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6861A - 가림막 - Google Patents

가림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6861A
KR20210006861A KR1020200083470A KR20200083470A KR20210006861A KR 20210006861 A KR20210006861 A KR 20210006861A KR 1020200083470 A KR1020200083470 A KR 1020200083470A KR 20200083470 A KR20200083470 A KR 20200083470A KR 20210006861 A KR20210006861 A KR 202100068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support rod
body portion
horizontal support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3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0467B1 (ko
Inventor
여상호
Original Assignee
여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여상호 filed Critical 여상호
Publication of KR202100068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68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04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04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58Closures; Awnings; Sunshad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4Supporting means, e.g. fram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54Covers of tents or canopi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64Tent or canopy cover fasten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림막은 수직 지지봉 및 수평 지지봉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결합되는 가림막에 있어서,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의 장변, 상기 한 쌍의 장변 각각을 연결하는 한 쌍의 단변을 포함하는 판상의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한 쌍의 장변 중 적어도 하나의 장변 및 한 쌍의 단변 중 적어도 하나의 단변 각각에 배치되며, 일단이 외측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상기 복수의 고정부와 이웃하게 배치된 복수의 삽입홀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림막{SCREEN}
본 발명은 가림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몽골텐트(일반 '몽골천막, 천막텐트'라 한다)는 야외에 설치하여 햇빛이나 비를 막아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다수의 지주를 설치하고 그 지주의 단부에 가림막을 고정함으로써 간단히 설치할 수 있고, 해체 역시 간단하다.
이와 같은 몽골텐트는, 간단한 구성에 의해 손쉽게 조립되어 행사장, 여행지 등에서 판매 또는 취침을 하거나 또는 쉴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기 위한 수단으로 자주 이용되고 있다.
한편, 종래 몽골텐트는 주로 야외행사에 사용되는 차양막의 대용으로도 사용되는데 야외용 몽골텐트가 사용될 때 기상변화 예컨대 강풍, 비바람, 미세먼지를 동반하는 강풍 등에 취약한 구조로 형성되는 실정이다.
이는 텐트의 골조를 형성하는 프레임과 프레임에 감싸지는 천막으로 구성되는 일반적인 텐트의 구조에 의한 것이며, 이는 기상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없다.
또한, 기상변화를 극복하고자 최근의 몽골텐트는 조립식 패널을 이용한 가건물 형태의 몽골텐트가 이용되고 있으나 이는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지 않을 뿐더러 일반 사용자들이 몽골텐트를 설치 및 해제하기가 불가능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또한, 프레임과 천막을 고정시키는 종래 방법은 타이밴드를 사용하여 결속하게 되면서 조립 및 해체 시 많은 시간과 인력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복수로 몽골텐트를 설치시에는 물받이를 설치하게 되며, 물받이는 타이밴드를 사용하여 기둥에 고정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으로 물받이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매번 설치 및 분리 작업에 한계가 있어 그 수명이 짧아지게 되면서 경제적으로 많은 손해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고 일회용 부품사용으로 쓰레기를 유발시키는 친환경적이지 못한 문제가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방법으로 천막을 기둥과 프레임에 조립하는 경우 별도의 보강이 되지 않은 물받이가 찢어지면서 재사용이 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보강 부재들은 바람이 강하게 불게 되면 금속링 부분에서 파손이 발생하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파손된 부분을 철거하고 새로운 부재를 대체하는 악순환을 되풀이하고 있어 예산을 낭비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한편, 종래 몽골텐트는 내부가 천장 가림막이 없기 때문에 태양열로 인해 텐트 실내가 덥고 겨울에는 냉기가 강해 천막 실내는 춥게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측면 가림막도 기존에는 비닐재질로 많이 사용하여 여름에는 덥고 겨울에는 추운 문제가 있다.
등록특허 10-1101348 (2011.12.26)
본 발명은 야외에 사용되는 텐트에 견고히 설치하는 것이 가능한 가림막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림막은 수직 지지봉 및 수평 지지봉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결합되는 가림막에 있어서,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의 장변, 상기 한 쌍의 장변 각각을 연결하는 한 쌍의 단변을 포함하는 판상의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한 쌍의 장변 중 적어도 하나의 장변 및 한 쌍의 단변 중 적어도 하나의 단변 각각에 배치되며, 일단이 외측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상기 복수의 고정부와 이웃하게 배치된 복수의 삽입홀을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고정부의 타단은 상기 장변과 삽입홀 사이 또는 상기 단변과 상기 삽입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각각의 고정부는 상면에 형성된 제 1 결합부재 및 하면에 형성된 제 2 결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림막이 인접한 상기 수직 지지봉 및 상기 수평 지지봉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고정되는 경우, 상기 각각의 고정부가 상기 수직 지지봉 및 상기 수평 지지봉 중에서 어느 하나를 적어도 1회 감싼 후, 최종적으로 상기 삽입홀을 통과한 상기 고정부의 상기 제 1 결합부재와 상기 제 2 결합부재가 상호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결합부재는 갈고리이고, 상기 제 2 결합부재는 걸림고리이고, 상기 각각의 고정부는 양면 벨크로이고, 상기 몸체부 상면에서, 상기 각각의 삽입홈과 몸체부의 중심선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위치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림막을 보관하는 경우, 상기 각각의 위치고정부에 상기 각각의 고정부가 결합되어 위치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림막은 수직 지지봉 및 수평 지지봉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결합되는 가림막에 있어서,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의 장변, 상기 한 쌍의 장변 각각을 연결하는 한 쌍의 단변을 포함하는 판상의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상기 한 쌍의 장변 및 상기 한 쌍의 단변을 따라 결합되는 보강부; 및 상기 보강부가 결합된 몸체부를 상기 수평 지지봉에 고정하는 복수의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부와 상기 몸체부를 함께 관통하도록 배치되며, 중심에 삽입홀을 갖는 복수의 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림막이 인접한 상기 수직 지지봉 및 상기 수평 지지봉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고정되는 경우, 상기 각각의 고정부는 상기 결합부의 삽입홀을 관통하여, 상기 몸체부와 상기 보강부를 인접한 상기 수직 지지봉 및 상기 수평 지지봉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에서, 상기 한 쌍의 장변은 상호 대향하는 제 1 장변 및 제 2 장변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단변은 상호 대향하며, 제 1 장변 및 제 2 장변을 각각 연결하는 제 1 단변 및 제 2 단변을 포함하고, 상기 보강부는 상기 한 쌍의 장변에 결합되는 장변 보강영역, 상기 한 쌍의 단변에 결합되는 단변 보강영역 및 이웃하는 장변과 단변이 이루는 꼭짓점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부는 상기 꼭짓점 보강영역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며, 중심에 끼움홀을 갖는 링 영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링 영역의 끼움홀에 상기 수직 지지봉 및 상기 수평 지지봉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직접 삽입되거나, 상기 고정부가 상기 링 영역의 끼움홀에 삽입되거나, 상기 링 영역이 상기 수직 지지봉 및 상기 수평 지지봉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외주면을 감싸며 상기 수직 지지봉 및 상기 수평 지지봉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상기 링 영역이 고정될 수 있다.또한, 상기 한 쌍의 장변 사이에서, 상기 장변에 평행하게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는 중앙 보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림막은 제 1 수평 지지봉 및 제 2 수평 지지봉에 결합되는 천장 가림막에 있어서,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의 장변, 상기 한 쌍의 장변 각각을 연결하는 한 쌍의 단변을 포함하고 지면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판상의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상기 한 쌍의 장변, 상기 한 쌍의 단변을 따라 결합되는 보강부; 및 상기 보강부가 결합된 몸체부를 상기 제 1 수평 지지봉 및 제 2 수평 지지봉에 고정하는 복수의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면에 연결된 수직 지지봉, 상기 제 1 수평 지지봉 및 제 2 수평 지지봉의 연결 영역에 상기 몸체부의 각 모서리가 결합되고, 사이 몸체부는 외부의 열, 냉기 및 자외선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에서, 상기 한 쌍의 장변은 상호 대향하는 제 1 장변 및 제 2 장변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단변은 상호 대향하며, 제 1 장변 및 제 2 장변을 각각 연결하는 제 1 단변 및 제 2 단변을 포함하고, 상기 보강부는 상기 한 쌍의 장변에 결합되는 장변 보강영역, 상기 한 쌍의 단변에 결합되는 단변 보강영역, 이웃하는 장변과 단변이 이루는 꼭짓점에 결합되는 꼭짓점 보강영역 및 상기 꼭짓점 보강영역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며, 중심에 끼움홀을 갖는 링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야외에 사용되는 텐트에 견고히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림막을 포함하는 텐트 구조물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림막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림막에서 보강부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4를 확대한 확대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가림막을 포함하는 텐트 구조물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가림막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가림막을 나타낸 상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가림막을 나타낸 상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가림막을 포함하는 텐트 구조물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가림막의 상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가림막의 하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가림막에 위치고정부가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3 및 도 14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천장 가림막을 포함하는 텐트 구조물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천장 가림막을 포함하는 텐트 구조물에서 연결 부재를 통한 연결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사시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천장 가림막을 포함하는 텐트 구조물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천장 가림막을 포함하는 텐트 구조물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 과장되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의 해결 방안을 명확하게 하기 위한 발명의 구성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근거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여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있더라도 동일 참조번호를 부여하였으며 당해 도면에 대한 설명 시 필요한 경우 다른 도면의 구성요소를 인용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림막을 포함하는 텐트 구조물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림막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림막에서 보강부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4를 확대한 확대도이다.
본 발명은 몽골텐트(1)에 사용되는 가림막에 관한 것이며, 몽골 텐트(1)는 야유회, 체육대회 등 행사를 위해 통상적으로 야외에 설치되어 사용된다.
한편, 이러한 몽골텐트(1)는 천장(10)과, 사면에 형성되는 지지봉(20)에 각각의 가림막(100)이 일체로 고정되어 바람을 막을 수 있는 구성이다.
여기서, 지지봉(20)은 몽골텐트(1)의 전체적인 뼈대를 이루게 되는 금속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지면에 수직한 방향(Z축 방향)으로 세워진 수직 지지봉(21) 및 수직 지지봉(21)과 수직한 방향(Y축 방향)으로 배치된 수평 지지봉(22)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수직 지지봉(21)과 수평 지지봉(22)에 본 발명에 따른 가림막(100)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도 1 내지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가림막(100)은 몸체부(110), 보강부(120), 결합부(130) 및 고정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110)는 일반적인 텐트에 사용되는 재질의 섬유 또는 시트로 구성될 수 있으며, 천연섬유, 합성섬유 또는 그 조합된 섬유, 합성수지 원단, 부직포 원단, 직물, 방수원단 등의 재질 등을 모두 사용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 이를 구체적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몸체부(110)는 내열성이 우수한 재질로 구성되어, 방염 및 방진에 탁월 하며, 통풍성이 우수한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몸체부(110)가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의 단변(110a)과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의 장변(110b)으로 구성되어, 사각 형상을 갖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설치 환경, 텐트(1)의 구조 등에 따라 몸체부(110)의 형상은 변경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 쌍의 단변(110a)은 상호 대향하는 제 1 단변(110a) 및 제 2 장변(미도시)을 포함하고, 한 쌍의 장변(110b)은 상호 대향하는 제 1 장변(110b) 및 제 2 단변(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몸체부(110)의 한 쌍의 단변(110a) 각각은 수평 지지봉(22)에 평행하며, 한 쌍의 단변(110a) 중 적어도 하나(바람직하게는 하나의 단변(110a)) 가 이웃하는 수평 지지봉(22)에 고정되는 영역일 수 있다. 또한, 몸체부(110)의 한 쌍의 장변(110b) 각각은 수직 지지봉(21)에 평행하며, 한 쌍의 장변(110b) 각각이 이웃하는 수직 지지봉(21)에 고정되는 영역일 수 있다.
한편, 몸체부(110)는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 삼각형, 오각형, 육각형 등의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몸체부(110)는 상부 방향을 마주하는 상면(설치 시 외면)과 하부 방향을 마주하는 하면(설치 시 내면)을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110)에는 한 쌍의 단변(110a) 및 한 쌍의 장변(110b)을 따라 형성된 복수의 결합홀(111)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결합홀(111) 각각은 몸체부(110)의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보강부(120)는 몸체부(110)의 한 쌍의 단변(110a) 및 한 쌍의 장변(110b)에 결합하여, 몸체부(110)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여기서, 보강부(120)는 박음질 또는 접착제를 통해 몸체부(110)에 결합할 수 있다.
보강부(120)는 몸체부(110)에 비해 인장강도 등이 우수한 재질의 섬유 또는 시트로 구성되어, 외력에 내성 및 신뢰성이 향상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천연섬유, 합성섬유 또는 그 조합된 섬유 등을 모두 사용할 수 있고, 나일론, 아세탈, 플라스틱, PVC, ABS, PE, 폴리카보네이트, 코프렌, 우렌탄, 산토프렌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이를 구체적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보강부(120)는 몸체부(110)와 같이 내열성이 우수한 재질로 구성되어, 방염 및 방진에 탁월한 것이 바람직하다.
보강부(120)는 몸체부(110)와 박음질, 접착제 또는 기타의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이러한 결합 방법을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보강부(120)는 장변 보강영역(121), 단변 보강영역(122), 꼭짓점 보강영역(123) 및 링 영역(124)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장변 보강영역(121), 단변 보강영역(122), 꼭짓점 보강영역(123) 및 링 영역(124)은 상호 영역 경계에서 결합되는 것이 아니라 모든 영역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장변 보강영역(121)은 몸체부(110)의 한 쌍의 장변(110b) 각각에 결합되어 이 영역을 보강할 수 있다.
장변 보강영역(121)은 길이를 따라 형성된 복수의 결합홀(121a)을 포함하고, 장변 보강영역(121)의 복수의 결합홀(121a) 각각은 몸체부(110)의 단변(110a)에 배치된 복수의 결합홀(111)에 위치 및 크기가 대응할 수 있다.
한편, 여기서, 도 3을 참조하면, 장변 보강영역(121)은 몸체부(110)의 상면에 결합하는 상부 보강 영역 및 몸체부(110)의 하면에 결합하는 하부 보강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3(a)를 참조하면 장변 보강영역(121)은 단면 형상이 'ㄷ'모양으로 형성되고, 장변 보강영역(121)의 상부와 하부에 형성된 결합홀(121a)을 포함할 수 있고, 몸체부(110)의 상면과 하면에 함께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도 3(b)를 참조하면 장변 보강영역(121')은 단면 형상이 '<'모양으로 형성되고, 장변 보강영역(121')의 상부와 하부에 형성된 결합홀(121a')을 포함할 수 있고, 몸체부(110)의 상면과 하면에 함께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도 3(c)를 참조하면, 장변 보강영역(121")은 단면 형상이 'ㅡ' 모양으로 형성되고, 장변 보강영역(121')의 상부에 형성된 결합홀(121a")을 포함할 수 있고, 몸체부(110)의 상면에 함께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도시하지 않았지만, 단변 보강영역(122)은 몸체부(110)의 상면에 결합하는 상부 보강 영역 및 몸체부(110)의 하면에 결합하는 하부 보강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단변 보강영역(122)은 장변 보강영역(121, 121', 122")과 같이 단면 형상이 'ㄷ'모양으로 형성되어 몸체부(110)의 상면과 하면에 함께 결합될 수 있고, 단면 형상이 '<'모양으로 형성되어 몸체부(110)의 상면과 하면에 함께 결합될 수 있고, 단면 형상이 'ㅡ'모양으로 형성되어 몸체부(110)의 상면에만 결합될 수 도 있다.
단변 보강영역(122)은 몸체부(110)의 한 쌍의 단변(110a) 각각에 결합되어 이 영역을 보강할 수 있다.
단변 보강영역(122)은 길이를 따라 형성된 복수의 결합홀(122a)을 포함하고, 단변 보강영역(122)의 복수의 결합홀(122a) 각각은 몸체부(110)의 단변(110a)에 배치된 복수의 결합홀(111)에 위치 및 크기가 대응할 수 있다.
꼭짓점 보강영역(123)은 한 쌍의 단변(110a)과 한 쌍의 장변(110b)이 만나서 형성되는 4개의 꼭짓점 각각에 결합되어 이 영역을 보강할 수 있다.
여기서, 꼭짓점 보강영역(123)은 장변 보강영역(121)과 단변 보강영역(122)이 만나는 영역으로, 꼭짓점 보강영역(123)에서 장변 보강영역(121)과 단변 보강영역(122)은 중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몸체부(110)의 꼭짓점 영역에 가해지는 외력에 대항하여, 몸체부(110)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링 영역(124)은 장변 보강영역(121)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영역과, 단변 보강영역(122)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영역이 연결되어 형성된 것으로, 중심에 형성된 끼움홀(125)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링 영역(124)은 "∝" 형상, 링 형상 또는 리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 형상, 링 형상 또는 리본 형상이란 하나의 연속적인 보강 부재 또는 보강부(120)를 고리 또는 끼움홀(125)을 형성하면서 일 부분을 다른 부분에 포개는 경우에 형성될 수 있는 형상일 수 있다.
여기서, 링 영역(124)은 장변 보강영역(121)의 연장 영역과 단변 보강영역(122)의 연장 영역이 트위스트되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한편, 링 영역(124)은 장변 보강영역(121)의 연장 영역과 단변 보강영역(122)의 연장 영역이 연속적으로 이어져 하나의 링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장변 보강영역(121)의 연장 영역과 단변 보강영역(122)의 연장 영역이 연속적으로 이어져 형성된 링 영역(124)은 외부에서 가해지는 외력을 장변 보강영역(121)과 단변 보강영역(122)을 분산할 수 있어, 외력에 견디는 내력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링 영역(124)의 끼움홀(125)은 사용 방법에 따라 다양한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링 영역(124)의 끼움홀(125)의 직경이 지지봉(20)의 외경과 유사한 경우, 링 영역(124)의 끼움홀(125)에는 지지봉(20)이 직접 끼워질 수 있다.
또한, 링 영역(124)의 끼움홀(125)의 직경이 지지봉(20)의 외경에 비해 작은 경우, 도시하지 않았지만 수평 지지봉(22)에는 링 영역(124)의 끼움홀(125)이 걸릴 수 있는 고리(미도시)가 형성되고, 링 영역(124)의 끼움홀(125)에 수평 지지봉(22)의 고리가 삽입되거나, 별도의 고정 부재(미도시)(예를 들어, 케이블 타이)를 통해 링 영역(124)이 수평 지지봉(22)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링 영역(124)의 끼움홀(125)의 직경이 지지봉(20)의 외경에 비해 매우 큰 경우, 링 영역(124)이 직접 지지봉(20)의 외주면을 감싸, 링 영역(124)이 지지봉(20)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텐트 구조물의 가림막(100)의 사용이 종료된 후, 이를 접는 과정에서 사용자는 각 꼭짓점에 형성된 링 영역(124)을 식별하고, 각 링 영역(124)을 겹치도록 몸체부(110)를 쉽게 접어 보관할 수 있다.
결합부(130)는 상호 대응하는 몸체부(110)의 결합홀(111)과 보강부(120)의 결합홀(121a)을 함께 관통하고, 몸체부(110)의 결합홀(111)과 보강부(120)의 결합홀(121a)을 결합할 수 있다.
또한, 결합부(130)는 몸체부(110)의 결합홀(111)과 보강부(120)의 결합홀(121a, 122a)의 내주면을 마감하는 마감 부재의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여기서, 결합부(130)는 고정링일 수도 있고, 박음질로 형성된 봉제부일 수도 있다.
결합부(130)는 중심에 형성된 삽입홀(131)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140)는 일단이 삽입홀(131)에 삽입되어, 지지봉(20)을 감싸 몸체부(110)를 지지봉(20)에 고정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부(140)는 케이블 타이 또는 고정끈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이를 통해 텐트 구조물의 가림막(100)을 지지봉(20)에 고정한 후, 강풍 등과 같은 외력이 가해졌을 때, 몸체부(110)의 변경 및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이하,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가림막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가림막을 포함하는 텐트 구조물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가림막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여기서, 도 1 내지 도 6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가림막(200)은 몸체부(210), 보강부(220), 결합부(230), 중앙 보강부(240) 및 고정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210)는 일반적인 텐트에 사용되는 재질의 섬유 또는 시트로 구성될 수 있으며, 천연섬유, 합성섬유 또는 그 조합된 섬유, 합성수지 원단, 부직포 원단, 직물, 방수원단 등의 재질 등을 모두 사용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 이를 구체적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몸체부(210)는 내열성이 우수한 재질로 구성되어, 방염 및 방진에 탁월 하며, 통풍성이 우수한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몸체부(210)가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의 단변과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의 장변으로 구성되어, 사각 형상을 갖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설치 환경, 텐트(1)의 구조 등에 따라 몸체부(210)의 형상은 변경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 쌍의 단변은 상호 대향하는 제 1 단변 및 제 2 단변을 포함하고, 한 쌍의 장변은 상호 대향하는 제 1 장변 및 제 2 장변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몸체부(210)의 한 쌍의 단변 각각은 수평 지지봉(22)에 평행하며, 한 쌍의 단변 중 적어도 하나(바람직하게는 하나의 단변)가 이웃하는 수평 지지봉(22)에 고정되는 영역일 수 있다. 또한, 몸체부(210)의 한 쌍의 장변 각각은 수직 지지봉(21)에 평행하며, 한 쌍의 장변 각각이 이웃하는 수직 지지봉(21)에 고정되는 영역일 수 있다.
한편, 몸체부(210)는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 삼각형, 오각형, 육각형 등의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몸체부(210)는 상부 방향을 마주하는 상면(설치 시 외면)과 하부 방향을 마주하는 하면(설치 시 내면)을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210)에는 한 쌍의 단변 및 한 쌍의 장변을 따라 형성된 복수의 결합홀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결합홀 각각은 몸체부(210)의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보강부(220)는 몸체부(210)의 한 쌍의 단변 및 한 쌍의 장변에 결합하여, 몸체부(210)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여기서, 보강부(220)는 박음질 또는 접착제를 통해 몸체부(210)에 결합할 수 있다.
보강부(220)는 몸체부(210)에 비해 인장강도 등이 우수한 재질의 섬유 또는 시트로 구성되어, 외력에 내성 및 신뢰성이 향상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천연섬유, 합성섬유 또는 그 조합된 섬유 등을 모두 사용할 수 있고, 나일론, 아세탈, 플라스틱, PVC, ABS, PE, 폴리카보네이트, 코프렌, 우렌탄, 산토프렌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이를 구체적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보강부(220)는 몸체부(210)와 같이 내열성이 우수한 재질로 구성되어, 방염 및 방진에 탁월한 것이 바람직하다.
보강부(220)는 몸체부(210)와 박음질, 접착제 또는 기타의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이러한 결합 방법을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보강부(220)는 장변 보강영역(221), 단변 보강영역(222), 꼭짓점 보강영역(223) 및 링 영역(224)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장변 보강영역(221), 단변 보강영역(222), 꼭짓점 보강영역(223) 및 링 영역(224)은 상호 영역 경계에서 결합되는 것이 아니라 모든 영역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보강부(220)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보강부(120)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 바 이하에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결합부(230)는 상호 대응하는 몸체부(210)의 결합홀과 보강부(220)의 결합홀(221a)을 함께 관통하고, 몸체부(210)의 결합홀과 보강부(220)의 결합홀(221a)을 결합할 수 있다.
또한, 결합부(230)는 몸체부(210)의 결합홀과 보강부(220)의 결합홀(221a)의 내주면을 마감하는 마감 부재의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여기서, 결합부(230)는 고정링일 수도 있고, 박음질로 형성된 봉제부일 수도 있다.
결합부(230)는 중심에 형성된 삽입홀(231)을 포함할 수 있다.
중앙 보강부(240)는 몸체부(210)의 한 쌍의 장변 사이에서, 장변에 평행하게 몸체부(210)에 결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중앙 보강부(240)는 몸체부(210)에 비해 인장강도 등이 우수한 재질의 섬유 또는 시트로 구성되어, 외력에 내성 및 신뢰성이 향상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천연섬유, 합성섬유 또는 그 조합된 섬유 등을 모두 사용할 수 있고, 나일론, 아세탈, 플라스틱, PVC, ABS, PE, 폴리카보네이트, 코프렌, 우렌탄, 산토프렌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이를 구체적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바람직한 일 예에선, 중앙 보강부(240)는 몸체부(210)의 가상의 중심선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가상의 중심선은 몸체부(210)의 장변과 평행하며, 한 쌍의 장변 사이의 중심점을 지나는 선으로 정의될 수 있다.
즉, 중앙 보강부(240)는 몸체부(210)의 중앙영역을 보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몸체부(210)의 중앙 영역에서 외력에 의해 의도치 않게 인장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중앙 보강부(240)의 일단 및 타단은 몸체부(210)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이웃한 수직 지지봉(21) 또는 수평 지지봉(22)을 감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고정부(250)는 일단이 삽입홀(231)에 삽입되어, 지지봉(20)을 감싸 몸체부(210)를 지지봉(20)에 고정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부(250)는 케이블 타이 또는 고정끈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이를 통해 텐트 구조물의 가림막(200)을 지지봉(20)에 고정한 후, 강풍 등과 같은 외력이 가해졌을 때, 몸체부(210)의 변경 및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가림막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가림막을 나타낸 상면도이다.
여기서, 도 1 내지 도 7을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가림막(300)은 몸체부(310), 보강부(320), 결합부(330), 중앙 보강부(340) 및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가림막(300)에서 몸체부(310), 보강부(320), 결합부(330) 및 고정부 각각은 제 1 실시예에 가림막(100)의 몸체부(110), 보강부(120), 결합부(130) 및 고정부 각각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 바 이하에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중앙 보강부(340)는 몸체부(310)의 한 쌍의 장변 사이에서, 장변에 평행하게 몸체부(310)에 결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중앙 보강부(340)는 몸체부(310)에 비해 인장강도 등이 우수한 재질의 섬유 또는 시트로 구성되어, 외력에 내성 및 신뢰성이 향상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천연섬유, 합성섬유 또는 그 조합된 섬유 등을 모두 사용할 수 있고, 나일론, 아세탈, 플라스틱, PVC, ABS, PE, 폴리카보네이트, 코프렌, 우렌탄, 산토프렌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이를 구체적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중앙 보강부(340)는 보강 영역(341), 제 1 연장 영역(342) 및 제 2 연장 영역(343)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바람직한 일 예에선, 중앙 보강부(340)의 보강 영역(341)은 몸체부(310)의 가상의 중심선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가상의 중심선은 몸체부(310)의 장변과 평행하며, 한 쌍의 장변 사이의 중심점을 지나는 선으로 정의될 수 있다.
즉, 중앙 보강부(340)는 몸체부(310)의 중앙영역을 보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몸체부(310)의 중앙 영역에서 외력에 의해 의도치 않게 인장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 1 연장 영역(342) 및 제 2 연장 영역(343)은 보강 영역(341)의 일측 및 타측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 1 연장 영역(342)은 보강 영역(341)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영역이며, 2 연장 영역(343)은 제 1 연장 영역(342)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영역이다.
제 1 연장 영역(342)은 제 1 너비(W1)를 가지고, 제 1 너비(W1) 보다 작은 제 2 너비(W2)를 갖도록 관통된 관통홀(342a)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연장 영역(342)의 너비(W1)는 보강 영역(341)의 너비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제 2 연장 영역(343)은 제 1 너비(W1) 보다 작고, 제 2 너비(W2) 보다 작은 제 3 너비(W3)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제 2 연장 영역(343)은 상면에 형성된 제 1 결합부재(미도시)와 하면에 형성된 제 2 결합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결합부재와 제 2 결합부재는 상호 물리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예로 제 1 결합부재는 갈고리로 형성되고, 제 2 결합부재는 걸림고리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 2 연장 영역(343)은 양면 벨크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제 1 결합부재는 암 소켓(socket)으로 형성되고, 제 2 결합부재는 수 볼(ball)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 2 연장 영역(343)은 스냅 파스너(snap fastener)로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제 2 연장 영역(343)이 인접한 수평지지봉을 권취하면서 제 2 연장 영역(343)의 상면과 하면이 밀착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제 1 결합부재와 제 2 결합부재가 상호 물리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2 연장 영역(343)이 인접하게 배치된 수직 지지봉을 적어도 1회 감싼 후, 제 2 연장 영역(343)의 단부가 관통홀(342A)을 통과하고 다시 권취되어 제 1 결합부재와 제 2 결합부재가 상호 물리적으로 결합되어 지지봉을 고정할 수 있다.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가림막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가림막을 나타낸 상면도이다.
여기서, 도 1 내지, 도 6 및 도 8을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가림막(400)은 몸체부(410), 보강부(420), 결합부(430), 중앙 보강부(440) 및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가림막(400)에서 몸체부(410), 보강부(420), 결합부(430) 및 고정부 각각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림막(100)의 몸체부(110), 보강부(120), 결합부(130) 및 고정부(140) 각각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 바 이하에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중앙 보강부(440)는 몸체부(410)의 한 쌍의 장변 사이에서, 장변에 평행하게 몸체부(410)에 결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중앙 보강부(440)는 몸체부(410)에 비해 인장강도 등이 우수한 재질의 섬유 또는 시트로 구성되어, 외력에 내성 및 신뢰성이 향상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천연섬유, 합성섬유 또는 그 조합된 섬유 등을 모두 사용할 수 있고, 나일론, 아세탈, 플라스틱, PVC, ABS, PE, 폴리카보네이트, 코프렌, 우렌탄, 산토프렌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이를 구체적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중앙 보강부(440)는 보강 영역(441), 제 1 연장 영역(442) 및 제 2 연장 영역(443)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바람직한 일 예에선, 중앙 보강부(440)의 보강 영역(441)은 몸체부(410)의 가상의 중심선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가상의 중심선은 몸체부(410)의 장변과 평행하며, 한 쌍의 장변 사이의 중심점을 지나는 선으로 정의될 수 있다.
즉, 중앙 보강부(440)는 몸체부(410)의 중앙영역을 보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몸체부(410)의 중앙 영역에서 외력에 의해 의도치 않게 인장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 1 연장 영역(442) 및 제 2 연장 영역(443)은 보강 영역(441)의 일측 및 타측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연장 영역(442) 및 제 2 연장 영역(443)은 보강 영역(441)에서 분기되어 외측으로 연장되는 영역이다. 여기서, 제 1 연장 영역(442) 및 제 2 연장 영역(443)은 보강 영역(441)과 평행하게 형성될 수도 있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연장 영역(442) 및 제 2 연장 영역(443) 각각은 보강 영역(441)과 둔각의 사이각을 형성할 수 있다.
제 1 연장 영역(442)과 제 2 연장 영역(443)은 인접한 수직 지지봉을 각각 권취하면서, 제 1 연장 영역(442)과 제 2 연장 영역(443)이 매듭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제 1 연장 영역(442)과 제 2 연장 영역(443)이 상호 물리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즉, 보강 영역(441)에서 분기된 제 1 연장 영역(442) 및 제 2 연장 영역(443)은 별도의 결합 부재 없이 간단한 매듭으로 인접한 지지봉을 견고히 고정할 수 있다.
이하,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가림막에 대해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가림막을 포함하는 텐트 구조물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가림막의 상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가림막의 하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가림막에 위치고정부가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여기서, 도 9 내지 도 12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가림막(500)은 몸체부(510) 및 고정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510)는 일반적인 텐트에 사용되는 재질의 섬유 또는 시트로 구성될 수 있으며, 천연섬유, 합성섬유 또는 그 조합된 섬유, 합성수지 원단, 부직포 원단, 직물, 방수원단 등의 재질 등을 모두 사용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 이를 구체적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몸체부(510)는 내열성이 우수한 재질로 구성되어, 방염 및 방진에 탁월 하며, 통풍성이 우수한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몸체부(510)가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의 장변(510a, 510b)과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의 단변(510c, 510d)으로 구성되어, 사각 형상을 갖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설치 환경, 텐트의 구조 등에 따라 몸체부(510)의 형상은 변경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 쌍의 장변(510a, 510b)은 상호 대향하는 제 1 장변(510a) 및 제 2 장변(510b)을 포함하고, 한 쌍의 단변(510c, 510d)은 상호 대향하는 제 1 단변(510c) 및 제 2 단변(510d)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몸체부(510)의 한 쌍의 장변(510a, 510b) 각각은 수평 지지봉(22)에 평행하며, 한 쌍의 장변(510a, 510b) 각각이 이웃하는 수평 지지봉(22)에 고정되는 영역일 수 있다.
즉, 몸체부(510)는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 삼각형, 오각형, 육각형 등의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몸체부(510)는 상부 방향을 마주하는 상면(511)과 하부 방향을 마주하는 하면(512)을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510)에는 한 쌍의 장변(510a, 510b)에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며, 수평 방향(Y축 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의 삽입홀(513)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몸체부(510)에서 제 2 장변(510b)은 바닥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어, 제 2 장변(510b)은 텐트 구조물의 하단에 위치할 수 있는 수평 지지봉(22)에 고정되지 않을 수 있고, 제 2 장변(510b)에는 복수의 삽입홀(513)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 2 장변(510b)이 텐트 구조물의 하단에 위치하는 수평 지지봉(22)에 고정되는 경우에는, 제 2 장변(510b)에도 복수의 삽입홀(513)들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몸체부(510)에는 한 쌍의 단변(510c, 510d)에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며, 수직 방향(Z축 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의 삽입홀(513)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삽입홀(513) 각각은 몸체부(510)의 상면(511)과 하면(512)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부식 또는 파손 방지를 위해 배치된 별도의 마감 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마감 부재는 삽입홀(513)에 끼움 설치되는 고정링일 수도 있고, 박음질로 형성된 봉제부 일 수도 있다.
복수의 고정부(520)는 한 쌍의 장변(510a, 510b) 및 한 쌍의 단변(510c, 510d) 각각에 인접한 영역에서 외부로 연장되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몸체부(510)에서 제 2 장변(510b)은 텐트 구조물의 하단에 위치할 수 있는 수평 지지봉(22)에 고정되지 않을 수 있고, 제 2 장변(510b)에는 복수의 고정부(520)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 2 장변(510b)이 텐트 구조물의 하단에 위치하는 수평 지지봉(22)에 고정되는 경우에는, 제 2 장변(510b)에도 복수의 고정부(520)들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고정부(520)는 몸체부(510)의 상면(511)에 일단이 고정되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각의 고정부(520)는 장변(510a) 및 한 쌍의 단변(510c, 510d) 각각에 직접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몸체부(510)의 상면(511)과 고정부(520)의 상면은 동일면을 이루고, 몸체부(510)의 하면(512)과 고정부(520)의 하면은 동일면을 이룰 수 있다.
한편, 각각의 고정부(520)는각각의 삽입홀(513)과 제 1 장변(510a) 사이 공간에서 몸체부(510)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고정부(520)는각각의 삽입홀(513)과 제 1 단변(510c) 사이 및 각각의 삽입홀(513)과 제 2 단변(510d) 사이 공간에서 몸체부(510)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고정부(520)의 일단은 접착 또는 제봉 등을 통해 몸체부(510)에 고정될 수 있으며, 타단은 몸체부(510)의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각각의고정부(520)는각각의 삽입홀(513)과 배치 위치 및 개수가 대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각각의 고정부(520)는 상면에 형성된 제 1 결합부재(미도시)와 하면에 형성된 제 2 결합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결합부재와 제 2 결합부재는 상호 물리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예로 제 1 결합부재는 갈고리로 형성되고, 제 2 결합부재는 걸림고리로 형성될 수 있다. 즉, 각각의 고정부(520)는 양면 벨크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제 1 결합부재는 암 소켓(socket)으로 형성되고, 제 2 결합부재는 수 볼(ball)로 형성될 수 있다. 즉, 각각의 고정부(520)는 스냅 파스너(snap fastener)로 구현될 수도 있다.
즉, 각각의 고정부(520)는 각각은 장변(510a)에 인접하게 배치된 수평 지지봉(22)을 적어도 1회 감싸면 고정부(520)가 권취되면서 고정부(520)의 상면과 하면이 밀착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제 1 결합부재와 제 2 결합부재가 상호 물리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고정부(520)는 수평 지지봉(22)을 적어도 1회 감싼 후 타단이 인접하게 배치된 삽입홀(513)을 통과하고 다시 권취되어 수평 지지봉(22)을 고정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장변(510a)과 고정부(520)의 일단 사이에 형성되며 소정 폭을 갖는 영역이 수평 지지봉(22)의 외주면과 면으로 밀착되어 있어, 몸체부(510)와 수평 지지봉(22) 사이의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고, 외력에 견디는 내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각각의 고정부(520)는 한 쌍의 단변(510c, 510d) 각각에 인접하게 배치된 수직 지지봉(21)을 적어도 1회 감싸면 고정부(520)가 권취되면서 고정부(520)의 상면과 하면이 밀착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제 1 결합부재와 제 2 결합부재가 상호 물리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고정부(520)는 수직 지지봉(21)을 적어도 1회 감싼 후 타단이 인접하게 배치된 삽입홀(513)을 통과하고 다시 권취되어 수직 지지봉(21)을 고정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한 쌍의 단변(510c, 510d)과 고정부(520)의 일단 사이에 형성되며 소정 폭을 갖는 영역이 수직 지지봉(21)의 외주면과 면으로 밀착되어 있어, 몸체부(510)와 수직 지지봉(21) 사이의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고, 외력에 견디는 내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여기서, 외력은 강풍 등에 의해 텐트에 악영향을 주는 힘으로 정의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도 12를 참조하면, 몸체부(510)는 상면에서 삽입홀(513)과 가상의 중심선(미도시, Y축 기준의 중심선 및 Z축 기준의 중심선)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위치고정부(5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위치고정부(530)는 고정부(520)의 하면에 형성된 제 2 결합부재와 동일한 구성으로 될 수 있으며, 제 1 결합부재와 상호 물리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즉, 고정부(520)의 상면은 몸체부(510)의 상면에서 위치고정부(530)에 위치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부(520)를 통해 수직 지지봉(21) 및 수평 지지봉(22)을 고정하지 않는 경우, 고정부(520)의 길이로 인해 보관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으나, 복수의 고정부(520) 각각을 위치고정부(530)에 결합하면, 복수의 고정부(520)를 보다 용이하게 정리할 수 있다.
또한, 고정부(520)를 통해 지지봉(20)을 고정하는 경우에도 지지봉(20)의 직경이 매우 작으면, 수평 지지봉(22)을 권취한 고정부(520)의 타단의 영역이 잉여 영역으로 존재할 수 있으나, 타단의 잉여 영역을 위치고정부(530)에 결합하면, 고정 시에도 복수의 고정부(520)를 보다 용이하게 정리할 수 있다.
이하,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천장 가림막에 대해 설명한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천장 가림막을 포함하는 텐트 구조물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천장 가림막을 포함하는 텐트 구조물에서 연결 부재를 통한 연결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사시도이다.
여기서, 도 13 내지 도 15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천장 가림막(600)은 몸체부(610), 보강부(620), 결합부(630) 및 고정부(6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천장 가림막(600)은 텐트 구조물에서 천장에 설치되어, 태양으로부터 내려오는 자외선 및 열을 차단하고, 겨울에는 냉기를 막아줄 수 있다.
몸체부(610)는 일반적인 텐트에 사용되는 재질의 섬유 또는 시트로 구성될 수 있으며, 천연섬유, 합성섬유 또는 그 조합된 섬유, 합성수지 원단, 부직포 원단, 직물, 방수원단 등의 재질 등을 모두 사용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 이를 구체적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몸체부(610)는 내열성이 우수한 재질로 구성되어, 방염 및 방진에 탁월 하며, 통풍성이 우수한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몸체부(610)가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의 단변과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의 장변으로 구성되어, 사각 형상을 갖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설치 환경, 텐트의 구조 등에 따라 몸체부(610)의 형상은 변경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 쌍의 단변은 상호 대향하는 제 1 단변 및 제 2 장변을 포함하고, 한 쌍의 장변은 상호 대향하는 제 1 장변 및 제 2 단변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몸체부(610)의 한 쌍의 단변 각각은 제 1 수평 지지봉(22a)에 평행하며, 한 쌍의 단변 중 적어도 하나(바람직하게는 하나의 단변)가 이웃하는 제 1 수평 지지봉(22a)에 고정되는 영역일 수 있다. 또한, 몸체부(610)의 한 쌍의 장변 각각은 제 2 수평 지지봉(22b)에 평행하며, 한 쌍의 장변 각각이 이웃하는 제 2 수평 지지봉(22b)에 고정되는 영역일 수 있다.
한편, 몸체부(610)는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 삼각형, 오각형, 육각형 등의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몸체부(610)는 상부 방향을 마주하는 상면과 하부 방향을 마주하는 하면을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610)에는 한 쌍의 단변 및 한 쌍의 장변을 따라 형성된 복수의 결합홀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결합홀 각각은 몸체부(610)의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보강부(620)는 몸체부(610)의 한 쌍의 단변 및 한 쌍의 장변에 결합하여, 몸체부(610)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여기서, 보강부(620)는 박음질 또는 접착제를 통해 몸체부(610)에 결합할 수 있다.
보강부(620)는 몸체부(610)에 비해 인장강도 등이 우수한 재질의 섬유 또는 시트로 구성되어, 외력에 내성 및 신뢰성이 향상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천연섬유, 합성섬유 또는 그 조합된 섬유 등을 모두 사용할 수 있고, 나일론, 아세탈, 플라스틱, PVC, ABS, PE, 폴리카보네이트, 코프렌, 우렌탄, 산토프렌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이를 구체적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보강부(620)는 몸체부(610)와 같이 내열성이 우수한 재질로 구성되어, 방염 및 방진에 탁월한 것이 바람직하다.
보강부(620)는 몸체부(610)와 박음질, 접착제 또는 기타의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이러한 결합 방법을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보강부(620)는 장변 보강영역(621), 단변 보강영역(622), 꼭짓점 보강영역(623) 및 링 영역(624)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장변 보강영역(621), 단변 보강영역(622), 꼭짓점 보강영역(623) 및 링 영역(624)은 상호 영역 경계에서 결합되는 것이 아니라 모든 영역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장변 보강영역(621)은 몸체부(610)의 한 쌍의 장변 각각에 결합되어 이 영역을 보강할 수 있다.
장변 보강영역(621)은 길이를 따라 형성된 복수의 결합홀을 포함하고, 장변 보강영역(621)의 복수의 결합홀 각각은 몸체부(610)의 단변에 배치된 복수의 결합홀에 위치 및 크기가 대응할 수 있다.
한편, 도시하지 않았지만 장변 보강영역(621) 및 단변 보강영역(622) 각각은 몸체부(610)의 상면에 결합하는 상부 보강 영역 및 몸체부(610)의 하면에 결합하는 하부 보강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단변 보강영역(622)은 몸체부(610)의 한 쌍의 단변 각각에 결합되어 이 영역을 보강할 수 있다.
단변 보강영역(622)은 길이를 따라 형성된 복수의 결합홀을 포함하고, 단변 보강영역(622)의 복수의 결합홀 각각은 몸체부(610)의 단변에 배치된 복수의 결합홀에 위치 및 크기가 대응할 수 있다.
꼭짓점 보강영역(623)은 한 쌍의 단변과 한 쌍의 장변이 만나서 형성되는 4개의 꼭짓점 각각에 결합되어 이 영역을 보강할 수 있다.
여기서, 꼭짓점 보강영역(623)은 장변 보강영역(621)과 단변 보강영역(622)이 만나는 영역으로, 꼭짓점 보강영역(623)에서 장변 보강영역(621)과 단변 보강영역(622)은 중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몸체부(610)의 꼭짓점 영역에 가해지는 외력에 대항하여, 몸체부(610)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링 영역(624)은 장변 보강영역(621)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영역과, 단변 보강영역(622)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영역이 연결되어 형성된 것으로, 중심에 형성된 끼움홀(625)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링 영역(624)은 "∝" 형상, 링 형상 또는 리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 형상, 링 형상 또는 리본 형상이란 하나의 연속적인 보강 부재 또는 보강부(620)를 고리 또는 끼움홀(625)을 형성하면서 일 부분을 다른 부분에 포개는 경우에 형성될 수 있는 형상일 수 있다.
여기서, 링 영역(624)은 장변 보강영역(621)의 연장 영역과 단변 보강영역(622)의 연장 영역이 트위스트되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한편, 링 영역(624)은 장변 보강영역(621)의 연장 영역과 단변 보강영역(622)의 연장 영역이 연속적으로 이어져 하나의 링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장변 보강영역(621)의 연장 영역과 단변 보강영역(622)의 연장 영역이 연속적으로 이어져 형성된 링 영역(624)은 외부에서 가해지는 외력을 장변 보강영역(621)과 단변 보강영역(622)을 분산할 수 있어, 외력에 견디는 내력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링 영역(624)의 끼움홀(625)은 사용 방법에 따라 다양한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도시하지 않았지만 링 영역(624)의 끼움홀(625)의 직경이 지지봉(20)의 외경과 유사한 경우, 링 영역(624)의 끼움홀(625)에는 지지봉(20)이 직접 끼워질 수 있다.
또한, 링 영역(624)의 끼움홀(625)의 직경이 지지봉(20)의 외경에 비해 작은 경우, 도시하지 않았지만 수평 지지봉(22)에는 링 영역(624)의 끼움홀(625)이 걸릴 수 있는 고리(미도시)가 형성되고, 링 영역(624)의 끼움홀(625)에 수평 지지봉(22)의 고리가 삽입되거나, 별도의 고정 부재(미도시)(예를 들어, 케이블 타이)를 통해 링 영역(624)이 이웃한 지지봉(20)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링 영역(624)의 끼움홀(625)의 직경이 지지봉(20)의 외경에 비해 매우 큰 경우, 링 영역(624)이 직접 지지봉(20)의 외주면을 감싸, 링 영역(624)이 지지봉(20)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텐트 구조물의 가림막(600)의 사용이 종료된 후, 이를 접는 과정에서 사용자는 각 꼭짓점에 형성된 링 영역(624)을 식별하고, 각 링 영역(624)을 겹치도록 몸체부(610)를 쉽게 접어 보관할 수 있다.
결합부(630)는 상호 대응하는 몸체부(610)의 결합홀과 보강부(620)의 결합홀을 함께 관통하고, 몸체부(610)의 결합홀과 보강부(620)의 결합홀을 결합할 수 있다.
또한, 결합부(630)는 몸체부(610)의 결합홀과 보강부(620)의 결합홀의 내주면을 마감하는 마감 부재의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여기서, 결합부(630)는 고정링일 수도 있고, 박음질로 형성된 봉제부일 수도 있다.
결합부(630)는 중심에 형성된 삽입홀(631)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640)는 일단이 삽입홀(631)에 삽입되어, 지지봉(20)을 감싸 몸체부(610)를 지지봉(20)에 고정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부(640)는 케이블 타이 또는 고정끈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이를 통해 텐트 구조물의 천장 가림막(600)을 텐트에 고정한 후, 강풍 등과 같은 외력이 가해졌을 때, 몸체부(610)의 변경 및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텐트 구조물은 천장 가림막(600)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유닛(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우선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유닛(30)은 연결 부재(31)를 포함할 수 있고,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가적으로 지지 부재(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부재(31)는 서로 이웃하며, 하나의 꼭짓점에서 만나는 제 1 수평 지지봉(22a), 제 2 수평 지지봉(22b) 및 수직 지지봉(21)을 연결할 수 있다.
여기서, 연결 부재(31)는 제 1 수평 지지봉(22a), 제 2 수평 지지봉(22b) 및 수직 지지봉(21)의 연결 방향에 대응하여, 한 쌍의 수평 연결부(31a) 및 수직 연결부(31b)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한 쌍의 수평 연결부(31a) 각각에는 제 1 수평 지지봉(22a)과 제 2 수평 지지봉(22b)이 끼움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수직 연결부(31b)에는 수직 지지봉(21)이 끼움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연결 부재(31)는 한 쌍의 수평 연결부(31a) 및 수직 연결부(31b)가 이루는 꼭짓점 영역에서, 내측으로 연장되는 지지 부재 연결부(31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 부재 연결부(31c)는 한 쌍의 수평 연결부(31a)가 이루는 평면과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으며, 지지 부재 연결부(31c)와 한 쌍의 수평 연결부(31a) 각각이 이루는 사이각은 동일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 부재 연결부(31c)는 한 쌍의 제 1 수평 지지봉(22a)과 한 쌍의 제 2 수평 지지봉(22b)이 이루는 사각형의 중심을 향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지지 부재(32)는 강봉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지지 부재(32) 각각은 한 쌍의 제 1 수평 지지봉(22a)과 한 쌍의 제 2 수평 지지봉(22b)이 이루는 사각형에서 서로 이웃하지 않은 꼭짓점을 연결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지지 부재(32) 각각은 제 1 수평 지지봉(22a)과 한 쌍의 제 2 수평 지지봉(22b)이 이루는 사각형에서 대각선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지지 부재(32)의 양단은 서로 이웃하지 않는 연결 부재(31)의 지지 부재 연결부(31c)에 끼움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지지 부재(32)는'X'형상을 이루며, 대각선 방향에서 대향하는 한 쌍의 연결 부재(31)를 연결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수직 수평봉(21) 및 수평 수직보(22) 사이의 구조적 안정성을 야기할 수 있다.
이하,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천장 가림막을 포함하는 텐트 구조물에 대해 설명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천장 가림막을 포함하는 텐트 구조물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천장 가림막을 포함하는 텐트 구조물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여기서, 도 16 및 도 17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천장 가림막(600)은 수평 지지봉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천장 가림막(600)을 포함하는 텐트 구조물은 천장(70)을 포함할 수 있다. 천장(70)은 측부 가림부(71), 상부 가림부(72) 및 지지 연결부(73)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서의 천장 가림막(600)은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제 6 실시예에서의 천장 가림막(600)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 바 이하에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측부 가림부(71)의 저면이 수평 지지봉(22)의 연결에 따라 사각 형상을 갖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설치 환경, 텐트의 구조 등에 따라 측부 가림부(71)의 형상은 변경 가능함은 물론이다.
측부 가림부(71) 및 상부 가림부(72)는 일반적인 텐트에 사용되는 재질의 섬유 또는 시트로 구성될 수 있으며, 천연섬유, 합성섬유 또는 그 조합된 섬유, 합성수지 원단, 부직포 원단, 직물, 방수원단 등의 재질 등을 모두 사용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 이를 구체적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특히, 측부 가림부(71) 및 상부 가림부(72)는 내열성이 우수한 재질로 구성되어, 방염 및 방진에 탁월 하며, 통풍성이 우수한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측부 가림부(71)는 수평 지지봉(22)과 수직 지지봉(21)의 상단 일부를 가리도록 소정 높이를 갖는 4개의 판형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 가림부(72)는 측부 가림부(71)의 상단에 연결되어, 상단을 마감할 수 있다. 여기서, 상부 가림부(72)는 사각뿔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부 가림부(72)는 4개의 삼각면이 수평면에 경사를 갖도록 연결되어 구성될 수 있다.
지지 연결부(73)는 상부 가림부(72)의 최상단 꼭짓점의 내측에 연결되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천장 가림막을 포함하는 텐트 구조물은 천장(70)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유닛(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 유닛(30)은 연결 부재(31), 수평 지지 부재(32) 및 수직 지지 부재(33)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부재(31)는 서로 이웃하며, 하나의 꼭짓점에서 만나는 제 1 수평 지지봉(22a), 제 2 수평 지지봉(22b) 및 수직 지지봉(21)을 연결할 수 있다.
여기서, 연결 부재(31)는 제 1 수평 지지봉(22a), 제 2 수평 지지봉(22b) 및 수직 지지봉(21)의 연결 방향에 대응하여, 한 쌍의 수평 연결부(31a) 및 수직 연결부(31b)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한 쌍의 수평 연결부(31a) 각각에는 제 1 수평 지지봉(22a)과 제 2 수평 지지봉(22b)이 끼움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수직 연결부(31b)에는 수직 지지봉(21)이 끼움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연결 부재(31)는 한 쌍의 수평 연결부(31a) 및 수직 연결부(31b)가 이루는 꼭짓점 영역에서, 내측으로 연장되는 지지 부재 연결부(31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 부재 연결부(31c)는 한 쌍의 수평 연결부(31a)가 이루는 평면과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으며, 지지 부재 연결부(31c)와 한 쌍의 수평 연결부(31a) 각각이 이루는 사이각은 동일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 부재 연결부(31c)는 한 쌍의 제 1 수평 지지봉(22a)과 한 쌍의 제 2 수평 지지봉(22b)이 이루는 사각형의 중심을 향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수평 지지 부재(32)는 강봉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수평 지지 부재(32) 각각은 한 쌍의 제 1 수평 지지봉(22a)과 한 쌍의 제 2 수평 지지봉(22b)이 이루는 사각형에서 서로 이웃하지 않은 꼭짓점을 연결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수평 지지 부재(32) 각각은 제 1 수평 지지봉(22a)과 한 쌍의 제 2 수평 지지봉(22b)이 이루는 사각형에서 대각선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수평 지지 부재(32)의 양단은 서로 이웃하지 않는 연결 부재(31)의 지지 부재 연결부(31c)에 끼움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수평 지지 부재(32)는'X'형상을 이루며, 위에 배치된 천장(70)을 지지할 수 있다.
수직 지지 부재(33)는 한 쌍의 수평 지지 부재(32)의 교차 영역에 고정되어 상부 연장될 수 있다.
한편, 수직 지지 부재(33)는 지지 연결부(73)에 상단이 결합되어, 상부 가림부(72)의 최상단 꼭짓점이 하부로 처지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고, 비가 오는 경우, 빗물의 하중에 의해 상부 가림부(72)의 최상단 꼭짓점이 하부로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시하지 않았지만, 측부 가림부(71)의 하단에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보강부(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보강부(미도시)의 링 영역(미도시)은 수직 지지봉(21)에 연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보강부는 박음질 또는 접착제를 통해 측부 가림부(71)에 결합할 수 있다.
보강부는 측부 가림부(71)에 비해 인장강도 등이 우수한 재질의 섬유 또는 시트로 구성되어, 외력에 내성 및 신뢰성이 향상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천연섬유, 합성섬유 또는 그 조합된 섬유 등을 모두 사용할 수 있고, 나일론, 아세탈, 플라스틱, PVC, ABS, PE, 폴리카보네이트, 코프렌, 우렌탄, 산토프렌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이를 구체적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보강부는 측부 가림부(71)와 같이 내열성이 우수한 재질로 구성되어, 방염 및 방진에 탁월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저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200, 300, 400, 500: 가림막
600, 700: 천장 가림막

Claims (10)

  1. 수직 지지봉 및 수평 지지봉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결합되는 가림막에 있어서,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의 장변, 상기 한 쌍의 장변 각각을 연결하는 한 쌍의 단변을 포함하는 판상의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한 쌍의 장변 중 적어도 하나의 장변 및 한 쌍의 단변 중 적어도 하나의 단변 각각에 배치되며, 일단이 외측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상기 복수의 고정부와 이웃하게 배치된 복수의 삽입홀을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고정부의 타단은 상기 장변과 삽입홀 사이 또는 상기 단변과 상기 삽입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각각의 고정부는 상면에 형성된 제 1 결합부재 및 하면에 형성된 제 2 결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림막이 인접한 상기 수직 지지봉 및 상기 수평 지지봉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고정되는 경우,
    상기 각각의 고정부가 상기 수직 지지봉 및 상기 수평 지지봉 중에서 어느 하나를 적어도 1회 감싼 후, 최종적으로 상기 삽입홀을 통과한 상기 고정부의 상기 제 1 결합부재와 상기 제 2 결합부재가 상호 결합하는 가림막.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결합부재는 갈고리이고, 상기 제 2 결합부재는 걸림고리이고,
    상기 각각의 고정부는 양면 벨크로이고,
    상기 몸체부 상면에서, 상기 각각의 삽입홀과 몸체부의 중심선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위치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림막을 보관하는 경우,
    상기 각각의 위치고정부에 상기 각각의 고정부가 결합되어 위치 고정되는 가림막.
  3. 수직 지지봉 및 수평 지지봉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결합되는 가림막에 있어서,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의 장변, 상기 한 쌍의 장변 각각을 연결하는 한 쌍의 단변을 포함하는 판상의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상기 한 쌍의 장변 및 상기 한 쌍의 단변을 따라 결합되는 보강부; 및
    상기 보강부가 결합된 몸체부를 상기 수평 지지봉에 고정하는 복수의 고정부를 포함하는 가림막.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와 상기 몸체부를 함께 관통하도록 배치되며, 중심에 삽입홀을 갖는 복수의 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림막이 인접한 상기 수직 지지봉 및 상기 수평 지지봉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고정되는 경우,
    상기 각각의 고정부는 상기 각각의 결합부의 삽입홀을 관통하여, 상기 몸체부와 상기 보강부를 인접한 상기 수직 지지봉 및 상기 수평 지지봉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고정하는 가림막.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에서,
    상기 한 쌍의 장변은 상호 대향하는 제 1 장변 및 제 2 장변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단변은 상호 대향하며, 제 1 장변 및 제 2 장변을 각각 연결하는 제 1 단변 및 제 2 단변을 포함하고,
    상기 보강부는
    상기 한 쌍의 장변에 결합되는 장변 보강영역,
    상기 한 쌍의 단변에 결합되는 단변 보강영역 및
    이웃하는 장변과 단변이 이루는 꼭짓점에 결합되는 꼭짓점 보강영역을 포함하는 가림막.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는
    상기 꼭짓점 보강영역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며, 중심에 끼움홀을 갖는 링 영역을 더 포함하는 가림막.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링 영역의 끼움홀에 상기 수직 지지봉 및 상기 수평 지지봉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직접 삽입되거나,
    상기 고정부가 상기 링 영역의 끼움홀에 삽입되거나,
    상기 링 영역이 상기 수직 지지봉 및 상기 수평 지지봉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외주면을 감싸며,
    상기 수직 지지봉 및 상기 수평 지지봉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상기 링 영역이 고정되는 가림막.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장변 사이에서, 상기 장변에 평행하게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는 중앙 보강부를 더 포함하는 가림막.
  9. 제 1 수평 지지봉 및 제 2 수평 지지봉에 결합되는 천장 가림막에 있어서,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의 장변, 상기 한 쌍의 장변 각각을 연결하는 한 쌍의 단변을 포함하고, 지면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판상의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상기 한 쌍의 장변 및 상기 한 쌍의 단변을 따라 결합되는 보강부; 및
    상기 보강부가 결합된 몸체부를 상기 제 1 수평 지지봉 및 제 2 수평 지지봉에 고정하는 복수의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면에 연결된 수직 지지봉, 상기 제 1 수평 지지봉 및 제 2 수평 지지봉의 연결 영역에 상기 몸체부의 각 모서리가 결합되고,
    상기 몸체부는 외부의 열, 냉기 및 자외선을 차단하는 천장 가림막.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에서,
    상기 한 쌍의 장변은 상호 대향하는 제 1 장변 및 제 2 장변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단변은 상호 대향하며, 제 1 장변 및 제 2 장변을 각각 연결하는 제 1 단변 및 제 2 단변을 포함하고,
    상기 보강부는
    상기 한 쌍의 장변에 결합되는 장변 보강영역,
    상기 한 쌍의 단변에 결합되는 단변 보강영역,
    이웃하는 장변과 단변이 이루는 꼭짓점에 결합되는 꼭짓점 보강영역 및
    상기 꼭짓점 보강영역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며, 중심에 끼움홀을 갖는 링 영역을 포함하는 천장 가림막.
KR1020200083470A 2019-07-09 2020-07-07 가림막 KR1023604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083398 2019-07-09
KR1020190083398 2019-07-09
KR20190096395 2019-08-05
KR1020190096395 2019-08-05
KR1020190104080 2019-08-23
KR20190104080 2019-08-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6861A true KR20210006861A (ko) 2021-01-19
KR102360467B1 KR102360467B1 (ko) 2022-02-09

Family

ID=74237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3470A KR102360467B1 (ko) 2019-07-09 2020-07-07 가림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04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0288B1 (ko) * 2022-03-11 2022-09-02 안정기 탈착형 발열 패드가 구비된 난방텐트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7422U (ja) * 2004-08-27 2005-02-03 浩治 三島 日除け用シート
KR101101348B1 (ko) 2008-08-12 2012-01-02 김명덕 천막 조립체.
KR20120067389A (ko) * 2010-12-16 2012-06-26 송문천 조립식 블록 텐트
KR20140002065U (ko) * 2012-09-28 2014-04-08 송경숙 전복 가두리 양식장용 차양막
JP2017020247A (ja) * 2015-07-10 2017-01-26 株式会社キャラバンジャパン 隣設テント間の防雨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7422B2 (ja) * 1991-09-24 2000-11-06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水ジェット推進艇のドレン排水構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7422U (ja) * 2004-08-27 2005-02-03 浩治 三島 日除け用シート
KR101101348B1 (ko) 2008-08-12 2012-01-02 김명덕 천막 조립체.
KR20120067389A (ko) * 2010-12-16 2012-06-26 송문천 조립식 블록 텐트
KR20140002065U (ko) * 2012-09-28 2014-04-08 송경숙 전복 가두리 양식장용 차양막
JP2017020247A (ja) * 2015-07-10 2017-01-26 株式会社キャラバンジャパン 隣設テント間の防雨構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0288B1 (ko) * 2022-03-11 2022-09-02 안정기 탈착형 발열 패드가 구비된 난방텐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0467B1 (ko) 2022-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8918B1 (ko) 장력의 분산조절이 이루어지게 한 천막조형물의 차양막고정설치구
US20050194030A1 (en) Shelter having an extendable roof
US9482027B2 (en) Mechanisms for shelter attachments
KR102230358B1 (ko) 애드벌룬을 이용한 그늘 막
KR20210006861A (ko) 가림막
CN212053422U (zh) 一种拼装式工业防尘顶棚
KR101018641B1 (ko) 조립식 천막 및 그 조립방법
KR100901990B1 (ko) 지붕막 고정구조를 갖는 막구조 시스템
KR101517397B1 (ko) 하이테크 클램핑 방식을 이용한 막 손상 방지형 막 구조물
KR100813922B1 (ko) 절첩식 텐트
KR200398147Y1 (ko) 그늘막 텐트
KR100994412B1 (ko) 건축구조물의 막재고정구조 및 이를 이용한 건축구조물의 시공방법
KR20170000167A (ko) 조립식 천막
KR102360471B1 (ko) 낙수 받이 구조물
KR20100111450A (ko) 휴대용 조립식 그늘막
KR101061823B1 (ko) 조립식 천막
JP2013108289A (ja) 組み立て式テント
KR200272755Y1 (ko) 그늘막
KR20100128873A (ko) 천막 연결장치
KR101061828B1 (ko) 조립식 천막
JP2006249864A (ja) 大規模空間を内部にもつ建築物の屋根構造体
KR100836123B1 (ko) 대나무 골재형 그늘막 구조
KR20200137851A (ko) 육각 오토텐트의 구조적 특수성을 이용한 회전 결합형 타프천막
KR200496437Y1 (ko) 육각기둥을 가지는 천막
US10934739B1 (en) Modular canopy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