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7966B1 - 미세 높낮이 조정이 가능하고 수평설정이 용이한 선반 랙 - Google Patents

미세 높낮이 조정이 가능하고 수평설정이 용이한 선반 랙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7966B1
KR102597966B1 KR1020200005656A KR20200005656A KR102597966B1 KR 102597966 B1 KR102597966 B1 KR 102597966B1 KR 1020200005656 A KR1020200005656 A KR 1020200005656A KR 20200005656 A KR20200005656 A KR 20200005656A KR 102597966 B1 KR102597966 B1 KR 1025979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member
adjuster
shelf
height adjustment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5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92105A (ko
Inventor
김순중
Original Assignee
김순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순중 filed Critical 김순중
Priority to KR10202000056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7966B1/ko
Publication of KR202100921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21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79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79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1/00Feet for furniture in general
    • A47B91/02Adjustable feet
    • A47B91/022Adjustable feet using screw means
    • A47B91/024Foot attached to a rotating bolt supported in an internal threa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25Horizontal connecting members adapted to receive and retain the edges of several panel elements
    • A47B47/005Combination of corners and ba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 A47B57/3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detachable shelf supports
    • A47B57/44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detachable shelf supports consisting of screwbolts as connecting members

Landscapes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반 랙을 설치한 상태에서도 미세 높낮이 조정이 가능하고 수평설정이 용히한 선반 랙에 관한 것으로, 수직부재와 수평부재가 조립된 프레임 본체에 선반이 끼워져 구성되는 선반 랙에 있어서, 수직부재의 하단에 회전에 의하여 수직부재의 높낮이 조정이 이루어지도록 높낮이 조절수단을 마련하여 수직으로 직립되게 설치되는 여러 개의 수직부재를 각각 개별적으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고, 높낮이 조절수단은 수직부재의 하부에 끼워 조립되는 하부캡과, 상기 하부캡에 장착된 상태에서 승강 작동이 이루어지는 조절구를 포함하되, 조절구가 나선구조로 하부캡에 조립되도록 하고, 하부캡을 관통하여 조절구 하단부가 지면에 지지되면서 조절구의 상단에는 조절구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부캡의 상측으로 노출되는 헤드부를 마련함으로써 프레임 본체가 지면에 설치된 상태에서도 선반을 분리하지 않고 사용자가 선반 랙이 설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공구 등을 활용하여 조절구를 회전시킴으로써 간편하게 수직부재의 높낮이를 조정을 할 수 있어 선반 랙의 미세 높낮이 조정이 가능하고 수평설정이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미세 높낮이 조정이 가능하고 수평설정이 용이한 선반 랙{Shelf rack with fine height adjustment and easy horizontal setting}
본 발명은 앵글을 일정길이로 절단하여 다단으로 선반을 장착할 수 있는 선반 랙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선반 랙을 설치한 상태에서도 미세 높낮이 조정이 가능하고 수평설정이 용히한 선반 랙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립식 랙 선반은 매장이나 창고에서는 물론,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도 물건을 진열하거나 보관하기 위한 목적으로 다양하게 사용되는 것으로서, 용접이나 절단 등의 작업을 하지 않고도 필요한 규격의 앵글을 조립하여 수납공간을 마련할 수 있으므로 다방면에서 사용되고 있다.
초기의 선반 랙은 앵글을 적당한 길이로 절단하여 수직 지지대를 마련하고, 그 연결부위를 별도의 철물로 피스고정한 후, 합판 등의 선반을 올려두고 각종 물건을 적재하는 방식이 주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볼트와 너트방식으로 조립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조립 및 분해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도 흘들림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이에 대한 개선으로 공개실용신안 제20-2010-0008790호 '조립식 랙 선반'(선행기술1)으로 소개된 바 있다.
위의 선반 랙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고정구를 사용하지 않고 수직 지지대에 타공된 구멍을 형성하여 수평대를 구멍에 걸어서 고정하는 방식으로 현재 가장 대중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 선반 랙은 분해, 조립이 간편하다는 장점은 있으나, 선반 랙의 높낮이 조정 및 수평조절이 어렵고, 높낮이 조정 및 수평조절을 하는 과정에서 안전사고의 위험이 뒤따른다.
그 이유는 위와 같은 선반 랙의 설치구조는 여러 개의 수직지지대를 코너부분에 직립하게 위치시킨 후 직립된 수직지지대를 수평대로 서로 연결하여 조립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수평대의 양측이 수직지지대에 단순히 걸쳐진 상태에서 프레임이 임시 고정된 상태이므로 그 결합이 매우 취약하다.
결국, 선반 랙의 조립이 완료되려면 선반을 수평대의 상단에 끼워서 얹혀 놓음으로써 프레임의 뒤틀림이 발생하지 않고 조립이 완료된다.
그런데 선반의 높낮이를 미세하게 조정하여야 하는 경우, 또는 지면의 수평이 맞지 않은 경우에는 수직지지대의 하단에 간격제를 삽입하여 높낮이 조절을 해야 하는데, 위와 같이 선반이 이미 조립되어 있는 경우에는 선반무게로 인하여 수직지지대를 들어올리기가 쉽지 않고, 혼자서 작업이 거의 불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수직지지대의 무게를 가볍게 하기 위해서는 선반을 뺀 상태로 수평 조절을 하는데, 선반을 뺀 상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프레임의 체결상태가 매우 취약하기 때문에 수평대가 빠져버리게 되는 문제가 있으며, 프레임 상부의 수평대가 빠지는 경우 하부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에게 떨어져 심각한 부상의 위험을 초래하게 된다.
물론, 선반 랙의 수평을 맞추지 않더라도 선반에 여러 물건들을 올려 진열하게 되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프레임 자체의 무게와 진열되는 물품의 중량에 의하여 바닥의 들뜸이 줄어들기는 하기 때문에 현장에서 수평 차이가 크지 않다면 대부분 수평을 별도로 맞추지 않고 설치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프레임이 변형됨에 따라 지면에 안착되는 것이어서 시간이 오래 경과한 이후에는 연결부위의 형상이 이미 변형된 상태이므로 선반 및 프레임을 분리하고 재조립하기가 매우 어렵고, 변형이 심한 경우에는 재조립이 불가능한 경우도 있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선반 랙은 단독으로 설치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고, 대부분의 경우 병렬로 여러 칸을 구성하도록 연결 설치되는데, 이때 지면의 수평이 일부라도 맞지 않으면 전체 프레임이 틀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으므로 이에 대한 개선이 요구된다.
한편, 종래의 선반 랙은 조립부위가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미관이 좋지 않고, 노출되는 조립부위로 인하여 옷이 걸리거나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있으며, 최근에는 실용신안등록 제482530호 '앵글선반프레임'(선행기술2)에서 조립부위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 방안이 제안된 바 있으나, 수직부재에 형성된 구멍이 너무 많기 때문에 선반 랙을 조립할 때 선반높이를 정확하게 설정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즉, 수직부재에는 선반의 높낮이 조정을 위하여 매우 많은 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그 구멍들은 매우 촘촘한 간격으로 구멍들이 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선반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위치하는 수직부재의 구멍높이를 동일하게 맞춰서 끼우기가 매우 어렵고, 구멍의 수량을 세어가면서 위치설정을 해야 하기 때문에 설치가 어려운점이 있다.
만약, 좌,우측의 설치위치가 한 칸이라도 다르게 설치되는 경우 선반 설치가 불가능하거나, 선반이 기울어지게 설치되는 문제가 있으며, 이 상태로 무거운 물건을 보관한 상태로 장기간 사용하면 체결부위가 비틀려 재사용이 불가능하거나 랙의 비틀림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선반 랙을 조립완료한 상태에서 선반을 빼지 않고도 수직부재의 높낮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여 미세 높낮이 조정이 가능하고 수평설정이 용이한 선반 랙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또한, 선반 랙의 조립부위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면서도 조립구조를 간소화하여 분해, 조립이 용이하도록 하고,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할 수 있는 선반 랙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본 발명은, 선반 랙의 기둥을 구성하는 수직부재가 수평부재로 연결되어 일정한 틀을 구성하도록 프레임 본체가 구비되고, 프레임 본체에는 선반이 삽입되어 프레임 본체가 유동되지 않게 되는 선반 랙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본체는 수직부재는 하단에 높낮이 조절수단이 형성되어 수직부재를 개별적으로 지면으로부터 들어올리거나 하강시킬 수 있게 되고, 상기 높낮이조절수단은 수직부재의 하부에 끼워 조립되는 하부캡과, 상기 하부캡에 장착된 상태에서 승강 작동이 이루어지는 조절구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구는 나선구조로 하부캡에 조립되되, 하부캡을 관통하여 조절구 하단부가 지면에 지지되고, 조절구의 상단에는 조절구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부캡의 상측으로 노출되는 헤드부가 마련되어 프레임 본체가 지면에 설치된 상태에서도 선반을 분리하지 않고 수직부재의 높낮이를 조정할 수 있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높낮이 조정이 가능하고 수평설정이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선반 랙에 의하면, 수직부재의 높낮이 조절이 용이하고, 미세한 조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선반 랙의 수평을 쉽게 맞출 수 있고, 선반 랙이 이미 조립된 상태, 심지어는 진열된 물품이 지나치게 고중량이 아니라면 물품이 진열된 상태에서도 수평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이 매우 편리하다.
또한, 여러 개의 프레임을 연결설치한 상태에서 수지부재를 단독으로 높낮이 조정하여 전체 수평을 쉽게 맞출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작업자의 안전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전혀 없다.
또한, 선반 랙이 수평을 유지한 상태로 물품의 진열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프레임의 변형이나 연결부위의 형상변형이 거의 없기 때문에 분해시에도 별도의 공구가 필요없이 간편하게 분해가 가능하고, 다른 장소에 이동 설치하는 경우에도 쉽게 조립하여 재설치가 가능하다.
도 1은 종래의 선반 랙 조립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의 조립구조가 적용된 선반 랙의 외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수직부재와 높낮이 조절수단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높낮이 조절수단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3의 높낮이 조절수단의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높낮이 조절수단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사용상태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선반 랙의 분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수직부재와 수평부재의 조립구조도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수직부재와 설치브라켓의 조립구조도
도 13은 본 발명의 수평부재와 걸이부의 조립구조도
도 14는 본 발명의 설치브라켓과 걸이부를 이용한 선반 높낮이 조절상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설치브라켓의 다른 고정 예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본체(1)가 구성되고, 그 프레임 본체(1)에 선반(2)이 수납되어 프레임 본체(1)가 유동되지 않게 조립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프레임 본체(1)는 수직부재(100)와 수평부재(200)로 구성되며, 수직부재(100)에는 설치브라켓(120)이 수평부재(200)에는 걸이부(220)가 각각 구비되어 걸이부(220)가 설치브라켓(120)에 거치되어 프레임 본체(1)의 조립이 이루어지게 되며, 수직부재(100)의 하단에는 높낮이 조절수단(300)이 구비되어 수직부재(100)의 높낮이를 개별적으로 조정함으로써 미세 높낮이 조절 및 수평조정이 가능하게 이루어진다.
수직부재(100)는 선반 랙의 기둥을 구성하는 것으로, 수직부재(100)가 일정한 간격으로 나열된 상태에서 수평부재(200)에 의하여 연결되어 일정한 형태의 틀인 프레임 본체(1)를 구성하며, 프레임 본체(1)가 조립된 이후에는 선반(2)을 끼워 선반 랙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선반 랙의 설치 위치에 따라 지면이 고르지 못할 경우 선반 랙의 수평을 조정할 필요가 있는데, 높낮이 조절수단(300)을 이용하여 수직부재(100) 각각의 높낮이를 조정하여 선반 랙의 전체 수평을 맞출 수 있게 된다.
높낮이조절수단(30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부재(100)의 하부에 끼워 조립되는 하부캡(320)과, 상기 하부캡(320)에 장착되어 승강 작동이 이루어지는 조절구(3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절구(340)는 하부캡(320)에 나선구조로 조립되어 조절구(340)의 회전에 의하여 조절구(340)의 승강 작동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으로, 조절구(340)가 하부캡(320)을 관통한 상태로 조절구 하단부(342)가 지면에 지지되고, 조절구(340)의 상단에는 조절구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부캡(320)의 상측으로 노출되는 헤드부(344)가 마련되어 헤드부(344)를 돌려서 회전시킴으로써 프레임 본체(1)가 지면에 설치된 상태에서도 선반(2)을 분리하지 않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부재(100)의 높낮이를 개별적으로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이때, 헤드부(344)에는 십자 또는 일자홈이 형성되어 별도의 공구를 이용하여 조절구(340)의 높낮이를 조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직부재(100)는 'ㄱ'자 형태를 이루도록 구성되고, 높낮이 조절수단(300)은 수직부재(100)의 하단에 삽입되는 하부캡(320)이 수직부재(100)와 대응하게 'ㄱ'자 형태로 캡부(322)가 형성되면서 그 'ㄱ'자 형태의 캡부 사이에 지지부(324)를 형성함으로써 지지부(324)에 조절구(340)를 나선 구조로 체결하여 조절구 회전에 의하여 하부캡(320)의 승강 작동이 이루어지면서 수직부재(100)의 높낮이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부(324)에는 원통형 슬리브(325)가 형성되어 선반 랙의 수직부재(100)의 수직하중이 하부캡(320)으로 집중되더라도 해당 부위에서 보강이 이루어짐은 물론, 조절구(340)가 장착된 상태에서 조절구(340) 조정에 의하여 하부캡(320)의 상,하 승강 작동이 이루어질 때 측방향 유동을 방지하고 상,하로 정확하게 슬라이드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하부캡(320)은 수지로 성형 제작되는 경질의 플라스틱으로 제작할 수 있는 것으로, 이때, 상기 하부캡(320)의 지지부(324)에 금속재의 너트부재(326)를 삽입하여 너트부재(326)의 나선부가 조절구에 맞물려 나선 방식으로 조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이 너트부재(326)는 다각형의 구조로 이루어져 조절구(340)의 회전시 지지부(324) 내에서 공회전이 발생하지 않고 조절구의 회전조작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것으로, 이 너트부재(326)는 지지부(324)의 하부측에 다각형의 내주연 형상을 갖는 홈을 형성하여 외주연이 다각형으로 이루어지는 너트부재를 삽입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하부캡(320)을 사출 성형시 너트부재(326)를 삽입한 후 인서트 성형에 의하여 일체로 구성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캡(320)은 지지부(324)가 지면에 안착되는 하부캡(320)의 하단으로부터 뜬 상태로 이루어지게 수용공간(328)을 형성하고, 그 수용공간(328)에서 하부측으로 돌출되는 조절구(340)의 돌출상태를 수용하여 조절구(340)의 하단부(342)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선반 랙의 외관을 수려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조절구(340)를 조정하여 하부측으로 돌출되더라도 하부캡(320) 외측의 테두리에 의하여 감싸여진 형태로 조절구(340) 노출이 방지되기 때문에 사용시 외부에서 육안으로 조절구의 돌출된 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없으며 미관을 수려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높낮이 조절수단(300)은 조절구(340) 하단에 마감캡(360)이 덧대어 조립구성되어 수직부재(100)의 높낮이 조절을 위하여 조절구(340)가 회전될 때 바닥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 구조의 마감캡(360)을 조절구 하단부(342)에 끼워서 마감캡이 지면에 안착되도록 하면 수직부재의 높낮이 조정을 위하여 조절구(340)를 회전시키더라도 바닥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마감캡(360)은 경질로 제작함으로써 조절구(340)와 마감캡(360)의 마찰력을 최소화함으로써 조절구 회전이 더욱 자유롭게 움직임 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때 마감캡(360)은 하단에 받침부(362)가 더 마련되어 지면에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레임 본체(1)의 조립구조를 첨부된 도면 8 내지 13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수직부재(100)는 레일부(110)가 형성되어 설치브라켓(120)이 레일부(110)에 삽입되고, 설치브라켓(120)이 레일부(110) 내에서 상,하 슬라이드 작동이 이루어지면서 수평부재(200)와 선반(2)의 설치 높낮이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수직부재(100)와 수평부재(200)는 내측면, 즉 선반 랙으로 조립된 상태에서 외부측으로 노출되지 않는 내측면에 설치브라켓(120)과 걸이부(220)가 조립되는 부분이 위치하게 되며, 외부측으로 노출되는 표면이 조립부위를 가리면서 조립부위가 외부로 전혀 노출되지 않게 된다.
수직부재(100)와 수평부재(200)의 표면은 민무늬로 마감하여 미관을 깔끔하게 형성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수직부재(100)와 수평부재(200)의 표면에 양각 또는 음각으로 무늬나 도형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설치브라켓(120)은 수직부재(10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하로 유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수평부재(200)의 설치 높낮이 조정이 가능하게 되는 것으로, 설치브라켓(120)에는 결합공(122)이 형성되어 걸이부(220)의 후크(222)가 결합공(122)에 끼워져 걸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설치브라켓(120)은 수직부재(10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되는 것으로, 상,하 높낮이 조절은 수직부재(100)의 내면에 레일부(110)를 형성하고, 그 레일부에 설치브라켓을 끼워 조립함으로써 설치브라켓이 레일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슬라이드 방식으로 상,하 높낮이 조정이 가능하게 된다.
수직부재(100)와 설치브라켓(120)의 조립구조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수직부재(100)와 설치브라켓(120)의 레일구조의 조립은 수직부재에 내입되는 형상을 갖는 레일부(110)를 마련하고, 설치브라켓(120)의 외면에는 그 레일부에 삽입되게 돌출된 레일부를 마련하여 슬라이드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제작할 수 있으나, 그 구조를 간소화하고 조립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서 더 바람직한 방법으로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부재(100)와 설치브라켓(120)이 서로 대응하게 단면이 'ㄱ'자 형의 단면구조를 이루며, 설치브라켓(120)이 수직부재(100)의 내면과 접하게 조립되도록 하되 설치브라켓(120)이 수직부재(100)로부터 이탈되지 않는 구조로 이루어져 상,하 슬라이드 작동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수직부재(100)의 폭방향 양단부에는 설치브라켓(120)의 폭방향 양단부 엣지(124)가 걸림되도록 걸림턱(114)이 형성되어 설치브라켓(120)이 수직부재(100)에 밀착되게 장착된 상태에서 임의로 분리되지 않고 상,하 슬라이드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직부재(100)는 설치브라켓(120)을 수용하기 위한 구조가 길이방향으로 동일성을 유지하게 구현되므로 알루미늄바 등의 압출성형에 의하여 간단하게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치브라켓(120)은 판재를 'ㄱ'자 형상에 가깝게 절곡하고, 그 절곡부위가 경사면을 갖도록 절곡함으로써 수직부재의 내면과 밀착되게 체결면(126)을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설치브라켓(120)을 'ㄱ'자 형상에 가깝게 절곡함으로써 수직부재(100)에 끼워 삽입할 때 반드시 끝부분에서부터 레일방식으로 결합할 필요없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브라켓(120)의 일부분만을 걸친 후 강제가압방식으로 설치브라켓의 자체 탄성에 의하여 원터치로 끼워 조립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설치브라켓(120)의 양날개가 외측으로 벌어지면서 복원되려는 힘에 의하여 설치브라켓(120)이 수직부재의 내면에 밀착 고정되는 것이고, 이 상태에서 슬라이드 작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설치브라켓(120)은 수직부재(100) 내에서 높낮이 조절이 완료된 이후에 그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하게 고정됨으로써 선반 기능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설치브라켓(120)의 높낮이 조정상태를 고정하기 위한 락킹요소(14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락킹요소(140)는 설치브라켓(120)에 피스체결공(142)이 형성되고, 수직부재(100)에는 피스체결홈(144)이 형성되어 피스(146) 고정으로 설치브라켓의 위치설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피스 고정을 통하여 선반 랙이 조립완료된 상태에서 설치브라켓(120)이 쳐지지 않고 일정한 높이를 유지할 수 있다.
설치브라켓(120)은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개의 결합공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수직부재(100)에 대한 수평부재(200)의 설치 높낮이 설정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락킹요소(140)에 의하여 높낮이를 고정하더라도 수평부재(200)의 설치 높낮이를 다단으로 조정할 수 있으므로 선반의 높낮이 조정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수평부재(200)의 양측 단부에 구비되는 걸이부(22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이부(220)가 수평부재(200)로부터 분리 구성되어 수평부재의 길이방향 양측 단부에 끼워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프레임 본체(1)를 구성하는 수직부재(100)와 수평부재(200)가 모두 연속성을 갖는 단면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수직부재(100)와 수평부재(200)를 모두 압출 성형으로 간단하게 제작할 수 있으며, 비교적 부피가 크고 제조비의 비중이 큰 자재의 제작공정을 단순화함으로써 제조비를 크게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수평부재(200)의 양측 단부에 조립되는 걸이부(220)는 판재를 원료로 하여 프레스 가공에 의하여 돌출되게 후크(222)를 형성할 수 있는 것으로, 이때 후크(222)는 수평방향 양측으로 절곡형성되어 설치브라켓(120)의 결합공(122)에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수직 하중에 대한 지지력을 충분히 확보하고 고중량의 물건이 놓여져 수직하중이 크게 작용하더라도 후크(222)의 형태가 쉽게 변형되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된다.
또한, 설치브라켓(120)에 형성된 결합공(122)은 하부측으로 경사도를 갖도록 형성되어 후크를 끼울 때 경사면을 타고 삽입 유도되어 간편하게 걸어 고정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이 결합공(122)과 후크(222)에는 서로 대응하게 맞물림부(128,148)를 형성함으로써 후크(222)가 결합공(122)에 삽입된 상태에서 임의로 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걸이부(220)는 판재를 프레스 가공하여 제작함으로써 수직하중이 발생하는 경우 국소부위에 하중이 집중되는 것이 아닌 판재 전체에 분산되면서 부품의 손상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이부(220)는 수평부재(200)에 슬라이드 방식 또는 강제가압방식으로 조립이 가능하도록 수평부재(200)의 내면에 레일부(210)가 형성되어 걸이부(220)를 수평부재(200)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간단하게 끼워 조립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걸이부에는 피스공이 형성되어 수평부재(200)와 피스조립될 수 있으며, 조립된 상태에서 임의로 빠짐을 방지하고 유동되지 않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부재(100)에 설치프레임(120)을 먼저 조립한 후, 설치프레임을 일정한 높이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수평부재(200)를 끼움으로서 간편하게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며, 조립부위가 수직부재와 수평부재의 내면에 위치함으로써 외측으로 조립부위가 전혀 노출되지 않게 된다.
이때, 상기 수평부재(200)는 '┣'자형으로 이루어져 외측면이 평면을 유지하고, 중간대가 걸이부(220)의 절곡된 상면에 안착되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음은 물론, 중간대의 상측으로는 선반을 수납한 상태에서 선반의 테두리가 수평부재의 상부측으로 형성된 가림막에 의하여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설치브라켓(120)은 양측의 날개에 결합공(12)을 대칭되게 형성함으로써 선반 랙의 전,후면에 수평부재(200)를 거치하여 조립할 수 있음은 물론, 동일한 높이의 측면에도 수평부재(200)를 거치하여 조립함으로써 선반 랙의 사방향 모두가 수평부재에 의하여 조립되어 선반 랙이 설치된 상태에서 비틀림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특히 사방의 수평부재가 선반의 테두리에 밀착됨으로써 선반 랙의 비틀림을 더욱 방지하면서도 선반 랙의 설치가 용이하고, 선반의 설치 높낮이를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부재(100)에 대한 수평부재(200)의 설치 높낮이 설정과 함께 다단으로 높낮이 조정을 쉽게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설치브라켓(120)에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브라켓(120)의 고정상태를 견고히 하고 쳐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브라켓과 수직부재(100) 사이에 탄성체인 보조받침구(160)가 삽입되어 설치브라켓(120)의 하단을 지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조받침구(160)는 고무나 실리콘 등의 탄성체가 사용될 수 있으며, 보조받침구를 끼울 경우에는 폭을 협소하게 하여 삽입한 후, 설치브라켓(120)에 수직하중이 발생함에 따라 보조받침구(160)의 폭이 늘어나면서 수직부재(100)와 설치브라켓(120)의 고정이 견고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설치브라켓(120)은 상술한 락킹요소(140)의 피스(146) 조립에 의한 방식으로 설치브라켓(120)을 수직부재(100)에 고정하거나, 또는 보조받침구(160)를 활용한 방식으로 설치브라켓(120)의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선택적 사용이 가능하지만 더 바람직하게는 피스와 보조받침구를 병행하여 설치브라켓(120)의 쳐짐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1: 프레임 본체
2: 선반
100: 수직부재
110: 레일부
120: 설치브라켓 122: 결합공 124: 엣지
126: 체결면 128: 맞물림부
140: 락킹요소 142: 피스체결공 144: 피스체결홈
146: 피스 148: 맞물림부
160: 보조받침구
200: 수평부재
210: 레일부
220: 걸이부 222: 후크
300: 높낮이 조절수단
320: 하부캡 322: 캡부 324: 지지부
326: 너트부재 328: 수용공간
340: 조절구 342: 하단부 344: 헤드부
360: 마감캡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선반 랙의 기둥을 구성하는 수직부재(100)가 수평부재(200)로 연결되어 일정한 틀을 구성하는 프레임 본체(1)와, 프레임 본체(1)에 장착되는 선반(2)을 포함하고,
    상기 수직부재(100)의 하단에는 수직부재를 개별적으로 들어올리거나 하강시키는 높낮이 조절수단(300)이 구비되며,
    상기 높낮이조절수단(300)은 수직부재(100)의 하부에 끼워 조립되는 하부캡(320)에 나선구조로 조절구(340)가 조립되어 조절구의 회전에 따라 수직부재(100)를 승,하강시키면서 수직부재(10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 선반 랙에 있어서,
    상기 하부캡(320)은 수직부재(100)와 대응하는 형태로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ㄱ'자 형태의 캡부(322)와 'ㄱ'자 형태의 캡부 사이에 형성되는 지지부(324)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되, 지지부(324)에는 내주연에 나선부가 형성된 너트부재(326)가 삽입 구성되고,
    상기 조절구(340)는 나선구조로 하부캡(320)에 조립되고 하부캡(320)의 지지부(324)를 관통하여 조절구 하단부(342)가 지면에 지지된 상태에서 조절구(340)의 상단이 하부캡(320)의 상측으로 노출되는 헤드부(344)가 마련되고, 헤드부(344)에는 십자 또는 일자홈이 형성되어 프레임 본체(1)가 지면에 설치된 상태에서도 조절구(340)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되며,
    상기 하부캡(320)에는 지지부(324) 하단에 조절구(340)의 돌출상태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328)이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조절구(340)의 하단에는 수직부재(100)의 높낮이 조절을 위하여 조절구(340)가 회전될 때 바닥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마감캡(360)이 덧대어 조립구성되고,
    상기 마감캡(360)은 조절구(340)와 마감캡(360)간의 마찰력을 줄이고 조절구 회전이 자유롭게 움직임 되도록 경질로 이루어지되, 마감캡(360)의 하단에는 지면에 안정적으로 지지되는 받침부(362)가 구비되고,
    상기 수직부재(100)는 레일부(110)가 형성되어 설치브라켓(120)이 레일부에 삽입되고, 설치브라켓(120)이 레일부(110) 내에서 상,하 슬라이드 작동이 이루어지면서 수평부재(200)와 선반(2)의 설치 높낮이를 조정할 수 있게 되고,
    상기 설치브라켓(120)에는 상기 수직부재(100) 내에서 높낮이 조절이 완료된 이후에 높낮이 조정상태를 고정하기 위한 락킹요소(140)가 구비되고,
    상기 설치브라켓(120)과 상기 수직부재(100) 사이에는 설치브라켓(120)의 고정상태를 견고히 하고 설치브라켓(120)이 처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탄성체로 된 보조받침구(160)가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높낮이 조정이 가능하고 수평설정이 용이한 선반 랙.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브라켓(120)에는 수직부재(100)에 대한 수평부재(200)의 설치 높낮이 설정과 함께 다단으로 높낮이 조정이 가능하도록 결합공(122)이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높낮이 조정이 가능하고 수평설정이 용이한 선반 랙.
  6. 제 5항에 있어서, 프레임 본체(1)는 제조 공정을 단순화하기 위하여 수직부재(100)와 수평부재(200)를 모두 압출 성형으로 제작하고, 수평부재(200)를 수직부재(100)에 걸어 고정하기 위한 걸이부(220)는 수평부재로부터 분리 구성되게 별도의 철물로 구성되어 걸이부(220)를 수평부재(200)의 길이방향 양측 단부에 끼워 조립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높낮이 조정이 가능하고 수평설정이 용이한 선반 랙.





KR1020200005656A 2020-01-15 2020-01-15 미세 높낮이 조정이 가능하고 수평설정이 용이한 선반 랙 KR1025979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5656A KR102597966B1 (ko) 2020-01-15 2020-01-15 미세 높낮이 조정이 가능하고 수평설정이 용이한 선반 랙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5656A KR102597966B1 (ko) 2020-01-15 2020-01-15 미세 높낮이 조정이 가능하고 수평설정이 용이한 선반 랙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2105A KR20210092105A (ko) 2021-07-23
KR102597966B1 true KR102597966B1 (ko) 2023-11-06

Family

ID=77155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5656A KR102597966B1 (ko) 2020-01-15 2020-01-15 미세 높낮이 조정이 가능하고 수평설정이 용이한 선반 랙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796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8090Y1 (ko) * 2009-10-29 2012-01-18 이철호 조립식 선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2657Y2 (ja) * 1990-03-13 1994-04-06 日本軽金属株式会社 貯蔵・陳列用棚
KR100481776B1 (ko) * 2002-11-18 2005-04-11 권영훈 학생용 사물함 받침대
KR20120008159U (ko) * 2011-05-19 2012-11-28 주식회사 엠피스 가구용 높이조절 받침대
KR20190000828U (ko) * 2017-09-25 2019-04-03 한길산업(주) 장식커버가 구비된 조립식 앵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8090Y1 (ko) * 2009-10-29 2012-01-18 이철호 조립식 선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2105A (ko) 2021-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00422C (en) Storage track system
CN110267881B (zh) 存储平台
CN1093390C (zh) 用于悬吊要展示的商品或固定货架的支承杆装置
JP2019170999A (ja) 組立式棚
KR102597966B1 (ko) 미세 높낮이 조정이 가능하고 수평설정이 용이한 선반 랙
KR102282114B1 (ko) 구조 개선 및 잠금구조의 조립식 스틸 랙
KR102324369B1 (ko) 개선된 구조의 조립식 스틸 랙
KR102332967B1 (ko) 선반 거치력이 강화된 간편 조립식 수납장
CN114991443A (zh) 一种抗倾承重脚手架
DE20304079U1 (de) Schublade
KR102346740B1 (ko) 선반 랙 조립구조
CN205661790U (zh) 一种用于运输和存放幕墙单元板块的货架
KR102092858B1 (ko) 가구용 철재 프레임 연결구조
EP2390447B1 (en) Bracket with front coupling for carriages of sliding wings or doors
CN213512713U (zh) 一种电视机推车式支架的支撑调节机构
CN209482732U (zh) 一种房建楼板混凝土浇筑作业台架
KR200465305Y1 (ko) 스탠드형 옷걸이
US7155761B2 (en) Interchangeable furniture system
CN109965615B (zh) 平板类文物及艺术珍品的固定装置
KR102022027B1 (ko) 조립식 선반
KR200473219Y1 (ko) 선반 고정핀 및 그 선반 고정핀을 이용한 조립식 선반 조립체
KR100948953B1 (ko) 쇼케이스용 선반 지지구조
CN109610797A (zh) 一种可移动的作业平台
KR200329205Y1 (ko) 높낮이 조절 선반
CN212394255U (zh) 组装式置物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