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2105A - 도로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도로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2105A
KR20210012105A KR1020190089245A KR20190089245A KR20210012105A KR 20210012105 A KR20210012105 A KR 20210012105A KR 1020190089245 A KR1020190089245 A KR 1020190089245A KR 20190089245 A KR20190089245 A KR 20190089245A KR 20210012105 A KR20210012105 A KR 202100121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d
lanes
solar panel
battery
management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92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염정국
양희창
옥태화
우창용
유동민
정효선
Original Assignee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892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12105A/ko
Publication of KR202100121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21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F21S9/03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 F21S9/03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the solar unit being separate from the lighting unit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40Arrangements responsive to adverse atmospheric conditions, e.g. to signal icy roads or to automatically illuminate in fo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heating or dry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76Traffic lines
    • E01F9/582Traffic lines illumin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8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 F21S8/085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of high-built type, e.g. street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4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generato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65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by counting the vehicles in a section of the road or in a parking area, i.e. comparing incoming count with outgoing cou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02J7/35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with light sensitive cel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05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using a power saving mod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2/00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 H02N2/18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producing electrical output from mechanical input, e.g. generato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1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21W2111/02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for roads, path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 F21W2131/103Outdoor lighting of streets or roa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72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in street ligh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우천시나 야간에 자동차 도로의 차선이 잘 보이지 않는 경우를 대비하여, 차선 자체에서 발광이 가능한 도료를 적용하고, 자체 발전 시스템을 구비하는 것으로 외부의 전원공급 없이도 관리가 가능한 도로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전기 발광 페인트로 도색된 차선; 도로의 측면에서 소정의 거리마다 구비되어 도로에 빛을 조사하는 가로등; 상기 도로의 소정의 거리마다 구비되어 차선 및 가로등에 전기를 공급하는 발전장치; 상기 발전장치에서 생산된 전기에너지를 저장하는 배터리 및; 상기 차선, 가로등, 발전장치 및 배터리와 연결되어 야간 또는 우천시에 차선 및 가로등에 전기를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외부로부터 별도의 전원공급 없이도 배터리의 전기에너지로 상기 차선 및 가로등에 소요되는 전력을 충당하는, 도로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도로 관리 시스템{Road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도로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우천시나 야간에 자동차 도로의 차선이 잘 보이지 않는 경우를 대비하여, 차선 자체에서 발광이 가능한 도료를 적용하고, 자체 발전 시스템을 구비하는 것으로 외부의 전원공급 없이도 관리가 가능한 도로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환경문제에 대해 큰 문제가 야기되는 사회에서 화석자원의 고갈과 환경오염에 대처하기 위해 태양에너지와 같은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태양광 발전 장치는 빛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태양전지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며, 광전효과를 통해 P-N접합 반도체에서 태양광으로 인해 여기된 소수 캐리어에 의해 기전력을 발생시키는 원리이다.
압전소자는 압전판에 압력이나 진동이 가해지면 전위차가 발생하여 +, - 전하가 발생한다.
압전소자는 Piezoelectric transducer(압전변환기)라고도 칭할 수 있으며, 근래에 개발된 타이타늄산바륨, 인산이수소암모늄, 타타르산에틸렌다이아민 등 인공결정도 압전성이 뛰어나다.
압전소자는 전기에너지를 생산하여 힘(압력)을 가하면 1회성으로 전류가 생성되어 효율성이 그다지 좋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일반 차선용 페인트는 수용성으로 상온/가열과 달리 유성페인트가 아닌 수성 페인트로써 희석제로는 물이 사용되며 내구성이 좋아 내마모형이라고도 불리우며, 유리알 고착력이 높아 야간 반사 휘도치가 높은 특징이 있다. 또한 환경적인 면에서 유성 페인트보다 VOC가 상당히 적어 친환경 페인트로 각광받고 있다.
상기 일반 차선용 페인트는, 비가 오거나 안개가 많이 낀 날의 경우 차선이 잘 보이지 않을 뿐만 아니라, 차선을 인지하지 못해 사고가 날 수 있다.
시대가 빠르게 지남에 따라 비약적으로 발전하는 기술 중 하나인 자율주행차의 경우 차량 센서를 통해 차선을 인식하여 주행을 하기 때문에, 보다 높은 시인성 확보가 되지 않을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주간에 태양광을 받아 야간에는 자체발광하는 차선용 도료가 개발된 바 있으며, 이는 국내공개특허 제2003-0097387호에 개시되어 있다.
다만, 위 특허문헌과 같은 자체발광형 도료는, 우천시나 흐린날에는 태양광을 충분히 받지 못해 차선이 보이지 않는 상황임에도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도로 차선 표기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자체적으로 전력을 발전하고, 생산된 전력을 전기 발광 페인트 및 가로등에 공급하여 악천후 또는 야간에 운전자에게 차선 및 도로 시인성을 개선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종래 도로 차선 표기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전기 발광 페인트로 도색된 차선; 도로의 측면에서 소정의 거리마다 구비되어 도로에 빛을 조사하는 가로등; 상기 도로의 소정의 거리마다 구비되어 차선 및 가로등에 전기를 공급하는 발전장치; 상기 발전장치에서 생산된 전기에너지를 저장하는 배터리 및; 상기 차선, 가로등, 발전장치 및 배터리와 연결되어 야간 또는 우천시에 차선 및 가로등에 전기를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외부로부터 별도의 전원공급 없이도 배터리의 전기에너지로 상기 차선 및 가로등에 소요되는 전력을 충당하는, 도로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발전장치는, 상기 도로 표면에 구비되는 제1태양광 패널; 상기 제1태양광 패널 하층에 매설되는 압전소자; 상기 압전소자 하층에 매설되는 펠티어소자 및; 상기 가로등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2태양광 패널을 포함하여; 상기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의 무게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을 압전소자에서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배터리에 저장하고, 상기 도로의 지열을 펠티어소자에서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배터리에 저장하고, 상기 제1태양광 패널 및 제2태양광 패널에서 태양광을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배터리에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태양광 패널의 전면 및 후면에는 패널커버가 결합되고; 상기 제1태양광 패널의 상층에는 충격흡수판이 구비되며; 상기 충격흡수판 및 제1태양광 패널의 사이에는 소정의 댐퍼상수 및 스프링상수를 가지는 완충부재가 연결되어; 상기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의 무게에 의한 제1태양광 패널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충격흡수판에는 면상발열체가 구비되고; 상기 가로등의 소정의 개수마다 통신부가 구비되어; 상기 제어부에서, 통신부를 통해 해당 가로등 위치의 기상 정보 및 시간 정보를 수신받아 날씨 및 현재시간을 판단하여, 야간 또는 우천시에 차선 및 가로등을 작동시키고, 적설 또는 블랙아이스가 발생 가능한 날씨에서 면상발열체를 작동시켜 도로를 가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선의 일부는 전기 발광 페인트(LumiLor)로 도색되되 다른 일부는 발광 페인트(Growing lines)로 도색되어, 전기에너지의 공급과 무관하게 발광 페인트에 저장된 태양광으로 야간에 발광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가로등의 소정의 개수마다 차량 카운트 센서가 구비되어; 상기 차량 카운트 센서 사이의 구간에 차량이 없는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에는 해당 구간 내의 차선 및 가로등에 전원을 차단하고, 상기 차량 카운트 센서 사이의 구간에 차량이 있는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에는 해당 구간 내의 차선 및 가로등에 전력을 공급하되 차량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다음 구간의 차선 및 가로등에 50% 내지 70%의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야간 또는 악천후에서도 차선 및 도로의 시인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외부의 전원공급이 필요없는 자체 발전 시스템을 구비하여, 도시의 전력 사용량 등과 무관하게 지속적인 전원공급이 가능하다.
그리고, 발전 시스템이 파괴되지 않도록 보호하는 안전 설비가 구비되어, 유지보수로 인한 시간/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아울러, 전원이 차단된 특수한 상황에서도 차선을 확인할 수 있도록 발광 페인트를 병행사용하여, 발전 시스템의 에러나 발전량 부족으로 인한 전원 부족 문제에 대비할 수 있다.
또한, 주행 차량이 없는 도로에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제어하여, 불필요한 전력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도로 관리 시스템 발전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도로 관리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도로 관리 시스템의 도로 정보 디스플레이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문서의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 (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 1," "제 2," "첫째," 또는 "둘째,"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 1 사용자 기기와 제 2 사용자 기기는,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 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 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전기 발광 페인트로 도색된 차선; 도로의 측면에서 소정의 거리마다 구비되어 도로에 빛을 조사하는 가로등; 상기 도로의 소정의 거리마다 구비되어 차선 및 가로등에 전기를 공급하는 발전장치; 상기 발전장치에서 생산된 전기에너지를 저장하는 배터리 및; 상기 차선, 가로등, 발전장치 및 배터리와 연결되어 야간 또는 우천시에 차선 및 가로등에 전기를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외부로부터 별도의 전원공급 없이도 배터리의 전기에너지로 상기 차선 및 가로등에 소요되는 전력을 충당하는, 도로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전기 발광 페인트는, 루미롤(Lumilor) 페인트 라는 상품명으로 상용화되어 있으므로, 전기 발광 페인트의 조성비 등은 기재를 생략한다.
상기와 같은 전기 시스템을 구성하기 위하여, AC-DC 컨버터, DC-AC 컨버터 등 일반적인 구성요소는 통상의 기술자가 본 발명의 명세서를 참조하여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재에서 "야간 또는 우천시"는, 야간, 우천, 적설, 황사, 안개 등 다양한 요건으로 인하여 일반 차선의 식별이 어려운 경우를 포함하는 의미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도로 관리 시스템은 외부 전원과 연결되지 않아도 자체 전원 공급이 가능하지만, 도로 관리 시스템의 안정성을 위해서 외부 전원(송전선, 발전소 기타 상용 전력)과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발전장치는, 상기 도로 표면에 구비되는 제1태양광 패널; 상기 제1태양광 패널 하층에 매설되는 압전소자; 상기 압전소자 하층에 매설되는 펠티어소자 및; 상기 가로등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2태양광 패널을 포함하여; 상기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의 무게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을 압전소자에서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배터리에 저장하고, 상기 도로의 지열을 펠티어소자에서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배터리에 저장하고, 상기 제1태양광 패널 및 제2태양광 패널에서 태양광을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배터리에 저장할 수 있다.
태양광 패널, 압전소자, 펠티어소자 등 발전 소자 자체의 구성은 기재를 생략한다.
여름철 아스팔트가 과열되어 장비가 고장나거나, 도로가 뜨거워져 타이어가 터지는 사고 등이 발생할 수 있는데, 펠티어소자에서 열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며 냉각되는 것으로 도로의 열을 식힐 수 있다.
겨울철에는 저온부와 고온부를 전환시켜 사용함으로써 도로 결빙 현상(블랙아이스)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태양광 패널의 전면 및 후면에는 패널커버가 결합되고; 상기 제1태양광 패널의 상층에는 충격흡수판이 구비되며; 상기 충격흡수판 및 제1태양광 패널의 사이에는 소정의 댐퍼상수 및 스프링상수를 가지는 완충부재가 연결되어; 상기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의 무게에 의한 제1태양광 패널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많은 차량이 도로 위를 지나가면서 발전장치가 지속적인 충격을 받아 고장날 위험이 있다. 도로망에 형성된 발전장치가 고장을 이유로 수리하게 되면, 도로 교통이 혼잡해질 뿐만 아니라 적지 않은 유지보수 비용이 발생한다.
유지보수 빈도를 최대한 줄일 수 있도록, 상기와 같은 충격흡수 구조를 구비하여 발전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충격흡수판에는 면상발열체가 구비되고; 상기 가로등의 소정의 개수마다 통신부가 구비되어; 상기 제어부에서, 통신부를 통해 해당 가로등 위치의 기상 정보 및 시간 정보를 수신받아 날씨 및 현재시간을 판단하여, 야간 또는 우천시에 차선 및 가로등을 작동시키고, 적설 또는 블랙아이스가 발생 가능한 날씨에서 면상발열체를 작동시켜 도로를 가열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는 기상청 데이터베이스 등으로부터 현재 날씨 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다.
강설이 예보되는 경우에는, 강설 시간으로부터 소정의 시간 전에(약 1시간 가량 전에) 미리 도로를 데워 적설을 조기에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선의 일부는 전기 발광 페인트(LumiLor)로 도색되되 다른 일부는 발광 페인트(Growing lines)로 도색되어, 전기에너지의 공급과 무관하게 발광 페인트에 저장된 태양광으로 야간에 발광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가로등의 소정의 개수마다 차량 카운트 센서가 구비되어; 상기 차량 카운트 센서 사이의 구간에 차량이 없는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에는 해당 구간 내의 차선 및 가로등에 전원을 차단하고, 상기 차량 카운트 센서 사이의 구간에 차량이 있는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에는 해당 구간 내의 차선 및 가로등에 전력을 공급하되 차량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다음 구간의 차선 및 가로등에 50% 내지 70%의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구간별 차량 수를 도로 지도와 연계하여, 도로교통 정보를 갱신시킬 수 있다.
특정한 구간에 몇 대의 차량이 위치해 있는지를 확인한 뒤, 국가교통정보센터, 교통정보서비스센터, 도시교통정보센터, 도로교통공단, 종합교통정보센터, 교통정보 시스템 등에 해당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위 정보를 바탕으로, 네비게이션 등에 도로교통 정보를 갱신시키는 것으로, 교통정체가 적은 구간으로 길안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 교통 상황에 따라, 각 구간을 A등급, B등급, C등급으로 나누어 길안내 함으로써, 이동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10 : 발전장치
11 : 압전부재/태양광부재
13, 14 : 패널커버
12 : 압전소자/태양광소자
2 : 가로등
21 : 차량 카운트 센서
31 : 전기 발광 차선(LumiLor)
32 : 발광 차선(Growing lines)
5 : 차량

Claims (5)

  1. 전기 발광 페인트로 도색된 차선;
    도로의 측면에서 소정의 거리마다 구비되어 도로에 빛을 조사하는 가로등;
    상기 도로의 소정의 거리마다 구비되어 차선 및 가로등에 전기를 공급하는 발전장치;
    상기 발전장치에서 생산된 전기에너지를 저장하는 배터리 및;
    상기 차선, 가로등, 발전장치 및 배터리와 연결되어 야간 또는 우천시에 차선 및 가로등에 전기를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외부로부터 별도의 전원공급 없이도 배터리의 전기에너지로 상기 차선 및 가로등에 소요되는 전력을 충당하는, 도로 관리 시스템
  2.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장치는,
    상기 도로 표면에 구비되는 제1태양광 패널;
    상기 제1태양광 패널 하층에 매설되는 압전소자;
    상기 압전소자 하층에 매설되는 펠티어소자 및;
    상기 가로등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2태양광 패널을 포함하여;
    상기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의 무게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을 압전소자에서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배터리에 저장하고,
    상기 도로의 지열을 펠티어소자에서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배터리에 저장하고,
    상기 제1태양광 패널 및 제2태양광 패널에서 태양광을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배터리에 저장하는, 도로 관리 시스템
  3. 청구항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태양광 패널의 전면 및 후면에는 패널커버가 결합되고;
    상기 제1태양광 패널의 상층에는 충격흡수판이 구비되며;
    상기 충격흡수판 및 제1태양광 패널의 사이에는 소정의 댐퍼상수 및 스프링상수를 가지는 완충부재가 연결되어;
    상기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의 무게에 의한 제1태양광 패널의 파손을 방지하는, 도로 관리 시스템
  4. 청구항 3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흡수판에는 면상발열체가 구비되고;
    상기 가로등의 소정의 개수마다 통신부가 구비되어;
    상기 제어부에서, 통신부를 통해 해당 가로등 위치의 기상 정보 및 시간 정보를 수신받아 날씨 및 현재시간을 판단하여,
    야간 또는 우천시에 차선 및 가로등을 작동시키고,
    적설 또는 블랙아이스가 발생 가능한 날씨에서 면상발열체를 작동시켜 도로를 가열하는, 도로 관리 시스템
  5. 청구항 4항에 있어서,
    상기 차선의 일부는 전기 발광 페인트(LumiLor)로 도색되되 다른 일부는 발광 페인트(Growing lines)로 도색되어,
    전기에너지의 공급과 무관하게 발광 페인트에 저장된 태양광으로 야간에 발광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가로등의 소정의 개수마다 차량 카운트 센서가 구비되어;
    상기 차량 카운트 센서 사이의 구간에 차량이 없는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에는 해당 구간 내의 차선 및 가로등에 전원을 차단하고,
    상기 차량 카운트 센서 사이의 구간에 차량이 있는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에는 해당 구간 내의 차선 및 가로등에 전력을 공급하되 차량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다음 구간의 차선 및 가로등에 50% 내지 70%의 전력을 공급하는, 도로 관리 시스템
KR1020190089245A 2019-07-23 2019-07-23 도로 관리 시스템 KR202100121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9245A KR20210012105A (ko) 2019-07-23 2019-07-23 도로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9245A KR20210012105A (ko) 2019-07-23 2019-07-23 도로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2105A true KR20210012105A (ko) 2021-02-03

Family

ID=74571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9245A KR20210012105A (ko) 2019-07-23 2019-07-23 도로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1210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2414B1 (ko) * 2022-10-21 2024-02-05 (재)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압전소자와 광촉매 개질제를 이용한 스마트 도로 관리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2414B1 (ko) * 2022-10-21 2024-02-05 (재)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압전소자와 광촉매 개질제를 이용한 스마트 도로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4724B1 (ko) 태양광 도로표지병의 제어시스템
US11904865B2 (en) Intelligent safe vehicle speed measurement method and system capable of considering state of road surface
CN102956114A (zh) 基于可见光无线通信的交通服务系统
JP6750065B2 (ja) 光ファイバ発光型標識装置
CN2804167Y (zh) 公路智能灯引导装置
CN207685740U (zh) 一种太阳能发光公路护栏
GB2081485A (en) Luminous indicator device
KR20210012105A (ko) 도로 관리 시스템
CN105228294A (zh) 照明装置调节亮度的方法、照明装置及照明系统
KR102020033B1 (ko) 도로 구조물에 적용 가능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
Manitha et al. Design and development of enhanced road safety mechanism using smart roads and energy optimized solar street lights
Subramanian The current status of roadways solar power technology: a review
US20060257204A1 (en) Wireless reflective marker with internal light source
GB2278645A (en) Wind energy from vehicles
CN210712611U (zh) 一种红绿灯路口停车线生成装置
KR200413570Y1 (ko) 태양광 전지패널을 갖는 차선 유도등
CN210216209U (zh) 一种市政道路施工警示装置
JP2004229427A (ja) エネルギー利用交通システム
CN204176541U (zh) 一种新型太阳能灯
GB2403499A (en) Solar powered illuminated bollard
CN209428989U (zh) 一种无线道路线形发光引导装置
CN107886181A (zh) 一种城市道路发电与车流预测综合系统
JPS6117610A (ja) 表示線用発光ブロツク
KR20090035304A (ko) 자전거 표시판이 구비된 신호등
CN201678950U (zh) 交通指示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