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1807A - 하중감지를 위한 지붕패널 시스템 및 그 지붕패널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하중감지를 위한 지붕패널 시스템 및 그 지붕패널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1807A
KR20210011807A KR1020190089151A KR20190089151A KR20210011807A KR 20210011807 A KR20210011807 A KR 20210011807A KR 1020190089151 A KR1020190089151 A KR 1020190089151A KR 20190089151 A KR20190089151 A KR 20190089151A KR 20210011807 A KR20210011807 A KR 202100118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
roof panel
panel
roof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91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7239B1 (ko
Inventor
박충민
임동건
문주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중심티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중심티엔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중심티엔씨
Priority to KR10201900891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7239B1/ko
Publication of KR202100118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18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72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72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3/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flat or curved slabs or stiff sheets
    • E04D3/36Connecting; Fastening
    • E04D3/3608Connecting; Fastening for double roof covering or overroof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7/00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7/18Special structures in or on roofs, e.g. dormer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3/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flat or curved slabs or stiff sheets
    • E04D3/35Roofing slabs or stiff sheets comprising two or more layers, e.g. for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3/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flat or curved slabs or stiff sheets
    • E04D3/36Connecting; Fastening
    • E04D3/361Connecting; Fastening by specially-profiled marginal portions of the slabs or sheets
    • E04D3/362Connecting; Fastening by specially-profiled marginal portions of the slabs or sheets by locking the edge of one slab or sheet within the profiled marginal portion of the adjacent slab or sheet, e.g. using 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3/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flat or curved slabs or stiff sheets
    • E04D3/40Slabs or sheets locally modified for auxiliary purposes, e.g. for resting on walls, for serving as guttering; Elements for particular purposes, e.g. ridge elements, specially designed for use in conjunction with slabs or shee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Roof Covering Using Slabs Or Stiff Sheets (AREA)

Abstract

하중감지를 위한 지붕패널 시스템 및 그 지붕패널의 시공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지붕에 가해지는 하중을 감지하는 센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연결구가 하나 이상 구비되어 하부패널과 상부패널을 연결하도록 결합되는 지붕패널;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된 하중값을 확인하고, 기 설정된 위험값과 비교하여 위험을 판단하고 경고를 발생시키는 모니터링부; 및 상기 모니터링부에서 발생된 경고를 수신하는 관리자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지붕패널은, 상기 연결구가 구비되는 배열에 따라 하중감지 구역이 나누어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연결구에 구비된 센서부가 지붕에 가해지는 하중을 감지하여 모니터링부에서 위험을 판단하고 경고를 발생시키면, 관리자 단말기에서 위험을 감지할 수 있으므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추가로, 연결구에 구비된 탄성부에 의해 지붕패널이 완충력 및 복원력을 갖게 되므로 외부에서 하중이 가해지면 하중을 완충하고, 하중이 제거되면 복원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하중감지를 위한 지붕패널 시스템 및 그 지붕패널의 시공방법{Roof panel system for load detection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roof panel}
본 발명은 하중감지를 위한 지붕패널 시스템 및 그 지붕패널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붕패널의 상부에 가해지는 하중을 감지하여 위험을 경고함으로써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하중감지를 위한 지붕패널 시스템 및 그 지붕패널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주택이나 공장, 상가, 사무실, 창고, 강당 등과 같은 건축물의 지붕을 시공하기 위해 다양한 구조의 지붕패널이 널리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지붕패널은 복수 개의 패널을 연이어 연결 설치하는 방식으로 시공된다.
지붕패널로 널리 사용되는 샌드위치패널의 경우, 풍하중과 적설하중에 대한 하중지지능력을 지녀야 하지만, 적합한 구조성능에 관한 설계기준이나 하중이력 특성에 관한 정보는 불확실하다. 이로 인해 예상치 못한 지붕하중의 증가에 따른 주골조에 과도한 응력 현상이 발생하기도 한다.
만약 지붕패널에 예상치 못한 과도한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지붕패널이 붕괴되는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겨울철 눈이 지붕에 과적설되면 지붕패널의 붕괴 위험이 더욱 높아진다. 따라서 지붕패널에 가해지는 하중을 감지하고, 그중에서도 지붕패널 중 어느 구역에 특히 하중이 과하게 작용하는지 감지하여 위험을 예측하고 안전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된다.
이러한 기술로서, 하부 또는 상부 앵글을 더 추가하여 하중을 분산시키거나 지붕패널의 외부 또는 내부에 센서를 설치하여 적설량을 비롯한 하중값을 감지하는 등의 기술 개발이 필요하며, 지붕패널의 내외부에 센서가 설치되기 위해서는 센서의 유지보수를 위해 지붕패널의 해체가 용이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종래의 지붕패널 접합 방식으로는 ‘단부 마감된 거멀접기 패널(등록번호 : 10-1126725)’과 같은 거멀접기 방식이 있고, 이때 지붕패널의 결속력을 강화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조립식 금속패널지붕의 체결장치(등록번호 : 10-1497580)’와 같은 체결장치가 삽입된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결속력을 강화시키고 누수를 방지할 수는 있으나 지붕패널 내에 설치되는 센서의 유지보수를 위해서 지붕패널을 해체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으므로 센서의 유지보수가 용이하지 않다. 이에 대한 새로운 기술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시점이다.
KR 10-1126725 B1 KR 10-1497580 B1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센서부를 통해 지붕패널의 상부에 가해지는 하중의 검출이 가능하고, 센서의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하는 하중감지를 위한 지붕패널 시스템 및 그 지붕패널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붕에 가해지는 하중을 감지하는 센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연결구가 하나 이상 구비되어 하부패널과 상부패널을 연결하도록 결합되는 지붕패널;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된 하중값을 확인하고, 기 설정된 위험값과 비교하여 위험을 판단하고 경고를 발생시키는 모니터링부; 및 상기 모니터링부에서 발생된 경고를 수신하는 관리자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지붕패널은, 상기 연결구가 구비되는 배열에 따라 하중감지 구역이 나누어지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모니터링부는, 상기 지붕패널의 전체 하중값 및 상기 하중감지 구역의 각 구역별 하중값을 산출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패널은, 양측에 형성된 접합부를 이웃하는 다른 상부패널의 접합부와 서로 맞댄 채 상기 접합부를 거멀접기하여 접합결합되되, 이웃하는 상기 상부패널 사이에 돌출부가 구비된 슬라이딩 클립이 삽입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하중감지를 위한 지붕패널 시공방법에 있어서, 하부앵글 위에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설치홈을 갖는 하부패널을 고정 설치하는 하부패널 장착단계; 하중 감지를 위한 센서부가 구비되고, 상단에 십자홈이 형성되는 연결구를 상기 설치홈에 고정 설치하는 연결구 장착단계; 상기 십자홈 중 어느 일 방향을 따라 제1상부앵글을 결합시키고, 상기 십자홈 중 타 방향을 따라 상기 제1상부앵글과 직교되게 제2상부앵글을 결합시키는 상부앵글 장착단계; 및 상기 상부앵글에 상부패널을 고정시키도록 하는 상부패널 장착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구는, 하중이 가해지면 완충작용을 하고, 하중이 사라지면 복원되도록 탄성력을 갖는 탄성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패널 장착단계는, 상기 상부패널의 양측에 형성된 접합부를 이웃하는 다른 상부패널의 접합부와 서로 맞댄 채 상기 접합부를 거멀접기하여 접합결합되되, 이웃하는 상기 상부패널 사이에 돌출부가 구비된 슬라이딩 클립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수단에 의한 본 발명은, 연결구에 구비된 센서부에서 지붕에 가해지는 하중을 감지하여 모니터링부에서 위험을 판단하고 경고를 발생시키면, 관리자 단말기에서 위험을 감지할 수 있으므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센서부가 구비되는 위치에 따라 지붕의 하중감지 구역이 나누어지고, 각 구역별 및 지붕 전체에 가해지는 하중을 각각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또한, 돌출부가 구비된 슬라이딩 클립을 이용하여 상부패널을 접합결합시킴으로써 상부패널의 결속력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지붕패널 시스템의 유지보수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추가로, 연결구에 구비된 탄성부에 의해 지붕패널이 완충력 및 복원력을 갖게 되므로 외부에서 하중이 가해지면 하중을 완충하고, 하중이 제거되면 복원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붕패널 시공방법.
도 2은 도 1의 지붕패널 구조도.
도 3은 도 2의 연결구의 정면도.
도 4는 도 2의 연결구에 상부앵글이 결합된 구조도.
도 5는 도 2의 상부패널의 거멀접기 방식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6은 도 2의 상부패널 사이에 삽입되는 슬라이딩 클립의 구조도.
도 7은 도 6의 클립의 측면도.
도 8은 도 2의 상부패널에 도 6의 슬라이딩 클립이 삽입되어 거멀접기한 단면의 확대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중감지를 위한 지붕패널 시스템의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의 연결구의 배열에 따라 지붕패널의 하중감지 구역이 나누어지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하중감지를 위한 지붕패널(100)의 시공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중감지를 위한 지붕패널(100)의 시공방법은 하부앵글(60) 위에 설치홈(51)을 갖도록 하부패널(50)을 장착하는 단계(S1), 설치홈(51)에 연결구(40)를 장착하는 단계(S2), 연결구(40)의 상단에 상부앵글을 장착하는 단계(S3), 상부앵글의 상단에 상부패널(10)을 장착하는 단계(S4)를 포함한다.
이러한 시공방법을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하부앵글(60) 위에 설치홈(51)을 갖도록 하부패널(50)을 장착한다.(S1)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패널(50)이 이웃한 하부패널(50)과 접합결합되면 '
Figure pat00001
' 형상이 반복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오목하게 형성되는 부분이 설치홈(51)이 된다.
설치홈(51)에 연결구(40)를 장착한다.(S2)
도 3을 참조하면 연결구(40)는 받침부(48), 센서부(46), 탄성부(44), 고정부(4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설치홈(51)에 체결피스(41)를 이용하여 고정부(42)가 고정되고, 고정부(42)의 상단에 탄성피스(43)가 스크류 결합되어 탄성부(44)가 구비된다.
탄성피스(43)는 지붕에 하중이 가해질 때 완충력에 의해 하중을 감소시키고, 지붕에 가해지는 하중이 제거되면 복원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원될 수 있도록 탄성에 의한 완충력 및 복원력을 갖는 금속 스프링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탄성부(44)의 상단에는 연결피스(45)가 형성되어 센서부(46)가 결합된다. 센서부(46)는 로드셀 또는 압력센서를 비롯한 중량센서가 구비되고, 이를 통해 지붕에 가해지는 하중을 측정한다.
센서부(46)의 상단에는 받침부(48)가 결합되는데, 받침부(48)의 상단에 형성되는 십자홈으로 구분되는 4개의 구역에 각각 가이드나사(47)가 삽입되고, 가이드나사(47)는 센서부(46) 및 연결피스(45)를 관통하여 연결피스(45)의 하면에서 볼트와 체결된다.
여기서, 가이드나사(47)는 스크류가 없는 가이드면과 스크류가 형성된 스크류면으로 구성되며, 센서부(46)를 관통하는 가이드나사(47)의 상부가 가이드면이 되고, 연결피스(45)를 관통하는 가이드나사(47)의 하부가 스크류면이된다. 따라서 지붕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센서부(46)가 가압되어도 스크류가 형성되지 않은 가이드면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약간의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구(40)의 상단에 상부앵글을 장착한다.(S3)
연결구(40)의 받침부(48)에 형성된 십자홈 중 어느 일 방향을 따라 제1상부앵글(20)을 끼워서 결합시키고, 십자홈 중 타 방향을 따라 제1상부앵글(20)과 직교되게 제2상부앵글(30)을 끼워서 결합시킨다. 제1상부앵글(20)과 제2상부앵글(30)이 직교하여 결합되어 상부앵글로 전달되는 하중을 분산시키므로 안정성 및 강성확보가 가능하여 지붕패널(100)을 더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상부앵글의 상단에 상부패널(10)을 장착한다.(S4)
여기서, 상부패널(10)은 종래의 다양한 형태의 패널이 사용될 수 있으나, 아래에서는 양측에 '
Figure pat00002
' 형상의 접합부가 형성되는 패널을 상부패널(10)의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5(a)와 같이, 양측에 '
Figure pat00003
' 형상의 접합부(15)가 형성된 상부패널(10)은 이웃하는 다른 상부패널(10)의 접합부(15)와 서로 맞댄 채 절곡부(13)를 접는 방식으로 거멀접기하여 접합결합된다.
이때, 이웃하는 상부패널(10) 사이에 도 6에 도시된 슬라이딩 클립(70)이 삽입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클립(70)은 클립(71)과 클립본체부(80)로 구성된다.
도 7은 도 6의 클립의 측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립(71)은 일측단에 돌출부가 형성된다. 이때, 돌출부는 돌출면(72)이 절곡 형성되는 형태로서, 경사지게 형성되는 돌출면(72), 돌출면(72)의 끝단부에서 절곡되어 수평으로 형성되는 제1수평면(73), 제1수평면(73)에서 절곡되어 상방 수직으로 형성되는 제1수직면(74), 제1수직면(74)에서 절곡되어 수평으로 형성되는 제2수평면(75), 제2수평면(75)에서 절곡되어 하방 수직으로 형성되는 제2수직면(76), 제2수직면(76)에서 절곡되어 상방으로 형성되나 상단으로 갈수록 제2수직면(76)과의 이격거리를 두고 경사지게 형성되는 탄성고정면(77)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조로 형성되는 클립(71)은 측면에서 바라보면 ‘
Figure pat00004
’ 의 형상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클립(71)의 돌출부가 돌출면(72)과 제1수평면(73)이 절곡되지 않고 하나의 곡선형으로 형성되거나, 돌출면(72)과 제1수평면(73)이 하나의 직선형으로 형성되는 등 클립(71)의 일측단에 돌출 형성되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도 가능하다.
클립본체부(80)는 수직 절곡된 형태로 수평부와 수직부로 형성된다. 수평부는 상부앵글에 고정 결합되는 부분으로서, 하나 이상의 나사고정부(79)가 구비되어 상부앵글에 나사로 결합된다. 수직부는 클립(71)과 체결 결합되는 부분으로서, 절곡된 중앙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일정부분까지 통공부(78)가 구비된다.
클립(71)과 클립본체부(80)는 클립(71)의 탄성고정면(77)이 클립본체부(80)의 통공부(78)에 체결되어 결합된다.
이웃하는 상부패널(10) 사이에 전술한 슬라이딩 클립(70)이 삽입되어 거멀접기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패널(10)의 절곡부(13)는 클립(71)의 제1수직면(74)과 접합하고, 상부패널(10)의 수평접합부(12)는 제2수평면(75)과 접합하고, 상부패널(10)의 수직접합부(11)는 클립(71)의 제2수직면(76)과 접합하도록 슬라이딩 클립(70)이 삽입된다.
슬라이딩 클립(70)이 삽입된 채 상부패널(10)을 거멀접기하면, 제1수평면(73)은 수직방향으로 내려오고, 돌출면(72)은 외측으로 돌출되는 형상이 된다.
한편, 도 5(b)와 같이, 상부패널(10)의 양측에는 각각 '
Figure pat00005
' 및 '
Figure pat00006
' 형상의 접합부(15)가 형성되고, 이웃한 상부패널(10) 사이에 ‘
Figure pat00007
’ 형상의 패널이 배치되어 서로 접합부(15)를 맞댄 채 절곡부(13)를 접는 방식으로 거멀접기하여 접합결합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결합방식에도 슬라이딩 클립(70)이 삽입되며, 그 접합결합되는 단면은 도 8(b)와 같이 형성된다.
이러한 결합 방식으로 슬라이딩 클립(70)이 삽입되어 접합결합된 상부패널(10)은 클립본체부(80)에 형성된 나사고정부(79)를 통해 나사고정되어 상부앵글에 고정된다.
여기서, 클립(71)의 돌출면(72)이 돌출되는 길이는 거멀접기 한 길이 정도이므로 외관상 큰 차이는 없으나 연결구(40)에 구비된 센서의 유지보수를 위해 상부패널(10)을 해체하여야 하는 경우이거나 지붕패널의 일부만 수리가 필요한 경우에 상부패널(10)을 모두 해체할 필요 없이 해체가 필요한 상부패널(10)만 선택적으로 해체할 수 있다. 이러한 결합구조로 인해 상부패널(10)의 결속력을 저하시키지 않고 누수 위험이 없되, 센서부(46)의 유지보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통상적으로 상부앵글과 상부패널(10) 사이에는 단열재 및 방수재가 구비될 수 있다.
이상의 방법으로 시공되는 지붕패널(100)이 구비되는 본 발명의 하중감지를 위한 지붕패널 시스템(400)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중감지를 위한 지붕패널 시스템(400)은 지붕에 가해지는 하중을 감지하는 지붕패널(100), 지붕패널(100)에서 감지한 하중값을 이용하여 위험을 판단하고 경고를 발생시키는 모니터링부(200), 모니터링부(200)에서 발생된 경고를 수신하는 관리자 단말기(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지붕패널(1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부패널(10)과 하부패널(50), 상부패널(10)과 하부패널(50)을 연결하도록 구비되는 연결구(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연결구(40)는, 지붕에 가해지는 하중을 감지할 수 있도록 중량센서가 구비되는 센서부(46)와 탄성에 의한 완충력과 복원력을 갖는 탄성부(44)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지붕에 가해지는 하중감지 및 지붕패널(100)의 안정성 확보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지붕패널(100)에 연결구(40)가 구비되는 개수에 따라 지붕패널(100)에서 하중을 감지할 수 있는 구역이 나누어진다.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붕패널(100)에 연결구(40)가 4개 구비된다면 하중 감지 구역은 9구역으로 나누어지며 각 구역별 하중 및 전체 하중을 감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구역별 하중 감지를 통해 지붕의 어느 구역에 하중이 과하게 가해지는지 판단하고, 그에 따른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모니터링부(200)는, 각 연결구(40)의 센서부(46)와 연결되어 센서부(46)에서 감지하는 하중값과 기 설정된 위험값을 비교하여 위험을 판단한다. 관리자의 필요에 따라 위험의 단계를 설정할 수 있고, 모니터링부(200)는 위험의 정도에 따라 위험단계를 판단하여 단계별 위험에 따른 경고 신호를 발생시킨다. 추가적으로, 모니터링부(200)는 센서부(46)에서 감지된 하중값과 모니터링부(200)에서 판단된 위험단계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여 추후 일정 기간별로 하중 이력을 조회할 수 있도록 하는 등 하중감지 데이터의 전사적인 관리가 가능하고, 통계적으로도 위험을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리자 단말기(300)는, 관리자가 외부에 있어도 지붕에 가해지는 하중값을 모니터링하고 위험에 따른 경고 신호를 확인할 수 있도록 모니터링부(200)에서 발신된 다양한 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관리자 단말기(300)에서도 모니터링부(200)의 데이터베이스에 접속 가능하여 관리자 단말기(300)에서도 지붕에 가해지는 하중 이력을 조회할 수 있도록 한다.
정리하자면, 본 발명의 하중감지를 위한 지붕패널 시스템(400) 및 그 지붕패널(100)의 시공방법은 센서부(46)가 지붕에 가해지는 하중을 감지하여 모니터링부(200)에서 위험을 판단하고 경고를 발생시키면, 관리자 단말기(300)에서 위험을 감지할 수 있으므로 지붕 붕괴에 따른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추가적으로, 돌출부가 구비된 슬라이딩 클립(70)을 이용하여 상부패널(10)을 결합시킴으로써 상부패널(10)의 결속력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센서부(46)에 구비된 센서의 유지보수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도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지붕패널 200: 모니터링부 300: 관리자 단말기
400: 지붕패널 시스템 10: 상부패널 11: 수직접합부
12: 수평접합부 13: 절곡부 15: 접합부
20: 제1상부앵글 30: 제2상부앵글 40: 연결구
42: 고정부 44: 탄성부 46: 센서부
48: 받침부 50: 하부패널 51: 설치홈
60: 하부앵글 70: 슬라이딩 클립 71: 클립
72: 돌출면 80: 클립본체부

Claims (6)

  1. 지붕에 가해지는 하중을 감지하는 센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연결구가 하나 이상 구비되어 하부패널과 상부패널을 연결하도록 결합되는 지붕패널;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된 하중값을 확인하고, 기 설정된 위험값과 비교하여 위험을 판단하고 경고를 발생시키는 모니터링부; 및
    상기 모니터링부에서 발생된 경고를 수신하는 관리자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지붕패널은,
    상기 연결구가 구비되는 배열에 따라 하중감지 구역이 나누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감지를 위한 지붕패널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부는,
    상기 지붕패널의 전체 하중값 및 상기 하중감지 구역의 각 구역별 하중값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감지를 위한 지붕패널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패널은,
    양측에 형성된 접합부를 이웃하는 다른 상부패널의 접합부와 서로 맞댄 채 상기 접합부를 거멀접기하여 접합결합되되,
    이웃하는 상기 상부패널 사이에 돌출부가 구비된 슬라이딩 클립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감지를 위한 지붕패널 시스템.
  4. 하중감지를 위한 지붕패널 시공방법에 있어서,
    하부앵글 위에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설치홈을 갖는 하부패널을 고정 설치하는 하부패널 장착단계;
    하중 감지를 위한 센서부가 구비되고, 상단에 십자홈이 형성되는 연결구를 상기 설치홈에 고정 설치하는 연결구 장착단계;
    상기 십자홈 중 어느 일 방향을 따라 제1상부앵글을 결합시키고, 상기 십자홈 중 타 방향을 따라 상기 제1상부앵글과 직교되게 제2상부앵글을 결합시키는 상부앵글 장착단계; 및
    상기 상부앵글에 상부패널을 고정시키도록 하는 상부패널 장착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감지를 위한 지붕패널 시공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는,
    하중이 가해지면 완충작용을 하고, 하중이 사라지면 복원되도록 탄성력을 갖는 탄성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감지를 위한 지붕패널 시공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패널 장착단계는,
    상기 상부패널의 양측에 형성된 접합부를 이웃하는 다른 상부패널의 접합부와 서로 맞댄 채 상기 접합부를 거멀접기하여 접합결합되되,
    이웃하는 상기 상부패널 사이에 돌출부가 구비된 슬라이딩 클립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감지를 위한 지붕패널 시공방법.
KR1020190089151A 2019-07-23 2019-07-23 하중감지를 위한 지붕패널 시스템 및 그 지붕패널의 시공방법 KR1022772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9151A KR102277239B1 (ko) 2019-07-23 2019-07-23 하중감지를 위한 지붕패널 시스템 및 그 지붕패널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9151A KR102277239B1 (ko) 2019-07-23 2019-07-23 하중감지를 위한 지붕패널 시스템 및 그 지붕패널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1807A true KR20210011807A (ko) 2021-02-02
KR102277239B1 KR102277239B1 (ko) 2021-07-14

Family

ID=74559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9151A KR102277239B1 (ko) 2019-07-23 2019-07-23 하중감지를 위한 지붕패널 시스템 및 그 지붕패널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723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2359Y1 (ko) * 2003-11-20 2004-02-18 한림정공 주식회사 조립식 단열지붕 슬라이딩 클립
KR20090092924A (ko) * 2008-02-28 2009-09-02 (주)씨에스아이디산업 지붕 구조물
KR101126725B1 (ko) 2011-10-10 2012-03-29 변영준 단부 마감된 거멀접기 패널
KR101497580B1 (ko) 2014-12-08 2015-03-05 (주)에이비엠그린텍 조립식 금속패널지붕의 체결장치
KR101754188B1 (ko) * 2017-01-31 2017-07-05 주식회사 중심티엔씨 조립식 지붕용 연결체와 이를 이용하여 구성되는 지붕 시스템 그리고 지붕 시공방법
KR101903727B1 (ko) * 2018-04-23 2018-10-02 주식회사 닥스엔지니어링 지붕일체형 패널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2359Y1 (ko) * 2003-11-20 2004-02-18 한림정공 주식회사 조립식 단열지붕 슬라이딩 클립
KR20090092924A (ko) * 2008-02-28 2009-09-02 (주)씨에스아이디산업 지붕 구조물
KR101126725B1 (ko) 2011-10-10 2012-03-29 변영준 단부 마감된 거멀접기 패널
KR101497580B1 (ko) 2014-12-08 2015-03-05 (주)에이비엠그린텍 조립식 금속패널지붕의 체결장치
KR101754188B1 (ko) * 2017-01-31 2017-07-05 주식회사 중심티엔씨 조립식 지붕용 연결체와 이를 이용하여 구성되는 지붕 시스템 그리고 지붕 시공방법
KR101903727B1 (ko) * 2018-04-23 2018-10-02 주식회사 닥스엔지니어링 지붕일체형 패널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7239B1 (ko) 2021-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31372A (en) Safety post assembly
PANEL et al. Methodological guidelines
KR102277239B1 (ko) 하중감지를 위한 지붕패널 시스템 및 그 지붕패널의 시공방법
CN112408150B (zh) 导轨支架组件
KR102088695B1 (ko) 하중 감지 및 복원 기능을 갖는 지붕패널
CN112854777A (zh) 卸料平台
US6675539B2 (en) Roof seismic motion-absorbing gap cover
CN215977757U (zh) 一种c型钢横向檩条与竖向檩条连接结构
CN113338687B (zh) 异形柱与工字形钢梁连接节点结构及节点安全监控方法
US20210396625A1 (en) Building strain monitoring system
KR102113878B1 (ko) 복수 개의 케이블에 의해 지지되는 보도 현수교 구조
CN210797914U (zh) 一种内部拼装波纹板的连接结构
CN210342227U (zh) 一种新型装配式建筑框架
CN205805025U (zh) 节点托换装置
CN219753519U (zh) 支撑型钢结构
US20080224002A1 (en) Truss Bracket
RU174031U1 (ru) Горизонтальная направляющая для крепления облицовочной плитки на фасаде здания
KR101765044B1 (ko) 연결부위에 삽입되는 전단 보강재를 가지는 캔틸레버형 인도교
CN210164049U (zh) 一种建筑墙体阳台楼板梁装置
CN211369119U (zh) 一种剪切型金属阻尼器
CN217215812U (zh) 一种新型梯式滚轮桥架
CN218850332U (zh) 一种槽钢底座
CN220954084U (zh) 幕墙安装机构
CN211079892U (zh) 一种用于桥梁的安全防护拦网
CN115075483B (zh) 一种防坠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