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9553A - 음식물 처리장치 및 음식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음식물 처리장치 및 음식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9553A
KR20210009553A KR1020190086222A KR20190086222A KR20210009553A KR 20210009553 A KR20210009553 A KR 20210009553A KR 1020190086222 A KR1020190086222 A KR 1020190086222A KR 20190086222 A KR20190086222 A KR 20190086222A KR 20210009553 A KR20210009553 A KR 202100095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clutch
door
food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62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반행진
구경진
김소라
오초희
진태규
정택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862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09553A/ko
Publication of KR202100095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95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09B3/005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08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 B02C18/0092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for waste water or for garb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08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vertical containers
    • B02C18/12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vertical containers with drive arranged below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Arrangement of disintegrating apparatus in waste pipes or outlets; 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5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201/00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 B02C2201/06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for garbage, waste or sew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체와 음식물이 유입되는 유입구, 및 외주면 또는 바닥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출구가 구비된 챔버; 상기 챔버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원통형상의 드럼 바디; 상기 드럼 바디의 상부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유입구를 통해 공급되는 액체와 음식물을 상기 드럼 바디로 안내하는 드럼 유입구; 상기 드럼 바디의 원주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드럼 바디로 유입된 액체를 상기 챔버로 배출하는 드럼 관통홀; 상기 드럼 바디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드럼 바디 내부의 음식물을 분쇄하는 분쇄부; 상기 드럼 바디의 바닥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드럼 바디 내부의 음식물을 상기 챔버로 배출하는 드럼 배출구; 상기 드럼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음식물이 저장되는 저장부; 및 상기 드럼 배출구를 개폐하도록 구비된 개폐부;를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음식물 처리장치 및 음식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Food Waste Treatment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음식물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음식물 처리장치는 싱크대(sink)의 배수구에서 배출되는 음식물을 분쇄하고, 분쇄된 음식물에서 물을 제거하며, 탈수된 음식물을 하수구로 이동시키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종래 음식물 처리장치는 싱크대의 배수구에 연결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싱크대 배수구로 유입되는 음식물이 저장되는 드럼, 상기 드럼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관통홀, 상기 드럼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음식물을 분쇄하는 분쇄부, 상기 하우징 내부의 물을 하수구로 안내하는 배수관을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등록번호 20-0241647).
상술한 구조를 가진 음식물 처리장치는 분쇄부를 통해 음식물을 분쇄하고, 드럼을 회전시켜 분쇄된 음식물에서 물을 제거 가능하지만, 사용자가 드럼 내부의 음식물을 직접 제거해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음식물의 분쇄, 탈수, 및 배출이 가능한 음식물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드럼 내부의 음식물을 드럼의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 가능한 음식물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음식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원주면에 드럼 관통홀이 구비된 드럼 바디; 상기 드럼 바디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드럼 바디 내부의 음식물을 분쇄하는 분쇄부; 상기 드럼 바디의 바닥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드럼 바디 내부의 음식물을 상기 드럼 바디의 외부로 배출하는 드럼 배출구; 상기 드럼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음식물이 저장되는 저장부; 및 상기 드럼 배출구를 개폐하도록 구비된 개폐부;를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분쇄부를 통해 음식물을 분쇄 가능하고, 상기 드럼 바디의 회전으로 음식물에서 액체를 제거할 수 있으며, 상기 개폐부를 통해 음식물을 상기 드럼 바디에서 상기 저장부로 배출 가능한 음식물 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액체와 음식물이 유입되는 유입구, 및 외주면 또는 바닥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출구가 구비된 챔버; 상기 챔버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원통형상의 드럼 바디; 상기 드럼 바디의 상부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유입구를 통해 공급되는 액체와 음식물을 상기 드럼 바디로 안내하는 드럼 유입구; 상기 드럼 바디의 원주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드럼 바디로 유입된 액체를 상기 챔버로 배출하는 드럼 관통홀; 상기 드럼 바디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드럼 바디 내부의 음식물을 분쇄하는 분쇄부; 상기 드럼 바디의 바닥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드럼 바디 내부의 음식물을 상기 챔버로 배출하는 드럼 배출구; 상기 드럼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음식물이 저장되는 저장부; 및 상기 드럼 배출구를 개폐하도록 구비된 개폐부;를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개폐부의 제어만으로 음식물을 상기 드럼 바디 내부에서 상기 저장부로 배출 가능하므로, 종래 기술에 비해 음식물의 배출이 용이한 음식물 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개폐부는 상기 드럼 바디의 바닥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도어; 및 상기 도어가 상기 드럼 배출구가 폐쇄되는 폐쇄점과 상기 드럼 배출구가 개방되는 개방점 사이를 왕복하게 하는 도어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는 상기 폐쇄점과 상기 개방점 사이를 왕복하도록 구비된 도어 바디; 상기 드럼 바디의 바닥면에 고정되어 상기 도어 바디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도어 하우징; 및 상기 도어 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 배출구에 노출되는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 제어부는 상기 드럼 바디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허브; 및 상기 허브에서 상기 드럼 바디의 원주면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허브의 회전 시 상기 접촉부를 상기 허브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암;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암은 상기 허브에서 상기 드럼 바디의 지름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허브의 회전 시 상기 접촉부를 상기 허브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바; 및 상기 제1바에서 상기 드럼 바디의 높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되 상기 드럼 바디의 원주면에 접촉하는 제2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바는 상기 도어 바디를 작동시키는 수단이고, 상기 제2바는 상기 드럼 바디의 원주면에 밀착된 음식물을 드럼 바디에서 분리시키는 수단이다.
상기 암은 상기 허브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동일한 각도로 이격된 두 개 이상의 제1바 및 제2바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럼 바디의 회전 시 상기 암에 의해 유발되는 진동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상기 도어 하우징은 상기 드럼 바디의 바닥면에 고정되어 상기 드럼 바디의 외부에 위치하는 하우징 바디; 상기 하우징 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드럼 배출구에 연통하는 하우징 관통홀; 및 일단은 상기 하우징 바디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도어 바디에 고정되어, 상기 도어 바디를 상기 폐쇄점이 위치된 방향으로 밀어주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도어 가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바디에 고정되어 상기 하우징 관통홀의 마주보는 양단에 위치하여 상기 도어 바디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는 상기 도어 바디의 이동경로를 따라 오목하게 절곡된 홈으로 구비된 제1가이드; 및 상기 도어 바디의 이동경로를 따라 평면으로 구비된 제2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 바디는 상기 제1가이드에 삽입되는 제1지지부; 및 상기 제2가이드에 안착되는 제2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챔버의 바닥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며, 일단은 상기 드럼 바디의 바닥면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챔버의 외부에 위치하는 제1회전축; 상기 제1회전축 및 상기 드럼 바디의 바닥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분쇄부를 회전시키는 제2회전축; 상기 제2회전축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제1지점과 제2지점 사이를 왕복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지점에 위치하면 상기 모터가 제공하는 동력을 상기 제1회전축에 전달하지 않고, 상기 제2지점에 위치하면 상기 모터가 제공하는 동력을 상기 제1회전축에 전달하는 클러치; 및 상기 허브를 상기 제2회전축에 고정하며, 상기 제2회전축의 시계방향 회전과 반시계방향 회전 중 어느 하나의 회전력만을 상기 허브에 전달하는 허브 클러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구동부를 통해, 하나의 모터만으로 상기 드럼 바디, 분쇄부, 및 도어 제어부의 회전을 제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상기 제1회전축 및 상기 제2회전축은 상기 챔버의 바닥면에 직교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1회전축의 원주면에 구비된 제1축 기어; 상기 챔버의 외부에 고정된 스토퍼 바디; 상기 스토퍼 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1회전축이 관통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스토퍼 관통홀; 상기 스토퍼 바디 구비된 제1체결부;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하며, 상기 제2회전축이 고정되는 연결바디; 상기 연결바디에 구비된 제2체결부; 상기 클러치를 관통하는 클러치 관통홀을 형성하며, 상기 제1축 기어에 결합하는 클러치 기어; 상기 클러치가 상기 제1지점에 위치한 때 상기 제1체결부에 결합하도록, 상기 클러치에 구비된 클러치 제1체결부; 및 상기 클러치가 상기 제2지점에 위치한 때 상기 제2체결부에 결합하도록, 상기 클러치에 구비된 클러치 제2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클러치와 상기 연결바디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클러치를 상기 스토퍼 바디 방향으로 가압하는 복원력 제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스토퍼 바디와 상기 연결바디 사이에 위치하는 지지바디; 상기 지지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바디 관통홀; 상기 클러치를 상기 바디 관통홀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는 클러치 베어링; 상기 클러치가 상기 제1지점과 상기 제2지점 사이를 왕복하도록 상기 지지바디의 위치를 조절하는 액추에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는 상기 챔버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 배출구의 하부에 위치하는 저장바디; 상기 저장바디의 일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드럼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음식물을 상기 저장바디 내부로 안내하는 바디 유입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바디는 상기 챔버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저장부는 상기 저장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액체를 상기 챔버로 배출하는 관통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음식물의 분쇄, 탈수, 및 배출이 가능한 음식물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드럼의 내부에 음식물이 잔류하는 것을 최소화함으로써, 음식물의 부패에 따른 악취 발생을 최소화 가능한 음식물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드럼 내부의 음식물을 드럼의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 가능한 음식물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음식물 처리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구비된 드럼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구비된 도어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에 구비된 구동부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구비된 허브 클러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구비된 도어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음식물 처리장치(100)는 액체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챔버(1), 상기 챔버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음식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드럼(4), 상기 드럼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음식물을 분쇄하는 분쇄부(45)를 포함한다.
본 발명 음식물 처리장치(100)는 싱크대에 구비되어 싱크 배수관에서 공급되는 음식물을 처리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싱크 배수관에 연결되지 않는 독립적인 장치로 구비되어 사용자가 투입하는 음식물을 처리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도 1은 음식물 처리장치(100)가 싱크대(S)에 연결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으로, 이 경우 상기 챔버(1)는 싱크 배수관(S1)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 음식물 처리장치(100)가 싱크 배수관에 연결되지 않는 독립적인 장치로 구비될 경우, 상기 챔버(1)에 구비된 유입구(음식물과 액체를 챔버로 유입)는 뚜껑 등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 챔버(1)의 일면에는 액체와 음식물을 상기 챔버(1) 내부로 유입시키는 유입구(11)가 구비된다. 상기 챔버(1)가 싱크 배수관(S1)에 연결되도록 구비될 경우, 상기 유입구(11)는 상기 챔버(1)의 상부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입구(11)와 싱크 배수관(S1)은 연결관(13)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챔버(1)에서 발생한 진동이 상기 싱크대(S)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연결관(13)은 탄성체로 구비될 수도 있고, 길이방향을 따라 신축 가능한 주름관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챔버(1)의 외주면과 바닥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챔버(1) 내부에 저장된 물질(액체, 음식물 등)을 상기 챔버(1)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14)가 구비된다. 상기 챔버(1)가 원통형상으로 구비될 경우, 상기 배출구(14)는 상기 챔버(1)의 원주면을 관통하는 관통홀, 또는 상기 챔버(1)의 바닥면을 관통하는 관통홀 중 어느 하나로 구비될 수 있다. 도 1은 상기 배출구(14)가 상기 챔버(1)의 원주면에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배출구(14)에는 배출관(15)이 구비된다. 상기 배출관(15)은 상기 배출구(14)와 하수구(미도시)를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챔버(1) 내부에 음식물이나 액체가 잔류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챔버(1)의 바닥면에는 상기 배출구(14)를 향해 하향 경사진 하우징 경사면(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럼(4)은 상기 챔버(1)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드럼 바디(41)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럼 바디(41)의 상부면에는 드럼 유입구(43)가 구비된다. 상기 유입구(11)를 통해 공급되는 액체와 음식물은 상기 드럼 유입구(43)를 통해 드럼 바디(41)로 공급된다.
상기 드럼 바디(41)가 상부면이 개방된 원통으로 구비될 경우, 상기 드럼 유입구(43)는 상기 드럼 바디의 개방된 상부면이 될 것이다. 이와 달리, 상기 드럼 바디(41)가 상부면이 폐쇄된 형태의 원통으로 구비된다면, 상기 드럼 유입구(43)는 상기 드럼 바디(41)의 상부면을 관통하는 관통홀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럼 바디의 원주면(411)에는 상기 드럼 바디(41)로 유입된 액체를 상기 챔버(1)로 배출하는 드럼 관통홀(417)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드럼 바디(41)로 유입된 액체와 음식물 중 액체는 상기 드럼 관통홀(417)을 통해 상기 챔버(1)로 배출될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드럼 바디의 바닥면(413)에는 상기 드럼 바디(41) 내부의 음식물을 상기 챔버(1)로 배출하는 드럼 배출구(44)가 구비된다.
상기 드럼 배출구(44)는 상기 드럼 바디의 바닥면(411)을 관통하는 관통홀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럼 배출구(44)의 넓이는 상기 분쇄부(45)에 의해 분쇄되는 음식물의 크기를 고려하여 설정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드럼 배출구(44)의 넓이는 상기 드럼 관통홀(417)의 넓이보다 넓게 설정되되, 상기 바닥면(413) 넓이의 1/6 내지 1/8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분쇄부(45)는 상기 드럼 바디(41)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드럼 바디(41)에 저장된 음식물을 분쇄하는 수단이다. 음식물을 분쇄 가능한 한 상기 분쇄부(45)는 어떠한 형상으로도 구비될 수 있다.
도 2는 상기 분쇄부(45)가 후술할 구동부(6)에 의해 회전하는 고정바디(451), 상기 고정바디에서 돌출된 제1블레이드(453) 및 제2블레이드(455)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드럼 배출구(44)는 개폐부에 의해 개폐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폐부(5)는 상기 드럼 바디의 바닥면(413)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도어(51), 및 상기 도어(51)가 폐쇄점과 개방점 사이를 왕복하게 하는 도어 제어부(56)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폐쇄점은 상기 드럼 배출구(44)가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상기 도어(51)의 위치를 의미하고, 상기 개방점은 상기 드럼 배출구(44)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상기 도어(51)의 위치를 의미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51)는 상기 폐쇄점과 상기 개방점 사이를 왕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드럼 배출구(44)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도어 바디(51b), 상기 드럼 바디(41)의 바닥면에 고정되어 상기 도어 바디(51b)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도어 하우징(51a), 일단은 상기 도어 하우징(51a)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도어 바디(51b)에 고정되어, 상기 도어 바디(51b)를 상기 폐쇄점이 위치된 방향으로 밀어주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도어 가압부(51c), 및 상기 도어 바디(51b)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 배출구(44)에 노출되는 접촉부(516)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 하우징(51a)은 상기 드럼 바디의 바닥면(413)에 고정되어 상기 드럼 바디(41)의 외부에 위치하는 하우징 바디(511), 및 상기 하우징 바디(511)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 배출구(44)를 상기 챔버(1)에 연통시키는 하우징 관통홀(512)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바디(511)는 상기 도어 바디(51b)를 수용 가능한 한 어떠한 형상으로도 구비될 수 있는데, 도 3은 상기 하우징 바디(511)가 상부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으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 상기 하우징 관통홀(512)은 상기 하우징 바디(511)의 바닥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관통홀(512)은 상기 드럼 배출구(44)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드럼 배출구의 넓이 이상의 넓이를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드럼 바디(41) 내부의 음식물은 상기 드럼 배출구(44) 및 하우징 관통홀(512)을 통해 상기 챔버(1)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접촉부(516)는 상기 도어 바디(51b)에서 돌출된 돌기로 구비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촉부(516)는 상기 드럼 배출구(44) 내부에 위치하도록 구비되어야 하며, 상기 접촉부(516)의 높이(H1)는 상기 드럼 바디의 바닥면(413) 높이(H2)보다 높게 설정되어야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 바디(511)에는 상기 하우징 관통홀(512)의 마주보는 양단에 위치하여 상기 도어 바디(51b)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가이드(513, 514)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는 상기 하우징 바디(511)의 바닥면에 형성된 홈으로 구비되는 제1가이드(513), 및 상기 도어 바디(51b)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평면으로 구비된 제2가이드(514)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가이드(513)를 형성하는 홈은 상기 도어 바디(51b)의 이동경로를 따라 연장되도록 구비된다. 이 경우, 상기 도어 바디(51b)에는 상기 제1가이드(513)에 삽입되는 제1지지부(518), 및 상기 제2가이드(514)에 안착되는 제2지지부(519)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518)는 상기 도어 바디(51b)에서 도어 하우징(51a)을 향해 돌출된 하나 이상의 돌기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부(519)는 상기 제2가이드(514)에 접촉하는 접촉판(519a), 및 상기 접촉판을 상기 도어 바디(51b)에 고정하는 고정판(519b)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접촉판(519ba은 상기 고정판(519b)을 통해 상기 도어 바디(51b)와 이격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제2지지부(519)는 상기 도어 바디(51b)에 복원력을 제공하므로, 상기 도어 바디(51b)는 상기 드럼 바디의 바닥면(413)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 가능하다.
상기 도어 가압부(51c)는 상기 하우징 관통홀(512)이 폐쇄되는 방향으로 상기 도어 바디(51b)를 밀어주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 제어부(56)는 상기 드럼 바디(41)의 회전중심에 위치하는 허브(561), 및 상기 허브(561)에서 상기 드럼 바디의 원주면(411)을 향해 연장된 암(563)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허브(561)는 후술할 구동부(6)에 의해 회전하며, 상기 암(563)은 상기 허브(561)의 회전 시 상기 접촉부(516)를 상기 허브(561)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단이다.
상기 암(563)은 상기 허브(561)에서 상기 드럼 바디(41)의 지름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바(563a), 및 상기 제1바(563a)에서 상기 드럼 바디(41)의 높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2바(563b)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바(563a)는 상기 허브(561)의 회전 시 상기 접촉부(516)를 상기 허브(561)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단이다. 상기 제2바(563b)는 상기 드럼 바디의 원주면(411)에 접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바(563b)는 상기 드럼 바디의 원주면(411)에 잔류하는 음식물을 상기 원주면(411)에서 분리시키는 수단이 될 것이다.
상기 도어 제어부(56)는 상기 허브(561), 및 상기 허브에 고정된 하나의 암(563)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도어 제어부(56)는 상기 허브(561), 및 상기 허브(561)를 중심으로 동일한 각도로 이격된 2개 이상의 암(563)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도 2는 상기 도어 제어부(56)가 허브(561), 상기 허브를 중심으로 서로 120도씩 이격된 제1암, 제2암, 및 제3암으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암(563)들이 상기 허브(561)를 중심으로 동일한 각도로 이격된 것은, 상기 드럼 바디(41)의 회전 시 상기 도어 제어부(56)에 의해 유발되는 진동을 최소화 하기 위함이다. 이 경우, 상기 제1암은 제1암 제1바 및 제1암 제2바로 구비되고, 상기 제2암은 제2암 제1바 및 제2암 제2바로 구비되며, 상기 제3암은 제3암 제1바 및 제3암 제2바로 구비될 것이다.
상기 제1바(563a)에 의해 상기 도어 바디(51b)가 이동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접촉부(516)에는 경사면(517)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사면(517)은 상기 개방점(도어 바디가 드럼 배출구를 개방하는 방향)을 향할수록 상향 경사진 면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저장부(2)는 상기 챔버(1) 내부에 위치하여 음식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저장바디(21), 상기 드럼 배출구(44)에서 배출되는 음식물을 상기 저장바디(21)로 유입시키는 바디 유입구(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바디(21)는 상기 챔버(1)의 원주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장착부(17)를 통해 상기 챔버(1)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장착부(17)는 상기 챔버(1)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관통홀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저장바디(21)에는 상기 저장바디(21)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관통홀(211)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관통홀(211)은 상기 저장바디(21) 내부로 유입된 액체를 상기 챔버(1)로 배출하기 위한 수단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달리, 상기 드럼 바디의 바닥면(413)에는 다수의 드럼 배출구(44)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다수의 드럼 배출구들(44)은 상기 드럼 바디(41)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동일한 각도로 이격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드럼 바디의 바닥면(413)에 다수의 드럼 배출구들(44)이 구비될 경우, 상기 도어 바디(51b) 및 도어 하우징(51a)은 상기 드럼 배출구들(44) 각각에 구비되어야 한다.
상기 드럼 바디의 바닥면(413)에 서로 120도 간격으로 이격된 제1드럼 배출구, 제2드럼 배출구, 및 제3드럼 배출구가 구비된 경우를 가정해보자. 이 경우, 상기 도어(51)는 상기 제1드럼 배출구를 개폐하도록 구비된 제1도어, 상기 제2드럼 배출구를 개폐하도록 구비된 제2도어, 및 상기 제3드럼 배출구를 개폐하도록 구비된 제3도어로 구비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도어 제어부(56)는 상기 허브(561), 상기 허브에 고정되어 상기 제1도어의 도어 바디를 개방하는 제1암, 상기 허브에 고정되어 상기 제2도어의 도어 바디를 개방하는 제2암, 및 상기 허브에 고정되어 상기 제3도어의 도어 바디를 개방하는 제3암으로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상기 도어 제어부(56)는 상기 허브(561), 및 상기 허브에 고정된 하나의 암(563)으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허브(561)가 360도 회전하면, 하나의 암(563)만으로도 각 도어에 구비된 도어 바디(51b)를 상기 폐쇄점에서 상기 개방점으로 이동시킬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드럼 바디의 바닥면(413)에 다수의 드럼 배출구들(44)이 구비될 경우, 상기 저장바디(21)는 각 드럼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음식물을 수용 가능한 C자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저장바디(21)가 C자 형상으로 구비된 것은, 상기 저장바디(21)가 챔버(1)에 결합하거나 분리될 때 상기 제1회전축(62)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 음식물 처리장치(100)는 상기 드럼 배출구(44)가 상기 바디 유입구(23)의 상부에 위치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위치 감지부(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위치 감지부는 하우징 바디(511) 또는 상기 도어 바디(51b)에 고정된 자석, 상기 챔버(1)에 구비되어 상기 자석의 자력을 감지하는 자력감지부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자력감지부가 제공하는 신호를 통해 상기 드럼 배출구(44)가 상기 바디 유입구(23)의 상부에 위치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술한 분쇄부(45), 드럼 바디(41) 및 도어 제어부(56)는 구동부(6)에 의해 회전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부(6)는 상기 챔버(1)의 바닥면을 관통하여 상기 드럼 바디(41)에 연결된 제1회전축(62), 상기 제1회전축(62) 및 드럼 바디의 바닥면(413)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분쇄부(45) 및 도어 제어부(56)의 회전축을 형성하는 제2회전축(64), 상기 제2회전축(64)을 회전시키는 모터(61), 및 상기 모터(61)가 제공하는 동력을 상기 제1회전축(62)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6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회전축(62) 및 제2회전축(64)은 상기 챔버(1)의 바닥면에 직교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챔버(1)의 바닥면에는 상기 제1회전축(62)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이 구비된다. 상기 회전축(62, 64)이 챔버의 바닥면에 직교한다는 것은, 상기 회전축(62, 64)과 상기 챔버(1)의 바닥면이 형성하는 각도가 음식물 처리장치의 제작에 요구되는 공차 범위 내에서 90도라는 것을 의미한다.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회전축(62)은 상단은 상기 드럼 바디의 바닥면(413)에 고정되고, 하단은 상기 챔버(1)의 외부에 위치하는 축바디(621), 상기 축바디(621)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축관통홀(623)을 포함한다.
상기 축관통홀(623)은 상기 축바디(621)의 길이방향(Y축 방향)을 따라 구비된다. 상기 축바디(621)의 원주면에는 상기 동력전달부(65)에 구비된 클러치(655)가 체결되는 축 기어(629)가 구비된다.
상기 축바디(621)에는 상기 드럼 바디의 바닥면(413)에 고정되는 드럼 체결부(627)가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드럼 체결부(627)는 상기 축바디(621)의 원주면에서 돌출되는 디스크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축바디(621)의 상단은 상기 드럼 바디의 바닥면(413)을 관통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드럼 바디(41)의 내부 공간은 상기 축바디에 구비된 축관통홀(623)을 통해 상기 챔버(1)의 외부와 연통한다.
바(bar) 형상의 제2회전축(64)이 상기 축관통홀(623)에 삽입되면, 상기 제2회전축(64)의 상단은 상기 드럼 바디(41)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회전축(64)의 하단은 상기 챔버(1)의 외부에 위치한다. 상기 분쇄부(45) 및 상기 도어 제어부(56)는 상기 제2회전축(64)의 상단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드럼 바디(41)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축관통홀(623) 내부에는 상기 제2회전축(64)을 상기 축바디(62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625)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베어링(625)은 상기 드럼바디(41) 내부의 물질이 상기 축관통홀(623)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한다.
상기 동력전달부(65)에 구비된 클러치(655)는 기 설정된 제1지점과 제2지점 사이를 왕복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1지점은 상기 모터(61)가 제공하는 동력을 상기 제1회전축(62)에 전달하지 않는 상기 클러치(655)의 위치(도 5의 상측 도면)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2지점은 상기 모터(61)가 제공하는 동력을 상기 제1회전축(62)에 전달하는 상기 클러치(655)의 위치(도 5의 하측 도면)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클러치(655)의 위치 제어를 위해, 상기 동력전달부(65)는 상기 챔버(1)의 외부에 고정된 스토퍼(651), 상기 제2회전축(64)을 상기 모터의 회전축(611)에 연결하는 연결부(65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클러치(655)는 상기 축 기어(629)에 체결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스토퍼(651)와 상기 연결부(653) 사이를 왕복(제1지점과 제2지점 사이를 왕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651)는 상기 하우징(1)이나 상기 챔버(1)에 고정될 수도 있고, 상기 챔버(1)의 바닥면에 고정된 프레임(8)에 고정될 수도 있는데, 도 4는 상기 스토퍼(651)가 상기 프레임(8)에 고정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8)은 상기 하우징(1)의 바닥면에 고정되는 제1베이스 프레임(81), 상기 연결부(653)가 지지되는 제2베이스 프레임(82), 상기 모터(61)의 일단을 지지하는 제3베이스 프레임(83), 및 상기 모터(61)의 타단을 지지하도록 구비된 제4베이스 프레임(8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베이스 프레임(81)에는 상기 제1회전축(62)이 관통하는 제1베이스 관통홀이 구비되며, 상기 제1베이스 관통홀에는 상기 제1회전축(62)의 원주면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회전축 베어링(813)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베이스 프레임(82)에는 상기 연결부(653)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연결부 베어링(823)이 구비된다. 상기 연결부 베어링(823)은 상기 제2베이스 프레임(82)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제2베이스 관통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3베이스 프레임(83)에는 제3베이스 관통홀이 구비되는데, 상기 모터 회전축(611)은 상기 제3베이스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연결부(653)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8)에는 본 발명 음식물 처리장치(100)의 높이방향(Y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다수의 지지프레임들이 구비될 수 있는데, 도 4는 5개의 지지프레임이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즉, 상기 프레임(8)에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들(81, 82, 83, 84)이 고정되는 제1지지프레임(85), 제2지지프레임(86), 제3지지프레임(87), 제4지지프레임(88), 및 제5지지프레임(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프레임(85)과 제3지지프레임(87)은 서로 대칭인 지점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4는 상기 제1지지프레임(85)과 제3지지프레임(87)이 각 베이스 프레임들(81, 82, 83, 84)의 측면을 고정하도록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제2지지프레임(86)은 상기 제1지지프레임(85)과 제3지지프레임(87) 사이에 위치하여 각 베이스 프레임들(81, 82, 83, 84)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4지지프레임(88)과 제5지지프레임은 상기 제1지지프레임(85)과 제3지지프레임(87)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베이스 프레임들(81, 82, 83, 84)의 후방 모서리에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4지지프레임(88)과 제5지지프레임은 서로 대칭인 지점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구조의 프레임(8)이 구비될 경우, 상기 스토퍼(651)는 상기 제1베이스 프레임(81)에 고정되는 스토퍼 바디(651a), 상기 스토퍼 바디(651a)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스토퍼 관통홀(651b), 상기 스토퍼 바디(651a)에 구비되어 상기 클러치(655)가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는 제1체결부(651c)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회전축(62)과 제2회전축(64)은 상기 스토퍼 관통홀(651b)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스토퍼 바디(651a)를 관통한다. 즉, 상기 제1회전축(62)과 제2회전축(64)은 상기 스토퍼 관통홀(651b)에 삽입되기 때문에, 상기 스토퍼 바디(651a)에 간섭되지 않는다.
상기 연결부(653)는 상기 연결부 베어링(823)을 통해 상기 제2베이스 프레임(82)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연결바디(653a)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바디(653a)의 상부면에는 상기 제2회전축(64)이 고정되는 제1고정부(653c)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바디(653a)의 하부면에는 상기 모터 회전축(611)이 고정되는 제2고정부(653d)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연결바디(653a)에는 상기 클러치(655)가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는 제2체결부(653b)가 구비된다. 도 4는 상기 제2체결부(653b)가 상기 연결바디(653a)의 상부면에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제2체결부(653b)는 다수의 돌기가 상기 제1고정부(653c)를 감싸는 링을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클러치(655)는 상기 스토퍼 바디(651a)와 연결바디(653a) 사이에 위치하는 클러치 바디(655a), 상기 클러치 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클러치 관통홀(655d), 상기 클러치 바디(655a)에 구비되어 상기 클러치 관통홀(655d) 내부에 위치하는 클러치 기어(655e)를 포함한다. 상기 제1회전축(62)은 상기 클러치 관통홀(655d)에 삽입되어 상기 클러치 바디(655a)에 연결된다. 즉, 상기 제1회전축(62)이 상기 클러치 관통홀(655d)에 삽입되면, 상기 클러치 기어(655e)는 상기 축 기어(629)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클러치 바디(655a)의 상부면에는 상기 스토퍼의 제1체결부(651c)에 결합하는 클러치 제1체결부(655b)가 구비된다. 상기 클러치 바디(655a)의 하부면에는 상기 연결바디(653a)의 제2체결부(653b)에 결합하는 클러치 제2체결부(655c)가 구비된다.
상기 제1체결부(651c)는 상기 스토퍼 바디(651a)가 제공하는 공간 중 상기 클러치(655)를 향하는 면에 형성된 홈 또는 돌기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클러치 제1체결부(655b)는 링을 형성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1체결부(651c)에 결합하는 다수의 돌기 또는 홈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체결부(653b)는 상기 연결바디(653a)가 제공하는 공간 중 상기 클러치(655)를 향하는 면에 형성된 홈 또는 돌기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클러치 제2체결부(655c)는 링을 형성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2체결부(653b)에 결합하는 다수의 돌기 또는 홈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5의 상측 도면에 표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러치(655)가 제1지점에 위치하면, 상기 클러치 제1체결부(655b)는 상기 제1체결부(651c)에 결합한다. 그러나, 도 5의 하측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러치(655)가 제2지점으로 이동하면, 상기 클러치 제2체결부(655c)는 상기 제2체결부(653b)에 결합한다.
상기 클러치(655)는 이송부(67)를 통해 상기 스토퍼(651)와 상기 연결부(653) 사이를 왕복할 수 있다. 상기 이송부(67)는 상기 스토퍼 바디(651a)와 상기 연결바디(653a) 사이에 위치하는 지지바디(671), 상기 지지바디를(671) 관통하도록 구비된 바디 관통홀, 상기 클러치 바디(655a)를 상기 바디 관통홀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는 클러치 베어링(675), 상기 클러치 바디(655a)가 상기 제1지점과 상기 제2지점 사이를 왕복하도록 상기 지지바디(671)의 위치를 조절하는 액추에이터(67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바디(671)는 상기 스토퍼 바디(651a)와 상기 연결바디(653a) 사이에서 왕복 가능한 한 어떠한 형상으로도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액추에이터(677)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들(81, 82, 83, 84)과 지지프레임들(85, 86, 87, 88)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된 액추에이터 케이스(677a), 원기둥을 형성하도록 권선되어 상기 케이스 내부에 고정된 코일(677b), 일단은 상기 지지바디(671)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코일 내부에 위치된 플런저(677c, plunger)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플런저(677c)는 도체로 구비된다.
상기 코일(677b)은 전류의 공급 시 상기 지지바디(671)에 고정된 상기 플런저(677c)의 일단이 상기 액추에이터 케이스(677a)를 향해 이동하게 하는 자기장(지지바디를 연결부가 위치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자기장, 클러치를 제2지점으로 이동시키는 자기장)을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클러치 바디(655a)와 연결바디(653a) 사이에는 상기 클러치 바디(655a)를 상기 스토퍼 바디(651a) 방향으로 가압하는 복원력 제공부(65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코일(677b)에 전류가 공급되지 않을 때, 상기 지지바디(671)에 고정된 상기 플런저(677c)의 일단이 상기 액추에이터 케이스(677a)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이동할 수 있도록(클러치를 제1지점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하기 위함이다. 상기 클러치 바디(655a)와 연결바디(653a) 사이에 위치하는 압축스프링이 복원력 제공부의 일례가 될 수 있다.
상기 복원력 제공부(656)가 구비된 음식물 처리장치(100)는, 상기 클러치 바디(655a)를 제2지점으로 이동시킬 때에만 상기 코일(677b)에 전류를 공급하면 되므로, 음식물 처리장치에 요구되는 전력량을 최소화 가능할 것이다.
한편, 상기 복원력 제공부(656)는 상기 클러치 바디(655a)를 상기 연결바디(653a)가 위치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힘을 제공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코일(677b)은 상기 지지바디(671)에 고정된 상기 플런저(677c)의 일단이 상기 액추에이터 케이스(677a)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이동하게 하는 자기장(클러치를 제1지점으로 이동시키는 자기장)을 형성하도록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상술한 복원력 제공부(656)가 구비되지 않는 경우라면, 상기 이송부(67)는 상기 코일(677b)에 공급되는 전류의 방향을 변경함으로써 상기 클러치(655)가 제1지점과 제2지점 사이를 왕복시키도록 구비되어야 한다.
상기 프레임(8)에는 상기 지지바디(671)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이송부 가이드(679)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5는 상기 이송부 가이드(679)가 상기 제1베이스 프레임(81)과 제2베이스 프레임(82)을 연결하도록 구비된 가이드 바(bar) 및 상기 지지바디(671)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 바가 삽입되는 가이드 관통홀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도 5의 상측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 제어부(56)는 허브 클러치(57)를 통해 상기 제2회전축(64)에 고정된다.
상기 허브 클러치(57)는 상기 제2회전축(64)의 시계방향 회전과 반시계방향 회전 중 어느 하나의 회전력만을 상기 허브(561)에 전달하는 수단으로, 원 웨이 클러치(one-way clutch)가 일례가 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허브 클러치(57)는 상기 제2회전축(64)에 고정된 제1커플러(571), 상기 허브(561)가 고정되는 제2커플러(578), 상기 제1커플러와 제2커플러 사이에 위치하는 볼(575), 상기 제1커플러에 구비되어 상기 볼(575)을 지지하는 볼 서포터(57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볼 서포터(572)에는 상기 볼(575)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오목하게 절곡된 홈, 일단은 상기 홈에 삽입되고 자유단은 상기 볼(575)에 접촉하는 가압부(573), 및 상기 홈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가압부(573)의 자유단을 상기 볼(575) 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574)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회전축(64)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1커플러(571)도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제1커플러(571)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볼(575)은 상기 가압부(573)를 볼 서포터(572) 방향으로 가압한다. 상기 스프링(574)에 의해 상기 가압부(573)가 상기 홈을 향해 이동하면, 상기 볼(575)은 상기 두 커플러(571, 578) 사이에서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제2회전축(64)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2커플러(578)는 회전하지 않는다(허브는 회전하지 않는다).
한편, 상기 제2회전축(64)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1커플러(571)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제1커플러(571)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볼(575)은 상기 두 커플러(571, 578) 사이에서 회전할 수 없는 상태(두 커플러 사이에 낀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제2회전축(64)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상기 도어 제어부의 허브(561)는 상기 제2커플러(578)와 함께 회전할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달리, 상기 허브 클러치(57)는 상기 제2회전축(64)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허브(561)를 회전시키고, 상기 제2회전축(64)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허브(561)를 회전시키지 않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구조를 가진 음식물 처리장치(100)의 작동과정에 대해 살펴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싱크대(S)에 저장된 액체와 음식물은 싱크 배수관(S1), 연결관(13), 유입구(11), 및 드럼 유입구(43)를 거쳐 상기 드럼 바디(41)로 유입된다.
상기 드럼 바디(41)로 유입된 액체는 상기 드럼 바디의 원주면(411)에 구비된 드럼 관통홀(417)을 통해 상기 챔버(1)로 배출될 것이므로, 상기 드럼 바디(41) 내부에는 음식물만 남게 될 것이다. 상기 챔버(1)로 배출된 액체는 상기 배출구(14) 및 배출관(15)을 통해 하수구로 이동할 것이다.
상기 드럼 바디(41)에 음식물이 공급되면, 본 발명 음식물 처리장치(100)는 상기 분쇄부(45)만을 회전시켜 음식물을 분쇄하는 분쇄과정을 진행한다. 도 6의 구조의 허브 클러치(57)가 구비된 경우, 상기 도어 제어부(56)는 회전키지 않고 상기 분쇄부(45)만 회전시키려면, 상기 구동부(6)는 상기 제2회전축(64)만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야 한다.
상기 제1회전축(62)은 회전시키지 않고, 상기 제2회전축(64)만을 회전시키려면, 상기 이송부(67)는 상기 클러치(655)를 제1지점으로 이동시켜야 한다. 도 5의 상측 도면에 표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바디(671)가 상기 스토퍼(651)를 향해 이동하면, 상기 클러치 제1체결부(655b)는 제1체결부(651c)에 결합한다. 상기 클러치(655)와 제1회전축(62)은 클러치 기어(655e) 및 축 기어(629)를 통해 서로 체결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상기 클러치(655)가 스토퍼(651)에 고정되면 상기 제1회전축(62)도 상기 스토퍼(651)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클러치(655)가 제1지점으로 이동하면, 상기 모터 회전축(611)의 회전운동은 상기 연결부(653)에 고정된 제2회전축(64)에만 전달된다.
상기 분쇄부(45)를 통한 음식물의 분쇄과정이 완료되면, 본 발명 음식물 처리장치(100)는 드럼 바디에 저장된 음식물에 포함된 액체를 상기 챔버(1)로 배출하는 탈수과정을 진행한다.
상기 탈수과정은 상기 제1회전축(62)과 제2회전축(64)을 동시에 회전시킴으로써 진행된다. 상기 제1회전축(62)과 제2회전축(64)이 동시에 회전하면, 음식물에 포함된 액체는 상기 원주면 관통홀(419)을 통해 상기 챔버(1)로 배출될 것이다. 상기 탈수과정에서 상기 분쇄부(45) 및 상기 도어 제어부(56)는 상기 드럼 바디(41)와 함께 회전해야만, 음식물에서 액체를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탈수과정은 상기 제1회전축(62) 및 제2회전축(64)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비되어야 한다.
상기 제1회전축(62)과 제2회전축(64)이 동시에 회전하려면, 상기 클러치(655)는 제2지점으로 이동해야 한다. 도 5의 하측 도면에 표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러치(655)가 상기 연결부(635)를 향해 이동하면, 상기 클러치 제2체결부(655c)는 제2체결부(653b)에 결합한다. 상기 클러치(655)와 제1회전축(62)은 클러치 기어(655e) 및 축 기어(629)를 통해 서로 체결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상기 클러치(655)가 연결부(653)에 고정되면 상기 제1회전축(62)은 상기 연결부(653)와 함께 회전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상기 클러치(655)가 제2지점으로 이동하면, 모터 회전축(611)의 회전운동은 상기 제1회전축(62) 및 제2회전축(64)에 각각 전달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모터 회전축(611)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1회전축(62) 및 제2회전축(64) 모두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것이다.
상술한 탈수과정이 완료되면, 본 발명 음식물 처리장치(100)는 상기 드럼 바디(41)에 저장된 음식물을 상기 챔버(1)으로 배출하는 배출과정을 진행한다.
도 1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상기 배출과정은 상기 드럼 배출구(44)를 상기 저장바디(21)에 구비된 바디 유입구(23)의 상부에 위치시키는 정렬단계, 상기 제2회전축(64)만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음식물을 상기 저장바디(21)로 배출하는 배출단계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정렬단계는 위치 감지부에 구비된 자력감지부(미도시)가 상기 도어 바디(51b) 등에 고정된 자석의 자력을 감지할 때까지 상기 제1회전축 및 제2회전축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진행될 수 있다.
상기 배출단계에서 상기 구동부(6)는 제2회전축(64)만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제2회전축(64)만을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클러치(655)는 상기 제1지점으로 이동해야 하는데, 그 과정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회전축(64)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도어 제어부(56)에 구비된 제1바(563a) 및 제2바(563b)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될 것이다. 이 경우, 상기 분쇄부(45)는 상기 도어 제어부(56)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할 것이다.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상기 제1바(563a)는 상기 접촉부(516)를 반시계방향으로 이동시킬 것이기 때문에, 상기 폐쇄점에 있던 상기 도어 바디(51b)는 상기 개방점으로 이동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 도어 배출구(44)는 개방되고, 상기 드럼 바디(41) 내부의 음식물은 상기 드럼 배출구(44) 및 하우징 관통홀(512)를 거쳐 저장부(2)로 배출될 것이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촉부(516)에 구비된 경사면(517)은 상기 도어 바디(51b)가 상기 개방점에 위치한 때 상기 제1바(563a)가 상기 접촉부(516)를 넘어가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제1바(563a)와 접촉부(516)의 파손 위험을 최소화 가능하다.
상기 제1바(563a)가 상기 접촉부(516)를 통과할 때, 상기 도어 바디(51b)는 상기 드럼 바디의 바닥면(413)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가압된다. 그러나,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바(563a)가 상기 접촉부(516)를 통과하고 나면, 상기 제2지지부(519)가 제공하는 복원력에 의해 상기 도어 바디(51b)는 상기 바닥면(413)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것이다.
또한, 상기 제1바(563a)가 상기 접촉부(516)를 통과하고 나면, 상기 도어 바디(51b)는 상기 도어 가압부(51c)에 의해 도 7(a)에 도시된 개방점에서 도 7(b)에 표시된 폐쇄점으로 이동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 도어 배출구(44)는 도어 바디(51b)에 의해 폐쇄된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음식물 처리장치 S: 싱크대 S1: 싱크 배수관
1: 챔버 11: 유입구 13: 연결관
14: 배출구 17: 장착부 2: 저장부
21: 저장바디 211: 관통홀 23: 바디 유입구
4: 드럼 41: 드럼 바디 411: 원주면
413: 바닥면 417: 드럼 관통홀 43: 드럼 유입구
44: 드럼 배출구 45: 분쇄부 451: 고정바디
453: 제1블레이드 455: 제2블레이드 5: 개폐부
51: 도어 51a: 도어 하우징 511: 하우징 바디
512: 하우징 관통홀 513: 제1가이드 514: 제2가이드
51b: 도어 바디 516: 접촉부 517: 경사면
518: 제1지지부 519: 제2지지부 51c: 도어 가압부
56: 도어 제어부 561: 허브 563: 암
563a: 제1바 563b: 제2바 57: 허브 클러치
571: 제1커플러 572: 볼 서포터 573: 가압부
574: 스프링 575: 볼 578: 제2커플러
6: 구동부 61: 모터 611: 모터 회전축
62: 제1회전축 621: 축바디 623: 축관통홀
627: 드럼 체결부 629: 축 기어 64: 제2회전축
65: 동력전달부 651: 스토퍼 651a: 스토퍼 바디
651b: 스토퍼 관통홀 651c: 제1체결부 653: 연결부
653a: 연결바디 653b: 제2체결부 653c: 제1고정부
653d: 제2고정부 655: 클러치 655a: 클러치 바디
655b: 클러치 제1체결부 655c: 클러치 제2체결부 655d: 클러치 관통홀
655e: 클러치 기어 656: 복원력 제공부 67: 이송부
671: 지지바디 675: 클러치 베어링 677: 액추에이터
8: 프레임

Claims (13)

  1. 액체와 음식물이 유입되는 유입구, 및 외주면 또는 바닥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출구가 구비된 챔버;
    상기 챔버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원통형상의 드럼 바디;
    상기 드럼 바디의 상부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유입구를 통해 공급되는 액체와 음식물을 상기 드럼 바디로 안내하는 드럼 유입구;
    상기 드럼 바디의 원주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드럼 바디로 유입된 액체를 상기 챔버로 배출하는 드럼 관통홀;
    상기 드럼 바디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드럼 바디 내부의 음식물을 분쇄하는 분쇄부;
    상기 드럼 바디의 바닥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드럼 바디 내부의 음식물을 상기 챔버로 배출하는 드럼 배출구;
    상기 드럼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음식물이 저장되는 저장부; 및
    상기 드럼 배출구를 개폐하도록 구비된 개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상기 드럼 바디의 바닥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도어;
    상기 도어가 상기 드럼 배출구가 폐쇄되는 폐쇄점과 상기 드럼 배출구가 개방되는 개방점 사이를 왕복하게 하는 도어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폐쇄점과 상기 개방점 사이를 왕복하도록 구비된 도어 바디; 상기 드럼 바디의 바닥면에 고정되어 상기 도어 바디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도어 하우징; 일단은 상기 도어 하우징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도어 바디에 고정되어, 상기 도어 바디를 상기 폐쇄점이 위치된 방향으로 밀어주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도어 가압부; 및 상기 도어 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 배출구에 노출되는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 제어부는 상기 드럼 바디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허브; 및 상기 허브에서 상기 드럼 바디의 원주면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허브의 회전 시 상기 접촉부를 상기 허브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상기 허브에서 상기 드럼 바디의 지름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허브의 회전 시 상기 접촉부를 상기 허브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바;
    상기 제1바에서 상기 드럼 바디의 높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되 상기 드럼 바디의 원주면에 접촉하는 제2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상기 허브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동일한 각도로 이격된 두 개 이상의 제1바 및 제2바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하우징은
    상기 드럼 바디의 바닥면에 고정되어 상기 드럼 바디의 외부에 위치하는 하우징 바디;
    상기 하우징 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드럼 배출구에 연통하는 하우징 관통홀; 및
    상기 하우징 바디에 고정되어 상기 하우징 관통홀의 마주보는 양단에 위치하여 상기 도어 바디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상기 도어 바디의 이동경로를 따라 오목하게 절곡된 홈으로 구비된 제1가이드; 및 상기 도어 바디의 이동경로를 따라 평면으로 구비된 제2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 바디는 상기 제1가이드에 삽입되는 제1지지부; 및 상기 제2가이드에 안착되는 제2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의 바닥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며, 일단은 상기 드럼 바디의 바닥면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챔버의 외부에 위치하는 제1회전축;
    상기 제1회전축 및 상기 드럼 바디의 바닥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분쇄부를 회전시키는 제2회전축;
    상기 제2회전축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제1지점과 제2지점 사이를 왕복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지점에 위치하면 상기 모터가 제공하는 동력을 상기 제1회전축에 전달하지 않고, 상기 제2지점에 위치하면 상기 모터가 제공하는 동력을 상기 제1회전축에 전달하는 클러치; 및
    상기 허브를 상기 제2회전축에 고정하며, 상기 제2회전축의 시계방향 회전과 반시계방향 회전 중 어느 하나의 회전력만을 상기 허브에 전달하는 허브 클러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축의 원주면에 구비된 제1축 기어;
    상기 챔버의 외부에 고정된 스토퍼 바디;
    상기 스토퍼 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1회전축이 관통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스토퍼 관통홀;
    상기 스토퍼 바디 구비된 제1체결부;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하며, 상기 제2회전축이 고정되는 연결바디;
    상기 연결바디에 구비된 제2체결부;
    상기 클러치를 관통하는 클러치 관통홀을 형성하며, 상기 제1축 기어에 결합하는 클러치 기어;
    상기 클러치가 상기 제1지점에 위치한 때 상기 제1체결부에 결합하도록, 상기 클러치에 구비된 클러치 제1체결부; 및
    상기 클러치가 상기 제2지점에 위치한 때 상기 제2체결부에 결합하도록, 상기 클러치에 구비된 클러치 제2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와 상기 연결바디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클러치를 상기 스토퍼 바디 방향으로 가압하는 복원력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바디와 상기 연결바디 사이에 위치하는 지지바디;
    상기 지지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바디 관통홀;
    상기 클러치를 상기 바디 관통홀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는 클러치 베어링;
    상기 클러치가 상기 제1지점과 상기 제2지점 사이를 왕복하도록 상기 지지바디의 위치를 조절하는 액추에이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챔버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 배출구의 하부에 위치하는 저장바디;
    상기 저장바디의 일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드럼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음식물을 상기 저장바디 내부로 안내하는 바디 유입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액체를 상기 챔버로 배출하는 관통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장치.
KR1020190086222A 2019-07-17 2019-07-17 음식물 처리장치 및 음식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202100095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6222A KR20210009553A (ko) 2019-07-17 2019-07-17 음식물 처리장치 및 음식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6222A KR20210009553A (ko) 2019-07-17 2019-07-17 음식물 처리장치 및 음식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9553A true KR20210009553A (ko) 2021-01-27

Family

ID=74238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6222A KR20210009553A (ko) 2019-07-17 2019-07-17 음식물 처리장치 및 음식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0955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71608B2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RU2004129303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оизводства напитков настаиванием
US7534358B2 (en) Horizontal vibratory centrifuge apparatus
KR20210009553A (ko) 음식물 처리장치 및 음식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US8584977B2 (en)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with centrifugal dehydrator
AU2016285076A1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KR100909424B1 (ko) 영구자석형 액츄에이터 및 이를 구비한 회로차단기
WO2002048679A8 (en) Device for disintegrating biological samples
KR20210009554A (ko) 음식물 처리장치 및 음식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1541753B1 (ko) 음식 쓰레기 처리기
KR102268015B1 (ko) 음식물 처리장치
KR101646772B1 (ko) 기울기 조절 가능한 다축 볼밀
KR20210014984A (ko) 음식물 처리장치 및 음식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JP2006312231A (ja) 切り換え可能な磁気装置
KR20190089823A (ko) 진공믹서기
EP3093862B1 (en) Spring arrangement for operating a circuit breaker
KR20210009552A (ko) 음식물 처리장치 및 음식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1017616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210009555A (ko) 음식물 처리장치 및 음식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20220042463A (ko) 푸드 프로세서
CN110244220A (zh) 微动开关寿命测试控制装置
CN206701089U (zh) 一种均质乳化机
KR102638398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KR101170496B1 (ko) 미생물 균질기
CN115287180B (zh) 一种超声波dna打断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