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0065A - 공기청정기 - Google Patents

공기청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0065A
KR20210010065A KR1020190087457A KR20190087457A KR20210010065A KR 20210010065 A KR20210010065 A KR 20210010065A KR 1020190087457 A KR1020190087457 A KR 1020190087457A KR 20190087457 A KR20190087457 A KR 20190087457A KR 20210010065 A KR20210010065 A KR 202100100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unit
housing
air purifier
unit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7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민하
권희재
백승호
정순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874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10065A/ko
Publication of KR202100100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00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24F13/072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of elongated shape, e.g. between ceiling pa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4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on the cei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공기청정기는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하우징과; 공간에 수용된 송풍유닛 및 정화유닛과; 개구부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된 토출 유닛과; 토출 유닛을 승강시키는 승강기구와; 토출 유닛을 회전시키는 회전기구와; 승강기구 및 회전기구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토출 유닛은 토출 유닛의 하강시 개구부를 차폐하는 탑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토출 유닛의 상승시, 하우징의 상부와 탑 커버의 사이에는 토출유닛에서 토출된 공기가 통과하는 틈이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청정기{Air cleaner}
본 발명은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정화유닛에 의해 정화된 공기가 토출유닛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청정기는 가정, 사무실, 관공서 등에 구비되어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정화하는 기기이다.
공기청정기는 공기를 유동시키는 송풍유닛과, 필터 등의 정화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기청정기는 그 설치위치에 따라 천장에 장착되거나 천장에서 아래로 연장된 와이어에 연결된 천장형 공기청정기와, 벽에 장착되는 벽걸이형 공기청정기와, 실내의 바닥에 세워져 사용되는 입상형 공기청정기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공기청정기 중 천장형 공기청정기 중 일 예는 하면에 공기가 흡입되는 하면 흡입구가 형성될 수 있고, 상면에 공기가 토출되는 상면 토출구가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에 송풍유닛 및 정화유닛이 배치될 수 있고, 실내의 공기는 하면 흡입구를 통해 공기청정기 내부로 흡입되어 정화유닛에 의해 정화될 수 있고, 정화유닛에 의해 정화된 공기는 상면 토출구를 통해 공기청정기의 상측으로 토출될 수 있다.
공기청정기 중 하면 흡입/상면 토출의 유로 구조를 갖는 공기청정기는 그 운전이 정지인 동안, 공기청정기 주변의 먼지 등의 이물질(이하, 먼지라 칭함)이 공기청정기의 상면에 점차 쌓일 수 있고, 공기청정기의 운전 재개시, 공기청정기 상면에 쌍혀 있던 먼지가 공기청정기에서 상측 방향으로 송풍된 공기에 의해 이동되어 공기청정기 주변으로 흩날릴 수 있다.
또한, 상면 토출구에서 토출된 기류가 공기청정기의 상측 방향으로 유동되어
공기정정기 주변으로 분산된 후 하면 흡입구를 통해 재흡입되므로, 주로 공기청정기의 주변을 청정할 수 있고, 공기청정기가 설치된 실내의 넓은 영역을 모두 청정하는데, 장시간 소요될 수 있으며, 공기청정기가 청정할 수 있는 면적이 작은 문제점이 있다.
한편, 공기청정기는 하면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정화하고, 정화된 공기를 상측이 아닌 옆 방향으로 토출하는 것도 가능하고, 이러한 공기청정기의 일 예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176565(2012년08월23일 공고)에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176565(2012년08월23일 공고)에 개시된 공기청정기는 상,하부 프레임의 측판에 배출구가 형성되고, 정화유닛에서 정화된 공기는 배출구를 통해 상,하부 프레임의 옆 방향으로 토출될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176565(2012년08월23일 공고)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는 토출구(또는 배출구)가 개방되어 있어, 미사용시 먼지나 벌레 등의 이물질이 토출구(또는 배출구)를 통해 공기청정기 내부로 유입될 수 있고, 이물질에 의해 공기청정기 내부가 청결하게 유지되지 못하거나 오작동 될 수 잇다.
본 발명은 이물질의 침투를 최소화할 수 있고, 토출 유닛의 오염이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정화된 공기의 토출 높이 및 유속이 가변될 수 있어, 실내의 넓은 영역을 청정할 수 있는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원주방향을 따라 상이한 유속을 갖는 복합적 기류를 형성하여 실내의 넓은 영역을 최대한 고르게 정화할 수 있는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하우징과; 공간에 수용된 송풍유닛 및 정화유닛과; 개구부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된 토출 유닛과; 토출 유닛을 승강시키는 승강기구와; 토출 유닛을 회전시키는 회전기구와; 승강기구 및 회전기구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토출 유닛은 토출 유닛의 하강시 개구부를 차폐하는 탑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토출 유닛의 상승시, 하우징의 상부와 탑 커버의 사이에는 토출유닛에서 토출된 공기가 통과하는 틈이 형성될 수 있다.
틈은 토출 유닛에서 유동된 공기가 공기청정기 외부로 토출되는 출구일 수 있다. 출구는 수평 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
하우징의 상단은 원주 방향을 따라 산과 골이 교대로 형성될 수 있다. 탑 커버의 가장자리는 원주방향을 따라 산과 골이 교대로 형성될 수 있다.
컨트롤러는 탑 커버의 골이 하우징의 산 보다 높은 높이로 상승되게 승강기구를 제어한 후, 회전기구가 토출유닛을 회전시키도록 회전기구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탑 커버는 하우징의 상단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탑 커버는 하우징과 간섭 및 충돌되지 않을 수 있다.
공기청정기는 천장에 설치되고 하측으로 와이어가 연장된 헹거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토출유닛은 와이어가 관통되는 중공부가 형성될 수 있다.
공기청정기는 하우징에 배치되고 와이어가 연결되는 와이어 커넥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와이어 커넥터는 중공부의 내부를 막는 차폐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차폐바디는 중공부의 이물질이 공기청정기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와이어 커넥터는 하우징과 정화유닛과 송풍유닛 중 적어도 하나와 결합될 수 있다.
토출 유닛은 탑 커버의 저면에 형성되고 개구부 보다 크기가 작은 토출 그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승강기구는 공기청정기의 운전시, 제1높이로 상승시시킬 수 있다. 제1높이는 토출 그릴이 틈을 향하는 높이일 수 있다.
승강기구는 공기청정기의 정지시, 제2높이로 하강시킬 수 있다. 제2높이는 토출 그릴의 상단 높이가 하우징의 상단 높이와 같거나 상기 하우징의 상단 높이 보다 낮은 높이일 수 있다.
공기청정기는 승강기구와 회전기구 중 어느 하나가 장착된 캐리어를 포함할 수 잇다. 승강기구와 회전기구 중 다른 하나는 캐리어에 연결될 수 있다.
공기청정기는 하우징의 하부에 배치되고 실내의 바닥과 이격되며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가 형성된 흡입 바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토출유닛에서 토출된 기류가 360°의 모든 방향에 대해 상하 입체 기류로 토출될 수 있어, 공기청정기 주변의 최대한 넓은 영역을 고르게 청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토출 유닛에서 토출된 기류가 원주방향을 따라 고속기류와 저속기류가 교대로 형성되는 복합 기류를 형성하면서 토출될 수 있어, 실내 공간 중 공기청정기와 먼 영역 및 공기청정기와 근접한 영역 각각은 신속하게 청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내부가 도시된 단면도,
도 3는 도 2에 도시된 토출유닛이 토출위치로 상승되었을 때의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청정기의 미작동시 청정모듈의 상부가 도시된 사시도이며,
도 5은 도 4에 도시된 공기청정기의 토출유닛이 상승되었을 때의 사시도,
도 6는 도 5에 도시된 토출유닛이 회전되었을 때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제어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에서 입체 기류가 토출될 때의 측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내부가 도시된 단면도이며, 도 3는 도 2에 도시된 토출유닛이 토출위치로 상승되었을 때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청정기의 미작동시 청정모듈의 상부가 도시된 사시도이며, 도 5은 도 3에 도시된 공기청정기의 토출유닛이 상승되었을 때의 사시도이고, 도 6는 도 4에 도시된 토출유닛이 회전되었을 때의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에서 입체 기류가 토출될 때의 측면도이다.
공기청정기는 하우징(1)과, 송풍유닛(2)과, 정화유닛(3) 및 토출유닛(4)을 포함한다.
하우징(1)과, 송풍유닛2)과, 정화유닛(3) 및 토출유닛(4)는 조립체(A; 이하, 청정모듈(A)로 칭함)를 구성할 수 있고, 이러한 청정모듈(A)은 천장(C)에 스크류나 앵커 볼트 등의 체결부재로 장착되거나, 천장에 장착되는 마운팅 브라켓에 장착되거나, 와이어(W)를 통해 천장(C)에 매달리게 장착될 수 있다.
청정모듈(A)이 와이어(W)에 의해 천장(C)에 매달리게 장착될 경우, 공기청정기는 천장(C)에 설치된 헹거 유닛(U)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헹거 유닛(U)은 하측으로 연장된 와이어(W)를 포함할 수 있고, 청정모듈(A)은 와이어(W)의 하부에 연결될 수 있다. 헹거 유닛(9)에서는 와이어(W) 뿐만 아니라 청정모듈(A)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V)이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고, 전선(V)는 청정모듈(A)에 연결되어 청정모듈(A)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헹거 유닛(U)은 천장에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고정된 헹거 바디(91)과, 헹거 바디(91)에서 헹거 바디(91)의 하측으로 길게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와이어(W) 및 전선(V)를 포함할 수 있다.
청정모듈(A)은 와이어(W)의 하부에 연결되었을 때, 상하방향(Z)으로 천장(C)과 소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와이어(W)는 토출유닛(4)이 최대 높이로 상승되었을 때, 토출유닛(4)이 헹거 바디(91)와 간섭되지 않는 길이를 갖을 수 있다. 와이어(W) 중 헹거 바디(91)와 청정모듈(A) 사이의 길이(L1)는 하우징(1)의 상부와 토출유닛(4) 사이에 상하 방향(Z)으로 형성된 틈(G)의 상하방향 최대 길이(L2) 보다 길 수 있다.
하우징(1)은 상부에 개구부(11)가 형성되고 내부에 공간(S1)이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은 상하 방향으로 긴 중공 통체 형상일 수 있다. 하우징(1)은 청정모듈(A)의 외둘레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개구부(11)는 하우징(1)의 상단 내측에 상하 방향으로 개방된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고, 개구부(11)는 토출유닛(4)의 전부 또는 일부가 수용될 수 있는 개방된 부분일 수 있다.
하우징(1)은 복수개 부재(1A)(1B)(1C)의 결합체로 구성될 수 있다. 하우징(1)의 일예는 내부가 중공된 중공 바디(1A)과, 중공 바디(1A)의 하부에 배치되고 흡입 바디(12)와 흡입유로(13)을 형성하는 로어 하우징(1B)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은 중공 바디(1A)의 상부에 배치되고 토출 유닛(4)이 안착되는 어퍼 바디(1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어퍼 바디(1C)는 중공 바디(1A)의 상부 내둘레에 배치될 수 있다. 어퍼 바디(1C)에는 토출유닛(4)의 후술하는 탑 커버(42)가 안착되는 탑 커버 안착면이 형성될 수 있다.
공기청정기는 외부의 공기가 공간(S1)으로 흡입되게 하는 흡입 바디(12)를 포함할 수 있다.
흡입 바디(12)는 청정모듈(1)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흡입 바디(12)는 하우징(1) 또는 정화유닛(2)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흡입 바디(12)는 청정모듈(A)이 와이어(W)에 연결되었을 때, 실내의 바닥(B)과 상하방향(Z)으로 이격될 수 있다.
흡입 바디(12)의 일 예는 흡입구가 형성된 흡입 그릴 또는 흡입 패널로 구성될 수 있다.
흡입 바디(12)의 다른 예는 하우징(1)을 향해 흡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흡입 가이드로 구성될 수 있고, 이 경우 흡입 바디(12)와 하우징(1)의 사이에는 공기가 하우징(1) 내부로 흡입되기 위한 통과하는 흡입유로(13)가 형성될 수 있다.
공기청정기는 실내를 밝게 조명하는 조명기구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조명기구는 백열등이나 형광등이나 엘이디 어셈블리 등의 광원(15)을 포함할 수 있다. 조명기구는 청정모듈(1)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공기청정기의 일예는 흡입 바디(12)와 조명기구가 별도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흡입 바디(12)와 조명기구 중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의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공기청정기의 다른 예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 바디(12)의 내부에 광원(15)이 배치되어 흡입 바디(12)와 광원(15)의 조립체(LC)가 조명기구로 기능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흡입 바디(12)는 광원(15)의 광이 확산되는 확산판(16)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흡입 바디(12)는 확산판(16)과 함께 광원(15)을 보호하는 광원 커버(1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광원 커버(17)는 확산판(16)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고, 확산판(16)과 광원 커버(17)의 사이에는 광원(15)이 수용되는 광원 수용공간(S2)가 형성될 수 있다.
송풍유닛(2)은 공간(S1)에 수용될 수 있다. 송풍유닛(2)은 하우징(1)의 내둘레 내측에 위치될 수 있다. 송풍유닛(2)은 토출 유닛(4)의 아래에 위치되게 하우징(1)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송풍유닛(2)는 하우징(1)의 내부에 장착된 브래킷(21)에 장착된 팬모터(22)과, 팬모터(22)에 연결되어 모터(22)에 의해 회전되는 팬(23)를 포함할 수 있다.
송풍유닛(2)은 정화유닛(3)의 위나 아래나 내측에 위치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정화유닛(3)이 송풍유닛(2)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될 경우, 송풍유닛(2)은 하측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측으로 송풍하는 축류형 송풍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정화유닛(3)이 송풍유닛(2)의 외둘레에 배치될 경우, 송풍유닛(2)은 정화유닛(3)의 내측에 형성된 송풍유닛 수용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그리고, 송풍유닛(2)은 하측의 공기를 흡입하여 원심방향으로 송풍하는 원심형 송풍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정화유닛(3)은 공간(S1)에 수용될 수 있다. 정화유닛(3)은 흡입 바디(12) 보다 높게 공간(S1)에 수용될 수 있으며, 흡입바디(12)에 안내된 공기는 정화유닛(3)을 통과하면서 정화될 수 있다.
정화유닛(3)은 공간(S1)에 수용된 필터를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필터의 일 예는 헤파 필터 등의 고성능 필터를 포함하거나, 수분이 흡습되는 가습 필터를 포함하거나 대전부(또는 전리부) 또는 집진부를 갖는 전기집진 필터를 포함하거나 재생 가능한 제올라이트 필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정화유닛(3)은 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는 구성이면, 그 작동 방식에 한정되지 않고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정화유닛(3)은 하우징(1)의 내측에 형성된 공간(S1)에 수용될 수 있고, 정화유닛(3)의 외둘레는 하우징(1)의 내둘레(1A)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정화유닛(3)의 외둘레는 하우징(1)의 내둘레(1A)와 수평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정화유닛(3)은 송풍유닛(2)의 외둘레를 둘러싸게 배치되거나 송풍유닛(2)의 위 또는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정화유닛(3)은 송풍유닛(2)의 외둘레를 둘러싸게 배치될 경우, 정화유닛(3)은 전체적으로 중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그 내부에는 송풍유닛(2)의 전부 또는 일부가 수용될 수 있는 송풍유닛 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토출유닛(4)은 하우징(1)의 상부에 승강 및 회전되게 배치될 수 있다. 토출유닛(4)은 개구부(11)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토출유닛(4)은 와이어(W)가 관통되는 중공부(41)가 형성될 수 있다.
공기청정기는 하우징(1)에 배치되고 와이어(W)가 연결되는 와이어 커넥터(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와이어 커넥터(8)는 하우징(1)과 송풍유닛(2)과, 정화유닛(3) 중 적어도 하나와 결합될 수 있다.
전선(W)은 와이어(W)의 경우처럼 중공부(41)를 관통할 수 있고, 와이어 커넥터(8)에 형성된 관통공 관통할 수 있다. 와이어(8)는 와이어 커넥터(8)를 관통하여 하우징(1)의 내부에 배치된 컨트롤러 또는 전원 공급모듈에 연결될 수 있다.
와이어 커넥터(8)는 하우징(1)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고, 공간(S1)에 수용될 수 있다. 와이어 커넥터(8)는 중공부(41)의 내부를 막는 차폐바디(81)를 포함할 수 있다. 와이어 커넥터(8)는 차폐바디(81)에서 연장되고 하우징(1)과 송풍유닛(2)과, 정화유닛(3) 중 적어도 하나와 결합되는 마운터(82)를 포함할 수 있다.
마운터(82)는 하우징(1)의 공간(S1)에 수용되고 하우징(1)에 체결되는 로어 체결 바디(83)와, 차폐바디(81)의 하부에서 연장되고 차폐바디(81)와 로어 체결 바디(83)를 잇는 복수개의 브릿지(84)를 포함할 수 있다.
로어 체결바디(83)는 하우징(1)의 상부에 결합된 아우터 체결부(83A)를 포함할 수 있다. 로어 체결바디(83)는 회전기구(6)나 승강기구(5)가 장착되는 이너 체결부(83B)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우터 체결부(83A) 및 이너 체결부(83B)는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83C)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83C)는 이너 체결부(38B)의 외둘레를 따라 복수개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3개 이상의 커넥터(83C)는 원주방향으로 등간격으로 위치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브릿지(84)는 차폐바디(81)와, 로어 체결바디(83)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브릿지(84)의 일단은 차폐바디(81)에 연결될 수 있고, 브릿지(84)의 타단은 로어 체결바디(83)에 연결될 수 있다. 브릿지(84)의 타단은 아우터 체결부(83A)와 이너 체결부(83B) 및 커넥터(83C)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될 수 있다.
복수개의 브릿지(84)는 수평 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고, 예를 들면, 3개 이상의 브릿지가 원주방향으로 등간격으로 위치되게 형성될 수 있다.
토출 유닛(4)은 개구부(11)에 승강 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다.
토출 유닛(4)은 개구부(11)를 차폐할 수 있는 탑 커버(42)를 포함할 수 있다.
탑 커버(42) 개구부(11)의 전부를 차폐하는 것도 가능하고, 개구부(11)의 일부를 차폐하는 것도 가능하다.
토출 유닛(4)의 하강시, 탑 커버(42)는 개구부(11)의 내부로 삽입되거나 하우징(1)의 상단(14)에 안착될 수 있고, 개구부(11)의 전부 또는 일부를 차폐할 수 있다.
일 예로, 탑 커버(42)의 외경은 하우징(1)의 상단(14) 외경보다 클 수 있고, 탑 커버(42)는 개구부(11)의 상측에서 하강되어 하우징(1)의 상단(14)에 안착되는 것에 의해 개구부(11)를 덮을 수 있다.
다른 예로, 탑 커버(42)의 외경은 하우징(1)의 상단(14) 내경 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고, 개구부(11)의 상측에서 하강되어 하우징(1)의 상단(14) 내측으로 삽입되는 것에 의해 개구부(11)를 막을 수 있다.
토출 유닛(4)은 후술하는 승강기구(5)에 의해 승강될 수 있다. 토출 유닛(4)의 상승시 탑 커버(42)는 개구부(11)의 위로 상승될 수 있고, 탑 커버(42)는 하우징(1)의 상부와 이격될 수 있다. 탑 커버(42)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의 상단(14) 높이(H1) 보다 높은 높이(H2)로 상승될 수 있다.
토출 유닛(4)의 상승시, 하우징(1)의 상부와 탑 커버(42)의 사이에는 토출 유닛(4)에서 토출된 공기가 통과하는 틈(G)이 형성될 수 있다.
틈(G)은 토출 유닛(4)의 상승시, 공기청정기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공기청정기 외부로 토출되는 출구일 수 있다. 틈(G)은 토출유닛(4)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대략 수평방향(X,Y)으로 개방될 수 있다. 틈(G)은 개구부(11)를 기준으로 탑 커버(42)가 상승된 높이에 따라 결정될 수 있고, 탑 커버(42)가 상승된 높이가 높을 수록, 그 면적이 증가할 수 있다.
탑 커버(42)는 하우징(1)의 상단(14)과 함께 공기청정기의 출구를 형성할 수 있고, 공기청정기의 내부에서 송풍된 공기의 토출 방향을 안내하는 토출 가이드일 수 있다. 공기청정기의 내부에서 송풍된 공기는 탑 커버(42)의 하면에 의해 기류의 방향이 결정될 수 있고, 탑 커버(42)는 공기청정기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 및 풍속을 조절하는 풍향조절부재일 수 있다.
탑 커버(42)는 토출유닛(4)의 상부에 대략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되, 그 일부 특히, 가장자리(44)가 입체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공기청정기에서 토출되는 기류의 유동 패턴과 최대 도달면적 및 토출 방향 등은 틈(G)의 면적 및 틈(G)의 형상 그리고, 틈(G)의 개방 방향에 따라 결정될 수 있고, 공기청정기는 정화유닛(3)에서 정화된 공기가 하우징(1)의 주변으로 입체적으로 확산되면서 고르게 퍼지게 작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기청정기는 토출 유닛(4)를 승강시키는 승강기구(5)와, 토출 유닛(4)을 회전시키는 회전기구(6)와; 승강기구(5) 및 회전기구(6)를 제어하는 컨트롤러(7)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청정기는 사용자가 공기청정기를 조작하는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19)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9)는 하우징(1)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조작하는 버튼 등이 컨트롤 패널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고, 하우징(1)에 배치되어 사용자가 토치하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며,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인식할 수 있는 마이크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고,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는 구성이면, 그 종류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입력부(19)를 통해 공기청정 명령이 입력되면, 컨트롤러(7)는 하우징(1)의 위를 통해 청정한 공기가 토출되게 송풍 유닛(2)과, 승강기구(5) 및 회전기구(6)를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7)는 토출 유닛(4)의 적어도 일부가 개구부(11) 위로 상승된 후 회전되게 승강기구(5) 및 회전기구(6)를 제어할 수 있다.
공기청정기는 원주방향을 따라 틈(G)의 개방 정도가 상이되게 구성될 수 있다.
틈(G)은 하우징(1)의 상단(14)과 탑 커버(42)의 가장자리(44)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의 상단(14)과 탑 커버(42)의 가장자리(44) 중 적어도 하나는 원주 방향을 따라 산과 골이 교대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하우징(1)의 상단(14)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산(14A)과 골(14B)이 교대로 형성될 수 있고, 탑 커버(42)의 가장자리(44)는 원주방향을 따라 높이가 일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탑 커버(42)의 가장자리(44)는 원주방향을 따라 산(44A)과 골(44B)이 교대로 형성될 수 있고, 하우징(1)의 상단(14)은 원주방향을 따라 높이가 일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하우징(1)의 상단(14)과, 탑 커버(42)의 가장자리(44) 각각은
원주 방향을 따라 산과 골이 교대로 형성될 수 있다.
탑 커버(42)의 가장자리(44) 및 하우징(1)의 상단(14) 각각은 옆에서 볼 때, 물결 모양일 수 있다.
컨트롤러(7)는 탑 커버(42)의 골(44B)이 하우징(1) 상단(14)의 산(14A) 보다 높은 높이(H2)로 상승되게 승강기구(5)를 제어한 후, 회전기구(6)가 토출 유닛(4)을 회전시키도록 회전기구(6)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탑 커버(42)의 골(44B)은 하우징(1) 상단(14)에 형성된 산(14A)과 간섭되거나 충돌되지 않고, 토출유닛(4)은 안정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토출 유닛(46)은 토출 그릴(4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토출 그릴(46)은 탑 커버(42)의 저면에 형성될 수 있다. 토출 그릴(46)은 개구부(11) 보다 크기가 작을 수 있다. 토출 유닛(4)의 하강시 토출 그릴(46)의 전부 또는 일부는 개구부(11)로 삽입되어 개구부(11)에 수용될 수 있다.
토출유닛(4)의 상승시, 토출그릴(46)의 전부 도는 일부는 개구부(11) 위로 상승된 높이에서, 수평방향(X,Y)으로 틈(G)을 향할 수 있다.
토출그릴(46)은 탑 커버(42)의 저면에 탑 커버(42)의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하, 승강기구(5) 및 회전기구(6)에 대해 설명한다.
공기청정기는 승강기구(5)와 회전기구(6) 중 어느 하나가 토출유닛(4)에 연결될 수 있다.
공기청정기는 승강기구(5)와 회전기구(6) 중 어느 하나가 장착된 캐리어(10)를 포함할 수 있다. 승강기구(5)와 회전기구(6) 중 다른 하나는 캐리어(10)에 연결되어 캐리어(10)를 작동시킬 수 있다.
공기청정기의 일 예는 승강기구(5)가 캐리어(10)에 장착되고, 회전기구(6)가 캐리어(10)를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회전기구(6)에 의한 캐리어(10)의 회전시, 승강기구(5)는 캐리어(10)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공기청정기의 다른 예는 회전기구(6)가 캐리어(10)에 장착될 수 있고, 승강기구(5)가 캐리어(10)를 승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승강기구(5)에 의한 캐리어(10)의 승강시, 회전기구(6)는 캐리어(10)와 함께 승강될 수 있다.
승강기구(5)는 토출유닛(4)의 승강을 위해 작동되는 모터 등의 승강 구동원과, 승강 구동원에서 발생된 동력을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의 동력전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승강기구(5)의 일 예는 승강모터(51)과, 승강모터(51)에 연결된 피니언 등의 승강 구동기어(52)와, 승강 구동기어(52)에 치합된 랙 기어 등의 승강 종동기어(53)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기구(6)는 토출유닛(4) 회전을 위해 작동되는 모터 등의 회전 구동원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기구(6)는 회전 구동원에서 발생된 동력을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의 동력전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기구(6)의 일 예는 회전모터(61)과, 회전모터(61)에 연결된 스퍼기어 등의 회전 구동기어(62)와, 회전 구동기어(62)에 치합된 스퍼 기어 등의 회전 종동기어(63)을 포함할 수 있다.
승강기구(5)는 공기청정기의 운전시, 토출 그릴(46)이 틈(G)을 향하는 제1높이(H2)로 상승시킬 수 있다.
승강기구(5)는 공기청정기의 정지시, 토출 그릴(46)의 상단 높이가 하우징(1)의 상단(14) 높이(H1)와 같거나 하우징(1)의 상단(14) 높이(H1) 보다 낮은 제2높이로 하강시킬 수 있다.
회전기구(6)는 토출유닛(4)을 정,역 회전시킬 수 있다. 회전기구(6)는 토출유닛(4)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교대로 실시할 수 있다.
승강기구(5)가 캐리어(10)에 장착되고, 회전기구(6)가 캐리어(10)를 회전시키는 예를 들어 설명한다. 이 경우, 회전기구(6)에 의한 캐리어(10)의 회전시, 승강기구(5)는 캐리어(10)에 의해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캐리어(10)는 로어 체결 바디(83) 특히, 로어 체결바디(83)의 이너 체결부(83B)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연결될 수 있다.
승강모터(51)는 캐리어(10)의 중앙부 이외에 배치될 수 있으며, 승강 종동기어(53)는 토출 유닛(4)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회전기구(6)는 로어 체결 바디(83)에 장착된 상태에서 캐리어(10)에 연결되어 캐리어(10)를 회전시킬 수 있다.
회전기구(6)는 캐리어(10)의 중앙부에 연결될 수 있다.
캐리어(10)에는 승강 종동기어(53)이 관통되고, 승강 종동기어(53)가 수평방향으로 걸리는 관통부(10A)이 형성될 수 있다. 관통부(10A)은 캐리어(10)의 중앙 이외의 영역 중 승강 종동기어(53)와 일치되는 위치에 상하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잇다. 관통부(10A)의 단면적은 승강 종동기어(53)의 단면적 보다 크되, 승강 종동기어(53) 단면적의 1배 초과 내지 1.2배 미만일 수 있다.
회전기구(6)에 의한 캐리어(10)의 회전시, 캐리어(10)는 와이어 커넥터(8)의 수직 중심축(VC)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고, 승강모터(51)는 캐리어(10)에 의해 수직 중심축(VC)을 중심으로 호형 궤적을 따라 이동될 수 있으며, 승강 종동기어(53)는 관통부(10A)에 걸려 승강모터(51)와 같이, 수직 중심축(V)을 중심으로 호형 궤적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캐리어(10)의 회전시, 승강모터(51), 승강모터(51)에 연결된 승강 구동기어(52) 및 승강 종동기어(53)는 와이어 커넥터(8)의 수직 중심축(VC)을 중심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컨트롤러(7)는 공기청정의 명령이 입력되면, 승강모터(51)를 구동시킬 수 있고, 토출 유닛(4)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 커버(42)의 가장자리(44)가 하우징(1)의 상단(14)과 이격되는 높이로 상승될 수 있다.
승강모터(51)에 의한 토출 유닛((4)의 상승이 완료된 후, 컨트롤러(7)는 회전모터(61)을 구동시킬 수 있고, 토출유닛(4)은 회전모터(61)의 구동시, 수직 중심축(VC)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토출유닛(4)의 회전시, 틈(G)의 형상은 탑 커버(42) 가장자리(44)에 형성된 산(44A) 및 골(44B)의 위치와, 하우징(1)의 상단(14)에 형성된 산(14A) 및 골(14B)의 상대적 위치에 따라 틈(G)의 형상이 가변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탑 커버(42) 가장자리(44)에 형성된 산(44A)을 가장자리 골(44A)이라 칭하고, 탑 커버(42) 가장자리(44)에 형성된 골(44B)를 가장자리 골(44B)로 칭하며, 하우징(1)의 상단(14)에 형성된 산(14A)를 상단 골(14A)이라 칭하고, 하우징(1)의 상단(14)에 형성된 골(14B)를 상단 골(14B)로 칭하여 설명한다.
토출유닛(4)의 회전 각도에 따라, 공기청정기는 가장자리 산(44A)이 상단 산(14A)의 위에 상하방향으로 이격되게 위치되고, 가장자리 골(44B)이 상단 골(14B)의 위에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게 위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틈(G)의 전체적인 형상은 공기청정기를 옆에서 볼 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산과 골이 연속되는 물결 모양일 수 있다.
반면에, 토출유닛(4)의 회전 각도에 따라, 가장자리 산(44A)이 상단 골(14B)의 위에 상하방향으로 이격되게 위치되고, 가장자리 골(44B)이 상단 산(14B)의 위에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게 위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틈(G)의 전체적인 형상은 공기청정기를 옆에서 볼 때 틈(G)은 수평방향으로 개방된 면적이 큰 영역과, 수평 방향으로 개방된 면적이 작은 영역을 함께 포함할 수 있다.
틈(G) 중 개방된 면적이 큰 영역은 틈(G) 중에서 가장자리 산(44A)이 상단 골(14B)의 위에 위치하는 영역일 수 있고, 이러한 영역은 정화유닛(2)에서 정화된 공기가 상대적으로 저속으로 토출되는 영역일 수 있으며, 틈(G) 중 이러한 영역은 실내 공간 중 청정모듈(A)와 근접한 영역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근거리 토출영역일 수 있다.
반면에, 틈(G) 중 개방된 면적이 작은 영역은 틈(G) 중에서 가장자리 골(44B)이 상단 산(14A)의 위에 위치하는 영역일 수 있고, 이러한 영역은 정화유닛(2)에서 정화된 공기가 상대적으로 고속으로 토출되는 영역일 수 있으며, 틈(G) 중 이러한 영역은 실내 공간 중 청정모듈(B)과 먼 영역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원거리 토출영역일 수 잇으며, 청정모듈(A)은 근거리 토출영역 및 원거리 토출영역을 통해 입체적 기류를 토출할 수 있다.
가장자리 산(44A)이 상단 산(14A)의 위에 위치되고, 가장자리 골(44B)이 상단 골(14B)의 위에 위치할 경우, 틈(G)은 전제적으로 제1풍속의 기류를 토출할 수 있고, 제1풍속의 기류는 제1도달거리로 토출될 수 있다. 즉, 청정모듈(A)은 원주방향을 따라 원주방향을 따라 토출 높이가 상이한 물결 모양이면서 유속이 같거나 유사한 제1복합적 기류를 토출할 수 있다.
한편, 틈(G) 중에서 가장자리 산(44A)이 상단 골(14B)의 위에 위치하는 영역은 제1풍속 보다 느린 제2풍속으로 기류를 토출할 수 있고, 제2풍속의 기류는 제1도달거리 보다 짧은 제2도달거리로 토출될 수 있다 .
그리고, 틈(G) 중에서 가장자리 골(44B)이 상단 산(14A)의 위에 위치하는 영역은 제1풍속 빠른 제3풍속으로 기류를 토출할 수 있고, 제3풍속의 기류는 제1도달거리 보다 먼 제3도달거리로 토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청정모듈(A)은 원주방향을 따라 제2풍속 및 제2도달거리를 갖는 저속 기류와, 제3풍속 및 제3도달거리를 갖는 고속 기류가 교대로 위치하는 복합적 기류를 형성할 수 있고, 이러한 복합적 기류는 원주방향을 따라 유속이 상이한 제2복합적 기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청정모듈(A)은 전후 방향(X)으로 제2풍속 및 제2도달거리를 갖는 저속 기류를 토출하는 동안 좌우 방향(Y)으로 제3풍속 및 제3도달거리를 갖는 고속 기류를 토출할 수 있다.
토출유닛(4)의 회전시, 청정모듈(A)은 원주방향을 따라 유속이 대체로 유사하되 토출 높이가 상이한 3차원 형상의 제1복합기류를 형성하는 것과, 원주방향을 따라 유속이 상이한 제2복합기류를 형성하는 것을 반복할 수 있고, 청정모듈(A)은 실내의 상부 영역과 하부 영역을 고르게 정화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하우징 2: 송풍유닛
3: 정화유닛 4: 토출유닛
5: 승강기구 6: 회전기구
7: 컨트롤러 11: 개구부
12: 흡입 바디 42: 탑 커버
G: 틈 S1: 공간

Claims (12)

  1.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공간에 수용된 송풍유닛 및 정화유닛과;
    상기 개구부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된 토출 유닛과;
    상기 토출 유닛을 승강시키는 승강기구와;
    상기 토출 유닛을 회전시키는 회전기구와;
    상기 승강기구 및 회전기구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토출 유닛은 상기 토출 유닛의 하강시 상기 개구부를 차폐하는 탑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토출 유닛의 상승시, 상기 하우징의 상부와 상기 탑 커버의 사이에는 상기 토출유닛에서 토출된 공기가 통과하는 틈이 형성되는
    공기청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단은 원주 방향을 따라 산과 골이 교대로 형성된 공기청정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탑 커버의 가장자리는 원주방향을 따라 산과 골이 교대로 형성된 공기청정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단과 상기 탑 커버의 가장자리 각각은 산과 골이 교대로 형성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탑 커버의 골이 상기 하우징의 산 보다 높은 높이로 상승되게 상기 승강기구를 제어한 후, 상기 회전기구가 상기 토출유닛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회전기구를 제어하는 공기청정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천장에 설치되고 하측으로 와이어가 연장된 헹거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토출유닛에는 상기 와이어가 관통되는 중공부가 형성된 공기청정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고 상기 와이어가 연결되는 와이어 커넥터를 더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커넥터는 상기 중공부의 내부를 막는 차폐바디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커넥터는 상기 하우징과 정화유닛과 송풍유닛 중 적어도 하나와 결합된 공기청정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 유닛은 상기 탑 커버의 저면에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 보다 크기가 작은 토출 그릴을 더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구는
    공기청정기의 운전시, 상기 토출 그릴을 제1높이로 상승시키고,
    공기청정기의 정지시, 상기 토출 그릴을 제2높이로 하강시키며,
    상기 제1높이는 상기 토출 그릴이 상기 틈을 향하는 높이이며,
    상기 제2높이는 상기 토출 그릴의 상단 높이가 상기 하우징의 상단 높이와 같거나 상기 하우징의 상단 높이 보다 낮은 높이인 공기청정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구와 회전기구 중 어느 하나가 장착된 캐리어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기구와 회전기구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캐리어에 연결된 공기청정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토출 유닛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개구부 위로 상승된 후 상기 토출 유닛이 회전되도록 상기 승강기구 및 회전기구를 제어하는 공기청정기.
KR1020190087457A 2019-07-19 2019-07-19 공기청정기 KR202100100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7457A KR20210010065A (ko) 2019-07-19 2019-07-19 공기청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7457A KR20210010065A (ko) 2019-07-19 2019-07-19 공기청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0065A true KR20210010065A (ko) 2021-01-27

Family

ID=74238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7457A KR20210010065A (ko) 2019-07-19 2019-07-19 공기청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10065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6565B1 (ko) 2010-04-27 2012-08-23 주식회사 엔에코 Led 조명 기능이 구비된 천장 부착형 공기청정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6565B1 (ko) 2010-04-27 2012-08-23 주식회사 엔에코 Led 조명 기능이 구비된 천장 부착형 공기청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350193C (zh) 通风和空气净化装置
KR101874419B1 (ko) 공기정화장치
CN104989246B (zh) 一种能净化空气的门
US10900665B2 (en) Combination appliance having a cooktop and steam extraction device
CN202568987U (zh) 空气净化装置
ES2901459T3 (es) Campana de succión de laboratorio
CN101611270B (zh) 抽油烟机
JPH0462347A (ja) 喫煙装置
KR20210010065A (ko) 공기청정기
KR20140141775A (ko) 공기청정기
KR20200085172A (ko) 살균기능과 초미세 먼지포집효율이 향상된 소형 공기조화장치
JP2021173462A (ja) 集塵装置
KR20210039844A (ko) 공기청정기
KR102309280B1 (ko) 자가발광 광촉매 혼성소재를 활용한 대형 공기청정기
KR20210121928A (ko) 공기청정기
CN113915759A (zh) 空气净化器
KR20210121932A (ko) 공기청정기
JPS62147249A (ja) クリ−ンル−ム
JP2007295976A (ja) 花粉症対策マンション用エアシャワー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花粉症対策マンション
JPH11244805A (ja) 循環気流式集塵装置
CN214406178U (zh) 一种吸油烟机
JPH019669Y2 (ko)
CN109140555A (zh) 一种双吸油烟机
US20230075829A1 (en) Air purifier
CN210688488U (zh) 落地式空调室内机以及空调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