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78312A - 휴대용 가스감지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가스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78312A
KR20060078312A KR1020040117909A KR20040117909A KR20060078312A KR 20060078312 A KR20060078312 A KR 20060078312A KR 1020040117909 A KR1020040117909 A KR 1020040117909A KR 20040117909 A KR20040117909 A KR 20040117909A KR 20060078312 A KR20060078312 A KR 200600783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concentration
carbon monoxide
voltage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7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우전자
이기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우전자, 이기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우전자
Priority to KR10200401179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78312A/ko
Publication of KR200600783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83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023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where the material is placed in the field of a coil
    • G01N27/025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where the material is placed in the field of a coil a current being generated within the material by induc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01N33/0009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 G01N33/0027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 G01N33/0036Specially adapted to detect a particular component
    • G01N33/004Specially adapted to detect a particular component for CO, CO2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01N33/0009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 G01N33/006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measuring method, e.g. intermittent, or the display, e.g. digital
    • G01N33/0063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measuring method, e.g. intermittent, or the display, e.g. digital using a threshold to release an alarm or displaying means
    • G01N33/0065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measuring method, e.g. intermittent, or the display, e.g. digital using a threshold to release an alarm or displaying means using more than one threshol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2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 G01N1/2273Atmospheric sampling
    • G01N2001/2276Personal moni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1/00Features of devices classified in G01N21/00
    • G01N2201/12Circuits of general importance; Signal processing
    • G01N2201/126Microprocessor processing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가스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구동전압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대기중의 일산화탄소 농도를 감지하는 센서부와, 센서부의 출력전압을 증폭하는 신호증폭부와, 상기 신호증폭부에서 출력된 가스감지전압으로 일산화탄소 농도를 연산하고 그 연산결과를 LCD를 통해 출력함과 동시에 일정레벨 이상일 경우 경보용 부저음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중앙처리부와, 상기 중앙처리부의 출력신호에 따라 소정의 경보용 부저음을 출력하는 부저구동부를 휴대가 가능한 케이스 내부에 내장시켜 구성하므로서, 탄광, 맨홀, 보일러실, 지하철 공사장 등과같이 일산화탄소가 발생하기 위한 작업장에 작업자가 들어갈때 미리 일산화탄소 농도를 측정하여 일산화탄소에 의한 중독사고를 예방할 수 있고, 작업장에 들어가는 작업자가 헬멧이나 팔둑에 착용하여 휴대하여 일산화탄소 존재시 이를 감지하여 경보토록함은 물론 일산화탄소의 감지특성이 우수하고 성능에 대한 신뢰도가 한층 더 향상된 휴대용 가스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스감지장치, 휴대용, 케이스, LCD, 가스센서, 마이컴, 클립, 이어폰잭,

Description

휴대용 가스감지장치{Gas sensing device}
도 1 은 본 발명의 휴대용 가스감지장치를 보인 회로도.
도 2 는 본 발명에 적용된 전원부를 보인 회로도.
도 3 은 본 발명에 적용된 센서부를 보인 회로도.
도 4 는 본 발명에 적용된 신호증폭부를 보인 회로도.
도 5 는 본 발명에 적용된 부저구동부를 보인 회로도.
도 6 은 본 발명의 휴대용 가스감지장치를 보인 정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휴대용 가스감지장치를 보인 측면도.
도 8 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보인 도면.
도 9 는 본 발명에서 가스경보농도 설정과정을 보인 플로우챠트.
도 10 은 본 발명의 제어과정을 보인 플로우챠트.
도면의 주요부분에대한 부호의 설명
1: 케이스, 2: LCD,
3: 키이부, 4: 이어폰잭,
5: 클립, 10: 전원부,
11: 레귤레이터, 12: 밧데리 감지부,
20: 센서부, 21: 가스센서,
30: 신호증폭부, 40: 부전압공급부,
50: 중앙처리부, 60: 부저구동부,
TH: 써미스터,
본 발명은 휴대용 가스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탄광, 맨홀, 보일러실, 지하철 공사장 등과같이 일산화탄소가 발생하기 위한 작업장에 작업자가 들어갈때 미리 일산화탄소 농도를 측정하여 일산화탄소에 의한 중독사고를 예방할 수 있고, 작업장에 들어가는 작업자가 헬멧이나 팔둑에 착용하여 휴대하여 일산화탄소 존재시 이를 감지하여 경보토록함은 물론 일산화탄소의 감지특성이 우수하고 성능에 대한 신뢰도가 한층 더 향상된 휴대용 가스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산화탄소는 무색, 무취의 독성이 강한 가스로 알려져 있으며, 50PPM 정도의 저농도 환경에서도 허용시간을 넘어서면 인체에 치명적인 해를 끼치게되고, 심할 경우 사망하게되는 매우 독성이 강한 가스이다.
이러한 일산화탄소(CO) 가스가 체류하기 쉬운 탄광, 맨홀, 보일러실, 지하철 공사장 등에서는 작업자가 현장으로 들어가기에 앞서서 일산화탄소 농도를 감지하여야만 일산화탄소 중독에 의한 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본원 발명과같은 휴대용 가스감지 장치가 제공되지 않았기 때문에 작업자들이 일산화탄소가 발생하기 쉬운 작업장, 즉, 탄광, 맨홀, 보일러 실, 지하철 공사장 등에 들어갈때 미리 그 작업현장 내의 일산화탄소 존재여부 및 농도 등을 미리 측정하지 못하였고, 이러한 이유로 인해 작업장에 들어간 인부들이 일산화탄소에 중독되는 사망사고가 빈번히 발생하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구동전압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대기중의 일산화탄소 농도를 감지하는 센서부와, 센서부의 출력전압을 증폭하는 신호증폭부와, 상기 신호증폭부에서 출력된 가스감지전압으로 일산화탄소 농도를 연산하고 그 연산결과를 LCD를 통해 출력함과 동시에 일정레벨 이상일 경우 경보용 부저음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중앙처리부와, 상기 중앙처리부의 출력신호에 따라 소정의 경보용 부저음을 출력하는 부저구동부를 휴대가 가능한 케이스 내부에 내장시켜 구성하므로서, 탄광, 맨홀, 보일러실, 지하철 공사장 등과같이 일산화탄소가 발생하기 위한 작업장에 작업자가 들어갈때 미리 일산화탄소 농도를 측정하여 일산화탄소에 의한 중독사고를 예방할 수 있고, 작업장에 들어가는 작업자가 헬멧이나 팔둑에 착용하여 휴대하여 일산화탄소 존재시 이를 감지하여 경보토록함은 물론 일산화탄소의 감지특성이 우수하고 성능에 대한 신뢰도가 한층 더 향상된 휴대용 가스 감지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10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목적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휴대가 가능한 케이스(10)의 전면 중앙부에 가스농도의 표시를 위한 LCD(2)를 형성하고, 상기 LCD(2)의 상부에는 일산화탄소의 존재여부를 경보하기 위한 부저(BZ1)와 일산화탄소를 감지하는 가스센서(21)를 형성하며, 케이스(1)의 전면 하단에는 다수의 기능키이(K1~K4)들로 이루어진 키이부(3)를 형성하고, 케이스(1)의 내부에는 가스센서(21)에서 감지된 정보를 토대로하여 일산화탄소 농도를 연산하고, 그 일산화탄소 농도가 LCD(2)를 통해 표시되도록 하면서 일정레벨을 넘어설 경우 부저(BZ1)를 작동시켜 경보용 부저음이 출력되도록 하는 제어수단을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수단은,
회로의 구동전압을 공급하는 전원부(10)와;
일산화탄소 농도에 비례하여 출력전압을 가변시키는 가스센서(21)를 포함하며, 상기 가스센서(21)의 출력전압을 신호처리하여 출력하는 센서부(20)와;
상기 센서부(20)의 출력전압을 일정치 증폭하는 신호증폭부(30)와;
상기 센서부(20)에 부전압을 공급하는 부전압 공급부(40)와;
상기 센서부(20)에서 출력된 가스감지전압으로 대기중의 일산화탄소 농도를 연산하고, 그 연산된 감지가스농도를 에디시(2)를 통해 출력함과 동시에 일정레벨 이상일 경우 경보용 부저음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중앙처리부(50)와;
상기 중앙처리부(50)의 제어신호에 따라 소정의 부저음을 출력하는 부저구동부(60); 로 구성된다.
상기 전원부(10)는,
밧데리(BAT)의 전압을 단속하는 전원스위치(SW1)와, 발진소자(L1,D1,Q1,C13,R7)가 연결되어 있고 밧데리(BAT)의 전압을 5V로 정전압화하여 회로의 구동전압으로 공급하는 레귤레이터(11)와, 상기 레귤레이터(11)의 출력전압을 평활하는 콘덴서(C5~C7)와, 밧데리(BAT)의 출력전압을 감지하는 저항(R1~R3) 및 콘덴서(C1)로 구성되고 밧데리 전압레벨을 감지하여 중앙처리부(50)에 공급하는 밧데리 감지부(12)로 구성된다.
상기 센서부(20)는,
대기중의 일산화탄소 농도에 비례하여 출력전압을 가변시키는 가스센서(21)와, 상기 가스센서(21)의 기준전압을 공급하는 제 1 오피엠프(22)와, 상기 가스센서(21)의 출력전압(가스감지전압)을 일정레벨 증폭시키는 제 2 오피엠프(23)와, 온도변화에 따라 저항값이 가변되어 상기 제 2 오피엠프(23)의 증폭율을 가변시켜 온도변화에 따른 가스센서(21)의 출력값 변동을 보상하는 써미스터(TH)로 구성된다.
상기 신호증폭부(30)는,
센서부(20)에서 출력된 가스감지전압을 가변저항(VR2) 및 저항(R53,R56,R57)에 의해 결정된 증폭율로 증폭시키는 증폭기(31)로 구성된다.
상기 부전압 공급부(40)는 센서부(20)에 부전압(-)을 공급하는 부전압 IC(41)와, 전압 펌프용 콘덴서(C11)와, 부전압 IC(41)의 출력전압을 평활하는 콘덴서(C12)로 구성된다.
상기 중앙처리부(50)는
가스센서(21)에서 감지 출력된 가스감지전압으로 일산화탄소 농도를 연산하고, 그 연산된 일산화탄소 농도를 LCD(2)를 통해 출력함과 동시에 가스감지농도가 가스경보농도 보다 높을때 소정의 경보용 부저음이 출력되도록 제어하며, 밧데리 감지부(12)에서 감지된 밧데리 전압 레벨이 일정치 이하일때 밧데리 로우상태를 LCD(2)로 출력하는 마이컴(51)과,
상기 마이컴(51)의 구동용 클럭을 발생시키는 크리스탈 발진기(52,53)로 구성된다.
상기 부저구동부(60)는
마이컴(51)에서 출력된 부저출력용 제어신호에 의해 온/오프 동작하는 트랜지스터(Q5)와, 상기 트랜지스터(Q5)의 온동작시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경보용 부저음을 출력하는 부저(BZ1)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의 일측에 이어폰잭(4)을 형성하여 사용자가 부저(BZ1) 출력음을 이어폰을 통해 직접 인식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1)의 배면에 클립(5)을 형성하여 안전모 또는 팔에 밴드로서 착용하여 휴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마이컴(51)은 키이부(3)에 구비된 특정키이를 입력할 경우 1차 가스경보농도의 설정을 위한 설정화면을 LCD(2)에 출력하고, 이후 사용자가 입력하는 업,다운키이의 입력에 의해 가스경보농도를 업,다운시켜 저장하며, 1차 가스경보농도 보다 높은 2차 가스경보농도는 미리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이컴(51)은 가스감지농도가 1차 가스경보농도 또는 2차 가스 경보농도 보다 높을때 서로 다른 형태의 부저음이 출력되도록 부저구동부(60)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케이스(1)의 일측에 형성된 전원스위치(SW1)를 온동작시키면, 밧데리(BAT) 전압이 레귤레이터(11)로 공급되고, 레귤레이터(11)는 입력되는 밧데리(BAT) 전압을 5V로 변환시켜 각 회로의 구동전압으로 공급한다.
초기 동작시 사용자는 키이부(3)를 조작하여 1차 가스경보농도를 설정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셋키이(K3)를 입력하면, 마이컴(51)은 일정수치(예를들면 100PPM)의 일산화탄소 농도가 표시된 설정화면을 LCD(2)에 출력하고, 설정화면이 출력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키이부(3)의 업,다운키이(K1,K2)를 조작함에 따라 마이컴(51)은 가스농도를 일정레벨씩 상승 또는 다운시키게되며, LCD(2)에 출력된 가스농도가 원하는 레벨에 도달하였을때 사용자가 셋키이(K3)를 입력함에 따라 마이컴(51)에 1차 가스경보농도로서 저장되는 것이다.
그리고, 1차 가스경보농도 보다 일정레벨 높은 2차 가스경보농도(250PPM)는 마이컴(51)에 미리 저장되어 있다.
상기 설명과같이 1차 및 2차 가스경보농도가 설정된 상태에서 도 8 과같이 케이스(1)의 배면에 형성된 클립(5)에 일정길이의 와이어를 매달아 맨홀에 투입시키거나 아니면 밴드를 이용하여 작업자의 안전모 또는 팔에 착용한 상태로 작업장으로 들어가게되면, 케이스(1)의 전면 상단에 형성된 가스센서(21)가 대기중의 일산화탄소 농도를 감지하게된다.
상기 가스센서(21)는 대기중의 가스농도에 비례하는 전압을 출력하게되고, 그 출력전압은 제 2 오피엠프(23)에 의해 증폭되어 신호증폭부(30)로 공급되며, 상기 신호증폭부(30)의 증폭기(31)는 입력되는 가스감지전압을 증폭하여 마이컴(51)으로 공급한다.
이때, 상기 센서부(20)의 써미스터(TH)는 주변 온도변화에 따라 저항값이 가변되면서 제 2 오피엠프(23)의 증폭율을 조정하여 온도변화에 따른 가스센서(21)의 출력값 이상을 보상하게된다.
즉, 써미스터(TH)는 주변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저항값이 낮아지고, 주변온도가 하강함에 따라 저항값이 상승하면서 제 2 오피엠프(23)의 증폭율을 가변시키는 것이며, 이러한 동작에 의해 가스센서(21) 자체의 온도 특성에 의해 출력전압이 변화하는 것을 상쇄하여 항상 정밀한 가스감지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며, 상기 센서부(20)의 출력전압은 일산화탄소의 농도에 비례하여 전압레벨이 선형적으로 높아지게된다.
한편, 상기 마이컴(51)은 신호증폭부(30)로부터 공급된 가스감지전압으로 일산화탄소 농도를 연산하고, 그 연산된 농도를 LCD(2)를 통해 출력함과 동시에 가스감지농도가 1차 또는 2차 경보농도 보다 높은지의 여부를 비교 판단한다.
상기 비교판단결과 가스감지농도가 가스경보농도 보다 높으면 마이컴(51)은 소정의 경보용 부저음이 출력되도록 부저구동부(60)를 제어하게되는데, 이때 마이컴(51)은 가스감지농도가 1차 가스경보농도보다 높을때와 2차 가스경보농도보다 높을때의 부저음 출력형태가 다르도록 하여 부저음만 듣고서도 사용자가 일산화탄소농도의 위험수위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마이컴(51)은 가스감지농도가 1차 가스경보농도보다 높을때 부저구동부(60)에서 출력되는 부저음의 출력주기가 10T 가 되도록 하였다면 가스감지농도가 2차 가스경보농도보다 높을때에는 부저음의 출력주기가 20T 내지 30T가 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부저음만 듣고서도 일산화탄소의 농도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마이컴(51)의 제어신호에 의해 부저구동부(60)의 트랜지스터(Q5)가 온/오프 동작하여 부저(BZ1)로 전원을 공급함에 따라 부저(BZ1)에서 소정의 경보용 부저음이 출력되며, 이 부저음은 안전모 또는 팔에 케이스(1)를 착용한 사용자에게 전달되어 사용자가 일산화탄소 농도를 인식할 수 있게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케이스(1)의 일측에 이어폰잭(4)을 형성함에 따라 사용자가 이어폰을 귀에 꼽은 상태에서 부저음을 직접 들을 수 있게되며, 이러한 기능에 의해 각종 소음이 존재하는 작업 현장에서도 작업자가 일산화탄소 경보용 부저음을 정확하게 듣고 신속히 대처할 수 있게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적용된 마이컴(51)은 일정기간 동안 감지된 일산화탄소 농도에 대한 정보를 자체 저장하였다가 사용자가 리콜키이(K4)를 눌렀을때 가장 높은 레벨의 일산화탄소 농도를 LCD(2)를 통해 출력하여 사용자가 작업이 끝난후 작업장 내의 일산화탄소 농도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같은 일산화탄소 농도의 확인은 작업장 내의 일산화탄소 농도가 1차 가스경보농도 보다 낮을때 어느정도의 일산화탄소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상기 설명과같이 본 발명이 작동할때 전원부(10)의 밧데리 감지부(12)는 지속적으로 밧데리(BAT) 전압을 감지하여 마이컴(51)으로 출력하고, 마이컴(51)은 밧데리(BAT)의 출력레벨이 일정치 이하일때 밧데리 부족상태를 LCD(2)를 통해 출력하며, 부저구동부(60)를 구동시켜 소정의 경보음이 출력되도록 한다.
밧데리 부족을 알리기 위한 경보용 부저음은 앞서 출력된 가스경보용 부저음과는 또다른 형태가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구동전압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대기중의 일산화탄소 농도를 감지하는 센서부와, 센서부의 출력전압을 증폭하는 신호증폭부와, 상기 신호증폭부에서 출력된 가스감지전압으로 일산화탄소 농도를 연산하고 그 연산결과를 LCD를 통해 출력함과 동시에 일정레벨 이상일 경우 경보용 부저음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중앙처리부와, 상기 중앙처리부의 출력신호에 따라 소정의 경보용 부저음을 출력하는 부저구동부를 휴대가 가능한 케이스 내부에 내장시켜 구성하므로서, 탄광, 맨홀, 보일러실, 지하철 공사장 등과같이 일산화탄소가 발생하기 위한 작업장에 작업자가 들어갈때 미리 일산화탄소 농도를 측정하여 일산화탄소에 의한 중독사고를 예방할 수 있고, 작업장에 들어가는 작업자가 헬멧이나 팔둑에 착용하여 휴대하여 일산화탄소 존재시 이를 감지하여 경보토록함은 물론 일산화탄소의 감지특성이 우수하고 성능에 대한 신뢰도가 한층 더 향상된 휴대용 가스 감지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Claims (12)

  1. 휴대가 가능한 케이스(10)의 전면 중앙부에 가스농도의 표시를 위한 LCD(2)를 형성하고, 상기 LCD(2)의 상부에는 일산화탄소의 존재여부를 경보하기 위한 부저(BZ1)와 일산화탄소를 감지하는 가스센서(21)를 형성하며, 케이스(1)의 전면 하단에는 다수의 기능키이(K1~K4)들로 이루어진 키이부(3)를 형성하고, 케이스(1)의 내부에는 가스센서(21)에서 감지된 정보를 토대로하여 일산화탄소 농도를 연산하고, 그 일산화탄소 농도가 LCD(2)를 통해 표시되도록 하면서 일정레벨을 넘어설 경우 부저(BZ1)를 작동시켜 경보용 부저음이 출력되도록 하는 제어수단을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가스감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회로의 구동전압을 공급하는 전원부(10)와;
    일산화탄소 농도에 비례하여 출력전압을 가변시키는 가스센서(21)를 포함하며, 상기 가스센서(21)의 출력전압을 신호처리하여 출력하는 센서부(20)와;
    상기 센서부(20)의 출력전압을 일정치 증폭하는 신호증폭부(30)와;
    상기 센서부(20)에 부전압을 공급하는 부전압 공급부(40)와;
    상기 센서부(20)에서 출력된 가스감지전압으로 대기중의 일산화탄소 농도를 연산하고, 그 연산된 감지가스농도를 에디시(2)를 통해 출력함과 동시에 일정레벨 이상일 경우 경보용 부저음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중앙처리부(50)와;
    상기 중앙처리부(50)의 제어신호에 따라 소정의 부저음을 출력하는 부저구동부(60);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가스감지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10)는,
    밧데리(BAT)의 전압을 단속하는 전원스위치(SW1)와, 발진소자(L1,D1,Q1,C13,R7)가 연결되어 있고 밧데리(BAT)의 전압을 5V로 정전압화하여 회로의 구동전압으로 공급하는 레귤레이터(11)와, 상기 레귤레이터(11)의 출력전압을 평활하는 콘덴서(C5~C7)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가스감지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10)는,
    밧데리(BAT)의 출력전압을 감지하는 저항(R1~R3) 및 콘덴서(C1)로 구성되고 밧데리 전압레벨을 감지하여 중앙처리부(50)에 공급하는 밧데리 감지부(1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가스감지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20)는,
    대기중의 일산화탄소 농도에 비례하여 출력전압을 가변시키는 가스센서(21)와, 상기 가스센서(21)의 기준전압을 공급하는 제 1 오피엠프(22)와, 상기 가스센서(21)의 출력전압(가스감지전압)을 일정레벨 증폭시키는 제 2 오피엠프(2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가스감지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20)는 온도변화에 따라 저항값이 가변되어 상기 제 2 오피엠프(23)의 증폭율을 가변시켜 온도변화에 따른 가스센서(21)의 출력값 변동을 보상하는 써미스터(TH)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가스감지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처리부(50)는
    가스센서(21)에서 감지 출력된 가스감지전압으로 일산화탄소 농도를 연산하고, 그 연산된 일산화탄소 농도를 LCD(2)를 통해 출력함과 동시에 가스감지농도가 가스경보농도 보다 높을때 소정의 경보용 부저음이 출력되도록 제어하며, 밧데리 감지부(12)에서 감지된 밧데리 전압 레벨이 일정치 이하일때 밧데리 로우상태를 LCD(2)로 출력하는 마이컴(5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가스감지장치.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부저구동부(60)는
    마이컴(51)에서 출력된 부저출력용 제어신호에 의해 온/오프 동작하는 트랜지스터(Q5)와, 상기 트랜지스터(Q5)의 온동작시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경보용 부저음을 출력하는 부저(BZ1)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가스감지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의 일측에 이어폰잭(4)을 형성하여 사용자가 부저(BZ1) 출력음을 이어폰을 통해 직접 인식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가스감지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의 배면에 클립(5)을 형성하여 안전모 또는 팔에 밴드로서 착용하여 휴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가스감지장치.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51)은 키이부(3)에 구비된 특정키이를 입력할 경우 1차 가스경보농도의 설정을 위한 설정화면을 LCD(2)에 출력하고, 이후 사용자가 입력하는 업,다운키이의 입력에 의해 가스경보농도를 업,다운시켜 저장하며, 1차 가스경보농도 보다 높은 2차 가스경보농도는 미리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가스감지장치.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51)은 가스감지농도가 1차 가스경보농도 또는 2차 가스경보농도 보다 높을때 서로 다른 형태의 부저음이 출력되도록 부저구동부(60)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가스감지장치.
KR1020040117909A 2004-12-31 2004-12-31 휴대용 가스감지장치 KR200600783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7909A KR20060078312A (ko) 2004-12-31 2004-12-31 휴대용 가스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7909A KR20060078312A (ko) 2004-12-31 2004-12-31 휴대용 가스감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8312A true KR20060078312A (ko) 2006-07-05

Family

ID=37170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7909A KR20060078312A (ko) 2004-12-31 2004-12-31 휴대용 가스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78312A (ko)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51731A1 (en) * 2006-10-23 2008-05-0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Testing performance of gas monitors
WO2008121564A1 (en) * 2007-04-02 2008-10-0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ystem, method and kit for testing gas monitors
US7497108B2 (en) 2006-10-23 2009-03-0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Gas monitor testing apparatus, method, and system
CN102866176A (zh) * 2012-08-31 2013-01-09 常熟市德虞矿山机电有限公司 煤矿用气敏式烟雾传感器
CN102866177A (zh) * 2012-08-31 2013-01-09 常熟市德虞矿山机电有限公司 一种气敏式烟雾传感器
CN104933834A (zh) * 2015-06-09 2015-09-23 苏州市华安普电力工程有限公司 一种实用可燃气体检测仪
KR102000564B1 (ko) * 2018-02-05 2019-07-16 강영모 휴대용 맨홀 안전도 검사기
KR102097629B1 (ko) * 2019-10-14 2020-04-06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축사환경 측정장치
KR20200139976A (ko) 2019-06-05 2020-12-15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밀폐 공간 작업자 안전 장치 및 방법
KR20210012604A (ko) 2019-07-26 2021-02-03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밀폐 공간 작업자 안전 장치 및 방법
KR20220114811A (ko) 2021-02-09 2022-08-17 주식회사 지에버 거치식 가스 측정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20114821A (ko) 2021-02-09 2022-08-17 주식회사 지에버 거치식 반도체 가스 측정 장치의 동작방법
KR20220114829A (ko) 2021-02-09 2022-08-17 주식회사 지에버 반도체 가스 센서를 이용한 휴대용 가스 측정 장치의 동작방법
KR20220114816A (ko) 2021-02-09 2022-08-17 주식회사 지에버 휴대용 반도체 가스 측정 장치
KR20220114827A (ko) 2021-02-09 2022-08-17 주식회사 지에버 반도체 가스 센서를 이용한 휴대용 가스 측정 장치 및 그의 동작방법
KR20230102714A (ko) 2021-12-30 2023-07-07 주식회사 센트리 가스측정장치 및 그를 이용한 가스측정방법
KR102568617B1 (ko) 2022-04-06 2023-08-22 (주)수산인더스트리 밀폐 구역의 안전 사고 예방 및 관리 시스템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97108B2 (en) 2006-10-23 2009-03-0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Gas monitor testing apparatus, method, and system
US7805974B2 (en) 2006-10-23 2010-10-0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Testing performance of gas monitors
WO2008051731A1 (en) * 2006-10-23 2008-05-0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Testing performance of gas monitors
WO2008121564A1 (en) * 2007-04-02 2008-10-0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ystem, method and kit for testing gas monitors
CN102866176A (zh) * 2012-08-31 2013-01-09 常熟市德虞矿山机电有限公司 煤矿用气敏式烟雾传感器
CN102866177A (zh) * 2012-08-31 2013-01-09 常熟市德虞矿山机电有限公司 一种气敏式烟雾传感器
CN104933834A (zh) * 2015-06-09 2015-09-23 苏州市华安普电力工程有限公司 一种实用可燃气体检测仪
KR102000564B1 (ko) * 2018-02-05 2019-07-16 강영모 휴대용 맨홀 안전도 검사기
KR20200139976A (ko) 2019-06-05 2020-12-15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밀폐 공간 작업자 안전 장치 및 방법
KR20210012604A (ko) 2019-07-26 2021-02-03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밀폐 공간 작업자 안전 장치 및 방법
KR102097629B1 (ko) * 2019-10-14 2020-04-06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축사환경 측정장치
KR20220114811A (ko) 2021-02-09 2022-08-17 주식회사 지에버 거치식 가스 측정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20114821A (ko) 2021-02-09 2022-08-17 주식회사 지에버 거치식 반도체 가스 측정 장치의 동작방법
KR20220114829A (ko) 2021-02-09 2022-08-17 주식회사 지에버 반도체 가스 센서를 이용한 휴대용 가스 측정 장치의 동작방법
KR20220114816A (ko) 2021-02-09 2022-08-17 주식회사 지에버 휴대용 반도체 가스 측정 장치
KR20220114827A (ko) 2021-02-09 2022-08-17 주식회사 지에버 반도체 가스 센서를 이용한 휴대용 가스 측정 장치 및 그의 동작방법
KR20230102714A (ko) 2021-12-30 2023-07-07 주식회사 센트리 가스측정장치 및 그를 이용한 가스측정방법
KR102568617B1 (ko) 2022-04-06 2023-08-22 (주)수산인더스트리 밀폐 구역의 안전 사고 예방 및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078312A (ko) 휴대용 가스감지장치
KR101581353B1 (ko) 안전 헬멧
US20070276295A1 (en) Motion detector for a mobile device
US20070004449A1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ith environmental sensors
WO2016127936A1 (zh) 可穿戴设备及系统
JP2017527051A (ja) 空気質測定装置と無線端末機とを連動した空気質報知装置及びその空気質報知方法
KR102194788B1 (ko) 동작 방법 및 그 방법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US20150029030A1 (en) Sleep state management device, sleep state management method, and sleep state management program
IL196140A0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a history function and intended to display the value of variables on the basis of measurements made by a sensor
ATE432650T1 (de) System zur auswertung der aktivität einer person und zum automatischen nachweis von stürzen
HK1090715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vely activating a communication device
KR200416195Y1 (ko) 가스 경보 장치
WO2005070064A3 (en) System for controlling ignition sources when flammable gas is sensed
CN109313839A (zh) 集成热生理应力警告装置
KR101210071B1 (ko) 외부장치를 이용한 주변 환경 감지가 가능한 휴대용 단말장치와 그 사용방법
KR20110003645U (ko) 기울기 센서를 이용한 휴대용 신장측정장치
CN104076330A (zh) 一种简易声音方位快速识别装置
JP2011139828A (ja) 手首血圧計
GB2603320A (en) System including grip assembly and hip sensing assembly for rollator configured to provide feedback to user
JP2001141826A (ja) 放射線測定システム及び個人線量計
JP2012045187A (ja) 携帯型運動量計
CN107825961A (zh) 一种基于行车记录仪的检测酒驾系统及方法
KR102026614B1 (ko) 소리를 감지하여 진동으로 정보를 알려주는 진동벨트
KR20010103916A (ko) 휴대폰을 이용한 대기오염 측정시스템
KR200343789Y1 (ko) 적외선 센서를 이용한 온도 측정 휴대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