)의 상부에 마련되는 제3스위치(144)를 조작하면 라디오 채널이 높은 주파수 채널로 변경될 수 있다.Preferably, the third switches 142 and 144 may be provided above the first switch 110 and the second switch 120, respectively. For example, when the third switch 142 provided on the first switch 110 is operated, the radio channel can be changed to a low frequency channel, and the third switch 144 provided on the second switch 120 ), the radio channel can be changed to a higher frequency channel.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풋레스트 영역의 바닥에 복수개의 제3스위치를 마련하거나, 풋레스트 영역의 바닥 또는 스위치 브라켓의 내면에 단 하나의 제3스위치만을 마련하는 것도 가능하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third switches may be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footrest area, or only one third switch may be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footrest area or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witch bracket.

이하에서는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풋 스위치 모듈(100)의 작동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operating the vehicle foot switch modul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9.

일 예로, 탑승자가 발로 제1스위치(110)를 1회 푸시 조작하면 공조유닛이 온(ON) 된다.(도 4 참조)For example, when the occupant pushes the first switch 110 once with a foot, the air conditioning unit is turned on (see FIG. 4).

공조유닛의 온(ON) 상태에서, 모션감지센서(130)에 제1스위치(110)에서 제2스위치(120)를 향하는 제1방향 스윙모션(예를 들어, 시계 방향 스윙모션)이 감지되면, 공조유닛의 바람세기가 크게 제어된다.(도 7 참조) 반면, 공조유닛의 온(ON) 상태에서, 모션감지센서(130)에 제2스위치(120)에서 제1스위치(110)를 향하는 제2방향 스윙모션(예를 들어, 반시계 방향 스윙모션)이 감지되면, 공조유닛의 바람세기가 작게 제어된다.(도 8 참조)In the ON state of the air conditioning unit, when the motion detection sensor 130 detects the first swing motion (eg, clockwise swing motion) from the first switch 110 toward the second switch 120 , The wind strength of the air conditioning unit is largely controlled. (See Fig. 7) On the other hand, in the ON state of the air conditioning unit, the motion detection sensor 130 from the second switch 120 to the first switch 110 When the second direction swing motion (for example, counterclockwise swing motion) is detected, the wind strength of the air conditioning unit is controlled to be small (see FIG. 8).

한편, 공조유닛의 온(ON) 상태에서, 탑승자가 발로 제1스위치(110)를 연속적으로 2회 푸시 조작하면 공조유닛이 오프(OFF)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ON state of the air conditioning unit, when the occupant continuously pushes the first switch 110 twice with a foot, the air conditioning unit is turned off.

다시, 도 9를 참조하면, 탑승자가 발로 제2스위치(120)를 1회 푸시 조작하면 라디오가 온(ON) 된다.(도 5 참조)Again, referring to FIG. 9, when a passenger pushes the second switch 120 once with a foot, the radio is turned on (see FIG. 5).

라디오의 온(ON) 상태에서, 모션감지센서(130)에 제1스위치(110)에서 제2스위치(120)를 향하는 제1방향 스윙모션(예를 들어, 시계 방향 스윙모션)이 감지되면, 라디오의 볼륨이 크게 제어된다.(도 7 참조) 반면, 라디오의 온(ON) 상태에서, 모션감지센서(130)에 제2스위치(120)에서 제1스위치(110)를 향하는 제2방향 스윙모션(예를 들어, 반시계 방향 스윙모션)이 감지되면, 라디오의 볼륨이 작게 제어된다.(도 8 참조)In the ON state of the radio, when the motion detection sensor 130 detects a first swing motion (for example, a clockwise swing motion) from the first switch 110 toward the second switch 120, The volume of the radio is largely controlled (see Fig. 7). On the other hand, in the ON state of the radio, the motion detection sensor 130 swings in the second direction from the second switch 120 to the first switch 110. When motion (eg, counterclockwise swing motion) is detected, the volume of the radio is controlled to be small (see Fig. 8).

라디오의 온(ON) 상태에서 탑승자가 발로 제3스위치(142)를 푸시 조작하면 라디오의 채널이 변경된다.When the passenger pushes the third switch 142 with their feet in the radio ON state, the radio channel is changed.

한편, 라디오의 온(ON) 상태에서, 탑승자가 발로 제2스위치(120)를 연속적으로 2회 푸시 조작하면 공조유닛이 오프(OFF)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radio ON state, if the occupant pushes the second switch 120 continuously twice with a foot, the air conditioning unit is turned off.

한편,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풋 스위치 모듈(10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아울러, 전술한 구성과 동일 및 동일 상당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동일 상당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Meanwhile, FIGS. 10 and 11 are views for explaining a vehicle foot switch module 100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same or the same equivalent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or the same equivalent parts as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전술 및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스위치(110), 제2스위치(120), 및 제3스위치(142)가 각각 개별적으로 장착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도 10과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풋레스트(12) 영역의 바닥면에는 통합스위치박스(150')가 마련될 수 있으며, 제1스위치(110'), 제2스위치(120'), 및 제3스위치(140')는 통합스위치박스(150') 상에 장착될 수 있다.In the above-described and illustrat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xample in which the first switch 110, the second switch 120, and the third switch 142 are individually mounted is described, but as shown in FI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invention, an integrated switch box 150 ′ may be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ootrest 12 area, and the first switch 110 ′, the second switch 120 ′, and the third The switch 140 ′ may be mounted on the integrated switch box 150 ′.

이와 같이 통합스위치박스(150') 상에 제1스위치(110'), 제2스위치(120'), 및 제3스위치(140')를 통합으로 장착하는 것에 의하여, 제1스위치(110'), 제2스위치(120'), 및 제3스위치(140')의 조작 경로 및 조작 시간을 단축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this way, by integrally mounting the first switch 110', the second switch 120', and the third switch 140' on the integrated switch box 150', the first switch 110' , It is possible to obtain an advantageous effect of shortening the operation path and operation time of the second switch 120', and the third switch 140'.

또한,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 및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스위치(110), 제2스위치(120), 및 제3스위치(142)가 풋레스트(12) 영역에 마련된 스위치 브라켓(200)에 장착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도 10과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스위치(110"), 제2스위치(120"), 및 제3스위치(140")가 풋레스트(12) 영역의 바닥면에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단, 모션감지센서(130)는 스위치 브라켓(200)의 내면에 장착될 수 있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ure 1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bove-described and illustrat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witch 110, the second switch 120, and the third switch 142 An example of being mounted on the switch bracket 200 provided in the footrest 12 area is described, bu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0, the first switch 110" and the second switch 120 ") and the third switch 140"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ootrest 12. However, the motion detection sensor 130 may be moun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witch bracket 200. I can.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it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variously modify and modify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following claims. You will understand that you can change it.

10 : 차량
12 : 풋레스트
100 : 차량용 풋 스위치 모듈
110,110',110" : 제1스위치
120,120',120" : 제2스위치
130 : 모션감지센서
132 : 제어부
142,144 : 제3스위치
150' : 통합스위치박스
200 : 스위치 브라켓
10: vehicle
12: footrest
100: vehicle foot switch module
110,110',110": 1st switch
120,120',120": 2nd switch
130: motion detection sensor
132: control unit
142,144: 3rd switch
150': Integrated switch box
200: switch bracket

Claims (11)

탑승자의 발로 조작 가능하게 차량의 풋레스트(footrest) 영역의 일측에 마련되며, 공조유닛의 온/오프(ON/OFF)를 제어하는 제1스위치;
상기 탑승자의 발로 조작 가능하게 상기 풋레스트 영역의 다른 일측에 마련되며, 라디오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제2스위치;
상기 풋레스트 영역에 마련되며, 상기 탑승자의 발 모션을 감지하는 모션감지센서; 및
상기 모션감지센서에서 감지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공조유닛 및 상기 라디오 중 어느 하나의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차량용 풋 스위치 모듈.
A first switch provided on one side of a footrest area of the vehicle so as to be manipulated by a passenger's feet, and controlling ON/OFF of the air conditioning unit;
A second switch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footrest area so as to be manipulated by the occupant's foot and controlling on/off of the radio;
A motion detection sensor provided in the footrest area and detecting motion of the passenger's foo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one of the air conditioning unit and the radio based on a signal detected by the motion detection sensor;
Vehicle foot switch module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위치를 1회 푸시 조작하면 상기 공조유닛이 온(ON)되고, 상기 제1스위치를 연속적으로 2회 푸시 조작하면 상기 공조유닛이 오프(OFF)되며,
상기 제2스위치를 1회 푸시 조작하면 상기 라디오가 온(ON)되고, 상기 제2스위치를 연속적으로 2회 푸시 조작하면 상기 라디오가 오프(OFF)되는 차량용 풋 스위치 모듈.
The method of claim 1,
When the first switch is pushed once, the air conditioning unit is turned on, and when the first switch is continuously pushed twice, the air conditioning unit is turned off,
A foot switch module for a vehicle in which the radio is turned on when the second switch is pushed once, and the radio is turned off when the second switch is continuously pushed twi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자의 발로 조작 가능하게 상기 풋레스트 영역에 마련되며, 상기 라디오의 온(ON) 상태에서, 상기 라디오의 채널을 제어하는 제3스위치를 포함하는 차량용 풋 스위치 모듈.
The method of claim 2,
A foot switch module for a vehicle including a third switch provided in the footrest area so as to be manipulated by the passenger's foot, and controlling a channel of the radio when the radio is turned 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풋레스트 영역에 마련되는 스위치 브라켓을 포함하되,
상기 제1스위치는 상기 스위치 브라켓의 내면 일측에 마련되고,
상기 제2스위치는 상기 스위치 브라켓의 내면 다른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모션감지센서는 상기 제1스위치와 상기 제2스위치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스위치 브라켓의 내면에 마련되는 차량용 풋 스위치 모듈.
The method of claim 3,
Including a switch bracket provided in the footrest area,
The first switch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switch bracket,
The second switch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switch bracket,
The motion detection sensor i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witch bracket so as to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switch and the second switch.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브라켓은, 상기 탑승자의 발뒤축을 회전 중심으로 하는 상기 탑승자의 발의 스윙 궤적에 대응하는 원호 단면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되,
상기 제1스위치는 상기 스위치 브라켓의 내주면 일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스위치는 상기 스위치 브라켓의 내주면 다른 일단부에 배치되는 차량용 풋 스위치 모듈.
The method of claim 4,
The switch bracket is formed to have an arc cross-sectional shape corresponding to the swing trajectory of the occupant's foot with the rotational center of the occupant's heel axis,
The first switch is disposed at one end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witch bracket, and the second switch is disposed at the other end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witch bracke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공조유닛의 온(ON) 상태에서,
상기 모션감지센서에 상기 제1스위치에서 상기 제2스위치를 향하는 제1방향 스윙모션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조유닛의 바람세기를 높이고,
상기 모션감지센서에 상기 제2스위치에서 상기 제1스위치를 향하는 제2방향 스윙모션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조유닛의 바람세기를 낮추는 차량용 풋 스위치 모듈.
The method of claim 5,
In the ON state of the air conditioning unit,
When the motion detection sensor detects a swing motion in the first direction from the first switch toward the second switch, the control unit increases the wind strength of the air conditioning unit,
When the motion detection sensor detects a second direction swing motion from the second switch toward the first switch, the control unit lowers the wind strength of the air conditioning uni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라디오의 온(ON) 상태에서,
상기 모션감지센서에 상기 제1스위치에서 상기 제2스위치를 향하는 제1방향 스윙모션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라디오의 볼륨을 높이고,
상기 모션감지센서에 상기 제2스위치에서 상기 제1스위치를 향하는 제2방향 스윙모션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라디오의 볼륨을 낮추는 차량용 풋 스위치 모듈.
The method of claim 5,
In the ON state of the radio,
When the motion detection sensor detects a swing motion in the first direction from the first switch toward the second switch, the control unit increases the volume of the radio,
When the motion detection sensor detects a second swing motion from the second switch toward the first switch, the control unit lowers the volume of the radio.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위치, 상기 제2스위치, 상기 제3스위치는 상기 풋레스트 영역의 바닥면에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차량용 풋 스위치 모듈.
The method of claim 3,
The first switch, the second switch, and the third switch ar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a bottom surface of the footrest area.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풋레스트 영역의 바닥면에 구비되는 통합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스위치, 상기 제2스위치, 상기 제3스위치는 상기 통합스위치 상에 장착되는 차량용 풋 스위치 모듈.
The method of claim 3,
Including an integrated switch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ootrest area,
The first switch, the second switch, and the third switch are mounted on the integrated switch.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3스위치는 상기 스위치 브라켓의 내면에 마련되는 차량용 풋 스위치 모듈.
The method of claim 4,
The third switch is a vehicle foot switch module provid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switch bracket.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3스위치는 상기 제1스위치 및 상기 제2스위치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상부에 배치되는 차량용 풋 스위치 모듈.
The method of claim 10,
The third switch is a vehicle foot switch module disposed on at least one of the first switch and the second switch.
KR1020190092510A 2019-07-30 2019-07-30 Foot switch module for vehicle KR2021001443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2510A KR20210014435A (en) 2019-07-30 2019-07-30 Foot switch module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2510A KR20210014435A (en) 2019-07-30 2019-07-30 Foot switch module for veh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4435A true KR20210014435A (en) 2021-02-09

Family

ID=74559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2510A KR20210014435A (en) 2019-07-30 2019-07-30 Foot switch module f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14435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78532B1 (en) Vehicle steering wheel
US10583855B2 (en) Steering device for a vehicle, in particular an electric vehicle
EP0553192B1 (en) Operation of servo devices for driving a motor vehicle-control, arrangement and method
JP3317848B2 (en) Air conditioning control switch for vehicle
JP6167779B2 (en) Vehicle shift device
US9751380B2 (en) Air vent assembly with integral air vent and control head
WO2018042857A1 (en) Operation device
ES2961953T3 (en) Control device for a vehicle and procedure for the operation of a control device
US8471401B2 (en) Switch device for vehicle
KR20120008507A (en) Vehicular input manipulation apparatus
JP6031469B2 (en) Auto auxiliary function unit setting device and steering column lever operator control assembly
US10443725B2 (en) Shift-by-wire module illumination strategy for vehicle
US20190263439A1 (en) Steering wheel having operator control elements, and method for setting a function for a vehicle
KR20210014435A (en) Foot switch module for vehicle
US20150167824A1 (en) Flap type electronic automatic transmission lever control method
US7156167B2 (en)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system and method
EP2818763B1 (en) Gear shift system for a motor vehicle with gear shift devices rotationally integral with a steering wheel, respective electronic control unit, software program product therefor and motor vehicle with such a system
GB2441340A (en) Operator interface sensing a touch position on a movable portion
JP6171756B2 (en) Vehicle shift device
JPH10244856A (en) Shift display device for transmission
JP4458723B2 (en) Steering switch evaluation method and steering switch
JP2002347433A (en) Air conditioning device for vehicle
GB2390416A (en) Rotary control arrangement for a vehicle heating, ventilation or air-conditioning (HVAC) system
KR101805705B1 (en) Control device for automotive vehicles
WO2023247505A1 (en) Climate controller and climate control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