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0058A - 현관용 냉장고 - Google Patents

현관용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0058A
KR20210010058A KR1020190087444A KR20190087444A KR20210010058A KR 20210010058 A KR20210010058 A KR 20210010058A KR 1020190087444 A KR1020190087444 A KR 1020190087444A KR 20190087444 A KR20190087444 A KR 20190087444A KR 20210010058 A KR20210010058 A KR 202100100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refrigerator
floor
cabinet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74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민규
김용남
안성우
노양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874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10058A/ko
Priority to CN202010107501.5A priority patent/CN111609650A/zh
Priority to EP20158985.0A priority patent/EP3699531A1/en
Priority to US16/798,926 priority patent/US11274858B2/en
Publication of KR202100100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00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0Arrangements for mounting in particular locations, e.g. for built-in type, for corner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5/00Devices not covered by group F25D11/00 or F25D13/00, e.g. non-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14Collecting or removing condensed and defrost water; Drip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1/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1/14Collect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Remov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 F25D2321/144Collect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Remov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drip water collection pans
    • F25D2321/1441Collect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Remov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drip water collection pans inside a refriger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val Of Water From Condensation And Defro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는, 저장실의 바닥에 열전 모듈을 포함하는 냉기 공급 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열전 모듈을 구성하는 콜드 싱크의 상면이 경사지게 설계되어, 콜드 싱크의 표면에 맺히는 수분이 상기 콜드 싱크의 경사진 상면을 타고 흐르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현관용 냉장고 {Refrigerator installed at an entrance of the place}
본 발명은 현관용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최근, 물품을 소정의 장소에 배달하는 배달 서비스가 활성화 되고 있다. 특히, 상기 물품이 신선식품일 경우, 식품이 상하거나 식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배달 차량에 냉장고 또는 온장고를 구비하여 식품을 저장하고 배달한다.
식품은 냉각 또는 보온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포장재에 담겨져 배달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포장재는 스티로폼과 같은 환경오염 물질로 구성되어, 최근 사용량을 절감하고자 하는 사회적 분위기가 조성된다.
한편, 배달시간에 사용자가 가정에 있는 경우에는, 배달원과 사용자가 직접 대면하여 식품을 전달받을 수 있으나, 사용자가 가정에 없는 경우 또는 배달시간이 너무 이르거나 늦게 되면, 배달원과 사용자가 직접 대면하여 식품을 전달받기가 어렵다.
따라서, 배달원과 사용자가 직접 대면하지 않더라도 식품을 전달받을 수 있고, 식품이 사용자에게 최종 전달될 때까지 상하거나 식지 않아야 하는 필요성이 나타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소정 장소의 입구(현관)에 냉장고를 설치하여 배달원은 상기 냉장고에 식품을 보관하여 신선상태를 유지하고 사용자는 편한 시간에 냉장고에 접근하여 식품을 전달받을 수 있는 제품이 소개되고 있다.
아래의 선행 기술에는 현관 도어에 장착되는 현관용 냉장고가 개시된다.
상기 현관용 냉장고의 저장실이 외부 온도보다 낮게 유지되는 경우에는, 상기 저장실의 바닥에 이슬이 맺힐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현관용 냉장고의 실외측 도어를 개방할 때 실외 공기가 상기 저장실 내부로 침투할 수 있고, 실내측 도어를 개방할 때 실내 공기가 저장실 내부로 침투할 수 있다.
특히, 여름철의 경우, 실내 공기 및 실외 공기의 온도 및 습도는, 상기 저장실 내부의 온도 및 습도보다 높다. 따라서, 저장실 내부로 침투한 실내 공기 또는 실외 공기가 저장실 온도로 냉각되는 과정에서, 상기 실내 공기 또는 실외 공기에 포함된 수분이 응축되면서 저장실 바닥이나 벽 또는 천장에 맺힐 수 있다.
그리고, 중력에 의하여, 저장실 천장에 맺힌 이슬은 상기 저장실 바닥으로 낙하하게 되고, 상기 저장실의 벽면이나 보관 중인 물품의 표면에 맺힌 이슬은 상기 저장실 바닥으로 흘러 내리게 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저장실에 보관되는 물품이 채소인 경우, 보관되는 물품 자체에서 흘러내리는 수분도 저장실의 바닥으로 흘러내리게 된다.
한편, 상기 저장실의 바닥에 모이는 수분을 신속하게 제거하지 아니하면, 곰팡이를 포함하는 세균이 저장실 바닥에 증식하여, 보관 중인 물품의 위생 상태를 저해하는 원인이 된다.
뿐만 아니라, 수분이 저장실 바닥에 존재하는 상태에서 저장실이 결빙 온도 이하의 냉동 보관 모드로 전환되는 경우, 저장실 바닥이나 벽면에 얼음이 생성될 수 있다. 그리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얼음의 크기가 증가하여 저장실의 공간이 좁아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저장실 바닥으로 모이는 수분을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방안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저장실 냉각을 위해서 열전 모듈로 이루어지는 냉기 공급 장치가 장착되는 현관용 냉장고의 경우, 열전 모듈을 구성하는 콜드 싱크의 표면에 맺히는 이슬도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저장실이 외부 온도보다 낮은 온도로 유지되는 경우, 열전 소자의 흡열면에 부착된 콜드 싱크의 표면에 이슬 맺힘 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이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열전 소자에 역전압을 걸어서 이슬을 증발시키는 제상 운전이 수행되어야 한다.
그 결과, 제상 운전이 수행되는 동안, 콜드 싱크에서 발생하는 열이 저장실 내부로 침투하여 저장실 온도를 증가시키는 문제를 초래하게 된다.
선행 기술 : 한국공개특허 제2011-0033394호(2011년03월31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된다.
즉, 저장실 바닥에 고이는 수분을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는 현관용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열전 모듈을 구성하는 콜드 싱크의 표면에 맺히는 이슬을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는 현관용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는, 저장실의 바닥에 열전 모듈을 포함하는 냉기 공급 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열전 모듈을 구성하는 콜드 싱크의 상면이 경사지게 설계되어, 콜드 싱크의 표면에 맺히는 수분이 상기 콜드 싱크의 경사진 상면을 타고 흐르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콜드 싱크의 상면은, 일 측단에서 타 측단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형태로 경사진다.
또한, 상기 열전 모듈이 장착되는 상기 현관용 냉장고의 저장실 바닥은 소정 깊이로 함몰 또는 단차지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함몰 또는 단차지는 저장실 바닥은, 상기 콜드 싱크의 상면 좌측에 정의되는 좌측 드레인 플로어와, 상기 콜드 싱크의 상면 우측에 정의되는 우측 드레인 플로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콜드 싱크의 상면 좌측단과 상면 우측단 중 낮은 쪽에 인접하는 드레인 플로어에 드레인 홀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콜드 싱크에 맺히는 이슬이 상기 드레인 홀 쪽으로 흘러내리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레인 플로어의 상면에는 마운트 플레이트가 안착되고, 상기 드레인 홀이 형성되는 부위에 대응하는 상기 마운트 플레이트에 드레인 홀이 형성된다. 그 결과, 상기 콜드 싱크에 맺히는 이슬이 상기 마운트 플레이트의 상면을 따라 흘러 상기 드레인 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드레인 플로어에 형성되는 드레인 홀은 상기 캐비닛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캐비닛의 바닥에는 상기 드레인 홀과 연통하는 드레인 포트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레인 포트가 형성되는 부위의 상기 캐비닛 저면에는 드레인 박스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구체적으로, 저장실 바닥이 한 쪽으로 경사지게 설계되고, 저장실 바닥으로 떨어지는 수분이 모이는 지점에 드레인 홀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저장실 바닥에 모이는 수분이 상기 드레인 홀을 통하여 신속하게 저장실 외부로 배출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드레인 홀의 직하방에 해당하는 캐비닛의 하측에는 드레인 박스가 장착되어, 상기 드레인 홀을 통하여 배출되는 물이 상기 드레인 박스에 포집된다. 그 결과, 상기 드레인 홀을 통하여 배출되는 물이 현관용 냉장고의 외부로 누설되어 현관 바닥에 떨어지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드레인 박스는, 상기 드레인 박스를 수용하는 하우징의 외부로 인출 가능하고, 상기 드레인 박스는 상기 캐비닛의 하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드레인 박스에 채워진 물을 버리는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냉기 공급 장치를 구성하는 열전 모듈을 캐비닛의 바닥에 장착할 때, 콜드 싱크가 드레인 홀 쪽으로 비스듬이 경사지게 장착되도록 함으로써, 콜드 싱크 표면에 생성되는 응축수는 상기 콜드 싱크 표면을 따라 드레인 홀 쪽으로 흘르게 된다. 따라서, 콜드 싱크 표면에 성에가 발생하거나 얼음이 성장하는 현상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콜드 싱크의 상면을 경사지게 설계함으로써, 열전 모듈이 수평 상태로 캐비닛에 결합되더라도, 상기 콜드 싱크의 표면에 생성되는 수분이 드레인 홀 쪽으로 신속하게 흐르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콜드 싱크 표면에 성에가 발생하거나 얼음이 성장하는 현상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현관 도어에 장착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의 전면도.
도 2는 현관 도어에 장착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의 전면 사시도.
도 4는 상기 현관용 냉장고의 배면 사시도.
도 5는 상기 현관용 냉장고의 저면 사시도.
도 6은 실외측 도어가 제거된 상태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의 전면 사시도.
도 7은 실내측 도어가 제거된 상태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의 배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를 구성하는 마운트 플레이트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를 구성하는 캐비닛의 사시도.
도 11은 드레인 박스가 장착된 상기 캐비닛의 저면을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
도 12는 드레인 박스와 캐비닛이 분리된 모습을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에 장착되는 드레인 박스의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에 장착되는 냉기 공급 장치의 절개 사시도.
도 15는 도 10의 15-15를 따라 절개되는 현관용 냉장고의 부분 종단면도.
도 16은 도 10의 16-16을 따라 절개되는 현관용 냉장고의 부분 종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콜드 싱크의 상면 사시도.
도 18은 상기 콜드 싱크의 저면 사시도.
도 19는 도 10의 15-15를 따라 절개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의 부분 종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현관 도어에 장착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의 전면도이고, 도 2는 현관 도어에 장착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의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10)는, 주택의 현관 도어(1) 또는 현관 벽을 관통하여 장착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현관용 냉장고(10)는 현관 도어(1)의 손잡이(2)로부터 이격되는 지점, 일례로 현관 도어(1)의 중앙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 및 물품을 배송하는 택배 기사의 사용 편의성을 위해서 현관 도어의 하단으로부터 2m 이내의 높이에 설치되는 것이 좋다. 바람직하게는 현관 도어의 하단으로부터 1.5m ~ 1.7m 범위의 높이에 상기 현관용 냉장고(10)가 설치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현관용 냉장고(10)의 전면은 실외(O)에 노출되고, 후면은 실내(I)에 노출된다. 즉, 상기 현관용 냉장고(10)는, 실외(O)에 노출되는 면이 전면으로 정의되고, 실내(I)에 노출되는 면이 후면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의 구성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의 전면 사시도이고, 도 4는 상기 현관용 냉장고의 배면 사시도이며, 도 5는 상기 현관용 냉장고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10)는, 캐비닛(11)과, 실외측 도어(12)와, 실내측 도어(13)와, 하우징(1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1)은 전면과 후면이 개구되고,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실외측 도어(12)는 상기 캐비닛(11)의 전면 개구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상기 캐비닛(11)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실외측 도어(12)는 택배 기사가 물품을 보관하기 위하여 개방할 수 있고, 사용자가 물품 인출을 위해 개방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라 함은, 상기 현관용 냉장고(10)의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물품을 주문한 사람 또는 상기 물품의 출고 권한을 가진 사람으로 정의한다.
또한, 상기 실내측 도어(13)는, 상기 캐비닛(11)의 후면 개구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상기 캐비닛(11)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실외측 도어(12)에는 디스플레이부(14)가 설치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14)에는 현관용 냉장고(10)의 운전 상태, 내부 온도, 물품 존재 여부 등에 대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14)를 통하여 물품을 배송하는 택배 기사가 상기 실외측 도어(12)를 개방하기 위한 비밀 번호 등을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실외측 도어(12)의 일측에는 배송 물품 주문서 또는 배송 물품 포장 박스에 구비된 암호화 코드를 인식하는 코드 스캐너(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내측 도어(13)는, 상기 현관용 냉장고(10)에 저장되어 있는 물품을 사용자가 실내에서 출고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즉, 사용자는 실내에서 상기 실내측 도어(13)를 개방하여 물품을 인출할 수 있다.
상기 실내측 도어(13)의 일측에는 안내등(13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안내등(13)은, 현관용 냉장고(10)에 현재 물품이 보관되어 있는지 여부를 알려주는 수단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예컨대, 물품이 보관되어 있을 때 상기 안내등(13)의 색깔과 현관용 냉장고(10)가 비어 있을 때 상기 안내등(13)의 색깔을 달리 설정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는 상기 실내측 도어(13)를 개방하지 않아도 현재 보관 중인 물품이 존재하고 있는지를 인식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5)은, 상기 캐비닛(11)의 하단에 장착된다. 상기 하우징(15)의 내부에는 냉기 공급 장치(후술함)가 수용된다. 상기 하우징(15)의 전면은, 상기 현관용 냉장고(10)가 현관 도어(1) 또는 벽에 장착되었을 때, 현관 도어 또는 벽의 후면에 밀착되어 편심 하중에 의한 모멘트를 상쇄시키는 기능을 한다.
상세히, 본 발명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10)는, 실내에 노출되는 부분의 부피가 현관 도어(10)에 삽입되는 부분보다 큰 구조적 특성을 가진다. 따라서, 현관용 냉장고(10)의 무게 중심이 현관용 냉장고(10)의 중심으로부터 후면 쪽으로 편심되는 지점에 형성된다. 그 결과, 현관용 냉장고(10)의 하중 및 내부에 저장된 물품의 하중에 의한 모멘트가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모멘트에 의하여 상기 현관용 냉장고(10)가 현관 도어(1)로부터 빠져버리는 현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존재한다.
그러나, 상기 하우징(15)의 전면이 현관 도어(1) 또는 벽의 후면에 밀착되게 설치됨으로써, 상기 현관용 냉장고(10)에 작용하는 모멘트를 상쇄시켜서, 현관용 냉장고(10)가 현관 도어(1)로부터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5)의 저면 좌측과 우측 가장자리 부분에는 가이드 덕트(16)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덕트(16)의 전단부에는 배출구(16)가 형성되어, 상기 냉기 공급 장치로 유입되어 방열 기능을 수행한 실외 공기가 다시 실외로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캐비닛(11)의 저면과 상기 하우징(15)의 전면이 이루는 절곡면에는 가이드 플레이트(18)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5)의 저면에는 실외 공기 흡입을 위한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에는 석션 플레이트(17)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석션 플레이트(17)에는 다수의 관통홀(171)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다수의 관통홀(171)을 통해서 실외 공기가 상기 하우징(15) 내부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5) 내부로 유입된 실외 공기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가이드 덕트(16)의 배출구(161)를 통해서 실외로 다시 배출된다.
도 6은 실외측 도어가 제거된 상태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의 전면 사시도이고, 도 7은 실내측 도어가 제거된 상태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10)의 본체로 정의될 수 있는 캐비닛(11)의 내부에는 물품 저장을 위한 저장실(111)이 형성된다.
상기 저장실(111)의 바닥에는 물품 적재를 위한 트레이(19)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캐비닛(11)의 배면 가장자리를 따라 가이드 리브(2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리브(25)는, 상기 캐비닛(11)의 배면으로부터 소정 높이 돌출되고, 상기 캐비닛(11)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리브(25)는, 상기 하우징(15)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상측으로 안내하여, 실내측 도어(13)의 배면에 둘러지는 씰러(sealer)에 이슬이 맺히지 않도록 하기 위해 제공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캐비닛(11)과, 실내측 도어(13)와, 실외측 도어(14)와, 하우징(15)과, 가이드 덕트(16)와, 석션 플레이트(17)와 트레이(19)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현관용 냉장고(10)는, 상기 캐비닛(11)의 바닥에 놓이는 베이스 플레이트(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레이(19)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의 상측에 놓일 수 있다. 상기 트레이(19)의 바닥면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현관용 냉장고(10)는, 상기 하우징(15) 내부에 수용되는 냉기 공급 장치(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기 공급 장치(30)는, 열전 소자가 적용된 냉기 공급 수단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일반 냉각 사이클이 적용될 수도 있다.
상기 열전 소자는, 전류가 공급되면 일 면은 온도가 떨어지는 흡열면으로 작용하고, 반대면은 온도가 증가하는 발열면으로 작용한다. 또한, 상기 열전 소자에 공급되는 전류의 방향이 바뀌면 상기 흡열면과 발열면이 바뀌게 된다.
상기 냉기 공급 장치(30)의 구성과 기능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현관용 냉장고(10)는, 상기 캐비닛(11)의 바닥에 장착되는 마운트 플레이트(24)와, 상기 마운트 플레이트(24)의 상면에 안착되는 유동 가이드(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동 가이드(23)는 상기 흡열팬(33)에 의하여 강제 유동하는 저장실(111) 내부 공기의 유로를 형성하는 수단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는 상기 유동 가이드(23)의 상부에 놓여서 상기 유동 가이드923)에 이물질이 직접 낙하하는 현상을 최소화시켜줄 수 있다.
상기 실외측 도어(12)의 배면 가장자리에는 아우터 실러(outer sealer)(21)가 장착되고, 상기 실내측 도어(13)의 배면 가장자리에는 인너 실러(inner sealer)(22)가 장착된다. 상기 아우터 실러(21)와 인너 실러(21)에 의하여, 상기 저장실(111)의 냉기가 현관용 냉장고(10)의 외부로 누설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를 구성하는 마운트 플레이트의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운트 플레이트(24)는, 사각형 플레이트가 다수 회 절곡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마운트 플레이트(24)는, 바닥부(241)와, 전방 플랜지(244)와, 후방 플랜지(24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닥부(241)의 직상방에는 상기 유동 가이드(23)가 위치하여, 상기 유동 가이드(23)아 상기 바닥부(241)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이, 냉기 공급 유로로 정의될 수 있다. 즉, 상기 흡열팬(33)에 의하여 흡입되는 냉기는 상기 콜드 싱크(32)를 통과하면서 온도가 낮아진다. 그리고, 상기 냉기는 상기 콜드 싱크(32)의 좌측 및 우측으로 분산되어, 상기 냉기 공급 유로를 따라 저장실(111)의 바닥부 좌측과 우측으로 나뉘어 흐르게 된다.
상기 바닥부(241)의 중앙에는 관통홀(242)이 형성되고, 상기 냉기 공급 장치(30)의 일부분이 상기 관통홀(242)을 통과하여 장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콜드 싱크(32)가 상기 관통홀(242)에 위치하여, 상기 콜드 싱크(32)를 통과하는 냉기 및 상기 콜드 싱크(32)에 맺힌 수분은 상기 바닥부(241)로 흐르게 된다. 상기 콜드 싱크(32)를 통과하는 냉기의 유동과, 상기 콜드 싱크(32)의 표면에 맺힌 이슬의 유동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도면을 통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바닥부(241)는, 상기 관통홀(242)의 좌측에 형성되는 좌측 바닥부(241a)와, 상기 관통홀(242)의 우측에 형성되는 우측 바닥부(241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좌측 바닥부(241a)와 우측 바닥부(241b) 중 어느 일측 또는 모두에 드레인 홀(243)이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드레인홀(243) 및 후술하게 될 드레인 포트 및 드레인 박스가 상기 관통홀(242)의 좌측에만 제공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상기 관통홀(242)의 우측에도 동일하게 제공되는 것을 배제하지 않음을 밝혀둔다. 다만, 설명의 편의상, 상기 관통홀(242)의 좌측에만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또한, 상기 드레인 홀(243)이 형성되는 바닥부, 본 실시예에서 상기 좌측 바닥부(241a)는 상기 드레인 홀(243) 쪽으로 수분이 모이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도록 한다.
즉, 상기 좌측 바닥부(241a)의 좌측 가장자리 및 우측 가장자리는 상기 드레인홀(243)보다 높게 설계되는 것이 좋다. 이와 동일하게, 상기 좌측 바닥부(241a)의 전단부와 후단부도 상기 드레인홀(243)보다 높게 설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방 플랜지(244)는, 상기 바닥부(241)의 전단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수직부(244a)와, 상기 수직부(244a)의 상단에저 전방으로 연장되는 수평부(244b)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직부(244a)는 반드시 수평면과 직각일 필요는 없고, 상기 수평부(244b)도 반드시 수평면과 동일한 면일 필요는 없다. 즉, 상기 전방 플랜지(244)는, 상기 캐비닛(11)의 바닥부에 형성되는 안착턱(111d : 도 16 참조)과 동일한 형상(contour)으로 절곡되면 충분하다.
마찬가지로, 상기 후방 플랜지(245)도, 상기 안착턱(111d)에 안착되도록, 수직부(245a)와 수평부(245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후방 플랜지(245)의 수직부(245a)도 반드시 수평면과 직각일 필요는 없고, 상기 수평부(245b)도 반드시 수평면과 동일한 면일 필요는 없다.
한편, 상기 관통홀(242)의 좌측 가장자리와 우측 가장자리에서 가이드 리브(246)가 하측으로 각각 연장되어, 상기 냉기 공급 장치(30)가 좌우로 요동하지 않도록 잡아줄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를 구성하는 캐비닛의 사시도이고, 도 11은 드레인 박스가 장착된 상기 캐비닛의 저면을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이며, 도 12는 드레인 박스와 캐비닛이 분리된 모습을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10)의 외형을 이루는 캐비닛(11)은, 전후면이 개구되는 육면체 형상을 이룬다.
상세히, 상기 캐비닛(11)은, 현관 도어(1) 또는 벽면을 관통하여 삽입되는 제 1 부분(112)과, 실내에 노출되는 제 2 부분(113)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부분(113)의 하단부는 상기 제 1 부분(112)의 하단부보다 하측으로 더 연장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 1 부분(112)의 저면 후단에서 하측으로 더 연장되는 상기 제 2 부분(113)의 전면은 도어 밀착면(114)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도어 밀착면(114)은, 상기 하우징(15)의 전면과 동일하게, 상기 현관용 냉장고(10)가 모멘트에 의하여 현관 도어(1) 또는 벽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캐비닛(11)의 전단부에서 후방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는 지점에는 밀착 턱(11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밀착턱(115)은, 상기 캐비닛(11)의 내주면에서 소정 높이로 돌출되고, 상기 캐비닛(11)의 내주면을 따라 연장되는 사각 띠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밀착턱(115)의 내측 가장자리를 따라 정의되는 사각형 개구부는 물품 출입을 위한 입구부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캐비닛(11)의 전단부와 상기 밀착턱(115) 사이의 공간은 실외측 도어 수용부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실외측 도어(12)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밀착턱(115)의 전면에는 상기 아우터 실러(21)가 밀착되어 냉기 누설이 차단된다.
상기 밀착턱(115)의 후방에 정의되는 상기 저장실(111)의 종단면은 상기 입구부의 종단면과 동일한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저장실(111)의 바닥면은 상기 캐비닛(11)의 바닥부 내주면에서 연장되는 상기 밀착턱(115)의 상단과 동일 면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실(111)의 좌우 측면은, 상기 캐비닛(11)의 좌측 내주면과 우측 내주면에서 연장되는 상기 밀착턱(115)의 내측 가장자리와 동일 면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실(111)의 천장면은 상기 캐비닛(11)의 상단부 내주면에서 연장되는 상기 밀착턱(115)의 하단과 동일 면을 이룰 수 있다.
정리하면, 상기 저장실(111)의 내주면은 상기 밀착턱(115)의 내측 가장자리와 동일 면을 이루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저장실(111)의 바닥면은 상기 실외측 도어 수용부의 바닥면과 동일 면을 이루는 것도 가능하다.
상세히, 상기 밀착턱(115)은, 하측 턱(115a), 좌측 턱(115b), 우측 턱, 및 상측 턱(115c)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고, 상기 저장실(111)의 바닥면은 상기 하측턱(115a)의 상단부보다 낮게 설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실(111)의 좌우 측면도 상기 좌측턱(115b)과 우측 턱의 내측 가장자리보다 낮게 설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실(111)의 상면(천장)도 상기 상측 턱의 하단부보다 높게 설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상기 저장실(111)의 폭과 높이는 상기 입구부의 폭과 높이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외측 도어 수용부의 바닥에 해당하는 상기 캐비닛(11)의 바닥에는 안내홀(116)이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안내홀(116)이 형성되는 지점은, 상기 캐비닛(11)의 전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는 지점, 또는 상기 밀착턱(115)의 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는 지점으로 설명될 수도 있다.
상기 안내홀(116)은 상기 캐비닛(11)의 전단부보다 상기 밀착턱(115)에 더 가까운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5)으로부터 배출되는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은 공기가 상승하면서 상기 안내홀(116)을 통하여 상기 캐비닛(11)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안내홀(116)을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는 상기 아우터 실러(21)의 가장자리를 따라 흐르면서 상기 아우터 실러(21)에 맺힌 이슬을 증발시킨다.
상세히, 상기 제 1 부분(112)에 해당하는 상기 캐비닛(11)의 저면과 상기 제 2 부분(112)에 해당하는 상기 캐비닛(11)의 전면에는 단차부(119)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차부(119)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8)에 의하여 차폐되어,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8)와 단차부(119) 사이에 가이드 유로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유로의 하단은 상기 하우징(15)의 내부와 연통하고, 상기 가이드 유로의 상단은 상기 안내홀(116)에 연결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상기 하우징(15)에서 배출되는 상대적으로 고온인 공기가 상기 가이드 유로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안내홀(116)로 유입된다. 상기 안내홀(116)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아우터 실러(21)의 가장자리를 따라 흘러서, 상기 아우터 실러(21)의 외주면에 이슬이 맺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1)의 내부 바닥면, 특히 상기 제 2 부분(113)에 해당하는 상기 캐비닛(11)의 바닥면에는 유동 가이드 수용부(117)가 소정 깊이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동 가이드 수용부(117)의 전면부와 후면부 각각에는 안착턱(111d)이 돌출되어 계단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턱(111d)은, 전면 안착턱과 후면 안착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면 안착턱은, 상기 유동 가이드 수용부(117)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높이 연장되고, 상기 유동 가이드 수용부(117)의 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는 계단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후면 안착턱은, 상기 유동 가이드 수용부(117)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높이 연장되고, 상기 유동 가이드 수용부(117)의 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는 계단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유동 가이드 수용부(117)의 바닥면에는 관통홀(118)이 형성된다.
상기 유동 가이드 수용부(117)의 바닥면은, 상기 관통홀(118)의 좌측에 형성되는 좌측 드레인 플로어(111e)와, 상기 관통홀(118)의 우측에 형성되는 우측 드레인 플로어(111g)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유동 가이드 수용부(117)의 바닥에 상기 마운트 플레이트(24)가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유동 가이드 수용부(117)의 바닥은 상기 마운트 플레이트(24)의 바닥과 동일한 형태로 경사지게 설계되어, 상기 마운트 플레이트(24)의 바닥이 상기 유동 가이드 수용부(117)의 바닥에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마운트 플레이트(24)의 좌측 바닥부(241a)는 상기 좌측 드레인 플로어(111e)에 밀착되고, 상기 우측 바닥부(241b)는 상기 우측 드레인 플로어(111g)에 밀착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유동 가이드 수용부(117)의 바닥면에는 드레인 홀(111f)이 형성되고, 상기 드레인홀(111f)의 중심은 상기 마운트 플레이트(24)에 형성된 상기 드레인 홀(243)의 중심과 동일 수직선 상에 놓일 수 있다. 상기 두 개의 드레인홀(111f, 243)의 직경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운트 플레이트(24)의 관통홀(242)은 상기 유동 가이드 수용부(117)의 관통홀(118)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고, 중심이 동일 수직선 상에 놓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유동 가이드 수용부(117)를 제외한 상기 저장실(111)의 바닥은, 프런트 플로어(front floor)(111a), 좌측 플로어(left side floor)(111b), 우측 플로어(right side floor)(111c : 도 15 참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프런트 플로어(111a)는 상기 유동 가이드 수용부(117)의 전방에 형성되고, 상기 좌측 플로어(111b)아 우측 플로어(111c)는 상기 유동 가이드 수용부(117)의 좌측 및 우측에 형성된다.
상기 유동 가이드 수용부(117)를 제외한 상기 저장실(111)의 바닥은 메인 플로어(main floor)로 정의될 수 있고, 상기 좌측 드레인 플로어(111e)와 우측 드레인 플로어(111g)는 서브 플로어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런트 플로어(111a)는, 전단부에서 상기 유동 가이드 수용부(117) 쪽으로 갈수록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프런트 플로어(111a)로 떨어지는 수분이 상기 유동 가이드 수용부(117) 쪽으로 흘러내리도록 할 수 있다.
이와 동일하게, 상기 좌측 플로어(111b) 및 우측 플로어(111c)도, 상기 유동 가이드 수용부(117) 쪽으로 갈수록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설계되어, 상기 좌측 플로어(111b)와 우측 플로어(111c)에 떨어지는 수분이 상기 유동 가이드 수용부(117) 쪽으로 흘러내리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냉기 공급 장치(30)는 상기 관통홀들(118,242)을 관통하여, 상측 일부는 상기 저장실에 노출되고, 하측 일부는 상기 하우징(15) 내부에 노출된다.
또한, 상기 캐비닛(11)의 외부 바닥면에는 드레인 포트(111h)가 하측으로 소정 길이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드레인 포트(111h)의 상단 개구부는 상기 유동 가이드 수용부(117)의 바닥에 형성된 상기 드레인 홀(111f)과 연통한다.
또한, 상기 캐비닛(11)의 외부 바닥면에는 드레인 박스(50)가 장착되어, 상기 드레인 포트(111h)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저장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드레인 박스(50)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에 장착되는 드레인 박스의 사시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에 장착되는 드레인 박스(50)는, 상면과 측면 일부가 개구된 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상세히, 상기 드레인 박스(50)는, 바닥부(51), 전면부(520, 후면부(53O), 좌측면부(54) 및 우측면부(55)를 포함할 수 있고, 상면은 개구된다.
또한, 상기 바닥부(51)의 단변부가 폭으로 정의되고, 장변부가 길이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전면부(52)는 상기 바닥부(51)이 전단에서 상측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며, 상단 외주면에 체결 리브(521)가 돌출된다. 상기 체결 리브(521)에는 체결홈(522)( 또는 체결홀)이 형성된다.
상기 후면부(53)도, 상기 전면부(52)와 마찬가지로, 상기 바닥부(51)의 후단에서 상측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며, 상단 외주면에 체결 리브(531)가 돌출된다. 상기 체결 리브(531)에는 체결홈(532)(또는 체결홀)이 형성된다.
상기 전면부(52)와 상기 후면부(53)의 상단은 동일 면을 형성하여, 상기 캐비닛(11)의 저면에 밀착될 수 있다.
상기 좌측면부(54)는 상기 바닥부(51)의 좌측단에서 상측으로 상기 전면부(52)와 동일한 높이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좌측면부(54)에는 좌측 함몰부(541)가 하측으로 소정 깊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우측면부(55)는, 상기 바닥부(51)의 우측단에서 상기 좌측면부(54)와 동일한 높이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우측면부(55)에는, 상기 좌측 함몰부(541)와 동일한 크기의 우측 함몰부(55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좌측 함몰부(541)와 우측 함몰부(551)는 상기 방열팬(36)에 의하여 상기 하우징(15)의 측단부 쪽으로 유동하는 공기의 통과 유로로 이해될 수 있다. 즉, 상기 좌측 함몰부(541)와 우측 함몰부(551)는, 상기 방열팬(36)에 의하여 강제 유동하는 공기의 유동이 상기 드레인 박스(50)에 의하여 방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좌측 함몰부(541)와 우측 함몰부(551)를 통과하는 공기는, 상기 히트 싱크(34)와 열교환하면서 온도가 높아진 상태이다. 따라서, 상기 드레인 박스(50)를 가로질러 흐르는 고온의 공기는, 상기 드레인 박스(50) 내에 저장된 응축수를 증발시켜 습도가 높아진 상태로 상기 하우징(15)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바닥부(51)에는 포트 리시버(port receiver)(56)가 상측으로 소정 길이 돌출될 수 있다. 상기 포트 리시버(56)의 상단으로부터 소정 깊이(D) 함몰되는 함몰부(561)가 상기 포트 리시버(56)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1)의 저면에서 연장되는 상기 드레인 포트(111h)의 단부는 상기 함몰부(561)에 수용된다. 따라서, 상기 드레인 포트(111h)로부터 배출되는 응축수는 상기 함몰부(561)로 낙하하고, 상기 함몰부(561)로부터 넘치는 응축수는 상기 드레인 박스(50) 내부에 저장된다.
상기 함몰부(561)에 채워지는 응축수에 상기 드레인 포트(111h)의 단부가 잠긴 상태로 유지되므로, 상기 드레인 포트(111h)를 통하여 하우징(15) 내부의 공기가 저장실(111)로 유입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드레인 박스(50)에 저장되는 응축수를 배수하기 위한 수단이 더 제공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바닥부(51)의 일측에 배수 호스가 구비되고, 상기 배수 호스는 상기 하우징(15)의 외부로 연장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드레인 박스(50)의 일측에 배수 펌프가 부착되고, 상기 배수 펌프로부터 배수 호스가 하우징(15) 외부로 연장되는 구조도 가능하다.
더 다른 방법으로서, 상기 하우징(15)의 후면, 다시 말하면 상기 현관 도어(1)에 밀착되는 면의 반대면에 개폐구가 형성되고, 상기 드레인 박스(50)를 상기 개폐구를 통해서 상기 하우징 외부로 슬라이딩 인출 가능하게 하는 구조도 가능하다. 이를 위해서 상기 드레인 포트(111h)의 하단은 상기 포트 리시버(56)의 상단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될 필요가 있다.
상기 드레인 박스(50)는 상기 캐비닛(11)의 저면에 상기 캐비닛(11)의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개폐구에는 개폐구 커버가 회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하우징(15)의 내부 공간에 노출되는 상기 캐비닛(11)의 저면에는 상기 드레인 박스(50)를 수용하는 수납 박스가 구비되고, 상기 드레인 방스(50)가 상기 수납 박스 내부로 슬라이딩 삽입되는 구조(서랍 구조)가 가능하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에 장착되는 냉기 공급 장치의 절개 사시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냉기 공급 장치(30)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면에 의하여 절개되어 앞부분이 제거된 상태의 냉기 공급 장치(30)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기 공급 장치(30)는, 상기 열전 소자(31)와, 상기 열전 소자(31)의 흡열면에 부착되는 콜드 싱크(32)와, 상기 콜드 싱크(32)의 전방(또는 상측)에 배치되는 흡열팬(33)과, 상기 열전 소자(31)의 발열면에 부착되는 히트 싱크(34)와, 상기 히트 싱크(34)의 후방(또는 하측)에 배치되는 방열팬(35)과, 상기 콜드 싱크(32)와 히트 싱크(34) 간의 열전달을 방지하는 단열재(3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열재(35)는, 상기 열전 소자(31)의 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제공된다. 상기 단열재(35)의 전면에는 상기 콜드 싱크(32)가 접촉하고, 상기 단열재(35)의 후면에는 상기 히트 싱크(34)가 접촉한다.
또한, 상기 콜드 싱크(32)와 히트 싱크(34)는, 상기 열전 소자(31)의 흡열면 또는 발열면에 직접 부착되는 열전도체와, 상기 열전도체의 표면에서 연장되는 다수의 열교환 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흡열팬(33)은 상기 캐비닛(11)의 내부를 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발열팬(36)은 상기 석션 플레이트(17)의 직상방에 놓인다.
또한, 상기 콜드 싱크(32)는, 상기 열전 소자(31)의 흡열면에 직접 접촉하는 싱크 바디(321)와, 상기 싱크 바디(322)의 상면에 배열되는 다수의 열교환 핀(322)을 포함한다. 상기 싱크 바디(322)는, 상기 열전 소자(31)의 흡열면에 직접 접촉하는 제 1 부분과, 상기 제 1 부분의 상면에서 상기 제 1 부분보다 큰 면적으로 형성되는 제 2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히트 싱크(34)도, 상기 콜드 싱크(32)와 마찬가지로, 열전 소자(31)의 발열면에 직접 접촉하는 싱크 바디(341)와, 상기 싱크 바디(341)의 저면에 배열되는 다수의 열교환 핀(342)을 포함한다. 상기 싱크 바디(341)는, 상기 열전 소자(31)의 발열면에 직접 접촉하는 제 1 부분과, 상기 제 1 부분의 저면에서 상기 제 1 부분보다 큰 면적으로 형성되는 제 2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콜드 싱크(32)의 제 2 부분과 상기 히트 싱크(34)의 제 2 부분 사이에 상기 단열재(35)가 개재되고, 상기 단열재(35)는 사각형 띠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흡열팬(33)과 방열팬(36)을 제외한 냉기 공급 장치(30)의 구성을 열전 모듈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흡열팬(33)은 상기 유동 가이드(23)의 팬 하우징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방열팬(36)은 상기 석션 플레이트(17) 또는 상기 열전 모듈의 하측에 체결 스크류에 의하여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열재(35)의 외주면에는 체결 브라켓(38)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체결 브라켓(38)은, 상기 열전 모듈이 상기 캐비닛의 저면에 고정 장착되도록 하는 장착 부재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 브라켓(38)의 상면에는 실링 부재(37)가 둘러질 수 있다. 상기 실링 부재(37)는, 상기 캐비닛(11)의 바닥에 형성되는 관통홀(118)의 가장자리에 밀착되어, 상기 저장실 내부 공기가 상기 하우징(15) 내부 공간으로 누설되는 것을 차단하는 기능을 한다.
도 15는 도 10의 15-15를 따라 절개되는 현관용 냉장고의 부분 종단면도이고, 도 16은 도 10의 16-16을 따라 절개되는 현관용 냉장고의 부분 종단면도이다.
도 10과,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저장실(111)의 바닥에 떨어지는 수분 또는 상기 냉기 공급 장치(30)의 콜드 싱크(32)의 표면에 맺히는 수분이 한 곳으로 모이도록 하여, 저장실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수 구조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상기 저장실의 바닥면이 한 쪽으로 경사지게 설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저장실(111)의 바닥을 형성하는 상기 캐비닛(111)의 내부 바닥면은, 프런트 플로어(111a), 좌측 플로어(111b), 및 우측 플로어(111c)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동 가이드 수용부(117)의 후단이 상기 저장실(111)의 후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이격되는 구조인 경우, 저장실(111)의 바닥면 후측에도 리어 플레이트로 정의되는 면이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저장실(111)의 바닥면은 상기 유동 가이드 수용부(117) 쪽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형태로 경사지게 설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상기 저장실(111)의 바닥에 떨어지는 수분은 모두 상기 유동 가이드 수용부(117)의 가장자리를 타고 흘러내리게 된다.
또한, 상기 유동 가이드 수용부(117)의 가장자리를 따라 흘러내리는 수분은, 상기 유동 가이드 수용부(117)의 바닥에 놓이는 상기 마운트 플레이트(24)의 상면으로 흐른다.
상기 마운트 플레이트(24)의 바닥부(241)에는 드레인 홀(243, 도 9 참조)이 형성되고, 상기 바닥부(241)는 상기 드레인 홀(243)을 향하여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마운트 플레이트(24)로 흐르는 물은 상기 드레인홀(243)을 따라 배출된다.
또한, 상기 마운트 플레이트(24)의 관통홀(242) 우측에 형성된 우측 바닥부(241b)로 떨어지는 물은, 상기 콜드 싱크(32)의 싱크 바디(321) 상면을 타고 상기 좌측 바닥부(241a) 쪽으로 흐른다. 이를 위해서 상기 싱크 바디(321)의 좌측단 상면과 우측단 상면은, 상기 좌측 바닥부(241a)의 우측 가장자리와 상기 우측 바닥부(241b)의 좌측 가장자리와 각각 동일 면을 이루도록 설계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우측 바닥부(241b)에도 상기 드레인 홀(243)이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관통홀(242)을 좌우로 구분하는 수직면을 기준으로, 상기 좌측 바닥부(241a)와 우측 바닥부(241b)가 대칭되는 형태로 설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콜드 싱크(32)의 표면에 맺힌 수분이 상기 콜드 싱크(32)의 싱크 바디(321) 상면을 따라 상기 마운트 플레이트(24)의 드레인 홀(243) 쪽으로 흐르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열전 모듈이 경사지게 장착될 수 있다.
상세히, 적어도 상기 콜드 싱크(32)의 싱크 바디(321) 좌측 가장자리가 우측 가장자리보다 낮게 결합되어, 상기 싱크 바디(321)의 상면으로 흘러내린 수분이 상기 드레인 홀(243) 쪽으로 흐르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싱크 바디(321)의 상면과 상기 마운트 플레이트(24)의 우측 바닥부(241b)의 상면이 단일의 경사면을 이루도록 하여, 상기 우측 바닥부(241b)로 떨어지는 물이 상기 싱크 바디(321)의 상면을 따라 흘러, 상기 드레인 홀(243) 까지 흐르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싱크 바디(321)의 우측 가장자리가 상기 우측 바닥부(241b)의 좌측 가장자리보다 낮고, 상기 좌측 바닥부(241a)의 우측 가장자리는 상기 싱크 바디(321)의 좌측 가장자리보다 낮도록, 상기 열전 모듈이 상기 캐비닛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마운트 플레이트(24)의 좌측 바닥부(241a)는 상기 좌측 드레인 플로어(111e)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마운트 플레이트(24)의 좌측 바닥부(241a)의 저면이 상기 좌측 드레인 플로어(111e)의 상면에 밀착될 수 있다.
이와 동일하게, 상기 마운트 플레이트(24)의 우측 바닥부(241b)도 상기 우측 드레인 플로어(111g)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마운트 플레이트(24)의 우측 바닥부(241b)의 저면이 상기 우측 드레인 플로어(111g)의 상면에 밀착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콜드 싱크(32)의 상면 우측 단부가 상면 좌측 단부보다 높게 도시되어 있으나, 반대로 상면 좌측 단부가 상면 우측 단부보다 높게 설계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낮은 쪽의 드레인 플로어에 드레인 홀(111f)이 형성된다.
그리고, 콜드 싱크(32)의 높은 쪽 측단부에 인접하는 드레인 플로어를 제 1 드레인 플로어로 정의하고, 낮은 쪽 측단부에 인접하는 드레인 플로어를 제 2 드레인 플로어로 정의할 수 있다.
도 15에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흡열팬(33)은, 상기 유동 가이드(23)의 팬 하우징(232)에 수평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15에서 상기 방열팬(36)이 상기 열전 모듈의 하측에 경사지게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되고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방열팬(36)도 상기 흡열팬(33)과 같이 수평하게 상기 열전 모듈의 하측에 결합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콜드 싱크의 상면 사시도이고, 도 18은 상기 콜드 싱크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15 및 도 16에서 보인 바와 같이 열전 모듈이 비스듬히 설치되어, 응축수가 드레인 홀(243) 쪽으로 흐르도록 할 수도 있지만, 도 17 및 도 18에 보이는 바와 같이, 콜드 싱크의 싱크 바디(321)의 상면을 경사지게 설계하는 것도 응축수 포집을 위한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다.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10)에 장착되는 냉기 공급 장치(30)는, 열전 모듈과, 상기 열전 모듈의 흡열측에 배치되는 흡열팬(33)과, 상기 열전 모듈의 발열측에 배치되는 방열팬(36)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열전 모듈을 구성하는 콜드 싱크(32)는, 바닥부(321a)와 상면부(321b)와, 전면부(321f)와, 후면부(321g)와, 좌측면부(321c)와, 우측면부(321d)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면부(321b)에는 다수의 열교환 핀(322)이 상기 상면부(321b)의 폭에 대응하는 길이로 연장되고, 상기 상면부(321b)의 전후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싱크 바디(321)의 전단부와 후단부 가장자리에는 체결 보스(321h)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싱크 바디(321)의 좌측면과 우측면 중 상기 드레인홀(243)에 가까운 어느 일측은 다른 일측보다 낮게 설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드레인 홀(243)이 상기 콜드 싱크(32)의 좌측에 형성되는 경우, 상기 우측면부(321d)의 높이는 좌측면부(321c)의 높이보다 높게 설계될 수 있다. 즉, 상기 상면부(321b)는, 우측 가장자리에서 좌측 가장자리로 갈수록 낮아지는 형태로 비스듬하게 설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면부(321b)는 단차지게 형성되고, 단차지는 부분에 상기 다수의 열교환 핀(322)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상면부(321b)의 가장 높은 쪽에 해당하는 측단부에 제한턱(321e)이 형성되어, 상기 열교환핀(322)의 표면을 따라 흘러내리는 수분이 상기 싱크 바디(321)의 우측면부(321d)를 타고 흘러내리는 현상이 차단된다.
따라서, 상기 싱크 바디(321)의 상면부(321b)는,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열교환 핀(322)이 배치되는 제 1 파트와, 상기 제한턱(321e)이 형성되는 제 2 파트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콜드 싱크의 바닥부(321a)는 수평면과 동일 면을 이루도록 설계되므로, 상기 콜드 싱크(32)의 저면에 결합되는 열전 소자(31)와, 단열재(35), 및 히트 싱크(34)가 모두 수평 상태로 캐비닛(11)의 하측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열교환 핀(322)의 상단부는, 상기 콜드 싱크(32)의 상면부(321b)와 평행하게 설계되어, 상기 열교환 핀(322)의 좌측 단부의 높이와 우측 단부의 높이가 동일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상기 흡열팬(32)의 우측 저면과 상기 열교환 핀(322)의 우측 상단부 간 거리는, 상기 흡열팬(32)의 좌측 저면과 상기 열교환 핀(322)의 좌측 상단부간 거리보다 짧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열교환 핀(322)의 상단을 지나는 면이 수평면을 이루도록, 상기 열교환 핀(322)의 좌측 단부의 길이가 우측 단부의 길이보다 길게 설계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열교환 핀(322) 각각은 직사각형이 아닌 사다리꼴 형태로 설계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9는 도 10의 15-15를 따라 절개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의 부분 종단면도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10)는, 도 17 및 도 18에 보이는 콜드 싱크(32)를 포함하는 냉기 공급 장치(30)가 캐비닛(11)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세히, 상기 도 17 및 도 18에 보이는 콜드 싱크(32)가 구비된 냉기 공급 장치(30)는, 수평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캐비닛(11)의 관통홀(118)에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콜드 싱크(32)의 상면이 상기 마운트 플레이트(24)의 드레인홀(243) 쪽으로 갈수록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설계되어 있으므로, 상기 냉기 공급 장치(30)를 수평 상태로 상기 캐비닛(11)의 저면에 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흡열팬(33)과 방열팬(36)이 수평하게 놓이고, 상기 열전 소자(31)와 단열재(35) 및 상기 콜드 싱크(36)도 수평하게 놓일 수 있다.
그 외의 구조는 도 15 및 도 16에 보이는 현관용 냉장고(10)의 구조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중복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Claims (15)

  1. 현관 도어 또는 벽면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내부에 물품의 보관을 위한 저장실이 정의되고, 상기 저장실의 바닥에 관통홀이 형성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하단에 결합되는 하우징;
    상기 캐비닛의 전면에 연결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며, 실외에 노출되는 실외측 도어;
    상기 캐비닛의 후면에 연결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며, 실내에 노출되는 실내측 도어; 및
    상기 캐비닛의 바닥을 관통하여 장착되며, 상기 저장실로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 공급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냉기 공급 장치는,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는 열전 모듈;
    상기 열전 모듈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저장실 내부 공기를 강제 유동시키는 흡열팬; 및
    상기 열전 모듈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 내부 공기를 강제 유동 시키는 방열팬;을 포함하고,
    상기 열전 모듈은,
    흡열면과 발열면이 서로 마주보는 면에 각각 형성되는 열전 소자;
    상기 흡열면에 접촉되고, 상기 흡열팬의 구동에 의하여 상기 저장실의 공기와 열교환 가능하도록 상기 저장실 공기에 노출되는 콜드 싱크; 및
    상기 발열면에 접촉되고, 상기 발열팬의 구동에 의하여 상기 하우징 내부의 공기와 열교환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 내부 공기에 노출되는 히트 싱크를 포함하고,
    상기 콜드 싱크의 상면은, 좌측 가장자리와 우측 가장자리 중 어느 일측이 다른 일측보다 높게 경사지는 경사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용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콜드 싱크는,
    저면이 상기 흡열면에 접촉하는 싱크 바디와,
    상기 싱크 바디의 상면에 세워지고, 상기 싱크 바디의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싱크 바디의 전후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다수의 열교환 핀을 포함하고,
    상기 경사면은 상기 싱크 바디의 상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용 냉장고.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의 높은 쪽 단부에 해당하는 상기 싱크 바디의 상단에는 제한턱이 상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용 냉장고.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실의 바닥은,
    메인 플로어와,
    상기 관통홀이 형성되는 서브 플로어를 포함하고,
    상기 서브 플로어는 상기 메인 플로어보다 낮게 함몰되고,
    상기 서브 플로어는,
    상기 콜드 싱크의 높은 쪽 측단부에 인접하는 제 1 드레인 플로어와,
    상기 콜드 싱크의 낮은 쪽 측단부에 인접하는 제 2 드레인 플로어를 포함하는 현관용 냉장고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드레인 플로어의 어느 지점에는 드레인 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용 냉장고.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의 외측 저면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드레인 포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드레인 홀은 상기 캐비닛을 관통하여 상기 드레인 포트와 연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용 냉장고.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의 외측 저면에 장착되어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고, 내부에 저수 공간이 형성되는 드레인 박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드레인 포트는 상기 드레인 박스 내부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용 냉장고.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 박스는 상기 캐비닛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의 일 면에는 개폐구가 형성되며,
    상기 드레인 박스는 상기 개폐구를 통하여 상기 하우징 외부로 슬라이딩 인출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용 냉장고.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구를 개폐하는 개폐구 커버를 더 포함하는 현관용 냉장고.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드레인 플로어는, 가장자리에서 상기 드레인 홀 쪽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형태로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용 냉장고.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드레인 플로어는, 상기 드레인 홀 쪽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형태로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용 냉장고.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플로어에 안착되는 마운트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현관용 냉장고.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트 플레이트의 바닥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드레인 플로어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제 1 및 제 2 드레인 플로어와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용 냉장고.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트 플레이트의 바닥부에는,
    상기 서브 플로어의 관통홀과 상하로 정렬되는 관통홀과,
    상기 서브 플로어의 드레인 홀과 상하로 정렬되는 드레인 홀이 각각 형성되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용 냉장고.
  1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플로어는 상기 서브 플로어로 갈수록 낮아지는 형태로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용 냉장고.
KR1020190087444A 2019-02-25 2019-07-19 현관용 냉장고 KR20210010058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7444A KR20210010058A (ko) 2019-07-19 2019-07-19 현관용 냉장고
CN202010107501.5A CN111609650A (zh) 2019-02-25 2020-02-21 入口冰箱及冰箱
EP20158985.0A EP3699531A1 (en) 2019-02-25 2020-02-24 Entrance refrigerator
US16/798,926 US11274858B2 (en) 2019-02-25 2020-02-24 Entrance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7444A KR20210010058A (ko) 2019-07-19 2019-07-19 현관용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0058A true KR20210010058A (ko) 2021-01-27

Family

ID=74238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7444A KR20210010058A (ko) 2019-02-25 2019-07-19 현관용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1005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182470A (zh) * 2023-04-12 2023-05-30 长虹美菱股份有限公司 一种卧式半导体冰箱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3394A (ko) 2009-09-25 2011-03-31 조영택 현관문 및 대문에 부착되는 냉장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3394A (ko) 2009-09-25 2011-03-31 조영택 현관문 및 대문에 부착되는 냉장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182470A (zh) * 2023-04-12 2023-05-30 长虹美菱股份有限公司 一种卧式半导体冰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699529B1 (en) Entrance refrigerator
CN111609654B (zh) 入口冰箱及冰箱
EP3699525B1 (en) Entrance refrigerator
US11525609B2 (en) Entrance refrigerator
JP3714830B2 (ja) 冷蔵庫
KR20210010058A (ko) 현관용 냉장고
CN111609647B (zh) 入口冰箱及冰箱
CN111609652B (zh) 入口冰箱及冰箱
KR20210009868A (ko) 현관용 냉장고
KR20210009850A (ko) 현관용 냉장고
KR20210009848A (ko) 현관용 냉장고
EP3699531A1 (en) Entrance refrigerator
US11293684B2 (en) Entrance refrigerator
KR20210009867A (ko) 현관용 냉장고
EP3699524B1 (en) Entrance refrigerator
JP2005241244A (ja) 冷蔵庫
KR20210009860A (ko) 현관용 냉장고
KR20210009863A (ko) 현관용 냉장고
KR20210011838A (ko) 현관용 냉장고
KR20210009841A (ko) 현관용 냉장고
KR20210087159A (ko) 현관용 냉장고
KR20210087151A (ko) 현관용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