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7448A - 관형지지물의 아암용 안전난간대 - Google Patents

관형지지물의 아암용 안전난간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7448A
KR20210007448A KR1020190083934A KR20190083934A KR20210007448A KR 20210007448 A KR20210007448 A KR 20210007448A KR 1020190083934 A KR1020190083934 A KR 1020190083934A KR 20190083934 A KR20190083934 A KR 20190083934A KR 20210007448 A KR20210007448 A KR 202100074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ing
arm
handrail
safety
tubula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39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창주
김영춘
김재현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900839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07448A/ko
Publication of KR202100074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74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4Cross a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0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gainst falling dow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61Safety-nets; Safety mattresses; Arrangements on buildings for connecting safety-lines
    • E04G21/3276Arrangements on buildings for connecting safety-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8Scaffold boards or plan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14Railings
    • E04G5/142Railings extensible or telescopic

Abstract

본 발명은 관형지지물의 아암용 안전난간대에 관한 것으로, 관형지지물(1)의 아암(3)의 양측에 일체형으로 연결되는 발 받침대(110)와 상기 발 받침대(110)의 양측에 수직으로 연결되며 높이 조절되는 난간대(120)와 상기 난간대(120)의 최상부에 작업자가 착용한 안전대의 안전후크(H)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걸이부(137)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관형지지물의 아암에서의 작업시 작업자의 이동상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안전사고를 방지하며, 작업자에 미칠 수 있는 전계를 차폐하고 진동 및 바람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관형지지물의 아암용 안전난간대{SAFETY RAILING FOR ARMS OF TUBULAR POLE}
본 발명은 관형지지물의 아암용 안전난간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계 차폐 및 높이 조절식 구조를 적용하는 관형지지물의 아암용 안전난간대에 관한 것이다.
송전철탑은 고압의 송전선을 연결하기 위해 높게 세운 철탑이다. 송전철탑은 고전압 전류와 교류 방식을 사용하고, 154kV, 345kV 및 765kV의 고전압에 주로 사용되며, 비행기나 헬리콥터 등 대형 비행 물체와 충돌하기 않기 위하여 보통 시인성을 주는 색으로 도색하며, 주간 항공장애표시구 장치와 야간의 항공장애표시 등을 통해 자체 보호하고 있다.
송전철탑 건설시 설치공법으로는 조립봉 공법, 이동식 크레인 공법, 철탑 크레인 공법, 헬기 조립 공법 등이 있으며, 이들 중 이동식 크레인 공법은 여러 개의 철탑을 조립하는데 효율적이고 안정성이 높으며, 부피가 큰 부재를 조립하는데 속도가 빠른 장점이 있어, 현재까지 최소 높이 50m 이하 최대 높이 90m까지의 시공에 많이 적용되고 있다.
가공 송전선로에서는 산형강을 사용한 앵글형 철탑을 주로 사용하고 있으며, 앵글형 철탑은 조립이 쉽고 재료비가 싸다는 장점이 있으나, 보기에 투박하고 심미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송전철탑은 일반 배선용 전주와는 달리 철골로 구성되고 높이도 매우 높고, 미관상 좋지 않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지지물을 구성하는 재료가 모두 강관으로 이루어져 모양이 미려하고 심플해 보이는 장점을 가지고 있는 관형지지물이 있다.
관형지지물은 기존의 송전철탑에 비해 철탑부지가 작고 친환경 철탑으로 시장에서 각광받기 시작해 점차적으로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의 설비이다.
그런데 관형지지물은 유지보수 및 교체 등 작업시 아암을 이용하여 이동할 때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기존 송전철탑은 앵글형으로 구성되어 작업 구간까지 이동할 때 접근이 용이하나 관형지지물의 아암은 테이퍼형의 8각형 구조이므로 작업용 공기구 및 제품을 휴대하고 이동할 때 작업자의 안정성 확보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작업자의 전선 측 이동이 용이하도록 아암의 중앙부 좌우로 발판이 설치된 유형도 있으나 작업자가 원활하게 이동이 어렵고 추락의 우려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 등록실용신안 제0262098호(2002.01.14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자의 안전사고 방지와 이동상의 안정성이 확보되도록 전계 차폐 및 높이 조절식 구조를 적용하는 관형지지물의 아암용 안전난간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관형지지물의 아암의 양측에 일체형으로 연결되는 발 받침대와 상기 발 받침대의 양측에 수직으로 연결되며 높이 조절되는 난간대와 상기 난간대의 최상부에 작업자가 착용한 안전대의 안전후크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걸이부를 포함한다.
상기 발 받침대의 저면을 감싸 지지하면서 양단이 상기 난간대에 고정되어 상기 발 받침대의 하중을 보강하는 보강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 받침대는 메쉬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발 받침대의 가장자리에 추락방지턱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난간대는 상기 발 받침대의 양측에 수직으로 연결되는 제1 난간대와 상기 제1 난간대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단에 상기 걸이부가 구비되는 제2 난간대와 상기 제2 난간대를 상기 제1 난간대에서 원터치 방식으로 인출시키고 인입시키는 인입출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난간대는 상기 발 받침대의 양측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다수 개의 수직봉과 상기 수직봉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제1 난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난간대는 상기 수직봉에 인출 가능가능하게 삽입되는 인출봉과 상기 인출봉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제2 난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입출수단은 상기 인출봉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통공에 배치되며 양단이 상기 통공의 내주면에 가압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는 트윈볼 스프링과 상기 트윈볼 스프링의 양단에 구비되며 상기 트윈볼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인출봉의 외주에 관통 형성되는 지지공과 상기 수직봉의 외주에 관통 형성되는 고정공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는 고정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직봉의 외주를 감싸도록 결합되고 상기 고정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고정돌기를 누르는 누름부가 구비되며, 상기 누름부를 누를시 상기 고정돌기를 상기 고정공에서 이탈시켜 상기 인출봉이 상기 수직봉에 고정된 상태가 해제되게 하는 조작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입출수단과 상기 조작부재는 상기 수직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배치되고, 일정 간격을 두고 상하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난간대를 상기 제1 난간대에서 인출시 상기 제2 난간대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탈방지수단은 상기 수직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이동 장공과 상기 인출봉의 외주에 구비되며 상기 이동 장공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인출봉의 인출 행정을 제한하는 이탈방지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 받침대, 상기 난간대, 상기 걸이부 및 상기 보강바는 용접 및 조립에 의해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발 받침대 및 상기 난간대는 기계구조용 탄소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이부는 스테인레스 스틸과 상기 스테인레스 스틸의 외부를 감싸는 전계 차폐용 금속의 2중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계 차폐용 금속은 황동 계열의 합금금속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관형지지물의 아암에 양측으로 설치되어 발 받침대를 이동하는 작업자를 소정 높이까지 감싸는 구조를 형성하므로, 관형지지물의 아암에서의 작업시 작업자의 이동상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작업자에 미칠 수 있는 전계를 차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난간대의 높이를 인입출수단과 조작부재를 이용하여 원터치식으로 조절 가능하므로 난간대의 높이 조절 작업이 용이하고 작업자의 안정성이 극대화되며, 진동 및 바람의 영향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탈방지수단을 적용하여 난간대의 높이 조절시 무리한 힘에 의한 제2 난간대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어 고소 작업 중 작업자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강도 보강바를 적용하여 난간대의 전체적인 강도를 보강하므로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난간대의 최상부에 작업자가 착용한 안전대의 안전후크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걸이부를 형성하되, 걸이부를 전계 차폐용 금속으로 형성하므로 안전후크를 통해 작업자에게 전달되는 전계를 차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관형지지물의 아암용 안전난간대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관형지지물의 아암용 안전난간대의 저면을 보인 부분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관형지지물의 아암용 안전난간대의 보강바 부분을 보인 부분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관형지지물의 아암용 안전난간대의 난간대가 높이 조절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관형지지물의 아암용 안전난간대의 인입출수단과 이탈방지수단의 외형을 보인 부분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인입출수단의 상세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내부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인입출수단이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걸이부 및 걸이부에 안전후크를 걸어 사용하는 모습을 보인 부분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전계 차폐의 영역을 보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본 발명의 관형지지물의 아암용 안전난간대(이하 '안전 난간대')(100)는 발 받침대(110), 난간대(120) 및 걸이부(137)를 포함한다.
관형지지물은 원형강관(8각형의 강관) 구조물을 조립하여 형성되므로 외관이 미려하고 친환경적이며 단일 기초로 부지가 최소화되고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아암(3)은 전선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관형지지물에 고정판(5)을 이용하여 접합된다. 관형지지물의 아암(3)에 안전난간대(100)가 설치된다.
안전난간대(100)는 관형지지물의 아암(3)에서의 작업시 작업자의 이동상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안전사고를 방지하며, 작업자에 미칠 수 있는 전계를 차폐하고 진동 및 바람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발 받침대(110)는 관형지지물의 아암(3)의 길이방향 양측에 일체형으로 연결된다. 발 받침대(110)는 테이퍼진 형상인 아암(3)과 일체형의 용접 구조로 되어 아암(3)의 양측에서 작업자가 받을 딛고 이동할 수 있는 발판의 역할을 한다.
발 받침대(110)는 금속 메쉬(mesh)망으로 형성된다. 금속 메쉬망은 통풍형 미끄럼 방지망을 적용하여 작업자가 이동시 미끄럼 사고를 방지하고 통풍이 원활하여 고소에서 바람의 영향과 자연환경적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예컨데, 발 받침대(110)는 EX망으로 형성될 수 있다. EX망은 철판에 비해 중량이 가벼워 경량화가 가능하고 산업안전공단의 통로용 안전발판의 강도와 동등 이상의 강도를 유지하도록 제작할 수 있다.
안전난간대(100)는 발 받침대(110)의 하중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바(111)를 포함한다. 보강바(111)는 발 받침대(110)의 저면을 감싸 지지하면서 양단이 난간대(120)에 고정된다. 보강바(111)는 발 받침대(110)의 폭 방향 처짐을 방지한다.
실시예에서 보강바(111)는 발 받침대(110)의 저면과 난간대(120)를 감싸 지지할 수 있도록 대략 '∪'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보강바(111)의 양 단부는 후술할 제1 난간대(121)의 상단에 고정되어 발 받침대(110)의 저면과 제1 난간대(121)를 감싸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보강바(111)는 발 받침대(110)와 난간대(120)에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개가 설치된다. 보강바(111)는 내하중을 고려하여 1Ton의 무게를 견딜 수 있도록 고강도 기계구조용 탄소강으로 제작된다. 기계구조용 탄소강은 경련변화 및 내구성을 확보하여 현장 작업자의 안정성을 확보한다.
발 받침대(110)의 가장자리에 추락방지턱(113)이 형성된다. 추락방지턱(113)은 고소의 관형지지물 아암(3)에서 작업자가 이동시 바람 등 자연 환경의 영향이나 물품 휴대시 미끄러짐에 의한 무게중심 이탈로 작업자가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추락방지턱(113)은 발 받침대(110)의 가장자리를 둘러 소정의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추락방지턱(113)은 작업자의 추락 방지 역할과 더불어 발 받침대(110)의 강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난간대(120)는 발 받침대(110)의 양측에 수직으로 연결된다. 발 받침대(110)의 양측에 수직으로 연결되는 난간대(120)는 발 받침대(110)를 이동하는 작업자를 감싸 전계를 차폐하는 기능을 갖는다. 즉, 전계(전자파)가 난간대(120)를 따라 흐르고 지중으로 유입되는 구조를 형성하여 발 받침대(110)를 따라 이동하는 작업자에게로 전계가 흐르는 것이 방지되게 한다.
난간대(120)는 높이 조절된다. 난간대(120)의 높이 조절은 평상시에는 진동 및 바람의 영향을 최소화하고 작업자가 작업시에는 간편하게 높이 조절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걸이부(137)는 난간대(120)의 최상부에 작업자가 착용한 안전대의 안전후크(H)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걸이부(137)는 작업자가 착용한 안전대의 안전후크(H)를 걸어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러한 걸이부(137)는 고소 작업시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관형지지물의 아암(3)에는 발 받침대(110)의 저면을 받쳐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7)가 설정 간격을 두고 다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지지대(7)는 아암의 양측에 용접에 의해 일체로 고정된 구성일 수 있다. 지지대(7)는 발 받침대(110)의 폭 방향 단부까지 받쳐줄 수 있는 길이로 형성하여 보강바(111)와 더불어 발 받침대(110)의 폭 방향 처짐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보강바(111)는 관형지지물의 아암(3)의 양측에 대칭되게 쌍을 이루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보강바(111)는 발 받침대(110)의 저면과 난간대(120)를 감싸 지지하는 대략 '∪'자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보강바(111)는 일단이 관형지지물의 아암(3)에 용접에 고정되고 반대되는 타단이 후술할 제1 난간대(121)의 제1 난간부(125)에 용접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난간대(120)는 제1 난간대(121)와 제2 난간대(131)를 포함한다. 제1 난간대(121)는 발 받침대(110)의 양측에 수직으로 연결된다. 제2 난간대(131)는 제1 난간대(121)에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단에 걸이부(137)가 구비된다.
제1 난간대(121)는 발 받침대(110)의 양측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다수 개의 수직봉(123)과 수직봉(123)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제1 난간부(125)를 포함한다. 제2 난간대(131)는 수직봉(123)에 인출 가능가능하게 삽입되는 인출봉(133)과 인출봉(133)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제2 난간부(135)를 포함한다. 제2 난간부(135)의 상부에 걸이부(137)가 일정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설치된다. 다수 개의 수직봉(123)과 인출봉(133)들로 난간대(120)를 구성하면 통풍이 원활하여 바람의 영향과 자연환경적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안전난간대(100)는 제2 난간대(131)를 제1 난간대(121)에서 원터치 방식으로 인출시키고 인입시키는 인입출수단(140)을 포함한다. 제2 난간대(131)는 작업자가 인입출수단(140)의 조작부재(도 6의 도면 부호 145)를 누른 상태에서 걸이부(137)를 파지하고 상부로 잡아당기는 것에서 제1 난간대(121)에서 인출 가능하다.
제2 난간대(131)가 제1 난간대(121)에 인입된 상태에서 난간대(120)의 전체 높이는 약 60cm이고, 제2 난간대(131)가 제1 난간대(121)에서 인출된 상태에서 난간대(120)의 전체 높이는 약 100cm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평상시에는 제2 난간대(131)를 제1 난간대(121)에 인입시켜 진동 및 바람의 영향을 최소화하고, 작업자가 발 받침대(110)를 이동하면서 작업할 경우 제2 난간대(131)를 제1 난간대(121)에서 인출시켜 작업자의 허리 높이까지 난간대(120)의 높이를 확보함으로써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인입출수단(140)은 수직봉(123)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인입출수단(140)은 수직봉(123)에 일정 간격을 두고 상하로 배치될 수 있다.
인입출수단(140)이 수직봉(123)에 일정 간격을 두고 상하로 배치되면 제2 난간대(131)가 제1 난간대(121)에 인입된 상태와 제2 난간대(131)가 제1 난간대(121)에서 인출된 상태를 고정하기 용이하다. 예컨데, 제2 난간대(131)가 제1 난간대(121)에 인입된 상태에서 인출봉(133)이 수직봉(123)의 하부에 배치된 인입출수단(140)에 고정되고, 제2 난간대(131)를 제1 난간대(121)에서 인출하면 인출봉(133)이 수직봉(123)의 상부에 배치된 인입출수단(140)에 고정되게 하여, 제2 난간대(131)가 제1 난간대(121)에 인입된 상태와 제2 난간대(131)가 제1 난간대(121)에서 인출된 상태가 각각 고정될 수 있다.
안전난간대(100)는 제2 난간대(131)를 제1 난간대(121)에서 인출시 제2 난간대(131)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수단(150)을 포함한다. 이탈방지수단(150)은 인입출수단(140)이 설치되는 수직봉(123)을 제외한 나머지 수직봉(123) 중 하나 이상에 설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이탈방지수단(150)은 인입출수단(140)이 설치된 수직봉(123)과 이웃하는 위치에 배치된 수직봉(123)에 설치된다.
이탈방지수단(150)은 제2 난간대(131)를 제1 난간대(121)에서 인출할 때 무리한 힘에 의해 제2 난간대(131)가 제1 난간대(121)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탈방지수단(150)은 수직봉(123)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이동 장공(151)과, 이동 장공(151)이 형성된 수직봉(123)에 삽입되는 인출봉(133)의 외주에 구비되며 이동 장공(151)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어 인출봉(133)의 인출 행정을 제한하는 이탈방지볼(153)을 포함한다. 이동 장공(151)의 길이는 인출봉(133)이 수직봉(123)에서 인출되는 높이를 고려하여 설계된다. 실시예에서 이탈방지볼(153)은 내구성 확보를 위해 2개로 구성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수직봉(123)은 길이방향으로 관통공(123a)이 형성된다. 수직봉(123)의 관통공(123a)에 인출봉(133)이 인입되고 인출이 가능하다.
인출봉(133)은 길이방향으로 통공(135a)이 형성되며 통공(135a)에 인입출수단(140)이 설치된다. 인출봉(133)의 외주에는 인입출수단(140)을 인출봉(133)에 고정하기 위한 지지공(133b)이 형성된다. 수직봉(123)의 외주에는 인출봉(133)의 지지공(133b)과 연통될 수 있는 고정공(123b)이 형성되어 인입출수단(140)을 이용한 인출봉(133)의 수직봉(123)에 대한 고정 및 고정 해제가 가능하다.
인입출수단(140)은 트윈볼 스프링(141)과 고정돌기(143)를 포함한다.
트윈볼 스프링(141)은 트윈볼 형상의 판 스프링이다. 트윈볼 스프링(141)은 인출봉(133)의 통공(135a)에 배치되고 양단이 통공(135a)의 내주면에 가압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한다. 고정돌기(143)는 트윈볼 스프링(141)의 양단에 구비되며 트윈볼 스프링(141)의 탄성력에 의해 인출봉(133)의 지지공(133b)과 수직봉(123)의 고정공(123b)을 통해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고정돌기(143)가 인출봉(133)의 지지공(133b)과 수직봉(123)의 고정공(123b)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면 인출봉(133)이 수직봉(123)에 고정된 상태가 된다. 이러한 고정돌기(143)는 외부에서 누르면 트윈볼 스프링(141)을 탄성변형시키면서 지지공(133b) 방향으로 인입되는데, 고정돌기(143)가 지지공(133b)까지 인입되어 고정공(123b)에서 이탈되면 인출봉(133)이 수직봉(123)에 고정된 상태가 해제된다.
인입출수단(140)은 조작부재(145)를 더 포함한다. 조작부재(145)는 고정돌기(143)를 누르는 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하고, 고정공(123b)으로 수분이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조작부재(145)는 수직봉(123)의 외주를 감싸도록 결합된다. 조작부재(145)는 고정공(123b)과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돌기(143)를 누를 수 있는 누름부(146)가 구비되며, 누름부(146)를 누를시 고정돌기(143)를 고정공(123b)에서 이탈시켜 인출봉(133)이 수직봉(123)에 고정된 상태가 해제되게 할 수 있다. 인출봉(133)이 수직봉(123)에 고정된 상태가 해제되면, 인출봉(133)을 수직봉(123)에서 인출시켜 난간대(12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누름부(146)는 고정돌기(143)의 고정공(123b)까지만 삽입되는 길이로 형성하여, 누름부(146)를 누를시 고정돌기(143)가 수직봉(123)의 고정공(123b)에서는 이탈하되 인출봉(133)의 지지공(133b)에서는 이탈하지 않도록 한다. 이는 트윈볼 스프링(141)이 인출봉(133)에 고정된 상태에서 지지공(133b)과 고정공(123b)이 일치하는 경우에만 고정공(123b)을 통해 고정돌기(143)가 외부로 돌출되어 인출봉(133)이 수직봉(123)에 원터치식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조작부재(145)는 제1 난간대(121)에서 제2 난간대(131)를 인출하여 난간대(120)의 높이 조절시 작업의 편의성과 신속성을 높이고 작업자의 장갑이 고정돌기(143)에 걸리거나 고정공 등의 틈새에 끼이는 문제를 방지한다. 조작부재()는 기밀성 유지를 위해 합성수지 또는 고무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조작부재(145)는 누름부(146)에 해당하는 부분이 나머지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돌출되도록 굴곡진 형상으로 구성하여 작업자가 육안으로 확인하지 않고도 조작부재(145)를 잡는 것에서 누름부(146)를 쉽게 찾아 누를 수 있다.
고정돌기(143)는 트윈볼(Twin Ball) 스프링(141)의 양단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고정돌기(143)는 2점식 트윈볼 스프링(141)의 양단에 2개씩 총 4개가 형성되고, 지지공(133b)과 고정공(123b)도 고정돌기(143)에 대응되게 4개가 형성되며, 누름부(146)도 고정돌기(143)에 대응되게 4개가 구비된다. 이러한 트윈볼 스프링(141)과 고정돌기(143) 구조는 인출봉(133)을 수직봉(123)에 견고하게 고정하여 안전난간대(100)의 내구성을 높이고 안전성을 극대화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제2 난간대(131)가 제1 난간대(121)에 인입된 상태에서 인출봉(133)이 수직봉(123)의 하부에 배치된 인입출수단(140)에 고정된다.
구체적으로, 트윈볼 스프링(141)의 양단에 구비되는 고정돌기(143)가 트윈볼 스프링(141)의 탄성력에 의해 인출봉(133)의 지지공(133b)과 수직봉(123)의 고정공(123b)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고, 인출봉(133)의 하부측이 수직봉(123)의 하부측의 인입출수단(140)에 고정된 상태가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 이탈방지볼(153)은 이동 장공(151)의 최하부측에 위치한다.
이 상태에서 조작부재(145)의 누름부(146) 부분을 누르면 누름부(146)가 고정돌기(143)를 누르게 된다. 그에 따라 고정돌기(143)는 트윈볼 스프링(141)을 탄성변형시키면서 지지공(133b) 방향으로 인입된다. 고정돌기(143)가 고정공(123b)에서 이탈되어 지지공(133b)까지 인입되면 작업자는 제2 난간대(131)를 파지하고 상부로 잡아당길 수 있다. 즉, 인출봉(133)이 수직봉(123)에 고정된 상태가 해제되어, 인출봉(133)을 수직봉(123)에서 인출시켜 난간대(12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누름부(146)는 고정돌기(143)가 고정공(123b)에서는 이탈되고 지지공(133b)에서는 이탈되지 않게 고정돌기(143)를 지지공(133b) 방향으로 누르게 되므로, 고정돌기(143)가 지지공(133b)에 위치되고 트윈볼 스프링(141)이 인출봉(133)에 고정된 상태가 유지된다. 이때, 이탈방지볼(153)은 수직봉(123)에서 인출봉(133)을 인출하는 길이에 비례하여 이동 장공(151)을 따라 상부로 이동한다.
이 상태에서 제2 난간대(131)를 파지하고 상부로 잡아당겨 수직봉(123)에서 인출봉(133)을 더 인출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출봉(133)의 하부측 지지공(133b)과 수직봉(123)의 상부측 고정공(123b)이 연통되면서 지지공(133b)에 위치한 고정돌기(143)가 트윈볼 스프링(141)의 탄성력에 의해 수직봉(123)의 고정공(123b)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된다. 그에 따라 인출봉(133)의 하부측이 수직봉(123)의 상부측의 인입출수단(140)에 고정된 상태가 유지된다. 즉, 제2 난간대(131)가 제1 난간대(121)에서 인출되고 인출된 상태가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 이탈방지볼(153)은 이동 장공(151)의 최상부측에 위치한다. 이러한 이탈방지볼(153)은 제1 난간대(121)에서 제2 난간대(131)를 무리한 힘으로 인출시 이동 장공(151)의 최상단측에 걸림으로써 제2 난간대(131)가 제1 난간대(121)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난간대(131)가 제1 난간대(121)에서 인출되면, 난간대(120)는 대략 작업자의 허리 높이까지 난간대(120)의 높이를 확보할 수 있어 고소 작업시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난간대(120)의 최상부에 위치한 걸이부(137)에 작업자가 착용한 안전대의 안전후크(H)를 고정하여 고소 작업시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다.
걸이부(137)는 전계 차폐용 금속으로 형성된다. 안전후크(H)의 사용시 안전후크를 통해 작업자에게 전달되는 전계를 차폐하기 위하여 걸이부(137)는 전계 차폐용 금속으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걸이부(137)는 스테인레스 스틸과 스테인레스 스틸의 외부를 감싸는 전계 차폐용 금속의 2중 구조로 형성된다.
전계 차폐용 금속은 도전율이 높은 황동 계열의 합금금속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데, 전계 차폐용 금속은 Cu 91%, Zn 7%, Ni 2%의 비율의 합금으로 형성하여 내구성과 내후성을 보강할 수 있다. 또한 난간대(120)의 내식성 등 환경적 요소를 감안하여 걸이부(137)를 형성하는 전계 차폐용 금속의 내부는 스테인레스 스틸로 구성하여 상시 하중이 100kgf/㎠를 견딜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 받침대(110) 및 제1 난간대(121), 보강바(111)는 화학적 반응 및 경련변화에 강하고 내후성이 보강된 기계구조용 탄소강으로 형성하여 옥외환경의 내구성 및 내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고, 제2 난간대(131), 트윈볼 스프링(141), 고정돌기(143)는 기계적 마찰계수를 줄이고 부식이나 녹방지를 위해 스테인레스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의 안전난간대(100)는 제2 난간대(131)가 제1 난간대(121)에 인입된 상태에서 난간대(120)의 전체 높이는 약 60cm이고, 제2 난간대(131)를 제1 난간대(121)에서 인출시켜 높이 조절된 상태에서 난간대(120)의 전체 높이는 약 100cm로 구현하여 현장의 심미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상기한 실시예의 안전난간대(100)는 난간대(120)가 발 받침대(110)의 양측에 수직으로 연결되므로, 발 받침대(110)를 이동하는 작업자를 감싸 전계를 차폐하게 된다. 즉, 전계(전자파)가 난간대(120)를 따라 흐르고 지중으로 유입되는 구조를 형성하여 발 받침대(110)를 따라 이동하는 작업자에게로 전계가 흐르는 것이 방지된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안전난간대(100)는 발 받침대(110), 추락방지턱(113), 난간대(120) 및 보강바(111)가 일체형의 용접 및 조립 구조로 형성된다. 이는 관형지지물의 아암(3)에서 물리적인 외부 힘에 대응할 수 있는 내구성을 확보하고 아암에서의 다양한 작업환경을 고려하여 진동 및 바람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안전난간대(100)는 인출봉(133)에 매입되는 트윈볼 스프링(141)과 고정돌기(143)로 구성되는 인입출수단(140)을 이용하여 난간대(120)의 높이를 원터치식으로 조절 가능하므로 높이 조절 작업이 용이하다.
더욱이, 제1 난간대(121)와 제2 난간대(131)는 6:4의 조립구조로써 전계 차폐 기능과 인입출수단(140)을 일체형으로 구성하여, 난간대(120)의 높이 조절시 유연하게 동작하여 현장 적용에 유리하다.
또한, 인입출수단(140)은 수직봉(123)의 외주에 설치된 조작부재(145)를 약 4kg의 악력으로 눌러 동작할 수 있도록 체적을 설계하여, 난간대의 높이 조절시 물리적인 구동력이 최소화되도록 한다.
또한, 안전난간대(100)는 이동 장공(151) 및 이탈방지볼(153)을 적용하여 제2 난간대(131)를 제1 난간대(121)에서 인출시 무리한 힘에 의한 제2 난간대(131)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안전난간대(100)는 발 받침대의 전체적인 강도보강을 위한 고강도 보강바를 적용하여 안전난간대(100)의 전체적인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또한, 안전난간대(100)는 걸이부(137)를 난간대(120)의 최상부에 형성하여 작업자의 이동시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안전난간대(100)는 전계 차폐용 금속으로 형성하여 안전후크(H)의 사용시 안전후크를 통해 작업자에게 전달되는 전계를 차폐할 수 있다.
또한, 발 받침대(110)와 난간대(120)는 발 받침대(110)를 이동하는 작업자를 소정 높이까지 감싸는 구조를 형성하므로 전계 차폐 효과를 부가적으로 얻을 수 있다.
또한, 안전난간대(100)는 발 받침대(110)와 제1 난간대(121)에 기계구조용 탄소강을 적용하여 내구성 및 내후성을 확보할 수 있고, 제2 난간대(131), 인입출수단(140)에 스테인레스 스틸을 적용하여 기계적 마찰 계수를 줄이고 부식이나 녹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과 명세서에 최적의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권리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관형지지물 3: 아암
5: 고정판 7: 지지대
100: 안전난간대 110: 발 받침대
111: 보강바 113: 추락방지턱
120: 난간대 121: 제1 난간대
123: 수직봉 123a: 관통공
123b: 고정공 125: 제1 난간부
125a: 인출공 131: 제2 난간대
133: 인출봉 133a: 통공
133b: 지지공 135: 제2 난간부
137: 걸이부 140: 인입출수단
141: 트윈볼 스프링 143: 고정돌기
145: 조작부재 146: 누름부
150: 이탈방지수단 151: 이동 장공
153: 이탈방지볼

Claims (15)

  1. 관형지지물의 아암의 양측에 일체형으로 연결되는 발 받침대;
    상기 발 받침대의 양측에 수직으로 연결되며 높이 조절되는 난간대; 및
    상기 난간대의 최상부에 작업자가 착용한 안전대의 안전후크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걸이부;
    를 포함하는 관형지지물의 아암용 안전난간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 받침대의 저면을 감싸 지지하면서 양단이 상기 난간대에 고정되어 상기 발 받침대의 하중을 보강하는 보강바를 포함하는 관형지지물의 아암용 안전난간대.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 받침대는 메쉬망으로 형성된 관형지지물의 아암용 안전난간대.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 받침대의 가장자리에 추락방지턱이 형성된 관형지지물의 아암용 안전난간대.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난간대는
    상기 발 받침대의 양측에 수직으로 연결되는 제1 난간대;
    상기 제1 난간대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단에 상기 걸이부가 구비되는 제2 난간대; 및
    상기 제2 난간대를 상기 제1 난간대에서 원터치 방식으로 인출시키고 인입시키는 인입출수단;
    을 포함하는 관형지지물의 아암용 안전난간대.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 난간대는 상기 발 받침대의 양측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다수 개의 수직봉과 상기 수직봉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제1 난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난간대는 상기 수직봉에 인출 가능가능하게 삽입되는 인출봉과 상기 인출봉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제2 난간부를 포함하는 관형지지물의 아암용 안전난간대.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인입출수단은
    상기 인출봉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통공에 배치되며 양단이 상기 통공의 내주면에 가압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는 트윈볼 스프링; 및
    상기 트윈볼 스프링의 양단에 구비되며 상기 트윈볼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인출봉의 외주에 관통 형성되는 지지공과 상기 수직봉의 외주에 관통 형성되는 고정공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는 고정돌기;
    를 포함하는 관형지지물의 아암용 안전난간대.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수직봉의 외주를 감싸도록 결합되고 상기 고정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고정돌기를 누르는 누름부가 구비되며,
    상기 누름부를 누를시 상기 고정돌기를 상기 고정공에서 이탈시켜 상기 인출봉이 상기 수직봉에 고정된 상태가 해제되게 하는 조작부재를 포함하는 관형지지물의 아암용 안전난간대.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인입출수단과 상기 조작부재는 상기 수직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배치되고, 일정 간격을 두고 상하로 배치되는 관형지지물의 아암용 안전난간대.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2 난간대를 상기 제1 난간대에서 인출시 상기 제2 난간대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수단을 더 포함하는 관형지지물의 아암용 안전난간대.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수단은
    상기 수직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이동 장공; 및
    상기 인출봉의 외주에 구비되며 상기 이동 장공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인출봉의 인출 행정을 제한하는 이탈방지볼;
    을 포함하는 관형지지물의 아암용 안전난간대.
  12.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발 받침대, 상기 난간대, 상기 걸이부 및 상기 보강바는 용접 및 조립에 의해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관형지지물의 아암용 안전난간대.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 받침대 및 상기 난간대는 기계구조용 탄소강으로 형성되는 관형지지물의 아암용 안전난간대.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걸이부는 스테인레스 스틸과 상기 스테인레스 스틸의 외부를 감싸는 전계 차폐용 금속의 2중 구조로 형성되는 관형지지물의 아암용 안전난간대.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전계 차폐용 금속은 황동 계열의 합금금속인 관형지지물의 아암용 안전난간대.
KR1020190083934A 2019-07-11 2019-07-11 관형지지물의 아암용 안전난간대 KR202100074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3934A KR20210007448A (ko) 2019-07-11 2019-07-11 관형지지물의 아암용 안전난간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3934A KR20210007448A (ko) 2019-07-11 2019-07-11 관형지지물의 아암용 안전난간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7448A true KR20210007448A (ko) 2021-01-20

Family

ID=74304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3934A KR20210007448A (ko) 2019-07-11 2019-07-11 관형지지물의 아암용 안전난간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0744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2098B1 (ko) 1996-06-05 2000-07-15 가타오카 마사타카 조타각 센서유닛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2098B1 (ko) 1996-06-05 2000-07-15 가타오카 마사타카 조타각 센서유닛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069562B (zh) 带电更换绝缘子方法及载荷转移装置
CN104027908A (zh) 一种防坠绳索的悬挂器及其具有防坠装置的杆塔
CN202084841U (zh) 一种便携式跨越架
CN209786629U (zh) 输电线路耐张玻璃绝缘子更换用的辅助装置
CN205100531U (zh) 一种升降脚手架架体总成
JP6344879B1 (ja) 橋梁構造物における吊足場の架設方法及び吊足場
KR20210007448A (ko) 관형지지물의 아암용 안전난간대
EP2913291A1 (en) Method and system for installation and removal of ballast
CN104409994B (zh) 组合式安全带悬挂装置
CN103318745A (zh) 一种轻便型专用吊具及其安装方法
CN207401032U (zh) 一种新型安全带固定装置
CN105366565A (zh) 高压线塔用辅助提升装置
CN215666760U (zh) 一种用于施工升降机的滑动式水平附墙装置
CN205821997U (zh) 一种城市立交桥现浇花池式防撞墙模板
CN210813596U (zh) 安全带悬挂装置
CN204038917U (zh) 可拆卸外挂式操作平台
CN204012462U (zh) 一种用于架设导线的吊具
CN203707657U (zh) 耐张复合绝缘子安装辅助出线平台
CN204858273U (zh) 接闪杆
CN214246549U (zh) 一种建筑工程用装配式爬架
CN116173439B (zh) 一种用于输电铁塔的防坠装置
CN207684728U (zh) 高耸贵金属塔桅吊具系统
CN217870029U (zh) 一种旧桥上部维修加固兜底施工安全平台
KR20200046377A (ko) 중량물 인양을 위한 비대칭 리프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중량물 인양방법
CN211421800U (zh) 一种用于挂篮的下操作平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