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2416A - 분무기 연결 장치 및 분무기 - Google Patents

분무기 연결 장치 및 분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2416A
KR20210012416A KR1020190090095A KR20190090095A KR20210012416A KR 20210012416 A KR20210012416 A KR 20210012416A KR 1020190090095 A KR1020190090095 A KR 1020190090095A KR 20190090095 A KR20190090095 A KR 20190090095A KR 20210012416 A KR20210012416 A KR 202100124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path
sprayer
liquid
connection device
nebuliz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00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15014B1 (ko
Inventor
김민지
Original Assignee
김민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지 filed Critical 김민지
Priority to KR10201900900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5014B1/ko
Publication of KR202100124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24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50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50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02Manually-actuated controlling means, e.g. push buttons, levers or trig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02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 B05B1/1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in the form of a fine jet, e.g. for use in wind-screen was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278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Landscapes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분무기 연결 장치는, 액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액체를 흡상하고 분무하는 헤드부를 포함하는 분무기에 설치되는 분무기 연결 장치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와 상기 저장부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저장부와 상기 헤드부를 연통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와 각각 연결되는 제1 유로 및 제2 유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분무기 연결 장치 및 분무기{SPRAYER CONNECTOR AND SPRAYER}
본 개시는 분무기 연결 장치 및 분무기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본 개시는 종래 분무기에 탈장착 가능한 액체뿌리개 기능을 갖는 분무기 연결 장치 및 분무기에 관한 것이다.
분무기(Sprayer)는 액체를 안개 형태로 분무하는 도구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액체는 물, 약품, 영양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식물에 액체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분무기 또는 물뿌리개(또는 액체뿌리개)가 이용된다. 특히, 식물의 잎에 액체, 특히 물을 공급하거나 오물을 씻겨낼 때는 고운 액체 입자를 넓은 범위로 확산시키는 분무기가 이용되고, 식물이 뿌리내리고 있는 토양에 액체, 특히 물을 공급할 때는 줄기 형태로 물을 공급하는 물뿌리개가 이용된다.
종래에는, 화분에 액체를 공급할 때 일반적으로 분무기를 사용하여 잎 등에 액체를 공급하고, 분무기의 헤드부를 분무기로부터 분리한 후 액체 저장부에 저장된 액체를 화분 안쪽 깊숙한 토양에 공급한다.
이 경우, 잎이 많은 화분에 액체를 공급할 때, 액체가 흙에 닿기 전에 잎 때문에 밖으로 튀거나 쏟아져서 주변이 지저분해지고, 화분 안쪽 깊숙한 토양까지 액체를 충분히 공급하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다. 이를 위해 해결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상술한 물뿌리개를 구비해야하는 문제가 있다.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분무기에 호환 가능한 분무기 연결 장치인,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한다.
본 개시는 분무기 연결 장치의 실시예들을 제공한다. 대표적인 실시예에 따른 액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액체를 흡상하고 분무하는 헤드부를 포함하는 분무기에 설치되는 분무기 연결 장치는, 상기 헤드부와 상기 저장부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저장부와 상기 헤드부를 연통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와 각각 연결되는 제1 유로 및 제2 유로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내부를 관통하는 중공부를 형성하고, 상기 중공부는 상기 분무기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저장부와 상기 헤드부를 연통한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로 및 상기 제2 유로 각각의 일단이, 상기 몸체를 관통하여 고정되고 상기 중공부와 연통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상부 및 하부에는 상기 저장부와 상기 헤드부와 탈부착 가능하게 체결하는 체결부가 형성된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와 체결하는 체결부(몸체의 하부)에는 암나사로 형성되고, 상기 헤드부와 체결하는 체결부(몸체의 상부)에는 수나사가 형성된다. 일 예로, 상기 체결부는, 상기 몸체의 상부 외주면에 수나사로 형성되는 제1 체결부 및 상기 몸체의 하부 내주면에 암나사로 형성되는 제2 체결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로 및 제2 유로는 길이 조정 가능하고 플렉시블(flexible)한 재질로 형성된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로는 상기 저장부의 액체를 흡입하고 배출한다. 또 다른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유로의 일단은 상방을 향해 배치되고, 외부 공기의 유출입을 제어하기 위한 개폐부를 구비한다. 일 예로서, 상기 개폐부는 탈부착 가능한 마개를 구비한다.
본 개시의 또 하나의 측면은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분무기 연결 장치를 포함하는 분무기를 제공한다.
상술한 해결수단을 통해 얻게 되는 본 개시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화분에 액체를 공급할 때, 잎에는 분무된 액체를 공급하고 화분 주변을 더럽히지 않으면서도 화분 안쪽 깊숙한 곳의 토양까지 액체를 충분히 공급할 수 있다. 상술한 두 개의 역할을 하나의 분무기로 수행할 수 있어서 편리하고, 종래 분무기에 착탈 가능하기 때문에 호환성이 높고 경제적이다.
도 1은 본 개시에 따른 분무기 연결 장치와 체결된 분무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개시에 따른 분무기 연결 장치를 포함하는 분무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분무기 연결 장치만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내측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3의 제1 유로에 대한 확대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3의 제2 유로에 추가적으로 구비된 마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1에 도시된 분무기 연결 장치의 작동 원리를 보인 개념도이고,
도 8은 본 개시에 따른 분무기 연결 장치가 설치된 분무기의 활용예를 보인 도면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이다.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가 이하에 제시되는 실시예들이나 이들 실시예들에 대한 구체적 설명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용어들 및 과학적 용어들은,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갖는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를 더욱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선택된 것이며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선택된 것이 아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 "구비하는", "갖는" 등과 같은 표현은, 해당 표현이 포함되는 어구 또는 문장에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가능성을 내포하는 개방형 용어(open-ended terms)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기술된 단수형의 표현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단수형의 표현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상호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며,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또는 중요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상방", "상" 등의 방향지시어는 첨부된 도면에서 분무기 연결 장치(100)가 분무기(1)에 대해 위치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하고, "하방", "하" 등의 방향지시어는 그 반대 방향을 의미한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하는 분무기 연결 장치(100)는 달리 배향될 수도 있으며, 상기 방향지시어들은 그에 맞추어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중복하여 기술하는 것이 생략될 수 있다. 그러나, 구성요소에 관한 기술이 생략되어도, 그러한 구성요소가 어떤 실시예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
도 1은 본 개시에 따른 분무기 연결 장치(100)와 결합된 분무기(1)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개시에 따른 분무기 연결 장치(100)를 포함하는 분무기(1)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분무기 연결 장치(100)만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내측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다.
본 도면에 따르면, 분무기 연결 장치(100)는 액체(30)를 저장하는 저장부(20) 및 액체(30)를 흡상하고 분무하는 헤드부(10)를 포함하는 분무기(1)에 설치된다. 액체(30)는 물, 농약과 같은 유체가 될 수 있다.
분무기 연결 장치(100)는 몸체(110), 제1 유로(120) 및 제2 유로(130)를 포함한다. 몸체(110)는 분무기(1)와 결합되고, 제1 유로(120) 및 제2 유로(130)와 연통한다. 제1 유로(120), 제2 유로(130) 및 몸체(110)와 제1 유로(120) 및 제2 유로(130) 간의 결합 관계에 대해서는 뒤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몸체(110)는 헤드부(10)와 저장부(20) 사이에 개재되어 헤드부(10) 및 저장부(20)를 연통시키도록 이루어진다. 몸체(110)는 상하방향으로 내부를 관통하는 중공부(111)를 구비하고, 상기 중공부(111)를 통해 헤드부(10)의 튜브가 저장부(20)로 삽입되고, 상기 튜브(t)를 통해 저장부(20)에 저장된 액체(30)가 흡상되어 분무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몸체(110)의 상부 및 하부에는 저장부(20) 및 헤드부(10)와 결합하기 위한 체결부(112)가 형성된다. 체결부(112)는 몸체(110)의 상부에서 헤드부(10)와 결합 또는 분리가 용이하게 체결되는 제1 체결부(112a), 및 몸체(110)의 하부에서 저장부(20)와 결합 또는 분리가 용이하게 체결되는 제2 체결부(112b)를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3에서는, 몸체(110)는 높이 방향으로 내부가 관통된 납작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몸체(110)의 체결부(112)는 헤드부(10)와 저장부(20)와 나사결합 방식으로 체결되는 것을 보이고 있다. 구체적으로 체결부(112), 제1 체결부(112a)와 체결되는 헤드부(10) 및 제2 체결부(112b)와 체결되는 저장부(20)의 각각의 지름(D)은 2.5cm 내외이고, 몸체(110)의 하부 내주면에는, 저장부(20)의 유입구에 형성된 수나사와 대응하여 체결되는 암나사(제2 체결부(112b))가 형성되며, 몸체(110)의 상부 외주면에는, 헤드부(10)의 일측에 형성된 암나사와 대응하여 체결되는 수나사(제1 체결부(112a))가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종래 분무기에 본 개시를 용이하게 탈부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 유로(120), 제2 유로(130) 및 몸체(110)와의 제1 유로(120), 제2 유로(130) 간의 결합 관계에 대해서 살펴본다.
도 5는 도 3의 평면도이며, 도 6은 도 3의 제2 유로(130)에 추가적으로 구비된 마개(133)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제1 유로(120) 및 제2 유로(130)는 유체가 이동할 수 있는 관의 일종으로, 플렉시블(flexible)하면서 벤딩(bending)시켜 원하는 각도를 유지할 수 있고 길이를 조정할 수 있다.
제1 유로(120)는 몸체(110)에 연결되어 저장부(20)의 액체(30)를 흡입하고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제1 유로(120)의 일단은 몸체(110)에 관통 연결되어 저장부(20)의 액체(30)를 흡입하는 액체 흡입구(121)로 이루어지고, 제1 유로(120)의 타단은 흡입한 액체(30)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122)로 이루어진다.
제2 유로(130)는 몸체(110)에 연결되어 저장부(20) 내로의 공기 유출입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제2 유로(130)의 일단은 몸체(110)에 관통 연결되는 공기 흡입구(131)로 이루어지고, 타단은 외부 공기의 유출입을 차단하는 개폐부(132)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개폐부(132)는 상방을 향해 배치되어 저장부(20)의 액체(30)가 개폐부(132)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개폐부(132)는 사용자에 의해 필요에 따라 개폐될 수도 있지만, 탈부착 가능한 마개(133)로 개폐로 될 수 있고, 마개(133)는 실과 같은 끈(w)으로 몸체(110) 또는 제2 유로(130)의 외주면에 매달릴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몸체(110)의 측면에는 제1 유로(120) 및 제2 유로(130)와 연통하는 2개의 관통홀(113)이 형성된다. 제1 유로(120) 및 제2 유로(130)는 각각의 관통홀(113)에 삽입 관통되고 고정부(114)에 의해 몸체(110)의 일측에 고정된다.
도 1 내지 도 8에서는, 제1 유로(120) 및 제2 유로(130)가 절삭자바라(사출자바라)로 형성된 것을 보이고 있는데, 구체적으로 도 5를 참조하면, 제1 유로(120) 및 제2 유로(130)는 복수의 마디로 이루어진 자라바 호스(120a, 130a) 및 제1 유로(120) 및 제2 유로(130)의 일단에는 자바라 노즐(120b, 130b)이 형성된 것을 보이고 있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사용자가 제1 유로(120) 또는 제 2 유로를 원하는 각도로 고정 세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마디를 추가함으로써 원하는 길이로 조정할 수 있고, 노즐(120b, 130b)을 변경함으로써 화분(40)에 제공하려는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한편, 제1 유로(120) 및 제2 유로(130)가 몸체(110)와 접하는 부분에는 방수 처리(미도시)를 함으로써 수밀성을 높일 수 있다. 방수 처리 재료로서 테프론, 점토형 에폭시가 사용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의 작동 원리 및 실시예에 대해서 좀 더 상세히 살펴보고자 한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분무기 연결 장치(100)의 작동 원리를 보인 개념도이고, 도 8은 본 개시에 따른 분무기 연결 장치(100)가 설치된 분무기(1)의 활용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7에서는, 화분(40)의 특정 위치에 제1 유로(120)의 배출구(122)를 위치시키고, 분무기(1)를 화분(40) 방향으로 기울여 저장부(20)의 액체(30)를 제1 유로(120)를 통해 배출시키는 본 개시의 작동 원리를 보이고 있다. 이때 제2 유로(130)의 개폐부(132)는 개방된 상태이다.
상술한 구성에 따르면, 액체(30)가 잎에 접촉하여 화분(40) 밖으로 튀는 것을 방지하여 주변을 더럽히지 않으면서도, 화분(40) 안쪽 깊숙한 곳에 위치한 토양에도 액체(30)를 충분히 공급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8의 (a) 및 (b)에서는, 화분(40)의 잎에 액체(30)를 제공하는 분무기(1) 모드[도 8의 (a)] 및 화분(40)의 토양에 액체(30)를 공급하는 뿌리개 모드[도 8의 (b)]를 보인다. 상술한 본 개시에 따르면, 두 개의 역할을 하나의 분무기(1)로 수행할 수 있어서 편리하면서도, 종래 분무기에 착탈 가능하기 때문에 호환성이 높고 경제적이라는 이점이 있다.
1: 분무기, 10: 헤드부, t: 튜브, 20: 저장부, 30: 액체, 40: 화분, 100: 분무기 연결 장치, 110: 몸체, 111: 중공부, 112: 체결부, 112a: 제1 체결부, 112b: 제2 체결부, 113: 관통홀, 114: 고정부, D: 지름, 120: 제1 유로, 120a: 자라바 호스, 120b: 자바라 노즐, 121: 액체 흡입구, 122: 배출구, 130: 제2 유로, 130a: 자라바 호스, 130b: 자바라 노즐, 131: 공기 흡입구, 132: 개폐부, 133: 마개, w: 끈

Claims (10)

  1. 액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액체를 흡상하고 분무하는 헤드부를 포함하는 분무기에 설치되는 분무기 연결 장치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와 상기 저장부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저장부와 상기 헤드부를 연통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와 각각 연결되는 제1 유로 및 제2 유로를 포함하는, 분무기 연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내부를 관통하는 중공부를 형성하고, 상기 중공부는 상기 분무기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저장부와 상기 헤드부를 연통하는, 분무기 연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로 및 상기 제2 유로 각각의 일단이, 상기 몸체를 관통하여 고정되고 상기 중공부와 연통되는, 분무기 연결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상부 및 하부에는 상기 저장부와 상기 헤드부와 탈부착 가능하게 체결하는 체결부가 형성되는, 분무기 연결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몸체의 상부 외주면에 수나사로 형성되는 제1 체결부 및 상기 몸체의 하부 내주면에 암나사로 형성되는 제2 체결부를 포함하는, 분무기 연결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로 및 제2 유로는 길이 조정 가능하고 플렉시블한 재질로 형성되는, 분무기 연결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로는 길이 조정 가능하고 상기 저장부의 액체를 흡입하고 배출하는, 분무기 연결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로의 일단은 상방을 향해 배치되고, 외부 공기의 유출입을 제어하기 위한 개폐부를 구비하는, 분무기 연결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탈부착 가능한 마개를 구비하는, 분무기 연결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분무기 연결 장치를 포함하는, 분무기.
KR1020190090095A 2019-07-25 2019-07-25 분무기 연결 장치 및 분무기 KR1022150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0095A KR102215014B1 (ko) 2019-07-25 2019-07-25 분무기 연결 장치 및 분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0095A KR102215014B1 (ko) 2019-07-25 2019-07-25 분무기 연결 장치 및 분무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2416A true KR20210012416A (ko) 2021-02-03
KR102215014B1 KR102215014B1 (ko) 2021-02-10

Family

ID=74561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0095A KR102215014B1 (ko) 2019-07-25 2019-07-25 분무기 연결 장치 및 분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501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99873A (en) * 1995-06-06 1998-09-01 Lau; Billy Ying Bui Portable multi-port liquid dispensing system
KR20000017078U (ko) * 1999-02-12 2000-09-25 이용대 화훼의 수분용 문무노즐
US7260955B1 (en) * 2004-11-24 2007-08-28 Joel Uranga Portable misting system
KR20100010490U (ko) * 2009-04-16 2010-10-26 최승권 분무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99873A (en) * 1995-06-06 1998-09-01 Lau; Billy Ying Bui Portable multi-port liquid dispensing system
KR20000017078U (ko) * 1999-02-12 2000-09-25 이용대 화훼의 수분용 문무노즐
US7260955B1 (en) * 2004-11-24 2007-08-28 Joel Uranga Portable misting system
KR20100010490U (ko) * 2009-04-16 2010-10-26 최승권 분무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5014B1 (ko) 2021-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30664A (en) Spraying and watering can
US9561516B2 (en) Liquid sprayer for plants
KR102215014B1 (ko) 분무기 연결 장치 및 분무기
KR102091926B1 (ko) 물안개 분무 장치용 노즐 구조체
KR101917668B1 (ko) 관수 및 방제를 위한 농업용 스프링클러
KR101052270B1 (ko) 스프링클러
KR200418909Y1 (ko) 약액 분사 장치
KR200438965Y1 (ko) 분사각의 가변이 가능한 분무기용 노즐헤드
CN208300816U (zh) 一种棉田喷雾机用吊喷装置
JP3200702B2 (ja) 散布装置
KR101833296B1 (ko) 센서탑재형 회전분무노즐
JPH0340371Y2 (ko)
KR20160144278A (ko) 식물재배용 관수스틱
CN208175900U (zh) 一种园林用打药机
CN208018232U (zh) 一种高压自洁式双流道过滤装置
KR102623076B1 (ko) 분사노즐 내장형 배양박스
CN212344511U (zh) 兰花灌溉装置
CN214234529U (zh) 一种涌泉插杆喷头
CN218354295U (zh) 一种摆动式喷药装置
JPH0128849Y2 (ko)
KR200335142Y1 (ko) 농약분사대의 약액공급관
JP3109785U (ja) 灌水器具
KR100495681B1 (ko) 소켓형 수직 분수기구 및 수직분수용 호스
CN209994870U (zh) 一种倒挂稳流微喷头组件及其果园水肥灌溉系统
JP3667044B2 (ja) 散布用チューブ保持具、散布器および散布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