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9871A - 현관용 냉장고 - Google Patents

현관용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9871A
KR20210009871A KR1020190086984A KR20190086984A KR20210009871A KR 20210009871 A KR20210009871 A KR 20210009871A KR 1020190086984 A KR1020190086984 A KR 1020190086984A KR 20190086984 A KR20190086984 A KR 20190086984A KR 20210009871 A KR20210009871 A KR 202100098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tor
housing
door
pcb
cabi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69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민규
김민석
김현기
이득원
최주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869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09871A/ko
Priority to CN202010107774.XA priority patent/CN111609651B/zh
Priority to US16/798,962 priority patent/US11378329B2/en
Priority to EP20158931.4A priority patent/EP3699528B1/en
Publication of KR202100098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98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0Arrangements for mounting in particular locations, e.g. for built-in type, for corner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5/00Devices not covered by group F25D11/00 or F25D13/00, e.g. non-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03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for cooling refrigerating machiner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02Details for cooling refrigerating machinery
    • F25D2323/0027Details for cooling refrigerating machinery characterised by the out-flowing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는, 발열 부품이 실장된 피시비를 하우징 내부에 배치시켜, 냉기 공급 장치의 히트 싱크를 냉각시키는데 사용되는 공기가 상기 피시비를 냉각시키도록 함으로써, 피시비의 과열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현관용 냉장고 {Refrigerator installed at an entrance of the place}
본 발명은 현관용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최근, 물품을 소정의 장소에 배달하는 배달 서비스가 활성화 되고 있다. 특히, 상기 물품이 신선식품일 경우, 식품이 상하거나 식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배달 차량에 냉장고 또는 온장고를 구비하여 식품을 저장하고 배달한다.
식품은 냉각 또는 보온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포장재에 담겨져 배달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포장재는 스티로폼과 같은 환경오염 물질로 구성되어, 최근 사용량을 절감하고자 하는 사회적 분위기가 조성된다.
한편, 배달시간에 사용자가 가정에 있는 경우에는, 배달원과 사용자가 직접 대면하여 식품을 전달받을 수 있으나, 사용자가 가정에 없는 경우 또는 배달시간이 너무 이르거나 늦게 되면, 배달원과 사용자가 직접 대면하여 식품을 전달받기가 어렵다.
따라서, 배달원과 사용자가 직접 대면하지 않더라도 식품을 전달받을 수 있고, 식품이 사용자에게 최종 전달될 때까지 상하거나 식지 않아야 하는 필요성이 나타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소정 장소의 입구(현관)에 냉장고를 설치하여 배달원은 상기 냉장고에 식품을 보관하여 신선상태를 유지하고 사용자는 편한 시간에 냉장고에 접근하여 식품을 전달받을 수 있는 제품이 소개되고 있다.
아래의 선행 기술에는 현관 도어에 장착되는 현관용 냉장고가 개시된다.
개시되는 선행 기술에는, 저장실 온도를 낮게 유지하기 위하여 열전 모듈을 적용할 수 있다는 내용만 개시되어 있을 뿐, 열전 모듈의 발열측에서 발생하는 고온의 열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유로 구조에 대한 내용은 전혀 개시되어 있지 아니하다.
또한, 각종 전장 부품이 실장된 제어 기판에서 발생하는 열을 어떻게 외부로 방출할 것인지에 대한 내용이 개시되지 않는다.
선행 기술 : 한국공개특허 제2011-0033394호(2011년03월31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는, 열전 소자를 이용한 냉기 공급 장치를 채용하였을 때 발열면에서 발생하는 열을 피시비 냉각 수단으로 활용 가능하도록 하는 현관용 냉장고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는, 발열 부품이 실장된 피시비를 하우징 내부에 배치시켜, 냉기 공급 장치의 히트 싱크를 냉각시키는데 사용되는 공기가 상기 피시비를 냉각시키도록 함으로써, 피시비의 과열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피시비 쪽으로 집중되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에는 유동 가이드 플레이트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시비는 상기 하우징의 바닥에 형성된 토출구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는 위치에 고정되도록 하여, 토출구가 피시비에 의하여 막혀서 유동 저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의 제어부는, 상기 하우징의 외부 온도 및/또는 현관용 냉장고의 저장실 내부 온도에 따라서 상기 방열팬의 회전 속도를 다르게 설정함으로써, 피시비를 효과적으로 냉각시키고 소비 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냉기 공급 장치의 발열면에서 발생하는 열이 피시비를 통과하면서 열을 흡수한 뒤에 실내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피시비의 과열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피시비에 실장된 전기 부품들 중에서 열방출이 많은 부품, 소위 신뢰성 보증 온도가 높은 부품은 유량이 많고 유속이 빠른 영역에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피시비에 실장된 부품의 과열을 방지하여, 부품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방열팬에 의하여 강제 유동하는 공기가, 하우징 내부에 장착된 유동 가이드 플레이트에 의하여, 풍향과 풍량이 조절 가능하므로, 열이 많이 발생하는 부품 쪽으로 많은 양의 공기가 흐르도록 할 수 있다.
넷째, 방열팬에 의하여 흡입된 후 배출되는 실내 공기가 피시비를 냉각시키도록 함으로써, 피시비 냉각을 위한 수단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소비 전력이 절감되고 현관용 냉장고의 제조 비용이 절감되는 장점이 있다.
다섯째, 현관용 냉장고의 외부 온도와 저장실 온도에 따라서 방열팬의 풍속이 적절히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냉기 공급 장치의 구동에 필요한 소비 전력량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현관 도어에 장착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의 전면도.
도 2는 현관 도어에 장착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의 전면 사시도.
도 4는 상기 현관용 냉장고의 배면 사시도.
도 5는 상기 현관용 냉장고의 저면 사시도.
도 6은 실외측 도어가 제거된 상태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의 전면 사시도.
도 7은 실내측 도어가 제거된 상태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의 배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도 3의 9-9를 따라 절개되는 현관용 냉장고의 단면도.
도 10은 도 3의 10-10을 따라 절개되는 현관용 냉장고의 측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를 구성하는 캐비닛의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12-12를 따라 절개되는 측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의 저장실에 수용되는 트레이의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의 저장실 바닥에 놓이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의 바닥에 놓이는 유동 가이드의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를 구성하는 하우징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전면 사시도.
도 17은 내부에 피시비가 배치된 하우징의 편면 사시도.
도 18은 바닥에 유동 분리판이 부착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의 저면 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동 분리판이 구비된 하우징의 저면 사시도.
도 20은 피시비 냉각을 위한 냉기 공급 장치의 방열팬 구동 제어 알고리즘을 설명하는 플로차트.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현관 도어에 장착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의 전면도이고, 도 2는 현관 도어에 장착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의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10)는, 주택의 현관 도어(1) 또는 현관 벽을 관통하여 장착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현관용 냉장고(10)는 현관 도어(1)의 손잡이(2)로부터 이격되는 지점, 일례로 현관 도어(1)의 중앙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 및 물품을 배송하는 택배 기사의 사용 편의성을 위해서 현관 도어의 하단으로부터 2m 이내의 높이에 설치되는 것이 좋다. 바람직하게는 현관 도어의 하단으로부터 1.5m ~ 1.7m 범위의 높이에 상기 현관용 냉장고(10)가 설치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현관용 냉장고(10)의 전면은 실외(O)에 노출되고, 후면은 실내(I)에 노출된다. 즉, 상기 현관용 냉장고(10)는, 실외(O)에 노출되는 면이 전면으로 정의되고, 실내(I)에 노출되는 면이 후면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의 구성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의 전면 사시도이고, 도 4는 상기 현관용 냉장고의 배면 사시도이며, 도 5는 상기 현관용 냉장고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10)는, 캐비닛(11)과, 실외측 도어(12)와, 실내측 도어(13)와, 하우징(1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1)은 전면과 후면이 개구되고,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실외측 도어(12)는 상기 캐비닛(11)의 전면 개구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상기 캐비닛(11)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실외측 도어(12)는 택배 기사가 물품을 보관하기 위하여 개방할 수 있고, 사용자가 물품 인출을 위해 개방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라 함은, 상기 현관용 냉장고(10)의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물품을 주문한 사람 또는 상기 물품의 출고 권한을 가진 사람으로 정의한다.
또한, 상기 실내측 도어(13)는, 상기 캐비닛(11)의 후면 개구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상기 캐비닛(11)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실외측 도어(12)에는 디스플레이부(14)가 설치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14)에는 현관용 냉장고(10)의 운전 상태, 내부 온도, 물품 존재 여부 등에 대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14)를 통하여 물품을 배송하는 택배 기사가 상기 실외측 도어(12)를 개방하기 위한 비밀 번호 등을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실외측 도어(12)의 일측에는 배송 물품 주문서 또는 배송 물품 포장 박스에 구비된 암호화 코드를 인식하는 코드 스캐너(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내측 도어(13)는, 상기 현관용 냉장고(10)에 저장되어 있는 물품을 사용자가 실내에서 출고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즉, 사용자는 실내에서 상기 실내측 도어(13)를 개방하여 물품을 인출할 수 있다.
상기 실내측 도어(13)의 일측에는 안내등(13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안내등(13)은, 현관용 냉장고(10)에 현재 물품이 보관되어 있는지 여부를 알려주는 수단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예컨대, 물품이 보관되어 있을 때 상기 안내등(13)의 색깔과 현관용 냉장고(10)가 비어 있을 때 상기 안내등(13)의 색깔을 달리 설정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는 상기 실내측 도어(13)를 개방하지 않아도 현재 보관 중인 물품이 존재하고 있는지를 인식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5)은, 상기 캐비닛(11)의 하단에 장착된다. 상기 하우징(15)의 내부에는 냉기 공급 장치(후술함)가 수용된다. 상기 하우징(15)의 전면은, 상기 현관용 냉장고(10)가 현관 도어(1) 또는 벽에 장착되었을 때, 현관 도어 또는 벽의 후면에 밀착되어 편심 하중에 의한 모멘트를 상쇄시키는 기능을 한다.
상세히, 본 발명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10)는, 실내에 노출되는 부분의 부피가 현관 도어(10)에 삽입되는 부분보다 큰 구조적 특성을 가진다. 따라서, 현관용 냉장고(10)의 무게 중심이 현관용 냉장고(10)의 중심으로부터 후면 쪽으로 편심되는 지점에 형성된다. 그 결과, 현관용 냉장고(10)의 하중 및 내부에 저장된 물품의 하중에 의한 모멘트가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모멘트에 의하여 상기 현관용 냉장고(10)가 현관 도어(1)로부터 빠져버리는 현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존재한다.
그러나, 상기 하우징(15)의 전면이 현관 도어(1) 또는 벽의 후면에 밀착되게 설치됨으로써, 상기 현관용 냉장고(10)에 작용하는 모멘트를 상쇄시켜서, 현관용 냉장고(10)가 현관 도어(1)로부터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5)의 저면 좌측과 우측 가장자리 부분에는 가이드 덕트(16)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덕트(16)의 전단부에는 배출구(16)가 형성되어, 상기 냉기 공급 장치로 유입되어 방열 기능을 수행한 실외 공기가 다시 실외로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캐비닛(11)의 저면과 상기 하우징(15)의 전면이 이루는 절곡면에는 가이드 플레이트(18)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8)의 기능에 대해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하우징(15)의 저면에는 실내 공기 흡입을 위한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에는 석션 플레이트(17)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석션 플레이트(17)에는 다수의 관통홀(171)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다수의 관통홀(171)을 통해서 실내 공기가 상기 하우징(15) 내부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5) 내부로 유입된 실내 공기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가이드 덕트(16)의 배출구(161)를 통해서 실내로 다시 배출된다.
도 6은 실외측 도어가 제거된 상태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의 전면 사시도이고, 도 7은 실내측 도어가 제거된 상태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10)의 본체로 정의될 수 있는 캐비닛(11)의 내부에는 물품 저장을 위한 저장실(111)이 형성된다.
상기 저장실(111)의 바닥에는 물품 적재를 위한 트레이(19)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캐비닛(11)의 배면 가장자리를 따라 가이드 리브(2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리브(25)는, 상기 캐비닛(11)의 배면으로부터 소정 높이 돌출되고, 상기 캐비닛(11)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리브(25)는, 상기 하우징(15)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상측으로 안내하여, 실내측 도어(13)의 배면에 둘러지는 씰러(sealer)에 이슬이 맺히지 않도록 하기 위해 제공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3의 9-9를 따라 절개되는 현관용 냉장고의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3의 10-10을 따라 절개되는 현관용 냉장고의 측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캐비닛(11)과, 실내측 도어(13)와, 실외측 도어(14)와, 하우징(15)과, 가이드 덕트(16)와, 석션 플레이트(17)와 트레이(19)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현관용 냉장고(10)는, 상기 캐비닛(11)의 바닥에 놓이는 베이스 플레이트(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레이(19)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의 상측에 놓일 수 있다. 상기 트레이(19)의 바닥면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현관용 냉장고(10)는, 상기 하우징(15) 내부에 수용되는 냉기 공급 장치(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기 공급 장치(30)는, 열전 소자가 적용된 냉기 공급 수단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일반 냉각 사이클이 적용될 수도 있다.
상기 열전 소자는, 전류가 공급되면 일 면은 온도가 떨어지는 흡열면으로 작용하고, 반대면은 온도가 증가하는 발열면으로 작용한다. 또한, 상기 열전 소자에 공급되는 전류의 방향이 바뀌면 상기 흡열면과 발열면이 바뀌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냉기 공급 장치(30)는, 상기 열전 소자(31)와, 상기 열전 소자(31)의 흡열면에 부착되는 콜드 싱크(32)와, 상기 콜드 싱크(32)의 전방(또는 상측)에 배치되는 흡열팬(33)과, 상기 열전 소자(31)의 발열면에 부착되는 히트 싱크(34)와, 상기 히트 싱크(34)의 후방(또는 하측)에 배치되는 방열팬(35)과, 상기 콜드 싱크(32)와 히트 싱크(34) 간의 열전달을 방지하는 단열재(3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열재(35)는, 상기 열전 소자(31)의 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제공된다. 상기 단열재(35)의 전면에는 상기 콜드 싱크(32)가 접촉하고, 상기 단열재(35)의 후면에는 상기 히트 싱크(34)가 접촉한다.
또한, 상기 콜드 싱크(32)와 히트 싱크(34)는, 상기 열전 소자(31)의 흡열면 또는 발열면에 직접 부착되는 열전도체와, 상기 열전도체의 표면에서 연장되는 다수의 열교환 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흡열팬(33)은 상기 캐비닛(11)의 내부를 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발열팬(36)은 상기 석션 플레이트(17)의 직상방에 놓인다.
한편, 상기 현고나용 냉장고(10)는, 상기 캐비닛(11)의 바닥에 장착되는 마운트 플레이트(24)와, 상기 마운트 플레이트(24)의 상면에 안착되는 유동 가이드(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운트 플레이트(24)는, 사각형 플레이트가 다수 회 절곡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마운트 플레이트(24)에는 상기 유동 가이드(23)가 안착되는 유동 가이드 안착부(241)가 소정 깊이로 함몰 또는 단차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동 가이드 안착부(241)를 정의하는 상기 마운트 플레이트(24)의 바닥부에는 관통홀(242)이 형성되고, 상기 냉기 공급 장치(30)의 일부분이 상기 관통홀(242)을 통과하여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동 가이드(23)는 상기 흡열팬(33)에 의하여 강제 유동하는 저장실(111) 내부 공기의 유로를 형성하는 수단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는 상기 유동 가이드(23)의 상부에 놓여서 상기 유동 가이드923)에 이물질이 직접 낙하하는 현상을 최소화시켜줄 수 있다.
상기 실외측 도어(12)의 배면 가장자리에는 아우터 실러(outer sealer)(21)가 장착되고, 상기 실내측 도어(13)의 배면 가장자리에는 인너 실러(inner sealer)(22)가 장착된다. 상기 아우터 실러(21)와 인너 실러(21)에 의하여, 상기 저장실(111)의 냉기가 현관용 냉장고(10)의 외부로 누설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를 구성하는 캐비닛의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12-12를 따라 절개되는 측단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10)를 구성하는 캐비닛(11)은, 전후면이 개구되는 육면체 형상을 이룬다.
상세히, 상기 캐비닛(11)은, 현관 도어(1) 또는 벽면을 관통하여 삽입되는 제 1 부분(112)과, 실내에 노출되는 제 2 부분(113)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부분(113)의 하단부는 상기 제 1 부분(112)의 하단부보다 하측으로 더 연장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 1 부분(112)의 저면 후단에서 하측으로 더 연장되는 상기 제 2 부분(113)의 전면은 도어 밀착면(114)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도어 밀착면(114)은, 상기 하우징(15)의 전면과 동일하게, 상기 현관용 냉장고(10)가 모멘트에 의하여 현관 도어(1) 또는 벽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캐비닛(11)의 전단부에서 후방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는 지점에는 밀착 턱(11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밀착턱(115)은, 상기 캐비닛(11)의 내주면에서 소정 높이로 돌출되고, 상기 캐비닛(11)의 내주면을 따라 연장되는 사각 띠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밀착턱(115)의 내측 가장자리를 따라 정의되는 사각형 개구부는 물품 출입을 위한 입구부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캐비닛(11)의 전단부와 상기 밀착턱(115) 사이의 공간은 실외측 도어 수용부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실외측 도어(12)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밀착턱(115)의 전면에는 상기 아우터 실러(21)가 밀착되어 냉기 누설이 차단된다.
상기 밀착턱(115)의 후방에 정의되는 상기 저장실(111)의 종단면은 상기 입구부의 종단면과 동일한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저장실(111)의 바닥면은 상기 캐비닛(11)의 바닥부 내주면에서 연장되는 상기 밀착턱(115)의 상단과 동일 면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실(111)의 좌우 측면은, 상기 캐비닛(11)의 좌측 내주면과 우측 내주면에서 연장되는 상기 밀착턱(115)의 내측 가장자리와 동일 면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실(111)의 천장면은 상기 캐비닛(11)의 상단부 내주면에서 연장되는 상기 밀착턱(115)의 하단과 동일 면을 이룰 수 있다.
정리하면, 상기 저장실(111)의 내주면은 상기 밀착턱(115)의 내측 가장자리와 동일 면을 이루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저장실(111)의 바닥면은 상기 실외측 도어 수용부의 바닥면과 동일 면을 이루는 것도 가능하다.
상세히, 상기 밀착턱(115)은, 하측 턱(115a), 좌측 턱(115b), 우측 턱, 및 상측 턱(115c)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고, 상기 저장실(111)의 바닥면은 상기 하측턱(115a)의 상단부보다 낮게 설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실(111)의 좌우 측면도 상기 좌측턱(115b)과 우측 턱의 내측 가장자리보다 낮게 설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실(111)의 상면(천장)도 상기 상측 턱의 하단부보다 높게 설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상기 저장실(111)의 폭과 높이는 상기 입구부의 폭과 높이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외측 도어 수용부의 바닥에 해당하는 상기 캐비닛(11)의 바닥에는 안내홀(116)이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안내홀(116)이 형성되는 지점은, 상기 캐비닛(11)의 전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는 지점, 또는 상기 밀착턱(115)의 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는 지점으로 설명될 수도 있다.
상기 안내홀(116)은 상기 캐비닛(11)의 전단부보다 상기 밀착턱(115)에 더 가까운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5)으로부터 배출되는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은 공기가 상승하면서 상기 안내홀(116)을 통하여 상기 캐비닛(11)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안내홀(116)을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는 상기 아우터 실러(21)의 가장자리를 따라 흐르면서 상기 아우터 실러(21)에 맺힌 이슬을 증발시킨다.
상세히, 상기 제 1 부분(112)에 해당하는 상기 캐비닛(11)의 저면과 상기 제 2 부분(112)에 해당하는 상기 캐비닛(11)의 전면에는 단차부(119)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차부(119)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8)에 의하여 차폐되어,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8)와 단차부(119) 사이에 가이드 유로(119a)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유로(119a)의 하단은 상기 하우징(15)의 내부와 연통하고, 상기 가이드 유로(119a)의 상단은 상기 안내홀(116)에 연결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상기 하우징(15)에서 배출되는 상대적으로 고온인 공기가 상기 가이드 유로(119a)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안내홀(116)로 유입된다.
상기 캐비닛(11)의 내부 바닥면, 특히 상기 제 2 부분(113)에 해당하는 상기 캐비닛(11)의 바닥면에는 유동 가이드 안착부(117)가 소정 깊이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동 가이드 안착부(117)의 바닥에는 냉기 흡입홀(118)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마운트 플레이트(24)는 상기 유동 가이드 안착부(117)의 바닥에 장착되어, 관통홀(242)과 상기 냉기 흡입홀(118)이 상하 방향으로 정렬된다.
또한, 상기 유동 가이드(23)는 상기 유동 가이드 안착부(117)에 놓이되, 상기 마운트 플레이트(24)의 상면에 놓인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의 저장실에 수용되는 트레이의 사시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19)는, 사각형 형태의 바닥부(191)와, 상기 바닥부(191)의 가장자리에 둘러지고 소정 높이로 연장되는 가장자리 벽과, 상기 바닥부(191)의 네 모서리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레그(196)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바닥부(191)에는 다수의 관통홀(191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장자리 벽은, 전면부(192), 좌측면부(193), 우측면부(194), 및 후면부(19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그(196)에 의하여 상기 바닥부(191)는 저장실(111)의 바닥으로부터 소정 길이 이격되어, 하부 갭(g1)을 형성한다.
상기 하부 갭(g1)의 높이는 상기 레그(196)의 높이에 대응되고, 상기 하부 갭(g1)의 폭은 인접하는 두개의 레그들 간의 거리에 대응된다.
또한, 상기 바닥부(191)의 좌우 폭은 상기 저장실(111)의 좌우 폭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가장자리 벽과 상기 저장실의 측벽은 소정 길이 이격되어 측부 갭(g2)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바닥부(191)의 전후 폭도 상기 저장실(111)의 전후 폭보다 작게 형성되어 측부 갭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측부 갭(g2)은 5mm 내외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의 저장실 바닥에 놓이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사시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플레이트(20)는 상기 트레이(19)의 바닥부(191)와 동일한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의 가장자리는 상기 저장실(111)의 바닥부와 동일한 크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상세히,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에는 다수의 관통홀(201)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다수의 관통홀(201)은 원형 홀 또는 다각형 홀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9 내지 도 11을 함께 참조하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는, 상기 저장실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게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세히,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와 상기 저장실(111)의 바닥면 사이의 이격 거리는, 상기 하측 턱(115a)의 높이에 대응하는 길이로 설정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의 상면과 상기 하측 턱(115a)이 동일 면을 이루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사용자 또는 택배 기사가 상기 트레이(19)를 상기 저장실(111) 내부에 인입하거나 저장실(111)로부터 인출할 때, 상기 하측 턱(115a)이 상기 트레이(19)의 인출입을 방해하는 장애물로 작용하지 않게 된다.
즉, 상기 트레이(19)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시켜서 인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와 상기 저장실(111)의 바닥면 사이에 이격 공간이 형성되므로, 상기 유동 가이드(23)에 의하여 안내되는 냉기가 저장실(111)의 하부 전역에 걸쳐 골고루 분포되는 장점이 있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와 저장실(111) 바닥면 사이의 이격 거리는 15mm 내외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의 바닥에 놓이는 유동 가이드의 사시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동 가이드(23)는, 바닥부(231)와, 상기 바닥부(231)의 좌측 및 우측 가장자리에서 각각 상측으로 라운드지게 연장되는 만곡부(235)와, 상기 바닥부(231) 및 상기 만곡부(235)의 전단 및 후단에서 각각 하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단(234)과, 상기 바닥부(231)의 상면 중앙에서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팬 하우징(23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장단(234)은, 상기 바닥부(231)와 만곡부(235)의 전단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전방 연장단과, 상기 바닥부(231)와 만곡부(235)의 후단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후방 연장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만곡부(235)와 상기 연장단(234)의 단부에 의하여, 상기 유동 가이드(23)의 좌측 가장자리와 우측 가장자리에 각각 사이드 토출구가 정의된다.
또한, 상기 팬 하우징(232)으로부터 좌측 및 우측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는 지점에 메인 토출구(236)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 토출구(236)는 상기 유동 가이드(23)의 좌우 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고, 상기 유동 가이드(23)의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열되는 다수의 슬릿들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메인 토출구(236)는, 상기 유동 가이드(23)의 전후 방향으로 긴 하나의 개구부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상기 팬 하우징(232)은, 상기 흡열팬(33)을 수용하기 위하여 상기 바닥부(231)로부터 소정 높이 돌출될 수 있고, 상면에 흡입구(233)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상기 흡열팬(33)이 회전하면, 상기 저장실(111) 내부의 냉기가 상기 흡입구(233)를 통하여 상기 콜드 싱크(32) 쪽으로 안내된다. 그리고, 상기 콜드 싱크(32)를 지나면서 냉각되는 냉기는, 상기 유동 가이드(23)의 좌우 방향으로 흐른다. 그리고, 상기 유동 가이드(23)의 좌우 방향으로 흐르는 냉기는, 상기 메인 토출구(236)와 상기 사이드 토출구(237)를 통하여 상기 저장실(111)로 토출되는 순환 유로를 형성한다.
한편, 상기 유동 가이드(23)의 좌측 단부와 우측 단부는 상기 유동 가이드 안착부(117)의 좌측 가장자리와 우측 가장자리에 밀착된다. 그 결과, 상기 사이드 토출구(237)는 상기 유동 가이드(23)의 상면에 형성되어, 냉기가 상기 저장실(111)의 천장을 향하여 상향 토출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를 구성하는 하우징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전면 사시도이고, 도 17은 내부에 피시비가 배치된 하우징의 편면 사시도이다.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15)은, 상기 캐비닛(11)의 하단부, 구체적으로 제 2 부분(113)으로 정의되는 상기 캐비닛(11)의 하단에 결합된다.
상세히, 상기 하우징(15)의 내부에는 상기 냉기 공급 장치(30)의 일부분이 수용되는 부분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냉기 공급 장치(30)의 다른 일부분은 제 2 부분(113)에 해당하는 캐비닛(11)의 하측 공간에 수용된다.
일례로, 흡열팬(33) 콜드 싱크(32) 및 열전 소자(31)는 상기 캐비닛(11)의 제 2 부분(113)의 하측 공간에 수용되고, 상기 히트 싱크(34)와 방열팬(36)은 상기 하우징(15)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그러나, 설계 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밝혀둔다.
상세히, 상기 하우징(15)은, 바닥부(151)와, 상기 바닥부(151)의 전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전면부(152)와, 상기 바닥부(151)의 후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후면부(153)와, 상기 바닥부(151)의 좌측 단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좌측면부(154), 및 상기 바닥부(151)의 우측 단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우측면부(155)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닥부(151)의 저면에는 상기 가이드 덕트(16)가 장착된다.
상기 바닥부(151)의 중앙에는 석션홀(151a)에 형성되고, 상기 석션 홀(151a)에 상기 석션 플레이트(17)가 장착된다.
상기 바닥부(15)의 좌측 가장자리와 우측 가장자리에는 좌측 토출구(158)와 우측 토출구(159)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좌측 토출구(158)와 우측 토출구(159)는 원형 또는 다각형 홀들의 집합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좌측 토출구(158) 우측 토출구(159) 각각은,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가지는 직사각형 홀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좌측 토출구(158)와 우측 토출구(159)의 직하방에 상기 가이드 덕트(16)가 각각 장착된다.
또한, 상기 석션홀(151a)의 네 모서리 부위에 해당하는 상기 바닥부(151)의 상면에는 하나 또는 다수의 유동 가이드 플레이트(150)가 배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석션홀(151a)의 네 모서리 부위 각각에는 다수의 유동 가이드 플레이트(150)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석션 플레이트(17)를 통하여 상기 하우징(15)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히트 싱크(34)와 열교환한 외부 공기의 일부가 상기 유동 가이드 플레이트(150)에 의하여 상기 좌측 토출구(158)와 우측 토출구(159)로 안내될 수 있다.
상기 전면부(152)와 상기 후면부(153)의 중앙에는 각각 전면 토출구(156)와 후면 토출구(157)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석션 플레이트(17)를 통하여 유입된 외부 공기의 일부는 히트 싱크(34)와 열교환한 후에, 상기 전면 토출구(156)와 후면 토출구(157)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전면 토출구(156)와 후면 토출구(157)도 다수의 홀들의 집합체로 정의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다만, 상기 토출구들(156,157,158,159)이 직경이 작은 다수의 홀들의 집합체로 이루어짐으로써, 이물질이 상기 하우징(15) 내부로 유입되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8)는, 독립된 부재로 상기 캐비닛(11)에 결합될 수도 있고, 상기 전면부(153)의 상단에서 연장되어 전방으로 절곡되는 상기 하우징(15)의 일부분일 수도 있다.
상기 좌측면부(154)와 우측면부(155)는, 상기 바닥부(151)의 좌측 및 우측 가장자리에서 상측으로 라운드지게 연장될 수 있다.
한편, 발열량이 많은 전기 부품이 실장된 피시비의 냉각을 위해서 피시비가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피시비에는 적어도 상기 냉기 공급 장치(30)의 구동 제어를 위한 전기 부품이 실장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피시비는 메인 피시비(41)와 서브 피시비(42)를 포함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 본 발명의 요지는, 발열량이 많은 피시비가 방열팬(36)에 의하여 강제 유동하는 실내 공기의 유로 상에 배치되도록 하여, 피시비가 자연 냉각되도록 하는 것임을 밝혀둔다.
상기 피시비는, 일례로 메인 피시비(41)와 서브 피시비(42)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메인 피시비(41)는 상기 좌측 토출구(158)의 상측에, 상기 서브 피시비(42)는 상기 우측 토출구(159)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현관용 냉장고(10)에 설치되는 피시비가 한 개일 경우는 좌측 토출구(158)와 우측 토출구(159) 중 어느 일측에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시비가 다수 개일 때는, 반드시 상기 좌측 토출구(158)와 우측 토출구(159)의 직상방에 위치할 필요는 없다. 다시 말하면, 상기 석션 플레이트(17)와 상기 좌측면부(154) 사이의 공간 및 상기 석션 플레이트(17)와 상기 우측면부(154) 사이의 공간에 적절하게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시비(141,142)는 상기 하우징(15)의 바닥부(151)로부터 상측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는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이는, 상기 피시비에 의하여 상기 좌측 토출구(158)와 우측 토출구(159)가 차폐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서, 상기 피시비의 가장자리를 관통하는 체결 스크류가 상기 캐비닛(11)의 저면에 삽입 고정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체결 스크류의 삽입 깊이를 조절하여, 상기 피시비가 상기 캐비닛(11)의 저면과 상기 하우징(15)의 바닥부(151)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시비(41,42)를 통과하면서 열을 흡수한 실내 공기가 상기 하우징(15)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되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좌측면부(154)와 우측면부(155)에 좌측 방열홀(154a)과 우측 방열횰(155a)이 각각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피시비를 냉각시키면서 수평 방향으로 흐르는 실내 공기가 상기 좌측 및 우측 방열홀(154a,155a)을 통해서 배출되며, 유로의 전환이 없기 때문에 유동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상기 피시비로부터 열을 흡수한 공기의 일부는, 유로를 전환하여 상기 좌측 토출구(158)와 우측 토출구(159)를 통해 실내로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피시비로부터 열을 흡수한 공기의 다른 일부는 상기 좌측 방열홀(154a)과 우측 방열홀(155a)을 통해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방열팬(36)에 의하여 상기 하우징(15) 내부에서 강제 유동하는 실내 공기가 상기 피시비(41,42) 쪽으로 집중되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하우징(15) 내부에는 상기 유동 가이드 플레이트(150)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유동 가이드 플레이트(150)는, 상기 석션 플레이트(17)의 네 모서리 부근에서 소정 높이와 소정 길이로 연장되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유동 가이드 플레이트(150)는, 상기 하우징(15)을 전후로 이등분하는 중심선(L1)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동 가이드 플레이트(150)는, 상기 하우징(15)을 좌우로 이등분하는 중심선(L2)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동 가이드 플레이트(150)는, 상기 중심선(L1)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는 지점에 설치되는 내측 유동 가이드 플레이트(150a)와, 상기 중심선(L1)으로부터 상기 내측 유동 가이드 플레이트(150a)보다 더 먼 지점에 설치되는 외측 유동 가이드 플레이트(150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측 유동 가이드 플레이트(150a)는, 상기 석션 플레이트(17)의 모서리에 가까운 지점으로부터 상기 하우징(15)의 측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내측 유동 가이드 플레이트(150a)는 상기 하우징(15)의 측면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중심선(L1)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내측 유동 가이드(150a)는 직선 형태로 연장될 수도 있지만, 적어도 1회 이상 절곡되거나 소정 곡률로 부드럽게 라운드지는 형태로 연장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외측 유동 가이드 플레이트(150b)도 상기 석션 플레이트(17)의 모서리에 가까운 지점으로부터 상기 하우징(15)의 측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측 유동 가이드 플레이트(150b)도, 상기 중심선(L1)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측 유동 가이드 플레이트(150b)도, 상기 내측 유동 가이드 플레이트(150a)와 마찬가지로, 직선 형태, 다수 회 절곡된 형태, 또는 부드럽게 라운드진 형태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내측 유동 가이드 플레이트(150a)가 상기 중심선(L1)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비스듬히 연장됨으로써, 상기 방열팬(36)에 의하여 강제 유동하는 공기는 상기 피시비의 중심부 쪽으로 집중하여 흐르게 된다. 따라서, 중앙에 발열량이 많은 전기 부품이 실장되는 형태의 피시비가 설치되는 것이 유리하다.
상기 피시비에 실장되는 전기 부품들의 배치 상태에 따라서, 상기 유동 가이드 플레이트(150)의 연장 방향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즉, 발열량이 많은 전장 부품 쪽으로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공기가 흐르도록 함으로써, 피시비 전체 면적에 걸쳐서 피시비에 실장된 전장 부품의 냉각 속도가 균일하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8은 바닥에 유동 분리판이 부착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상기 석션 플레이트(17)를 통하여 상기 하우징(15) 내부로 유입되는 실내 공기와, 상기 좌측 토출구(158)와 우측 토출구(159)를 통해서 실내로 배출되는 실내 공기의 혼합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하우징(15)의 바닥에 유동 분리판(45)이 부착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유동 분리판(45)은, 상기 석션 플레이트(17)의 좌측 가장자리 영역과 우측 가장자리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15)의 저면으로부터 소정 길이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유동 분리판(45)은 상기 석션 플레이트(17)의 좌측면과 우측면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로 상기 하우징(15)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적어도 상기 유동 분리판(45)은 상기 석션 플레이트(17)의 측면부 길이와 동일하거나 그보다 더 길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유동 분리판(45)이 설치됨으로써, 상기 좌측 토출구(158)와 우측 토출구(159)를 통하여 배출되는 고온의 실내 공기가 상기 석션 플레이트(17)를 통하여 재유입되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좌측 토출구(158)와 우측 토출구(159)를 통해서 배출되는 실내 공기는, 냉기 공급 장치(30)의 히트 싱크(34) 및 상기 피시비로부터 열을 흡수하여 온도가 상승한 상태이다. 이와 같이, 온도가 상승한 상태의 공기가 상기 석션 플레이트(17)를 통하여 하우징(15) 내부로 재유입되면, 상기 히트 싱크(34) 및 피시비의 방열 능력이 현저히 저하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상기 유동 분리판(45)이 상기 하우징(15)의 저면에 설치되는 것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동 분리판이 구비된 하우징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15)은, 상기 유동 분리판(45)이 상기 좌측 토출구(158)와 우측 토출구(159)의 측면 가장자리에 인접하는 지점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유동 분리판(45)이 상기 석션 플레이트(17)보다 상기 좌측 토출구(158)와 우측 토출구(159)에 더 가까운 지점에 설치됨으로써, 상기 석션 플레이트(17)를 통해셔 유입되는 실내 공기의 유동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8 및 도 19에 제시되는 유동 분리판(45)은,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되되,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하측으로 연장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서로 마주보는 유동 분리판들(45)의 하단부 간 거리가 상단부간 거리보다 멀게 설치함으로써, 상기 석션 플레이트(17)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동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고, 흡입 유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좌측 토출구(158)와 우측 토출구(159)를 통해서 배출되는 실내 공기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하향 배출되므로, 상기 석션 플레이트(17)를 통해서 재유입되는 가능성이 현저히 낮아지는 효과가 있다.
도 20은 피시비 냉각을 위한 냉기 공급 장치의 방열팬 구동 제어 알고리즘을 설명하는 플로차트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현관용 냉장고(10)에 설치되는 피시비를 냉각하기 위해서는 냉기 공급 장치(30)의 방열팬(36)이 구동하여야 한다.
상세히, 상기 방열팬(36)을 구동하기 위해서는 전력 소비가 필연적이다. 따라서, 소비 전력을 최소화하면서 피시비를 효과적으로 냉각시키기 위한 최선의 방법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현관용 냉장고(10)가 설치되는 공간의 온도(이하에서는 외부 온도로 정의함)와, 상기 현관용 냉장고(10)의 저장실(111) 온도가 함께 고려되는 것이 좋다.
먼저, 상기 현관용 냉장고(10)의 제어부에서는 현재 냉동 모드가 온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10). 참고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피시비에 설치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부품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냉동 모드는 상기 저장실(111)을 냉장 온도 또는 냉동 온도로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운전 모드로 정의될 수 있다.
냉동 모드가 온 상태이고 냉기 공급 장치(30)가 이미 구동 중이면, 외부 온도(TR) 감지 단계가 수행된다(S130).
그러나, 냉동 모드 온 명령이 입력되고 냉기 공급 장치(30)가 미구동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에서는 냉기 공급 장치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하여 냉기 공급 장치를 구동한다(S120). 냉기 공급 장치의 구동은, 열전 소자(31)로 전원이 공급되고, 흡열팬(33)과 방열팬(36)에 전원이 공급되어 회전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온도라 함은, 실내 온도 또는 실외 온도 중 어느 하나의 온도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방열팬(36)에 의하여 하우징(15)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가 실내 공기이면, 상기 외부 온도는 실내 온도를 의미하고, 하우징(15)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가 실외 공기이면, 상기 외부 온도는 실외 온도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에서는 감지된 외부 온도(TR)가 설정 온도(TS)보다 낮은지 여부를 판단하고(S140), 외부 온도(TR)가 설정 온도(TS)보다 낮다고 판단되면 상기 방열팬(136)이 중간 속도로 회전하도록 제어한다(S150).
상기 설정 온도(TS)는 여름철 낮기온에 해당하는 섭씨 35도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외부 온도(TR)가 설정 온도(TS)보다 낮다는 것은, 방열팬(136)에 의하여 흡입되는 공기의 온도가 과도하게 높지 않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흡입되는 외부 공기가 피시비 냉각에 악영향을 줄 가능성이 낮기 때문에, 방열팬의 회전 속도를 중간 수준으로 유지하여도 무방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외부 온도(TR)가 서정 온도(TS)보다 높은 경우, 현재 저장실 온도(TC)를 고려하여 방열팬(136)의 회전 속도를 조절하는 것이 필요하다.
상세히, 제어부는 현재 저장실(111)의 온도(TC)가 만족 온도 이하로 유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41).
저장실 온도가 만족 온도 이하로 유지되고 있는 경우는, 냉기 공급 장치(30)를 구동할 필요가 없거나 구동하더라도 저출력으로 구동하여도 되는 상황으로 이해될 수 있다. 따라서, 피시비 냉각을 위해서 제어부는 방열팬이 저속 회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냉기 공급 장치의 구동을 위한 소비 전력을 절감시키고, 피시비도 냉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반대로, 저장실 온도가 만족 온도보다 높은 온도, 즉 불만족 온도인 경우는 저장실 냉각을 위해 냉기 공급 장치(30)의 출력을 높여야 하고, 동시에 피시비를 냉각시켜야 하는 상황으로 이해될 수 있다.
저장실 온도를 만족 온도로 낮추기 위해서 열전 소자에 공급되는 전류량을 증가시키면, 히트 싱크(34)의 표면 온도가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히트 싱크(34)를 통과하는 공기의 온도가 높아지게 되어, 피시비의 냉각 성능이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피시비의 냉각 성능이 떨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방열팬을 고속으로 회전시켜서 단위 시간당 공기 유동량을 증가시킨다.
단위 시간당 공기 유동량이 증가하면, 히트 싱크(34)를 통과하는 공기의 온도 증가량이 낮아지게 된다. 따라서, 히트 싱크(34)를 통과한 공기가 피시비를 냉각시키는 능력이 저하되지 않는다.
그리고, 방열팬이 고속으로 회전하는 과정에서 저장실 온도가 만족 온도 이하로 떨어지면, 상기 방열팬의 회전 속도를 저속으로 전환하여 전력 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피시비 냉각을 위한 방열팬 회전 알고리즘은, 현관용 냉장고(10)의 전원이 오프되지 않는 한 반복해서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S160).

Claims (18)

  1. 현관 도어 또는 벽면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물품의 보관을 위한 저장실이 형성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하단에 결합되는 하우징;
    상기 캐비닛의 전면에 연결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며, 실외에 노출되는 실외측 도어;
    상기 캐비닛의 후면에 연결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며, 실내에 노출되는 실내측 도어;
    상기 캐비닛의 하부와 상기 하우징에 의하여 정의되는 공간에 수용되며, 상기 저장실로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 공급 장치;
    적어도 상기 냉기 공급 장치의 구동 제어를 위한 전기 부품이 실장되는 피시비; 및
    상기 피시비에 구비되어 상기 냉기 공급 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에는,
    외부 공기 흡입을 위한 흡입구와,
    상기 흡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피시비는, 상기 하우징 내부의 공기 유로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용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전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전면부와,
    상기 바닥부의 후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후면부와,
    상기 바닥부의 좌우 측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좌측면부 및 우측면부를 포함하는 현관용 냉장고.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는 상기 바닥부의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토출구는,
    상기 흡입구로부터 좌측으로 이격되는 지점에 형성되는 좌측 토출구와,
    상기 흡입구로부터 우측으로 이격되는 지점에 형성되는 우측 토출구를 포함하는 현관용 냉장고.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피시비는 상기 토출구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는 지점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용 냉장고.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는,
    상기 좌측면부에 형성되는 좌측 방열홀과,
    상기 우측면부에 형성되는 우측 방열홀을 더 포함하는 현관용 냉장고.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에 장착되며, 다수의 흡입홀이 형성되는 석션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현관용 냉장고.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의 네 모서리 부근에 배치되어, 상기 흡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상기 피시비 쪽으로 안내하는 유동 가이드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현관용 냉장고.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가이드 플레이트는,
    상기 바닥부로부터 상측으로 소정 높이로 연장되고, 상기 하우징의 좌측 또는 우측 가장자리 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용 냉장고.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가이드 플레이트는,
    직선 방향으로 연장되거나, 적어도 1회 절곡되거나, 소정 곡률로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용 냉장고.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가이드 플레이트는,
    상기 하우징을 전후로 이등분하는 중심선으로부터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격되는 지점에 배치되는 외측 유동 가이드 플레이트와,
    상기 외측 유동 가이드 플레이트와 상기 중심선 사이에 배치되는 내측 유동 가이드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현관용 냉장고.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가이드 플레이트는, 상기 하우징의 좌측 또는 우측 가장자리 쪽으로 갈수록 상기 중심선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용 냉장고.
  12.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 공급 장치는,
    흡열면과 발열면을 형성하는 열전 소자와,
    상기 흡열면에 접촉하는 콜드 싱크와,
    콜드 싱크의 상측에 놓이는 흡열팬과,
    상기 발열면에 접촉하는 히트 싱크와,
    상기 히트 싱크의 하측에 놓이는 방열팬과,
    상기 콜드 싱크와 히트 싱크 사이에 배치되어 열전달을 차단하는 단열재를 포함하는 현관용 냉장고.
  13. 제 12 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히트 싱크와 상기 방열팬은 상기 하우징 내부에 놓이고,
    상기 방열팬은 상기 흡입구의 직상방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용 냉장고.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외부 온도에 따라서 상기 방열팬의 회전 속도를 다르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용 냉장고.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실의 온도에 따라서 상기 방열팬의 회전 속도를 다르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용 냉장고.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온도가 설정 온도보다 낮은 조건에서는 상기 방열팬을 중속으로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용 냉장고.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온도가 설정 온도보다 높고, 상기 저장실 온도가 만족 온도 이하인 조건에서는 상기 방열 팬을 저속으로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용 냉장고.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온도가 설정 온도보다 높고, 상기 저장실 온도가 불만족 온도인 조건에서는 상기 방열팬을 고속으로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용 냉장고.
KR1020190086984A 2019-02-25 2019-07-18 현관용 냉장고 KR20210009871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6984A KR20210009871A (ko) 2019-07-18 2019-07-18 현관용 냉장고
CN202010107774.XA CN111609651B (zh) 2019-02-25 2020-02-21 入口冰箱及冰箱
US16/798,962 US11378329B2 (en) 2019-02-25 2020-02-24 Entrance refrigerator
EP20158931.4A EP3699528B1 (en) 2019-02-25 2020-02-24 Entrance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6984A KR20210009871A (ko) 2019-07-18 2019-07-18 현관용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9871A true KR20210009871A (ko) 2021-01-27

Family

ID=74238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6984A KR20210009871A (ko) 2019-02-25 2019-07-18 현관용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09871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3394A (ko) 2009-09-25 2011-03-31 조영택 현관문 및 대문에 부착되는 냉장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3394A (ko) 2009-09-25 2011-03-31 조영택 현관문 및 대문에 부착되는 냉장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27956B1 (en) Refrigerator
US20130000333A1 (en) Refrigerator
CN108548365B (zh) 冰箱变温室冷气供给装置及方法
EP3699528B1 (en) Entrance refrigerator
EP3699529B1 (en) Entrance refrigerator
EP3699525B1 (en) Entrance refrigerator
KR20210009871A (ko) 현관용 냉장고
EP3699530A1 (en) Entrance refrigerator
EP3699532A1 (en) Entrance refrigerator
KR20210009860A (ko) 현관용 냉장고
KR20210009867A (ko) 현관용 냉장고
KR20210009868A (ko) 현관용 냉장고
KR100487317B1 (ko) 직냉식 냉장고
KR20210026663A (ko) 현관용 냉장고
EP3699524B1 (en) Entrance refrigerator
KR20210009863A (ko) 현관용 냉장고
KR20210009841A (ko) 현관용 냉장고
CN109959197B (zh) 冷藏冷冻装置
KR20210009850A (ko) 현관용 냉장고
KR20210009848A (ko) 현관용 냉장고
KR20210010058A (ko) 현관용 냉장고
KR20210009837A (ko) 현관용 냉장고
KR101295962B1 (ko) 냉장고 모터 방수 구조
CN114688785A (zh) 卧式制冷柜
JP2004093055A (ja) 温冷蔵装置及び冷蔵室乾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