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9836A - 물품 보관 장치 - Google Patents

물품 보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9836A
KR20210009836A KR1020190086923A KR20190086923A KR20210009836A KR 20210009836 A KR20210009836 A KR 20210009836A KR 1020190086923 A KR1020190086923 A KR 1020190086923A KR 20190086923 A KR20190086923 A KR 20190086923A KR 20210009836 A KR20210009836 A KR 202100098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livery
password
input
storage
comm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6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서진
명유진
서미영
이득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869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09836A/ko
Publication of KR202100098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98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A47G29/14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 A47G29/141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comprising electronically controlled lock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50/28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A47G29/14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 A47G29/141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comprising electronically controlled locking means
    • A47G2029/146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comprising electronically controlled locking means the receptacle comprising identification means, e.g. a bar co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A47G29/14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 A47G29/141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comprising electronically controlled locking means
    • A47G2029/149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comprising electronically controlled locking means with central server lin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rket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품 보관 장치는, 내부에 배송 물품이 보관되는 저장실과,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는 택배함이 다수 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택배함 세트;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택배함 세트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택배함 세트의 잠금 상태를 보여주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택배함 세트의 조작 또는 사용에 필요한 명령을 입력하기 위해 제공되는 입력부; 및 외부 서버와 정보를 송수신 가능하게 하는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물품 보관 장치{Commodity deposit device}
본 발명은 물품 보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온라인 기술과 오프라인 영업방법이 융합되면서, 오프라인의 영역으로만 여겨졌던 산업 구조가 온라인 기술에 의하여 더욱 편리하게 진화되고 있다.
최근에는 온라인 쇼핑몰을 통하여 주문한 상품을 안전하게 보관하기 위한 스마트 택배함이 출시되고 있다.
상기 스마트 택배함은 여러 사람이 사용할 수 있는 공간에 배치되어 아래의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첫째, 택배 기사가 배송될 물품을 수거해 갈 때까지, 택배를 보내고자 하는 사용자가 택배 물품을 안전하게 보관기 위한 보관함으로 사용될 수 있다.
둘째, 배송 물품의 수취자가 물품을 수취해 갈 때까지, 택배 기사가 배송 물품을 안전하게 보관하기 위한 보관함으로 사용될 수 있다.
아래의 선행 기술에는, 택배 기사가 물품을 배달하여 지정된 택배함에 보관하는 택배 물품 보관 방법과, 택배 물품 수령자가 보관된 택배 물품을 수령하는 방법에 대한 내용이 개시된다.
그러나, 아래의 선행 기술에는 택배를 보내고자 하는 사용자가 택배함에 물품을 보관하는 방법에 대한 내용은 개시되지 않고 있다.
또한, 사용자가 택배함에 보관한 물품을 택배 기사가 수거해 가는 방법에 대한 내용은 개시되지 않고 있다.
또한, 일반적인 택배함의 경우 택배 기사가 한 번에 하나의 택배함을 개방하여 물건을 수거하거나, 한 번에 하나의 택배함을 개방하여 물건을 보관할 수 있다.
이러한 택배함 구조에 의하면, 택배 기사가 여러 명의 택배 사용자의 물품을 수거하거나, 여러 명의 택배 물품을 보관하기 위해서, 사용자의 수에 해당하는 횟수 만큼 택배함의 도어를 개방하는 동작을 반복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다시 말하면, 택배 기사는 택배함에 구비된 컨트롤 패널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택배함 번호와 비밀 번호를 입력하는 동작을 여러 번 반복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나아가, 택배 기사가 택배 물품을 수거하는데 걸리는 시간 또는 택배 물품 을 보관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길어지므로, 배송 업무 완료 시간이 지연되는 단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8-0092083호(2018년08월17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된다.
즉, 택배 기사가 다수의 고객들에 의하여 다수의 택배함에 보관된 배송 예정 물품들을 수거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물품 보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택배를 보내고자 하는 사용자 또는 고객은 본인의 모바일 장치를 통해서 특정 위치의 물품 보관 장치를 선택할 수 있고, 특정 칸의 보관함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물품 보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품 보관 장치는, 내부에 배송 물품이 보관되는 저장실과,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는 택배함이 다수 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택배함 세트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품 보관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택배함 세트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택배함 세트의 잠금 상태를 보여주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택배함 세트의 조작 또는 사용에 필요한 명령을 입력하기 위해 제공되는 입력부; 및 외부 서버와 정보를 송수신 가능하게 하는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서 배송 예약된 물품의 수거를 위한 출고 명령과 출고 비밀 번호가 입력되면, 배송 예약된 보관함들에 매칭된 입고 비밀 번호들과 상기 출고 비밀 번호를 비교하여, 상기 출고 비밀 번호와 동일한 입고 비밀 번호를 가지는 택배함들의 도어가 동시에 개방되도록 한다. 그 결과, 택배 기사가 다수의 택배함들을 일일이 확인하여 다수의 도어들을 개방해야 하는 불편함이 해소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는, 배송 예약을 위한 입고 명령 입력 버튼이 표시되고, 상기 입고 명령 입력 버튼이 터치되어, 입고 명령이 상기 제어부에 입력되면 배송 업체 선택 화면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송 업체 선택 화면에서 배송 업체가 선택되면, 배송 물품의 수취자에 관한 정보 및 배송 물품에 관한 정보를 입력하는 화면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수취자에 관한 정보는, 수취자의 이름, 연락처, 주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배송 물품에 관한 정보는, 배송 물품의 이름 또는 종류, 및 배송 물품의 보관 상태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 의하여 배송 업체가 선택되면, 선택된 배송 업체의 서버에서 상기 입고 비밀 번호가 발급되어 현관용 냉장고의 제어부로 전송되고, 상기 제어부로 전송된 상기 입고 비밀 번호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다.
또한, 상기 입고 비밀 번호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이후에는, 배송 물품을 보관하기 위해 비어 있는 택배함을 선택하는 화면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고, 비어 있는 택배함이 선택되면, 상기 입고 비밀 번호의 입력을 위한 화면이 디스플레이된다.
상기 택배함이 선택된 이후에 상기 발급된 입고 비밀 번호가 입력되면, 선택된 택배함과 상기 입고 비밀 번호가 매칭되고, 보관 완료 메세지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배송 업체 선택을 위한 화면과, 수취자 정보 및 물품 정보 입력을 위한 화면에는 "건너뛰기" 명령 입력을 위한 버튼이 표시되어, 해당 화면에서 수행되는 과정은 생략되고, 다음 단계 수행을 위한 화면이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물품 보관 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택배 기사가 물품 보관 장치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하나의 비밀 번호를 한 번 입력함으로써, 해당 택배 회사를 배송 업체로 선정한 다수의 택배함의 도어가 일괄 개방되므로, 배송 물품 수거를 위해 걸리는 시간이 현저히 단출되는 효과가 있다.
둘째, 택배 배송을 하고자 하는 고객은 본인의 휴대 전화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 로그인하거나, 물품 보관 장치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배송 예약을 할 수 있으므로, 택배 회사의 영업소까지 찾아가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셋째, 사용자는 본인의 현재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물품 보관 장치를 검색하여 택배 물품을 보관할 수 있으므로, 택배 회사의 영업소까지 찾아가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넷째, 사용자는 택배 예약 시 택배 회사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택배 물품의 특성에 맞게 냉장 또는 온장 보관 조건도 함께 설정할 수 있으므로, 택배 물품의 파손이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품 보관 장치의 정면도.
도 2는 상기 물품 보관 장치를 구성하는 택배함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품 보관 장치를 이용한 물품 배송 시스템을 보여주는 네트워크 시스템도.
도 4는 본 발명의 물품 저장 장치의 제어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배송 예약 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차트.
도 6 내지 도 9는 상기 플로차트에 따라 수행되는 각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내용을 보여주는 도면.
도 10은 비밀 번호를 발급받은 사용자가 물품 보관 장치에 물품을 보관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플로차트.
도 11 내지 도 14는 상기 플로차트에 따라 수행되는 각 단계에서 물품 보관 장치의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내용을 보여주는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배송 예약 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차트.
도 16 내지 도 22는 상기 플로차트에 따라 수행되는 각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내용을 보여주는 도면.
도 23은 택배 기사가 배송 예약된 물품을 수거해 가는 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차트.
도 24 내지 도 27은 상기 플로차트에 따라 수행되는 각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내용을 보여주는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품 보관 장치의 구성 및 사용 방법에 대해서 도면과 플로차트를 통해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에서, 택배함과 보관함은 동일한 의미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보관함에 저장되는 물품은 택배 물품, 배송 물품, 저장 물품, 또는 주문 물품으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물품을 배달하는 사람은 택배 기사 또는 배송 기사 또는 배달원으로 정의될 수 있다.
택배 기사가 속한 업체는 배송 업체 또는 택배 업체로 정의될 수 있다.
보관 명령과 입고 명령, 찾기 명령과 출고 명령은 각각 동일한 의미로 이해될 수 있다.
수령자와 수취자는 동일한 의미로 이해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품 보관 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2는 상기 물품 보관 장치를 구성하는 택배함의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품 보관 장치(10)는, 택배함 집합체와, 상기 다수의 택배함(100)을 제어하는 컨트롤 패널부(20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택배함 집합체는, 측방향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택배함 세트를 포함한다. 상기 다수의 택배함 세트 각각은, 다수의 택배함(또는 보관함)(100)이 적재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다수의 택배함이 적층되어 하나의 택배함 세트를 정의하고, 다수의 택배함 세트가 측방향으로 배열되어 택배함 집합체를 정의한다.
더욱 상세히, 본 발명에 따른 물품 보관 장치(10)는, 내부에 다수의 저장실(101)이 정의되는 캐비닛(110)과, 상기 캐비닛(11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다수의 저장실(101)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다수의 도어(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저장실(101)은 다수의 파티션(150)에 의하여 구획될 수 있다.
상기 파티션(150)은, 저장실을 좌우로 구획하는 세로 파티션과, 저장실을 상하로 구획하는 가로 파티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티션들(150)에 의하여, 기본적으로 하나의 택배함(100)은 하나의 저장실(101)을 정의하되, 상기 파티션들(150)의 이동을 통하여 다수의 택배함이 하나의 저장실을 정의하도록 변경 가능하다.
상기 도어(120)의 전면에는 택배함(100)의 주소에 해당하는 번호 표시부(12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120)의 일측 가장자리에는 손잡이(121)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120)의 배면에는 도어 래치(123)가 구비되고, 상기 캐비닛(110)의 전면에는 상기 도어 래치(123)를 수용하고 고정시키는 래치 홀더(10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 래치(123)와 상기 래치 홀더(102)의 결합에 의하여 상기 도어(120)는 닫힘 상태를 유지하고, 도어 래치(123)와 래치 홀더(102)의 결합 해제에 의하여 상기 도어(120)의 닫힘 상태가 해제된다.
상기 도어(120)의 잠금 수단으로서 상기 도어 래치(123)와 래치 홀더(102) 외에 다른 수단이 적용될 수도 있다. 예컨대, 전자석과 영구자석이 도어(120)와 캐비닛(110)에 각각 제공되어, 전류의 흐름 방향에 따라 전자석과 영구자석 사이에 인력 또는 척력이 작용하도록 하여, 상기 도어(120)의 닫힘 또는 열림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도어 래치(123)와 래치 홀더(102)는 상기 도어(120)의 배면 상단 또는 하단에 구비될 수도 있지만, 일반적인 도어 잠금 구조와 마찬가지로 힌지축의 반대편에 해당하는 측단부에 형성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즉, 상기 도어 래치(123)가 상기 도어(120)의 힌지축 반대편 측면에서 측방으로 돌출될 수도 있고, 힌지축 반대편 가장자리의 배면에서 후방으로 돌출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래치 홀더(102)는 상기 캐비닛(110) 측에 형성되되, 상기 도어(12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도어 래치(123)를 수용 가능한 지점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다수의 택배함들(100)의 개폐를 제어하는 컨트롤 패널부(200)에는 디스플레이부(210)가 구비된다. 상기 택배함(100)의 사용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210)에 구비되는 터치 스크린을 통해서 택배함을 선택하고 입고 명령 또는 출고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택배함(100)의 사용자는, i) 배송을 예약하고 배송을 위한 물품을 보관하는 물품 보관자, ii) 물품 보관자가 보관한 물품을 배송을 위해 수거해가거나, 배송된 물품을 입고하는 택배 기사, iii) 배송된 택배를 출고하여 찾아가는 권한을 가진 물품 주문자, 및 iv) 물품을 배송한 자에 의하여 지정된 물품 수령자 또는 수취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여기서, 입고 명령 또는 출고 명령을 포함한 각종 명령은 터치 스크린 외에 별도의 입력 버튼이 구비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택배함(100)의 저장실(101) 내부에 카메라가 설치되는 경우, 상기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된 이미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210)에 출력될 수도 있고, 해당 택배함(100) 사용자의 모바일 장치로 전송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품 보관 장치를 이용한 물품 배송 시스템을 보여주는 네트워크 시스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품 보관 장치를 이용한 물품 배송 시스템은, 물품 보관 장치(10)와, 물품 주문을 위하여, 또는 물품의 배송을 목적으로 하는 택배 예약을 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사용자 단말기(20)와, 주문한 물품을 물품 보관 장치(10)까지 배송하거나, 예약된 택배 물품을 수거하는 택배 기사의 택배 기사 단말기(30)와, 물품 보관 장치(10)의 입고와 출고를 관리하는 입출고 관리 서버(40), 및 하나 또는 다수의 배송 업체 서버(50)를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기(20)는 사용자 모바일 장치로 정의될 수 있고, 택배 기사 단말기(30)는 택배 기사 모바일 장치로 정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물품 보관 장치(10)와, 사용자 단말기(20), 및 택배 기사 단말기(30)는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하여 인터넷에 연결되고, 상기 물품 보관 장치(10)는 인터넷을 통하여 입출고 관리 서버(40)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물품 보관 장치(10)를 통하여 입력되는 택배 물품과 관련된 정보는 상기 입출고 관리 서버(40)로 전송되어 저장된다.
또한, 입출고 관리 서버(40)로부터 송출되는 정보는 인터넷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20) 및/또는 배송 업체 서버(50)로 전송되고, 상기 배송 업체 서버(50)(또는 택배 업체 서버)로 전송된 정보는 상기 택배 기사 단말기(30)로 전송되어 저장된다.
또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2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 접속 및 로그인하여 상기 물품 보관 장치(10)의 도어 개방 또는 저장 조건(냉장,냉동,온장 등)을 원격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입출고 관리 애플리케이션"으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저장실(101) 내에 설치된 카메라를 원격으로 조작하여 저장실 내부 상황을 촬영하도록 할 수 있고, 촬영된 이미지는 인터넷을 통해서 입출고 관리 서버에 업로드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입출고 관리 서버에 업로드된 이미지는 인터네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20)로 다운로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입출고 관리 서버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관리하는 앱서버로 이해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기(2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입력되는 각종 명령 및 정보는 상기 입출고 관리 서버(또는 앱서버)로 업로드된 후 상기 물품 보관 장치(10)의 메모리(후술함)로 저장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물품 보관 장치(10)의 컨트롤 패널부(200)를 통하여 입력되는 정보는 상기 입출고 관리 서버(40)를 통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20)로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택배 기사가 택배함(100)의 저장실(101)에 배달 물품을 저장하면, 물품 정보 인식기(370)가 배달 물품의 포장 박스에 인쇄된 암호화 코드를 스캔한다. 그리고, 암호화 코드 스캔을 통하여 획득된 정보는, 택배 기사 연락처 및 비밀 번호 정보와 함께 상기 입출고 관리 서버(40)로 전송된다.
그리고, 상기 정보들은 사용자 단말기(20)로 전송되어, 사용자 단말기(2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으로 최종적으로 전송된다.
또한, 상기 입출고 관리 애플리케이션의 관리를 위한 앱서버인 상기 입출고 관리 서버(40)는 상기 하나 또는 다수의 배송 업체 서버(50)와 인터넷을 통하여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택배 예약을 원하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20)를 통하여 상기 입출고 관리 애플리케이션에 로그인하여 특정 택배 업체를 선택하고 택배 예약을 하면, 택배 예약 정보가 상기 선택된 택배 업체의 서버로 전송된다.
또한, 상기 선택된 택배 업체의 서버로부터 고유 번호 또는 비밀 번호가 발급되어 상기 입출고 관리 서버(40)로 전송된 뒤, 최종적으로 사용자 단말기(20)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대한 내용은 아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물품 저장 장치의 제어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품 저장 장치(10)는, 제어부(300)와, 전원 공급부(310)와, 입력부(350)와, 도어락(330)과, 인터페이스부(340)와, 출력부(320), 및 메모리(390)를 포함한다.
상기 인터페이스부(340)는, USB 또는 SD 카드와 같은 저장 매체가 연결되는 포트를 포함한 각종 연결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350)는, 명령 입력을 위한 입력 버튼(360)과, 암호화 코드를 스캐닝하여 제어부(300)로 전송하는 물품 정보 인식기(370)와, 근거리 통신 및 인터넷 접속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 모듈(38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 버튼(360)은, 사용자가 손으로 직접 눌러서 조작하는 기계식 버튼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부(210)에 출력되는 터치 스크린에 제공되는 터치 버튼도 포함하는 것을 이해될 수 있다.
상기 터치 버튼은 입고 명령 입력을 위한 보관 버튼과 출고 명령 입력을 위한 찾기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품 정보 인식기(370)는, 바코드를 스캐닝하여 바코드에 심어져 있는 정보를 취득하는 바코드 스캐너(371)와, QR 코드를 스캐닝하여 정보를 취득하는 QR코드 스캐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암호화 코드를 스캐닝하여 정보를 취득하는 기능을 가진 구성은 본 발명의 물품 정보 인식기(370)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 모듈(380)은, NFC 모듈(381)과, 블루투스 모듈(382)과, BLE 모듈(383)과, WiFi모듈(384), 및 RFid 리더(38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WiFi 모듈(384)은 상기 물품 보관 장치(10)가 인터넷에 접속하여 입출고 관리 서버(40)에 연결되도록 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RFid 리더(385)는, 택배 기사가 상기 물품 보관 장치(10)로부터 설정된 거리 이내로 접근하면, 상기 택배 기사가 소지하고 있는 RFid 태그를 인식하는데 사용된다. 택배 기사가 소지하고 있는 RFid 태그에는 택배 업체명, 택배 기사 이름, 택배 기사 연락처 등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택배 기사가 배달 물품을 보관하면, 상기 물품 정보 인식기를 통하여 획득된 물품 관련 정보와 함께 택배 기사 정보, 및 해당 택배함(100)의 도어(120)를 개방하는데 필요한 비밀 번호 정보가 함께 상기 출고 관리 서버로 전송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2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 접속하면, 본인이 주문한 물품 정보와 함께, 도어 개방을 위한 비밀 번호 및 택배 기사 연락처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택배함(100)의 도어(120)를 개방하는데 사용될 비밀 번호는 택배 물품에 인쇄된 암호화 코드를 스캐닝할 때 생성될 수도 있고, 입출고 관리 서버에서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20)로 배달 물품 도착 메세지를 보낼 때 함께 보내도록 할 수도 있다.
그 외, NFC 모듈(381), 블루투스 모듈(382), BLE 모듈(383)을 포함한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near 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moudule)은 상기 물품 보관 장치(10)가 인터넷을 통하지 않고 무선 단말기와 통신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20)와 상기 물품 보관 장치(10)의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이 서로 연동(pairing)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사용자 단말기(20)를 이용하여 물품 보관 장치(10)의 도어(120)를 직접 개방할 수도 있고, 각종 정보를 인터넷을 통하지 않고 직접 송수신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출력부(320)는, 컨트롤 패널부(20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210)와, 음성 출력되는 스피커(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10)는, 터치 스크린을 제공하므로 입력부의 기능도 하면서, 각종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므로 출력부의 기능도 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락(330)은, 앞에서 설명한 도어 래치(123)와 래치 홀더(102)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사용자가 물품 보관 장치(10)를 통해 배송하고자 하는 물품의 배송 예약 또는 택배 예약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배송 예약 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차트이고, 도 6 내지 도 9는 상기 플로차트에 따라 수행되는 각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내용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품 배송 예약 방법에 의하면, 사용자가 택배 물품을 수취자에 해당하는 누군가에게 보내고자 할 때, 택배 업체의 영업소를 직접 방문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상세히, 물품 배송을 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본인의 모바일 장치(20)에 상기 입출고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회원 가입 과정을 완료한 뒤 로그인한다.
그리고, 상기 입출고 관리 애플리케이션에 로그인한 다음 배송 예약(또는 택배 예약) 메뉴를 선택하여, 배송 예약 과정을 수행하면, 사용자가 위치한 지점에 가장 가까이에 설치된 본 발명에 따른 물품 보관 장치(10)에 배송 물품을 보관할 수 있다. 그리고, 택배 기사는 상기 보관된 배송 물품을 일정한 시각에 상기 물품 보관 장치(10)에 보관된 배송 예약 물품을 수거해 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사용자가 상기 입출고 관리 애플리케이션의 설치와 회원 가입을 완료하였음을 전제로 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택배 예약을 원하는 사용자는 모바일 장치(20)에서 입출고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S110), 상기 입출고 관리 애플리케이션에 로그인한다(S120).
상기 입출고 관리 애플리케이션에 로그인한 다음 택배 예약 메뉴를 선택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배송 업체 선택 메뉴가 디스플레이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화면에 리스트-업 된 다수의 배송 업체들 중에서 원하는 배송 업체를 선택할 수 있다(S130). 상기 다수의 배송 업체들의 서버들(50)은 본 발명에 따른 물품 보관 장치(10)의 입출고 관리 서버(40)와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다.
배송 업체가 선택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품 보관 장치 선택 메뉴가 디스플레이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모바일 장치(20)의 화면에 리스트-업된 다수의 물품 보관 장치들 중 사용자로부터 가장 가까운 위치에 설치된 물품 보관 장치를 선택할 수 있다(S140).
상술한 바와 같이, 배송 업체를 먼저 선택하고, 선택된 배송 업체와 연결되어 있는 물품 보관 장치들을 검색하는 순서로 수행될 수도 있지만, 순서가 바뀌어도 무방하다.
즉, 사용자가 사용자의 근처에 있는 물품 보관 장치를 먼저 검색하여 선택하고, 선택된 물품 보관 장치와 연결된 배송 업체 리스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방법도 가능할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택배함 리스트들은 물품 보관 장치들의 리스트이다. 예를 들어 a동 지점 1택배함은, 강남구 a동에 설치되고 A 택배 업체와 연결된 물품 보관 장치를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1택배함은 다수의 보관함들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한편, 물품 보관 장치의 선택이 완료되면, 사용자 단말기에는 수취자 정보와 물품 정보 입력을 요청하는 화면이 디스플레이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수취자의 이름, 연락처, 주소 등을 입력하고, 물품이 냉장 또는 온장 상태를 요구하는 물품인지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S150). 상기 물품 정보는, 물품의 이름이나 종류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가 수취자 및 물품에 관한 정보를 입력하고 예약하기 버튼을 터치하면, 선택된 배송 업체의 택배 기사만 알 수 있는 비밀 번호가 발급된다(S160). 상기 비밀 번호는, 고유 번호 또는 인증 번호로 이해될 수 있다. 사용자가 부여받아서 입력하는 번호는 입고 비밀 번호로 정의될 수 있고, 상기 입고 비밀 번호는 숫자,문자, 및 특수 문자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예약하기 버튼이 터치되면, 입력된 수취자 및 물품 정보가 입출고 관리 서버(40)로 전송된다. 그리고, 상기 수취자 및 물품 정보는 상기 입출고 관리 서버(40)로부터 사용자가 선택한 배송 업체의 서버(50)로 전송된다.
또한, 상기 배송 업체 서버(50)에서는 해당 배송 업체의 택배 기사만이 알 수 있는 고유의 비밀 번호를 생성하여 입출고 관리 서버(40)로 전송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배송 업체 서버(50)에서는, 동일한 날짜에 동일한 물품 보관 장치를 선택한 다수의 사용자들에게는 동일한 비밀 번호를 발급할 수 있다. 그러면, 해당 택배 업체의 택배 기사가 1회의 비밀 번호 입력을 통해 여러 개의 보관함을 개방할 수 있다.
한편, 비밀 번호가 발급되면, 도 9에 보이는 바와 같이, 입출고 관리 서버(40)에서는 배송 예약 완료 안내 메세지와 함께 상기 발급된 비밀 번호를 사용자의 모바일 장치(20)로 전송하고, 배송 예약 과정이 종료된다.
도 10은 비밀 번호를 발급받은 사용자가 물품 보관 장치에 물품을 보관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플로차트이고, 도 11 내지 도 14는 상기 플로차트에 따라 수행되는 각 단계에서 물품 보관 장치의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내용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사용자는, 물품 관리 어플리케이션의 물품 배송 예약 과정을 수행하여 비밀 번호를 발급 받은 후에는, 본인이 선택한 물품 보관 장치가 설치된 장소로 이동하여 물품을 보관하는 작업을 수행하여야 한다.
물품 보관 장치의 보관함에 배송할 물품을 보관하고 도어를 잠그는 동작이 완료되어야 배송 예약을 위한 전(全) 과정이 완전히 종료된다고 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배송할 물품을 들고 본인이 선택한 물품 보관 장치(10)가 설치된 장소로 직접 이동하여, 물품 보관 장치(10)의 컨트롤 패널부(200)를 구성하는 디스플레이부(210)에 표시된 입고 명령 버튼을 터치하여 입고 명령을 입력한다(S210),
도 11을 참조하면, 물품의 입고 또는 출고 명령을 위한 입력 버튼들이 디스플레이부(210)에 표시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10)에는, 배송 예약 또는 물품 수령을 하는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는 입고 버튼 및 출고 버튼을 포함하는 제 1 입력 버튼부와, 배송 물품을 배달하여 보관하거나 배송 예약된 물품을 수거하는 택배 기사가 사용할 수 있는 입고 버튼 및 출고 버튼을 포함하는 제 2 입력 버튼부가 구분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배송 예약을 위한 입고 버튼을 터치하면 도 1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보관한 선택을 위한 이미지 화면이 디스플레이된다.
상기 이미지 화면은 해당 물품 보관 장치의 이미지로서, 현재 사용 중인 보관함과 미사용 보관함이 구분되게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입출고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택배 예약을 할 때, 물품의 보관 상태, 즉 냉장 또는 온장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였다면, 입출고 관리 서버(40)에서 이를 판단하여, 현재 비어 있는 보관함들 중 냉장 또는 온장 보관 기능을 가지는 보관함들만 다른 보관함들과 차이나게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비어 있는 보관함들 중 원하는 보관함을 터치하여 선택하면(S220), 상기 디스플레이부(210)에는 비밀 번호 입력을 요청하는 화면 (도 13 참조)이 디스플레이된다.
상기 비밀 번호는, 사용자가 입출고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배송 예약을 할 때 부여받은 비밀 번호로서, 선택된 택배회사 고유의 비밀 번호이다.
또한, 사용자가 비밀 번호 입력을 완료하고 확인 버튼을 터치하면(S230), 상기 선택된 보관함과 비밀 번호가 매칭되고, 도 14에 보이는 바와 같이, 보관 완료를 알리는 메세지가 디스플레이부(210)에 표시되고(S240), 보관 과정이 종료된다. 이로써, 비밀 번호 발급 및 보관을 포함하는 배송 예약 전체 과정이 종료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배송 예약 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차트이고, 도 16 내지 도 22는 상기 플로차트에 따라 수행되는 각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내용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5 내지 도 22에 제시되는 배송 예약 방법은, 사용자가 본인의 모바일 장치에 설치된 입출고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서 배송 예약하고, 비밀 번호를 발급받는 방법과 달리, 물품 보관 장치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배송 예약 과정을 수행하고 비밀 번호도 부여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제 2 실시예에 따른 배송 예약 방법은, 물품 보관 장치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서 비밀 번호 발급 및 물품 보관을 한 번에 완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세히, 도 15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근처에 있는 물품 보관 장치(10)로 직접 이동하여 컨트롤 패널부(20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210)를 조작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10)에는 도 1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입고 명령 또는 출고 명령 입력을 위한 메뉴가 디스플레이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배송 예약을 위해 제공되는 입고 버튼을 터치하여 배송 예약을 위한 입고 명령을 입력한다(S310). 그러면, 도 17에 보이는 바와 같이, 해당 물품 보관 장치(10)와 연결된 배송 업체들이 리스트업되고, 사용자는 이들 업체들 중 원하는 업체를 터치하여 배송 업체를 선택한다(S320).
또한, 배송 업체가 선택되면 수취자 정보 및 물품 정보 입력을 위한 화면(도 18 참조)이 출력되고, 사용자는 수취자 정보와 물품 정보를 입력한다(S330).
또한, 사용자가 예약하기 버튼 또는 완료 버튼(미도시)을 터치하여 수취자 정보와 물품 정보 입력을 완료하면, 비밀 번호가 발급된다. 발급된 비밀 번호는 도 19에 보이는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210)에 표시되어 사용자가 인지하고 기억할 수 있도록 한다(S210).
상기 비밀 번호가 발급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상세히, 상기 수취자 정보와 물품 정보가 입출고 관리 서버를 거쳐 사용자가 선택한 택배 업체의 서버(50)로 전송된다. 그리고, 택배 업체 서버(50)에서는 현재 날짜와 물품 보관 장치에 대해서 정해진 비밀 번호를 생성하고 이를 다시 입출고 관리 서버(40)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부(210)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또한, 같은 날짜에 같은 물품 보관 장치를 통해 배송 예약을 하는 사용자들에게는 모두 동일한 비밀 번호가 부여되도록 한다.
한편, 비밀 번호가 표시 화면이 디스플레이되고,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210)의 일측에 표시된 확인 버튼(미도시)을 터치하거나,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보관함 선택을 위한 화면(도 20 참조)으로 넘어가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는 도 20에 보이는 보관한 선택 화면에서 비어 있는 보관함을 선택한다(S350). 비어 있는 보관함의 표시 방법과 선택 방법은 도 12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사용자가 보관함을 선택하면, 도 21에 보이는 바와 같이, 비밀 번호 입력을 요청하는 화면이 디스플레이되고, 사용자는 부여받은 상기 비밀 번호를 입력하고 확인 버튼을 터치한다(S360).
확인 버튼이 터치되면, 상기 선택된 보관함과 상기 비밀 번호가 매칭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210)에는 배송 예약 물품의 보관 과정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메세지가 출력된다(S370).
한편, 배송 예약을 하는 사용자가 입출고 관리 어플리케이션에 접속하여 택배 업체 선정 과정과, 수취자 정보 및 물품 정보 입력 단계를 모두 거쳐서 비밀 번호까지 발부받은 경우에는, 배송 업체 선택부터 비밀 번호 발급까지의 단계는 필요하지 않게 된다.
이 경우는, 단계 S310에서 배송 예약을 위한 입고 명령이 입력된 이후에 나타나는 입력 화면들의 일측에는 "건너뛰기" 버튼이 형성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해당 과정을 수행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배송 업체 선택 화면과, 수취자 정보 및 물품 정보 입력 화면에 표시되는 "건너뛰기" 버튼을 차례로 터치하면 비밀 번호 발급 화면이 생략되고 바로 도 20에 보이는 보관함 선택 화면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도 23은 택배 기사가 배송 예약된 물품을 수거해 가는 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차트이고, 도 24 내지 도 27은 상기 플로차트에 따라 수행되는 각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내용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택배 기사는 본인이 담당하고 있는 물품 보관 장치(10)의 보관함들(100)에 배송 예약된 물품들을 주기적으로 수거해 간다.
먼저 택배 기사는, 도 24에 보이는 바와 같은 물품 보관 장치(10)의 디스플레이부(210) 화면에서 배송 예약된 물품을 수거하기 위한 출고 명령 버튼을 터치하여 출고 명령을 입력한다(S410).
출고 명령이 입력되면 도 25에 보이는 바와 같이 물품 보관 장치(10)와 연결된 배송 업체들이 디스플레이부(210)에 리스트업된다. 이 상태에서, 택배 기사는 본인이 속한 배송 업체를 터치하여 선택한다(S420).
배송 업체가 선택되면 비밀 번호 입력을 요청하는 화면(도 26)이 디스플레이되고, 이 상태에서 택배 기사는 부여받은 비밀 번호를 입력한다(S430). 상기 택배 기사가 부여받아서 입력하는 비밀 번호는 출고 비밀 번호로 정의될 수 있고, 상기 출고 비밀 번호는 숫자,문자, 및 특수 문자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비밀 번호가 입력되면, 택배 기사가 입력한 비밀 번호와 일치하는 비밀 번호가 입력되어 있는 보관함들(100)의 도어(120)가 동시에 개방된다(S440). 보관함(100)의 도어(120)가 개방되고, 설정 시간이 경과하면(S450), 물품 보관 장치(10)의 제어부(300)에서는 배송 물품의 수거가 끝난 것으로 간주하여, 배송 대상 물품의 수거 과정이 종료되도록 한다.
여기서, 사용자가 택배 예약을 할 때 발부되는 비밀 번호는 사용자의 모바일 장치로 전송됨과 동시에, 사용자가 선택한 배송 업체의 서버(50)로도 전송된다. 그리고, 배송 업체 서버(50)로 전송된 비밀 번호는, 해당 물품 보관 장치(10)를 관리하는 택배 기사에게도 전달된다. 따라서, 동일 날짜에 동일한 물품 보관 장치(10)의 보관함에 배송 예약한 사용자들의 물품은, 동일한 택배 기사에 의하여 한 번에 수거될 수 있다.
그 결과, 택배 기사는 배송 예약한 사용자의 수만큼 물품 보관 장치(10)의 디스플레이부(210)를 통해서 배송 예약이 설정된 보관함들(100)의 도어(120)를 개방하기 위한 조작을 할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다.
한편, 배송 업체 선택 단계(S420)는 생략 가능함을 밝혀둔다. 왜냐하면, 택배 기사가 입력하는 비밀 번호는, 택배 기사 본인이 속한 배송 업체에서 발급하는 고유의 비밀 번호이기 때문에, 다른 택배 회사를 배송 업체로 지정하여 배송 예약된 보관함의 도어는 개방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비밀 번호 자체가 배송 업체를 구분하는 고유 번호의 기능을 겸하는 경우, 택배 기사가 배송 업체를 선택하는 단계를 굳이 거치지 않고, 비밀 번호 입력 만으로 해당 배송 업체를 지정한 보관함들의 도어가 일제히 개방되도록 할 수 있다.

Claims (18)

  1. 내부에 배송 물품이 보관되는 저장실과,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는 택배함이 다수 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택배함 세트;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택배함 세트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택배함 세트의 잠금 상태를 보여주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택배함 세트의 조작 또는 사용에 필요한 명령을 입력하기 위해 제공되는 입력부; 및
    외부 서버와 정보를 송수신 가능하게 하는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해서 배송 예약된 물품의 수거를 위한 출고 명령과 출고 비밀 번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는, 배송 예약된 보관함들에 매칭된 입고 비밀 번호들과 상기 출고 비밀 번호를 비교하여,
    상기 출고 비밀 번호와 동일한 입고 비밀 번호를 가지는 택배함들의 도어가 동시에 개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보관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터치 버튼을 포함하는 물품 보관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는,
    배송 예약을 위한 입고 명령 입력 버튼이 표시되고,
    상기 입고 명령 입력 버튼이 터치되어, 입고 명령이 상기 제어부에 입력되면 배송 업체 선택 화면이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보관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배송 업체 선택 화면에서 배송 업체가 선택되면, 배송 물품의 수취자에 관한 정보 및 배송 물품에 관한 정보를 입력하는 화면이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보관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취자에 관한 정보는,
    수취자의 이름, 연락처, 주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물품 보관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배송 물품에 관한 정보는,
    배송 물품의 이름 또는 종류, 및 배송 물품의 보관 상태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물품 보관 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배송 업체가 선택되면, 선택된 배송 업체의 서버에서 상기 입고 비밀 번호가 발급되어 상기 제어부로 전송되고,
    상기 제어부로 전송된 상기 입고 비밀 번호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보관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입고 비밀 번호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이후에는, 배송 물품을 보관하기 위해 비어 있는 택배함을 선택하는 화면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고,
    비어 있는 택배함이 선택되면, 상기 입고 비밀 번호의 입력을 위한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보관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택배함이 선택된 이후에 상기 발급된 입고 비밀 번호가 입력되면, 선택된 택배함과 상기 입고 비밀 번호가 매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보관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입고 비밀 번호 입력이 완료되면 보관 완료 메세지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보관 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배송 업체 선택을 위한 화면과, 수취자 정보 및 물품 정보 입력을 위한 화면에는 "건너뛰기" 명령 입력을 위한 버튼이 표시되고,
    상기 "건너뛰기" 명령을 위한 버튼이 터치되어 건너뛰기 명령이 상기 제어부로 입력되면, 해당 화면에서 수행되는 과정은 생략되고, 다음 단계 수행을 위한 화면이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보관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취자 정보 및 물품 정보 입력을 위한 화면에 표시된 "건너뛰기" 명령을 위한 버튼이 터치되어 건너뛰기 명령이 상기 제어부로 입력되면, 상기 비밀 번호 발급 과정은 생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보관 장치.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는,
    배송 예약된 물품의 수거를 위한 출고 명령 입력 버튼이 표시되고,
    상기 출고 명령 입력 버튼이 터치되어 출고 명령이 입력되면, 출고 비밀 번호 입력을 위한 화면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보관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출고 비밀 번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에서는 배송 예약된 보관함들에 매칭된 입고 비밀 번호들과 상기 출고 비밀 번호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보관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출고 명령이 입력되면 배송 업체 선택을 위한 화면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보관 장치.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택배함들의 도어들이 개방된 시점으로부터 설정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제어부는 배송 예약 물품의 수거 과정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여, 출고 과정을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보관 장치.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고 비밀 번호는,
    배송 예약자에 의하여 선택된 배송 업체의 서버에서 생성되는 고유 번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보관 장치.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는,
    물품 배송 예약을 위한 입고 명령 및 배달된 물품의 수령을 위한 출고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제 1 입력 버튼부와,
    물품 배달을 위한 입고 명령 및 배송 예약된 물품의 수거를 위한 출고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제 2 입력 버튼부가 구분되어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보관 장치.
KR1020190086923A 2019-07-18 2019-07-18 물품 보관 장치 KR202100098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6923A KR20210009836A (ko) 2019-07-18 2019-07-18 물품 보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6923A KR20210009836A (ko) 2019-07-18 2019-07-18 물품 보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9836A true KR20210009836A (ko) 2021-01-27

Family

ID=74238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6923A KR20210009836A (ko) 2019-07-18 2019-07-18 물품 보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0983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2083A (ko) 2017-02-08 2018-08-17 장영진 무인택배 보관함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2083A (ko) 2017-02-08 2018-08-17 장영진 무인택배 보관함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43415B2 (en) Package management system with accelerated delivery
US11144873B2 (en) Package management system with accelerated delivery
US10915856B2 (en) Package management system with accelerated delivery
KR20150020926A (ko) 무인택배 보관함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016172622A (ja) 収納装置及び宅配システム
KR101788121B1 (ko) 사물함 통합관리 시스템
JP2011118611A (ja) 荷物預入れシステム
JP6938319B2 (ja) 認証管理システム
KR101693358B1 (ko) 가구별 택배물품 보관함과 이를 이용한 원격 택배 관리 통제 시스템
US11786063B2 (en) Commodity deposit device
US20190057350A1 (en) Secure delivery bins
US10643173B2 (en) Smart delivery bins
KR20120086614A (ko) 자동 택배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EP3933324A1 (en) Method for controlling and managing front door refrigerator using application installed in recording medium
CN111415448A (zh) 门禁控制系统、方法、装置及智能音箱
KR20120039150A (ko) 무인택배 시스템
KR20200061698A (ko) 테이크아웃 스테이션을 이용한 셀프 테이크아웃 방법
KR101574891B1 (ko) 스마트 폰의 유저 인터페이스 및 통신 수단을 이용하는 무인 물품 보관 시스템 및 방법
JP6700975B2 (ja) 情報通知システム
US20200169981A1 (en) Information notification system
JP6243076B1 (ja) 物品の受け渡しボックス
KR20210009836A (ko) 물품 보관 장치
KR102199623B1 (ko) 무인보관함 관리 이용시스템
CN111292480A (zh) 货柜、货物存取方法及无人配送车
JP7433359B2 (ja) ストッカ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