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1741A - 비가시 특수물질을 포함하는 게임용 카드와 그 인식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비가시 특수물질을 포함하는 게임용 카드와 그 인식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1741A
KR20210011741A KR1020190089005A KR20190089005A KR20210011741A KR 20210011741 A KR20210011741 A KR 20210011741A KR 1020190089005 A KR1020190089005 A KR 1020190089005A KR 20190089005 A KR20190089005 A KR 20190089005A KR 20210011741 A KR20210011741 A KR 202100117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wavelength
game card
game
specific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90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08189B1 (ko
Inventor
최일훈
김현준
오현진
주성현
이세현
Original Assignee
한국조폐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조폐공사 filed Critical 한국조폐공사
Priority to KR10201900890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8189B1/ko
Publication of KR202100117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17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81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81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00Card games
    • A63F1/02Cards; Special shapes of car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00Card games
    • A63F1/06Card games appurtenan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redit C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비가시 특수물질을 포함하는 특수물질층 및 카드 고유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비가시 특수물질은 제1 파장을 포함하는 입사광이 조사되면 제2 파장을 포함하는 방출광을 방출하는 물질이고, 상기 제2 파장은 비가시 파장 범위에 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용 카드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게임용 카드의 보안성을 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비가시 특수물질을 포함하는 게임용 카드와 그 인식 장치 및 방법{PLAYING CARD HAVING INVISIBLE SECURITY MATERIAL AND RECOGNITION APPARATUS AND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육안으로는 확인할 수 없는 비가시 특수물질을 포함하는 게임용 카드와 그 인식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카지노 등의 게임장에서는 게임용 카드가 사용된다. 부정 행위 방지를 위해 게임용 카드는 반드시 정품이 사용되어야 하며, 임의로 위변조된 카드가 사용되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또한 게임용 카드는 일반적으로 카드 배포 장치에 수납되어 게임 테이블 위로 배포되는데, 이때 카드 고유 정보, 즉 카드의 랭크(rank) 정보 및/또는 슈트(suit) 정보를 판독하여 어떠한 카드가 배포되는지를 인식하는 기술도 필요하다.
일본공개특허 제2008-23354호에는 게임용 카드에 자외광(UV)에 의해 발색하는 비가시 잉크로 코드를 인쇄하고, 카드 이동 경로에 배치된 판독 센서로 코드를 판독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이 기술은 카드 게임에서의 부정 행위를 그 장소에서 적발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자외광에 의해 가시화되는 잉크를 사용하여 코드를 인쇄하므로 적용된 보안 기술을 비교적 쉽게 확인 가능할 뿐만 아니라, UV 조명이나 자외광에 의해 가시화되는 잉크는 일반인들도 쉽게 구할 수 있으므로 위변조가 용이하다는 문제가 있다. 즉, UV 조명을 비추어 코드가 인쇄된 영역을 확인한 후, 자외광에 의해 발색하는 비가시 잉크를 사용하여 코드를 인쇄함으로써, 게임용 카드를 손쉽게 위변조할 수 있다.
따라서 게임용 카드의 보안성을 개선하여 위변조를 어렵게 하고, 게임용 카드의 정품 인증 및 고유 정보 인식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된다.
JP 2008-23354 A (2008. 2. 7)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보안성이 강화된 게임용 카드와 그 인식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게임용 카드의 정품 인증과 그 고유 정보 인식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바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용 카드는, 비가시 특수물질을 포함하는 특수물질층 및 카드 고유 정보를 포함하는 게임용 카드로서, 상기 비가시 특수물질은 제1 파장을 포함하는 입사광이 조사되면 제2 파장을 포함하는 방출광을 방출하는 물질이고, 상기 제2 파장은 비가시 파장 범위에 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게임용 카드는 몸체를 구성하는 기재를 포함하고, 특수물질층은 기재 상부에 형성되고 카드 고유 정보는 특수물질층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변형예로서, 게임용 카드는 몸체를 구성하는 기재를 포함하고, 카드 고유 정보는 기재 상부에 형성되고, 특수물질층과 기재는 같은 층일 수 있다.
다른 변형예로서, 게임용 카드는 몸체를 구성하는 기재를 포함하고, 특수물질층은 기재 하부에 형성되고 카드 고유 정보는 기재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변형예로서, 게임용 카드는 몸체를 구성하는 기재를 포함하고, 카드 고유 정보는 기재 상부에 형성되고, 특수물질층은 카드 고유 정보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카드 고유 정보는 제1 파장 또는 제2 파장의 광을 차단하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카드 고유 정보는 특수물질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파장은 자외선 또는 가시광선 또는 적외선 범위에 속하고, 제2 파장은 적외선 범위에 속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비가시 특수물질은, 다음의 일반식(1) 내지 (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물질일 수 있다.
일반식(1); Ba1-xSnAxO3 (0<x<0.4, A는 Li 또는 Na)
일반식(2); CaMoO4:M (M은 Nd3+, Yb3+ 및 Er3+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란탄족 금속 이온)
일반식(3); Y2SiV2O10:Nd3+ 및 Er3+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용 카드는, 방출광을 반사하는 반사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게임용 카드를 인식하기 위한 인식장치는, 입사광을 발생시키는 광원부, 방출광을 검출하기 위한 방출광 검출부, 방출광 검출부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게임용 카드의 정품 인증을 수행하기 위한 인증부, 카드 고유 정보를 판독하기 위한 카드 고유 정보 판독부 및 인식 장치의 각 기능 블록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방출광 검출부는 제2 파장을 포함하는 방출광을 검출하고, 인증부는 검출된 방출광을 기준 데이터와 비교하여 정품 인증을 수행하며, 기준 데이터는 미리 설정된 인증 파라미터의 특정 수치일 수 있다.
이때 인증 파라미터로는 피크 파장, 피크 높이, 소광 시간(decay time)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인증부에서 정품으로 인증된 경우에 한하여 카드 고유 번호 판독부에서 카드 고유 번호를 판독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방출광 검출부는 제2 파장을 포함하는 방출광 이미지를 획득하는 장치일 수 있고, 이때 상기 카드 고유 번호 판독부는 획득된 이미지의 명암 차이에 의해 카드 고유 번호를 판독하고, 인증부는 획득된 이미지에 명암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 게임용 카드를 정품으로 인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인식장치의 적어도 일부분은 게임용 카드를 수납한 상태에서 한 장씩 배포하기 위한 카드 배포 장치에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카드 배포 장치는, 게임용 카드를 복수 장 수납할 수 있는 카드 수납부, 카드 수납부에 수납된 게임용 카드를 노출시켜 한 장씩 인출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개구부, 개구부에 노출된 게임용 카드가 인출되어 이동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인식장치의 적어도 일부분은 카드 배포 장치 내에 가이드부와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인식장치의 적어도 일부분은 게임용 카드가 배포되는 게임 테이블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용 카드를 인식하는 방법은, (a) 게임용 카드에 입사광을 조사하는 단계, (b) 게임용 카드로부터 방출광을 검출하는 단계, (c) 검출된 방출광을 이용하여 게임용 카드의 정품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및 (d) 카드 고유 정보를 판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용 카드를 인식하는 방법은, (a) 게임용 카드에 입사광을 조사하는 단계, (b) 게임용 카드로부터 방출광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및 (c) 획득한 방출광 이미지를 이용하여 정품인증 및 카드 고유 정보 판독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비가시 특수물질을 게임용 카드에 포함시킴으로써 게임용 카드의 보안성을 한층 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게임용 카드의 고유 정보가 광 차단물질을 포함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정품 인증과 그 고유 정보 인식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는 위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게임용 카드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게임용 카드의 예시적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게임용 카드의 인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게임용 카드를 위한 인식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4의 인식 장치가 포함된 카드 배포 장치의 예시적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게임용 카드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게임용 카드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게임용 카드의 인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게임용 카드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 1, 제 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대응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명칭 및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명세서에서 '특수물질'이라는 용어는 입사광이 조사되면 특정 파장의 방출광을 방출하는 물질을 의미한다. 여기서 입사광과 방출광의 파장은 특수물질 고유의 특성에 의해 정해질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비가시 특수물질'이라는 용어는 특수물질로부터 방출되는 방출광의 파장이 가시영역이 아닌 물질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카드 고유 정보'라는 용어는 카드의 종류를 인식할 수 있는 정보, 즉 카드의 랭크 정보 및/또는 카드의 슈트 정보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게임용 카드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게임용 카드의 예시적인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게임용 카드(10)는, 기재(11), 기재(11)의 상부에 형성된 특수물질층(12) 및 상기 특수물질층(12) 상부에 형성된 카드 고유 정보(13)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기재(11)는 게임용 카드의 몸체를 구성하는 부분으로, 종이나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특수물질층(12)은 제1 파장을 포함하는 입사광이 조사되면 제2 파장을 포함하는 광을 방출하는 특수물질(P)을 포함하는 층으로, 기재(11) 상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균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특수물질층(12)은 특수물질(P)이 입자 형태로 균일하게 분산된 투명한 수지층일 수 있다. 이때 특수물질(P)이 분산되는 수지는 제1 파장 및 제2 파장의 광에 대해 투명한 재질로 선택될 수 있다.
특수물질(P)로는 제1 파장 및 제2 파장에 따라 다양한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수물질(P)은 일반적인 가시광선 하에서는 육안으로 관찰되지 않는 물질로서, 다음과 같은 일반식을 갖는 물질들이 사용될 수 있다.
일반식(1); Ba1-xSnAxO3 (0<x<0.4, A는 Li 또는 Na)
일반식(2); CaMoO4:M (M은 Nd3+, Yb3+ 및 Er3+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란탄족 금속 이온)
일반식(3); Y2SiV2O10:Nd3+ 및 Er3+
일반식(4); Y2O3:Yb 및 Ho
일반식(5); Y2O3:Yb 및 Tm
일반식(6); Y2O3:Yb 및 Er
여기서 일반식(1)의 물질은 자외선 파장 범위의 입사광에 대해 적외선 파장 범위의 광을 방출하는 물질이고, 일반식(2)의 물질은 가시광 파장 범위의 입사광에 대해 적외선 파장 범위의 광을 방출하는 물질이며, 일반식(3)의 물질은 자외선 또는 가시광 파장 범위의 입사광에 대해 적외선 파장 범위의 광을 방출하는 물질이다. 또한, 일반식(4), (5), (6)의 물질들은 적외선 파장 범위의 입사광에 대해 적외선 및 가시광 파장 범위의 광을 방출하는 상향변환(Up-conversion) 물질들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1 파장은 자외선 파장 범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파장은 가시광 파장 범위이거나 적외선(근적외선, 중적외선 포함) 파장 범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2 파장은 육안으로는 관찰되지 않는 비가시 파장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적외선 파장 범위일 수 있다. 적외선 파장 범위는 육안으로는 감지할 수 없어 적외선 감지 장치를 사용하지 않으면 특수물질이 포함되었는지 알 수 없고, 또한 적외선을 방출하는 특수물질의 경우 상대적으로 소량으로도 풍부한 광 방출량을 얻을 수 있어 비용적으로도 유리할 수 있다.
제1 파장과 제2 파장이 모두 적외선 파장 범위인 경우, 제1 파장은 근적외선 파장 범위, 제2 파장은 중적외선 파장 범위와 같이 서로 파장 범위가 중첩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수물질(P)은 입자 형태로 특수물질층(12)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이때 특수물질(P)의 평균 입자 크기는 0.3~10㎛ 범위일 수 있고, 0.5~5.0㎛ 범위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특수물질 입자의 크기가 0.3㎛ 미만인 경우에는 방출되는 광의 세기가 약해 효과가 떨어질 가능성이 있고 입자 크기가 10.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특수물질층(12)의 투명성이 저하될 수 있다. 특수물질층(12)의 투명성이 저하되면 특수물질층이 적용되지 않은 일반 게임용 카드와 육안으로 구별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특수물질(P)은 특수물질층(12) 내에 0.05~10wt%의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특수물질(P)의 함량이 0.05wt% 이하인 경우 방출되는 광을 검출하기 어렵고, 함량이 10wt% 이상인 경우 투명성이 저하될 수 있다. 투명성 확보를 위해 특수물질(P)의 함량은 1.0wt% 이하로 조절할 수 있다.
특수물질층(12) 상부에는 카드 고유 정보(13)가 형성된다. 카드 고유 정보(13)는 게임용 카드의 랭크 정보(예를 들어, 도 2의 '3') 및/또는 슈트 정보(예를 들어, 도 2의 '스페이드' 무늬)일 수 있다. 카드 고유 정보(13)는 흑백 또는 칼라 잉크로 특수물질층(12) 상부에 인쇄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게임용 카드의 인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게임용 카드의 인식 방법은, 게임용 카드에 제1 파장을 포함하는 입사광(L1)을 조사하고(S11 단계), 게임용 카드로부터 제2 파장을 포함하는 방출광(L2)을 검출한다(S12 단계). 그리고 검출된 방출광(L2)을 이용하여 게임용 카드의 정품 인증을 수행하고(S13 단계), 이어서 게임용 카드의 고유 정보를 판독한다(S14 단계).
게임용 카드에 제1 파장을 포함하는 입사광(L1)을 조사하는 단계(S11)는 특수물질층(12)에 포함된 특수물질(P)을 여기시킬 수 있는 입사광을 조사하는 단계이다. 예를 들어, 특수물질(P)이 자외선 파장 범위의 입사광에 의해 적외선 파장 범위의 광을 방출하는 일반식(1)의 발광 물질인 경우에는, 자외선 파장 범위의 제1 파장을 포함하는 입사광(L1)을 게임용 카드에 조사하는 단계일 수 있다.
입사광(L1)이 조사되면 입사광(L1)에 포함된 제1 파장의 광에 의해 특수물질(P)이 여기되어 제2 파장을 포함하는 방출광(L2)을 방출할 수 있다. S12 단계는 이러한 방출광(L2)을 검출하는 단계이다. 제2 파장이 적외선 파장 범위에 속하는 경우, 방출광 검출은 적외선 센서나 적외선 카메라 등의 적외선 검출 장치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는 검출된 방출광(L2)을 이용하여 게임용 카드의 정품 인증을 수행한다(S13 단계). 정품 인증을 위해서는 미리 저장된 기준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 데이터는 방출광의 피크 파장, 피크 높이, 소광 시간(decay time) 등 다양한 인증 파라미터에 대한 특정 수치일 수 있다.
방출광의 피크 파장이나 피크 높이 등을 인증 파라미터로 설정한 경우, 방출광 검출부는 적외선 센서일 수 있다. 여기서 적외선 센서는 분광계(spectrometer)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즉, S12 단계에서 검출한 방출광 스펙트럼을 데이터 처리하여 미리 인증 파라미터로 설정된 파장이 검출되는지 또는 해당 파장이 미리 정해진 세기 이상으로 검출되는지 여부에 따라 정품 여부를 인증할 수 있다.
소광 시간(decay time)을 인증 파라미터로 설정한 경우에는, 입사광이 오프된 후 방출광의 검출이 지속되는 시간을 측정하여 정품 여부를 인증할 수 있다. 여기서 소광 시간은 입사광이 오프된 때부터 방출광 검출부가 특정 파장의 방출광을 더 이상 검출할 수 없을 때까지의 시간, 또는 입사광이 오프된 때부터 특정 파장의 방출광 세기가 50% 감소될 때까지 소요된 시간 등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S12 단계에서 검출하는 방출광은 복수의 파장일 수 있다. 즉, 특수물질층(12)에 포함된 특수물질이 복수 파장에서 방출광 피크를 갖는 물질이거나, 또는 다른 파장에서 각각 방출광 피크를 갖는 복수의 특수물질이 특수물질층(12)에 포함된 경우, S12 단계에서는 복수의 파장을 검출할 수 있다. 정품 인증 단계(S13)에서는 복수의 파장이 모두 검출되거나, 복수의 파장의 피크 높이가 기 저장된 비율로 검출되거나, 복수의 파장 각각의 소광 시간이 기 저장된 기준 데이터에 부합되는 경우 정품으로 인증할 수 있다. 이처럼 복수의 파장을 검출함으로써 게임용 카드의 보안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인증 파라미터는 위에 예시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소정 파장 범위에서의 방출광 강도의 합(방출광 강도를 소정 파장 범위에서 적분한 값)을 정품 인증을 위한 인증 파라미터로 사용할 수도 있다.
제1 파장 및 제2 파장은 어느 하나의 파장 값일 수도 있고, 또는 소정 파장 범위를 의미하는 것일 수도 있다. S12 단계 또는 S13 단계에서 제2 파장의 방출광을 검출하는 방법은 방출광 스펙트럼(spectrum)을 데이터 처리하여 그 중 제2 파장을 검출하는 방법 또는 제2 파장만을 걸러내는 필터(filter)를 구비하여 제2 파장만을 검출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필터는 밴드패스 필터(band pass filter)일 수 있다.
S14 단계는 카드 고유 정보, 즉 랭크 정보 및/또는 슈트 정보를 판독하는 단계이다. 이를 위해, 카드 고유 정보가 인쇄된 게임용 카드(20)의 상면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획득은 카메라를 이용한 촬상 또는 스캐너를 이용한 스캐닝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획득된 이미지로부터 카드의 고유 정보가 판독될 수 있다. S14 단계는 S13 단계에서 정품으로 인증된 경우에 한하여 수행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게임용 카드 인식 방법의 수행을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인식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식 장치(20)는 광원부(21), 방출광 검출부(22), 인증부(23), 카드 고유 정보 판독부(24) 및 제어부(25)를 포함할 수 있다.
광원부(21)는 게임용 카드(10)에 제1 파장을 포함하는 입사광(L1)을 조사하기 위한 구성으로, 제1 파장을 포함하는 광을 발생시킬 수 있는 광원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특수물질층(12)에 포함된 특수물질(P)이 자외선에 의해 여기되어 적외선을 방출하는 물질인 경우, 광원부(21)는 자외광을 조사할 수 있는 자외선 램프나 UV LED 등의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방출광 검출부(22)는 게임용 카드(10)에서 방출되는 방출광(L2)을 검출하기 위한 구성이다. 방출광 검출부(22)는 제2 파장의 광을 검출할 수 있는 광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파장이 적외선 파장 범위의 광인 경우, 방출광 검출부는 적외선 센서 또는 IR 카메라 등의 적외선 이미지 촬상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방출광 검출부(22)에는 제2 파장의 광만을 통과시키기 위한 필터가 구비될 수 있다. 필터는 밴드패스 필터일 수 있다.
인증부(23)는 방출광 검출부(22)로부터 검출 결과를 제공 받아 게임용 카드(10)의 정품 인증을 하기 위한 구성이다. 구체적으로는, 방출광의 피크 파장, 피크 높이, 일정 파장 범위에서의 방출광 강도의 합, 소광 시간(decay time) 등 미리 정해진 기준 데이터를 기초로 게임용 카드(10)의 정품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인증부에는 기준 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와 기준 데이터와의 비교 연산을 수행하기 위한 연산 회로가 포함될 수 있다.
카드 고유 정보 판독부(24)는 게임용 카드(10)의 카드 고유 정보(13)를 판독하기 위한 구성으로, CCD 카메라, 스캐너 등의 이미지 획득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드 고유 정보 판독부(24)는 인증부(23)에서 정품으로 인증된 경우에 한하여 카드 고유 정보를 획득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제어부(25)는 인식 장치(20)의 각 기능 블록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이다. 제어부(25)는 광원부(21)의 온/오프(ON/OFF) 동작을 제어할 수 있고, 광원부(21)의 온/오프 동작에 연동하여 방출광 검출부(22)의 방출광 검출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인증부(23)로부터 정품 인증 결과를 전달받아 도시하지 않은 표시부를 통해 인증 결과를 표시하는 등의 부가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인증부(23)로부터 정품 인증 결과를 전달받은 후 정품으로 인증된 경우에 한하여 카드 고유 정보 판독부(24)가 카드 고유 정보를 획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인식 장치(20)는 게임용 카드를 게임 테이블로 배포하기 위한 카드 배포 장치에 포함될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인식 장치(20)가 포함된 카드 배포 장치(30)의 예시적인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카드 배포 장치(30)는 게임 테이블(40) 위에 배치되어, 내부에 수납된 게임용 카드(1)를 한 장씩 게임 테이블(40) 위로 배포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카드 배포 장치(30)는 게임용 카드(10)를 복수 매 수납할 수 있는 카드 수납부(31)를 포함한다. 카드 수납부(31)에 수납된 게임용 카드(10)는 카드 배포 장치(30)의 개구부(32)로 노출된 순서로 딜러에 의해 한 장씩 배포될 수 있다. 이때, 개구부(32)에 노출된 게임용 카드(10)는 아래 방향(S)으로 인출되어 가이드부(33)를 따라 이동하여 게임 테이블(40) 위로 배포될 수 있다. 카드 가이드(34)는 가이드부(33)를 따라 이동하는 게임용 카드(20)의 양측 상부면을 구속하여 게임 테이블(40) 위로 안정적으로 배포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인식 장치(20)는 카드 배포 장치(30) 내에 가이드부(33)와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광원부(21) 및 방출광 검출부(22)가 개구부(32) 하측에 구비되어, 가이드부(33)를 따라 이동하는 게임용 카드(10)에 제1 파장을 포함하는 입사광(L1)을 조사하고, 게임용 카드(10)로부터 방출되는 제2 파장을 포함하는 방출광(L2)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방출광 검출부(22)의 하측에 카드 고유 정보 판독부(24)가 구비되어, 가이드부(33)를 따라 이동하는 게임용 카드(10)의 이미지를 획득하고, 획득된 이미지로부터 카드 고유 정보를 판독할 수 있다.
도 5와는 달리, 인식 장치(20)는 게임 테이블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드 배포 장치(30) 전방의 게임 테이블(40) 하부에 인식 장치(20)를 배치하여, 카드 배포 장치(30)에서 배포되어 각 게임 참여자에게 배포되는 경로 중에 게임용 카드(20)의 정품 인증 및 카드 고유 정보 판독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인식 장치(20)는 카드 배포 장치(30)에서 배출된 게임용 카드(10)가 통과할 수 밖에 없는 위치, 즉 카드 배포 장치(30)의 바로 전방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인식 장치(20)는 카드 배포 장치(30)와 게임용 테이블(40)에 분산되어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광원부(21), 방출광 검출부(22) 및 인증부(23)는 카드 배포 장치(30) 내에 구비하고, 카드 고유 정보 판독부(24)는 게임 테이블에 구비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인식 장치(20)가 카드 배포 장치(30) 또는 게임 테이블(40)에 포함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인식 장치(20)는 별도의 독립된 장치로서 제조될 수도 있고,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의 모바일 기기에 장착되거나 내장될 수도 있다. 또한 인식 장치(20)에는 통신부가 구비되어, 인증부(23)의 인증 결과를 별도의 서버나 중앙 컴퓨터에 전송할 수 있다. 또는 방출광 검출부(22)의 검출 데이터를 서버나 중앙 컴퓨터로 전송하여, 정품 인증 동작(S13 단계)이 서버나 중앙 컴퓨터에서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4에서는 인증부와 제어부를 별도 블록으로 도시하였으나, 인증부가 제어부 내에 내장되어 제어부가 인증 동작까지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게임용 카드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은 기재(11)와 특수물질층(12)이 분리되지 않고 하나의 구성으로 형성되어 있다는 점에서 도 1의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즉, 도 6(a)의 실시예는 기재(11) 내에 특수물질(P)이 분산되어 있는 구조이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더라도, 제1 파장을 포함하는 입사광(L1)이 조사되면 기재(11) 내에 분산되어 있는 특수물질이 제2 파장을 포함하는 방출광(L2)을 방출하므로, 게임용 카드(10)의 정품 인증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기재(11)는 제1 파장 및 제2 파장에 대해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a)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기재(11)의 하면에는 제2 파장을 포함하는 방출광(L2)을 반사하는 반사층이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특수물질(P)에서 방출된 방출광이 방출광 검출부(22)가 배치된 상부 방향으로 방출되는 양을 증가시켜 인식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b)는 특수물질층(12)이 기재(11)의 하부에 형성된다는 점에서 도 1의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더라도, 제1 파장을 포함하는 입사광(L1)이 조사되면 특수물질층(12)에 분산되어 있는 특수물질(P)이 제2 파장을 포함하는 방출광(L2)을 방출하므로, 게임용 카드(10)의 정품 인증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기재(11)는 제1 파장 및 제2 파장에 대해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특수물질층(12)의 하면에는 제2 파장을 포함하는 방출광(L2)을 반사하는 반사층이 형성되어, 상부 방향으로 방출되는 방출광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6(c)는 특수물질층(12)이 카드 고유 정보(13) 상부에 형성된다는 점에서 도 1의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즉, 기재(11) 상부에 카드 고유 정보(13)가 먼저 인쇄되고, 그 위에 특수물질(P)이 분산된 특수물질층(12)이 코팅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더라도, 제1 파장을 포함하는 입사광(L1)이 조사되면 특수물질층(12)에 분산되어 있는 특수물질(P)이 제2 파장을 포함하는 방출광(L2)을 방출하므로, 게임용 카드(10)의 정품 인증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특수물질층(12)의 하부, 예를 들어 기재(11)와 특수물질층(12)의 계면이나 기재(11)의 하면에는 제2 파장을 포함하는 방출광(L2)을 반사하는 반사층이 형성되어, 상부 방향으로 방출되는 방출광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카드 고유 정보(13)의 판독이 원활하도록 특수물질층(12)은 가시광에 대해 투명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게임용 카드 및 인식 방법을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제1 실시예와 차이나는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게임용 카드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게임용 카드(1)는, 카드 고유 정보(13)가 광 차단층(14)으로 형성된다는 점에서 제1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광 차단층(14)은 제1 파장의 광을 차단하는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파장이 자외선 파장 범위에 속하는 경우, 광 차단층(14)은 자외선을 차단하는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자외선을 차단하는 물질로는 산화아연(ZnO)이 있으므로, 광 차단층(14)은 산화아연을 포함하는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카드 고유 정보(13)를 광 차단층(14)으로 형성하기 위해, 산화아연 등의 자외선 차단물질이 포함된 잉크를 이용하여 랭크 정보나 슈트 정보 등 카드 고유 정보(13)를 인쇄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게임용 카드의 인식 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게임용 카드의 인식 방법은, 게임용 카드에 제1 파장을 포함하는 입사광(L1)을 조사하는 단계(S21), 게임용 카드로부터 제2 파장을 포함하는 방출광(L2)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S22) 및 정품인증 및 카드 고유 정보 판독 단계(S23)를 포함할 수 있다.
S21 단계는 특수물질층(12)에 포함된 특수물질(P)을 여기시킬 수 있는 제1 파장이 포함된 입사광(L1)을 조사하는 단계이다. S21 단계는 도 3의 S11 단계와 동일한 단계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게임용 카드는 카드 고유 정보(13)가 제1 파장의 광에 대한 광 차단층(14)으로 작용하므로, 카드 고유 정보(13)가 형성된 부분의 하부 영역에는 제1 파장의 광이 차단되어 도달하지 못한다. 이로 인해, 카드 고유 정보(13)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의 특수물질층(12)에서는 방출광이 방출되는 반면, 카드 고유 정보(13)가 형성된 부분의 특수물질층(12)에서는 방출광이 방출되지 않는다.
이 상태에서 제2 파장을 포함하는 방출광(L2)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이미지 획득 장치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획득한다(S22 단계). 예를 들어, 제2 파장이 적외선 파장인 경우, 적외선 카메라나 적외선 스캐너 등 방출광을 검출할 수 있는 장치로 이미지를 획득하면, 획득된 이미지 상에서 적외선이 방출되는 영역과 방출되지 않는 영역 사이에 명암 차이가 발생한다. 즉, 카드 고유 정보(13)가 형성된 영역과 형성되지 않은 영역 사이에 명암 차이가 발생하게 되고, 이로부터 카드 고유 정보(13)을 인식할 수 있다.
한편, 특수물질층(12)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일반 게임용 카드의 경우에는 제1 파장을 포함하는 입사광을 조사하더라도 제2 파장을 포함하는 광이 방출되지 않으므로, S22 단계에서 카드 고유 정보(13)가 형성된 영역과 형성되지 않은 영역 사이에 식별 가능한 정도의 명암 차이가 발생하지 않는다. 이는 S22 단계의 이미지 획득 만으로도 특수물질(P)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S22 단계에서 획득한 이미지를 이용하여 정품 인증과 카드 고유 정보 판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S23 단계).
이처럼 카드 고유 정보(13)를 제1 파장의 광을 차단하는 광 차단층(14)으로 형성하는 경우, 게임용 카드(10)의 정품 인증과 카드 고유 정보 판독을 하나의 단계로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에서는 광 차단층(14)을 제1 파장 차단물질로 형성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광 차단층(14)을 제2 파장 차단물질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변형예에 의하면, 특수물질층(12)의 모든 영역에서 입사광에 의해 방출광이 발생하나, 광 차단층(14), 즉 카드 고유 정보(13)가 형성된 영역에서는 방출광이 차단되어 외부로 방출되지 못하는 반면 광 차단층(14)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에서는 방출광이 외부로 방출된다. 따라서 도 8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원리로 방출광을 검출할 수 있는 촬상 장치 등으로 이미지를 획득함으로써 정품 인증과 카드 고유 정보 판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도 8의 인식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인식 장치는 도 4의 인식장치(20)의 구성과 유사하게 구성할 수 있다. 다만 방출광 검출부(22)가 제2 파장을 포함하는 방출광(L2)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이미지 획득 장치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파장이 적외선 파장 범위인 경우 적외선 카메라나 적외선 스캐너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카드 고유 정보 판독부(24)는 별도의 이미지 획득 장치를 포함하지 않고, 방출광 검출부(22)에서 획득한 이미지를 전달받아 화상 처리 등을 통해 카드 고유 정보를 판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게임용 카드 및 인식 방법을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앞선 실시예들과 차이나는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게임용 카드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게임용 카드는, 기재(11) 및 기재(11) 상부에 인쇄된 카드 고유 정보(13)를 포함한다. 이때, 카드 고유 정보(13)는 특수물질(P)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특수물질(P)이 분산된 잉크로 카드 고유 정보(13)가 인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게임용 카드(1)도 도 8의 제2 실시예와 동일한 인식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즉, 게임용 카드(1)에 제1 파장을 포함하는 입사광(L1)을 조사하고(S21 단계) 게임용 카드로부터 제2 파장을 포함하는 방출광(L2) 이미지를 획득한다(S22 단계). 이때 카드 고유 정보(13)에는 특수물질(P)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카드 고유 정보(13)가 형성된 영역에서만 방출광(L2)이 방출된다. 따라서, S22 단계에서 획득한 방출광 이미지 상에서 카드 고유 정보(13)가 형성된 영역과 형성되지 않은 영역의 명암 차이가 발생하게 되고, 이로부터 카드 고유 정보(13)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카드 고유 정보(13)에 특수물질(P)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 일반 게임용 카드의 경우에는 제1 파장의 광을 입사하더라도 제2 파장의 광이 방출되지 않으므로, S22 단계에서 카드 고유 정보(13)이 형성된 영역과 형성되지 않은 영역의 식별 가능한 정도의 명암 차이가 발생하지 않는다. 이는 S22 단계의 이미지 획득 만으로도 특수물질(P)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 즉 정품 여부를 확인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S22 단계에서 획득한 이미지를 이용하여 정품 인증과 카드 고유 정보 판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S23 단계).
이처럼 카드 고유 정보(13)를 특수물질을 포함하여 형성하는 경우, 게임용 카드(10)의 정품 인증과 카드 고유 정보 판독을 하나의 단계로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실시예일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는 점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예를 들어, 각 실시예들은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재 및 그 균등 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게임용 카드
11: 기재
12: 특수물질층
13: 카드 고유 정보
14: 광 차단층
20: 인식 장치
21: 광원부
22: 방출광 검출부
23: 인증부
24: 카드 고유 정보 판독부
25: 제어부
30: 카드 배포 장치
40: 게임 테이블
P: 특수물질

Claims (21)

  1. 비가시 특수물질을 포함하는 특수물질층 및 카드 고유 정보를 포함하는 게임용 카드로서,
    상기 비가시 특수물질은 제1 파장을 포함하는 입사광이 조사되면 제2 파장을 포함하는 방출광을 방출하는 물질이고,
    상기 제2 파장은 비가시 파장 범위에 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용 카드.
  2. 제1항에 있어서,
    게임용 카드의 몸체를 구성하는 기재를 포함하고,
    상기 특수물질층은 기재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카드 고유 정보는 상기 특수물질층 상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용 카드.
  3. 제1항에 있어서,
    게임용 카드의 몸체를 구성하는 기재를 포함하고,
    상기 카드 고유 정보는 기재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특수물질층과 상기 기재는 같은 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용 카드.
  4. 제1항에 있어서,
    게임용 카드의 몸체를 구성하는 기재를 포함하고,
    상기 특수물질층은 기재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카드 고유 정보는 상기 기재 상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용 카드.
  5. 제1항에 있어서,
    게임용 카드의 몸체를 구성하는 기재를 포함하고,
    상기 카드 고유 정보는 기재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특수물질층은 상기 카드 고유 정보 상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용 카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고유 정보는 상기 제1 파장 또는 제2 파장의 광을 차단하는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용 카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고유 정보는 상기 특수물질층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용 카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장은 자외선 또는 가시광선 또는 적외선 범위에 속하고, 상기 제2 파장은 적외선 범위에 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용 카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가시 특수물질은, 다음의 일반식(1) 내지 (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용 카드.
    일반식(1); Ba1-xSnAxO3 (0<x<0.4, A는 Li 또는 Na)
    일반식(2); CaMoO4:M (M은 Nd3+, Yb3+ 및 Er3+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란탄족 금속 이온)
    일반식(3); Y2SiV2O10:Nd3+ 및 Er3+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출광을 반사하는 반사층을 포함하는 게임용 카드.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게임용 카드를 인식하기 위한 인식장치로서,
    상기 입사광을 발생시키는 광원부;
    상기 방출광을 검출하기 위한 방출광 검출부;
    상기 방출광 검출부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게임용 카드의 정품 인증을 수행하기 위한 인증부;
    상기 카드 고유 정보를 판독하기 위한 카드 고유 정보 판독부;
    인식 장치의 각 기능 블록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식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방출광 검출부는 상기 제2 파장을 포함하는 방출광을 검출하고,
    상기 인증부는 상기 검출된 방출광을 기준 데이터와 비교하여 정품 인증을 수행하며,
    상기 기준 데이터는 미리 설정된 인증 파라미터의 특정 수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식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파라미터는 피크 파장, 피크 높이, 소광 시간(decay time)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식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증부에서 정품으로 인증된 경우에 한하여 상기 카드 고유 번호 판독부에서 카드 고유 번호를 판독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식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방출광 검출부는 상기 제2 파장을 포함하는 방출광 이미지를 획득하는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식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고유 번호 판독부는 상기 획득된 이미지의 명암 차이에 의해 상기 카드 고유 번호를 판독하고,
    상기 인증부는 상기 획득된 이미지에 명암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게임용 카드를 정품으로 인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식장치.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장치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게임용 카드를 수납한 상태에서 한 장씩 배포하기 위한 카드 배포 장치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식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배포 장치는,
    게임용 카드를 복수 장 수납할 수 있는 카드 수납부;
    상기 카드 수납부에 수납된 게임용 카드를 노출시켜 한 장씩 인출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개구부;
    상기 개구부에 노출된 게임용 카드가 인출되어 이동하는 가이드부;
    를 포함하고,
    상기 인식장치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카드 배포 장치 내에 상기 가이드부와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식장치.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장치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게임용 카드가 배포되는 게임 테이블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식장치.
  20.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게임용 카드를 인식하는 방법으로서,
    (a) 상기 게임용 카드에 상기 입사광을 조사하는 단계;
    (b) 상기 게임용 카드로부터 상기 방출광을 검출하는 단계;
    (c) 상기 검출된 방출광을 이용하여 게임용 카드의 정품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d) 상기 카드 고유 정보를 판독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게임용 카드를 인식하는 방법으로서,
    (a) 상기 게임용 카드에 상기 입사광을 조사하는 단계;
    (b) 상기 게임용 카드로부터 상기 방출광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c) 상기 획득한 방출광 이미지를 이용하여 정품인증 및 카드 고유 정보 판독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90089005A 2019-07-23 2019-07-23 비가시 특수물질을 포함하는 게임용 카드와 그 인식 장치 및 방법 KR1026081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9005A KR102608189B1 (ko) 2019-07-23 2019-07-23 비가시 특수물질을 포함하는 게임용 카드와 그 인식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9005A KR102608189B1 (ko) 2019-07-23 2019-07-23 비가시 특수물질을 포함하는 게임용 카드와 그 인식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1741A true KR20210011741A (ko) 2021-02-02
KR102608189B1 KR102608189B1 (ko) 2023-11-30

Family

ID=74559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9005A KR102608189B1 (ko) 2019-07-23 2019-07-23 비가시 특수물질을 포함하는 게임용 카드와 그 인식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818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7003A (ko) * 1996-10-14 1998-07-15 민태형 비가시 발광물질(非可視 發光物質) 및 제조 방법
JP2008023354A (ja) 2007-09-11 2008-02-07 Angel Shoji Kk カード読取装置およびゲーム不正検出装置
JP2012073897A (ja) * 2010-09-29 2012-04-12 Dainippon Printing Co Ltd 発光媒体の真偽判定システムおよび真偽判定方法
KR20140011046A (ko) * 2012-07-17 2014-01-28 주식회사 네오랩컨버전스 코드가 기록된 필름, 및 코드가 기록된 필름이 부착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KR20140142984A (ko) * 2013-06-05 2014-12-15 한국조폐공사 보안 요소 형성 방법 및 보안 요소
KR20170083649A (ko) * 2012-11-08 2017-07-18 엔제루 프레잉구 카도 가부시키가이샤 테이블 게임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7003A (ko) * 1996-10-14 1998-07-15 민태형 비가시 발광물질(非可視 發光物質) 및 제조 방법
JP2008023354A (ja) 2007-09-11 2008-02-07 Angel Shoji Kk カード読取装置およびゲーム不正検出装置
JP2012073897A (ja) * 2010-09-29 2012-04-12 Dainippon Printing Co Ltd 発光媒体の真偽判定システムおよび真偽判定方法
KR20140011046A (ko) * 2012-07-17 2014-01-28 주식회사 네오랩컨버전스 코드가 기록된 필름, 및 코드가 기록된 필름이 부착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KR20170083649A (ko) * 2012-11-08 2017-07-18 엔제루 프레잉구 카도 가부시키가이샤 테이블 게임 시스템
KR20140142984A (ko) * 2013-06-05 2014-12-15 한국조폐공사 보안 요소 형성 방법 및 보안 요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8189B1 (ko) 2023-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46346B2 (en) Optoelectronic document reader for reading UV / IR visible indicia
US7938331B2 (en) Method and system for anti-counterfeit barcode label
US854209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cure detection of an item and a method of securing access to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item
US7244043B2 (en) Method and system for a processor controlled illumination system for reading and analyzing materials
US6385352B1 (en) System and method for reading and comparing two-dimensional images
JP2007534067A (ja) 隠蔽式認証方法及び装置
US20080149720A1 (en) Barcode environment enhancement
WO2013136791A1 (ja) 対象物検証装置、対象物検証プログラム、及び対象物検証方法
KR20190020639A (ko) 광학 코드, 광학 코드의 작성 방법, 광학 코드의 진위 판정 방법, 광학 코드의 판독 장치 및 판독 보조 장치
CN102077567B (zh) 读取装置
JP2019527869A (ja) 長残光放出を利用してセキュリティマークを認証する方法及び1つ以上の残光化合物を含むセキュリティマーク
CA2375577C (en) Optoelectronic document reader for reading uv / ir visible indicia
KR102551180B1 (ko) 비가시 보안코드를 포함하는 보안요소 및 그 인식 방법
EP2073144B1 (en) A barcode imaging system and source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therefor
KR102608189B1 (ko) 비가시 특수물질을 포함하는 게임용 카드와 그 인식 장치 및 방법
TW440825B (en) Data storage medium and reading device thereof
WO200906883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ed card identification and cards for use therein
CN111492637A (zh) 标签剂系统
US20220082502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bile device phosphor excitation and detection
KR102603569B1 (ko) 보안문서의 위변조 판별 시스템
JP2021140776A (ja) コード読み取り装置
JP2016049749A (ja) 情報記録媒体及び画像処理装置
JP2002333816A (ja) ホログラム識別装置
KR20190076185A (ko) 돌출 이미지가 형성된 보안 장치
JPH03258592A (ja) カード及びカード識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