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1163A - 무인비행체 보호용 이중 안전구조체 - Google Patents

무인비행체 보호용 이중 안전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1163A
KR20210011163A KR1020190088232A KR20190088232A KR20210011163A KR 20210011163 A KR20210011163 A KR 20210011163A KR 1020190088232 A KR1020190088232 A KR 1020190088232A KR 20190088232 A KR20190088232 A KR 20190088232A KR 20210011163 A KR20210011163 A KR 202100111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unmanned aerial
aerial vehicle
guard
auxiliary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82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29169B1 (ko
Inventor
전부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스트로엑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스트로엑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스트로엑스
Priority to KR10201900882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9169B1/ko
Publication of KR202100111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11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91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91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5/00Aircraft indicators or protec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20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18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 F16B7/182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for coaxial connections of two rods or tubes
    • B64C2201/1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인비행체 보호용 이중 안전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무인비행체의 외측 둘레를 감싸 보호하며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가드프레임을 구비하는 안전가드; 및 구(毬) 형상으로 형성되어 안전가드를 감싸며, 가드프레임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결합되는 보호프레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무인비행체의 외측 둘레를 감싸 보호하며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가드프레임을 구비하는 안전가드 및 구(毬) 형상으로 형성되어 안전가드를 감싸며, 가드프레임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결합되는 보호프레임을 통해 견고한 결합력을 제공하여 무인비행체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인비행체 보호용 이중 안전구조체{Double safety for protecting drone}
본 발명은 무인비행체 보호용 이중 안전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무인비행체의 외측 둘레를 감싸 보호하며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가드프레임을 구비하는 안전가드 및 구(毬) 형상으로 형성되어 안전가드를 감싸며, 가드프레임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결합되는 보호프레임을 통해 견고한 결합력을 제공하여 무인비행체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무인비행체 보호용 이중 안전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드론은 무선통신을 통해 기 설정된 경로를 따라 자율비행하거나 사람이 직접 육안으로 조정하면서 비행하는 비행기나 헬리콥터 모양의 비행체로서, 처음에는 공군기나 고사포, 미사일의 연습사격에 적기 대신 표적 구실로 사용되었으며, 점차 무선 기술의 발달과 함께 정찰기로 개발되어 적의 내륙 깊숙이 침투하여 정찰, 감시의 용도로도 사용되었다.
이러한 드론은 최근 들어 수송목적에도 활용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그 활용 범위가 점차 넓어지고 있다. 활용 목적에 따라 다양한 크기와 성능을 가진 제품이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으며, 산업용, 레저용, 촬영용 등 다양한 목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한편, 토목건축물 등과 같은 시설물 들은 시간이 경과하면서 노후화된다. 특히, 콘크리트 구조물에서는 노후화로 인해서 균열, 백태, 박리, 박락 및 파손 등의 손상이 관찰되기 때문에 정기적인 육안관찰 등을 통해서 건전성 여부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을 해야한다.
이러한, 구조가 큰 토목건축물들은 육안관측 시 관측위치가 제한적이기 때문에 사다리차 또는 굴절차 등을 이용해야 한다. 하지만, 사다리차 또는 굴절차는 주변 차량을 통제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을 뿐만 아니라, 관측자가 사다리차 또는 굴절차에 탑승하여 관측하는 경우 안전사고의 위험에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어 드론을 이용한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토목건축구조물의 내부를 점검하는 경우에는 여러가지 다른 시설물들로 인해서 드론의 비행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비행 중 내부시설 물에 부딪치게 되면 고가의 드론이 파손되어 점검을 효율적으로 할 수 없고, 드론을 회수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
이에 따라, 여러가지 장애물에 노출될 수 있는 악조건 속에서도 드론을 보다 안전한 상태로 비행시킬 수 있는 드론을 보호할 수 있는 장치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1998799호, 2019년 7월 10일)
본 발명의 목적은 무인비행체의 외측 둘레를 감싸 보호하며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가드프레임을 구비하는 안전가드 및 구(毬) 형상으로 형성되어 안전가드를 감싸며, 가드프레임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결합되는 보호프레임을 통해 견고한 결합력을 제공하여 무인비행체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무인비행체 보호용 이중 안전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인비행체를 감싸 보호하는 가드조립체는 무인비행체의 외측 둘레를 감싸 보호하며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가드프레임을 구비하는 안전가드; 및 구(毬) 형상으로 형성되어 안전가드를 감싸며, 가드프레임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결합되는 보호프레임;을 포함한다.
여기서, 보호프레임은 띠 형상의 다각형 구조로 형성되는 기준 프레임과 기준 프레임의 각 꼭지점에서 바깥으로 연장되고, 연장된 종단에 볼트결합홀이 형성되는 연장 프레임을 구비하는 복수개의 단위 모듈; 및 안전가드가 감싸지도록 기준 프레임을 서로 연결하여 복수의 6각 프레임 구조를 형성하여 구 형상을 형성시키는 결속부재;를 포함한다.
여기서, 안전가드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무인비행체의 둘레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무인비행체와 연결되는 메인프레임;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메인프레임의 상단에 배치되는 제1 보조프레임; 및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메인프레임의 하단에 결합되는 제2 보조프레임;을 포함하며, 가드프레임은 메인프레임을 중심으로 상측으로 연장되어 제1 보조프레임과 연결되는 제1 수직가이드와 하측으로 연장되어 제1 보조프레임과 연결되는 제2 수직가이드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수직가이드 및 제2 수직가이드는 바깥면에서 내측방향으로 절개홈이 형성되는 제1 고정구 및 제2 고정구를 구비하고, 제1 고정구는 제1 보조프레임과 제1 보조프레임에 대응되는 위치에 있는 단위 모듈과 동시에 분리가능하게 결합하고, 제2 고정구는 제2 보조프레임과 제2 보조프레임에 대응되는 위치에 있는 단위 모듈과 동시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무인비행체 보호용 이중 안전구조체는 무인비행체의 외측 둘레를 감싸 보호하며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가드프레임을 구비하는 안전가드 및 구(毬) 형상으로 형성되어 안전가드를 감싸며, 가드프레임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결합되는 보호프레임을 통해 견고한 결합력을 제공하여 무인비행체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인비행체 보호용 이중 안전구조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호용 안전가드에 무인비행체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가드의 결합 상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가드프레임의 변형에 따른 무인비행체 보호용 이중 안전구조체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호프레임의 상세도이다.
도 6은 도 5의 'A'부분 상세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되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상에”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인비행체 보호용 이중 안전구조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호용 안전가드에 무인비행체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가드의 결합 상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인비행체 보호용 이중 안전구조체(10)는 안전가드(100) 및 보호프레임(20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무인비행체(D)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안전가드(100)는 무인비행체(D)의 외측 둘레를 감싸 보호하며,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가드프레임(120)을 구비한다.
보호프레임(200)은 구(毬) 형상으로 형성되어 안전가드(100)를 감싸며, 가드프레임(120)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결합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가드(100)에 대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안전가드(100)는 메인프레임(110), 가드프레임(120), 제1 보조프레임(130) 및 제2 보조프레임(1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메인프레임(110)은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무인비행체(D)의 둘레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무인비행체(D)와 연결되는 것으로서, 단위 프레임(111), 연결소켓(112) 및 비행체연결구(113)를 구비한다. 단위 프레임(111)은 납작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복수의 단위 프레임(111)이 3 ~ 5개가 서로 결합되어 링 형상을 형성하게 된다. 연결소켓(112)은 서로 이웃하는 단위 프레임(111)의 종단이 삽입될 수 있도록 양단에 단위 프레임(111)의 단면 형상에 대응되는 크기의 홈이 형성된다.
단위 프레임(111)과 연결소켓(112)의 견고한 결합을 위해서 단위 프레임(111)의 종단에는 홀(111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소켓(112)은 이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홀(1121)이 형성될 수 있다. 단위 프레임(111)이 연결소켓(112)에 삽입된 상태에서 적층배치되는 홀(1111, 1121)을 볼트를 통해 결합시킴으로써 견고한 링 형상이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단위 프레임(111)의 양측 종단에는 네오디움자석(미표시)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연결소켓(112)에는 금속재 또는 다른 극성의 자석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단위 프레임(111)이 연결소켓(112)의 내부에 배치된 금속재 또는 자석이 결합되어 분리되지 않도록 견고한 결합을 유도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단위 프레임(111)은 양단에 형성된 홀(1111) 사이에 후술하는 방사형연장구(1132)와 결합시킬 수 있는 한 쌍의 비행체고정용홀(1112)이 형성될 수 있다. 비행체고정용홀(1112)은 방사형연장구(1132)와 볼트를 통해 결합됨으로써 무인비행체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비행체연결구(113)는 메인프레임(110)과 무인비행체(D)를 연결하는 것으로서, 드론고정구(1131) 및 방사형연장구(1132)를 구비한다. 드론고정구(1131)는 무인비행체(D)의 하방향에 고정되며, 방사방향으로 연장되는 방사형돌출구(1133)가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90도 간격으로 방사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방사형돌출구(1133)의 종단에서 다시 상측으로 연장된다. 방사형연장구(1132)는 상측으로 연장된 방사형돌출구(1133)의 종단에 결합되어 바깥으로 연장된다. 이때, 방사형연장구(1132)의 일단에는 단위 프레임(111)에 슬라이딩 결합되도록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방사형연장구(1132)는 메인프레임(110)의 조립시 미리 끼워져 결합되고, 타단이 방사형돌출구(1133)에 결합됨으로써 드론의 견고한 결합을 유도할 수 있게 된다.
가드프레임(120)은 메인프레임(110)의 둘레 방향으로 이동하게 복수개가 결합되고, 메인프레임(110)을 중심으로 상측 및 하측으로 연장되어 메인프레임(110)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1 보조프레임(130) 및 제2 보조프레임(140)과 결합되는 것으로서, 몸체(121), 제1 수직가이드(122) 및 제2 수직가이드(1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몸체(121)는 메인프레임(110)과 결합될 수 있도록 홀(1211)이 형성된다. 홀(1211)은 메인프레임(110)의 납작한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단위 프레임(111)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결합 위치를 가변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제1 수직가이드(122)는 몸체(121)의 상면에서 제1 보조프레임(130)을 향해 연장된다. 그리고, 제1 수직가이드(122)는 납작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납작한 위치가 반경방향을 따라 배치됨으로써 휨 저항성능을 증대시킴으로써 제1 보조프레임(130)과 결합될 때에, 견고한 결합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제1 수직가이드(122)는 제1 고정구(1221)가 형성된다. 제1 고정구(1221)는 바깥면에서 내측방향으로 절개홈(1222)이 형성될 수 있다. 절개홈(1222)은 제1 보조프레임(130)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절개홈(1222)은 다단으로 연속해서 제1 절개홈과 제2 절개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절개홈은 제1 보조프레임(130)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제2 절개홈은 보호프레임(200)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절개홈과 제2 절개홈을 통해 제1 보조프레임(130)과 보호프레임(200)을 동시에 결속시킴으로써 안전가드(100)와 보호프레임(200)을 일체화시켜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하여 내부에 배치되는 무인비행체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 보조프레임(130)에 결합된 제1 고정구(1221)의 결합강도를 더욱 증대시키기 위해서 반대방향에서 추가로 결합되는 보조 고정구(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제2 수직가이드(123)는 몸체(121)의 하면에서 제2 보조프레임(140)을 향해 연장된다. 그리고, 제2 수직가이드(123)는 납작한 형상이 반경방향을 따라 배치됨으로써 휨 저항성능을 증대시킴으로써 제2 보조프레임(140)과 결합될 때에, 견고한 결합 강도를 유지시킬 수 있다. 이때, 제2 수직가이드(123)는 제2 고정구(1231)가 형성된다. 제2 고정구(1231)는 바깥면에서 내측방향으로 절개홈(1232)이 형성되어 제2 보조프레임(140)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2 고정구의 절개홈(1232)은 제1 고정구(1221)의 절개홈(1222)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제2 보조프레임(140)과 보호프레임(200)을 동시에 결속시킬 수 있도록 다단으로 연속해서 제1 절개홈 및 제2 절개홈이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서, 이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제2 보조프레임(130)에 결합된 제2 고정구(1231)의 결합강도를 더욱 증대시키기 위해서 반대방향에서 결합되는 보조 고정구(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제1 보조프레임(130)은 링 형상으로 되어 제1 수직가이드(122) 상단의 제1 고정구(1221)에 고정된다. 이때, 제1 보조프레임(130)은 단면형상이 대략적으로 원형으로 형성되고, 제1 고정구(1221)에 형성되는 절개홈도 이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제2 보조프레임(140)은 링 형상으로 되어 제2 수직가이드(123)의 상단 제2 고정구(1231)에 고정된다. 이때, 제2 보조프레임(140)은 단면형상이 대략적으로 원형으로 형성되고, 제2 고정구(1231)에 형성되는 절개홈도 이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제1 보조프레임(130)은 링의 직경이 제2 보조프레임(140) 보다 크게 형성되어 무인비행체의 상측에 배치되는 프로펠러의 구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가드프레임의 변형에 따른 무인비행체 보호용 이중 안전구조체의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가드프레임(120)은 제1 가드프레임(120a) 및 제2 가드프레임(120b)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에는 전술한 발명과 달리 제1 보조프레임(130) 및 제2 보조프레임(140) 없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가드프레임(120a) 및 제2 가드프레임(120b)은 후술하는 보호프레임(200)의 6각 프레임(213)의 상측 및 하측에 일정한 간격으로 반복적으로 결합됨으로써, 안전가드(100) 및 보호프레임(200)의 견고한 결합을 유도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호프레임의 상세도이며, 도 6은 도 5의 'A'부분 상세도이다.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호프레임(200)은 구(毬) 형상으로 형성되어 무인비행체를 감싸 보호하는 것으로서, 단위 모듈(210) 및 결속부재(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단위 모듈(210)은 기준 프레임(211) 및 연장 프레임(212)을 구비한다. 기준 프레임(211)은 띠 형상의 다각형 구조로 형성되며, 5각형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준 프레임(211)의 각 모서리 두께는 모서리를 제외한 영역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되어 다각형 구조를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연장 프레임(212)은 기준 프레임(211)의 각 꼭지점에서 바깥으로 연장된다. 각 연장된 연장 프레임(212)에는 결속부재(220)에 연결되는 나사산(2121)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기준 프레임(211)이 5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이를 통해 기준 프레임(211)에서 연장된 연장 프레임(212)을 서로 연결하게 되면, 기준 프레임(211)을 중심으로 기준 프레임(211) 보다 상대적으로 큰 허니컴 구조의 6각 프레임(213) 구조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6각 프레임(213)의 상면 및 하면이 수평인 상태가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전술한 제1 가드프레임(120a) 및 제2 가드프레임(120b)이 수평인 상태를 유지하는 6각 프레임(213)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견고한 결합 상태를 유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구조적으로 안정적인 6각 프레임(213)이 5각 형상의 기준 프레임(211)과 조합됨으로써 구 형상을 견고하면서 안정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결속부재(220)는 무인비행체가 감싸지도록 단위 모듈(210)을 서로 연결하여 구 형상을 형성시키는 것으로서, 몸체(221) 및 결속구(222)를 구비한다.
몸체(221)는 서로 이웃하는 연장 프레임(212)의 사이에 배치된다. 몸체(221)는 전체적으로 나사산이 형성된다. 이때, 나사산은 결속구(222)를 중심으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결속구(222)는 몸체(221)의 중앙에 고정결합된다. 몸체(221)의 중앙에 결합된 결속구(222)를 통해 몸체(221)의 회전운동 시 연장 프레임(212)의 각각의 단부에 몸체(221)의 양단이 결합되도록 연장 프레임(212)을 결속부재(220)를 중심으로 서로 이웃하는 단위 모듈(210)을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하여, 결속구(222)의 회전운동 시, 연장 프레임(212)의 양측 단부에 몸체(221)에 형성된 나사산이 결합되고, 연장 프레임(212)이 결속부재(220)의 중심으로 이동됨으로써 결속부재(220)를 중심으로 서로 이웃하는 단위 모듈(210)을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나사산(2121) 내부에는 네오디움 자석이 구비될 수 있으며, 결속구(222)의 종단에는 나사산(2121) 내부에 구비된 네오디움 자석과 다른 극성의 자석이 구비되거나,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나사산의 결합과 더불어 네오디움 자석의 결합력을 통해 보다 견고한 결합력을 제공함으로써 외부 충격에도 쉽게 결합된 상태가 분리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내부에 배치된 무인비행체를 보다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도 1을 참조하여, 결합상태를 다시 한번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안전가드(100)는 조립된 상태에서 메인프레임(110), 제1 보조프레임(130) 및 제2 보조프레임(140)이 수평상태로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수평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하여, 가드 프레임(120)을 통해 메인프레임(110)을 중심으로 제1 보조프레임(130) 및 제2 보조프레임(140)과 상하로 결합하게 된다. 무인비행체(D)는 안전가드(100)의 내부에 배치되고, 무인비행체(D)에 연결된 비행체연결구(113)가 무인비행체(D)의 중심에서 방사방향으로 연장되어 메인프레임(110)과 연결된다. 비행체연결구(113)는 무인비행체(D)의 크기에 따라 가변적으로 길이가 조정될 수 있다.
보호프레임(200)은 안전가드(100)를 감쌀 수 있도록 구 형상으로 조립된다. 이때, 구 형상의 중앙에 위치하는 단위 모듈(210)의 하측에 위치하는 띠 프레임(213)을 따라 제1 보조프레임(130)이 배치되게 된다. 그리고, 구 형상의 하측에 위치하며, 수평방향으로 연결된 연장 프레임(212)에 제2 보조프레임(140)이 배치되게 된다.
이와 같이, 제1 보조프레임(130)과 하측에 위치하는 단위 모듈(210)의 띠 프레임(213)이 정렬되고, 제2 보조프레임(140)과 수평방향으로 연결된 연장 프레임(212)이 정렬된 상태에서 각각을 제1 고정구(1221)와 제1 고정구(1231)를 통해서 결합시킴으로써 내부에 배치되는 무인비행체(D)를 보다 안정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무인비행체 보호용 이중 안전구조체는 무인비행체의 외측 둘레를 감싸 보호하며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가드프레임을 구비하는 안전가드 및 구(毬) 형상으로 형성되어 안전가드를 감싸며, 가드프레임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결합되는 보호프레임을 통해 견고한 결합력을 제공하여 무인비행체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 : 무인비행체 보호용 이중 안전구조체 100 : 안전가드
110 : 메인프레임 120 : 가드프레임
130 : 제1 보조프레임 140 : 제2 보조프레임
200 : 보호프레임 210 : 단위 모듈
220 : 결속부재

Claims (4)

  1. 무인비행체를 감싸 보호하는 가드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무인비행체의 외측 둘레를 감싸 보호하며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가드프레임을 구비하는 안전가드; 및
    구(毬)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안전가드를 감싸며, 상기 가드프레임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결합되는 보호프레임;을 포함하는 무인비행체 보호용 이중 안전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프레임은,
    띠 형상의 다각형 구조로 형성되는 기준 프레임과 상기 기준 프레임의 각 꼭지점에서 바깥으로 연장되고, 상기 연장된 종단에 볼트결합홀이 형성되는 연장 프레임을 구비하는 복수개의 단위 모듈; 및
    상기 안전가드가 감싸지도록 상기 기준 프레임을 서로 연결하여 복수의 6각 프레임 구조를 형성하여 구 형상을 형성시키는 결속부재;를 포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비행체 보호용 이중 안전구조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가드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무인비행체의 둘레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상기 무인비행체와 연결되는 메인프레임;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단에 배치되는 제1 보조프레임; 및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메인프레임의 하단에 결합되는 제2 보조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가드프레임은,
    상기 메인프레임을 중심으로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보조프레임과 연결되는 제1 수직가이드와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보조프레임과 연결되는 제2 수직가이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비행체 보호용 이중 안전구조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직가이드 및 상기 제2 수직가이드는,
    바깥면에서 내측방향으로 절개홈이 형성되는 제1 고정구 및 제2 고정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고정구는,
    상기 제1 보조프레임과 상기 제1 보조프레임에 대응되는 위치에 있는 단위 모듈과 동시에 분리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제2 고정구는,
    상기 제2 보조프레임과 상기 제2 보조프레임에 대응되는 위치에 있는 단위 모듈과 동시에 분리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비행체 보호용 이중 안전구조체.
KR1020190088232A 2019-07-22 2019-07-22 무인비행체 보호용 이중 안전구조체 KR1022291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8232A KR102229169B1 (ko) 2019-07-22 2019-07-22 무인비행체 보호용 이중 안전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8232A KR102229169B1 (ko) 2019-07-22 2019-07-22 무인비행체 보호용 이중 안전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1163A true KR20210011163A (ko) 2021-02-01
KR102229169B1 KR102229169B1 (ko) 2021-03-18

Family

ID=74571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8232A KR102229169B1 (ko) 2019-07-22 2019-07-22 무인비행체 보호용 이중 안전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916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6808A (ko) * 2020-04-10 2021-10-21 사단법인 캠틱종합기술원 드론 스포츠용 볼을 이루는 펜타 가드 결합용 펜타 커넥터 및 상기 커넥터를 갖는 드론 스포츠용 볼
KR20230053056A (ko) * 2021-10-13 2023-04-21 주식회사 스마트에어 스포츠용 드론 장치
CN117184471A (zh) * 2023-11-07 2023-12-08 山东中宇航空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无人机测绘测量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80866A (ja) * 2015-03-24 2016-10-13 株式会社フジタ 空撮装置
CN107472532A (zh) * 2017-08-01 2017-12-15 河南省酷农航空植保科技有限公司 一种无人机可伸缩全面保护装置
JP2018199394A (ja) * 2017-05-26 2018-12-20 株式会社 ホーペック ドローン用飛行安全フレーム
EP3450310A1 (en) * 2017-09-05 2019-03-06 Flyability SA Unmanned aerial vehicle with protective outer cage
KR101998799B1 (ko) 2018-01-31 2019-07-10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정찰 및 정보 제공을 수행하는 드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80866A (ja) * 2015-03-24 2016-10-13 株式会社フジタ 空撮装置
JP2018199394A (ja) * 2017-05-26 2018-12-20 株式会社 ホーペック ドローン用飛行安全フレーム
CN107472532A (zh) * 2017-08-01 2017-12-15 河南省酷农航空植保科技有限公司 一种无人机可伸缩全面保护装置
EP3450310A1 (en) * 2017-09-05 2019-03-06 Flyability SA Unmanned aerial vehicle with protective outer cage
KR101998799B1 (ko) 2018-01-31 2019-07-10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정찰 및 정보 제공을 수행하는 드론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6808A (ko) * 2020-04-10 2021-10-21 사단법인 캠틱종합기술원 드론 스포츠용 볼을 이루는 펜타 가드 결합용 펜타 커넥터 및 상기 커넥터를 갖는 드론 스포츠용 볼
KR20230053056A (ko) * 2021-10-13 2023-04-21 주식회사 스마트에어 스포츠용 드론 장치
CN117184471A (zh) * 2023-11-07 2023-12-08 山东中宇航空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无人机测绘测量装置
CN117184471B (zh) * 2023-11-07 2024-02-06 山东中宇航空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无人机测绘测量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9169B1 (ko) 2021-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9169B1 (ko) 무인비행체 보호용 이중 안전구조체
US10996041B2 (en) Device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blast and dispersion mitigation
KR20170034237A (ko) 로터 보호기능을 갖는 드론
CN107472536B (zh) 一种高空消防灭火无人机
US1047205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tabilizing an unmanned aerial system
US20180147429A1 (en) Fire extinguishing firefighting drone
ES2380185T3 (es) Dispositivo de unión mecánica entre un vehículo motorizado y un material de trabajo
KR101822386B1 (ko) 드론의 무선 충전 시스템
CN108725844B (zh) 航天运载器的控制舱结构
US20150308792A1 (en) Joint and Modular Protection System
US10479473B2 (en) Omnidirectional frangible joint
KR102229158B1 (ko) 무인비행체용 보호프레임
CN208149624U (zh) 消防灭火无人机
US9807896B2 (en) Converter
WO2019144379A1 (zh) 一种具有被动防护装置的无人机
ES2753366T3 (es) Dispositivo de fijación de cargas temporales para un cable de alta tensión armado y un método para facilitar las operaciones relacionadas con la instalación de un cable armado de alta tensión
US20170343321A1 (en) Armour
KR101975875B1 (ko) 이중목적 분산자탄 및 이중목적 분산자탄의 파편 부착 방법
RU2304073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азделения элементов конструкции
KR101763816B1 (ko) 풍하중 감쇄 장치
EP3384228B1 (en) Anti-ballistic passthroughs
KR102633189B1 (ko) 고소작업 드론용 보호 쉴드
KR101781124B1 (ko) 드론 프레임용 부품
KR101402735B1 (ko) 생체모방형 정찰 로봇의 보호체
KR20180027893A (ko) 절단홈과 지지면을 갖는 구속볼트를 포함하는 구속해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