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2711A - 점착 필름, 이를 포함하는 광학 부재 보호 필름, 이를 포함하는 광학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점착 필름, 이를 포함하는 광학 부재 보호 필름, 이를 포함하는 광학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2711A
KR20210012711A KR1020190090885A KR20190090885A KR20210012711A KR 20210012711 A KR20210012711 A KR 20210012711A KR 1020190090885 A KR1020190090885 A KR 1020190090885A KR 20190090885 A KR20190090885 A KR 20190090885A KR 20210012711 A KR20210012711 A KR 202100127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rylate
meth
adhesive film
alkyl
optical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08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76457B1 (ko
Inventor
한정인
김현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900908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6457B1/ko
Publication of KR202100127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27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64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64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09J133/1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67/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062Copolymers with monomers not covered by C09J133/06
    • C09J133/066Copolymers with monomers not covered by C09J133/06 containing -OH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9/00Adhesive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e.g. glue stick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parameters being the characterizing featur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Adhesive Tap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로부터 유래된 단위 구조, 알콕시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로부터 유래된 단위 구조, 및 친수성기를 함유하는 (메트)아크릴레이트로부터 유래된 단위 구조를 포함하는 아크릴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에 대한 친수성기를 함유하는 (메트)아크릴레이트의 중량비가 5% 이상 30% 이하인 것인 점착 필름, 이를 포함하는 광학 부재 보호 필름, 이를 포함하는 광학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점착 필름, 이를 포함하는 광학 부재 보호 필름, 이를 포함하는 광학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ADHESIVE FILM, PROTECTIVE FILM FOR OPTICAL MEMBER COMPRISING SAME, OPTICAL MEMBER COMPRISING SAM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본 명세서는 점착 필름, 이를 포함하는 광학 부재 보호 필름, 이를 포함하는 광학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정표시장치에는, 편광판, 위상차판, 광학보상필름, 반사시트 및 휘도향상필름 등과 같은 다양한 광학 부재가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광학 부재에는, 액정표시장치의 제조 과정이나 제조 후 출하 또는 유통 과정에서의 보호를 위하여 보호 필름이 부착될 수 있다.
광학 부재 보호 필름은 박리 속도에 따른 박리력의 조절이 매우 중요하다. 예를 들어, 보호 필름이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적당한 저속 박리력을 가질 필요가 있다. 저속 박리력이 너무 낮으면, 광학 부재의 재단 과정 등에서 들뜸 현상이 발생하기 쉬워지고, 이에 따라 외부로부터의 오염에도 취약해진다.
또한, 액정표시장치의 제조 과정에서는, 일정 시점에서 광학 부재 보호 필름을 제거하는 경우가 있는데, 생산성 측면에서 광학 부재로부터 보호 필름을 고속으로 박리하여 제거하게 된다. 따라서, 점착제의 고속 박리력이 지나치게 높을 경우, 액정 패널이 손상되거나, 정전기 발생량도 매우 커지게 되어, 패널의 구동소자 등을 손상시키게 된다.
따라서, 광학 부재 보호 필름의 점착제는 높은 저속 박리력과 낮은 고속 박리력을 동시에 가질 필요가 있다. 그렇지만, 점착제의 저속 및 고속 박리력은, 가교도 등에 따라서, 동시에 증가하거나, 또는 동시에 감소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높은 저속 박리력과 낮은 고속 박리력을 동시에 가지게 하는 것은 어려운 문제이다.
또한, 광학 부재 보호 필름은 일반적으로 보호 필름 표면의 친수성이 낮으므로, 점착력을 높이기 위하여 전처리를 수행하게 되므로, 친수성이 높은 점착제의 도입이 필요하다.
한국 공개 특허 10-2018-0127874 A
본 명세서는 점착 필름, 이를 포함하는 광학 부재 보호 필름, 이를 포함하는 광학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는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로부터 유래된 단위 구조;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알콕시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로부터 유래된 단위 구조; 및 친수성기를 함유하는 (메트)아크릴레이트로부터 유래된 단위 구조를 포함하는 아크릴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에 대한 친수성기를 함유하는 (메트)아크릴레이트의 중량비가 5% 이상 30% 이하인 것인 점착 필름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 있어서, R1은 알킬기이고, R2는 수소 또는 메틸기이고, n은 1 내지 5의 정수의 괄호 내의 구조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의 반복수이다.
또한, 본 명세서는 보호 필름; 및 상기 보호 필름의 일면에 상술한 점착 필름이 구비된 광학 부재 보호 필름을 제공한다.
또한, 본 명세서는 기재; 및 상기 기재의 일면 또는 양면에 구비된 상술한 광학 부재 보호 필름을 포함하는 광학 부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명세서는 액정 패널; 상기 액정 패널의 일면 또는 양면에 구비된 상술한 광학 부재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의 점착 필름은 광학 부재 보호 필름에 대한 점착력이 우수하고, 저속 박리력과 고속 박리력의 밸런스가 우수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기재의 일면에 광학 부재 보호 필름이 포함된 광학 부재를 나타낸다.
이하, 본 명세서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는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로부터 유래된 단위 구조;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알콕시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로부터 유래된 단위 구조; 및 친수성기를 함유하는 (메트)아크릴레이트로부터 유래된 단위 구조를 포함하는 아크릴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에 대한 친수성기를 함유하는 (메트)아크릴레이트의 중량비가 5% 이상 30% 이하인 것인 점착 필름을 제공한다. 상기 점착 필름은 광학 부재 보호 필름에 대한 점착력이 우수하고, 저속 박리력과 고속 박리력의 밸런스가 우수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2
상기 화학식 1에 있어서, R1은 알킬기이고, R2는 수소 또는 메틸기이고, n은 1 내지 5의 정수의 괄호 내의 구조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의 반복수이다.
상기 아크릴 수지는 상기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알콕시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친수성기를 함유하는 (메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공중합성 모노머 성분(polymerizable monomers)이 중합된 공중합체일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아크릴 수지가 상기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로부터 유래된 단위 구조,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알콕시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로부터 유래된 단위 구조 및 친수성기를 함유하는 (메트)아크릴레이트로부터 유래된 단위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 수지는 이 분야에서 공지된 통상의 중합 방법을 통하여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술한 바와 같은, 각 단량체를 비율에 따라 적절히 배합하여 단량체 혼합물을 제조하고, 이를 용액 중합(solution polymerization), 광 중합(photo polymerization), 괴상 중합(bulk polymerization), 현탁 중합(suspension polymerization) 또는 유화 중합(emulsion polymerization)과 같은 통상의 중합 방식에 적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필요할 경우, 적합한 중합 개시제 또는 사슬 이동제 등이 함께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단량체 혼합물은 경화 과정에서 상기 아크릴 수지와 반응하여 가교 구조를 구현할 수 있는 다관능성 가교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관능성 가교제로는, 예를 들면 이소시아네이트 가교제, 에폭시 가교제, 아지리딘 가교제 및 금속 킬레이트 가교제 등과 같은 공지의 가교제 중에서 상기 아크릴 수지에 포함되는 가교성 관능기를 고려하여 적절한 종류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이소시아네이트 가교제의 예로는 톨리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보론 디이소시아네이트, 테트라메틸크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또는 나프탈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등과 같이 적어도 2개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가지는 화합물이나, 또는 상기와 같은 2개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가지는 화합물을 폴리올과 반응시켜 얻어지는 가교제를 들 수 있고, 상기에서 폴리올로는, 예를 들면, 트리메틸롤 프로판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에폭시 가교제로는 에틸렌글리콜 디글리시딜에테르, 트리글리시딜에테르,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글리시딜에테르, N,N,N',N'-테트라글리시딜 에틸렌디아민 및/또는 글리세린 디글리시딜에테르 등을 들 수 있으며, 아지리딘 가교제의 예로는 N,N'-톨루엔-2,4-비스(1-아지리딘카르복사미드), N,N'-디페닐메탄-4,4'-비스(1-아지리딘카르복사미드), 트리에틸렌 멜라민, 비스이소프로탈로일-1-(2-메틸아지리딘) 및/또는 트리-1-아지리디닐포스핀옥시드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금속 킬레이트 가교제의 예로는, 알루미늄, 철, 아연, 주석, 티탄, 안티몬, 마그네슘 또는 바나듐 등과 같은 다가 금속이 아세틸 아세톤 또는 아세토아세트산(acetoacetic acid)의 알킬 에스테르 등에 배위하고 있는 화합물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상기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는 알킬기의 탄소수가 4 내지 40개, 바람직하게는 4 내지 20개, 더욱 바람직하게는 4개 내지 14개일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만족할 때,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구조적인 특징에 의해 점착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의 예시로는, 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펜틸(메트)아크릴레이트, 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헵틸(메트)아크릴레이트, 옥틸(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노닐(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메트)아크릴레이트, 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운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도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테트라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헥사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헵타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옥타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미리스틸(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미리스틸(메트)아크릴레이트, 세틸(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세틸(메트)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스테아릴(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중 하나만을 사용할 수 있으며 두 종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이 중, 취급안정성을 고려할 때, 2-에틸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또는 부틸아크릴레이트가 가장 적절하다.
알콕시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알콕시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는 알콕시기(R1-O-)를 함유하는데, 점착 필름이 광학 부재 보호 필름에 접합 시, 보호 필름과 충분히 반응하여 보호 필름과 점착력을 상승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그러나, 구조가 너무 복합한 경우 가수분해 반응속도가 느려, 보호 필름과의 반응속도가 느리다. 이는 리워크시 점착력 상승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알콕시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함으로써, 리워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점착 필름을 제공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알콕시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는 친수성을 높이기 위하여 secondary monomer로 사용된다. 친수성을 높이면 점착제의 표면저항을 낮출 수 있고, 소수성을 갖는 기재 표면에서 정전기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러나, 구조가 너무 복잡한 알콕시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는 제조 과정에서 부산물들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고 부산물들이 편광판과 같은 광학 부재 표면에 부착 후 제거 했을 때 오염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알콕시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함으로써, 상술한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다.
상기 R1은 상기 알콕시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의 알콕시기(R1-O)를 구성하는 치환기로서, 알킬기이며 구조적인 특성을 고려하여 탄소수가 한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R1은 탄소수 1 내지 10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킬기이고, 상기 알킬기는 상술한 예시들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R1의 가장 바람직한 예시로는 메틸기가 있다.
상기 n은 1 내지 5의 정수의 괄호 내의 구조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의 반복수로서, 단순한 구조를 확보하기 위하여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의 정수, 더욱 바람직하게는 1일 수 있다.
상기 R1은 탄소수 1 내지 10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킬기이고, 상기 n은 1 내지 3의 정수이다.
상기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에 대한 상기 알콕시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의 중량비가 5% 이상 100%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이상 8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이상 60%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수치 범위를 만족할 때, 점착 필름의 리워크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함량 범위일 때, 친수성이 향상되고 중합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상기 범위를 미달하면 친수성이 감소하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중합이 용이하지 않다. 상기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에 대한 상기 알콕시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의 중량비는 상기 알콕시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의 중량을 상기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의 중량으로 나눈 값을 의미한다.
상기 알콕시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의 수평균분자량은 10g/mol 이상 300g/mol 이하, 바람직하게는 100g/mol 이상 250g/mol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20g/mol 이상 200g/mol 이하일 수 있다.
친수성기를 함유하는 (메트)아크릴레이트
상기 친수성기를 함유하는 (메트)아크릴레이트는 다양한 재질의 필름과의 접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친수성기는 고분자 필름 표면에 존재하는 작용기들과 반응성이 높아 우수한 접착성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친수성기를 함유하는 (메트)아크릴레이트의 친수성기는 히드록시기, 카르복시기, 설폰산기 등일 수 있으며, 이 중 내수성의 관점에서 히드록시기(-OH) 또는 카르복시기(-COOH) 등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히드록시기(-OH)이다. 상기 친수성 기를 갖는 아크릴계 모노머의 구체적인 예로는 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Hydroxyethyl acrylate, HEA), 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 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히드록시부틸 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당해 기술분야에 잘 알려진 다양한 친수성기를 함유하는 (메트)아크릴레이트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에 대한 상기 친수성기를 함유하는 (메트)아크릴레이트의 중량비가 5% 이상 30% 이하, 바람직하게는 5.4% 이상 2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6% 이상 15%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수치 범위를 만족할 때, 친수성기에 의해 아크릴 수지의 친수성이 향상되므로, 점착층의 수분투습도가 향상되어 광학 필름에의 점착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중합이 용이할 수 있으며 기재에 대한 점착 필름의 박리력이 지나치게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 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이 200만g/mol 이하, 바람직하게는 150만g/mol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만g/mol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수치 범위를 만족할 때, 점착 필름의 응집성과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중량평균분자량은, GPC(gel permeation chromatography)로 측정한, 표준 폴리스티렌 환산 수치를 의미하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후술하는 측정 방법 1의 항목에서 규정하는 방식에 의해 측정한 수치를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특별히 달리 규정하지 않는 한, 용어 분자량은, 중량평균분자량을 의미한다.
상기 아크릴 수지의 유리전이온도(Tg)는 0℃ 이하, 바람직하게는 -2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40℃이하일 수 있고, 하한은 -100℃일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만족할 때 점착 특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상기 점착 필름의 저속 박리력(Xl)에 대한 고속 박리력(Xh)의 비율(Xh/Xl)이 1 내지 12,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1,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일 수 있다. 상기 수치 범위를 만족함으로써, 광학 부재 보호 필름에 적용 시 우수한 보호 기능을 나타내고, 고속 박리 시에 효과적인 박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박리력 밸런스(balance)가 우수한 장점을 갖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고속 박리력(Xh)은 180도의 박리 각도 및 30 m/min의 박리 속도로 측정한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Tri AcethylCelluose: TAC)에 대한 박리력을 의미하고, 상기 저속 박리력(Xl)은 180도의 박리 각도 및 0.3 m/min의 박리 속도로 측정한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Tri AcethylCelluose: TAC)에 대한 박리력을 의미한다.
상기 점착 필름의 고속 박리력(Xh)은 40 gf/inch 내지 200 gf/inch, 바람직하게는 50 gf/inch 내지 200 gf/inch,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gf/inch 내지 150 gf/inch일 수 있다. 고속 박리력을 상기 범위로 제어하여, 고속 박리 과정에서 피착체의 손상을 유발하지 않으며, 정전기 등의 발생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점착 필름의 저속 박리력(Xl)은 10 gf/inch 내지 30 gf/inch, 바람직하게는 10 gf/inch 내지 20 gf/inch,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gf/inch 내지 50 gf/inch일 수 있다. 저속 박리력을 상기 범위로 제어하여, 광학 부재를 오염으로부터 안정적으로 보호하고, 박리 시에 광학 부재를 손상시키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점착 필름의 수증기 투과율은 온도 25℃ 및 상대습도 40%의 조건에서 10 g/m2·hour 내지 100 g/m2·hour, 바람직하게는 15 g/m2·hour 내지 50 g/m2·hour, 더욱 바람직하게는 17 g/m2·hour 내지 30 g/m2·hour일 수 있다. 상기 수치 범위를 만족한다는 것은 점착 필름의 친수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경우, 기재 필름에 대한 점착력이 우수하게 확보될 수 있다. 상기 수증기 투과율의 측정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아크릴 수지의 산가는 5 이상 35 이하, 바람직하게는 6 이상 25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7 이상 25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만족할 때, 아크릴 수지의 오염성을 개선하고 잔여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산가는 아크릴 수지의 산의 함유량을 나타내는 지표이며, 예를 들어 카르복실기를 함유하는 폴리머 1g을 중화하는 데 필요한 수산화칼륨의 mg수로 나타내어 진다.
본 명세서는 보호 필름; 및 상기 보호 필름의 일면에 상술한 점착 필름이 구비된 광학 부재 보호 필름을 제공한다. 상기 보호 필름은 광학 부재의 보호 필름 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상기 점착 필름은 광학 부재와 보호 필름을 서로 점착시키는 용도로 사용된다.
상기 보호 필름은 광학 부재를 잘 보호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사이클로올레핀폴리머,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가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가 있다.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가격이 저렴하여 공정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보호 필름은 실리콘 이형 처리된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는 기재; 및 상기 기재의 일면 또는 양면에 구비된 상술한 광학 부재 보호 필름을 포함하는 광학 부재를 제공한다. 도 1은 상기 기재(10)의 일면에 광학 부재 보호 필름(20)이 포함된 광학 부재를 나타낸다.
상기 기재는 액정표시장치에 적용될 수 있는 기능성 기재로서, 예를 들어 편광판, 위상차판, 광학보상필름, 반사시트 또는 휘도향상필름일 수 있고, 통상적으로 편광판이다.
상기 편광판은 편광자; 및 상기 편광자의 일면 또는 양면에 구비된 편광자 보호 필름을 포함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 보호층, 반사층, 방현층, 위상차판, 광시야각 보상 필름 및 휘도 향상 필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기능성층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액정 패널; 상기 액정 패널의 일면 또는 양면에 구비된 상술한 광학 부재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액정표시장치에 포함되는 액정 패널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TN(Twisted Nematic)형, STN(Super Twisted Nematic)형, F(ferroelectric)형 및 PD(polymer dispersed LCD)형 등을 포함한 F 각종 수동행렬 방식; 2단자형(two terminal) 및 3단자형(three terminal)을 포함한 각종 능동행렬 방식; 횡전계형(IPS mode) 패널 및 수직배향형(VA mode) 패널을 포함한 공지의 액정 패널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액정표시장치에 포함되는 그 외의 기타 구성의 종류 및 그 제조 방법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이 분야의 일반적인 구성을 제한 없이 채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 대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하여 더욱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및 비교예 >
아래 표 1의 조성을 갖는 점착 아크릴레이트 단량체로부터 아크릴 수지를 합성하고, 아크릴 수지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후, 별도의 이형 필름(38㎛ PET 필름) 상에 상기 조성물을 코팅하고 110℃의 온도에서 2분 동안 건조하여 점착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박리력 테스트>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점착 필름의 고속 박리력(Xh) 및 저속 박리력(Xl)의 비율(Xh/Xl)을 측정하였다. 상기 고속 박리력(Xh)은 180도의 박리 각도 및 30 m/min의 박리 속도로 측정한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Tri AcethylCelluose: TAC)에 대한 박리력을 의미하고, 상기 저속 박리력(Xl)은 180도의 박리 각도 및 0.3 m/min의 박리 속도로 측정한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Tri AcethylCelluose: TAC)에 대한 박리력을 의미한다.
<실험예 2: 투습도>
수증기 투과율(Moisture Vapor Transmission Rate; MVTR)을 -40°C, 90% 조건에서 염화 칼슘(calcium chloride, CaCl2)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30mm 지름을 갖는 컵에 염화 칼슘을 5g 넣고, 상기 점착필름을 TAC 에 라미 하여 컵 입구에 부착한다.
항온 항습 챔버에 넣기 전의 무게인 초기 무게를 측정하고, 이어서 항온 항습 챔버에서 40℃ 의 온도 및 40% 의 상대 습도 조건 하에 24시간 동안 방치한 후의 무게인 후기 무게를 측정하여 하기 식에 의해 수증기 투과율을 계산하였다.
[식]
수증기 투과율(g/m2*h)=(후기 무게-초기 무게)/(면적/24h)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아크릴계 수지 조성 (a) BA 65 65 65 65 65 0 10
EHA 0 0 0 0 0 97.9 87
(b) MEA 25 30.3 31.2 32.2 33.1 0 0
(c) HEA 10 4.7 3.8 2.8 1.9 0.5 2.5
HBA 0 0 0 0 0 1.6 0.5
(c)/(a) 비율 15.4 7.23 5.85 4.31 2.92 2.15 3.09
실험예 박리력 Xh/Xl 5.6 8.1 9.6 13.3 9.2 N/A 18.5
Xh 66 105 120 158 170 N/A 233
Xl 11.7 13 12.5 11.9 18.4 40.5 24.6
산가 g/gmol 21 10 8 6 4 3.7 6
수증기 투과율 g/m2*h 17.4 19.1 17.5 19.5 17.8 13 12.6
아크릴 수지의 Mw 단위(g/mol) 50만 50만 50만 50만 50만 50만 50만
아크릴 수지의 Tg 단위(℃) -49 -51 -51 -51 -52 -69 -66
(a):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BA: 부틸아크릴레이트
EHA: 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b):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알콕시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MEA: 메톡시에틸아크릴레이트
Figure pat00003

(c): 친수성기를 함유하는 (메트)아크릴레이트
HEA: 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HBA: 하이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
상기 결과로부터,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에 대한 친수성기를 함유하는 (메트)아크릴레이트의 중량비{(c)/(a)}가 5% 미만인 비교예 1 내지 4는 박리력 특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에,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에 대한 친수성기를 함유하는 (메트)아크릴레이트의 중량비{(c)/(a)}가 5% 이상 30% 이하로 조절된 실시예 1 내지 3의 경우, 박리력 특성이 우수하였다. 특히, 저속 박리력(Xl)에 대한 고속 박리력(Xh)의 비율(Xh/Xl)이 12 미만으로 조절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한편, 비교예 2의 경우 고속 박리력이 너무 높은 문제가 있고, 비교예 3은 고속 박리력이 너무 높아 박리 시 점착 필름이 파단되는 현상이 발생하였다.즉, 본 발명의 점착 필름은 친수성이 낮은 TAC 필름에 대한 고속 박리력과 저속 박리력의 밸런스가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Claims (17)

  1.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로부터 유래된 단위 구조,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알콕시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로부터 유래된 단위 구조, 및 친수성기를 함유하는 (메트)아크릴레이트로부터 유래된 단위 구조를 포함하는 아크릴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에 대한 친수성기를 함유하는 (메트)아크릴레이트의 중량비가 5% 이상 30% 이하인 것인 점착 필름:
    [화학식 1]
    Figure pat00004

    상기 화학식 1에 있어서,
    R1은 알킬기이고,
    R2는 수소 또는 메틸기이고,
    n은 1 내지 5의 정수의 괄호 내의 구조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의 반복수이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는 알킬기의 탄소수가 4 내지 40개인 것인 점착 필름.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R1은 탄소수 1 내지 10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킬기이고, 상기 n은 1 내지 3의 정수인 것인 점착 필름.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에 대한 상기 알콕시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의 중량비가 5% 이상 100% 이하인 것인 점착 필름.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알콕시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의 수평균분자량은 10g/mol 이상 300g/mol 이하인 것인 점착 필름.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기를 함유하는 (메트)아크릴레이트는 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 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히드록시부틸 아크릴레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인 점착 필름.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에 대한 상기 알콕시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의 중량비가 5% 이상 100% 이하인 것인 점착 필름.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 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이 200만 이하인 것인 점착 필름.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 수지의 유리전이온도는 0℃ 이하인 것인 점착 필름.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점착 필름의 저속 박리력(Xl)에 대한 고속 박리력(Xh)의 비율(Xh/Xl)이 1 내지 12인 점착 필름:
    상기 고속 박리력(Xh)은 180도의 박리 각도 및 30 m/min의 박리 속도로 측정한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Tri AcethylCelluose: TAC)에 대한 박리력을 의미하고, 상기 저속 박리력(Xl)은 180도의 박리 각도 및 0.3 m/min의 박리 속도로 측정한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Tri AcethylCelluose: TAC)에 대한 박리력을 의미한다.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점착 필름의 수증기 투과율은 온도 25℃ 및 상대습도 40%의 조건에서 10 g/m2·hour 내지 100 g/m2·hour인 것인 점착 필름.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 수지의 산가는 5 이상 35 이하인 것인 점착 필름.
  13. 보호 필름; 및 상기 보호 필름의 일면에 상기 청구항 1 내지 12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점착 필름이 구비된 광학 부재 보호 필름.
  14.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보호 필름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인 것인 광학 부재 보호 필름.
  15. 기재; 및 상기 기재의 일면 또는 양면에 구비된 청구항 13에 따른 광학 부재 보호 필름을 포함하는 광학 부재.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기재가 편광판, 위상차판, 광학보상필름, 반사시트 또는 휘도향상필름인 광학 부재.
  17. 액정 패널; 상기 액정 패널의 일면 또는 양면에 구비된 청구항 15에 따른 광학 부재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20190090885A 2019-07-26 2019-07-26 점착 필름, 이를 포함하는 광학 부재 보호 필름, 이를 포함하는 광학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24764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0885A KR102476457B1 (ko) 2019-07-26 2019-07-26 점착 필름, 이를 포함하는 광학 부재 보호 필름, 이를 포함하는 광학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0885A KR102476457B1 (ko) 2019-07-26 2019-07-26 점착 필름, 이를 포함하는 광학 부재 보호 필름, 이를 포함하는 광학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2711A true KR20210012711A (ko) 2021-02-03
KR102476457B1 KR102476457B1 (ko) 2022-12-09

Family

ID=74571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0885A KR102476457B1 (ko) 2019-07-26 2019-07-26 점착 필름, 이를 포함하는 광학 부재 보호 필름, 이를 포함하는 광학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6457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3851A (ko) * 2010-12-27 2012-07-05 송기세 점착부여제, 아크릴계 점착제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30106434A (ko) * 2011-09-20 2013-09-27 디아이씨 가부시끼가이샤 금속면 첩부용 점착 시트
KR20130141614A (ko) * 2011-01-06 2013-12-26 소켄 케미칼 앤드 엔지니어링 캄파니, 리미티드 점착제 및 점착 시트
KR20170041676A (ko) * 2013-09-20 2017-04-17 후지모리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표면 보호 필름
KR20170136467A (ko) * 2013-11-20 2017-12-11 후지모리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점착제 조성물 및 표면 보호 필름
KR20180019023A (ko) * 2014-09-10 2018-02-22 후지모리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점착제 조성물 및 표면 보호 필름
KR20180127874A (ko) 2017-05-22 2018-11-3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점착필름, 이를 포함하는 광학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3851A (ko) * 2010-12-27 2012-07-05 송기세 점착부여제, 아크릴계 점착제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30141614A (ko) * 2011-01-06 2013-12-26 소켄 케미칼 앤드 엔지니어링 캄파니, 리미티드 점착제 및 점착 시트
KR20130106434A (ko) * 2011-09-20 2013-09-27 디아이씨 가부시끼가이샤 금속면 첩부용 점착 시트
KR20170041676A (ko) * 2013-09-20 2017-04-17 후지모리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표면 보호 필름
KR20170136467A (ko) * 2013-11-20 2017-12-11 후지모리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점착제 조성물 및 표면 보호 필름
KR20180019023A (ko) * 2014-09-10 2018-02-22 후지모리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점착제 조성물 및 표면 보호 필름
KR20180127874A (ko) 2017-05-22 2018-11-3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점착필름, 이를 포함하는 광학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6457B1 (ko) 2022-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31807B1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protective film, polarizer and liquid crystal display comprising the same
TWI402320B (zh) 丙烯酸壓感型黏著劑組成物,含其之保護膜,偏光板及液晶顯示器
KR102192798B1 (ko) 점착제 조성물 및 점착 필름
US10227508B2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EP2889351B1 (en) Adhesive composition
KR102538808B1 (ko) 점착제 조성물, 점착제 시트 및 점착제 부착 광학 필름
KR101793994B1 (ko) 광학 부재용 점착제 조성물, 광학 부재용 점착 필름 및 표면 보호 필름
CN115731778A (zh) 透明树脂层
EP2677014A2 (en) Sticking agent composition
KR20130072180A (ko) 점착제 조성물
KR20150016561A (ko)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 점착제가 부착된 편광판 및 표시 장치
KR20230107774A (ko) 대전 방지 표면 보호 필름
KR20140031117A (ko) 점착제 조성물
KR102395708B1 (ko) 대전방지성 점착제 조성물, 보호 필름, 편광판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56591B1 (ko) 점착제 조성물
KR102476457B1 (ko) 점착 필름, 이를 포함하는 광학 부재 보호 필름, 이를 포함하는 광학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2056592B1 (ko) 점착제 조성물
KR102063057B1 (ko) 점착제 조성물
JP7494350B2 (ja) 表面保護フィルム
KR102234124B1 (ko) 점착제 조성물
KR102063050B1 (ko) 점착제 조성물
KR101976905B1 (ko) 편광판용 점착 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KR20220012182A (ko) 점착제 조성물, 점착 시트, 점착제 구비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KR20200018556A (ko) 점착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