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7592A - 돼지 발정 측정 장치 - Google Patents

돼지 발정 측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7592A
KR20210007592A KR1020190084321A KR20190084321A KR20210007592A KR 20210007592 A KR20210007592 A KR 20210007592A KR 1020190084321 A KR1020190084321 A KR 1020190084321A KR 20190084321 A KR20190084321 A KR 20190084321A KR 20210007592 A KR20210007592 A KR 202100075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g
estrus
pheromone
weight
load ce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43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4577B1 (ko
Inventor
김현태
최경문
박지훈
이용진
Original Assignee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843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4577B1/ko
Publication of KR202100075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75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45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45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 A01K29/005Monitoring or measuring activity, e.g. detecting heat or m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71Specific aspects of physiological measurement analysis
    • A61B5/7275Determining trends in physiological measurement data; Predicting development of a medical condition based on physiological measurements, e.g. determining a risk fac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03/00Evaluating a particular growth phase or type of persons or animals
    • A61B2503/40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52Load cells

Abstract

기존의 돼지 무게 측정 장치는 1 개 또는 2 개의 로드 셀을 사용하여 돼지의 무게를 측정함으로써 돼지의 무게만을 측정할 수 있을 뿐, 돼지의 발정여부를 알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입구도어, 체중 측정부, 급이부 및 출구 도어부를 구비한 자동 사육 장치의 상기 체중 측정부는 직사각형의 상판프레임과 상판철망으로 구성된 상판과 상기 상판의 하부에서 상기 상판의 네모서리와 상기 상판의 장변의 중간에 로드셀이 구비되고, 돼지가 상기 자동 사육 장치에 들어올 때 발생하는 상기 6개의 로드셀에서 측정되는 돼지 무게의 변화 패턴으로부터 돼지의 발정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돼지 무게의 변화로부터 돼지가 발정으로 판단되면, 돼지의 발정을 정확히 검사하기 위하여 상기 체중 측정부의 전방부 돼지의 머리가 위치하는 하부에 구비된 페로몬향기 발생기를 구동하여 페로몬을 발생하고, 상기 페로몬의 발생 후의 돼지의 움직임을 상기 6개의 로드셀에 측정하여 돼지의 움직임의 변화가 있는지를 판단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돼지발정 측정 장하다 제공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돼지가 발정단계인지를 확인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며, 더욱 정확한 발정의 확인을 위해 돼지 수컷의 페로몬 향을 이용함으로써 좀 더 확실하게 발정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돼지 발정 측정 장치{Pig Estrus Test Apparatus}
본 발명은 돼지 자동 사육 장치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돼지발정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좀 더 자세하게는 상기 돼지 자동 사육 장치에 사용되는 돼지 무게 측정 장치와 페로몬 발생장치를 결함하여 돼지의 발정을 측정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 이전의 선행기술로는 식별자 정보를 갖는 동물이 사육되는 사육 영역에서의 상기 동물의 동작 상태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감지용 영상에서 물체가 감지될 때 상기 사육 영역에서 승가 행위가 발생되는 것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승가 행위의 발생이 감지되면, 상기 승가 행위가 발생되는 영역 내 동물의 식별자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식별용 영상을 상기 제1 카메라 또는 상기 제1 카메라와 다른 위치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카메라로 부터 제공받아 상기 승가 행위를 허용한 동물의 식별자 정보를 판독하는 판별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카메라는 기 설정된 범위 내에서 상기 사육 영역 내 동물의 기준 키에 대응하는 높이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되는, 동물 발정 감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승가 허여 여부에 의하여 돼지의 발정을 감지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또 다른 선행 기술로는 기분(mood), 감정(emotion) 또는 생리학적 상태(physiological state)를 돕는 장치에서, 제1 시간에 제1 생리학적 또는 감정적 상태를 갖는 대상체로부터 하나 이상의 유기 화합물을 포획 또는 흡수할 수 있는 기질(substrate); 및 제1 시간에 하나 이상의 유기 화합물의 포획, 또는 제2 시간에 기질로부터 하나 이상의 유기 화합물의 방출을 제어할 수 있는 요소를 포함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히는 상이한 생리학적 또는 감정적 상태 하에서 인간에 의해 방출되는 휘발성 유기 화합물(VOCs:volatile organic compounds)을 포획, 저장 및 사용하기 위한 장치 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등록 10-1471906 공개특허공보 10-2018-0094886
본 발명은 기존의 돼지 무게 측정 장치가 1 개 또는 2 개의 로드 셀을 사용하여 돼지의 무게를 측정함으로써 돼지의 무게만을 측정할 수 있을 뿐, 돼지의 발정여부를 알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여러 개의 로드 셀을 이용하여 돼지의 무게측정과 아울러 돼지의 걸음걸이 및 기침과 같은 행동을 측정함으로써 돼지의 발정 등을 감지하는 수단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또한, 좀 더 확실한 돼지의 발정 여부를 검사하기 위하여 별도의 돼지 수컷의 페로몬 발생기를 구비하여 필요한 경우 상기 페로몬 발생기를 구동하여 페로몬을 발생시킨 후 돼지의 행동을 분석함으로써 돼지의 발정 여부를 좀 더 확실히 알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입구도어, 체중 측정부, 급이부 및 출구 도어 부를 구비한 자동 사육 장치의
상기 체중 측정부는 직사각형의 상판프레임과 상판철망으로 구성된 상판과 상기 상판의 하부에서 상기 상판의 네모서리와 상기 상판의 장변의 중간에 로드셀이 구비되고,
돼지가 상기 자동 사육 장치에 들어올 때 발생하는 상기 6개의 로드셀에서 측정되는 돼지 무게의 변화 패턴으로부터 돼지의 발정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돼지 무게의 변화로부터 돼지가 발정으로 판단되면, 돼지의 발정을 정확히 검사하기 위하여 상기 체중 측정부의 전방부 돼지의 머리가 위치하는 하부에 구비된 페로몬향기 발생기를 구동하여 페로몬을 발생하고,
상기 페로몬의 발생 후의 돼지의 움직임을 상기 6개의 로드셀에 측정하여 돼지의 움직임의 변화가 있는지를 판단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돼지발정 측정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6개의 로드셀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주파수 분석하여 5 ~ 20Hz의 주파수 대역의 신호로 변환하여 10Hz 이상의 신호가 있는 경우 이를 발정기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돼지발정 측정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돼지발정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돼지 발정을 측정하는 방법은,
돼지가 열려진 상기 입구도어를 통과하여 체중 측정부로 들어오는 돼지유입단계(S1); 및
상기 돼지유입단계에서 돼지가 상기 체중 측정부로 들어올 때 돼지의 걸음마다 변화되는 상기 6개의 로드셀에서 측정되는 데이터를 측정하고 저장하는 걸음걸이 측정단계(S2); 및
상기 걸음걸이 측정단계에서 측정된 상기 6개의 로드셀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주파수 변환하여 걸음걸이 패턴을 주파수분석하는 주파수분석단계(S3); 및
상기 주파수 분석단계에서 분석된 걸음걸이 패턴이 10Hz 이상인지 판단하여 발정여부를 판단하는 발정판단단계(S4); 및
상기 발정판단단계에서 발정으로 판단되면 상기 페로몬향기 발생기를 구동하여 페로몬을 발생하는 페로몬 발생단계(S5); 및
상기 페로몬 발생단계에서 발생한 페로몬에 의하여 상기 6개의 로드셀의 측정값의 변화가 줄어드는지 확인하는 돼지 움직임 변화측정단계(S6); 및
상기 돼지 움직임 변화측정단계에서 측정결과 돼지 움직임이 둔화된 것이 확인되면 상기 돼지의 발정을 확인하는 돼지 발정확인단계(S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돼지발정 측정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돼지의 걸음걸이 데이터와 상기 발정판단결과를 저장하는 데이터저장단계(S8);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돼지발정 측정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돼지 발정확인단계에서 돼지의 발정을 확인하는 경우 이를 관리자에 알리는 알림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돼지발정 측정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기존의 돼지 무게 측정 장치가 1 개 또는 2 개의 로드셀을 사용하여 돼지의 무게를 측정하는 방식을 6개의 로드셀을 사용하여 돼지의 무게와 돼지의 걸음걸이에 따른 상기 6개의 로드셀의 측정값의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돼지의 걸음걸이의 정상 여부와 함께 돼지가 발정단계인지를 확인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함으로써 돼지의 사육을 보다 과학적으로 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한다. 또한 정확한 발정의 확인이 어려움 경우 돼지 수컷의 페로몬 향을 이용하여 수컷의 페로몬 향에 의하여 암컷의 행동이 순화되면 이를 발정을 확인하는 수단으로 이용함으로써 좀 더 확실한 발정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 본 발명의 돼지 체중 측정 장치가 사용될 돼지 사육장
도2 본 발명의 돼지 사육장치 정면도
도3 본 발명의 돼지 사육장치 측면도
도4 본 발명의 돼지 체중 측정부
도5 본 발명의 돼지 체중 측정부 개념도
도6 본 발명의 페로몬 발생기를 구비한 체중 측정부
도7 본 발명의 발정측정 단계
도8 본 발명의 음수공급부 단면도
도9 본 발명의 사료 급이부 단면도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도1은 본 발명의 개량된 비육돈용 생체정보 계측용 출입구 제어시스템이 설치될 돼지 돈사의 내부 모식도 이다. 자동화된 처리를 위하여 여러 가지 사육장치와 측정장치와 센서를 이용하여 돈사 내부의 환경을 측정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상기 비육돈용 생체정보 계측은 비육돈의 무게, 체온, 표면적, 부피, 밀도 및 키 등을 측정할 수 있으며, 마이크로폰(마이크) 등을 이용한 비육돈의 숨소리, 기침소리 및 울움 소리의 녹음기능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녹음된 소리는 사용자, 사육자 또는 수의사 등에 의하여 진단하는 정보로 사용할 수 있다.
돈사 한쪽에 설치된 돼지 자동 사육 장치는 비육돈이 상기 자동 사육 장치로 입장하면, 문이 닫히고 상기 비육돈의 귀에 구비된 RFID를 통하여 비육돈을 식별하고, 구비된 센서의 종류에 따라 비육돈의 중량, 체온, 표면적, 부피, 밀도 및 키 등 상기 비육돈의 생체정보를 측정한다.
상기 측정이 이루어지면, 비육돈을 다음 단계로 이동시키고, 다음 단계에서는 비육돈의 중량과 상기 무게측정 결과에 따라 적합한 사료와 사료의 양을 계산하여 급이한다.
상기 사료의 급이를 마친 비육돈은 출구로 돼지가 퇴장하여, 다시 돈사로 돌아오는 구조로 설계되어 있다. 돼지가 사료를 급이 한지 얼마 안되어 다시 돼지 자동 사육 장치에 들어오고자 하면, 상기 자동 사육장 도어가 열리지 않는다. 만약 다른 돼지가 도어문을 열고 들어가지 않는 사이에 상기 사료를 급이 한지 얼마 안 되는 돼지가 들어오는 경우 도어를 막지 않고, 출구도어를 열어 돼지가 나가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자동 사육 장치 내부에 사료를 정량으로 공급하고, 남은 사료를 처리하는 사료공급기를 내장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사료통 상기 사료통에 있는 사료를 사료 급이부로 이동하는 사료정량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료통의 내부 공간을 구획시키며 상단은 개방된 상태에서 내부에는 사료를 저장하는 수용공간이 함몰형성된 사료받침판;
상기 사료받침판의 상단에 덮혀지며 둘레면에는 상기 사료통에 저장된 사료를 상기 사료받침판으로 유입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입구가 형성된 상부커버;
상기 사료받침판의 바닥면에 관통 설치되며 상기 유입구를 통해 상기 수용공간으로 유입된 사료를 상기 사료받침대로 배출시키는 배출구멍 및 ; 상기 사료받침판의 수용공간에 설치되며 구동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며 상기 수용공간으로 유입된 사료를 상기 배출구멍으로 강제 이송시키는 블레이드와; 상기 상부커버의 상단에 설치되고 블레이드와 연결 구성되어, 상기 블레이드의 동작으로 회전하며 상기 상부커버에 쌓여있는 사료를 상기 유입구쪽으로 끌고가는 스크레이퍼와; 상기 사료받침판의 일측 하단에는 상기 사료받침판을 상, 하 이동시키는 작동바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정량 자동 공급장치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자동 사육 장치 내부 또는 돈사 내부에 가축이 음수를 섭취할 수 있도록 하는 음수공급장치에 있어서, 공급통로에 의해 연결되어 가축이 사용하는 수통에 음수를 급수하는 제 1저장부와; 상기 제 1저장부의 내부 일측에 결합되되 하단에 배출구를 형성하는 제 2저장부와; 상기 제 2저장부에 1차적으로 물을 급수시키기 위해, 음수가 공급되는 주입관을 일측에 결합하고, 배출공이 형성된 타측을 상기 제 2저장부의 내측으로 삽입하되, 상기 제 2저장부에 삽입된 일측 양면중 상기 제 2저장부로 삽입된 부위에는 돌출부를 결합시키고, 그 반대편에는 외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부에 결합수단을 체결하여 상기 저장부와의 연결부위에 기밀상태를 유지하도록 한 주입부와; 상기 제 2저장부의 내측에서 단부에 제어편을 돌출형성하는 일단이 피봇핀에 의해 연결되어 좌, 우 회동되는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제 1저장부 내측에 위치되는 플로우트
로 이루어지는 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용 자동 음수공급장치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도4의 체중 측정 단에 구비되는 돼지 체중 측정부를 개량하고자 하는 것이다.
기존의 돼지 체중 측정 장치는 1개 또는 2개의 로드셀을 사용하여 돼지가 지나가는 통로를 바닥과 분리하여 상부에 구비된 로드셀에 상기 바닥과 분리된 통로를 매달아 체중을 측정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렇게 함으로써 적은 수의 로드셀을 사용하여 돼지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돼지가 통로를 지나가는 동안 통로가 흔들릴 수 있어, 돼지가 불안해하는 경우가 종종 있었다.
이러한 점의 개선하고 돼지의 무게를 정확히 측정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4개 이상의 로드셀을 보다 바람직하게는 6개의 로드셀을 상기 통로의 모서리와 좌우 장변의 중앙에 설치하여 돼지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렇게 함으로써 돼지의 통로 이동에 따라 변화되는 돼지의 체중과 걸음걸이를 측정할 수 있게 하였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돼지 걸음걸이의 좌우 대칭여부와 걸음걸이와 속도 등을 분석하여 걸음이 불안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걸음과 걸음 사이의 시간 간격, 걸음 보폭, 걸을 때의 무게 중심의 변화 등을 상기 6개의 로드셀의 측정값을 이용하여 분석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6개의 로드셀 중 통로의 가장 안쪽에 설치된 로드셀에 무게가 많이 실리면 돼지가 통로에 완전히 들어온 것으로 인식하여, 상기 사육장치의 입구를 닫아 다른 돼지의 진입을 막을 수 있는 센서로도 사용가능하다.
특히, 돼지가 상기 통로에 진입하는 과정에서 상기 6개의 로드셀에 측정되는 좌우 로드셀의 무게 값과 정체 돼지의 무게를 측정하고 이를 비교함으로써 돼지가 서있거나, 걷는 중에 좌우에 동일한 무게가 실리는지를 판단할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돼지의 걸음걸이 이상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육장치 입구에 설치된 RFID로 구성된 돼지 이표를 이용하여 돼지를 인식하고, 이전에 저장된 동일한 돼지의 과거의 걸음걸이 데이터와도 비교하여 돼지의 걸음걸이가 안정적인지 불안정 적인지 판단할 수 있다. 과거 발정으로 판단하였던 걸음걸이와 같은지 비교할 수 있도록 하였다.
특히, 측정된 6개의 로드셀의 데이터를 크기 분석과 더불어 주파수 분석을 함으로써 돼지의 걸음걸이가 불안한지 알 수 있다.
즉, 돼지의 무게를 측정하는 로드셀의 데이터로부터 저주파 진동이 있는 경우 돼지가 불안증상을 보이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저주파는 5~ 20Hz 부근의 데이터를 확인해 볼 수 있다. 이러한 불안한 걸음이 확인되는 경우 돼지의 발정으로 판단한다.
또한, 상기 무게측정부의 전방부 돼지의 머리가 위치하는 하부에 페로몬 발생기를 구비한다. 상기 로드셀의 측정데이터를 주파수 분석하여 10Hz 이상의 주파수가 측정되면 발정으로 판단하고, 발정으로 판단된 돼지의 보다 정확한 발정여부 판단을 위하여 상기 페로몬 발생기에서 페로몬 향기를 돼지에 공급하여 상기 로드셀의 무게 변화를 살펴 돼지의 반응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육 장치를 제공한다. 발정기가 아닌 돼지의 경우 페로몬 향기에 영향이 없기 때문에 페로몬향기를 공급하기 전후로 상기 로드셀에서 측정되는 돼지의 움직임에 변화가 없으나,
발정기의 돼지는 상기 페로몬 향기에 의해 안정감을 찾아 측정값이 변화된다.
일반적인 암퇘지의 발정을 관찰하는 방법으로는 외음부가 붓고 충혈 됐는지를, 외음부로부터 점액이 누출되는 지를, 수퇘지의 승가를 허용하는지 여부로부터 알 수 있다.
그러나 암퇘지와 수퇘지를 구분하여 사육하는 경우 이러한 관찰을 하기는 쉽지 않다. 따라서 상기 자동사육장치에 들어오는 돼지의 걸음걸이와 페로몬 발생기를 이용한 테스트를 측정하여 돼지의 발정을 확인한 후 농장 관리자에 이를 통보함으로써 적극적으로 돼지의 발정을 확인하고 이에 따른 적절한 후속 초지를 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입구도어, 체중 측정부, 급이부 및 출구 도어부를 구비한 자동 사육 장치의
상기 체중 측정부는 직사각형의 상판프레임과 상판철망으로 구성된 상판과 상기 상판의 하부에서 상기 상판의 네모서리와 상기 상판의 장변의 중간에 로드셀이 구비되고,
돼지가 상기 자동 사육 장치에 들어올 때 발생하는 상기 6개의 로드셀에서 측정되는 돼지 무게의 변화 패턴으로부터 돼지의 발정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돼지 무게의 변화로부터 돼지가 발정으로 판단되면, 돼지의 발정을 정확히 검사하기 위하여 상기 체중 측정부의 전방부 돼지의 머리가 위치하는 하부에 구비된 페로몬향기 발생기를 구동하여 페로몬을 발생하고,
상기 페로몬의 발생 후의 돼지의 움직임을 상기 6개의 로드셀에 측정하여 돼지의 움직임의 변화가 있는지를 판단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돼지발정 측정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6개의 로드셀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주파수 분석하여 5 ~ 20Hz의 주파수 대역의 신호로 변환하여 10Hz 이상의 신호가 있는 경우 이를 발정기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돼지발정 측정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돼지발정 측정 장하다 이용하여 돼지 발정을 측정하는 방법은,
돼지가 열려진 상기 입구도어를 통과하여 체중 측정부로 들어오는 돼지유입단계(S1); 및
상기 돼지유입단계에서 돼지가 상기 체중 측정부로 들어올 때 돼지의 걸음마다 변화되는 상기 6개의 로드셀에서 측정되는 데이터를 측정하고 저장하는 걸음걸이 측정단계(S2); 및
상기 걸음걸이 측정단계에서 측정된 상기 6개의 로드셀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주파수 변환하여 걸음걸이 패턴을 주파수분석하는 주파수분석단계(S3); 및
상기 주파수 분석단계에서 분석된 걸음걸이 패턴이 10Hz 이상인지 판단하여 발정여부를 판단하는 발정판단단계(S4); 및
상기 발정판단단계에서 발정으로 판단되면 상기 페로몬향기 발생기를 구동하여 페로몬을 발생하는 페로몬 발생단계(S5); 및
상기 페로몬 발생단계에서 발생한 페로몬에 의하여 상기 6개의 로드셀의 측정값의 변화가 줄어드는지 확인하는 돼지 움직임 변화측정단계(S6); 및
상기 돼지 움직임 변화측정단계에서 측정결과 돼지 움직임이 둔화된 것이 확인되면 상기 돼지의 발정을 확인하는 돼지 발정확인단계(S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돼지발정 측정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돼지의 걸음걸이 데이터와 상기 발정판단결과를 저장하는 데이터저장단계(S8);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돼지발정 측정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돼지 발정확인단계에서 돼지의 발정을 확인하는 경우 이를 관리자에 알리는 알림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돼지발정 측정방법을 제공한다.
10: 제 1저장부
20: 제 2저장부
21: 배출구
30: 주입부
31: 배출공
33: 돌출부
40: 나사부
41: 나나산
42: 결합수단
50: 조절부
51: 지지대
52: 플로우트
53: 제어편
54: 피봇핀
55: 유연부재
60: 공급통로
61: 주입관
70: 수통
71: 분리노즐
210: 사료저장통
212: 공간
214: 상부캡
220: 하부캡
224: 사료받침대
230: 사료공급수단
232: 사료받침판
234: 수용공간
236: 배출구멍
238: 상부커버
240: 유입구
244: 블레이드
246: 구동모터
252: 회전축
256: 스크레이퍼
260: 탄성링부재
270: 제어부
272: 센서
274: 타이머
500 : 사육장치
510 : 입구도어
520 : 체중 측정부
530 : 급이부
540 : 출구도어부
600 : 체중 측정기
610 : 상판프레임
620 : 상판철망
630 : 로드셀
700 : 페로몬 발생기

Claims (2)

  1. 입구도어, 체중 측정부, 급이부 및 출구 도어부를 구비한 자동 사육 장치의
    상기 체중 측정부는 직사각형의 상판프레임과 상판철망으로 구성된 상판과 상기 상판의 하부에서 상기 상판의 네모서리와 상기 상판의 장변의 중간에 로드셀이 구비되고,
    돼지가 상기 자동 사육 장치에 들어올 때 발생하는 상기 6개의 로드셀에서 측정되는 돼지 무게의 변화 패턴으로부터 돼지의 발정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돼지 무게의 변화로부터 돼지가 발정으로 판단되면, 돼지의 발정을 정확히 검사하기 위하여 상기 체중 측정부의 전방부 돼지의 머리가 위치하는 하부에 구비된 페로몬향기 발생기를 구동하여 페로몬을 발생하고,
    상기 페로몬의 발생 후의 돼지의 움직임을 상기 6개의 로드셀에 측정하여 돼지의 움직임의 변화가 있는지를 판단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돼지발정 측정 장치.
  2. 제1항의 돼지발정 측정 장치를 이용한 돼지발정 측정방법에 있어서,
    돼지가 열려진 상기 입구도어를 통과하여 체중 측정부로 들어오는 돼지유입단계(S1); 및
    상기 돼지유입단계에서 돼지가 상기 체중 측정부로 들어올 때 돼지의 걸음마다 변화되는 상기 6개의 로드셀에서 측정되는 데이터를 측정하고 저장하는 걸음걸이 측정단계(S2); 및
    상기 걸음걸이 측정단계에서 측정된 상기 6개의 로드셀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주파수 변환하여 걸음걸이 패턴을 주파수분석하는 주파수분석단계(S3); 및
    상기 주파수 분석단계에서 분석된 걸음걸이 패턴이 10Hz 이상인지 판단하여 발정여부를 판단하는 발정판단단계(S4); 및
    상기 발정판단단계에서 발정으로 판단되면 상기 페로몬향기 발생기를 구동하여 페로몬을 발생하는 페로몬 발생단계(S5); 및
    상기 페로몬 발생단계에서 발생한 페로몬에 의하여 상기 6개의 로드셀의 측정값의 변화가 줄어드는지 확인하는 돼지 움직임 변화측정단계(S6); 및
    상기 돼지 움직임 변화측정단계에서 측정결과 돼지 움직임이 둔화된 것이 확인되면 상기 돼지의 발정을 확인하는 돼지 발정확인단계(S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돼지발정 측정방법.
KR1020190084321A 2019-07-12 2019-07-12 돼지 발정 측정 장치 KR1023645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4321A KR102364577B1 (ko) 2019-07-12 2019-07-12 돼지 발정 측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4321A KR102364577B1 (ko) 2019-07-12 2019-07-12 돼지 발정 측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7592A true KR20210007592A (ko) 2021-01-20
KR102364577B1 KR102364577B1 (ko) 2022-02-17

Family

ID=74304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4321A KR102364577B1 (ko) 2019-07-12 2019-07-12 돼지 발정 측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457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2766B1 (ko) 2021-07-30 2022-04-04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모돈의 발정 체크를 위한 웅돈 동영상 재생 및 웅취 분사 장치
KR102405940B1 (ko) 2021-07-23 2022-06-03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실화상과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자동 모돈 발정 확인 시스템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4458Y1 (ko) * 2000-08-08 2001-02-15 정제영 가축의 발정 감지 장치
JP2007037454A (ja) * 2005-08-03 2007-02-15 Komutekku:Kk 家畜の発情時期検出装置、家畜の発情時期検出方法
KR20090099247A (ko) * 2008-03-17 2009-09-22 주식회사 나라티앤에스 축산자동장치
KR101200099B1 (ko) * 2011-11-28 2012-12-24 주식회사 범아시스템 통합 모돈사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71906B1 (ko) 2014-03-28 2014-12-11 차병권 동물 발정 감지 시스템 및 장치와 그 방법
KR101753466B1 (ko) * 2015-05-20 2017-07-05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돼지 선별장치
KR20180094886A (ko) 2015-12-17 2018-08-24 퍼포먼스 랩스 피티이, 리미티드. 기분, 감정 또는 생리적 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휘발성 유기 화합물을 사용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029633B1 (ko) * 2019-07-12 2019-11-08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승가 검사기를 구비한 돼지 사육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4458Y1 (ko) * 2000-08-08 2001-02-15 정제영 가축의 발정 감지 장치
JP2007037454A (ja) * 2005-08-03 2007-02-15 Komutekku:Kk 家畜の発情時期検出装置、家畜の発情時期検出方法
KR20090099247A (ko) * 2008-03-17 2009-09-22 주식회사 나라티앤에스 축산자동장치
KR101200099B1 (ko) * 2011-11-28 2012-12-24 주식회사 범아시스템 통합 모돈사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71906B1 (ko) 2014-03-28 2014-12-11 차병권 동물 발정 감지 시스템 및 장치와 그 방법
KR101753466B1 (ko) * 2015-05-20 2017-07-05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돼지 선별장치
KR20180094886A (ko) 2015-12-17 2018-08-24 퍼포먼스 랩스 피티이, 리미티드. 기분, 감정 또는 생리적 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휘발성 유기 화합물을 사용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029633B1 (ko) * 2019-07-12 2019-11-08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승가 검사기를 구비한 돼지 사육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5940B1 (ko) 2021-07-23 2022-06-03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실화상과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자동 모돈 발정 확인 시스템
KR102382766B1 (ko) 2021-07-30 2022-04-04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모돈의 발정 체크를 위한 웅돈 동영상 재생 및 웅취 분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4577B1 (ko) 2022-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9633B1 (ko) 승가 검사기를 구비한 돼지 사육장치
US10430533B2 (en) Method for automatic behavioral phenotyping
Ingebretson et al. Quantification of locomotor activity in larval zebrafish: considerations for the design of high-throughput behavioral studies
KR102364577B1 (ko) 돼지 발정 측정 장치
CN111210915A (zh) 一种疫情管控方法及系统
KR20190030877A (ko) 축산 지식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가축의 사양관리 시스템
US20110185787A1 (en) Insect holder
CN108094229A (zh) 一种检测动物合作行为的行为学测试平台及方法
KR101708819B1 (ko) 동물실험용 액체 섭취량 측정장치
KR102303356B1 (ko) 돼지 사육장치
KR102060019B1 (ko) 비임상 동물 실험장치
KR20200038776A (ko) 조류 번식생태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364591B1 (ko) 돼지 발정 측정 장치
KR20150098024A (ko) 영상정보 및 생체신호정보를 이용한 동물의 사육환경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349115B1 (ko) 가축의 물섭취량 조사장치, 이를 포함하는 가축의 물섭취량 조사시스템 및 조사방법
KR102095870B1 (ko) 승가 검사기를 구비한 돼지 사육장치
KR102095887B1 (ko) 승가 검사기를 구비한 돼지 사육장치
KR102364583B1 (ko) 돼지 발정 측정 장치
KR20230080720A (ko) 모돈 컨디션 관리기
KR20210007575A (ko) 자동 높이 조절 급수 시스템
KR102185540B1 (ko) 상하 이동 급이 장치
EP1080638B1 (en) Monitoring and measuring the activity of plants and animals
KR101491774B1 (ko) 소 행동형 발정인식 시스템
KR100586921B1 (ko) 초식가축의 사료섭취량 자동조사장치 및 방법
JP7483242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予測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