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9661A - 조갑질환 검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조갑질환 검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9661A
KR20210009661A KR1020190086473A KR20190086473A KR20210009661A KR 20210009661 A KR20210009661 A KR 20210009661A KR 1020190086473 A KR1020190086473 A KR 1020190086473A KR 20190086473 A KR20190086473 A KR 20190086473A KR 20210009661 A KR20210009661 A KR 202100096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il
photographing
unit
disease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64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6345B1 (ko
Inventor
이병일
송우섭
박형주
신인희
이지범
Original Assignee
한국광기술원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광기술원,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광기술원
Priority to KR10201900864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6345B1/ko
Publication of KR202100096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96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63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63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integumentary system, e.g. skin, hair or nails
    • A61B5/449Nail evaluation, e.g. for nail disorder diagn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71Specific aspects of physiological measurement analysis
    • A61B5/7275Determining trends in physiological measurement data; Predicting development of a medical condition based on physiological measurements, e.g. determining a risk fact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ermat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ology (AREA)
  • Psychiat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톱 또는 발톱(이하 "손톱" 및 "발톱"을 모두 포함하는 용어로 "조갑(爪甲)"또는 "손발톱"이라는 용어를 사용함) 질환 진단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서로 다른 파장을 가지는 복수의 광원별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로 다른 위치에서 조갑을 촬영하고, 서로 다른 파장 및 위치에서 촬영된 영상과 조갑질환에 대해 미리 학습된 학습데이터를 비교하여 손발톱의 질환을 진단하는 조갑질환 진단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조갑질환 진단 장치 및 방법{Fingernails and toenails diseases diagnosis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손톱 또는 발톱(이하 "손톱" 및 "발톱"을 모두 포함하는 용어로 "조갑(爪甲)"또는 "손발톱"이라는 용어를 사용함) 질환 진단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서로 다른 파장을 가지는 복수의 광원별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로 다른 위치에서 조갑을 촬영하고, 서로 다른 파장 및 위치에서 촬영된 영상과 조갑질환에 대해 미리 학습된 학습데이터를 비교하여 손발톱의 질환을 진단하는 조갑질환 진단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손톱 및 발톱은 손가락과 발가락 말단 부위에 붙어 있는 반투명의 단단한 케라틴 판이다.
손톱 및 발톱은 손과 발의 보호 기능뿐 아니라 촉감을 구분하는 데 도움이 되며, 물건을 집는 것과 같은 손, 발의 기능 수행에 도움을 준다.
또한, 손톱은 대부분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 미용상으로 중요하며, 발톱 또한 여름철 노출이 많아짐에 따라 미용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손발톱의 흔한 질환으로는 조갑 감입증, 손발톱 무좀, 조갑 주위염, 포진성 손발톱 주위염, 흑색 조갑증 등이 있다. 이러한 손톱의 질환은 손 및 발의 미용을 해치고 손과 발의 보호 기능, 촉감 등을 떨어뜨리거나, 집을 때 통증을 유발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손발톱 질환도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하여 빠르게 치료받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손발톱에 검은색 줄이 생기는 흑색 조갑증에 대한 진단은 매우 중요하다. 흑색 조갑증은 손톱과 발톱에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흑색 및 갈색을 띠는 세로줄이 나타나는 증상을 보이는데 이는 악성 흑색종인 경우가 있어 빠른 진단이 필요하다.
이러한 손발톱 질환(질병)을 진단하기 위해서 임상의학자는 일반적으로 피부 확대경(더모스코피)을 사용하여 형태와 크기를 관찰하는 형태로 흑색종을 예측하고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임상의학자의 경험에 따라서 진단의 정확도가 달라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27287호(2018.12.10. 공고)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서로 다른 파장을 가지는 복수의 광원별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로 다른 위치에서 조갑을 촬영하고, 서로 다른 파장 및 위치에서 촬영된 영상과 조갑질환에 대해 미리 학습된 학습데이터를 비교하여 손발톱의 질환을 진단하는 조갑질환 진단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조갑질환 진단 장치는: 적어도 손 또는 발의 상부 위치를 포함하는 서로 다른 둘 이상의 위치 및 서로 다른 파장을 가지는 적어도 둘 이상의 각 광원하에서 촬영영역에 삽입된 손 또는 발을 촬영하여 각각의 위치 및 각각의 광원에 대응하는 복수의 조갑영상을 생성하고, 생성된 조갑영상을 출력하는 조갑 촬영부; 및 상기 둘 이상의 촬영 위치 및 둘 이상의 광원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조갑영상을 입력받고, 이전에 확습된 조갑질환별 조갑영상에 대한 병변 학습 데이터에 근거하여 입력되는 조갑영상으로부터 병변을 판단하고, 이전에 학습된 병변별 조갑질환 학습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판단된 병변에 대응하는 조갑질환의 발생 여부 및 종류를 진단하는 조갑질환 분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갑 촬영부는, 적어도 손톱을 포함하는 손의 일부 및 적어도 발톱을 포함하는 발의 일부가 놓여지는 조갑 받침대; 상기 손의 일부 및 발의 일부의 상부 위치를 포함하는 서로 다른 둘 이상의 위치 및 서로 다른 파장을 가지는 적어도 둘 이상의 광원 각각에서 촬영하여 각각의 촬영 위치 및 각각의 광원에 대응하는 복수의 조갑영상을 생성하고, 생성된 조갑영상을 출력하는 조갑 촬영모듈; 및 상기 조갑 촬영모듈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갑 촬영부는, 내측이 빈 공간을 형성하는 박스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조갑 받침대, 상기 조갑 촬영 모듈 및 높이 조절부가 상기 공간에 구성되고 상기 손의 일부 및 발의 일부가 외부에서 상기 공간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개구부가 형성되되, 상기 개구부의 경계에 상기 조갑 받침대가 배치되는 조갑 촬영부 본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구부는,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상에 형성되되, 상기 조갑 받침대는, 상기 손의 일부 또는 발의 일부가 놓이도록 상기 공간 내측으로 배치되는 조갑 받침부; 및 상기 조갑 받침부의 하부와 상기 조갑 촬영부 본체의 내측 하부 사이에 길게 형성되어 상기 조갑 받침부를 지지하는 조갑 받침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갑 받침부는, 상기 손의 일부 또는 발의 일부가 놓이는 베이스부; 상기 손의 일부 또는 발의 일부가 삽입되는 상기 베이스부의 전면 방향 끝 단부에 형성되어 손의 일부 또는 발의 일부가 상기 공간의 내측으로 더 삽입되지 않도록 가이드하는 전면 가이드부; 상기 베이스부의 양 측면에 구성되어 상기 베이스부로 삽입되는 상기 손의 일부 또는 발의 일부가 상기 베이스부의 중앙에 놓이도록 가이드하는 측면 가이드부; 및 상기 양 측면 가이드부 각각에 구성되어 상기 양 측면 가이드부가 중앙으로 향하는 힘을 가지고 상기 손의 일부 또는 발의 일부에 의해 상기 중앙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상기 양 측면 가이드부가 이동할 수 있도록 탄성을 제공하는 측면 탄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갑 받침대는, 상기 베이스부에서 상기 조갑 촬영부 본체의 외부로 연장되어 상기 손의 일부 또는 발의 일부를 제외한 손 또는 발이 놓이는 베이스 연장부; 및 상기 베이스 연장부의 하부에서 바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 연장부를 지지하는 연장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갑 촬영모듈은, 상기 삽입된 손의 일부 또는 발의 일부의 삽입 방향 전면에 구성되어 상기 손의 일부의 손톱 또는 발의 일부의 발톱을 전면에서 촬영하여 전면 조갑영상을 생성하여 출력하는 전면 촬영부; 및 상기 삽입된 손의 일부 또는 발의 일부의 손등 또는 발등의 상부 방향에 구성되어 상부에서 상기 손의 일부의 손톱 또는 발의 일부의 발톱 상부면을 촬영하여 상부 조갑영상을 생성하여 출력하는 상부 촬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면 촬영부 및 상부 촬영부는, 상기 조갑 받침대에 놓인 손의 일부의 손톱 또는 발의 일부의 발톱에 적어도 둘 이상의 광을 순차적으로 조사하는 둘 이상의 광원을 포함하는 광원부; 상기 광원부에서 조사되는 광에 대응하는 상기 손의 일부 또는 발의 일부에 대한 상이 형성되는 이미징 렌즈; 상기 이미징 렌즈에 형성된 상인 상기 손의 일부 또는 발의 일부에 대한 상기 광원, 전면 촬영부 및 상부 촬영부별 전면 조갑영상 및 상부 조갑영상을 생성하여 출력하는 검출기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광원부는, 화이트 광원, RGB 광원, 자외선(UV) 광원, 적외선(IR) 광원 중 둘 이상의 광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장치는: 상기 조갑 촬영부 본체의 내측 하부면에서 상기 조갑 받침대 주변을 따라 형성되는 조갑 촬영부 가이드 레일을 더 포함하되, 상기 높이 조절부는, 상기 조갑 촬영부 가이드 레일을 따라 상기 조갑 받침대의 주변을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조갑 촬영모듈이, 상기 높이 조절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조갑 받침대를의 주변을 함께 회전하도록 하여, 상기 조갑 받침대에 놓인 손의 일부 또는 발의 일부를 전면, 대각선 양측면, 양측면에서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갑 촬영모듈은, 기억자 형태의 내측이 빈 공간부를 형성하되, 상기 조갑 받침대에 대해 상기 기억자 부분이 배치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기억자 안쪽 부분이 개방되어 상기 빈 공간부에서 상기 조갑 받침대에 놓인 손의 일부 또는 발의 일부가 보이도록 구성되는 조갑 촬영모듈 본체; 상기 촬영모듈 본체의 적어도 일측면부에 구성되어 상기 기억 형상을 따라 타원으로 형성되는 촬영부 가이드 레일; 및 상기 촬영부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조갑 받침대의 전면, 상부 대각선, 및 상부로 이동하여 상기 조갑 받침대에 놓인 상기 손의 일부 또는 발의 일부를 전면, 상부 대각선 및 상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서 촬영하여 전면 조갑영상, 상부 대각선 조갑 영상 및 상부 조갑영상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생성하여 출력하는 촬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조갑질환 분석부는, 조갑질환의 병변을 가지는 조갑영상에 대해 학습된 조갑영상 기반의 병변정보 학습데이터를 저장하는 이미지 기반 병변정보 DB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병변을 가지는 조갑질환에 대해 학습된 병변정보 기반 질병정보 학습데이터를 저장하는 병변정보 기반 질병 DB를 포함하는 저장부; 디스플레이부; 상기 조갑 촬영부에서 출력되는 복수의 조갑영상을 영상처리하여 출력하는 영상 처리부; 상기 조갑 촬영부와 연결되어 제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둘 이상의 광원을 순차적으로 구동하여 해당 광을 조사하고 상기 촬영 위치를 제어하고, 상기 영상 처리부를 통해 상기 둘 이상의 위치 및 둘 이상의 광원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조갑영상을 입력받고, 상기 이미지 기반 병변정보 DB에 근거하여 입력되는 조갑영상으로부터 병변을 판단하고, 병변정보 기반 질병 DB에 근거하여 상기 판단된 병변에 대응하는 조갑질환의 발생 여부 및 종류를 진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조갑질환 검사 이벤트가 발생되는지를 검사하는 검사 이벤트 모니터링부; 조갑질환 검사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조갑 촬영부의 상기 둘 이상의 광원을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구동하는 광원 선택부;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조갑 촬영부의 둘 이상의 촬영 위치를 순차적으로 변경하고, 순차적으로 선택되는 각 광원 및 각 촬영 위치에 대해 촬영을 제어하는 카메라 제어부; 상기 둘 이상의 촬영 위치 및 둘 이상의 광원별 조갑영상들을 상기 영상 처리부를 통해 획득하는 영상 획득부; 상기 영상 획득부를 통해 획득되는 조갑영상을 이미지 기반 병변정보 DB를 참조하여 분석한 후, 병변정보를 포함하는 영상 분석 정보를 출력하는 영상 분석부; 상기 영상 분석 정보와 병변정보 기반 질병 DB의 병변정보를 비교하여 조갑질환의 발생 여부 및 종류를 판단하는 질병 판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카메라 제어부는,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조갑 촬영부의 둘 이상의 촬영 위치를 순차적으로 변경하는 위치 제어부; 및 순차적으로 선택되는 각 광원 및 각 촬영 위치에 대해 상기 조갑 촬영부로 촬영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촬영을 제어하는 촬영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위치 제어부는, 상기 촬영 위치를 상기 촬영영역에 삽입된 손의 일부 및 발의 일부를 손 또는 발 삽입 방향의 정면 위치에서 손등 또는 발등의 상부 위치로 이동시키고, 상기 손의 일부 또는 발의 일부 정면 및 양 측면 위치로 순차적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촬영 제어부는, 상기 정면 위치, 상부 위치, 정면 위치에서 상부 위치로 이동하는 중간 위치, 상기 양 측면 위치, 정면 위치에서 각 측면으로 이동하는 측면 이동 중간 위치 각각에서 조갑 촬영부로 촬영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각 위치에 대한 조갑영상이 획득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조갑질환 진단 방법은: 제어부가 조갑질환 검사 이벤트가 발생되는지를 검사하는 검사 이벤트 모니터링 과정; 상기 제어부가 조갑질환 검사 이벤트가 발생되면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조갑 촬영부의 상기 둘 이상의 광원을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구동하는 광원 선택 과정; 상기 제어부가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조갑 촬영부의 둘 이상의 촬영 위치를 순차적으로 변경하고, 순차적으로 선택되는 각 광원 및 각 촬영 위치에 대해 촬영을 제어하는 카메라 제어 과정; 상기 제어부가 상기 둘 이상의 촬영 위치 및 둘 이상의 광원별 조갑영상들을 상기 영상 처리부를 통해 획득하는 영상 획득 과정; 상기 제어부가 획득되는 조갑영상을 이미지 기반 병변정보 DB를 참조하여 분석한 후, 병변정보를 포함하는 영상 분석 정보를 출력하는 영상 분석 과정; 상기 제어부가 상기 영상 분석 정보와 병변정보 기반 질병 DB의 병변정보를 비교하여 조갑질환의 발생 여부 및 종류를 판단하는 질병 판단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카메라 제어 과정은, 상기 제어부가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조갑 촬영부의 둘 이상의 촬영 위치를 순차적으로 변경하는 위치 제어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순차적으로 선택되는 각 광원 및 상기 촬영 위치에 대해 상기 조갑 촬영부로 촬영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촬영을 제어하는 촬영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위치 제어 단계는, 상기 촬영 위치를 상기 촬영영역에 삽된 손의 일부 및 발의 일부를 손 또는 발 삽입 방향의 정면 위치에서 손등 또는 발등의 상부 위치로 이동시키는 상하 이동 단계; 및 상기 손의 일부 또는 발의 일부 정면 및 양 측면 위치로 순차적으로 이동시키는 좌우 이동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촬영 제어 단계는, 상기 정면 위치, 상부 위치, 정면 위치에서 상부 위치로 이동하는 중간 위치 각각에서 조갑 촬영부로 촬영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각 위치에 대한 조갑영상이 획득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상하 이동 촬영 제어 단계; 및 상기 양 측면 위치, 정면 위치에서 각 측면으로 이동하는 측면 이동 중간 위치 각각에서 조갑 촬영부로 촬영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각 위치에 대한 조갑영상이 획득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좌우 이동 촬영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서로 다른 파장대의 광원을 순차적으로 조사하고, 각 광원에서 촬영된 복수의 조갑영상들에 의해 조갑질환 여부를 분석하므로, 더욱 정확하게 조갑질환 발생 여부 및 조갑질환 종류를 진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서로 다른 파장대의 광원뿐만 아니라 적어도 두 곳 이상의 서로 다른 상하좌우 위치에서 조갑을 촬영하므로 조갑의 다양한 위치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므로 정밀하게 조갑질환의 발생 여부 및 조갑질환 종류를 진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갑을 촬영하는 조갑 촬영모듈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람마다 다른 조갑을 포함하는 손 및 발의 형태에 대해 보다 용이하게 촬영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손 또는 발을 조갑 받침대의 촬영영역에 삽입 시 손 또는 발을 앞과 양옆에서 가이드하여 촬영영역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유도하므로 보다 정확한 조갑영상을 획득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조갑질환을 보다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갑질환 진단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갑질환 장치의 조갑 촬영부의 평면 절단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갑 촬영부의 조갑 받침대의 평면도 및 측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갑질환 진단 장치의 조갑질환 분석부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갑질환 진단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갑질환 진단 장치의 구성 및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고, 상기 장치에서의 조갑질환 진단 방법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갑질환 진단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갑질환 장치의 조갑 촬영부의 평면 절단도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갑 촬영부의 조갑 받침대의 평면도 및 측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갑질환 진단 장치는 조갑 촬영부(10) 및 조갑질환 분석부(20)를 포함한다.
상기 조갑 촬영부(10)는 조갑 받침대(100), 높이 조절부(200) 및 조갑 촬영 모듈(300)을 포함하여, 적어도 손 또는 발의 정면 및 상부 위치를 포함하는 서로 다른 둘 이상의 위치 및 서로 다른 파장을 가지는 적어도 둘 이상의 광원하에서 촬영영역에 삽입된 손톱을 포함하는 손 또는 발톱을 포함하는 발을 촬영하여 각각의 위치 및 각각의 광원에 대응하는 복수의 조갑영상을 생성하고, 생성된 조갑영상을 출력한다.
상기 조갑 촬영부(10)는 조갑 촬영부 본체(11) 내부에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조갑 촬영부 본체(11)는 내측이 빈 공간을 형성하는 박스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조갑 받침대(100), 상기 조갑 촬영 모듈(300) 및 높이 조절부(200)가 상기 공간에 구성되고 상기 손의 일부 및 발의 일부가 외부에서 상기 공간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개구부(12)가 형성되되, 상기 개구부(12)의 경계에 상기 조갑 받침대가 배치된다. 상기 개구부(12)는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상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조갑 받침대(100)는 상기 손의 일부 또는 발의 일부가 놓이도록 상기 공간 내측으로 배치되는 조갑 받침부(110) 및 상기 조갑 받침부(110)의 하부와 상기 조갑 촬영부 본체(11)의 내측 하부 사이에 길게 형성되어 상기 조갑 받침부(110)를 지지하는 조갑 받침 지지부(120)를 포함한다.
도 3의 조갑 받침부(110)의 평면도 301 및 측면도 302를 참조하면, 상기 조갑 받침부(110)는 상기 손의 일부 또는 발의 일부가 놓이는 베이스부(111), 상기 손의 일부 또는 발의 일부가 삽입되는 상기 베이스부(111)의 전면 방향 끝 단부에 형성되어 손의 일부 또는 발의 일부가 상기 공간의 내측으로 더 삽입되지 않도록 가이드하는 전면 가이드부(112), 상기 베이스부(111)의 양 측면에 구성되어 상기 베이스부(111)로 삽입되는 상기 손의 일부 또는 발의 일부가 상기 베이스부(111)의 중앙에 놓이고 손 또는 발이 움직이지 않도록 가이드하는 측면 가이드부(113) 및 상기 양 측면 가이드부(113) 각각에 구성되어 상기 양 측면 가이드부(113)가 중앙으로 향하는 힘을 가지고 상기 손의 일부 또는 발의 일부에 의해 상기 중앙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상기 양 측면 가이드부(113)가 이동할 수 있도록 탄성을 제공하는 측면 탄성부(114)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조갑 받침대(100)는 상기 베이스부(111)에서 상기 조갑 촬영부 본체(11)의 외부로 연장되어 상기 손의 일부 또는 발의 일부를 제외한 손 또는 발이 놓이는 베이스 연장부(130) 및 상기 베이스 연장부(130)의 하부에서 바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 연장부(130)를 지지하는 연장 지지부(140)를 포함할 수도 있을 것이다.
조갑 촬영모듈(300)은 제1실시예에 따라 도 1과 같이 하나의 좔영부(310)만으로 구성할 수도 있고, 제2실시예에 따라 두 개 이상의 촬영부(310)를 구비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2개의 촬영부(310)를 구비하는 경우, 조갑 촬영모듈(300)은 상기 삽입된 손의 일부 또는 발의 일부의 삽입 방향 전면에 구성되어 상기 손의 일부의 손톱 또는 발의 일부의 발톱을 전면에서 촬영하여 전면 조갑영상을 생성하여 출력하는 전면 촬영부(310-1) 및 상기 삽입된 손의 일부 또는 발의 일부의 손등 또는 발등의 상부 방향에 구성되어 상부에서 상기 손의 일부의 손톱 또는 발의 일부의 발톱 상부면을 촬영하여 상부 조갑영상을 생성하여 출력하는 상부 촬영부(310-2)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제1실시예에 따라 1개의 촬영부(310)를 구비하는 경우, 조갑 촬영 모듈(300)은 조갑 촬영모듈 본체(330), 촬영부 가이드 레일(320), 촬영부(310)를 포함한다.
조갑 촬영모듈 본체(330)는 기억자 형태의 내측이 빈 공간부를 형성하되, 상기 조갑 받침대(100)에 대해 상기 기억자 부분이 배치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기억자 안쪽 부분이 개방되어 상기 빈 공간부에서 상기 조갑 받침대(100)에 놓인 손의 일부 또는 발의 일부가 보이도록 구성된다.
촬영부 가이드 레일(320)은 상기 촬영모듈 본체(330)의 적어도 일측면부에 구성되어 상기 기억 형상을 따라 타원으로 형성되어 촬영부(310)가 상기 조갑 받침대(100)의 전면에서 상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촬영부(310)는 상기 촬영부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조갑 받침대의 전면, 상부 대각선, 및 상부로 이동하여 상기 조갑 받침대(100)에 놓인 상기 손의 일부 또는 발의 일부를 전면에서 상부로 이동 중 적어도 두 번 이상 촬영하여 둘 이상의 조갑영상을 생성하여 출력한다. 예를 들면, 촬영부(310)는 전면 및 상부에서 두 번 촬영을 진행하여 전면 조갑영상, 상부 조갑영상을 출력할 수도 있고, 전면, 상부 대각선 및 상부에서 세 번 촬영을 진행하여 전면 조갑영상, 상부 대각선 조갑영상, 상부 조갑영상을 출력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촬영부(310)는 광원부(314), 이미징 렌즈(313), 검출기 센서(312) 및 촬영부 케이스(311)를 포함한다.
광원부(314)는 적어도 둘 이상의 광원을 포함하고, 상기 촬영부 케이스(311)의 상기 조갑 받침대(100)를 향하는 면 또는 모서리 부근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성되어, 상기 조갑 받침대(100)에 놓인 손의 일부의 손톱 또는 발의 일부의 발톱에 적어도 둘 이상의 광을 순차적으로 조사한다.
이미징 렌즈(313)는 상기 광원부(314)에서 조사되는 광에 대응하는 상기 손의 일부 또는 발의 일부에 대한 상을 형성한다.
검출기 센서(312)는 상기 이미징 렌즈(313)에 형성된 상인 상기 손의 일부 또는 발의 일부에 대한 상기 광원별 조갑영상을 생성하여 출력한다.
상기 광원부(314)는 화이트(White) 광원, RGB(Red, Green, Blue) 광원, 자외선(Ultraviolet: UV) 광원, 적외선(Infrared: IR) 광원 등과 같이 그 파장대가 서로 다른 광원 중 둘 이상의 광원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촬영부 케이스(311)는 상기 검출기 센서(312) 및 이미징 렌즈(313)를 내부에 구성하여 보호하고 상기 이미징 렌즈(313)가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조갑 받침대(100) 방향을 향하도록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조갑 받침대(100)를 향하는 촬영부 케이스(311)의 일면 또는 모서리 부근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원부(314)가 구성될 것이다.
높이 조절부(200)는 상기 조갑 촬영모듈(300)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조갑 촬영모듈(300)의 높이를 조절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높이 조절부(200)는 조갑 촬영모듈(300)의 높이를 조절할 뿐만 아니라 상기 조갑 촬영부 본체의 내측 하부면에서 상기 조갑 받침대 주변을 따라 형성되는 조갑 촬영부 가이드 레일(400)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높이 조절부(200)가 조갑 촬영부 가이드 레일(400)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조갑 촬영모듈(300) 또한 조갑 받침대(100)의 정면에서 일 측면, 정면에서 타 측면, 일 측면에서 타 측면으로 이동할 것이다.
높이 조절부(200)는 도 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기억 형태의 조갑 촬영모듈(300)의 상측 끝부가 조갑 받침대(100)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조갑질환 분석부(20)는 상기 둘 이상의 촬영 위치 및 둘 이상의 광원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조갑영상을 입력받고, 이전에 확습된 조갑질환별 조갑영상에 대한 병변 학습 데이터에 근거하여 입력되는 조갑영상으로부터 병변을 판단하고, 이전에 학습된 병변별 조갑질환 학습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판단된 병변에 대응하는 조갑질환의 발생 여부 및 종류를 진단한다. 조갑질환 분석부(20)의 상세 구성 및 동작은 다음의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갑질환 진단 장치의 조갑질환 분석부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조갑질환 분석부(20)는 저장부(410), 디스플레이부(420), 입력부(430), 영상 처리부(440), 인터페이스부(450) 및 제어부(500)를 포함한다.
저장부(410)는 본 발명에 따른 조갑질환 분석부(2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영역, 상기 제어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임시영역, 상기 제어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 및 상기 제어프로그램에 필요한 데이터를 반영구적으로 저장하는 데이터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영역에는 이미지 기반 병변정보 DB(411) 및 병변정보 기반 질병 DB(412)가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미지 기반 병변정보 DB(411)는 조갑질환의 병변을 가지는 조갑영상에 대해 미리 학습된 조갑영상 기반의 병변정보 학습데이터를 저장한다.
병변정보 기반 질병 DB(412)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병변을 가지는 조갑질환에 대해 학습된 병변정보 기반 질병정보 학습데이터를 저장한다.
디스플레이부(420)는 제어부(500)의 제어를 받아 다양한 정보를 텍스트, 그래픽, 정지영상, 동영상 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표시한다.
입력부(430)는 다수의 기능을 선택할 수 있고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키보드 등의 키입력장치, 마우스, 상기 디스플레이부(420)의 화면과 일체로 구성되어 터치되는 위치에 대한 위치신호를 출력하는 터치패드 등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을 제공한다.
영상 처리부(440)는 상기 조갑 촬영부(10)의 촬영부(310)와 직접 연결되거나 인터페이스부(450)를 통해 연결되어 조갑 촬영부(10)의 촬영부(310)로부터 전송되는 복수의 조갑영상을 수신받아 영상 처리하여 출력한다. 상기 영상 처리란 상기 조갑영상을 미리 설정된 크기, 해상도, 밝기, 명도 등을 가지도록 변환하거나 특정 이미지를 추출하는 것을 의미한다.
인터페이스부(450)는 조갑 촬영부(10)와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 및 아날로그 통신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한다.
인터페이스부(450)는 범용직렬버스(USB) 방식이 적용되는 통신수단일 수도 있고, 제어부(500)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조갑 촬영부(10)의 촬영부(310) 및 높이 조절부(200)로 직접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수단일 수도 있을 것이다. 전자의 경우 조갑 촬영부(10)에도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범용직렬버스 방식에 통신 처리를 수행하는 통신수단 및 수신된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제어수단이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제어부(500)는 검사 이벤트 모니터링부(510), 광원 선택부(520), 카메라 제어부(530), 영상 획득부(540), 영상 분석부(550) 및 질병 판단부(560)를 포함하고, 실시예에 따라 학습부(570)를 더 포함하여 조갑질환 분석부(2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검사 이벤트 모니터링부(510)는 조갑질환 검사 이벤트가 발생되는지를 모니터링한다. 상기 조갑질환 검사 이벤트는 입력부(430)를 통해 키, 마우스 및 터치패드 등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조작에 따라 발생되는 조갑질환 검사 명령에 의해 발생될 수도 있을 것이다.
광원 선택부(520)는 상기 검사 이벤트 모니터링부(510)를 통해 조갑질환 검사 이벤트가 발생되면 인터페이스부(450)를 통해 촬영부(310)로 미리 설정된 순서에 따른 광원을 구동하기 위한 광원 선택 제어신호를 출력하되, 카메라 제어부(530)로부터 미리 설정된 모든 촬영 위치에 대한 촬영 완료 시 발생되는 촬영 완료 신호의 입력 시 다른 광원을 선택하는 광원 선택 제어신호를 촬영부(310)로 제공하여, 광원부(314)에 구성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광원이 순차적으로 변경되도록 한다.
카메라 제어부(530)는 위치 제어부(531) 및 촬영 제어부(532)를 포함하여 상기 조갑 촬영모듈(300)의 촬영 위치 이동 및 촬영과 관련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위치 제어부(531)는 광원 선택부(531)에 의해 하나의 광원이 선택되면 제1실시예에 따라 상기 선택된 하나의 광원에 대해 촬영부(310)를 이동시키고, 미리 설정된 촬영 위치에서 촬영 요청 신호를 촬영 제어부(532)로 출력하거나, 제2실시예에 따라 선택된 하나의 광원에 대해 둘 이상의 촬영부(310)를 순차적으로 선택하고, 선택된 촬영부(310)에 대한 촬영 요청 신호를 순차적으로 촬영 제어부(532)로 출력한다.
또한 위치 제어부(531)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조갑 촬영부 가이드 레일(400)을 포함하는 경우, 높이 조절부(200)를 제어하여 상기 높이 조절부(200)의 위치를 미리 설정된 촬영 위치로 이동시킨다.
촬영 제어부(532)는 위치 제어부(531)로부터 촬영 요청 신호가 입력 시 인터페이스부(450)를 통해 해당 촬영부(310)로 촬영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촬영 제어부(532)는 모든 촬영 위치에서의 촬영 제어 신호가 출력되면 광원 선택부(520)로 촬영 완료 신호를 출력한다.
영상 획득부(540)는 상기 촬영 제어부(532)에서 출력된 촬영 제어 신호 각각에 대응하는 광원 및 촬영 위치별 조갑영상을 영상 처리부(440)로부터 획득한다.
영상 분석부(550)는 두께 측정부(551) 및 병변 정보 획득부(552)를 포함하여 상기 영상 획득부(540)를 통해 획득되는 조갑영상을 이미지 기반 병변정보 DB(411)를 참조하여 분석한 후, 병변정보를 포함하는 영상 분석 정보를 출력한다.
상기 두께 측정부(551)는 입력되는 조갑영상으로부터 조갑의 두께를 측정하고, 측정된 조갑 두께정보를 출력한다. 두께 측정부(551)는 상기 조갑의 두께를 측정하기 위해 조갑 받침대(100)의 정면에서 촬영한 정면 조갑영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병변 정보 획득부(552)는 상기 영상 획득부(540)를 통해 획득되는 조갑영상을 이미지 기반 병변정보 DB(411)를 참조하여 분석한 후 병변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병변정보 및 상기 조갑 두께정보를 포함하는 영상 분석 정보를 질병 판단부(560)로 출력한다.
질병 판단부(560)는 상기 영상 분석 정보인 조갑 두께정보와 병변정보와 질병 DB(412)의 조갑 두께정보 및 병변정보를 비교하여 조갑질환의 발생 여부 및 종류를 판단한다.
학습부(570)는 상기 질병 판단부(560)에 의해 획득된 조갑영상들에 의해 조갑질환의 발생 및 종류가 판단되면 해당 조갑영상에 병변정보를 학습하여 이미지 기반 병변정보 DB(412)의 병변정보 학습데이터를 갱신하고, 병변정보에 대한 조갑질환을 학습하여 병변정보 기반 질병 DB(412)의 조갑질환 학습데이터를 갱신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갑질환 진단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우선 제어부(500)는 조갑질환 검사 이벤트가 발생하는지를 검사한다(S111).
조갑질환 검사 이벤트가 발생되면 제어부(500)는 미리 설정된 순서에 따른 광원을 선택한 후 광원부(314)를 제어하여 해당 광원을 구동시켜 해당 광을 조갑 받침대(100)를 향해 조사한다(S113).
선택된 광원에 의해 광이 조사되면 제어부(500)는 제1실시예에 따라 미리 설정된 순서의 복수의 촬영 위치들 중 해당 순서의 촬영 위치로 촬영부(310)를 이동시키거나, 제2실시예에 따라 촬영 위치에 고정된 복수의 촬영부(310) 중 미리 설정된 순서의 촬영부(310)를 구동한다(S115).
카메라 위치 제어가 완료되면 제어부(500)는 미리 설정된 순서에 따라 위치한 촬영 위치에서 구동된 촬영부(310)로 촬영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촬영을 수행한다(S117).
상기 촬영 제어 신호의 출력 후, 제어부(500)는 영상 처리부(440)를 통해 조갑영상이 획득되는지를 검사하고(S119), 획득된 조갑영상을 저장부(410)에 저장한다(S121).
상기 조갑영상이 저장되기 시작하면 제어부(500)는 미리 설정된 복수의 조갑영상들이 모두 획득되었는지를 확인하고(S123), 설정된 복수의 조갑영상이 획득되었으면 이미지 기반 병변 정보 DB(411)를 참조하여 병변정보를 획득하고(S125), 조갑영상 분석을 통해 조갑 두께, 즉 손톱 두께 또는 발톱 두께에 대한 조갑 두께정보를 획득하며(S127), 획득된 조갑 두께정보 및 병변정보를 포함하는 영상 분석 정보를 생성되는지를 검사한다(S129). 상기 제어부(500)는 조갑 두께정보 뿐만 아니라 조갑영상을 분석하여 손톱의 높이정보를 더 획득할 수도 있을 것이다.
미리 설정된 조갑영상이 획득되지 않았으면 제어부(500)는 상술한 S113으로 돌아가 미리 설정된 순서의 다음 광원을 선택한 후 상술한 S115 이후의 과정을 반복 수행한다.
상기 영상 기반 병변정보를 포함하는 영상 분석 정보가 생성되면 제어부(500)는 영상 기반 병변정보의 조갑 두께정보 및 병변정보와 병변정보 기반 질병 DB(412)의 정보들을 비교하여 조갑질환의 발생 여부 및 종류를 판단한다(S131).
조갑질환의 발생 여부 및 종류가 판단되면 제어부(500)는 판단된 조갑질환의 발생 여부 정보 및 종류 정보를 디스플레이부(420)에 표시한다(S133).
상술한 바와 같이 조갑질환이 판단되면 제어부(500)는 상기 획득된 조갑영상에 대한 병병정보에 대해 학습하여 이미지 기반 병변정보 DB(411)의 병변정보 학습데이터를 갱신하고, 병변정보에 대한 조갑질환에 대해 학습하여 병변정보 기반 질병 DB(412)의 조갑질환 학습데이터를 갱신한다(S135).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전형적인 바람직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임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에 의한 실시가 이하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 측정 샘플 10: 조갑 촬영부
11. 조갑 촬영부 본체 12: 개구부
20: 조갑질환 분석부 100: 조갑 받침대
110: 조갑 받침부 111: 베이스부
112: 전면 가이드부 113: 측면 가이드부
114: 측면 탄성부 120: 조갑 받침 지지부
130: 베이스 연장부 140: 연장 지지부
200: 높이 조절부 300: 조갑 촬영모듈
310: 촬영부 311: 촬영부 케이스
312: 검출기 센서 313: 이미징 렌즈
314: 광원부 320: 촬영부 가이드 레일
330: 조갑 촬영모듈 본체 400:조갑 촬영부 가이드 레일
410: 저장부 411: 이미지 기반 병변정보 DB
412: 병변정보 기반 질병 DB 420: 디스플레이부
430: 입력부 440: 영상 처리부
450: 인터페이스부 500: 제어부
510: 검사 이벤트 모니터링부
520: 광원 선택부 530: 카메라 제어부
531: 위치 제어부 532: 촬영 제어부
540: 영상 획득부 550: 영상 분석부
551: 두께 측정부 552: 병변 정보 획득부
560: 질병 판단부 570: 학습부

Claims (18)

  1. 적어도 손 또는 발의 상부 위치를 포함하는 서로 다른 둘 이상의 위치 및 서로 다른 파장을 가지는 적어도 둘 이상의 각 광원하에서 촬영영역에 삽입된 손 또는 발을 촬영하여 각각의 위치 및 각각의 광원에 대응하는 복수의 조갑영상을 생성하고, 생성된 조갑영상을 출력하는 조갑 촬영부; 및
    상기 둘 이상의 촬영 위치 및 둘 이상의 광원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조갑영상을 입력받고, 이전에 확습된 조갑질환별 조갑영상에 대한 병변 학습 데이터에 근거하여 입력되는 조갑영상으로부터 병변을 판단하고, 이전에 학습된 병변별 조갑질환 학습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판단된 병변에 대응하는 조갑질환의 발생 여부 및 종류를 진단하는 조갑질환 분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갑질환 진단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갑 촬영부는,
    적어도 손톱을 포함하는 손의 일부 및 적어도 발톱을 포함하는 발의 일부가 놓여지는 조갑 받침대;
    상기 손의 일부 및 발의 일부의 상부 위치를 포함하는 서로 다른 둘 이상의 위치 및 서로 다른 파장을 가지는 적어도 둘 이상의 광원 각각에서 촬영하여 각각의 촬영 위치 및 각각의 광원에 대응하는 복수의 조갑영상을 생성하고, 생성된 조갑영상을 출력하는 조갑 촬영모듈; 및
    상기 조갑 촬영모듈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갑질환 진단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갑 촬영부는,
    내측이 빈 공간을 형성하는 박스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조갑 받침대, 상기 조갑 촬영 모듈 및 높이 조절부가 상기 공간에 구성되고 상기 손의 일부 및 발의 일부가 외부에서 상기 공간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개구부가 형성되되, 상기 개구부의 경계에 상기 조갑 받침대가 배치되는 조갑 촬영부 본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갑질환 진단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상에 형성되되,
    상기 조갑 받침대는,
    상기 손의 일부 또는 발의 일부가 놓이도록 상기 공간 내측으로 배치되는 조갑 받침부; 및
    상기 조갑 받침부의 하부와 상기 조갑 촬영부 본체의 내측 하부 사이에 길게 형성되어 상기 조갑 받침부를 지지하는 조갑 받침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갑질환 진단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갑 받침부는,
    상기 손의 일부 또는 발의 일부가 놓이는 베이스부;
    상기 손의 일부 또는 발의 일부가 삽입되는 상기 베이스부의 전면 방향 끝 단부에 형성되어 손의 일부 또는 발의 일부가 상기 공간의 내측으로 더 삽입되지 않도록 가이드하는 전면 가이드부;
    상기 베이스부의 양 측면에 구성되어 상기 베이스부로 삽입되는 상기 손의 일부 또는 발의 일부가 상기 베이스부의 중앙에 놓이도록 가이드하는 측면 가이드부; 및
    상기 양 측면 가이드부 각각에 구성되어 상기 양 측면 가이드부가 중앙으로 향하는 힘을 가지고 상기 손의 일부 또는 발의 일부에 의해 상기 중앙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상기 양 측면 가이드부가 이동할 수 있도록 탄성을 제공하는 측면 탄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갑질환 진단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갑 받침대는,
    상기 베이스부에서 상기 조갑 촬영부 본체의 외부로 연장되어 상기 손의 일부 또는 발의 일부를 제외한 손 또는 발이 놓이는 베이스 연장부; 및
    상기 베이스 연장부의 하부에서 바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 연장부를 지지하는 연장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갑질환 진단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갑 촬영모듈은,
    상기 삽입된 손의 일부 또는 발의 일부의 삽입 방향 전면에 구성되어 상기 손의 일부의 손톱 또는 발의 일부의 발톱을 전면에서 촬영하여 전면 조갑영상을 생성하여 출력하는 전면 촬영부; 및
    상기 삽입된 손의 일부 또는 발의 일부의 손등 또는 발등의 상부 방향에 구성되어 상부에서 상기 손의 일부의 손톱 또는 발의 일부의 발톱 상부면을 촬영하여 상부 조갑영상을 생성하여 출력하는 상부 촬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갑질환 진단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촬영부 및 상부 촬영부는,
    상기 조갑 받침대에 놓인 손의 일부의 손톱 또는 발의 일부의 발톱에 적어도 둘 이상의 광을 순차적으로 조사하는 둘 이상의 광원을 포함하는 광원부;
    상기 광원부에서 조사되는 광에 대응하는 상기 손의 일부 또는 발의 일부에 대한 상이 형성되는 이미징 렌즈;
    상기 이미징 렌즈에 형성된 상인 상기 손의 일부 또는 발의 일부에 대한 상기 광원, 전면 촬영부 및 상부 촬영부별 전면 조갑영상 및 상부 조갑영상을 생성하여 출력하는 검출기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갑질환 진단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화이트 광원, RGB 광원, 자외선(UV) 광원, 적외선(IR) 광원 중 둘 이상의 광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갑질환 진단 장치.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갑 촬영부 본체의 내측 하부면에서 상기 조갑 받침대 주변을 따라 형성되는 조갑 촬영부 가이드 레일을 더 포함하되,
    상기 높이 조절부는,
    상기 조갑 촬영부 가이드 레일을 따라 상기 조갑 받침대의 주변을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조갑 촬영모듈이,
    상기 높이 조절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조갑 받침대를의 주변을 함께 회전하도록 하여, 상기 조갑 받침대에 놓인 손의 일부 또는 발의 일부를 전면, 대각선 양측면, 양측면에서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갑질환 진단 장치.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갑 촬영모듈은,
    기억자 형태의 내측이 빈 공간부를 형성하되, 상기 조갑 받침대에 대해 상기 기억자 부분이 배치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기억자 안쪽 부분이 개방되어 상기 빈 공간부에서 상기 조갑 받침대에 놓인 손의 일부 또는 발의 일부가 보이도록 구성되는 조갑 촬영모듈 본체;
    상기 촬영모듈 본체의 적어도 일측면부에 구성되어 상기 기억 형상을 따라 타원으로 형성되는 촬영부 가이드 레일; 및
    상기 촬영부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조갑 받침대의 전면, 상부 대각선, 및 상부로 이동하여 상기 조갑 받침대에 놓인 상기 손의 일부 또는 발의 일부를 전면, 상부 대각선 및 상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서 촬영하여 전면 조갑영상, 상부 대각선 조갑 영상 및 상부 조갑영상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생성하여 출력하는 촬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갑질환 진단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조갑질환 분석부는,
    조갑질환의 병변을 가지는 조갑영상에 대해 학습된 조갑영상 기반의 병변정보 학습데이터를 저장하는 이미지 기반 병변정보 DB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병변을 가지는 조갑질환에 대해 학습된 병변정보 기반 질병정보 학습데이터를 저장하는 병변정보 기반 질병 DB를 포함하는 저장부;
    디스플레이부;
    상기 조갑 촬영부에서 출력되는 복수의 조갑영상을 영상처리하여 출력하는 영상 처리부;
    상기 조갑 촬영부와 연결되어 제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둘 이상의 광원을 순차적으로 구동하여 해당 광을 조사하고 상기 촬영 위치를 제어하고, 상기 영상 처리부를 통해 상기 둘 이상의 위치 및 둘 이상의 광원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조갑영상을 입력받고, 상기 이미지 기반 병변정보 DB에 근거하여 입력되는 조갑영상으로부터 병변을 판단하고, 병변정보 기반 질병 DB에 근거하여 상기 판단된 병변에 대응하는 조갑질환의 발생 여부 및 종류를 진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갑질환 진단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조갑질환 검사 이벤트가 발생되는지를 검사하는 검사 이벤트 모니터링부;
    조갑질환 검사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조갑 촬영부의 상기 둘 이상의 광원을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구동하는 광원 선택부;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조갑 촬영부의 둘 이상의 촬영 위치를 순차적으로 변경하고, 순차적으로 선택되는 각 광원 및 각 촬영 위치에 대해 촬영을 제어하는 카메라 제어부;
    상기 둘 이상의 촬영 위치 및 둘 이상의 광원별 조갑영상들을 상기 영상 처리부를 통해 획득하는 영상 획득부;
    상기 영상 획득부를 통해 획득되는 조갑영상을 이미지 기반 병변정보 DB를 참조하여 분석한 후, 병변정보를 포함하는 영상 분석 정보를 출력하는 영상 분석부;
    상기 영상 분석 정보와 병변정보 기반 질병 DB의 병변정보를 비교하여 조갑질환의 발생 여부 및 종류를 판단하는 질병 판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갑질환 진단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제어부는,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조갑 촬영부의 둘 이상의 촬영 위치를 순차적으로 변경하는 위치 제어부; 및
    순차적으로 선택되는 각 광원 및 각 촬영 위치에 대해 상기 조갑 촬영부로 촬영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촬영을 제어하는 촬영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갑질환 진단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제어부는,
    상기 촬영 위치를 상기 촬영영역에 삽입된 손의 일부 및 발의 일부를 손 또는 발 삽입 방향의 정면 위치에서 손등 또는 발등의 상부 위치로 이동시키고, 상기 손의 일부 또는 발의 일부 정면 및 양 측면 위치로 순차적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촬영 제어부는,
    상기 정면 위치, 상부 위치, 정면 위치에서 상부 위치로 이동하는 중간 위치, 상기 양 측면 위치, 정면 위치에서 각 측면으로 이동하는 측면 이동 중간 위치 각각에서 조갑 촬영부로 촬영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각 위치에 대한 조갑영상이 획득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갑질환 진단 장치.
  16. 제어부가 조갑질환 검사 이벤트가 발생되는지를 검사하는 검사 이벤트 모니터링 과정;
    상기 제어부가 조갑질환 검사 이벤트가 발생되면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조갑 촬영부의 상기 둘 이상의 광원을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구동하는 광원 선택 과정;
    상기 제어부가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조갑 촬영부의 둘 이상의 촬영 위치를 순차적으로 변경하고, 순차적으로 선택되는 각 광원 및 각 촬영 위치에 대해 촬영을 제어하는 카메라 제어 과정;
    상기 제어부가 상기 둘 이상의 촬영 위치 및 둘 이상의 광원별 조갑영상들을 상기 영상 처리부를 통해 획득하는 영상 획득 과정;
    상기 제어부가 획득되는 조갑영상을 이미지 기반 병변정보 DB를 참조하여 분석한 후, 병변정보를 포함하는 영상 분석 정보를 출력하는 영상 분석 과정;
    상기 제어부가 상기 영상 분석 정보와 병변정보 기반 질병 DB의 병변정보를 비교하여 조갑질환의 발생 여부 및 종류를 판단하는 질병 판단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갑질환 진단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제어 과정은,
    상기 제어부가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조갑 촬영부의 둘 이상의 촬영 위치를 순차적으로 변경하는 위치 제어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순차적으로 선택되는 각 광원 및 상기 촬영 위치에 대해 상기 조갑 촬영부로 촬영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촬영을 제어하는 촬영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갑질환 진단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제어 단계는,
    상기 촬영 위치를 상기 촬영영역에 삽된 손의 일부 및 발의 일부를 손 또는 발 삽입 방향의 정면 위치에서 손등 또는 발등의 상부 위치로 이동시키는 상하 이동 단계; 및
    상기 손의 일부 또는 발의 일부 정면 및 양 측면 위치로 순차적으로 이동시키는 좌우 이동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촬영 제어 단계는,
    상기 정면 위치, 상부 위치, 정면 위치에서 상부 위치로 이동하는 중간 위치 각각에서 조갑 촬영부로 촬영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각 위치에 대한 조갑영상이 획득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상하 이동 촬영 제어 단계; 및
    상기 양 측면 위치, 정면 위치에서 각 측면으로 이동하는 측면 이동 중간 위치 각각에서 조갑 촬영부로 촬영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각 위치에 대한 조갑영상이 획득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좌우 이동 촬영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갑질환 진단 방법.
KR1020190086473A 2019-07-17 2019-07-17 조갑질환 검출 장치 및 방법 KR1022663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6473A KR102266345B1 (ko) 2019-07-17 2019-07-17 조갑질환 검출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6473A KR102266345B1 (ko) 2019-07-17 2019-07-17 조갑질환 검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9661A true KR20210009661A (ko) 2021-01-27
KR102266345B1 KR102266345B1 (ko) 2021-06-17

Family

ID=74238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6473A KR102266345B1 (ko) 2019-07-17 2019-07-17 조갑질환 검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634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34757A1 (ko) * 2022-06-03 2023-12-07 주식회사 링커버스 손톱 분석을 위해 이미지를 처리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9000053A1 (fr) * 1997-06-27 1999-01-07 Toa Medical Electronics Co., Ltd. Dispositif permettant d'examiner un organisme vivant et automate permettant d'analyser le sang d'une maniere non invasive au moyen dudit dispositif
KR101389585B1 (ko) * 2012-10-31 2014-05-07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포터블 모세혈관 진단키트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50139700A (ko) * 2014-06-03 2015-12-14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족피부질환 평가 및 진단을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US20180279940A1 (en) * 2017-03-30 2018-10-04 James Campbell Disease Detection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on of Abnormal Immunological Activity
KR101927287B1 (ko) 2018-03-05 2018-12-10 와이케이씨테크(주) 손등, 손톱, 발 피부진단 및 건강 측정장치
KR20190045884A (ko) * 2017-10-24 2019-05-03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 영상 판독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질병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9000053A1 (fr) * 1997-06-27 1999-01-07 Toa Medical Electronics Co., Ltd. Dispositif permettant d'examiner un organisme vivant et automate permettant d'analyser le sang d'une maniere non invasive au moyen dudit dispositif
KR101389585B1 (ko) * 2012-10-31 2014-05-07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포터블 모세혈관 진단키트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50139700A (ko) * 2014-06-03 2015-12-14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족피부질환 평가 및 진단을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US20180279940A1 (en) * 2017-03-30 2018-10-04 James Campbell Disease Detection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on of Abnormal Immunological Activity
KR20190045884A (ko) * 2017-10-24 2019-05-03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 영상 판독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질병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KR101927287B1 (ko) 2018-03-05 2018-12-10 와이케이씨테크(주) 손등, 손톱, 발 피부진단 및 건강 측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34757A1 (ko) * 2022-06-03 2023-12-07 주식회사 링커버스 손톱 분석을 위해 이미지를 처리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6345B1 (ko) 2021-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9269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tissue stiffness measurements
EP1433418A1 (en) Skin diagnostic imaging method and apparatus
US20120206587A1 (en) System and method for scanning a human body
US10321826B2 (en) Optical dynamic imaging system
US20170311872A1 (en) Organ image capture device and method for capturing organ image
US20070038118A1 (en) Subcutaneous tissue imager
KR101927287B1 (ko) 손등, 손톱, 발 피부진단 및 건강 측정장치
JP2004321793A (ja) 皮膚画像のコンピュータ解析の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7618143B2 (en) Pupilometer
CA2258124A1 (en) Dermal diagnostic analysis system and method
KR101028999B1 (ko) 설진 영상 촬영장치 및 방법
WO2004075677A1 (ja) 足型測定器
KR20150143063A (ko) 피부 진단 장치
KR102266345B1 (ko) 조갑질환 검출 장치 및 방법
JP2006149679A (ja) 健康度判定方法、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110720897A (zh) 光学脉波影像量测仪及脉象量测方法
EP3053514A1 (en) Organ imaging apparatus
JP2006081846A (ja) 顔面溝の評価方法及び装置
JP5074987B2 (ja) 顔撮影装置及び測色装置
JP5408527B2 (ja) メラノーマ診断用画像の作成方法
JP2005034424A (ja) 皮膚表面状態評価方法並びにその装置
US20160242678A1 (en) Organ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TWI717992B (zh) 光學脈波影像量測儀及脈波形變量測方法
JP7253298B2 (ja) 生体情報取得装置
KR102347442B1 (ko) 중적외선을 이용한 암종 컬러검출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