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2872A - 재난 정보 전달 방법 및 재난 정보 전달 장치 - Google Patents

재난 정보 전달 방법 및 재난 정보 전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2872A
KR20210012872A KR1020200007212A KR20200007212A KR20210012872A KR 20210012872 A KR20210012872 A KR 20210012872A KR 1020200007212 A KR1020200007212 A KR 1020200007212A KR 20200007212 A KR20200007212 A KR 20200007212A KR 20210012872 A KR20210012872 A KR 202100128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disaster
user
evacu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72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우석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ublication of KR202100128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28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0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calamitous events, e.g. tornados or earthquak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8Communication between parent and child units via remote transmission means, e.g. satellite networ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06Alarm destination chosen according to type of event, e.g. in case of fire phone the fire service, in case of medical emergency phone the ambulanc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Landscapes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난 정보 전달 방법 및 재난 정보 전달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재난정보전달 관련하여 개인의 단편적인 상황 특성 정보를 고려하지 않고 일방적인 재난 정보를 전달함으로써 국민들이 효과적인 재난에 대응할 수 없는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개인별 상황 특성 정보를 분석하여 개인에 맞춤화된 재난 대피 정보를 생성 및 전달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재난 정보 전달 방법 및 재난 정보 전달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SSION DISASTER INFORMATION}
본 발명은 재난 정보 전달 방법 및 재난 정보 전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재난 발생에 따른 개인의 상황 특성을 활용하여 최적화된 재난 대피 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하는 재난 정보 전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부는 태풍, 지진, 산불 등 다양한 재난이 발생할 경우 국민들의 안전권을 보장하기 위해 재난 발생 및 상황 정보를 이동통신망, 방송망, SNS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하여 관련 정보를 국민들에게 전달하는 재난정보전달 서비스를 제공한다. 재난정보전달 서비스는 국민들에게 재난발생 및 상황 정보를 90자 이하의 단문, 자막 방송, SNS 등을 통해 단편적인 정보만을 전달한다.
이는 단방향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재난 방송의 안내는 가능하지만 재난 지역의 정확한 상황 파악 및 후속대처가 불가능하고, 또한 재난이 일어나고 있거나 예상되는 특정 지역에만 국한한 재난방송 서비스가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재난 정보는 이동통신을 이용하여 불특정 다수에게 전달함에 따라 데이터 전송량의 한계로 재난방송의 광역에 걸친 동시성 확보가 곤란하고 또한 충분한 재난방송 정보를 제공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재난정보를 재난관리기관에서 일방적으로 전달함으로써 재난상황을 인지하고 사용자간 협력에 의한 재난정보전달 방법이 부재하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면서, 개인 중심의 상황 및 특성 정보를 활용하여 재난정보가 필요한 대상에게 최적화된 정보를 전달하고 재난상황을 인지하고 요구조자간 상호협력에 의한 재난대응을 위한 재난정보전달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상황 특성 정보 및 재난 상황 정보를 이용해 지속적으로 재난 대피 정보를 전달함으로써, 사용자와 재난 관리 서버 간, 사용자와 사용자간 양방향의 사용자에게 맞춤화된 보다 정확한 재난 대피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재난 지역으로 구조대가 도착하기 이전에, 재난에 관한 사용자 간 상호 협력을 위한 지원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재난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하면서, 보다 효과적인 재난 대응이 가능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정보 전달 방법은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사용 패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관한 개인 활동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개인 활동 정보를 이용하여 재난 발생에 따른 사용자의 상황 특성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재난 관리 서버로부터 재난 정보를 수신하여 재난 발생에 따른 재난 상황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재난 상황 정보 및 상황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맞춤화된 재난 대피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재난 대피 정보를 사용자가 소지한 사용자 단말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개인 활동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는,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개인 정보,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가변되는 위치 정보, 온라인 상의 관계 활동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상황 특성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황 특성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개인 정보를 이용하여 재난 발생에 따른 대피 또는, 구조가 요구되는 사용자를 특정하기 위한 사용자의 상황 특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황 특성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i) 재난 발생에 따른 지역적 특성, ii) 사용자의 이동 방향에 따른 공간적 특성, iii) 인접 시설에 관한 인프라 특성 중 적어도 하나를 판단하기 위한 사용자의 상황 특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재난 상황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재난 정보를 기반으로 재난 발생 유무에 따른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중심으로 재난 확산 여부를 예측하는 단계; 재난 발생 유무에 따른 재난 상황을 고려하여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중심으로 대피를 위한 재난 대응 수단을 예측하는 단계; 및 재난 확산 여부 및 재난 대응 수단을 포함하는 재난 상황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재난 대피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위치를 기반으로 재난 상황 정보에 기초한 현재 위험도 및 향후 위험도를 결정하는 단계; 및 현재 위험도 및 향후 고려도를 고려하여 사용자의 상황 특성 정보에 맞춤화된 재난 대피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재난 정보 전달 방법은 재난 발생에 따른 사용자 간 상호 협력에 의한 재난 대피 및 대응을 위해 개인 활동 정보에 기반한 휴먼 네트워크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위치 및 재난 정보를 활용하여 재난 발생에 따른 사용자 간 지원이 가능한 재난 대피 그룹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재난 지원 그룹에 속하는 사용자 및/또는 구조자 간에 지원 정보를 공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재난 정보 전달 방법은 사용자가 재난 정보 취약 계층에 속하는 경우, 사용자가 확인 가능한 재난 대피 정보로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변경된 재난 대피 정보는, 사용자 단말의 색상, 밝기, 음성, 진동, 표시 언어 중 적어도 하나를 변화하여 재난 대피 정보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정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의 상황 특성 정보를 기반으로 개인 맞춤형 재난 대피 정보를 전달함으로써, 재난 지역으로 구조대가 도착하기 이전에 재난 대피 그룹에 속하는 사용자들 간에 보다 효과적으로 재난에 대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재난 지역으로 구조대가 도착하기 이전에 재난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개인들 간에 상호 협력을 유도함으로써, 재난을 인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난 대피 정보를 제공하는 전반적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황 특성 정보에 따른 개인 맞춤형 재난 대피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다른 개인 맞춤형 재난 대피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에 전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개인 활동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구조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상황 특성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구조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에게 맞춤화된 재난 대피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구조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난 대피 정보를 전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구조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난 대피 정보를 제공하는 전반적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재난 정보 전달 장치(101)는 자연 재난(104) 또는, 사회재난(105)이 발생하였을 경우, 대국민의 생명, 경제 등의 안전권을 보장하기 위해 재난 상황, 대피 상황 등을 포함하는 재난 대피 정보를 사용자 단말(102)에 전달할 수 있다. 재난 정보 전달 장치(101)는 재난 발생 및 상황 정보를 전달할 뿐 아니라, 개인 위치, 대피 시설, 재난 취약 계층(노약자, 장애인) 등 개인의 상황특성을 활용하여 최적의 재난 대피 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 재난 정보 전달 장치(101)는 재난 발생에 따른 사용자의 상황 특성 정보에 부합하는 재난 대피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것으로, 개인별 상황 특정 정보의 종류를 분류할 수 있다. 재난 정보 전달 장치(101)는 재난 발생에 따른 사용자의 현재 위험도와 향후 위험도를 분석 및 예측함으로써, 재난이 확산되거나 또는, 발생되기 이전에 위험 지역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재난 정보 전달 장치(101)는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사용 패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관한 개인 활동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개인 활동 정보는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개인 정보,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가변되는 위치 정보, 온라인 상의 관계 활동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재난 정보 전달 장치(101)는 온라인 상의 관계 활동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오프라인 상의 개인 활동 정보를 추출한 후, 상황 특성 정보에 맞는 재난 대피 정보를 생성 및 전달할 수 있다.
재난 정보 전달 장치(101)는 사용자의 휴먼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사용자들 간에 상호 협력에 의한 재난 대피 및 대응을 위한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재난 정보 전달 장치(101)는 재난 발생에 따른 사용자 간 상호 협력에 의한 재난 대피 및 대응을 위해 개인 활동 정보에 기반한 휴먼 네트워크를 분석할 수 있다. 재난 정보 전달 장치(101)는 휴먼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위치 및 재난 정보를 활용하여 재난 발생에 따른 사용자 간 지원이 가능한 재난 대피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재난 정보 전달 장치(101)는 재난 지원 그룹에 속하는 사용자 및/또는 구조자 간에 지원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이에, 재난 정보 전달 장치(101)는 사용자가 구조대로부터 긴급 구조를 받을 경우, 사용자들에게 상호협력 요청을 취소함으로써 사용자간 상호협력시 발생할 수 있는 혼란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황 특성 정보에 따른 개인 맞춤형 재난 대피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재난 정보 전달 장치는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사용 패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관한 개인 활동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재난 정보 전달 장치는 사용자의 개인 활동 정보를 분석하여 재난 발생에 따른 사용자의 상황 특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상황 특성 정보는 분류, 활동, 욕구, 언어, 위치, 관계, 방향, 공간, 인프라 등 재난 발생에 따른 개인적인 특성을 파악할 수 있는 모든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분류는 사용자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로써, 성인, 성별, 아동, 노약자, 장애인, 외국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활동은 사용자의 생활 패턴에 관한 정보로써, 레저, 출근, 운전, 등산, 낚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욕구는 사용자의 삶에 관한 정보로써, 안전, 행복, 건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언어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정보표현 수단에 관한 정보로써, 국문, 영어, 중국어, 일어, 스페인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위치는 재난 발생에 따른 재난지역, 재난 접경지역, 재난위험지역, 안전지역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관계는 휴먼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추론 가능한 정보로써, 가족, 친구, 지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향은 재난 발생에 따른 대피 방법 또는, 대응 방법을 판단하기 위한 재난진행방향, 재난진행 역방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공간은 실내/실외, 지하/지상/공중, 도심/농어촌, 산/강/계곡/바다/임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인프라는 사용자의 위치를 기준으로 대피 가능 정보로써, 학교, 관공서, 방공호, 지하철역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재난 정보 전달 장치는 사용자의 위치를 기반으로 위험도를 결정할 수 있다. 자세하게, 재난 정보 전달 장치는 사용자의 주변 위험도 분석을 통한 현재 위험도와 향후 위험도를 결정할 수 있다.
재난 정보 전달 장치는 재난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정보를 분석하여 재난 발생 유무, 재난 상황 정보 및 진행 상태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이후, 재난 정보 전달 장치는 재난 관리 서버에서 재난이 발생할 경우를 가정한 모의 결과 중에서 현재 발생한 재난 상황과 가장 유사한 대처 방안을 결정할 수 있다.
재난 정보 전달 장치는 대처 방안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능력에 최적화된 재난 대피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재난 대피 정보는 개인들의 상황 특성 정보도 고려하지만, 재난 관리 서버에 위치한 재난 학습 인공지능으로부터 수집 가능한 재난 확산 정보 및 동적 관리 정보와 SNS를 통하여 수집되는 정보와 연계하여 최적의 대피 및 대응 정보를 생성하여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개인의 위치를 기준으로 동쪽에 가장 가까운 대피소가 있고 다음으로 가까운 대피소가 서쪽에 있을 경우 재난확산정보를 분석하여 재난이 동쪽으로 확산될 경우, 재난 정보 전달 장치는 사용자의 위치를 중심으로 조금 먼곳에 위치한 서쪽의 대피소로 이동하라는 내용을 포함한 재난 대피 정보를 생성 및 전달할 수 있다.
결국, 재난 정보 전달 장치는 종래의 단편적이고 일방적인 재난정보 전달이 아니라 개인별 상황특성에 맞추어 재난 대피 정보를 생성하고 양방향으로 재난 대피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다른 개인 맞춤형 재난 대피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에 전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재난 정보 전달 장치(300)는 사용자의 상황 특성 정보를 분석하여 개인 맞춤형 재난 대피 정보를 생성 및 전달할 수 있다. 재난 정보 전달 장치는 각 사용자의 상황 특성 정보를 수집 및 분석하여 개인이 보유하고 있거나 주변에 위치한 단말(예: 스마트폰, AI 스피커 등)에 해당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재난 정보 전달 장치는 재난 관리 서버로부터 재난발생에 관련된 재난 정보를 수신하면, 사용자의 상황 특성 정보를 활용하여 사용자의 능력에 맞게 재난 대비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재난 정보 전달 장치(300)는 상황특성정보 입력수집부(301), 재난정보수집부(302), 재난확산/동적정보 수집부(303), 상황특성정보 분석부(304), 재난정보 생성부(305) 및 재난정보 전달부(306)를 포함할 수 있다.
상황특성정보 입력수집부(301)는 재난 대피 정보를 전달받기 위하여 사용자로부터 개인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사용자는 상황특성정보 입력수집부(301)를 통하여 상황 특성 정보를 분류 및 규칙에 맞게 개인이 보유하고 있는 사용자 단말에 관련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상황특성정보 입력수집부(301)는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사용 패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관한 개인 활동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황특성정보 입력수집부(301)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가변되는 위치 정보, 온라인 상의 관계 활동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재난정보수집부(302)는 재난 관리 서버로부터 재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그리고, 재난정보수집부(302)는 재난 정보를 분석하여 재난발생 유무, 재난상황정보 및 진행상태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재난확산/동적정보 수집부(303)는 재난 관리 서버로부터 재난 유사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재난확산예측정보 및 동적관리정보로 각각 분리 및 저장할 수 있다. 재난확산/동적정보 수집부(303)는 재난이 발생하지 않은 평상시는 재난 관리 서버에서 재난이 발생할 경우를 가정하여 모의하고, 재난이 발생할 경우 현재 발생한 재난상황과 유사도가 높은 재난 유사 정보를 재난 관리 서버에 요청할 수 있다. 재난확산/동적정보 수집부(303)는 재난 관리 서버로부터 요청에 대응하는 재난 유사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재난확산/동적정보 수집부(303)는 재난 유사 정보를 재난확산예측정보 및 동적관리정보로 각각 분리할 수 있다. 동적 관리 정보는 사용자가 휴대하고 있거나 주변에 위치한 스마트 단말기로부터 수집되는 위치 정보, 사진 정보 등의 사용자의 주변 상황을 인식할 수 있는 정보를 수집하고 관리할 수 있다. 재난확산/동적정보 수집부(303)는 동적관리정보를 기반으로 재난 관리 서버와 연계하여 재난 발생에 따른 대피할 것인지 또는, 주변 지인들의 도움으로 대피할 것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상황특성정보 분석부(304)는 상황특성정보 입력수집부(301)를 통해 수집된 사용자에 관한 개인 활동 정보 및 재난정보수집부(302)를 통해 수집한 재난 정보, 재난확산/동적정보 수집부(303)를 통해 수집한 재난 유사 정보를 이용하여 재난 발생에 따른 사용자의 상황 특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재난정보 생성부(305)는 재난 발생에 따른 사용자의 처한 상황과 보유하고 있는 능력 등에 최적화된 재난 대피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자세하게, 거동이 불편한 노약자나 장애인(사회적 약자)에게는 긴급한 대피를 요구하지 않는 경우는 구조대가 도착하기 이전에는 현 위치를 유지하라고 재난 대피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해당 재난이 화재와 같이 긴급한 대피를 필요한 경우라면, 사용자의 휴먼 네트워크 분석을 통하여 주변 이웃의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재난 대피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즉, 재난정보 생성부(305)는 개인별 상황 특성에 맞는 개인별 상이한 재난 대피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후, 재난정보 전달부(306)는 재난 대피 정보를 사용자가 소지한 사용자 단말로 전달할 수 있다. 재난정보 전달부(306)는 대처 방한에 따른 보고·전파 대상을 고려하여 다수의 사용자가 소지한 사용자 단말로 재난 대피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개인 활동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구조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상황특성정보 입력수집부(301)는 사용자로부터 개인 정보 및 사용자 단말에 관련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상황특성정보 입력수집부(301)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가변되는 위치 정보, 온라인 상의 관계 활동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황특성정보 입력수집부(301)는 개인정보 입력부(401), 위치정보 수집부(402), 개인 온라인정보 수집부(403), 기초 개인상황특성 정보부(404), 위치기반 개인상황특성 정보부(405), 활동기반 개인상황특성 정보부(406), 개인상황특성정보 저장부(407)를 포함할 수 있다.
개인 정보 입력부(401)는 사용자 단말을 소지한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개인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개인 정보(Personal Information)는 사용자의 이름, 나이, 성별, 주소, 주민등록번호 등의 특정 개인을 구별할 수 있는 정보일 수 있다. 개인정보 입력부(401)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개인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위치 정보 수집부(402)는 사용자 단말을 소지한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가변되는 위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위치 정보(Position Information)는 지물 및 대상물에 대한 위치에 대한 정보로서, 실제 공간에 관한 절대 위치와 모형 공간에 관한 상대 위치를 포함할 수 잇다.
온라인 정보 수집부(403)는 사용자 단말을 통한 사용자의 활동에 따른 온라인 상의 관계 활동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온라인 정보 수집부(403)는 특정한 관심이나 활동을 공유하는 사람들 사이의 관계망을 구축해주는 온라인 서비스 (Social Network Services/sites, SNS)에 기반한 온라인 상에서의 관계 활동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은 사용자의 개인적인 상황 특성에 기반하여 개인에 맞춤화된 재난 대피 정보에 관한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사용자와 관련된 기초적인 정보를 모두 수집할 수 있다. 이후, 본 발명은 사용자의 개인 활동 정보를 이용하여 재난 발생에 따른 사용자의 상황 특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자세하게, 기초 개인상황특성 정보부(404)는 개인 정보 입력부(401)에서 수집한 개인 정보, 위치 정보 수집부(402)에서 수집한 위치 정보, 온라인 정보 수집부(403)에서 수집한 관계 활동 정보를 하나의 개인 활동 정보로 형성할 수 있다.
기초 개인상황특성 정보부(404)는 개인 활동 정보 중 개인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개인의 상황 특성 정보로 분류할 수 있다. 기초 개인상황특성 정보부(404)는 개인별 분류 정보, 개인 욕구 정보, 사용 언어 정보, 휴먼 네트워크 정보로 구분될 수 있다.
- 개인별 분류 정보는 사용자 각각을 특정하기 위한 것으로, 성인, 성별, 아동, 노약자, 장애인, 외국인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 개인 요구 정보는 인간의 기본적인 욕구로써, 물질적인 욕구 이외에 자기결정, 자기의존, 정치적 자유 및 안보와 같은 안전 욕구, 행복 욕구, 건강 욕구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 사용 언어 정보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모국어를 기준으로 분류되며, 국문, 영어, 중국어, 일어, 스페인어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 휴먼 네트워크 정보는 사용자를 중심으로 가족, 지인 등으로 분류되며, 각자 위치 정보를 함께 저장할 수 있다.
위치기반 개인상황특성 정보부(405)는 개인 활동 정보 중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개인의 상황 특성 정보를 분류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 위치기반 개인상황특성 정보부(405)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가변되는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를 중심으로 지역 특성 정보, 공간 정보 및 인프라 정보를 추출 및 분류할 수 있다.
- 지역 특성 정보는 사용자의 위치를 중심으로, 재난 발생 여부에 따른 재난지역, 재난접경지역, 재난위험지역, 안전지역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 공간 정보는 사용자가 점하고 있는 장소로써, 실내/실외, 지하/지상/공중, 도심/농어촌, 산/강/계곡/바다/임야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공간 정보는 사용자의 이동 방향이 재난 진행 방향과 동일 또는, 차이 정도로 분류할 수 있다.
- 인프라 정보는 사용자의 위치를 중심으로 인접 시설에 관한 정보로써, 사용자의 위치와 주변의 인프라 시설(학교, 관공서, 방공호, 지하철역, 대피소 등)과의 거리로 분류될 수 있다.
활동기반 개인상황특성 정보부(406)는 개인 활동 정보 중 관계 활동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개인의 상황 특성 정보를 분류할 수 있다. 활동기반 개인상황특성 정보부(406)는 온라인 상에서의 관계 활동 정보를 기반으로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상의 관계 활동 정보를 분류할 수 있다.
활동기반 개인상황특성 정보부(406)는 사용자가 보유한 단말로부터 온라인 상의 관계 활동 정보(예: 스케쥴, SNS 등)를 수집 및 분석할 수 있다. 활동기반 개인상황특성 정보부(406)는 온라인 상의 관계 활동 정보로부터 오프라인 상의 관계 활동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개인상황특성정보 저장부(407)는 사용자의 개인 활동 정보를 이용하여 개인 맞춤형 재난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기초 개인상황특성 정보, 위치기반 개인상황특성 정보 및 활동기반 개인상황특성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각각의 정보는 기능 세분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상황 특성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구조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상황특성정보 분석부(304)는 상황특성정보 입력수집부(301)의 개인상황특성정보 저장부(407)에 저장된 사용자에 관한 개인 활동 정보 및 재난정보수집부(302)를 통해 수집한 재난 정보, 재난확산/동적정보 수집부(303)를 통해 수집한 재난 유사 정보를 이용하여 재난 발생에 따른 사용자의 상황 특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황특성정보 분석부(304)는 개인 휴먼 네트워크 분석부(501), 재난 대피 방법 추론부(502), 상황 특성 정보 분석부(503), 재난 대피소 위치 추론부(504), 재난 확산 예측 정보부(505), 동적 관리 정보부(506)를 포함할 수 있다.
개인 휴먼 네트워크 분석부(501)는 도 4의 개인상황특성 정보저장부(407)에 저장된 활동기반 개인상황특성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간의 휴먼 네트워크를 분석할 수 있다. 개인 휴먼 네트워크 분석부(501)는 활동기반 개인상황특성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중심의 주변 사람들과의 친밀도를 분석할 수 있다. 이후, 개인 휴먼 네트워크 분석부(501)는 재난이 발생할 경우, 활동기반 개인상황특성 정보를 기반으로 상호 연락을 통한 사용자 중심의 대피 방법을 제시하기 위한 휴먼 네트워크를 분석할 수 있다.
재난 정보 분석부(503)는 재난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재난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재난 정보 분석부(503)는 재난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정보를 분석하여 재난 발생 유무, 재난 상황 정보 및 진행 상태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 재난 정보 분석부(503)는 재난 발생 유무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위치한 지역에서 재난이 발생 유무를 판단하고 재난이 발생하였을 경우, 재난 상황 정보를 분석하여 현재 발생한 재난 종류, 긴급한 재난 대피 정도, 피해 규모 등을 분석할 수 있다. 진행 상태 정보는 현재 재난이 확산되고 있는지, 재난 규모가 줄어들고 있는지 등을 분석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가 위치한 장소에서 발생한 재난이 긴급한 대피를 요구하는 다중이용시설 화재라면, 재난 정보 분석부(503)는 사용자 위치로부터 건물의 윗층에서 화재가 발생했는지, 화재가 윗층으로 확산되고 있는지, 화재가 진압되고 있는지 그리고 사용자가 지금 아래층으로 대피해야하는지 아니면 건물 내에서 대피를 해야 하는지 등에 대해 분석할 수 있다.
재난 대피소 위치 추론부(504)는 재난 정보 분석부(503)를 통해 분석된 재난 정보(재난 발생 유무, 재난 상황 정보 및 진행 상태 정보)와 도 4의 개인상황특성 정보저장부(407)에 저장된 위치기반 개인상황특성 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재난 대피소의 위치를 추론할 수 있다.
여기서, 재난 대피소 위치 추론부(504)는 재난확산예측정보부(505)에서 예측된 재난 확산 예측 정보와 재난정보분석부(503)에서 예측된 재난 정보를 수신하여 재난 진행 상황에 대해 판단할 수 있다. 재난 대피소 위치 추론부(504)는 도 4의 개인상황특성 정보저장부(407)에 저장된 위치기반 개인상황특성 정보 중 인프라 정보와 연계 및 분석하여 최적화된 재난 대피소의 위치를 추론할 수 있다.
재난확산/동적정보 수집부(303)는 재난 관리 서버로부터 재난 유사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재난확산예측정보 및 동적관리정보로 각각 분리 및 저장할 수 있다. 재난확산/동적정보 수집부(303)는 재난 관리 서버에서 재난이 발생할 경우를 가정하여 모의한 결과 가운데 현재 발생한 재난상황과 유사도가 높은 재난 유사 정보를 재난 관리 서버에 요청할 수 있다. 재난확산/동적정보 수집부(303)는 재난 관리 서버로부터 요청에 대응하는 재난 유사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재난확산 예측정보부(505)는 재난 유사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중심으로 재난확산예측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동적 관리 정보부(506)는 재난 관리 서버와 연계하여 재난 발생에 따른 대피할 것인지 또는, 주변 지인들의 도움으로 대피할 것인지를 판단하기 위한 동적관리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재난 대피 방법 추론부(502)는 각 부(501, 504, 505, 506)에서 추출 및 생성된 정보를 통합하여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재난 대피 방법을 추론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에게 맞춤화된 재난 대피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구조도이다.
도 6을 참고하면, 재난 정보 생성부(305)는 재난 발생에 따른 사용자의 처한 상황과 보유하고 있는 능력 등에 최적화된 재난 대피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재난 정보 생성부(305)는 도 3의 상황특성 정보 분석부(304)의 정보를 활용하여 사용자의 상황 특성에 최적화된 재난 대피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재난 정보 생성부(305)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재난 대피 정보를 컨텐츠로 생성할 수 있다.
재난 정보 생성부(305)는 대피 경로 생성부(601), 대피 그룹 생성부(602), 재난 대피 정보 생성부(603), 재난 정보 자동 번역부(604), 주변 위험도 분석부(605), 개인 위험도 추론부(606), 재난 정보 생성부(607)를 포함할 수 있다.
대피 경로 생성부(601)는 사용자의 상황 특성에 맞는 최적화된 재난 대피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자세하게, 대피 경로 생성부(601)는 사용자에게 재난 상황을 고려하여 최적의 대피 경로를 생성하기 위한 것으로, 재난 확산 예측 정보를 활용하여 재난이 확산되는 방향 및 강도 정보와 개인상황특성에 최적화된 재난대피 방법을 활용하여 최적의 대피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정상인에게는 가까운 대피소로 경로를 안내하고 거동이 불편한 사용자에게는 주변 지인들의 도움을 받아 대피할 수 있도록 휴먼네트워크 분석 정보 기반 대피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대피 경로 생성부(601)는 지진과 같은 즉각적인 대피가 어려운 경우 실내에서의 대피 방법을 제공하고 이후 대피할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대피 그룹 생성부(602)는 사용자의 휴먼 네트워크를 분석하여 개인간 상호협조하에 대피를 할 수 있는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대피 그룹 생성부(602)는 재난 대피 방법 추론부(502)로부터 휴먼 네트워크 분석 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간 거리, 재난상황 등의 정보를 이용하여 가장 효과적으로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사용자간 상호 연결하기 위한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재난 대피 방법 추론부(502)는 생성된 대피경로와 대피 그룹 정보를 활용하여 재난대피를 위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재난 대피 정보 생성부(603)는 사용자에게 재난대피를 위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재난 대피 정보 생성부(603)는 대피 경로 생성부(601)로부터 생성된 사용자가 재난으로부터 스스로 보호하기 위한 대피 경로와 대피 그룹 생성부(602)에서 생성되는 사용자들의 휴먼 네트워크를 분석하여 주변에 사용자들간에 협력에 의해 대피하기 위한 대피 그룹을 분석하여 사용자간 상호 협력에 의한 재난 대피 가능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재난 정보 자동 번역부(604)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언어에 부합하는 재난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언어를 자동적으로 번역할 수 있다. 재난 정보 자동 번역부(604)는 외국인, 문자해독 능력이 떨어지는 사용자와 같은 재난정보 취약계층에게 재난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자동번역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재난 정보 자동 번역부(604)는 외국인의 경우 사용자 모국어에 맞추어 재난정보를 번역할 뿐 아니라, 시각 장애인에게는 문자를 음성으로 번역하여 전달할 수 있다. 재난 정보 자동 번역부(604)는 청각 장애인에게는 문자를 확인하기 위해 주변 디스플레이, 조명 등의 장치의 색상, 밝기를 변화하여 재난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기능까지 포함할 수 있다.
주변 위험도 분석부(605)는 사용자의 위치를 기반으로 위험도를 결정할 수 있다. 주변 위험도 분석부(605)는 위치 정보 기반의 개인상황특성 정보와 재난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동적 관리 정보와 재난 정보를 활용하여 사용자가 위치한 장소의 위험도와 주변의 위험도를 분석할 수 있다.
개인 위험도 추론부(606)는 사용자의 주변 위험도 분석을 통한 현재의 위험도와 향후 위험도를 분석할 수 있다. 개인 위험도 추론부(606)는 사용자의 위치와 주변의 위험도 분석 정보를 활용하여 사용자가 위치한 곳의 위험도 변화를 추론할 수 있다. 또한, 개인 위험도 추론부(606)는 재난이 발생하지 않았어도 사용자의 위험도가 증가한다면 해당 위치로부터 즉각적인 이탈하여 안전한 장소로 대피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전에 피해를 저감할 수 있도록 한다.
재난 정보 생성부(607)는 재난대피정보, 재난정보 자동번역 컨텐츠, 개인 위험도 추론 정보 등을 활용하여 개인상황 특성에 부합하는 재난 대피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재난 정보 생성부(607)는 개인상황특성에 부합하는 재난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재난정보 컨텐츠를 생성하며, 이를 위해서 재난대피정보, 재난정보 자동번역 정보, 개인 위험도 정보 등을 활용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난 대피 정보를 전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구조도이다.
도 7을 참고하면, 재난정보 전달부(306)는 재난 대피 정보를 사용자가 소지한 사용자 단말로 전달할 수 있다. 재난정보 전달부(306)는 생성된 개인 맞춤형 재난정보 컨텐츠를 사용자와 대피그룹에 전달할 뿐 아니라 사용자간 협력에 의한 대피, 구조대에 의한 대피 등 사용자의 대피 상황에 따른 개인들의 대피 상황을 대피 그룹간 공유하는 기능을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재난정보 전달부(306)는 재난대피그룹 동의질의부(702), 재난대피그룹 상호연결부(703), 긴급구조처리부(705), 긴급구조 사용자 입력부(704), 재난정보전달 통신 정합부(705)를 포함할 수 있다.
재난대피그룹 상호연결부(703)는 사용자간 상호 협력하에 대피하기 위한 그룹을 형성할 수 있다. 자세하게, 재난대피그룹 상호연결부(703)는 상황 특성에 맞는 도움을 요청하기 위해 재난 정보 생성부(305)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의 위치로부터 근거리에 있는 지인들에게 재난대피 요청을 보내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재난 대피 요청은 재난정보전달 통신 정합부(705)를 통해 재난대피그룹에 속한 사용자들에게 전달될 수 있다.
재난대피그룹 동의질의부(702)는 재난대피그룹 상호연결부(703)를 통해 전달받은 타 사용자의 재난 대피 요청에 대해 사용바의 상황특성을 고려하여 지원 여부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지원 여부 정보는 재난정보전달 재난정보전달 통신 정합부(705)를 통해 요청한 사용자의 재난대피그룹 상호연결부(703)에 전달될 수 있다. 사용자의 지인들로부터 수신한 지원 여부 정보는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도움을 줄수 있는 최적의 사용자간 상호 연결하여 주고 해당 정보는 지연여부 정보를 보낸 그룹간에 상호 공유할 수 있다.
긴급구조처리부(705)는 구조대에게 긴급 구조를 요청할 수 있다. 긴급구조처리부(705)는 사용자가 지인들로부터 도움을 받는 것과 무관하게 구조대에게 자신의 위치정보를 구조대에게 전달하고 구조요청을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긴급구조 사용자 입력부(704)는 휴먼네트워크에 있는 사용자들로부터 도움을 받기 이전에 구조대로부터 대피 지원을 받을 경우, 재난대피그룹에 속한 사용자들에게 대피 지원 요청을 취소할 수 있다.
긴급구조 사용자 입력부(704)는 사용자의 긴급 구조요청 정보를 재난정보전달 통신 정합부(705)를 통해 구조대에게 전달될 수 있다. 긴급구조 사용자 입력부(704)는 지인들의 도움을 받기 이전에 구조대의 도움을 받을 경우는 재나대피 그룹에 속한 사용자들에게 구조대의 도움을 받아 구조를 받고 있으므로 대피지원이 필요없다는 정보를 재난대피그룹 상호연결부(703)와 재난정보전달 통신 정합부(705)를 통하여 전달될 수 있다.
재난정보전달 통신 정합부(705)는 상술한 정보들을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할 수 있다. 재난정보전달 통신 정합부(705)는 이러한 사용자간 대피지원과 긴급 구조 요청 등의 정보들을 전달하기 위한 유무선 통신 정합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되어 마그네틱 저장매체, 광학적 판독매체, 디지털 저장매체 등 다양한 기록 매체로도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각종 기술들의 구현들은 디지털 전자 회로조직으로, 또는 컴퓨터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로, 또는 그들의 조합들로 구현될 수 있다. 구현들은 데이터 처리 장치, 예를 들어 프로그램가능 프로세서, 컴퓨터, 또는 다수의 컴퓨터들의 동작에 의한 처리를 위해, 또는 이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즉 정보 캐리어, 예를 들어 기계 판독가능 저장 장치(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또는 전파 신호에서 유형적으로 구체화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컴퓨터 프로그램(들)과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파일된 또는 인터프리트된 언어들을 포함하는 임의의 형태의 프로그래밍 언어로 기록될 수 있고, 독립형 프로그램으로서 또는 모듈, 구성요소, 서브루틴, 또는 컴퓨팅 환경에서의 사용에 적절한 다른 유닛으로서 포함하는 임의의 형태로 전개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사이트에서 하나의 컴퓨터 또는 다수의 컴퓨터들 상에서 처리되도록 또는 다수의 사이트들에 걸쳐 분배되고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연결되도록 전개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처리에 적절한 프로세서들은 예로서, 범용 및 특수 목적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둘 다, 및 임의의 종류의 디지털 컴퓨터의 임의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프로세서는 판독 전용 메모리 또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 또는 둘 다로부터 명령어들 및 데이터를 수신할 것이다. 컴퓨터의 요소들은 명령어들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명령어들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컴퓨터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대량 저장 장치들, 예를 들어 자기, 자기-광 디스크들, 또는 광 디스크들을 포함할 수 있거나, 이것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이것들에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또는 양쪽으로 되도록 결합될 수도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들 및 데이터를 구체화하는데 적절한 정보 캐리어들은 예로서 반도체 메모리 장치들, 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롬(ROM, Read Only Memory), 램(RAM,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등을 포함한다. 프로세서 및 메모리는 특수 목적 논리 회로조직에 의해 보충되거나, 이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매체일 수 있고, 컴퓨터 저장매체 및 전송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개별적인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기술한 다양한 특징들 역시 개별적으로 혹은 어떠한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도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동작하고 초기에 그와 같이 청구된 바와 같이 묘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에 그 조합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으며, 그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이나 하위 조합의 변형물로 변경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장치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장치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 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1: 재난 정보 전달 장치
102: 사용자 단말
103: 재난 관리 서버
104: 자연 재난
105: 사회 재난

Claims (1)

  1.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사용 패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관한 개인 활동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개인 활동 정보를 분석하여 재난 발생에 따른 사용자의 상황 특성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재난 관리 서버로부터 재난 정보를 수신하여 재난 발생에 따른 재난 상황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재난 상황 정보 및 상황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맞춤화된 재난 대피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재난 대피 정보를 사용자가 소지한 사용자 단말로 전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재난 정보 전달 방법.
KR1020200007212A 2019-07-24 2020-01-20 재난 정보 전달 방법 및 재난 정보 전달 장치 KR2021001287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089761 2019-07-24
KR1020190089761 2019-07-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2872A true KR20210012872A (ko) 2021-02-03

Family

ID=74571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7212A KR20210012872A (ko) 2019-07-24 2020-01-20 재난 정보 전달 방법 및 재난 정보 전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1287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1419B1 (ko) * 2023-03-03 2023-09-01 소프트온넷(주) 인공지능 기반의 플래닝 및 의사결정을 통한 재난 대응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
KR102628540B1 (ko) * 2023-05-11 2024-01-24 대한민국 사용자단말의 이동패턴에 기초한 긴급재난문자 전송 방법 및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1419B1 (ko) * 2023-03-03 2023-09-01 소프트온넷(주) 인공지능 기반의 플래닝 및 의사결정을 통한 재난 대응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
KR102628540B1 (ko) * 2023-05-11 2024-01-24 대한민국 사용자단말의 이동패턴에 기초한 긴급재난문자 전송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ridolf et al. The impact of smoke on walking speed
Ryu IoT-based intelligent for fire emergency response systems
Sommerfeldt Disasters and information source repertoires: Information seeking and information sufficiency in postearthquake Haiti
KR102348358B1 (ko) 가상현실 기반의 화재 대피 시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
JP6276106B2 (ja) 意思決定支援システムおよび意思決定支援方法
Farman The materiality of locative media: On the invisible infrastructure of mobile networks
KR20210012872A (ko) 재난 정보 전달 방법 및 재난 정보 전달 장치
Grajdura et al. Fast-moving dire wildfire evacuation simulation
Aboualola et al. Edge technologies for disaster management: A survey of social media and artificial intelligence integration
Mirahadi et al. EvacuSafe: Building evacuation strategy selection using route risk index
Xia et al. Exploring the influence of emergency broadcasts on human evacuation behavior during building emergencies using virtual reality technology
KR20200081634A (ko) 지오펜싱 기반 관광 플랫폼
Perera et al. Evaluation of gaps in early warning mechanisms and evacuation procedures for coastal communities in Sri Lanka
Gwynne et al. Modeling and mapping dynamic vulnerability to better assess WUI evacuation performance
Berawi et al. Increasing disaster victim survival rate: SaveMyLife mobile application development
Roche Smile, you’re being traced! Some thoughts about the ethical issues of digital contact tracing applications
Faucher et al. Modeling pedestrian evacuation for near-field tsunamis fusing ALCD and agent-based approaches: a case study of Rincón, PR
KR20200058780A (ko) 비콘을 이용한 재난 안전 스마트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02016B1 (ko) 위험정보 수집 및 제공 시스템
CN110832409B (zh) 楼宇管理系统以及楼宇管理装置
JP6816909B1 (ja) 避難誘導システム、避難誘導方法、および、眼鏡型ディスプレイ
Vahdat-Nejad et al. Information gathering of earthquake disasters by mobile crowd sourcing in smart cities
Chang et al. Smart iAIR System with Integration of the Internet of Things and Mobile Applications.
US20230410421A1 (en) Automated updating and distribution of digital reconnaissance maps of an incident scene
Ouellette et al. Spatiotemporal mapping of evacuee respon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