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7914A - M1 대식세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광열치료 효과 증진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M1 대식세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광열치료 효과 증진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7914A
KR20210007914A KR1020200086062A KR20200086062A KR20210007914A KR 20210007914 A KR20210007914 A KR 20210007914A KR 1020200086062 A KR1020200086062 A KR 1020200086062A KR 20200086062 A KR20200086062 A KR 20200086062A KR 20210007914 A KR20210007914 A KR 202100079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crophages
cancer
present
tumor
macroph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60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승국
임누리
Original Assignee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2100079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79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1/00Medicinal preparations obtained by treating materials with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Therapies using these preparations
    • A61K41/0028Disruption, e.g. by heat or ultrasounds, sonophysical or sonochemical activation, e.g. thermosensitive or heat-sensitive liposomes, disruption of calculi with a medicinal preparation and ultras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37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four-membered rings, e.g. tax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7Quinolines; Isoquinolines
    • A61K31/475Quinolines; Isoquinolines having an indole ring, e.g. yohimbine, reserpine, strychnine, vinblast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5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 A61K31/519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66Phosphorus compounds
    • A61K31/675Phosphorus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pyridoxal phosph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2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 A61K31/7034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attached to a carbocyclic compound, e.g. phloridzin
    • A61K31/704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attached to a carbocyclic compound, e.g. phloridzin attached to a condensed carbocyclic ring system, e.g. sennosides, thiocolchicosides, escin, daunorubic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4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 A61K31/704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oxygen as a ring hetero atom, e.g. leucoglucosan, hesperidin, erythromycin, nystatin, digitoxin or digox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4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 A61K31/705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nucleosides, nucleotides
    • A61K31/706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nucleosides, nucleotide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with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 A61K31/7064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nucleosides, nucleotide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with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containing condensed or non-condensed pyrimidines
    • A61K31/706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nucleosides, nucleotide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with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containing condensed or non-condensed pyrimidines having oxo groups directly attached to the pyrimidine ring, e.g. cytidine, cytidyl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24Heavy metals; Compounds thereof
    • A61K33/242Gold;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24Heavy metals; Compounds thereof
    • A61K33/243Platin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14Blood; Artificial blood
    • A61K35/15Cells of the myeloid line, e.g. granulocytes, basophils, eosinophils, neutrophils, leucocytes, monocytes, macrophages or mast cells; Myeloid precursor cells; Antigen-presenting cells, e.g. dendritic ce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4Peptides having up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A61K38/12Cyclic peptides, e.g. bacitracins; Polymyxins; Gramicidins S, C; Tyrocidins A, B or 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46Cellular immunotherapy
    • A61K39/461Cellular immunotherapy characterised by the cell type used
    • A61K39/4614Monocytes; Macropha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46Cellular immunotherapy
    • A61K39/462Cellular immunotherapy characterized by the effect or the function of the cells
    • A61K39/4622Antigen presenting ce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46Cellular immunotherapy
    • A61K39/464Cellular immunotherapy characterised by the antigen targeted or presented
    • A61K39/4643Vertebrate antigens
    • A61K39/4644Cancer antig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1/00Medicinal preparations obtained by treating materials with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Therapies using these preparations
    • A61K41/0052Thermotherapy; Hyperthermia; Magnetic induction; Induction heating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2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44Oils, fats or waxes according to two or more groups of A61K47/02-A61K47/42; Natural or modified natural oils, fats or waxes, e.g. castor oil, polyethoxylated castor oil, montan wax, lignite, shellac, rosin, beeswax or lanol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69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 A61K47/692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the form being a particulate, a powder, an adsorbate, a bead or a sphere
    • A61K47/6923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the form being a particulate, a powder, an adsorbate, a bead or a sphere the form being an inorganic particle, e.g. ceramic particles, silica particles, ferrite or synsorb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6Animal cells or tissues; Human cells or tissues
    • C12N5/0602Vertebrate cells
    • C12N5/0634Cells from the blood or the immune system
    • C12N5/0645Macrophages, e.g. Kuepfer cells in the liver; Monocy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9/00Indexing codes associated with cellular immunotherapy of group A61K39/46
    • A61K2239/31Indexing codes associated with cellular immunotherapy of group A61K39/46 characterized by the route of adminis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50Microcapsules having a gas, liquid or semi-solid filling; Solid microparticles or pellets surrounded by a distinct coating layer, e.g. coated microspheres, coated drug crystals
    • A61K9/5005Wall or coating material
    • A61K9/501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50Microcapsules having a gas, liquid or semi-solid filling; Solid microparticles or pellets surrounded by a distinct coating layer, e.g. coated microspheres, coated drug crystals
    • A61K9/5005Wall or coating material
    • A61K9/5063Compounds of unknown constitution, e.g. material from plants or animal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3/00Use of cells in diagnostics
    • C12N2503/02Drug screen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29/00Culture proces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omagnetic stimulation
    • C12N2529/10Stimulation by light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39/00Supports and/or coatings for cell culture characterised by properties
    • C12N2539/10Coating allowing for selective detachment of cells, e.g. thermoreactive coating

Abstract

M1 대식세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세포 표적형 약물 전달체 및 광열치료 효과 증진용 조성물 등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약물 전달체는 M1 대식세포의 종양 세포로의 이동성 및 종양 내부로의 침투력을 이용한 것으로서 종양 및 암 조직에만 특이적으로 약물을 전달할 수 있으며, 상기 M1 대식세포에 광 감응물질을 로딩하여 광열치료를 수행하는 경우 그 효과를 현저하게 상승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바, 암의 치료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해 유용하게 이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Description

M1 대식세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광열치료 효과 증진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omoting photothermal therapy effect comprising M1 macrophage as an active ingredient}
M1 대식세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세포 표적형 약물 전달체 및 광열치료 효과 증진용 조성물 등에 관한 것이다.
암의 광열치료법은 최근에 각광받는 효과적인 새로운 암 치료기술이다. 기존의 암 치료법은 크게 3가지가 있는데, 첫 번째는 수술을 통해 암을 제거하는 것이다. 이 방법은 눈에 보이고 만져지는 암은 제거할 수 있었으나, 크기가 작은 암은 제거가 어렵고 암의 전이를 막을 수 없는 한계가 있다. 두 번째로는 화학적으로 항암제를 이용한 약물 치료법이 다. 세 번째는 방사선 치료로, 암이 있는 부위에 방사선을 집중 조사하여 암을 제거하는 것으로 수술로 제거할 수 없는 암에 대해 큰 효과가 있고 여러 분야에서 연구가 진행 중에 있다. 현재 이들 3가지 방법을 단독 또는 병행하여 암을 치료하고 있으며 각 분야마다 지속적인 발전을 거듭하여, 세계적으로 관련 논문이 지속적으로 발표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도 암은 여전히 두려움의 존재이며 완치율이 50% 정도이다. 수술은 대부분의 경우 전신마취를 동반한다는 어려움이 있으며, 수술의 상처가 몸에 남게 되고 더욱이 암이 전이된 경우는 수술이 도움이 되지 못한다.
환자를 대상으로 사용되고 있는 항암제는 약 40여 종이며 이들은 암세포에 작용하여 증식을 억제하지만 동시에 정상세포에도 작용한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대부분의 항암제 치료를 하면 손톱 발톱의 성장이 느려지고 머리털이 빠지며, 점막의 손상이 일어나 입이 헐뿐 아니라 위장관 점막도 헐어 설사 복통이 있고 조혈세포가 손상되어 백혈구, 적혈구, 및 혈소판이 감소한다.
또한, 방사선치료는 직진하는 방사선의 특성상 암에 도달하여 그 목적을 달성한방사선이 정상세포에도 손상을 주어, 항암제와 마찬가지로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광열 치료법은 암 세포는 정상세포에 비해 열에 약함을 이용하여, 암세포가 위치한 국소적인 위치에 광 감응물질을 위치시킨 뒤, 외부에서 자극을 주어 열을 발생시켜 암세포만을 선택적으로 사멸시키는 방법이다. 이는, 순수한 발열효과를 이용하므로 기존의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음을 예상할 수 있다.
이러한 광열 치료법을 위한 광 감응물질로는 금 나노입자, 나노 다공성 실리카, 탄소 나노튜브 혹은 자성을 띠는 산화철 등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나노물질을 사용한 광열 치료법은 기존의 암 치료법에 비해 부작용이 적고 효과적이지만, 나노물질 자체가 독성을 갖고 있으며, 나노물질이 암세포가 아닌 정상 세포 근처에 있을 때 광열이 가해지면 정상세포 또한 사멸을 시킬 수 있는 부작용이 있다.
이에, 생체 내의 암을 효과적으로 광열 치료하기 위해, 생체 내에서의 배출이 용이하여 잠재적 독성이 적고, 약물 전달 시스템을 활용함으로써 표적 암조직에의 축적 효율 및 암세포 표적성이 높으며, 높은 발열 효율을 보이는 광열치료용 광반응성 화합물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다.
한편, TAM(tumor associated macrophage)는 종양(암) 미세환경에서 암 세포의 성장, 증식, 및 전이에 관여하는 대식세포로 알려져 있다. 대식세포는 종양 주변에 밀집하여 그 내부로 침투하고, 종양(암) 미세환경에 의해 M1 대식세포와 M2 대식세포로 분화된다. M1 대식세포는 CLS 대식세포(Crown like structure Macrophage)라고도 불리우며 암세포의 사멸을 야기하고 종양의 증식을 감소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며, 레지던트 대식세포(resident macrophage)라고 불리우는 M2 대식세포는 M1 대식세포와 달리 암의 미세환경에서 혈관신생을 유도하여 암세포의 전이를 야기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식세포의 종양 세포에 대한 주화성을 이용한 약물 전달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진행중에 있으나, 아직 실시가능한 기술까지 개발된 것은 없으며, 또한, 대식세포의 M1과 M2 대식세포로 분화를 유도하는 기술도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Ann Maxillofac Surg. 2011 Jul-Dec; 1(2): 150-154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M1 대식세포를 약물 전달체(Drug Delivery System)로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약물전달체는 로딩되는 물질에 따라 광열치료 효과 증진 또는 암세포 표적형 항암제로서 기능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광 감응물질(photo-responsive material)이 로딩된 M1 대식세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광열치료 효과 증진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M1 대식세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세포 표적형 약물 전달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광 감응물질(photo-responsive material)이 로딩된 M1 대식세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광열치료 효과 증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로서, 상기 광 감응물질은 금속 나노입자(metallic nanoparticle), 나노 다공성 실리카(nano porous silica), 탄소 나노튜브(carbon nanotube) 및 자성을 띄고있는 산화철(iron oxide: Fe3O4)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금속 나노입자는 금 나노입자(gold nanoparticle)와 은 나노입자를 포함하며, 상기 금 나노입자는 금 나노막대(gold nonorod), 금 나노껍질(gold nanoshell), 및 금 나노케이지(gold nanocag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금 나노입자는 PLGA(poly(lactic-co-glycolic) acid)-core gold nanoshell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M1 대식세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표적형 약물 전달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로서, 상기 M1 대식세포는 항암제가 로딩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 항암제가 로딩된 M1 대식세포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항암제는 독소루비신 (doxorubicin), 알림타(pemetrexed), 젬자(gemcitabine), 파클리탁셀(paclitaxel), 빈크리스틴 (vincristine), 다우노루비신 (daunorubicin), 빈블라스틴(vinblastine), 액티노마이신-D (actinomycin-D), 도세탁셀 (docetaxel), 에토포사이드(etoposide), 테니포사이드 (teniposide), 비산트렌 (bisantrene), 호모해링토닌(homoharringtonine), 글리벡 (Gleevec; STI-571), 시스플라틴 (cisplatin), 5-플로오로우라실 (fluorouracil), 메토트렉세이트 (methotrexate), 부설판(busulfan), 클로람부실(chlorambucil), 시클로포스파미드(cyclophosphamide), 멜팔란 (melphalan), 니트로겐 무스타드(nitrogen mustard), 니트로소우레아 (nitrosourea), 세투시맵(cetuximab) 및 소라페닙(sorafenib)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M1 대식세포는 항암제와 함께 상술한 광 감응물질이 추가로 로딩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항암제와 광 감응물질은 0.5 내지 12.5 ug/ml의 농도,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 ug/ml,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ug/ml 농도로 로딩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금속 나노입자는 PLGA-core gold nanoshell이고, 상기 항암제는 독소루비신일 수 있고, 상기 PLGA-core gold nanoshell 및 항암제는 0.5 내지 12.5 ug/ml의 농도,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 ug/ml,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ug/ml 농도로 로딩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항암제가 로딩된 M1 대식세포를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암 치료 방법 및 암 치료 효과 증진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로서, 상기 M1 대식세포는 1일 1~3회, 바람직하게는 1회 투여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암 치료 약물을 제조하기 위한 항암제가 로딩된 M1 대식세포의 용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미분화 대식세포의 M1 대식세포로의 분화 유도 방법을 제공한다:
(1) 미분화 대식식포에 PMA(Phorbol-12 Myristate 13-Acetate)를 처리하여 M0 대식세포 상태로 유도하는 단계; 및
(2) 상기 M0 대식세포에 IFN-γ(Interferon gamma)를 처리하여 M1 대식세포로 분화 유도하는 단계.
본 발명의 일 구현예로서, 상기 (2) 단계에서 IFN-γ의 처리는 100 ~ 400 μg/ml 농도로 24 ~ 48 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00 μg/ml 농도로 24 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방법은 (1) 단계 이후에 M0 대식세포를 3 내지 9 일 동안 휴지(resting) 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M1 대식세포의 종양 세포로의 이동성 및 종양 내부로의 침투력에 기초하여 M1 대식세포에 로딩하는 물질을 종양 및 암 조직에만 특이적으로 전달할 수 있으며, 특히 M1 대식세포에 항암제를 로딩하는 경우 그 약효를 높이고 부작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M1 대식세포에 광 감응물질을 로딩하는 경우 암세포로의 이동시간 감소와 암세포 내부로의 침투력이 높아져 광열치료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는바, 이는 기존 치료방법인 수술 및 방사선, 항암제 치료로 해결되지 않는 잔존암을 치료할 수 있는 새로운 치료방법이 될 수 있으며, M1 대식세포를 약물 전달 시스템(Drug Delivery System)으로 제공하여 암의 치료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해 유용하게 이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in vitro에서 분화를 유도한 대식세포가 M1 또는 M2 대식세포로 분화되었음을 확인한 도면이다.
도 2는 시간에 따른 대식세포의 이동을 확인한 in vivo imaging 도면이다.
도 3은 in vitro에서 대식세포의 유형에 따른 광열치료 효과를 비교확인한 도면이다.
도 4는 in vivo에서 대식세포의 유형에 따른 광열치료 효과를 비교확인한 도면이다.
도 5는 0~62.5 ug/ml 농도의 PLGA-DOX를 함입한 대식세포의 세포생존률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2.5ug/ml 농도의 PLGA-DOX를 함입한 M1 대식세포의 암세포 사멸 유도 효과를 확인한 도면이다.
도 7은 PLGA-DOX를 함입한 M1 대식세포의 약물 방출 패턴을 확인하기 위한 실험 모식도이고, 도 8은 Method 1의 실험 결과이며, 도 9는 Method 2의 실험 결과이다.
본 발명자들은 근적외선 파장을 흡수하는 생분해성 나노입자(PLGA-core Gold Nanoshell)를 함입한 대식세포가 근적외선 파장을 흡수함을 확인한 선행연구 결과를 기초로 후속 연구를 수행한 결과, 대식세포의 종양에 대한 주화성을 확인하였으며, 조직 소견을 통해 대식세포가 종양 내부로 침범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대식세포의 종류에 따른 종양 및/또는 암 조직으로의 주화성 및 침투력을 실험한 결과 M1 대식세포가 종양으로의 이동속도가 가장 빠르고 종양 내부로의 침투력이 가장 우수함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대식세포는 골수성 세포가 최종적으로 분화된 표현형의 하나로 주로 골수 내 존재하는 골수성 세포가 혈액을 타고 종양 미세환경으로 이동하여 분화하는 것으로 이해되고 있다. 최근에는 이들을 대식세포가 생체 내 다양한 생리적 병적 조건에서 역동적으로 M1-대식세포와 M2-대식세포로 분극화(polarization)됨이 알려졌다. M1-대식세포는 대식세포가 고전적으로 활성화(classically activated)된 상태로 외부 병원균과 인터페론 감마 등의 자극에 의해 활성화되고, IL-12를 분비하여 염증 반응을 일으키며 종양 미세 환경에서는 종양 억제 작용이 있다. 이에 반해 M2-대식세포는 대체 활성화(alternatively activated)된 대식세포로 IL-4, IL-10, IL-13, 및 부신피질호르몬에 의해 활성화되어 항 염증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IL-4, IL-10, IL-13을 분비하여 종양의 성장을 촉진시킨다.
본 발명에서 M1 대식세포는 형태학적으로 죽은 지방세포의 주변에 군집(cluster)을 형성하여 CLS 대식세포(Crown like structure Macrophage)라고도 불리우며, 암 조직으로 이동한 대식세포가 M1 대식세포로 분화하여 암 세포의 사멸을 야기하고, iNOS의 발현을 통하여 식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분화되지 않은 대식세포에 PMA를 처리하여 M0 상태로 만들고, 이어서 M0 대식세포에 IFN-γ를 처리하여 M1 대식세포로 분화된 대식세포를 제작하였다(실시예 1 참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분화되지 않은 대식세포와 M1 대식세포에 luciferase 유전자를 형질주입하고, 종양세포를 주입한 면역 결핍 마우스에 각각의 대식세포를 투여한 후 발광을 추적하여 대식세포의 이동경로를 확인한 결과 분화되지 않은 대식세포보다 M1 대식세포로 분화된 대식세포가 종양으로 이동속도가 현저하게 빠르고 종양 내부로의 침투력이 각별하게 우수함을 확인하여, M1 대식세포가 암 및/또는 종양으로의 약물 전달에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실시예 3 참조).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광 감응물질을 함입한 M0, M1, 및 M2 대식세포를 각각 암세포와 함께 배양하고 레이저를 조사하여 광열치료 효과를 확인한 결과, 암세포에 처리한 대식세포의 농도와 무관하게 M1 대식세포에 광 감응물질을 로딩하여 광열치료를 수행하는 경우 보다 많은 암세포가 사멸하여 광열치료 효과를 현저하게 상승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실시예 4-1 참조).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M1 대식세포에 PLGA-core gold nanoshell를 함입시켜 종양을 주입한 면역 결핍 마우스에 투여하고 광열치료를 수행한 결과 분화되지 않은 대식세포를 이용하는 경우보다 종양 제거에 각별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실시예 4-2 참조).
이에, 본 발명은 M1 대식세포의 종양(암)으로의 이동능력과 종양(암) 조직의 내부 침투력을 이용하여 광 감응물질(photo-responsive material)이 로딩된 M1 대식세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광열치료 효과 증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광열 치료법(Photo thermal treatment, PTT)은 암 세포가 정상세포에 비해 열에 약함을 이용하여, 암세포가 위치한 국소적인 위치에 광 감응물질을 위치시킨 뒤, 외부에서 자극을 주어 열을 발생시켜 암세포만을 선택적으로 사멸시키는 방법이다. 이는, 순수한 발열효과를 이용하므로 기존의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광열치료에 이용되는 광 감응물질(photo-responsive material)은 빛에 감응해 활성을 나타내는 물질로, 항암치료에서는 일반적으로 빛에 감응해 암세포를 공격할 수 있는 활성산소종을 만들어내는 물질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광 감응물질의 비 제한적인 예로는 금속 나노입자(metallic nanoparticle), 나노 다공성 실리카(nano porous silica), 탄소 나노튜브(carbon nanotube) 및 자성을 띠는 산화철(iron oxide: Fe3O4) 등이 있다.
금속 나노입자는 금 나노입자 및 은 나노입자 등을 포함하고, 그 중에서도 금 나노입자(gold nanoparticle)는 뛰어난 흡광능과 광열효과, 생체 적합성, 광표백 현상에 대한 안정성을 가지며, 광민감제의 중요한 요건인 효과적인 열 에너지의 방출, 생체 내의 비독성과 안정성을 충족한다. 광열치료에 연구되고 있는 금 나노입자는 근적외선 영역의 빛을 흡수할 수 있도록 디자인된 막대 형태, 큐브 형태, 핵/껍질 구조 등의 이방성 입자이다.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에서는 금 나노껍질을 이용하였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PLGA-core gold nanoshell을 이용하여 광 감응물질을 함입한 대식세포를 제작하였다.
한편, 항암제는 일반적으로 분열/증식하는 세포를 타겟으로 세포사멸을 유도하는 약물로서 정상세포에서도 세포독성을 나타낸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항암제 전달 시스템으로서 M1 대식세포의 유리한 효과와 대식세포에 항암제를 함입시켰을 때 대식세포가 암세포로 이동하기 전에 사멸하지 않고 암세포사멸을 유도할 수 있는지 확인하고자 미분화 대식세포와 M1 대식세포에 다양한 농도의 PLGA 및 독소루비신(doxorubicin: DOX)을 함입시킨 후 시간의 경과에 따른 세포 생존률과 암세포 사멸 정도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대식세포의 암세포로의 이동시간을 고려한 12시간 이후부터 72시간 동안 암세포 사멸이 일어나는 농도 중 최저의 농도인 2.5 ug/ml에서 50% 이상의 대식세포 생존률을 관찰하였는 바, 2.5 ug/ml의 농도로 PLGA와 항암제를 함입한 M1 대식세포의 암세포 타게팅 약물전달의 유용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실시예 5-2 참조).
이에, 본 발명자들은 M1 대식세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세포 표적형 약물 전달체(Drug Delivery System)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암세포 표적형 약물 전달체는 항암제 또는 항암제와 파티클이 혼합된 혼합물을 함입한 M1 대식세포일 수 있으며, 상기 항암제는 암세포의 성장, 증식 및/또는 전이를 억제하는 것이라면 제한되지 아니하고, 암세포의 성장, 증식, 및/또는 전이의 억제는 세포의 직접 작용 외에도 혈관신생(angiogenesis)을 차단하는 등의 작용으로 암세포의 성장, 증식, 및/또는 전이를 방해하는 종양미세환경을 조성하는 방법에 의할 수 있다. M1 대식세포에 로딩되는 항암제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시스플라틴(cisplatin), 독소루비신 (doxorubicin), 알림타(pemetrexed), 젬자(gemcitabine), 파클리탁셀(paclitaxel), 빈크리스틴 (vincristine), 다우노루비신 (daunorubicin), 빈블라스틴(vinblastine), 액티노마이신-D (actinomycin-D), 도세탁셀 (docetaxel), 에토포사이드(etoposide), 테니포사이드 (teniposide), 비산트렌 (bisantrene), 호모해링토닌(homoharringtonine), 글리벡 (Gleevec; STI-571), 시스플라틴 (cisplatin), 5-플로오로우라실 (fluorouracil), 메토트렉세이트 (methotrexate), 부설판(busulfan), 클로람부실(chlorambucil), 시클로포스파미드(cyclophosphamide), 멜팔란 (melphalan), 니트로겐 무스타드(nitrogen mustard), 니트로소우레아 (nitrosourea), 세투시맵(cetuximab) 및 소라페닙(sorafenib) 등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용되고 있는 항암제의 경우 증류수와 PBS 같은 용매에 녹을 수 있는 성질인 것이 바람직하며, 분자구조적으로 PLGA gold nano particle의 입자 표면과 반응할 수 있는 작용기가 있는 항암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약물전달체로서 M1 대식세포는 0.5 내지 12.5 ug/ml의 광감응물질 및 항암제가 로딩될 수 있다. 상기 범위 이하의 농도에서는 암세포사멸의 효과가 낮고, 그 이상의 농도에서는 로딩된 항암제의 독성에 의해 대식세포가 암조직에 도달하기 전에 사멸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 농도 범위는 함입되는 항암제의 세포독성에 따라 가변적일 수 있다. 한편, 항암치료는 암세포의 빠른 증식을 이용하여 환자가 견딜 수 있는 최대 용량(maximum tolerance dose)의 항암제를 3~4주 간격으로 투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항암제는 암세포 외에도 빠른 증식 속도를 갖는 골수세포 등에 작용하여 부작용을 나타내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항암 치료를 위해 이용되는 물질(광 감응물질 및/또는 항암제)이 로딩된 M1 대식세포에 관한 것으로서, M1 대식세포의 종양(암)으로의 빠른 이동과 강한 침투력을 이용하여 상기 M1 대식세포에 로딩된 물질이 정상 조직 및 세포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고 종양(암) 세포와 그 주변의 미세환경에만 작용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메트로놈 화학치료(metronomic chemotherapy)는 항암치료의 변형된 치료형태로서, 일반적인 투여 용량보다 적은 용량의 항암제를 끊임없이 투여하여 부작용이 적거나 없는 장점이 있다. 메트로놈 화학치료는 암세포를 직접적으로 죽이지는 않으나 종양미세환경에 작용하여 혈관신생을 방해하는 등 암 세포의 성장, 증식, 및/또는 전이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M1 대식세포는 약물 전달체로서 제공되어 로딩되는 항암제가 암(종양)에만 작용할 수 있도록 표적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약물 전달체가 메트로놈 화학치료에 이용되는 경우 보다 적은 용량의 항암제를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종양미세환경의 조성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자들은 M1 대식세포에 로딩된 항암제의 방출패턴을 확인하기 위하여 PLGA-DOX을 함입한 M1 대식세포를 암세포와 함께 배양하고 0~72시간 동안 관찰하였다. 그 결과, M1 대식세포는 24시간 동안 서방형으로 약물을 방출하여 암세포 증식 방지 및 세포사멸을 유도함을 알 수 있었다(실시예 5-3 참조).
본 발명의 약물 전달체는 궁극적으로 M1 대식세포에 로딩된 항암제를 암(종양) 조직에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므로, 상기 약물 전달체는 암(종양)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약학적 조성물 및 항암제의 효과 증진용 약학적 조성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치료"는 본 발명의 조성물 및/또는 약물 전달체의 투여로 상기 종양(암)의 증세가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하고, "예방"이란 본 발명의 조성물 및/또는 약물 전달체의 투여로 종양(암)의 발생, 전이, 또는 재발을 억제시키거나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하고, “효과 증진”이란 M1 대식세포에 로딩되는 약물 또는 광 감응물질이 단독으로 이용되는 경우보다 M1 대식세포에 로딩되어 이용되는 경우가 그 약물 또는 광 감응물질이 목적으로 하는 효과가 우수함을 의미한다.본 발명에서 "약학적 조성물"은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를 목적으로 제조된 것을 의미하며,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등의 경구형 제형으로 제형화할 수 있고,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제형에 따라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예컨대 완충제, 보존제, 무통화제, 가용화제, 등장제, 안정화제, 기제, 부형제, 윤활제 등 당업계에 공지된 담체를 추가로 포함하여 제조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하며 부작용을 일으키지 않을 정도의 양을 의미하며, 유효용량 수준은 환자의 건강상태,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방법,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기간, 배합 또는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여 암(종양)의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으며, 항암치료의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개체”는 쥐, 가축, 생쥐, 인간 등 포유류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인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개체에 투여를 위한 다양한 형태로 제형화 될 수 있으며, 비경구 투여용 제형의 대표적인 것은 주사용 제형으로 등장성 수용액 또는 현탁액이 바람직하다. 주사용 제형은 적합한 분산제 또는 습윤제 및 현탁화제를 사용하여 당업계에 공지된 기술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각 성분을 식염수 또는 완충액에 용해시켜 주사용으로 제형화 될 수 있다. 또한, 경구 투여용 제형으로는 예를들면 섭취형 정제, 협측 정제, 트로키, 캡슐, 엘릭시르, 서스펜션, 시럽 및 웨이퍼 등이 있는데, 이들 제형은 유효성분 이외에 희석제(예: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만니톨, 솔비톨, 셀룰로즈 및/또는 글리신)와 활탁제(예: 실리카, 탈크, 스테아르산 및 그의 마그네슘 또는 칼슘염 및/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제는 마그네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전분페이스트, 젤라틴, 트라가칸스, 메틸셀룰로즈, 나트륨 카복시메틸셀룰로즈 및/또는 폴리비닐피롤리딘과 같은 결합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전분, 한천, 알긴산 또는 그의 나트륨 염과 같은 붕해제, 흡수제, 착색제, 향미제 및/또는 감미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형은 통상적인 혼합, 과립화 또는 코팅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방부제, 수화제, 유화 촉진제, 삼투압 조절을 위한 염 또는 완충제와 같은 보조제와 기타 치료적으로 유용한 물질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제화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경구, 경피, 피하, 정맥 또는 근육을 포함한 여러 경로를 통해 투여될 수 있으며, 활성 성분의 투여량은 투여 경로, 환자의 연령, 성별, 체중 및 환자의 중증도 등의 여러 인자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목적하는 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는 공지의 화합물과도 병행하여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경로로는 경구적으로 또는 정맥 내, 피하, 비강 내 또는 복강 내 등과 같은 비경구적으로 개체에 투여될 수 있다. 경구 투여는 설하 적용도 포함한다. 비경구적 투여는 피하주사, 근육 내 주사 및 정맥 주사와 같은 주사법 및 점적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항암제 또는 광 감응물질이로딩된 M1 대식세포의 총 유효량은 단일 투여량(single dose)으로 환자에게 투여될 수 있으며, 다중 투여량(multiple dose)이 장기간 투여되는 분할 치료 방법(fractionated treatment protocol)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질환의 정도에 따라 유효성분의 함량을 달리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성인을 기준으로 1회 투여시 100㎍ 내지 3,000㎎의 유효용량으로 하루에 수 차례 반복 투여될 수 있으나, 투여주기는 24시간이 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항암제 및/또는 광 감응물질이 로딩된 M1 대식세포의 농도는 약의 투여 경로 및 치료 횟수뿐 만 아니라 환자의 연령, 체중, 건강 상태, 성별, 질환의 중증도, 식이 및 배설율 등 다양한 요인들을 고려하여 환자에 대한 유효 투여량이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당 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항암제 또는 광 감응물질이 로딩된 M1 대식세포의 암(종양)의 치료 또는 예방제로서의 특정한 용도에 따른 적절한 유효 투여량을 결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M1 대식세포가 암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해 투여되는 경우 암 조직 주변에 국소투여할 수 있으며, 정맥주사시 발생하는 정상세포에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고, 안정성을 고려한 종래 항암제의 투여용량보다 고용량의 투여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서 물질이 로딩된 M1 대식세포 이외에 공지된 항암제(혈관신생 억제제 포함) 또는 광 감응물질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이들 질환의 치료를 위해 공지된 다른 치료와 병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이하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
실시예 1. M1 대식세포의 제작
효과적인 광열치료 방법 연구를 위해 분화방법에 따른 대식세포의 유형을 달리하여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M1 대식세포는 항염증과 관련된 대식세포로, 대식세포를 M1 대식세포로 분화시키기 위하여 먼저 PMA(Phorbol-12 Myristate 13-Acetate)를 처리하여 M0 상태로 만들었으며, M0 상태에서 6일 동안 resting 시켰다. 이어서 IFN-γ (Interferon gamma)를 200μg/ml 농도로 24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M1 대식세포로 분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iNOS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mRNA 발현량을 확인하였다.
또한, 종양의 성장 및 전이와 관련된 M2 대식세포로의 분화를 위해서 먼저 PMA를 처리하여 M0 상태로 만들었으며, M0 상태에서 6일 동안 resting 시켰다. 이어서 IL-4를 200μg/ml 농도로 24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M2 대식세포로 분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Arginase1 및 CD80의 mRNA 발현량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방법에 의해 M1 대식세포와 M2 대식세포로 분화된 대식세포를 제작할 수 있었다.
실시예 2. 나노입자가 로딩된 대식세포의 제작
PLGA-core gold nanoshell을 제작하여 대식세포 배양액에 넣은 후 orbital shaker를 이용하여 상온에서 2 시간 동안 함입을 유도하였다. 그리고 37℃ incubator 안에서 2시간 동안 배양한 후 부유 세포는 제거하고 부착 세포만을 분리하여 이용하였다.
실시예 3. 대식세포 유형에 따른 종양세포로의 이동성 확인
면역결핍된 누드마우스에 종양세포를 주입하여 tumor bearing mouse model을 제작하고, 종양주변부인 4군데에 각각의 luciferase gene를 형질주입(transfection)한 대식세포를 주입하였다. In vivo 조건에서 대식세포의 분열로 인하여 이동성을 나타내는 것과 같이 보이는 결과를 제거하기 위하여, 대식세포 투여군; 대식세포 및 mitomycin C 투여군; M1 대식세포 투여군; 및 M1 대식세포 및 mitomycin C 투여군;으로 구분하였으며, mitomycin C는 세포분열을 억제하는 시약으로서, 대식세포의 이동 관찰에 있어 세포 분열로 인한 이동을 배제하기 위하여 이용되었다. 마우스에 주입한 각 대식세포는 in vivo imaging 기법을 이용하여 발광 이미지 추적을 통해 그 이동성을 측정하였다. 이미징(imaging)은 대식세포 투여 전과 이후 12시간 마다 실시하였다.
그 결과,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분화되지 않은 대식세포를 주입하는 경우 종양(도 2에 각 이미지 마다 표시된 빨간색 원) 내부로의 이동에 약 48시간 정도 걸리는 반면, M1 대식세포 및 mitomycin C 주입시12시간 만에 종양 중앙부로 이동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결과로부터 M1 유형으로 분화된 대식세포가 종양으로의 이동성이 보다 우수함을 알 수 있고, M1 대식세포의 이용을 통해 종양으로의 보다 빠른 약물(나노입자 등) 접근이 가능하고 종양의 중앙부까지 약물의 전달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4. M1 대식세포를 이용한 광열치료의 효과 확인
4-1. in vitro에서 광열치료 효과 확인
대식세포의 유형에 따른 광열치료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나노입자(PLGA)를 로딩한 M0, M1, 또는 M2 대식세포를 각각 농도를 달리하여 암세포와 동시 배양하였다. 이어서 레이저를 조사하고 세포의 밀도에 따른 광열치료 효과를 확인하였다(low density: 70% confluency, high density: 90% confluency).
그 결과,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대식세포의 밀도와 무관하게 M1 대식세포와 암세포를 동시배양 하였을때 암세포의 많이 죽었으며, 상기 결과로부터 M1 대식세포에 나노입자를 로딩하여 광열치료를 수행하는 경우 그 효과가 더 우수함을 알 수 있다.
4-2. in vivo에서 광열치료 효과 확인
이어서, in vivo에서도 M1 대식세포의 광열치료 효과 증진의 기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tumor bearing mouse에 mitomycin C와 함께 분화되지 않은 대식세포 또는 M1 대식세포를 주입하고 광열치료 수행 후 1일 및 4일 경과시 종양의 크기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M1 대식세포를 주입한 경우 광열치료 후 1일 경과시부터 분화되지 않은 대식세포를 주입한 경우보다 종양의 크기가 급격하게 감소하였고, 광열치료 후 4일 경과시에는 종양은 제거되고 피부 조직만 남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5. M1 대식세포를 이용한 광감응물질 및 항암제 전달 효과 확인
5-1. M1 대식세포에 광감응물질 및 항암제 로딩
항암제와 광감응물질(PLGA-core gold nanoshell)이 혼합된 혼합물을 최종 농도 1 mg/ml로 제작한 후 항암제 실험조건인 0.02-62.5 ug/ml 농도에 맞추어서 혼합물을 대식세포 배양액에 넣은 후 orbital shaker를 이용하여 상온에서 2 시간 동안 함입을 유도하였다. 그리고 원심분리를 통하여서 상층액은 제거한 후 획득한 세포만을 이용하였다.
5-2. M1 대식세포의 암세포로의 항암제 전달 가능성 확인
M1 대식세포가 항암제를 함입한 후에도 사멸되지 않고 종양 내부까지 전달할 수 있는가를 확인하기 위하여, 서로 다른 농도의 항암제(doxorubicin: DOX)가 로딩된 M1 대식세포의 생존률을 MTT assay를 통해 확인하고자 하였다. M1 대식세포가 암세포로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통상 12시간으로 보고, M1 대식세포에 PLGA+Doxorubicin을 다양한 농도(0, 0.02, 0.1, 0.5, 2.5, 12.5, 또는 62.5 ug/ml)로 함입시킨 후 6, 12, 및 24 시간 경과 후에 세포생존률을 관찰하였다.
동일 농도로 함입된 항암제에 의한 동일 시간 동안의 세포 독성에 대한 저항성을 미분화 대식세포(RAW cell)와 분화된 M1 대식세포에서 비교한 결과, M1 대식세포의 세포사멸률이 낮은 것으로부터 M1 대식세포가 미분화 대식세포 보다 함입된 항암제에 대한 독성의 영향을 적게 받음을 알 수 있었다.
M1 대식세포 투여 후 12시간이 경과해야 암세포의 사멸이 점진적으로 관찰되므로, M1 대식세포에 함입되는 항암제는 12시간 동안 50% 이상의 생존률을 나타냄과 동시에 암세포 사멸이 일어나는 농도 중 최저 농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2.5ug/ml 농도로 함입된 M1 대식세포는 함입 12시간 후 50% 생존률을 나타내었고(도 5), 투여 72시간 후 대부분의 암세포를 사멸시킴을 확인하였다(도 6). 상기 결과로부터 M1 대식세포에 함입하는 항암제의 최적의 농도는 2.5ug/ml이고, M1 대식세포는 2.5 ug/ml 내외의 항암제와 광감응물질을 함입하여 암 조직으로 전달하여 암세포의 효과적인 사멸유도가 가능함을 알 수 있다.
5-3. M1 대식세포의 약물방출 형태 확인
이어서, 미분화 대식세포와 M1 대식세포에 PLGA와 DOX를 로딩하고 약물전달시스템으로서 M1 대식세포의 효용성을 재검증하고 M1 대식세포의 약물방출 형태를 확인하고자 두가지의 in-vitro modeling 실험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macrophage, macrophage+PLGA-DOX, MI macrophage, 및 M1 macrophage+PLGA-DOX의 4개의 군을 준비하고 각 군의 대식세포를 암세포와 동시에 배양한 후 0~72시간까지의 관찰을 통해 암세포의 사멸 여부 및 사멸 정도를 확인하였다(도 7, Method 1). 또한, plate에 암세포와 대식세포를 분리하기 위해 원기둥모형의 penicylinder를 중앙에 배치하여 안쪽에는 대식세포를, 바깥쪽에는 암세포를 배양하여 대식세포의 암세포로의 이동성 및 방출되는 항암제 효과 유지 정도를 확인하였다(도 7, Method 2).
Method 1의 실험 결과, 대식세포는 암세포와 동시배양만으로도 일정 시간동안 암세포 사멸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미분화 대식세포보다는 M1 대식세포에서 암세포 사멸효과가 보다 우수하였으며, 특히 PLGA와 DOX가 함입된 M1 대식세포에서 암세포 사멸 효과가 가장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8). 상기 결과로부터, 함입된 항암제는 대식세포로부터 방출됨을 알 수 있다.
Method 2의 실험 결과는 도 9에 나타내었으며, 도 9에서 빨간선을 기준으로 왼쪽은 대식세포, 오른쪽은 암세포이다. 미분화 대식세포군(macrophage 및 macrophage+PLGA-DOX) 은 모든 시간대에서 대식세포의 이동과 암세포 사멸을 확인할 수 없었다. 반면, M1 대식세포를 배양한 plate에서 암세포는 12시간까지 증식하지 않고 유지되었다. 그러나, 12시간 이후에는 암세포의 분열로 인한 증식이 확인되었는바, 이는 M1 대식세포가 분비하는 cytokine의 효과가 감소함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PLGA와 DOX가 로딩된 M1 대식세포 그룹은 0~24시간 동안 대식세포의 암세포 내부로 침투와 암세포 사멸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24시간 이후에는 M1 Macrophage+PLGA-DOX 그룹에서도 암세포의 증식이 관찰되었는바, PLGA-DOX 2.5 ug/ml을 함입한 M1 대식세포는 24시간 동안 항암제를 방출하고 사멸되어 이후 암세포 사멸의 효과를 나타내지 않음을 의미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 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4)

  1. 광 감응물질(photo-responsive material)이 로딩된 M1 대식세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광열치료 효과 증진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 감응물질은 금속 나노입자(metallic nanoparticle), 나노 다공성 실리카(nano porous silica), 탄소 나노튜브(carbon nanotube) 및 자성을 띠는 산화철(iron oxide: Fe3O4)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열치료 효과 증진용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나노입자는 금 나노막대(gold nonorod), 금 나노껍질(gold nanoshell), 및 금 나노케이지(gold nanocag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입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열치료 효과 증진용 조성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금 나노입자는 PLGA-core gold nanoshel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열치료 효과 증진용 조성물.


KR1020200086062A 2019-07-12 2020-07-13 M1 대식세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광열치료 효과 증진용 조성물 KR2021000791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084665 2019-07-12
KR1020190084665 2019-07-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7914A true KR20210007914A (ko) 2021-01-20

Family

ID=7421102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6062A KR20210007914A (ko) 2019-07-12 2020-07-13 M1 대식세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광열치료 효과 증진용 조성물
KR1020200086063A KR102529831B1 (ko) 2019-07-12 2020-07-13 M1 대식세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세포 표적형 약물 전달체 및 광열치료 효과 증진용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6063A KR102529831B1 (ko) 2019-07-12 2020-07-13 M1 대식세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세포 표적형 약물 전달체 및 광열치료 효과 증진용 조성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20249666A1 (ko)
EP (1) EP3998084A4 (ko)
JP (1) JP7376678B2 (ko)
KR (2) KR20210007914A (ko)
WO (1) WO2021010698A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X2018005946A (es) * 2015-11-11 2019-01-14 Zhu Zhenglun Metodo de modificacion de diferenciacion e inmunidad de macrofagos.
CN106421810B (zh) * 2016-09-26 2019-08-20 武汉大学 一种肿瘤靶向细胞药物载体及其应用
EP3638248A4 (en) 2017-06-16 2021-06-30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CONJUGATES OF PHARMACEUTICAL INGREDIENT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nn Maxillofac Surg. 2011 Jul-Dec; 1(2): 150-15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7915A (ko) 2021-01-20
US20220249666A1 (en) 2022-08-11
JP2022541465A (ja) 2022-09-26
JP7376678B2 (ja) 2023-11-08
EP3998084A4 (en) 2024-02-14
EP3998084A1 (en) 2022-05-18
KR102529831B1 (ko) 2023-05-04
WO2021010698A1 (ko) 2021-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Yang et al. Magnetic functionalised carbon nanotubes as drug vehicles for cancer lymph node metastasis treatment
CN108030919B (zh) 人血清白蛋白修饰黑磷量子点的制备及作为增敏剂的应用
Dörr et al. Amelioration of acute oral mucositis by keratinocyte growth factor: fractionated irradiation
RU2012106620A (ru) Комбинации и способы введения терапевтических средств и комбинированной терапии
Huang et al. Rat bone mesenchymal stem cell-derived exosomes loaded with miR-494 promoting neurofilament regeneration and behavioral function recovery after spinal cord injury
KR20190093141A (ko) 성체줄기세포 유래의 나노베시클 및 이의 표적 치료용 용도
JP2019513134A (ja) 癌を処置するための、化学療法及び放射線療法を伴う二極性トランスカロテノイドの使用
CN110665003A (zh) 一种双载药无载体纳米粒及其制备方法
Lu et al. The synergistic therapeutic effect of temozolomide and hyperbaric oxygen on glioma U251 cell lines is accompanied by alterations in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and multidrug resistance-associated protein-1 levels
EP2026657A1 (en) Anti-cancer composition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KR20210007914A (ko) M1 대식세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광열치료 효과 증진용 조성물
CN111803519A (zh) 一种携载化疗药物的抗肿瘤微泡的制备方法、药剂及应用
EP3525783B1 (en) Treatment of cholangiocarcinoma with tpcs-2a induced photochemical internalisation of gemcitabine
Cividalli et al. Enhancement of radiation response by paclitaxel in mice according to different treatment schedules
KR20230080480A (ko) 방사선 치료로 인한 손상을 완화하는 약물의 제조에서 세스퀴테르펜 락톤계 화합물의 용도
US20090131391A1 (en) Inhibitor for differentiation of hematopoietic precursor cells
ES2847214T3 (es) 8-oxo-dGTP para la prevención y tratamiento de tumores y aplicaciones del mismo
WO2021102356A1 (en) Combination therapy of a coenzyme q10 compound and radiation therapy for treatment of glioma
CN111939159A (zh) Nsc 23766辅助肿瘤放射治疗的用途
García-Cuellar et al. Bismuth lipophilic nanoparticles (BisBAL NP) inhibit the growth of tumor cells in a mouse melanoma model
KR20210039414A (ko) 암의 치료를 위한 병용 요법
WO2023029141A1 (zh) 奥替尼啶双盐酸盐在制备抗肿瘤药物中的应用
Zhang et al. Nano shield: a new tetrahedral framework nucleic acids-based solution to radiation-induced mucositis
CN114469931B (zh) 倍半萜内酯类化合物在制备减缓放疗损伤药物上的应用
CN115068615B (zh) 一种“开源节流”型逆转乏氧抗肿瘤药物组合物及其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