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2604A - 밀폐 공간 작업자 안전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밀폐 공간 작업자 안전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2604A
KR20210012604A KR1020190090618A KR20190090618A KR20210012604A KR 20210012604 A KR20210012604 A KR 20210012604A KR 1020190090618 A KR1020190090618 A KR 1020190090618A KR 20190090618 A KR20190090618 A KR 20190090618A KR 20210012604 A KR20210012604 A KR 202100126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specific signal
worker safety
received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06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96594B1 (ko
Inventor
이종현
이건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900906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6594B1/ko
Publication of KR202100126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26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65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65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undesired emission of substances, e.g. pollution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41Data exchange details, e.g. data protocol
    • G08B21/025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alarm criteria uses absence of reply signal after an elapsed tim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77Communication between units on a local network, e.g. Bluetooth, piconet, zigbee,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PA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oxicology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밀폐 공간에서 작업하는 작업자가 휴대용 가스 감지기를 휴대하였는지의 여부를 감시하여 휴대용 가스 감지기의 미소지로 인한 가스 관련 인적 사고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밀폐 공간 작업자의 안전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밀폐 공간 작업자 안전 방법은, 사용자 단말에서 수행하는 밀폐 공간 작업자 안전 방법으로서, (a) 휴대용 가스 감지기로부터 발생되는 비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단계; (b) 상기 사용자 단말에 탑재된 작업관리 앱의 실행 시 밀폐 공간의 작업 시작을 선택하기 위한 작업시작 버튼과 작업 종료를 선택하기 위한 작업종료 버튼을 표시하기 위한 단계; 및 (c) 상기 작업시작 버튼의 선택 시 상기 수신부를 통한 비콘 신호의 수신 여부에 따라 작업 시작 알람 또는 작업 불가 알람을 표시하기 위한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밀폐 공간 작업자 안전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safety of closed-space workers}
본 발명은 밀폐 공간 작업자 안전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밀폐 공간에서 작업하는 작업자가 휴대용 가스 감지기를 휴대하도록 감시하여 휴대용 가스 감지기의 미소지로 인한 가스 관련 인적 사고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밀폐 공간 작업자의 안전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스누설에 의한 사고의 모습으로는 질식으로 인한 인명피해와, 폭발에 의한 물건의 파손 및 인명피해가 있다.
전자의 경우, 특정한 냄새 또는 색깔을 갖는 가스가 누설되면 작업자들이 이를 쉽게 인지할 수 있어 큰 문제가 되지 않지만, 일산화탄소 또는 질산계열 등의 무색 무취의 가스가 누설될 경우에는 그렇지 못하여 작업자가 작업 도중에 무의식적으로 중독되거나 질식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된 종류의 가스누설을 조기에 감지하여 작업자로 하여금 그 사실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후자의 경우, LPG, 아세틸렌, 부탄가스 등 냄새 또는 색깔에 관계없이 공기 중 농도가 일정치로 되면 작은 불꽃으로도 폭발할 수 있어, 당해 가스의 누설을 신속히 감지하고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결과적으로, 폭발 또는 질식을 유발하는 등의 가스사고의 모습에 관계없이 가스누설에 의한 피해를 막기 위해서는 누설 여부를 조기에 발견해야만 하는 것이다.
특히, 폭발성이 있는 가연가스의 경우에는 작업장에서 발생되는 작은 불꽃으로도 쉽게 폭발하게 되므로, 해당 지점에 있던 많은 작업자들은 대피할 겨를도 없이 동시에 피해를 입을 수 있다. 즉, 가연가스의 경우에는 가스누설에 의해 사고가 발생되면 그 피해가 커 상기 가연가스가 발생될 수 있는 작업장에서는 가스누설 여부에 대해 관심을 가질 수 밖에 없다.
이상, 상술된 문제점들로 인해 가스를 취급하거나 가스가 발생될 수 있는 작업장에는 가스누설여부를 조기에 감지할 수 있는 감지 장치가 설치되어 가스누설에 의한 폭발 또는 질식사고로부터 인명과 재산을 보호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가스 누설 감지 장치는 감지기능을 향상시킨다는 목적으로 각종 기능의 장치들이 부가되면서 그 무게와 부피가 증가되었고, 이는 이동성을 약화시켜 일정한 장소에만 고정적으로 배치될 수 밖에 없었다. 따라서, 작업자의 작업범위가 크거나 가스누설의 발생가능성이 높은 곳이 넓게 분포 될 경우에는 종래 가스누설감지기가 무용지물로 전락할 수 밖에 없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작업자마다 소지할 수 있는 휴대용 가스 (누설) 감지기가 개발되었다. 이러한 종래 휴대용 가스 감지기는 일단 가스 누설이 감지되면 경보음 또는 경보등을 작동시켜 작업자가 시각 또는 청각으로 이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런데, 산업안전보건법에서는 밀폐공간 작업 시 작업신고를 하고 휴대용 가스 감지기를 통해 작업자가 작업 전에 밀폐공간의 산소 등을 확인하고 작업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나, 실제 작업 시에는 휴대용 가스 감지기의 미소지로 인한 밀폐공간 내 인적 사고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78312호(2006.07.05.)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밀폐 공간에서 작업하는 작업자가 휴대용 가스 감지기를 휴대하였는지의 여부를 감시하여 휴대용 가스 감지기의 미소지로 인한 가스 관련 인적 사고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밀폐 공간 작업자의 안전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밀폐 공간 작업자 안전 장치는, 사용자 단말에 포함되는 밀폐 공간 작업자 안전 장치로서, 휴대용 가스 감지기로부터 발생되는 특정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부; 상기 사용자 단말에 탑재된 작업관리 앱의 실행 시 밀폐 공간의 작업 시작을 선택하기 위한 작업시작 버튼과 작업 종료를 선택하기 위한 작업종료 버튼을 표시하기 위한 제1 표시부; 및 상기 작업시작 버튼의 선택 시 상기 수신부를 통한 특정 신호의 수신 여부에 따라 작업 시작 알람 또는 작업 불가 알람을 표시하기 위한 제2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특정 신호는 비콘 신호 또는 휴대용 가스 감지기와 페어링 이후 연결되어 수신받는 신호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특정 신호는 상기 휴대용 가스 감지기의 가스 감시 정보 및 장치 ID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수신된 가스 감시 정보 및 장치 ID를 관리 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전송부 및 상기 작업 시작 알람 이후 기 설정된 일정 시간 동안 상기 수신부를 통해 비콘 신호가 수신되지 않을 경우 경보 신호를 발생하거나 원격 관리자에게 통지하기 위한 경보발생부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밀폐 공간 작업자 안전 장치는, 사용자 단말에 포함되는 밀폐 공간 작업자 안전 장치로서, 휴대용 가스 감지기로부터 발생되는 특정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부; 및 상기 수신부를 통한 특정 신호의 수신 여부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에 탑재된 작업관리 앱의 실행 시 밀폐 공간의 작업 시작을 선택하기 위한 작업시작 버튼 표시가 활성화되도록 제어하는 제1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표시부는 상기 수신부를 통해 특정 신호가 수신되고 그 수신된 특정 신호에 포함된 가스 감시 정보를 통해 공기질이 양호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만 상기 작업시작 버튼의 표시가 활성화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특정 신호는 비콘 신호 또는 휴대용 가스 감지기와 페어링 이후 연결되어 수신받는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밀폐 공간 작업자 안전 장치는, 휴대용 가스 감지기에 포함되는 밀폐 공간 작업자 안전 장치로서, (기 설정된 일정시간 동안 특정 신호가 감지되지 않으면 경보 신호를 발생하도록 제어하는) 사용자 단말에 특정 신호를 보내기 위한 신호발생부; 및 턴-온되면, 주위의 가스를 감지하고, 가스 감시 정보 및 장치 ID를 포함하는 특정 신호를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발생하도록 상기 비콘발생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특정 신호는 비콘 신호 또는 사용자 단말기와 페어링 이후 연결되어 보내는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밀폐 공간 작업자 안전 방법은, 사용자 단말에서 수행하는 밀폐 공간 작업자 안전 방법으로서, (a) 휴대용 가스 감지기로부터 발생되는 특정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단계; (b) 상기 사용자 단말에 탑재된 작업관리 앱의 실행 시 밀폐 공간의 작업 시작을 선택하기 위한 작업시작 버튼과 작업 종료를 선택하기 위한 작업종료 버튼을 표시하기 위한 단계; 및 (c) 상기 작업시작 버튼의 선택 시 상기 단계 (a)를 통한 특정 신호의 수신 여부에 따라 작업 시작 알람 또는 작업 불가 알람을 표시하기 위한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특정 신호는 비콘 신호 또는 휴대용 가스 감지기와 페어링 이후 연결되어 수신받는 신호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특정 신호는 상기 휴대용 가스 감지기의 가스 감시 정보 및 장치 ID를 포함할 수 있으며, (d) 상기 수신된 가스 감시 정보 및 장치 ID를 관리 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단계 및 (e) 상기 작업 시작 알람 이후 기 설정된 일정 시간 동안 상기 수신부를 통해 특정 신호가 수신되지 않을 경우 경보 신호를 발생하거나 원격 관리자에게 통지하기 위한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밀폐 공간 작업자 안전 방법은, 사용자 단말에서 수행하는 밀폐 공간 작업자 안전 방법으로서, (a) 휴대용 가스 감지기로부터 발생되는 특정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단계; 및 (b) 상기 단계 (a)를 통한 특정 신호의 수신 여부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에 탑재된 작업관리 앱의 실행 시 밀폐 공간의 작업 시작을 선택하기 위한 작업시작 버튼 표시가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단계 (b)는 상기 단계 (a)를 통해 특정 신호가 수신되고 그 수신된 특정 신호에 포함된 가스 감시 정보를 통해 공기질이 양호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만 상기 작업시작 버튼의 표시가 활성화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특정 신호는 비콘 신호 또는 휴대용 가스 감지기와 페어링 이후 연결되어 수신받는 신호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특정 신호는 블루투스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밀폐 공간 작업자 안전 방법은, 휴대용 가스 감지기에서 수행하는 밀폐 공간 작업자 안전 방법으로서, (a) (기 설정된 일정시간 동안 특정 신호가 감지되지 않으면 경보 신호를 발생하도록 제어하는) 사용자 단말에 특정 신호를 보내기 위한 단계; 및 (b) 턴-온되면, 주위의 가스를 감지하고, 가스 감시 정보 및 장치 ID를 포함하는 특정 신호를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발생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특정 신호는 비콘 신호 또는 사용자 단말기와 페어링 이후 연결되어 보내는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밀폐 공간 작업자 안전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밀폐 공간 작업자 안전 방법을 하드웨어와 결합하여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밀폐 공간 작업자 안전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에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측면에 따르면, 밀폐공간 내에서 작업(예를 들어, 맨홀 내 통신선로 작업, 화학공장 내 수조 유지보수 작업 등) 시에 비콘 기반 휴대용 가스 감지기에서 송출(Broadcasting)되는 단말기 정보(UUID)를 작업자의 사용자 단말로서의 휴대폰에서 수신하여 작업자의 휴대용 가스 감지기 휴대 여부를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밀폐공간 내 작업 예정인 작업자 휴대폰에서 휴대용 가스감지기의 비콘 신호가 미수신 되는 경우 또는 휴대용 가스감지기와 페어링이 안되어있을 시에는 시스템상 작업 시작(예컨대, 스마트폰에 탑재된 작업관리 앱 연동)을 원천 차단하도록 하고, 또한 밀폐공간 내 작업 중인 작업자 휴대폰에서 휴대용 가스 감지기의 비콘 신호 미수신 시 주변으로 미소지 상태의 전파 및 알람을 수행하여, 밀폐공간의 작업 시 휴대용 가스 감지기의 미소지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질식, 가스 중독 등의 인적 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작업자의 휴대폰을 사용하여 비콘 신호를 수신하고 가스 감지기 휴대 여부를 모니터링 할 수 있으므로, 밀폐 공간 현장에 별도의 모니터링 장치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 설비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밀폐 공간 내 별도의 모니터링 장치를 설치할 수 없는 좁은 작업 현장에서도 적용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밀폐 공간 작업자 안전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도 1의 사용자 단말에 포함된 밀폐 공간 작업자 안전 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도 1의 휴대용 가스 감지기에 포함된 밀폐 공간 작업자 안전 장치의 구성도,
도 4-5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밀폐 공간 작업자 안전 방법의 흐름도,
도 6은 도 1의 밀폐 공간 작업자 안전 시스템의 작동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 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밀폐 공간 작업자 안전 시스템의 구성도로,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망(1), 사용자 단말(2), 휴대용 가스 감지기(3), 및 관리 서버(4)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망(1)은 사용자 단말(2), 휴대용 가스 감지기(3), 및 관리 서버(4) 간을 유선, 무선 및/또는 인터넷 등으로 연결하여 통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IoT(Internet of Things) 무선망, LTE 또는 5G망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은 사용자(또는 작업자라 칭함)가 사용하는 단말 장치로서, 예를 들어 스마트폰을 포함할 수 있고, 휴대용 가스 감지기(3)에서 송출(Broadcasting)되는 특정 신호의 수신 여부에 따라 작업자가 휴대용 가스 감지기(3)를 휴대하였는지의 여부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휴대용 가스 감지기(3)는 통상적인 휴대용 가스 감지기의 기능을 수행하고, 또한 특정 신호를 발생하여 송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특정 신호는 휴대용 가스 감지기(3)로부터 발생되어 사용자 단말(2)이 수신받는 비콘 신호 또는 휴대용 가스 감지기(3)와 사용자 단말(2) 간의 페어링 이후 연결되어 송수신하는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관리 서버(20)는 사용자 단말(2)과 통신하여 관리자가 원격지에서 해당 밀폐 공간 내의 안전 여부를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해당 작업자 등에게 경보용 SMS 문자 등을 발생하는 등의 밀폐 공간 내 작업자의 안전 관리를 위한 서버 장치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도 1의 사용자 단말(2)에 포함된 밀폐 공간 작업자 안전 장치(20)의 구성도로,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폐 공간 작업자 안전 장치(20)는 수신부(21), 제1 표시부(23), 제2 표시부(25), 전송부(27), 및 경보발생부(29)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부(21)는 휴대용 가스 감지기(3)로부터 발생되는 특정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것으로, 일 예로 휴대용 가스 감지기(3)로부터 특정 신호로서의 블루투스 비콘 신호가 송출되면 이를 수신하거나, 다른 예로 휴대용 가스 감지기(3)와 블루투스 페어링을 수행한 이후 특정 신호로서의 블루투스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표시부(23)는 사용자 단말(2)에 탑재된 작업관리 앱(APP: Application)의 실행 시 밀폐 공간의 작업 시작을 선택하기 위한 작업시작 버튼과 작업 종료를 선택하기 위한 작업종료 버튼을 화면상에 표시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 스마트폰(2)의 화면상에 작업자 이름과 작업시작 버튼 및 작업종료 버튼을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 표시부(23)는 수신부(21)를 통한 특정 신호의 수신 여부에 따라 사용자 단말(2)에 탑재된 작업관리 앱의 실행 시 밀폐 공간의 작업 시작을 선택하기 위한 작업시작 버튼 표시가 활성화되도록(예를 들어, 누를 수 있는 상태가 되도록) 제어하거나 비활성화되도록 제어할 수 있고, 또 다른 예로 제1 표시부(23)는 수신부(21)를 통해 특정 신호가 수신되고 그 수신된 특정 신호에 포함된 가스 감시 정보를 통해 공기질이 양호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만 작업시작 버튼의 표시가 활성화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2 표시부(25)는 제1 표시부(23)를 통해 표시된 작업시작 버튼이 선택되는 경우 수신부(21)를 통하여 휴대용 가스 감지기(3)로부터의 특정 신호가 수신되고 있는지의 여부에 따라 작업 시작 알람 또는 작업 불가 알람을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특정 신호로서의 블루투스 신호가 수신되고 있으면 '밀폐작업이 시작되었습니다'와 같은 작업 시작 알람 문구를 표시하여 작업자에게 정상적인 작업 시작을 알리고, 해당 특정 신호로서의 블루투스 신호가 수신되지 않았으면 '(휴대용)가스감지기의 전원을 켜고 다시 시도해 주세요'와 같은 작업 불가 알람 문구를 표시하여 작업자에게 가스 감지기(3)를 휴대하지 않아 정상적인 작업 시작이 불가함을 알릴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휴대용 가스 감지기(3)로부터 송출되어 사용자 단말(2)에 수신되는 특정 신호(일 예로 블루투스 신호)는 휴대용 가스 감지기(3)가 감지한 가스 감시 정보 및 장치 ID를 포함할 수 있고, 장치 ID는 일 예로 UUID(Universally unique identifier)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전송부(27)는 사용자 단말(20로부터의 각종 정보를 괸리 서버(4)에 전송하 기 위한 것으로, 예컨대 수신부(21)를 통해 수신된 가스 감시 정보 및 장치 ID를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관리 서버(4)에 전송하고, 이에 따라 관리 서버(4)는 도 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2)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기초로 관리자가 원격지에서 해당 밀폐 공간 내의 공기질 및 작업자 안전 여부 등을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해당 작업자에게 경보용 SMS 문자 등을 발생하는 등의 밀폐 공간 내 작업자의 안전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경보발생부(29)는 작업 시작 이후 일정 시간내에 특정 신호의 미수신 시 이를 관리 서버(4)에 알리고 경고 메시지를 관리자 또는 작업자에게 알리기 위한 것으로, 예컨대, 사용자 단말(2)의 제2 표시부(25)를 통하여 작업 시작 알람 이후 기 설정된 일정 시간 동안 수신부(21)를 통해 해당 특정 신호(일 예로 블루투스 신호)가 수신되지 않을 경우 경보 신호를 발생하거나 원격 관리자에게 통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도 1의 휴대용 가스 감지기(3)에 포함된 밀폐 공간 작업자 안전 장치(30)의 구성도로,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발생부(31) 및 제어부(33)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발생부(31)는 사용자 단말(2)로 송출하는 특정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것으로, 특정 신호는 비콘 신호 또는 사용자 단말기와 페어링 이후 연결되어 보내는 신호를 포함할 수 있고, 또한 특정 신호는 블루투스 신호일 수 있다.
제어부(33)는 휴대용 가스 감지기(3)가 턴-온되면 주위의 가스를 감지하도록 제어하고, 가스 감시 정보 및 장치 ID를 포함하는 특정 신호를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발생하여 송출하도록 신호발생부(31)를 제어할 수 있다.
신호발생부(31)는 휴대용 가스 감지기(2)에 장착되어 특정 신호를 발생하여 송출(broadcasting)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2)의 수신부(21)에서 수신/페어링할 수 있는 블루투스 비콘 신호 또는 블루투스 페어링 신호를 발생하고, 블루투스 비콘 신호, 블루투스 페어링 신호, 또는 페어링 이후 보내는 신호는 가스 감지기(2)가 감지한 가스 감시 정보 및 자신의 장치ID(일예로, UUID(Universally unique identifier)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휴대용 가스 감지기(2)는 턴-온되면 제어부(33)의 제어를 통해 특정 신호를 주기적(일예로 1분 단위)로 발생하여 송출할 수도 있고, 비주기적(가스 감시 결과 공기질 이상이 감지된 경우 즉시)으로 특정 신호를 발생하여 송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4-5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밀폐 공간 작업자 안전 방법의 흐름도로, 도 1-3의 장치에서 수행되므로 해당 장치의 동작의 일예와 병행하여 설명한다.
먼저, 작업자가 자신의 스마트폰(2)과 가스 감지기(3)를 휴대하고(S401-S403), 스마트폰(2)에 탑재된 작업자 안전관리 앱(또는 작업관리 앱이라 칭함)을 실행하면(S405), 스마트폰(2)은 해당 앱을 시작하여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상에 작업시작 버튼과 작업종료 버튼을 표시한다(S407).
이어, 작업자가 스마트폰(2)의 해당 앱 내 표시 화면에서 작업시작 버튼을 푸시하여 선택하면(S409), 스마트폰(2)은 가스 감지기(3)로부터의 특정 신호(이하 블루투스 비콘 신호를 일 예로 설명) 미감지로 인해 도 6(b)와 같이 작업 불가 알람을 화면상에 팝업 표시하여 작업자에게 알린다(S411).
이어, 작업자가 가스 감지기(3)의 전원을 켜면(Power ON)(S413), 가스 감지기(3)는 도 6(a)와 같이 주변 공기질을 감지하고(S415) 주기적(일예로 1분주기)으로 자신의 장치 ID(일예로 UUID)와 가스 감시 정보를 포함하는 블루투스 비콘 신호를 발생하여 송출(broadcasting)하고, 스마트폰(2)은 해당 블루투스 비콘 신호를 수신한다(S417). 한편, 단계 S417에서 다른 예로 가스 감지기(3)와 스마트폰(2)은 블루투스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고, 이 경우 가스 감지기(3)는 블루투스 페어링 이후 사용자 단말(2)로 보내는 블루투스 신호를 블루투스 비콘 신호 대신 사용할 수 있다.
이어, 작업자가 스마트폰(2)의 해당 앱 내 표시 화면에서 작업시작 버튼을 다시 푸시하여 선택하면(S419), 스마트폰(2)은 가스 감지기(3)로부터의 블루투스 비콘 신호 감지에 따라 도 6(b)와 같이 작업 시작 알람을 화면상에 팝업 표시하여 작업자에게 알리고(S421), 작업 시작 메시지를 HTTP/UDP 메시지 형태로 생성하여 관리 서버(4)로 전송한다(S423).
다른 예로, 사용자 단말로서의 스마트폰(2)에서는 가스 감지기(3)로부터 특정 신호의 수신 여부에 따라 사용자 단말(2)에 탑재된 작업관리 앱의 실행 시 밀폐 공간의 작업 시작을 선택하기 위한 작업시작 버튼 표시가 활성화되도록(예를 들어, 누를 수 있는 상태가 되도록) 제어하거나 비활성화되도록 제어할 수 있고, 또 다른 예로 가스 감지기(3)로부터 특정 신호가 수신되고 그 수신된 특정 신호에 포함된 가스 감시 정보를 통해 공기질이 양호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만 작업시작 버튼의 표시가 활성화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다음, 작업자가 밀폐된 작업장으로서의 맨홀의 뚜껑을 오픈하고(S425), 해당 맨홀 내부에 진입하여(S427), 실질적인 작업을 시작한다(S429).
작업 중 가스 감지기(3)는 주기적(일예로 1분주기)으로 자신의 장치 ID(일예로 UUID)와 가스 감시 정보를 포함하는 블루투스 비콘 신호를 발생하여 송출(broadcasting)하고(S431), 스마트폰(2)은 블루투스 비콘 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블루투스 비콘 신호 내 포함된 UUID와 가스 감시 정보를 HTTP/UDP 메시지에 담아 주기적(일예로 1분주기)으로 관리 서버(4)에 전송한다(S433).
한편, 작업 중 스마트폰(2)은 가스 감지기(2)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일예로 3분) 동안 블루투스 비콘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면(S441), 비콘 신호 미수신 사실을 작업자에게 알리고(S443) 동시에 관리 서버(4)로 통지하여 원격지 관리자에게 알린다(S445). 한편, 관리 서버(4)는 관리자 단말 등에 비콘 미수신 SMS를 발송하여 통지할 수도 있다.
다시, 작업 중 가스 감지기(3)는 자신의 UUID와 가스 감시 정보를 포함하는 블루투스 비콘 신호를 주기적(일예로 1분주기)으로 발생하여 송출하고(S451), 스마트폰(2)은 수신된 해당 블루투스 비콘 신호 내 포함된 UUID와 가스 감시 정보를 HTTP/UDP 메시지에 담아 주기적(일예로 1분주기)으로 관리 서버(4)에 전송한다(S453).
이어, 가스 감지기(3)는 공기질 이상이 감지되면(S461), 그 즉시(설정된 전송 주기가 아니더라도 공기질 이상 감지 즉시) 블루투스 비콘 신호에 공기질 이상 정보를 포함하여 송출하고(S463), 스마트폰(2)은 단계 S463에서 가스 감지기(3)로부터 수신된 UUID와 공기질 이상 정보를 관리 서버(4)로 즉시 전송함과 동시에 공기질 이상 상태를 시각 및/또는 청각적 알람으로 표시하여 작업자에게 경고한다(SS467). 한편, 관리 서버(4)는 관리자 단말 등에 공기질 이상 SMS를 발송하여 통지할 수도 있다(S469).
다시 정상상태 작업 중 가스 감지기(3)는 자신의 UUID와 가스 감시 정보를 포함하는 블루투스 비콘 신호를 주기적(일예로 1분주기)으로 발생하여 송출하고(S471), 스마트폰(2)은 수신된 해당 블루투스 비콘 신호 내 포함된 UUID와 가스 감시 정보를 HTTP/UDP 메시지에 담아 주기적(일예로 1분주기)으로 관리 서버(4)에 전송한다(S473).
마지막으로, 작업자가 작업을 종료하고(S481) 스마트폰(2)의 해당 앱 내 표시 화면에서 작업종료 버튼(도 6(b) 참조)을 푸시하여 선택하면(S483), 스마트폰(2)은 정상 작업 종료를 표시하여 작업자에게 알리고(S485) 동시에 작업 종료 메시지를 HTTP/UDP 메시지 형태로 생성하여 관리 서버(4)로 전송한 후(S487) 해당 작업관리 앱을 종료한다(S489).
작업자는 맨홀에서 나와 맨홀 뚜껑을 닫고(S491) 가스 감지기(3)의 전원을 오프(Power OFF)하여 모든 작업 과정을 종료한다(S493).
한편, 전술한 본 발명의 밀폐 공간 작업자 안전 방법에 따르면 해당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구현할 수 있다.
다른 한편, 전술한 본 발명의 밀폐 공간 작업자 안전 방법에 따르면 해당 방법을 하드웨어와 결합하여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에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을 구현할 수 있다.
또 다른 한편, 전술한 본 발명의 밀폐 공간 작업자 안전 방법에 따르면 해당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에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밀폐 공간 작업자 안전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또는 이러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로컬 데이터 파일, 로컬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록 매체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와 같은 자기-광 매체, 및 롬, 램,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통신망
2; 사용자 단말
3: 휴대용 가스 감지기
4: 관리 서버
20,30: 밀폐 공간 작업자 안전 장치
21: 수신부
23: 제1 표시부
25: 제2 표시부
27: 전송부
29: 경보발생부
31: 신호발생부
33: 제어부

Claims (27)

  1. 사용자 단말에 포함되는 밀폐 공간 작업자 안전 장치로서,
    휴대용 가스 감지기로부터 발생되는 특정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부;
    상기 사용자 단말에 탑재된 작업관리 앱의 실행 시 밀폐 공간의 작업 시작을 선택하기 위한 작업시작 버튼과 작업 종료를 선택하기 위한 작업종료 버튼을 표시하기 위한 제1 표시부; 및
    상기 작업시작 버튼의 선택 시 상기 수신부를 통한 특정 신호의 수신 여부에 따라 작업 시작 알람 또는 작업 불가 알람을 표시하기 위한 제2 표시부;
    를 포함하는 밀폐 공간 작업자 안전 장치.
  2. 사용자 단말에 포함되는 밀폐 공간 작업자 안전 장치로서,
    휴대용 가스 감지기로부터 발생되는 특정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부; 및
    상기 수신부를 통한 특정 신호의 수신 여부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에 탑재된 작업관리 앱의 실행 시 밀폐 공간의 작업 시작을 선택하기 위한 작업시작 버튼 표시가 활성화되도록 제어하는 제1 표시부;
    를 포함하는 밀폐 공간 작업자 안전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부는 상기 수신부를 통해 특정 신호가 수신되고 그 수신된 특정 신호에 포함된 가스 감시 정보를 통해 공기질이 양호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만 상기 작업시작 버튼의 표시가 활성화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공간 작업자 안전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신호는 비콘 신호 또는 휴대용 가스 감지기와 페어링 이후 연결되어 수신받는 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공간 작업자 안전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신호는 상기 휴대용 가스 감지기의 가스 감시 정보 및 장치 I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공간 작업자 안전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가스 감시 정보 및 장치 ID를 관리 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전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공간 작업자 안전 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작업 시작 이후 기 설정된 일정 시간 동안 상기 수신부를 통해 특정 신호가 수신되지 않을 경우 경보 신호를 발생하거나 원격 관리자에게 통지하기 위한 경보발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공간 작업자 안전 장치.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신호는 블루투스 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공간 작업자 안전 장치.
  9. 휴대용 가스 감지기에 포함되는 밀폐 공간 작업자 안전 장치로서,
    사용자 단말에 특정 신호를 보내기 위한 신호발생부; 및
    턴-온되면, 주위의 가스를 감지하고, 가스 감시 정보 및 장치 ID를 포함하는 특정 신호를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발생하도록 상기 신호발생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를 포함하는 밀폐 공간 작업자 안전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신호는 비콘 신호 또는 사용자 단말기와 페어링 이후 연결되어 보내는 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공간 작업자 안전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신호는 블루투스 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공간 작업자 안전 장치.
  12. 사용자 단말에서 수행하는 밀폐 공간 작업자 안전 방법으로서,
    (a) 휴대용 가스 감지기로부터 발생되는 특정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단계;
    (b) 상기 사용자 단말에 탑재된 작업관리 앱의 실행 시 밀폐 공간의 작업 시작을 선택하기 위한 작업시작 버튼과 작업 종료를 선택하기 위한 작업종료 버튼을 표시하기 위한 단계; 및
    (c) 상기 작업시작 버튼의 선택 시 상기 단계 (a)를 통한 특정 신호의 수신 여부에 따라 작업 시작 알람 또는 작업 불가 알람을 표시하기 위한 단계;
    를 포함하는 밀폐 공간 작업자 안전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신호는 비콘 신호 또는 휴대용 가스 감지기와 페어링 후 연결되어 수신받는 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공간 작업자 안전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신호는 상기 휴대용 가스 감지기의 가스 감시 정보 및 장치 I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공간 작업자 안전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d) 상기 수신된 가스 감시 정보 및 장치 ID를 관리 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공간 작업자 안전 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e) 상기 작업 시작 알람 이후 기 설정된 일정 시간 동안 상기 수신부를 통해 비콘 신호가 수신되지 않을 경우 경보 신호를 발생하거나 원격 관리자에게 통지하기 위한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공간 작업자 안전 방법.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신호는 블루투스 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공간 작업자 안전 방법.
  18. 사용자 단말에서 수행하는 밀폐 공간 작업자 안전 방법으로서,
    (a) 휴대용 가스 감지기로부터 발생되는 특정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단계; 및
    (b) 상기 단계 (a)를 통한 특정 신호의 수신 여부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에 탑재된 작업관리 앱의 실행 시 밀폐 공간의 작업 시작을 선택하기 위한 작업시작 버튼 표시가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밀폐 공간 작업자 안전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는 상기 단계 (a)를 통해 특정 신호가 수신되고 그 수신된 특정 신호에 포함된 가스 감시 정보를 통해 공기질이 양호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만 상기 작업시작 버튼의 표시가 활성화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공간 작업자 안전 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신호는 비콘 신호 또는 휴대용 가스 감지기와 페어링 이후 연결되어 수신받는 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공간 작업자 안전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신호는 블루투스 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공간 작업자 안전 방법.
  22. 휴대용 가스 감지기에서 수행하는 밀폐 공간 작업자 안전 방법으로서,
    (a) 사용자 단말에 특정 신호를 보내기 위한 단계; 및
    (b) 턴-온되면, 주위의 가스를 감지하고, 가스 감시 정보 및 장치 ID를 포함하는 특정 신호를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발생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단계;
    를 포함하는 밀폐 공간 작업자 안전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신호는 블루투스 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공간 작업자 안전 방법.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신호는 비콘 신호 또는 사용자 단말기와 페어링 이후 연결되어 보내는 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공간 작업자 안전 방법.
  25. 제12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의 상기 밀폐 공간 작업자 안전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26. 제12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의 상기 밀폐 공간 작업자 안전 방법을 하드웨어와 결합하여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27. 제12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의 상기 밀폐 공간 작업자 안전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에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90090618A 2019-07-26 2019-07-26 밀폐 공간 작업자 안전 장치 및 방법 KR1022965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0618A KR102296594B1 (ko) 2019-07-26 2019-07-26 밀폐 공간 작업자 안전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0618A KR102296594B1 (ko) 2019-07-26 2019-07-26 밀폐 공간 작업자 안전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2604A true KR20210012604A (ko) 2021-02-03
KR102296594B1 KR102296594B1 (ko) 2021-09-02

Family

ID=74572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0618A KR102296594B1 (ko) 2019-07-26 2019-07-26 밀폐 공간 작업자 안전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659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78312A (ko) 2004-12-31 2006-07-05 주식회사 신우전자 휴대용 가스감지장치
JP2017527051A (ja) * 2014-07-08 2017-09-14 ヨンウン キム 空気質測定装置と無線端末機とを連動した空気質報知装置及びその空気質報知方法
KR20190041867A (ko) * 2017-10-13 2019-04-23 주식회사 제이알인더스트리 Iot 기반의 작업안전 통합관리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78312A (ko) 2004-12-31 2006-07-05 주식회사 신우전자 휴대용 가스감지장치
JP2017527051A (ja) * 2014-07-08 2017-09-14 ヨンウン キム 空気質測定装置と無線端末機とを連動した空気質報知装置及びその空気質報知方法
KR20190041867A (ko) * 2017-10-13 2019-04-23 주식회사 제이알인더스트리 Iot 기반의 작업안전 통합관리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6594B1 (ko) 2021-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91828B2 (en) Carbon monoxide detector, system and method for signaling a carbon monoxide sensor end-of-life condition
KR101260962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가스검출 시스템 및 가스검출 방법
CN103312875B (zh) 在移动终端上显示导航图的方法及装置
KR101219176B1 (ko) 재난 방지용 통합관리 제어 시스템
CN105185062B (zh) 用于位置标记总人数统计的系统和方法
CN104574848A (zh) 一种燃气报警装置的报警方法
KR20190040887A (ko) 기존 소방감지기를 활용한 IoT 스마트 화재감지 안내시스템
KR102229617B1 (ko) 스마트 iot 인공지능 가스경보 시스템
KR102564397B1 (ko) 서버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재 감시 시스템 및 방법,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95203B1 (ko) 일산화탄소 누출경보장치 및 방법
KR102293896B1 (ko) 밀폐 공간 작업자 안전 장치 및 방법
US9449479B2 (en) Security system
KR102296594B1 (ko) 밀폐 공간 작업자 안전 장치 및 방법
KR102266545B1 (ko) 위험물 유출 센트럴 모니터링 시스템
KR102042585B1 (ko) 소방 방재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CN211454755U (zh) 一种准确确定燃烧物的火灾报警系统
KR100600334B1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냄새 식별 장치
KR101710175B1 (ko) 밀폐 공간 안전 확보 시스템
KR102329774B1 (ko) 무선으로 가스누출을 감지하는 가스감지 시스템
KR102229620B1 (ko) 스마트 iot 인공지능 가스경보 시스템
KR102333989B1 (ko) 위험물 유출 감지 중앙 감시 관리 시스템
CN212719234U (zh) 一种气体泄漏远程监测及定位装置
JP7304713B2 (ja) 位置情報システムおよび携帯情報端末
CN212569970U (zh) 用于甘宝素生产线的防爆处理系统
KR102274638B1 (ko) 일산화탄소 누출경보장치를 이용한 일산화탄소 배출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