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3841B1 - Interior decoration pot - Google Patents
Interior decoration po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83841B1 KR102083841B1 KR1020180108983A KR20180108983A KR102083841B1 KR 102083841 B1 KR102083841 B1 KR 102083841B1 KR 1020180108983 A KR1020180108983 A KR 1020180108983A KR 20180108983 A KR20180108983 A KR 20180108983A KR 102083841 B1 KR102083841 B1 KR 10208384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t
- water
- bracket
- wall
- water suppl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7—Pots connected in horizontal row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4—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 A01G27/06—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4—Hanging flower pots and basket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A01G9/047—Channels or gutters, e.g. for hydroponic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실내 장식용 화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급수부가 형성된 단위 포트 공간부를 갖는 화분 몸체가 바닥, 파티션, 벽에 설치되도록 한 후 관상 식물이 식재된 포트가 단위 포트 공간부에 삽입되도록 하여 실내 공간의 조경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tted plant for indoor decoration, and in particular, the potted plant body having a unit port space portion formed with a water supply is installed on the floor, partition, wall and then the pot planted with the tubular plant is inserted into the unit port space portion of the indoor space The landscaping is to be made easily.
일반적으로 관상 식물(Ornamental plants)을 실내, 실외에서 재배하기 위한 방안으로 주로 화분을 사용하게 된다. 화분은 바닥면에 배수 및 공기 순환을 위해 소정 크기의 통공이 형성되고, 식물의 뿌리를 지지할 수 있는 토양이 채워지도록 한 후 물과 양분을 공급함으로써, 관상 식물을 재배하기 위한 환경이 조성된다.In general, pots are mainly used as a method for growing indoor plants (Ornamental plants) indoors and outdoors. Pots are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for drainage and air circulation, and filled with soil that can support the roots of the plant, and then supply water and nutrients to create an environment for growing ornamental plants. .
이러한 관상 식물이 식재된 화분은 토양에 일정 간격으로 물을 공급해야 하기 때문에 가정 및 사무실에서는 물주는 주기를 맞추기 어려워 식물이 고사하거나, 물 공급 과다로 인해 뿌리가 썩어 폐사하는 경우가 많으며, 장기간의 여행을 하는 경우 관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Since pots with these ornamental plants need to be water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soil, it is difficult for them to meet the watering cycle in homes and offices, so the plants die or the roots rot due to excessive water supply. When traveling, there was a difficult problem managing.
또한, 화분 하부에 물 받침대를 구비하여 화분으로 공급된 물이 통공을 통해 바닥으로 흘러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으나, 화분 크기에 비해 물 받침대의 크기가 작아 물이 넘침에 따라 바닥이 지저분해지고, 물 받침대에 고인 물은 여러 종류의 이물질이 포함되어 물이 마를 경우 이물질이 남아 미관상 좋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a water pedestal is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flower pot to prevent the water supplied to the flower pot from flowing out to the floor through the through hole, but the water pedestal is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flower pot and the floor becomes dirty as the water overflows. Water accumulated in the water support has a variety of types of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water when the water dried foreign matters were aesthetically bad problem.
이러한 화분은 바닥에 통공을 통해 물이 바닥으로 흘러 넘치는 것을 방지하는 물 받침대가 사용됨으로써, 바닥 이외에 파티션에 올려 놓거나, 벽에 걸어 놓지 못하는 되는 등 활용율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These pots have a problem that the utilization rate is lowered by using a water support to prevent the water flows through the bottom through the bottom, to put on the partition other than the floor, or to hang on the wall.
활용율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8-0000313호(2018.01.31)의 물받이가 구비된 파티션용 화분이 제안되었고, 제안된 파티션용 화분은 본체부에 형성된 끼움부가 파티션의 상부에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가운데 본체부의 하부 일측에 형성된 삽입부에 슬라이드 인,입출되도록 구비된 물받이부재로 물이 고여 배출될 수 있도록 하였으나, 본체부의 내부로 식물과 흙이 같이 식재되어 있음으로써, 식재과정에서 흙이 주변으로 비산되는 원인과 함께 주기적으로 물을 공급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었고, 물이 공급 배출되는 과정에서 과도하게 공급될 경우, 물받이부재 밖으로 흘러 넘치는 동일한 문제점이 여전히 있었다.As a method for increasing the utilization rate, a partition potted plant with a drip tray of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18-0000313 (January 31, 2018) has been proposed. In order to be easily coupled, water was collected and discharged to the drip member provided to slide in and out of the insertion part formed at one side of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part, but the plant and the soil are planted together in the body part, so that the planting process In addition, there was an inconvenience of periodically supplying water with the cause of the soil scattering to the surrounding area, and when the water was excessively supplied during the discharge process, there was still the same problem flowing out of the drip tray member.
본 발명은 실내의 바닥이나 파티션 및 벽에 화분이 용이하게 설치되도록 하여 활용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화분에 관상 식물이 식재되도록 하는 과정에서 포트가 직접 화분에 삽입된 상태로 안착되도록 하여 주변으로 흙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화분의 내부로 급수되어 바닥에 저장된 물이 삼투압 현상에 의하여 포트의 내부를 통해 관상 식물의 뿌리로 공급되도록 하여 장기간 급수가 이루어지지 않더라도 관상 식물이 고사되는 것을 방지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pot to be easily installed on the floor or partition and wall of the room to increase the utilization rate, so that the pot is directly inserted into the pot in the process of planting the tubular plants in the pot plant soil around the soil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cattering, and also to the inside of the potted water is supplied to the root of the tubular plant through the inside of the pot by the osmotic pressure to the water stored in the bottom so that the tubular plant is killed even if the water is not supplied for a long time It is to prevent it from being used for convenience.
본 발명은 실내를 장식하는 실내 장식용 화분에 있어서, 상기 화분은 상부만이 개방된 화분 몸체(100)와; 상기 하분 몸체(100)의 바닥에 형성된 급수부(200); 및 상기 급수부(200)의 상부로 형성된 단위 포트 공간부(300)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door decorative flower pot for decorating the room, wherein the flower pot is a pot body (100) with only the top open; A
또한, 상기 급수부(200)는 물이 저장된 원형 또는 직사각형태로 소정 두께를 갖는 급수패드(210)로 형성되고, 상기 급수패드(210)가 안착되는 화분 몸체(100)의 바닥에 다수개의 유로 스페이서(220)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급수패드(210)의 밑면이 화분 몸체(100)의 바닥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급수부(200)는 물이 저장된 원형 또는 직사각형태로 소정 두께를 갖는 급수패드(210)로 형성되고, 상기 급수패드(210)가 안착되는 화분 몸체(100)의 바닥에 다수개의 유로 스페이서(220)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급수패드(210)의 밑면이 화분 몸체(100)의 바닥에 2단 내지는 2단 이상으로 이루어진 받침리브(230)가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화분 몸체(100)는 파티션 브라켓(400)에 의하여 파티션(PT)의 상부에 결합되되, 상기 파티션 브라켓(400)은 하부가 개방된 찬넬 브라켓 몸체(410)의 양측 하부에 암나사부(420)가 마주보도록 형성되고, 상기 암나사부(420)에 노브(430)가 형성된 숫나사부(440)가 각각 나사결합되고, 상기 찬넬 브라켓 몸체(410)의 상부에 화분 안착 돌부(450)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화분 안착 돌부(450)가 삽입되는 화분 안착 요부(110)가 화분 몸체(100)의 하부에 대응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화분 몸체(100)는 벽걸이 아암 브라켓(500)에 의하여 벽면(W)에 결합되되, 상기 벽걸이 아암 브라켓(500)은 수직 아암부재(510)의 상부에 제1관통홀(520)이 형성된 일측 단부가 하부를 향하여 절곡된 상부 아암부재(530)가 형성되고, 상기 수직 아암부재(510)의 하부에 타측 단부가 상부를 향하여 절곡된 하부 아암부재(540)가 일체로 형성되어 단위 벽걸이 아암(550)이 형성되고, 상,하로 이격된 수평 아암 지지부재(560)의 양측단부에 각각 상기 단위 벽걸이 아암(550)이 맞대어지게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그리고 상기 화분 몸체(100)는 벽걸이 직착 브라켓(600)에 의하여 벽면(W)에 결합되되, 상기 벽걸이 직착 브라켓(600)은 직착 브라켓 몸체(610)의 전면에 상부로 화분 걸림편(620)이 돌출되게 절곡되고, 상기 직착 브라켓 몸체(610)의 상,하부에 각각 제2관통홀(630)이 형성되고, 상기 화분 걸림편(620)이 삽입되는 걸림홀(120)이 화분 몸체(100)에 전면 또는 배면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본 발명은 화분 몸체의 내부로 바닥에 급수부를 갖는 단위 포트 공간부를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관상 식물이 단위 포트 공간부를 통해 용이하게 식재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forming a unit port space having a water supply at the bottom of the pot body, the tubular plant can be easily planted through the unit port space.
또한, 이를 통해 식재 과정에서 흙이 주변으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rough this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event the soil from scattering in the planting process.
또한, 관상 식물 교체시 별도의 분갈이를 하지 않고, 관상 식물이 직재된 포트만 교체토록 함으로써, 관상 식물의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replacement of the tubular plant can be easily made by replacing only the port in which the tubular plant is directly interposed without replacing the tubular plant separately.
또한, 이를 통해 1회에 공급된 물이 급수부에 저장된 상태에서 삼투압 현상에 의하여 점진적으로 포트를 통해 식물의 뿌리로 공급됨으로써, 장기간 물을 공급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관상 식물이 고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water supplied at once is gradually supplied to the root of the plant through the port by osmotic pressure in a state where the water is stored in the water supply unit, thereby preventing the death of the tubular plant even without supplying water for a long time. It has an effect.
또한, 물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음으로써, 초기에 상토의 영양분이 그대로 바닥에 남아 있음으로써, 항상 일정량의 영양분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water is not discharged to the outside, the nutrients of the top soil remain at the bottom as it is initially,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effect of always being able to supply a certain amount of nutrients.
또한, 화분 몸체의 하부에 형성된 화분 안착 요부가 파티션에 고정된 파티션 브라켓에 의하여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바닥 이외에 파티션의 상부에 안정된 상태로 용이하게 구비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by allowing the potting seat recess formed in the bottom of the pot body to be coupled by a partition bracket fixed to the parti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an effect that can be easily provided in a stable state on the top of the partition in addition to the bottom.
또한, 벽걸이 아암 브라켓에 의하여 벽체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된 것에 화분 몸체가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관상 식물의 줄기 또는 잎과 벽이 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가운데 물을 공급하는 과정에서 물의 일부가 벽에 튀는 현상을 더 방지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potted body is provid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wall by the wall-mounted arm bracket, which prevents the stem or leaves of the tubular plant from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wall. Can be further prevented.
또한, 벽걸이 직착 브라켓에 의하여 벽체에 화분 몸체의 외측이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공간활용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벽걸이 직착 브라켓을 고정하는 나사의 머리가 화분 몸체의 외측에 닿도록 하여 수평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outer wall of the potted body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wall by the wall-mounted direct bracket, so that the space utilization rate can be increased while the head of the screw for fixing the wall-mounted direct bracket to the outer side of the potted body can be easily made horizontal. You can get the effect.
그리고 관상 식물이 식재되는 화분 몸체가 실내의 바닥, 파티션 및 벽체 어느 곳에도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활용을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실내 공간의 공기 정화율을 비롯하여 조경으로 인한 인테리어 효과를 더 높일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potted body in which the ornamental plant is planted is provided on any of the floor, partition, and wall of the room, thereby increasing utilization, and further improving the interior effect due to landscaping, including the air purification rate of the indoor space. .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장식용 화분에 포트가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2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장식용 화분에 포트가 삽입된 상태의 내,외부를 절개하여 분리 도시한 사시도.
도3은 도1의 A-A선 단면도.
도4는 도1의 B-B선 단면도 및 화분 몸체에 받침리브가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장식용 화분에 다른 급수 패드가 삽입된 상태의 내,외부를 절개하여 분리 도시한 사시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장식용 화분이 파티션 브라켓에 의하여 파티션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및 파티션 브라켓의 분해 사시도.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장식용 화분이 파티션 브라켓에 의하여 파티션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장식용 화분이 벽걸이 아암 브라켓에 의하여 벽체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및 벽걸이 아암 브라켓의 사시도.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장식용 화분이 벽걸이 직착 브라켓에 의하여 벽체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및 벽걸이 직착 브라켓의 분해 사시도.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장식용 화분이 벽걸이 직착 브라켓에 의하여 벽체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및 벽걸이 아암 브라켓의 사시도.
도11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장식용 화분이 벽걸이 직착 브라켓에 의하여 벽체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ot is inserted into the indoor decorative pla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eparation by cutting the inside, outside of the pot is inserted into the indoor decorative pla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line BB of Figure 1 and the support ribs formed in the pot body.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eparation by cutting the inside, outside of the water supply pad is inserted into the indoor decorative flowerp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indoor decorative pla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upled to the partition by the partition bracket and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artition bracket.
Figure 7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indoor decorative plant according to the invention coupled to the partition by the partition bracket.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indoor decorative potted plant is coupled to a wall by a wall-mounted arm b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perspective view of a wall-mounted arm bracket.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indoor decorative potted plant is coupled to the wall by the wall-mounted direct b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wall-mounted direct bracket.
Figure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the indoor decorative flower pots coupled to the wall by the wall-mounted direct b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perspective view of the wall-mounted arm bracket.
Figure 11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indoor decorative pla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wall by the wall-mounted direct bracket.
이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may have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transform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 예들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 나타난 각 요소의 형상은 보다 분명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하여 과장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The embodiments are provided to explain in detail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refore, the shape of each element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to emphasize a more clear description,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known ar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detailed description. Omit.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xample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ex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the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components, or a combination thereof.
우선 본 발명은 실내 장식용 화분에 관한 것으로서 화분 몸체(100), 급수부(200) 및 단위 포트 공간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First of all,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tted plant for indoor decoration, and may include a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1 내지 도4를 참조하면, 1 to 4,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장식용 화분에 포트가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2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장식용 화분에 포트가 삽입된 상태의 내,외부를 절개하여 분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3은 도1의 A-A선 단면도이고, 도4는 도1의 B-B선 단면도 및 화분 몸체에 받침리브가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ot is inserted into the indoor decorative pla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eparation of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state is inserted into the pot for indoor deco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1, and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1 and a support rib formed on the pot body.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부만이 개방된 화분 몸체(100),
상기 하분 몸체(100)의 바닥에 형성된 급수부(200) 및
상기 급수부(200)의 상부로 형성된 단위 포트 공간부(300)로 구성되어 있다.It is composed of a
여기에서, 상기 화분 몸체(100)는 상부는 넓고 하부는 좁은 상광 하협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바닥에 안정적으로 놓일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관상 식물(OP)이 심어져 있는 포트(P)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Here, the
상기 급수부(200)는 관상 식물(OP)이 심겨져 있는 포트(P)의 내부로 물이 공급되도록 한 것으로 물이 저장된 소정 두께를 갖는 원형태의 급수패드(210)로 형성되어 삼투압 현상에 의하여 공급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The
상기 급수패드(210)가 안착되는 화분 몸체(100)의 바닥에는 다수개의 소정 높이를 갖는 유로 스페이서(220)가 가로와 세로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급수패드(210)의 밑면이 화분 몸체(100)의 바닥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하여 항상 일정량의 물이 채워진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구비되어 있다. 즉, 화분 몸체(100)의 바닥과 급수 패드(210)의 밑면 사이의 공간에 화분 몸체(100)의 내부로 공급된 물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은 상태에서 항상 채워진 상태가 유지된다.The flow path spacer 220 having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heights is formed to protrude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at the bottom of the
이는 1회 물을 충분하게 공급한 상태에서 장기간 물을 공급하지 않더라도 포트(P)에 심겨진 관상 식물(OP)이 고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흙속에 포함된 영양분이 씻겨져 외부로 배출되지 않음에 따라 일정량의 영양분 역시 계속적으로 재공급될 수 있게 된다.This can prevent the death of the ornamental plant (OP) planted in the pot (P) even if the water is not supplied for a long time with sufficient water supply, and the nutrients contained in the soil are washed away and not discharged to the outside. As a result, a certain amount of nutrients can also be continuously replenished.
이러한 상기 화분 몸체(100)의 바닥에는 다수개의 유로 스페이서(220)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급수패드(210)의 밑면이 화분 몸체(100)의 바닥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하였으나, 이러한 형태 이외에 도4의 우측 및 후술하는 도5의 상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화분 몸체(100)의 바닥에 2단 내지는 2단 이상으로 이루어진 받침리브(230)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A plurality of flow path spacers 220 ar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bottom of the
이러한 경우, 받침리브(230)에 형성된 1단에 급수 패드(210)가 구비될 수도 있고, 1단에 포트(P)의 하부가 얹혀지게 되면 별도의 급수 패드(210)를 사용하지 않고 포트(P)의 하부가 물에 잠김으로써, 수분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In this case, the
한편, 받침리브(230)의 상단인 2단 이상에 포트(P)의 하부가 안착되면 그 하부로 급수패드(210)를 구비하여 수분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관상 식물(OP)의 종류에 따라 급수량을 최적의 상태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lower portion of the pot (P) is seated on two or more stages of the upper end of the
상기 급수패드(210)는 물이 삼투압 현상으로 이동하기 위한 방안으로 패브릭(fabric)으로 사용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러한 패브릭 이외에 부직포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때, 한 겹이 아닌 다수의 겹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그 만큼 물이 저장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상기 급수패드(210)는 하나의 포트(P)의 하부에 구비되도록 할 경우, 원형태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상기 단위 포트 공간부(300)는 화분 몸체(100)의 내부로 관상 식물(OP)이 심겨진 포트(P)가 안정되게 받쳐지도록 하는 가운데 일정 간격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안으로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이 유지되는 가운데 반복된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어 다수개의 포트(P)가 하나의 화분 몸체(10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The
도5를 참조하면,Referring to Figure 5,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장식용 화분에 다른 급수 패드가 삽입된 상태의 내,외부를 절개하여 분리 도시한 사시도이다.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eparation by cutting the inside, outside of the water supply pad is inserted into the indoor decorative flowerp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 화분 몸체(100)의 내부로 형성된 단위 포트 공간부(300)에 각각 1개의 급수패드(210)가 삽입되도록 하였으나, 이러한 형태 이외에 도5에 도시된 비와 같이, 화분 몸체(100)의 내부로 형성된 다수개의 단위 포트 공간부(300)의 바닥에 하나의 급수 패드(210)가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흡수 패드(210)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직사각형태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분갈이 과정에서 하나의 흡수 패드(210)만을 같이 교환하게 함으로써, 편리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but each one of the
도6 및 도7을 참조하면,6 and 7,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장식용 화분이 파티션 브라켓에 의하여 파티션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및 파티션 브라켓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장식용 화분이 파티션 브라켓에 의하여 파티션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artition bracket and an interior decorative pla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partition by the partition bracket, Figure 7 is an indoor decorative plant according to the invention coupled to the partition by the partition bracket It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which shows the state.
본 발명에서 상기 화분 몸체(100)가 실내의 바닥이나 탁자 위에 단순하게 올려놓을 수 있는 형태를 갖도록 하였으나, 이러한 형태 이외에 상기 화분 몸체(100)는 도6 및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티션 브라켓(400)에 의하여 파티션(PT)의 상부에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상기 파티션 브라켓(400)은 하부가 개방된 찬넬 브라켓 몸체(410)의 양측 하부에 암나사부(420)가 마주보도록 형성되고, 상기 암나사부(420)에 노브(430)가 형성된 숫나사부(440)가 각각 나사결합되도록 함으로써, 파티션(PT)의 상부에 찬넬 브라켓 몸체(410)의 가운데 부분이 얹혀지게 삽입된 상태에서 노브(430)를 회전시켜 숫나사부(440)가 파티션(PT)에 가압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The
상기 찬넬 브라켓 몸체(410)의 상부에 화분 안착 돌부(450)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화분 안착 돌부(450)가 삽입되는 화분 안착 요부(110)가 화분 몸체(100)의 하부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결합됨에 따라 안정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The
도 8 및 도9를 참조하면,8 and 9,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장식용 화분이 벽걸이 아암 브라켓에 의하여 벽체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및 벽걸이 아암 브라켓의 사시도이고,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장식용 화분이 벽걸이 직착 브라켓에 의하여 벽체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및 벽걸이 직착 브라켓의 분해 사시도이다.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the indoor decorative potted pla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upled to the wall by the wall-mounted arm bracket and a perspective view of the wall-mounted arm bracket, Figure 9 is a wall mounted by the indoor decorative planter wall-mounted direct mounting b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coupled to and the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wall mounting bracket.
본 발명에서 상기 화분 몸체(100)가 실내의 바닥이나 탁자 위에 단순하게 올려 놓을 수 있는 형태를 갖도록 하였으나, 이러한 형태 이외에 상기 화분 몸체(100)는 도8 및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걸이 아암 브라켓(500)에 의하여 벽면(W)에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상기 벽걸이 아암 브라켓(500)은 수직 아암부재(510)의 상부에 제1관통홀(520)이 형성된 일측 단부가 하부를 향하여 절곡된 상부 아암부재(530)가 형성되고, 상기 수직 아암부재(510)의 하부에 타측 단부가 상부를 향하여 절곡된 하부 아암부재(540)가 일체로 형성되어 단위 벽걸이 아암(550)이 형성되고, 상,하로 이격된 수평 아암 지지부재(560)의 양측단부에 각각 상기 단위 벽걸이 아암(550)이 맞대어지게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벽걸이 아암 브라켓(500)에 의하여 벽체(W)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된 것에 화분 몸체가 구비되도록 하고, 이를 통해 관상 식물의 줄기 또는 잎과 벽이 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가운데 물을 공급하는 과정에서 물의 일부가 벽에 튀는 현상을 더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칼블록을 이용한 나사(S)에 의하여 벽체(W)에 고정되도록 한다.The wall-mounted
도10 및 도11을 참조하면,10 and 11,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장식용 화분이 벽걸이 직착 브라켓에 의하여 벽체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및 벽걸이 아암 브라켓의 사시도이고, 도11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장식용 화분이 벽걸이 직착 브라켓에 의하여 벽체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Figure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the indoor decorative potted pla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upled to the wall by the wall-mounted direct bracket, and a perspective view of the wall-mounted arm bracket, Figure 11 is a wall with the indoor decorative planter wall-mounted direct b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ate coupled to.
본 발명에서 상기 화분 몸체(100)가 실내의 바닥이나 탁자 위에 단순하게 올려 놓을 수 있는 형태를 갖도록 하였으나, 이러한 형태 이외에 상기 화분 몸체(100)는 도10 및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걸이 직착 브라켓(600)에 의하여 벽면(W)에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상기 벽걸이 직착 브라켓(600)은 직착 브라켓 몸체(610)의 전면에 상부로 화분 걸림편(620)이 돌출되게 절곡되고, 상기 직착 브라켓 몸체(610)의 상,하부에 각각 제2관통홀(630)이 형성되고, 상기 화분 걸림편(620)이 삽입되는 걸림홀(120)이 화분 몸체(100)에 전면 또는 배면에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벽걸이 직착 브라켓(600)에 의하여 벽체(W)에 화분 몸체(100)의 외측이 밀착되도록 하여 공간활용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벽걸이 직착 브라켓(600)을 고정하는 나사(S)의 머리가 화분 몸체(100)의 외측에 닿도록 하여 수평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나사(S)는 칼블록을 이용하여 벽체(W)에 소정 깊이로 삽입된 상태로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wall-mounted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바를 바탕으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 예 및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based on what is shown in the drawings, which are merely exemplary, and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 limited.
100:화분 몸체 200:급수부
210:급수패드 220:유로 스페이서
230:받침리브 300:단위 포트 공간부
400:파티션 브라켓
410:찬넬 브라켓 몸체 420:암나사부
4390:노브 440:숫나사부
450:화분 안착 돌부 500:벽걸이 아암 브라켓
510:수직 아암부재 520:제1관통홀
530:상부 아암부재 540:하부 아암부재
550:단위 벽걸이 아암 560:수평 아암 지지부재
600:벽걸이 직착 브라켓 610:직착 브라켓 몸체
620:화분 걸림편 630:제2관통홀100: pollen body 200: water supply
210: Water supply pad 220: Euro spacer
230: support rib 300: unit port space
400: partition bracket
410: channel bracket body 420: female thread
4390: Knob 440: Male thread
450: planting protrusions 500: wall hangings arm bracket
510: vertical arm member 520: first through hole
530: upper arm member 540: lower arm member
550: unit wall arm 560: horizontal arm support member
600: wall mounting bracket 610: direct bracket body
620: flower pot hanging piece 630: second through hole
Claims (6)
상기 화분은 상광하협되게 상부가 개방되며, 포트(P)를 삽입하는 다수개의 단위 포트 공간부(300)가 형성되고, 다수개의 유로 스페이서(220)와 받침리브(230)를 형성하며, 화분 몸체(100)의 하단에 화분 안착 요부(110)를 형성한 화분 몸체(100)와;
상기 화분 몸체(100)의 바닥에 물이 저장되는 급수패드(210)와 상기 급수패드(210)가 안착되는 화분 몸체(100)의 바닥에 상기 다수개의 유로 스페이서(220)와 상기 받침리브(230)를 2단이상으로 형성하여 상기 받침리브(230)의 상단에 상기 급수패드(210)를 구비하고, 상기 급수패드(210)의 밑면이 화분 몸체(100)의 바닥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어 화분 몸체(100)으 내부로 공급된 물이 삼투압 현상에 의해 급수패드(210)에 저장되어 포트(P)로 수분이 공급되도록 구성된 급수부(200)와;
파티션(PT)의 상부에 결합되되, 하부가 개방된 찬넬 브라켓 몸체(410)의 양측 하부에 암나사부(420)가 마주보도록 형성되고, 상기 암나사부(420)에 노브(430)가 형성된 숫나사부(440)가 각각 나사결합되고, 상기 찬넬 브라켓 몸체(410)의 상부에 화분 안착 돌부(450)가 돌출되게 형성된 파티션 브라켓(400)으로 구성되어, 상기 찬넬 브라켓 몸체(410)의 상부에 형성된 화분 안착 돌부(450)가 화분 몸체(100)의 하단에 대응되게 형성된 화분 안착 요부(110)에 삽입되어 결합할 수 있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장식용 화분.
In the indoor decorative flowerpot for decorating the interior,
The pot is open to the upper and lower narrowing, a plurality of unit port space portion 300 for inserting the port (P) is formed, a plurality of flow path spacers 220 and the support ribs 230, and the pot body Potted body 100 and the potted planting recess 110 formed at the bottom of the (100);
The plurality of flow path spacers 220 and the support ribs 230 are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pot body 100 in which water is stored on the bottom of the pot body 100 and the pot body 100 on which the water pad 210 is seated. ) Is formed in two or more stages provided with the water supply pad 210 on the top of the support rib 230,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supply pad 210 is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of the pot body 100 by a potted plant body A water supply unit 200 configured to supply water 100 to the water supply port 210 by osmotic pressure and supply water to the port P;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partition PT, the lower portion is formed so that the female threaded portion 420 is opposite to the lower side of both sides of the channel bracket body 410, the male threaded portion formed with the knob 430 on the female threaded portion 420 440 are screwed, respectively, consisting of a partition bracket 400 formed so that the potted plant mounting protrusion 450 protrudes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hanel bracket body 410, the potted plant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hanel bracket body 410 The seating protrusion 450 is an indoor decorative flower po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to be coupled to the planter seating recess 110 formed to correspond to the bottom of the pot body (10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08983A KR102083841B1 (en) | 2018-09-12 | 2018-09-12 | Interior decoration po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08983A KR102083841B1 (en) | 2018-09-12 | 2018-09-12 | Interior decoration pot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83841B1 true KR102083841B1 (en) | 2020-03-03 |
Family
ID=69938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08983A KR102083841B1 (en) | 2018-09-12 | 2018-09-12 | Interior decoration po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83841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98322B1 (en) * | 2021-03-31 | 2021-09-03 | 이선경 | Flowerpot holder for partition installation |
WO2024189524A1 (en) * | 2023-03-14 | 2024-09-19 | Noel Genevieve | Plant support assembly |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70027940A (en) * | 2005-08-30 | 2007-03-12 | 김종대 | Water supplying device for flowerpot |
KR100791405B1 (en) * | 2006-05-30 | 2008-01-07 | 송홍식 | Wall hanging type hanger fixer for deffering flowerpot and molding |
KR100945298B1 (en) * | 2007-06-12 | 2010-03-08 | 임기철 | The flowerpot for partition |
KR101247797B1 (en) * | 2012-06-28 | 2013-03-26 | 이종식 | Flowerpot support for partition |
KR20150103390A (en) * | 2014-03-03 | 2015-09-11 | 한국도시농업 주식회사 | A watering flowerpot which the power is useless |
KR101598691B1 (en) * | 2014-05-16 | 2016-02-29 | 조성호 | Humidification and automatic water feeding device |
KR20170116207A (en) * | 2009-07-06 | 2017-10-18 | 하우징 앤드 디벨로프먼트 보드 | A plant tray |
KR20180000313U (en) | 2016-07-21 | 2018-01-31 | 이부건 | Flowerpot for partition having waterspout |
-
2018
- 2018-09-12 KR KR1020180108983A patent/KR102083841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70027940A (en) * | 2005-08-30 | 2007-03-12 | 김종대 | Water supplying device for flowerpot |
KR100791405B1 (en) * | 2006-05-30 | 2008-01-07 | 송홍식 | Wall hanging type hanger fixer for deffering flowerpot and molding |
KR100945298B1 (en) * | 2007-06-12 | 2010-03-08 | 임기철 | The flowerpot for partition |
KR20170116207A (en) * | 2009-07-06 | 2017-10-18 | 하우징 앤드 디벨로프먼트 보드 | A plant tray |
KR101247797B1 (en) * | 2012-06-28 | 2013-03-26 | 이종식 | Flowerpot support for partition |
KR20150103390A (en) * | 2014-03-03 | 2015-09-11 | 한국도시농업 주식회사 | A watering flowerpot which the power is useless |
KR101598691B1 (en) * | 2014-05-16 | 2016-02-29 | 조성호 | Humidification and automatic water feeding device |
KR20180000313U (en) | 2016-07-21 | 2018-01-31 | 이부건 | Flowerpot for partition having waterspout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98322B1 (en) * | 2021-03-31 | 2021-09-03 | 이선경 | Flowerpot holder for partition installation |
WO2024189524A1 (en) * | 2023-03-14 | 2024-09-19 | Noel Genevieve | Plant support assembly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701870B2 (en) | Multifunctional hanging-type plant-growing assembly | |
JP4589773B2 (en) | Three-dimensional hydroponics equipment | |
KR200477376Y1 (en) | A self watering flowerpot which the power is useless | |
KR102083841B1 (en) | Interior decoration pot | |
KR101248076B1 (en) | Flowerpot of drawer type for wick flood | |
KR101510463B1 (en) | Multi layer flowerpot | |
KR200475823Y1 (en) | Landscaping flower pot | |
KR102324733B1 (en) | The vertical garden | |
KR101264143B1 (en) | Flowerpot apparatus united window frame | |
CN102523972B (en) | Drawer type flower box | |
KR101592088B1 (en) | Cultivating device | |
KR200465181Y1 (en) | Flowerpot Combination table | |
WO2022147819A1 (en) | Plant cultivation pot | |
KR20070000806U (en) | A flower pot provide with photo frame | |
KR101012174B1 (en) | Wreath box for alter | |
KR20090123372A (en) | Cover structure for a flowerpot | |
KR20140040946A (en) | A support for flowerpot and a flowerpot | |
KR101248497B1 (en) | Plant system in water | |
KR20130027647A (en) | Port table | |
KR200367986Y1 (en) | Interior flowerpot unit | |
KR200281182Y1 (en) | bottom irrigation type receptacle used for growing plants | |
KR20190125730A (en) | Flower container | |
KR20020032504A (en) | bottom irrigation type receptacle used for growing plants | |
CN217445972U (en) | Multifunctional green plant pot | |
KR102360500B1 (en) | Hanging plant cultivation equipmen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