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7389A - 환자치료용 장비 반복사용에 따른 팔·어깨 누적피로와 집중력저하를 개선한 죽지 부위 활동 보조장치 - Google Patents

환자치료용 장비 반복사용에 따른 팔·어깨 누적피로와 집중력저하를 개선한 죽지 부위 활동 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7389A
KR20210007389A KR1020190083770A KR20190083770A KR20210007389A KR 20210007389 A KR20210007389 A KR 20210007389A KR 1020190083770 A KR1020190083770 A KR 1020190083770A KR 20190083770 A KR20190083770 A KR 20190083770A KR 20210007389 A KR20210007389 A KR 202100073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support
screw
hole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37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24793B1 (ko
Inventor
이재구
정동훈
임종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디엠
임종학
이재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디엠, 임종학, 이재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디엠
Priority to KR10201900837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4793B1/ko
Publication of KR202100073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73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47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47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60Supports for surgeons, e.g. chairs or hand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50Supports for surgical instruments, e.g. articulated arms
    • A61B90/57Accessory cl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5/0104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without articulation
    • A61F5/0118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without articulation for the arms, hands or fing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2/00Accommodation for nursing, e.g. in hospitals, not covered by groups A61G1/00 - A61G11/00, e.g. trolleys for transport of medicaments or food; Prescription li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50Supports for surgical instruments, e.g. articulated arms
    • A61B90/57Accessory clamps
    • A61B2090/571Accessory clamps for clamping a support arm to a bed or other suppor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ath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Nursing (AREA)
  • Dentist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Abstract

병원에서 의료행위를 목적으로 사용하는 검사, 치료 또는 수술장비의 반복적인 사용으로 팔과 어깨의 피로누적과 집중력저하를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한 환자치료용 장비 반복사용에 따른 팔·어깨 누적피로와 집중력저하를 개선한 죽지 부위 활동 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간호사 또는 의사가 편측 또는 양측으로 팔과 어깨를 이용한 죽지 부위를 이용하여 검사, 치료 및 수술행위를 할 때 죽지 부위의 활동을 보조하면서 누적피로 감소와 집중도를 높일 수 있도록 죽지 부위 활동 보조장치(A)을 구비한다.
이와 같이 병원에서 간호사 또는 의사가 환자를 대상으로 한 검사, 치료 및 수술에 따른 반복적인 팔과 어깨에 이루는 죽지 부위에 가해 지는 누적피로와 통증을 완화시키고 집중도와 작업능률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환자치료용 장비 반복사용에 따른 팔·어깨 누적피로와 집중력저하를 개선한 죽지 부위 활동 보조장치{A Inspection and improvement of arm and shoulder cumulative fatigue and concentration deterioration due to repeated use of surgical equipment for patient treatment}
본 발명은 병원에서 검사, 치료 및 수술 장비의 반복사용에 따른 죽지 부위(팔과 어깨가 이어진 관절의 부분) 활동 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병원에서 의료행위를 목적으로 사용하는 검사, 치료 또는 수술장비의 반복적인 사용으로 팔과 어깨의 피로누적과 집중력저하를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한 환자치료용 장비 반복사용에 따른 팔·어깨 누적피로와 집중력저하를 개선한 죽지 부위 활동 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저출산 고령화 사회에 접어들면서 일을 할 수 있는 근로자들이 늘어나고 있고, 사회적으로 많은 근로자들이 법으로 정해 놓은 정년 근무연수에 맞게 일을 할 수 있도록 보장하고 있다.
또, 이에 따라 근무기간이 늘어나고 사회적 활동이 증가함에 따라 남성, 여성 및 고령자 근로자들이 다양한 분야에 따라 그 업무환경의 특성에 맞는 근무활동이 증가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근무활동 중에서 특히 의료관련 병원 및 응급실 근로현장에서는 검사, 치료 및 수술작업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의사 및 간호사들의 팔과 어깨가 이어진 관절 또는 근육을 이용한 죽지 부위에 사용이 집중되어 많은 근력을 필요로하게되고 또 제한된 공간에서 동일한 작업을 장시간 서서 또는 앉아서 반복적으로 수행할 때 그 피로누적으로 인한 죽지 부위쪽에 집중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 피로누적에 의해 양팔 또는 양쪽 어깨쪽에 통증이 발생할 때에는 거의 대부분이 자기 의지대로 제대로 거동할 수 없어 누군가의 도움없이는 검사, 치료 및 수술의 이용이 힘들어 결국 추가 인력이 필요로 하는 문제점에 노출되게 된다.
또한, 이로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치료 또는 재활하기 위한 검사, 치료 및 수술장비 관련 보조장치가 선행기술에 의해 다양하게 공지되어 있다.
한 예로 앞서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605750호(공개일자: 2006.04.19.)에서 “침대 위에 있는 사람의 위치, 자세, 및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침대 위에 있는 사람을 보조하는 압력센서 부착매트리스; 2개의 좌우모터와 2개의 토크센서로 구성되고, 상기 매트리스의 모니터링으로부터 얻어진 정보를 얻어 침대 위에 있는 사람을 지지하는 지지형 로봇팔; 상기 지지형 로봇팔에 부착되어 사용되며,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침대형 지능 로봇 아래쪽 공간으로 이동하여 감추어질
수 있는 선반; 및 상기 침대 위에 있는 사람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로봇팔의 이동 경로를 유도하는 이동레일; 를 포함하는 압력센서 부착 매트리스와 지지형 로봇팔이 장착된 침대형 지능 로봇”이 있고,
또,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40602호(공개일자: 2018.04.20.)에서는 “의료 용도를 위한, 특히 부착부, 특히 수술용 메카트로닉 보조 시스템 및/또는 수술 기구를 유지하기 위한 유지장치(1), 특히 유지 아암 및/또는 트라이포드로서,
상기 유지 장치(1)를 기부에 부착하기 위한 근위 단부(2) 및 애드온 디바이스(6)를 수용하기 위한 원위 단부(4); 적어도 하나의 제1 및 하나의 제2 아암 세그먼트(12, 14)로서, 상기 제1 아암 세그먼트(12)는 제1 조인트(13)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아암 세그먼트(14)는 제2 조인트(15)에 연결되고, 각각의 조인트(13, 15)는 해제 가능하고 잠금 가능한 것인, 제1 및 제2 아암 세그먼트(12, 14); 상기 유지 장치(1)를 원하는 자세로 배치하기 위해 각각의 조인트(13, 15)를 해제하고 그리고/또는 잠금하기 위한 조작 디바이스(50); 및 상기 제1 조인트(13) 상에 배열된 제1 디스플레이 유닛(34, 100, 200, 250) 및 상기 제2 조인트(15) 상에 배열된 제2 디스플레이 유닛(36, 100, 200, 252)을 포함하는 것인 유지 장치(1)에 있어서, 상기 제1 및/또는 제2 디스플레이 유닛(34, 36, 100, 200, 250, 252)은 각각의 조인트(13, 15)의 해제 및/또는 잠금과는 상이한 상기 유지 장치(1)의 그리고/또는 애드온 디바이스(6)의 적어도 하나의 상황을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지 장치”가 있으며,
또,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46807호(공개일자: 2001.10.29.)에서는 “책상의 천장판(2) 과 사무 공간의 바닥에 고정된 기둥(1)에 마우스판(10)을 삽입하여 조절볼트(11)을 나삽하여 그 높낮이를 조절함과 기둥(1)에 조절링(20)을 삽입하고 조절링(20)에 연계된 아암(50)의 끝단에 베어링(61)을 삽입하여 회전아암(51)의 360도 회전이 볼구름에 의해 용이 하게하고 회전아암(51)에 가이드(72)를 내설하고 이동 베어링(73)을 삽입하고 팔걸이(77)에 이를 연계하여 이동베어링(73)의 볼구름으로 전 후로 이동이 용이하게 하고 조절링(21) 하단에 조절구(21)를 삽입하여 조임볼트(22)를 나삽하여 팔걸이의 높낮이를 조절하게 한 컴퓨터 키보드와 마우스용팔 받침대”가 있고,
또,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98191호(공개일자 : 2002.12.16.) “의자에 보조 책상을 부착하여 사용하는 컴퓨터용 의자에 있어서 상기의자의 중심축인 의자중심봉(81)에 ㄴ자형의 고정파이프(11) 하단 끝에 클립을 부착하여 고정함으로 중심축으로 지지하는 어느 의자에나 탈 부착이 용이 하도록 함과 고정파이프(11) 상단에는 조임구(13)를 삽입하여 고정파이프(11)내부에 조절파이프(17)를 삽입하여 조절볼트(15)로 나삽하고 이동 파이프 상단에 경첩(42)이 연계되어 접철이 용이하도록 마우스판(2)에 부착하여 접철이 되는 마우스판과 이동구(32)는 직사각형의 중앙을 길게 절개하여 절개부(52)의 양쪽으로 제1가이드편(27)과 제2가이드편(29)을 형성하여 끝단에 롤베어링(57) 삽입 내설하고 이동구(32)의 다른 끝에 회전봉(50)이 하향으로 수직 부착되어 회전 막대(31)의 회전구멍(49)에 삽입됨과 가이드봉(21) 의 하단에는 핀구멍(61)이 수평으로 천공되고 핀(62)을 삽입하여 양측돌출 부위에 베어링(25)이 각각 삽입되어 양쪽에 베어링(25)를 삽입한 가이드봉(21) 상단에 이동구(32)의 절개부(53)에 삽입하고 마우스판(2)의 밑면 일측에 나삽하여 이동구(32)의 롤베어링(57)과 가이드봉(21)의 양쪽에 베어링(25)의 볼 구름으로 마찰 없이 전진과 후진이 이뤄지고 또한 절개부(53)에는 이동구(32)의 회전 방지를 위하여 회전방지봉(68)이 마우스판(2)의 바닥밑면 일측에 가이드봉(21)과 나란히 삽입되어 나삽됨과 마우스 팔걸이(1)의 하단에는 수직봉(28)이 부착 고정되어 회전막대(31) 의 베어링하우징(45)에 삽입되어 있는 회전베어링(46)에 삽입되어 360도 회전이 되고 회전막대(31) 다른 끝에는 회전구멍(49)이 천공되어 이동구(32)의 회전봉(50)에 삽입 되어 넛트로 나삽 조립된 의자에 부착된 마우스 팔걸이 보조책상”이 있으며,
또, 국내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2-0001034호(공개일자 : 2002.02.14.) “침대에 팔을 안착하여 휴식을 취하기 위해 설치되는 보호자용 침대의 측부에 구비되는 팔받침대에 있어서, 상부 표면은 팔이 안착하기 편안하도록 부드럽고 온화한 형태의 재질로 제작되고, 길이방향으로 팔이 안착될 경우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홈을 구비한 안착부와; 안착부의 하부로 팔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각형의 구조를 구비한 받침대와; 받침대의 측면에 침대에 부착하기 위한 결속수단과; 받침대 하부에 팔의 동작에 의하여 가해지는 하중을 지탱하고 높이조절이 가능한 레그를; 포함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자용 침대에 부착된 팔 받침대”가 알려지고 있다.
상기와 같이 등록특허공보 제10-0605750호에서는 침대 위에 있는 사람의 위치, 자세 및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침대 위에 있는 사람을 보조하는 압력센서 부착매트리스, 2개의 좌우모터와 2개의 토크센서, 상기 매트리스의 모니터링으로부터 얻어진 정보를 얻어 침대 위에 있는 사람을 지지하는 지지형 로봇팔상기 침대 위에 있는 사람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로봇팔의 이동 경로를 유도하는 이동레일을 구성하고 있으나, 메트리스에 누워있는 환자에 국한되어 있어 간호사 또는 의사를 보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고, 또 구조가 복잡하여 설치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센서에 의한 사람의 위치, 자세 및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하는 침대의 분리와 설치가 용이하지 않아 유지비용이 많이 드는 단점이 있다.
또,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40602호에서는 수술대의 테이블에 설치되는 유지장치는 기부에 부착하기 위한 단부를 구성하고, 상기 단부 상측으로 하나 이상의 조인트와 세그먼트로 이루어지며, 상기 조인트의 끝단에는 단부를 구성하되, 그 단부에 애드온 디바이스를 설치하여 작업자가 수술시에 여러가지 환경을 돕도록 구성하고 있으나, 설치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와 설치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고, 설치와 세팅에 많이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46807호에서는 책상의 천장판과 사무 공간의 바닥에 고정된 기둥에 마우스판을 삽입하여 임의각도로 조절되면서 받침될 수 있도록하여 마우스 사용을 편리하게 돕는 구조를 하고 있으나, 환자치료를 위해 사용하는 검사, 치료 및 수술에는 적용하기에는 한계성이 있고, 단순히 팔을 올려놓는 구조여서 이를 이용하여 적용하기에도 어려운 구조를 갖고 있다.
또,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98191호에서는 의자의 저부 중심봉에 체결고정되는 꺽임이 있는 고정파이프를 구비한후에 그 상측에는 정·역회전되는 조절파이프에 설치되는 마우스판과 상기 마우스판의 저부 편측에 슬라이딩되는 이동구에 설치되는 회전막대를 구비하여 그 회전막대에 팔걸이를 구비하고 있으나, 의료용 검사, 치료 및 수술에 적용이 어렵고, 팔을 거취할 수 있는 구조로만 되어 있어 자유롭게 사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2-0001034호에서는 침해 아래측에 별도로 슬라이딩되는 간이침대에 적용되는 팔받침대를 구성하고 있으나, 특정작업을 위한 것이 아니라 단순히 팔을 올려놓는 기능에 불과하여 검사, 치료 및 수술장비를 사용할 때 보조하기에는 구조적으로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605750호(공개일자 : 2006. 08. 01.)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40602호(공개일자 : 2018. 04. 20.)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46807호(공개일자 : 2001. 10. 29.)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98191호(공고일자 : 2002. 12. 16.) ·국내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2-0001034호(공고일자 : 2012. 02. 14.)
없음
본 발명은 상기 지적과 같은 종래의 제반 결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병원 의료용으로 환자를 상대로 간호사 또는 의사가 검사, 치료 및 수술장비 사용에 있어 작업에 따른 피로도를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팔과 어깨에 집중되는 죽지 부위에 대한 근육 및 관절의 누적피로를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죽지 부위 활동 보조장치를 구비하여 검사, 치료 및 수술의 반복적인 피로누적과 집중력저하를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고,
또, 상기 활동 보조장치를 선택적으로 다양한 장소에 사용할 수 있는 설치수단을 구비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팔과 어깨의 죽지 부위에 부하를 최소화시키면서도 다양한 검사, 치료, 수술도구를 거치할 수 있는 도구거취유닛을 갖는 암조절유닛을 구비하여 쉽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또, 죽지 부위 활동에 따라 팔과 팔꿈치의 좌, 우 구분없이 사용이 가능하고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암받침수단을 구비하며,
또한, 상기 암조절유닛에는 장력조절유닛을 구비하여 사용자의 작동부하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 환자치료용 장비 반복사용에 따른 팔·어깨 누적피로와 집중력저하를 개선한 죽지 부위 활동 보조장치를 제공함에 그 기술적 과제의 주안점을 두고 완성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병원 환자를 대상으로 한 검사, 치료 및 수술장비 보조장치에 있어서, 간호사 또는 의사가 편측 또는 양측으로 팔과 어깨를 이용한 죽지 부위를 이용하여 검사, 치료, 수술행위를 할 때 죽지 부위의 활동을 보조하면서 누적 피로 감소와 집중도를 높일 수 있도록 죽지 부위 활동 보조장치(A)를 구비하고,
상기 죽지 부위 활동 보조장치(A)는 검사, 치료 및 수술장비가 있는 공간 내부에 침대, 책상, 테이블에 설치할 수 있는 설치수단(1)을 구비한 것과, 상기 설치수단(1)에 의해 상·하 위치를 조절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구비하고, 좌·우로 위치를 변경하면서 외측으로 확장 또는 중심으로 축소시킬 수 있는 위치가변유닛(2)을 구비한 것과, 상기 위치가변유닛(2)의 외면 끝단에는 상·하 위치 이동시 탄성스프링(S)의 장력에 의해 팔과 어깨의 죽지 부위 근육과 관절의 부담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보조하는 암조절유닛(3)을 구비한 것과, 상기 암조절유닛(3)의 외면 끝단에는 팔을 올려놓은 다음 고정시켜 팔의 활동에 따라 위치가변유닛(2)과 암조절유닛(3)의 상호 유기적 작동이 조절될 수 있도록하여 보조하는 암받침수단(4)을 구비하며,
상기 설치수단(1)은 “┏”형태의 꺽임브라켓(101)을 구비하고, 상기 꺽임브라켓(101)의 상측 중심에는 고정구멍(102)을 구비하며, 상기 고정구멍(102)의 상측에는 체결홈(110)을 구비한 수직축봉(111)이 고정나사(105)에 의해 고정체결되도록 구비하고, 상기 꺽임브라켓(101)의 편측 수직면에는 하나 이상 양측 대칭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위치조절구멍(103)을 구비하며, 상기 위치조절구멍(103)의 내측에는 “┗ ”형태의 위치조절턱(150)이 조절나사(151)에 의해 고정지지되도록 구비하고, 상기 위치조절턱(150)의 수평 중심에는 나사홈(151)을 구비하되, 그 나사홈(151)이 축삽되어 승·하강 위치가 조절되는 조절식누름축봉(161)을 구비하며, 상기 조절식누름축봉(161)의 상측에는 누름판(162)을 구비하되, 그 반대 측 타측 끝단에는 조절레버(161)를 구비하고,
상기 위치가변유닛(2)은 설치수단(1)에 끼워져 고정지지되는 가압몸체(201)를 구비하고, 상기 가압몸체(201)의 중심 내부에는 편측이 수직 길이방향으로 파절되어 일정한 틈(205a)이 형성된 가압고무밴드(205)를 구비하고, 상기 가압고무밴드(205)의 상측에는 마감캡(206)이 끼워져 체결되도록 구비한 것과, 상기 가압몸체(201)의 외면 편측에는 나사홈(201a)을 구비하되 그 외면에 음각턱(201b)을 구비하고, 상기 음각턱(201b)에 끼워지는 양각걸림턱(202a)을 갖는 가압파손방지블럭(202)을 구비하며, 상기 가압파손방지블럭(202)의 중심은 통공되어 상기 나사홈(201a)이 나사결합되어 상기 가압고무밴드(205)의 외면을 가압하는 가압조절나사(203)를 구비한 것과, 상기 가압몸체(201)의 외면 타측에는 삽입공간(219)을 형성하되, 위·아래측에 상측지지편(218)과 하측지지편(217)을 구비하고, 상기 상측지지편(218)의 중심은 통공(218a)을 구비하며, 상기 통공(218a)의 상측에는 걸림턱(218b)을 구비하고, 상기 걸림턱(218b)의 상측 내주면에는 마개걸림턱(218c)을 구비하며, 상기 하측지지편(217)의 중심에는 육각 형태의 삽입공간(217a)을 구비한 제1힌지부(210)를 구비한 것과, 상기 제1힌지부(210)의 삽입공간(219)에는 고무부싱(215)이 끼워진 수용블럭(222)이 끼워져 상측 고정나사(211)와 아래 측 와셔(211a) 및 고정볼트(211b)에 의해 체결되어 고정되도록 구비하고, 상기 고정나사(211)가 체결된 그 상측에는 체결보호용 마감뚜껑(212)을 구비하며, 상기 수용블럭(222)의 편측 외면으로 돌출되는 제1링크바(221)를 구비하되, 그 반대측 타측에는 통공형태의 연결홈(224)을 갖는 지지블럭(223)을 구비한 제2힌지부(220)를 구비한 것과, 상기 제2힌지부(220)의 지지블럭(223)의 상측에는 고정볼트(233)와 고정캡(234)이 수용되는 힌지블럭(252)을 동일수직선상에 일치시킨 다음, 상기 지지블럭(223)의 저부 중심으로 지지와셔(231)와 고정나사축봉(232)이 끼워져 상기 고정볼트(233)에 체결되어 힌지 회전되도록 구비하고, 상기 힌지블럭(252)의 외면에는 편측으로 돌출되는 제2링크바(251)를 구비하며, 상기 제2링크바(251)의 외면 끝단에는 위·아래측으로 수용홈을 갖는 힌지몸체(253)에 제1지지부싱(263)과 제2지지부싱(261)이 끼워진 다음 그 외면에 암조절유닛(3)의 회전브라켓(379)(379a)이 고정나사(264)(262)에 의해 체결되도록 구비하며,
상기 암조절유닛(3)은 양측에 대칭으로 연결구멍(311a)(312a)을 구비한 “∩”형으로 수직지지브라켓(311)(312)을 구비하되, 그 중앙에는 길이방향으로 개방부(315)를 갖도록 상·하 대칭으로 구비한 지지바(310)(320)를 구비한 것과, 상기 지지바(310)(320)의 편측 연결구멍(312a)은 양측에 대칭으로 위·아래 체결구멍(371)을 구비한 “⊃”형태의 결속브라켓(372)을 구비한 조절몸체(370)에 끼워져 체결나사(351)(352)에 의해 축삽고정되어 체결볼트(351a)(352a)로 고정되도록 구비하고, 상기 조절몸체(370)의 내측 중심레일(370a)의 위, 아래 측에는 나사홈(B-1)을 구비한 지지조절브라켓(B-2)의 나사홈(B-1)에는 나사조절축봉(B-6)이 나사결합 되도록 구비하며, 상기 나사조절축봉(B-6)에는 걸림통공(B-4)을 갖는 고정판(B-5)을 구비한 위치조절용 이동블럭(B-3)을 구비한 장력조절유닛(B)을 구비하고, 상기 조절몸체(370)의 외측에는 상·하측에 상기 위치가변유닛(2)의 제1지지부싱(263)과 제2지지부싱(261)에 체결힌지회전되도록 회전브라켓(379)(379a)을 구비한 제1조절부(350)를 구비한 것과, 상기 제1조절부(350)의 반대 측 상기 지지바(310)(320)의 편측 연결구멍(311a)은 양측에 대칭으로 위·아래 체결구멍(331)을 구비한 “⊂”형태의 조절몸체(330)에 끼워져 체결나사(331)(332)에 의해 축삽고정되어 체결볼트(331a)(332a)로 고정되도록 구비하되 상기 체결나사(332)의 중심에 스프링걸림홈(C-1)을 갖는 걸림블럭(C)을 구비하고, 상기 조절몸체(330)의 외측에는 상·하측에 상기 회전브라켓(334)(334a)을 구비하며, 상기 회전브라켓(334)(334a) 사이에는 나사홈(341a)을 구비한 암받침회전블럭(340)이 끼워져 체결나사(342)에 힌지고정되도록 구비하고, 상기 암받침회전블럭(340)의 외측에는 상·하측에 중심이 통공되고 베어링삽입홈(340b)을 갖는 돌출블럭(340a)을 구비하며, 상기 베어링삽입홈(340b)에는 베어링(345)(345a)이 끼워지도록 구비하되, 그 상면에는 보호캡(346)과 그 하면에는 베어링(345a) 이탈방지용 씨링(347)을 구비하고, 상기 보호캡(346)의 중심에는 하부 베어링(345a) 중심으로 축삽되는 상기 암받침수단(4)의 회전축봉(401)이 끼워져 상기 베어링(345)의 위치까지 인입되어 고정나사(349)에 의해 고정되도록 구비한 제2조절부(380)를 구비한 것과, 상기 제1조절부(350)의 고정판(B-5)에 구비된 걸림통공(B-4)과 제2조절부(380)를 갖는 고정판(B-5)의 걸림블럭(C)에 구비된 스프링걸림홈(C-1)에는 탄성스프링(S)이 걸림 고정되어 사용자에 맞게 위치이동에 따른 부하가 최소화되도록 구비하고,
상기 암받침수단(4)은 “∪”형태의 암받침브라켓(400)을 구비하고, 상기 암받침브라켓(400)의 상면 중심부에는 하나 이상의 통공형태의 걸림홈(413)을 구비하되, 그 편측에는 돌출되게 지지판(410)을 구비하며, 상기 지지판(410)의 상측 일측에는 음각삽입턱(412)을 구비한 통공(411)을 구비하고, 상기 통공(411)의 저부에는 고정나사(403)에 의해 상기 음각삽입턱(412)에 끼워져 나사 체결되는 회전축봉(401)을 구비하되, 그 상측에는 나사결합홈(402)을 구비하며, 상기 암받침브라켓(400)의 상면 걸림홈(413)에는 탈부착형태로 구성할 수 있는 하부걸림턱(425a)을 구비한 굴곡브라켓(420)을 구비하며, 상기 굴곡브라켓(420)의 상면에는 쿠션패트(425)가 고정지지 되고, 상기 굴곡브라켓(420)의 양측 외면 편측에는 걸림돌기(425)를 구비하되, 그 반대측 타측에는 암이탈방진밴드(5)의 간격을 조으거나 풀수 있도록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와이어조임구(430)가 고정설치되고, 상기 와이어조임구(430)의 반대측 타측에는 측면으로 돌출된 형태의 걸림공(442)을 구비하되, 그 하측으로 밀림방지홈(441)을 구비한 탈부착걸림밴드(440)를 구비하며, 상기 와이어 조임구(430)와 탈부착걸림밴드(440) 사이에는 조절와이어(W)가 서로연결되어 고정되도록 와이어안내부(455)를 갖는 암이탈방지밴드(450)를 구비하며,
상기 설치수단(1)은 병원 침대(C)의 링겔소켓(D)에 축삽되는 삽입핀(151)을 구비하고, 상기 삽입핀(151)의 상측에는 나사산(151a)을 구비하며, 상기 나사산(151a)의 상측에는 중심에 나사홈(152b)을 갖는 돌출핀(152a)을 구비한 지지블럭(152)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블럭(152)의 돌출핀(152a)의 외면에는 중공형태의 수직관(153)을 구비하되, 그 상측에는 마감캡(154)에 삽설고정지지되며, 상기 수직관(153)의 외면에는 상부측 경사각으로 이루어진 경사관(155)을 구비하되, 그 외측에는 통공(156b)을 갖는 고정블럭(156)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블럭(156)의 상측에는 걸림턱(156a)을 구비하되, 그 걸림턱(156a)과 맞대응되어 걸림고정되는 수직형태의 고정축봉(157)을 구비하며, 상기 고정축봉(157)은 상기 고정블럭(156)의 저면 체결나사(158)가 통공(156b)을 통해 나사 결합되도록 구비하고,
상기 쿠션패트(425)에는 팔꿈치에 가해지는 통증이나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저면에 밸크로테잎(461)이 구비되고, 그 상측 중심에 음각형성된 쿠션제 형태의 팔꿈치보호패드(460)를 구비하며,
상기 지지바(310)에는 검사, 치료 및 수술시 간호사 또는 의사가 소형 검사도구를 올려놓고 항시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형 탈부착형 거취프레임(501)을 구비하고, 상기 거취프레임(501)의 양측에는 걸림턱(502a)(503a)을 구비한 걸림프레임(502)(503)을 구비하며, 상기 걸림프레임(502)(503)은 편측이 조절레버(504)에 의해 좌·우간격이 이격 및 축소되도록 구비하고, 상기 걸림프레임(503)의 외측에는 힌지회전축봉(505)을 구비하며, 상기 힌지회전축봉(505)에 축삽되어 힌지회전되도록 체결되는 수평유지프레임(510)을 구비하고, 상기 수평유지프레임(510)의 상측에는 구획부로 이루어진 도구거취대(520)를 구비하며, 상기 수평유지프레임(510)의 하측에는 자중에 의해 항시 아래 측으로 기울어지도록 무게추(530)를 갖는 도구거취유닛(500)을 구비하고,
상기 도구거취대(520)에는 검사, 치료 및 수술을 위한 소형도구를 올려놓은 후 죽지 부위 활동중에 흔들림에 의한 이탈을 방지하도록 자석 또는 실리콘재질의 패드면을 선택적으로 구비하며,
또, 상기 암받침수단(4)은 “∪”형태의 암받침브라켓(400-1)을 구비하고,
상기 암받침브라켓(400-1)의 상면 중심부에는 하나 이상의 통공형태의 걸림홈(413-1)을 구비하되, 그 편측에는 돌출되게 지지판(410-1)을 구비하며, 상기 지지판(410-1)의 상측 일측에는 음각삽입턱(412-1)을 구비한 통공(411-1)을 구비하고, 상기 통공(411-1)의 저부에는 고정나사(403-1)에 의해 상기 음각삽입턱(412-1)에 끼워져 나사 체결되는 회전축봉(401-1)을 구비하되, 그 상측에는 나사결합홈(402-1)을 구비하며, 상기 암받침브라켓(400-1)의 상면 걸림홈(413-1)에는 탈부착형태로 구성할 수 있는 하부걸림턱(425a-1)을 구비한 쿠션패트(425-1)가 고정지지 되고, 상기 쿠션패트(425-1)의 양측 외면 편측에는 지지편(430-1)이 박음질되어 고정지지되도록 구비하며, 상기 지지편(430-1)의 상측에는 탈력밴드(455-1)가 하나 이상 구비하되, 그 반대측에는 벨크로탈부착밴드(440-1)을 구비하고, 상기 쿠션패트(425-1)의 상측 중앙에는 팔꿈치보호패드(460-1)를 갖는 밴드식 암받침유닛(45)를 구비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환자치료용 장비 반복사용에 따른 팔·어깨 누적피로와 집중력저하를 개선한 죽지 부위 활동 보조장치는 병원에서 간호사 또는 의사가 환자를 대상으로 한 검사, 치료 및 수술에 따른 반복적인 팔과 어깨에 이루는 죽지 부위에 가해지는 누적피로와 통증을 완화시키고 집중도와 작업능률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고,
또, 간호사 또는 의사를 보조할 수 있도록하여 주용한 동작에서 오동작을 방지하여 신뢰성과 집중도를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또, 다양한 환경에 설치할 수 있는 이점이 있어 설치비용 절감과 여러공간에서 쉽게 접목시켜 사용할 수 있어 유지비용이 낮은 장점이 있고,
또한, 설치 구조가 단순하여 쉽게 누구가 설치와 분리가 쉬워 시간을 단축 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또, 팔을 거치하는 용도와 다양한 소형 의료 도구를 근처에 항시 갖출 수 있어 신속한 대응이 가능한 이점이 있는 등 그 기대하는 바가 실로 다대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죽지 부위 활동 보조장치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분해조립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설치수단을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위치가변유닛의 분해 조립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위치가변유닛의 가압몸체 일부 파절 단면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암조절유닛의 바람직한 실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암조절유닛의 분해조립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암조절유닛의 또 다른 분해조립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1조절부의 분해 조립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조절부의 분해 조립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암받침수단의 바람직한 실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암받침수단의 또 다른 실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암받침수단의 분해 조립예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설치수단을 나타낸 예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도구거취유닛의 바람직한 실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도구거취유닛의 분해 조립예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도구거취유닛의 또 다른 실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도구거취유닛의 작동실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19는 본 발명의 도구거취유닛의 측면 작동실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20 내지 22는 본 발명의 암받침수단의 또 다른 실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임.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는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병원 환자를 대상으로 한 검사, 치료 및 수술장비 보조장치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호사 또는 의사가 편측 또는 양측으로 팔과 어깨를 이용한 죽지 부위를 이용하여 검사, 치료, 수술행위를 할 때 죽지 부위의 활동을 보조하면서 누적 피로 감소와 집중도를 높일 수 있도록 죽지 부위 활동 보조장치(A)를 구비한다.
또, 상기 죽지 부위 활동 보조장치(A)는 도 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사, 치료 및 수술장비가 있는 공간 내부에 침대, 책상, 테이블에 설치할 수 있는 설치수단(1)을 구비한 것과,
상기 설치수단(1)에 의해 상·하 위치를 조절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구비하고, 좌·우로 위치를 변경하면서 외측으로 확장 또는 중심으로 축소시킬 수 있는 위치가변유닛(2)을 구비한 것과,
상기 위치가변유닛(2)의 외면 끝단에는 상·하 위치 이동시 탄성스프링(S)의 장력에 의해 팔과 어깨의 죽지 부위 근육과 관절의 부담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보조하는 암조절유닛(3)을 구비한 것과,
상기 암조절유닛(3)의 외면 끝단에는 팔을 올려놓은 다음 고정시켜 팔의 활동에 따라 위치가변유닛(2)과 암조절유닛(3)의 상호 유기적 작동이 조절될 수 있도록하여 보조하는 암받침수단(4)을 구비됨이 바람직하고,
상기 설치수단(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태의 꺽임브라켓(101)을 구비하고,
상기 꺽임브라켓(101)의 상측 중심에는 고정구멍(102)을 구비하며,
상기 고정구멍(102)의 상측에는 체결홈(110)을 구비한 수직축봉(111)이 고정나사(105)에 의해 고정체결되도록 구비하고,
상기 꺽임브라켓(101)의 편측 수직면에는 하나 이상 양측 대칭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위치조절구멍(103)을 구비하며,
상기 위치조절구멍(103)의 내측에는 “┗ ”형태의 위치조절턱(150)이 조절나사(151)에 의해 고정지지되도록 구비하고,
상기 위치조절턱(150)의 수평 중심에는 나사홈(151)을 구비하되, 그 나사홈(151)이 축삽되어 승·하강 위치가 조절되는 조절식누름축봉(161)을 구비하며,
상기 조절식누름축봉(161)의 상측에는 누름판(162)을 구비하되, 그 반대 측 타측 끝단에는 조절레버(161)를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위치가변유닛(2)은 도 3 내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수단(1)에 끼워져 고정지지되는 가압몸체(201)를 구비하고,
상기 가압몸체(201)의 중심 내부에는 편측이 수직 길이방향으로 파절되어 일정한 틈(205a)이 형성된 가압고무밴드(205)를 구비하고, 상기 가압고무밴드(205)의 상측에는 마감캡(206)이 끼워져 체결되도록 구비한 것과,
상기 가압몸체(201)의 외면 편측에는 나사홈(201a)을 구비하되 그 외면에 음각턱(201b)을 구비하고, 상기 음각턱(201b)에 끼워지는 양각걸림턱(202a)을 갖는 가압파손방지블럭(202)을 구비하며, 상기 가압파손방지블럭(202)의 중심은 통공되어 상기 나사홈(201a)이 나사결합되어 상기 가압고무밴드(205)의 외면을 가압하는 가압조절나사(203)를 구비한 것과,
상기 가압몸체(201)의 외면 타측에는 삽입공간(219)을 형성하되, 위·아래측에 상측지지편(218)과 하측지지편(217)을 구비하고, 상기 상측지지편(218)의 중심은 통공(218a)을 구비하며, 상기 통공(218a)의 상측에는 걸림턱(218b)을 구비하고, 상기 걸림턱(218b)의 상측 내주면에는 마개걸림턱(218c)을 구비하며, 상기 하측지지편(217)의 중심에는 육각 형태의 삽입공간(217a)을 구비한 제1힌지부(210)를 구비한 것과,
상기 제1힌지부(210)의 삽입공간(219)에는 고무부싱(215)이 끼워진 수용블럭(222)이 끼워져 상측 고정나사(211)와 아래 측 와셔(211a) 및 고정볼트(211b)에 의해 체결되어 고정되도록 구비하고, 상기 고정나사(211)가 체결된 그 상측에는 체결보호용 마감뚜껑(212)을 구비하며, 상기 수용블럭(222)의 편측 외면으로 돌출되는 제1링크바(221)를 구비하되, 그 반대측 타측에는 통공형태의 연결홈(224)을 갖는 지지블럭(223)을 구비한 제2힌지부(220)를 구비한 것과,
상기 제2힌지부(220)의 지지블럭(223)의 상측에는 고정볼트(233)와 고정캡(234)이 수용되는 힌지블럭(252)을 동일수직선상에 일치시킨 다음, 상기 지지블럭(223)의 저부 중심으로 지지와셔(231)와 고정나사축봉(232)이 끼워져 상기 고정볼트(233)에 체결되어 힌지 회전되도록 구비하고, 상기 힌지블럭(252)의 외면에는 편측으로 돌출되는 제2링크바(251)를 구비하며, 상기 제2링크바(251)의 외면 끝단에는 위·아래측으로 수용홈을 갖는 힌지몸체(253)에 제1지지부싱(263)과 제2지지부싱(261)이 끼워진 다음 그 외면에 암조절유닛(3)의 회전브라켓(379)(379a)이 고정나사(264)(262)에 의해 체결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고,
상기 암조절유닛(3)은 도 6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에 대칭으로 연결구멍(311a)(312a)을 구비한 “∩”형으로 수직지지브라켓(311)(312)을 구비하되, 그 중앙에는 길이방향으로 개방부(315)를 갖도록 상·하 대칭으로 구비한 지지바(310)(320)를 구비한 것과,
상기 지지바(310)(320)의 편측 연결구멍(312a)은 양측에 대칭으로 위·아래 체결구멍(371)을 구비한 “⊃”형태의 결속브라켓(372)을 구비한 조절몸체(370)에 끼워져 체결나사(351)(352)에 의해 축삽고정되어 체결볼트(351a)(352a)로 고정되도록 구비하고, 상기 조절몸체(370)의 내측 중심레일(370a)의 위, 아래 측에는 나사홈(B-1)을 구비한 지지조절브라켓(B-2)의 나사홈(B-1)에는 나사조절축봉(B-6)이 나사결합 되도록 구비하며, 상기 나사조절축봉(B-6)에는 걸림통공(B-4)을 갖는 고정판(B-5)을 구비한 위치조절용 이동블럭(B-3)을 구비한 장력조절유닛(B)을 구비하고, 상기 조절몸체(370)의 외측에는 상·하측에 상기 위치가변유닛(2)의 제1지지부싱(263)과 제2지지부싱(261)에 체결힌지회전되도록 회전브라켓(379)(379a)을 구비한 제1조절부(350)를 구비한 것과,
상기 제1조절부(350)의 반대 측 상기 지지바(310)(320)의 편측 연결구멍(311a)은 양측에 대칭으로 위·아래 체결구멍(331)을 구비한 “⊂”형태의 조절몸체(330)에 끼워져 체결나사(331)(332)에 의해 축삽고정되어 체결볼트(331a)(332a)로 고정되도록 구비하되 상기 체결나사(332)의 중심에 스프링걸림홈(C-1)을 갖는 걸림블럭(C)을 구비하고, 상기 조절몸체(330)의 외측에는 상·하측에 상기 회전브라켓(334)(334a)을 구비하며, 상기 회전브라켓(334)(334a) 사이에는 나사홈(341a)을 구비한 암받침회전블럭(340)이 끼워져 체결나사(342)에 힌지고정되도록 구비하고, 상기 암받침회전블럭(340)의 외측에는 상·하측에 중심이 통공되고 베어링삽입홈(340b)을 갖는 돌출블럭(340a)을 구비하며, 상기 베어링삽입홈(340b)에는 베어링(345)(345a)이 끼워지도록 구비하되, 그 상면에는 보호캡(346)과 그 하면에는 베어링(345a) 이탈방지용 씨링(347)을 구비하고, 상기 보호캡(346)의 중심에는 하부 베어링(345a) 중심으로 축삽되는 상기 암받침수단(4)의 회전축봉(401)이 끼워져 상기 베어링(345)의 위치까지 인입되어 고정나사(349)에 의해 고정되도록 구비한 제2조절부(380)를 구비한 것과,
상기 제1조절부(350)의 고정판(B-5)에 구비된 걸림통공(B-4)과 제2조절부(380)를 갖는 고정판(B-5)의 걸림블럭(C)에 구비된 스프링걸림홈(C-1)에는 탄성스프링(S)이 걸림 고정되어 사용자에 맞게 위치이동에 따른 부하가 최소화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암받침수단(4)은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같이 “∪”형태의 암받침브라켓(400)을 구비하고,
상기 암받침브라켓(400)의 상면 중심부에는 하나 이상의 통공형태의 걸림홈(413)을 구비하되, 그 편측에는 돌출되게 지지판(410)을 구비하며,
상기 지지판(410)의 상측 일측에는 음각삽입턱(412)을 구비한 통공(411)을 구비하고,
상기 통공(411)의 저부에는 고정나사(403)에 의해 상기 음각삽입턱(412)에 끼워져 나사 체결되는 회전축봉(401)을 구비하되, 그 상측에는 나사결합홈(402)을 구비하며,
상기 암받침브라켓(400)의 상면 걸림홈(413)에는 탈부착형태로 구성할 수 있는 하부걸림턱(425a)을 구비한 굴곡브라켓(420)을 구비하며,
상기 굴곡브라켓(420)의 상면에는 쿠션패트(425)가 고정지지 되고, 상기 굴곡브라켓(420)의 양측 외면 편측에는 걸림돌기(425)를 구비하되, 그 반대측 타측에는 암이탈방진밴드(5)의 간격을 조으거나 풀수 있도록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와이어조임구(430)가 고정설치되고,
상기 와이어조임구(430)의 반대측 타측에는 측면으로 돌출된 형태의 걸림공(442)을 구비하되, 그 하측으로 밀림방지홈(441)을 구비한 탈부착걸림밴드(440)를 구비하며,
상기 와이어 조임구(430)와 탈부착걸림밴드(440) 사이에는 조절와이어(W)가 서로연결되어 고정되도록 와이어안내부(455)를 갖는 암이탈방지밴드(450)를 구비됨이 바람직하고,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설치수단(1)은 병원 침대(C)의 링겔소켓(D)에 축삽되는 삽입핀(151)을 구비하고,
상기 삽입핀(151)의 상측에는 나사산(151a)을 구비하며,
상기 나사산(151a)의 상측에는 중심에 나사홈(152b)을 갖는 돌출핀(152a)을 구비한 지지블럭(152)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블럭(152)의 돌출핀(152a)의 외면에는 중공형태의 수직관(153)을 구비하되, 그 상측에는 마감캡(154)에 삽설고정지지되며,
상기 수직관(153)의 외면에는 상부측 경사각으로 이루어진 경사관(155)을 구비하되, 그 외측에는 통공(156b)을 갖는 고정블럭(156)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블럭(156)의 상측에는 걸림턱(156a)을 구비하되, 그 걸림턱(156a)과 맞대응되어 걸림고정되는 수직형태의 고정축봉(157)을 구비하며,
상기 고정축봉(157)은 상기 고정블럭(156)의 저면 체결나사(158)가 통공(156b)을 통해 나사 결합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쿠션패트(425)에는 팔꿈치에 가해지는 통증이나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저면에 밸크로테잎(461)이 구비되고, 그 상측 중심에 음각형성된 쿠션제 형태의 팔꿈치보호패드(46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고,
도 15 내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바(310)에는 검사, 치료 및 수술시 간호사 또는 의사가 소형 검사도구를 올려놓고 항시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형 탈부착형 거취프레임(501)을 구비하고,
상기 거취프레임(501)의 양측에는 걸림턱(502a)(503a)을 구비한 걸림프레임(502)(503)을 구비하며,
상기 걸림프레임(502)(503)은 편측이 조절레버(504)에 의해 좌·우간격이 이격 및 축소되도록 구비하고,
상기 걸림프레임(503)의 외측에는 힌지회전축봉(505)을 구비하며,
상기 힌지회전축봉(505)에 축삽되어 힌지회전되도록 체결되는 수평유지프레임(510)을 구비하고,
상기 수평유지프레임(510)의 상측에는 구획부로 이루어진 도구거취대(520)를 구비하며,
상기 수평유지프레임(510)의 하측에는 자중에 의해 항시 아래 측으로 기울어지도록 무게추(530)를 갖는 도구거취유닛(500)을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도구거취대(520)에는 검사, 치료 및 수술을 위한 소형도구를 올려놓은 후 죽지 부위 활동중에 흔들림에 의한 이탈을 방지하도록 자석 또는 실리콘재질의 패드면을 선택적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고,
도 20 내지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암받침수단(4)은 “∪”형태의 암받침브라켓(400-1)을 구비하고,
상기 암받침브라켓(400-1)의 상면 중심부에는 하나 이상의 통공형태의 걸림홈(413-1)을 구비하되, 그 편측에는 돌출되게 지지판(410-1)을 구비하며,
상기 지지판(410-1)의 상측 일측에는 음각삽입턱(412-1)을 구비한 통공(411-1)을 구비하고,
상기 통공(411-1)의 저부에는 고정나사(403-1)에 의해 상기 음각삽입턱(412-1)에 끼워져 나사 체결되는 회전축봉(401-1)을 구비하되, 그 상측에는 나사결합홈(402-1)을 구비하며,
상기 암받침브라켓(400-1)의 상면 걸림홈(413-1)에는 탈부착형태로 구성할 수 있는 하부걸림턱(425a-1)을 구비한 쿠션패트(425-1)가 고정지지 되고, 상기 쿠션패트(425-1)의 양측 외면 편측에는 지지편(430-1)이 박음질되어 고정지지되도록 구비하며, 상기 지지편(430-1)의 상측에는 탈력밴드(455-1)가 하나 이상 구비하되, 그 반대측에는 벨크로탈부착밴드(440-1)을 구비하고,
상기 쿠션패트(425-1)의 상측 중앙에는 팔꿈치보호패드(460-1)를 갖는 밴드식 암받침유닛(45)을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환자치료용 장비 반복사용에 따른 팔·어깨 누적피로와 집중력저하를 개선한 죽지 부위 활동 보조장치는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죽지 부위 활동보조장치(A)는 병원에서 환자를 대상으로 간호사 또는 의사가 검사, 치료 및 수술을 목적으로 사용하는 장비를 이용할 때 집중도와 누적 피로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팔에서부터 어깨에 이르는 죽지 부위를 장시간 활동에도 이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병원내 주변 환경에 맞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죽지 활동 보조장치(A)는 검사, 치료 및 수술장비가 있는 공간 내부에 침대, 책상, 테이블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설치수단(1)을 구비하여 고정지지 되도록 설치한 다음,
상기 설치수단(1)에는 탈부착 형태로 상·하 위치를 조정하여 고정되도록 설치한 다음 좌·우 위치를 임의로 외측으로 확장과 중심으로 축소를 원활히 작동시킬 수 있는 위치가변유닛(2)을 구비하여 작동되도록 하고,
상기 위치가변유닛(2)의 외측 끝단에는 제1조절부(350)과 제2조절부(380)를 구비하여 그사이에 지지바(310)(320)를 구비한 후 그 내부에 탄성스프링(S)의 장력을 이용한 암조절유닛(3)을 구비하여 상·하 이동시 부하를 조절하여 간호사 또는 의사가 쉽고 편한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고, 그 양측에는 제1조절부(350)과 제2조절부(380)에 의해 임의각도로 팔과 어깨를 움직여도 그에 대응하여 자유 회전이 되도록 작동하며,
상기 암조절유닛(3)의 외측 끝단에는 팔을 올려놓은 다음 고정시켜 팔의 임의 진행방향에 따라 대응하면서 위치가변유닛(2)과 암조절유닛(3)의 상호 유기적 작동이 있도록 하는 암받침수단(4)를 구비하여 자유자재로 팔과 어깨에 이르는 죽지 부위를 검사, 치료 및 수술 장비를 잡고 있어도 큰 부하없이 원활히 자유자재로 움직일 수 있도록 작동한다.
도 1 내지 도 3과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수단(1)은 다양하게 고정형클램프(1A)와 침대형클램프(1B)로 사용될 수 있도록하여 상기 위치가변유닛(2)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설치수단(1)의 고정형크램프(1A)는 편측에 “┏”형태의 꺽임브라켓(101)을 구비하되, 그 상측 중심에는 하나 이상의 고정구멍(102)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구멍(102)의 상측에는 체결홈(110)을 구비한 수직축봉(111)이 고정나사(105)에 의해 고정체결되어 견고히 고정되도록 작동하고,
상기 꺽임브라켓(101)의 내측 수직면에는 하나 이상 양측 대칭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위치조절구멍(103)을 구비하여 그 위치조절구멍(103)에 “┗ ”형태의 위치조절턱(150)이 조절나사(151)에 의해 고정지지되도록 구비하여 병원내 작업공간에서 적절한 위치에 임의로 조절하여 세팅할 수 있도록한 다음,
상기 위치조절턱(150)의 수평 중심에는 나사홈(151)을 구비하되, 그 나사홈(151)이 축삽되어 승·하강 위치가 조절되는 조절식누름축봉(161)에 의해 상기 상측에 구비된 누름판(162)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아래측에 조절레버(161)에 의해 고정되도록 작동된다.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수단(1)에 끼워져 고정지지되는 가압몸체(201)를 구비하되, 상기 가압몸체(201)의 내부 중심에는 설치수단(1)과 견고히 고정결합되도록 편측이 수직 길이방향으로 일부 파절되어 일정한 틈(205a)이 형성된 가압고무밴드(205)가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가압몸체(201)의 외면 편측에는 나사홈(201a)에 끼워져 가압형태로 작동되는 가압조절나사(203)를 구비하되, 상기 나사홈(201a)과 가압조절나사(203) 사이에 가압파손방지블럭(202)이 구비되어 상기 가압몸체(201) 내부에 삽설된 상태의 가압고무밴드(205)의 외면을 가압하여 틈(205a) 간격만큼 가압에 의해 고정지지되도록 작동하고,
또 상기 가압고무밴드(205)의 상측에는 마감캡(206)이 끼워져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작동하며,
상기 가압몸체(201)의 외면 타측에는 제1힌지부(210)를 구비하여 상기 제1링크바(221)에 힌지고정되어 수평 제1힌지부(210)를 중심으로 자유회전되도록 작동하고,
상기 제1힌지부(210)에는 위·아래측에 상측지지편(218)과 하측지지편(217)을 구비하되 그 사이에 삽입공간(219)을 형성하여, 상기 제1링크바(221)는 고무부싱(215)이 끼워진 수용블럭(222)이 끼워져 상측에 고정나사(211)와 아래 측 와셔(211a) 및 고정볼트(211b)에 의해 힌지체결되어 힌지회전되도록 고정하고,
상기 상측지지편(218)의 중심은 통공(218a)을 구비하며, 상기 통공(218a)의 상측에는 걸림턱(218b)을 구비하고, 상기 걸림턱(218b)의 상측 내주면에는 마개걸림턱(218c)에 체결보호용 마감뚜껑(212)이 끼워져 고정되도록 구비하며, 상기 하측지지편(217)의 중심에는 육각 형태의 삽입공간(217a)을 구비하여 견고히 힌지체결되도록 하며,
상기 링크바(221)의 외측 타측에는 통공형태의 연결홈(224)을 갖는 지지블럭(223)을 구비한 제2힌지부(220)를 구비하되,
그 제2힌지부(220)에는 상측에 고정볼트(233)와 고정캡(234)이 수용되는 힌지블럭(252)을 일치시켜 상기 지지블럭(223)의 저부 중심으로 지지와셔(231)와 고정나사축봉(232)이 끼워져 상기 고정볼트(233)에 체결되어 힌지 회전되도록 작동하고,
상기 힌지블럭(252)의 외면에는 편측으로 돌출되는 제2링크바(251)를 구비하되, 그 외면 끝단에는 위·아래측으로 수용홈을 갖는 힌지몸체(253)에 제1지지부싱(263)과 제2지지부싱(261)이 끼워진 다음 암조절유닛(3)의 회전브라켓(379)(379a)이 고정나사(264)(262)에 의해 힌지체결이 자유회전되도록 작동하며,
도 6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위치가변유닛(2)의 제1지지부싱(263)과 제2지지부싱(261)의 상·하면에는 제1조절부(350)가 힌지체결되어 정·역회전이 이루어지도록 작동하고,
상기 제1조절부(350)는“⊃”형태의 결속브라켓(372)을 구비한 조절몸체(370)를 구비하되, 상기 조절몸체(370)의 양측에는 대칭으로 위·아래 체결구멍(371)을 구비하여 상기 지지바(310)(320)의 편측에 연결구멍(312a)이 상·하로 삽설시킨 후 체결나사(351)(352)에 의해 축삽시켜 체결볼트(351a)(352a)로 고정되도록 구비하여 위·아래측으로 승·하강 되도록 작동하며,
상기 조절몸체(370)의 중심 내측으로 길이방향으로 중심레일(370a)에는 위, 아래 측에는 나사홈(B-1)을 구비한 지지조절브라켓(B-2)이 고정설치되도록 한다음, 그 나사홈(B-1)에 끼워지는 나사조절축봉(B-6)을 구비하여, 상기 나사조절축봉(B-6)의 정역회전에 따라 이동블럭(B-3)을 갖는 장력조절유닛(B)을 구비하여 승·하강 되도록 작동하고,
상기 이동블럭(B-3)은 그 내측으로 걸림통공(B-4)을 갖는 고정판(B-5)을 형성하여 상기 탄성스프링(S)이 걸림통공(B-4)에 끼워져 위·아래로 이동되면 탄성력의 강도를 조절하여 간호사 또는 의사의 신체조건에 맞게 장력을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작동하며,
상기 조절몸체(370)의 외측에는 상·하측에 상기 위치가변유닛(2)의 제1지지부싱(263)과 제2지지부싱(261)에 체결힌지회전되도록 회전브라켓(379)(379a)에 의해 힌지회전되도록 작동되고,
상기 제1조절부(350)의 내측으로는 양측에 대칭으로 연결구멍(311a)(312a)을 구비한 “∩”형으로 수직지지브라켓(311)(312)을 구비하되, 그 중앙에는 길이방향으로 개방부(315)를 갖도록 상·하 대칭으로 지지바(310)(320)를 설치한 다음,
상기 지지바(310)(320)의 타측 연결구멍(311a)에는 제2조절부(380)에 힌지회전되도록 구비하여 상기 암받침수단(4)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제2조절부(380)은 “⊂”형태의 조절몸체(330)의 내측 양측에 결속브라켓(339)를 구비하되, 그 위·아래측에는 위·아래 체결구멍(331)을 구비하여 상기 지지바(310)(320)의 타측 연결구멍(311a)에 일치시킨 다음 외측으로부터 체결나사(331)(332)에 의해 축삽고정되어 체결볼트(331a)(332a)로 고정되어 상·하 이동되도록 작동되며,
상기 체결나사(332)의 중심에 스프링걸림홈(C-1)을 갖는 걸림블럭(C)을 구비하여 탄성스프링(S)이 걸림고정되도록 하여, 상기 지지바(310)(320) 상·하 이동시 쉽고 간편하게 부하없이 움직일 수 있도록 작동되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절몸체(330)의 외측에는 상·하측에 상기 회전브라켓(334)(334a)을 구비하며, 그 사이에 나사홈(341a)을 구비한 암받침회전블럭(340)이 끼워져 체결나사(342)에 힌지고정되도록 구비하여 상기 암받침수단(4)이 체결되어 자유 수평회전되도록 작동하며,
상기 암받침회전블럭(340)의 외측에는 상·하측에 중심이 통공되고 베어링삽입홈(340b)을 갖는 돌출블럭(340a)을 구비하며, 상기 베어링삽입홈(340b)에는 베어링(345)(345a)이 끼워지도록 구비하되, 그 상면에는 보호캡(346)과 그 하면에는 베어링(345a) 이탈방지용 씨링(347)을 구비하고, 상기 보호캡(346)의 중심에는 하부 베어링(345a) 중심으로 축삽되는 상기 암받침수단(4)의 회전축봉(401)이 끼워져 상기 베어링(345)의 위치까지 인입되어 고정나사(349)에 의해 고정되도록 구비하여 견고하면서도 부하없이 쉽고 자유자재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작동되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조절부(350)의 고정판(B-5)에 구비된 걸림통공(B-4)과 제2조절부(380)를 갖는 고정판(B-5)의 걸림블럭(C)에 구비된 스프링걸림홈(C-1)에는 탄성스프링(S)이 걸림 고정되어 사용자에 맞게 위치이동에 따른 부하가 최소화되도록 작동되며,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받침수단(4)의 조절식 암받침유닛(40)은 “∪”형태의 금속 또는 수지재 형태의 암받침브라켓(400)을 구비하고,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암받침브라켓(400)의 상면 중심부에는 하나 이상의 통공형태의 걸림홈(413)을 구비하되, 그 편측에는 돌출되게 지지판(410)을 구비하여 상기 암조절유닛(3)에 연결되어 힌지 회전되도록 작동하고,
상기 지지판(410)의 상측 일측에는 음각삽입턱(412)을 구비한 통공(411)을 구비하되, 그 통공(411)의 저부에는 고정나사(403)에 의해 상기 음각삽입턱(412)에 끼워져 나사 체결되는 회전축봉(401)을 구비하되, 그 상측에는 나사결합홈(402)을 구비하여 견고하게 고정지지할 수 있도록 작동하며,
상기 암받침브라켓(400)의 상면 걸림홈(413)에는 탈부착형태로 구성할 수 있는 하부걸림턱(425a)을 구비한 굴곡브라켓(420)을 구비하되, 그 상면에는 쿠션패트(425)가 고정지지 되고, 상기 굴곡브라켓(420)의 양측 외면 편측에는 걸림돌기(425)를 구비하되, 그 반대측 타측에는 암이탈방진밴드(5)의 간격을 조으거나 풀수 있도록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와이어조임구(430)가 고정설치되도록 하고,
상기 와이어조임구(430)의 반대측 타측에는 측면으로 돌출된 형태의 걸림공(442)을 구비하되, 그 하측으로 밀림방지홈(441)을 구비한 탈부착걸림밴드(440)를 구비하며,
상기 와이어 조임구(430)와 탈부착걸림밴드(440) 사이에는 조절와이어(W)가 서로연결되어 고정되도록 와이어안내부(455)를 갖는 암이탈방지밴드(450)를 구비하여 다양한 작업자가 사용에 불편함 없이 파지시켜 원활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잡아주도록 작동하고,
또, 도 20 내지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암설치수단(4)의 밴드식 암받침유닛(45)은 “∪”형태의 암받침브라켓(400-1)을 구비하여 견고하게 팔 또는 팔꿈치를 받침을 튼튼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암받침브라켓(400-1)의 상면 중심부에는 하나 이상의 통공형태의 걸림홈(413-1)을 구비하여 상기 하부걸림턱(425a-1)을 구비한 쿠션패트(425-1)가 견고하게 탈부착 형태로 고정지지되도록 하며,
상기 쿠션패트(425-1)의 중앙에는 팔꿈치보호패드(460-1)를 일체로 구비하여 수술도구를 들고 있는 상태에서 팔꿈치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쿠션패트(425-1)의 상측에는 팔이 거취한 상태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쿠션패트(425-1)의 편측에는 박음질되는 지지편(430-1)의 상측으로 일정한 텐션을 유지할 수 있는 탈력밴드(455-1)가 하나 이상 구비하여 팔을 고정되도록 하되, 그 타측에는 벨크로탈부착밴드(440-1)를 구비하여 견고히 고정지지될 수 있도록 작동하며,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설치수단(1)의 하나인 침대형클램프(1B)를 구비하여 병원 병실에 있는 치료, 검사 및 수술을 위해 사용하는 침대에 쉽게 접목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침대(C)의 링겔소켓(D)에 축삽시켜 탈부착 형태로 사용할 수 있는 삽입핀(151)을 구비하되, 그 삽입핀(151)의 상측에는 나사산(151a)을 구비하고,
상기 나사산(151a)의 상측에는 중심에 나사홈(152b)을 갖는 돌출핀(152a)을 구비한 지지블럭(152)을 구비하되, 그 지지블럭(152)의 돌출핀(152a)의 외면에는 중공형태의 수직관(153)을 구비하여 설치하고, 그 상측에는 마감캡(154)에 삽설고정지지시켜 견고하면서도 경량화시켜 이동과 사용이 편리하도록 하며,
상기 수직관(153)의 외면에는 상부측 경사각으로 이루어진 경사관(155)을 구비하여 작업공간의 확보가 용이하도록 하여 환자에게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경사관(155)은 그 각도가 다양하게 변경되어 사용되어도 무방하고,
상기 통공(156b)을 갖는 고정블럭(156)의 상측에는 걸림턱(156a)을 구비하되, 그 걸림턱(156a)과 맞대응되어 걸림고정되는 수직형태의 고정축봉(157)을 구비하며 쉽고 간편하게 경량화시키면서 조립하며,
상기 고정축봉(157)은 상기 고정블럭(156)의 저면 체결나사(158)가 통공(156b)을 통해 나사 결합되도록하여 견고하게 위치가변유닛(2)을 고정설치할 수 있도록 작동되고,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쿠션패트(425)에는 팔꿈치에 가해지는 통증이나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저면에 밸크로테잎(461)이 구비되고, 그 상측 중심에 음각형성된 쿠션제 형태의 팔꿈치보호패드(460)를 작업중에 선택적으로 구비하여 팔꿈치에 가해지는 통증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하며,
도 15 내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바(310)에는 검사, 치료 및 수술시 간호사 또는 의사가 소형 검사도구를 올려놓고 항시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형 탈부착형 거취프레임(501)을 구비하되, 그 양측에는 걸림턱(502a)(503a)을 구비한 걸림프레임(502)(503)을 구비하여 그 편측이 조절레버(504)에 의해 좌·우간격이 이격 및 축소되어 걸림고정되도록 설치할 수 있도록 작동하고,
상기 걸림프레임(503)의 외측에는 힌지회전축봉(505)에 설치되는 힌지회전되는 수평유지프레임(510)을 구비한 후 그 상측으로 도구거취대(520)에 의해 소형 의료도구들을 올려 놓을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수평유지프레임(510)의 하측에는 무게추(530)를 구비하여 상기 지지바(310)의 위치 변경에도 항시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도구거취대(520)의 상면은 선택적으로 실리콘 또는 자석재질로 구비되어 도구들이 흔들림에 의한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A: 죽지 부위 활동 보조장치 B: 장력조절유닛
B-1: 나사홈 B-2: 지지조절브라켓
B-3: 이동블럭 B-4: 걸림통공
B-5: 고정판 B-6: 나사조절축봉
C: 걸림블럭 C-1: 걸림홈
S: 탄성스프링 W: 조절와이어
1: 설치수단 1A: 고정형클램프
2: 위치가변유닛 3: 암조절유닛
4: 암받침수단 101: 꺽임브라켓
102: 고정구멍 103: 위치조절구멍
105: 고정나사 110: 체결홈
111: 수직축봉 150: 위치조절턱
151: 조절나사 161: 조절식누름축봉
162: 누름판 201: 가압몸체
201a: 나사홈 201b: 음각턱
202a: 양각걸림턱 202: 가압파손방지블럭
203: 가압조절나사 205: 가압고무밴드
205a: 틈 206: 마감캡
210: 제1힌지부 211: 고정나사
211a: 와셔 211b: 고절볼트
212: 마감뚜껑 215: 고무부싱
217: 하측지지편 217a: 삽입공간
218: 상측지지편 218a: 통공
218b: 걸림턱 218c: 마개걸림턱
219: 삽입공간 220: 제2힌지부
221: 제1링크바 222: 수용블럭
223: 지지블럭 224: 연결홈
231: 지지와셔 232: 고정나사축봉
233: 고정볼트 234: 고정캡
251: 제2링크바 252: 힌지블럭
253: 힌지몸체 263: 제1지지부싱
261: 제2지지부싱 264,262: 고정나사
315: 개방부 310,320: 지지바
311a: 연결구멍 311a,312a: 연결구멍
311,312: 수직지지브라켓 312a: 연결구멍
340: 암받침회전블럭 340a: 돌출블럭
340b: 베어링삽입홈 342: 체결나사
345,345a: 베어링 346: 보호캡
347: 씨링 349: 고정나사
350: 제1조절부 351,352: 체결나사
351a,352a: 체결볼트 370: 조절몸체
370a: 중심레일 371: 체결구멍
372: 결속브라켓 379,379a: 회전브라켓
380: 제2조절부 400,400-1: 암받침브라켓
401,401-1: 회전축봉 402,402-1: 나사결합홈
403,403-1: 고정나사 410,410-1: 지지판
411,411-1: 통공 412,412-1: 음각삽입턱
413,413-1: 걸림홈 425a,425-1: 하부걸림턱
420: 굴곡브라켓 425,425-1: 쿠션패트
430: 와이어조임구 433-1: 지지편
440: 탈부착걸림밴드 440-1: 벨크로탈부착밴드
441: 밀림방지홈 442: 걸림공
450: 암이탈방지밴드 455: 와이어안내부
455-1: 탈력밴드

Claims (11)

  1. 병원 환자를 대상으로 한 검사, 치료 및 수술장비 보조장치에 있어서,
    간호사 또는 의사가 편측 또는 양측으로 팔과 어깨를 이용한 죽지 부위를 이용하여 검사, 치료 및 수술행위를 할 때 죽지 부위의 활동을 보조하면서 누적 피로 감소와 집중도를 높일 수 있도록 죽지 부위 활동 보조장치(A)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환자치료용 장비 반복사용에 따른 팔·어깨 누적 피로와 집중력저하를 개선한 죽지 부위 활동 보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죽지 부위 활동 보조장치(A)는,
    검사, 치료 및 수술장비가 있는 공간 내부에 침대, 책상, 테이블에 설치할 수 있는 설치수단(1)을 구비한 것과,
    상기 설치수단(1)에 의해 상·하 위치를 조절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구비하고, 좌·우로 위치를 변경하면서 외측으로 확장 또는 중심으로 축소시킬 수 있는 위치가변유닛(2)을 구비한 것과,
    상기 위치가변유닛(2)의 외면 끝단에는 상·하 위치 이동시 탄성스프링(S)의 장력에 의해 팔과 어깨의 죽지 부위 근육과 관절의 부담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보조하는 암조절유닛(3)을 구비한 것과,
    상기 암조절유닛(3)의 외면 끝단에는 팔을 올려놓은 다음 고정시켜 팔의 활동에 따라 위치가변유닛(2)과 암조절유닛(3)의 상호 유기적 작동이 조절될 수 있도록하여 보조하는 암받침수단(4)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환자치료용 장비 반복사용에 따른 팔·어깨 누적피로와 집중력저하를 개선한 죽지 부위 활동 보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수단(1)은,
    “┏”형태의 꺽임브라켓(101)을 구비하고,
    상기 꺽임브라켓(101)의 상측 중심에는 고정구멍(102)을 구비하며,
    상기 고정구멍(102)의 상측에는 체결홈(110)을 구비한 수직축봉(111)이 고정나사(105)에 의해 고정체결되도록 구비하고,
    상기 꺽임브라켓(101)의 편측 수직면에는 하나 이상 양측 대칭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위치조절구멍(103)을 구비하며,
    상기 위치조절구멍(103)의 내측에는 “┗ ”형태의 위치조절턱(150)이 조절나사(151)에 의해 고정지지되도록 구비하고,
    상기 위치조절턱(150)의 수평 중심에는 나사홈(151)을 구비하되, 그 나사홈(151)이 축삽되어 승·하강 위치가 조절되는 조절식누름축봉(161)을 구비하며,
    상기 조절식누름축봉(161)의 상측에는 누름판(162)을 구비하되, 그 반대 측 타측 끝단에는 조절레버(161)를 갖는 고정형클램프(1A)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환자치료용 장비 반복사용에 따른 팔·어깨 누적피로와 집중력저하를 개선한 죽지 부위 활동 보조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가변유닛(2)은,
    설치수단(1)에 끼워져 고정지지되는 가압몸체(201)를 구비하고,
    상기 가압몸체(201)의 중심 내부에는 편측이 수직 길이방향으로 파절되어 일정한 틈(205a)이 형성된 가압고무밴드(205)를 구비하고, 상기 가압고무밴드(205)의 상측에는 마감캡(206)이 끼워져 체결되도록 구비한 것과,
    상기 가압몸체(201)의 외면 편측에는 나사홈(201a)을 구비하되 그 외면에 음각턱(201b)을 구비하고, 상기 음각턱(201b)에 끼워지는 양각걸림턱(202a)을 갖는 가압파손방지블럭(202)을 구비하며, 상기 가압파손방지블럭(202)의 중심은 통공되어 상기 나사홈(201a)이 나사결합되어 상기 가압고무밴드(205)의 외면을 가압하는 가압조절나사(203)를 구비한 것과,
    상기 가압몸체(201)의 외면 타측에는 삽입공간(219)을 형성하되, 위·아래측에 상측지지편(218)과 하측지지편(217)을 구비하고, 상기 상측지지편(218)의 중심은 통공(218a)을 구비하며, 상기 통공(218a)의 상측에는 걸림턱(218b)을 구비하고, 상기 걸림턱(218b)의 상측 내주면에는 마개걸림턱(218c)을 구비하며, 상기 하측지지편(217)의 중심에는 육각 형태의 삽입공간(217a)을 구비한 제1힌지부(210)를 구비한 것과,
    상기 제1힌지부(210)의 삽입공간(219)에는 고무부싱(215)이 끼워진 수용블럭(222)이 끼워져 상측 고정나사(211)와 아래 측 와셔(211a) 및 고정볼트(211b)에 의해 체결되어 고정되도록 구비하고, 상기 고정나사(211)가 체결된 그 상측에는 체결보호용 마감뚜껑(212)을 구비하며, 상기 수용블럭(222)의 편측 외면으로 돌출되는 제1링크바(221)를 구비하되, 그 반대측 타측에는 통공형태의 연결홈(224)을 갖는 지지블럭(223)을 구비한 제2힌지부(220)를 구비한 것과,
    상기 제2힌지부(220)의 지지블럭(223)의 상측에는 고정볼트(233)와 고정캡(234)이 수용되는 힌지블럭(252)을 동일수직선상에 일치시킨 다음, 상기 지지블럭(223)의 저부 중심으로 지지와셔(231)와 고정나사축봉(232)이 끼워져 상기 고정볼트(233)에 체결되어 힌지 회전되도록 구비하고, 상기 힌지블럭(252)의 외면에는 편측으로 돌출되는 제2링크바(251)를 구비하며, 상기 제2링크바(251)의 외면 끝단에는 위·아래측으로 수용홈을 갖는 힌지몸체(253)에 제1지지부싱(263)과 제2지지부싱(261)이 끼워진 다음 그 외면에 암조절유닛(3)의 회전브라켓(379)(379a)이 고정나사(264)(262)에 의해 체결되도록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환자치료용 장비 반복사용에 따른 팔·어깨 누적피로와 집중력저하를 개선한 죽지 부위 활동 보조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암조절유닛(3)은,
    양측에 대칭으로 연결구멍(311a)(312a)을 구비한 “∩”형으로 수직지지브라켓(311)(312)을 구비하되, 그 중앙에는 길이방향으로 개방부(315)를 갖도록 상·하 대칭으로 구비한 지지바(310)(320)를 구비한 것과,
    상기 지지바(310)(320)의 편측 연결구멍(312a)은 양측에 대칭으로 위·아래 체결구멍(371)을 구비한 “⊃”형태의 결속브라켓(372)을 구비한 조절몸체(370)에 끼워져 체결나사(351)(352)에 의해 축삽고정되어 체결볼트(351a)(352a)로 고정되도록 구비하고, 상기 조절몸체(370)의 내측 중심레일(370a)의 위, 아래 측에는 나사홈(B-1)을 구비한 지지조절브라켓(B-2)의 나사홈(B-1)에는 나사조절축봉(B-6)이 나사결합되도록 구비하며, 상기 나사조절축봉(B-6)에는 걸림통공(B-4)을 갖는 고정판(B-5)을 구비한 위치조절용 이동블럭(B-3)을 구비한 장력조절유닛(B)을 구비하고, 상기 조절몸체(370)의 외측에는 상·하측에 상기 위치가변유닛(2)의 제1지지부싱(263)과 제2지지부싱(261)에 체결힌지회전되도록 회전브라켓(379)(379a)을 구비한 제1조절부(350)를 구비한 것과,
    상기 제1조절부(350)의 반대 측 상기 지지바(310)(320)의 편측 연결구멍(311a)은 양측에 대칭으로 위·아래 체결구멍(331)을 구비한 “⊂”형태의 조절몸체(330)에 끼워져 체결나사(331)(332)에 의해 축삽고정되어 체결볼트(331a)(332a)로 고정되도록 구비하되 상기 체결나사(332)의 중심에 스프링걸림홈(C-1)을 갖는 걸림블럭(C)을 구비하고, 상기 조절몸체(330)의 외측에는 상·하측에 상기 회전브라켓(334)(334a)을 구비하며, 상기 회전브라켓(334)(334a) 사이에는 나사홈(341a)을 구비한 암받침회전블럭(340)이 끼워져 체결나사(342)에 힌지고정되도록 구비하고, 상기 암받침회전블럭(340)의 외측에는 상·하측에 중심이 통공되고 베어링삽입홈(340b)을 갖는 돌출블럭(340a)을 구비하며, 상기 베어링삽입홈(340b)에는 베어링(345)(345a)이 끼워지도록 구비하되, 그 상면에는 보호캡(346)과 그 하면에는 베어링(345a) 이탈방지용 씨링(347)을 구비하고, 상기 보호캡(346)의 중심에는 하부 베어링(345a) 중심으로 축삽되는 상기 암받침수단(4)의 회전축봉(401)이 끼워져 상기 베어링(345)의 위치까지 인입되어 고정나사(349)에 의해 고정되도록 구비한 제2조절부(380)를 구비한 것과,
    상기 제1조절부(350)의 고정판(B-5)에 구비된 걸림통공(B-4)과 제2조절부(380)를 갖는 고정판(B-5)의 걸림블럭(C)에 구비된 스프링걸림홈(C-1)에는 탄성스프링(S)이 걸림 고정되어 사용자에 맞게 위치이동에 따른 부하가 최소화되도록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환자치료용 장비 반복사용에 따른 팔·어깨 누적피로와 집중력저하를 개선한 죽지 부위 활동 보조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암받침수단(4)은,
    “∪”형태의 암받침브라켓(400)을 구비하고,
    상기 암받침브라켓(400)의 상면 중심부에는 하나 이상의 통공형태의 걸림홈(413)을 구비하되, 그 편측에는 돌출되게 지지판(410)을 구비하며,
    상기 지지판(410)의 상측 일측에는 음각삽입턱(412)을 구비한 통공(411)을 구비하고,
    상기 통공(411)의 저부에는 고정나사(403)에 의해 상기 음각삽입턱(412)에 끼워져 나사 체결되는 회전축봉(401)을 구비하되, 그 상측에는 나사결합홈(402)을 구비하며,
    상기 암받침브라켓(400)의 상면 걸림홈(413)에는 탈부착형태로 구성할 수 있는 하부걸림턱(425a)을 구비한 굴곡브라켓(420)을 구비하며,
    상기 굴곡브라켓(420)의 상면에는 쿠션패트(425)가 고정지지 되고, 상기 굴곡브라켓(420)의 양측 외면 편측에는 걸림돌기(425)를 구비하되, 그 반대측 타측에는 암이탈방진밴드(5)의 간격을 조으거나 풀수 있도록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와이어조임구(430)가 고정설치되고,
    상기 와이어조임구(430)의 반대측 타측에는 측면으로 돌출된 형태의 걸림공(442)을 구비하되, 그 하측으로 밀림방지홈(441)을 구비한 탈부착걸림밴드(440)를 구비하며,
    상기 와이어 조임구(430)와 탈부착걸림밴드(440) 사이에는 조절와이어(W)가 서로연결되어 고정되도록 와이어안내부(455)를 갖는 암이탈방지밴드(450)를 갖는 조절식 암받침유닛(40)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환자치료용 장비 반복사용에 따른 팔·어깨 누적피로와 집중력저하를 개선한 죽지 부위 활동 보조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수단(1)은,
    병원 침대(C)의 링겔소켓(D)에 축삽되는 삽입핀(151)을 구비하고,
    상기 삽입핀(151)의 상측에는 나사산(151a)을 구비하며,
    상기 나사산(151a)의 상측에는 중심에 나사홈(152b)을 갖는 돌출핀(152a)을 구비한 지지블럭(152)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블럭(152)의 돌출핀(152a)의 외면에는 중공형태의 수직관(153)을 구비하되, 그 상측에는 마감캡(154)에 삽설고정지지되며,
    상기 수직관(153)의 외면에는 상부측 경사각으로 이루어진 경사관(155)을 구비하되, 그 외측에는 통공(156b)을 갖는 고정블럭(156)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블럭(156)의 상측에는 걸림턱(156a)을 구비하되, 그 걸림턱(156a)과 맞대응되어 걸림고정되는 수직형태의 고정축봉(157)을 구비하며,
    상기 고정축봉(157)은 상기 고정블럭(156)의 저면 체결나사(158)가 통공(156b)을 통해 나사 결합되도록한 침대형클램프(1B)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환자치료용 장비 반복사용에 따른 팔·어깨 누적피로와 집중력저하를 개선한 죽지 부위 활동 보조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패트(425)에는,
    팔꿈치에 가해지는 통증이나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저면에 밸크로테잎(461)이 구비되고, 그 상측 중심에 음각형성된 쿠션제 형태의 팔꿈치보호패드(46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환자치료용 장비 반복사용에 따른 팔·어깨 누적피로와 집중력저하를 개선한 죽지 부위 활동 보조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310)에는,
    검사, 치료 및 수술시 간호사 또는 의사가 소형 검사도구를 올려놓고 항시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형 탈부착형 거취프레임(501)을 구비하고,
    상기 거취프레임(501)의 양측에는 걸림턱(502a)(503a)을 구비한 걸림프레임(502)(503)을 구비하며,
    상기 걸림프레임(502)(503)은 편측이 조절레버(504)에 의해 좌·우간격이 이격 및 축소되도록 구비하고,
    상기 걸림프레임(503)의 외측에는 힌지회전축봉(505)을 구비하며,
    상기 힌지회전축봉(505)에 축삽되어 힌지회전되도록 체결되는 수평유지프레임(510)을 구비하고,
    상기 수평유지프레임(510)의 상측에는 구획부로 이루어진 도구거취대(520)를 구비하며,
    상기 수평유지프레임(510)의 하측에는 자중에 의해 항시 아래 측으로 기울어지도록 무게추(530)를 갖는 도구거취유닛(500)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환자치료용 장비 반복사용에 따른 팔·어깨 누적피로와 집중력저하를 개선한 죽지 부위 활동 보조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도구거취대(520)에는,
    검사, 치료 및 수술을 위한 소형도구를 올려놓은 후 죽지 부위 활동중에 흔들림에 의한 이탈을 방지하도록 자석 또는 실리콘재질의 패드면을 선택적으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환자치료용 장비 반복사용에 따른 팔·어깨 누적피로와 집중력저하를 개선한 죽지 부위 활동 보조장치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암받침수단(4)은,
    “∪”형태의 암받침브라켓(400-1)을 구비하고,
    상기 암받침브라켓(400-1)의 상면 중심부에는 하나 이상의 통공형태의 걸림홈(413-1)을 구비하되, 그 편측에는 돌출되게 지지판(410-1)을 구비하며,
    상기 지지판(410-1)의 상측 일측에는 음각삽입턱(412-1)을 구비한 통공(411-1)을 구비하고,
    상기 통공(411-1)의 저부에는 고정나사(403-1)에 의해 상기 음각삽입턱(412-1)에 끼워져 나사 체결되는 회전축봉(401-1)을 구비하되, 그 상측에는 나사결합홈(402-1)을 구비하며,
    상기 암받침브라켓(400-1)의 상면 걸림홈(413-1)에는 탈부착형태로 구성할 수 있는 하부걸림턱(425a-1)을 구비한 쿠션패트(425-1)가 고정지지 되고, 상기 쿠션패트(425-1)의 양측 외면 편측에는 지지편(430-1)이 박음질되어 고정지지되도록 구비하며, 상기 지지편(430-1)의 상측에는 탈력밴드(455-1)가 하나 이상 구비하되, 그 반대측에는 벨크로탈부착밴드(440-1)을 구비하고,
    상기 쿠션패트(425-1)의 상측 중앙에는 팔꿈치보호패드(460-1)를 갖는 밴드식 암받침유닛(45)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환자치료용 장비 반복사용에 따른 팔·어깨 누적피로와 집중력저하를 개선한 죽지 부위 활동 보조장치
KR1020190083770A 2019-07-11 2019-07-11 환자치료용 장비 반복사용에 따른 팔·어깨 누적피로와 집중력저하를 개선한 죽지 부위 활동 보조장치 KR1022247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3770A KR102224793B1 (ko) 2019-07-11 2019-07-11 환자치료용 장비 반복사용에 따른 팔·어깨 누적피로와 집중력저하를 개선한 죽지 부위 활동 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3770A KR102224793B1 (ko) 2019-07-11 2019-07-11 환자치료용 장비 반복사용에 따른 팔·어깨 누적피로와 집중력저하를 개선한 죽지 부위 활동 보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7389A true KR20210007389A (ko) 2021-01-20
KR102224793B1 KR102224793B1 (ko) 2021-03-09

Family

ID=74304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3770A KR102224793B1 (ko) 2019-07-11 2019-07-11 환자치료용 장비 반복사용에 따른 팔·어깨 누적피로와 집중력저하를 개선한 죽지 부위 활동 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4793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63831A (zh) * 2019-04-11 2019-07-30 宁波大学 一种垂吊式稳手机器人
CN113975044A (zh) * 2021-12-10 2022-01-28 红雨生物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防应激反应的伤口清洗用辅助夹具
CN114288038A (zh) * 2021-12-28 2022-04-08 王燕岭 一种神经外科手术支撑架
CN114469476A (zh) * 2022-02-11 2022-05-13 重庆市江北区中医院 一种妇产科用内脏承托加压防垂装置
KR20230065513A (ko) * 2021-11-05 2023-05-12 한국전력공사 간접 활선작업용 보조암
KR20230092210A (ko) * 2021-12-17 2023-06-26 김낭래 치료기용 다관절 거치대
CN117224352A (zh) * 2023-11-15 2023-12-15 北京唯迈医疗设备有限公司 一种通用性手动自适应导管床连接底座
KR20240059172A (ko) 2022-10-27 2024-05-07 한국전기연구원 모듈형 멀티레벨 컨버터 기반 ac 전력계통, dc 전력계통 및 수소 에너지 저장시스템의 삼원연결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40122673A1 (en) * 2022-09-20 2024-04-18 Chase H. Lano Surgeon support system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6807Y1 (ko) 2001-06-04 2001-10-29 신경순 컴퓨터 키보드와 마우스용 팔 받침대
KR200298191Y1 (ko) 2002-09-05 2002-12-16 신경순 의자에 부착된 마우스 팔걸이 보조책상
KR100605750B1 (ko) 2004-10-15 2006-08-01 한국과학기술원 압력센서 부착 매트리스와 지지형 로봇팔이 장착된 침대형지능 로봇
KR20120001034U (ko) 2010-08-04 2012-02-14 차철환 보호자용 침대에 부착된 팔받침대
JP2013106857A (ja) * 2011-11-22 2013-06-06 Takano Co Ltd 立位体位保持器具
WO2014093408A2 (en) * 2012-12-11 2014-06-19 Levitate Technologies, Inc. Adaptive arm support systems and methods for use
KR20180040602A (ko) 2015-08-12 2018-04-20 메디니어링 게엠베하 환형 led 디스플레이 수단을 갖는 의료용 유지 아암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6807Y1 (ko) 2001-06-04 2001-10-29 신경순 컴퓨터 키보드와 마우스용 팔 받침대
KR200298191Y1 (ko) 2002-09-05 2002-12-16 신경순 의자에 부착된 마우스 팔걸이 보조책상
KR100605750B1 (ko) 2004-10-15 2006-08-01 한국과학기술원 압력센서 부착 매트리스와 지지형 로봇팔이 장착된 침대형지능 로봇
KR20120001034U (ko) 2010-08-04 2012-02-14 차철환 보호자용 침대에 부착된 팔받침대
JP2013106857A (ja) * 2011-11-22 2013-06-06 Takano Co Ltd 立位体位保持器具
WO2014093408A2 (en) * 2012-12-11 2014-06-19 Levitate Technologies, Inc. Adaptive arm support systems and methods for use
KR20180040602A (ko) 2015-08-12 2018-04-20 메디니어링 게엠베하 환형 led 디스플레이 수단을 갖는 의료용 유지 아암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없음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63831B (zh) * 2019-04-11 2024-03-22 宁波大学 一种垂吊式稳手机器人
CN110063831A (zh) * 2019-04-11 2019-07-30 宁波大学 一种垂吊式稳手机器人
KR20230065513A (ko) * 2021-11-05 2023-05-12 한국전력공사 간접 활선작업용 보조암
CN113975044B (zh) * 2021-12-10 2023-08-29 红雨生物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防应激反应的伤口清洗用辅助夹具
CN113975044A (zh) * 2021-12-10 2022-01-28 红雨生物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防应激反应的伤口清洗用辅助夹具
KR20230092210A (ko) * 2021-12-17 2023-06-26 김낭래 치료기용 다관절 거치대
CN114288038B (zh) * 2021-12-28 2023-12-29 青岛市胶州中心医院 一种神经外科手术支撑架
CN114288038A (zh) * 2021-12-28 2022-04-08 王燕岭 一种神经外科手术支撑架
CN114469476B (zh) * 2022-02-11 2023-09-08 重庆市江北区中医院 一种妇产科用内脏承托加压防垂装置
CN114469476A (zh) * 2022-02-11 2022-05-13 重庆市江北区中医院 一种妇产科用内脏承托加压防垂装置
KR20240059172A (ko) 2022-10-27 2024-05-07 한국전기연구원 모듈형 멀티레벨 컨버터 기반 ac 전력계통, dc 전력계통 및 수소 에너지 저장시스템의 삼원연결 시스템
CN117224352A (zh) * 2023-11-15 2023-12-15 北京唯迈医疗设备有限公司 一种通用性手动自适应导管床连接底座
CN117224352B (zh) * 2023-11-15 2024-02-02 北京唯迈医疗设备有限公司 一种通用性手动自适应导管床连接底座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4793B1 (ko) 2021-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4793B1 (ko) 환자치료용 장비 반복사용에 따른 팔·어깨 누적피로와 집중력저하를 개선한 죽지 부위 활동 보조장치
WO2017183632A1 (ja) 医療装置
US20100295357A1 (en) Chest support
CA2775072C (en) Table engageable support for head cushion supporting anesthetized patient
KR101030336B1 (ko) 경추교정기
CN109009843A (zh) 一种多形态手术床
US11311764B2 (en) Sacroiliac joint exercise assistance device in lateral decubitus position
US20070007400A1 (en) Upper-body support device and method
US9027710B2 (en) Surgeon lift system
CN2084368U (zh) 肢体支撑器
CN113081628A (zh) 肩关节手术专用沙滩椅位手术床
WO2013181277A1 (en) Wound care apparatus and methods for using the same
US20220233383A1 (en) Medical procedure facilitation system
WO2005023072A1 (en) Upper-body support device and method
WO2020139115A1 (ru) Способ поддержания позы человека и системы для осуществления способа
JP5912449B2 (ja) 立位体位保持器具
JP2000139977A (ja) 腰痛治療椅子
CN112245036A (zh) 一种电控可变阻尼肘托
CN215020953U (zh) 一种重症医学科护理用辅助托架
CN213311135U (zh) 可调式下肢抬高支架
CN217885983U (zh) 胸腔镜支撑装置
CN216798151U (zh) 一种骨科护理支架
CN216090447U (zh) 镇静下眼科检查椅
CN212369213U (zh) 一种普外科手术悬挂架
CN215960910U (zh) 一种手术室俯卧折刀位护理的腿托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