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1319A - Flowerpot - Google Patents

Flowerpo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1319A
KR20210011319A KR1020200060458A KR20200060458A KR20210011319A KR 20210011319 A KR20210011319 A KR 20210011319A KR 1020200060458 A KR1020200060458 A KR 1020200060458A KR 20200060458 A KR20200060458 A KR 20200060458A KR 20210011319 A KR20210011319 A KR 202100113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age
hole
flower pot
stopper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045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49825B1 (en
Inventor
송영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클릭전자정보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클릭전자정보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클릭전자정보시스템
Priority to KR10202000604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9825B1/en
Publication of KR202100113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131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98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982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5Reservoirs connected to flower-pots through condu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8Component parts, e.g. dispensing fittings, level ind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A01G9/042Combinations of a saucer and a flower pot attached together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werp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the flowerpot, in which the flowerpot is used for wall decoration (wall greening) by stacking a plurality of flowerpot in a vertical direction or connecting and combining the same in a left and right direction, thereby being constructed to facilitate water supply and water level control for the plurality of flowerpots.

Description

화분 {Flowerpot}Flowerpot {Flowerpot}

본 발명은 화분에 관한 것으로서, 복수의 화분을 상하 방향으로 적층 결합하거나 좌우방향으로 연결 결합하여 벽면 장식(벽면 녹화)을 위해 사용하는 화분으로서, 복수의 화분에 대한 물공급 및 수위 조절이 용이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구성된 화분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wer pot, and is a flower pot used for wall decoration (wall greening) by stacking and combining a plurality of flower pots in an up-down direction or by connecting them in a left-right direction, making it easy to supply water and control the water level to a plurality of flower pots. It relates to a flower pot configured to be made possible.

화분에는 식물이 생존하고 성장할 수 있도록 적절한 수량의 물을 지속적으로 공급할 필요가 있다. Pots need to be continuously supplied with an adequate amount of water so that the plants can survive and grow.

일예로, 화분에 직접 주기적으로 물을 주는 방식이 사용되기도 하며, 다른예로, 물 흡수용 홀이 하부에 형성된 화분을 물받이 받침대에 수납하고 물받이 받침대에 물을 공급하여 화분 내의 식물이 물을 흡수하도록 하는 방식도 사용된다. For example, a method of giving water directly to the flower pots is also used, and in another example, plants in the pots absorb water by storing a flower pot with a water absorption hole formed at the bottom in a drip tray and supplying water to the drip tray. The way to do it is also used.

그런데, 물받이 받침대를 사용하는 방식의 경우, 물받이 받침대에 저장된 물의 수위를 적절하게 유지할 필요가 있다. 물의 수위가 너무 낮으면 식물이 물을 흡수하기 어려울 수 있으며, 물의 수위가 너무 높으면 식물의 뿌리가 썩거나 장기간 고인 물이 썩어서 악취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식물의 종류에 따라 적절한 물의 수위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 However, in the case of using the drip tray base, it is necessary to properly maintain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stored in the drip tray base. If the water level is too low, it may be difficult for plants to absorb water, and if the water level is too high, the roots of plants may rot, or water that has been stored for a long time may rot, causing problems such as odor. Also, there may be differences in the appropriate water level depending on the type of plant.

한편, 최근에 벽면 장식(벽면 녹화)용으로 설치되는 화분의 경우, 물받이 케이싱 내에 소형 화분 케이싱이 수납된 구조를 가지며, 이러한 구조를 갖는 복수의 화분이 상하 방향으로 적층 결합하는 구조로 설치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flower pots recently installed for wall decoration (wall greening), a small flower pot casing is housed in a drip tray casing, and a plurality of flower pots having such a structure are stacked and coupled in a vertical direction.

그런데, 이러한 구조의 화분은 결합 설치된 다수 화분 내의 물의 수위를 함께 유지 관리해야 하므로 관리의 어려움이 있으며, 특히 식물 특성을 고려하여 개별 화분별로 물의 수위를 서로 다르게 조절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관리의 어려움이 있었다. However, a flowerpot of this structure is difficult to manage because it is necessary to maintain the water level in multiple flowerpots installed together. In particular, it is difficult to manage when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water level differently for each flowerpot in consideration of plant characteristics. there was.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774647 (2017년08월29일 등록)Registered Korean patent 10-1774647 (registered on August 29, 2017)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230820 (2001년05월04일 등록)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20-0230820 (registered on May 4, 200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복수의 화분을 상하 방향으로 적층 결합하거나 좌우방향으로 연결 결합하여 벽면 장식(벽면 녹화)을 위해 사용하는 화분으로서, 복수의 화분에 대한 물공급 및 수위 조절이 용이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구성된 화분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 problems, as a flower pot used for wall decoration (wall greening) by stacking and combining a plurality of flower pots in an up-down direction or by connecting them in a left and right direction, and supplying water to a plurality of flower pot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tted plant configured so that the water level can be easily adjusted.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복수의 화분을 상하 방향으로 적층 결합하여 사용 가능한 화분으로서, 후면부의 좌우 양단에 각각 좌측면 프레임부 및 우측면 프레임부가 전방 측으로 연결 형성되고, 상기 좌측면 프레임부 및 우측면 프레임의 전단 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납부가 전방으로 돌출된 형태로 연결 형성되고, 상기 후면부, 좌측면 프레임부, 우측면 프레임부, 수납부의 하부 측을 연결하는 바닥부가 형성되며, 상기 바닥부의 상부로 미리 설정된 높이를 갖도록 배수관이 연장 형성되며, 상측에 위치한 화분의 좌측면 프레임부 및 우측면 프레임부의 하단부가 각각 하측에 위치한 화분의 좌측면 프레임부 및 우측면 프레임부에 끼움 결합되어 상하 적층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본체부; 및 상기 수납부에 끼움 결합되며 하부에 물 공급용 홀이 형성된 화분 케이싱부;를 포함하며, 상기 배수관에는 배수용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배수용 관통홀에 삽입되며 일단부의 일측 외면에 배수관로홈이 형성된 배수 마개가 구비되어, 상기 배수 마개가 상기 배수용 관통홀에 삽입된 상태에 따라 배수 가능 여부 및 본체부 바닥에 보관되는 물의 수위가 가변될 수 있도록 구성된 화분이 개시된다.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s a flower pot that can be used by stacking and combining a plurality of flower pots in an up-down direction, a left frame part and a right frame part are formed connected to the front side respectively at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rear part. , At least one receiving portion is formed connected to the front end side of the left frame portion and the right side frame in a form protruding forward, and the bottom portion connecting the rear portion, the left side frame portion, the right side frame portion, and the lower side of the receiving portion It is formed, and the drain pipe is extended to have a predetermined height above the bottom, and the lower end of the frame on the left side and the frame on the right side of the flower pot located on the upper side is inserted into the left frame part and the right frame part of the flower pot located at the lower side, respectively. A body unit configured to be combined and stacked up and down; And a flower pot casing part fitted into the receiving part and having a water supply hole formed at the bottom thereof, wherein a through hole for drainage is formed in the drain pipe,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for drainage, and a drain pipe path is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one end of the drain pipe. A potted plant is disclosed that includes a drainage stopper having a groove so that whether or not the drainage can be drained and the level of water stored at the bottom of the main body can be varied according to a state in which the drainage stopper is inserted into the drainage through hole.

바람직하게, 상기 배수용 관통홀은 배수관의 측면에 형성된다. Preferably, the drainage through hole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drain pipe.

바람직하게, 상기 배수용 관통홀은 배수관의 측면에 복수개가 형성되고, 각각의 배수용 관통홀은 높이 차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배수 마개는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어, 상기 배수 마개가 상기 배수용 관통홀에 삽입된 상태에 따라 배수 가능 여부 및 본체부 바닥에 보관되는 물의 수위가 가변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Preferably, a plurality of the drainage through-holes are formed on the side of the drain pipe, each drainage through-hole is formed to have a height difference, and the drainage stopper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and the drainage stopper passes through the drainage pipe. It is configured such that whether drainage is possible and the level of water stored in the bottom of the main body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state inserted into the hole.

바람직하게, 상기 배수용 관통홀은 배수관의 상단면에 형성되고, 상기 배수관의 측면에는 상하 높이 차이를 갖도록 사선 형태로 연장된 수위조절용 관통홈이 형성되며, 상기 배수 마개가 상기 배수용 관통홀에 삽입된 상태에 따라 배수 가능 여부 및 본체부 바닥에 보관되는 물의 수위가 가변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Preferably, the drainage through-hole is formed on the top surface of the drainage pipe, and a water level adjustment through-hole extending in a diagonal shape to have a vertical height difference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drainage pipe, and the drainage stopper is formed in the drainage through-hole. It is configured such that whether drainage is possible and the level of water stored in the bottom of the main body can be varied according to the inserted state.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복수의 화분을 상하 방향으로 적층 결합하여 사용 가능한 화분으로서, 후면부의 좌우 양단에 각각 좌측면 프레임부 및 우측면 프레임부가 전방 측으로 연결 형성되고, 상기 좌측면 프레임부 및 우측면 프레임의 전단 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납부가 전방으로 돌출된 형태로 연결 형성되고, 상기 후면부, 좌측면 프레임부, 우측면 프레임부, 수납부의 하부 측을 연결하는 바닥부가 형성되며, 상기 바닥부의 상부로 미리 설정된 높이를 갖도록 배수관이 연장 형성되며, 상측에 위치한 화분의 좌측면 프레임부 및 우측면 프레임부의 하단부가 각각 하측에 위치한 화분의 좌측면 프레임부 및 우측면 프레임부에 끼움 결합되어 상하 적층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본체부; 및 상기 수납부에 끼움 결합되며 하부에 물 공급용 홀이 형성된 화분 케이싱부;를 포함하며, 상기 배수관의 측면에는 높이 차이를 갖는 복수의 배수용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배수용 관통홀에 각각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수 마개가 구비되어, 상기 배수 마개가 상기 배수용 관통홀에 삽입된 상태에 따라 배수 가능 여부 및 본체부 바닥에 보관되는 물의 수위가 가변될 수 있도록 구성된 화분이 개시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flower pots can be stacked and combined in an up-down direction, and a left-side frame part and a right-side frame part are connected to the front side, respectively, at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rear part, and the left-side frame part and the right side At least one receiving portion is connected to the front side of the frame in a form protruding forward, and a bottom portion connecting the rear portion, the left side frame portion, the right side frame portion, and the lower side of the receiving portion is formed. The drain pipe is extended to have a predetermined height, and the lower part of the left frame part and the right frame part of the flower pot located on the upper side are fitted to the left and right frame parts of the flower pot located at the lower side, respectively, so that the vertical stacking is possible. Body part; And a potted casing part fitted into the receiving part and having a water supply hole formed at a lower portion thereof, wherein a plurality of drainage through holes having a height difference are formed on the side of the drain pipe, and each of the drainage through holes A potted plant is disclosed that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drain stopper to be inserted so that whether the drainage stopper can be drained and the level of water stored in the bottom of the main body can be varied according to a state in which the drainage stopper is inserted into the drainage through hole.

바람직하게, 상기 배수 마개는 일단부의 일측 외면에 배수관로홈이 형성되어, 상기 배수 마개가 상기 배수용 관통홀에 삽입된 상태에 따라 배수 가능 여부 및 본체부 바닥에 보관되는 물의 수위가 가변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Preferably, the drainage stopper has a drainage pipe groove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one end thereof, so whether the drainage stopper is inserted into the drainage through hole and whether the drainage is possible and the level of water stored in the bottom of the main body may be varied. Is configured to be

바람직하게, 상기 배수 마개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봉 형상을 가지며, 봉 형상의 일단부의 일측 외면에 배수관로홈이 형성되어 상기 일단부가 상기 배수용 관통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배수가 가능하며, 봉 형상의 타단부는 상기 배수용 관통홀을 밀폐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타단부가 상기 배수용 관통홀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배수가 이뤄지지 않도록 구성된다. Preferably, the drain stopper has a rod shap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drain pipe groove is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one side of one end of the rod shape to allow drainage while the one end is inserted into the drainage through hole, The other end of the rod shape is formed to seal the drainage through hole so that drainage is not performed when the other end is inserted into the drainage through hole.

바람직하게, 상기 배수 마개는, 상기 배수관로홈이 상기 봉 형상의 일단부의 일측 외면에 편심된 위치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봉 형상의 일단부가 상기 배수용 관통홀에 삽입된 방향에 따라 배수관로홈이 위치하는 높이가 서로 다르게 되도록 구성된다. Preferably, the drainage stopper is formed so that the drainage pipe groove extends at an eccentric position on an outer surface of one end of the rod-shaped one end, and the drain pipe groove is form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rod-shaped one end is inserted into the drainage through hole. It is configured to have different heights.

바람직하게, 상기 배수 마개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봉 형상을 가지며, 상기 배수관로홈이 상기 봉 형상의 일단부의 일측 외면에 편심된 위치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봉 형상의 일단부가 상기 배수용 관통홀에 삽입된 방향에 따라 상기 배수관로홈과 상기 수위조절용 관통홈의 연통 여부 및 연통 높이가 가변되어 배수 가능 여부 및 본체부 바닥에 보관되는 물의 수위가 가변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Preferably, the drain plug has a rod shap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drain pipe groove is formed to extend at an eccentric position on one outer surface of one end of the rod shape, so that one end of the rod shape penetrates the drainage According to the direction inserted into the hole, whether or not the drain pipe groove and the through hole for water level adjustment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the height of the communication are variable so that whether drainage is possible and the level of water stored in the bottom of the main body can be varied.

바람직하게, 상기 좌측면 프레임부의 외측면에는 제1 레일부가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우측면 프레임부의 외측면에는 상기 제1 레일부와 슬라이딩 방식으로 맞물림 결합이 가능한 제2 레일부가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하나의 화분의 좌측면 또는 우측면에 또다른 하나의 화분이 상기 맞물림 결합에 의해 결합 가능하다. Preferably, a first rail part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an outer surface of the left frame part, and a second rail part, which can be engaged in sliding engagement with the first rail part,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outer surface of the right frame part. It is formed, and another flower pot can be coupled to the left or right side of one flower pot by the engagement.

바람직하게, 상기 좌측면 프레임부에는 제1 유로용 홀이 횡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며, 상기 우측면 프레임부에는 제2 유로용 홀이 횡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하나의 화분의 좌측 또는 우측에 또다른 하나의 화분이 맞물림 결합된 상태에서, 하나의 화분의 제1 유로용 홀과 또다른 하나의 화분의 제2 유로용 홀이 오링을 개재하여 상호 연통하여, 하나의 화분 내에 보관된 물을 또다른 하나의 화분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Preferably, a first flow path hole is formed through the left side frame portion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the second flow path hole is formed through the right side frame portion in the transverse direction, so that another In a state in which one potted plant is interlocked, the first passage hole of one potted plant and the second passage hole of another potted plant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an O-ring, and water stored in one potted plant is transferred to another. It is configured to be supplied with one pot.

바람직하게, 상기 좌측면 프레임부에는 제1 유로용 홀이 횡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며, 상기 우측면 프레임부에는 제2 유로용 홀이 횡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하나의 화분의 좌측 또는 우측에 또다른 하나의 화분이 인접하여 위치한 상태에서 하나의 화분의 제1 유로용 홀과 또다른 하나의 화분의 제2 유로용 홀을 상호 관통하는 유로관을 통해 하나의 화분 내에 보관된 물을 또다른 하나의 화분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Preferably, a first flow path hole is formed through the left side frame portion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the second flow path hole is formed through the right side frame portion in the transverse direction, so that another In a state in which one potted plant is located adjacent to each other, the water stored in one potted plant is transferred to another one through a passageway pipe mutually penetrating the first passage hole of one potted plant and the second passage hole of another potted plant. It is configured to be supplied as a flower pot.

바람직하게, 상기 유로관의 외주면에는 볼트면이 형성되며, 상기 유로관의 일단부와 타단부에는 각각 상기 볼트면에 나사 결합되는 제1 너트와 제2 너트가 각각 구비되며, 상기 제1 너트는 하나의 화분의 우측면 프레임부 내에서 상기 볼트면과 나사 결합하며, 상기 제2 너트는 또다른 하나의 화분의 좌측면 프레임부 내에서 상기 볼트면과 나사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Preferably, a bolt surface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low pipe, and a first nut and a second nut screwed to the bolt surface are respectively provided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flow pipe, and the first nut It is screwed with the bolt surface in the frame part of the right side of one flower pot, and the second nut is configured to be screwed with the bolt surface in the frame part of the left side of another flower pot.

바람직하게, 상기 유로관의 일단부 및 타단부 하측에는 물흐름을 유도하기 위한 유도 돌기가 구비된다. Preferably, guide protrusions for inducing water flow are provided below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flow path pipe.

바람직하게, 상기 수납부의 내측면의 적어도 일측에는 화분 내측으로 연장된 탄성 날개부가 더욱 구비되며, 상기 탄성 날개부는 수납부의 내부에 수납되는 상기 화분 케이싱부를 탄성 가압하도록 구성된다. Preferably, at least one sid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is further provided with an elastic wing portion extending inwardly, and the elastic wing portion is configured to elastically press the flower pot casing portion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portion.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복수의 화분을 상하 방향으로 적층 결합하거나 좌우방향으로 연결 결합하여 벽면 장식(벽면 녹화)을 위해 사용하는 화분을 제공하되, 복수의 화분에 대한 물공급 및 수위 조절이 용이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lowerpot used for wall decoration (wall greening) by stacking and combining a plurality of flowerpots in an up-down direction or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flowerpots in a horizontal direction, but it is easy to supply water and control the water level to a plurality of flowerpots. It has the advantage of making it happen.

특히 본 발명은, 결합 설치된 다수 화분 내의 물의 수위를 식물 특성을 고려하여 개별 화분별로 서로 다르게 조절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도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facilitating management even when it is necessary to differently control the water level of water in a plurality of pots that are installed in combination in consideration of plant characteristic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분의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화분의 사시도,
도 3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분의 복수개의 결합 상태 사시도,
도 3b는 도 3a의 결합 상태의 화분들을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분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분의 본체부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분의 배수관의 확대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화분의 본체부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화분의 본체부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화분의 횡방향 연결 상태의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분해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로관의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화분의 횡방향 연결 상태의 분해 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화분이 상호 맞물림 결합된 상태의 부분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lower p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A and 2B are perspective views of a flower po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a is a perspective view of a plurality of coupled states of the flower p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B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potted plants in the combined state of FIG. 3A are separated;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lower p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body part of a flower p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drain pipe of a flower p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body part of a flower po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body part of a potted pla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tted plant connected in a transverse dire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9;
11 is a side view of a flow path tub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otted plant connected in a transverse dire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flower pots of FIG. 12 are engaged with each other.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other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main features thereof. Therefor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merely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limiting.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elem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element, and similarly, a second element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elem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another component may exist in the middle.

본 출원에서 사용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구성요소 또는 이들의 조합이 존재하는 것을 표현하려는 것이지, 다른 구성요소 또는 특징이 존재 또는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The singular expression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includes a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include", "include", "have", and the like are intended to express the existence of elemen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the possibility that other elements or features may exist or be added. It is not excluded in advanc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분의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화분의 사시도, 도 3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분의 복수개의 결합 상태 사시도, 도 3b는 도 3a의 결합 상태의 화분들을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분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분의 본체부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분의 배수관의 확대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화분의 본체부의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lower p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2a and 2b is a perspective view of a flower po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3a is a plurality of flower po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erspective view of a combined state, FIG. 3B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potted plants in the combined state of FIG. 3A are separated,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lower p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view showing a flower p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erspective view of the body part, FIG. 6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drain pipe of the flower p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ody part of the flower po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의 화분은, 복수의 화분(10)을 상하 방향으로 적층 결합하여 사용 가능한 화분(10)으로서, 본체부(100)와 화분 케이싱부(200)를 포함한다. The flower pot of this embodiment is a flower pot 10 that can be used by stacking and combining a plurality of flower pots 10 in an up-down direction, and includes a body part 100 and a flower pot casing part 200.

본체부(10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납부(114,116)가 구비되며, 수납부(114,116)에는 화분 케이싱부(200)가 끼움 결합된다. 수납부(114,116)는 도 1과 같이 좌측 수납부(114) 및 우측 수납부(116) 2개가 구비될 수도 있으며, 도 2a와 같이 1개가 구비될 수도 있으며, 도 2b와 같이 3개 또는 그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 편의상 2개의 수납부가 구비된 경우를 예시설명하며, 특별한 언급이 없는한 본 실시예의 구성은 수납부가 1개 또는 3개 이상인 경우에도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At least one receiving portion 114 and 116 is provided in the main body 100, and a flower pot casing 200 is fitted to the receiving portions 114 and 116. As shown in FIG. 1, two storage units 114 and 116 may be provided, and one may be provided as shown in FIG. 2A, and three or more as shown in FIG. 2B. This may be provided. In this embodiment,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 case in which two accommodating units are provided is exemplified,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can be applied in common even when there are one or three or more accommodating units unless otherwise specified.

상기 본체부(100)에는, 후면부(102)의 좌우 양단에 각각 좌측면 프레임부(104) 및 우측면 프레임부(106)가 전방(F) 측으로 연결 형성되고, 상기 좌측면 프레임부(104)의 전단 측에 좌측 수납부(114)가 전방(F)으로 돌출된 형태로 연결 형성되며, 상기 우측면 프레임부(106)의 전단 측에 우측 수납부(116)가 전방(F)으로 돌출된 형태로 연결 형성된다. 좌측 수납부(114) 및 우측 수납부(116)는 대략 "ㄷ" 자 형상으로 돌출되고 전방측으로 상향 경사진 바닥면을 갖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좌측면 프레임부(104) 및 우측면 프레임부(106)는 각각 측면벽체 역할을 하며, 하부면에 다리 역할을 하는 지지부(부호 미도시)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는 상하 적층 시에 결합부의 역할도 한다. In the main body portion 100, a left frame portion 104 and a right side frame portion 106 are formed connected to the front (F) side, respectively, at left and right ends of the rear portion 102, and the left side frame portion 104 The left receiving part 114 is connected to the front side in a form protruding forward (F), and the right receiving part 116 protrudes forward (F) on the front end side of the right frame part 106 Connection is formed. The left accommodating part 114 and the right accommodating part 116 may be formed to have a bottom surface that protrudes in a substantially "C" shape and inclined upward toward the front side,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left-side frame portion 104 and the right-side frame portion 106 each serve as a side wall, and a support portion (not shown) serving as a leg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The support portion also serves as a coupling portion when stacked up and down.

또한, 상기 본체부(100)에는, 상기 좌측 수납부(114)의 중앙측 단부(114a)와 우측 수납부(116)의 중앙측 단부(116a)가 중앙 프레임부(108)를 통해 중앙 측에서 연결된다. 중앙 프레임부(108)는 좌측 수납부(114)와 우측 수납부(116)를 연결하는 연결부로서 하부면에 다리 역할을 하는 지지부(부호 미도시)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는 상하 적층 시에 결합부의 역할도 한다. 수납부가 1개인 경우에는 중앙 프레임부에 해당하는 요소가 없을 수도 있으며, 수납부가 3개인 경우에는 중앙 프레임부가 중앙 측 수납부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구비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in the main body portion 100, a central end portion 114a of the left receiving portion 114 and a central end portion 116a of the right receiving portion 116 are provided at the center side through the central frame portion 108. Connected. The central frame part 108 is a connection part connecting the left receiving part 114 and the right receiving part 116 and has a supporting part (not shown) acting as a leg on the lower surface. The support portion also serves as a coupling portion when stacked up and down. When there is one receiving unit, there may not be an element corresponding to the central frame unit, and when there are three receiving units, the central frame unit may be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entral receiving unit, respectively.

또한, 상기 본체부(100)에는, 상기 후면부(102), 좌측면 프레임부(104), 우측면 프레임부(106), 좌측 수납부(114) 및 우측 수납부(116)의 하부 측을 연결하는 바닥부(110)가 형성된다. 바닥부(110)는 물을 저장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In addition, in the main body 100, the rear portion 102, the left side frame portion 104, the right side frame portion 106, the left receiving portion 114, and connecting the lower side of the right receiving portion 116 The bottom portion 110 is formed. The bottom part 110 provides a function of storing water.

또한, 상기 본체부(100)에는, 상기 바닥부(110)의 상부로 미리 설정된 높이를 갖도록 배수관(120)이 연장 형성된다. 배수관(120)은 예를 들어, 원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In addition, in the main body portion 100, a drain pipe 120 is extended to have a predetermined height above the bottom portion 110. The drain pipe 120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for example,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배수관(120)에는 배수용 관통홀(120a)이 형성된다. A drainage through hole 120a is formed in the drain pipe 120.

일예로, 도 5 및 도 6에 예시된 것처럼, 상기 배수관(120)은 측면에 배수용 관통홀(120a)이 형성되고, 상기 배수용 관통홀(120a)에 삽입되며 일단부의 일측 외면에 배수관로홈(130a)이 형성된 배수 마개(130)가 구비된다. 상기 배수 마개(130)가 상기 배수용 관통홀(120a)에 삽입된 상태에 따라 배수 가능 여부 및 본체부(100) 바닥에 보관되는 물의 수위가 가변될 수 있다. 일예로, 도 5 및 도 6와 같은 구조의 경우, 배수관(120)의 상부면은 물이 통과하지 않도록 밀폐 형성되거나 마개로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배수관(120)의 하단부에는 유연한 배관용 호스가 삽입되어 하부로 물 배출 시 물의 배출 방향을 호스로 유도할 수도 있다. As an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S. 5 and 6, the drain pipe 120 has a drainage through hole 120a formed on the side thereof, is inserted into the drainage through hole 120a, and is a drainage pipe at one outer surface of one end portion. A drain stopper 130 in which a groove 130a is formed is provided. Depending on the state in which the drainage stopper 130 is inserted into the drainage through hole 120a, whether or not drainage is possible and the level of water stored in the bottom of the main body 100 may be varied.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structure as shown in FIGS. 5 and 6, the upper surface of the drain pipe 120 may be formed to be sealed so that water does not pass through, or may be configured to be opened and closed with a stopper. A flexible pipe hose is inserted into the lower end of the drain pipe 120 to guide the water discharge direction to the hose when water is discharged downward.

일예로, 수경 재배 식물의 경우 물의 수위가 높게 유지되는 것이 좋으며, 토경 재배 식물의 경우 물의 수위가 상대적으로 낮게 유지되는 것이 좋다. 화분으로 재배하고자 하는 식물이 수경 재배 식물인지 또는 토경 재배 식물인지에 따라 물의 수위가 적절하게 가변 조절될 필요가 있다. 본 실시예의 화분은 화분의 수위를 가변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하나의 화분으로 수경 재배 식물과 토경 재배 식물을 모두 재배할 수 있다. For example, in the case of hydroponic plants, the water level is preferably maintained high, and in the case of terrestrial plants, the water level is preferably maintained relatively low. The water level needs to be appropriately variably adjusted depending on whether the plant to be cultivated in a pot is a hydroponic plant or a terrestrial plant. The potted plant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figured to variably adjust the water level of the potted plant, so that both hydroponic cultivated plants and terrestrial cultivated plants can be grown with one pot.

도 3a 및 도 3b에 예시된 것처럼 상기 본체부(100)는, 상측에 위치한 화분(10-1)의 좌측면 프레임부(104) 및 우측면 프레임부(106)의 하단부(지지부)가 각각 하측에 위치한 화분(10-2)의 좌측면 프레임부(104) 및 우측면 프레임부(106)의 상부에 끼움 결합되어 상하 적층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As illustrated in FIGS. 3A and 3B, the main body part 100 has a lower end (support part) of the left side frame part 104 and the right side frame part 106 of the flower pot 10-1 located on the upper side, respectively. It is fit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rame portion 104 on the left side and the frame portion 106 on the right side of the placed flower pot 10-2, and is configured to be stacked up and down.

상하 적층된 상태에서 안정된 결합 상태를 제공하기 위해, 도 5에 예시된 것처럼 내부 보강편(107)이 구비되고, 내부 보강편(107)의 상부에 상측 화분(10)의 하부 테두리가 끼움 결합되는 끼움홈(107a)이 형성될 수도 있다. In order to provide a stable coupling state in the vertically stacked state, the inner reinforcing piece 107 is provided as illustrated in FIG. 5, and the lower rim of the upper pot 10 is fitted and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inner reinforcing piece 107. A fitting groove 107a may be formed.

상기 화분 케이싱부(200)는 상기 좌측 수납부(114) 및 우측 수납부(116)에 각각 끼움 결합되며 하부에 물 공급용 홀(200a)이 형성된다. 화분 케이싱부(200) 내부에 심겨 있는 꽃이나 식물은 물 공급용 홀(200a)을 통해 본체부(100) 바닥에 보관되는 물을 흡수할 수 있다. The flower pot casing part 200 is fitted to the left receiving part 114 and the right receiving part 116, respectively, and a water supply hole 200a is formed at the bottom thereof. Flowers or plants planted in the potted casing 200 may absorb water stored in the bottom of the main body 100 through the water supply hole 200a.

꽃이나 식물의 종류, 또는 수경재배/토경재배 여부에 따라 본체부(100) 바닥에 보관되는 물의 수위가 높거나 낮게 가변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배수 마개(130)가 상기 배수용 관통홀(120a)에 삽입된 상태(예, 마개 삽입 방향, 마개 삽입 높이, 관통홀의 방향)에 따라 배수 가능 여부 및 본체부(100) 바닥에 보관되는 물의 수위가 가변될 수 있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stored on the bottom of the main body 100 is varied depending on the type of flower or plant, or hydroponics/land culture, and the drainage stopper 130 is provided with the drainage through hole 120a. ), depending on the inserted state (eg, the stopper insertion direction, the stopper insertion height, and the direction of the through hole), whether water can be drained and the level of water stored in the bottom of the main body 100 may be varied.

바람직하게, 도 6에 예시된 것처럼, 상기 배수용 관통홀(120a)은 복수개가 형성되고, 각각의 배수용 관통홀(120a',120a'',120a''')은 높이 차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배수 마개(130)는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어, 상기 배수 마개(130)가 상기 배수용 관통홀(120a',120a'',120a''')에 삽입된 상태에 따라 배수 가능 여부 및 본체부(100) 바닥에 보관되는 물의 수위가 가변될 수 있다. Preferably, as illustrated in FIG. 6, a plurality of through-holes 120a for drainage are formed, and each of through-holes for drainage (120a', 120a', 120a'') is formed to have a height difference. , The drainage stopper 130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and whether the drainage stopper 130 can be drained according to the state in which the drainage stopper 130 is inserted into the drainage through hole 120a', 120a', 120a' The level of water stored on the bottom of the unit 100 may be varied.

바람직하게, 상기 배수 마개(130)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봉 형상을 가지며, 봉 형상의 일단부(130')의 일측 외면에 배수관로홈(130a)이 형성되어 상기 일단부(130')가 상기 배수용 관통홀(120a)에 삽입된 상태에서 본체부(100) 바닥에 저장된 물이 배수관로홈(130a) 및 배수용 관통홀(120a)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배수관(120)의 하부의 개구면을 통해 본체부(100) 하부 외측으로 배수가 가능하다. 이렇게 하부 외측으로 배수된 물은 하부에 결합된 또다른 화분(10)으로 낙하하여 공급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drainage stopper 130 has a rod shap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drain pipe groove 130a is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one side of the rod-shaped one end 130 ′, so that the one end 130 ′ Is inserted into the drainage through-hole 120a, the water stored in the bottom of the main body 100 sequentially passes through the drainage pipe groove 130a and the drainage through hole 120a, Drainage is possible outside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100 through the opening surface. The water drained out of the lower part may drop and be supplied to another flower pot 10 coupled to the lower part.

봉 형상의 타단부(130'')는 상기 배수용 관통홀(120a)을 밀폐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타단부(130'')가 상기 배수용 관통홀(120a)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배수가 이뤄지지 않도록 구성된다. The rod-shaped other end 130 ″ is formed to seal the drainage through hole 120a so that drainage is not performed when the other end 130 ″ is inserted into the drainage through hole 120a. Is configured not to.

또한, 상기 배수 마개(130)는, 상기 배수관로홈(130a)이 상기 봉 형상의 일단부의 일측 외면에 편심된 위치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봉 형상의 일단부(130')가 상기 배수용 관통홀(120a)에 삽입된 방향에 따라 배수관로홈(130a)이 위치하는 높이가 서로 다르게 되도록 구성된다. In addition, the drainage stopper 130, the drain pipe groove (130a) is formed to extend at an eccentric position on the outer surface of one side of the rod-shaped one end, the rod-shaped one end (130') through the drainage It is configured such that the height at which the drain pipe groove 130a is located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according to the direction inserted into the hole 120a.

도 6을 참조하면, 가장 아래쪽의 배수용 관통홀(120a''')에 삽입되는 배수 마개(130)는 배수용 관통홀(120a''')을 밀폐하여 물이 배수되지 않도록 하며, 중간의 배수용 관통홀(120a'')에 삽입되는 배수 마개(130)는 배수용 관통홀(120a'')을 밀폐하지 않고 배수관로홈(130a)에 의해 물이 배수될 수 있는 상태로 만들며, 가장 윗쪽의 배수용 관통홀(120a')은 배수용 관통홀(120a')을 밀폐하여 물이 배수되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도 6의 경우, 가운데 배수용 관통홀(120a'')로만 저장된 물이 하부로 배수될 수 있으므로, 내부에 저장된 물의 수위도 가운데 배수용 관통홀(120a'')의 높이, 더욱 구체적으로는 가운데 배수용 관통홀(120a'')에 결합된 배수 마개(130)의 배수관로홈(130a)이 위치하는 높이로 유지된다. Referring to FIG. 6, the drain plug 130 inserted into the drainage through hole 120a''' at the bottom closes the drainage through hole 120a''' to prevent water from being drained. The drain plug 130 inserted into the drainage through-hole 120a'' does not seal the drainage through-hole 120a'' and makes water in a state in which water can be drained by the drainage pipe groove 130a. The upper drainage through hole 120a' seals the drainage through hole 120a' to prevent water from being drained. In the case of FIG. 6 through this configuration, since the water stored only in the middle drainage through hole 120a'' can be drained downward, the height of the drainage through hole 120a'' in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stored therein, more Specifically, the drainage pipe groove 130a of the drain stopper 130 coupled to the center drainage through hole 120a″ is maintained at a height.

한편, 가운데 배수용 관통홀(120a'')에 결합된 배수 마개(130)의 배수관로홈(130a)이 상측에 위치할 때에는 수위가 더욱 높게 유지되며, 배수관로홈(130a)이 하측에 위치할 때에는 수위가 상대적으로 낮게 유지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drainage pipe groove 130a of the drain stopper 130 coupled to the center drainage through hole 120a'' is located at the upper side, the water level is maintained higher, and the drain pipe groove 130a is located at the lower side When doing so, the water level is kept relatively low.

그러므로 화분(10)의 수위를 크게 조절할 경우에는 배수 마개(130)의 삽입 방향 및 위치를 조절하면 되고, 수위를 미세 조절할 경우에는 배수용 관통홀(120a'')을 밀폐하지 않도록 삽입된 배수 마개(130)의 배수관로홈(130a)의 위치를 상/중/하로 조절하면 된다. Therefore, when the water level of the flowerpot 10 is largely adjusted, the insertion direction and position of the drainage stopper 130 can be adjusted, and when the water level is finely adjusted, the drainage stopper inserted so as not to seal the drainage through hole 120a'' The position of the drain pipe groove (130a) of (130) can be adjusted to the upper / middle / lower.

예를 들어, 도 3a 및 도 3b의 화분 중 가장 높은 층의 화분(10-1)에는 물의 수위를 높게 유지할 필요가 있고, 나머지 층의 화분(10-2,10-n)에는 물의 수위를 낮게 유지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수위 조절이 이뤄질 수 있다. For example, it is necessary to keep the water level high in the flowerpot 10-1 of the highest layer among the flowerpots of FIGS. 3A and 3B, and lower the water level in the flowerpots 10-2 and 10-n of the remaining layers. If there is a need to maintain, the water level can be adjusted as follows.

가장 높은 층의 화분(10-1)의 경우, 도 6과 같은 배수관(120)의 구조에서 가장 상측 배수용 관통홀(120a')은 배수가 가능한 상태로 배수 마개(130)를 삽입하고 중간 및 가장 하측의 배수용 관통홀(120a'',120a''')은 밀폐 상태를 이루도록 배수 마개(130)를 삽입한다. In the case of the potted plant 10-1 of the highest layer, in the structure of the drain pipe 120 as shown in FIG. 6, the drainage stopper 130 is inserted into the uppermost drainage through hole 120a' in a state in which drainage is possible. The drainage stopper 130 is inserted into the lowermost through-holes 120a ″ and 120a ″′ for drainage to form a sealed state.

나머지 층의 화분(10-2,10-n)의 경우, 도 6과 같은 배수관(120)의 구조에서 중간 또는 가장 하측의 배수용 관통홀(120a'' 또는 120a''')은 배수가 가능한 상태로 배수 마개(130)를 삽입하고 가장 상측 배수용 관통홀(120a')은 밀폐 상태를 이루도록 배수 마개(130)를 삽입한다.In the case of the pots (10-2, 10-n) of the remaining layers, in the structure of the drain pipe 120 as shown in FIG. 6, the drainage through hole 120a'' or 120a''' at the middle or the lowermost side is capable of draining The drain stopper 130 is inserted in a state, and the drain stopper 130 is inserted so that the uppermost through-hole 120a' for drainage is sealed.

이러한 방식으로 다수개가 적층된 화분(10)에 있어서 화분(10)마다 별도로 수위 조절이 가능하다. In this way, in the pots 10 in which a plurality of are stacked, the water level can be separately adjusted for each pot 10.

한편, 배수용 관통홀(120a)의 형상 및 배수 마개(130)의 단면 형상은 반드시 원형일 필요는 없으며, 상기 기능 제공이 가능한 범위에서 변형 가능하다. On the other hand, the shape of the drainage through-hole 120a and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drain stopper 130 do not necessarily have to be circular, and may be modified within the range in which the above function can be provided.

한편, 도 7의 실시예의 경우, 상기 배수용 관통홀(120a)은 배수관의 상단면에 형성되고, 상기 배수관(120)의 측면에는 상하 높이 차이를 갖도록 사선 형태로 연장된 수위조절용 관통홈(120b)이 형성되며, 상기 배수 마개(130)가 상기 배수용 관통홀(120a)에 삽입된 상태(삽입 깊이, 회전 방향)에 따라 배수 가능 여부 및 본체부 바닥에 보관되는 물의 수위가 가변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embodiment of FIG. 7, the drainage through hole 120a is formed on the top surface of the drain pipe, and the side of the drain pipe 120 extends in a diagonal shape to have a vertical height difference. ) Is formed, and whether water can be drained and the level of water stored at the bottom of the main body may be varied depending on the state in which the drainage stopper 130 is inserted into the drainage through hole 120a (insertion depth, rotation direction). .

일예로, 배수 마개(130)는 상기 배수용 관통홀(120a)에 삽입된 깊이를 사용자가 조절할 수 있다. As an example, the user may adjust the depth of the drainage stopper 130 inserted into the drainage through hole 120a.

또한, 배수 마개(130)는 상기 배수용 관통홀(120a)에 삽입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P1 방향 또는 P2 방향으로 회전(자전)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회전 조작에 의해 배수용 관통홀(120a)에 삽입된 상태의 배수 마개(130)의 배수관로홈(130a)의 방향도 회전된다. In addition, the drain stopper 130 can be rotated (rotated) in the direction P1 or P2 by the user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drainage through hole 120a, and by such a rotation operation, the drainage stopper 130 is inserted into the drainage through hole 120a. The direction of the drainage pipe groove 130a of the drain plug 130 in the inserted state is also rotated.

배수 마개(130)의 배수관로홈(130a)의 삽입 깊이가 변화되거나 방향이 회전됨에 따라, 상기 배수관로홈(130a)과 상기 수위조절용 관통홈(120b)의 연통 여부 및 연통 높이가 가변되며, 이에 따라 배수 가능 여부 및 본체부 바닥에 보관되는 물의 수위가 가변될 수 있다. As the insertion depth of the drainage pipe groove 130a of the drainage stopper 130 is changed or the direction is rotated, whether the drainage pipe groove 130a and the water level adjustment through groove 120b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the communication height are varied, Accordingly, whether drainage is possible and the level of water stored on the bottom of the main body may be varied.

일예로, 배수 마개(130)를 상기 수위조절용 관통홈(120b)의 최하단 위치보다 더 깊이 삽입한 상태에서 배수관로홈(130a)과 상기 수위조절용 관통홈(120b)의 연통이 이뤄지지 않는 방향으로 배수 마개(130)를 회전(자전)시키면 수위조절용 관통홈(120b)을 통해 물이 배수되지 않는다. For example, in a state where the drainage stopper 130 is inserted deeper than the lowest position of the water level adjustment through hole 120b, drainage in a direction in which communication between the drainage pipe groove 130a and the water level adjustment through hole 120b is not made When the stopper 130 is rotated (rotated), water is not drained through the water level adjustment through groove 120b.

다른예로, 배수관로홈(130a)과 상기 수위조절용 관통홈(120b)의 연통이 이뤄지는 높이가 높은 위치가 되도록 배수 마개(130)를 회전(자전)시키면 배수가 이뤄지는 연통부의 높이가 높아지므로 본체부 바닥에 보관되는 물의 수위가 높게 유지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when the drain stopper 130 is rotated (rotated) so that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drainage pipe groove 130a and the water level adjustment through hole 120b is at a high position, the height of the communication part for draining is increased, so the main body The level of water stored at the bottom can be kept high.

다른예로, 배수관로홈(130a)과 상기 수위조절용 관통홈(120b)의 연통이 이뤄지는 높이가 낮은 위치가 되도록 배수 마개(130)를 회전(자전)시키면 배수가 이뤄지는 연통부의 높이가 낮아지므로 본체부 바닥에 보관되는 물의 수위가 낮게 유지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when the drainage stopper 130 is rotated (rotated) so that the height at which the drainage pipe groove 130a and the through hole 120b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s low, the height of the communication part for drainage is lowered. The level of water stored at the bottom can be kept low.

도 8은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화분의 본체부의 사시도이다.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body part of a flower po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의 화분은, 복수의 화분의 횡방향 결합이 가능한 구성을 더욱 포함한다. The flower pot of this embodiment further includes a configuration in which a plurality of flower pots can be horizontally coupled.

이를 위해, 본 실시예의 화분은, 상기 좌측면 프레임부(104)의 외측면에는 제1 레일부(142)가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우측면 프레임부(106)의 외측면에는 상기 제1 레일부(142)와 슬라이딩 방식으로 맞물림 결합이 가능한 제2 레일부(144)가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하나의 화분(10)의 좌측면 또는 우측면에 또다른 하나의 화분(10)이 상기 맞물림 결합에 의해 결합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To this end, in the flower pot of this embodiment, a first rail part 142 is formed to extend in a vertical direction on an outer surface of the left frame part 104, and the first rail part 142 is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right frame part 106. A second rail part 144 that can be engaged with the rail part 142 in a sliding manner is extended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another flower pot 10 is located on the left or right side of one flower pot 10. It is configured to be engageable by engaging coupling.

제1 레일부(142) 및 제2 레일부(144)는 요부 단면과 홈부 단면을 갖는 다양한 공지의 슬라이딩 결합부의 단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rail portion 142 and the second rail portion 144 may be formed to have a cross-sectional shape of various known sliding coupling portions having a concave portion and a groove portion.

제1 레일부(142) 또는 제2 레일부(144)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에는 결합 위치를 미리 설정된 위치로 제한하기 위해 걸림부가 더욱 구비될 수도 있다. A locking part may be further provided at an upper end or a lower end of the first rail part 142 or the second rail part 144 to limit the coupling position to a preset position.

본 실시예의 화분은, 다양한 크기를 갖는 화분 케이싱부(200)를 안정적으로 수납하기 위한 구성을 더욱 포함한다. The flower pot of this embodiment further includes a configuration for stably accommodating the flower pot casing part 200 having various sizes.

이를 위해, 본 실시예의 화분은, 상기 좌측 수납부(114)와 중앙 프레임부(108)가 연결되는 위치에 상기 좌측 수납부(114)로부터 화분(10) 내측으로 연장된 좌측 탄성 날개부(114b)가 더욱 구비되며, 상기 우측 수납부(116)와 중앙 프레임부(108)가 연결되는 위치에 상기 우측 수납부(116)로부터 화분(10) 내측으로 연장된 우측 탄성 날개부(116b)가 더욱 구비된다. To this end, the flower pot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a left elastic wing portion 114b extending from the left storage portion 114 to the inside of the flower pot 10 at a position where the left storage portion 114 and the central frame portion 108 are connected. ) Is further provided, and a right elastic wing part 116b extending from the right receiving part 116 to the inside of the flower pot 10 is further provided at a position where the right receiving part 116 and the central frame part 108 are connected. It is equipped.

상기 좌측 탄성 날개부(114b) 또는 우측 탄성 날개부(116b)는 좌측 수납부(114) 또는 우측 수납부(116)의 내부에 수납되는 상기 화분 케이싱부(200)를 탄성 가압하도록 구성된다. The left elastic wing portion 114b or the right elastic wing portion 116b is configured to elastically press the potted plant casing portion 200 accommodated in the left receiving portion 114 or the right receiving portion 116.

본 실시예의 화분은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좌측 탄성 날개부(114b) 및 우측 탄성 날개부(116b)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의 부재로 제작되어 화분(10)에 끼움 조립될 수도 있다. The flower pot of this embodiment may be formed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having elasticity, and the left elastic wing portion 114b and the right elastic wing portion 116b are integrally formed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having elasticity or are made of a separate member. It can also be assembled to fit in (10).

좌측 탄성 날개부(114b) 및 우측 탄성 날개부(116b)를 통해, 좌측 수납부(114) 또는 우측 수납부(116)의 개구부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화분 케이싱부(200)도 흔들거리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수납될 수 있다. 또한, 좌측 수납부(114) 또는 우측 수납부(116)의 개구부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다양한 크기의 일반 화분도 흔들거리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수납될 수 있다. Through the left elastic wing portion 114b and the right elastic wing portion 116b, the potted casing portion 200 having a size smaller than the opening of the left receiving portion 114 or the right receiving portion 116 is also stably prevented from shaking. Can be stored. In addition, ordinary flower pots of various sizes having a size smaller than the opening of the left receiving part 114 or the right receiving part 116 may be stably accommodated so as not to shake.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 편의상 2개의 수납부가 구비된 경우를 예시설명하지만, 수납부가 1개 또는 3개 이상인 경우에도 탄성 날개부가 상기 예시와 유사한 형태로 각각의 수납부에 1개 또는 2개 형성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 case where two storage units are provided is illustrated, but even when one or three or more storage units are provided, one or two elastic wing parts may be formed in each storage unit in a similar shape to the above example. have.

도 9는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화분의 횡방향 연결 상태의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분해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로관의 측면도이다.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tted plant in a transverse connection sta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9, and FIG. 11 is a side view of a flow path pi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의 화분은, 복수의 화분이 횡방향 결합되어 횡방향으로 물을 공급하는 구성을 더욱 포함한다. The flower pot of this embodiment further includes a configuration in which a plurality of flower pots are horizontally coupled to supply wat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이를 위해, 본 실시예의 화분은, 상기 좌측면 프레임부(104)에는 제1 유로용 홀(104a)이 횡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며, 상기 우측면 프레임부(106)에는 제2 유로용 홀(106a)이 횡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To this end, in the flower pot of this embodiment, a first flow path hole 104a is formed through the left side frame part 104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the second flow path hole 106a is formed in the right side frame part 106. It is formed through in the transverse direction.

상기 구성을 통해, 본 실시예의 화분은, 하나의 화분(10)의 좌측 또는 우측에 또다른 하나의 화분(10)이 인접하여 위치한 상태에서 하나의 화분(10)의 제1 유로용 홀(104a)과 또다른 하나의 화분(10)의 제2 유로용 홀(106a)을 상호 관통하는 유로관(150)을 통해 하나의 화분(10) 내에 보관된 물을 또다른 하나의 화분(10)으로 횡방향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Through the above configuration, the flower pot of this embodiment is the first flow path hole 104a of one flower pot 10 while another flower pot 10 is located adjacent to the left or right side of one flower pot 10 ) And the water stored in one flower pot 10 through the flow path pipe 150 mutually penetrating the second flow path hole 106a of the other flower pot 10 into another flower pot 10 It is configured to be suppli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바람직하게, 상기 유로관(150)의 외주면에는 볼트면(151)이 형성되며, 상기 유로관(150)의 일단부(150')와 타단부(150'')에는 각각 상기 볼트면(151)에 나사 결합되는 제1 너트(152a)와 제2 너트(152b)가 각각 구비되며, 상기 제1 너트(152a)는 하나의 화분(10)의 우측면 프레임부(106) 내에서 상기 볼트면(151)과 나사 결합하며, 상기 제2 너트(152b)는 또다른 하나의 화분(10)의 좌측면 프레임부(104) 내에서 상기 볼트면(151)과 나사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미설명 부호 190은 유로관(150)이 삽입되지 않는 유로용 홀을 밀폐하기 위한 마개이다. Preferably, a bolt surface 151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low path pipe 150, and the bolt surface 151 is formed at one end 150 ′ and the other end 150 ″ of the flow pipe 150, respectively. A first nut 152a and a second nut 152b screwed to each other are provided, and the first nut 152a is the bolt surface 151 in the frame part 106 on the right side of one flower pot 10. ) And screwed together, and the second nut 152b is configured to be screwed with the bolt surface 151 in the frame portion 104 of the left side of another flower pot 10. Reference numeral 190, which is not described, is a stopper for sealing a hole for a passage through which the passage pipe 150 is not inserted.

상기 유로관(150)에는 하나 이상의 오링(155)이 삽입되되, 제1 너트(152a)와 우측면 프레임부(106)의 내측면 사이의 위치, 우측면 프레임부(106)의 외측 위치, 제2 너트(152b)와 좌측면 프레임부(104)의 내측면 사이의 위치, 좌측면 프레임부(104)의 외측 위치 등에 삽입 설치되어, 화분(10) 내의 물이 외부로 새어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One or more O-rings 155 are inserted into the flow path pipe 150, the position between the first nut 152a and the inner side of the frame part 106 on the right side, the outer position of the frame part 106 on the right side, and the second nut It is inserted and installed in a position between (152b)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left frame portion 104, the outer position of the left frame portion 104, etc., it is possible to prevent water in the flower pot 10 from leaking out.

제1 너트(152a) 및 제2 너트(152b)를 서로 인접하는 방향으로 조이면, 횡방향으로 위치한 2개의 화분(10)을 단단하게 결합할 수 있다. When the first nut 152a and the second nut 152b are tightened in a direction adjacent to each other, the two pots 10 locat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can be firmly coupled.

한편, 상기 유로관(150)의 일단부(150')와 타단부(150'') 하측에는 물흐름을 유도하기 위한 유도 돌기(153)가 구비될 수 있다. 유도 돌기(153)는 유로관(150)으로부터 배출되는 물이 다른 곳으로 흘러가지 않고, 유로관(150) 하부로 낙하하도록 유도하는 기능을 한다. Meanwhile, a guide protrusion 153 for inducing a water flow may be provided below the one end 150 ′ and the other end 150 ″ of the flow path pipe 150. The guide protrusion 153 functions to induce water discharged from the flow path pipe 150 to fall below the flow path pipe 150 without flowing to other places.

유도 돌기(153)는 탄성 변형이 가능한 소재로 제작되어 유로관(150)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조립에 의한 결합이 이뤄질 수 있다. 미설명 부호 157은 유로관의 내부면으로서 유도 돌기(153)가 도 11에 도시된 형태로 내외부면에 걸친 형태로 삽입 결합될 수 있다. The guide protrusion 153 may be made of a material capable of elastic deformation and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flow channel 150 or may be coupled by assembly. Reference numeral 157, which is not described, is an inner surface of the flow pipe, and the guide protrusion 153 may be inserted and coupled to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in the form shown in FIG. 11.

도 12는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화분의 횡방향 연결 상태의 분해 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화분이 상호 맞물림 결합된 상태의 부분 단면도이다. 1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otted plant in a transverse connection sta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3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pots of FIG. 12 are engaged with each other.

본 실시예의 화분은, 상기 좌측면 프레임부(104)에는 제1 유로용 홀(104a)이 횡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며, 상기 우측면 프레임부(106)에는 제2 유로용 홀(106a)이 횡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In the flower pot of this embodiment, a first flow path hole 104a is formed through the left side frame part 104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the second flow path hole 106a is formed in the right side frame part 106 in the transverse direction. Is formed through.

하나의 화분(10)의 좌측 또는 우측에 또다른 하나의 화분(10)이 상술한 제1 레일부(142)와 제2 레일부(144)를 이용하여 슬라이딩 방식으로 맞물림 결합된 상태에서 하나의 화분(10)의 제1 유로용 홀(104a)과 또다른 하나의 화분(10)의 제2 유로용 홀(106a)이 오링(155)을 개재하여 상호 연통하여, 하나의 화분 내에 보관된 물을 또다른 하나의 화분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Another flower pot 10 on the left or right side of one flower pot 10 is in a sliding manner using the above-described first rail part 142 and the second rail part 144. The first flow path hole 104a of the flower pot 10 and the second flow path hole 106a of the other flower pot 10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the O-ring 155, It is configured so that it can be supplied as another flower pot.

오링(155)은 하나의 화분(10)의 제1 유로용 홀(104a)의 일측면에 형성된 요홈 형상의 단차부와 또다른 하나의 화분(10)의 제2 유로용 홀(106a)의 일측면에 형성된 요홈 형상의 단차부 내에 약간의 탄성 압축된 상태로 수납되어, 제1 유로용 홀(104a) 및 제2 유로용 홀(106a)의 결합부를 통해 물이 새어나가지 않도록 하면서 양측 화분의 맞물림 결합면을 밀착되도록 설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The O-ring 155 is a groove-shaped step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flow path hole 104a of one flowerpot 10 and one of the second flow path hole 106a of another flowerpot 10 It is accommodated in a state of being slightly elastically compressed in the stepped portion of the groove shape formed on the side, so that water does not leak through the coupling portion of the first flow path hole 104a and the second flow path hole 106a, while the two pots are engaged. The installation state can be maintained so that the mating surface is in close contact.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하고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돼야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many various and obv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is description. Accordingl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by the claims described to cover these many variations.

10: 화분
100: 본체부
102: 후면부
104: 좌측면 프레임부
104a: 제1 유로용 홀
106: 우측면 프레임부
106a: 제2 유로용 홀
108: 중앙 프레임부
110: 바닥부
114: 좌측 수납부
114b: 좌측 탄성 날개부
116: 우측 수납부
116b: 우측 탄성 날개부
120: 배수관
120a: 배수용 관통홀
130: 배수 마개
130a: 배수관로홈
142: 제1 레일부
144: 제2 레일부
150: 유로관
200: 화분 케이싱부
200a: 물 공급용 홀
10: flower pot
100: main body
102: rear part
104: left side frame portion
104a: hole for the first flow path
106: right side frame part
106a: hole for the second flow path
108: central frame portion
110: bottom
114: left compartment
114b: left elastic wing portion
116: right compartment
116b: right elastic wing portion
120: drain pipe
120a: through hole for drainage
130: drain plug
130a: drain pipe groove
142: first rail part
144: second rail part
150: Euro tube
200: flower pot casing part
200a: hole for water supply

Claims (1)

바닥부의 상부로 미리 설정된 높이를 갖도록 배수관이 연장 형성된 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배수관에는 배수용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배수용 관통홀에 삽입되며 일단부의 일측 외면에 배수관로홈이 형성된 배수 마개가 구비되어, 상기 배수 마개가 상기 배수용 관통홀에 삽입된 상태에 따라 배수 가능 여부 및 본체부 바닥에 보관되는 물의 수위가 가변될 수 있으며,
상기 배수용 관통홀은 배수관의 상단면에 형성되고, 상기 배수관의 측면에는 상하 높이 차이를 갖도록 하나의 사선 형태로 연장된 수위조절용 관통홈이 형성되며, 상기 배수 마개가 상기 배수용 관통홀에 삽입된 상태에 따라 배수 가능 여부 및 본체부 바닥에 보관되는 물의 수위가 가변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배수 마개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봉 형상을 가지며, 상기 배수관로홈이 상기 봉 형상의 일단부의 일측 외면에 편심된 위치에 연장 형성되고, 상기 배수용 관통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일방향 또는 역방향으로의 회전 조작에 의해 상기 배수관로홈의 방향이 회전되며, 상기 봉 형상의 일단부가 상기 배수용 관통홀에 삽입되어 회전된 방향에 따라 상기 배수관로홈과 하나의 사선 형태로 연장된 상기 수위조절용 관통홈의 연통 여부 및 연통 높이가 가변되어 배수 가능 여부 및 본체부 바닥에 보관되는 물의 수위가 가변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Includes; a main body portion extending to the drain pipe to have a predetermined height to the top of the bottom portion,
The drainage pipe is provided with a drainage through hole, inserted into the drainage through hole, and a drainage stopper having a drainage pipe groove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one end thereof, according to a state in which the drainage stopper is inserted into the drainage through hole. Whether drainage is possible and the level of water stored in the bottom of the main body can be varied,
The drainage through-hole is formed on the top surface of the drainage pipe, and a water level adjustment through-hole extending in a diagonal shape to have a vertical height difference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drainage pipe, and the drainage stopper is inserted into the drainage through-hole. It is configured so that whether drainage is possible and the level of water stored in the bottom of the body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condition of
The drain stopper has a rod shap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drain pipe groove is formed to extend at an eccentric position on one outer surface of one end of the rod shape, and is inserted into the drainage through hole in one direction or a reverse direction. The direction of the drain pipe groove is rotated by the rotation operation, and the rod-shaped one end is inserted into the drainage through-hole for adjusting the water level extending in a diagonal shape with the drain pipe groove according to the rotated direction. A potted plant, characterized in that the through hole is configured to vary whether or not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the height of the communication to be able to drain and to change the level of water stored in the bottom of the main body.
KR1020200060458A 2020-05-20 2020-05-20 Flowerpot KR10224982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0458A KR102249825B1 (en) 2020-05-20 2020-05-20 Flowerpo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0458A KR102249825B1 (en) 2020-05-20 2020-05-20 Flowerpot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8567A Division KR102115913B1 (en) 2019-07-22 2019-07-22 Flowerpo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1319A true KR20210011319A (en) 2021-02-01
KR102249825B1 KR102249825B1 (en) 2021-05-10

Family

ID=74571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0458A KR102249825B1 (en) 2020-05-20 2020-05-20 Flowerpo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9825B1 (e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0820Y1 (en) 2001-03-02 2001-07-03 김견목 A flowerpot
JP2003325052A (en) * 2002-05-10 2003-11-18 Asuku:Kk Plant pot
KR100954520B1 (en) * 2009-11-03 2010-04-27 (주) 파루 Raising seedlings bed
KR101296738B1 (en) * 2012-08-03 2013-08-20 박정미 Flower pot for wall afforestation and the vertical garden system for wall afforestation using the same
US20160366836A1 (en) * 2014-09-29 2016-12-22 Shanghai Worth Garden Products Co., Ltd. Stagger Stacked Flowerpot and Stereo Greening Wall Space Formed by Combining of Flowerpots in Stagger Stacked Mode
KR101774647B1 (en) 2015-09-23 2017-09-05 현병찬 Water reservoir for pot
KR101873148B1 (en) * 2017-02-08 2018-06-29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Hydroponic cultivat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0820Y1 (en) 2001-03-02 2001-07-03 김견목 A flowerpot
JP2003325052A (en) * 2002-05-10 2003-11-18 Asuku:Kk Plant pot
KR100954520B1 (en) * 2009-11-03 2010-04-27 (주) 파루 Raising seedlings bed
KR101296738B1 (en) * 2012-08-03 2013-08-20 박정미 Flower pot for wall afforestation and the vertical garden system for wall afforestation using the same
US20160366836A1 (en) * 2014-09-29 2016-12-22 Shanghai Worth Garden Products Co., Ltd. Stagger Stacked Flowerpot and Stereo Greening Wall Space Formed by Combining of Flowerpots in Stagger Stacked Mode
KR101774647B1 (en) 2015-09-23 2017-09-05 현병찬 Water reservoir for pot
KR101873148B1 (en) * 2017-02-08 2018-06-29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Hydroponic cultivat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9825B1 (en) 2021-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5913B1 (en) Flowerpot
KR101508287B1 (en) Planting container
KR200404231Y1 (en) A flower pot for being supplied water automatically
KR101248076B1 (en) Flowerpot of drawer type for wick flood
KR101435568B1 (en) An apparatus for cultivating a plant
KR20200049777A (en) Hydroponics
KR101371128B1 (en) Exchangebl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having cultivation module
KR200495038Y1 (en) A hydroponics cultivation device
KR101774647B1 (en) Water reservoir for pot
KR102249825B1 (en) Flowerpot
KR101264143B1 (en) Flowerpot apparatus united window frame
KR20150103390A (en) A watering flowerpot which the power is useless
KR100852893B1 (en) Bio nude-flowerpot
KR100997306B1 (en) Cover structure for a flowerpot
KR101280123B1 (en) Port table
KR20190000852U (en) flowerpot for water culture with fish tank
KR102083841B1 (en) Interior decoration pot
KR200370417Y1 (en) Home plant cultivation
KR100840963B1 (en) Two stage flower pot for flower arrangement
KR101379738B1 (en) Plant cultivation apparatus having water diffusion supply unit
KR102076813B1 (en) Flower container
KR101231973B1 (en) Indoor cultivation appliance
KR102109776B1 (en) Water supply device and flower pot with the same
KR20150078931A (en) Prefabricated flower garden
KR101226840B1 (en) A flowerpot having apparatus for supplying wa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