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8359A - 통신 방법 및 단말기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통신 방법 및 단말기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8359A
KR20210008359A KR1020207033693A KR20207033693A KR20210008359A KR 20210008359 A KR20210008359 A KR 20210008359A KR 1020207033693 A KR1020207033693 A KR 1020207033693A KR 20207033693 A KR20207033693 A KR 20207033693A KR 20210008359 A KR20210008359 A KR 202100083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gical channel
transmitted
terminal device
uplink resource
re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36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총 시
Original Assignee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0083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83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W72/1284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6Indication of changes in allocation
    • H04L5/0098Signalling of the activation or deactivation of component carriers, subcarriers or frequency ban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78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using buffer status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6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 H04W72/1268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of uplink data flows
    • H04W72/14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up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 H04W72/56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of the information or information source or recipient
    • H04W72/569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of the information or information source or recipient of the traffic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통신 방법 및 단말기 디바이스를 개시하고, 해당 방법은, 단말기 디바이스는 전송될 데이터를 갖는 제 1 논리 채널 및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사용 가능한 상향 리소스에 따라, 스케줄링 요청(SR)을 트리거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통신 방법 및 단말기 디바이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통신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통신 방법 및 단말기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5G의 엔알(New Radio, NR) 시스템에 있어서, 논리 채널에서 전송될 데이터를 갖는 경우, 단말기 디바이스는 데이터 전송을 위한 상향 리소스를 취득하기 위해, 스케줄링 요청(Scheduling Request, SR)을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송신할 수 있지만, 단말기 디바이스가 사용 가능한 상향 리소스(예를 들어, 준정적 리소스)를 갖는 경우, 어떻게 SR을 트리거하는지는 시급히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본 발명은 SR의 트리거를 구현할 수 있는 통신 방법 및 단말기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제 1 양태로서, 통신 방법을 제공하고, 단말기 디바이스는 전송될 데이터를 갖는 제 1 논리 채널 및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사용 가능한 상향 리소스에 따라, 스케줄링 요청(SR)을 트리거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방법에 의하면, 단말기 디바이스는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의 사용 가능한 상향 리소스와 전송될 데이터를 갖는 논리 채널의 정보에 따라, SR을 트리거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기 때문에, SR을 트리거할 필요가 있는 경우 적시에 SR을 트리거하여, 데이터의 적시 전송을 구현할 수 있으며, SR을 트리거할 필요가 없는 경우 SR을 트리거하지 않음으로써, 시그널링 오버 헤드를 줄일 수 있다.
일부 구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상향 리소스는 동적으로 스케줄링된 상향 리소스 및 준정적으로 구성된 상향 리소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해당 동적으로 스케줄링된 상향 리소스는 물리 하향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에 의해 스케줄링된 상향 리소스일 수 있고, 여기서, 해당 PDCCH는 셀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Cell 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C-RNTI)에 의해 스크램블된 것일 수 있거나, 또는 CS-RNTI에 의해 스크램블된 것일 수도 있거나, 또는 다른 RNTI에 의해 스크램블된 것 등일 수도 있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해당 준정적으로 구성된 상향 리소스는 제 1 구성 상향 그랜트 리소스(Type1 Configured Uplink Grant) 및 제 2 구성 상향 그랜트 리소스(Type2 Configured Uplink Grant)를 포함하고, 여기서, 해당 Type1 Configured Uplink Grant는 무선 리소스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또는 다른 상위 계층 시그널링에 의해 구성된 상향 리소스일 수 있고, 해당 Type2 Configured Uplink Grant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예를 들어, RRC 시그널링)에 의해 구성된 상향 리소스일 수 있고, 하향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에 의해 해당 상향 리소스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할 수 있다.
일부 구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SR을 트리거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때, 상기 제 1 논리 채널은 일반 버퍼 상태 보고(BSR)를 트리거하였고, 적어도 하나의 일반 BSR가 트리거되고 송신하지 않은 상태에 있다.
일부 구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전송될 데이터를 갖는 제 1 논리 채널 및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사용 가능한 상향 리소스에 따라, 스케줄링 요청(SR)을 트리거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논리 채널에 구성된 논리 채널 파라미터가 상기 사용 가능한 상향 리소스의 논리 채널 우선 순위(LCP) 제약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에 따라, SR을 트리거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 1 논리 채널은 하나의 논리 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논리 채널에 구성된 논리 채널 파라미터가 상기 사용 가능한 상향 리소스의 논리 채널 우선 순위(LCP) 제약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에 따라, SR을 트리거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논리 채널에 구성된 논리 채널 파라미터가 상기 사용 가능한 상향 리소스의 LCP 제약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SR을 트리거하지 않는다고 결정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제 1 논리 채널에 구성된 논리 채널 파라미터가 상기 사용 가능한 상향 리소스의 LCP 제약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SR을 트리거한다고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 1 논리 채널은 복수의 논리 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논리 채널에 구성된 논리 채널 파라미터가 상기 사용 가능한 상향 리소스의 논리 채널 우선 순위(LCP) 제약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에 따라, SR을 트리거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논리 채널 중 각각의 논리 채널에 구성된 논리 채널 파라미터가 모두 상기 사용 가능한 상향 리소스의 LCP 제약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SR을 트리거하지 않는다고 결정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제 1 논리 채널 중 적어도 하나의 논리 채널에 구성된 논리 채널 파라미터가 상기 사용 가능한 상향 리소스의 LCP 제약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SR을 트리거한다고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논리 채널 파라미터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 1 논리 채널에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며,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는 상기 제 1 논리 채널에서 상기 전송될 데이터가 상기 사용 가능한 상향 리소스에서 전송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데 사용된다.
일부 구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 1 논리 채널에 구성된 논리 채널 파라미터는,
상기 전송될 데이터가 제 1 구성 상향 그랜트 리소스에서 전송되는 것을 허용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제 1 파라미터, 상기 전송될 데이터가 제 2 구성 상향 그랜트 리소스에서 전송되는 것을 허용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제 2 파라미터, 최대 지원되는 물리 상향 공유 채널(PUSCH) 전송 시간 길이, 사용 가능한 서브 캐리어 간격, 및 사용 가능한 캐리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상향 리소스의 LCP 제약 조건은,
상기 전송될 데이터가 제 1 구성 상향 그랜트 리소스에서 전송되는 것을 허용하는지 여부, 상기 전송될 데이터가 제 2 구성 상향 그랜트 리소스에서 전송되는 것을 허용하는지 여부, 상기 전송될 데이터가 동적으로 스케줄링된 상향 리소스에서 전송되는 것을 허용하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낸다.
일부 구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성 상향 그랜트 리소스는 준정적 구성 방식으로 구성된 그랜트 리소스이고, 상기 제 2 구성 상향 그랜트 리소스는 준정적 구성 및 동적 트리거 방식으로 구성된 그랜트 리소스이다.
제 2 양태로서, 상기 제 1 양태 또는 제 1 양태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단말기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는,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양태 또는 제 1 양태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기능 모듈을 포함한다.
제 3 양태로서,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포함하는 단말기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해당 메모리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것이며, 해당 프로세서는 해당 메모리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고 실행하여, 상기 제 1 양태 또는 그 각각의 구현 방식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것이다.
제 4 양태로서, 상기 제 1 양태 또는 그 다양한 구현 방식의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칩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는, 칩은 메모리에서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고 실행하여,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칩이 장착된 디바이스에 상기 제 1 양태 또는 그 각각의 구현 방식의 방법을 실행시킨다.
제 5 양태로서, 컴퓨터에 상기 제 1 양태 또는 그 각각의 구현 방식의 방법을 실행시키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제 6 양태로서, 컴퓨터에 상기 제 1 양태 또는 그 각각의 구현 방식의 방법을 실행시키는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한다.
제 7 양태로서, 컴퓨터에서 실행될 때, 컴퓨터에 상기 제 1 양태 또는 그 각각의 구현 방식의 방법을 실행시키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응용 시나리오의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통신 방법의 예시적인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기 디바이스의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통신 디바이스의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칩의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적 해결책에 대해, 본 발명의 실시예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시스템" 및 "네트워크"라는 용어는 자주 본 명세서에서 교환되어 사용될 수 있는 것이 이해된다.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은 단순히 관련있는 대상을 설명하는 관련 관계의 일종이며, 세 가지 관계가 존재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고, 예를 들어, A 및/또는 B는 A 만 존재하는 것, A와 B가 동시에 존재하는 것, B 만 존재하는 것의 세 가지 경우가 존재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문자는 전후의 관련 대상은 일종의 "또는"의 관계임을 일반적으로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 해결책은 예를 들어, 글로벌 이동 통신(Global System of Mobile Communication, GSM) 시스템, 코드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시스템,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접속(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시스템, 범용 패킷 무선 서비스(General Packet Radio Service, GPRS),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시스템, LTE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requency Division Duplex, FDD) 시스템, LTE 시분할 듀플렉스(Time Division Duplex, TDD), 범용 이동 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 lecommunication System, UMTS), 와이맥스(Worldwide In 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통신 시스템 및 미래 5G 통신 시스템 등의 다양한 통신 시스템에 적용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응용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100)을 나타낸다. 해당 무선 통신 시스템(100)은 네트워크 디바이스(110)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디바이스(100)는 단말기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디바이스일 수 있다. 네트워크 디바이스(100)는 특정된 지리적 영역에 통신 커버리지를 제공할 수 있고, 해당 커버리지 영역 내에 위치된 UE 등의 단말기 디바이스와 통신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100)는 GSM 시스템 또는 CDMA 시스템에서의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 WCDMA 시스템에서의 기지국(NodeB, NB), LTE 시스템에서의 진화형 기지국(Evolutional Node B, eNB 또는 eNodeB), 또는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Cloud Radio Access Network, CRAN)에서의 무선 컨트롤러일 수 있고, 또는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중계 스테이션, 액세스 포인트, 차량 탑재 디바이스, 웨이러블 디바이스, 미래 5G 네트워크에서의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 또는 미래의 공중 육상 이동 통신망(Public Land Mobile Network, PLMN)에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일 수 있다.
해당 무선 통신 시스템(100)은 네트워크 디바이스(110)의 커버리지 범위 내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 디바이스(120)를 더 포함한다. 단말기 디바이스(120)는 이동형일 수 있고, 고정형일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단말기 디바이스(120)는 액세스 단말기, 사용자 디바이스(User Equipment, UE), 사용자 유닛, 사용자 스테이션, 이동 스테이션, 이동국, 원격국, 원격 단말기, 모바일 기기, 사용자 단말기, 단말기, 무선 통신 기기, 사용자 에이전트 또는 사용자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액세스 단말기는 셀룰러 전화, 무선 전화, 세션 개시 프로토콜(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전화, 무선 로컬 루프(Wireless Local Loop, WLL) 스테이션, 개인용 디지털 처리(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휴대용 디바이스, 컴퓨팅 디바이스 또는 무선 모뎀에 연결된 기타 처리 디바이스, 차량 탑재 디바이스, 웨어러블 디바이스, 미래 5G 네트워크의 단말기 디바이스 또는 진화형 PLMN의 단말기 디바이스 등일 수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통신 방법을 설명하지만,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통신 방법의 예시적인 흐름도이며, 해당 방법에 대한 자세한 통신 단계 또는 동작을 나타내지만, 이러한 단계 또는 동작은 단순한 예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 2의 다양한 동작과 다른 동작 또는 변형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통신 방법(200)의 예시적인 흐름도이며, 해당 방법(200)은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해당 통신 방법(200)은 다음 단계를 포함하고,
단계 S210: 단말기 디바이스는 전송될 데이터를 갖는 제 1 논리 채널 및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사용 가능한 상향 리소스에 따라, 스케줄링 요청(SR)을 트리거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구체적으로는, 해당 제 1 논리 채널에서 전송될 데이터를 갖는 경우,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는 SR을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송신하여, 데이터 전송을 위한 상향 리소스의 취득을 요청할 수 있으며, 이때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는 사용 가능한 상향 리소스, 예를 들어, 준정적으로 구성된 상향 리소스가 이미 할당된 경우, 해당 사용 가능한 상향 리소스의 속성 정보 또는 파라미터 정보에 따라 SR을 트리거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는 사용 가능한 상향 리소스가 제 1 논리 채널상에서 전송될 데이터의 전송 요구를 만족시키는 경우, SR을 트리거하지 않고, 즉 SR을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송신하지 않도록 결정할 수 있고, 해당 사용 가능한 상향 리소스를 사용하여 데이터 전송을 진행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시그널링 오버 헤드를 줄일 수 있거나, 또는 단말기 디바이스는 해당 사용 가능한 상향 리소스가 제 1 논리 채널에서 전송될 데이터의 전송 요구를 만족할 수없는 경우, SR을 트리거한다고 결정하고, 또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SR을 송신하여, 전송 요구를 만족하는 상향 리소스를 취득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해당 제 1 논리 채널에서 전송될 데이터의 적시 전송을 구현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방법에 의하면, 단말기 디바이스는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의 사용 가능한 상향 리소스 및 전송될 데이터를 갖는 논리 채널의 정보에 따라, SR을 트리거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기 때문에, SR을 트리거할 필요가 있는 경우 SR을 적시에 트리거하여, 데이터의 적시 전송을 구현할 수 있으며, SR을 트리거할 필요가 없는 경우 SR을 트리거하지 않음으로써, 시그널링 오버 헤드를 줄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논리 채널은 하나 또는 한 그룹의 논리 채널을 포함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SR을 트리거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때, 상기 제 1 논리 채널이 일반 버퍼 상태 보고(Buffer State Report, BSR)를 이미 트리거하고, 또한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에 적어도 하나의 일반(regular) BSR가 펜딩(pending) 상태(즉, 트리거되고 송신되지 않은 상태)에 있고, 해당 적어도 하나의 regular BSR은 하나의 논리 채널에 의해 트리거된 것일 수 있고, 또는 복수의 논리 채널에 의해 트리거된 것일 수도 있고, 해당 적어도 하나의 regular BSR은 해당 제 1 논리 채널에 의해 트리거된 regular BSR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사용 가능한 상향 리소스는 동적으로 스케줄링된 상향 리소스 및 준정적으로 구성된 상향 리소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동적으로 스케줄링된 상향 리소스는 물리 하향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에 의해 스케줄링된 상향 리소스일 수 있고, 여기서, 해당 PDCCH는 셀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Cell 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C-RNTI)에 의해 스크램블된 것일 수 있고, 또는 구성된 스케줄링하는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Configured Scheduling 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CS-RNTI)에 의해 스크램블된 것일 수 있고, 또는 다른 RNTI에 의해 스크램블된 것 등일 수도 있지만, 본 발명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해당 준정적으로 구성된 상향 리소스는 제 1 구성 상향 그랜트 리소스(Type1 Configured Uplink Grant) 및 제 2 구성 상향 그랜트 리소스(Type2 Configured Uplink Grant)를 포함하고, 여기서, 해당 Type1 Configured Uplink Grant는 무선 리소스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시그널링 또는 다른 상위 계층 시그널링에 의해 구성된 상향 리소스일 수 있고, 해당 Type2 Configured Uplink Grant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예를 들어, RRC 시그널링)에 의해 구성된 상향 리소스일 수 있고, 하향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에 의해 해당 상향 리소스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구성 상향 그랜트 리소스는 준정적 구성 방식으로 구성된 상향 그랜트 리소스이고, 상기 제 2 구성 상향 그랜트 리소스는 준정적 구성 및 동적 방식으로 구성된 상향 그랜트 리소스이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단계 S210은 구체적으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논리 채널에 구성된 논리 채널 파라미터가 상기 사용 가능한 상향 리소스의 논리 채널 우선 순위(Logical channel prioritization, LCP)의 제약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에 따라, SR의 트리거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해당 제 1 논리 채널에 구성된 논리 채널 파라미터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 1 논리 채널에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는 상기 제 1 논리 채널에서 상기 전송될 데이터가 상기 사용 가능한 상향 리소스에서 전송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논리 채널에 구성된 논리 채널 파라미터는,
상기 전송될 데이터가 제 1 구성 상향 그랜트 리소스에서 전송되는 것을 허용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제 1 파라미터, 상기 전송될 데이터가 제 2 구성 상향 그랜트 리소스에서 전송되는 것을 허용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제 2 파라미터, 최대 지원되는 물리 상향 공유 채널(PUSCH) 전송 시간 길이, 사용 가능한 서브 캐리어 간격, 및 사용 가능한 캐리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여기서, 해당 최대 지원되는 물리 상향 공유 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 전송 시간 길이는 최대 지원되는 PUSCH의 길이, 즉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최대 시간 길이로 이해될 수 있으며, 사용 가능한 서브 캐리어 간격(SubCarrier Spacing, SCS)은 사용 가능한 기본 파라미터 세트로 이해될 수 있고, 사용 가능한 캐리어는 사용 가능한 물리 캐리어(allowed Serving Cells)라고 지칭될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향 리소스의 LCP 제약 조건은 단말기 디바이스가 사용 가능한 상향 리소스를 취득한 경우, 논리 채널 선택을 진행하고, 논리 채널에서 전송될 데이터를 해당 상향 리소스에 구성하여 전송하는 방식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따라서,상향 리소스의 LCP 제약 조건에 따라, 논리 채널에서 전송될 데이터가 해당 상향 리소스에서 전송 가능한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체적으로는 다음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논리 채널 선택을 진행하고,
구체적으로는, 논리 채널마다 구성된 논리 채널 파라미터와 해당 상향 리소스의 파라미터를 비교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논리 채널의 최대 지원하는 PUSCH 길이가 상향 리소스의 PUSCH 길이보다 긴 경우, 해당 논리 채널의 데이터가 해당 상향 리소스에서 전송 가능하다고 결정할 수 있으며, 그렇지 않은 경우, 해당 상향 리소스에서 전송 불가능하다고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선택한 논리 채널의 정렬을 진행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논리 채널을 구성하는 논리 채널 파라미터 또는 논리 채널의 우선 순위에 따라 정렬을 진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정렬된 각각의 논리 채널이 상향 리소스에서 전송 가능한 데이터를 결정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해당 각각의 논리 채널에 구성된 논리 채널 파라미터에 따라, 해당 각각의 논리 채널이 상향 리소스에서 전송 가능한 데이터를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향 리소스의 LCP 제약 조건은 상향 리소스의 속성 정보 또는 파라미터 정보, 예를 들어, 상향 리소스가 최대 지원하는 PUSCH 길이 사용 가능한 물리 캐리어, 사용 가능한 서브 캐리어 간격, 논리 채널에서 전송될 데이터가 해당 상향 리소스에서 전송되는 것을 허용하는지 여부 등으로 이해될 수 있다. 따라서, 단말기 디바이스는 논리 채널에 구성된 논리 채널 파라미터에 따라, 해당 상향 리소스의 LCP 제약 조건과 결합하여, 해당 논리 채널에서 전송될 데이터가 해당 상향 리소스에서 전송 가능한지 여부, 즉, 해당 상향 리소스가 전송될 데이터의 전송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 디바이스는 해당 논리 채널에서 전송될 데이터가 해당 상향 리소스에서 전송 가능하다고 결정된 경우, SR을 트리거하지 않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시그널링 오버 헤드를 줄일 수 있거나, 또는 해당 논리 채널에서 전송될 데이터가 해당 상향 리소스에서 전송 불가능한 경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해당 전송될 데이터를 적시에 스케줄링할 수 있도록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는 SR을 적시에 트리거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해당 제 1 논리 채널은 하나의 논리 채널을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논리 채널을 포함할 수도 있고, 이하에서는 이러한 두 가지 시나리오에 관련하여 SR의 트리거 조건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제 1 논리 채널은 하나의 논리 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논리 채널에 구성된 논리 채널 파라미터가 상기 사용 가능한 상향 리소스의 논리 채널 우선 순위(LCP) 제약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에 따라, SR을 트리거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논리 채널에 구성된 논리 채널 파라미터가 상기 사용 가능한 상향 리소스의 LCP 제약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SR을 트리거하지 않는다고 결정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제 1 논리 채널에 구성된 논리 채널 파라미터가 상기 사용 가능한 상향 리소스의 LCP 제약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SR을 트리거한다고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는, 단말기 디바이스는 제 1 논리 채널이 하나의 논리 채널을 포함하는 경우, 해당 하나의 논리 채널에 구성된 논리 채널 파라미터가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의 사용 가능한 상향 리소스의 LCP 제약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만을 판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해당 제 1 논리 채널에 구성된 사용 가능한 캐리어가 물리 캐리어 2이며, 사용 가능한 상향 리소스가 서빙 셀 1(Serving Cell1)의 리소스인 경우, 해당 제 1 논리 채널에 구성된 논리 채널 파라미터는 사용 가능한 상향 리소스의 LCP 제약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거나, 또는 해당 제 1 논리 채널에 구성된 최대 지원하는 PUSCH 전송 시간 길이가 사용 가능한 상향 리소스의 PUSCH 전송 시간 길이보다 긴 경우, 해당 제 1 논리 채널에 구성된 논리 채널 파라미터는 사용 가능한 상향 리소스의 LCP 제약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는 판단 결과에 따라, SR을 트리거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으며, 해당 제 1 논리 채널에 구성된 논리 채널 파라미터가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의 사용 가능한 상향 리소스의 LCP 제약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SR을 트리거하지 않는다고 결정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시그널링 오버 헤드를 줄일 수 있고, 또는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는 제 1 논리 채널에 구성된 논리 채널 파라미터가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의 사용 가능한 상향 리소스의 LCP 제약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제 1 논리 채널의 데이터의 적시 전송을 구현하기 위해, SR 트리거를 결정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SR을 적시에 송신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다른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제 1 논리 채널은 복수의 논리 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논리 채널에 구성된 논리 채널 파라미터가 상기 사용 가능한 상향 리소스의 논리 채널 우선 순위(LCP) 제약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에 따라, SR을 트리거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논리 채널 중 각각의 논리 채널에 구성된 논리 채널 파라미터가 모두 상기 사용 가능한 상향 리소스의 LCP 제약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SR을 트리거하지 않는다고 결정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제 1 논리 채널 중 적어도 하나의 논리 채널에 구성된 논리 채널 파라미터가 상기 사용 가능한 상향 리소스의 LCP 제약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SR을 트리거한다고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는, 단말기 디바이스는 제 1 논리 채널이 복수의 논리 채널을 포함하는 경우, 해당 복수의 논리 채널 중 각각의 논리 채널에 구성된 논리 채널 파라미터가 단말기 디바이스의 사용 가능한 상향 리소스의 LCP 제약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또한, 판단 결과에 따라 SR을 트리거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당 복수의 논리 채널 중 하나의 논리 채널(예를 들어, 논리 채널 1)에 구성된 논리 채널 파라미터가 사용 가능한 상향 리소스의 LCP 제약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즉 해당 논리 채널 1의 데이터가 해당 사용 가능한 상향 리소스에 의해 전송될 수 없는 경우,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는 해당 논리 채널 1의 데이터의 적시 전송을 구현하기 위해,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향 리소스를 적시에 요청하고, 논리 채널 1의 데이터를 적시에 전송하도록 SR 트리거를 결정할 수 있다. 또는,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는 해당 복수의 논리 채널 중 각각의 논리 채널에 구성된 논리 채널 파라미터가 사용 가능한 상향 리소스의 LCP 제약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즉, 해당 복수의 논리 채널 중 각각의 논리 채널에서 전송될 데이터가 모두 해당 사용 가능한 상향 리소스에 의해 전송될 수 있는 경우, SR을 트리거하지 않고, 해당 사용 가능한 상향 리소스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결정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시그널링 오버 헤드를 줄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단말기 디바이스가 SR을 트리거하는지 여부는, 먼저 전송될 서비스의 논리 채널에 구성된 논리 채널 파라미터가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가 이미 할당한 상향 리소스의 LCP 제약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지연에 민감한 논리 채널에 대해, 전송될 서비스가 초고 신뢰성 및 저 지연(Ultra Reliable & Low Latency Communication, URLLC) 서비스인 경우, 논리 채널에 구성된 논리 채널 파라미터가 할당된 상향 리소스의 LCP 제약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해당 논리 채널에서 전송될 서비스를 신속하게 스케줄링할 수 있도록 SR를 적시에 트리거할 수 있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SR의 트리거 방식에 대해 설명한다.
실시예 1: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에 Type1 Configured Uplink Grant가 구성되어 있고,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해당 Type1 Configured Uplink Grant의 LCP 제약 조건을 구성할 수 있는 경우, regular BSR을 트리거하는 논리 채널에 대해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는 해당 논리 채널에 구성된 논리 채널 파라미터가 해당 Type1 Configured Uplink Grant의 LCP 제약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만족하는 경우 SR을 트리거하지 않고, 그렇지 않은 경우 SR을 트리거할 수 있다.
실시예 2: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에 Type2 Configured Uplink Grant가 구성되어 있고, 해당 Type2 Configured Uplink Grant가 활성화 상태에 있고,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해당 Type2 Configured Uplink Grant의 LCP 제약 조건을 구성할 수 있는 경우, regular BSR을 트리거하는 논리 채널에 대해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는 해당 논리 채널에 구성된 논리 채널 파라미터가 해당 Type2 Configured Uplink Grant의 LCP 제약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만족하는 경우 SR을 트리거하지 않고, 그렇지 않은 경우 SR을 트리거할 수 있다.
실시예 3: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에 동적으로 스케줄링된 상향 리소스가 할당되어 있고,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해당 동적으로 스케줄링된 리소스의 LCP 제약 조건을 구성할 수 있는 경우, regular BSR을 트리거하는 논리 채널에 대해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는 해당 논리 채널에 구성된 논리 채널 파라미터가 해당 동적으로 스케줄링된 상향 리소스의 LCP 제약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만족하는 경우 SR을 트리거하지 않고, 그렇지 않은 경우 SR을 트리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단말기 디바이스의 사용 가능한 상향 리소스는 동적으로 스케줄링된 것 및 준정적으로 구성된 것 중 적어도 하나인 상향 리소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따라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준정적으로 구성된 상향 리소스 구성에 대응하는 LCP의 제약 조건을 구성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전송될 데이터를 갖는 논리 채널은 해당 준정적으로 구성된 상향 리소스를 직접 데이터 전송에 사용하지 않고, 해당 준정적으로 구성된 상향 리소스의 LCP의 제약 조건에 따라 SR을 트리거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어, 준정적으로 구성된 상향 리소스의 LCP의 제약 조건이 만족되지 않는 경우, 해당 준정적으로 구성된 상향 리소스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피하는데 유리하며, 동시에 SR을 적시에 트리거할 수 있어, 해당 논리 채널에서 전송될 데이터를 적시에 스케줄링하는데 유리하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단계 S210 이후, 해당 방법(200)은,
SR을 트리거한다고 결정한 경우,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SR을 송신하는 단계, 또는
SR을 트리거하지 않는다고 결정한 경우,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가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SR을 송신하지 않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방법에 의하면, 단말기 디바이스는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의 사용 가능한 상향 리소스와 전송될 데이터를 갖는 논리 채널 정보에 따라, SR을 트리거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기 때문에, SR을 트리거 할 필요가 있는 경우 SR을 적시 트리거하여, 데이터의 적시 전송을 구현할 수 있으며, SR을 트리거할 필요가 없는 경우 SR을 트리거하지 않음으로써, 시그널링 오버 헤드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의 실시예를 이상에서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고, 본 발명의 장치의 실시예를 이하에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장치의 실시예는 방법의 실시예에 대응되고, 유사한 설명은 방법의 실시예를 참조할 수 있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기 디바이스의 예시적인 블록도이고,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300)는 결정 모듈(310)을 포함한다.
결정 모듈(310)은 전송될 데이터를 갖는 제 1 논리 채널 및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사용 가능한 상향 리소스에 따라, 스케줄링 요청(SR)을 트리거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향 리소스는 동적으로 스케줄링된 상향 리소스 및 준정적으로 구성된 상향 리소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SR을 트리거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때, 상기 제 1 논리 채널은 일반 버퍼 상태 보고(BSR)를 트리거하였고, 적어도 하나의 일반 BSR가 트리거되고 송신하지 않는 상태에 있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결정 모듈(310)은 또한
상기 제 1 논리 채널에 구성된 논리 채널 파라미터가 상기 사용 가능한 상향 리소스의 논리 채널 우선 순위(LCP) 제약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에 따라, SR을 트리거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논리 채널은 하나의 논리 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결정 모듈(310)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논리 채널에 구성된 논리 채널 파라미터가 상기 사용 가능한 상향 리소스의 LCP 제약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SR을 트리거하지 않는다고 결정하거나, 또는
상기 제 1 논리 채널에 구성된 논리 채널 파라미터가 상기 사용 가능한 상향 리소스의 LCP 제약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SR을 트리거한다고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논리 채널은 복수의 논리 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결정 모듈(310)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논리 채널 중 각각의 논리 채널에 구성된 논리 채널 파라미터가 모두 상기 사용 가능한 상향 리소스의 LCP 제약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SR을 트리거하지 않는다고 결정하거나, 또는
상기 제 1 논리 채널 중 적어도 하나의 논리 채널에 구성된 논리 채널 파라미터가 상기 사용 가능한 상향 리소스의 LCP 제약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SR을 트리거한다고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논리 채널 파라미터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 1 논리 채널에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이며,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는 상기 제 1 논리 채널에서 상기 전송될 데이터가 상기 사용 가능한 상향 리소스에서 전송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논리 채널에 구성된 논리 채널 파라미터는,
상기 전송될 데이터가 제 1 구성 상향 그랜트 리소스에서 전송되는 것을 허용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제 1 파라미터, 상기 전송될 데이터가 제 2 구성 상향 그랜트 리소스에서 전송되는 것을 허용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제 2 파라미터, 최대 지원되는 물리 상향 공유 채널(PUSCH) 전송 시간 길이, 사용 가능한 서브 캐리어 간격, 및 사용 가능한 캐리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향 리소스의 LCP 제약 조건은,
상기 전송될 데이터가 제 1 구성 상향 그랜트 리소스에서 전송되는 것을 허용하는지 여부, 상기 전송될 데이터가 제 2 구성 상향 그랜트 리소스에서 전송되는 것을 허용하는지 여부, 상기 전송될 데이터가 동적으로 스케줄링된 상향 리소스에서 전송되는 것을 허용하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낸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성 상향 그랜트 리소스는 준정적 구성 방식으로 구성된 그랜트 리소스이고, 상기 제 2 구성 상향 그랜트 리소스는 준정적 구성 및 동적 트리거 방식으로 구성된 그랜트 리소스이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300)는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고,
통신 모듈은 SR을 트리거한다고 결정한 경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SR을 송신하거나, 또는
SR을 트리거하지 않는다고 결정한 경우,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SR을 송신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디바이스(3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응할 수 있고, 단말기 디바이스(300)의 각각의 유닛의 상기 및 다른 동작 및 기능 중 적어도 하나는 도 2에 나타낸 방법(200)에서 단말기 디바이스의 대응하는 프로세스를 각각 구현하기 위한 것이고, 간결을 위해, 여기서 설명을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디바이스(400)의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도 4에 나타낸 통신 디바이스(400)는 메모리에서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고 실행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방법을 구현하는 프로세서(410)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신 디바이스(400)는 메모리(4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410)는 메모리(420)에서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고 실행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방법을 구현한다.
여기서, 메모리(420)는 프로세서(410)와 독립적인 하나의 별도의 부품일 수 있고, 프로세서(410)에 집적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신 디바이스(400)는 프로세서(410)에 의해 다른 디바이스와 통신하도록 제어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다른 디바이스에 정보 또는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또는 다른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정보 또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송수신기(4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송수신기(430)는 송신기 및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기(430)는 하나 또는 복수의 안테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해당 통신 디바이스(4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단말기 디바이스일 수 있고, 해당 통신 디바이스(4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양한 방법에서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대응하는 프로세스를 구현할 수 있고, 간결을 위해, 여기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칩(500)의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도 5에 나타낸 칩(500)은 메모리에서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고 실행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프로세서(510)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칩(500)은 메모리(5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510)는 메모리(520)에서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고 실행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방법을 구현한다.
여기서, 메모리(520)는 프로세서(510)와 독립적인 하나의 별도의 부품일 수 있고, 프로세서(510)에 집적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해당 칩(500)은 입력 인터페이스(5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510)는 해당 입력 인터페이스(530)를 제어하여 다른 디바이스 또는 칩과 통신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다른 디바이스 또는 칩에 의해 송신된 정보 또는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해당 칩(500)은 출력 인터페이스(5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510)는 해당 출력 인터페이스(540)를 제어하여 다른 디바이스 또는 칩과 통신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다른 디바이스 또는 칩에 정보 또는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칩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단말기 디바이스에 적용될 수 있고, 해당 칩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각각의 방법에서의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대응하는 프로세스를 구현할 수 있으며, 간결을 위해, 여기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언급된 칩은 시스템 온 칩, 시스템 온칩 또는 칩 시스템 등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상기에서 언급된 프로세서는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주문형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또는 다른 프로그래머블 논리 디바이스, 트랜지스터 논리 디바이스, 개별 하드웨어 구성 요소 등일 수 있다. 여기서,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일 수 있고, 임의의 기존의 프로세서 등일 수 있다.
상기에서 언급된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 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고, 또는 휘발성 메모리 및 비 휘발성 메모리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비 휘발성 메모리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프로그래머블 읽기 전용 메모리(Programmable ROM, PROM), 소거 가능한 프로그래머블 읽기 전용 메모리(Erasable PROM, EPROM), 전기적 소거 가능한 프로그래머블 읽기 전용 메모리(Electrically EPROM, EEP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일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일 수 있다.
상기 메모리는 한정적이 아닌 예시적인 예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메모리는 정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tatic RAM, SRAM),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ynamic RAM, DRAM), 동기식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ynchronous DRAM, SDRAM), 더블 데이터 레이트 동기식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ouble Data Rate SDRAM, DDR SDRAM), 향상된 동기식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Enhanced SDRAM, ESDRAM), 동기식 연결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ynch Link DRAM, SLDRAM) 및 다이렉트 메모리 버스 랜덤 액세스 메모리(Direct Rambus RAM, DR RAM) 등일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메모리는 이들과 임의의 다른 적절한 유형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것을 의도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포함한 휴대용 전자 기기에 의해 수행되면, 도 2에 나타낸 실시예의 방법을 해당 휴대용 전자 기기에 수행시킬 수 있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를 더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수행되면, 도 2에 나타낸 실시예의 방법에 대응하는 프로세스를 컴퓨터에 수행시킬 수 있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더 제공한다.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의 유닛 및 알고리즘 단계가 전자 하드웨어,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와 전자 하드웨어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인식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수행되는지는 기술적 해결책의 구체적인 응용 및 설계 제약에 의해 확정된다. 당업자는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특정된 응용 프로그램마다 다른 방법을 사용할 수 있지만, 이러한 구현은 본 발명의 범위를 이탈하는 것으로 간주해서는 안된다.
당업자라면 설명의 편의 및 간결성을 위해 상기에서 설명된 시스템, 장치 및 유닛의 특정 구체적인 동작 과정이 상기 방법의 실시예의 대응하는 프로세스를 참조할 수 있는 것을 이해할 수 있고, 여기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제공되는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개시된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은 다른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상기에서 개시된 장치의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예를 들어, 상기 유닛의 구분은 단지 논리 기능 구분이고, 실제 구현에서 다른 구분 방식이 있을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복수의 유닛 또는 컴퍼넌트를 결합하거나 다른 시스템에 통합될 수 있거나. 또는 일부 특징을 무시하거나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도시하거나 또는 설명한 서로 사이의 결합 또는 직접 결합 또는 통신 연결은 인터페이스, 장치 또는 유닛에 의한 간접적인 결합 또는 통신 연결일 수 있고, 전기적 형식, 기계적 형식 또는 다른 형식일 수 있다.
별도의 구성 요소로 설명된 유닛은 물리적으로 분리되거나 분리되지 않을 수 있고, 유닛으로서 나타내는 구성 요소는 물리적 유닛이거나 물리적 유닛이 아닐 수도 있고, 즉 한 곳에 위치할 수 있거나, 또는 복수의 네트워크 유닛에 위치할 수도 있다. 그중의 일부 또는 전부 유닛은 실시예의 기술적 해결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실제 필요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각각의 실시예에 있어서 각각의 기능 유닛은 하나의 처리 유닛에 통합될 수 있고, 각각의 처리 유닛은 물리적으로 단독으로 존재할 수도 있으며, 두 개 이상의 유닛은 하나의 유닛에 통합될 수도 있다.
상기 기능은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식으로 구현되어 독립형 제품으로 판매하거나 사용하는 경우,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해결책은 본질적으로 종래 기술에 대해 기여하는 부분 또는 해당 기술적 해결책의 전부 또는 일부를 저장 매체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식으로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장치(개인용 컴퓨터, 서버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일 수 있다)에 본 발명의 각각의 실시예에서 설명된 방법의 전부 또는 일부 단계를 수행시키기 위한 복수의 명령어가 포함된 해당 컴퓨터의 소프트웨어 제품은 저장 매체에 저장된다. 상기 메모리는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U 디스크, 이동식 하드 디스크, 읽기 전용 메모리(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자기 디스크 또는 광디스크 등을 포함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않으며, 본 출원에 개시된 기술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생각할 수 있는 임의의 변경 또는 교체는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어야 한다. 따라서, 본 출원의 보호 범위는 청구 범위에 의해 정의되어야 한다.

Claims (23)

  1. 단말기 디바이스는 전송될 데이터를 갖는 제 1 논리 채널 및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사용 가능한 상향 리소스에 따라, 스케줄링 요청(Scheduling Request,SR)을 트리거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 리소스는 동적으로 스케줄링된 상향 리소스 및 준정적으로 구성된 상향 리소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SR을 트리거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때, 상기 제 1 논리 채널은 일반 버퍼 상태 보고(Buffer State Report,BSR)를 트리거하였고, 적어도 하나의 일반 BSR가 트리거되고 송신되지 않은 상태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전송될 데이터를 갖는 제 1 논리 채널 및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사용 가능한 상향 리소스에 따라, 스케줄링 요청(SR)을 트리거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논리 채널에 구성된 논리 채널 파라미터가 상기 사용 가능한 상향 리소스의 논리 채널 우선 순위(Logical channel prioritization,LCP) 제약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에 따라, SR을 트리거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논리 채널은 하나의 논리 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논리 채널에 구성된 논리 채널 파라미터가 상기 사용 가능한 상향 리소스의 논리 채널 우선 순위(LCP) 제약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에 따라, SR을 트리거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논리 채널에 구성된 논리 채널 파라미터가 상기 사용 가능한 상향 리소스의 LCP 제약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SR을 트리거하지 않는다고 결정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제 1 논리 채널에 구성된 논리 채널 파라미터가 상기 사용 가능한 상향 리소스의 LCP 제약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SR을 트리거한다고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논리 채널은 복수의 논리 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논리 채널에 구성된 논리 채널 파라미터가 상기 사용 가능한 상향 리소스의 논리 채널 우선 순위(LCP) 제약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에 따라, SR을 트리거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논리 채널 중 각각의 논리 채널에 구성된 논리 채널 파라미터가 모두 상기 사용 가능한 상향 리소스의 LCP 제약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SR을 트리거하지 않는다고 결정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제 1 논리 채널 중 적어도 하나의 논리 채널에 구성된 논리 채널 파라미터가 상기 사용 가능한 상향 리소스의 LCP 제약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SR을 트리거한다고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7. 제 4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논리 채널 파라미터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 1 논리 채널에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는 상기 제 1 논리 채널에서 상기 전송될 데이터가 상기 사용 가능한 상향 리소스에서 전송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논리 채널에 구성된 논리 채널 파라미터는,
    상기 전송될 데이터가 제 1 구성 상향 그랜트 리소스에서 전송되는 것을 허용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제 1 파라미터, 상기 전송될 데이터가 제 2 구성 상향 그랜트 리소스에서 전송되는 것을 허용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제 2 파라미터, 최대 지원되는 물리 상향 공유 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 전송 시간 길이, 사용 가능한 서브 캐리어 간격, 및 사용 가능한 캐리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9. 제 4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 리소스의 LCP 제약 조건은,
    상기 전송될 데이터가 제 1 구성 상향 그랜트 리소스에서 전송되는 것을 허용하는지 여부, 상기 전송될 데이터가 제 2 구성 상향 그랜트 리소스에서 전송되는 것을 허용하는지 여부, 상기 전송될 데이터가 동적으로 스케줄링된 상향 리소스에서 전송되는 것을 허용하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성 상향 그랜트 리소스는 준정적 구성 방식으로 구성된 그랜트 리소스이고, 상기 제 2 구성 상향 그랜트 리소스는 준정적 구성 및 동적 트리거 방식으로 구성된 그랜트 리소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11. 전송될 데이터를 갖는 제 1 논리 채널 및 단말기 디바이스의 사용 가능한 상향 리소스에 따라, 스케줄링 요청(SR)을 트리거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결정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 리소스는 동적으로 스케줄링된 상향 리소스 및 준정적으로 구성된 상향 리소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13.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SR을 트리거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때, 상기 제 1 논리 채널은 일반 버퍼 상태 보고(BSR)를 트리거하였고, 적어도 하나의 일반 BSR가 트리거되고 송신되지 않은 상태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14. 제 1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모듈은 또한
    상기 제 1 논리 채널에 구성된 논리 채널 파라미터가 상기 사용 가능한 상향 리소스의 논리 채널 우선 순위(LCP) 제약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에 따라, SR을 트리거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논리 채널은 하나의 논리 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결정 모듈은
    상기 제 1 논리 채널에 구성된 논리 채널 파라미터가 상기 사용 가능한 상향 리소스의 LCP 제약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SR을 트리거하지 않는다고 결정하거나, 또는
    상기 제 1 논리 채널에 구성된 논리 채널 파라미터가 상기 사용 가능한 상향 리소스의 LCP 제약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SR을 트리거한다고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논리 채널은 복수의 논리 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결정 모듈은
    상기 제 1 논리 채널 중 각각의 논리 채널에 구성된 논리 채널 파라미터가 모두 상기 사용 가능한 상향 리소스의 LCP 제약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SR을 트리거하지 않는다고 결정하거나, 또는
    상기 제 1 논리 채널 중 적어도 하나의 논리 채널에 구성된 논리 채널 파라미터가 상기 사용 가능한 상향 리소스의 LCP 제약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SR을 트리거한다고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17. 제 14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논리 채널 파라미터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 1 논리 채널에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는 상기 제 1 논리 채널에서 상기 전송될 데이터가 상기 사용 가능한 상향 리소스에서 전송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논리 채널에 구성된 논리 채널 파라미터는
    상기 전송될 데이터가 제 1 구성 상향 그랜트 리소스에서 전송되는 것을 허용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제 1 파라미터, 상기 전송될 데이터가 제 2 구성 상향 그랜트 리소스에서 전송되는 것을 허용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제 2 파라미터, 최대 지원되는 물리 상향 공유 채널(PUSCH) 전송 시간 길이, 사용 가능한 서브 캐리어 간격, 및 사용 가능한 캐리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19. 제 14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 리소스의 LCP 제약 조건은,
    상기 전송될 데이터가 제 1 구성 상향 그랜트 리소스에서 전송되는 것을 허용하는지 여부, 상기 전송될 데이터가 제 2 구성 상향 그랜트 리소스에서 전송되는 것을 허용하는지 여부, 상기 전송될 데이터가 동적으로 스케줄링된 상향 리소스에서 전송되는 것을 허용하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20. 제 18 항 또는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성 상향 그랜트 리소스는 준정적 구성 방식으로 구성된 그랜트 리소스이고, 상기 제 2 구성 상향 그랜트 리소스는 준정적 구성 및 동적 트리거 방식으로 구성된 그랜트 리소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2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통신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매체.
  22.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여, 제 1 항 내지 제 1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통신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23. 제 1 항 내지 제 1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통신 방법을 칩이 장착된 디바이스에 실행시키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메모리에서 호출하여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칩.
KR1020207033693A 2018-05-10 2018-05-10 통신 방법 및 단말기 디바이스 KR2021000835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8/086314 WO2019213893A1 (zh) 2018-05-10 2018-05-10 通信方法和终端设备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8359A true KR20210008359A (ko) 2021-01-21

Family

ID=68466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3693A KR20210008359A (ko) 2018-05-10 2018-05-10 통신 방법 및 단말기 디바이스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11229043B2 (ko)
EP (1) EP3787354B1 (ko)
JP (1) JP2021527971A (ko)
KR (1) KR20210008359A (ko)
CN (2) CN111934831B (ko)
AU (1) AU2018422333A1 (ko)
BR (1) BR112020022786A2 (ko)
CA (1) CA3108244A1 (ko)
MX (1) MX2020012027A (ko)
RU (1) RU2760233C1 (ko)
SG (1) SG11202011184WA (ko)
WO (1) WO201921389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13893A1 (zh) 2018-05-10 2019-11-14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通信方法和终端设备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50467A1 (en) 2006-10-27 2008-05-02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Data communication method, communication system and mobile terminal
US8873474B2 (en) * 2008-10-17 2014-10-28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and mobile terminal providing priority-based uplink scheduling information
CN101772174B (zh) * 2009-01-04 2013-04-10 电信科学技术研究院 提高上行调度性能的方法及用户设备
CN102308654B (zh) * 2009-02-09 2014-11-26 瑞典爱立信有限公司 无线通信系统中的方法和设备
EP2237633A1 (en) * 2009-04-03 2010-10-06 Panasonic Corporation Buffer status reporting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PT2484168T (pt) * 2009-10-01 2022-02-02 Nokia Solutions & Networks Oy Um método e aparelho para controlo de escalonamento
CN101695194B (zh) * 2009-10-22 2011-12-07 普天信息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lte系统半静态调度中上行逻辑信道的复用方法
US8543054B2 (en) * 2010-05-03 2013-09-24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uplink scheduling using relays
EP2745601B1 (en) 2011-09-30 2017-03-22 Nokia Technologies Oy Selection between random access and dedicated scheduling request resources
WO2016048082A1 (en) * 2014-09-25 2016-03-31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anceling triggered prose bs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7073944A1 (en) * 2015-10-27 2017-05-04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iggering a sidelink buffer status reporting in a d2d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TWI619400B (zh) * 2015-11-04 2018-03-21 財團法人資訊工業策進會 用於對一無線通訊資源進行排程之方法及裝置
US10674529B2 (en) * 2016-03-02 2020-06-02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a scheduling reques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 device therefor
US10200991B2 (en) * 2016-04-25 2019-02-05 Ofinno Technologies, Llc Scheduling request process in a wireless device and wireless network
WO2017197647A1 (zh) * 2016-05-20 2017-11-23 华为技术有限公司 调度请求触发方法、装置和系统
CN107734703B (zh) * 2016-08-11 2020-11-1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资源调度方法和装置
CN107872885B (zh) * 2016-09-27 2020-11-0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缓存状态报告的上报方法及装置
EP3301986A1 (en) * 2016-09-30 2018-04-04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Improved uplink resource allocation among different ofdm numerology schemes
CN106856630B (zh) * 2017-01-13 2018-12-11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资源分配方法、装置、用户设备和基站
US10764962B2 (en) * 2018-02-15 2020-09-01 Apple Inc. Methods to handle scheduling requests for ultra-reliable low latency communication (URLLC) in new radio (NR) systems
US11546936B2 (en) * 2018-05-09 2023-01-03 Lenovo (Singapore) Pte. Ltd. Procedures for multiple active bandwidth parts
WO2019213893A1 (zh) 2018-05-10 2019-11-14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通信方法和终端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373808A (zh) 2020-07-03
EP3787354A4 (en) 2021-04-21
CA3108244A1 (en) 2019-11-14
EP3787354B1 (en) 2023-02-15
US11229043B2 (en) 2022-01-18
RU2760233C1 (ru) 2021-11-23
EP3787354A1 (en) 2021-03-03
US20210051694A1 (en) 2021-02-18
MX2020012027A (es) 2021-01-29
JP2021527971A (ja) 2021-10-14
AU2018422333A1 (en) 2020-12-10
SG11202011184WA (en) 2020-12-30
BR112020022786A2 (pt) 2021-02-02
CN111934831A (zh) 2020-11-13
CN111934831B (zh) 2022-01-04
WO2019213893A1 (zh) 2019-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88187B1 (ko) 사운딩 참조 신호 전송 방법,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단말기 디바이스
KR20210008411A (ko) 업링크 신호의 송신 방법 및 단말기
KR20210008357A (ko) 통신 방법 및 디바이스
KR20200120709A (ko) 업 링크 데이터의 스케줄링 방법 및 기기
EP3637895B1 (en) Uplink transmission method, and terminal device
CN111758294B (zh) 一种随机接入方法、装置、通信设备及介质
US20230354286A1 (en) Communication method, access network device, and terminal
KR20220019701A (ko) 랜덤 액세스 방법, 단말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
KR20210042330A (ko) 데이터 전송 방법, 데이터 전송 장치 및 단말기
KR102582832B1 (ko) 신호 전송 방법, 단말기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
KR20210036931A (ko) 랜덤 액세스 방법 및 관련 기기
KR20210065114A (ko) 랜덤 액세스 방법 및 장치, 네트워크 디바이스, 단말기
KR20200052314A (ko) 무선 통신 방법, 네트워크 기기 및 단말 기기
US11229043B2 (en) Communication method and terminal device
CN114342535A (zh) 上行信号的发送和接收方法以及装置
KR20220045141A (ko) 데이터 전송 방법, 단말 기기, 네트워크 기기 및 저장 매체
KR20210040111A (ko) 정보 전송 방법, 기기 및 컴퓨터 저장 매체
KR102389979B1 (ko) 무선 통신 방법 및 디바이스
KR20210057755A (ko) 상향 제어 정보 전송 자원의 수를 결정하는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KR20210079344A (ko) 복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전송 방법 및 장치
US20220322424A1 (en) Method for processing random access procedure, and terminal device
EP4021104A1 (en) Resource transmission method and terminal device
CN112911724B (zh) 一种指示信道接入类型的方法、终端设备及网络设备
KR20220048974A (ko) 정보 피드백의 방법 및 기기
JP2022546199A (ja) 無線通信方法、端末デバイス及びネットワークデバイ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