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0140A - 무인 주행 작업차의 충전용 도킹 충전기 - Google Patents

무인 주행 작업차의 충전용 도킹 충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0140A
KR20210010140A KR1020190087646A KR20190087646A KR20210010140A KR 20210010140 A KR20210010140 A KR 20210010140A KR 1020190087646 A KR1020190087646 A KR 1020190087646A KR 20190087646 A KR20190087646 A KR 20190087646A KR 20210010140 A KR20210010140 A KR 202100101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charger
charging terminal
unmanned driving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76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성진
Original Assignee
홍성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성진 filed Critical 홍성진
Priority to KR10201900876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10140A/ko
Publication of KR202100101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01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1Charging column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007Measures or means for preventing or attenuating collis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04Wound spr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킹 충전기에 접근한 무인 주행 작업차 내부의 충전 배터리에 도킹 충전기로부터 공급되는 전기 에너지를 자동으로 축적하도록 하는 무인 주행 작업차의 충전용 도킹 충전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충전기 측으로 이동 유도하게 하는 자기센서가 부착되고, 내부에 설치된 충전 배터리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충전단자가 외측에 설치된 무인 주행 작업차와; 상기 무인 주행 작업차의 충전단자에 충전 회로부로부터 공급되는 충전단자를 구비한 충전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충전기는 함체 내부에 설치된 충전 회로부와; 상기 함체 내부 바닥면 전방 및 후방에 설치된 전방, 후방 안내레일과; 상기 전방, 후방 안내레일에 끼워져 좌, 우로 이동하는 안내판과; 상기 안내판의 일단 상부에 고정 시킨 고정 브라켓과; 상기 고정 브라켓에 피스톤이 끼워져 결합하는 모터 실린더와; 상기 안내판의 타단 상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전방 및 후방 각각에 설치한 플러스, 마이너스 충전단자; 및 상기 플러스 충전단자와 마이너스 충전단자 사이에 설치한 스위치 작동용 접촉단자;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무인 주행 작업차의 충전용 도킹 충전기{Charging docking charger for unmanned driving car}
본 발명은 무인 주행 작업차의 충전용 도킹 충전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도킹 충전기에 접근한 무인 주행 작업차 내부의 충전 배터리에 도킹 충전기로부터 공급되는 전기 에너지를 자동으로 축적하도록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인 주행 작업차는 차체에 탑재되어 배터리로부터 통전되는 전동 모터에 의해 작업기를 구동하여 작업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무인 주행 작업차는 탑재된 작업기를 작업함에 따라 배터리 소모가 발생되고, 배터리 충전량이 부족할 경우에는 작업자가 무인 주행 작업차를 충전기측으로 유도하여 충전기로부터의 전원을 충전용 배터리에 공급하도록 하고 있으나, 무인 주행 작업차를 충전기 측으로 유도하는 작업이 어려워 자동으로 무인 주행 작업차를 충전기측으로 유도하는 기술이 요구 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를 위하여 선행기술인 등록특허 제10-1462760호와 같이 에리어 와이어의 자계 강도를 상기 차체에 배치되는 자기 센서로 검출하면서 주행하여 상기 배터리 충전을 위해 상기 에리어 와이어 상에 배치된 충전기로 귀환하도록 한 무인주행 작업차에 의하여 무인 주행 작업차의 배터리 충전을 자동으로 수행하고 있으나, 중량체의 무인 주행 작업차의 충전단자가 충전기의 충전단자와 접촉할 경우 무인 주행 작업차의 중량에 의하여 충전기를 밀어내거나 하여 충전단자 상호간의 접촉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발생 되어 원활한 충전이 수행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지적될 뿐 아니라 충전단자의 파손을 가져와 충전기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지적된다.
본 발명은 무인 주행 작업차의 충전단자와 충전기의 충전단자가 상호 접촉 시 완충작용을 통하여 충전기가 밀려나지 않도록 하여 충전시간 동안 지속적인 충전 접촉이 이루어지게 하여 충전기로부터의 전류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함을 기술적 과제로 삼는다.
본 발명은 충전기 측으로 이동 유도하게 하는 자기센서가 부착되고, 내부에 설치된 충전 배터리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충전단자가 외측에 설치된 무인 주행 작업차와; 상기 무인 주행 작업차의 충전단자에 충전 회로부로부터 공급되는 충전단자를 구비한 충전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충전기는 함체 내부에 설치된 충전 회로부와; 상기 함체 내부 바닥면 전방 및 후방에 설치된 전방, 후방 안내레일과; 상기 전방, 후방 안내레일에 끼워져 좌, 우로 이동하는 안내판과; 상기 안내판의 일단 상부에 고정 시킨 고정 브라켓과; 상기 고정 브라켓에 피스톤이 끼워져 결합하는 모터 실린더와; 상기 안내판의 타단 상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전방 및 후방 각각에 설치한 플러스, 마이너스 충전단자; 및 상기 플러스 충전단자와 마이너스 충전단자 사이에 설치한 스위치 작동용 접촉단자;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무인 주행 작업차의 충전단자가 충전기의 충전단자와 면 저촉 시 충전기나 무인 주행 작업차가 상호 외측으로 밀려나지 않고 지속적으로 접촉하게 함으로써 원활하고도 안정적인 충전이 이루어지게 하고, 무인 주행 작업차의 충전단자가 충전기의 충전단자와 면 저촉 순간 완충작용을 통하여 무인 주행 작업차에 비하여 가벼운 충전기의 파손은 물론 충전기의 충전단자의 훼손을 방지하여 충전기의 사용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충전단자가 설치된 안내판을 안내레일을 따라 이동하게 함으로써 충전기의 충전단자가 무인 주행 작업차의 충전단자와 안정적으로 접촉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정확한 접촉으로 충전 효율을 증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인 주행 작업차의 충전용 도킹 충전기의 전체 구성 사시도 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인 주행 작업차의 충전용 도킹 충전기의 덮개를 분리한 상태의 내부 결합 사시도 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인 주행 작업차의 충전용 도킹 충전기의 요부 발췌 결합 사시도 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무인 주행 작업차의 충전용 도킹 충전기의 충전 부재를 발췌한 사시도 이다.
도 4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무인 주행 작업차의 충전부를 보인 사시도 이다.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무인 주행 작업차의 충전용 도킹 충전기의 모터 실린더와 고정 브라켓을 분리한 상태의 분리 사시도 이다.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무인 주행 작업차의 충전용 도킹 충전기의 작동상태 측단면도로서, 충전 전 및 충전 상태도면이다.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무인 주행 작업차의 충전용 도킹 충전기의 작동상태 평면도로서, 충전 전 상태도면이다.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무인 주행 작업차의 충전용 도킹 충전기의 작동상태 평면도로서, 충전 상태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요부 발췌 단면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충전 전 상태의 일부 단면도이고, 도 8b는 충전 상태의 일부 단면도이다.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통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이하 설명에서 좌, 우측 및 전, 후방 등의 설명은 도면을 중심으로 표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충전기(10) 측으로 이동 유도하게 하는 미 도시한 자기센서가 부착되고, 내부에 설치된 미 도시한 충전 배터리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플러스, 마이너스 충전단자(21)(22)가 외측에 설치된 무인 주행 작업차(20)와; 상기 무인 주행 작업차(20)의 충전단자(21)에 충전 회로부(11)로부터 전류가 공급되는 플러스, 마이너스 충전단자(12)(13)를 구비한 충전기(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충전기(10)는 함체(10A) 내부에 설치된 충전 회로부(11)와; 상기 함체(10A) 내부 바닥면 전방 및 후방에 설치된 전방 안내레일(14) 및 후방 안내레일(14A)과; 상기 전방, 후방 안내레일(14)(14A)에 끼워져 좌, 우로 이동하는 안내판(15)과; 상기 안내판(15)의 일단 상부에 고정 시킨 고정 브라켓(16)과; 상기 고정 브라켓(16)에 피스톤(17A)이 끼워져 결합하는 모터 실린더(17)와; 상기 안내판(15)의 타단 상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전방 및 후방 각각에 설치한 플러스, 마이너스 충전단자(12)(13); 및 상기 플러스 충전단자(12)와 마이너스 충전단자(13) 사이에 설치한 스위치 작동용 접촉단자(18);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고, 상기 충전기(10)는 일정한 장소의 바닥면에 고정편(10-1)에 의하여 고정설치될 수 있고, 상기 플러스, 마이너스 충전단자(12)(13)에는 구멍(12A)(13A)을 각각 뚫어 미 도시한 과열센서 또는 접촉센서를 끼워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무인 주행 작업차(20)의 플러스 충전단자(21)와 마이너스 충전단자(22) 사이에는 충전 개시용 스위치(23)가 설치되어 후술하는 스위치 작동용 접촉단자(18)가 접촉 시 충전기(10)의 플러스 충전단자(12)와 마이너스 충전단자(13)로 부터 공급되는 전류가 무인 주행 작업차(20)의 플러스 충전단자(21)와 마이너스 충전단자(22)를 통하여 내부 배터리에 전기 에너지를 축적시키게 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스위치 작동용 접촉단자(18)는 상부가 좌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하여 탄력성을 부여하되, 충전기(10)의 플러스 충전단자(12)와 마이너스 충전단자(13) 단자의 돌출 위치보다 더 외측으로 돌출되게 하여 무인 주행 작업차(20)의 플러스 충전단자(21)와 마이너스 충전단자(22) 사이의 충전 개시용 스위치(23)에 스위치 작동용 접촉단자(18)가 접촉되면서 도 5b와 같이 우측 방향으로 세워지면서 눌리어지면 충전기(10)의 플러스 충전단자(12)와 마이너스 충전단자(13)의 외측면이 무인 주행 작업차(20)의 플러스 충전단자(21)와 마이너스 충전단자(22)의 외측면에 면접 되며, 상기 무인 주행 작업차(20)의 플러스 충전단자(21)와 마이너스 충전단자(22) 사이의 공간은 플러스 충전단자(21)와 마이너스 충전단자(22)의 두께로 인하여 요입부가 형성되고, 이 요입부에 스위치 작동용 접촉단자(18)가 면 접촉될 수 있어 스위치 작동용 접촉단자(18)를 충전기(10)의 플러스 충전단자(12)와 마이너스 충전단자(13) 단자의 돌출 위치보다 더 외측으로 돌출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함체(10A) 바닥면에 고정 시킨 모터 실린더(17)의 피스톤(17A)의 끝단은 고정 브라켓(16)의 내부에 삽입된 압축스프링(16A)의 일단에 면접시키되, 상기 피스톤(17A)의 일측에 결합한 스토퍼(17A-1)를 고정 브라켓(16)의 일측에 뚫은 안내 장공(16B)에 끼워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무인 주행 작업차(20)가 배터리 부족으로 통상의 기술과 같이 자기센서 동작에 의하여 충전기(10) 측으로 이동하여 충전기(10)에 근접하면, 미 도시한 충전기(10)에 부착된 위치센서에 의하여 이를 감지하고, 미 도시한 제어회로에 의하여 모터 실린더(17)를 작동시키면 피스톤(17A)가 작동되어 고정 브라켓(16)의 내부에 삽입된 압축스프링(16A)을 압축함과 동시에 피스톤(17A)의 일측에 결합한 스토퍼(17A-1)가 안내 장공(16B)을 따라 피스톤(17A)과 함께 이동하면서 도 5b의 일점쇄선 표시 및 도 6b와 같이 안내판(15)이 전방, 후방 안내레일(14)(14A)을 따라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1차적으로 스위치 작동용 접촉단자(18)가 충전 개시용 스위치(23)와 접촉되어 스위칭되고, 2차적으로 충전기(10)의 플러스 충전단자(12)와 마이너스 충전단자(13)가 무인 주행 작업차(20)의 플러스 충전단자(21)와 마이너스 충전단자(22)에 접촉되어 자동으로 충전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압축스프링(16A)은 스토퍼(17A-1)가 안내 장공(16B)의 끝단에 걸린 만큼 압축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충전기(10)의 플러스 충전단자(12)와 마이너스 충전단자(13)가 무인 주행 작업차(20)의 플러스 충전단자(21)와 마이너스 충전단자(22) 측으로 밀게 되고, 무인 주행 작업차(20)의 플러스 충전단자(21)와 마이너스 충전단자(22)는 충전기(10)의 플러스 충전단자(12)와 마이너스 충전단자(13) 측으로 밀어 안내판(15)을 충전기(10) 측으로 밀게 됨으로써 고정수단(17B)에 의하여 고정 시킨 모터 실린더(17)의 피스톤(17A)에 탄력 지지된 압축스프링(16A)을 압축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압축된 압축스프링(16A)은 탄발 하려는 힘이 모터 실린더(17) 측으로 가해져 충전기(10)의 플러스 충전단자(12)와 마이너스 충전단자(13) 각각에 무인 주행 작업차(20)의 플러스 충전단자(21)와 마이너스 충전단자(22)가 강하게 밀면서 지속적으로 접촉을 유지하게 되므로 안정적인 전류공급이 이루어지면서 충전을 수행할 수 있고, 상기와 같은 압축스프링(16A)의 탄력에 의하여 충전기(10)의 플러스 충전단자(12)와 마이너스 충전단자(13)와 무인 주행 작업차(20)의 플러스 충전단자(21)와 마이너스 충전단자(22) 상호간의 면 접촉 시 완충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이들 충전단자의 파손이나 훼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도 6a와 같이 함체(10A) 바닥면에 설치된 고정수단(17B) 내부에 압축스프링(17B')을 끼워 설치하되, 압축스프링(17B')의 일단은 고정수단(17B)에 결합한 고정편(17B")에 의하여 지지 되게 하고, 모터 실린더(17)의 우측단에 돌출시킨 작동편(17-1)을 고정수단(17B) 내부의 압축스프링(17B')에 면접시켜 구성할 수 있고, 상기 작동편(17-1)에 스토퍼((17-1")를 결합하여 고정수단(17B)에 형성한 안내 장공(17B')에 끼워 설치할 수 있다.
이 경우의 구성은 충전기(10)의 플러스 충전단자(12)와 마이너스 충전단자(13)와 무인 주행 작업차(20)의 플러스 충전단자(21)와 마이너스 충전단자(22)가 접촉할 시 발생 되는 모터 실린더(17)의 진동을 상기 압축스프링(17B')에 의하여 완충시키면서 감쇄시켜 모터 실린더(17)가 진동이나 접촉에 의한 충격으로부터 파손되거나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충전기(10)의 플러스 충전단자(12)와 마이너스 충전단자(13) 각각에 뚫은 구멍에 철편(12-1)(13-1)을 끼워 고정 시키고, 이에 대응하는 무인 주행 작업차(20)의 플러스 충전단자(21)와 마이너스 충전단자(22) 각각에 뚫은 구멍(21-1')(22-1')에 자석(21-1)(22-1)을 끼워 고정 설치하게 하는 것으로, 충전기(10)의 플러스 충전단자(12)와 마이너스 충전단자(13)와 무인 주행 작업차(20)의 플러스 충전단자(21)와 마이너스 충전단자(22)가 접촉할 시 상기 무인 주행 작업차(20)의 플러스 충전단자(21)와 마이너스 충전단자(22) 각각의 자석(21-1)(22-1)과 충전기(10)의 플러스 충전단자(12)와 마이너스 충전단자(13) 각각의 철편(12-1)(13-1)이 상호 자력에 의하여 견고한 상태로 접촉될 수 있게 함으로써 흔들림없이 더욱 안정적이고도 지속적으로 충전을 수행할 수 있으며, 도 8a, 도 8b와 같이 무인 주행 작업차(20)의 플러스 충전단자(21)와 마이너스 충전단자(22) 각각의 구멍(21-1')(22-1')에 끼워 설치한 자석(21-1)(22-1)의 일단에 압축스프링(21-2)(22-2)을 설치하여 충전기(10)의 플러스 충전단자(12)와 마이너스 충전단자(13)와 무인 주행 작업차(20)의 플러스 충전단자(21)와 마이너스 충전단자(22)가 비 접촉시에는 도 8a와 같이 자석(21-1)(22-1)이 압축스프링(21-2)(22-2)의 탄력에 의하여 돌출되어 있다가 충전기(10)의 플러스 충전단자(12)와 마이너스 충전단자(13)와 무인 주행 작업차(20)의 플러스 충전단자(21)와 마이너스 충전단자(22)가 접촉시에는 도 8b와 같이 충전기(10)의 플러스 충전단자(12)와 마이너스 충전단자(13)의 철편(12-1)(13-1)이 자석(21-1)(22-1)을 밀면서 압축스프링(21-2)(22-2)을 탄압시키게 되고, 이로 인하여 압축스프링(21-2)(22-2)은 자석(21-1)(22-1)을 철편(12-1)(13-1) 측으로 밀려는 힘이 발생 되므로 상기에서 설명한 압축스프링(16A) 이외에 압축스프링(21-2)(22-2)에 의하여 더더욱 안정적이고도 지속적인 접촉으로 원활한 충전을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 완충효율을 더욱 증진시킬 수 있고, 상기 압축스프링(21-2)(22-2) 각각의 타단은 무인 주행 작업차(20)의 플러스 충전단자(21)와 마이너스 충전단자(22)를 고정 시키는 절연 부재(20A) 각각의 내부에 뚫은 요입부에 끼워 설치될 수 있고, 상기에서 충전기(10)의 플러스 충전단자(12)와 마이너스 충전단자(13)와 무인 주행 작업차(20)의 플러스 충전단자(21)와 마이너스 충전단자(22)가 접촉시에는 자석(21-1)(22-1)의 외측면 각각과 철편(12-1)(13-1)의 외측면 각각은 충전기(10)의 플러스 충전단자(12)와 마이너스 충전단자(13) 및 무인 주행 작업차(20)의 플러스 충전단자(21)와 마이너스 충전단자(22)의 외측면과 동일선상에 위치되어 충전의 방해를 방지하게 한다.
이후 충전 완료되면 미 도시한 제어회로에 의하여 상기 모터 실린더(17)를 작동시켜 상기 설명한 충전 방식 반대로 안내판(15)이 전방, 후방 안내레일(14)(14A)을 따라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도 5b 및 도 6b와 같이 원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 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실
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
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충전기 10A : 함체
12, 13 : 충전기의 플러스, 마이너스 충전단자
14, 14A : 전, 후방 안내레일 15 : 안내판
16 : 고정 브라켓 16A : 압축스프링
16B : 안내 장공 17 : 모터 실린더
17A : 피스톤 17A-1 : 스토퍼
20 : 무인 주행 작업차
21, 22 : 무인 주행 작업차의 플러스, 마이너스 충전단자

Claims (6)

  1. 충전기(10) 측으로 이동 유도하게 하는 자기센서가 부착되고, 내부에 설치된 충전 배터리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플러스, 마이너스 충전단자(21)(22)가 외측에 설치된 무인 주행 작업차(20)와; 상기 무인 주행 작업차(20)의 충전단자(21)에 충전 회로부(11)로부터 전류가 공급되는 플러스, 마이너스 충전단자(12)(13)를 구비한 충전기(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충전기(10)는 함체(10A) 내부에 설치된 충전 회로부(11)와; 상기 함체(10A) 내부 바닥면 전방 및 후방에 설치된 전방 안내레일(14) 및 후방 안내레일(14A)과; 상기 전방, 후방 안내레일(14)(14A)에 끼워져 좌, 우로 이동하는 안내판(15)과; 상기 안내판(15)의 일단 상부에 고정 시킨 고정 브라켓(16)과; 상기 고정 브라켓(16)에 피스톤(17A)이 끼워져 결합하는 모터 실린더(17)와; 상기 안내판(15)의 타단 상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전방 및 후방 각각에 설치한 플러스, 마이너스 충전단자(12)(13); 및 상기 플러스 충전단자(12)와 마이너스 충전단자(13) 사이에 설치한 스위치 작동용 접촉단자(18);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주행 작업차의 충전용 도킹 충전기.
  2. 제1항에 있어서, 함체(10A) 바닥면에 고정 시킨 모터 실린더(17)의 피스톤(17A)의 끝단은 고정 브라켓(16)의 내부에 삽입된 압축스프링(16A)의 일단에 면접시키되, 상기 피스톤(17A)의 일측에 결합한 스토퍼(17A-1)를 고정 브라켓(16)의 일측에 뚫은 안내 장공(16B)에 끼워 설치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주행 작업차의 충전용 도킹 충전기.
  3. 제1항에 있어서, 함체(10A) 바닥면에 설치된 고정수단(17B) 내부에 압축스프링(17B')을 끼워 설치하되, 압축스프링(17B')의 일단은 고정수단(17B)에 결합한 고정편(17B")에 의하여 지지 되게 하고, 모터 실린더(17)의 우측단에 돌출시킨 작동편(17-1)을 고정수단(17B) 내부의 압축스프링(17B')에 면접시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주행 작업차의 충전용 도킹 충전기.
  4. 제1항에 있어서, 충전기(10)의 플러스 충전단자(12)와 마이너스 충전단자(13) 각각에 뚫은 구멍에 철편(12-1)(13-1)을 끼워 고정 시키고, 이에 대응하는 무인 주행 작업차(20)의 플러스 충전단자(21)와 마이너스 충전단자(22) 각각에 뚫은 구멍(21-1')(22-1')에 자석(21-1)(22-1)을 끼워 고정 설치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주행 작업차의 충전용 도킹 충전기.
  5. 제1항 및 제4항에 있어서, 무인 주행 작업차(20)의 플러스 충전단자(21)와 마이너스 충전단자(22) 각각의 구멍(21-1')(22-1')에 끼워 설치한 자석(21-1)(22-1)의 일단에 압축스프링(21-2)(22-2)을 설치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주행 작업차의 충전용 도킹 충전기.
  6. 충전기(10) 측으로 이동 유도하게 하는 자기센서가 부착되고, 내부에 설치된 충전 배터리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플러스, 마이너스 충전단자(21)(22)가 외측에 설치된 무인 주행 작업차(20)와; 상기 무인 주행 작업차(20)의 충전단자(21)에 충전 회로부(11)로부터 전류가 공급되는 플러스, 마이너스 충전단자(12)(13)를 구비한 충전기(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충전기(10)는 함체(10A) 내부에 설치된 충전 회로부(11)와; 상기 함체(10A) 내부 바닥면 전방 및 후방에 설치된 전방 안내레일(14) 및 후방 안내레일(14A)과; 상기 전방, 후방 안내레일(14)(14A)에 끼워져 좌, 우로 이동하는 안내판(15)과; 상기 안내판(15)의 일단 상부에 고정 시킨 고정 브라켓(16)과; 상기 고정 브라켓(16)에 피스톤(17A)이 끼워져 결합하는 모터 실린더(17)와; 상기 안내판(15)의 타단 상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전방 및 후방 각각에 설치한 플러스, 마이너스 충전단자(12)(13); 및 상기 플러스 충전단자(12)와 마이너스 충전단자(13) 사이에 설치한 스위치 작동용 접촉단자(18);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충전기(10)의 플러스 충전단자(12)와 마이너스 충전단자(13) 각각에 뚫은 구멍에 철편(12-1)(13-1)을 끼워 고정 시키고, 이에 대응하는 무인 주행 작업차(20)의 플러스 충전단자(21)와 마이너스 충전단자(22) 각각에 뚫은 구멍(21-1')(22-1')에 자석(21-1)(22-1)을 끼워 고정 설치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주행 작업차의 충전용 도킹 충전기.

KR1020190087646A 2019-07-19 2019-07-19 무인 주행 작업차의 충전용 도킹 충전기 KR202100101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7646A KR20210010140A (ko) 2019-07-19 2019-07-19 무인 주행 작업차의 충전용 도킹 충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7646A KR20210010140A (ko) 2019-07-19 2019-07-19 무인 주행 작업차의 충전용 도킹 충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0140A true KR20210010140A (ko) 2021-01-27

Family

ID=74238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7646A KR20210010140A (ko) 2019-07-19 2019-07-19 무인 주행 작업차의 충전용 도킹 충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1014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05968A (ko) 2022-01-05 2023-07-12 웍스탭글로비스주식회사 자율 주행 차량 도킹 스테이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05968A (ko) 2022-01-05 2023-07-12 웍스탭글로비스주식회사 자율 주행 차량 도킹 스테이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70258B2 (en) Magnetic switch
KR101086908B1 (ko) 전자 개폐기
KR101116383B1 (ko) 전자 개폐장치
KR101552435B1 (ko) 무정지 배터리 교환장치
RU2621928C1 (ru) Система электропитани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KR20170049490A (ko) 충전 완료시 전자기력에 의해 방출되고 단전되는 충전장치
EP2899832A1 (en) Charging station system of automatic working device
CN107086164A (zh) 旁路开关
CN111512409A (zh) 具备永磁铁壳体的直流继电器
KR20210010140A (ko) 무인 주행 작업차의 충전용 도킹 충전기
JPWO2014038017A1 (ja) 非接触給電装置
KR101943364B1 (ko) 전자개폐기
CN210489542U (zh) 直流继电器
CN211158920U (zh) 振动毛刷、振动毛刷组件和清洁装置
CN105790570A (zh) 一种水下机器人电源磁控开关装置及控制方法
EP2194554A2 (en) Electromagnetic contactor with abrasion preventing means
JP5079053B2 (ja) 給電用コネクタ及び給電用プラグ
CN214378242U (zh) 一种提升抗短路能力的直流继电器
KR101171353B1 (ko) 전자개폐장치
CN112146170B (zh) 清洁装置、自清洁过滤网和空调器
CN114498167A (zh) 一种挂轨式巡检机器人充电装置及充电方法
CN210007016U (zh) 电动汽车充电枪的按钮结构
CN107644785B (zh) 一种改良式动簧继电器
CN110303909B (zh) 充电设备和具有其的车辆的供电设备、轨道交通系统
CN220043012U (zh) 一种用于智能扫地机器人的对接充电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