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3031A - 작업 차량 - Google Patents

작업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3031A
KR20210013031A KR1020207031660A KR20207031660A KR20210013031A KR 20210013031 A KR20210013031 A KR 20210013031A KR 1020207031660 A KR1020207031660 A KR 1020207031660A KR 20207031660 A KR20207031660 A KR 20207031660A KR 20210013031 A KR20210013031 A KR 202100130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ipheral speed
shift stage
function
transmission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16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모유키 구로다
신스케 오자키
겐이치 미야이
Original Assignee
얀마 파워 테크놀로지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얀마 파워 테크놀로지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얀마 파워 테크놀로지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130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30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0/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0/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 B60K20/08Dashboard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10Input arrangements, i.e. from user to vehicle,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217Selector apparatus with electric switches or sensors not for gear or range selection, e.g. for controlling auxiliar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4Ratio selector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26Generation or transmission of movements for final actuating mechanisms
    • F16H61/28Generation or transmission of movements for final actuating mechanisms with at least one movement of the final actuating mechanism being caused by a non-mechanical force, e.g. power-assisted
    • F16H61/32Electric motors actuators or related electrical control mean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4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comprising signals other than signals for actuating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42Ratio indicator devic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05D1/021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with means for defining a desired trajectory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2Transplanting machines for seedl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31Pivotable input devices for instru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6Type of output information
    • B60K2360/162Visual feedback on control a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8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the output information, e.g. video entertainment or vehicle dynamics information;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output information, e.g. for attracting the attention of the dri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2059/0295Selector apparatus with mechanisms to return lever to neutral or datum position, e.g. by return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4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comprising signals other than signals for actuating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42Ratio indicator devices
    • F16H2063/423Range indicators for automatic transmissions, e.g. showing selected range or m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lanting Machines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 Gear-Shifting Mechanisms (AREA)

Abstract

슬라이드 기어 (70) 의 위치를 변경하는 것에 의해 엔진 (7) 으로부터 주행부로의 출력을 변속하는 변속 장치 (60) 와, 슬라이드 기어 (70) 의 위치를 변경하는 모터 (67) 와, 전후 좌우 방향으로 조작 가능하고, 중립 조작 위치로 되돌아가도록 탄성 지지되어 있는 크로스 레버식의 주변속 레버 (34) 와, 주변속 레버 (34) 의 전후 방향의 조작에 따라서 모터 (67) 를 작동시켜 변속 장치 (60) 의 변속단을 전환함과 함께, 변속 장치 (60) 의 변속단에 따라서 주변속 레버 (34) 의 좌우 방향의 조작에 의한 기능을 상이하게 하도록 구성된 제어 장치 (50) 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작업 차량
본 발명은, 변속 장치의 변속 조작을 실시하기 위한 조작구를 구비한 작업 차량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 에는, 변속 장치의 변속 조작을 실시하는 조작구의 전진 조작에 연동하여 작업부를 작동시키는 식부 (植付) 작동 스위치와, 그 작업부의 작동을 조작구에 의한 전진 조작에 연동시키는 상태와 연동시키지 않는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식부 연동 스위치를 구비한 작업 차량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의 작업 차량에서는, 변속 장치의 변속 조작을 실시하기 위한 조작구가, 레버 가이드에 의해 조작 범위가 규제된 레버에 의해 구성되어 있지만, 오퍼레이터의 노력을 저감하는 관점에서, 변속 조작을 보다 간단하게 실시할 수 있는 조작구의 제안이 요망된다. 또, 식부 연동 스위치는, 오로지 작업부의 작동과 조작구의 전진 조작의 연동을 전환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고, 다른 기능을 부여하는 경우에는, 이것과는 별개로 식부 연동 스위치와 같은 기구의 추가가 필요해진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14638호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조작구에 의한 변속 조작을 간단하게 실시할 수 있고, 게다가 조작구의 조작에 따른 다른 기능을 갖게 할 수 있는 작업 차량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작업 차량은, 변속 부재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구동원으로부터 주행부로의 출력을 변속하는 변속 장치와, 상기 변속 부재의 위치를 변경하는 액추에이터와, 전후좌우 방향으로 조작 가능하고, 중립 조작 위치로 되돌아오도록 탄성 지지되어 있는 크로스 레버식의 조작구와, 상기 조작구의 전후 방향의 조작에 따라 상기 액추에이터를 작동시켜 상기 변속 장치의 변속단을 전환함과 함께, 상기 변속 장치의 변속단에 따라 상기 조작구의 좌우 방향의 조작에 의한 기능을 상이하게 하도록 구성된 제어 장치를 구비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중립 조작 위치로 되돌아오도록 탄성 지지된 크로스 레버식의 조작구의 전후 방향의 조작에 따라 변속단을 전환할 수 있기 때문에, 조작구에 의한 변속 조작이 간단해진다. 게다가, 변속 장치의 변속단에 따라 조작구의 좌우 방향의 조작에 의한 기능을 상이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조작구의 조작에 따른 다른 기능을 갖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어 장치가, 상기 변속 장치의 변속단에 따른 상기 조작구의 좌우 방향의 조작에 의한 기능을 변경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특정한 변속단에 있어서 변속구를 좌우 방향으로 조작했을 때의 기능을 오퍼레이터의 형편에 맞추어 변경할 수 있어, 조작구에 의한 변속 조작이 더욱 간단해진다.
상기 제어 장치가, 상기 구동원이 정지되고 나서 재시동했을 때에, 상기 구동원이 정지되기 직전의 변속단을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구동원을 재시동했을 때에 다시 변속 조작을 실시할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에, 조작구에 의한 변속 조작이 더욱 간단해진다.
상기 제어 장치가, 상기 변속 장치의 변속단과 상기 조작구의 좌우 방향의 조작에 의한 기능의 조합에 관해서, 상기 구동원이 정지되고 나서 재시동했을 때에 적용되는 표준 모드를 설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구동원을 재시동했을 때에 소정의 표준 모드가 적용되므로, 재시동 후에 다시 기능 등의 설정을 실시할 필요가 없어, 조작구에 의한 변속 조작이 더욱 간단해진다.
도 1 은, 본 발명에 관련된 작업 차량의 일례인 이앙기의 좌측면도이다.
도 2 는, 주변속 레버의 조작에 관한 제어 블록도이다.
도 3 은, 운전 조작부의 대시 보드의 주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는, 주변속 로드와 그 주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 는, 주변속 로드의 기단부의 주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 은, 주변속 레버에 의한 변속 조작의 패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은, 표시 장치의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은, 주변속 레버에 의한 변속 조작의 다른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는, 주변속 레버에 의한 변속 조작의 다른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은, 주변속 레버에 의한 변속 조작의 다른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 은, 주변속 레버에 의한 변속 조작의 다른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 는, 주변속 레버에 의한 변속 조작의 다른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작업 차량의 일례로서, 도 1 에 나타내는 승용형의 이앙기 (1) 를 나타낸다. 단, 본 발명에 관련된 작업 차량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어, 트랙터나 모종 이식기, 수확기 등의 농용 작업기, 혹은 토목 건축 작업기여도 된다.
[전체 구조]
먼저, 이앙기 (1) 의 전체 구조에 대해 간단하게 설명한다. 도 1 에서는, 이앙기 (1) 의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을 화살표로 나타내고 있고, 지면 (紙面) 에 수직인 방향이 좌우 방향이 된다. 이앙기 (1) 는, 주행부 (10) 와, 작업부로서의 식부부 (20) 를 갖는다. 식부부 (20) 는, 주행부 (10) 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식부부 (20) 는, 승강 기구 (21) 를 개재하여 주행부 (10) 의 후부에 자유롭게 승강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다. 이앙기 (1) 는, 주행부 (10) 에 의해 포장 (圃場) 내를 주행하면서, 식부부 (20) 에 의해 모종을 심는 모종 심기 (모심기) 작업을 실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주행부 (10) 는, 주행 기체 (2) 와, 주행 기체 (2) 를 지지하는 좌우 1 쌍의 전륜 (3) 과, 동일하게 좌우 1 쌍의 후륜 (4) 을 갖는다. 전륜 (3) 은, 프론트 액슬 케이스 (5) 로부터 좌우 양측으로 연장된 전차축에 장착되어 있다. 프론트 액슬 케이스 (5) 는, 미션 케이스 (8) 의 측방에 형성되고, 주행 기체 (2) 의 전부에서 지지되어 있다. 후륜 (4) 은, 리어액슬 케이스 (6) 로부터 좌우 양측으로 연장된 후차축에 장착되어 있다. 리어액슬 케이스 (6) 는, 미션 케이스 (8) 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돌출된 통상 프레임 (9) 의 후단부에 형성되고, 주행 기체 (2) 의 후부에서 지지되어 있다.
주행 기체 (2) 의 전부에는, 구동원인 엔진 (7) 이 탑재되어 있다. 엔진 (7) 은, 보닛 (11) 에 의해 덮여 있다. 엔진 (7) 의 동력은, 엔진 (7) 의 후방에 배치된 미션 케이스 (8) 에 전달되고, 그 미션 케이스 (8) 의 내부에 수용된 변속 장치 (60) (도 4 참조) 를 통하여 전륜 (3) 및 후륜 (4) 에 전달된다. 전륜 (3) 및 후륜 (4) 에 동력을 전달하여 회전 구동시킴으로써, 주행부 (10) 가 전진 주행 또는 후진 주행할 수 있다.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주행 기체 (2) 의 중앙부에는, 운전 조작부 (30) 가 형성되어 있다. 오퍼레이터는, 주행 기체 (2) 의 상면측에 형성된 작업 스텝 (12) (차체 커버) 에 탑승하여, 운전 조작부 (30) 에 있어서 이앙기 (1) 의 운전 조작을 실시한다. 운전 조작부 (30) 의 전부에는, 대시 보드 (31) 가 형성되어 있다. 대시 보드 (31) 는, 보닛 (11) 의 후부 상면측에 배치되어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대시 보드 (31) 에는, 조향 핸들 (32) 을 포함하는 복수의 조작구가 배치되어 있다. 대시 보드 (31) 의 후방에는, 시트 프레임 (13) 을 개재하여 조종 좌석 (14) 이 설치되어 있다.
주행 기체 (2) 에는, 도 1 에 있어서 도시되지 않은 제어 장치 (50) (도 2 참조) 가 형성되어 있다. 제어 장치 (50) 는, 이앙기 (1) 에 구비된 센서 등으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이앙기 (1) 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도 2 는, 그 기능의 일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제어 장치 (50) 는, 여러 가지의 정보를 기억하기 위한 기억부 (51) 와, 후술하는 바와 같은 여러 가지의 제어에 필요한 처리를 실시하기 위한 처리부 (52) 를 가지고 있다.
주행 기체 (2) 의 후단부에는, 링크 프레임 (17) 이 세워 설치되어 있다. 링크 프레임 (17) 에는, 승강 기구 (21) 를 개재하여 식부부 (20) 가 자유롭게 승강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다. 승강 기구 (21) 는, 로어 링크 (21a) 와 톱 링크 (21b) 를 갖는다. 로어 링크 (21a) 에는, 유압식의 승강 실린더 (22) 의 로드 선단부가 연결되어 있다. 승강 실린더 (22) 의 실린더 기단부는, 통상 프레임 (9) 의 상면 후부에 상하 회동 (回動)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승강 실린더 (22) 를 신축시킴으로써 승강 기구 (21) 가 상하 방향으로 회동하여, 식부부 (20) 가 승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식부부 (20) 는, 엔진 (7) 으로부터 미션 케이스 (8) 및 PTO 축 (동력 전달축) (18) 을 경유한 동력이 전달되는 식부 입력 케이스 (23) 와, 식부 입력 케이스 (23) 에 연결된 복수의 식부 전동 케이스 (24) 와, 각 식부 전동 케이스 (24) 의 후단측에 형성된 모종 심기 기구 (25) 와, 모종 매트가 재치되는 묘재대 (26) 를 구비하고 있다. 식부부 (20) 에 대한 모종 보충 (모종 보급) 에 제공되는 예비 모종은, 보닛 (11) 의 좌우 양 측방에 배치된 예비 묘재대 (15) 에 재치된다. 예비 묘재대 (15) 는, 주행 기체 (2) 의 전부의 좌우 양측에 세워 설치된 장착 프레임 (16) 에 장착되어 있다.
모종 심기 기구 (25) 에는, 1 조분 2 개의 식부 클로 (27, 27) 를 갖는 로터리 케이스 (28) 가 형성되어 있다. 로터리 케이스 (28) 의 회전 동작에 수반하여, 2 개의 식부 클로 (27, 27) 가 모종 매트로부터 교대로 모종을 취출하여 포장에 식부한다. 본 실시형태의 이앙기 (1) 는, 8 조 심기의 이앙기이기 때문에, 8 조용 4 세트 (2 조로 1 세트) 의 식부 전동 케이스 (24) 를 구비하고, 묘재대 (26) 도 8 조 심기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단, 이앙기 (1) 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6 조 심기나 10 조 심기의 이앙기여도 상관없다.
식부부 (20) 의 좌우 외측에는, 각각 사이드 마커 (29) 가 형성되어 있다. 사이드 마커 (29) 는, 선긋기용의 마커륜체 (29w) 와, 마커륜체 (29w) 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마커 아암 (29a) 을 갖는다. 마커 아암 (20a) 의 기단부는, 식부부 (20) 의 좌우 외측에 있어서, 좌우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사이드 마커 (29) 는, 마커륜체 (29w) 를 하강시켜 다음 공정에서의 기준이 되는 궤적을 논바닥에 형성하는 착지 자세와, 마커륜체 (29w) 를 상승시켜 논바닥으로부터 떼어 놓은 비착지 자세 (도 1 참조) 사이에서 변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운전 조작부]
다음으로, 운전 조작부 (30) 에 대해 설명한다.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향 핸들 (32) 은,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대시 보드 (31) 의 중앙부에 배치되어 있다. 대시 보드 (31) 에는, 조향 핸들 (32) 에 추가로, 키 스위치 (33), 주변속 레버 (34), 작업 레버 (35), 속도 고정 레버 (36) 등의 복수의 조작구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대시 보드 (31) 에는, 각종의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장치 (40) 가 설치되어 있다. 표시 장치 (40) 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대시 보드 (31) 의 중앙부로서, 조향 핸들 (32) 의 전방에 배치되어 있다. 표시 장치 (40) 는, 컬러 액정 모니터에 의해 구성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키 스위치 (33) 는, 엔진 (7) 을 시동 또는 정지시키기 위한 조작구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대시 보드 (31) 의 중앙부에 키 스위치 (33) 가 배치되어 있다. 주변속 레버 (34) 는, 변속 장치 (60) 의 변속단 (변속비) 을 전환하기 위한 조작구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대시 보드 (31) 의 좌단부 (조향 핸들 (32) 의 좌방) 에 주변속 레버 (34) 가 배치되어 있다. 주변속 레버 (34) 는, 크로스 레버식의 조작구로서 구성되어 있고, 그 상세한 것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주변속 레버 (34) 의 조작 부위 (후술하는 그립부 (34c)) 는, 조향 핸들 (32) 의 축심 (32a) 보다 오퍼레이터측 (즉, 후방측) 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오퍼레이터가 주변속 레버 (34) 를 보다 가까이에서 조작할 수 있다. 또, 조작에 필요한 원주 거리를 유지한 채로,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대시 보드 (31) 의 중앙 가까이에 주변속 레버 (34) 를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오퍼레이터가 주변속 레버 (34) 를 더욱 가까이에서 조작할 수 있다.
작업 레버 (35) 는, 식부부 (20) 의 승강이나, 사이드 마커 (29) 의 자세 변경 등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구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대시 보드 (31) 의 우단부 (조향 핸들 (32) 의 우방) 에 작업 레버 (35) 가 배치되어 있다. 속도 고정 레버 (36) 는, 이앙기 (1) 의 차속을 고정 (설정한 주행 속도를 유지) 시키거나, 그 속도의 고정을 해제하거나 하기 위한 조작구이다. 속도 고정 레버 (36) 는, 조향 핸들 (32) 의 축에 장착되고, 우방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어 있다.
작업 레버 (35) 는, 전후좌우 방향으로 경도 조작 가능하고, 중립 조작 위치로 되돌아오도록 탄성 지지되어 있는 크로스 레버식의 조작구이다. 작업 레버 (35) 를 1 회 전경 (前傾) 조작하면 식부부 (20) 가 하강하고, 다시 1 회 전경 조작하면 PTO 축 (18) 으로 동력이 전달되어 (즉, 식부부 (20) 가 구동되어) PTO 가 「켜짐 (온)」 상태가 된다. 반대로, 작업 레버 (35) 를 1 회 후경 (後傾) 조작하면 PTO 축 (18) 으로의 동력이 차단되어 PTO 가 「꺼짐 (오프)」 상태가 되고, 다시 1 회 후경 조작하면 식부부 (20) 가 상승한다. 또, 작업 레버 (35) 를 1 회 왼쪽으로 경도 조작하면 좌측의 사이드 마커 (29) 가 착지 자세가 되고, 다시 1 회 왼쪽으로 경도 조작하면 착지 자세로 되돌아온다. 마찬가지로, 작업 레버 (35) 를 1 회 오른쪽으로 경도 조작하면 우측의 사이드 마커 (29) 가 착지 자세가 되고, 다시 1 회 오른쪽으로 경도 조작하면 비착지 자세로 되돌아온다.
대시 보드 (31) 의 하방에는, 도시되지 않은 변속 페달이나 브레이크 페달이 설치되어 있다. 변속 페달은, 이앙기 (1) 의 차속을 변경하기 위한 조작구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엔진 (7) 의 회전수, 및, 도 4 에 나타내는 유압식 무단 변속기 (HST) (61) 의 변속비를 변경하기 위한 조작구이다. HST (61) 는, 도시되지 않은 유성 기어 장치와 함께 유압-기계식 무단 변속기를 구성한다. 브레이크 페달은, 이앙기 (1) 를 제동하기 위한 조작구이다. 일반적으로, 변속 페달은 대시 보드 (31) 의 우측 하방에 배치되고, 브레이크 페달은 변속 페달의 좌방에 배치된다.
[주변속 레버에 의한 변속 조작]
다음으로, 주변속 레버 (34) 에 의한 변속 조작에 대해 설명한다. 종래, 변속 장치의 변속단을 전환하기 위한 주변속 레버는, 레버 가이드에 의해 조작 범위가 규제된 레버에 의해 구성되어 있지만, 본 실시형태의 이앙기 (1) 가 구비하는 주변속 레버 (34) 는, 전후좌우 방향으로 조작 가능하고, 중립 조작 위치로부터 전후좌우 중 어느 곳으로 조작한 후, 중립 조작 위치로 되돌아오도록 탄성 지지되어 있는 크로스 레버식의 조작구로서 구성되어 있다.
주변속 레버 (34) 는, 도 4 및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시 보드 (31) 상에서 전후좌우 방향으로만 경도하는 축부 (34a) 와, 축부 (34a) 의 하단에서 전후좌우 방향으로의 경도 기구를 구비하는 기부 (34b) 와, 축부 (34a) 의 상단에 형성된 그립부 (34c) 를 구비한다. 기부 (34b) 의 내측에는, 주변속 레버 (34) 의 경도 조작 위치를 검지하는 레버 위치 센서 (34s) 가 형성되어 있다. 레버 위치 센서 (34s) 에 의해 검지한 주변속 레버 (34) 의 경도 조작 위치는, 레버 위치 신호로서 제어 장치 (50) 에 송신된다 (도 2 참조). 제어 장치 (50) 는, 그 레버 위치 신호에 기초하여 모터 (67) 를 작동시킨다.
도 4 에서는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지만, 미션 케이스 (8) 의 내부에는 변속 장치 (60) 가 탑재되어 있다. 변속 장치 (60) 는, 변속 부재로서의 슬라이드 기어 (70) (도 2 참조) 를 구비하고 있다. 변속 장치 (60) 에 있어서 맞물리는 기어의 조합은, 슬라이드 기어 (70) 의 위치에 따라 변화한다. 변속 장치 (60) 는, 맞물리는 기어의 조합에 따라, 엔진 (7) 으로부터 HST (61) 를 경유하여 전달된 동력을 복수단으로 변속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요컨대, 변속 장치 (60) 는, 변속 부재인 슬라이드 기어 (70) 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엔진 (7) 으로부터 주행부 (10) 로의 출력을 변속한다. 변속 장치 (60) 는, 공지된 기어식 다단 변속 장치에 의해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변속 장치 (60) 의 구조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슬라이드 기어 (70) 는, 미션 케이스 (8) 의 외부에 배치된 슬라이드 기어 조작부 (62) 에 연결되어 있다. 슬라이드 기어 조작부 (62) 는, 링크 기구를 개재하여 주변속 로드 (63) 의 선단부 (하단부) 에 연결되어 있다.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변속 로드 (63) 의 기단부 (63b) (상단부) 는 좌우 방향을 따라 축상으로 연장되어 있고, 그 양 단부가, 각각 브래킷 (64) 과 섹터 기어 (65) 의 돌기부 (65a) 에 고정되어 있다. 브래킷 (64) 은, 주변속 레버 (34) 를 장착하고 있는 칼럼 (66) 에 대해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게 지지되어 있다. 섹터 기어 (65) 는, 모터 (67) 의 출력축에 연결된 기어 (68) 에 맞물려 있다.
모터 (67) 를 작동하여 섹터 기어 (65) 를 회동시킴으로써, 주변속 로드 (63) 가 상하 방향으로 회동하고, 슬라이드 기어 조작부 (62) 를 개재하여 미션 케이스 (8) 내의 슬라이드 기어 (70) 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모터 (67) 는, 변속 부재인 슬라이드 기어 (70) 의 위치를 변경하는 액추에이터에 상당한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모터 (67) 의 작동은 제어 장치 (50) 에 의해 제어된다. 제어 장치 (50) 는, 주변속 레버 (34) 의 전후 방향의 조작에 따라 모터 (67) 를 작동시키고, 그것에 의해 슬라이드 기어 (70) 의 위치를 변경하여 변속 장치 (60) 의 변속단을 전환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변속 장치 (60) 가, 「F1」, 「F2」, 「N」 및 「R」 의 4 개의 변속단으로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F1」 및 「F2」 에서는, 각각 주행부 (10) 로 전진 방향의 동력이 전달된다. 「F1」 은, 이른바 작업속이며, 이앙기 (1) 는 「F2」 에 비해 저속으로 전진할 수 있다. 또, 「F1」 에서는, PTO 를 「켜짐」 상태로 함으로써, 식부부 (20) 를 구동시켜 모종 심기 작업을 실시하면서 이앙기 (1) 를 주행시킬 수 있다. 「F2」 는, 이른바 노상속 (路上速) 이며, 이앙기 (1) 는 「F1」 에 비해 고속으로 전진할 수 있다. 「N」 은, 중립 (뉴트럴) 이다. 「N」 에서는, 주행부 (10) 로 동력이 전달되지 않기 때문에, 이앙기 (1) 는 주행할 수 없다. 단, PTO 를 「켜짐」 상태로 하여 식부부 (20) 를 구동시킬 수는 있다. 「R」 은, 역전 (리버스) 이다. 「R」 에서는, 주행부 (10) 로 후진 방향의 동력이 전달되어, 이앙기 (1) 는 후진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변속단이 「N」 인 상태에서는, 「모종 보충」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모종 보충은, 묘재대 (26) 에 모종을 채워 넣는 (모종 보급을 실시하는) 작업이다. 「모종 보충」 모드에서는, 엔진 (7) 의 회전수를 변경하거나, 변속 페달을 조작해도 HST (61) 의 변속비가 변하지 않게 하거나 하는 등, 제어 장치 (50) 에 의해 소정의 제어가 실시된다.
도 6 은, 표시 장치 (40) 에 표시되는 아이콘 S1 ∼ S5 (도 7 참조) 와, 주변속 레버 (34) 의 조작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를 사용하여, 변속 조작의 패턴을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아이콘 S1 ∼ S4 는, 각각 상기 서술한 4 개의 변속단에 대응하고 있다. 아이콘 S5 는, 「모종 보충」 에 대응하고 있다. 도 6 에서는, 아이콘 S1 ∼ S5 중, 선택되어 있는 변속단이나 기능을 나타내는 아이콘이 백색 표시되어 있다. 따라서, 파선 프레임 E1 로 둘러싸인 부분은, 변속단이 「F1」 인 상태를 의미하고, 파선 프레임 E2 로 둘러싸인 부분은, 변속단이 「F2」 인 상태를 의미한다. 후술하는 도 8 ∼ 12 도, 이것에 준하여 기재되어 있다. 이 백색 표시는, 표시 장치 (40) 의 화면 상, 색이나 밝기 등에 의한 강조 표시를 의미한다.
도 6 에 있어서, 변속단이 「N」 인 상태를 출발점으로 한 경우, 주변속 레버 (34) 를 1 회 전경 조작하면 「F1」 로 전환된다. 또, 「F1」 로 전환된 상태에서 1 회 후경 조작하면 「N」 으로 전환된다. 경도 조작한 주변속 레버 (34) 는 중립 조작 위치로 되돌아오도록 탄성 지지되지만, 중립 조작 위치로의 복귀에 의해 변속단은 전환되지 않는다. 「N」 과 「R」 의 전환, 및, 「F1」 과 「F2」 의 전환도, 이것과 동일하게 실시된다. 이와 같이, 제어 장치 (50) 는, 주변속 레버 (34) 의 전후 방향의 조작에 따라 변속 장치 (60) 의 변속단을 전환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F1」, 「F2」, 「N」 및 「R」 의 4 개의 변속단이, 주변속 레버 (34) 의 전후 방향의 조작만으로 전환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변속단이 「N」 인 상태에서 주변속 레버 (34) 를 1 회 오른쪽으로 경도 조작하면, 주행부 (10) 에 동력을 전달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면서 「모종 보충」 모드로 전환된다. 또, 「모종 보충」 모드로 전환된 상태에서 주변속 레버 (34) 를 1 회 왼쪽으로 경도 조작하면, 「모종 보충」 모드를 종료하여, 변속단이 「N」 의 상태로 되돌아온다. 「N」 이외의 변속단에서는, 주변속 레버 (34) 를 좌우 방향으로 경도 조작해도, 그러한 기능은 발휘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제어 장치 (50) 는, 그 변속 장치 (60) 의 변속단에 따라 주변속 레버 (34) 의 좌우 방향의 조작에 의한 기능을 상이하게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이앙기 (1) 에 의하면, 중립 조작 위치로 되돌아오도록 탄성 지지된 크로스 레버식의 조작구인 주변속 레버 (34) 의 전후 방향의 조작에 따라 변속단이 전환되기 때문에, 변속 조작이 간단해진다. 게다가, 변속 장치 (60) 의 변속단에 따라 주변속 레버 (34) 의 좌우 방향의 조작에 의한 기능을 상이하게 할 수 있으므로, 주변속 레버 (34) 의 조작에 따른 다른 기능을 갖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6 의 예에서는, 변속 기능과는 다른 기능으로서, 「모종 보충」 모드로의 전환에 관한 기능을 갖게 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후술하는 A/B 점의 등록이나 자동 주행의 온/오프 등, 다른 기능을 갖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어 장치 (50) 는, 변속단이 「F2」 인 동안에는, PTO 가 항상 「꺼짐」 상태가 되도록 제어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앙기 (1) 의 통상적인 조작에서는, 변속단이 「F2」 인 상태에서 식부부 (20) 를 구동시키는 장면이 상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동일한 이유로, 제어 장치 (50) 는, 변속단이 「F1」 인 상태에서 PTO 를 「켜짐」 상태로 하고 있는 동안에는, 「N」 또는 「F2」 에 대한 변속 조작을 할 수 없는, 즉 주변속 레버 (34) 를 전후 방향으로 조작해도 입력되지 않도록 (캔슬되도록) 제어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 과 같이, 주변속 레버 (34) 의 조작에 의해 전환 가능한 변속단과 기능에 관한 정보는, 표시 장치 (40) 에 표시된다. 주변속 레버 (34) 의 전후 방향의 조작에 의해 변속단을 전환하거나, 좌우 방향의 조작에 의해 다른 기능을 작용시키거나 한 경우에는, 그 조작에 연동하여 정보가 갱신된다. 이와 같은 표시 장치 (40) 의 표시는, 제어 장치 (50) 에 의해 제어된다. 이로써, 오퍼레이터는, 전환 가능한 변속단이나 기능을 수시로 시인하여, 시각적으로 조작할 수 있다. 주변속 레버 (34) 를 좌우 방향으로 조작했을 때의 기능은 변속단마다 상이하지만, 그 내용이 표시 장치 (40) 에 표시되어 있음으로써, 오퍼레이터의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환 가능한 변속단 (즉, F1, F2, N, R) 을 나타내는 아이콘 S1, S2, S3, S4 와, 그 변속단에 따라 전환 가능한 기능 (즉, 모종 보충) 을 나타내는 아이콘 S5 가, 주변속 레버 (34) 의 조작 방향에 따라서 배치되어 있다. 예를 들어, 주변속 레버 (34) 의 우방으로의 경도 조작에 의해 「N」 으로부터 전환되는 「모종 보충」 의 아이콘 S5 는, 「N」 의 아이콘 S3 의 우방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오퍼레이터의 직감적인 조작에 이바지하는 것이 되어, 주변속 레버 (34) 에 의한 변속 조작이 간단해진다. 또, 도면에서 표현되어 있지 않지만, 아이콘 S1 ∼ S5 는 서로 상이한 색으로 표시되어 있어, 시인성이 높아져 있다. 아이콘 S6, S7 은, 도 6 의 조작 패턴에서는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비표시이지만, 기능이 할당되어 있으면, 이것들도 표시 장치 (40) 에 표시될 수 있다.
표시 장치 (40) 의 화상은, 주변속 레버 (34) 의 변속 조작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란 C1 과, 그 좌측에 배치된 표시란 C2 와, 동일하게 우측에 배치된 표시란 C3 과, 하측에 배치된 표시란 C4 를 포함한다. 표시란 C1 ∼ C4 의 각각에 표시되는 정보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아워 미터나 시각, 연료 게이지, 모종 사용량, 식부 면적, 모종 보충의 재촉 통지 등, 여러 가지의 정보를 표시 가능하다. 표시란 C4 에는, 후술하는 설정 화면으로 이행하기 위한 메뉴 아이콘 S8 이 표시되어 있다. 도 7 의 표시 화면은, 어디까지나 일례이며, 표시 내용이나 화상 레이아웃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표시란 C1 에는, 아이콘 S1 ∼ S5 에 추가로, 좌우의 사이드 마커 (29) 의 각각의 상태를 나타내는 아이콘 S9, S10 이 표시되어 있다. 표시란 C1 에서는, 선택되어 있는 변속단이나 기능을 나타내는 아이콘 (도 7 에서는 아이콘 S3) 이 색이나 밝기 등으로 강조 표시되어 있어, 오퍼레이터가 현재의 상태를 시인할 수 있다. 아이콘 S9, S10 도, 이것과 마찬가지이다. 도시를 생략하고 있지만, 표시란 C1 에는, 속도 고정의 온/오프나, PTO 의 온 (켜짐)/오프 (꺼짐) 에 관한 정보도 표시되어 있다. 이들 정보는, 예를 들어, 아이콘 또는 문자의 표시, 혹은 배경색의 반전에 의해 표시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어 장치 (50) 가, 변속 장치 (60) 의 변속단에 따른 주변속 레버 (34) 의 좌우 방향의 조작에 의한 기능을 변경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도 6 의 조작 패턴에서는, 변속단이 「N」 인 상태에서 주변속 레버 (34) 를 1 회 오른쪽으로 경도 조작하면 「모종 보충」 모드로 전환할 수 있지만, 이것을 왼쪽으로의 경도 조작으로 전환 가능하게 하거나, 또는 도 8 과 같이 좌우 어느 쪽의 경도 조작으로도 전환 가능하게 하거나 하는 등,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나아가서는, 「모종 보충」 이외의 기능을 추가 가능하고, 그 경우, 「N」 이외의 변속단으로부터 전환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다 (도 11 및 12 참조).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모종 보충」 모드는, 변속단이 「N」 인 상태에서만 전환 가능하게 설정되어 있지만, 「모종 보충」 이외의 추가 가능한 기능으로는, 이와 같은 특정한 변속단에서만 전환 가능하게 설정되는 기능 (특정 기능) 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변속단을 불문하고, 어느 변속단으로부터도 전환 가능하게 설정되는 기능 (범용 기능) 을 추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범용 기능으로는, 예를 들어, 경적 (호른) 을 발하는 「경적」 모드를 들 수 있다. 「경적」 외에도, 변속단을 불문하고 전환 가능하게 설정되는 범용 기능을 필요에 따라 추가할 수 있다.
각 변속단으로부터 주변속 레버 (34) 의 좌우 방향으로의 경도 조작에 의해 전환 범용 기능으로서 「경적」 모드를 추가한 경우, 그 「경적」 모드는, 변속단이 「F2」 나 「R」 인 상태로부터 전환되었을 때에는, 노상 주행 중에 있어서의 주행 기체 (2) 의 전방 또는 후방에 주의를 재촉하는 기능이 되고, 변속단이 「F1」 인 상태로부터 전환되었을 때에는, 식부 주행을 상정하여, 모종 심기 작업 중에 있어서의 트러블의 발생을 주위의 보조 작업자에게 알리는 기능이 된다. 마찬가지로, 변속단이 「N」 인 상태로부터 전환되었을 때 (「모종 보충」 모드를 설정한 방향과는 상이한 방향으로의 경도 조작에 의해 전환되었을 때) 에는, 주행 기체 (2) 의 농용 자재의 보급 타이밍을 주위의 보조 작업자에게 알리는 기능이 된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는, 전환할 때의 변속단에 따라, 경보음의 높이나 크기, 음색을 다르게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특정한 변속단에 있어서 주변속 레버 (34) 좌우 방향으로 조작했을 때의 기능을 오퍼레이터의 형편에 맞추어 변경할 수 있는 것에 의해, 주변속 레버 (34) 에 의한 변속 조작이 더욱 간단해진다. 이러한 설정 변경은, 소정의 설정 화면에 있어서 실시된다. 설정 화면에는, 대시 보드 (31) 의 셀렉트 다이얼 (37) (도 3 참조) 등을 조작하여 화면 상의 메뉴 아이콘 S8 로부터 이행할 수 있다. 이 기능 변경에 관한 설정 정보, 및, 후술하는 표준 모드에 관한 설정 정보는, 제어 장치 (50) 의 기억부 (51) 에 기억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어 장치 (50) 가, 엔진 (7) 이 정지되고 나서 재시동했을 때에, 엔진 (7) 이 정지되기 직전의 변속단을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변속단이 「F1」 인 상태에서 엔진 (7) 을 정지시키면, 재시동시의 변속단은 「F1」 이 된다. 요컨대, 변속단이 「F1」 인 상태에서 엔진 (7) 을 정지시키고, 재시동하면, 주변속 레버 (34) 의 좌우 방향의 조작은 변속단이 「F1」 인 상태에 대응한 기능이 발현된다. 마찬가지로, 다른 변속단 「F2」, 「N」, 「R」 의 상태에서도 엔진 (7) 을 정지시켜, 재시동하면, 주변속 레버 (34) 의 좌우 방향의 조작은 엔진 (7) 이 정지되기 직전의 변속단의 상태에 대응한 기능이 발현된다. 이로써, 엔진 (7) 을 재시동했을 때에 다시 변속 조작을 실시할 필요가 없어, 변속 조작이 더욱 간단해진다. 엔진 (7) 이 정지되기 직전의 변속단 (즉, 슬라이드 기어 (70) 의 위치) 에 관한 정보는, 예를 들어, 변속 장치 (60) 에 형성한 퍼텐쇼미터 (69) (도 2 참조) 에 의해 검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어 장치 (50) 가, 변속 장치 (60) 의 변속단과 주변속 레버 (34) 의 좌우 방향의 조작에 의한 기능의 조합에 관해서, 엔진 (7) 이 정지되고 나서 재시동했을 때에 적용되는 표준 모드를 설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도 6 의 조작 패턴을 표준 모드로서 설정해 두면, 도 8 의 조작 패턴으로 변경한 후에 엔진 (7) 을 정지시켜도, 재시동했을 때에 표준 모드인 도 6 의 조작 패턴이 적용된다. 이 때문에, 재시동 후에 다시 설정할 필요가 없어, 변속 조작이 더욱 간단해진다. 다른 조작 패턴, 예를 들어 도 8 ∼ 12 에 나타내는 조작 패턴을 표준 모드로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표준 모드의 설정은, 상기 서술한 설정 화면에 있어서 실시된다.
[조작 패턴의 그 밖의 예]
다음으로, 변속 장치 (60) 의 변속단과 주변속 레버 (34) 의 좌우 방향의 조작에 의한 기능의 조합에 관한 조작 패턴에 관해서, 그 밖의 예를 도 9 ∼ 12 에 나타낸다. 또한, 특정한 변속단으로부터 전환되는 기능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후술하는 기능 이외의 기능을 추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9 및 10 의 조작 패턴은, 각각, 「F1」 과 「F2」 의 전환을 제외하고 도 6 의 조작 패턴과 동일하기 때문에, 공통점의 설명을 생략하고 상이점에 대해 설명한다. 도 9 의 조작 패턴에서는, 변속단이 「F1」 인 상태에서 주변속 레버 (34) 를 1 회 오른쪽으로 경도 조작하면, 「F2」 로 전환된다. 또, 변속단이 「F2」 인 상태에서 주변속 레버 (34) 를 1 회 왼쪽으로 경도 조작하면, 「F1」 로 전환된다. 이와 같이, 변속단을 전환하기 위한 변속 조작은, 주변속 레버 (34) 의 전후 방향의 조작뿐만 아니라, 그 일부에 주변속 레버 (34) 의 좌우 방향의 조작을 포함해도 된다. 단, 「F1」, 「N」 및 「R」 의 3 개의 변속단은, 주변속 레버 (34) 의 전후 방향의 조작만으로 전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 의 조작 패턴에서는, 「F1」 과 「F2」 사이에, 아이콘 S11 로 나타내는 「중간」 의 상태가 개재된다. 변속단이 「F1」 인 상태에서 주변속 레버 (34) 를 1 회 오른쪽으로 경도 조작하면, 표시 장치 (40) 의 화면 상, 「중간」 의 아이콘 S11 이 강조 표시되지만, 변속단은 「F1」 인 채로 변화되지 않는다. 그리고, 그 상태에서 주변속 레버 (34) 를 1 회 전경 조작함으로써, 변속단이 「F2」 로 전환된다. 「F2」 로부터 「F1」 로의 전환도 이것과 동일하고, 「중간」 의 상태를 경유하는 것이 필요해지지만, 「중간」 으로의 조작에 의해 변속단은 전환되지 않는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오퍼레이터가 의도치않게 「F1」 로부터 「F2」 로 전환하는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다. 또, 「F1」 의 아이콘 S1 의 우측 위에 「F2」 의 아이콘 S2 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의 변속 레버의 변속 포지션에 익숙한 오퍼레이터가 조작하기 쉬운 것이 된다.
도 11 의 조작 패턴에서는, 자동 주행에 의한 직진 보조 작업에 관한 기능이 추가되어 있다. 이러한 자동 주행은, 위성 측위 시스템 등에 의해 차량 위치 정보를 취득하면서, 직진 주행의 기준이 되는 직선상의 티칭 경로를 생성함으로써, 자율적으로 직진 주행할 수 있는 기술이며, 예를 들어 본 출원인에 의한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8-67617호에 개시되어 있다. 자율적으로 직진 주행할 뿐만 아니라, 위성 측위 시스템으로부터 얻어진 측위 정보를 사용하여, 직진 주행의 경로끼리를 연결하는 선회 경로를 자율적으로 선회 주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기술에 의하면, 이앙기 (1) 에 의한 모종 심기 작업을 간략화하여, 오퍼레이터의 부담을 경감시켜,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자동 주행에 의한 직진 보조 작업에는, A 점으로 불리는 티칭 경로의 개시점의 등록, B 점으로 불리는 티칭 경로의 종료점의 등록, 및 자동 주행의 온/오프의 조작이 필요해진다.
도 11 의 조작 패턴에서는, 변속단이 「F1」 인 상태에서 주변속 레버 (34) 를 좌우 방향으로 조작함으로써, 자동 주행에 의한 직진 보조 작업에 관한 기능이 발휘된다. 표시 장치 (40) 의 화면 상, 「F1」 의 아이콘 S1 의 좌방에는, A 점 및 B 점의 등록에 관한 아이콘 S6 이 배치되고, 아이콘 S1 의 우방에는, 자동 주행의 온/오프에 관한 아이콘 S7 이 배치되어 있다 (도 7 참조). 「F2」, 「N」, 「R」 및 「모종 보충」 에 관한 조작은, 도 6 의 조작 패턴과 동일하기 때문에,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변속단이 「F1」 인 상태에서 주변속 레버 (34) 를 1 회 왼쪽으로 경도 조작하면, 그 조작했을 때의 이앙기 (1) 의 위치가 A 점으로서 등록되어, 그 위치 정보가 기억부 (51) 에 기억된다. 표시 장치 (40) 의 화면에서는, A 점이 등록된 것을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아이콘 S6 이 강조 표시된다. 또, A 점이 등록된 상태에서 주변속 레버 (34) 를 1 회 왼쪽으로 경도 조작하면, 그 조작했을 때의 이앙기 (1) 의 위치가 B 점으로서 등록되어, 그 위치 정보가 기억부 (51) 에 기억된다. 표시 장치 (40) 의 화면에서는, A 점에 추가로 B 점도 등록된 것을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아이콘 S6 이 강조 표시된다.
그리고, A 점 및 B 점을 등록한 후, 변속단이 「F1」 인 상태에서 주변속 레버 (34) 를 1 회 오른쪽으로 경도 조작하면, 자동 주행이 온이 된다. 이로써, A 점과 B 점을 연결하는 티칭 경로에 대해 평행한 경로를 따라, 이앙기 (1) 를 자율적으로 직진 주행시킬 수 있다. 표시 장치 (40) 의 화면 상, 자동 주행이 온이 된 것을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아이콘 S7 이 강조 표시된다. 자동 주행이 온이 된 상태에서 주변속 레버 (34) 를 1 회 오른쪽으로 경도 조작하면, 자동 주행이 오프가 된다. 표시 장치 (40) 의 화면에서는, 자동 주행이 오프가 된 것을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아이콘 S7 의 강조 표시가 해제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모종 보충」 모드의 전환뿐만 아니라, A/B 점의 등록, 및, 자동 주행의 온/오프의 전환과 같은, 변속 조작과는 다른 기능을 주변속 레버 (34) 에 갖게 할 수 있다. 게다가, 그러한 기능은 주변속 레버 (34) 의 경도 조작에 따라 발휘되기 때문에, 조작이 간단하다. 종래의 이앙기에서는, A/B 점을 등록하거나, 자동 주행의 온/오프를 전환하거나 하기 위한 조작구를 주변속 레버와는 별개로 설치할 필요가 있었지만, 그것과 비교하여, 본 실시형태의 이앙기 (1) 는, 조작구의 개수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경제적이며, 조작이 간단하고 작업성이 우수한 것이 된다.
도 11 의 예에서는, A 점을 등록할 때의 주변속 레버 (34) 의 경도 조작이, B 점을 등록할 때의 주변속 레버 (34) 의 경도 조작과 동일한 방향 (본 실시형태에서는 좌방) 이다. 또, 자동 주행의 온/오프할 때의 주변속 레버 (34) 의 경도 조작은, A/B 점을 등록할 때의 주변속 레버 (34) 의 경도 조작과 반대의 방향 (본 실시형태에서는 우방) 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A/B 점의 등록시의 조작과, 자동 주행의 온/오프시의 조작을 명확하게 구별할 수 있기 때문에, 오퍼레이터의 오조작을 방지하는 데에 유용하다. 또, 이러한 기능은, 「F1」 이외의 변속단으로부터 조작할 수 없기 때문에, 오퍼레이터의 오조작에 의한 A/B 점의 등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2 의 조작 패턴은, 하기에 설명하는 점을 제외하고 도 11 의 조작 패턴과 동일하기 때문에, 공통점을 생략하여 상이점에 대해 설명한다. 표시 장치 (40) 의 화면 상, 「F1」 의 아이콘 S1 의 좌방에는, A 점의 등록에 관한 아이콘 S6 이 배치되고, 아이콘 S1 의 우방에는, B 점의 등록에 관한 아이콘 S7 이 배치되어 있다 (도 7 참조). 또, 「F1」 의 아이콘 S1 은, 자동 주행을 온으로 했을 때에, 자동 주행이 온인 것을 나타내는 「AUTO」 로 전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변속단이 「F1」 인 상태에서 주변속 레버 (34) 를 1 회 왼쪽으로 경도 조작하면, 그 조작했을 때의 이앙기 (1) 의 위치가 A 점으로서 등록된다. 단, 주변속 레버 (34) 를 일정 시간 이상 (예를 들어, 2 초 이상) 계속 경도하는, 길게 누름 조작이 필요해진다. 도 12 에 나타내는 긴 화살표 L1, L2 는, 각각 길게 누름 조작을 나타내고 있다. A 점이 등록되면, 표시 장치 (40) 의 화면 상에서 아이콘 S6 이 강조 표시된다. 또, A 점이 등록된 상태에서 주변속 레버 (34) 를 1 회 오른쪽으로 경도 조작하면, 그 조작했을 때의 이앙기 (1) 의 위치가 B 점으로서 등록된다. 이 경우에도 길게 누름 조작이 필요해진다. B 점이 등록되면, 표시 장치 (40) 의 화면 상에서 아이콘 S7 이 강조 표시된다.
A 점 및 B 점을 등록한 후, 변속단이 「F1」 인 상태에서 주변속 레버 (34) 를 1 회 왼쪽으로 (또는 오른쪽으로) 경도 조작하면, 자동 주행이 온이 된다. 이 경우, 주변속 레버 (34) 를 일정 시간 미만 (예를 들어, 2 초 미만) 경도하는, 짧게 누름 조작이 필요해진다. 이 짧게 누름 조작은, 길게 누름 조작과 구별한 호칭으로, 주변속 레버 (34) 의 통상적인 경도 조작일 수 있다. 자동 주행이 온이 되면, 표시 장치 (40) 의 화면 상, 아이콘 S1 이 「F1」 로부터 「AUTO」 로 전환된다. 또, 자동 주행이 온이 된 상태에서 주변속 레버 (34) 를 1 회 왼쪽으로 (또는 오른쪽으로) 경도 조작하면, 자동 주행이 오프가 된다. 이 경우에도 짧게 누름 조작이 필요해진다. 자동 주행이 오프가 되면, 표시 장치 (40) 의 화면 상, 아이콘 S1 이 「AUTO」 로부터 「F1」 로 되돌아온다.
도 12 의 예에서는, A 점을 등록할 때에 주변속 레버 (34) 를 경도 조작하는 방향 (본 실시형태에서는 좌방) 이, B 점을 등록할 때에 주변속 레버 (34) 를 경도 조작하는 방향 (본 실시형태에서는 우방) 과는 반대 방향이다. 이 때문에, 오퍼레이터에게 있어서 등록 포지션이 명확해져서, 오조작의 방지에 유용하다. 또, 예를 들어, B 점만을 다시 등록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A/B 점을 등록할 때에 길게 누름 조작을 필요로 함으로써, 오퍼레이터의 의도치 않은 조작에 의한 A/B 점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 전혀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의 개량 변경이 가능하다.
1 : 이앙기
7 : 엔진 (구동원)
8 : 미션 케이스
10 : 주행부
34 : 주변속 레버 (조작구)
40 : 표시 장치
50 : 제어 장치
60 : 변속 장치
62 : 슬라이드 기어 조작부
63 : 주변속 로드
67 : 모터 (액추에이터)
70 : 슬라이드 기어 (변속 부재)

Claims (6)

  1. 변속 부재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구동원으로부터 주행부로의 출력을 변속하는 변속 장치와,
    상기 변속 부재의 위치를 변경하는 액추에이터와,
    전후좌우 방향으로 조작 가능하고, 중립 조작 위치로 되돌아오도록 탄성 지지되어 있는 크로스 레버식의 조작구와,
    상기 조작구의 전후 방향의 조작에 따라 상기 액추에이터를 작동시켜 상기 변속 장치의 변속단을 전환함과 함께, 상기 변속 장치의 변속단에 따라 상기 조작구의 좌우 방향의 조작에 의한 기능을 상이하게 하도록 구성된 제어 장치를 구비하는 작업 차량.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가, 상기 변속 장치의 변속단에 따른 상기 조작구의 좌우 방향의 조작에 의한 기능을 변경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작업 차량.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가, 상기 구동원이 정지되고 나서 재시동했을 때에, 상기 구동원이 정지되기 직전의 변속단을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작업 차량.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가, 상기 변속 장치의 변속단과 상기 조작구의 좌우 방향의 조작에 의한 기능의 조합에 관해서, 상기 구동원이 정지되고 나서 재시동했을 때에 적용되는 표준 모드를 설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작업 차량.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구의 조작에 의해 전환 가능한 변속단과 기능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표시 장치의 화면에, 상기 조작구의 조작에 의해 전환 가능한 변속단을 나타내는 아이콘과, 그 변속단에 따라 전환 가능한 기능을 나타내는 아이콘이, 상기 조작구의 조작 방향에 따라서 배치되어 있는 작업 차량.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자동 주행에 의한 직진 보조 작업에 관한 기능이, 상기 조작구의 좌우 방향의 조작에 의한 기능에 포함되어 있는 작업 차량.
KR1020207031660A 2018-05-23 2019-04-04 작업 차량 KR2021001303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098661 2018-05-23
JP2018098661A JP6995015B2 (ja) 2018-05-23 2018-05-23 作業車両
PCT/JP2019/015000 WO2019225169A1 (ja) 2018-05-23 2019-04-04 作業車両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3031A true KR20210013031A (ko) 2021-02-03

Family

ID=68616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1660A KR20210013031A (ko) 2018-05-23 2019-04-04 작업 차량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10199191A1 (ko)
JP (1) JP6995015B2 (ko)
KR (1) KR20210013031A (ko)
CN (1) CN112135746A (ko)
WO (1) WO201922516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4022148A (ja) 2022-08-05 2024-02-16 ヤンマ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変速機構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14638A (ja) 2004-06-30 2006-01-19 Iseki & Co Ltd 作業機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75523A (ja) * 1998-12-17 2000-06-27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田植機
JP4846914B2 (ja) * 2001-03-06 2011-12-28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シフト装置
JP2013068290A (ja) * 2011-09-22 2013-04-18 Iseki & Co Ltd 作業車両
JP6440145B2 (ja) * 2015-04-17 2018-12-19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操作装置、該操作装置を用いた車両用シフト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14638A (ja) 2004-06-30 2006-01-19 Iseki & Co Ltd 作業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225169A1 (ja) 2019-11-28
JP2019202632A (ja) 2019-11-28
JP6995015B2 (ja) 2022-01-14
CN112135746A (zh) 2020-12-25
US20210199191A1 (en) 2021-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38303B2 (ja) 作業機
US10736256B2 (en) Work vehicle and display control method for work vehicle
JP7392058B2 (ja) 作業車両
US20220104423A1 (en) Working vehicle
US11866094B2 (en) Working vehicle having a display for displaying driving information thereof
JP2024040453A (ja) 作業車両
KR20210013031A (ko) 작업 차량
JP2019127121A (ja) 作業車両
JP7004411B2 (ja) 作業車両
JP2017177896A (ja) 作業車両
JP2020000024A (ja) 作業車両
JP2020000025A (ja) 作業車両
JP2020000020A (ja) 作業車両
JP7314353B2 (ja) 作業車両
KR102667974B1 (ko) 작업 차량
JP7163178B2 (ja) 作業車両
JP7213900B2 (ja) 表示システム
JP7059019B2 (ja) 作業車両
JP7309557B2 (ja) 作業車両
JP7125205B2 (ja) 作業車両
US20220107649A1 (en) Working vehicle
JP2021041744A (ja) 作業車両
JP2017177895A (ja) 作業車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