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7467A - 진공 배관용 더블 클로 클램프 - Google Patents

진공 배관용 더블 클로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7467A
KR20210007467A KR1020190083982A KR20190083982A KR20210007467A KR 20210007467 A KR20210007467 A KR 20210007467A KR 1020190083982 A KR1020190083982 A KR 1020190083982A KR 20190083982 A KR20190083982 A KR 20190083982A KR 20210007467 A KR20210007467 A KR 202100074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w
unit
double
bolt
c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39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효신
염희주
염희경
염재욱
Original Assignee
한효신
염희경
염재욱
염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효신, 염희경, 염재욱, 염희주 filed Critical 한효신
Priority to KR10201900839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07467A/ko
Publication of KR202100074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74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16L23/036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the tensioning members, e.g. specially adapted bolts or C-cla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배관용 더블 클로 클램프는,
볼트 헤드(12)와 수나사(14)를 갖는 볼트 유닛(10):
상기 볼트 유닛(10)에 끼워져 배치되고 확장하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작용하는 스프링 유닛(20);
상기 볼트 유닛(10)이 관통하도록 홀(32)이 형성되고, 배관의 제1 플랜지에 걸치도록 제1 클로(35)가 형성되며, 상기 스프링 유닛(20)의 복원력으로 밀리는 제1 클로 유닛(30); 및
상기 수나사(14)에 체결되도록 암나사(42)가 형성되고, 배관의 제2 플랜지에 걸치도록 제2 클로(45)가 형성된 제2 클로 유닛(4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진공 배관용 더블 클로 클램프{Double claw clamp for vacuum piping}
본 발명은 파이프와 파이프를 연결하고, 그 연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결속하는 진공 배관용 더블 클로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이프와 다른 파이프를 연결하여 배관한다. 파이프와 다른 파이프를 연결하는 부분에는 양쪽 파이프의 끝부분에 플랜지를 형성하고 양쪽 플랜지를 볼트와 너트 등을 이용하여 결속시킨다.
배관은 배관 목적에 따라 액체를 이송하거나, 분말 입자를 이송하거나, 기체를 이송할 수 있고, 파이프 내부에 진공을 형성할 수 있다.
특히, 배관 내에 진공을 형성하고자 할 때는 양쪽 파이프 연결 부분에서 기밀이 유지되어야 하고, 기밀을 유지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패킹을 끼워 넣어 사용할 수 있다.
한편으로, 제1 파이프와 제2 파이프의 연결 부분은 더블 클로 클램프가 이용되고 있다.
상기 더블 클로 클램프는, 볼트, 클로 및 클로 너트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더블 클로 클램프는 파이프의 플랜지에 클로 또는 클로 너트 중에 어느 하나를 먼저 걸치고, 나머지 하나를 다른 플랜지에 걸친 다음에 볼트를 조인다.
상기 볼트는 상기 클로를 관통하여 상기 클로 너트에 체결되는 것으로써 볼트가 조여 짐에 따라 클로와 클로 너트가 밀착되고 이로써 양쪽 플랜지가 밀착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더블 클로 클램프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더블 클로 클램프는 파이프의 중심을 기준으로 원형 배열하고 플랜지에 서로 같은 간격을 유지하도록 배치하여 조립될 수 있다.
예컨대, 한 곳의 파이프 연결부분에 더블 클로 클램프를 4개를 설치한다면, 어느 하나의 더블 클로 클램프를 먼저 설치하여 기준을 설명하고, 나머지 더블 클로 클램프를 90도 간격으로 설치한다.
이론적으로는 더블 클로 클램프를 같은 간격으로 설치하도록 규정하고 있지만, 실제로 배관 작업 현장에서 작업할 때에는 더블 클로 클램프를 정위치에 배치하기는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더블 클로 클램프는 실제 설치될 위치에 따라 볼트의 자세가 저마다 다를 수 있고, 어느 때에는 더블 클로 클램프가 파이프에 가려져 맨눈으로 보이지 않고 오로지 촉감에 의지하여 체결하여야 할 때가 있다.
종래의 더블 클로 클램프는 볼트를 붙잡았을 때 클로와 클로 너트가 각각 자유롭게 움직이고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임의로 회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종래 더블 클로 클램프의 특성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배관 작업 현장에서 더블 클로 클램프의 체결 작업을 어렵게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더블 클로 클램프는 최소한 한 손으로 붙잡고 다른 한 손으로 스패너 등의 공구를 쥐고 작업하여야 하는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클로와 클로 너트가 서로 구속되지 않고 임의로 움직임으로써 한 손으로 더블 클로 클램프를 취급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다.
KR 10-1670924 B1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배관 작업 현장에서 작업자가 한 손으로 더블 클로 클램프를 취급할 수 있도록 하여 배관 작업의 편의를 증대할 수 있도록 하는 진공 배관용 더블 클로 클램프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배관용 더블 클로 클램프는, 볼트 헤드(12)와 수나사(14)를 갖는 볼트 유닛(10): 상기 볼트 유닛(10)에 끼워져 배치되고 확장하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작용하는 스프링 유닛(20); 상기 볼트 유닛(10)이 관통하도록 홀(32)이 형성되고, 배관의 제1 플랜지에 걸치도록 제1 클로(35)가 형성되며, 상기 스프링 유닛(20)의 복원력으로 밀리는 제1 클로 유닛(30); 및 상기 수나사(14)에 체결되도록 암나사(42)가 형성되고, 배관의 제2 플랜지에 걸치도록 제2 클로(45)가 형성된 제2 클로 유닛(40);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배관용 더블 클로 클램프의 상기 제1 클로 유닛(30)은, 상기 스프링 유닛(20)과 접하는 쪽에 포켓(34)이 형성되고, 상기 포켓(34)이 상기 스프링 유닛(20)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용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배관용 더블 클로 클램프의 상기 제1 클로 유닛(30)은, 상기 볼트 유닛(10)을 최대한 조였을 때, 상기 스프링 유닛(20)의 길이 변형에 영향을 받지 받지 않고 상기 볼트 헤드(12)와 상기 제2 클로 유닛(40)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배관용 더블 클로 클램프는, 상기 제1 클로(35) 또는 상기 제2 클로(45) 중에 어느 하나에 키(50)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키(50)는 상기 제1 플랜지 또는 상기 제2 플랜지에 형성된 키 홈에 삽입되어 더블 클로 클램프(1)의 배치 위치를 결정하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배관용 더블 클로 클램프의 상기 제1, 2 클로(35, 45)는, 수평부(36)와 수직부(37)로 기역(ㄱ) 형상하고 상기 키(50)는 상기 수평부(36)와 상기 수직부(37)에 접하고, 상기 수평부(36)의 폭(a)보다 작으며, 상기 수직부(37)의 높이(b)보다 같거나 낮게 형성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배관용 더블 클로 클램프는, 스프링 유닛으로 제1 클로 유닛과 제2 클로 유닛을 구속함으로써 제1 클로 유닛과 제2 클로 유닛이 임의로 제각각 움직이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이로써 어느 하나의 클로 유닛을 먼저 걸치고 다른 하나의 클로 유닛을 나중에 걸칠 수 있으며 이러한 과정에서 작업자의 의도에 따라 더블 클로 클램프를 제어하는 것으로써 작업자의 편의가 증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배관용 더블 클로 클램프는, 작업자의 의지에 따라 더블 클로 클램프를 양쪽 플랜지에 일시적으로 배치하면 배치된 위치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더블 클로 클램프의 위치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것으로써 진공 배관 내의 기밀을 향상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배관용 더블 클로 클램프는, 양쪽 플랜지에 임의 설치하고 스패너 등의 공구를 이용하여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것으로써 작업 시간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부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배관용 더블 클로 클램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부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배관용 더블 클로 클램프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로서, 도 4는 더블 클로 클램프에 외력이 작용하지 않은 초기 상태이고, 도 5는 제1 클로 유닛을 당긴 예이고, 도 6은 볼트 유닛을 조인 예이다.
도 7은 배관을 위한 파이프 구성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부터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배관용 더블 클로 클램프의 설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8은 제2 클로 유닛을 플랜지에 걸친 예를 보인 도면이고, 도 9는 더블 클로 클램프 여러 개를 플랜지에 배치한 예를 보인 도면이며, 도 10은 여러 개의 더블 클로 클램프의 볼트 유닛을 조인 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배관용 더블 클로 클램프가 배관의 플랜지에 설치 완료된 예를 보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하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자세한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제축척대로 도시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크기가 과장되게 도시할 수 있다.
한편,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다른 한편,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부터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배관용 더블 클로 클램프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부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배관용 더블 클로 클램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부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배관용 더블 클로 클램프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로서, 도 4는 더블 클로 클램프에 외력이 작용하지 않은 초기 상태이고, 도 5는 제1 클로 유닛을 당긴 예이고, 도 6은 볼트 유닛을 조인 예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배관용 더블 클로 클램프(1)는 볼트 유닛(10), 스프링 유닛(20) 및 제1, 2 클로 유닛(30, 40)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볼트 유닛(10)은 볼트 헤드(12)와 수나사(14)를 갖는다. 볼트 유닛(10)은 와셔(16) 등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스프링 유닛(20)은 확장하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작용하는 압축 스프링일 수 있다. 상기 스프링 유닛(20)은 상기 볼트 유닛(10)에 끼워져 배치되고 볼트 헤드(12)에 닿거나 상기 와셔(16)가 갖춰지면 와셔(16)에 닿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클로 유닛(30)은 상기 볼트 유닛(10)이 관통하도록 홀(32)이 형성될 수 있고, 배관의 제1 플랜지(70)에 걸치도록 제1 클로(3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볼트 유닛(10)은 상기 스프링 유닛(20)을 거쳐 상기 제1 클로 유닛(30)을 관통하는 것으로써 상기 제1 클로 유닛(30)은 상기 스프링 유닛(20)의 복원력으로 밀려나는 방향으로 힘을 받을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1 클로 유닛(30)은 작업자의 의지에 따라 밀어 올릴 수 있고, 이 과정에서 상기 스프링 유닛(20)은 압축될 수 있다.
상기 제2 클로 유닛(40)은 상기 수나사(14)에 체결되도록 암나사(42)가 형성될 수 있고, 배관의 제2 플랜지(80)에 걸치도록 제2 클로(45)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으로, 상기 제1 클로 유닛(30)과 상기 제2 클로 유닛(40)이 서로 마주 보는 쪽에 각각 제1, 2 가이드 요철(38, 48)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1 가이드 요철(38)과 상기 제2 가이드 요철(48)은 서로 맞물릴 수 있다.
상기 제1 가이드 요철(38)과 상기 제2 가이드 요철(48)이 맞물리면 제1 클로 유닛(30)과 제2 클로 유닛(40)의 자세가 결정되고 이로써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다른 하나가 회전되는 것이 억제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배관용 더블 클로 클램프(1)는, 볼트 유닛(10)을 조이거나 풀 때 제1 클로(35)와 제2 클로(45)이 마주 보는 자세를 유지한 상태로 접근하거나 벌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배관용 더블 클로 클램프(1)는 도 2부터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볼트 유닛(10)이 제2 클로 유닛(40)에 체결된 상태이고, 제1 클로 유닛(30)은 스프링 유닛(20)의 복원력으로 밀려나 제2 클로 유닛(40)에 닿도록 밀착된 상태일 수 있다.
즉, 작업자의 의지에 따라 제1 클로 유닛(30)을 이동시키지 않거나 인위적인 외력이 작용하지 않으면, 언제나 제1 클로 유닛(30)이 제2 클로 유닛(40)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배관용 더블 클로 클램프(1)에서 제1 클로 유닛(30)을 제2 클로 유닛(40)으로부터 벌린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작업자의 의지에 따라 제1 클로 유닛(30)과 제2 클로 유닛(40)을 벌릴 수 있고, 이러한 과정은 한 손으로 작업이 가능한 것으로써 좀 더 상세하게는 제1 클로 유닛(30)과 제2 클로 유닛(40) 중에 어느 하나의 클로 유닛을 배관의 플랜지에 걸치고 이후 다른 하나의 클로 유닛을 다른 쪽 플랜지에 걸칠 수 있다.
제1 클로 유닛(30)과 제2 클로 유닛(40)이 벌려지면 스프링 유닛(20)은 압축될 수 있다. 스프링 유닛(20)은 압축되는 변위가 클수록 복원력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이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배관용 더블 클로 클램프(1)는 인위적인 외력을 제거하면 스프링 유닛(20)의 복원력으로 제1 클로 유닛(30)을 밀어내어 결국 제1 클로 유닛(30)과 제2 클로 유닛(40)이 양쪽 플랜지에 걸쳐질 수 있다.
이후,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볼트 유닛(10)을 조이면 스프링 유닛(20)은 압축됨과 아울러 제1 클로 유닛(30)과 제2 클로 유닛(40)의 체결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한편으로 스프링 유닛(20)은 상기 볼트 유닛(10)과 상기 제1 클로 유닛(30)을 벌리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작용하는 것으로써, 볼트 유닛(10)이 임의로 풀리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배관은 배관을 따라 흐르는 내용물 또는 환경에 따라 진동이 발생할 수 있고, 그러한 진동은 볼트가 풀리도록 작용할 수 있는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배관용 더블 클로 클램프(1)는 스프링 유닛(20)의 복원력으로 볼트 유닛(10)의 풀림을 억제할 수 있어 배관 내의 진공 상태를 더욱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한편으로, 상기 제1 클로 유닛(30)은, 도 1, 도 2,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스프링 유닛(20)과 접하는 쪽에 포켓(3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포켓(34)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스프링 유닛(20)의 일부를 수용할 수 있고 또는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스프링 유닛(20)의 전부를 수용할 수 있다.
상기 포켓(34)은 상기 스프링 유닛(20)의 길이를 길게 형성시킬 수 있도록 한다. 부연 설명하면, 스프링 유닛(20)의 길이를 길게 형성하기 위하여 볼트 유닛(10)의 길이를 길게 설정할 수 있지만, 볼트 유닛(10)의 길이가 너무 길면 더블 클로 클램프(1)의 전체적인 크기가 과도하게 커질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배관용 더블 클로 클램프(1)의 포켓(34)은, 더블 클로 클램프(1)의 전체적인 크기가 과도하게 커지지 않으면서도 스프링 유닛(20)의 길이를 길게 설정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스프링 유닛(20)은 수축 변형될 때, 변형 변위가 클수록 작은 힘으로 쉽게 변형시킬 수 있고, 이로써 제1 클로 유닛(30)을 이동시킬 때 스프링 유닛(20)의 저항을 좀 더 쉽게 이기고 이동시킬 수 있어 작업자의 피로도를 낮출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상기 제1 클로 유닛(30)은, 상기 볼트 유닛(10)을 최대한 조였을 때,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스프링 유닛(20)의 길이 변형에 영향을 받지 받지 않고 상기 볼트 헤드(12)와 상기 제2 클로 유닛(40)에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부연해 설명하면,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볼트 유닛(10)을 최대한 조이면 스프링 유닛(20)은 포켓(34)에 전부 수용되고, 볼트 헤드(12) 또는 와셔(16)가 제1 클로 유닛(30)을 직접 누를 수 있다.
즉, 볼트 유닛(10)의 조임으로 체결력이 커질 수 있는데 그러한 체결력이 제1 클로 유닛(30)과 제2 클로 유닛(40)에 직접 작용하여 체결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고, 스프링 유닛(20)은 볼트 유닛(10)에 복원력을 작용하여 풀림 방지 작용을 구현할 수 있다.
또 다른 한편으로, 상기 제1 클로(35) 또는 상기 제2 클로(45) 중에 어느 하나에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키(50)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키(50)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플랜지(70) 또는 제2 플랜지(80)에 형성된 키 홈(90)에 삽입되어 더블 클로 클램프(1)의 배치 위치를 결정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도 7부터 도 11을 참조하여 배관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배관은 제1 파이프(62)와 제2 파이프(64)를 연결하는 것일 수 있고, 어느 하나의 파이프는 길이 변형이 자유로운 주름 관체일 수 있다.
제1 파이프(62)와 제2 파이프(64)의 끝 부부에는 각각 제1 플랜지(70)와 제2 플랜지(8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2 플랜지(70, 80)는 서로 맞닿는 쪽의 반대쪽에 플랜지 면(72)보다 높게 플랜지 테두리(74)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플랜지 테두리(74)의 안쪽에 키 홈(9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키 홈(90)은 제1, 2 플랜지(70, 80)의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 배열될 수 있으며, 이웃한 키 홈(90) 간의 거리는 같을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배관용 더블 클로 클램프(1)는 키(50)가 상기 키 홈(90)에 끼워 맞춰지도록 함으로써, 설계자의 의도대로 정확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 다른 한편으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 2 클로(35, 45)는, 수평부(36)와 수직부(37)로 기역(ㄱ)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기 키(50)는 상기 수평부(36)와 상기 수직부(37)에 접하고, 상기 수평부(36)의 폭(a)보다 작으며, 상기 수직부(37)의 높이(b)보다 같거나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2 클로(34, 45)는 제1, 2 플랜지(70, 80)에 조립하였을 때, 플랜지 테두리(74)를 수용할 수 있고, 키(50)는 제1, 2 클로(35, 45)와 제1, 2 플랜지(70, 80)가 조립되었을 때 위화감 없이 어느 한쪽이 뒤틀리거나 삐뚤어짐 없이 안정되게 조립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배관용 더블 클로 클램프(1)를 진공 배관에 사용되는 예를 도 7부터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배관을 위한 파이프 구성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부터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배관용 더블 클로 클램프의 설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8은 제2 클로 유닛을 플랜지에 걸친 예를 보인 도면이고, 도 9는 더블 클로 클램프 여러 개를 플랜지에 배치한 예를 보인 도면이며, 도 10은 여러 개의 더블 클로 클램프의 볼트 유닛을 조인 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배관용 더블 클로 클램프가 배관의 플랜지에 설치 완료된 예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파이프(62)에 제1 플랜지(70)가 형성되고, 제2 파이프(64)에 제2 플랜지(8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2 플랜지(70, 80)에는 서로 마주 보는 면의 반대쪽에서 플랜지 테두리(74)에 키 홈(90)이 형성될 수 있다.
이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배관용 더블 클로 클램프(1)는 제1 클로 유닛(30) 또는 제2 클로 유닛(40) 중에 어느 하나를 제1 플랜지(70) 또는 제2 플랜지(80)에 걸칠 수 있고, 이 과정에서 제1 클로 유닛(30)과 제2 클로 유닛(40)은 간격(h)을 갖도록 벌어질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배관용 더블 클로 클램프(1)에서 제2 클로 유닛(40)을 제1 플랜지(70)에 걸친 예를 보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배관용 더블 클로 클램프(1) 4개를 제1, 2 플랜지(70, 80)에 임시 배치한 예를 보인 것으로써, 인위적인 외력을 작용하지 않은 상태로서 스프링 유닛(20)의 복원력으로 제1 클로 유닛(30)이 밀려날 수 있으며, 결국 제1, 2 클로 유닛(30, 40)은 제1, 2 플랜지(70, 80)에 임시로 설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배관용 더블 클로 클램프(1)는 임시로 설치된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하는 것으로써 작업자는 여러 개의 더블 클로 클램프(1)를 임시로 배치할 수 있고, 이러한 과정을 작업자는 한 손으로 작업할 수 있다.
이후,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볼트 유닛(10)을 조이면 진공 배관에 더블 클로 클램프(1)의 설치를 완료할 수 있다.
특히, 여러 개의 더블 클로 클램프(1)가 설계자의 의도에 맞게 정위치에 위치됨으로써 볼트 유닛(10)을 조일 때 순서를 정교하게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어느 하나의 볼트 유닛(10)을 조이고, 이후 제1 플랜지(70)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각선 방향에 배치된 다른 볼트 유닛(10)을 조이며, 처음에 조였던 위치의 볼트 유닛(10)과 이웃한 또 다른 볼트 유닛(10)을 조이고, 이후, 제1 플랜지(70)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각선 방향에 배치된 또 다른 볼트 유닛(10)을 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배관용 더블 클로 클램프(1)는 앞서 설명된 볼트 유닛(10)을 조일 때, 스패너 등의 공구를 이용할 수 있는데, 한 손으로 더블 클로 클램프(1)를 붙잡고 다른 한 손으로 공구를 잡을 수 있으므로 좀 더 안정적으로 진공 배관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배관용 더블 클로 클램프(1)는, 스프링 유닛(2)으로 제1 클로 유닛(30)과 제2 클로 유닛(40)을 구속함으로써 제1 클로 유닛(30)과 제2 클로 유닛(40)이 임의로 제각각 움직이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이로써 어느 하나의 클로 유닛을 먼저 걸치고 다른 하나의 클로 유닛을 나중에 걸칠 수 있으며 이러한 과정에서 작업자의 의도에 따라 더블 클로 클램프(1)를 제어하는 것으로써 작업자의 편의가 증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배관용 더블 클로 클램프(10)는, 작업자의 의지에 따라 더블 클로 클램프(1)를 양쪽 플랜지에 일시적으로 배치하면 배치된 위치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더블 클로 클램프(1)의 위치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것으로써 진공 배관 내의 기밀을 향상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배관용 더블 클로 클램프(1)는, 양쪽 플랜지에 임의 설치하고 스패너 등의 공구를 이용하여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것으로써 작업 시간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해당 업계 종사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배관용 더블 클로 클램프는, 진공 배관하는 데에 이용할 수 있다.
1: 더블 클로 클램프
10: 볼트 유닛 12: 볼트 헤드
14: 수나사 20: 스프링 유닛
30, 40: 제1, 2 클로 유닛
32: 홀 34: 포켓
35, 45: 제1, 2 클로 36: 수평부
37: 수직부 38, 48: 제1, 2 가이드 요철
42: 암나사 50: 키
62, 64: 제1, 2 파이프 70, 80: 제1, 2 플랜지
72: 플랜지 면 74: 플랜지 테두리
90: 키 홈

Claims (5)

  1. 볼트 헤드(12)와 수나사(14)를 갖는 볼트 유닛(10):
    상기 볼트 유닛(10)에 끼워져 배치되고 확장하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작용하는 스프링 유닛(20);
    상기 볼트 유닛(10)이 관통하도록 홀(32)이 형성되고, 배관의 제1 플랜지에 걸치도록 제1 클로(35)가 형성되며, 상기 스프링 유닛(20)의 복원력으로 밀리는 제1 클로 유닛(30); 및
    상기 수나사(14)에 체결되도록 암나사(42)가 형성되고, 배관의 제2 플랜지에 걸치도록 제2 클로(45)가 형성된 제2 클로 유닛(40);
    을 포함하는 진공 배관용 더블 클로 클램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클로 유닛(30)은, 상기 스프링 유닛(20)과 접하는 쪽에 포켓(34)이 형성되고,
    상기 포켓(34)이 상기 스프링 유닛(20)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용하는 것;
    을 포함하는 진공 배관용 더블 클로 클램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클로 유닛(30)은, 상기 볼트 유닛(10)을 최대한 조였을 때, 상기 스프링 유닛(20)의 길이 변형에 영향을 받지 받지 않고 상기 볼트 헤드(12)와 상기 제2 클로 유닛(40)에 고정되는 것; 을 포함하는 진공 배관용 더블 클로 클램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클로(35) 또는 상기 제2 클로(45) 중에 어느 하나에 키(50)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키(50)는 상기 제1 플랜지 또는 상기 제2 플랜지에 형성된 키 홈에 삽입되어 더블 클로 클램프(1)의 배치 위치를 결정하도록 하는 것;
    을 포함하는 진공 배관용 더블 클로 클램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클로(35, 45)는, 수평부(36)와 수직부(37)로 기역(ㄱ) 형상하고, 상기 키(50)는 상기 수평부(36)와 상기 수직부(37)에 접하고, 상기 수평부(36)의 폭(a)보다 작으며, 상기 수직부(37)의 높이(b)보다 같거나 낮게 형성되는 것;
    을 포함하는 진공 배관용 더블 클로 클램프.
KR1020190083982A 2019-07-11 2019-07-11 진공 배관용 더블 클로 클램프 KR202100074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3982A KR20210007467A (ko) 2019-07-11 2019-07-11 진공 배관용 더블 클로 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3982A KR20210007467A (ko) 2019-07-11 2019-07-11 진공 배관용 더블 클로 클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7467A true KR20210007467A (ko) 2021-01-20

Family

ID=74305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3982A KR20210007467A (ko) 2019-07-11 2019-07-11 진공 배관용 더블 클로 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0746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82428A1 (ko) * 2021-07-09 2023-01-12 주식회사 제이앤미 배관연결용 풀림방지 클램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0924B1 (ko) 2015-06-04 2016-10-31 신기산업 주식회사 더블 클로 클램프 기밀 유지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0924B1 (ko) 2015-06-04 2016-10-31 신기산업 주식회사 더블 클로 클램프 기밀 유지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82428A1 (ko) * 2021-07-09 2023-01-12 주식회사 제이앤미 배관연결용 풀림방지 클램프
KR20230009681A (ko) * 2021-07-09 2023-01-17 주식회사 제이앤미 배관연결용 풀림방지 클램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00161U (ko) 진공 배관용 플랜지 및 진공 배관 연결 구조
JP6114290B2 (ja) 機械的に連結するフレームアセンブリ
USRE47497E1 (en) Latching mounting assembly
US5707192A (en) Panel--fastener connector clip
US6830268B2 (en) Pipe repair clamp
US4284114A (en) Locking member for a clamping bolt
KR20210007467A (ko) 진공 배관용 더블 클로 클램프
US10767791B2 (en) Clamp with bracket apertures
US3088185A (en) Opposed bolt clamp
KR102417802B1 (ko) 일체형 논-슬립 와셔
US9115828B2 (en) Transverse pipe flange separator
US6629678B1 (en) Seismic adapter
JP6077168B1 (ja) 締結部材
US8480341B2 (en) Nut retainer cage
KR20240016362A (ko) 분리 방지 연결 부재
US9863561B2 (en) Pipe clamp assembly with stiffening element
JP2012236274A (ja) クランプ取付けツール
WO2022079007A3 (de) Verbinder für zwei werkstücke
KR20160026525A (ko) 가변형 스패너
JP2020118171A (ja) 配管固定具用支持材
KR20210001307U (ko) 에어컨 실외기용 수지코팅 알루미늄관 연결장치
US7478509B2 (en) Device and method for connecting profiles
JP7161018B2 (ja) フランジ離間防止装置の装着方法
JP2019113155A (ja) フランジ離間防止装置
CN217108612U (zh) 管路接头防松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