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2703A - 선반 랙 조립구조 - Google Patents

선반 랙 조립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2703A
KR20210012703A KR1020190090871A KR20190090871A KR20210012703A KR 20210012703 A KR20210012703 A KR 20210012703A KR 1020190090871 A KR1020190090871 A KR 1020190090871A KR 20190090871 A KR20190090871 A KR 20190090871A KR 20210012703 A KR20210012703 A KR 202100127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member
mounting bracket
horizontal member
vertical
shelf r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08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46740B1 (ko
Inventor
김순중
Original Assignee
김순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순중 filed Critical 김순중
Priority to KR10201900908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6740B1/ko
Publication of KR202100127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27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67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67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83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with four vertical uprigh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4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 A47B96/1408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regularly perforated

Landscapes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직부재과 수평부재의 조립구조를 개선하여 미세높낮이 조정이 가능하면서 조립부위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 선반 랙 조립구조에 관한 것으로, 선반 랙의 기둥을 구성하는 수직부재가 수평부재로 연결되어 일정한 틀을 구성하며 선반을 수납할 수 있도록 프레임 본체가 구비되고, 상기 프레임 본체는 수직부재와 수평부재를 연결하는 연결수단에 의하여 조립이 이루어지는 선반 랙 조립구조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수직부재에 설치브라켓이 장착되고, 수평부재에는 단부에 걸이부가 형성되어 걸이부가 설치브라켓에 걸어 고정되고, 상기 설치브라켓은 수직부재 내에서 상,하로 유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수평부재의 장착 높낮이 조정이 가능하게 되고, 수직부재에 대한 설치브라켓의 높낮이 조정상태를 고정하기 위한 락킹요소가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설치브라켓을 수직부재에 고정한 상태에서 수평부재를 걸어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함은 물론, 설치브라켓은 수직부재에 형성된 레일부에 삽입되어 상,하 슬라이딩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높낮이 조정이 가능하도록 하고, 그 레일부의 구조를 수직부재와 설치브라켓이 서로 대응하게 'ㄱ'자 형태를 이루며 설치브라켓이 수직부재의 내면과 접하게 조립하되, 수직부재의 폭방향 양단부에는 설치브라켓의 폭방향 양단부가 걸림되도록 걸림턱을 형성하여 설치브라켓의 상,하 슬라이드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조립부위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선반 높낮이의 미세조정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선반 랙 조립구조{Shelf rack assembly structure}
본 발명은 앵글을 일정길이로 절단하여 다단으로 선반을 장착할 수 있는 선반 랙의 조립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직부재과 수평부재의 조립구조를 개선하여 미세높낮이 조정이 가능하면서 조립부위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 선반 랙 조립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립식 랙 선반은 매장이나 창고에서는 물론,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도 물건을 진열하거나 보관하기 위한 목적으로 다양하게 사용되는 것으로서, 용접이나 절단 등의 작업을 하지 않고도 필요한 규격의 앵글을 조립하여 수납공간을 마련할 수 있으므로 다방면에서 사용되고 있다.
초기의 선반 랙은 앵글을 적당한 길이로 절단하여 수직 지지대를 마련하고, 그 연결부위를 별도의 철물로 피스고정한 후, 합판 등의 선반을 올려두고 각종 물건을 적재하는 방식이 주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볼트와 너트방식으로 조립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조립 및 분해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도 흘들림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이에 대한 개선으로 공개실용신안 제20-2010-0008790호 '조립식 랙 선반'(선행기술1)으로 소개된 바 있다.
위의 선반 랙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고정구를 사용하지 않고 수직 지지대에 타공된 구멍을 형성하여 수평대를 구멍에 걸어서 고정하는 방식으로 현재 가장 대중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 선반 랙은 분해, 조립이 간편하다는 장점은 있으나, 그 조립부위가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미관이 좋지 않고, 노출되는 조립부위로 인하여 옷이 걸려 찢어지는 등의 문제가 있다.
특히, 최근에는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도 정리를 위하여 선반 랙의 수요가 많은데, 영유아의 경우 노출되는 조립부위로 인하여 안전사고의 위험을 수반하게 된다.
따라서 최근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부위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 방안이 제안된 바 있으며, 실용신안등록 제482530호 '앵글선반프레임'(선행기술2)으로 소개되었다.
그러나 위의 선행기술1은 물론, 선행기술2의 경우에도 수직부재에 형성된 구멍이 너무 많기 때문에 선반 랙을 조립할 때 선반높이를 정확하게 설정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즉, 수직부재에는 선반의 높낮이 조정을 위하여 매우 많은 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그 구멍들은 매우 촘촘한 간격으로 구멍들이 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선반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위치하는 수직부재의 구멍높이를 동일하게 맞춰서 끼우기가 매우 어렵고, 구멍의 수량을 세어가면서 위치설정을 해야 하기 때문에 설치가 어려운점이 있다.
만약, 좌,우측의 설치위치가 한 칸이라도 다르게 설치되는 경우 선반 설치가 불가능하거나, 선반이 기울어지게 설치되는 문제가 있으며, 이 상태로 무거운 물건을 보관한 상태로 장기간 사용하면 체결부위가 비틀려 재사용이 불가능하거나 렉의 비틀림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특히, 물품의 하중을 받는 부분은 걸이부분의 절곡된 부분의 내측에 하중이 집중되므로 걸이부분이 쉽게 변형되거나 휘어지는 현상을 초래하며, 진열상태의 물품의 낙하 및 파손은 물론, 선반이 점진적으로 움직임되거나 기울어지면서 제품안정성을 크게 저하시킨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조립구조로 인하여 랙을 구성하는 수직부재와 수평부재를 제작위한 공정이 번거롭고, 특히 체결부위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제작공정이 더 복잡해지기 때문에 제품의 생산성을 크게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선반 랙의 조립부위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면서도 조립구조를 간소화하여 분해, 조립이 용이하도록 하고, 선반의 높낮이 미세조정이 가능한 선반 랙 조립구조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또한, 수직부재 및 수평부재를 포함하여 선반 랙의 구성부품의 구조를 단순화하고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할 수 있도록 함에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본 발명은, 선반 랙의 기둥을 구성하는 수직부재가 수평부재로 연결되어 일정한 틀을 구성하며 선반을 수납할 수 있도록 프레임 본체가 구비되고, 상기 프레임 본체는 수직부재와 수평부재를 연결하는 연결수단에 의하여 조립이 이루어지는 선반 랙 조립구조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수직부재에 설치브라켓이 장착되고, 수평부재에는 단부에 걸이부가 형성되어 걸이부가 설치브라켓에 걸어 고정되고, 상기 설치브라켓은 수직부재 내에서 상,하로 유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수평부재의 장착 높낮이 조정이 가능하게 되고, 수직부재에 대한 설치브라켓의 높낮이 조정상태를 고정하기 위한 락킹요소가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설치브라켓을 수직부재에 고정한 상태에서 수평부재를 걸어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또한, 설치브라켓은 수직부재에 형성된 레일부에 삽입되어 상,하 슬라이딩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높낮이 조정이 가능하도록 하고, 그 레일부의 구조를 수직부재와 설치브라켓이 서로 대응하게 'ㄱ'자 형태를 이루며 설치브라켓이 수직부재의 내면과 접하게 조립하되, 수직부재의 폭방향 양단부에는 설치브라켓의 폭방향 양단부가 걸림되도록 걸림턱을 형성하여 설치브라켓의 상,하 슬라이드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선반 랙 조립구조에 의하면, 슬라이드 구조에 의하여 미세 높낮이 조정이 가능하므로 진열목적이나 진열장소의 특성에 따라 적합하게 맞춤 설치가 가능하다.
또한, 조립부위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미관이 수려하고, 체결부위 노출에 따른 부작용, 예를 들어 이동 중 옷이 걸려 찢어지거나, 운반 중 물건이 걸려서 발생하는 부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선반 랙 구조에서 대부분의 중량 및 부피를 차지하는 자재인 수직부재와 수평부재를 압출 후 절단하여 단순 공정으로 제작할 수 있고, 브라켓과 걸이부도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생산공정 및 제조비용을 현저히 줄일 수 있으므로 저렴한 비용으로 고품질의 제품 공급이 가능하다.
또한, 선반 랙의 전,후면과 양측면의 수평부재의 체결구조가 동일하기 때문에 관련부속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선반의 각 층마다 전,후면과 양측면의 수평부재를 동일한 높이에 함께 조립할 수 있으므로 선반 랙이 전,후,좌,우 어느 방향으로도 비틀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선반 랙의 내구성을 크게 향상킬 수 있다.
또한, 선반 랙을 자립식으로 설치가 가능함은 물론, 수평부재가 수직부재에 걸쳐진 상태에서 기울어짐이 거의 없기 때문에 벽면 고정식으로도 활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선반 랙 조립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의 조립구조가 적용된 선반 랙의 외관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선반 랙의 세부 조립 구조도
도 6은 본 발명의 수직부재와 설치브라켓의 조립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수직부재와 설치브라켓의 또 다른 조립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수평부재와 걸이부의 조립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수평부재와 걸이부의 또 다른 조립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선반 랙의 설치브라켓의 높낮이 조정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11은 본 발명의 락킹요소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선반 랙 조립구조를 활용한 또 다른 설치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본체(1)가 연결수단(2)에 의하여 조립이 이루어져 선반 랙을 구성하게 되는 것으로, 프레임 본체(1)는 수직부재(100)와 수평부재(200)로 구성되며, 연결수단(2)은 수직부재(100)에 장착되는 설치브라켓(10)과 수평부재(200)에 구비되는 걸이부(20)로 구성된다.
수직부재(100)는 선반 랙의 기둥을 구성하는 것으로, 수직부재(100)가 일정한 간격으로 나열된 상태에서 수평부재(200)에 의하여 연결되어 일정한 형태의 틀을 마련할 수 있게 되며, 틀이 마련된 이후에는 선반을 끼워 선반 랙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수직부재(100)와 수평부재(200)는 내측면, 즉 선반 랙으로 조립된 상태에서 외부측으로 노출되지 않는 내측면에 설치브라켓(10)과 걸이부(20)가 조립되는 부분이 위치하게 되며, 외부측으로 노출되는 표면이 조립부위를 가리면서 조립부위가 외부로 전혀 노출되지 않게 된다.
수직부재(100)와 수평부재(200)의 표면은 민무늬로 마감하여 미관을 깔끔하게 형성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수직부재(100)와 수평부재(200)의 표면에 양각 또는 음각으로 무늬나 도형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설치브라켓(10)은 수직부재(10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하로 유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수평부재(200)의 설치 높낮이 조정이 가능하게 되는 것으로, 설치브라켓(10)에는 결합공(12)이 형성되어 걸이부(20)의 후크(22)가 결합공에 끼워져 걸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설치브라켓(10)은 수직부재(10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되는 것으로, 상,하 높낮이 조절은 수직부재(100)의 내면에 레일부(110)를 형성하고, 그 레일부에 설치브라켓을 끼워 조립함으로써 설치브라켓이 레일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슬라이드 방식으로 상,하 높낮이 조정이 가능하게 된다.
수직부재(100)와 설치브라켓(10)의 조립구조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수직부재(100)와 설치브라켓(10)의 레일구조의 조립은 수직부재에 내입되는 형상을 갖는 레일부를 마련하고, 설치브라켓(10)의 외면에는 그 레일부에 삽입되게 돌출된 레일부를 마련하여 슬라이드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제작할 수 있으나, 그 구조를 간소화하고 조립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서 더 바람직한 방법으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부재(100)와 설치브라켓(10)이 서로 대응하게 단면이 'ㄱ'자 형의 단면구조를 이루며, 설치브라켓(10)이 수직부재(100)의 내면과 접하게 조립되도록 하되 설치브라켓(10)이 수직부재(100)로부터 이탈되지 않는 구조로 이루어져 상,하 슬라이드 작동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수직부재(100)의 폭방향 양단부에는 설치브라켓(10)의 폭방향 양단부 엣지(11)가 걸림되도록 걸림턱(112)이 형성되어 설치브라켓(10)이 수직부재(100)에 밀착되게 장착된 상태에서 임의로 분리되지 않고 상,하 슬라이드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직부재(100)는 설치브라켓(10)을 수용하기 위한 구조가 길이방향으로 동일성을 유지하게 구현되므로 알루미늄바 등의 압출성형에 의하여 간단하게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치브라켓(10)은 판재를 'ㄱ'자 형상에 가깝게 절곡하고, 그 절곡부위가 경사면을 갖도록 절곡함으로써 수직부재의 내면과 밀착되게 체결면(14)을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설치브라켓(10)을 'ㄱ'자 형상에 가깝게 절곡함으로써 수직부재(100)에 끼워 삽입할 때 반드시 끝부분에서부터 레일방식으로 결합할 필요없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브라켓(10)의 일부분만을 걸친 후 강제가압방식으로 설치브라켓의 자체 탄성에 의하여 원터치로 끼워 조립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설치브라켓(10)의 양날개가 외측으로 벌어지면서 복원되려는 힘에 의하여 설치브라켓(10)이 수직부재의 내면에 밀착 고정되는 것이고, 이 상태에서 슬라이드 작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설치브라켓(10)은 수직부재(100) 내에서 높낮이 조절이 완료된 이후에 그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하게 고정됨으로써 선반 기능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설치브라켓(10)의 높낮이 조정상태를 고정하기 위한 락킹요소(3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락킹요소(30)는 설치브라켓(10)에 피스체결공(32)이 형성되고, 수직부재(100)에는 피스체결홈(34)이 형성되어 피스(36) 고정으로 설치브라켓의 위치설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피스 고정을 통하여 선반 랙이 조립완료된 상태에서 설치브라켓(10)이 쳐지지 않고 일정한 높이를 유지할 수 있다.
설치브라켓(10)은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개의 결합공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수직부재(100)에 대한 수평부재(200)의 설치 높낮이 설정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락킹요소(30)에 의하여 높낮이를 고정하더라도 수평부재(200)의 설치 높낮이를 다단으로 조정할 수 있으므로 선반의 높낮이 조정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수평부재(200)의 양측 단부에 구비되는 걸이부(2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이부(20)가 수평부재(200)로부터 분리 구성되어 수평부재의 길이방향 양측 단부에 끼워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프레임 본체(1)를 구성하는 수직부재(100)와 수평부재(200)가 모두 연속성을 갖는 단면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수직부재(100)와 수평부재(200)를 모두 압출 성형으로 간단하게 제작할 수 있으며, 비교적 부피가 크고 제조비의 비중이 큰 자재의 제작공정을 단순화함으로써 제조비를 크게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수평부재(200)의 양측 단부에 조립되는 걸이부(20)는 판재를 원료로 하여 프레스 가공에 의하여 돌출되게 후크(22)를 형성할 수 있는 것으로, 이때 후크(22)는 수평방향 양측으로 절곡형성되어 설치브라켓(10)의 결합공(12)에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수직 하중에 대한 지지력을 충분히 확보하고 고중량의 물건이 놓여져 수직하중이 크게 작용하더라도 후크(22)의 형태가 쉽게 변형되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된다.
또한, 설치브라켓(10)에 형성된 결합공(12)은 하부측으로 경사도를 갖도록 형성되어 후크를 끼울 때 경사면을 타고 삽입 유도되어 간편하게 걸어 고정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이 결합공(12)과 후크(22)에는 서로 대응하게 맞물림부(13,23)를 형성함으로써 후크(22)가 결합공(12)에 삽입된 상태에서 임의로 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결합공(12)과 후크(22)는 2단 또는 3단 등 상,하측으로 다단으로 구성되도록 하면 수평부재가 수직부재에 걸쳐진 상태에서 기울어짐이 거의 없이 수평을 유지한 상태로 거치할 수 있으므로 선반 랙을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면 고정식으로도 활용할 수 있다.
그리고 이 경우 양측에 수평부재(200)를 걸어 고정하고 선반을 끼워 사용하는데, 이 선반의 빠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마감캡이 부가 구성될 수 있으며, 이 마감캡은 수평부재의 단면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수평부재의 단면이 노출되지 않고 미관을 수려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걸이부(20)는 판재를 프레스 가공하여 제작함으로써 수직하중이 발생하는 경우 국소부위에 하중이 집중되는 것이 아닌 판재 전체에 분산되면서 부품의 손상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이부(20)는 수평부재(200)에 슬라이드 방식 또는 강제가압방식으로 조립이 가능하도록 수평부재(200)의 내면에 레일부(21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걸이부(20)가 조립되는 부분을 'ㄱ'자 형상에 가깝게 절곡하고, 조립되는 부분이 장착되는 레일부(210)는 수평부재(200)의 내면에 걸이부(10)의 폭방향 양단부가 걸림되도록 걸림턱(212)이 형성되어 걸이부(20)를 수평부재(200)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간단하게 끼워 조립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걸이부에는 피스공이 형성되어 수평부재(200)와 피스조립될 수 있으며, 조립된 상태에서 임의로 빠짐을 방지하고 유동되지 않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걸이부(20)의 조립부위를 'ㄱ'자 형상에 가깝게 절곡함으로써 수평부재(200)에 끼워 삽입할 때 반드시 끝부분에서부터 레일방식으로 결합할 필요없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이부(20)의 일부분만을 걸친 후 강제가압방식으로 설이부의 자체 탄성에 의하여 원터치로 끼워 조립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걸이부(20)의 양날개가 외측으로 벌어지면서 복원되려는 힘에 의하여 걸이부(20)가 수평부재의 내면에 밀착 고정되는 것이고, 이 상태에서 슬라이드 작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걸이부가 판재로 제작됨으로써 절곡되지 않은 나머지 부분, 즉 후크가 형성된 부분을 손잡이로 활용하여 간편하게 끼워 조립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부재(100)에 설치프레임(10)을 먼저 조립한 후, 설치프레임을 일정한 높이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수평부재(200)를 끼움으로서 간편하게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며, 조립부위가 수직부재와 수평부재의 내면에 위치함으로써 외측으로 조립부위가 전혀 노출되지 않게 된다.
이때, 상기 수평부재(200)는 '┣'자형으로 이루어져 외측면이 평면을 유지하고, 중간대가 걸이부(20)의 절곡된 상면에 안착되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음은 물론, 중간대의 상측으로는 선반을 수납한 상태에서 선반의 테두리가 수평부재의 상부측으로 형성된 가림막에 의하여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설치브라켓(10)은 양측의 날개에 관통홀(12)을 대칭되게 형성함으로써 선반 랙의 전,후면에 수평부재(200)를 거치하여 조립할 수 있음은 물론, 동일한 높이의 측면에도 수평부재(200)를 거치하여 조립함으로써 선반 랙의 사방향 모두가 수평부재에 의하여 조립되어 선반 랙이 설치된 상태에서 비틀림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특히 사방의 수평부재가 선반의 테두리에 밀착됨으로써 선반 랙의 비틀림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락킹요소(3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브라켓(10)의 고정상태를 견고히 하고 쳐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브라켓과 수직부재(100) 사이에 탄성체인 보조받침구(38)가 삽입되어 설치브라켓(10)의 하단을 지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조받침구(38)는 고무나 실리콘 등의 탄성체가 사용될 수 있으며, 보조받침구를 끼울 경우에는 폭을 협소하게 하여 삽입한 후, 설치브라켓(10)에 수직하중이 발생함에 따라 보조받침구(38)의 폭이 늘어나면서 수직부재(100)와 설치브라켓(10)의 고정이 견고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락킹요소(30)는 상술한 피스(36) 조립에 의한 방식으로 설치브라켓(10)을 수직부재(100)에 고정하거나, 또는 보조받침구(38)를 활용한 방식으로 설치브라켓(10)의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선택적 사용이 가능하지만 더 바람직하게는 피스와 보조받침구를 병행하여 설치브라켓(10)의 쳐짐을 방지할 수 있다.
1: 프레임본체 2: 연결수단
10: 설치브라켓 11: 엣지
12: 결합공 14: 체결면
20: 걸이부 22: 후크
30: 락킹요소 32: 피스체결공
34: 피스체결홈 36: 피스
38: 보조받침구
100: 수직부재
110: 레일부 112: 걸림턱
200: 수평부재
210: 레일부 212: 걸림턱

Claims (8)

  1. 선반 랙의 기둥을 구성하는 수직부재(100)가 수평부재(200)로 연결되어 일정한 틀을 구성하며 선반을 수납할 수 있도록 프레임 본체(1)가 구비되고, 상기 프레임 본체는 수직부재와 수평부재를 연결하는 연결수단(2)에 의하여 조립이 이루어지는 선반 랙 조립구조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2)은 수직부재(100)에 설치브라켓(10)이 장착되고, 수평부재(200)에는 단부에 걸이부(20)가 형성되어 걸이부(20)가 설치브라켓(10)에 걸어 고정되고,
    상기 설치브라켓(10)은 수직부재(100) 내에서 상,하로 유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수평부재의 장착 높낮이 조정이 가능하게 되고, 수직부재에 대한 설치브라켓(10)의 높낮이 조정상태를 고정하기 위한 락킹요소(30)가 구비되어 설치브라켓을 수직부재에 고정한 상태에서 수평부재를 걸어 조립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 랙 조립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브라켓(10)은 수직부재(100)에 형성된 레일부(110)에 삽입되어 설치브라켓(10)의 상,하 슬라이딩 작동이 이루어지면서 높낮이 조절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 랙 조립구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부(110)는 수직부재(100)와 설치브라켓(10)이 서로 대응하게 'ㄱ'자 형태를 이루며 설치브라켓(10)이 수직부재(100)의 내면과 접하게 조립되되, 수직부재(100)의 폭방향 양단부에는 설치브라켓(10)의 폭방향 양단부가 걸림되도록 걸림턱(112)이 형성되어 설치브라켓(10)의 상,하 슬라이드 작동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 랙 조립구조.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브라켓(10)에는 수직부재(100)에 대한 수평부재(200)의 설치 높낮이 설정과 함께 다단으로 높낮이 조정이 가능하도록 결합공(12)이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 랙 조립구조.
  5. 제 4항에 있어서, 프레임 본체(1)를 구성하는 수직부재(100)와 수평부재(200)를 모두 압출 성형으로 공정을 단순화하기 위하여 수평부재(200)의 단부에 구비되는 걸이부(20)는 수평부재로부터 분리 구성되어 수평부재의 길이방향 단부에 끼워 조립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 랙 조립구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부(20)는 판재를 프레스 가공에 의하여 돌출되게 후크(22)가 형성되고, 후크(22)는 수평방향 양측으로 절곡형성되어 설치브라켓(10)의 결합공(12)에 삽입되며, 결합공(12)은 하부측으로 경사도를 갖도록 형성되되, 결합공(12)과 후크(22)에는 서로 대응하게 맞물림부(13,23)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 랙 조립구조.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부(20)는 수평부재(200)에 슬라이드 방식 또는 강제가압방식으로 조립이 가능하도록 수평부재(200)의 내면에 레일부(210)가 형성되고, 그 레일부(210)는 수평부재(200)의 내면에 걸이부(10)의 폭방향 양단부가 걸림되도록 걸림턱(21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 랙 조립구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요소(30)는 선반랙이 설치된 상태에서 설치브라켓(10)의 고정상태를 견고히 하고 쳐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브라켓과 수직부재(100) 사이에 탄성체인 보조받침구(38)가 삽입되어 설치브라켓(10)의 하단을 지지하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 랙 조립구조.
KR1020190090871A 2019-07-26 2019-07-26 선반 랙 조립구조 KR1023467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0871A KR102346740B1 (ko) 2019-07-26 2019-07-26 선반 랙 조립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0871A KR102346740B1 (ko) 2019-07-26 2019-07-26 선반 랙 조립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2703A true KR20210012703A (ko) 2021-02-03
KR102346740B1 KR102346740B1 (ko) 2021-12-31

Family

ID=74572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0871A KR102346740B1 (ko) 2019-07-26 2019-07-26 선반 랙 조립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67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2114B1 (ko) * 2021-03-22 2021-07-27 주식회사 정한테크 구조 개선 및 잠금구조의 조립식 스틸 랙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42397A (en) * 1980-09-08 1982-08-03 Halstrick Robert T Fastenings for storage racks
KR20080003084U (ko) * 2007-01-31 2008-08-05 주식회사 제이씨 선반 설치 시스템
KR200458090Y1 (ko) * 2009-10-29 2012-01-18 이철호 조립식 선반
KR20190000828U (ko) * 2017-09-25 2019-04-03 한길산업(주) 장식커버가 구비된 조립식 앵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42397A (en) * 1980-09-08 1982-08-03 Halstrick Robert T Fastenings for storage racks
KR20080003084U (ko) * 2007-01-31 2008-08-05 주식회사 제이씨 선반 설치 시스템
KR200458090Y1 (ko) * 2009-10-29 2012-01-18 이철호 조립식 선반
KR20190000828U (ko) * 2017-09-25 2019-04-03 한길산업(주) 장식커버가 구비된 조립식 앵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2114B1 (ko) * 2021-03-22 2021-07-27 주식회사 정한테크 구조 개선 및 잠금구조의 조립식 스틸 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6740B1 (ko) 2021-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24076A (en) Wall units
US5582376A (en) Store display fixture with multiple function bracket
US6349507B1 (en) Slat wall structure with profile for different shelf support brackets and the like
US6631813B1 (en) Arrangement for hanging articles or for fixing a rack
US11178985B2 (en) Hanging assembly and frame apparatus incorporating the same
KR101845802B1 (ko) 조립식 선반
JP2019170999A (ja) 組立式棚
US9364102B2 (en) Support systems and components for same
KR20170035677A (ko) 가구용 선반 고정장치
KR101737030B1 (ko) 상품 진열대
KR20210012703A (ko) 선반 랙 조립구조
US3286662A (en) Strip support assemblies
KR20220107145A (ko) 거치 형태의 변경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선반
CA1081661A (en) Wall unit
KR100979280B1 (ko) 선반 높이 조절 구조
KR101732443B1 (ko) 쇼케이스 냉장고의 롤러선반 및 장착장치
KR200451957Y1 (ko) 조립식 선반
KR102137578B1 (ko) 각도 조절형 신발용 선반
KR102597966B1 (ko) 미세 높낮이 조정이 가능하고 수평설정이 용이한 선반 랙
KR200496189Y1 (ko) 냉장고용 선반 지지대 구조
KR20210113844A (ko) 다용도 선반
CN211748167U (zh) 一种具有悬挂功能的搁架及衣帽间
CN215838297U (zh) 快速灵活拆装衣帽架
CN211186756U (zh) 一种挂衣架及衣帽间
CN211722327U (zh) 一种角度可调的旋转搁架及其衣帽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