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0248A - 에어 필터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에어 필터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0248A
KR20210010248A KR1020190087929A KR20190087929A KR20210010248A KR 20210010248 A KR20210010248 A KR 20210010248A KR 1020190087929 A KR1020190087929 A KR 1020190087929A KR 20190087929 A KR20190087929 A KR 20190087929A KR 20210010248 A KR20210010248 A KR 202100102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nic acid
air filter
present
parts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79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순희
박민성
김태희
전광승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900879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10248A/ko
Publication of KR202100102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02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16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 B01D39/1607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the material being fibrous
    • B01D39/1623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the material being fibrous of synthetic orig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2Types of fibres, filaments or particles, self-supporting or supported materials
    • B01D2239/025Types of fibres, filaments or particles, self-supporting or supported materials comprising nano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4Additives and treatments of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0442Antimicrobial, antibacterial, antifung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6Filter cloth, e.g. knitted, woven non-woven; self-supported material
    • B01D2239/0604Arrangement of the fibres in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0618Non-wov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6Filter cloth, e.g. knitted, woven non-woven; self-supported material
    • B01D2239/0604Arrangement of the fibres in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0631Electro-spu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8Special characteristics of bin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10Filtering material manufactur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 필터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에어 필터는, 미세 먼지나 미생물 등에 대한 제거 효율이 매우 우수하고, 항균 특성이 오래 지속될 수 있으면서도, 인체에 대해 매우 안전한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에어 필터 및 그 제조 방법{AIR FILTER AND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에어 필터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공기의 질에 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실내공기 청정에 대한 요구가 늘어나고 이에 따라 공기 중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여러 가지 필터가 개발되고 있다.
필터는 유체 속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여과 장치로, 그 중, 에어 필터는 가정, 사무실 등 실내 공기 중의 미세 먼지 등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는 공기 청정기, 에어컨, 공조기, 차량 내부 공기 순환기 등의 장치나, 안면 마스크 등의 개인 위생 도구 등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첨단 제품의 제조 공정에서, 제품의 불량 방지를 위해 설치되는 클린 룸(Clean room) 등에도 사용될 수 있다.
한편, 공기 중에는 미세 먼지 외에도, 박테리아, 세균, 바이러스와 같은 다양한 미생물이 부유하고 있으며, 이러한 부유 미생물은 감염성 질병을 유발하여 건강에 나쁜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자동차, 공조기, 에어컨, 공기 청정기, 클린 룸 등에는 이러한 미생물을 제거할 수 있는 별도의 항균 필터가 장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항균 필터에 사용되는 항균제로는 크기 유기 항균제와 무기 항균제로 분류될 수 있으며, 유기 항균제는 다시 천연물 유래 항균제와 합성 화합물 항균제로 나눌 수 있다.
이 중, 합성 화합물 항균제는, 가습기 살균제 사건에서 나타난 것과 같이, 인체 안전성에 대한 우려가 크며, 무기 항균제의 경우 역시, 여기에 사용되는 일부 금속들에 대한 인체 독성이 밝혀진 바 있어, 그 적용이 매우 제한적이다.
본 명세서는, 미세 먼지나 미생물 등에 대한 제거 효율이 매우 우수하고, 항균 특성이 오래 지속될 수 있으면서도, 인체에 대해 안전한 에어 필터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나노 섬유 부직포 층을 포함하며; 상기 나노 섬유 부직포 층은, 고분자 바인더 및 탄닌 산을 포함하는, 에어 필터를 제공한다.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나노 섬유 부직포 층은, 직경이 약 0.1 내지 약 5 ㎛, 또는 약 0.5 내지 약 3 ㎛ 인 나노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분자 바인더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methacrylate), 폴리아크릴로니트릴(polyacrylonitrile), 플루오르화 폴리비닐리덴(polyvinylidene fluoride),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폴리비닐부티랄(polyvinyl butyral) 및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고분자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탄닌 산은, 탄닌 산 또는 탄닌 산-금속 화합물로부터 유래된 것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 필터는, 고분자 바인더로 제조된 나노 섬유 부직포 층을 포함하는 것으로, 고분자 바인더 중에는 탄닌 산 또는 탄닌 산-금속 화합물이 분산된 형태로 포함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탄닌 산은, 상기 고분자 바인더 및 탄닌 산 총 100중량부에 대하여, 약 0.1 내지 약 30 중랑부, 또는 약 1 내지 약 30중량부, 또는 약 6 내지 약 25중량부의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에어 필터는, 평균 기공 직경이 약 0.1 내지 약 10㎛, 또는 약 0.5 내지 약 7㎛이고, 기공률이 약 50 내지 약 90% 또는 약 60 내지 약 90%일 수 있다.
이와 별도로, 상기 에어 필터는, 상기 나노 섬유 층의 면 밀도가 약 0.1 내지 30 g/m2, 또는 약 5 내지 약25 g/m2일 수 있다.
한편, 발명의 따른 일 측면에 따르면, 고분자 수지, 탄닌 산, 및 용매를 혼합하여, 방사 액을 준비하는 단계; 전기 방사에 의해 상기 방사 액을 방사하는 단계, 및 상기 방사 액 중 용매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에어 필터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분자 수지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methacrylate), 폴리아크릴로니트릴(polyacrylonitrile), 플루오르화 폴리비닐리덴(polyvinylidene fluoride),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폴리비닐부티랄(polyvinyl butyral) 및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탄닌 산은, 상기 고분자 바인더 및 탄닌 산 총 100중량부에 대하여, 약 0.1 내지 약 30 중랑부, 또는 약 1 내지 약 30 중량부, 또는 약 6 내지 약 25중량부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 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구성 요소, 이들의 조합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각 층 또는 요소가 각 층들 또는 요소들의 "상에" 또는 "위에" 형성되는 것으로 언급되는 경우에는 각 층 또는 요소가 직접 각 층들 또는 요소들의 위에 형성되는 것을 의미하거나, 다른 층 또는 요소가 각 층 사이, 대상체, 기재 상에 추가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예시하고 하기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순히 탄닌 산이라 함은, 탄닌 산(tannic acid) 그 자체뿐 아니라, 탄닌 산의 염(tannate)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사용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나노 섬유 부직포 층을 포함하며; 상기 나노 섬유 부직포 층은, 고분자 바인더 및 탄닌 산을 포함하는, 에어 필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에어 필터 제조 시, 제조에 사용되는 방사 액에, 나노 섬유 형성을 위한 바인더로 사용되는 고분자 수지 외에, 항균 물질로 탄닌 산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미세 먼지나 미생물 등에 대한 제거 효율이 매우 우수하고, 항균 특성이 오래 지속될 수 있으면서도, 인체에 대해 안전성이 확립된 에어 필터를, 매우 단순한 공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는 점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에어 필터에는, 항균성 부여를 위해 항균제를 첨가하거나, 섬유 상에 항균성 코팅을 적용하는 경우가 많다.
합성 화합물 항균제는, 가습기 살균제 사건에서 나타난 것과 같이, 인체 안전성에 대한 우려가 매우 크고, 합성 화합물 항균제를 에어 필터에 적용하는 과정에서, 필터의 성능이 저하되거나, 코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으며, 제조를 위해 별도 코팅 공정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제조 과정 상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은 나노 입자 등, 기존에 널리 알려진 무기 소재의 항균제의 경우 역시, 인체에 대한 독성이 밝혀진 바, 에어 필터 상에 코팅된 금속 등의 입자가, 필터 표면으로부터 대기중으로 이탈하여, 이를 직접 흡입하게 되는 경우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이 역시 제조를 위해 별도의 입자 코팅 공정을 거쳐야 하며, 항균 소재 자체의 단가가 매우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 MOF(Metal-organic framework)계열의 무기 항균제가 알려진 바 있으나, 이 역시, MOF의 담지가 완전히 이루어지기 어렵고, 여기에 사용되는 일부 금속에 대한 독성이 알려진 바 있으며, MOF 공정이 매우 복잡하여, 제조 과정에서의 비용이 크게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경우, 섬유 형성을 위한 바인더로 사용되는 고분자 수지에 탄닌 산을 분산시키고, 이를 이용하여 나노 섬유 부직포, 혹은 웹을 제조하기 때문에, 제조 공정이 매우 단순하고, 항균성 물질이 나노 섬유 상에 코팅되는 것이 아니라, 섬유 자체의 성분으로 혼입되어 사용되기 때문에, 항균성 코팅에 비해 항균성이 매우 오래 지속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장점들 외에도, 탄닌 산은 자연계에 존재하는 폴리페놀의 일종인 방향족 화합물로, 과일 등의 과육이나 씨앗, 껍질, 잎 등에 다량 분포하고 있어, 음식이나 와인, 차 등의 형태로, 인류가 오랫동안 섭취해왔기 때문에, 안전성에 전혀 문제가 없는 큰 장점이 있다.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나노 섬유 부직포 층은, 섬유 사의 직경이 약 0.1 내지 약 5 ㎛, 또는 약 0.5 내지 약 3 ㎛ 인 나노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나노 섬유의 직경이 너무 작은 경우, 이를 제조하기 위한 공정 상의 문제로, 비용이 크게 증가할 뿐 아니라, 차압이 너무 높아져, 에어 필터의 효율이 오히려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나노 섬유의 직경이 너무 큰 경우, 정화 능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분자 바인더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methacrylate), 폴리아크릴로니트릴(polyacrylonitrile), 플루오르화 폴리비닐리덴(polyvinylidene fluoride),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폴리비닐부티랄(polyvinyl butyral) 및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고분자 수지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 분야에서 전기 방사에 적용 가능한 고분자를 사용할 수 있다.
다만, 폴리비닐알코올(PVA) 등과 같이 물에 쉽게 용해되는 친수성 고분자의 경우,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에 노출되면 섬유가 용해되어 필름 형상으로 변성되거나, 나노 섬유가 팽창하여 그 구조가 무너질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탄닌 산은, 탄닌 산 또는 탄닌 산-금속 화합물로부터 유래된 것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 필터는, 고분자 바인더로 제조된 나노 섬유 부직포 층을 포함하는 것으로, 고분자 바인더 중에는 탄닌 산 또는 탄닌 산-금속 화합물이 분산된 형태로 포함될 수 있고, 여기에 사용되는 금속으로는, 나트륨, 마그네슘, 칼륨, 칼슘, 망간, 철, 코발트, 니켈, 구리, 아연 등을 들 수 있지만,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와 같은 탄닌 산은, 항균 작용뿐 아니라, 고분자 수지에 분산 시, 제조되는 나노 섬유의 직경을 조절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다른 조건이 동일한 경우라면, 탄닌 산이 전혀 포함되지 않는 경우에 비해, 탄닌 산이 소량 포함되는 경우, 제조되는 나노 섬유의 직경이 다소 감소하며, 탄닌 산이 일정량 이상으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오히려 제조되는 나노 섬유의 직경이 다시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나노 섬유 직경의 변화는, 탄닌 산에 존재하는 수 많은 작용기와 고분자 수지의 상호 작용으로부터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상기 탄닌 산은, 상기 고분자 바인더 및 탄닌 산 총 100중량부에 대하여, 약 0.1 내지 약 30 중랑부, 또는 약 1 내지 약 30 중량부, 또는 약 6 내지 약 25중량부의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탄닌 산의 함량이 너무 적은 경우, 항균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으며, 탄닌 산의 함량이 너무 많아지는 경우, 제조되는 나노 섬유의 직경 조절이 어려워, 에어 필터의 공기 정화 능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에어 필터는, 평균 기공 직경이 약 0.1 내지 약 10㎛, 또는 약 0.5 내지 약 7㎛이고, 기공률이 약 50 내지 약 90% 또는 약 60 내지 약 90%일 수 있다.
평균 기공 직경 값이나, 기공률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에어 필터의 차압이 너무 증가하여, 오히려 공기 정화 효율이 저하되거나, 혹은, 공기 정화 능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별도로, 상기 에어 필터는, 상기 나노 섬유 층의 면 밀도가 약 0.1 내지 30 g/m2, 또는 약 5 내지 약25 g/m2일 수 있다.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에어 필터는, 별도의 기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에어 필터는, 기재 및 상기 기재 상에 형성된 나노 섬유 부직포 층을 포함하며; 상기 나노 섬유 부직포 층은, 고분자 바인더 및 탄닌 산을 포함하는 형태일 수 있다.
한편, 발명의 따른 일 측면에 따르면, 고분자 수지, 탄닌 산, 및 용매를 혼합하여, 방사 액을 준비하는 단계; 전기 방사에 의해 상기 방사 액을 방사하는 단계, 및 상기 방사 액 중 용매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에어 필터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전기 방사는 정전기력에 의해 고분자 용액을 기재(substrate) 위에 또는 기재 없이 직접 섬유 형태로 방사하여 부직포 형태의 섬유 집합체를 얻는 방법이다.
이러한 전기 방사 시, 방사 액으로는, 고분자 수지, 용매, 분산제, 첨가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분자 수지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methacrylate), 폴리아크릴로니트릴(polyacrylonitrile), 플루오르화 폴리비닐리덴(polyvinylidene fluoride),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폴리비닐부티랄(polyvinyl butyral) 및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탄닌 산은, 상기 고분자 바인더 및 탄닌 산 총 100중량부에 대하여, 약 0.1 내지 약 30 중랑부, 또는 약 1 내지 약 30 중량부, 또는 약 6 내지 약 25중량부의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용매로는 디메틸아세트아미드, 디에틸아세트아미드, 디메틸메톡시아세트아미드, N-메틸피롤리돈, 디메틸포름아미드 등을 들 수 있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그 외 분산제나 기타 첨가제 등,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한정하지 않은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방사 공정을 이용하여 섬유 부직포를 제조하는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공정 조건, 혹은 물질 등은, 본 발명에 특별한 제한 없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에어 필터는, 미세 먼지나 미생물 등에 대한 제거 효율이 매우 우수하고, 항균 특성이 오래 지속될 수 있으면서도, 인체에 대해 매우 안전한 특징이 있다.
도 1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나노 섬유 부직포 층에 대한 SEM 관찰 이미지이다.
도 2는,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나노 섬유 부직포에 대한, 대장균 항균 테스트 결과이며, 도 3은, 황색 포도상 구균 항균 테스트 결과이다.
이하,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보다 상술하기로 한다. 다만, 이러한 실시예는 발명의 예시로 제시된 것에 불과하며, 이에 의해 발명의 권리범위가 정해지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나노 섬유 방사를 위한 고분자 수지로는 폴리비닐부티랄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1:
폴리비닐부티랄 0.8g을, 용매인 9.2g의 에탄올에 분산시키고, 여기에 탄닌 산을 고분자 대비 약 2wt%가 되도록 추가한 뒤, 약 1 시간 동안 약 40℃의 온도에서 교반하여, 방사액을 준비하였다.
전기 방사를 위한 장치로는, NanoNC社의 flat collector 전기방사 장치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나노 섬유 부직포 층을 형성하였다. 방사 조건은 다음과 같다.
노즐: single metal nozzle(18 gauge); 방사 속도: 0.03ml/min; 방사 거리: 25cm; 방사 시간: 30min
비교예 1:
탄닌 산을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방사를 진행하여, 나노 섬유 부직포 층을 형성하였다.
실시예 2~6:
탄닌 산의 사용 양을 달리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방사를 진행하여, 나노 섬유 부직포 층을 형성하였다.
제조 조건을 하기 표 1에 정리하였다.
바인더 100중량부 대비,
탄닌 산 함량
(중량부)
실시예 1 2
실시예 2 5
실시예 3 10
실시예 4 15
실시예 5 17.5
실시예 6 20
비교예 1 -
나노 섬유 부직포 층의 외관 관찰 및 직경 측정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나노 섬유 부직포 층을 SEM으로 관찰하고, 이미지 처리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나노 섬유의 평균 직경을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를 도 1에 도시하였다.
도 1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나노 섬유 부직포 층에 대한 SEM 관찰 이미지이다.
도 1에서, 크기 비교를 위해 표시된 하얀 막대의 길이는 1㎛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나노 섬유는 그 직경이 약 0.1 내지 약 5㎛ 수준인 것을 명확히 확인할 수 있으며, 탄닌 산 첨가에 따라, 그 직경이 점점 굵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항균 실험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나노 섬유 부직포에 대하여, 대장균(E-coli)와, 황색 포도상 구균(S. aureus)에 대한 항균성 테스트를 진행하였다.
먼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나노 섬유 원단 약 0.4g을 잘게 잘라 준비하였다.
상기 나노 섬유 원단에 대장균과 황색포도상구균 각각이 배양된 용액 약 4ml를 접종하였다. 이때 균 농도는 약 104CFU 수준이었다.
접종 후, 나노 섬유 원단을 shaking incubator를 이용하여 약 37℃에서 약 18 내지 약 24시간 동안 현탁 배양 하였다.
균 배양이 끝난 시료에 1X PBS 16ml를 첨가하여 5배 희석한 뒤, 30분동안 vortexing시켰다. Vortexing이 완료된 후, 약 100㎕씩 agar 고체 배지에 접종한 뒤 스프레더 또는 유리구슬을 이용하여 배지에 흡수될 때까지 도말하였다.
이후, 고체 배지를 약 37℃에서 약 24시간 동안 정치 배양하였다.
상기 결과를 도 2 및 도 3에 각각 도시하였다.
도 2는,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나노 섬유 부직포에 대한, 대장균 항균 테스트 결과이며, 도 3은, 황색 포도상 구균 항균 테스트 결과이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노 섬유는, 황색 포도상 구균 및 대장균에 대해 항균 효과를 보이는 것을 명확히 확인할 수 있으며, 특히, 탄닌 산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항균 효과가 더욱 커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10)

  1. 나노 섬유 부직포 층을 포함하며;
    상기 나노 섬유 부직포 층은, 고분자 바인더 및 탄닌 산을 포함하는, 에어 필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 섬유 부직포 층은, 직경이 0.1 내지 5 ㎛인 나노 섬유를 포함하는, 에어 필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바인더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methacrylate), 폴리아크릴로니트릴(polyacrylonitrile), 플루오르화 폴리비닐리덴(polyvinylidene fluoride),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폴리비닐부티랄(polyvinyl butyral) 및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는, 에어 필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닌 산은, 탄닌 산 또는 탄닌 산-금속 화합물로부터 유래된, 에어 필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닌 산은, 상기 고분자 바인더 및 탄닌 산 총 100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30 중랑부의 비율로 포함되는, 에어 필터.
  6. 제1항에 있어서,
    평균 기공 직경이 0.1 내지 10 ㎛이고, 기공률이 50 내지 90%인, 에어 필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 섬유 층의 면 밀도가 0.1 내지 30 g/m2 인, 에어 필터.
  8. 고분자 수지, 탄닌 산, 및 용매를 혼합하여, 방사 액을 준비하는 단계;
    전기 방사에 의해 상기 방사 액을 방사하는 단계, 및
    상기 방사 액 중 용매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에어 필터의 제조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수지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methacrylate), 폴리아크릴로니트릴(polyacrylonitrile), 플루오르화 폴리비닐리덴(polyvinylidene fluoride),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폴리비닐부티랄(polyvinyl butyral) 및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에어 필터의 제조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탄닌 산은, 상기 고분자 바인더 및 탄닌 산 총 100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30 중랑부의 비율로 포함되는, 에어 필터의 제조 방법.
KR1020190087929A 2019-07-19 2019-07-19 에어 필터 및 그 제조 방법 KR202100102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7929A KR20210010248A (ko) 2019-07-19 2019-07-19 에어 필터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7929A KR20210010248A (ko) 2019-07-19 2019-07-19 에어 필터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0248A true KR20210010248A (ko) 2021-01-27

Family

ID=74238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7929A KR20210010248A (ko) 2019-07-19 2019-07-19 에어 필터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1024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ooper et al. Chitosan-based nanofibrous membranes for antibacterial filter applications
CN110773002B (zh) 一种抗菌复合纳米纤维膜及其制备方法和应用
Blosi et al. Polyvinyl alcohol/silver electrospun nanofibers: biocidal filter media capturing virus‐size particles
WO2019022588A2 (ko) Mof를 포함하는 항균제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 필터
CN103276629A (zh) 一种具有抗菌性能的玻璃纤维空气过滤纸及制备方法
CN107051232B (zh) 一种杀菌除醛空气过滤膜
KR101239136B1 (ko) 아파타이트를 복합한 항균 나노섬유 웹의 제조방법
CN112870850A (zh) 一种抗菌熔喷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0536459B1 (ko) 은이 함유된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의 나노섬유 웹
Ju et al. Designing robust, breathable, and antibacterial multifunctional porous membranes by a nanofluids templated strategy
CN113457477A (zh) 一种纳米纤维过滤膜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3430717A (zh) 一种杀菌抗病毒的熔喷滤材的制备方法
KR101317166B1 (ko) 항바이러스성 부직포, 이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캐빈에어필터 및 이들의 제조방법
JP2014144420A (ja) 抗菌エアフィルタろ材
JP2003507100A (ja) エアフィルタ
CN109316829A (zh) 防霉防菌防过敏防病毒四合一空气滤材的制备方法及其产品和应用
KR20190015563A (ko) 물 및 공기 여과를 위한 청소 가능하며 일광-내성인 다기능성 나노섬유 필터 및 나노섬유 필터의 제작 과정
JP2012082566A (ja) ナノファイバ
CN113018503B (zh) 一种抗菌和促进伤口愈合的纳孔石墨烯/硝酸纤维素膜及其制备方法
Zhu et al. The preparation of ultrathin and porous electrospinning membranes of HKUST-1/PLA with good antibacterial and filtration performances
KR20210010248A (ko) 에어 필터 및 그 제조 방법
Nallathambi et al. In situ preparation of silver nanoparticle embedded composite nanofibrous membrane: a multi-layered biocidal air filter
KR101902463B1 (ko) 활성탄소섬유 페이퍼 및 그 제조방법
CN114345019A (zh) 具有阻燃功能的抗菌抗病毒复合过滤材料及其生产工艺
CN1048415C (zh) 大流量滤尘杀菌空气过滤膜及其制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