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1090A - 청정 새싹의 뱃치형 안개 재배기 - Google Patents

청정 새싹의 뱃치형 안개 재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1090A
KR20210011090A KR1020190088014A KR20190088014A KR20210011090A KR 20210011090 A KR20210011090 A KR 20210011090A KR 1020190088014 A KR1020190088014 A KR 1020190088014A KR 20190088014 A KR20190088014 A KR 20190088014A KR 20210011090 A KR20210011090 A KR 202100110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ltivation
water
sprouts
clean
ultrasonic humid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80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보기만
Original Assignee
황보기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보기만 filed Critical 황보기만
Priority to KR10201900880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11090A/ko
Publication of KR202100110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10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3Controls for self-acting wate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01G31/06Hydroponic culture on racks or in stacked contain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ponic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청정 새싹의 뱃치형 안개 재배기(Batch type mist cultivation of clean sprout)에 관한 것으로 덮개가 구비되고 일정한 용량을 가진 재배기와: 상기 재배기의 청정 및 재배온도를 유지하는, 상기 재배기에 담긴 물을 가열하는 가열수단과; 상기 재배기에 담긴 물에 뜨는, 재배포를 지지하는 재배판과: 상기 재배판에 깔린, 씨앗을 파종하여 새싹을 재배하는 재배포와: 식물에 안개의 수분을 공급하는 초음파 가습기와; 상기 가열수단 및 초음파 가습기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재배기에 담긴 물을 전열히터로 약 100℃로 가열하여 재배실의 내부를 덮개에 의해 외부와 차단된 청정 환경으로 조성하고 재배실의 내부온도가 22~28℃로 식었을 때, 식물의 영양소와 미생물의 활성을 억제하는 성분이 함유된 특정의 양액이 흡수된 재배포를 재배기의 물에 떠 있는 재배판에 깔고 미리 물에 불린 씨앗을 조밀하게 파종하여 초음파 가습기에 의해 안개의 수분 공급으로 새싹을 재배하며 파종 후 3~4일이면 건강하고 위생적으로 재배된 새싹작물을 수확한다.

Description

청정 새싹의 뱃치형 안개 재배기{BATCH TYPE MIST CULTIVATION OF CLEAN SPROUT}
본 발명은 청정 새싹의 뱃치형 안개 재배기(Batch type mist cultivation of clean sprout)에 관한 것으로 덮개가 구비되고 일정한 용량을 가진 재배기와: 상기 재배기의 청정 및 재배온도를 유지하는, 상기 재배기에 담긴 물을 가열하는 가열수단과; 상기 재배기에 담긴 물에 뜨는, 재배포를 지지하는 재배판과: 상기 재배판에 깔린, 씨앗을 파종하여 새싹을 재배하는 재배포와: 식물에 안개의 수분을 공급하는 초음파 가습기와; 상기 가열수단 및 초음파 가습기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재배기에 담긴 물을 전열히터로 약 100℃로 가열하여 재배실의 내부를 덮개에 의해 외부와 차단된 청정 환경으로 조성하고 재배실의 내부온도가 22~28℃로 식었을 때, 식물의 영양소와 미생물의 활성을 억제하는 성분이 함유된 특정의 양액이 흡수된 재배포를 재배기의 물에 떠 있는 재배판에 깔고 미리 물에 불린 씨앗을 조밀하게 파종하여 초음파 가습기에 의해 안개의 수분 공급으로 새싹을 재배하며 파종 후 3~4일이면 건강하고 위생적으로 재배된 새싹작물을 수확한다.
종래 나대지의 작물재배와 달리, 비닐하우스, 또는 그린 하우스의 실내에서 각종 작물을 재배하거나, 수로(水路)가 구비된 일련의 재배기에 의해 작물을 수경 재배하여 계절의 구분 없이 각종 작물을 수확하여 농가의 수익을 증대하기 위한 다양한 재배장치가 개발되어 있다.
최근에는 새싹이 성장한 작물에 비하여 영양분의 농도가 높다고 해서 관심이 높아지고 산업적으로 또는 가정에서 새싹을 재배하기 위한 다양한 재배기가 알려져 있다.
작물 재배기에 관련한 선행기술의 특허문헌을 아래에 열거하였다.
[인용문헌1]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818336호 (2018.02.21.공고) [인용문헌2]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649870호 (20106.08.22공고) [인용문헌3]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930424호 (2018.12.18.공고)
종래 가장에서 사용하는 새싹을 재배기는 재배용기의 중간부에 망판을 올려놓고 망판 위에 콩이나 채소 씨앗을 뿌리고 재배용기에 담긴 물을 펌프로 살수하여 콩나물 기르는 통상적 방법으로 새싹을 재배하였으나 재배용기를 비롯하여 씨앗에도 세균이나 미생물이 부착되어 있고 공기에도 미생물이 부유되어 있기 때문에 새싹의 재배 중에 미생물도 함께 번식하여 새싹이 부패될 우려가 있고 새싹을 물에 세척할 때 새싹작물이 유약하여 부서지기 때문에 제대로 세척하기 어려워 위생에 취약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밀폐된 재배공간을 청정 환경으로 조성하고 거의 무균상태, 또는 미생물의 활성이 억제된 환경에서 보다 위생적으로 새싹을 재배할 수 있는, 벳치형(Batch type) 청정 새싹의 안개 재배기의 개발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덮개에 의해 외부와 차단된 재배기의 재배실 내부를 항균, 또는 미생물의 활성이 억제된 청정 환경으로 유지되는, 청정 새싹의 뱃치형 안개 재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재배실에 담긴 물을 가열수단에 의해 약 100℃로 가열하여 수증기에 의해 재배실 내부를 청정 환경으로 조성할 수 있는, 청정 새싹의 뱃치형 안개 재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식물의 영양소와 항균, 또는 미생물의 활성을 억제하는 성분이 함유된 특정 양액이 흡수된 재배포를 재배판에 깔고 청정으로 유지되는 상태에서 새싹을 재배할 수 있는, 청정 새싹의 뱃치형 안개 재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재배기에 구비된 초음파 가습기에 의해 생성된 안개(mist)를 작물에 공급하여 적은 량의 수분으로 새싹을 건강하게 재배할 수 있는, 청정 새싹의 뱃치형 안개 재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덮개가 구비되고 일정한 용량의 재배실을 가진 재배기와: 상기 재배기의 청정 및 재배온도의 유지를 위해 상기 재배기에 담긴 물을 가열하는 가열수단과: 상기 재배기에 담긴 물에 뜨는 재배판과: 상기 재배판에 깔린, 씨앗을 파종하여 새싹을 재배하는 재배포와: 식물에 안개의 수분을 공급하는 초음파 가습기와; 가열수단 및 초음파 가습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다.
상기 재배기는 이 출원 발명의 발명자가 등록번호 제10-1818336호(2018. 02. 21. 공고)로 등록을 받은 뱃치형 수경(水耕) 재배조를 원용한 것으로 상기 특허발명에서는 재배조에 식물의 영양수가 담겨 있고 상기 영양수에 재배판을 띄워 묘삼의 뿌리가 재배판의 구멍을 통하여 영양수에 접촉되어 수분을 흡수하여 재배하게 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덮개가 구비된 일정한 용량의 재배실을 가진 재배기로 이용한 것으로 이는 내부 공간이 제한적이어서 고온 스팀에 이해 청정처리가 용이하고 관리가 간편하며, 복수의 재배기에 의해 각각 다른 재배조건에서 각종 새싹작물을 각각 재배할 수 있는 이점을 살리어 이용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재배기에 담기는 물은 식물을 위한 영양수가 아니고 재배실의 청정유지 및 적정한 새싹의 재배온도를 유지와 식물의 수분의 공급을 위한 다목적의 정수(淨水)이다.
상기 물에 뜨는 재배판은 상기 선행기술의 수경재배를 위한 재배판과 달리, 재배기에 재배판을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브래킷을 구비하지 않아도 재배기 담긴 수온을 유지하기 위한 물에 간편하게 재배판을 띄워 놓고 재배하거나 작물과 함께 들어낼 수 있는 편리성과, 재배판에 미생물의 접근이 차단되는 안전성을 가진 재배판이다.
따라서 상기 재배판에는 식물의 뿌리가 물에 접촉하기 위한 통공이 없다.
상기 재배판에 깔린 재배포는 통상의 섬유직조 포지이며, 파종 직전에 특정의 양액을 흡수시킨다.
상기 양액은 특허출원 제10-2019-0077462호(2019.06.28.출원)의 "지표성분이 함유된 새싹재배용 양액"이 사용된다.
상기 양액은 황과, 생강, 칼슘 등이 동일 중량비로 혼합된 조성물에 식물을 통하여 얻고자 하는 지표성분의 물질을 포함하여, 산화질소 액으로 증류시키어 식물이 흡수할 수 없는 무급태(無給態)의 상기 무기질 성분이 식물이 흡수 가능한 가급태(可給態)의 이온화 성분으로 용출된 액체로서 새싹의 성장에 필요한 무기질 양분과 멸균 또는 미생물의 활성을 억제하는 효능이 있다.
따라서 상기 양액이 흡수된 재배포는 씨앗에 대하여 청정 바닥(clean base)이 된다.
상기 초음파 가습기는 재배기의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되며, 상기 초음파 가습기가 재배기의 외부에 구비되는 경우에는 초음파 가습기의 수관 및 안개관이 상기 재배기에 연관하게 된다.
상기 초음파 가습기가 재배판, 또는 재배기의 바닥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가습기의 분무구가 물 밖으로 노출되게 한다. 가습기의 분무구가 물속에 잠기면 안개가 물 밖으로 거의 나오지 못하고 거품이 일어난다.
상기 재배기에는 수온 감지기, 재배실의 온도 감지기, 수위감기, 기타 재배관리를 위한 각종 감지기구가 구비되어, 각 감지기의 감지신호를 제어기에 송출하여 상기 제어기에 입력된 프로그램에 의해 재배기의 보일러에 의한 재배온도 및 청결온도의 제어, 초음파 가습기에 의한 습도를 자동으로 제어 하게 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먼저 재배기에 일정한 수위로 담긴 긴 물을 가열수단으로 약 100℃로 가열하여 재배실의 내부를 덮개에 의해 외부와 차단된 재배실을 고온 스팀으로 가열 처리하여 청정 환경으로 조성한다.
재배실의 내부온도가 22~28℃로 식었을 때, 재배기의 물에 띄운 재배판에 상기한 특정 양액이 흡수된 재배포를 편다. 상기 재배포에 미리 물에 불린 씨앗, 예를 들면 붉은 무씨를 조밀하게 파종하고 덮개를 덮고 초음파 가습기를 가동한다.
이때 재배기에 담긴 물을 이용하여 가습하면 이미 약 100℃로 가열되어 멸균된 물을 이용하게 되므로 청정 환경유지에 안전하고 편리하다.
또 재배판에 깔린 재배포에는 항균, 또는 미생물의 활성을 억제하는 성분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재배포에 의해 미생물의 오염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특정 양액에 함유된 무기질 영양소의 공급과 상기 초음파 가습기에 의해 공급되는 안개의 수분에 의해 청정 환경의 재배실에서, 씨앗의 발아(發芽) 및 건강하게 성장되며, 새싹 재배 중에 미생물의 오염으로 인하여 부패되는 일이 없다.
수온감지기, 재배실의 온도감지기, 습도감지기에 의해 감지된 데이터는 제어기에 송출되어 제어기에 입력된 프로그램에 의해 적정습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초음파 가습기의 작동을 제어하고 또한 가열수단을 작동시키어 수온을 제어하여 재배실의 온도를 적절하게 조절 유지한다.
파종후 3~4일이면 새싹 작물의 수확이 가능하고 청정 새싹작물이므로 별도의 멸균처리 없이 수확작물을 즉시 먹을 수 있고 제약, 또는 보조식품의 원료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덮개에 의해 외부와 차단된 재배기의 재배실 내부를 항균, 또는 미생물의 활성이 억제된 청정 환경으로 유지할 수 있어 청정 새싹의 안개 재배가 가능하다.
또한 재배실에 담긴 물을 가열수단에 의해 약 100℃로 가열하여 수증기에 의해 재배실 내부를 간편하게 청정 환경으로 조성할 수 있다.
또한 물에 뜨는 재배판에 식물의 영양소와 항균, 또는 미생물의 활성을 억제하는 성분이 함유된 특정 양액이 흡수된 재배포를 깔고 새싹을 재배하기 때문에 재배 중에 새싹이 부패되는 일이 없이 위생적으로 건강하게 재배할 수 있다.
또 재배기에 구비된 초음파 가습기에 의해 생성된 안개(mist)의 가습으로 새싹을 재배하기 때문에 적은 량의 수분으로 새싹을 효율적으로 재배할 수 있는, 여러 가지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새싹 재배기의 분리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새싹 재배기의 파종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초음파 가습기의 놓인 위치를 보인 단면 예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재배포에 특정 양액을 흡수하는 예시도
참고도1은 본 발명의 재배포에 불린 붉은무 씨앗의 파종을 보인 사진
참고도2는 본 발명에 의해 재배 1일째의 새싹의 사진
참고도3은 본 발명에 의해 재배 3일째의 새싹의 사진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11)가 구비되고 일정한 용량의 재배실(12)을 가진 재배기(10)와: 상기 재배기(10)의 청정 및 재배온도의 유지를 위해 상기 재배기에 담긴 물(w)을 가열하는 가열수단(20)과: 상기 재배기(10)에 담긴 물에 뜨는 재배판(30)과: 상기 재배판(30)에 깔린, 씨를 파종하여 새싹을 재배하는 재배포(40)와: 식물에 안개의 수분을 공급하기 위한 초음파 기습기(50)와; 가열수단 (20)및 초음파 가습기(5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기(6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재배기(10)는 덮개(11)를 덮으면 재배실(12)의 내부공간이 제한적이어서 외부와 공간적 차단과, 보온 및 청정 유지가 용이하다.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배판(30)은 재배실(12)의 내부에 내장될 수 있는 넓이를 가지며 물에 뜨는 재질로 되어 있고 재배포(40)는 통상의 직조포지로서 상기 재배판(30)의 넓이에 상응한 크기를 가진다.
상기 재배판(30)은 재배실(12)에 담긴 물(w)에 띄워 놓기 때문에 좁은 재배실(12)에 재배판(30)을 재치하기 위한 브래킷 등의 구조물이 생략되어 그만큼 재배기의 구조의 단순화 및 활용공간이 확장 되는 이점이 있다.
상기 가열수단(20)은 전열히터가 사용되며, 도시되지 않는 습도감지기 온도감지기 및 초음파 가습기(50)는 컴퓨터 회로인 제어기(6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어기(60)에는 새싹재배에 적합한 온도 및 습도를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입력되어 있다.
상기 가열수단(20)은 재배실의 새싹재배의 적정온도 유지 및 스팀가열에 의한 재배실(12)의 청정유지에 유용하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배실(12)에 수분을 공급하는 초음파 가습기(50)를 재배기(10)의 외부(A)에 구비되는 경우에는 초음파 가습기(A)의 수관(51) 및 안개관(52)이 재배실(12)에 연관되고 또한 초음파 가습기(50)가 재배판(30)의 상부(B)에 구비되거나 재배기(10)의 바닥(C)에 구비되는 경우에는 안개의 분무구(53)가 수면 밖으로 노출되어 있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재배기(10)에 담긴 일정 수위의 물(w)은 식물을 위한 영양수가 아니고 재배실의 스팀가열에 의한 청정 환경조성과 새싹 재배의 적정온도의 유지 및 초음파 가습기에 의해 안개를 생성하기 위에 이용되는 정수(淨水)이다.
상기한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의 재배기는 새싹을 재배하기 전에 재배기(10)에 구비된 가열수단(20)에 의해 약 100℃의 온도로 가열하여 이때 발생된 스팀으로 재배실(12)의 내부에 부착된 각종 세균, 또는 미생물을 열 소독으로 정화(淨化)하여 청정(淸淨) 환경을 조성한다.
상기 재배기(10)의 재배실(12) 내부 온도가 22℃~28℃ 정도로 식었을 때,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상기한 특정 양액을 흡수시킨 상기 재배포(40)를 재배판(30)위에 평면적으로 펴놓은 다음 새싹으로 재배할 씨앗(s), 예를 들면 붉은 무씨를 조밀한 밀도로 파종하고 덮개(11)를 덮는다.(참고도1 참조).
이어서 초음파 가습기(50)를 가동하여 초음파 가습기(50)에 의해 생성된 안개(mist)를 재배실(12)에 분무하여 포화습도로 유지한다.
상기 양액은 황과, 생강, 칼슘 등, 식물이 흡수할 수 없는 무급태(無給態)의 상기 무기질 성분이 산화질소액으로 용출 증류시키어 식물이 흡수 가능한 가급태(可給態)의 이온화 성분의 액체로 되어 있어, 새싹의 성장에 필요한 무기질 양분의 공급과 멸균 또는 미생물의 활성을 억제하게 된다.
재배판(30)은 재배포(40)에 흡수된 양액에 의해 미생물의 접근이 어렵고 항균, 또는 미생물의 활성이 억제되는 청정 환경에서 새싹이 건강하게 발아되어 생장할 수 있다.
또 상기 초음파 가습기(50)는 이미 약 100℃로 가열된 청정수를 안개로 생성하여 가습하기 때문에 새싹의 재배 중에 미생물의 오염으로 부패될 우려가 없다.
또 도시되지 않은 수온감지기, 재배실의 온도감지기, 습도감지기에 의해 감지된 데이터는 제어기에 송출되어 제어기(60)에 입력된 프로그램에 의해 적정습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초음파 가습기(50)의 작동을 제어하고 또한 가열수단(20)을 작동시키어 수온을 제어하여 재배실의 온도를 일정하게 조절 유지한다.
따라서 재배 후 1일 경과하면 모든 씨앗이 발아되어 있고 (참고도 2 참조). 재배 후 3일 경과하면 새싹작물로 재배되어 수확이 가능하다.(참고도 3 참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무균, 또는 항균상태의 청정 환경에서 세싹을 재배하기 때문에 종래 미생물에 대한 무방비 상태에서 새싹을 재배하던 것과 달리, 수확된 새싹작물은 별도의 멸균처리 없이 즉석에서 식용이 가능하고 제약, 또는 보조식품의 재료로 사용할 수 있다.
10 : 재배기 11: 덮개
12 : 재배실 20 : 가열수단
30 : 재배판 40 : 재배포
50 : 초음파 가습기 51 : 수관
52 : 안개관 53 : 분무구
60 : 제어기 s : 씨앗
w : 물

Claims (3)

  1. 덮개가 구비되고 일정한 용량을 가진 재배기와: 상기 재배기의 청정 및 재배온도의 유지를 위해 상기 재배기에 담긴 물을 가열하는 가열수단과; 상기 재배기에 담긴 물에 뜨는 재배판과: 상기 재배판에 깔린, 씨앗을 파종하여 새싹을 재배하는 재배포와: 식물에 안개의 수분을 공급하는 초음파 가습기와; 상기 가열수단 및 초음파 가습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입력된 제어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정 새싹의 뱃치형 안개 재배기.
  2. 제1항에 있어서,
    초음파 가습기는 재배기의 외부, 또는 재배판, 또는 재배기의 바닥의 어느 한 곳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정 새싹의 뱃치형 안개 재배기.
  3. 제1항에 있어서,
    재배포는 황과, 생강, 칼슘 등을 산화질소액으로 용출 증류시키어 만든, 새싹의 성장에 필요한 무기질 양분과 멸균 또는 미생물의 활성을 억제하는 성분이 흡수되어, 청정 환경에서 새싹을 재배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정 새싹의 뱃치형 안개 재배기.
KR1020190088014A 2019-07-22 2019-07-22 청정 새싹의 뱃치형 안개 재배기 KR202100110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8014A KR20210011090A (ko) 2019-07-22 2019-07-22 청정 새싹의 뱃치형 안개 재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8014A KR20210011090A (ko) 2019-07-22 2019-07-22 청정 새싹의 뱃치형 안개 재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1090A true KR20210011090A (ko) 2021-02-01

Family

ID=74571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8014A KR20210011090A (ko) 2019-07-22 2019-07-22 청정 새싹의 뱃치형 안개 재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11090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9870B1 (ko) 2014-06-03 2016-08-22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새싹재배기
KR101818336B1 (ko) 2016-04-25 2018-02-21 황보기만 뱃치형 수경재배조
KR101930424B1 (ko) 2018-06-05 2018-12-18 민정민 천연 미네랄을 이용한 새싹재배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9870B1 (ko) 2014-06-03 2016-08-22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새싹재배기
KR101818336B1 (ko) 2016-04-25 2018-02-21 황보기만 뱃치형 수경재배조
KR101930424B1 (ko) 2018-06-05 2018-12-18 민정민 천연 미네랄을 이용한 새싹재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7087B1 (ko) 분무 수경재배 장치
CN106416974A (zh) 一种辣椒的高效育苗方法
KR101212130B1 (ko) 새싹채소 재배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새싹채소 자동재배 장치
CN104094804B (zh) 一种生菜温室内潮汐式灌溉生产方法
KR101818336B1 (ko) 뱃치형 수경재배조
CN105475076A (zh) 一种大叶女贞扦插培育方法
KR20210011089A (ko) 청정 새싹 캐비닛 재배기
KR20210011090A (ko) 청정 새싹의 뱃치형 안개 재배기
CN107318628B (zh) 一种水培番茄树栽培系统及栽培方法
KR101442457B1 (ko) 새싹 재배기
KR20090087193A (ko) 초음파 관수 새싹재배기
KR20090126914A (ko) 가정용 비닐하우스
JP2911111B2 (ja) 植物の栽培方法及びかいわれ大根栽培方法
JP2021177722A (ja) 根圏部材及び植物栽培方法
CN111869556A (zh) 一种促进木豆种子快速萌发长成幼苗的培养方法
KR200220365Y1 (ko) 소형 콩나물 재배기
JP2013094166A (ja) 銀イオンとペルチェ素子を用いたスプラウトの栽培方法及び銀イオンとペルチェ素子を用いたスプラウトの栽培装置
JP2020110085A (ja) 植物栽培方法、植物栽培施設、及び水処理装置
JP3305290B2 (ja) 作物栽培システム
KR102350731B1 (ko) 새싹 인삼 수경 재배장치
KR20210011088A (ko) 청정 새싹재배장치
CN105612971A (zh) 西红柿绿色高产种植方法
CN109430021A (zh) 芽菜培育方法及其种植装置
Farmers Diseases and Pests for Microgreen & Common Growing Problems
KR101172762B1 (ko) 공장형 작물생산 시스템에 있어서 대파의 조직감 향상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